KR20180115157A - 이종금속단자용 라미네이티드 션트 - Google Patents

이종금속단자용 라미네이티드 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157A
KR20180115157A KR1020170047489A KR20170047489A KR20180115157A KR 20180115157 A KR20180115157 A KR 20180115157A KR 1020170047489 A KR1020170047489 A KR 1020170047489A KR 20170047489 A KR20170047489 A KR 20170047489A KR 20180115157 A KR20180115157 A KR 20180115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copper
shunt
laminated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서
Original Assignee
주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7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5157A/ko
Publication of KR20180115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9Cables with built-in connecting points or with predetermined areas for making devi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6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nductor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미네이티드 션트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라미네이티드 션트는 알루미늄(Al) 또는 구리(Cu) 재질을 갖는 연결바(3)와; 연결바(3)의 양측이 절곡되어 서로 다른 재질의 전극단자(5,7)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접촉부(11,13)와; 한 쌍의 접촉부(11,13)중 일측 접촉부(11)의 하부에 배치되며 연결바(3)의 재질과 다른 재질을 갖는 스트립(9)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종금속단자용 라미네이티드 션트{Laminated shunt for connecting between dissimilar metal}
본 발명은 라미네이티드 션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혹은 구리 라미네이티드 션트의 하부에 구리 혹은 알루미늄과 같은 이종 금속의 스트립을 장착함으로써 설비간의 전원 단자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미네이티드 션트(Laminated shunt)는 도전성을 갖는 얇은 박판 다수개를 적층함으로써 설비의 전원단자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라미네이티드 션트를 이용하여 2개 설비간의 전원단자를 연결하는 바, 전원단자의 소재가 서로 다른 이종 금속인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일측 설비의 전원단자는 알루미늄이고, 타측 설비의 전원단자는 구리인 경우, 이 2개의 전원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알루미늄 재질의 전원단자의 상부에는 알루미늄 판을 배치하고, 구리 재질의 상부에는 구리판을 배치하며, 이때 알루미늄 판과 구리판의 사이에는 별도의 Al-Cu Bar를 배치하여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양 단자를 연결하는 경우, 전원단자 및 Al-Cu Bar는 강체이므로, 그 두께를 정확한 치수로 가공하고, 또한 표면을 정밀하게 가공하여야 접촉면이 편평하게 되어 전원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강체인 Al-Cu Bar를 정밀하게 가공하는 것에 한계가 있어서 오차가 발생하므로 전원 공급시 스파크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안정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Al-Cu bar를 사용하여 연결하므로 연결공정이 복잡하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또한 양쪽 단자가 일직선상에 있지 않으면 이를 일치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 제10-2013-7022510호(보호구, 보호구의 제조 방법 및 쉴드 도전체)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티드 션트의 하부에 구리 스트립을 장착하거나, 구리 라미네이티드 션트의 하부에 알루미늄 스트립을 장착함으로써, 전원단자의 재질에 따라 적절한 라미네이티드 션트를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라미네이티드 션트를 제공하는 바, 상기 라미네이티드 션트는, 알루미늄(Al) 또는 구리(Cu) 재질을 갖는 연결바(3)와;
연결바(3)의 양측이 절곡되어 서로 다른 재질의 전극단자(5,7)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접촉부(11,13)와;
한 쌍의 접촉부(11,13)중 일측 접촉부(11)의 하부에 배치되며 연결바(3)의 재질과 다른 재질을 갖는 스트립(9)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티드 션트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알루미늄 션트의 일측 하부에 구리 스트립을 적용하거나, 혹은 구리 라미네이티드 션트의 일측 하부에 알루미늄 스트립을 적용함으로써 이종금속으로 구성된 한 쌍의 전원단자를 라미네이티드 션트에 의하여 연결할 때, 한 쌍의 전원단자중 알루미늄 단자에는 알루미늄 스트립을 접촉시킴으로써 타측 단자에는 구리 스트립이 자연스럽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전원 단자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라미네이티드 션트를 얇은 박판을 다수매 적층하여 탄력성을 갖도록 하고, 션트의 양단이 전극단자와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Al-Cu Bar를 사용하지 않고 전원단자들을 쉽게 연결가능한 장점이 있다.
셋째, 두 전극단자가 연결부위가 일직선상에 있지 않아도 라미네티티드 션트가 유연성이 있음으로 일정 범위 이내에서는 전극단자들을 별도작업 없이 연결할 수 있다.
넷째, 라미네이티드 션트가 얇은 다수매의 박판으로 구성됨으로써 탄력성과 유연성이 있어서, 설비가동 시 진동을 흡수할 수 있으며, Bus bar 대비 내구성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티드 션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로서, 알루미늄 라미네이티드 션트가 전극단자를 연결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로서, 구리 라미네이티드 션트가 전극단자를 연결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티드 션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라미네이티드 션트(1)는 알루미늄(Al) 박판 또는 구리(Cu) 재질을 갖는 연결바(3)와; 연결바(3)의 양측이 절곡되어 서로 다른 재질의 전극단자(5,7)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접촉부(11,13)와; 한 쌍의 접촉부(11,13)중 일측 접촉부(11)의 하부에 배치되며 연결바(5)의 재질과 다른 재질을 갖는 스트립(9)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라미네이티드 션트(1)에 있어서, 연결바(3)는 다수개의 얇은 박판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연결바(3)는 알루미늄 혹은 구리로 제조된다. 즉, 연결바(3)는 알루미늄 재질의 얇은 박판이 다수겹 적층되는 구조이거나, 구리 재질의 얇은 박판이 다수겹 적층되는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접촉부(11,13)는 전극단자(5,7)에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이러한 한 쌍의 접촉부(11,13)는 연결바(3)의 양단을 일정 각도로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립(9)은 한 쌍의 접촉부(11,13)중 일측 접촉부(11)의 최하단에 배치되어 전극단자(3)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스트립(9)은 접촉부(11,13)의 저면에 도금 또는 클래딩 등으로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스트립(9)은 연결바(3) 및 접촉부(11,13)와 다른 재질을 갖는다.
즉, 연결바(3)와 접촉부(11,13)가 알루미늄 재질인 경우, 스트립(9)은 구리 재질을 갖는다.
반대로, 구리 라미네이티드 션트인 경우, 연결바(3)와 접촉부(11,13)는 구리 재질이며, 스트립은 알루미늄 재질을 갖는다.
이와 같이, 라미네이티드 션트(1)에 있어서 연결바(3)와 스트립(9)이 서로 다른 금속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전극단자(5,7)가 서로 다른 이종 금속인 경우 용이하게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극단자(5,7)가 일측 단자(5)는 구리 재질이고, 타측단자(7)는 알루미늄 재질인 경우, 알루미늄 라미네이티드 션트, 즉 연결바(3) 및 접촉부(13)는 알루미늄 재질이고, 스트립(9)은 구리 재질인 라미네이티드 션트(1)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구리 재질의 스트립(9)을 구리 재질의 전극단자(5)에 접촉하면, 반대방향의 전극단자(7)에는 자연히 알루미늄 재질의 접촉부(13)가 접촉하게 된다.
혹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리 라미네이티드 션트(1)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연결바(3) 및 접촉부(11)는 구리 재질이고, 스트립(12)은 알루미늄 재질이다.
이 경우, 알루미늄 재질의 스트립(12)을 알루미늄 재질의 전극단자(7)에 접촉하면, 반대방향의 전극단자(5)에는 자연히 구리 재질의 접촉부(11)가 접촉하게 된다.
한편, 연결바(3)는 다수매의 박판이 적층된 구조이므로 소정의 탄성력 및 유연성을 갖음으로써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또한 전극단자(5,7)가 일직선상에서 있지 않아도 연결가능하다.
이때, 연결바(3)와 한 쌍의 접촉부(11,13)는 탄력성 및 유연성을 갖음으로 길이를 과도하게 길게 하는 경우 연결바(3)가 아래로 처지거나, 짧게 하는 경우 연결바(3)의 탄력성이 충분히 발생되지 않음으로서 강체와 같은 효과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연결바(3)와 한 쌍의 접촉부(11,13)의 길이를 소정의 비율로 하는 것이 필요한 바, 일측 접촉부의 길이 1, 연결바 3, 타측 접촉부 1의 비율, 즉, 1:3:1의 비율이 바람직하다.
연결바의 길이비가 3이상인 경우에는 아래로 처지게 되고, 3이하인 경우에는 강체와 같은 효과가 발생하여 탄력성이 발생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전극단자(5,7)가 서로 다른 이종 금속일 경우, 단순히 라미네이티드의 스트립 재질만을 달리함으로써 일측 전극단자(5,7)와 동일 금속임을 확인하여 연결하면 타측 전극단자(5,7)는 자연히 동일 금속의 스트립이 연결됨으로써 한 쌍의 전극단자(5,7)를 쉽게 연결하여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Claims (5)

  1. 알루미늄(Al) 또는 구리(Cu) 재질을 갖는 연결바(3)와;
    연결바(3)의 양측이 절곡되어 서로 다른 재질의 전극단자(5,7)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접촉부(11,13)와;
    한 쌍의 접촉부(11,13)중 일측 접촉부(11)의 하부에 배치되며 연결바(3)의 재질과 다른 재질을 갖는 스트립(9)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티드 션트(1).
  2. 제 1항에 있어서,
    스트립(9)은 구리 혹은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티드 션트(1).
  3. 제 1항에 있어서,
    연결바(3)는 다수매의 박판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티드 션트(1).
  4. 제 3항에 있어서,
    연결바(3)는 탄성력 및 유연성을 갖음으로써 진동 흡수 및 전극단자(5,7)가 일직선상에서 있지 않아도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티드 션트(1).
  5. 제 1항에 있어서,
    연결바(3)와 한 쌍의 접촉부(11,13)의 길이비를 1:3:1의 비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티드 션트(1).
    (일측 접촉부의 길이 1, 연결바 3, 타측 접촉부 1)
KR1020170047489A 2017-04-12 2017-04-12 이종금속단자용 라미네이티드 션트 KR20180115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489A KR20180115157A (ko) 2017-04-12 2017-04-12 이종금속단자용 라미네이티드 션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489A KR20180115157A (ko) 2017-04-12 2017-04-12 이종금속단자용 라미네이티드 션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157A true KR20180115157A (ko) 2018-10-22

Family

ID=64102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489A KR20180115157A (ko) 2017-04-12 2017-04-12 이종금속단자용 라미네이티드 션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51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846B1 (ko) * 2020-09-02 2020-11-04 박상서 라미네이티드 션트 제조장치
KR20210070022A (ko) 2019-12-04 2021-06-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셀 연결용 버스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022A (ko) 2019-12-04 2021-06-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셀 연결용 버스바
KR102173846B1 (ko) * 2020-09-02 2020-11-04 박상서 라미네이티드 션트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3124B1 (de) Leistungshalbleitermodul mit Verbindungsbahnen und mit Anschlusselementen, die mit den Verbindungsbahnen verbunden sind
US7331799B1 (en) Stacked electronic component and fastening device thereof
KR101555189B1 (ko) 적층 코일 부품
JP6372067B2 (ja) セラミック電子部品
US20130061472A1 (en) Dual Compressive Connector
EP1601016A2 (de) Anordnung in Schraub-Druckkontakierung mit einem Leistungshalbleitermodul
CN101364679A (zh) 电连接组件
CN103053079A (zh) 端子连接结构
TW200718006A (en) Electric element and electric circuit
US20140017940A1 (en) Layered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layered connector
KR20180115157A (ko) 이종금속단자용 라미네이티드 션트
US6409522B1 (en) Circuit and busboard connection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box
JP2015069953A (ja) 電気接続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配線モジュール
US9425522B2 (en) Circuit board connector
US9313885B2 (en) Flexible flat cable for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WO2018110107A1 (ja) 可撓導体と可撓導体を使用した真空遮断器
CN109873276B (zh) 板状布线材料与电连接盒的连接结构
DE102013226097B4 (de) Mehrschichtig ausgebildeter Schaltungsträger
ATE336075T1 (de) Verdrahtungsvorrichtung für schutzschaltung
US10483828B2 (en) Electric motor having SMD components and associated connection component
WO2017138318A1 (ja) バスバー及びバスバーの製造方法
JP6255236B2 (ja) パワー半導体モジュール構造
CN104283017A (zh) 用于不同金属部件的电接地和结构装置
SE452532B (sv) Forfarande for framstellning av en kontaktyta med ett kontaktelement och kontaktelement for stromsamlingsskena
US20070033800A1 (en) Method for electrically contacting a component to a flat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