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027B1 -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027B1
KR102574027B1 KR1020220072094A KR20220072094A KR102574027B1 KR 102574027 B1 KR102574027 B1 KR 102574027B1 KR 1020220072094 A KR1020220072094 A KR 1020220072094A KR 20220072094 A KR20220072094 A KR 20220072094A KR 102574027 B1 KR102574027 B1 KR 102574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bum
platform
optional platform
optional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일
방승현
백민혁
손주원
장유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버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버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버스컴퍼니
Priority to KR1020220072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027B1/ko
Priority to PCT/KR2023/007885 priority patent/WO2023243937A1/ko
Priority to KR1020230113448A priority patent/KR20230171904A/ko
Priority to KR1020230113446A priority patent/KR20230171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xic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은,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이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옵션형 플랫폼 앨범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구매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포함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포함 구성요소에 따른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포함 구성요소에 따른 배송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행된 배송 프로세스를 기초로 획득되는 배송코드 및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고유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판매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OPTIONAL PLATFORM ALBUM-BASED SERVICE PROVISION}
본 발명은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택적으로 구매옵션을 설정하여 구입 가능한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음반이나 영화 등과 같은 콘텐츠의 거래는 CD, 테이프 등의 저장매체에 해당 콘텐츠를 구현한 파일이 저장되어, 상기 저장매체를 오프라인 상에서 거래하는 방식이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문화 콘텐츠는, 구매자의 만족도를 높이거나 그 판매량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해당 콘텐츠를 담은 CD나 테이프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부가적인 구성(예컨대, 해당 문화 콘텐츠 구매시 활성화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 앨범 자켓, 화보 및/또는 소정의 특전 등)을 함께 포함하여 제공되고 있다.
현재는, 무선 통신과 그 장비들의 급속한 발달에 힘입어 이러한 문화 콘텐츠를 제공하는 매매의 장이 대부분 온라인 통신망으로 옮겨진 실정이다.
다만, 종래의 온/오프라인 기반 문화 콘텐츠 구매 방식에서는, 위와 같이 메인 콘텐츠와 그 부가적인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는 풀 패키징(full-packaging) 상태의 기성품(예컨대, 소정의 아티스트 앨범 등)을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구매자가 필요로 하지 않는 구성(예컨대, CD나 테이프 등)을 불가피하게 구매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구매자는 불필요한 지출까지 감당하며 해당 기성품을 구입해야 한다는 부담을 지게 된다.
상황에 따라서, 구매자가 해당 기성품 내 특정 구성(예컨대, 앨범 자켓, 화보나 소정의 특전 등)을 다중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도 구매자는 이미 제조되어 있는 풀 패키징 상태의 기성품 완전체를 구매해야 하여 불필요한 구성에 대한 중복 구매가 발생한다는 곤란함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판매되어 오던 문화 콘텐츠의 각종 정보가 디지털화되어 가는 요즘 상황에 발맞추어 오프라인 콘텐츠 구매보다는 mp3 파일이나 인터넷 스트리밍과 같은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구매 형태로 바뀌어 가고 있다.
또한, 음악을 듣기 위한 장치도 기존의 CD 플레이어 등과 같은 아날로그 재생장치에서 벗어나, 디지털 음원을 대표하는 mp3파일을 바탕으로 mp3 플레이어, PMP 및/또는 휴대전화 등 각종 기기들이 지원을 함에 따라 문화 콘텐츠를 구입하는 양상이 온라인 기반으로 빠르게 이동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온라인을 통해 콘텐츠를 구입하는 경우, 대게 해당 콘텐츠에 대한 판매량에 집계에 용이하게 반영되지 못하여 예컨대, 특정 음원차트(예를 들면, 가온차트 등)에서 콘텐츠별 순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기반 데이터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서 어떠한 문화 콘텐츠에 대한 판매량이 실질적으로는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차트 집계나 순위를 매기는데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여 정확한 랭킹차트를 제공하지 못함과 동시에 그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다른 한편, 온라인 시장 내에서도 문화 콘텐츠 판매를 위한 시장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이러한 양상 속에서 구매자들의 관심과 흥미를 더욱 유발하고 콘텐츠 구매 욕구를 보다 향상시켜 더 큰 경제적 이익 창출을 유도함과 동시에 해당 시장 경제에서의 우위를 차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콘텐츠 제공 패러다임의 필요성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KR 2013-0127733 A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구매옵션을 설정하여 구입 가능한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기반의 플랫폼 앨범을 구입할 시 구매자의 니즈(needs)에 따라서 설정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맞춤형 플랫폼 앨범을 제공하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이 구입된 옵선형 플랫폼 앨범의 고유번호 및 배송코드(송장번호)를 기초로 해당 앨범에 대한 판매량 집계를 지원하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입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과 관련된 구매인증 코드 및/또는 랜덤 포토카드를 제공하고 이에 기초한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은,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이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옵션형 플랫폼 앨범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구매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포함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포함 구성요소에 따른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포함 구성요소에 따른 배송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행된 배송 프로세스를 기초로 획득되는 배송코드 및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고유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판매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포함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설정된 구매옵션을 기초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이 포함할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성요소는, 소정의 CD, 디지털 콘텐츠, 앨범 자켓, 화보, 포토카드 및 특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포함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오프라인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맞춤형 오프라인 구성과, 온라인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맞춤형 온라인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포함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 및 포토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포함 구성요소로 결정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 및 포토카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구매인증 코드를 상기 포함 구성요소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매인증 코드는, 오프라인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오프라인 인증코드 및 온라인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온라인 인증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포함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포토카드를 상기 포함 구성요소로 결정하면,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매칭된 복수의 포토카드 중 랜덤 선택된 포토카드를 상기 포함 구성요소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토카드는, 소정의 이미지, 상기 포토카드를 특정하는 카드 식별코드 및 상기 포토카드를 기초로 활성화되는 포토카드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지털 콘텐츠 제공코드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정된 포함 구성요소에 따른 결제를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포함 구성요소별 기 설정된 가격을 기초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구매비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정된 포함 구성요소에 따른 배송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맞춤형 오프라인 구성을 오프라인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배송하는 단계와, 상기 맞춤형 온라인 구성을 온라인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배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판매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 인증정보를 소정의 앨범 순위차트 결정을 위한 앨범 판매량 집계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은, 기 수행된 결제 프로세스를 기초로 구매완료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 내 포함 구성요소별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완료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 내 포함 구성요소가 상기 디지털 콘텐츠 및 포토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 및 포토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인증코드 및 온라인 인증코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구매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완료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 내 포함 구성요소가 상기 포토카드를 포함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된 랜덤 포토카드를 상기 사용자 계정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소유자 인증 기능, 상기 사용자 계정에 매칭 및 저장된 랜덤 포토카드를 관리하는 컬렉팅 기능 및 상기 사용자가 보유하는 복수의 랜덤 포토카드 중 적어도 일부를 조합하는 업그레이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업그레이드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조합에 사용된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별 포토카드 콘텐츠를 하나의 콘텐츠로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을 독출하여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어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구매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포함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포함 구성요소에 따른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포함 구성요소에 따른 배송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행된 배송 프로세스를 기초로 획득되는 배송코드 및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고유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판매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어는, 상기 판매 인증정보를 소정의 앨범 순위차트 결정을 위한 앨범 판매량 집계에 반영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어는, 상기 수행된 결제 프로세스를 기초로 구매완료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 내 포함 구성요소별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구매옵션을 설정하여 구입 가능한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풀 패키징 상태로만 플랫폼 앨범을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구성에 대한 불필요한 결제 및 구매가 유발되는 등의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낭비되는 자원이나 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은, 온라인 기반의 플랫폼 앨범을 구입할 시 구매자의 니즈(needs)에 따라서 직접 선택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맞춤형 플랫폼 앨범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선택한 구성요소에 따라서 앨범 구매비용을 유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불필요한 소비에 따른 과도한 지출을 예방함과 동시에 보다 합리적으로 산정된 앨범 구매비용에 기초한 구매 절차가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은, 위와 같이 구입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고유번호 및 배송코드(송장번호)를 기초로 해당 앨범에 대한 판매량 집계를 지원함으로써, 보다 큰 영역에 걸쳐 수집된 공식적이고 객관적인 판매 데이터들을 토대로 특정 차트 내 앨범순위 집계가 더욱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은, 상기 구입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고유번호 및 배송코드(송장번호)를 기초로 특정 차트 내 앨범순위 산정을 위한 앨범 판매량 집계에 상기 구입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한 판매가 용이하게 반영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적어도 일 구성요소에 대한 구매만으로도 이를 해당 앨범 판매량 집계에 원활히 적용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소정의 앨범 순위차트 결정을 위한 앨범 판매량 파라미터 값의 산출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은, 상기 구입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과 관련된 구매인증 코드 및/또는 랜덤 포토카드를 제공하고 이에 기초한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한 구매자의 관심과 흥미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그 구매 욕구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 구매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카드 컬렉팅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카드 업그레이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포토카드 콘텐츠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 이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구매옵션을 설정하여 구입 가능한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의 서비스(이하,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를 구현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단말(100),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 및 네트워크(300: Network)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100) 및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는, 상기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네트워크(300)는, 상기 단말(100) 및/또는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 등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300)의 일례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을 구현하는 단말(100) 및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 단말(100: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이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소정의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자세히, 하드웨어적 관점에서 단말(100)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100-1) 및/또는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100-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100-1)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100-1)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디지털방송용 디바이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tablet 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100-2)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고정형 데스크탑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울트라북(ultrabook)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이 유/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100)은,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소정의 서버(Server) 컴퓨팅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의 내부 블록도이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기능적 관점에서 단말(100)은, 메모리(110), 프로세서 어셈블리(120), 통신 모듈(130), 인터페이스 모듈(140), 입력 시스템(150), 센서 시스템(160)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단말(100)의 하우징 내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세히, 메모리(110)에는, 애플리케이션(111)이 저장되며, 애플리케이션(111)은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즉, 메모리(110)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 환경을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명령 및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10)는,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100)을 부팅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기능요소들 사이에 연계될 수 있으며, 데이터 영역은, 단말(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와,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0)는, RO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메모리(11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 환경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11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111)의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메모리(110)의 애플리케이션(111)을 통해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또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이 포함된 단말(100)에 적합한 시스템 온 칩(SOC)일 수 있으며, 메모리(110)에 저장된 운영체제(OS) 및/또는 응용 프로그램 등을 실행할 수 있고, 단말(100)에 탑재된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각 구성요소와 내부적으로 시스템 버스(System Bus)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로컬 버스(Local Bus)를 비롯한 소정의 버스 구조들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모듈(130)은, 외부의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130)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자세히, 통신 모듈(130)은,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콘텐츠 소스를 저장한 단말(100)과 통신할 수 있으며, 유저 입력을 받는 컨트롤러와 같은 다양한 유저 입력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130)은,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타 단말(100) 및/또는 외부의 서버 등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130)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5G NR(New Radio), WIFI) 또는 근거리 통신방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장치를 통해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100),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 시스템(160)은, 이미지 센서(161), 위치 센서(IMU, 163), 오디오 센서(165), 거리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161)는, 단말(100) 주위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161)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이미지 및/또는 영상 등을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로, 이미지 센서(161)는, 소정의 포토카드 및/또는 각종 식별코드 등에 대한 촬영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161)는, 단말(100)의 전면 또는/및 후면에 배치되어 배치된 방향측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단말(100)의 외부를 향해 배치된 카메라를 통해 물리적 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161)는, 이미지 센서장치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이미지 센서(161)는, 이미지 센서장치(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161)는, 영상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장치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16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일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는, 가시광선 대역을 촬영하는 일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외선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등의 특수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이미지 센서(161)는,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100)에 포함되어 동작할 수도 있고, 외부의 장치(예컨대, 외부의 서버 등)에 포함되어 상술된 통신 모듈(130) 및/또는 인터페이스 모듈(140)에 기초한 연동을 통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위치 센서(IMU, 163)는, 단말(100)의 움직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자력계와 같은 다양한 위치 센서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위치 센서(IMU, 163)는, 통신 모듈(130)의 GPS와 같은 위치 통신 모듈(130)과 연동하여, 단말(100) 주변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공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오디오 센서(165)는, 단말(100) 주변의 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
자세히, 오디오 센서(165)는, 단말(100)을 사용하는 유저의 음성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오디오 센서(165)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음성 데이터를 유저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단말(100)을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자세히,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과 호환되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모듈(140)을 통해 단말(100)은, 여러 입출력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헤드셋 포트나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장치와 연결되어,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오디오 출력장치가 인터페이스 모듈(140)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단말(100) 내부에 설치되는 실시예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와 연결되어, 유저 입력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전력 증폭기, RF 회로, 송수신기 및 기타 통신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시스템(150)은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와 관련된 유저의 입력(예를 들어, 제스처, 음성 명령, 버튼의 작동 또는 다른 유형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입력 시스템(150)은 소정의 버튼, 터치 센서 및/또는 유저 모션 입력을 수신하는 이미지 센서(16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시스템(150)은, 인터페이스 모듈(140)을 통해 외부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유저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은,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은,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를 위한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실시예로, 옵션형 플랫폼 앨범 구매 인터페이스, 구매 인증 인터페이스, 포토카드 컬렉팅 인터페이스 및/또는 카드 반납 인터페이스 등)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00)의 하우징 내에는 상기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유저 터치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171) 상에 터치 센서(17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은,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71)와, 유저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17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171)는 터치 센서(173)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단말(100)과 유저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저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100)과 유저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100)은, 후술되는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에서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 Service platform serv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는, 단말(100)과 같은 외부의 장치에서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 프로세스가 구동되게 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의 장치와 교환함으로써,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는, 외부의 장치(실시예에서,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100-1) 및/또는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100-2) 등)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이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는, 애플리케이션(111)이 동작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한 각종 데이터를 상기 외부의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는, 소정의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한 구매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실시예에서, 옵션형 플랫폼 앨범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는, 상기 제공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 구매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사용자(즉, 구매자) 입력을 토대로 구매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매옵션은, 소정의 CD, 디지털 콘텐츠(실시예로, 디지털 음원 및/또는 동영상 등), 앨범 자켓, 화보, 포토카드 및/또는 특전(예컨대, 오프라인 팬미팅이나 콘서트 티켓 구매권 또는 해당 앨범과 관련된 NFT 등) 등에 대한 포함여부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는, 상기 설정된 구매옵션에 따른 맞춤형 배송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맞춤형 배송구성은, 위와 같이 설정된 구매옵션에 따라서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포함되도록 결정된 소정의 구성요소(실시예에서, CD, 디지털 콘텐츠, 앨범 자켓, 화보, 포토카드 및/또는 특전 등)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는, 상기 결정된 맞춤형 배송구성에 따른 결제 및 배송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는, 위와 같이 구매(결제)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기반한 판매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판매인증 정보는,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한 일련의 판매 절차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인증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는, 상기 구매(결제)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 내 구성요소(실시예에서, CD, 디지털 콘텐츠, 앨범 자켓, 화보, 포토카드 및/또는 특전 등)별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로,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션형 플랫폼 앨범, 앨범 구성요소, 구매옵션, 맞춤형 배송구성, 구매인증 코드, 디지털 콘텐츠 제공코드, 구매비용, 배송코드(송장번호), 앨범 고유번호, 판매인증 정보, 포토카드 이미지, 사용자(즉, 구매자)별 보유 포토카드 정보, 통합 콘텐츠 및/또는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동작은 상술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능 동작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을 더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는,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모듈(210: Processor Module)과, 외부의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모듈(220: Communication Module)과,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모듈(230: Memory Module)을 포함하는 소정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 모듈(230)은,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운영체제(OS),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모듈(230)은,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서버를 부팅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기능요소들 사이에 연계될 수 있으며, 데이터 영역은, 서버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메모리 모듈(230)은,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 모듈(2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 모듈(230)은, 서버 상에 탈착 가능한 형태의 기록매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 모듈(210)은,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전술한 각 유닛(unit)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 모듈(210)은, 중앙처리장치(CPU) 및/또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이 포함된 서버에 적합한 시스템 온 칩(SOC)일 수 있으며, 메모리 모듈(230)에 저장된 운영체제(OS) 및/또는 응용 프로그램 등을 실행할 수 있고, 서버에 탑재된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210)은, 각 구성요소와 내부적으로 시스템 버스(System Bus)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로컬 버스(Local Bus)를 비롯한 소정의 버스 구조들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210)은,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가 상술된 바와 같은 기능 동작을 수행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에서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의 장치(예컨대, 단말(100) 등)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외부의 장치에서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에서 더 수행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111)이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1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111)을 실행하거나 백그라운드 상태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애플리케이션(111)의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동작하여 상술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상기 애플리케이션(111)이 수행하는 것으로 단축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거나 백그라운드 상태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111)은, 옵션형 플랫폼 앨범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S101)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 구매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랫폼 앨범은, 온라인 상에서 판매되는 소정의 대상(예컨대, 특정 아티스트 등)에 대해 발매된 온/오프라인 앨범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이란, 상기 플랫폼 앨범의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설정 즉, 상기 플랫폼 앨범에 대한 구매옵션(PO)을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구입 가능한 형태의 플랫폼 앨범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플랫폼 앨범의 구매옵션(PO)은, 소정의 CD, 디지털 콘텐츠(실시예로, 디지털 음원 및/또는 동영상 등), 앨범 자켓, 화보, 포토카드 및/또는 특전(예컨대, 오프라인 팬미팅이나 콘서트 티켓 구매권 또는 해당 앨범과 관련된 NFT 등) 등에 대한 포함여부일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위와 같은 구매옵션(PO)을 설정하여 플랫폼 앨범을 구입할 수 있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구매 인터페이스(PI)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 구매 인터페이스(PI)는, 선택적으로 각 구성요소별 포함여부(즉, 구매옵션(PO))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품(실시예에서, 옵션형 플랫폼 앨범) 설명 인터페이스 및/또는 구매 프로세스 진행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제공된 구매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구매옵션(PO)을 설정할 수 있다. (S103)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제공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 구매 인터페이스(PI)에 기초한 사용자(즉, 구매자) 입력을 기초로, 해당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플랫폼 앨범에 대한 구매옵션(PO)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111)은, 제1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하여 'CD: 미포함, 디지털 콘텐츠: 포함, 앨범 자켓: 포함, 화보: 포함, 포토카드: 포함 및 특전: 미포함'과 같이 상기 제1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포함하고자 하는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상기 제1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한 구매옵션(PO)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111)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구성요소를 직접 선택하여 옵션형 플랫폼 앨범을 구성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풀 패키징 상태로만 플랫폼 앨범을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구성에 대한 불필요한 결제 및 구매가 유발되는 등의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낭비되는 자원이나 그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설정된 구매옵션(PO)에 따른 맞춤형 배송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S105)
자세히,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맞춤형 배송구성이란, 상기 설정된 구매옵션(PO)에 따라서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포함되도록 결정된 소정의 구성요소(실시예에서, CD, 디지털 콘텐츠(실시예로, 디지털 음원 및/또는 동영상 등), 앨범 자켓, 화보, 포토카드 및/또는 특전 등)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맞춤형 배송구성은, 오프라인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맞춤형 오프라인 구성과, 온라인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맞춤형 온라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구매옵션(PO) 설정에 따라서 해당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포함되도록 결정된 구성요소(이하, 포함 구성요소)를 기초로 상기 맞춤형 배송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111)은, 제1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한 구매옵션(PO)이 'CD: 미포함, 디지털 콘텐츠: 포함, 앨범 자켓: 포함, 화보: 포함, 포토카드: 포함 및 특전: 미포함'과 같이 설정된 경우, 상기 앨범 자켓, 상기 화보 및 상기 포토카드를 상기 맞춤형 오프라인 구성으로 결정하고,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맞춤형 온라인 구성으로 결정하여, 상기 제1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한 맞춤형 배송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구매옵션(PO)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 및/또는 포토카드가 포함 구성요소로 설정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 및/또는 포토카드에 대한 구매인증 코드를 해당 맞춤형 배송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매인증 코드란, 해당하는 디지털 콘텐츠 및/또는 포토카드에 대한 구매를 인증하는 소정의 식별코드(예컨대, QR코드, 시리얼 넘버 및/또는 인증번호 등)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매인증 코드는, 오프라인올 통해 제공되는 구매인증 코드인 오프라인 인증코드(예컨대, 구매인증 코드가 표시된 인쇄물 등) 및/또는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구매인증 코드인 온라인 인증코드(예컨대, 구매인증 코드를 표시하는 디지털 이미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구매옵션(PO)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 및/또는 포토카드가 포함 구성요소로 설정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 및/또는 포토카드에 대한 오프라인 인증코드를 상기 맞춤형 오프라인 구성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오프라인 인증코드는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구매인증 코드가 표시된 인쇄물일 수 있고, 상기 포토카드에 대한 오프라인 인증코드는 해당 포토카드 상에 표시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구매옵션(PO)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 및/또는 포토카드가 포함 구성요소로 설정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 및/또는 포토카드에 대한 온라인 인증코드를 상기 맞춤형 온라인 구성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 및/또는 포토카드에 대한 온라인 인증코드는 해당 디지털 콘텐츠 및/또는 포토카드에 대한 구매인증 코드를 표시하는 디지털 이미지 등일 수 있다.
그리하여 애플리케이션(111)은, 추후 옵션형 플랫폼 앨범을 기초로 소정의 디지털 콘텐츠 및/또는 포토카드를 구매했을 시 상기 디지털 콘텐츠 및/또는 포토카드에 대한 구매인증을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온라인 상에서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후,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 및/또는 포토카드에 대한 오프라인 인증코드 및/또는 온라인 인증코드에 기반한 구매 인증이 완료되면, 해당 디지털 콘텐츠 및/또는 포토카드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를 가용한 상태로 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구매옵션(PO)에 따라서 상기 포토카드(Photo card)가 포함 구성요소로 설정되면, 해당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하여 기 생성되어 있는 복수의 포토카드 중에서, 소정의 방식에 따라 랜덤하게 선택된 포토카드(이하, 랜덤 포토카드)를 해당 맞춤형 배송구성의 맞춤형 오프라인 구성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토카드란, 해당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대상(예컨대, 특정 아티스트 등)과 연관된 소정의 이미지, 해당 포토카드를 특정하는 식별정보(예컨대, 카드 고유번호 등)를 제공하는 카드 식별코드 및/또는 디지털 콘텐츠 제공코드 등을 포함하는 실물 카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코드는, 이미지 센서(161)를 통해 센싱되어 해당 포토카드를 통해 특유하게 구현되는 소정의 디지털 콘텐츠(이하, 포토카드 콘텐츠)를 제공하는 소정의 식별코드(예컨대, QR코드 또는 바코드 등)일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111)은, 각기 고유한 이미지나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포토카드를 랜덤하게 선택해 발송함에 따라서 이에 대한 수집 욕구를 유도하는 등의 방식으로 사용자(즉, 구매자)의 구매율을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결정된 맞춤형 배송구성에 따른 결제 및 배송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S107)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위와 같이 결정된 맞춤형 배송구성을 기초로 해당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와 배송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제 프로세스는, 소정의 상품(실시예에서, 맞춤형 배송구성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한 온라인 결제를 지원하는 통상의 기능 동작들(실시예로, 결제수단 및/또는 배송지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특화된 기능 동작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송 프로세스는,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소정의 상품(실시예에서, 맞춤형 배송구성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을 사용자(즉, 구매자)에게 송달하기 위한 일련의 배송 과정을 지원하는 통상의 기능 동작들(실시예로, FTP 기반 데이터 송수신 및/또는 배송지에 매칭되는 소정의 배송서버(예컨대, 소정의 우체국 서버 등)와의 데이터 송수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특화된 기능 동작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실행된 결제 프로세스를 통하여 상기 맞춤형 배송구성을 기초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한 구매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각 구성요소(실시예에서, 소정의 CD, 디지털 콘텐츠, 앨범 자켓, 화보, 포토카드 및/또는 특전 등)별로 기 설정되어 있는 가격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구매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한 맞춤형 배송구성(즉, 포함 구성요소)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가격을 모두 취합한 합산값을 산출하여 해당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구매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111)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결정된 구매옵션(PO)에 따라서 해당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한 구매비용을 유동적으로 결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소비에 따른 과도한 지출을 예방함과 동시에 보다 합리적으로 산정된 앨범 구매비용에 따른 구매 절차가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계속해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한 온/오프라인 배송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맞춤형 배송구성의 맞춤형 온라인 구성에 따른 온라인 배송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맞춤형 온라인 구성(실시예에서, 구매인증 코드 등)을 디스플레이 출력하여 제공함에 따라서 상기 온라인 배송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하여 결정된 맞춤형 배송구성이 오프라인 상에서 사용자(즉, 구매자)에게 전달되기 이전이더라도 온라인을 통해 제공 가능한 맞춤형 배송구성(실시예에서, 구매인증 코드 등)은 미리 온라인을 통해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즉, 구매자)가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한 경우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구매 인증을 위한 구매인증 코드를 오프라인을 통해 수신하기 이전일지라도 온라인을 통해 미리 수신하여 더 빠르게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가용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소정의 배송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맞춤형 배송구성의 맞춤형 오프라인 구성에 따른 오프라인 배송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오프라인 배송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상술된 결제 프로세스 상에서 획득된 배송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맞춤형 오프라인 구성에 대한 오프라인 배송 절차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맞춤형 오프라인 구성이 '앨범 자켓, 화보 및 포토카드'를 포함하는 경우, 소정의 배송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앨범 자켓, 화보 및 포토카드'를 오프라인 상에서 사용자(즉, 구매자)에게 배송하는 오프라인 배송 절차를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맞춤형 오프라인 구성이 '오프라인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소정의 배송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오프라인 인증코드'를 오프라인 상에서 사용자(즉, 구매자)에게 배송하는 오프라인 배송 절차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연동된 배송서버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배송 절차가 수행됨에 따라 생성되는 배송코드(즉, 송장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송코드란, 오프라인 배송 프로세스 상에서 해당하는 상품(실시예에서, 상기 맞춤형 오프라인 구성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을 특정하기 위해 부여되는 소정의 식별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배송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즉, 구매자)에게 오프라인 배송되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매칭되는 소정의 식별정보인 배송코드(송장번호)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추후 위와 같이 획득된 배송코드를 활용하여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한 판매인증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구매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기반한 판매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109)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판매인증 정보란, 상술된 바와 같이 옵션형 플랫폼 앨범이 구매(결제)됨에 따라서 해당 앨범에 대한 일련의 판매 절차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인증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판매인증 정보는, 소정의 앨범 순위 집계서버(예컨대, 가온차트 서버 등)로 제공되어 해당 앨범 순위집계 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앨범 순위차트를 결정하기 위한 앨범 판매량 파라미터 값에 반영되는 기반 데이터일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구매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이하, 결제 앨범)에 대한 판매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소정의 옵션형 플랫폼 앨범별로 기 설정되어 있는 앨범 고유번호와, 오프라인 배송이 진행됨에 따라서 획득되는 배송코드(송장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 앨범에 대한 판매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결제 앨범에 대하여 기 매칭되어 있는 앨범 고유번호와, 상기 결제 앨범에 대한 오프라인 배송이 진행됨에 따라서 생성되는 배송코드(송장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결제 앨범의 앨범 고유번호를 메모리(110)로부터 독출 및/또는 외부 서버(예컨대,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와 연동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결제 앨범의 배송코드를 상술된 배송서버와 연동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위와 같이 획득된 앨범 고유번호 및 배송코드를 포함하여 상기 결제 앨범에 대한 판매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생성된 판매인증 정보를 소정의 앨범 순위 집계서버(예컨대, 가온차트 서버 등)로 제공(송신)할 수 있다.
그리하면 상기 판매인증 정보를 수신한 앨범 순위 집계서버는, 해당 앨범 순위 집계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앨범 순위차트를 결정하기 위한 앨범 판매량 파라미터 값에 상기 수신된 판매인증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앨범 순위차트 내 앨범별 랭킹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로, 상기 앨범 순위 집계서버는, 상기 판매인증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판매인증 정보 내 배송코드에 대한 유효성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앨범 순위 집계서버는, 소정의 배송서버(예컨대, 소정의 우체국 서버 등)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판매인증 정보 내 배송코드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로 상기 앨범 순위 집계서버는, 상기 유효성 판단을 통해 해당 배송코드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판매인증 정보 내 앨범 고유번호에 대응되는 앨범의 판매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앨범 순위 집계서버는, 상기 판매인증 정보를 반영해 상기 앨범 순위차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111)은, 옵션형 플랫폼 앨범별로 기 설정된 앨범 고유번호와 해당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오프라인 배송에 따른 배송코드(송장번호)를 기초로 해당 플랫폼 앨범에 대한 판매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소정의 앨범 순위 집계서버로 제공하여 앨범 판매량에 반영되도록 지원함으로써, 공식적이고 객관적인 데이터들을 토대로 해당 플랫폼 앨범에 대한 판매 인증정보들을 보다 큰 영역에 걸쳐서 수집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더 넓은 영역에 걸쳐 수집된 판매 인증정보들을 반영하여 소정의 앨범 순위차트 집계가 더욱 정확하고 신뢰성 높게 이뤄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더하여, 애플리케이션(111)은,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일부 구성요소만을 구매하더라도 이에 대한 배송 과정에서 생성되는 배송코드를 활용해 판매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적어도 일 구성요소에 대한 구매만으로도 이를 해당 앨범 판매량 집계에 원활히 적용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소정의 앨범 순위차트 결정을 위한 앨범 판매량 파라미터 값의 산출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구매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 내 구성요소별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S111)
즉,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결제 앨범 내 포함 구성요소에 따른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1) 상기 결제 앨범 내 포함 구성요소가 디지털 콘텐츠인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제공된 구매인증 코드에 기반한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구매인증 코드가 오프라인 인증코드(예컨대, 구매인증 코드가 표시된 인쇄물 등)이면, 이미지 센서(161)를 통해 상기 오프라인 인증코드를 센싱하여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구매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하여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구매 인증완료 시 해당 디지털 콘텐츠(예컨대, 디지털 음원 및/또는 동영상 등)를 스트리밍(다운)하여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구매인증 코드가 온라인 인증코드(예컨대, 구매인증 코드를 표시하는 디지털 이미지 등)이면, 상기 온라인 인증코드를 소정의 구매 인증 인터페이스(예컨대, 서비스 플랫폼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구매 인증 인터페이스 등)에 입력하여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구매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구매 인증완료 시 해당 디지털 콘텐츠(예컨대, 디지털 음원 및/또는 동영상 등)를 스트리밍(다운)하여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111)은, 온/오프라인 어떠한 방식으로도 상기 구매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구매 인증이 가능하도록 지원하여 그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오프라인으로 구매인증 코드를 배송받지 않더라도 온라인을 통한 구매 인증을 가능하게 하여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나 비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결제 앨범에 대한 환불(반품) 요청 시 상기 구매인증 코드를 기초로 상기 환불(반품) 요청에 대한 승인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결제 앨범에 대한 환불(반품) 요청이 획득되면, 상기 결제 앨범에 매칭되는 구매인증 코드에 대한 구매 인증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구매인증 코드가 구매 인증완료된 경우 즉, 사용 처리된 상태이면 상기 환불(반품) 요청을 불허할 수 있다.
반면,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구매인증 코드의 구매 인증이 미완료된 경우 즉, 미사용 상태이면 상기 환불(반품) 요청을 허가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오프라인으로 앨범이 배송되기 이전이더라도 온라인을 통하여 정당하게 사용 처리된 앨범에 대한 환불(반품) 처리를 방지하여 온라인 배송 프로세스를 이용함에 따른 부작용 및 악용 사례를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2) 상기 결제 앨범 내 포함 구성요소가 포토카드인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랜덤하게 선택되어 제공된 랜덤 포토카드에 기반한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랜덤 포토카드에 대하여 제공된 구매인증 코드를 기초로 상기 결제 앨범의 포토카드에 대한 구매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된 디지털 콘텐츠의 구매인증 코드에 기반한 구매 인증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을 준용하기로 한다.
즉,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온/오프라인 어떠한 방식으로도 상기 구매된 포토카드에 대한 구매 인증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고, 오프라인으로 구매인증 코드를 배송받지 않더라도 온라인을 통한 구매 인증을 가능하게 하여 해당 포토카드에 기반한 포토카드 콘텐츠를 사용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나 비용을 보다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제공된 랜덤 포토카드에 기반한 포토카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토카드 관리 서비스란, 사용자(즉, 구매자)에게 제공된 랜덤 포토카드를 해당 사용자 계정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소유자 인증 기능, 상기 사용자 계정에 매칭 및 저장된 랜덤 포토카드를 소정의 방식(예컨대, 앨범별 및/또는 전체 포토카드 리스트 등)으로 관리(확인/열람/활성화 등)하는 컬렉팅(collecting) 기능 및/또는 복수의 랜덤 포토카드를 조합(합성/강화)하는 업그레이드(upgrade)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1) 상기 랜덤 포토카드에 대한 소유자 인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이미지 센서(161)에 기반하여 상기 랜덤 포토카드를 촬영한 포토카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이미지 센서(161)를 기초로 상기 랜덤 포토카드 상에 표시된 카드 식별코드(예컨대, QR코드 또는 바코드 등)를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센싱된 카드 식별코드를 기초로 상기 랜덤 포토카드를 특정하는 식별정보(예컨대, 카드 고유번호 등)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위와 같이 획득된 포토카드 이미지 및 카드 식별코드를 상기 사용자 계정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하여 애플리케이션(111)은, 랜덤하게 선택되어 발송된 포토카드(즉, 랜덤 포토카드)별 실 소유자를 체크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한 각종 사용자 서비스에 필요할 수 있는 기반 데이터를 원활히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즉, 구매자) 또한 자신이 보유하는 랜덤 포토카드를 실물 포토카드뿐만 아니라 자체 계정과 연동하여 온라인 상에서도 용이하게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카드 컬렉팅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2) 상기 랜덤 포토카드에 기초한 컬렉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사용자(즉, 구매자) 계정에 따른 로그인이 승인되면, 상기 사용자 계정에 매칭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랜덤 포토카드를 소정의 방식에 따라서 관리(확인/열람/활성화 등)할 수 있는 포토카드 컬렉팅 인터페이스(C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제공된 포토카드 컬렉팅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 계정과 연동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랜덤 포토카드 이미지를 소정의 방식(예컨대, 앨범별 및/또는 전체 포토카드 리스트 등)으로 디스플레이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포토카드 컬렉팅 인터페이스(CI)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매칭 저장된 랜덤 포토카드별 포토카드 콘텐츠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포토카드 컬렉팅 인터페이스(CI)에 기초한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랜덤 포토카드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선택된 랜덤 포토카드 이미지 상에 표시된 카드 식별코드(CIC) 및/또는 디지털 콘텐츠 제공코드(DPC)를 인식하여 해당 랜덤 포토카드를 통해 특유하게 구현되는 디지털 콘텐츠(예컨대, 디지털 음원 및/또는 동영상 등)인 포토카드 콘텐츠를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111)은,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실시예에서, 포토카드 컬렉팅 인터페이스(CI))를 통해 사용자(즉, 구매자)가 구매한 모든 포토카드를 일괄적으로 확인 및 관리하고 이에 기반한 디지털 콘텐츠(실시예에서, 포토카드 콘텐츠)를 활성화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보유하는 포토카드에 대한 사용성과 활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카드 업그레이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3) 상기 랜덤 포토카드에 기반한 업그레이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 계정과 연동되어 저장된 복수의 랜덤 포토카드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조합(합성/강화)하는 업그레이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111)은, 기 설정된 아티스트, 아티스트 그룹 및/또는 조합조건(예컨대, 특정 콘서트 및/또는 앨범 관련 등) 등을 소정의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랜덤 포토카드를 조합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조합에 따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소정의 기준에 따른 조합에 대한 성공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는 복수의 랜덤 포토카드별 기 설정된 등급에 기초하여 난이도가 조정되는 소정의 퀴즈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퀴즈에 대한 정답 입력이 획득되면 상기 조합을 성공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등급은, 각 랜덤 포토카드별 희귀도를 나타내는 소정의 팩터로서, 실시예에서 이러한 등급은, 소정의 숫자, 알파벳 및/또는 별점 등의 형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로, 상기 등급은, 소정의 관리자가 그 희귀도를 기초로 등급을 결정하여 각 랜덤 포토카드마다 미리 지정해놓을 수 있으며, 이때 해당 랜덤 포토카드가 희귀할수록 그 등급은 높을 수 있다.
예컨대, 복수 종류의 A 아티스트의 랜덤 포토카드는 그 희귀도에 따라서 C등급/B등급/A등급/S등급/SS등급 등으로 구분된 등급이 기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등급은, 해당하는 랜덤 포토카드에 매칭된 NFT의 콘텐츠 양(Quantity) 및/또는 질(Quality)에 따라서 설정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등급은, 해당 랜덤 포토카드의 양 및/또는 질에 비례하여 높아지거나 낮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돌아와서, 보다 상세히 애플리케이션(111)은, 상술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복수의 랜덤 포토카드별 등급을 기초로 난이도가 결정되는 소정의 퀴즈를 출제 및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면 상기 퀴즈는, 해당 랜덤 포토카드에 매칭되는 대상(예컨대, 특정 아티스트(및/또는 아티스트 그룹 등))에 관련된 객관식 또는 주관식 문제 등일 수 있다.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111)은, 사용자가 조합(합성/강화)에 사용하는 상기 복수의 랜덤 포토카드별 등급 및/또는 상기 복수의 랜덤 포토카드에 기초한 업그레이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포토카드의 등급이 낮은 경우에는, 난이도가 낮은 퀴즈를 출제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사용자가 조합(합성/강화)에 사용하는 상기 복수의 랜덤 포토카드별 등급 및/또는 상기 복수의 랜덤 포토카드에 기초한 업그레이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포토카드의 등급이 높은 경우에는, 난이도가 높은 퀴즈를 출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복수의 랜덤 포토카드 및/또는 상기 획득 가능한 포토카드의 등급이 낮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조합 성공 확률(정답 확률)을 높일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랜덤 포토카드 및/또는 상기 획득 가능한 포토카드의 등급이 높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조합 성공 확률(정답 확률)을 낮출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111)은, 업그레이드에 사용하는 복수의 랜덤 포토카드별 등급에 따라서 차등적인 난이도의 퀴즈를 제공해 정답 확률(즉, 조합(합성/강화) 성공 확률)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업그레이드에 사용하는 복수의 랜덤 포토카드별 등급에 적합한 획득 확률로 후술되는 추가 포토카드 및/또는 상위 포토카드를 보상으로 제공하여 그 희소성과 가치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고, 더하여 조합(합성/강화) 프로세스에서의 사행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위와 같이 제공된 소정의 퀴즈에 대한 정답 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복수의 랜덤 포토카드에 따른 조합(합성/강화)을 성공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조합(합성/강화)이 성공하면, 소정의 특전(PK: 예컨대, 오프라인 팬미팅이나 콘서트 티켓 구매권 또는 해당 앨범과 관련된 NFT 등), 추가 포토카드 및/또는 상위 포토카드 등을 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추가 포토카드(AC)란, 상기 조합 성공에 따라서 해당 사용자(즉, 구매자)에게 추가적으로 새롭게 제공되는 랜덤 포토카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상기 추가 포토카드(AC)가 제공되는 방식은 전술된 바와 같이 구매된 포토카드가 제공되는 방식과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기 구매된 포토카드 제공 방식에 대한 설명을 준용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위 포토카드(UC)란, 상기 조합에 사용된 복수의 랜덤 포토카드(MC: 이하,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별 랜덤 선택확률(즉, 해당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하여 기 생성되어 있는 복수의 포토카드 중에서 상기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 각각이 랜덤하게 선택될 확률)에 대비하여 더 낮은 확률로 선택될 수 있는 포토카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상위 포토카드(UC)는, 상기 조합에 사용되는 재료 포토카드들(MC)에 비하여 획득 확률이 더 낮은(즉, 등급이 더 높은) 보다 희귀한 포토카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111)은, 사용자(즉, 구매자)가 보유하는 복수의 랜덤 포토카드 중 적어도 일부(실시예에서,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MC))를 소정의 방식에 따라서 조합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른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포토카드에 대한 사용자(즉, 구매자)의 관심과 흥미를 더욱 향상시키고 그 구매율 또한 더 제고시킬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보상으로서 상술된 바와 같이 상위 포토카드(UC)를 제공하면, 해당 조합에 사용된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MC)에 대한 반납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MC)에 대한 실물 포토카드(이하, 재료 실물 포토카드) 반납을 신청하고, 이에 따른 반납 배송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카드 반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카드 반납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상기 재료 실물 포토카드에 대한 반납이 완료되면, 상기 조합의 보상으로 제공된 상위 포토카드(UC)에 대한 실물 포토카드(이하, 상위 실물 포토카드)를 해당 사용자(즉, 구매자)에게 오프라인 배송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111)은, 포토카드의 무분별한 공급을 제한하여 그 희소성을 용이하게 보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보상으로서 상술된 바와 같이 상위 포토카드를 제공하면, 해당 조합에 사용된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에 대한 폐기 인증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도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에 대한 포토카드 비활성화 인증팩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토카드 비활성화 인증팩터란, 상기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에 대한 비활성화(즉, 폐기)를 인증하기 위한 소정의 수단으로서, 실시예에서 비활성화 식별코드 및/또는 폐기영상 등일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활성화 식별코드는, 상기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 각각의 실물 포토카드 상의 스크래치 필드(Scratch field) 제거 시 외부로 드러나는 소정의 식별코드(예컨대, 소정의 시리얼 넘버, QR코드 및/또는 바코드 등)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래치 필드는, 소정의 방식(예컨대, 동전 등으로 긁기 등)으로 제거될 시 해당 스크래치 필드 하에 숨겨진 상기 비활성화 식별코드를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비활성화 식별코드는, 해당하는 실물 포토카드에 대응되는 카드 식별코드와 매칭되어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폐기영상은, 상기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 각각의 실물 포토카드에 대한 폐기 행위(예컨대, 소각 및/또는 절단 행위 등)를 수행하는 장면을 촬영한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폐기영상은, 해당하는 실물 포토카드의 카드 식별코드를 촬영 및 표시한 프레임(fram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카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결여된 폐기영상인 경우 추후 이에 기초한 폐기 인증이 미승인될 수 있다.
다시 돌아와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에 대한 포토카드 비활성화 인증팩터를, 상기 비활성화 식별코드를 표시하는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를 촬영한 비활성화 포토카드 이미지 및/또는 상기 비활성화 식별코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비활성화 포토카드 이미지에 기반한 이미지 인식을 수행하여 해당 비활성화 포토카드 이미지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식별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검출된 비활성화 식별코드를 상기 비활성화 인증팩터로서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비활성화 식별코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해당하는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 각각에 대한 비활성화 식별코드를 상기 비활성화 인증팩터로서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에 대한 포토카드 비활성화 인증팩터를, 상기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에 대한 폐기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술된 바와 같은 폐기영상을 촬영하여 플랫폼 상에 등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획득된 폐기영상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가 제대로 폐기되었는지 판별할 수 있다.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폐기영상 내 카드 식별코드 프레임에 기초하여 해당 폐기영상 내 실물 포토카드가 상기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에 대한 실물 포토카드가 맞는지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판별의 결과 해당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에 대한 실물 포토카드가 맞다고 판단되면, 상기 폐기영상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토대로 상기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에 대한 폐기 행위가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폐기영상에 기초한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상기 폐기영상 내 재료 포토카드가 소정의 기준 이상으로 소각되거나 절단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폐기 행위가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도록 수행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 폐기영상을 상기 비활성화 인증팩터로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획득된 포토카드 비활성화 인증팩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에 대한 폐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 각각에 대한 포토카드 비활성화 인증팩터를 모두 획득하면, 해당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를 온라인 플랫폼 상에서 제거하는 폐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포토카드 비활성화 인증팩터가 획득된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 각각에 대한 카드 식별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비활성화 인증팩터가 상술된 비활성화 식별코드이면, 상기 비활성화 식별코드에 매칭되어 관리되는 카드 식별코드를 추출하여 상술된 기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비활성화 인증팩터가 상술된 폐기영상이면, 상기 폐기영상 내 카드 식별코드 프레임을 기초로 해당 카드 식별코드를 추출하여 상술된 기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위와 같이 검출된 카드 식별코드에 매칭되는 포토카드 이미지(즉, 디지털 포토카드)를 해당하는 사용자 계정 및 플랫폼 상에서 삭제하는 폐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술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에 대한 폐기 처리를 완료하면, 해당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에 기초하여 획득된 상위 포토카드를 사용자(즉,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위 실물 포토카드를 오프라인 배송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위 포토카드의 포토카드 이미지(즉, 상위 디지털 포토카드)를 온라인 배송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오프라인 배송을 통해 제공된 상기 상위 실물 포토카드를 전술된 소유자 인증 기능에 따른 방식으로 해당하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해 온라인 등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111)은, 업그레이드에 사용된 재료 포토카드들에 대한 폐기가 인증되어야 상기 재료 포토카드들을 통해 획득된 상위 포토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포토카드의 무분별한 공급 제한 및 희소성 유지를 지원함과 동시에 각각의 재료 포토카드들에 대한 폐기 인증을 자동화하여 사람이 일일이 확인하고 인증해야 하는 로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포토카드 콘텐츠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소정의 기준에 따른 조합이 성공하면 해당 조합에 사용된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MC)별 포토카드 콘텐츠를 하나의 콘텐츠로 결합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MC) 각각으로부터 제공되는 포토카드 콘텐츠를 소정의 기준(예컨대, 동일 또는 유사 콘텐츠별 등)에 따라서 결합하여 하나의 콘텐츠(이하, 통합 콘텐츠)로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111)은, 제1 재료 포토카드의 제1 포토카드 콘텐츠가 제1 디지털 음원 콘텐츠(11)이고, 제2 재료 포토카드의 제2 포토카드 콘텐츠가 제2 디지털 음원 콘텐츠(12)이면, 상기 제1 디지털 음원 콘텐츠(11)와 상기 제2 디지털 음원 콘텐츠(12)를 하나로 결합한 제3 디지털 음원 콘텐츠(13)를 통합 콘텐츠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111)은, 제1 재료 포토카드의 제1 포토카드 콘텐츠가 제1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21)이고, 제2 재료 포토카드의 제2 포토카드 콘텐츠가 제2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22)이면, 상기 제1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21)와 상기 제2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22)를 하나로 결합한 제3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23)를 통합 콘텐츠로서 생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111)은, 하나의 디지털 음원이 제1 디지털 음원 콘텐츠(11) 및 제2 디지털 음원 콘텐츠(12)로 분리되어 복수의 포토카드 각각의 포토카드 콘텐츠로 부여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포토카드의 조합 성공 시 상기 제1 디지털 음원 콘텐츠(11)와 상기 제2 디지털 음원 콘텐츠(12)가 하나로 합쳐지게 하여 온전한 하나의 디지털 음원(즉, 실시예에 따른 통합 콘텐츠)을 획득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애플리케이션(111)은, 하나의 디지털 동영상(예컨대, 일 콘서트 풀 영상 또는 뮤직 비디오 풀 영상 등)이 제1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21) 및 제2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22)로 분리되어 복수의 포토카드 각각의 포토카드 콘텐츠로 부여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포토카드의 조합 성공 시 상기 제1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21)와 상기 제2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22)가 하나로 합쳐지게 하여 온전한 하나의 디지털 동영상(즉, 실시예에 따른 통합 콘텐츠)을 획득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111)은, 복수의 랜덤 포토카드에 기반한 조합이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성공하면 상기 복수의 랜덤 포토카드 각각이 제공하는 포토카드 콘텐츠를 하나의 통합 콘텐츠로 결합하여 제공 가능함으로써, 랜덤 포토카드 수집에 대한 보다 높은 동기 부여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랜덤 포토카드에 대한 사용자(즉, 구매자)의 구매 니즈 및 욕구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구매옵션(PO)을 설정하여 구입 가능한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풀 패키징 상태로만 플랫폼 앨범을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구성에 대한 불필요한 결제 및 구매가 유발되는 등의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낭비되는 자원이나 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은, 온라인 기반의 플랫폼 앨범을 구입할 시 구매자의 니즈(needs)에 따라서 직접 선택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맞춤형 플랫폼 앨범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선택한 구성요소에 따라서 앨범 구매비용을 유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불필요한 소비에 따른 과도한 지출을 예방함과 동시에 보다 합리적으로 산정된 앨범 구매비용에 기초한 구매 절차가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은, 위와 같이 구입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고유번호 및 배송코드(송장번호)를 기초로 해당 앨범에 대한 판매량 집계를 지원함으로써, 보다 큰 영역에 걸쳐 수집된 공식적이고 객관적인 판매 데이터들을 토대로 특정 차트 내 앨범순위 집계가 더욱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은, 상기 구입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고유번호 및 배송코드(송장번호)를 기초로 특정 차트 내 앨범순위 산정을 위한 앨범 판매량 집계에 상기 구입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한 판매가 용이하게 반영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적어도 일 구성요소에 대한 구매만으로도 이를 해당 앨범 판매량 집계에 원활히 적용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소정의 앨범 순위차트 결정을 위한 앨범 판매량 파라미터 값의 산출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은, 상기 구입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과 관련된 구매인증 코드 및/또는 랜덤 포토카드를 제공하고 이에 기초한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대한 구매자의 관심과 흥미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그 구매 욕구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8)

  1.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이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옵션형 플랫폼 앨범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구매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포함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포함 구성요소에 따른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포함 구성요소에 따른 배송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행된 배송 프로세스를 기초로 획득되는 배송코드 및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고유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판매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포함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플랫폼 앨범에 포함되는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음원과, 제1 플랫폼 앨범에 포함되는 오프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상품인 CD, 앨범 자켓, 화보, 포토카드 또는 특전을 포함하는 오프라인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요소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포함 구성요소에 따른 배송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음원을 포함 구성요소로 결제되면, 상기 디지털 음원의 구매인증을 오프라인 상에서 수행하기 위하여 구매인증 코드가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구매인증 코드가 표시된 인쇄물인 오프라인 인증코드가 배송되는 과정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판매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오프라인 인증코드를 통해 구매인증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구매인증 코드를 온라인 인증하여 구매 인증을 완료하는 단계와, 상기 구매 인증을 완료한 디지털 음원을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판매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오프라인 인증코드에 대한 배송코드와 상기 제1 플랫폼 앨범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판매인증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판매 인증정보를 소정의 앨범 순위차트 결정을 위한 앨범 판매량 집계에 반영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포함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설정된 구매옵션을 기초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이 포함할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포함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음원 및 포토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포함 구성요소로 결정하면, 상기 디지털 음원 및 포토카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구매인증 코드가 표시된 오프라인 인증코드를 상기 포함 구성요소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인증 코드는,
    오프라인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오프라인 인증코드 및 온라인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온라인 인증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포함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포토카드를 상기 포함 구성요소로 결정하면,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에 매칭된 복수의 포토카드 중 랜덤 선택된 포토카드를 상기 포함 구성요소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카드는,
    소정의 이미지, 상기 포토카드를 특정하는 카드 식별코드 및 상기 포토카드를 기초로 활성화되는 포토카드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지털 콘텐츠 제공코드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포함 구성요소에 따른 결제를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포함 구성요소별 기 설정된 가격을 기초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구매비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포함 구성요소에 따른 배송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오프라인 상품 중 포함 구성요소로 결정된 상품을 배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11. 삭제
  12. 제6 항 또는 제8 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된 결제 프로세스를 기초로 구매완료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 내 포함 구성요소별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완료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 내 포함 구성요소가 상기 디지털 콘텐츠 및 포토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 및 포토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인증코드 및 온라인 인증코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구매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완료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 내 포함 구성요소가 상기 포토카드를 포함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된 랜덤 포토카드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소유자 인증 기능, 상기 사용자 계정에 매칭 및 저장된 랜덤 포토카드를 관리하는 컬렉팅 기능 및 상기 사용자가 보유하는 복수의 랜덤 포토카드 중 적어도 일부를 조합하는 업그레이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조합에 사용된 복수의 재료 포토카드별 포토카드 콘텐츠를 하나의 콘텐츠로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16.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을 독출하여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어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구매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포함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포함 구성요소에 따른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포함 구성요소에 따른 배송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행된 배송 프로세스를 기초로 획득되는 배송코드 및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고유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판매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포함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플랫폼 앨범에 포함되는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음원과, 제1 플랫폼 앨범에 포함되는 오프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상품인 CD, 앨범 자켓, 화보, 포토카드 또는 특전을 포함하는 오프라인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요소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포함 구성요소에 따른 배송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음원을 포함 구성요소로 결제되면, 상기 디지털 음원의 구매인증을 오프라인 상에서 수행하기 위하여 구매인증 코드가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구매인증 코드가 표시된 인쇄물인 오프라인 인증코드가 배송되는 과정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판매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오프라인 인증코드를 통해 구매인증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구매인증 코드를 온라인 인증하여 구매 인증을 완료하는 단계와, 상기 구매 인증을 완료한 디지털 음원을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옵션형 플랫폼 앨범의 판매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오프라인 인증코드에 대한 배송코드와 상기 제1 플랫폼 앨범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판매인증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판매 인증정보를 소정의 앨범 순위차트 결정을 위한 앨범 판매량 집계에 반영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삭제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어는,
    상기 수행된 결제 프로세스를 기초로 구매완료된 옵션형 플랫폼 앨범 내 포함 구성요소별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072094A 2022-06-14 2022-06-14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74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094A KR102574027B1 (ko) 2022-06-14 2022-06-14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PCT/KR2023/007885 WO2023243937A1 (ko) 2022-06-14 2023-06-08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230113448A KR20230171904A (ko) 2022-06-14 2023-08-29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230113446A KR20230171903A (ko) 2022-06-14 2023-08-29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094A KR102574027B1 (ko) 2022-06-14 2022-06-14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3446A Division KR20230171903A (ko) 2022-06-14 2023-08-29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230113448A Division KR20230171904A (ko) 2022-06-14 2023-08-29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027B1 true KR102574027B1 (ko) 2023-09-04

Family

ID=8801845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094A KR102574027B1 (ko) 2022-06-14 2022-06-14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230113448A KR20230171904A (ko) 2022-06-14 2023-08-29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230113446A KR20230171903A (ko) 2022-06-14 2023-08-29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3448A KR20230171904A (ko) 2022-06-14 2023-08-29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230113446A KR20230171903A (ko) 2022-06-14 2023-08-29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574027B1 (ko)
WO (1) WO2023243937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364A (ko) * 1999-08-19 2001-03-05 신용현 주문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록한 기록매체 제작 방법 및 그유통방법
KR20020036388A (ko) * 2000-11-09 2002-05-16 조희정 인터넷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를 시디음반으로제작하는 방법
KR20130127733A (ko) 2012-05-15 2013-11-25 이용석 음악 앨범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72513A (ko) * 2013-12-19 2015-06-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커스터마이즈 음원생성을 위한 장치와 시스템 및 커스터마이즈 음원 생성 방법
KR20170072942A (ko) * 2015-08-21 2017-06-27 시아오미 아이엔씨. 오디오 커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180114856A (ko) * 2017-04-11 2018-10-19 주식회사 스페이스오디티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210025251A (ko) * 2019-08-27 2021-03-09 (주)네오위즈랩 증강현실 포토카드를 제공하는 시스템, 서버, 방법 및 그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364A (ko) * 1999-08-19 2001-03-05 신용현 주문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록한 기록매체 제작 방법 및 그유통방법
KR20020036388A (ko) * 2000-11-09 2002-05-16 조희정 인터넷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를 시디음반으로제작하는 방법
KR20130127733A (ko) 2012-05-15 2013-11-25 이용석 음악 앨범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72513A (ko) * 2013-12-19 2015-06-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커스터마이즈 음원생성을 위한 장치와 시스템 및 커스터마이즈 음원 생성 방법
KR20170072942A (ko) * 2015-08-21 2017-06-27 시아오미 아이엔씨. 오디오 커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180114856A (ko) * 2017-04-11 2018-10-19 주식회사 스페이스오디티 뮤지션 컨텐츠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210025251A (ko) * 2019-08-27 2021-03-09 (주)네오위즈랩 증강현실 포토카드를 제공하는 시스템, 서버, 방법 및 그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3937A1 (ko) 2023-12-21
KR20230171903A (ko) 2023-12-21
KR20230171904A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87003A1 (en) User interface using tagged media, 3d indexed virtual reality images, and global positioning system locations, for electronic commerce
US20220198423A1 (en) Generating an online storefront
TW201342282A (zh) 由無線通訊賦能的促銷與商業交易
JP2015531176A (ja) ユーザ端末装置、サーバ装置及びそれらを含むシステム並びにその広告サービス方法
US201903704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igital copy for physical media purchase
US20130290141A1 (en) Content Entitlement Console System and Method
CA2996688A1 (en) Method for managing digital wallets
WO2019062618A1 (zh) 交易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20230177596A1 (en) Embedded payment tokens in digital media objects
JP6928690B2 (ja) ユーザが提供する商品の表示を当該商品の販売者にマッチングさせること
US20140351096A1 (en) Techniques for facilitating acquisition and exchange of ebook and other digital content via a computer network
JPWO2016076128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CN106030641A (zh) 对于用户生成的游戏内容的微支付补偿
KR102483318B1 (ko) 라이브 쇼핑 방송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574027B1 (ko) 옵션형 플랫폼 앨범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TW201625011A (zh) 智慧推播方法及其系統
CN109960909B (zh) 基于三维地图的社交方法、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614767A (zh) 广告投放系统、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US20180246993A1 (en) Data game token from destination-based games
US20140095275A1 (en) Promotional code distribution using mobile devices
WO20141286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payments
US9940656B1 (en) Smart demonstration device
KR20240037125A (ko) 크리스탈에 영상 콘텐츠가 결합된 토큰을 발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199294B1 (ko)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01511A (ko) 상품권 nft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