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464A -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464A
KR20180112464A KR1020170043576A KR20170043576A KR20180112464A KR 20180112464 A KR20180112464 A KR 20180112464A KR 1020170043576 A KR1020170043576 A KR 1020170043576A KR 20170043576 A KR20170043576 A KR 20170043576A KR 20180112464 A KR20180112464 A KR 20180112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te
impression material
material composition
wax
catalyst p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형주
문초은
문채은
Original Assignee
문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형주 filed Critical 문형주
Priority to KR1020170043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2464A/ko
Publication of KR20180112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464A/ko

Links

Classifications

    • A61K6/10
    • A61K6/0276
    • A61K6/06
    • A61K6/0612
    • A61K6/093

Landscapes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은 점도 조절제, 실록산계 화합물, 충진제 및 지연제를 포함하는 베이스 페이스트; 및 실록산계 화합물, 충진제, 지연제, 가교제 및 색소를 포함하는 촉매 페이스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TWO COMPONENT TYPE DENTAL IMPRESSION MATERIAL COMPOSITION}
본 발명은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인상재는 구강 내 구강조직의 인상을 채득할 때 사용하는 재료이다. 이러한 인상재는 환자의 구강에 적용되는 물질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높은 안전성이 필요하다. 또한, 치아나 조직을 정밀하게 복제할 수 있고, 불쾌한 맛, 냄새, 독성, 자극성 및 알러지 반응이 없어야 하며, 적당한 흐름성, 탄성 및 크기 변화에 대한 안정성이 필요하다. 구강 내에서 제거할 때 찢김이나 영구변형에 저항할 수 있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소독 후 크기 변화나 물리적 변화가 없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인상재는 모형재와 친화성이 우수하고, 충분한 작업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보관이 용이하며 변색에 강해야 한다.
이러한 치과용 인상재는 크게는 탄성 인상재와 비탄성 인상재 및 가역성과 비가역성 인상재로 분류할 수 있다. 그 중, 탄성 인상재는 구강 내 치관 주위나 함몰 부위를 원래 형태로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으므로 유/무치악 인상채득에 효과적이다. 또한, 이러한 탄성 인상재는 주로 하이드로콜로이드 인상재와 고무 인상재로 분류된다. 이러한 하이드로콜로이드 인상재는 충분한 강도와 탄성 변형을 갖추고 있지만, 체적의 대부분이 수분이기 때문에 수분이 소실되면 수축되고 수분이 공급되면 팽창되므로 인상재의 크기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고무 인상재는 합성고무로 만든 탄성이 우수한 정밀 인상재로, 비교적 체적 변화가 안정되어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치과용 인상재는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충족해야 하고, 저렴한 재료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환자의 구강에서 인상재를 적출하는 과정 중, 탄성이 부족한 경우에 환자가 불편을 호소할 수 있고, 인열강도 및 인장강도가 낮은 경우에는 인상재가 쉽게 찢어져 정밀한 인상 제작의 어려움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점도 및 탄성이 우수하여 정밀한 인상 제작이 가능한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도 조절제, 실록산계 화합물, 충진제 및 지연제를 포함하는 베이스 페이스트; 및 실록산계 화합물, 충진제, 지연제, 가교제 및 색소를 포함하는 촉매 페이스트;를 포함하는,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촉매 페이스트는, 점도 조절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점도 조절제는, 각각, 페트롤라텀(petrolatum), 파라핀계 왁스, 칸드릴라 왁스, 카나우바 왁스, 일본 왁스, 아프리카띠 왁스, 코르크 왁스, 구아루마 왁스, 쌀 오일 왁스, 사탕 수수 왁스, 오우리큐리 왁스, 몬탄 왁스, 비즈 왁스, 셀락 왁스, 경랍, 라놀린, 우지 지방, 세라신 및 지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점도 조절제는, 각각,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 0.5 중량% 내지 1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실록산계 화합물은, 각각,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메틸비닐실록산, 폴리비닐실록산 및 폴리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실록산계 화합물은, 각각,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 20 중량% 내지 3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충진제는, 각각, 무기 필러, 유기 필러 또는 이 둘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 필러는, 크리스토발라이트(cristobalite), 규조토(kieselguhr, soda ash flux-calcined), 결정성 천연 실리카,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바륨 알루미늄 실리케이트(barium aluminum silicate), 스트론튬 알루미늄 실리케이트(strontium aluminum silicate), 실리케이트 디알루미늄 소듐(silicate dialuminium sodium), 카올린(kaolin), 탈크(talc), 규산바륨 유리, 규산스트론튬 유리, 보레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유리(borate aluminum silicate glass), 포스페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유리(phosphate aluminum silicate glass), 플루오르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fluor aluminum silicate glass), 글라스비드(glass bead), 규산칼슘, 규산지르코늄, 규산나트륨알루미늄, 알루미늄 하이드레이트, 알루미늄 트리하이드레이트(ATH),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벤토나이트(bentonite), 분자 시브(molecular sieve)를 포함하는 제올라이트(zeolite), 아파타이트(apatide) 및 나노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충진제는, 각각,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 40 중량% 내지 6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지연제는, 각각,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테트라비닐테트라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지연제는, 각각,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 0.05 중량% 내지 3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가교제는, 분자쇄 말단에 수소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자쇄 말단에 수소기를 포함하는 폴리메틸실록산은, 폴리메틸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 폴리메틸실록산 하이드로겐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가교제는,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 0.1 중량% 내지 5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색소는, 상기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중 0.05 중량% 내지 2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가 혼합되는 부가중합형 2액형 페이스트이고,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의 중량비가 1 : 10 내지 10 : 1인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의 혼합 직후 점도는 500 cPs 내지 10,000 cPs의 범위인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은 경화 후 인열강도가 5 N/mm 내지 20 N/mm이고, 인장강도가 1 N/mm2 내지 20 N/mm2이고, 변형회복율이 95%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은 점도 조절제를 포함함으로써, 인상재의 물성을 조절할 수 있고, 인열강도, 인장강도 및 탄성을 향상시켜 정밀한 인상 제작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 및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도 조절제, 실록산계 화합물, 충진제 및 지연제를 포함하는 베이스 페이스트(base paste); 및 실록산계 화합물, 충진제, 지연제, 가교제 및 색소를 포함하는 촉매 페이스트(catalyst paste);를 포함하는,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은 점도 조절제를 포함함으로써, 인상재의 물성을 조절할 수 있고, 인열강도, 인장강도 및 탄성을 향상시켜 정밀한 인상 제작이 가능하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촉매 페이스트는, 점도 조절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점도 조절제는, 각각, 페트롤라텀(petrolatum), 파라핀계 왁스, 칸드릴라 왁스, 카나우바 왁스, 일본 왁스, 아프리카띠 왁스, 코르크 왁스, 구아루마 왁스, 쌀 오일 왁스, 사탕 수수 왁스, 오우리큐리 왁스, 몬탄 왁스, 비즈 왁스, 셀락 왁스, 경랍, 라놀린, 우지 지방, 세라신 및 지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점도 조절제는, 페트롤라텀을 포함할 수 있으며, 페트롤라텀을 포함한 다른 물질, 예를 들어, 페트롤라텀 및 파라핀계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점도 조절제는, 각각,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 0.5 중량% 내지 1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점도 조절제가, 각각,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 0.5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의 점도가 낮아 인상재의 충분한 물성을 구현하기 어렵고, 10 중량% 초과인 경우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연화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실록산계 화합물은, 각각,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메틸비닐실록산, 폴리비닐실록산 및 폴리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실록산계 화합물은, 각각,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 20 중량% 내지 3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실록산계 화합물이, 각각,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 20 중량% 미만인 경우 유연성이 부족하게 되어 정확한 인상을 채득하기 어렵게 되고, 30 중량% 초과인 경우 과도한 유연성 때문에 기계적 물성이 낮아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충진제는, 상기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충진제는, 각각, 무기 필러, 유기 필러 또는 이 둘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 필러는, 크리스토발라이트(cristobalite), 규조토(kieselguhr, soda ash flux-calcined), 결정성 천연 실리카,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바륨 알루미늄 실리케이트(barium aluminum silicate), 스트론튬 알루미늄 실리케이트(strontium aluminum silicate), 실리케이트 디알루미늄 소듐(silicate dialuminium sodium), 카올린(kaolin), 탈크(talc), 규산바륨 유리, 규산스트론튬 유리, 보레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유리(borate aluminum silicate glass), 포스페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유리(phosphate aluminum silicate glass), 플루오르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fluor aluminum silicate glass), 글라스비드(glass bead), 규산칼슘, 규산지르코늄, 규산나트륨알루미늄, 알루미늄 하이드레이트, 알루미늄 트리하이드레이트(ATH),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벤토나이트(bentonite), 분자 시브(molecular sieve)를 포함하는 제올라이트(zeolite), 아파타이트(apatide) 및 나노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충진제는, 크리스토발라이트, 규조토, 실리케이트 디알루미늄 소듐 및 알루미늄 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충진제는, 각각,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 40 중량% 내지 6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충진제가, 각각,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 40 중량% 미만인 경우 기계적 물성이 매우 낮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60 중량% 초과인 경우 흐름성이 너무 낮아서 치아의 변연부위로 흘러 들어 가지 못하게 되어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지연제는, 인상 채득 시 충분한 작업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지연제의 점도는, 4 cPs 내지 500 cPs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지연제는, 각각,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테트라비닐테트라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연제는, 비닐기의 함량이 1.5 mmole/g 내지 15 mmole/g인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지연제는, 각각,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 0.05 중량% 내지 3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지연제가, 각각,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 0.05 중량% 미만인 경우 인상 채득 시 충분한 작업시간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고, 3 중량% 초과인 경우 경화속도가 너무 느리게 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가교제는, 분자쇄 말단에 수소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자쇄 말단에 수소기를 포함하는 폴리메틸실록산은, 폴리메틸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 폴리메틸실록산 하이드로겐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가교제는,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 0.1 중량% 내지 5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 0.1 중량% 미만인 경우 경화속도가 너무 느리게 되고, 가교밀도(degree of cross-linking)가 낮아져서 찢김과 인장강도가 약하게 되고, 5 중량% 초과인 경우 가교밀도가 너무 높아져서 탄성이 부족한 취약한 물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색소는, 구강 내에서 치과용 인상재를 육안으로 구별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색소는, 식용색소 바이올렛 23호 (carhazole violet), 식용색소 청색 1호 알루미늄레이크, 식용색소 청색 2호 알루미늄레이크, 식용색소 적색 2호 알루미늄레이크 및 식용색소 적색 40호 알루미늄레이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색소는, 상기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중 0.05 중량% 내지 2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색소가 상기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중 0.05 중량% 미만인 경우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색상이 발현되지 않을 수 있고, 2 중량% 초과인 경우 추가에 따른 이점 없이 제조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도 항균제를 더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균제는,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트리클로산(trichlosan)를 포함하는 유기 항균제; 프로폴리스, 티트리, 버가모트, 라벤더, 로즈마리, 주니퍼베리, 편백, 싸이프러스 및 씨더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식물 유래 천연오일인 천연 항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항균제와 천연 항균제를 함께 사용하면, 낮은 농도에서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는 상승효과(synergetic effect)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치과형 인상재 조성물은 (a) 폴리메틸실록산 15 중량% 내지 25 중량%, 실리케이트 디알루미늄 소듐 5 중량% 내지 15 중량%, 알루미늄 하이드레이트 5 중량% 내지 15 중량%, 규조토 2 중량% 내지 5 중량%, 크리스토발라이트 45 중량% 내지 55 중량%, 페트롤라텀 3 중량% 내지 8 중량%, 파라핀 0.01 중량% 내지 2 중량% 및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0.05 중량% 내지 0.5 중량%를 포함하는 베이스 페이스트; 및 (b) 폴리메틸실록산 15 중량% 내지 25 중량%, 실리케이트 디알루미늄 소듐 5 중량% 내지 15 중량%, 알루미늄 하이드레이트 5 중량% 내지 15 중량%, 규조토 2 중량% 내지 5 중량%, 크리스토발라이트 45 중량% 내지 55 중량%, 페트롤라텀 3 중량% 내지 8 중량%, 파라핀 0.01 중량% 내지 2 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 1 중량% 내지 2.5 중량%, 폴리메틸실록산 하이드로겐 0.01 중량% 내지 2 중량% 및 색소 바이올렛 23 (Carhazole violet) 0.01 중량%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촉매 페이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가 혼합되는 부가중합형 2액형 페이스트이고,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의 중량비가 1 : 10 내지 10 : 1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요구되는 인상재의 충분한 물성을 구현하기 어렵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의 혼합 직후 점도는 500 cPs 내지 10,000 cPs의 범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의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의 혼합 직후, 즉, 사용 중 혼합 후 경화가 진행되기 전의 점도이다. 상기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의 점도가 500 cP 미만인 경우 인상재의 기계적 강도가 취약할 수 있으며, 치과용 인상재 제거 시 치과용 인상재가 찢어질 수 있고, 10,000 cPs 초과인 경우 인상재가 함몰 부위의 미세한 부분까지 침투하기 어려울 수 있다. 치아에 인상재 조성물이 토출된 직후의 점도가 상기 범위여야 흘러내리지 않아서 효과적인 인상 채득이 가능하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은 경화 후 인열강도가 5 N/mm 내지 20 N/mm이고, 인장강도가 1 N/mm2 내지 20 N/mm2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열강도는 ASTM D1938 (Standard Test Method for Tear-Propagation Resistance (Trouser Tear) of Plastic Film and Thin Sheeting by a Single-Tear Method)에 의거하여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장강도는 ASTM D1238 (Standard Test Method for Melt Flow Rates of Thermoplastics by Extrusion Plastometer)에 의거하여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2액형 치과용 인상재의 인열강도가 5 N/mm 미만이고, 인장강도가 1 N/mm2 미만인 경우 치과용 인상재가 쉽게 찢어질 수 있고, 상기 2액형 치과용 인상재의 인열강도가 20 N/mm 초과이고, 인장강도가 20 N/mm2 초과인 경우 치과용 인상재의 적출 시 환자가 고통을 호소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은 경화 후 변형회복율이 95%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변형회복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환자가 불편을 호소할 수 있고, 구강 내 치관 주위나 함몰 부위를 원래 형태로 정확하게 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폴리메틸실록산 20 중량%, 실리케이트 디알루미늄 소듐 10 중량%, 알루미늄 하이드레이트 10 중량%, 규조토 3.9 중량%, 크리스토발라이트 50 중량%, 페트롤라텀 5 중량%, 파라핀 1 중량% 및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0.1 중량%를 혼합하여 베이스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폴리메틸실록산 20 중량%, 실리케이트 디알루미늄 소듐 9 중량%, 알루미늄 하이드레이트 10 중량%, 규조토 3 중량%, 크리스토발라이트 50 중량%, 페트롤라텀 4.4 중량%, 파라핀 1 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 1.8 중량%, 폴리메틸실록산 하이드로겐 0.6 중량% 및 색소 바이올렛 23 (Carhazole violet) 0.2 중량%를 혼합하여 촉매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베이스 페이스트 및 촉매 페이스트를 각각 탈포 공정을 수행한 후, 듀얼 타입 시린지(dual type syringe)에 각각의 페이스트를 충진 하였다. 듀얼 타입 시린지에 팁(tip)을 결합한 후, 건(gun)에 장착하고, 상기 건의 방아쇠를 당겨 베이스 페이스트 및 촉매 페이스트가 1:1 비율로 팁에서 혼합되며 주입되도록 하였다. 상기 혼합된 페이스트를 일정시간 경화시켜 치과용 인상재를 제조하였다.
<치과용 인상재의 특성 측정>
경화시간 측정
내경 12.5±0.05 mm, 높이 20±0.2 mm인 분리형 금속 몰드에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을 넣고, 35±1℃에서 적절히 경화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경화가 종료되었을 때, 몰드에서 시편을 분리한 후 압축변형율 측정기에 올려 다이얼게이지 눈금을 영점(H1=0)으로 조절하고, 60초 후 전체 응력을 12.25 N이 되도록 가하였다. 15초 간격으로 총 30초 내에 가한 후 30초 후에 눈금(H2)을 읽었다. 측정된 값을 하기의 식에 대입하여 경화시간을 계산하였다.
100%×(1-[(H1-H2)/D] )= P(%)
상기 식에서, (H1-H2)는 마지막 게이지상의 눈금이고, D는 시편의 높이로 20 mm이다. 3회 반복 실험한 P의 결과값이 모두 99% 이상인 경우를 경화시간으로 설정하였다.
점도 측정
점도의 측정은,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0.5 ml를 유리판 상의 폴리에틸렌 필름 위에 올린 후, 다른 유리판으로 필름을 덮었다. 5초 동안 14.7 N의 하중을 가한 후, 15분 동안 실온에서 경화시켰다. 이후 장축과 단축의 지름을 측정하여 평균을 계산하였다.
변형회복율 측정
고무인상재 규격인 ISO4823:2000(Dentistry-Elastomeric impression materials)에 따라 변형회복률 시험을 시행하였다. 변형회복률 측정기를 작동하여 치과용 인상재를 6 mm로 변형시키고, 하중을 제거한 후에는 110초 동안 이완시킨 다음 눈금을 기록하였다.
인장강도 측정법
인장강도 실험은 ASTM D1238(Standard Test Method for Melt Flow Rates of Thermoplastics by Extrusion Plastometer)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인열강도 측정법
인열강도는 일정한 길이를 찢는데 요구되는 에너지를 나타낸 것으로, ASTM D1938(Standard Test Method for Tear-Propagation Resistance (Trouser Tear) of Plastic Film and Thin Sheeting by a Single-Tear Method)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하기 표 1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치과용 인상재의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의 경화시간, 점도, 치과용 인상재의 변형회복율, 인열강도 및 인장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경화 시간 (sec) 195
점도 (cPs) 6,000
변형회복율 (%) 99.35
인열강도 (N/mm) 8.56
인장강도 (N/mm2) 2.55
본 발명의 베이스 페이스트 및 촉매 페이스트 모두에 점조 조절제로서, 페트롤라텀(petrolatum) 및 파라핀을 포함함으로써,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이 인상으로 경화되기까지의 경화 시간이 적정하고, 점도가 적정하여 연화 작업이 쉬웠으며, 치과용 인상재의 경우, 인열강도, 인장간도, 변형회복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은 정밀한 인상 제작이 가능하면서도,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6)

  1. 점도 조절제, 실록산계 화합물, 충진제 및 지연제를 포함하는 베이스 페이스트; 및
    실록산계 화합물, 충진제, 지연제, 가교제 및 색소를 포함하는 촉매 페이스트;
    를 포함하는,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페이스트는, 점도 조절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점도 조절제는, 각각, 페트롤라텀(petrolatum), 파라핀계 왁스, 칸드릴라 왁스, 카나우바 왁스, 일본 왁스, 아프리카띠 왁스, 코르크 왁스, 구아루마 왁스, 쌀 오일 왁스, 사탕 수수 왁스, 오우리큐리 왁스, 몬탄 왁스, 비즈 왁스, 셀락 왁스, 경랍, 라놀린, 우지 지방, 세라신 및 지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점도 조절제는, 각각,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 0.5 중량% 내지 10 중량%인 것인,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실록산계 화합물은, 각각,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메틸비닐실록산, 폴리비닐실록산 및 폴리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실록산계 화합물은, 각각,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 20 중량% 내지 30 중량%인 것인,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충진제는, 각각, 무기 필러, 유기 필러 또는 이 둘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 필러는, 크리스토발라이트(cristobalite), 규조토(kieselguhr, soda ash flux-calcined), 결정성 천연 실리카,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바륨 알루미늄 실리케이트(barium aluminum silicate), 스트론튬 알루미늄 실리케이트(strontium aluminum silicate), 실리케이트 디알루미늄 소듐(silicate dialuminium sodium), 카올린(kaolin), 탈크(talc), 규산바륨 유리, 규산스트론튬 유리, 보레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유리(borate aluminum silicate glass), 포스페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유리(phosphate aluminum silicate glass), 플루오르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fluor aluminum silicate glass), 글라스비드(glass bead), 규산칼슘, 규산지르코늄, 규산나트륨알루미늄, 알루미늄 하이드레이트, 알루미늄 트리하이드레이트(ATH),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벤토나이트(bentonite), 분자 시브(molecular sieve)를 포함하는 제올라이트(zeolite), 아파타이트(apatide) 및 나노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충진제는, 각각,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 40 중량% 내지 60 중량%인 것인,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지연제는, 각각,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테트라비닐테트라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것인,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의 지연제는, 각각,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 0.05 중량% 내지 3 중량%인 것인,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분자쇄 말단에 수소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자쇄 말단에 수소기를 포함하는 폴리메틸실록산은, 폴리메틸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 폴리메틸실록산 하이드로겐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것인,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상기 촉매 페이스트 중 0.1 중량% 내지 5 중량%인 것인,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는, 상기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중 0.05 중량% 내지 2 중량%인 것인,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가 혼합되는 부가중합형 2액형 페이스트이고, 상기 베이스 페이스트 및 상기 촉매 페이스트의 중량비가 1 : 10 내지 10 : 1인 것인,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의 혼합 직후 점도는 500 cPs 내지 10,000 cPs의 범위인 것인,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은 경화 후 인열강도가 5 N/mm 내지 20 N/mm이고, 인장강도가 1 N/mm2 내지 20 N/mm2이고, 변형회복율이 95% 이상인 것인,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KR1020170043576A 2017-04-04 2017-04-04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KR20180112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576A KR20180112464A (ko) 2017-04-04 2017-04-04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576A KR20180112464A (ko) 2017-04-04 2017-04-04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464A true KR20180112464A (ko) 2018-10-12

Family

ID=63876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576A KR20180112464A (ko) 2017-04-04 2017-04-04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24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2476B2 (en) Dental retraction composition, production thereof and use of a powder jet device for dental retraction
AU637449B2 (en) Blended polycaprolactone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
JPS6261909A (ja) 熱可塑性歯科充填用組成物
US9044288B2 (en) Polyvinylsiloxane based curable dental retraction composition
US10080708B2 (en) Glass ionomer cement, process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US8980973B2 (en) Siloxane compounds containing composition, method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BR112012012805B1 (pt) Composição endodôntica de selagem, kit e método de produção da mesma
Surapaneni et al. Polyvinyl siloxanes in Dentistry: An Overview.
JP6196522B2 (ja) 光透過性を有する硬化性シリコーン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硬化性樹脂成型物の作製方法
KR101674067B1 (ko) 우수한 스캐닝 성능 및 기계적 물성을 갖는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치과용 인상재
KR20180112464A (ko) 2액형 치과용 인상재 조성물
WO2019188919A1 (ja) 歯科用成形体及び歯科用樹脂材料
Al-Azawi et al. The Effect of Silver-Zinc Zeolite Incorporation on Some Properties of Condensation Silicone Impression Material
KR101458797B1 (ko)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치과용 인상재
JP5253251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保護材
Sharma et al. Alginate-based bionanocomposites in dental applications
JP4132809B2 (ja) 根管充填用グラスアイオノマー系シーラー組成物
Janda Dental Resins, Material Science & Technology: Basic Level
Janda Basic Level of Dental Resins-Material Science & Technology: 2nd Version
DE1620891A1 (de) Polymerisationskunststoffmasse zur Herstellung von Zahnprothesenunterfuetterungen,Zahnzementen,Zahnprothesenreparaturmaterialien,Zahnfuellungen,Abdruckmaterialien,insbesondere fuer nichtbezahnten Kiefer,Abdruckloeffel,Aufbissschienen,Wundverbaenden in der Mundhoehle und Basisplatten
El-Kartia An Evaluation of the Effect of Impression Materials on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Fitting Surface of Dentures With Acrylic Resin Bases: A Cross Over Randomised Clinical Trial
CN109453038A (zh) 一种用于牙科印膜的热塑性组合物、其制备方法和应用
Kafalias Elastic Impression Materials Their Techniques And Methods Of Obtaining Dies And Casts In Crown And Bridgework
Shih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crylic Denture Base Materials After Processing and Reprocessing
US20140134572A1 (en) Polymeric Material for Taking a Dental Impression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