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377A - 압축기 전원단자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압축기 전원단자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377A
KR20180112377A KR1020170043218A KR20170043218A KR20180112377A KR 20180112377 A KR20180112377 A KR 20180112377A KR 1020170043218 A KR1020170043218 A KR 1020170043218A KR 20170043218 A KR20170043218 A KR 20170043218A KR 20180112377 A KR20180112377 A KR 20180112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erminal
compressor
cover
main body
machin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687B1 (ko
Inventor
문경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3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687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본체의 측면에 상기 압축기본체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장착되는 전원단자본체; 및 상기 전원단자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전원단자를 덮는 전원단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단자커버는, 상기 전원단자본체의 측면 테두리부를 감싸는 측면부; 상기 측면부를 덮도록 상기 전원단자커버의 정면을 형성하는 정면부; 및 상기 정면부와 측면부를 연결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부의 상측과 하측은 곡률이 서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압축기 전원단자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압축기의 형상 변경 및 터미널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상대물인 기계실 커버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기 전원단자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POWER TERMINAL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축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압축기 전원단자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보관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
냉장고의 내부에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일부가 구비되는 기계실이 형성된다.
기계실 내부에는 냉매의 압축을 위한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액체 상태로 냉각하는 응축기와, 공기를 응축기로 강제 송풍하여 응축기를 냉각하는 응축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압축기로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이 압축기의 일측에 설치되고, 터미널에 압축기로 전류를 인가하는 전장품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미널에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가 결합될 수 있다. PTC는 상기 압축기로 공급되는 외부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압축기의 동작에 의해 온도가 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게 되어 상기 압축기로 공급되는 전류를 단속한다. PTC와 같은 전장품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터미널에는 전장품을 감싸는 전원단자커버가 더 결합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특허문헌 공개특허 10-2010-0001080호는 압축기의 터미널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냉장고의 압축기에 결합되는 전장품이 터미널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압축기의 진동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압축기로 안정적으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계실 내부에 수용된 압축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기계실 외측에서 압축기의 측면을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종래의 압축기(1)는 위에서 봤을 때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터미널 및 전장품을 감싸는 전원단자커버(2)가 압축기(1)의 측면 일측에서 기계실(3)의 왼쪽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압축기(1) 형상이 타원형 형상에서 기계실(3)의 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변경될 경우에 터미널 및 전원단자커버의 설치 위치가 기계실 커버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고, 이 경우 종래의 전원단자커버는 기계실 커버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만약, 전원단자커버와 기계실 커버가 서로 간섭되면, 기계실 커버를 닫을 때 전원단자커버와 기계실 커버가 닿음으로 전원단자커버에 충격이 가해져 전원단자커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원단자커버는 기계실 커버와 접촉될 경우에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이 기계실 커버로 전달되어 소음 및 진동이 증폭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압축기의 형상 변경 및 터미널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상대물인 기계실 커버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압축기 전원단자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압축기 형상 변경에 따른 소음 및 진동 상승의 최소화할 수 있는 압축기 전원단자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전원단자커버의 모서리에 비대칭 곡률을 적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전원단자커버의 두께 보강을 통해 공진점을 회피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전원단자는, 압축기본체의 측면에 상기 압축기본체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장착되는 전원단자본체; 및 상기 전원단자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전원단자를 덮는 전원단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단자커버는, 상기 전원단자본체의 측면 테두리부를 감싸는 측면부; 상기 측면부를 덮도록 상기 전원단자커버의 정면을 형성하는 정면부; 및 상기 정면부와 측면부를 연결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부의 상측과 하측은 곡률이 서로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기본체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단자본체 및 전원단자커버는 각각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단자본체 및 전원단자커버는 각각 상기 압축기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정면부의 상부에서 상기 측면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모서리부와, 상기 정면부의 하부에서 상기 측면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모서리부의 곡률반경이 상기 상부 모서리부보다 더 클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본체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을 구비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홀은 상기 정면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부에 두께방향으로 두껍게 더 돌출 형성되는 진동저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저감부는, 상기 측면부 중 상부 측면에서 우측 측면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제1진동저감부; 및 상기 측면부 중 좌측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진동저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부 중 상부 측면에 좌우측 측면부 또는 하부 측면부보다 상기 압축기본체의 측면을 향하여 더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정면부의 내면에 십자 형태로 형성되는 제1보강부; 및 상기 제1보강부의 중앙에 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정면부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원단자본체와 상기 전원단자커버의 결합을 위한 한 쌍의 안내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부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원단자본체와의 체결을 위한 로킹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로킹돌기는, 상기 측면부의 내면 중 왼쪽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로킹돌기; 및 상기 측면부의 내면 중 상부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로킹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고본체; 상기 냉장고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을 덮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는 기계실 커버;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수용되고, 길이방향 중심축이 수평하게 배치되는 압축기본체; 및 정면이 상기 기계실 커버를 향해 배치되도록 상기 압축기본체의 측면에 장착되는 압축기 전원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전원단자는, 상기 압축기본체의 측면에 상기 압축기본체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장착되는 전원단자본체; 및 상기 전원단자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전원단자를 덮는 전원단자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와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단자커버는, 상기 전원단자본체의 측면 테두리부를 감싸는 측면부; 상기 측면부를 덮도록 상기 전원단자커버의 정면을 형성하는 정면부; 및 상기 정면부와 측면부를 연결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부의 상측과 하측은 곡률이 서로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압축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장품을 감싸도록 구성된 전원단자커버의 상부 모서리 및 하부 모서리의 곡률을 비대칭으로 설계하여, 즉 상부 모서리보다 하부 모서리를 곡률반경이 더 크게 함으로써, 압축기의 형상 변경 및 터미널의 위치 변경에 따른 전원단자커버와 이의 상대물인 기계실 커버 사이의 공간거리를 확보하여 전원단자커버와 기계실 커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원단자커버와 전원단자본체의 조립 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전원단자커버의 두께를 보강하여 공진점을 회피함으로써,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계실 내부에 수용된 압축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계실 외측에서 압축기의 측면을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에 전원단자가 설치된 모습을 위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전원단자커버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전원단자커버의 내측면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정면, 우측면, 하부면, 좌측면 및 상부면을 각각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전원단자커버와 전원단자본체가 제1로킹돌기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6에서 전원단자커버와 전원단자본체가 제2로킹돌기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압축기 전원단자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13)에 전원단자가 설치된 모습을 위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10), 도어, 기계실(11), 냉동 사이클 시스템을 포함한다.
냉장고 본체(10)는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냉장고 본체(10)의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되어, 음식물 등을 저장실에 냉장 및 냉동 보관할 수 있다.
도어는 냉장고 본체(10)의 전방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저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
냉장고 본체(10)의 하부에 기계실(11)이 형성될 수 있다. 기계실(11) 내부에 압축기(13), 응축팬(15) 등이 수용될 수 있다. 기계실(11)은 냉장고 본체(10)의 후면 하부에 설치되고, 기계실(11)을 덮어 내부 부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냉동 사이클 시스템은 압축기(13), 응축기(14), 팽창장치 및 증발기 등을 포함하여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저장실 내부로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축기(13)는 원통 형태일 수 있다. 원통 형태의 압축기(13)는 길이방향의 중심축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3)는 기계실(11)의 측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3)의 측면, 원통형 압축기(13)의 외주면 일측에 압축기 전원단자(20)가 설치되어, 압축기(13) 내부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압축기(13)는 압축기본체(131) 및 압축기(13)구를 포함한다. 압축기본체(131)는 원통형으로 압축기(13)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압축기(13)구는 압축기본체(131)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압축기(13)는 리니어 타입의 압축기(13)로 구성될 수 있다.
응축팬(15)은 외부의 공기를 기계실(11)로 흡입하여 응축기(14) 및 압축기(13)로 전달함으로써 응축기(14) 및 압축기(13)를 냉각할 수 있다.
압축기 전원단자(20)는 대략적으로 높이가 낮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압축기 전원단자(20)는 압축기본체(131)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압축기본체(131)의 외주면에 비스듬하게 장착될 수 있다.
압축기 전원단자(20)는 전원단자본체(21) 및 전원단자커버(23)를 포함한다.
전원단자본체(21)는 상방향으로 개방되고 상하좌우 측면과 배면이 막힌 박스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단자커버(23)는 하방향으로 개방되고 상하좌우 측면과 전방면이 막힌 박스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단자본체(21)는 전원단자커버(23)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전원단자커버(23)는 전원단자본체(21)를 감싸고 측면부(231)끼리 포개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전원단자본체(21)의 배면은 압축기본체(131)의 외주면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배치되되, 압축기본체(131)의 중심축을 지나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전원단자본체(21)의 내부에 터미널(22)이 구비되고, 터미널(22)은 외부의 전원을 압축기(13) 내측의 압축기(13)구 등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터미널(22)에는 PTC 등과 같은 전장품이 결합될 수 있다. 터미널(22)에는 압축기(13)구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하네스가 연결될 수 있다. 하네스가 압축기본체(131) 내측으로 연결되도록 전원단자본체(21)의 배면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 전원단자커버(23)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전원단자커버(23)의 내측면을 보여주는 배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정면, 우측면, 하부면, 좌측면 및 상부면을 각각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전원단자커버(23)는 측면부(231), 정면부(232) 및 모서리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측면부(231)는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며 전원단자커버(23)의 사방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4개의 측면부(231) 각각은 전원단자본체(21)의 측면 테두리부를 감싸도록 두께방향으로 측면 테두리부와 각각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측면부(231)는 전원단자커버(23)의 상부 측면, 우측 측면, 하부 측면, 좌측 측면을 각각 형성하는 상부 측면부(231a), 우측 측면부(231b), 하부 측면부(231c) 및 좌측 측면부(23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측면부(231a), 우측 측면부(231b), 하부 측면부(231c) 및 좌측 측면부(231d) 각각은 일정한 곡률의 곡면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정면부(232)는 한 개의 평면 형태로 측면부(231)를 덮도록 구성되고, 전원단자커버(23)의 정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정면부(232)는 기계실 커버(12)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기계실 커버(12)는 수직하게 배치되고, 정면부(232)는 기계실 커버(12)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 예를 들면 30~40도 정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정면부(232)의 경사각도는 하나의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모서리부(233)는 정면부(232)의 가장자리부와 측면부(231)를 연결하도록 각각 일정한 곡률의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모서리부(233)는 상부 모서리부(233a), 하부 모서리부(233b), 좌측 모서리부(233c) 및 우측 모서리부(233d)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모서리부(233a)는 정면부(232)의 상측과 상부 측면부(231a)를, 하부 모서리부(233b)는 정면부(232)의 하측과 하부 측면부(231c)를, 좌측 모서리부(233c)는 정면부(232)의 좌측과 왼쪽 측면부(231)를, 우측 모서리부(233d)는 정면부(232)의 우측과 오른쪽 측면부(231)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 모서리부(233b)는 전원단자커버(23) 중 기계실 커버(12)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부분이며, 하부 모서리부(233b)가 기계실 커버(12)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상부 모서리부(233a)와 하부 모서리부(233b)는 곡률이 서로 비대칭적으로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즉, 하부 모서리부(233b)는 곡률이 상부 모서리부(233a)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부 모서리와 기계실 커버(12) 사이의 일정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률은 곡률반경과 역수 관계이므로, 하부 모서리부(233b)는 곡률반경이 상부 모서리부(233a)보다 크게 형성된다고도 달리 표현할 수 있다. 하부 모서리부(233b)는 측면부(231)에서 정면부(232)를 향해 곡면 형성 지점이 상부 모서리부(233a)보다 더 일찍 개시되고 더 늦게 종료되며(하부 모서리부(233b)의 곡선거리가 상부 모서리부(233a)보다 더 길며), 휘어짐 정도가 상부 모서리부(233a)보다 완만하게 형성됨에 따라, 하부 모서리부(233b)와 기계실 커버(12) 사이의 공간거리가 더 넓게 확보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원단자커버(23)와 기계실 커버(12) 사이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전원단자커버(23)는 진동저감부(2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진동저감부(234)는 전원단자커버(23)의 측면부(231)에 두께 보강을 통해 공진점을 회피할 수 있다. 진동저감부(234)는 제1진동저감부(234a)와 제2진동저감부(234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진동저감부(234a)는 전원단자커버(23)의 상부 측면부(231a)에서 우측 측면부(231b)로 연장되며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진동저감부(234b)는 전원단자커버(23)의 좌측 측면부(231d)에 직사각형 형태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진동저감부(234)는 공진점을 회피하여 압축기(13)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전원단자커버(23)는 상부 측면부(231a)에서 압축기본체(131)의 상부 측면을 향해 더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35)는 전원단자본체(21)의 배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원단자본체(21)의 배면(접선방향)과 압축기본체(131)의 외주면(원호) 사이의 틈새를 덮도록 배치되어, 이물질이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진점의 회피를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전원단자커버(23)의 우측 측면부(231b)에 체결부(23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36)는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36)의 일측 면은 정면부(232)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체결부(236)의 타측 면은 정면부(23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36)의 일측 면에 체결홀(236a)이 정면부(23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압축기본체(131)의 외주면에 브라켓이 돌출 형성되고, 브라켓의 일면은 체결부(236)의 일측 면과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크류는 체결부(236)의 일측 면과 브라켓의 일면을 관통하여 체결부(236)를 브라켓에 체결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서 전원단자커버(23)와 전원단자본체(21)가 제1로킹돌기(237a)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9는 도 6에서 전원단자커버(23)와 전원단자본체(21)가 제2로킹돌기(237b)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전원단자커버(23)의 내면에 로킹돌기(23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로킹돌기(237)는 체결부(236)와 함께 전원단자커버(23)와 전원단자본체(21)의 체결을 위한 구성요소이다. 로킹돌기(237)는 제1로킹돌기(237a)와 제2로킹돌기(23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로킹돌기(237a)는 측면부(231) 중 좌측 측면부(231d) 내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전원단자본체(21)의 왼쪽 측면에 로킹홀(211)이 형성되어, 전원단자본체(21)의 측면부(231)가 전원단자커버(23)의 내측으로 삽입 시 제1로킹돌기(237a)가 로킹홀(21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로킹돌기(237b)는 측면부(231) 중 상부 측면부(231a) 내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전원단자본체(21)의 상부면에 로킹홈(212)이 형성되어, 전원단자본체(21)의 측면부(231)가 전원단자커버(23)의 내측으로 삽입 시 제2로킹돌기(237b)가 로킹홈(2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측면부(231a)의 외면에 두께방향으로 제2로킹돌기(237b)와 중첩되게 제3보강부(238c)가 돌출 형성되어, 제2로킹돌기(237b)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제1 및 제2로킹돌기(237a,237b)는 체결부(236)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원단자커버(23)와 전원단자본체(21)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원단자커버(23)의 정면부(232) 내면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238)가 구비될 수 있다. 보강부(238)는 제1 및 제2보강부(238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보강부(238a)는 정면부(232)의 내면에서 십자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보강부(238b)는 정면부(232)의 내면 중앙에서 원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보강부(238b)는 제1보강부(238a)보다 터미널(22)에 연결되는 하네스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 높이가 더 연장되어, 하네스가 제2보강부(238b)에 의해 터미널(22)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전원단자커버(23)의 정면부(232) 내면 상측에 한 쌍의 안내돌기(23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안내돌기(239)는 전원단자본체(21)와 전원단자커버(23)의 조립 시 전원단자본체(21)와 전원단자커버(23)의 결합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미널(22)에 안내돌기(239)를 삽입하기 위한 한 쌍의 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13)의 형상이 원통형으로 변경되고, 압축기 전원단자(20)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전원단자커버(23)의 하부 모서리부(233b)가 상부 모서리부(233a)보다 곡률반경이 더 크게 비대칭 설계함으로써, 전원단자커버(23)와 기계실 커버(12)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여 전원단자커버(23)와 기계실 커버(12) 사이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전원단자커버(23)가 기계실 커버(12)와 닿지 않음으로 압축기(13)에서 운전 중에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이 기계실 커버(12)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립 신뢰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원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10 : 냉장고 본체 11 : 기계실
12 : 기계실 커버 13 : 압축기
131 : 압축기본체 14 : 응축기
15 : 응축팬 20 : 압축기 전원단자
21 : 전원단자본체 211 : 로킹홀
212 : 로킹홈 22 : 터미널
23 : 전원단자커버 231 : 측면부
231a : 상부 측면부 231b : 우측 측면부
231c : 하부 측면부 231d : 좌측 측면부
232 : 정면부 233 : 모서리부
233a : 상부 모서리부 233b : 하부 모서리부
233c : 좌측 모서리부 233d : 우측 모서리부
234 : 진동저감부 234a : 제1진동저감부
234b : 제2진동저감부 235 : 돌출부
236 : 체결부 236a : 체결홀
237 : 로킹돌기 237a : 제1로킹돌기
237b : 제2로킹돌기 238 : 보강부
238a : 제1보강부 238b : 제2보강부
238c : 제3보강부 239 : 안내돌기

Claims (17)

  1. 압축기본체의 측면에 상기 압축기본체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장착되는 전원단자본체; 및
    상기 전원단자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전원단자를 덮는 전원단자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단자커버는,
    상기 전원단자본체의 측면 테두리부를 감싸는 측면부;
    상기 측면부를 덮도록 상기 전원단자커버의 정면을 형성하는 정면부; 및
    상기 정면부와 측면부를 연결하는 모서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부의 상측과 하측은 곡률이 서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압축기 전원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본체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전원단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본체 및 전원단자커버는 각각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전원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본체 및 전원단자커버는 각각 상기 압축기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전원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정면부의 상부에서 상기 측면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모서리부와, 상기 정면부의 하부에서 상기 측면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모서리부의 곡률반경이 상기 상부 모서리부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전원단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본체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을 구비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전원단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상기 정면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전원단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 두께방향으로 두껍게 더 돌출 형성되는 진동저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전원단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저감부는,
    상기 측면부 중 상부 측면에서 우측 측면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제1진동저감부; 및
    상기 측면부 중 좌측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진동저감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전원단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 중 상부 측면에 좌우측 측면부 또는 하부 측면부보다 상기 압축기본체의 측면을 향하여 더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전원단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전원단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의 내면에 십자 형태로 형성되는 제1보강부; 및
    상기 제1보강부의 중앙에 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보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전원단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원단자본체와 상기 전원단자커버의 결합을 위한 한 쌍의 안내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전원단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원단자본체와의 체결을 위한 로킹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전원단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돌기는,
    상기 측면부의 내면 중 왼쪽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로킹돌기; 및
    상기 측면부의 내면 중 상부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로킹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전원단자.
  16. 냉장고본체;
    상기 냉장고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을 덮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는 기계실 커버;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수용되고, 길이방향 중심축이 수평하게 배치되는 압축기본체; 및
    정면이 상기 기계실 커버를 향해 배치되도록 상기 압축기본체의 측면에 장착되는 압축기 전원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전원단자는,
    상기 압축기본체의 측면에 상기 압축기본체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장착되는 전원단자본체; 및
    상기 전원단자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전원단자를 덮는 전원단자커버;
    를 포함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커버는,
    상기 전원단자본체의 측면 테두리부를 감싸는 측면부;
    상기 측면부를 덮도록 상기 전원단자커버의 정면을 형성하는 정면부; 및
    상기 정면부와 측면부를 연결하는 모서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부의 상측과 하측은 곡률이 서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70043218A 2017-04-03 2017-04-03 압축기 전원단자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994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218A KR101994687B1 (ko) 2017-04-03 2017-04-03 압축기 전원단자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218A KR101994687B1 (ko) 2017-04-03 2017-04-03 압축기 전원단자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377A true KR20180112377A (ko) 2018-10-12
KR101994687B1 KR101994687B1 (ko) 2019-07-01

Family

ID=63876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218A KR101994687B1 (ko) 2017-04-03 2017-04-03 압축기 전원단자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6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3567A (ja) * 1991-11-14 1993-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ツト
JP2008223662A (ja) * 2007-03-14 200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圧縮機の電装品保護装置
JP2012159070A (ja) * 2011-02-03 2012-08-23 Panasonic Corp 圧縮機の電装品保護装置
JP2015032784A (ja) * 2013-08-06 2015-02-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ターミナル保護構造
KR20150056034A (ko) * 2013-11-14 2015-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3567A (ja) * 1991-11-14 1993-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ツト
JP2008223662A (ja) * 2007-03-14 200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圧縮機の電装品保護装置
JP2012159070A (ja) * 2011-02-03 2012-08-23 Panasonic Corp 圧縮機の電装品保護装置
JP2015032784A (ja) * 2013-08-06 2015-02-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ターミナル保護構造
KR20150056034A (ko) * 2013-11-14 2015-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687B1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3697B2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3824010B1 (ja) 冷蔵庫
EP2730869A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ner door thereof
EP4001807A2 (en) Refrigerator
JP4158814B2 (ja) 冷蔵庫
EP2789952A1 (en) Refrigerator
KR101994687B1 (ko) 압축기 전원단자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N103518110B (zh) 冰箱
JP2015052398A (ja) 冷蔵庫
US7257961B2 (en) Vibration reduction type refrigerator
JP5423242B2 (ja) 冷蔵庫
US20180274845A1 (en) Refrigerator and Fan Assembly for Refrigerator
US20130266458A1 (en) Sealed compressor
CN214276259U (zh) 冰箱
JP3824013B2 (ja) 冷蔵庫
EP2789936A1 (en) Refrigerator
JP7015708B2 (ja) 冷却貯蔵庫
CN220616664U (zh) 压缩机组件的包装结构
KR100487335B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케이스구조
JP5682240B2 (ja) 冷蔵庫
US20230031688A1 (en) Hermetically encapsulated refrigerant compressor
WO2016143258A1 (ja) 冷蔵庫
CN207610361U (zh) 底盘组件和空调设备
JP4389896B2 (ja) 冷蔵庫
CN107735635B (zh) 冷藏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