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277A -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277A
KR20180111277A KR1020170041984A KR20170041984A KR20180111277A KR 20180111277 A KR20180111277 A KR 20180111277A KR 1020170041984 A KR1020170041984 A KR 1020170041984A KR 20170041984 A KR20170041984 A KR 20170041984A KR 20180111277 A KR20180111277 A KR 20180111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terminal
assistant
control code
emplo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886B1 (ko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이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주 filed Critical 이현주
Priority to KR1020170041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886B1/ko
Publication of KR20180111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2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lines or wireless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을 방문하여 청소, 아이돌봄 서비스, 세탁 및 요리 등의 가사 업무를 대행하는 가사도우미의 업무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사도우미의 고용주가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사도우미의 업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가사도우미가 가정집을 방문 시 고용주의 단말기로부터 암호화된 비밀코드를 전송받아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여 도어락 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댁내 보안을 유지하면서 가사도우미의 출입을 보다 편리하게 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MANAGEMENT AND METHOD FOR SERVICE OF HELPER}
본 발명은 가정을 방문하여 청소, 아이돌봄 서비스, 세탁 및 요리 등의 가사 업무를 대행하는 가사도우미의 업무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사도우미의 고용주가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사도우미의 업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가사도우미가 가정집을 방문 시 고용주의 단말기로부터 암호화된 비밀코드를 전송받아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여 도어락 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핵가족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거동이 불편하거나 각종 질병 등으로 인하여 자체적으로 생활을 영위할 수 없는 노인 세대주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최근들어 가사도우미 제도가 실행되고 있으며, 사용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가사도우미란 자체적으로 생활을 영위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가정을 방문하여 청소, 아이돌봄 서비스, 세탁 및 요리 등의 가사 업무를 대행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가사도우미 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가사도우미 고용주가 유능한 가사도우미를 쉽게 채용할 수 있고, 채용된 가사도우미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가사도우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가사도우미 고용주가 필요로 하는 유능한 가사도우미를 채용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채용된 가사도우미들로 하여금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사도우미의 고용주가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사도우미의 업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가사도우미가 가정집을 방문 시 고용주의 단말기로부터 암호화된 비밀코드를 전송받은 후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그 비밀코드를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여 도어락 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은, 가사도우미를 고용하는 고용주의 지시에 따라 상기 가사도우미의 업무를 관리하기 위한 가사도우미 관리파일을 작성 및 관리하고, 통신망을 통해 현관도착 알림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고용주의 지시에 따라 상기 통신망을 통해 도어락 제어코드를 송신하는 고용주 단말기; 상기 가사도우미가 사용자의 집에 도착한 후 상기 가사도우미의 지시에 따라 상기 현관도착 알림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수신한 후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송신하는 가사도우미 단말기; 및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수신하여 이로부터 암호키, 유효시간 및 유효횟수를 분리 검출한 후 상기 암호키가 기 저장되어 있는 암호키와 일치하고 상기 유효 시간 및 상기 유효 횟수가 도어락 개폐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여 만족하면 현관문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도어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사도우미의 관리 방법은, 고용주 단말기가 가사도우미를 고용하는 고용주의 지시에 따라 상기 가사도우미의 업무를 관리하기 위한 가사도우미 관리파일을 작성 및 관리하고, 통신망을 통해 현관도착 알림메시지가 수신될 때 상기 통신망을 통해 도어락 제어코드를 송신하는 단계; 가사도우미 단말기가 가사도우미의 지시에 따라 상기 현관도착 알림메시지를 작성하여 송신하는 단계; 및 가사도우미 단말기가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수신한 후 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도어락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락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수신하여 이로부터 암호키, 유효시간 및 유효횟수를 분리 검출한 후 상기 암호키가 기 저장되어 있는 암호키와 일치하고 상기 유효 시간 및 상기 유효 횟수가 도어락 개폐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현관문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사도우미의 고용주가 고용주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사도우미의 업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가사도우미가 가정집을 방문 시 고용주의 단말기로부터 암호화된 비밀코드를 전송받아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여 도어락 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댁내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댁내 보안을 유지하면서 가사도우미의 출입을 보다 편리하게 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사도우미 채용공고문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사도우미의 관리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사도우미의 관리 방법대한 각 구성요소 간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용주 단말기(110), 통신망(120), 가사도우미 단말기(130), 도어락(140), 컨트롤러(150), CCD 카메라(160) 및 서버(170)를 포함한다.
고용주 단말기(110)는 탑재된 가사도우미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가사도우미 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고용주 단말기(110)는 각종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개인용 휴대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가사도우미 서비를 제공하기 위하여 가사도우미를 고용하는 고용주(이하, '고용주'라 칭함)는 고용주 단말기(110) 상에서 가사도우미를 모집하기 위해 상기 가사도우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도 2와 같은 가사도우미 채용공고문을 작성한 후 통신망(120)을 통해 서버(170)에 게재(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가사도우미 채용에 관심을 갖고 있는 가사도우미들은 자신의 단말기 및 통신망(120)을 통해 서버(120)에 접속하여 상기 도 2와 같은 가사도우미 채용공고문을 열람할 수 있다. 이때, 접속자가 채용공고에 지원하고자 하는 경우 로그인을 한 후 자신이 원하는 구직항목에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고용주는 고용주 단말기(110)를 통해 상기 서버(170)의 채용공고 사이트에 접속하여 응모한 각 가사도우미들의 도우미 관련 정보(예: 경력, 희망 업무조건 등)와 가사도움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이하, '사용자'라 칭함)들의 요청사항을 비교 판단하는 일련의 선발과정을 통해 원하는 가사도우미들을 채용하고, 채용된 가사도우미들의 업무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가사도우미 관리파일을 작성하여 저장해 둔다.
고용주는 상기 채용된 가사도우미들과 일련의 협의 절차를 거친 후 상기 가사도우미 관리파일 상에서 가사도움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와 가사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할 가사도우미를 서로 매칭시키고, 가사도우미로 하여금 요청된 가사도우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업무지침을 하달한다. 상기 업무지침에는 가사도우미의 업무내용, 업무시간, 사용자의 주소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고용주 단말기(110)는 임의의 시점에서, 가사도우미가 방문하게 될 사용자의 단말기에 도우미방문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로 신경을 쓰지 않고도 가사도우미가 방문하는 사실을 사전에 알 수 있게 되며, 필요 시 통신망(120)을 통해 고용주 단말기(110) 또는 가사도우미 단말기(130)에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통화할 수 있다.
가사도우미는 사용자의 집에 도착한 후 가사도우미 단말기(130)를 통해 고용주 단말기(110)에 현관도착 알림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가사도우미는 직접 초인종을 눌러 사용자의 도움을 받아서 집에 들어갈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거동이 불편하거나 다른 이유로 인하여 사용자의 도움을 받아 현관문을 연 후 집안에 들어가는 것이 여의치 않은 경우 본 발명을 이용하여 현관문을 열고 집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고용주는 고용주 단말기(110)를 통해 상기 현관도착 알림메시지를 수신하여 가사 도우미가 사용자의 집에 도착한 사실은 인식한 후 그 고용주 단말기(110)를 통해 가사도우미 단말기(130)에 도어락 제어코드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는 해당 사용자의 현관문에 설치된 도어락(140)을 개방하기 위한 것으로 암호키와 그 암호키에 대한 제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암호키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유효 시간, 유효 횟수 및 사용자 주소(아파트의 동/호수)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시간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가사도우미의 당일 근무시간(예: 10:00 ~ 16:00)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유효 횟수 또한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5회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가사도우미 단말기(130)는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수신한 후 이를 제1근거리 통신부(131)를 통해 도어락(140)에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1근거리 통신부(131)에 적용된 근거리 무선통신은 NFC(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WiFi), 불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락(140)은 제2근거리 통신부(141), 제어부(142) 및 개폐부(143)를 구비한다. 제2근거리 통신부(141)는 상기 제1근거리 통신부(131)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수신처리한다. 제어부(142)는 상기 제2근거리 통신부(141)로부터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공급받아 이로부터 암호키, 유효시간 및 유효횟수를 분리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2)는 상기 암호키가 기 저장되어 있는 암호키와 일치하고 유효 시간 및 유효 횟수가 도어락 개폐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여 그에 따른 개폐제어신호의 로직을 결정하여 출력한다. 상기 확인 결과 개폐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개폐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부(143)의 구동이 제어되어 도어락(14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므로 가사도우미가 현관문을 통해 댁내로 들어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암호키, 유효시간 및 유효 횟수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도어락(140)의 잠금상태는 그대로 유지되게 한다.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는 암호화 처리된 상태이므로 가사도우미가 이로부터 암호키를 획득하거나 인식할 수 없다.
사용자가 가사도우미의 방문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가사도우미가 댁내로 들어오는 경우 사용자가 당황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락(140)은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가 수신될 때, 알람을 울릴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가사도우미의 댁내 진입을 원하지 않는 경우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제3근거리 통신부(151)를 통해 상기 제2근거리 통신부(141)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거나 별도로 설치된 움직임 검출센서를 통해 가사 도우미가 댁내로 들어오는 것이 인식되면 CCD 카메라(160)에 녹화시작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CCD 카메라(160)는 상기 녹화시작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을 시작하여, 미리 설정된 구역을 촬영하여 그에 따른 영상신호를 상기 컨트롤러(150)에 송신한다. 여기서는 한 대의 CCD 카메라(160)가 설치되어 운용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대의 CCD 카메라가 설치되어 상기 CCD 카메라(160)와 같이 운용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상기 CCD 카메라(160)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데 적당한 형태로 변환한 후 통신망(120)을 통해 서버(170)에 송신한다.
서버(170)는 상기와 같은 경로를 통해 상기 CCD 카메라(16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저장한다. 따라서, 고용주는 해당 가사도우미의 업무 능력을 평가하거나 사건 발생시 상기 서버(170)에 저장된 영상을 참조할 수 있다.
이후, 가사도우미는 사용자의 집에서 가사도우미 업무를 마치고 현관문을 통해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때, 컨트롤러(150)는 상기와 같은 경로를 통해 도우미가 댁내로부터 나간 것을 인식한 후 CCD 카메라(160)에 녹화종료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CCD 카메라(160)의 녹화 동작이 중지되고, 상기 서버(170)에서의 영상신호 녹화 동작이 중지된다.
그리고, 가사도우미는 가사도우미 단말기(130)를 통해 고용주 단말기(110)에 업무종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고용주는 고용주 단말기(110)를 통해 상기 업무종료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가사도우미의 업무가 종료된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사도우미 단말기(130)는 자체적으로 또는 고용주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삭제하므로 가사도우미는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재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고용주 단말기(110)의 가사도우미 관리부(112)는 고용주의 지시에 따라 가사도우미에 대한 일일업무 정보를 저장하게 되며, 이렇게 저장된 일일업무 정보가 차후에 해당 가사도우미의 업무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사도우미의 관리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사도우미 채용공고문 게재 단계(S1), 가사도우미방문 알림메시지 송신 단계(S2), 현관도착 알림메시지 송수신 단계(S3), 도어락 제어코드 송수신 단계(S4), 도어락 잠금해제 단계(S5), CCD 카메라 촬영시작 단계(S6), CCD 카메라 촬영 영상신호 송신 단계(S7), 업무종료 메시지 송수신 단계(S8), 도어락 제어코드 삭제 단계(S9) 및 가사도우미 일일업무 저장 단계(S1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사도우미의 관리 방법대한 각 구성요소 간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사도우미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용주 단말기는 고용주의 지시에 따라 가사도우미 채용공고문을 작성하여 서버에 게재한다(S1).
가사도우미 채용에 관심을 갖고 있는 가사도우미들은 자신의 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가사도우미 채용공고문을 열람할 수 있으며, 필요 시 로그인을 한 후 자신이 원하는 구직항목에 지원할 수 있다. 고용주는 고용주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버의 채용공고 사이트에 접속하여 가사도우미 응모 현황을 파악한 후 일련의 선발과정을 통해 원하는 가사도우미들을 채용하고, 채용된 가사도우미들의 업무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가사도우미 관리파일을 작성하여 저장해 둔다. 고용주는 상기 채용된 가사도우미들과 일련의 협의 절차를 거친 후 상기 가사도우미 관리파일 상에서 사용자와 가사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할 가사도우미를 서로 매칭시키고, 가사도우미로 하여금 요청된 가사도우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업무지침을 하달한다. 상기 업무지침에는 가사도우미의 업무내용, 업무시간, 사용자의 주소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고용주 단말기는 가사도우미가 사용자 집에 방문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에 도우미방문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다(S2).
가사도우미가 사용자의 집에 도착한 후 가사도우미 단말기는 가사도우미의 지시에 따라 현관도착 알림메시지를 작성하여 고용주 단말기에 송신한다(S3).
이에 대하여, 고용주 단말기는 고용주의 지시에 따라 도어락 제어코드를 가사도우미 단말기에 송신한다(S4).
가사도우미 단말기는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수신한 후 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도어락에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서 NFC(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WiFi), 불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중에서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도어락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수신처리한 후 알람을 울려 사용자로 하여금 가사도우미의 방문 사실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에 포함된 암호키가 기 저장되어 있는 암호키와 일치하고 유효 시간 및 유효 횟수가 도어락 개폐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여 만족하면 개폐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되므로 가사도우미는 현관문을 통해 댁내로 들어올 수 있게 된다(S5).
이때, 도어락은 가사도우미가 댁내로 들어오는 것을 검출하여 그에 따른 사람입실검출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컨트롤러에 송신한다.
컨트롤러는 상기 사람입실검출신호가 수신될 때 CCD 카메라에 녹화시작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CCD 카메라의 녹화동작이 시작되고, 이에 의해 CCD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촬영영상신호를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한다(S6,S7).
이후, 가사도우미 사용자의 집에서 가사도우미 업무를 마치고 현관문을 통해 밖으로 나오게 되는데, 이때 도어락은 가사도우미가 밖으로 나가는 것을 검출하여 그에 따른 사람퇴실검출신호를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컨트롤러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는 CCD 카메라에 녹화중지제어신호를 송신하여 녹화동작이 중지된다.
가사도우미가 사용자의 댁내로부터 밖으로 나온 후 가사도우미 단말기는 가사도우미의 지시에 따라 업무종료 메시지를 작성하여 고용주 단말기에 송신한다(S8).
가사도우미 단말기는 자체적으로 또는 고용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삭제처리하여 가사도우미로 하여금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재 사용할 수 없도록 한다(S9).
이후, 고용주 단말기는 고용주의 지시에 따라 상기 가사도우미의 메시지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가사도우미에 대한 일일업무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하루 동안의 가사도우미에 대한 업무관리가 종료된다(S10).
차후, 고용주는 상기와 같이 누적 저장된 일일업무 정보는 해당 가사도우미의 업무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 고용주 단말기 111 : 통신부
112 : 가사도우미 관리부 120 : 통신망
130 : 가사도우미 단말기 131 : 제1근거리 통신부
140 : 도어락 141 : 제2근거리 통신부
142 : 제어부 143 : 개폐부
150 : 컨트롤러 151 : 제3근거리 통신부
160 : CCD 카메라 170 : 서버

Claims (14)

  1. 가사도우미를 고용하는 고용주의 지시에 따라 상기 가사도우미의 업무를 관리하기 위한 가사도우미 관리파일을 작성 및 관리하고, 통신망을 통해 현관도착 알림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고용주의 지시에 따라 상기 통신망을 통해 도어락 제어코드를 송신하는 고용주 단말기;
    상기 가사도우미가 사용자의 집에 도착한 후 상기 가사도우미의 지시에 따라 상기 현관도착 알림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수신한 후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송신하는 가사도우미 단말기; 및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수신하여 이로부터 암호키, 유효시간 및 유효횟수를 분리 검출한 후 상기 암호키가 기 저장되어 있는 암호키와 일치하고 상기 유효 시간 및 상기 유효 횟수가 도어락 개폐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여 만족하면 현관문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도어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용주 단말기는 가사도우미가 사용자 집에 방문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에 도우미방문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도어락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거나 별도로 설치된 움직임 검출센서를 상기 가사 도우미가 댁내로 들어오는 들어오는 것이 인식되면 녹화시작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데 적당한 형태로 변환한 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송신하는 컨트롤러;
    상기 녹화시작 제어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댁내를 촬영하여 그에 따른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통신망에 송신하는 CCD 카메라;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CCD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용주 단말기는
    상기 가사도우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가사도우미 관리파일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NFC(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WiFi), 불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사도우미 단말기는
    가사도우미의 업무가 종료된 후 자체적으로 또는 상기 고용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은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전에 알람을 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은
    상기 가사도우미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수신처리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부터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공급받아 이로부터 암호키, 유효시간 및 유효횟수를 분리 검출한 후 상기 암호키가 기 저장되어 있는 암호키와 일치하고 상기 유효 시간 및 상기 유효 횟수가 도어락 개폐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여 그에 따른 개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개폐제어신호에 따라 현관문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거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호키가 기 저장되어 있는 암호키와 일치하고 상기 유효 시간 및 상기 유효 횟수가 도어락 개폐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암호키가 일치하지 않거나, 상기 유효 시간 또는 상기 유효 횟수가 도어락 개폐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관문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개폐제어신호의 로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
  10. (a) 고용주 단말기가 가사도우미를 고용하는 고용주의 지시에 따라 상기 가사도우미의 업무를 관리하기 위한 가사도우미 관리파일을 작성 및 관리하고, 통신망을 통해 현관도착 알림메시지가 수신될 때 상기 통신망을 통해 도어락 제어코드를 송신하는 단계;
    (b) 가사도우미 단말기가 가사도우미의 지시에 따라 상기 현관도착 알림메시지를 작성하여 송신하는 단계; 및
    (c) 가사도우미 단말기가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수신한 후 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도어락에 송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도어락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수신하여 이로부터 암호키, 유효시간 및 유효횟수를 분리 검출한 후 상기 암호키가 기 저장되어 있는 암호키와 일치하고 상기 유효 시간 및 상기 유효 횟수가 도어락 개폐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현관문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사도우미의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송신하기 전에 사용자의 단말기에 가사도우미방문 알림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사도우미의 관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방법은
    가사도우미가 댁내로 들어오는 것을 인식하여 CCD 카메라의 녹화동작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CCD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사도우미의 관리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현관문의 개폐동작을 제어하기 전에 알람을 울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사도우미의 관리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가사도우미 단말기가 자체적으로 또는 상기 고용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도어락 제어코드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사도우미의 관리 방법.
KR1020170041984A 2017-03-31 2017-03-31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8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984A KR102018886B1 (ko) 2017-03-31 2017-03-31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984A KR102018886B1 (ko) 2017-03-31 2017-03-31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277A true KR20180111277A (ko) 2018-10-11
KR102018886B1 KR102018886B1 (ko) 2019-11-04

Family

ID=6386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984A KR102018886B1 (ko) 2017-03-31 2017-03-31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8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3477A (zh) * 2020-09-23 2020-12-29 合肥庐州管家家政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视频的服务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223B1 (ko) * 2015-05-07 2016-10-25 주식회사 리틀핑거컴퍼니 방문자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223B1 (ko) * 2015-05-07 2016-10-25 주식회사 리틀핑거컴퍼니 방문자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3477A (zh) * 2020-09-23 2020-12-29 合肥庐州管家家政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视频的服务方法及系统
CN112153477B (zh) * 2020-09-23 2022-04-26 合肥庐州管家家政服务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视频的服务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886B1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3870B2 (en) Scalable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cierge service
US10991218B2 (en) Sharing video stream during an alarm event
JP5164448B2 (ja) 正当性認証システム及び正当性認証方法
JP6266184B1 (ja) 監視システム
KR102237086B1 (ko) 안면인식 기능에 기초하여 5g 이동통신망의 이용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를 통해 영상감시가 가능한 로비폰 제어 장치 및 방법
SE534520C2 (sv) Åtkomstkontrollmetod och tillhörande låsanordning samt administrationsserver
CN110494898A (zh) 具有无线及面部识别的进入监控系统
KR20130027758A (ko) 도어 개폐를 위한 스마트 장치, 도어 매니저 장치 및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JP4992421B2 (ja) 訪問者監視システム
KR20150130712A (ko)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20200060094A (ko) 출입문 보안 관리시스템
JP2005248542A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KR100894421B1 (ko) 지문 인증 단말기와 이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및사용자 인증 방법
KR20180111277A (ko) 가사도우미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0009A (ko)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0188680A1 (ja) 来訪者の入退出管理システム
JP2007172039A (ja) ユーザの位置情報を利用したログイン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60109899A (ko) 모바일, 이를 이용한 자물쇠 관리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IT201900002525A1 (it) Sistema e metodo di intercomunicazione in corrispondenza di punti d'ingresso in edifici o aree limitate e per la gestione e il controllo remoto degli ingressi
TWI591246B (zh) Access control system with automatic unlocking function and its unlocking method
CN101720477A (zh) 基于互联网的保安服务提供方法
SE1351104A1 (sv) Trygghetssystem och elektronisk låsanordning för användningdäri, och en tillhörande metod för att övervaka omhändertagande av en trygghetslarmhändelse i ett trygghetslarmsystem
KR20180063585A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257823B1 (ja) 情報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情報セキュリテ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