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737A -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737A
KR20180114737A KR1020170046802A KR20170046802A KR20180114737A KR 20180114737 A KR20180114737 A KR 20180114737A KR 1020170046802 A KR1020170046802 A KR 1020170046802A KR 20170046802 A KR20170046802 A KR 20170046802A KR 20180114737 A KR20180114737 A KR 20180114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conveyor
screening
screening aggregat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5959B1 (ko
Inventor
박훈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영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영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영테크
Priority to KR1020170046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95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4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E01C19/1004Reconditioning or reprocessing bituminous mixtures, e.g. salvaged paving, fresh patching mixtures grown unserviceable; Recycling salvaged bituminous mixtures; Apparatus for the in-plant recyc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03Methods for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07Pretreatment of the ingredients, e.g. by heating, sorting, grading, drying, disintegrating;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 아스콘을 활용하여 재생 아스콘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수거된 폐 아스콘을 분쇄시키도록 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에 의해 생성된 혼합골재가 투입되면 입자 크기별로 선별해서 배출시키게 되는 선별기; 상기 선별기 하부에 마련되어 배출되는 선별골재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되는 선별골재 컨베어; 상기 선별골재 컨베어의 정방향측에 마련되어 상기 선별골재를 이송시키게 되는 선별골재 투입 컨베어; 상기 선별골재 투입 컨베어에 의해 이송된 선별골재가 투입되어 재생 아스콘을 생산하는 혼합유닛; 상기 선별골재 컨베어의 역방향측에 마련되며 이송되어 낙하되는 선별골재를 저장창고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room temperature recycling ascon manufacturing apparatus with hybrid function}
본 발명은 폐 아스콘을 활용하여 재생 아스콘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에 관련되는 기술이다.
도로 포장시에 아스콘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아스콘으로 포장된 도로는 노면이 깨끗하여 차량 운행시에 흔들림이나 진동을 감소시켜 주기 때문에 많이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아스콘은 내구성이 떨어져 소정 기간이 경과되면 기 시공된 아스콘을 걷어내고 새로운 아스콘을 이용하여 다시 도로 포장을 해야 한다.
도로 포장되었다가 걷어낸 폐 아스콘은 매몰하거나 하여 폐기처분하였으나 근래에는 폐 아스콘을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재활용하는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폐 아스콘을 재활용하게 되면 환경적인 측면이나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유익함을 제공할 수 있다.
폐 아스콘을 재생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폐 아스콘에 열을 가하여 재생아스콘을 제조하는 가열식 재생아스콘 제조방법이 있고, 또 하나로는 폐 아스콘에 열을 가하지 않고 상온 상태에서 유화제 등을 첨가하여 재생 아스콘을 제조하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방법이 있다.
가열식 재생 아스콘 제조방법은 제조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부담이 높고 가열 과정에서 다량의 이산화탄소가 발생되므로 환경 오염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가 선호되고 있는데,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방법은 가열 과정이 없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을 달성할 수 있고, 환경 친환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즉, 재생 아스콘의 사용은 환경 및 비용측면에서 많은 이점이 있고, 적극적으로 권장되어야 한다.
재생 아스콘 활용의 이점이 부각됨에 따라 환경부와 공공기관, 지자체들은 2010년부터 시행되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의 시행으로 재생 아스콘의 의무 사용이 현실화 되자 제도의 조기 정착을 위해 법률 시행 이전인 2009년 7월 29일 환경부와 조달청의 주도로 지자체 및 공공기관들이 모여 자발적 협약을 맺었다.
이 협약에 따르면, 폐아스팔트콘크리트(아스콘)를 천연골재의 대체 골재로 보고 도로, 주차장, 광장, 하수관거 보수 등 아스콘이 사용되는 현장에 재생 아스콘을 사용하기로 협약했다.
이외에도 협약을 주도한 정부는 재생아스콘 보급·사용이 촉진되도록 필요한 정책개발과 품질관리, 연구개발 등에 지원을 강화한다는 취지를 밝히고 있다.
협약은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10년 15% 의무사용에 이어 2016년 전체 골재 총량의 40% 이상을 재생 아스콘으로 사용할 것을 명기하고 있으며 이 법령의 고시에 대해 현실여건의 변화 등을 검토해 폐지 내지는 개정할 기한을 2017년 2월 28일까지로 하고 있다.
하지만, 재생 아스콘에 대한 인식이 그리 좋지 않기 때문에 적극적인 활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로는 업자들이 재생 아스콘이 아닌 것으로 속여 높은 가격으로 판매하는 경우가 많고, 폐 아스콘을 재생골재로 생산하는 과정 중에 골재의 입도가 규정치에 미달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폐 아스콘을 이용한 재생 아스콘의 활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엄격한 관리감독이 요구되고, 재생 아스콘을 생산하는 업체에서는 양심적인 제조 및 판매가 요구된다.
즉, 폐 아스콘을 이용하여 생산되는 재생골재는 규정된 크기의 입도를 가지는 것만을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지나치게 작거나 크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재생 아스콘을 생산하는 업체들은 현실적으로 이러한 규정을 맞추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폐아스콘 자체가 유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분쇄를 통해 적당한 크기의 입도를 갖는 재생골재를 선별해두더라도 보관 중에 서로 엉겨 붙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자원 재활용 활성화를 위해 GR(Good Recycled Product)인증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며, 재생 아스콘 역시 GR 인증의 대상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의 일반적인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로는 GR 인증을 받기가 어려우며, 그렇다고 GR 인증을 위해 모든 기존 설비를 폐기할 수도 없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1873호
따라서 본 발명은 폐 아스콘을 이용하여 곧바로 재생 아스콘을 생산할 수도 있으면서, 물량 조절 등의 목적으로 선별골재를 저장창고로 이송시켜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는, 수거된 폐 아스콘을 분쇄시키도록 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에 의해 생성된 혼합골재가 투입되면 입자 크기별로 선별해서 배출시키게 되는 선별기; 상기 선별기 하부에 마련되어 배출되는 선별골재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되는 선별골재 컨베어; 상기 선별골재 컨베어의 정방향측에 마련되어 상기 선별골재를 이송시키게 되는 선별골재 투입 컨베어; 상기 선별골재 투입 컨베어에 의해 이송된 선별골재가 투입되어 재생 아스콘을 생산하는 혼합유닛; 상기 선별골재 컨베어의 역방향측에 마련되며 이송되어 낙하되는 선별골재를 저장창고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는, 3개 이상의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저장창고의 입자크기별로 구분된 섹터에 구분하여 배출되도록 하거나, 이동성이 있도록 하여 상기 선별골재의 입자크기에 따라 상기 저장창고의 입자크기별로 구분된 섹터에 구분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는, 상기 저장창고에 저장된 선별골재를 상기 선별골재 컨베어로 재공급시키기 위해 반대방향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는 필요에 따라 폐 아스콘을 곧바로 분쇄 후 입도별로 분류하여 재생 아스콘 생산을 위한 원료로 공급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물량 조절을 위해 생산된 선별골재를 GR 인증을 만족할 수 있는 저장창고에 저장되게 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없앨 수 있고 보다 고품질의 재생 아스콘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집된 폐 아스콘을 야적장에 방치하지 않고 분쇄 후 저장창고에 저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나 기타 환경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의 예시도.
도 3은 선별조나 계측부에 설치될 수 있는 도어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되는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3은 선별조나 계측부에 설치될 수 있는 도어의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는, 주요한 구성요소로 분쇄기(100), 선별기(200), 선별골재 컨베어(300), 선별골재 투입 컨베어(400), 혼합유닛(500),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거되어 오는 폐 아스콘은 큰 덩어리를 이루고 있으며, 재생을 위해서는 작은 입자로 분쇄를 해야 한다.
분쇄기(100)는 상측에 개방된 호퍼를 통해 폐 아스콘이 투입되면 기계적 작동에 의해 큰 덩어리는 작게 분쇄가 되는 것이며, 공지의 분쇄기들이 선택 사용될 수 있고, 해머나 조크러셔 등과 같은 장비들이 활용될 수 있다. 즉, 분쇄기(100)는 압축력이나 충격력을 이용하여 폐 아스콘을 잘게 쪼갤 수 있는 기능을 하는 것이면 충분하다.
분쇄기(100)로 투입된 폐 아스콘은 물리적 작용에 의해 분쇄되어 분쇄기의 하방으로 배출된다. 폐 아스콘이 분쇄기(100)에 의해 분쇄되면 다양한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지는 혼합골재가 만들어진다. 즉, 가루에 가까운 것에서부터 50mm 정도의 입자까지 다양한 혼합골재가 된다.
분쇄기(100)에 의해 만들어진 혼합골재는 이송컨베어(110)를 통해서 선별기(200)로 투입된다.
선별기(200)의 상부는 개방된 호퍼(210)와 호퍼 하방에 스크린(220)이 마련되고, 스크린(220) 하방으로 복수의 선별조(230)가 마련된다. 혼합골재가 선별기(200)의 호퍼(210)로 투입되면 스크린(220)에 도달되어 입자 크기별로 분리가 이루어지고, 크기별로 분리된 입자들은 해당 선별조(230)로 낙하된다.
바람직하게 선별기(200)에는 최소 3개 이상의 선별조(230)가 구비되어 대, 중, 소 크기별로 구분하여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선별기(200)에 구비되는 선별조(230)는 많을수록 선별골재를 보다 크기별로 세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이나, 여건에 따라 적정한 갯수를 구비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15mm미만, 15mm 이상에서 30mm미만, 30mm 이상으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선별기(200)의 하부로 선별골재 컨베어(300)가 마련되며, 선별골재 컨베어(300)는 입자 크기에 따라 구분된 선별골재를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선별기(200)에 구비되는 각각의 선별조(230)는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각 선별조(230)들은 동시에 또는 이시에 개폐되어 선별골재를 하방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선별조(230)에는 선별골재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계측부(240)가 마련되게 하여 필요한 만큼의 선별골재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선별기(200) 하부에 계측부(240)가 마련되고, 선별기(200) 및 계측부(240)의 하단에는 개폐도어(D)가 구비된다. 개폐도어(D)는 필요시 개방 동작되어 선별골재를 배출되게 하며, 본 발명에서는 도 3과 같이 반원형의 두 도어플레이트(D1)가 회동되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하는데, 실린더(C)를 이용하여 링크(L)로 연결함으로써 각 도어플레이트(D1)가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동작되도록 한다.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선별조(230)로부터 소정량의 선별골재가 배출되면 선별골재 컨베어(300)로 낙하되고 선별골재 컨베어(300)는 정방향으로 선별골재를 이송시킬 수 있고, 또는 역방향으로 선별골재를 이송되게 할 수도 있다.
선별골재 컨베어(30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선별골재는 곧바로 재생 아스콘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을 거치게 되며,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향후 사용을 위해 저장창고(700)로 이송시켜 선별골재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여건에 따라 선별골재 컨베어(300)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선별골재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선별골재 컨베어(300)의 정방향측에 선별골재 투입 컨베어(400)가 마련되며, 선별골재 투입 컨베어(400)는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어 선별골재 컨베어(30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공급하는 선별골재를 전달받아 재생 아스콘 생산을 위해 혼합유닛(500)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혼합유닛(500)은 선별골재를 포함한 기타 재생 아스콘 생산을 위해 필요한 물질들을 투입하여 고르게 혼합하는 것이며, 선별골재 투입 컨베어(400)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골재가 혼합유닛(500)으로 투입된다.
혼합유닛(500)에 투입된 선별골재는 유화제, 물 등의 물질과 혼합되어 재생 아스콘으로 제조되어 하방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혼합유닛(500)은 지상으로부터 높게 설치되어 혼합유닛(500) 하측에 덤프트럭이 진입하여 대기하면 덤프트럭으로 재생 아스콘을 바로 상차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에는 물량 조절 등의 목적을 위해 선별골재를 저장하기 위한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600)가 구비된다.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600)는 소정의 저장창고(700)에 크기별로 분리된 선별골재를 이송시켜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즉,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600)는 선별골재 컨베어(300)의 역방향측에 마련되도록 하며, 선별골재를 저장하고자 할 때 선별골재 컨베어(300)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600)도 작동하여 선별골재 컨베어(300)로부터 낙하되는 선별골재를 전달받아 저장창고(700)로 이송시키게 된다.
폐 아스콘을 이용한 재생 아스콘 생산은 GR인증의 대상이 되는데, GR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폐 아스콘을 분쇄하여 제조된 혼합골재를 크기별로 분류한 선별골재를 각각 분리하여 저장창고(700)에 보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껏 재생 아스콘을 생산하는 업체에서는 남는 선별골재를 야외에 그대로 방치하여 왔고, 이로 인해서 품질이 떨어지는 규격 미달의 재생 아스콘이 유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생산된 선별골재가 곧바로 재생 아스콘 생산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선별골재 컨베어(30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600)로 이송되게 하여 규격에 맞는 저장창고(700)로 보내어 선별골재의 크기별로 분리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600)는 선별골재의 입자 크기별로 지정된 소정의 저장창고(700)의 구분된 섹터에 배출시켜야 한다.
따라서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600)는 최소한 3개 이상의 복수개가 준비되도록 하여, 선별골재의 크기에 따라 해당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600)로 선별골재를 공급하여 저장창고(700)의 구분된 섹터에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600)를 활용하되, 이동성이 있도록 하여 선별골재의 크기에 따라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600)의 말단을 해당 섹터로 위치시켜서 배출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창고(700)에 저장된 선별골재는 재생 아스콘 생산을 하고자 할 때에는 반출되어야 한다. 저장창고에 저장된 선별골재를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60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하여 선별골재 컨베어(300)로 재공급되게 할 수 있다.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60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저장된 선별골재를 장비를 이용하여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600)에 공급하면, 이송되어 선별골재 컨베어(300)로 낙하되게 함으로써 재생 아스콘 생산에 저장되었던 선별골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는 폐 아스콘을 분쇄하여 혼합골재를 만든 후 크기별로 분류하여 선별골재를 제조하도록 하고, 선별골재는 곧바로 재생 아스콘 생산 공정으로 투입되게 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저장창고로 공급되게 하여 선별골재를 크기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GR 인증 획득이 가능한 설비의 제공이 가능하고, 선별골재를 안정적으로 관리 및 보관할 수 있어 재생 아스콘 생산시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폐 아스콘을 활용한 재생 아스콘 생산을 위한 설비로 사용될 수 있다.
100 : 분쇄기 110 : 이송컨베어
200 : 선별기 210 : 호퍼
220 : 스크린 230 : 선별조
240 : 계측부 D : 도어
D1 : 도어플레이트
300 : 선별골재 컨베어
400 : 선별골재 투입 컨베어
500 : 혼합유닛
600 :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
700 : 저장창고

Claims (3)

  1. 수거된 폐 아스콘을 분쇄시키도록 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에 의해 생성된 혼합골재가 투입되면 입자 크기별로 선별해서 배출시키게 되는 선별기;
    상기 선별기 하부에 마련되어 배출되는 선별골재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되는 선별골재 컨베어;
    상기 선별골재 컨베어의 정방향측에 마련되어 상기 선별골재를 이송시키게 되는 선별골재 투입 컨베어;
    상기 선별골재 투입 컨베어에 의해 이송된 선별골재가 투입되어 재생 아스콘을 생산하는 혼합유닛;
    상기 선별골재 컨베어의 역방향측에 마련되며 이송되어 낙하되는 선별골재를 저장창고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는,
    3개 이상의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저장창고의 입자크기별로 구분된 섹터에 구분하여 배출되도록 하거나,
    이동성이 있도록 하여 상기 선별골재의 입자크기에 따라 상기 저장창고의 입자크기별로 구분된 섹터에 구분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골재 저장 컨베어는,
    상기 저장창고에 저장된 선별골재를 상기 선별골재 컨베어로 재공급시키기 위해 반대방향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


KR1020170046802A 2017-04-11 2017-04-11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 KR101975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802A KR101975959B1 (ko) 2017-04-11 2017-04-11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802A KR101975959B1 (ko) 2017-04-11 2017-04-11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737A true KR20180114737A (ko) 2018-10-19
KR101975959B1 KR101975959B1 (ko) 2019-05-07

Family

ID=64102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802A KR101975959B1 (ko) 2017-04-11 2017-04-11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9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394B1 (ko) * 2008-03-14 2008-10-01 (주)한동알앤씨 순환골재의 입도 선별 및 혼합장치
KR20100079434A (ko) * 2008-12-31 2010-07-08 주식회사 바스코플랜트 상온식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KR101301165B1 (ko) * 2013-03-26 2013-09-03 하나케이환경 주식회사 폐아스콘을 이용하여 재생 아스콘을 생산하기 위한 믹싱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394B1 (ko) * 2008-03-14 2008-10-01 (주)한동알앤씨 순환골재의 입도 선별 및 혼합장치
KR20100079434A (ko) * 2008-12-31 2010-07-08 주식회사 바스코플랜트 상온식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KR101101873B1 (ko) 2008-12-31 2012-01-05 (주)한동알앤씨 상온식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KR101301165B1 (ko) * 2013-03-26 2013-09-03 하나케이환경 주식회사 폐아스콘을 이용하여 재생 아스콘을 생산하기 위한 믹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959B1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hite et al. Recycled waste plastic for extending and modifying asphalt binders
Peng et al. Strategies for successful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recycling operations
KR100697250B1 (ko)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Galán et al. Influence of input streams on the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CDW) recycling performance of basic and advanced treatment plants
CN101259479A (zh) 生活垃圾回收利用方法
CN108188149A (zh) 一种城市建筑垃圾处理工艺及资源化利用工艺
JP2020063626A (ja) アスファルト混合物の製造方法
Cook et al. Investigation into the non-biological outputs of mechanical–biological treatment facilities
KR100861394B1 (ko) 순환골재의 입도 선별 및 혼합장치
KR101214383B1 (ko) 신재 아스콘과 재생 아스콘을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순환 아스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975959B1 (ko) 복합기능을 갖는 상온식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
KR20040070362A (ko) 폐 콘크리트 폐기물 재활용 방법 및 그 장치
Soutsos et al. Recycling of demolition waste in Merseyside
KR100570319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JP2933302B2 (ja) 般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20050107716A (ko) 폐아스콘 재활용장치
KR100561216B1 (ko) 폐기물가공연료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아스콘의재생장치
KR100432525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재생모래 제조방법
Mangmeechai Moving towards sustainable end-of-life tyre management from the cost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s: A case study of Thailand
KR102051412B1 (ko) 건축폐기물 처리장치
Walter Practical refuse recycling
CN108355815B (zh) 一种固废预处理装置及工艺
POPA et al. MATERIAL FLOW MANAGEMENT FOR PROCESSING PLASTIC WASTE AND TONER DUST.
Müller et al. Plants for the Treatment of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CN219972856U (zh) 沥青路面回收料投料预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