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495A -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이동국 - Google Patents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이동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495A
KR20180113495A KR1020187014555A KR20187014555A KR20180113495A KR 20180113495 A KR20180113495 A KR 20180113495A KR 1020187014555 A KR1020187014555 A KR 1020187014555A KR 20187014555 A KR20187014555 A KR 20187014555A KR 20180113495 A KR20180113495 A KR 20180113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network access
mobile station
hando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닝 양
옌안 린
하이 탕
빈 펭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13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0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multicast or broadcast services, e.g. MB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49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according to tim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04W36/32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by location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이동국을 제공하는바, 해당 방법에는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지시하기 위한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국의 이동이 예측 가능한 방향성을 갖는다는 특점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자원의 개념을 도입하고 사전에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에서 핸드오버 자원을 조정함으로써, 이동국이 핸드오버가 필요한 시점에 해당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어, 핸드오버 중단 시간을 줄인다.

Description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이동국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이동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16년 02월 05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 번호가 PCT/CN2016/073675이고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이동국"을 발명 명칭으로 하는 PCT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출원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미래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그 응용 분야가 차량 대 차량(Vehicle to Vehicle, V2V) 통신, 차량 대 인프라(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통신, 차량 대 보행자(Vehicle to Pedestrian, V2P) 통신, 보행자 대 차량(Pedestrian to Vehicle, P2V) 통신 등을 포함하는 차량과 임의의 사물 간 통신(Vehicle to X, V2X)까지 확장될 것이다.
V2X 통신은 교통 통행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교통 사고를 방지하며, 주행 위험을 줄일 수 있는바. 연구 결과에 의하면, V2V 통신은 미국 국내의 사상자 없는 충돌 사고 중 약 82% 및 교통 십자로의 충돌 사고 중 약 40%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한다.
V2X 통신 과정에서는, 효과적으로 네트워크 측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차량이 항상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유지해야 하며, 이로써 자원 할당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데이터 전송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벗어난 경우와 같은 특정 상황에서는 통상적으로 차량이 사전 설정된 자원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게 되므로, 연결된 대량의 차량이 질서 있는 정보 교환을 수행하도록 보장할 수 없어, 무선 네트워크의 자원 사용 효율이 많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미래 V2X 통신은 절대다수 범위 내에서 차량과 네트워크 간 통신에 의존하여 존재할 것이므로, 차량과 네트워크 사이의 연결이 지속적으로 원활하도록 보장함으로써 차량에 대한 네트워크의 질서적인 스케줄링 및 자원 할당을 보장해야 한다.
이 과정에 있어서, 차량이 부단히 이동하고 특정 상황에서는 속도가 비교적 빨라, 상이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에서 차량이 원활하게 핸드오버에 성공하도록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관건적인 과제로 남아있다.
비록 셀룰러 네트워크에 핸드오버를 보장하는 메커니즘이 존재하지만, 기존의 핸드오버 프로세스에는 비교적 큰 전송 중단 딜레이가 존재하고 고속 주행 중인 이동국의 채널 급변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핸드오버 과정 중의 이동국의 정상적인 통신을 확보할 수 있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지시하기 위한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은 V2X에서의 이동 단말일 수 있으며, 이로써 V2X 이동국의 이동이 예측 가능한 방향성을 갖는다는 특점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자원의 개념을 도입하고 사전에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에서 핸드오버 자원을 조정함으로써, V2X 이동국이 핸드오버가 필요한 시점에 해당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V2X 이동국이 핸드오버 전에 목표 셀(즉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을 설정하여, 핸드오버 중단 시간(handover interruption time)을 줄일 수 있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방법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제1 지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해당 기술방안에 있어서, 해당 이동국은 실제 상황에 따라 목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를 확정하고 식별 정보와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통해 이동국의 목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즉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를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알려, 단말 장치가 자체적으로 필요한 경우에 수시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해당 기술방안은 유연성이 높고 단말 핸드오버 시간을 한층 더 줄일 수 있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제1 지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이 확정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해당 기술방안에 있어서, 이동국이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통해 자신의 수요를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알림으로써,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제1 지시 정보를 이동국에 송신하여 이동국이 해당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해당 기술방안은 유연성이 높고 호환성이 훌륭하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이동국을 위해 적합한 목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를 확정하는 데 유리하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지시 정보를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이동국의 이동 궤적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 의해 피드백되는 측정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의 이동 궤적과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할당된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새로운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 포맷을 통해 지시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조정을 수행하여,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는, 물리적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블록의 위치 정보, 변조 및 코딩 방식의 정보,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 및 안테나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에 접속될 때,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후,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때,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에는,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또는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통해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통해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조정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통해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엑스트 포인트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완전히 동일한 또는 완전히 상이한 물리적 자원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통해 송신되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통해 송신되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이동국에 의해 송신되는 복수의 동일한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동일한 업링크 데이터 패킷 중의 하나의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업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으로 확정하고, 상기 업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 내의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조정을 수행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완전히 동일한 또는 완전히 상이한 물리적 자원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이동국이 복수의 동일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 중의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다운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으로 확정하고 상기 다운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 내의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복수의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동기화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는 고정된 제1 타이밍 오프셋을 갖는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이동국은 동기화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이동국 사이에는 고정된 제2 타이밍 오프셋을 갖는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제2 지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동기화 정보, 상기 이동국의 속도 정보, 상기 이동국의 운동 궤적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이동국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이,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지시하기 위한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이 제공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에 따라 송신되는 제1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에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식별 정보와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도록,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하는 단계에는, 자신이 곧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국이 확정하면,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상기 이동국이 자신의 이동 궤적에 따라, 곧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을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이동국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따라, 곧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이동국이 자신의 이동 궤적과 이동 속도에 따라, 곧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할당된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새로운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 포맷을 통해 지시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이동국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는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는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에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신되도록,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동시에 도달되도록,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통해, 예정된 순환 프리픽스(CP) 값을 적용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되, 상기 예정된 CP 값은 고정된 임계값보다 크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에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복수의 동일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동일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들 중의 하나를 다운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 내의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동기화되거나, 또는 상기 이동국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는 고정된 제2 타이밍 오프셋을 갖는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자원에는, 물리적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블록의 위치 정보, 변조 및 코딩 구성 정보,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 및 안테나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동기화 정보, 상기 이동국의 속도 정보, 상기 이동국의 운동 궤적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는바,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이되,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확정 유닛;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 및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지시하기 위한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이 포함된다. 해당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1 측면에 따른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실행되는 각 과정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4 측면에 있어서, 송신기, 수신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제공된다. 해당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1 측면 및 그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에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실행되는 각 과정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5 측면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되는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되, 상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1 측면 및 그의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이동국이 제공되는바,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 이동국에 의해 곧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지시하기 위한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및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이 포함된다. 해당 이동국은 상기 제2 측면에 따른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이동국에 의해 실행되는 각 과정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7 측면에 있어서, 송신기, 수신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가 포함되는 이동국이 제공된다. 해당 이동국은 상기 제2 측면에 따른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이동국에 의해 실행되는 각 과정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8 측면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되는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되, 상기 프로그램은 이동국이 상기 제2 측면 및 그의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는, 물리적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블록의 위치 정보, 변조 및 코딩 방식의 정보,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 및 안테나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할당된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새로운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 포맷을 통해 지시된다.
선택적으로, 제어 신호 또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는 PDCCH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동기화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는 고정된 제1 타이밍 오프셋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이동국은 동기화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이동국 사이에는 고정된 제2 타이밍 오프셋을 갖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핸드오버 과정의 예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의 일 예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의 다른 일 예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의 또다른 일 예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일 예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다른 일 예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일 예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다른 일 예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할 것이다. 다만,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고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는 점은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인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얻을 수 있는 다른 모든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국을 참조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이동국은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단말 기기, 액세스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이동 기기,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이동국은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내의 스테이션(STAION)일 수도 있고, 셀룰러폰, 무선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가입자회선(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핸드헬드 장치, 컴퓨터 장치 또는 무선 변조복조기에 연결된 다른 처리기기, 차량탑재 기기, 착용 가능 기기 및 미래의 5G 네트워크에서의 이동국 또는 미래의 진화된 PLMN 네트워크에서의 이동국 등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은 차량에 장착된 차량탑재 장치(On board Unit, OBU)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치를 참조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네트워크 장치는 이동국과의 통신을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내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GSM 또는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내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WCDMA 내의 노드 B(NodeB, NB)일 수도 있고, 또한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내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또는 릴레이 또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차량 탑재 기기, 착용 가능 기기 및 미래의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장치 또는 미래의 진화된 PLMN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측면 또는 특징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공정 기술을 이용한 제조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조물"에는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기, 캐리어 또는 매체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는, 자기 저장 소자(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켓 또는 자기 테이프 등), 광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k,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시 메모리 소자(예를 들면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EPROM), 카드, 스틱 또는 키 구동 장치 등)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장치 및/또는 다른 머신 판독 가능 매체를 표시할 수 있다. 용어 "머신 판독 가능 매체"에는 무선 채,널 및 지령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포함 및/또는 베어링 가능하는 다양한 다른 매체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핸드오버 과정의 예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0),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200) 및 이동국(3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0)와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200)는 셀룰러 링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0)와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200)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해당 통신 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동국(300)은 고속 이동 중인 상태에 있을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이동국(300)은 초기에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0)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고,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0)와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뒤로, 이동국(300)이 고속 이동으로 인해,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200)의 커버리지 내에 점차 진입한다. 이 과정에서, 이동국(300)은 해당 전송 자원을 핸드오버해야 하므로, 비교적 큰 전송 딜레이가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국의 이동이 예측 가능한 방향성을 갖는다는 특점을 이용하여, 사전에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에서 핸드오버 자원을 조정함으로써 이동국이 핸드오버 과정 중에 해당 핸드오버 자원을 사용하도록 하여 핸드오버 중단 시간(interrupt time)을 줄일 수 있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과 방식 등의 구분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상황과 방식 중의 특징들은 모순되지 않는 경우에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의 일 예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방법은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실행되며, 다음과 같은 단계들이 포함된다.
S110: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한다.
여기서,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는, 물리적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블록의 위치 정보, 변조 및 코딩 방식의 정보,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 및 안테나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는 시간 및 주파수 자원 구성 정보, 전송 대역폭 등이 포함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일일이 나열하지 않을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는 서비스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되는 데 이용되는 핸드오버 자원의 구성 정보, 및/또는 서비스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되는 데 이용되는 핸드오버 자원의 구성 정보, 및/또는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핸드오버 자원의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주위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배치되고,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첫번째 경우로서, 만약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주위에 오직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즉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만 존재하면, S110에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만 확정하면 된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조정을 수행하여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동기화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는 고정된 제1 타이밍 오프셋(offset)을 갖는다.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자원 조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협의하는 방식을 통해 핸드오버 자원풀을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핸드오버 자원풀과 제2 핸드오버 자원풀을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핸드오버 자원풀은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추후에 이동국으로 송신되어 이동국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되는 과정에서 제1 핸드오버 자원풀 내의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핸드오버 자원풀은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추후에 이동국으로 송신되어, 이동국이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되는 과정에서 제2 핸드오버 자원풀 내의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되는 이동국에 의해 이용되는 핸드오버 자원은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되는 이동국에 의해 이용되는 핸드오버 자원과 될수록 상이하도록 함으로써, 핸드오버 과정 중에 상이한 이동국 사이의 자원 충돌을 방지하여, 자원 경쟁을 줄일 수 있으며, 핸드오버 과정 중의 이동국의 데이터 전송 효율을 더한층 보장할 수 있다.
두번째 경우로서, 만약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주위에 복수(즉 적어도 두개)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포함)가 존재하면, S110에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복수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는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서로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조정을 수행하여, 해당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복수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공동한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한 그룹의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한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각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각각 확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복수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일대일로 대응되는 복수의 그룹의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한다.
S120: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제어 신호를 통해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이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이동국은 동기화되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이동국 사이에는 고정된 제2 타이밍 오프셋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이동국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에 접속될 때,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일 실시예로서, 이동국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후,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이 제1 네트워크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이 완료된 후,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일 실시예로서, 이동국에 의해 곧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때,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S120 전에,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이동국에 의해 핸드오버가 곧 수행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동국에 의해 곧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국에 의해 피드백되는 측정 신호의 세기에 따라, 이동국에 의해 곧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이동국의 이동 궤적에 따라, 이동국에 의해 곧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이동국의 이동 궤적과 이동 속도에 따라, 이동국에 의해 곧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이라면, 만약 S110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일대일로 대응되는 복수의 그룹의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하면, S120에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때, 해당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의 식별 정보가 더 포함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또한 제2 지시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해당 제2 지시 정보에는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동기화 정보, 상기 이동국의 속도 정보, 상기 이동국의 운동 궤적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여기서, 동기화 정보에는 업링크 동기화 정보와 다운링크 동기화 정보가 포함된다. 이로써, 이동국이 업링크 동기화 정보, 다운링크 동기화 정보, 속도 정보, 운동 궤적 정보 등을 획득한 후,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추가적으로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동기화 정보에는 제1 타이밍 오프셋이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이동국이 해당 동기화 정보 내의 제1 타이밍 오프셋 및 이동국와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동기화 관계에 기반하여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동기화 정보를 획득할 있다.
S130: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이동국에 의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되는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상기 이동국에 의해 핸드오버가 곧 수행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 신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를 통해 지시된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핸드오버 지시 정보가 이동국에 의해 곧 핸드오버가 수행됨을 지시하도록 구성됨에 있어서 하기와 같은 경우들이 포함될 수 있다.
경우1. 이동국이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핸드오버를 곧 수행하는 경우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경우 1에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두가지가 포함될 수 있다.
1a. 이동국이 현재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하며 현재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해제하는 경우
예를 들면, 이동국이 현재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수행하며, 해당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해당 이동국에 의해 곧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이 곧 수행됨을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b. 이동국이 현재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현재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예를 들면, 이동국이 현재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수행하며, 해당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해당 이동국에 의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이 곧 수행됨을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2. 이동국에 의해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자원의 핸드오버가 곧 수행되는 경우
예를 들면, 이동국이 현재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제1 자원을 이용하며, 해당 핸드오버 지시 정보가 해당 이동국에 의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다른 자원이 곧 이용됨을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국의 이동이 예측 가능한 방향성을 갖는다는 특점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의 개념을 도입하고 사전에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에서 핸드오버 자원을 조정함으로써, 이동국이 핸드오버가 필요한 시점에 해당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핸드오버 중단 시간을 줄인다. 또한, 이동국은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통해, 해당 이동국에 의해 곧 핸드오버가 수행됨을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알릴 수 있어, 해당 방식은 유연성이 비교적 높고, 이동국이 필요한 경우에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어, 핸드오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핸드오버 중단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방법은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해당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지시 정보를 해당 이동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여기서, 해당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는 핸드오버 자원과 관련 파라미터가 포함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핸드오버 지시 정보에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경우의 핸드오버가 포함될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해당 핸드오버 지시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구성될 있다. 이하, 핸드오버 지시 정보가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핸드오버가 곧 수행됨을 지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국이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핸드오버를 곧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해당 핸드오버의 목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국에 의해 확정될 수도 있고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확정될 수도 있다.
(1) 이동국이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즉 목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를 곧 수행하는 것으로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해당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해당 식별 정보 및 해당 핸드오버 지시 정보에 따라, 해당 이동국에 의해 해당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곧 수행됨을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식별 정보와 해당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동일한 하나의 메시지 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두개의 메시지 내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만약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해당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하면, 전술된 바와 같은 제1 지시 정보는 ACK 피드백 정보일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해당 이동국에 의해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곧 수행된다는 정보를 획득한 후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이동국의 접속을 준비하라고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통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2)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이동국에 의해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곧 수행됨을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해당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를 핸드오버하고자 하는 수요가 해당 이동국에 있음을 파악하고, 해당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해당 목표 액세스 포인트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국의 이동 궤적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한다.
더 예를 들면, 상기 이동국에 의해 피드백되는 측정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이동국의 이동 궤적과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한다.
해당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해당 이동국의 목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를 확정한 후 제1 지시 정보를 통해 목표 액세스 포인트를 이동국에 알린다. 즉,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이 확정되는 경우, 해당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에 의하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미리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수 있어, 이동국이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에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에 따라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핸드오버 중단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해당 이동국에 의해 핸드오버가 곧 발생될지 여부가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확정될 수도 있고 이동국에 의해 확정될 수도 있다. 이에 상응하여, 해당 목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확정될 수도 있고, 이동국에 의해 확정될 수도 있다. 해당 기술방안은 유연성이 높아 이동국의 핸드오버 수행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제1 지시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제1 지시 정보는 할당된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제1 지시 정보는 새로운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 포맷을 통해 지시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는, 기존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포맷 중의 사용되지 않은 구체적으로 정의되지 않은 예비(reserved) 필드 또는 예비 비트일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새로운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 포맷은 기존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 포맷과 상이하거나, 또는 미래의 프로토콜에서 새롭게 정의되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 포맷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할당된 새로운 RNTI는 기존의 RNTI 외에 새롭게 할당된 것으로서, 해당 새로운 RNTI는 제1 지시 정보를 표시하는 데 전용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동국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S120에서 수신된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이 확정될 때, 제1 지시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이라면, 만약 S110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일대일로 대응되는 복수의 그룹의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하면, S120에서 복수의 그룹의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 및 해당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의 식별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한다. 이때, S130에서 제1 지시 정보에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지시 정보에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면, S130에서 이동국이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지시 정보 내에 포함된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 정보에 따라 해당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하고, 해당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추후의 통신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S130 후에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국에 의해 해당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이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복수의 동일한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해당 복수의 동일한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동일한 업링크 데이터 패킷 중의 하나의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업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으로 확정하며 해당 업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 내의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조정하여 이동국에 의해 해당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는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조정을 수행하고 이동국에 의해 해당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이라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조정을 통해 수신할 때, 각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데이터 패킷 수신 시에 이용하는 물리적 자원의 위치와 구성은 완전히 동일하거나, 또는 각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데이터 패킷 수신 시에 이용하는 물리적 자원의 위치와 구성은 완전히 엇갈린다. 또한, 그 뒤로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에서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수신 데이터 패킷으로 선정한다.
조정을 통한 수신 과정에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완전히 동일한 물리적 자원 구성 정보를 이용하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완전히 상이한 물리적 자원 구성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는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완전히 동일한 또는 완전히 상이한 물리적 자원 구성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국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국이 복수의 동일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 중의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다운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으로 확정하고 해당 다운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 내의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복수의 동일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이동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국에 의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해당 이동국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이동국은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해당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조정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는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조정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이라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조정을 통해 송신할 때, 각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은 동일하고, 이용되는 물리적 자원의 위치와 구성도 완전히 동일하다.
조정을 통한 송신 과정에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완전히 동일한 물리적 자원 구성 정보를 이용하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완전히 상이한 물리적 자원 구성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는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완전히 동일한 또는 완전히 상이한 물리적 자원 구성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의 다른 일 예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방법은 이동국에 의해 수행되는바, 다음과 같은 단계들이 포함된다.
S210: 이동국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는, 물리적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블록의 위치 정보, 변조 및 코딩 방식의 정보,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 및 안테나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는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거나, 또는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는 제어 신호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신호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DCCH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이동국은 동기화되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이동국 사이에는 고정된 제2 타이밍 오프셋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이동국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일 실시예로서, 이동국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일 실시예로서, 이동국이 곧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해당 단계 S210은 전술한 도2의 실시예에서의 단계 S120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S220: 상기 이동국이,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지시하기 위한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이동국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해당 이동국에 의해 핸드오버가 곧 수행됨을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국이 자신에 의해 곧 핸드오버가 수행됨을 확정하면, 해당 이동국은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이동국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해당 이동국에 의해 곧 핸드오버가 수행될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만약 이동국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이동국은 곧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고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해당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국이 상기 이동국의 이동 궤적에 따라, 곧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확정한다.
더 예를 들면, 상기 이동국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따라, 곧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확정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이동국이 자신의 이동 궤적과 이동 속도에 따라, 곧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확정한다.
또한, 해당 이동국이 자신에 의해 핸드오버가 곧 수행될지 여부를 확정함에 있어서, 또한 핸드오버 목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를 더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이 자신의 이동 궤적에 따라, 자신에 의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곧 수행됨을 확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이동국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의 세기 및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의 세기에 따라, 자신에 의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곧 수행됨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이동국은 또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지시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이동국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지시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제1 지시 정보는 할당된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제1 지시 정보는 새로운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 포맷을 통해 지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는 PDCCH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국이 곧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제1 지시 정보에는 핸드오버 자원과 대응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해당 단계 S220은 전술한 도2의 실시예에서의 단계 S130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이동국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해당 제2 지시 정보에는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동기화 정보, 상기 이동국의 속도 정보, 상기 이동국의 운동 궤적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또한, 이동국이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230: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에 따라 송신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이동국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에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이동국이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S210에서 수신되는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기 시작한다. 이해할 수 있다시피, 만약 제1 지시 정보에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면, 이동국이 해당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국이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됨을 확정하도록 한다. 해당 기술방안의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 중복하여 서술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이동국이 해당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이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복수의 동일한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여,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해당 복수의 동일한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그들 중의 하나의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업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으로 확정하며 해당 업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 내의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한다.
일 예로, 이동국이 해당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예정된 순환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값을 적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동시에 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예정된 CP의 값은 고정된 임계값보다 크다.
이로써, 이동국이 비교적 큰 길이의 CP를 이용하여 업링크 데이터가 동시에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도달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동국이 해당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다운링크 데이터는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또는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 것일 수 있다. 또는, 여기서, 다운링크 데이터는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협력 송신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복수의 동일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복수의 동일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들 중의 하나를 다운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으로 확정하며, 다운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 내의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해당 단계 S230은 전술한 도2의 실시예의 단계 S130 후에 통신을 수행하는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도2의 실시예의 관련 설명은 도1의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고,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 중복 서술하지 않는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의 또다른 일 예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4에는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0),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200) 및 이동국(300)이 도시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된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이 포함된다.
S310: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0)가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200)와의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조정을 수행하여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도4의 단계 S310은 전술한 도2의 실시예의 S110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S320: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0)가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300)으로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팅 또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3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4의 단계 S320은 전술한 도2의 실시예의 S120 또는 도3의 실시예의 S210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S330: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0)가 이동국(300)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해당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상기 이동국(300)에 의해 핸드오버가 곧 수행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4의 단계 S330은 전술한 도2의 실시예의 S130 또는 도3의 실시예의 S220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S340: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0)가 제1 지시 정보를 이동국(300)으로 송신하되,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핸드오버 자원에 대한 이용을 개시하라고 이동국(300)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이동국(300)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0)의 네트워크에 접속될 때, 또는 이동국(300)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0)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후, 또는 이동국(300)에 의해 곧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200)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때,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4의 단계 S340은 전술한 도2 또는 도3의 실시예의 제1 지시 정보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S350: 이동국(300)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이동국(300)이 해당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0) 및/또는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200)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4의 단계 S350은 전술한 도2 또는 도3의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또한,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이동국(300)의 고속 이동으로 인해, 이동국(300)이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200)의 커버리지 내에 점차 진입한 후, 이동국(300)이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200)에 대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하고,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200)에 의해 할당된 셀룰러 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200)도 유사하게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하고, 확정된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3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후속 과정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실행되는 과정과 유사하므로, 여기서 중복 서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은 V2X에서의 이동 단말일 수 있으며, 이로써 V2X 이동국의 이동이 예측 가능한 방향성을 갖는다는 특점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자원의 개념을 도입하고 사전에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에서 핸드오버 자원을 조정함으로써, V2X 이동국이 핸드오버가 필요한 시점에 해당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V2X 이동국이 핸드오버 전에 목표 셀(즉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을 설정하여, 핸드오버 중단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일 예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5에 도시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는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이며, 확정 유닛(101), 송신 유닛(102) 및 수신 유닛(103)이 포함된다.
확정 유닛(101)은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송신 유닛(102)은 상기 확정 유닛(101)에 의해 확정된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수신 유닛(103)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에 의해 핸드오버가 곧 수행됨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102)은 또한 제1 지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이동국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103)은 또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확정 유닛(101)은 또한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1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이 상기 확정 유닛(101)에서 확정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101)은 또한, 상기 이동국의 이동 궤적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고, 상기 이동국에 의해 피드백되는 측정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며, 상기 이동국의 이동 궤적과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할당된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새로운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 포맷을 통해 지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10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조정을 수행하여,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는, 물리적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블록의 위치 정보, 변조 및 코딩 방식의 정보,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 및 안테나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1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에 접속될 때,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후,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때,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102)은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103)은 또한,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통해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103)은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조정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통해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103)은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완전히 동일한 또는 완전히 상이한 물리적 자원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통해 송신되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103)은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국에 의해 송신되는 복수의 동일한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동일한 업링크 데이터 패킷 중의 하나의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업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으로 확정하고, 상기 업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 내의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102)은 또한,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102)은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조정을 수행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102)은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완전히 동일한 또는 완전히 상이한 물리적 자원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1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국이 복수의 동일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 중의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다운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으로 확정하고 상기 다운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 내의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복수의 동일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동기화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는 고정된 제1 타이밍 오프셋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이동국은 동기화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이동국 사이에는 고정된 제2 타이밍 오프셋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102)은 또한, 제2 지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동기화 정보, 상기 이동국의 속도 정보, 상기 이동국의 운동 궤적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여기서,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는, 물리적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블록의 위치 정보, 변조 및 코딩 방식의 정보,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 및 안테나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동기화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는 고정된 제1 타이밍 오프셋을 갖는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이동국은 동기화되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이동국 사이에는 고정된 제2 타이밍 오프셋을 갖는다.
유의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확정 유닛(101)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송신 유닛(102)은 송신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수신 유닛(103)은 수신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다른 일 예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1)에는 프로세서(111), 수신기(112), 송신기(113) 및 메모리(114)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14)는 상기 신호, 정보 등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111)에 의해 실행되는 코드 등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1) 내의 각 컴포넌트는 통신적으로 연결되는바, 예를 들어 프로세서(111), 메모리(114) 및 인터페이스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하고, 제어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한다.
도5에 도시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 또는 도6에 도시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1)은 전술된 도2 내지 도4의 방법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실현되는 각 과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일 예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7에 도시된 이동국(20)에는 획득 유닛(201), 송신 유닛(202) 및 통신 유닛(203)이 포함된다.
획득 유닛(201)은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송신 유닛(202)은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지시하기 위한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통신 유닛(203)은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국은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획득 유닛(201)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할 것을 상기 이동국에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유닛(203)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식별 정보와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도록,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자신이 곧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국이 확정하면,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포인트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국에는 또한, 자신의 이동 궤적에 따라, 곧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을 확정하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따라, 곧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확정하거나, 또는 자신의 이동 궤적과 이동 속도에 따라, 곧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확정 유닛이 더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할당된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새로운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 포맷을 통해 지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획득 유닛(201)에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국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신 서브 유닛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는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는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203)에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신되도록,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서브 유닛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서브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동시에 도달되도록,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통해, 예정된 순환 프리픽스(CP) 값을 적용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예정된 CP 값은 고정된 임계값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203)에는,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수신 서브 유닛이 더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203)에는 또한 확정 서브 유닛과 획득 서브 유닛이 더 포함되되, 상기 제2 수신 서브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복수의 동일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확정 서브 유닛은 상기 제2 수신 서브 유닛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복수의 동일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들 중의 하나를 다운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획득 서브 유닛은 상기 확정 서브 유닛에 의해 확정되는 상기 다운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 내의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국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동기화되거나, 또는 상기 이동국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는 고정된 제2 타이밍 오프셋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핸드오버 자원에는, 물리적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블록의 위치 정보, 변조 및 코딩 구성 정보,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 및 안테나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202)은 또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동기화 정보, 상기 이동국의 속도 정보, 상기 이동국의 운동 궤적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유의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획득 유닛(201), 수신 유닛(202), 획득 서브 유닛, 제1 수신 서브 유닛 및 제2 수신 서브 유닛은 수신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통신 유닛(203) 및 확정 서브 유닛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송신 서브 유닛은 송신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다른 일 예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국(21)에는 프로세서(211), 수신기(212), 송신기(213) 및 메모리(214)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214)는 상기 신호, 정보 등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211)에 의해 실행되는 코드 등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국(21) 내의 각 컴포넌트는 통신적으로 연결되는바, 예를 들어 프로세서(211), 메모리(214) 및 인터페이스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하고, 제어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한다.
도7에 도시된 이동국(20) 또는 도8에 도시된 이동국(21)은 전술된 도2 내지 도4의 방법 실시예에서 이동국에 의해 실현되는 각 과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집적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에 대한 처리 능력을 갖는다. 실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지령을 통해 완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소자, 이산 게이트 또는 다이오드 논리 소자,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실현하거나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도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직접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완성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 완성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레지스터 등 해당 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되고, 프로세서가 메모리 내의 정보를 판독하여 그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거나,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으며, 외부 캐시로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이지만 한정적이 아닌 설명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RAM을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화된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강화된 동기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이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이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시스템과 방법의 메모리에는 상기 메모리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해당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각 예시적인 유닛 또는 알고리즘 단계를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드웨어적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행할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 구속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전문가라면 각 특정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인정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설명상 편의와 간결을 위해 상기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해당 과정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더이상 서술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몇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다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응당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며,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분리는 단지 논리적 기능상의 분리에 불과하고 실제 구현 시에 다른 분리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부품은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이 생략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 또는 언급된 상호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도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상기에서 분리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즉 하나의 지점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 각 실시예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 유닛이 단독적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 내에 집적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인 또는 종래기술에 대해 공헌을 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 방안의 일부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이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하나의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약간의 지령이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가 포함된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치환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고, 이들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응당 청구항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80)

  1.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지시하기 위한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제1 지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제1 지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이 확정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기 전에,
    상기 이동국의 이동 궤적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 의해 피드백되는 측정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의 이동 궤적과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할당된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새로운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 포맷을 통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함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조정을 수행하여,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는, 물리적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블록의 위치 정보, 변조 및 코딩 방식의 정보,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 및 안테나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에 접속될 때,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후,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때,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함에 있어서,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또는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통해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통해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조정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통해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엑스트 포인트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완전히 동일한 또는 완전히 상이한 물리적 자원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통해 송신되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16.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통해 송신되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 송신되는 복수의 동일한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동일한 업링크 데이터 패킷 중의 하나의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업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으로 확정하고, 상기 업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 내의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조정을 수행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완전히 동일한 또는 완전히 상이한 물리적 자원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20. 청구항 18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21.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20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복수의 동일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 중의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다운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으로 확정하고 상기 다운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 내의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복수의 동일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2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1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동기화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는 고정된 제1 타이밍 오프셋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2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2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이동국은 동기화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이동국 사이에는 고정된 제2 타이밍 오프셋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2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제2 지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동기화 정보, 상기 이동국의 속도 정보, 상기 이동국의 운동 궤적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됨 -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25. 이동국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이,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지시하기 위한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에 따라 송신되는 제1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가 더 포함되며,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27. 청구항 25 또는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식별 정보와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도록,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28.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27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자신이 곧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자신의 이동 궤적에 따라, 곧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을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이동국이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따라, 곧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이동국이 자신의 이동 궤적과 이동 속도에 따라, 곧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30.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할당된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새로운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 포맷을 통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31.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30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32.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31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이동국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33.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32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는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는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34.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3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신되도록,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동시에 도달되도록,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통해, 예정된 순환 프리픽스(CP) 값을 적용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되, 상기 예정된 CP 값은 고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36.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3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복수의 동일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동일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들 중의 하나를 다운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 내의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38.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37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동기화되거나, 또는 상기 이동국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는 고정된 제2 타이밍 오프셋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39.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38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자원에는, 물리적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블록의 위치 정보, 변조 및 코딩 구성 정보,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 및 안테나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40.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39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동기화 정보, 상기 이동국의 속도 정보, 상기 이동국의 운동 궤적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41.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서,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확정 유닛;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 및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지시하기 위한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42.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제1 지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43. 청구항 41 또는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44.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이 상기 확정 유닛에서 확정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45. 청구항 44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상기 이동국의 이동 궤적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고,
    상기 이동국에 의해 피드백되는 측정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며,
    상기 이동국의 이동 궤적과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46. 청구항 42 또는 청구항 44 또는 청구항 45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할당된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새로운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 포맷을 통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47. 청구항 41 내지 청구항 46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48. 청구항 41 내지 청구항 47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의 조정을 수행하여,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49. 청구항 41 내지 청구항 48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는, 물리적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블록의 위치 정보, 변조 및 코딩 방식의 정보,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 및 안테나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50. 청구항 41 내지 청구항 49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에 접속될 때,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후,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때,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51. 청구항 41 내지 청구항 50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52. 청구항 41 내지 청구항 51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통해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53.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조정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통해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54. 청구항 53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완전히 동일한 또는 완전히 상이한 물리적 자원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통해 송신되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55. 청구항 53 또는 청구항 5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56. 청구항 42 내지 청구항 5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이동국에 의해 송신되는 복수의 동일한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동일한 업링크 데이터 패킷 중의 하나의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업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으로 확정하고, 상기 업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 내의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57. 청구항 41 내지 청구항 56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58. 청구항 57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조정을 수행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59. 청구항 58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완전히 동일한 또는 완전히 상이한 물리적 자원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60. 청구항 58 또는 청구항 5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61. 청구항 57 내지 청구항 60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이동국이 복수의 동일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 중의 하나의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다운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으로 확정하고 상기 다운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 내의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복수의 동일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62. 청구항 41 내지 청구항 61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동기화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는 고정된 제1 타이밍 오프셋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63. 청구항 41 내지 청구항 62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이동국은 동기화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이동국 사이에는 고정된 제2 타이밍 오프셋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64. 청구항 41 내지 청구항 6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제2 지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동기화 정보, 상기 이동국의 속도 정보, 상기 이동국의 운동 궤적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65. 획득 유닛, 송신 유닛 및 통신 유닛이 포함되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지시하기 위한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66. 청구항 65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이 더 포함되며,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67. 청구항 65 또는 청구항 66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식별 정보와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곧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것임을 확정하도록,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68. 청구항 65 내지 청구항 67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이동국이 자신이 곧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69. 청구항 68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자신의 이동 궤적에 따라, 곧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을 확정하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따라, 곧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국이 자신의 이동 궤적과 이동 속도에 따라, 곧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확정 유닛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70. 청구항 66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할당된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새로운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 포맷을 통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71. 청구항 65 내지 청구항 70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신호의 예비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지시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72. 청구항 65 내지 청구항 71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에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국이 곧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신 서브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73. 청구항 65 내지 청구항 72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는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거나, 또는
    상기 핸드오버 자원 구성 정보는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74. 청구항 65 내지 청구항 7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에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신되도록,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서브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75. 청구항 74에 있어서,
    상기 송신 서브 유닛은,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에 동시에 도달되도록,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통해, 예정된 순환 프리픽스(CP) 값을 적용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예정된 CP 값은 고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76. 청구항 65 내지 청구항 7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에는, 상기 핸드오버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수신 서브 유닛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77. 청구항 76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에는 또한, 확정 서브 유닛과 획득 서브 유닛이 더 포함되되,
    상기 제2 수신 서브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복수의 동일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확정 서브 유닛은 상기 제2 수신 서브 유닛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복수의 동일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들 중의 하나를 다운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획득 서브 유닛은 상기 확정 서브 유닛에 의해 확정되는 상기 다운링크 수신 데이터 패킷 내의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78. 청구항 65 내지 청구항 77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동기화되거나, 또는 상기 이동국과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는 고정된 제2 타이밍 오프셋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79. 청구항 65 내지 청구항 78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자원에는, 물리적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블록의 위치 정보, 변조 및 코딩 구성 정보,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 및 안테나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80. 청구항 65 내지 청구항 79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동기화 정보, 상기 이동국의 속도 정보, 상기 이동국의 운동 궤적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KR1020187014555A 2016-02-05 2016-12-27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이동국 KR201801134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6/073675 2016-02-05
PCT/CN2016/073675 WO2017132997A1 (zh) 2016-02-05 2016-02-05 用于切换的资源配置的方法、网络接入点以及移动台
PCT/CN2016/112422 WO2017133355A1 (zh) 2016-02-05 2016-12-27 用于切换的资源配置的方法、网络接入点以及移动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495A true KR20180113495A (ko) 2018-10-16

Family

ID=595000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838A KR102532195B1 (ko) 2016-02-05 2016-03-24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이동국
KR1020187014555A KR20180113495A (ko) 2016-02-05 2016-12-27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이동국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838A KR102532195B1 (ko) 2016-02-05 2016-03-24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이동국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4) US10667183B2 (ko)
EP (3) EP3367705B1 (ko)
JP (3) JP6968794B2 (ko)
KR (2) KR102532195B1 (ko)
CN (3) CN112601260B (ko)
CA (1) CA3019615C (ko)
HK (1) HK1251763A1 (ko)
IL (1) IL260116B (ko)
SG (1) SG11201808748UA (ko)
TW (3) TWI710260B (ko)
WO (3) WO2017132997A1 (ko)
ZA (1) ZA2018038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2997A1 (zh) * 2016-02-05 2017-08-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切换的资源配置的方法、网络接入点以及移动台
CN107613533B (zh) * 2017-09-12 2020-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Tcu切换方法、消息同步方法及装置
US10349429B1 (en) * 2017-12-17 2019-07-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frequency redir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EP3738344A4 (en) * 2018-01-10 2021-09-01 Lenovo (Beijing) Limited SELECTION OF A BASE UNIT IN RESPONSE TO A TRIGGERED FORWARDING CONDITION
CN110324872B (zh) * 2018-03-30 2022-03-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小区变换的方法和设备
US10602418B2 (en) 2018-06-11 2020-03-24 Google Llc Handover of a wireless connection based on uplink and downlink signal qualities
US20210019680A1 (en) * 2019-07-17 2021-01-21 Biosphere Aerospac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hysical assets across territorial boundaries
JP7400363B2 (ja) * 2019-11-08 2023-12-19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端末、基地局、及び通信方法
CN112954749B (zh) * 2019-12-11 2022-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切换方法及电子设备
US11368991B2 (en) 2020-06-16 2022-06-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prioritization of accessibility of media
US11233979B2 (en) 2020-06-18 2022-01-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collaborative monitoring of an event
US11411757B2 (en) 2020-06-26 2022-08-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predictive assisted access to content
US11184517B1 (en) 2020-06-26 2021-11-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collaborative camera field of view mapping
US11037443B1 (en) 2020-06-26 2021-06-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collaborative vehicle warnings
US11356349B2 (en) 2020-07-17 2022-06-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daptive resource allocation to facilitate device mobility and management of uncertainty in communications
US11768082B2 (en) 2020-07-20 2023-09-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predictive simulation of planned environment
US20230262550A1 (en) * 2020-08-05 2023-08-1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s for processing handover parameters, and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2095B2 (ko) 1971-10-18 1977-08-19
US20040058678A1 (en) * 2002-09-23 2004-03-25 Detorbal Rene Fernand Emile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handovers for a group of mobile radios
GB2431070B (en) * 2005-10-06 2008-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s
CN100461959C (zh) * 2006-03-24 2009-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高速移动终端的小区切换控制方法
RU2407228C2 (ru) * 2006-06-20 2010-12-20 Интердиджитал Текнолоджи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ы и система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передачи обслуживания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CN101179839A (zh) * 2006-11-07 2008-05-14 华为技术有限公司 异构网络切换方法、系统、终端及网络
JP5018068B2 (ja) * 2006-12-20 2012-09-05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無線基地局、移動局及びプログラム
CN101212791A (zh) * 2006-12-26 2008-07-0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用户设备接入网络设备的方法和系统
US8526953B2 (en) * 2007-03-12 2013-09-03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auxiliary handover command
JP2008278037A (ja) * 2007-04-26 2008-11-13 Sharp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および移動局装置
CN101316436A (zh) * 2007-05-30 2008-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通信系统中实现切换的方法、基站及移动台
MX2010003422A (es) 2007-10-01 2010-08-04 Motorola Inc Un metodo para asignar un identificador de solicitud de recursos temporal para tener acceso a una estacion base objetivo.
CN101431780B (zh) 2007-11-09 2010-12-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网络优化切换的方法、设备及系统
JP4930633B2 (ja) * 2008-03-10 2012-05-16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並びに通信方法
US8358624B1 (en) * 2008-11-13 2013-01-22 Clearwire Ip Holdings Llc Bidirectional uplink/downlink handoff
JP5383819B2 (ja) * 2008-12-05 2014-01-0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および装置
WO2010148532A1 (zh) 2009-06-22 2010-12-29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实现上行链路同步的方法及其设备
JP5232095B2 (ja) * 2009-07-24 2013-07-10 株式会社東芝 列車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101808087A (zh) 2010-02-24 2010-08-18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卡拉ok电视点歌系统及点歌方法
KR20110111790A (ko) * 2010-04-05 2011-10-12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시 요소반송파 정보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ES2897486T3 (es) * 2010-04-29 2022-03-01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s Res Inst Método de traspaso basado en agregación de portadoras
JP2012009945A (ja) * 2010-06-22 2012-01-12 Sharp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3004162A1 (zh) 2011-07-01 2013-01-1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设备及系统
US20130210422A1 (en) * 2011-08-12 2013-08-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or methods for providing mobility robustness in heterogeneous network and small cell deployments
CN102271374A (zh) * 2011-09-14 2011-12-07 北京邮电大学 一种基于目标小区预承载的td-lte通信系统的快速切换方法
US9288733B2 (en) 2011-09-23 2016-03-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ell selection in a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 based on primary direction of traffic flow
CN103188745A (zh) 2011-12-31 2013-07-03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无线接入能力上报和切换资源配置方法、装置和系统
KR101941505B1 (ko) 2012-02-15 2019-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기지국들이 협력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CN102625378B (zh) * 2012-02-29 2015-08-12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异构无线网络快速切换协议流程
US9497683B2 (en) 2012-07-24 2016-11-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CN104798392A (zh) 2012-09-12 2015-07-22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异构网络中的移动性控制的方法和设备
CN103874149B (zh) 2012-12-10 2020-06-09 索尼公司 无线通信网络中的移动切换管理方法、设备及系统
US20160037402A1 (en) * 2013-03-26 2016-02-0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chanism for a Fast Handover Using Resource Pools and Random Access Procedure
WO2014161161A1 (zh) 2013-04-02 2014-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不同无线接入网的切换方法及装置、系统
CN104521281A (zh) 2013-04-12 2015-04-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tti切换方法、基站及用户设备
WO2014196748A1 (ko) * 2013-06-04 2014-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의 동기화를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5130634A (ja) * 2014-01-09 2015-07-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5108215A1 (ko) 2014-01-17 2015-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저 우선순위 정보를 기반으로 한 통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20170041841A1 (en) 2014-02-28 2017-02-0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Techniques for rach (random access channel)-less synchronized handover for wireless networks
EP3120588B1 (en) * 2014-03-21 2017-10-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source address change indication
KR101881786B1 (ko) * 2014-05-09 2018-07-2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자원 선택 장치 및 통신 시스템
WO2015196382A1 (zh) 2014-06-25 2015-12-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预留方法、装置、接入点及网络服务器
WO2016002166A1 (ja) * 2014-06-30 2016-01-0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102238768B1 (ko) * 2014-07-17 2021-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동기화 장치 및 방법
EP3179822B1 (en) * 2014-08-05 2019-10-02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CN105338548A (zh) * 2014-08-06 2016-02-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设备到设备资源池配置方法、装置及系统
CN105338639A (zh) * 2014-08-08 2016-02-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对设备到设备资源池测量及上报的方法及设备
WO2016108456A1 (ko) * 2014-12-29 2016-07-07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70215117A1 (en) 2015-04-07 2017-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US10321358B2 (en) * 2015-05-22 2019-06-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07615815B (zh) * 2015-06-23 2020-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免授权传输的切换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17132997A1 (zh) * 2016-02-05 2017-08-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切换的资源配置的方法、网络接入点以及移动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53325A (zh) 2018-07-31
EP3866509A1 (en) 2021-08-18
JP2019507966A (ja) 2019-03-22
CA3019615A1 (en) 2017-08-10
EP3367705A1 (en) 2018-08-29
EP3364684A4 (en) 2019-03-13
US20200275328A1 (en) 2020-08-27
EP3367705A4 (en) 2019-05-15
IL260116A (en) 2018-07-31
CA3019615C (en) 2022-12-13
CN112601260B (zh) 2022-08-16
JP2019507967A (ja) 2019-03-22
TW201729621A (zh) 2017-08-16
TWI719125B (zh) 2021-02-21
TWI710260B (zh) 2020-11-11
JP6968794B2 (ja) 2021-11-17
US11350326B2 (en) 2022-05-31
CN108370493A (zh) 2018-08-03
ZA201803800B (en) 2019-02-27
HK1251763A1 (zh) 2019-02-01
TW201729620A (zh) 2017-08-16
KR102532195B1 (ko) 2023-05-11
JP6980656B2 (ja) 2021-12-15
US20210235335A1 (en) 2021-07-29
WO2017133063A1 (zh) 2017-08-10
EP3367705B1 (en) 2022-06-22
US10667183B2 (en) 2020-05-26
US20190014513A1 (en) 2019-01-10
TW201729622A (zh) 2017-08-16
US11012902B2 (en) 2021-05-18
CN112601260A (zh) 2021-04-02
CN108370493B (zh) 2020-12-22
KR20180111770A (ko) 2018-10-11
SG11201808748UA (en) 2018-11-29
JP2021078143A (ja) 2021-05-20
EP3364684A1 (en) 2018-08-22
CN108353325B (zh) 2021-07-16
IL260116B (en) 2021-10-31
EP3364684B1 (en) 2021-05-19
US20180332509A1 (en) 2018-11-15
WO2017132997A1 (zh) 2017-08-10
WO2017133355A1 (zh) 2017-08-10
TWI747874B (zh)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3495A (ko)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구성 방법,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및 이동국
CN106686647B (zh) 无线通信设备和无线通信方法
CN108271276B (zh) 处理系统间移动中的新无线连接的装置及方法
CN108990101B (zh) 处理双连接中次要节点改变的装置及方法
KR20190016940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US10524167B2 (en) Handover method and device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1194573A (zh) 对媒体接入控制层的控制单元进行确认的方法、装置和通信系统
WO2020164026A1 (zh) 随机接入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7730620A (zh) 用于建立共享n3隧道的系统和方法
KR2015004521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