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000A - 어린이 낮잠용 침구류 렌탈과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린이 낮잠용 침구류 렌탈과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000A
KR20180111000A KR1020170041110A KR20170041110A KR20180111000A KR 20180111000 A KR20180111000 A KR 20180111000A KR 1020170041110 A KR1020170041110 A KR 1020170041110A KR 20170041110 A KR20170041110 A KR 20170041110A KR 20180111000 A KR20180111000 A KR 20180111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mable
bedding
unit
information signal
con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1931B1 (ko
Inventor
이근원
Original Assignee
이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원 filed Critical 이근원
Priority to KR1020170041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93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1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D06F58/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집의 어린이가 낮잠시간에 사용하는 낮잠이불이며 동일한 규격의 소모성침구류를 주기적으로 수거, 위생검사, 세탁과 위생처리, 포장적재와 공급상태가 포함된 정보를 통신망으로 실시간 공개하여 일상업무에 바쁜 학부모의 일손을 덜어주면서 학부모는 자신의 자녀에게 공급되는 낮잠이불의 위생상태와 세탁, 공급상태를 언제든지 즉시 실시간 확인하여 믿고 맞길 수 있고, 공급자는 계약, 입금, 공급, 세탁, 수거가 포함되는 일련의 과정을 안정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운용효율을 높이는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것으로 내장된 운용프로그램과 무선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렌탈앱 프로그램의 운용에 의하여 통신경로에 접속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체결 요청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체결이 완료되었다는 정보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단말수단; 상기 사용자단말수단과 상기 통신경로로 접속하며 내장된 운용프로그램과 설치된 상기 렌탈앱 프로그램의 운용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체결 요청신호를 분석하고 오류가 없으면 자체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며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에 계약체결이 완료되었다는 정보신호를 회신하도록 제어하는 운용자단말수단; 및 상기 운용자단말수단과 상기 통신경로로 접속하고 내장된 운용프로그램과 설치된 상기 렌탈앱 프로그램의 운용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수단과 상기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이 체결된 정보신호를 수신하여 확인하고, 수거되어 로트 단위로 입고된 소모성침구류의 숫자 정보신호와 로트 단위로 측정된 세균류 숫자 정보신호와 세탁 진행상태의 정보신호와 살균소독의 위생처리 정보신호와 위생처리 후 측정된 세균류 숫자 정보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자체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공급자단말수단; 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System of rental service with wash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린이집의 어린이가 낮잠시간에 사용하는 낮잠이불이며 동일한 규격의 소모성침구류를 주기적으로 수거, 위생검사, 세탁과 위생처리, 포장적재와 공급상태가 포함된 정보를 통신망으로 실시간 공개하여 일상업무에 바쁜 학부모의 일손을 덜어주면서 학부모는 자신의 자녀에게 공급되는 낮잠이불의 위생상태와 세탁, 공급상태를 언제든지 즉시 실시간 확인하여 믿고 맞길 수 있고, 공급자는 계약, 입금, 공급, 세탁, 수거가 포함되는 일련의 과정을 안정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운용효율을 높이는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집은 취학 전의 어린이 즉, 유치원에 다니기 이전의 아동 또는 영유아들이 부모의 근로시간대 또는 낮 시간 동안 한 장소에 모여 간단한 학습과 함께 공동생활을 하는 곳이며, 전국의 영유아 숫자는 집계 방식에 의하여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현재 약 140 만 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의 경제활동과 핵가족화에 의하여 양쪽 학부모(이하, 부모라 한다.)가 모두 직장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부모가 직장 생활을 하는 동안 영유아를 보살펴 줄 인력과 시설이 필요하며 어린이집에서 이러한 필요성을 일부 만족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영유아(이하, 어린이라 한다.)들은 성장과정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낮잠을 자야하고, 낮잠을 자기 위하여 이불이 필요하므로 어린이집 운영 특성상 부모가 자녀를 위한 낮잠이불을 확보하여 어린이집에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어린이가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기간은 1 년 단위이고 부모의 입장에서는 확보된 자녀용 낮잠이불을 1 년 동안 사용한 후 폐기하므로 어린이용 낮잠이불은 소모성침구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류한다. 그러므로 어린이집에서 사용되는 낮잠이불과 같은 소모성침구류는 렌탈(rental, 임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어린이집에서 낮잠이불을 사용하는 경우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오물 등에 오염될 수 있고, 어린이집의 선생 또는 관리자는 어린이의 위생을 위하여 일주일 단위로 낮잠이불을 수거하고 세탁하여 다시 공급하도록 부모에게 안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어린이의 부모가 모두 직장생활을 하는 경우 일주일 단위로 낮잠이불을 수거하고 세탁하여 다시 공급하는 것은 시간 부족 등에 의하여 어려울 수 있고 또한, 어린이들 사이에 선호하는 낮잠이불이 있는 경우 부모에게 부담이 되는 등의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하여 관리상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각 가정마다 위생환경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낮잠이불의 공급 과정에서 각종 오물, 병균이 포함된 세균이 어린이 집에 전파되거나 공동생활하는 어린이집의 다른 어린이에게 전염되고 다른 집으로까지 전파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어린이집을 포함하여 유치원, 기숙학교, 기숙학원, 기숙사 등등과 같이 공동생활을 하면서 침구류를 사용하는 경우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어린이집에서 사용하는 낮잠이불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공동생활, 기숙생활을 하는 장소에서 사용되는 침구류와 세탁물이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세탁물에 대한 세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31443호(2015.06.18.)에 의한 “세탁 서비스 시스템”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세탁물의 세탁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기능 구성 설명도 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무인세탁물수거장치(100), 세탁물처리장치(200), 무인세탁물회수장치(300), 금융기관(700), 장기보관창고(9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종래기술의 무인세탁물 수거장치(100)는 사용자가 개인용 세탁물을 보관하면서 세탁물 정보를 입력하고 결제하면, 금융기관(700)은 결제 처리하여 세탁물처리장치(200)로 제공하고, 세탁물처리장치(200)는 세탁물을 수거하여 세탁한 후 무인세탁물회수장치(300)에 배송하고 무인세탁물회수장치(300)는 장기간 찾아가지 않는 세탁물을 장기보관창고(900)에 이송과 보관한다.
종래기술은 편리한 장소에서 개인용 세탁물의 세탁을 의뢰하고 편리한 장소에서 세탁물을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개인용 세탁물 이용자가 무인세탁물수거장치(100)와 무인세탁물회수장치(300)의 위치 또는 장소로 직접 이동하여야 하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와 어린이집, 유치원, 기숙학교, 기숙사 등등과 같이 기숙생활이 포함된 공동생활을 하면서 각 개인이 필요로 하는 침구류 등의 세탁물을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특히, 침구류는 각 개인별 또는 유치원이나 기숙사 마다 사용하는 침구류의 규격이나 재질이 상이하여 대량의 세탁물을 집단으로 공동 관리할 수 없고 또한, 비용을 절감하면서 규격에 맞는 세탁물의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공동생활 또는 기숙생활을 하면서 각 개인이 필요로 하여 각각 사용하는 이불 등의 세탁물을 주기적이며 위생적으로 세탁하면서 공급하는 기술 또는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세탁물에 침구류는 물론 의복류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또한, 양쪽 부모가 모두 직장생활을 하므로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 어린이 또는 자녀를 위탁하는 부모가 별도의 시간을 할애하지 않고서도 자녀의 낮잠이불을 주기적으로 수거하고 위생적으로 깨끗하게 세탁하며 세균검사와 멸균에 의한 위생처리 후 공급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31443호(2015.06.18.) “세탁 서비스 시스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05407호(2013.09.02.) “설치용 제품에 대한 렌탈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양쪽 부모가 모두 직장생활을 하는 집안의 자녀 들이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 부모의 시간을 소모하지 않으면서 낮잠이불을 어린이집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수거, 세탁, 위생 처리하여 공급하는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린이가 단체생활하면서 낮잠이불을 통하여 접촉할 수 있는 각종 오염물질과 전염병을 일으키는 병원균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므로 공중보건위생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어린이집을 통하여 체결된 렌탈 계약에 의하여 소모성 낮잠이불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고 주기적으로 수거하여 깨끗하게 세탁하며 살균처리되어 위생적인 상태로 공급 또는 제공하므로 부모의 입장에서는 자녀용 낮잠이블을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어린이집에 위탁된 자녀가 사용하는 낮잠이불이 포함된 침구류의 수거, 세탁, 위생처리, 공급 상태 등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자녀가 사용하는 낮잠이블에 대한 위생상태의 신뢰도를 높이며 부모는 시간낭비 없이 직장생활에 전념할 수 있어 경제적 생산효과를 높이는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개인별 또는 유치원이나 기숙사별 사용하는 침구류의 크기나 재질을 규격화하여 대량의 세탁물을 집단으로 공동 관리하면서 구매, 세탁, 위생처리, 보관, 운송 등에 사용되는 관리비용을 절감하는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내장된 운용프로그램과 무선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렌탈앱 프로그램의 운용에 의하여 통신경로에 접속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체결 요청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체결이 완료되었다는 정보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단말수단; 상기 사용자단말수단과 상기 통신경로로 접속하며 내장된 운용프로그램과 설치된 상기 렌탈앱 프로그램의 운용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체결 요청신호를 분석하고 오류가 없으면 자체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며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에 계약체결이 완료되었다는 정보신호를 회신하도록 제어하는 운용자단말수단; 및 상기 운용자단말수단과 상기 통신경로로 접속하고 내장된 운용프로그램과 설치된 상기 렌탈앱 프로그램의 운용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수단과 상기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이 체결된 정보신호를 수신하여 확인하고, 수거되어 로트 단위로 입고된 소모성침구류의 숫자 정보신호와 로트 단위로 측정된 세균류 숫자 정보신호와 세탁 진행상태의 정보신호와 살균소독의 위생처리 정보신호와 위생처리 후 측정된 세균류 숫자 정보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자체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공급자단말수단;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용자단말수단과 상기 공급자단말수단에 상기 통신경로로 각각 실시간 접속하고 내장된 운용프로그램과 설치된 렌탈앱 프로그램의 운용에 의하여 상기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가 계약체결된 정보신호와 로트 단위로 입고된 소모성침구류의 숫자 정보신호와 세균류 숫자를 측정한 제 1 위생정보 신호와 세탁처리의 진행현황 정보신호와 세탁처리후 세균류 숫자를 측정한 제 2 위생정보 신호를 각각 실시간 입력받아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상기 통신경로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공개시키도록 제어하는 침구류위생정보서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자단말수단은 상기 통신경로에 접속하여 통신하며 내장된 운용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공급자 단말수단의 전체 운용과 제어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공급단말제어부; 상기 공급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수거되고 입고된 소모성침구류의 단위 무게를 측정하며 로트 단위로 구분 분류하여 적재하도록 실시간 제어하는 수거적재부; 상기 공급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수거적재부가 구분 분류하여 적재된 로트 단위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로트 단위 또는 모든 로트 단위를 각각 검사하여 측정된 세균류 숫자 정보신호를 제 1 위생정보 신호로 실시간 입력받도록 제어하는 제 1 위생검사부; 상기 공급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 1 위생검사부를 통과한 상기 소모성침구류가 세탁되고 건조되는 진행상황이 확인되는 세탁처리 정보신호를 실시간 입력받도록 제어하는 세탁건조부; 및 상기 공급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세탁처리가 완료된 2 개 이상 5 개 이하 다수 로트의 소모성침구류가 수직 적재된 상태로 반복 배치되고 자외선이 조사되는 밀폐된 환경에서 48 시간 내지 72 시간 범위로 유치시켜 병원균이 포함된 세균류가 살균소독 처리되고 살균소독 과정이 감시되도록 제어하는 살균소독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살균소독 처리된 상기 소모성침구류의 다수 로트 단위 중 무작위 선택된 어느 하나의 로트 단위 또는 모든 로트 단위를 검사하여 측정된 세균류 숫자 정보신호를 제 2 위생정보 신호로 입력받도록 제어하는 제 2 위생검사부; 상기 공급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 2 위생검사부를 통과한 상기 소모성침구류가 로트 단위로 포장되고 적재된 포장결과의 정보신호를 입력받도록 제어하는 포장부; 및 상기 공급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포장부로부터 입력된 포장결과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소모성침구류가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에 배송처리되는 배송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배송과정을 감시하여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배송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경로는 와이파이 방식, 비콘 방식, 블루투스 방식, CDMA 이동통신 방식, TRS 이동통신 방식, 유선통신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 또는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방식에 의한 경로가 모두 구비되고 동시에 활성화되어 운용되며 각 통신방식으로 해당 정보신호를 동일하게 동시에 송신과 수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수단과 상기 운용자단말수단과 상기 공급자단말수단은 와이파이 방식, 비콘 방식, 블루투스 방식, CDMA 이동통신 방식, TRS 이동통신 방식, 유선통신 방식의 통신 기능부를 모두 구비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 기능부를 동시에 활성화 운용하여 각 통신방식으로 해당 정보신호를 동일하게 동시에 송신과 수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보신호는 정보보호 프레임으로 암호화되어 송신되거나 수신되고, 상기 정보보호 프레임의 단위는 4 워드의 시작 필드, 20 워드의 제 1 데이터 필드, 20 워드의 제 2 데이터 필드, 10 워드의 예비필드, 5 워드의 체크필드, 1 워드의 종료필드가 포함되어 총 60 워드로 구성되고 하나의 워드는 15 바이트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바이트는 15 비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사용자단말수단과 운용자단말수단과 공급자단말수단과 침구류위생정보서버와 금융센터서버수단이 포함되는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으로부터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내용을 요청하는 정보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계약내용의 정보신호를 송신하고 해당 신상정보가 포함된 계약체결 요청의 정보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분석되면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기록시킨 후 계약금액이 입금된 정보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렌탈계약과정; 상기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이 상기 계약금액을 입금시킨 것으로 분석되는 정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공급자단말수단에 계약체결된 내용을 정보신호로 송신시키는 제어신호가 출력되는 계약등록과정; 및 상기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계약이 유효한 기간 동안 소모성침구류를 공급, 수거, 세탁, 위생처리, 포장적재하는 일련의 과정이 주기적으로 반복되고 렌탈공급 루틴이 운용되도록 하는 제어신호가 출력되는 렌탈공급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탈계약과정은 상기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으로부터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계약내용의 전송을 요청하는 정보신호가 입력되는지를 분석하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 11 단계; 상기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계약내용을 요청하는 정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신버전의 렌탈앱 프로그램이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에 무선 전송되고 다운로드와 설치되어 운용되도록 제어하며 감시하는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 12 단계; 상기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이 상기 렌탈앱 프로그램을 운용하는 상태로 분석되면 상기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내용을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 13 단계; 상기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으로부터 신상정보가 포함된 계약내용으로 계약체결을 요청하는 정보신호가 입력되는지를 분석하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 14 단계; 상기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으로부터 상기 계약체결을 요청하는 정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분석되면 수신된 계약내용을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기록하여 저장하고 계약이 체결되었다는 정보신호를 회신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 15 단계; 및 상기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계약내용으로 체결된 계약에 의한 계약금액이 입금되었다는 정보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16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탈공급루틴은 상기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에 상기 소모성침구류가 공급되도록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공급자단말수단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제 21 단계; 상기 공급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주기가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주기가 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으로부터 상기 소모성침구류를 수거하거나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제 22 단계; 상기 공급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수거된 상기 소모성침구류로부터 제 1 위생검사한 결과 신호를 제 1 위생정보신호로 입력받고 상기 침구류위생정보서버에 실시간 업로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제 23 단계; 상기 공급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소모성침구류를 세탁, 건조, 살균하는 세탁처리에 대한 진행상태의 정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침구류위생정보서버에 실시간 업로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제 24 단계; 상기 공급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세탁처리된 상기 소모성침구류로부터 제 2 위생검사한 결과 신호를 제 2 위생정보신호로 입력받고 상기 침구류위생정보서버에 실시간 업로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제 25 단계; 상기 공급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세탁처리된 소모성침구류를 포장하고 적재하며 주기가 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21 단계로 궤환하도록 제어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제 26 단계; 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양쪽 부모가 모두 직장생활을 하는 집안의 자녀들이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 부모가 주기적으로 직접 낮잠이불을 수거하고 세탁하여 공급하는 일체의 과정을 대행하면서 세균검사와 살균처리를 통한 위생관리에 철저하므로 부모가 세탁물 처리에 사용할 시간을 효율적이며 경제적으로 직장생활에 활용하여 경제적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안심하고 세탁물을 맞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소모성 낮잠이불을 동일한 규격으로 대량 확보하고 주기적이며 위생적인 세탁처리 후에 공급하므로 소모성 낮잠이불의 확보 비용과 세탁처리 비용이 저렴하여 사용자가 저렴한 비용으로 렌탈하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어린이집용 낮잠이불을 주기적으로 수거와 세탁하고 위생처리된 상태로 공급 제공하므로 침구류를 통한 전염병 등으로부터 자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 공중보건위생의 신뢰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개인별 또는 유치원이나 기숙사별 사용되는 침구류의 크기나 재질을 규격화하여 대량의 세탁물을 집단으로 공동 관리하면서 구매, 세탁, 위생처리, 보관, 운송 등에 사용되는 관리비용을 절감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세탁물의 세탁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기능 구성 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정보신호 흐름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공급자단말수단의 상세기능 구성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정보보호 프레임의 구성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신호 흐름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한 운용방법 순서 설명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렌탈공급 루틴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그리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소모성침구류의 물류이동과 위생정보 확인 상태 설명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공급과 제공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며, 세균검사와 위생검사를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구비된 것과 구성된 것을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각 구성은 해당 정보신호의 송신과 수신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기술적 사상을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신호의 송신과 수신 과정 설명을 생략하고 결과적 상태로 설명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정보신호 흐름 설명도 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공급자단말수단의 상세기능 구성 설명도 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정보보호 프레임의 구성 설명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사용자단말수단(1100), 운용자단말수단(1200), 공급자단말수단(1300),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 금융센터서버수단(15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각 구성은 자체적인 운용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고 렌탈앱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자동 설치와 운용하며 각각 외부로부터 필요한 제어명령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운용자단말수단(1200)에 의하여 사용자단말수단(1100)과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이 체결되었다는 결과를 공급자단말수단(1300)에 통보한다.
이하에서 계약체결, 통보, 제어, 운용 등의 원인은 제어명령신호, 데이터 등이 포함된 해당 정보신호의 송신과 수신에 의한 것이고, 기술적 사상의 이해를 쉽게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신호 전달 과정의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공급자단말수단(1300)은 소모성침구류를 사용자단말수단(1100)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수거하여 세탁하고 살균에 의한 위생처리 후 사용자단말수단(1100)에 다시 배송하도록 하는 해당 제어신호와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구성요소 간 필요한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 해당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정보신호 송수신 과정 설명은 기술적 사상의 설명을 간단하게 하고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생략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수단(1100)은 소모성침구류의 제품에 대한 구매가격 일부를 부담하는 조건으로 소모성 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사용자의 부담과 공급자의 부담을 줄이는데 비교적 바람직하다.
소모성 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을 진행하기 위하여서는 사용자단말수단(1100)을 운용 또는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상정보와 계약금액의 청구와 계약기간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공급자단말수단(1300)은 운용자단말수단(1200)의 통보 또는 해당 제어명령 신호의 수신에 의하여 사용자단말수단(1000)으로부터 수거된 소모성침구류를 로트(LOT) 단위로 구분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위 로트 또는 수거된 모든 로트의 소모성침구류에 대하여 제 1 차 세균검사를 실행한다.
여기서 로트의 단위는 1장 이상의 묶음, 5 장, 10 장, 12 장, 20 장, 24 장, 50 장, 100 장 단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량에 의한 소모성침구류이고, 필요에 의하여 가감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며, 12장을 하나의 로트 단위로 설정하는 것이 비교적 바람직하다.
공급자단말수단(1300)은 내장되거나 외장되는 상태에 의하여 별도 구분 구성된 세균검사 수단을 제어하여 제 1 차 및 제 2 차 세균검사를 실시하고, 세균검사된 결과의 정보를 입력한다.
세균검사는 지름 5 센티미터의 원형 흡입장치를 통하여 한 장의 소모성침구류당 1400 내지 1600 mmHg의 진공도로 3 내지 5 분간 흡입한다. 소모성침구류가 2 장 포개져 있는 경우는 2800 내지 3200 mmHg와 같이 2 배수에 해당하는 진공도, 3 장 포개져 있는 경우는 3 배수 등과 같이 진공도를 배수 단위로 높이되 13 장 이상의 소모성침구류를 포개놓고 검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12 장 이내로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의하여 각 단위의 값은 가감할 수 있다. 1 기압은 7600 mmHg의 진공도인 것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소모성침구류로부터 진공흡입하여 수집된 이물질로부터 적외선을 감지하는 바이오센서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검출된 세균을 숫자로 표현할 수 있다.
소모성침구류의 세균검사를 위하여 상기와 같이 진공흡입하는 위치 또는 포인트는 가급적 멀리 그리고 균등하게 이격된 2 내지 6 포인트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으로 실시하고, 최소 3 포인트에서 세균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비교적 바람직하다.
한편, 세균의 숫자를 측량 또는 검출 또는 검사하는 방식의 일 실시 예로 각 포인트당 진공흡인하여 수집된 이물질이 10 mg 이고, 바이오센서에 의하여 30 % 영역에서 바이오신호가 검출되는 것으로 확인된다면 3 mg의 세균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때, 벼륙 또는 이 등이 포함되는 세균의 평균 무게가 1 mg이면 3 마리의 세균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세균의 평균 무게는 신뢰성 있게 확보되거나 실측된 값에 의하여 가감, 갱신될 수 있음이 매우 당연하다.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세균을 측량 또는 검사하는 방식은 상기와 같이 수집된 이물질을 디지털 사진촬영하고,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신호처리에 의하여 색상을 분류 또는 분광처리하며, 분류된 색상 중에서 지정된 특정 파장의 색상(일 실시 예로 적색 또는 적외선의 파장 대역)이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고 저장된 테이블 기준값과 대비하여 세균의 숫자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테이블에 저장된 기준값은 반복된 실험에 의하여 정하여진 값이고, 주기적으로 수정 또는 갱신(update)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수집된 이물질을 디지털 사진촬영하고 DSP 신호처리하여 분광된 색상 중 적외선 파장 대역의 이미지를 다시 DSP 신호처리로 분석하여 세균의 숫자를 측정 또는 검사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공급자단말수단(1300)은 제 1 차 세균검사(위생검사)의 데이터에 의한 결과정보를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기록 저장되도록 한다.
공급자단말수단(1300)은 제 1 차 위생검사(세균검사) 후에 내장되거나 외장되는 상태로 별도 구분 구성된 세탁건조부(1304)를 제어하여 세탁, 건조, 살균(위생)에 의한 세탁이 진행되도록 처리하며, 세탁처리가 진행된 상태의 데이터에 의한 결과정보는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에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기록 저장되도록 제어된다.
세탁처리 후 공급자단말수단(1300)은 내장되거나 외장되되 별도 구분 구성된 살균소독부(1305)를 제어하여 소모성침구류를 살균 소독한다.
공급자단말수단(1300)은 내장되거나 외장되는 상태로 별도 구분 구성된 제 2 위생검사부를 제어하여 제 2 차 세균검사(위생검사)를 실행하고 측정된 데이터에 의한 결과값은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기록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공급자단말수단(1300)의 세부구성은 이하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의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각각 기록 저장된 데이터에 의한 결과값은 누구나 검색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제공되는 형태는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방식으로 표시되어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자단말수단(1100)과 운용자단말수단(1200)과 공급자단말수단(1300)과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와 금융센터서버수단(1500)이 포함되는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에서 각 구성요소 상호간에 송신되고 수신되어 전달되는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보호 프레임(frame)으로 암호화되어 송신되고 수신되어 복호화되며, 각 구성요소는 정보호호 프레임으로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기능 또는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설명한다.
어린이(영유아)가 어린이집에서 사용하는 낮잠이불은 필요에 의하여 모든 침구류, 의복류, 기타 세탁물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나의 단위에 의한 정보보호 프레임(frame)은 4 워드(word)의 시작 필드(field), 20 워드의 제 1 데이터 필드, 20 워드의 제 2 데이터 필드, 10 워드의 예비필드, 5 워드의 체크필드, 1 워드의 종료필드가 포함되어 총 60 워드로 구성된다. 그리고 하나의 워드(word)는 15 바이트(byte)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바이트(byte)는 15 비트(bit)로 구성된다.
첨부된 도 4 에 정보보호 프레임의 구성이 상세히 잘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 단위를 구성하는 것은 송수신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암호화 하고 잡음으로부터 보호하며 신상정보가 포함되는 해당 정보 또는 데이터가 타인에게 유출되거나 해킹되지 못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어린이와 부모에 대한 신상정보가 포함된 모든 정보는 사업상, 어린이와 부모 보호를 위하여 개인적으로 매우 중요하거나 중요할 수 있으므로 암호화하여 허가되지 않은 타인이 부당하게 정보를 유출하고 유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각 구성은 송신할 정보를 이러한 정보보호 프레임 단위로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수신된 정보보호 프레임 신호를 복호화하는 기능이 모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암호화와 복호화 과정, 방법 등은 잘 알려져 있거나 알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단말수단(1100)은 소모성침구류의 렌탈(rental) 서비스 이용을 위한 렌탈세탁 서비스 계약 정보를 운용자단말수단(1200)으로부터 제공받고 선택에 의하여 계약을 체결하며, 체결된 계약에 의한 해당 비용의 금액 또는 계약금액을 결제한다. 결제는 현금, 카드 및 알 수 있는 재화 등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계약에 의한 해당 비용에는 주기적으로 제공되는 렌탈세탁 서비스 이용료와 소모성침구류를 구매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의 일정부분과 가입비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필요에 의하여 증감, 항목의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사용자단말수단(1100)은 어린이가 포함되는 어린이의 부모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부모가 휴대하고 사용하며 운용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전용의 렌탈앱 프로그램이 무선으로 다운로드되어 추가 설치 운용되는 이동통신용 스마트폰 단말기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단말수단(1100)을 포함하는 모든 단말수단과 서버, 서버수단은 자체적인 운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운용되면서 전용의 렌탈앱 프로그램이 추가 설치되어 운용되며 외부로부터 제어신호 또는 명령신호, 데이터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렌탈앱 프로그램의 추가 설치를 위한 다운로드는 필요와 편리에 의하여 유선과 무선 접속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수단(1100)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와 내장된 운용프로그램 및 렌탈앱 프로그램에 의하여 운용자단말수단(1200)에 접속하고 렌탈앱(App) 또는 렌탈어플(Appl)을 최신버전으로 다운로드 받아 설치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앱 또는 어플은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program)으로 이루어지며 메모리, CPU 처리속도 등의 자원(resource)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도 운용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S/W) 이다.
운용자단말수단(1200)과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는 최신버전의 렌탈앱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접속된 사용자단말수단(1100)의 요청에 의하여 접속된 사용자단말수단(1100)에 렌탈앱 프로그램이 설치 운용되는지를 확인한다. 이하에서는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운용자단말수단(1200)이 렌탈앱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렌탈앱 프로그램이 운용되지 않는 경우는 무선으로 최신 버전(version)을 다운로드시키고 자동설치되어 운용되도록 하며, 이미 설치와 운용된 경우에도 최신버전이 다운로되어 운용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
상기의 렌탈앱(App) 또는 렌탈어플(Appl) 프로그램은 공급자단말수단(1300),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 이동용 메모리 수단 등이 포함되는 별도의 수단으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 및 운용할 수도 있고 해당 각 구성요소는 그러한 기능을 구비한다.
운용자단말수단(1200)은 사용자단말수단(1100)으로부터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체결과 계약된 금액이 입금되는 결제정보를 입력받고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각 기능부를 제어하며 요청하고 감시와 관리한다.
운용자단말수단(1200)은 어린이집, 유치원, 기숙학교 등을 책임지고 관리하는 운용자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어린이집이 포함되고 전용의 앱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이동통신용 스마트폰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 설명하기로 한다.
운용자단말수단(1200)은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계약이 체결된 경우 해당 계약 정보를 공급자단말수단(1300)에 전송하고, 지정된 주기 단위로 공급을 위한 배송과 세탁 등을 위한 수거를 요청 또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지정된 주기는 일주일 단위로 하되, 어린이가 어린이집에서 교육, 수업, 학습 등을 받지 않는 토요일, 일요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일자에 규칙적으로 수거하고 규칙적으로 배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의하여 공휴일 등이 추가되어 비규칙적으로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운용자단말수단(1200)은 가입자단말수단(1100)으로부터 계약금액에 대한 수금이 완료된 경우 공급자단말수단(1300),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 등과 별도로 약정한 해당 비용이 공급자단말수단(1300)에 송금되도록 금융센터서버수단(1500)에 요청 또는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계약정보는 사업상, 경영상, 운용상 비밀 사항에 속하므로 타인에게 부당하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계약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암호화하여 송신하고 수신하는 것은 매우 당연하며, 본 발명에서는 계약정보가 포함된 모든 정보신호를 정보보호 프레임 단위로 변환하므로 암호화 처리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암호화 처리된 정보보호 프레임의 정보를 수신하는 측에서 복호화 또는 암호화할 수 있는 해당 운용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설명한다.
공급자단말수단(1300)은 운용자단말수단(1200)으로부터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체결에 관한 필요한 정보신호를 모두 입력받으며, 입력된 정보신호의 분석에 의하여 사용자단말수단(1100)에 지정된 주기 단위로 소모성침구류를 공급하거나 수거하며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에 별도의 추가 조건(내용)이 있는 경우는 반영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공급자단말수단(1300)은 수거된 소모성침구류의 현황과 세탁처리의 진행 현황과 1, 2차 세균검사(위생검사)의 결과를 내장 또는 외장되며 별도 구분 구비되어 제어되는 해당 장치로부터 각각 입력받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는 동시에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에 실시간 전송하여 기록 저장되고 실시간 공개되도록 제어한다.
공급자단말수단(1300)은 체결된 계약에 따라 소모성침구류를 주기적으로 공급하고 주기적으로 수거하여 세탁과 살균에 의한 세탁처리 후 배송 공급하므로 세탁 및 공급업자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용의 렌탈앱 프로그램이 설치된 이동통신용 스마트폰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 설명하기로 한다.
공급자단말수단(1300)은 공급단말제어부(1301), 수거적재부(1302), 제 1 위생검사부(1303), 세탁건조부(1304), 살균소독부(1305), 제 2 위생검사부(1306), 포장부(1307), 배송부(1308)로 이루어지는 기능부를 내장 또는 외장 상태로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의 공급단말제어부(1301), 수거적재부(1302), 제 1 위생검사부(1303), 세탁건조부(1304), 살균소독부(1305), 제 2 위생검사부(1306), 포장부(1307), 배송부(1308)는 상기 공급자단말수단(1300)에 내장된 상태로 구성되거나 필요에 의하여 외부에 별도 구비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급단말제어부(1301)는 공급자단말수단(1300)에 내장 구성되며 공급자단말수단(1300)에 포함되는 각 기능부의 전체 운용을 감시와 제어와 관리하며, 운용자 단말수단(1200)과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와 금융센터서버수단(1500)과는 유선이 포함된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 방식 또는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유선과 무선 방식 등으로 상호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감시, 관리 기능은 제어기능부의 고유한 작용 또는 기능이며 쉽게 알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나머지 각 구성에서도 동일하게 해당 고유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거적재부(1302)는 공급단말제어부(1301)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사용자단말수단(1100)으로부터 수거된 소모성침구류가 적재되는 구성이며, 자체적으로 내장 구성된 장치로부터 해당 정보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별도로 구성된 장치로부터 해당 정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소모성침구류의 적재된 수량과 위치 등의 정보신호를 공급단말제어부(1301)에 제공한다.
여기서 수거된 소모성침구류는 일정한 수량 또는 로트 단위로 관리하고 적재되도록 감시하며 제어한다. 이러한 로트 단위는 1 장, 5 장, 10 장, 12 장, 20 장, 24 장, 50 장, 100 장 단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량에 의한 소모성침구류이고 10 장 또는 12 장을 하나의 로트 단위로 규정하여 관리하는 것이 비교적 매우 바람직할 수 있다.
제 1 위생검사부(1303)는 공급단말제어부(1301)의 해당 제어 신호에 의하여 수거적재부(1302)에 로트(lot) 단위로 적재된 소모성침구류 중 무작위로 불특정하게 선택된 로트를 샘플로 또는 전 로트를 검사하여 세균수를 검출, 검사 측정한다.
한편, 제 1 위생검사부(1303)는 자체적으로 내장 구성되거나 또는 외부에 별도로 구성된 장치로부터 측정된 제 1 차 위생검사에 의한 제 1 위생정보 신호를 입력받고 공급단말제어부(1301)에 제공할 수 있다.
세균수의 검출, 검사, 측정 방식 또는 위생검사 방식은 이미 설명된 방식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러한 위생검사 방식에서 검출하는 세균은 진드기, 이, 벼룩 등이 포함되며 오염 상태의 확인을 위하여 일측면 전체 표면과 오염으로 판단된 특정 부분을 촬영한 사진이 포함될 수 있다.
제 1 위생검사부(1303)는 측정된 결과값을 공급단말제어부(1301)에 통보하고 공급단말제어부(1301)는 자체 할당된 해당 메모리 영역에 각 로트를 구분하는 번호 또는 일련번호, 측정일자와 연계된 상태로 함께 기록 저장하는 동시에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에 실시간으로 업로드(upload)한다.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에 실시간으로 업로드(upload)된 정보신호는 누구나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에 접속하고 검색 확인하거나 해당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실시간 제공되는 상기의 정보신호가 표시되는 형식은 일반적일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세탁건조부(1304)는 공급단말제어부(1301)의 해당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 1 위생검사부(1303)를 통과한 로트 단위의 소모성침구류를 공급받고 세탁과 건조와 아이롱 및 기타 세탁과정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므로 세탁과정을 완료한다.
세탁건조부(1304)는 자체적으로 내장 구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구성된 장치로부터 세탁, 건조, 아이롱 등을 처리하고 해당 결과의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세탁에는 세제세탁과 약품세탁과 햇빛세탁과 바람세탁 등이 있으며 필요한 경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세탁 방식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그리고 건조에는 실내 또는 실외환경에 의한 자연건조, 열풍건조, 냉풍건조, 저온건조 등이 있으며 필요한 경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건조방식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세탁건조부(1304)는 세탁과 건조가 완료된 소모성침구류를 아이롱 처리 또는 다리미질 처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선택에 의하여 아이롱 처리를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소모성침구류를 다수 수직 적재하여 누름(압박) 처리되도록 하는 경우 아이롱 처리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아이롱 처리를 하지 않을 수 있다.
살균소독부(1305)는 공급단말제어부(1301)의 해당 제어 신호에 의하여 세탁건조부(1304)로부터 세탁이 완료된 로트 단위의 소모성침구류를 공급받고 자외선이 상하좌우 및 각 측면에서도 조사되는 밀폐된 챔버 환경 또는 구분된 창고와 같은 시설에서 48 시간(2일) 내지 72 시간(3일) 범위로 연속 적재하여 병원균과 세균을 살균 소독한다. 살균소독부(1305)는 소모성침구류의 적재된 높이가 1.5 미터를 넘지 않도록 하므로 내부 깊숙이까지 살균소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각 시설은 100 와트(W)급의 자외선 조사장치를 좌우 약 2 미터 간격으로 각각 배치하며, 환풍기를 설치하여 내부에서 공기가 강제 순환되도록 하고 화재감시와 자동진화 장치를 구비함은 매우 당연하다.
살균소독부(1305)는 자체적으로 내장 구비되거나 또는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장치와 접속하여 살균소독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 2 위생검사부(1306)는 공급단말제어부(1301)의 해당 제어 신호에 의하여 살균소독부(1305)로부터 살균소독이 완료된 로트 단위의 소모성침구류를 공급받고, 무작위 선택된 불특정 로트의 샘플 또는 전체를 검사하여 세균과 오염을 검출 측정한다. 검출 측정된 결과를 보조하기 위하여 해당 소모성침구류의 전체, 해당 특정 부분을 확대 촬영한 사진 이미지가 포함된 정보신호를 출력하며 이러한 정보신호를 제 2 위생정보 신호라 한다.
여기서 주로 검출하고 숫자를 측정하는 세균은 진드기, 이, 벼룩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측정결과 한 마리도 검출되지 않거나 측정되지 않아야 되며, 검출 방식은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위생검사부(1306)는 자체적으로 내장 구비된 장치로부터 세균을 검출하여 해당 정보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외부에 구비된 별도 장치로부터 제 2 차 위생검사에 의한 제 2 위생정보 신호를 입력받는 구성일 수 있다.
제 1 위생검사부(1303)와 제 2 위생검사부(1306)는 각각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제 2 위생검사부(1306)는 세균이 검출되거나 측정되는 경우 해당 로트 단위의 소모성침구류를 모두 살균소독부(1305)에 다시 투입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며 살균소독부(1305)를 거친 경우 다시 제 2 위생검사부(1306)를 통과하여 관리되도록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세균이 전혀 검출되지 않는 상태의 소모성침구류는 포장부(1307)로 이송되도록 제어하여 최종 사용자 또는 사용자단말수단(11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포장부(1307)는 공급단말제어부(1301)의 해당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 2 위생검사부(1306)로부터 세균이 검출되지 아니한 소모성침구류를 각각 개별 포장하고 로트단위가 구분되도록 적재하며 출고대기 상태로 보관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
포장부(1307)는 소모성침구류가 포장되기 전에 육안 또는 이미지 스캔 분석으로 이물질의 포함 여부가 검사되고, 이물질이 포함되어(묻어) 있는 경우는 해당 소모성침구류가 분리 구분되며, 필요에 의하여 최종 아이롱 처리를 추가시켜 미관상 보기 좋게 정리된 상태가 되도록 제어되고 감시되는 해당 제어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아이롱 처리는 스팀아이롱 또는 전통적인 다리미 방식인 열압착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 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배송부(1308)는 공급자단말수단(1300)에 내장 구비된 장치이거나 또는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장치로 이루어지며, 공급단말제어부(1301)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포장부(1307)에 적재된 소모성침구류를 공급받고 사용자단말수단(1100)에 배송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감시하며 관리한다.
배송부(1308)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상기 배송에 의한 처리 과정 및 결과에 의한 정보신호를 수신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배송부(1308)는 소모성침구류가 배송될 사용자단말수단(1100)의 위치정보와 소모성침구류의 필요한 수량 정보 등을 운용자단말수단(1200)이 제공한 계약정보를 분석하여 확인하고 배송 처리한다.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는 공급자단말수단(1300)으로부터 수거된 소모성침구류의 숫자가 포함되는 정보신호와 제 1 차 위생검사의 결과에 의한 제 1 위생정보 신호와 세탁처리의 과정과 결과에 의한 정보신호와 제 2 차 위생검사의 결과에 의한 제 2 위생정보 신호와 포장되어 적재된 상태에 의한 정보신호와 배송 상태 또는 배송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신호를 각각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기록 저장하며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된 사용자단말수단(1100)과 운용자단말수단(1200)과 공급자단말수단(1300) 및 기타 접속된 단말수단에 각각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금융센터서버수단(1500)은 사용자단말수단(1100), 운용자단말수단(1200), 공급자단말수단(1300)의 요청에 의하여 지정된 상대방의 지정된 계좌로 지정된 금액을 제공하거나 송금한다.
한편,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체결에 의한 특정 금액이 카드로 결제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확인 과정을 거친 후 결제를 승인하고, 승인된 내역을 카드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통보처리하며, 카드로 결제받은 렌탈 서비스 제공자에게는 렌탈 서비스 제공자가 지정한 계좌로 해당 금액을 송금처리한다.
금융센터서버수단(1500)은 사용자단말수단(1100), 운용자단말수단(1200), 공급자단말수단(1300)의 송금요청에 의하여 지정된 금액을 지정된 계좌에 송금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정된 소정금액은 체결된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에 기재된 금액의 전부 또는 약정된 비율의 일부분일 수 있다.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사용자단말수단(1100), 운용자단말수단(1200), 공급자단말수단(1300),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 금융센터서버수단(1500) 상호간에 송신되거나 수신 모든 정보신호는 정보보호 프레임으로 전달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신호 흐름 설명도 이다.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단말수단(1100)과 운용자단말수단(1200) 사이에는 소모성침구류의 렌탈세탁 서비스 계약과 관련된 각종 정보신호가 송수신되고, 이러한 과정은 수차례 반복될 수 있으며, 계약이 체결되는 경우 결제가 이루어진다(ST101).
사용자단말수단(1100)은 계약이 체결된 경우에 계약금액이 결제되도록 금융센서버수단(1500)에 요청하는 해당 제어신호를 송신하고(ST102), 운용자단말수단(1200)은 계약체결에 의하여 계약금액이 입금되는 결제가 이루어지면 계약에 관련된 필요한 정보신호를 공급자단말수단(1300)에 통보(전달)한다(ST103).
운용자단말수단(1200)은 필요한 경우, 공급자단말수단(1300),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 등에 일정한 비율의 금액이 송금되도록 금융센서서버수단(1500)에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T104).
운용자단말수단(1200)으로부터 계약체결에 관련된 정보신호를 수신받은 공급자단말수단(1300)은 사용자단말수단(1100)에 소모성침구류의 주기적 공급과 수거 과정을 반복한다(ST105).
여기서 주기는 일주일 단위로 지정하는 것이 위생과 시간의 관리 및 일반적인 사회 생활패턴을 고려할 때 매우 바람직하며 이하에서 동일하게 적용한다. 한편, 일정하지 않은 공유일을 추가 지정할 수도 있다.
공급자단말수단(1300)은 수거된 소모성침구류의 제 1 차 위생검사를 실시하고(ST106), 제 1 차 위생검사의 실시 결과를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에 실시간으로 업로드(upload)하며(ST107),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는 업로드된 1차 위생검사 결과의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며, 저장된 정보신호는 누구나 실시간으로 검색(search) 및 다운로드(download)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한다(ST108).
공급자단말수단(1300)은 제 1 차 위생검사 처리된 소모성침구류를 세탁처리 공정에 의하여 세탁, 살균, 아이롱 처리(ST109) 한 후에 제 2 차 위생검사를 실시하고(ST110), 세탁처리 공정의 진행상황과 제 2 차 위생검사 실시 결과의 정보신호를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에 실시간으로 업로드한다(ST111).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는 업로드된 제 2 차 위생검사 결과의 정보신호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므로 누구나 실시간으로 검색 및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한다(ST112).
공급자단말수단(1300)은 설정된 주기 단위로 해당 주기가 도래하면 포장된 소모성침구류를 사용자단말수단(1100)에 배송시켜 공급하고 수거되도록 제어와 감시하며 관리한다(ST113).
한편, 사용자단말수단(1100)과 운용자단말수단(1200)과 공급자단말수단(1200)은 필요한 경우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에 인터넷,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 등을 통하여 접속하고 소모성 침구류의 수거된 상태, 제 1 차 위생검사 결과, 세탁처리의 진행 현황, 제 2 차 위생검사 결과, 창고에 적재된 재고현황, 배송의 진행현황 등이 포함된 정보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색,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해당 정보신호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ST114).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한 운용방법 순서 설명도 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렌탈공급 루틴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소모성침구류의 물류이동과 위생정보 확인 상태 설명도 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한 것으로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운용자단말수단(1200)에 의하여 사용자단말수단(1100)이 통신수단을 통하여 접속하고,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내용(계약서류)을 요청하는 정보신호가 수신 입력되는지 확인한다(S2010).
계약내용 또는 계약서류(이하, '계약내용'이라 한다.)를 요청한다는 것은 계약 체결을 위한 금액조건과 기타 사항 등에 대한 정보제공을 요청하는 것이고 계약을 체결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
운용자단말수단은 접속된 사용자단말수단의 프로그램 설치와 운용상태를 조사하여 렌탈앱이 설치 운용되고 있는지를 조사하며, 설치되지 않은 경우는 최신 버전(version)의 렌탈앱을 무선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시켜 제공한다. 다운로드된 렌탈앱 프로그래은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설치되고 운용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S2020).
이러한 구체적인 방법은 이미 알려져 있거나 쉽게 알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운용자단말수단은 접속된 사용자단말수단을 감시하므로 렌탈앱 프로그램이 운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며, 렌탈앱 프로그램이 운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서 관련 내용(계약서)을 정보보호 프레임으로 암호화시켜 송신한다(S2030).
이하에서 운용자단말수단과 사용자단말수단 및 공급자단말수단, 침구류위생서버수단, 금융센터서버수단 사이에 통신되는 모든 정보신호는 정보보호 프레임으로 암호화되어 송신되고 수신측에서 복호화 처리하여 필요한 내용을 검출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운용자단말수단은 사용자단말수단으로부터 소모성 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서류(계약내용)에 필요한 내용이 모두 기재된 상태로 수신되고 계약 체결을 요청하는 상태인지를 확인한다(S2040).
소모성 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서에는 사용자단말수단을 운용하는 사용자의 신상정보와 소모성침구류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신상정보와 계약체결에 의한 계약금액과 계약금액을 입금하여야 되는 계좌번호, 계약 시간, 서비스 센터 연락처 정보 등등이 기재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신상정보에는 이름, 주소, 전화번호, 직장, 연령, 계좌정보 등과 같이 중요하고 비밀스러운 개인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운용자단말수단은 수신된 계약서류의 내용을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기록 저장하며 계약체결이 완료되었다는 정보신호를 사용자단말수단에 회신하고(S2050), 계약서 내용에 의한 계약금액이 해당 지정기간 이내에 지정된 계좌로 입금되는지를 확인한다(S2060).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계약금액이 지정된 계좌에 입금된 것으로 확인되면(S2060), 운용자단말수단은 공급자단말수단에 계약이 체결되었으니 소모성침구류를 사용자단말수단에 공급하도록 하는 명령신호를 출력하면서 필요한 정보신호를 함께 전송 또는 전달한다(S2070).
소모성 침구류의 공급 명령과 필요한 정보신호를 입력 받은 공급자단말수단은 소모성침구류를 주기적으로 공급하고 수거하며 세탁, 위생처리, 포장 적재 등에 의한 일련의 과정이 반복되는 렌탈공급 루틴(routine)을 계약기간 동안 운용한다(S2080, S2090).
소모성침구류의 렌탈공급 루틴은 도면 7 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다시 설명한다.
첨부된 도 7 및 다른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소모성침구류의 렌탈공급 루틴을 상세히 설명하면,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계약이 체결되었으므로 사용자단말수단에 소모성침구류가 공급되도록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공급자단말수단(1300)에 정보보호 프레임으로 송신 또는 출력한다(S3010).
공급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소모성 침구류가 사용자단말수단에 공급되거나 수거할 주기가 되었는지를 확인한다(S3020).
공급자단말수단은 주기가 되거나 도래한 것으로 확인되면 소모성침구류를 사용자단말수단으로부터 수거하거나 공급한다(S3030).
공급자단말수단은 주기 단위로 수거된 소모성침구류의 숫자 정보신호를 침구류위생정보서버(1400)에 실시간 업로드 하고 또한, 수거된 소모성침구류의 제 1 차 위생검사가 실시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
제 1 차 위생검사한 결과에 의한 정보신호를 제 1 위생정보 신호로 입력받고 침구류위생정보서버에 실시간 전송하여 업로드되므로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기록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S3040).
공급자단말수단은 제 1 차 위생검사가 완료된 소모성침구류를 세탁하고 건조하며 살균처리하는 일련의 세탁처리 진행과정과 해당 상태를 시계열적으로 알 수 있는 정보신호를 침구류위생정보서버에 실시간 전송하여 업로드하므로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기록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S3050).
공급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세탁처리된 소모성침구류로부터 제 2 차 위생검사한 결과의 정보신호를 제 2 위생정보신호로 입력받고, 침구류위생정보서버에 실시간 업로드되도록 감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3060).
제 2 차 위생검사는 소정 기준에 의하여 세균이 검출되지 않아야 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필요에 의하여 제 2 차 위생검사에서 세균이 검출되는 기준은 변경될 수 있다.
공급자단말수단은 제 2 차 위생검사가 완료된 소모성침구류를 포장하고 적재하며(S3070), 설정된 소정의 주기가 되었는지를 확인하고(S3080), 주기가 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 22 단계(S3030)로 궤환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양쪽 부모가 모두 직장생활을 하는 집안의 자녀들이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 부모가 주기적으로 직접 낮잠이불을 수거하고 세탁하여 공급하는 일체의 과정을 대행하면서 세균검사와 살균처리를 통한 위생관리에 철저하므로 부모가 세탁물 처리에 사용할 시간을 효율적이며 경제적으로 직장생활에 활용하여 경제적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부모의 입장에서 어린이 또는 자녀의 세탁물을 안심하고 위탁하여 세탁할 수 있다.
한편, 어린이용 소모성 낮잠이불을 동일한 규격으로 대량 확보하고 주기적이며 위생적인 세탁처리 후에 공급하므로 소모성 낮잠이불의 확보 비용과 세탁처리 비용이 저렴하여 사용자가 저렴한 비용으로 렌탈하고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어린이집용 낮잠이불을 주기적으로 수거와 세탁하고 위생처리된 상태로 공급 제공하므로 침구류를 통한 전염병 등으로부터 자녀가 포함된 어린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 공중보건위생의 신뢰성을 높인다.
또한, 각 개인이나 각 유치원, 기숙사 등에서 사용되는 침구류의 크기나 재질을 규격화하므로 대량의 세탁물이 집단으로 공동 관리되면서 침구류의 구매 비용, 세탁 비용, 위생처리비용, 보관비용, 운송비용 등에 사용되는 관리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0 :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0 : 사용자단말수단 1200 : 운용자단말수단
1300 : 공급자단말수단 1301 : 공급단말제어부
1302 : 수거적재부 1303 : 제1 위새검사부
1304 : 세탁건조부 1305 : 살균소독부
1306 : 제2 위생검사부 1307 : 포장부
1308 : 배송부 1400 : 침구류위생정보서버
1500 : 금융센터서버수단

Claims (11)

  1. 내장된 운용프로그램과 무선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렌탈앱 프로그램의 운용에 의하여 통신경로에 접속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체결 요청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체결이 완료되었다는 정보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단말수단;
    상기 사용자단말수단과 상기 통신경로로 접속하며 내장된 운용프로그램과 설치된 상기 렌탈앱 프로그램의 운용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체결 요청신호를 분석하고 오류가 없으면 자체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며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에 계약체결이 완료되었다는 정보신호를 회신하도록 제어하는 운용자단말수단; 및
    상기 운용자단말수단과 상기 통신경로로 접속하고 내장된 운용프로그램과 설치된 상기 렌탈앱 프로그램의 운용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수단과 상기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이 체결된 정보신호를 수신하여 확인하고, 수거되어 로트 단위로 입고된 소모성침구류의 숫자 정보신호와 로트 단위로 측정된 세균류 숫자 정보신호와 세탁 진행상태의 정보신호와 살균소독의 위생처리 정보신호와 위생처리 후 측정된 세균류 숫자 정보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자체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공급자단말수단; 을 포함하는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자단말수단과 상기 공급자단말수단에 상기 통신경로로 각각 실시간 접속하고 내장된 운용프로그램과 설치된 렌탈앱 프로그램의 운용에 의하여 상기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가 계약체결된 정보신호와 로트 단위로 입고된 소모성침구류의 숫자 정보신호와 세균류 숫자를 측정한 제 1 위생정보 신호와 세탁처리의 진행현황 정보신호와 세탁처리후 세균류 숫자를 측정한 제 2 위생정보 신호를 각각 실시간 입력받아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상기 통신경로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공개시키도록 제어하는 침구류위생정보서버; 를 더 포함하는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단말수단은
    상기 통신경로에 접속하여 통신하며 내장된 운용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공급자 단말수단의 전체 운용과 제어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공급단말제어부;
    상기 공급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수거되고 입고된 소모성침구류의 단위 무게를 측정하며 로트 단위로 구분 분류하여 적재하도록 실시간 제어하는 수거적재부;
    상기 공급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수거적재부가 구분 분류하여 적재된 로트 단위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로트 단위 또는 모든 로트 단위를 각각 검사하여 측정된 세균류 숫자 정보신호를 제 1 위생정보 신호로 실시간 입력받도록 제어하는 제 1 위생검사부;
    상기 공급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 1 위생검사부를 통과한 상기 소모성침구류가 세탁되고 건조되는 진행상황이 확인되는 세탁처리 정보신호를 실시간 입력받도록 제어하는 세탁건조부; 및
    상기 공급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세탁처리가 완료된 2 개 이상 5 개 이하 다수 로트의 소모성침구류가 수직 적재된 상태로 반복 배치되고 자외선이 조사되는 밀폐된 환경에서 48 시간 내지 72 시간 범위로 유치시켜 병원균이 포함된 세균류가 살균소독 처리되고 살균소독 과정이 감시되도록 제어하는 살균소독부;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살균소독 처리된 상기 소모성침구류의 다수 로트 단위 중 무작위 선택된 어느 하나의 로트 단위 또는 모든 로트 단위를 검사하여 측정된 세균류 숫자 정보신호를 제 2 위생정보 신호로 입력받도록 제어하는 제 2 위생검사부;
    상기 공급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 2 위생검사부를 통과한 상기 소모성침구류가 로트 단위로 포장되고 적재된 포장결과의 정보신호를 입력받도록 제어하는 포장부; 및
    상기 공급단말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포장부로부터 입력된 포장결과 정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소모성침구류가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에 배송처리되는 배송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배송과정을 감시하여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배송부; 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경로는 와이파이 방식, 비콘 방식, 블루투스 방식, CDMA 이동통신 방식, TRS 이동통신 방식, 유선통신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 또는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방식에 의한 경로가 모두 구비되고 동시에 활성화되어 운용되며 각 통신방식으로 해당 정보신호를 동일하게 동시에 송신과 수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수단과 상기 운용자단말수단과 상기 공급자단말수단은
    와이파이 방식, 비콘 방식, 블루투스 방식, CDMA 이동통신 방식, TRS 이동통신 방식, 유선통신 방식의 통신 기능부를 모두 구비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 기능부를 동시에 활성화 운용하여 각 통신방식으로 해당 정보신호를 동일하게 동시에 송신과 수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신호는 정보보호 프레임으로 암호화되어 송신되거나 수신되고,
    상기 정보보호 프레임의 단위는
    4 워드의 시작 필드, 20 워드의 제 1 데이터 필드, 20 워드의 제 2 데이터 필드, 10 워드의 예비필드, 5 워드의 체크필드, 1 워드의 종료필드가 포함되어 총 60 워드로 구성되고 하나의 워드는 15 바이트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바이트는 15 비트로 이루어지어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소모성침구류 렌탈과 세탁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성침구류 렌탈과 세탁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개인별 또는 유치원이나 기숙사별로 사용되는 침구류의 크기나 재질을 규격화하여 대량의 세탁물을 집단으로 공동 관리하면서 구매, 세탁, 위생처리, 보관, 운송에 사용되는 관리비용을 절감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모성침구류 렌탈과 세탁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사용자단말수단과 운용자단말수단과 공급자단말수단과 침구류위생정보서버와 금융센터서버수단이 포함되는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으로부터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내용을 요청하는 정보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계약내용의 정보신호를 송신하고 해당 신상정보가 포함된 계약체결 요청의 정보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분석되면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기록시킨 후 계약금액이 입금된 정보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렌탈계약과정;
    상기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이 상기 계약금액을 입금시킨 것으로 분석되는 정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공급자단말수단에 계약체결된 내용을 정보신호로 송신시키는 제어신호가 출력되는 계약등록과정; 및
    상기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계약이 유효한 기간 동안 소모성침구류를 공급, 수거, 세탁, 위생처리, 포장적재하는 일련의 과정이 주기적으로 반복되고 렌탈공급 루틴이 운용되도록 하는 제어신호가 출력되는 렌탈공급과정; 을 포함하는 소모성침구류 렌탈과 세탁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용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렌탈계약과정은
    상기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으로부터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계약내용의 전송을 요청하는 정보신호가 입력되는지를 분석하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 11 단계;
    상기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계약내용을 요청하는 정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신버전의 렌탈앱 프로그램이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에 무선 전송되고 다운로드와 설치되어 운용되도록 제어하며 감시하는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 12 단계;
    상기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이 상기 렌탈앱 프로그램을 운용하는 상태로 분석되면 상기 소모성침구류 렌탈 서비스의 계약내용을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 13 단계;
    상기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으로부터 신상정보가 포함된 계약내용으로 계약체결을 요청하는 정보신호가 입력되는지를 분석하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 14 단계;
    상기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으로부터 상기 계약체결을 요청하는 정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분석되면 수신된 계약내용을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기록하여 저장하고 계약이 체결되었다는 정보신호를 회신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 15 단계; 및
    상기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계약내용으로 체결된 계약에 의한 계약금액이 입금되었다는 정보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16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소모성침구류 렌탈과 세탁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용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렌탈공급루틴은
    상기 운용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에 상기 소모성침구류가 공급되도록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공급자단말수단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제 21 단계;
    상기 공급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주기가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주기가 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단말수단으로부터 상기 소모성침구류를 수거하거나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제 22 단계;
    상기 공급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수거된 상기 소모성침구류로부터 제 1 위생검사한 결과 신호를 제 1 위생정보신호로 입력받고 상기 침구류위생정보서버에 실시간 업로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제 23 단계;
    상기 공급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소모성침구류를 세탁, 건조, 살균하는 세탁처리에 대한 진행상태의 정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침구류위생정보서버에 실시간 업로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제 24 단계;
    상기 공급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세탁처리된 상기 소모성침구류로부터 제 2 위생검사한 결과 신호를 제 2 위생정보신호로 입력받고 상기 침구류위생정보서버에 실시간 업로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제 25 단계;
    상기 공급자단말수단에 의하여 상기 세탁처리된 소모성침구류를 포장하고 적재하며 주기가 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21 단계로 궤환하도록 제어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제 26 단계; 가 포함되는 소모성침구류 렌탈과 세탁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170041110A 2017-03-30 2017-03-30 어린이 낮잠용 침구류 렌탈과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61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110A KR102061931B1 (ko) 2017-03-30 2017-03-30 어린이 낮잠용 침구류 렌탈과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110A KR102061931B1 (ko) 2017-03-30 2017-03-30 어린이 낮잠용 침구류 렌탈과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000A true KR20180111000A (ko) 2018-10-11
KR102061931B1 KR102061931B1 (ko) 2020-01-02

Family

ID=63865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110A KR102061931B1 (ko) 2017-03-30 2017-03-30 어린이 낮잠용 침구류 렌탈과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93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6877A (zh) * 2019-02-01 2019-05-28 无锡市第三人民医院 智能化被子租赁机及其使用方法
KR102166870B1 (ko) * 2020-03-31 2020-10-19 (주)더퍼스트아이씨티 비아이엠 설계데이터 기반 정밀시공 스마트검측 설계지원 시스템 운용방법
KR102193962B1 (ko) * 2019-10-01 2020-12-22 주식회사 클린베딩 침구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046092A (ko) * 2019-10-17 2021-04-28 주식회사 소셜앤피플 셀프 세탁소를 이용한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기록매체
EP3868950A1 (en) * 2020-02-21 2021-08-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fiber management apparatus
KR102565871B1 (ko) * 2022-10-26 2023-08-11 주식회사 렌코 Rfid가 구비된 매트의 렌탈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5601A (ja) * 2002-10-24 2004-05-20 Kaneka Kk 寝具レンタルシステム
KR101720263B1 (ko) * 2016-03-30 2017-03-28 주식회사 리화이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세탁물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6877A (zh) * 2019-02-01 2019-05-28 无锡市第三人民医院 智能化被子租赁机及其使用方法
CN109816877B (zh) * 2019-02-01 2023-10-13 江南大学附属医院 智能化被子租赁机及其使用方法
KR102193962B1 (ko) * 2019-10-01 2020-12-22 주식회사 클린베딩 침구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046092A (ko) * 2019-10-17 2021-04-28 주식회사 소셜앤피플 셀프 세탁소를 이용한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기록매체
EP3868950A1 (en) * 2020-02-21 2021-08-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fiber management apparatus
KR20210106802A (ko) * 2020-02-21 202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섬유 관리 장치 제어 방법
KR20230017902A (ko) * 2020-02-21 2023-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섬유 관리 장치 제어 방법
US11828019B2 (en) 2020-02-21 2023-11-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management apparatus
KR102166870B1 (ko) * 2020-03-31 2020-10-19 (주)더퍼스트아이씨티 비아이엠 설계데이터 기반 정밀시공 스마트검측 설계지원 시스템 운용방법
KR102565871B1 (ko) * 2022-10-26 2023-08-11 주식회사 렌코 Rfid가 구비된 매트의 렌탈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931B1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1000A (ko) 어린이 낮잠용 침구류 렌탈과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070094303A1 (en) System for management of processed instruments
CA2719618C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origins of produce
US7142118B2 (en) Management and distribution of surgical supplies within an RFID enabled network
US20020019709A1 (en)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sink
CN106846154A (zh) 通过监视化学产品的使用来管理清洁进程
Bagg et al. Pre-sterilisation cleaning of re-usable instruments in general dental practice
James Overview of microbial hazards in fresh fruit and vegetables operations
Spry Understanding current steam sterilization recommendations and guidelines
CN106952100A (zh) 一种酒店可视溯源系统
KR101628977B1 (ko) 자동 haccp 관리 시스템
KR101928250B1 (ko) 어린이 낮잠이불 무상 대여와 세탁 서비스 시스템
Carlo The new era of flash sterilization
JP6071802B2 (ja) クリーニングサービス用システム
JP4457621B2 (ja) 食品の製造履歴情報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213024593U (zh) 医疗用品售卖柜
Komorowski New dairy hygiene legislation
Gupta et al. Study of Organisation and Work Management of Central Sterile Supply Department of a Tertiary Care Hospital in Punjab
Huter-Kunish Processing loaner instruments in an ambulatory surgery center
JP6700943B2 (ja) 洗濯フローの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WO2024084414A1 (en) System and integrated method of standardized and automated disinfection in hospital and/or home environments
WO2005064519A1 (fr) Systeme de suivi des procedures d'elements relatifs a la securite sanitaire dans un etablissement hospitalier au moyen d'etiquettes electriques sans contact
Racicot et al. Expert elicitation to estimate the relative risk of food safety criteria included in the Establishment-based Risk Assessment model for Canadian hatcheries
Standard et al. Audit Standard
JP7422485B2 (ja) プリペイド式私物洗濯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23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320

Effective date: 201908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