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856A -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856A
KR20180114856A KR1020180042247A KR20180042247A KR20180114856A KR 20180114856 A KR20180114856 A KR 20180114856A KR 1020180042247 A KR1020180042247 A KR 1020180042247A KR 20180042247 A KR20180042247 A KR 20180042247A KR 20180114856 A KR20180114856 A KR 20180114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musician
data
period
d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페이스오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페이스오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페이스오디티
Publication of KR20180114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3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Internet or website r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관심 뮤지션 및 관심 뮤지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기간을 설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로부터 수집된 관심 뮤지션의 음원에 대한 음원 차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의 소셜 미디어로부터 수집된 관심 뮤지션의 계정에 대한 팔로워(follower)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음원 차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별 음원에 대한 음원 차트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팔로워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소셜 미디어 별 관심 뮤지션에 대한 팔로워 수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MUSITION CONTENTS}
본 발명은 뮤지션 컨텐츠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국내 뮤지션들의 매니지먼트는 기획사를 통해 이루어져왔다. 기획사를 통한 전통적인 매니지먼트 환경에서는 전속 가수의 성패가 곧 회사의 존폐로 이어지기 때문에, 실적 중심 또는 기획사 중심의 계약 관계가 이루어져왔다.
이러한 전통적인 매니지먼트 환경을 벗어나고자, 최근에는 뮤지션들이 1인 기획사 또는 소형 기획사를 설립하거나, 별도의 기획사 없이 활동하고 있다(이하, "자립형 뮤지션"이라 한다). 또한, 소셜 미디어의 발달로 인하여, TV 및 라디오와 같은 전통적인 매체에 노출되지 않아도 자립형 뮤지션들이 대중으로부터 많은 인기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획사에서의 연습생 기간을 거치지 않고도, SoundCloud, Facebook 및 YouTube 등과 같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데뷔를 하는 자립형 뮤지션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매니지먼트 환경 속의 뮤지션과는 달리, 자립형 뮤지션은 재정적인 한계로 인해 다른 뮤지션과의 협업, 스튜디오, 악기 등과 같은 음악적인 분야뿐만 아니라, 경제, 행정, 법 등과 같은 음악 외적인 분야에 있어서도 전문적인 매니지먼트 시스템이나 파트너쉽을 구축할 수가 없다. 따라서, 자립형 뮤지션들은 일반적으로 협업, 홍보, 위기 관리, 기획, 마케팅 등에 취약하다. 이러한 매니지먼트의 전문성 부족은 불필요한 비용 및 업무를 증가시켜 자립형 뮤지션들의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자립형 뮤지션들이 매니지먼트의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뮤지션의 인기나 음원에 대한 대중의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서 인터넷에 산재해있는 수많은 정보들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므로, 별도의 지원이 없는 한 자립형 뮤지션이 이와 같은 정보들을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하기란 불가능하다. 따라서, 뮤지션과 관련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뮤지션과 관련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관심 뮤지션 및 관심 뮤지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기간을 설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로부터 수집된 관심 뮤지션의 음원에 대한 음원 차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의 소셜 미디어로부터 수집된 관심 뮤지션의 계정에 대한 팔로워(follower)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음원 차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별 음원에 대한 음원 차트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팔로워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소셜 미디어 별 관심 뮤지션에 대한 팔로워 수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방법은,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로부터 수집된 음원의 라이크(like)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음원의 라이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원에 대한 예상 매출을 계산하는 단계 및 음원에 대한 예상 매출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은,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로부터 수집된 음원의 재생 회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음원에 대한 예상 매출은 음원 차트 데이터, 재생 회수 데이터 및 팔로워 데이터에 더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은, 외부 장치에게, 음원 차트 데이터 및 팔로워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알림 조건을 전송하는 단계, 음원 차트 데이터 및 팔로워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알림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외부 장치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알림 메시지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에게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은,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로부터 수집된 음원의 라이크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라이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별 음원에 대한 라이크 수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은,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로부터 수집된 관심 뮤지션의 이름 및 음원의 제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어의 검색 순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검색 순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별 검색어의 검색 순위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은,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의 소셜 미디어로부터 수집된 관심 뮤지션의 계정에 대한 댓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댓글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의 댓글의 감성 분석 통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은,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의 소셜 미디어로부터 수집된 관심 뮤지션의 이름 및 음원의 제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시태그의 인용 회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인용 회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소셜 미디어 별 해시태그의 인용 회수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관심 뮤지션 및 관심 뮤지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기간을 설정하는 입력을 수신 받는 입력부,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로부터 수집된 관심 뮤지션의 음원에 대한 음원 차트 데이터를 획득하고,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의 소셜 미디어로부터 수집된 관심 뮤지션의 계정에 대한 팔로워(follower)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음원 차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별 음원에 대한 음원 차트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하고, 팔로워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소셜 미디어 별 관심 뮤지션에 대한 팔로워 수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명령어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에 산재해있는 뮤지션 및 음원에 대한 대중의 반응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즉각적으로 매니지먼트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도 1은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방법 및 뮤지션 컨텐츠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관심 뮤지션에 대한 정보 및 데이터를 수집할 기간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4는 음원 차트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5는 음원의 라이크 수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6은 검색어의 검색 순위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7은 팬덤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8은 댓글을 모니터링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9는 해시태그를 모니터링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10는 게시글 수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방법 및 뮤지션 컨텐츠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알림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4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 특히, 특허 청구 범위에서에서 사용된 “상기”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들의 순서를 명백하게 지정하는 기재가 없다면, 기재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컨텐츠"란 유무선 전기 통신망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문자, 숫자, 부호, 음성, 문서, 이미지, 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해 처리 및 유통되는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원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시스템(10)은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 및 적어도 하나의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시스템(10)은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 및 적어도 하나의 서버(300)를 상호 연결하는 통산망(400)을 포함할 수 있다.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및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와 같은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들고 다닐 수 있는 정도로 충분히 작고, 컴퓨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휴대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과 같은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컴퓨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시계, HMD(head mounted device), 이어폰 등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수 있는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일반적인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뮤지션 컨텐츠는 뮤지션 및 뮤지션의 음원으로부터 파생되는 온라인 상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뮤지션 컨텐츠는 음원 차트 및 팬덤 뿐만 아니라, 음원, 뮤직비디오 및 공연 영상의 재생 회수, 조회수 및 라이크(like) 수, 뮤지션 또는 음원과 관련된 게시글, 댓글, 해시태그, 인터넷 기사, 실시간 검색 순위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뮤지션 컨텐츠에 따라, 관심 뮤지션 'AAA'의 음원 'XXX'의 멜론 차트, 벅스 차트, 및 네이버 뮤직 차트의 순위가 각각 1위, 2위, 및 1위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알림 메시지에 기초하여, "'AAA'님이 언급된 새로운 뉴스가 떴어요! 5분 단위로 댓글 모니터링 시작합니다", "'XXX'가 지금 라디오에서 나오고 있어요. 이번주만 벌써 10번째네요!", "최근 올린 인스타그램 댓글이 꽤 부정적인데요?"와 같은 알림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의 사용자는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에게 리스크 관리, PR(Public Relation) 전략 등 향후 활동 플랜 수립에 대한 전문적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의 사용자는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 포털 사이트 등 인터넷 상에 산재해있는 관심 뮤지션에 대한 대중의 반응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방송, 공연, 광고, 마케팅, 위기 관리 등에 관한 전문적인 서비스를 즉각적으로 받을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방법 및 뮤지션 컨텐츠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S2000 단계에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관심 뮤지션 및 상기 관심 뮤지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기간을 설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2100 단계에서,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관심 뮤지션에 대한 정보 및 관심 뮤지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기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관심 뮤지션에 대한 정보는 관심 뮤지션의 이름 및 관심 뮤지션이 참여한 음원의 제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심 뮤지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기간은 시점 및 종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과거에 대해 설정되거나, 현재를 포함하여 설정되거나, 미래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가 관심 뮤지션을 선택하고, 관심 뮤지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기간을 설정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S2200 단계에서,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서버(300)를 통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가 요청한 기간 동안, 음원을 제공하는 복수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로부터 관심 뮤지션의 음원에 대한 음원 차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에는 멜론, 벅스, 엠넷, 네이버 뮤직, 지니, 소리바다, 아이튠스와 같이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방식을 통해 온라인 상으로 음원을 제공하는 사이트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서버(300)를 통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가 요청한 기간 동안, 복수의 소셜 미디어로부터 상기 관심 뮤지션의 계정에 대한 팔로워(follower)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소셜 미디어란 사용자가 작성한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과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 유튜브, 아프리카tv, 트위치 등과 같은 UGC(user generated contents) 및 블로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에 대한 계정은 뮤지션 및 음원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뮤지션이나 기획사가 관리하는 소셜 미디어 상의 공식 계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에 대한 계정은 뮤지션이 사적인 목적으로 생성한 소셜 미디어 상의 개인 계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에 대한 계정의 팔로워란, 뮤지션에 대한 계정 상에 등록된 컨텐츠를 공유 받을 수 있는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스타그램의 팔로워, 페이스북의 좋아요, 트위터의 팔로워, 유튜브의 구독자, 네이버 블로그의 이웃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팔로워로 등록된 사용자는 뮤지션의 팬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소셜 미디어 상의 팔로워의 수가 뮤지션의 팬덤에 관한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로부터 음원 차트 데이터 및 팔로워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S2300 단계에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음원 차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별 관심 뮤지션의 음원에 대한 음원 차트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가 복수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뮤지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팔로워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소셜 미디어 별 상기 관심 뮤지션에 대한 팔로워 수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가 복수의 소셜 미디어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뮤지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에서는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가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도시되었으나,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와 같이 서버(300)로부터 관심 뮤지션에 대한 데이터를 직접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와 같이 뮤지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은 관심 뮤지션 및 데이터를 수집할 기간을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310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가 관심 뮤지션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이 도시된다. 여기서, 관심 뮤지션은 1인 뮤지션 또는 여러명이 속한 그룹 뮤지션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사용자가 검색창(311)을 활용하여 뮤지션의 이름 'AAA' 또는 'AAA' 뮤지션의 음원의 제목 'XXX'를 검색하면, 'AAA'를 관심 뮤지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컨텐츠를 모니터링 할 다른 뮤지션을 사용자에게 추천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선택된 뮤지션 'AAA'와 음악 장르가 비슷하거나, 소속사가 동일한 뮤지션 'BBB', 'CCC', 'DDD'를 추천창(311)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의 사용자는 선택된 뮤지션 'AAA' 자신일 수 도 있지만, 'AAA'의 팬일 수 도 있다. 따라서, 후술할 바와 같이, 온라인 상에 공개된 자료 이외에, 음원의 예상 매출 정보와 같은 사적인 정보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서는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가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본인 인증 절차를 요구할 수 있다.
320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가 선택된 뮤지션에 대한 컨텐츠를 수집할 기간을 설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터치 또는 드래그 입력(322)을 수신하여 컨텐츠 수집 기간을 2017년 9월 5일부터 2017년 9월 11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수집 기간의 시점 및 종점을 모두 입력 받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수집 기간의 시점 및 종점 중 어느 하나만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가 수집을 시작할 시점만을 입력 받은 경우, 종료 입력을 받기 전까지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설정된 시점부터 지속적으로 컨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가 수집을 종료할 종점만을 입력 받은 경우,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현재부터 설정된 종점까지 컨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수집 기간이 설정되지 않아도, 현재부터 종료 입력을 받을 때까지 지속적을 컨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수집할 시간 단위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4는 음원 차트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2017년 9월 5일부터 2017년 9월 11일까지, 멜론, 벅스, 엠넷, 네이버 뮤직, 지니, 소리바다, 아이튠스 등의 웹사이트로부터 관심 뮤지션 'AAA'의 음원 'XXX'에 대한 음원 차트 데이터를 수집하고,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별 최초 음원 차트, 최종 음원 차트, 최저 음원 차트 및 최고 음원 차트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410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로부터 획득한 음원 차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2017년 9월 5일부터 2017년 9월 11일 사이에 뮤지션 'AAA'의 음원 'XXX'의 멜론 차트 순위는 8위에서 6위로 상승하고, 벅스 차트 순위 또한 8위에서 6위로 상승하였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음원 웹사이트 별 음원 차트의 변화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420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로부터 획득한 음원 차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2017년 9월 5일부터 2017년 9월 11일 사이에 뮤지션 'AAA'의 음원 'XXX'의 멜론 차트 순위, 벅스 차트 순위, 엠넷 차트 순위의 변동을 일단위 그래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과 독립적으로, 음원 웹사이트 별 현재 음원 차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430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로부터 획득한 음원 차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2017년 9월 5일부터 2017년 9월 11일 사이에 뮤지션 'AAA'의 음원 'XXX'의 멜론 차트 순위를 일단위 그래프로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멜론 차트가 6위이며 어제보다 1위 상승하였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음원 차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기간(411) 및 시간 단위(421, 431)는 다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기간 및 시간 단위와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2017년 9월 11일 10시부터 11시까지의 복수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로부터 관심 뮤지션의 음원에 대한 음원 차트 데이터를 10분 단위로 수집하는 반면, 2017년 9월 5일부터 2017년 9월 11일 사이의 복수의 소셜 미디어로부터 관심 뮤지션의 계정에 대한 데이터를 일단위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440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원의 통합 음원 차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음원 차트에 대한 가중치를 미리 설정하고, 결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음원에 대한 통합 음원 차트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중 제1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에서 수집된 제1 음원 차트에 대해서는, 복수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사이에서 제1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가 확보하고 있는 시장 점유율에 따라 제1 음원 차트에 대한 가중치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음원을 서비스하지 않지만 음원 동향을 분석하여 음원 차트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이하, "비음원 서비스 웹사이트"라 한다)로부터 수집된 음원 차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비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별로 음원 차트를 정렬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음원 서비스 웹사이트는 빌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비음원 서비스 웹사이트에서 수집된 음원 차트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0'으로 설정하여, 통합 음원 차트에 대한 파라미터에서 비음원 서비스 웹사이트의 음원 차트는 제외시킬 수 있다.
도 5는 음원의 라이크 수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여기서, 라이크란,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의 사용자가 특정 음원에 대한 공감 및 추천을 나타내기 위해 체크하는 항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크는 멜론의 하트, 지니의 하트, 벅스의 좋아, 네이버 뮤직의 좋아요, 엠넷의 좋아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상에서 음원에 대해 체크된 라이크의 수는 음원의 인기에 관한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AAA' 뮤지션의 'XXX' 음원의 멜론 하트, 벅스의 좋아, 엠넷의 좋아요, 네이버 뮤직의 좋아요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로부터 획득된 라이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별 라이크 수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510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별 최초 라이크 수, 최종 라이크 수, 최저 라이크 수 및 최고 라이크 수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5의 520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음원 웹사이트 별 라이크 수 변화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5의 530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과 독립적으로 음원 웹사이트 별 현재 라이크 수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라이크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기간(511) 및 시간 단위(521, 531)는 다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기간 및 시간 단위와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외에, 소셜 미디어로부터 설정된 기간 동안 음원의 라이크 데이터를 수집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 상의 라이크는 유튜브, 아프리카tv, 트위치 등에 등록된 뮤직 비디오의 좋아요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가 소셜 미디어 별로 라이크 수의 변화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별로 라이크 수의 변화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수집된 라이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원에 대한 예상 매출을 계산하여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540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로부터 획득한 음원의 예상 매출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로부터 획득한 음원의 라이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원에 대한 예상 매출을 직접 계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라이크 수는 음원의 인기에 관한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으므로, 이로부터 음원의 매출을 예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의 예상 매출은 설정된 기간 동안의 최종 라이크 수와 최초 라이크 수의 차이에 비례하고, 설정된 기간에는 반비례하도록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짧은 기간에 라이크 수가 많이 증가할수록 음원의 예상 매출은 커질 수 있다. 반면, 동일하게 라이크 수가 증가 하였어도, 설정된 기간이 길어질 수 록 음원의 예상 매출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음원의 예상 매출은 복수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로부터 수집된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원의 누적 재생 회수 데이터에 더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음원의 예상 매출은 설정된 기간 동안의 최종 재생 회수와 최초 재생 회수 수의 차이에 비례하고, 설정된 기간에는 반비례할 수 있다.
또한, 음원의 예상 매출은 음원 차트 데이터 및 팔로워 데이터에 더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기간 동안의 평균 팔로워 수에 따라 예상 매출의 오프셋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간 동안의 평균 음원 차트 순위에 따라 예상 매출에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뮤지션의 팬덤이 클수록 음원에 대해 고정적으로 발생하는 매출이 커질 수 있으며, 음원 차트 순위가 높을수록 공연 및 방송 활동에 의한 매출이 늘어날 수 있다.
도 6은 검색어의 검색 순위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복수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로부터 관심 뮤지션의 이름 및 관심 뮤지션의 음원의 제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어의 검색 순위 데이터를 수집하여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로부터 획득한 검색 순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별 검색어의 검색 순위의 변화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612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별 최초 검색 순위, 최종 검색 순위, 최저 검색 순위 및 최고 검색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6의 620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음원 웹사이트 별 검색 순위의 변화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6의 630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과 독립적으로 음원 웹사이트 별 현재 검색 순위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검색 순위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기간(611) 및 시간 단위(621, 631)는 다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기간 및 시간 단위와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복수의 포털 사이트로부터 뮤지션의 이름 및 뮤지션의 음원의 제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어의 검색 순위 데이터를 수집 하여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613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 동안 포털 사이트 별 검색어의 검색 순위 변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팬덤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여기서 팬덤은 웹사이트 상에서 수집할 수 있는 정량적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 계정의 팔로워 수, 온라인 팬 커뮤니티의 회원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AAA' 뮤지션의 인스타그램 공식계정 및 페이스북 공식계정을 검색하고, 설정된 기간 동안의 'AAA' 뮤지션의 인스타그램 공식계정의 팔로워 수 및 페이스북 공식계정의 좋아요 수를 수집 하여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712를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소셜 미디어 별 최초 팔로워 수, 최종 팔로워 수, 최저 팔로워 수 및 최고 팔로워 수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7의 720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소셜 미디어 별 팔로워 수 변화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7의 730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과 독립적으로 소셜 미디어 별 현재 팔로워 수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팔로워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기간(711) 및 시간 단위(721, 731)는 다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기간 및 시간 단위와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6의 613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설정된 기간 동안 다음 팬 카페에 가입된 회원수 및 멜론 상의 팬맺기 수를 수집하여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댓글을 모니터링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의 소셜 미디어로부터 관심 뮤지션의 계정 상에 등록된 게시글에 대한 댓글 데이터를 수집하여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811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AAA' 뮤지션의 페이스북 공식 계정에 등록된 신곡 홍보를 위한 게시글에 대해 설정된 기간 동안 등록된 댓글을 수집 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댓글 수의 변화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812를 참조하면, 'AAA' 뮤지션의 페이스북 공식 계정에 등록된 신곡 홍보를 위한 게시글에 대해, 2017년 9월 5일부터 2017년 9월 11일까지 등록된 댓글 수의 변화를 일단위 그래프로 디스플레이 하고, 설정된 기간과 독립적으로 현재 댓글의 수가 5,406개이며 어제보다 252개 증가하였음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댓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간 동안의 상기 게시글에 대한 댓글의 감성 분석 통계를 생성하여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댓글에 포함된 긍정적인 단어의 개수, 부정적인 단어의 개수, 중립적인 단어의 개수 및 댓글의 문법적인 구조에 기초하여 댓글을 긍정적인 댓글 또는 부정적인 댓글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댓글에 포함된 단어 혹은 엔티티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를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에 따라 긍정적인 단어 또는 부정적인 단어로 분류할 수 있다. 만약, 추출된 단어가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추출된 단어를 중립적인 단어로 분류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서버와 통신하여 추출된 단어의 감성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댓글에 역접 관계의 접속사가 포함된 경우,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역접 관계의 접속사 이전에 포함된 단어에 대한 분석은 생략하고, 역접 관계의 접속사 이후에 포함된 단어의 감성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댓글의 감성 분석 통계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821를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 동안 등록된 전체 댓글의 개수 중, 긍정적인 댓글, 부정적인 댓글, 및 중립적인 댓글의 비율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822를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 동안 등록된 전체 댓글에서 사용된 키워드를 추출하여 감성 분석하고, 분류된 감성에 따라 설정된 색깔을 이용하여, 추출된 키워드의 사용 회수가 많을수록 추출된 키워드를 크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823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 동안 등록된 전체 댓글의 개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가장 많이 사용된 키워드가 포함된 댓글을 감성 분석 통계와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의 사용자는 소셜 미디어 상의 관심 뮤지션의 계정에 등록된 게시글에 대한 댓글의 수 및 키워드를 통해, 관심 뮤지션에 대한 대중의 인기 및 평가를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9는 해시태그를 모니터링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의 소셜 미디어로부터 관심 뮤지션의 이름 및 관심 뮤지션의 음원의 제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시태그의 인용 회수 데이터를 수집하여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잇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로부터 획득한 인용 회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소셜 미디어 별 해시태그의 인용 회수의 변화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910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소셜 미디어 별 해시태그의 최초 인용 회수, 최종 인용 회수, 최저 인용 회수 및 최고 인용 회수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9의 920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소셜 미디어 별 해시태그의 인용 회수 변화를 디스플레이 하고, 설정된 기간과 독립적으로 소셜 미디어 별 해시태그의 현재 인용 회수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용 회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기간(911) 및 시간 단위(921)는 다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기간 및 시간 단위와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도 8에서 전술한 댓글의 감성 분석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해시태그에 대해 감성 분석을 수행하여 해시태그의 감성 분석 통계를 생성하고,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해시태그의 감성 분석 통계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931를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 동안 인용된 뮤지션과 관련된 복수의 해시태그 중, 긍정적인 해시태그, 부정적인 해시태그, 및 중립적인 해시태그의 비율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932를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분류된 감성에 따라 설정된 색깔을 이용하여, 해시태그의 사용 회수가 많을수록 해시태그를 크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933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 동안 인용된 해시태그 중 가장 많이 인용된 해시태그가 포함된 댓글을 감성 분석의 시각화된 통계와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0는 게시글 수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의 온라인 팬 커뮤니티로부터 게시글 데이터를 수집하여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잇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로부터 게시글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의 팬 커뮤니티 별 게시글 수의 변화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팬 커뮤니티란, 사용자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 커뮤니티는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커뮤니티 플랫폼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AAA' 뮤지션의 네이버 공식 팬 카페, 다음 공식 팬 카페, 디시인사이드 갤러리에 등록된 게시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1012를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팬 커뮤니티 별 최초 게시글 수, 최종 게시글 수, 최저 게시글 수 및 최고 게시글 수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0의 1020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팬 커뮤니티 별 게시글 수 변화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0의 1030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과 독립적으로 팬 커뮤니티 별 현재 게시글 수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팔로워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기간(1011) 및 시간 단위(1021, 1031)는 다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기간 및 시간 단위와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로부터 뮤지션의 이름 및 뮤지션의 음원의 제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포털 사이트에 등록된 인터넷 기사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13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 동안 뮤지션의 이름 및 뮤지션의 음원의 제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네이버 뉴스와 같은 포탈 사이트에 등록된 뮤지션에 관한 인터넷 기사의 양을 수집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복수의 포털 사이트로부터 뮤지션의 이름 및 뮤지션의 음원의 제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터넷 기사를 수집 하여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1013을 참조하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설정된 기간 동안 포털 사이트 별 인터넷 기사의 양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도 8에서 전술한 댓글의 감성 분석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터넷 기사 또는 팬 커뮤니티의 게시글에 대해 감성 분석을 수행하여 감성 분석 통계를 생성하고,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방법 및 뮤지션 컨텐츠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S2400 단계에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에게 알림 조건을 전송할 수 있다. 알림 조건은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알림 조건은 도 1 내지 10을 통해 전술한, 음원 차트 데이터, 팔로워 데이터, 라이크 데이터, 검색 순위 데이터, 댓글 데이터, 해시태그 데이터, 게시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조건은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에서 수집된 음원 차트 순위가 임계값 이상 또는 이하가 될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알림 조건은 소셜 미디어의 관심 뮤지션의 계정에 부정적인 댓글이 등록될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알림 조건은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상의 음원의 라이크 수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알려줄 것을 포함할 수 있다.
S2500 단계에서,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수집된 데이터가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수신 받은 알림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진동 또는 소리와 함께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의 사용자는 알림 조건을 이용하여 목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알림 메시지를 통해 목표의 달성 여부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의 사용자는 알림 조건을 이용하여 위기 상황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S2600 단계에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알림 메시지에 응답하여,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에게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리스크 관리, PR 전략과 같은 전문적인 매니지먼트 서비스 뿐만 아니라, 차량 지원 서비스 및 스튜디오 대여 서비스와 같은 대여 서비스, 및 온라인 채팅을 통한 상담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서비스 견적서, 선택 사항, 소요 시간, 정산 내역 등과 같은 서비스 제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의 사용자는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의 관리자에게 서비스를 요청하여, 즉각적으로 매니지먼트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행사, 광고, 프로듀싱, 가창, 음악 제작, 공연 등과 같은 신규 사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복수의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신규 사업 정보를 전송하고, 복수의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신규 사업에 대한 입찰가를 수신하고, 최고 입찰가를 전송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를 낙찰자로 결정할 수 있다.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의 사용자는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와의 실시간 비딩을 통해, 기획사의 지원 없이도 효율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한편,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가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거나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신규 사업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사용자에게 본인 인증 절차를 요구할 수 있다.
도 12는 알림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2의 1210를 참조하면, 알림 조건이 관심 뮤지션의 음원 'XXX'의 통합 차트가 6위 이상인 경우,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알림 조건이 충족되는 즉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2의 1220를 참조하면, 알림 조건이 관심 뮤지션의 음원 'XXX'의 멜론 차트를 일단위로 알려줄 것인 경우,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24시간 단위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2의 1230를 참조하면, 알림 조건이 관심 뮤지션 'AAA'의 인스타그램 팔로워 수를 주단위로 알려줄 것인 경우,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매주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2의 1240를 참조하면, 알림 조건이 관심 뮤지션의 음원 'XXX'의 예상 매출을 월단위로 알려줄 것인 경우,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매월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의 사용자는 1210 내지 1240와 같은 긍정적인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뒤,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PR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2의 1250를 참조하면, 알림 조건이 관심 뮤지션 'AAA'와 관련된 기사에 '표절'이 언급되는 것인 경우,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AAA'와 '표절'이 함께 포함된 인터넷 기사가 검색되는 즉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2의 1260를 참조하면, 알림 조건은 관심 뮤지션 'AAA'의 페이스북 게시글에 부정적인 댓글이 1,000건 이상인 경우가 될 수 있다.
또한,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의 사용자는 1250 내지 1260과 같은 부정적인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뒤,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리스크 관리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14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제어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 및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13 및 도 14에 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 및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 및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 210)는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 210)는, 이동 통신부 및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컨텐츠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는, Wi-Fi, WFD(Wi-Fi Direct), 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에는 디스플레이부(140)와 결합된 터치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마우스(mouse),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30, 220)는, 통상적으로 장치(100, 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 220)는, 장치(100, 200)의 저장부(150, 2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110, 210) 및 디스플레이부(14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 프로세서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30, 22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0)는, 가상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4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40)는 입력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 2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 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고 실행할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기록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 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고,) 광학적 판독 매체, 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복수의 기록 매체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분산된 기록 매체들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프로그램 명령어 및 코드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관심 뮤지션 및 상기 관심 뮤지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기간을 설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간 동안, 복수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로부터 수집된 상기 관심 뮤지션의 음원에 대한 음원 차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기간 동안, 복수의 소셜 미디어로부터 수집된 상기 관심 뮤지션의 계정에 대한 팔로워(follower)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음원 차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간 동안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별 상기 음원에 대한 음원 차트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팔로워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간 동안의 소셜 미디어 별 상기 관심 뮤지션에 대한 팔로워 수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로부터 수집된 상기 음원의 라이크(like)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음원의 라이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간 동안의 상기 음원에 대한 예상 매출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에 대한 예상 매출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로부터 수집된 상기 음원의 재생 회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원에 대한 예상 매출은 상기 음원 차트 데이터, 상기 재생 회수 데이터 및 상기 팔로워 데이터에 더 기초하여 계산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에게, 상기 음원 차트 데이터 및 상기 팔로워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알림 조건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음원 차트 데이터 및 상기 팔로워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알림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게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로부터 수집된 상기 음원의 라이크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라이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간 동안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별 상기 음원에 대한 라이크 수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로부터 수집된 상기 관심 뮤지션의 이름 및 상기 음원의 제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어의 검색 순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순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간 동안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별 상기 검색어의 검색 순위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소셜 미디어로부터 수집된 상기 관심 뮤지션의 계정에 대한 댓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댓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간 동안의 상기 댓글의 감성 분석 통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소셜 미디어로부터 수집된 상기 관심 뮤지션의 이름 및 상기 음원의 제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시태그의 인용 회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용 회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간 동안의 소셜 미디어 별 상기 해시태그의 인용 회수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관심 뮤지션 및 상기 관심 뮤지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기간을 설정하는 입력을 수신 받는 입력부;
    상기 기간 동안, 복수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로부터 수집된 상기 관심 뮤지션의 음원에 대한 음원 차트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기간 동안, 복수의 소셜 미디어로부터 수집된 상기 관심 뮤지션의 계정에 대한 팔로워(follower)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음원 차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간 동안의 음원 서비스 웹사이트 별 상기 음원에 대한 음원 차트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팔로워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간 동안의 소셜 미디어 별 상기 관심 뮤지션에 대한 팔로워 수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장치.
  10.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42247A 2017-04-11 2018-04-11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801148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458 2017-04-11
KR20170046458 2017-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856A true KR20180114856A (ko) 2018-10-19

Family

ID=64101926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241A KR20180114854A (ko) 2017-04-11 2018-04-11 리메이크 하기 위한 음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180042247A KR20180114856A (ko) 2017-04-11 2018-04-11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0180042245A KR20180114855A (ko) 2017-04-11 2018-04-11 음원에 적합한 뮤지션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180042248A KR20180114857A (ko) 2017-04-11 2018-04-11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241A KR20180114854A (ko) 2017-04-11 2018-04-11 리메이크 하기 위한 음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245A KR20180114855A (ko) 2017-04-11 2018-04-11 음원에 적합한 뮤지션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180042248A KR20180114857A (ko) 2017-04-11 2018-04-11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18011485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042A (ko) * 2019-11-29 2021-06-08 김하미 인공지능을 이용한 음원 수익 정산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42705A (ko) * 2021-04-15 2022-10-2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초고속 분석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시간 댓글 판단 방법
WO2023090565A1 (ko) * 2021-11-22 2023-05-25 주식회사 미니레코드 플랫폼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75341A (ko) * 2021-11-22 2023-05-31 주식회사 미니레코드 플랫폼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74027B1 (ko) * 2022-06-14 2023-09-04 주식회사 위버스컴퍼니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614220B1 (ko) * 2022-12-13 2023-12-20 초록소프트 주식회사 음원 이용량 예측 모델 생성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410B1 (ko) * 2019-04-10 2021-09-30 네이버 주식회사 리메이크곡 검색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042A (ko) * 2019-11-29 2021-06-08 김하미 인공지능을 이용한 음원 수익 정산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42705A (ko) * 2021-04-15 2022-10-2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초고속 분석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시간 댓글 판단 방법
WO2023090565A1 (ko) * 2021-11-22 2023-05-25 주식회사 미니레코드 플랫폼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75341A (ko) * 2021-11-22 2023-05-31 주식회사 미니레코드 플랫폼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74027B1 (ko) * 2022-06-14 2023-09-04 주식회사 위버스컴퍼니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614220B1 (ko) * 2022-12-13 2023-12-20 초록소프트 주식회사 음원 이용량 예측 모델 생성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854A (ko) 2018-10-19
KR20180114857A (ko) 2018-10-19
KR20180114855A (ko) 2018-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4856A (ko)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TWI570645B (zh) 利用基於同屬群組之使用者分析平台與行銷平台的廣告方法及裝置
US8849721B2 (en) Structured objects and actions on a social networking system
US8793593B2 (en) Integrating structured objects and actions generated on external systems into a social networking system
US20130317808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analyzing and responding to user generated content
US20130073280A1 (en) Dynamic sentence formation from structured objects and actions in a social networking system
US20130073568A1 (en) Ranking structured objects and actions on a social networking system
US20130226709A1 (en) Methods and systems to present network notifications in conjunction with display advertisements
CN104813305A (zh) 在线视频内容的可跟踪共享
WO2015036817A1 (en) Structured updated status, requests, user data & programming based presenting & accessing of connections
US10097552B2 (en) Network of trusted users
KR20150118587A (ko) 입찰로부터의 예상 수익에 기반한 실시간 입찰의 개시
US20140229289A1 (en) Enhanced shared screen experiences for concurrent users
US10489389B2 (en) Experience analytic objects, systems and methods
CN104508700A (zh) 确定内容项的呈现和用户在销售点终端的交易间的相关性
US103605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 response advertising
US93362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on and automatic analysis of opinions on various types of media
JP2016058798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116574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everaging social queuing to simulate ticket purchaser behavior
JP7344234B2 (ja) 匿名のオンラインユーザ行動を使用した発呼者介入のない自動コールルーティ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Feroz et al. Digital Analytics for Marketing
US20190065607A1 (en) Automated application analytics
TWM551710U (zh) 用戶資料蒐集系統
Schmitz Developing a business model for a podcast streaming service: case study analysis of online streaming businesses and identification of success factors
Cioffi DATA-DRIVEN MARKETING: Strategies, metrics and infrastructures to optimize the marketing perform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