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944A - 쾌변유도형 양변기 - Google Patents

쾌변유도형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944A
KR20180110944A KR1020170040984A KR20170040984A KR20180110944A KR 20180110944 A KR20180110944 A KR 20180110944A KR 1020170040984 A KR1020170040984 A KR 1020170040984A KR 20170040984 A KR20170040984 A KR 20170040984A KR 20180110944 A KR20180110944 A KR 20180110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oilet
toilet seat
seated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9565B1 (ko
Inventor
이경노
Original Assignee
이경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노 filed Critical 이경노
Priority to KR1020170040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565B1/ko
Publication of KR20180110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Abstract

본 발명은 쾌변유도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발을 올려 허벅지가 들어 올려져 재래식 화장실에서와 같은 배변 자세가 취해지도록 하고, 사용자의 발이 거치되는 발거치부를 배관형성부의 전면에 일체로 제작하여 별도의 발 받침부재를 구입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소비자의 경제적 이익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쾌변유도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이 채워지는 저수통(10)과, 상기 저수통(10)의 하부에 전방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상부에 변기시트(2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하부에 오물과 물이 유동하는 배관이 마련된 상태로 지면이 안착되는 배관형성부(30)로 이루어진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시트(21)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올려 거치함으로써 허벅지가 들어 올려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관형성부(30)의 전면에 일체화된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상면은 평면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 발거치부(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쾌변유도형 양변기{REGULAR MOTION INDUCION TYPE TOILET BOWL}
본 발명은 쾌변유도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발을 올려 허벅지가 들어 올려져 재래식 화장실에서와 같은 배변 자세가 취해지도록 하고, 사용자의 발이 거치되는 발거치부를 배관형성부의 전면에 일체로 제작하여 별도의 발 받침부재를 구입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소비자의 경제적 이익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쾌변유도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많은 현대인들이 겪고 있는 변비는 흔히 변을 보는 간격이 긴 경우를 말하지만, 대변이 너무 굳어서 변을 보기가 어렵거나 대변 양이 너무 적은 경우, 변을 보고 나서도 시원치 않은 경우 관장이나 변비 약을 복용해야만 변을 볼 수 있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의학적으로는 1주일에 3회 이하의 배변, 대변 양이 30g 이하인 경우, 변을 보고 나서도 시원하지 않거나 자꾸 변을 보고 싶은 느낌이 드는 경우를 변비라고 한다.
짧은 기간의 변비는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만성이 되면 복부 팽만감, 복통, 식용감퇴, 두통 피부발진, 어깨 결림 등 전신증상이 생기며 치핵이나 치열과 같은 항문 질환이 생기기도 하고, 장내 세균의 이상 증식으로 인해 대장암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변비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만성변비증이라고 하는데, 만성 변비의 원인으로는 대장이 아닌 다른 질환이나 약물에 의한 변비, 대장이나 직장항문의 구조적 이상이 발생하여 오는 기질적 변비, 대장/직장 및 항문의 기능 이상으로 오는 기능적 변비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대부분은 직장 항문의 기능 이상으로 생기는 기능성 변비이다. 기능성 변비는 대장의 움직임이 전반적으로 떨어져 생기는 이완형 변비, 대장의 일부분의 움직임이 떨어져서 생기는 이상운동형 변비, 골반 출구 폐쇄로 인한 직장형 변비로 다시 크게 나눌 수 있다.
직장형 변비는 배변 자세와 관련이 된다. 현대인들이 사용하는 좌변기는 서양인들이 사용하던 높이와 구조를 그대로 들여와 사용하기 때문에 서양인들 보다 키가 작고 체구도 작은 동양인들은 좌변기에 착석시, 변이 나오기 힘든 꾸부정한 자세가 된다. 이러한 꾸부정한 자세로 인해 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게 되고 변이 가늘게 나오고, 이것을 시원히 보려고 배에 힘을 주거나 배를 주무르거나 하는 편법 등이 행해진다.
배에 힘을 주게 되면 배 근육과 골반 근육이 같은 신경계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항문을 오히려 오무린 상태에서 변이 나오는 모순적인 결과를 나타내게 되고, 그렇게 되면 변을 시원히 보기 위해 더 많은 힘을 항문에 주게 되어 직장이 늘어나고 변비가 악화되는 악순화를 겪게 된다.
재래식 화장실에서 변을 볼 때는 허리가 곧게 펴지고, 골반이 뒤로 빠져서 항물이 잘 벌어지고, 골반 근육이 펴지는 자세가 되어서 의학적으로 아주 변을 보기 수월한 자세가 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공개특허 제10-2007-0120478호(쾌변을 위한 좌변기)와 공개특허 제10-2005-0120449호(원활한 배변을 유도하는 변기시트) 등은 좌변기에 착석시 재래식 화장실에서와 같은 배변 자세가 취해지도록 좌대의 전방을 허벅지가 들려지도록 후방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변기시트를 교체하지 않고, 착석의자와 같은 별도의 발 받침부재를 구입하여 양변기의 전방에 위치시켜 대변 용무를 볼 때, 상기 발 받침부재에 발을 올려 허벅지가 들어올려지도록 함으로써 쾌변을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별도의 발 받침부재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발 받침부재가 화장실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발에 걸려 본래의 위치에서 멀어져 양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다시 상기 발 받침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켜야 되는 번거러움이 따르게 됨은 물론 대변 용무시 발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 받침부재가 움직이게 되어 배변 용무를 원활히 볼 수 없게 되고, 발 받침부재가 위치하는 바닥면에 오물이 쌓이거나 더러워져 화장실의 위생상태를 불량하게 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발이 거치되는 발 거치부를 양변기의 배관형성부 전면에 일체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변 용무시 허벅지가 들어 올려져 재래식 화장실에서와 같은 배변 자세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별도의 발 받침부재를 구입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소비자의 경제적 이익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쾌변유도형 양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화장실의 청소시 상기 발 거치부에 고이는 물이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발 거치부의 사용성을 높이고, 종래 별도로 구입한 발 받침부재가 발에 걸려 본래의 위치에서 벗어나는 문제 및 종래 발 받침부재가 위치하는 바닥면의 위생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여 양변기 주위의 깨끗하고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이 채워지는 저수통(10)과, 상기 저수통(10)의 하부에 전방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상부에 변기시트(2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하부에 오물과 물이 유동하는 배관이 마련된 상태로 지면이 안착되는 배관형성부(30)로 이루어진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시트(21)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올려 거치함으로써 허벅지가 들어 올려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관형성부(30)의 전면에 일체화된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상면은 평면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 발거치부(40)가 더 포함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는 중앙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배수홈(41)이 형성되어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 낙하된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는 고무재질의 완충거치판(50)이 설치되되 상기 완충거치판(50)에는 상기 배수홈(41)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배출공(5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 외곽에는,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변기시트(21)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바닥을 걸림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걸림턱(6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20)를 바라보는 방향의 상기 돌출걸림턱(60)에는 사용자 발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62)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변기의 제작시 사용자의 발이 거치되는 발 거치부가 배관형성부 전면에 일체로 제작되어 화장실에 설치됨에 따라 별도의 발 받침부재를 구입할 필요가 없어 소비자의 경제적 이익에 도움이 됨은 물론 대변 용무시 허벅지가 들어올려지게 되어 쾌변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별도의 발 받침부재로 인해 발생되는 발 받침부재의 위치이탈 문제, 발 받침부재가 위치되는 바닥면의 위생불량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쾌적한 화장실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발 거치부의 상면에 배수홈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발 거치부에 고이는 물이 자연배수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쾌변유도형 양변기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거치부의 상면상태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거치부의 상면에 형성된 배수홈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거치부의 상면에 완충거치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거치판의 배출공이 배수홈과 연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걸림턱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확대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쾌변유도형 양변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쾌변유도형 양변기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거치부의 상면상태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거치부의 상면에 형성된 배수홈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거치부의 상면에 완충거치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거치판의 배출공이 배수홈과 연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걸림턱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확대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쾌변유도형 양변기는 배변 용무를 보는 경우, 사용자가 발을 올려 허벅지가 들어 올려져 재래식 화장실에서와 같은 배변 자세가 취해지도록 하여 배변을 보다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양변기의 제조시 몸체부(20)와 배관형성부(30), 발거치부(40)를 일체로 제작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함으로써 가정이나 업소등에서 장기간 효과적인 사용을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쾌변유도형 양변기는 물이 채워지는 저수통(10)과, 상기 저수통(10)의 하부에 전방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상부에 변기시트(2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하부에 오물과 물이 유동하는 배관이 마련된 상태로 지면에 안착되는 배관형성부(30)로 이루어진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배관형성부(30)의 저면에 일체화된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발거치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발거치부(40)는 양변기의 제조시, 상기 배관형성부(30)의 전면에 상기 발거치부(4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제조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쾌변을 위한 별도의 발 받침부재를 구입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소비자의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고, 종래 발 받침부재가 발에 걸려 양변기로부터 멀어져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야 되는 번거러움을 해소함은 물론 발 받침부재가 위치되는 바닥면에 오물이 쌓이거나 더러워져 화장실의 위생상태를 불량하게 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발거치부(40)는 상기 변기시트(21)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올려 거치함으로써 허벅지가 들어올려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관형성부(30)의 전면에 일체화된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상면은 평면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배관형성부의 전면에 상기 발거치부(40)가 일체로 형성된 본 발명의 양변기를 화장실의 바닥면에 설치시 상기 배관형성부와 발거치부의 하측이 바닥면에 안착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화장실의 바닥면과 양변기 하단 사이의 이격부분을 가리도록 상기 배관형성부와 발거치부의 하단둘레를 마감부재로 메워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설치를 완료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는 중앙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배수홈(41)이 형성되어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 낙하된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화장실의 경우 필수적으로 물 청소가 이루어지는데, 물 청소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 청소에 사용된 오염수가 고여 있게 되어 양변기의 사용시 불쾌감을 유발하게 됨은 물론 비위생적인 상태가 지속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거치부(40)에 상기 배수홈(41)을 형성하여 상기 발거치부(40)에 고이게 되는 물의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는 상기 배수홈(41)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배출공(51)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완충거치판(50)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변기시트(21)에 앉아 발을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 올려놓을 시, 상기 완충거치판(50)에 의해 발의 미끌림을 방지하고, 상기 완충거치판(50)의 상부에 고이는 물이 상기 배출공(51)을 통해 상기 발거치부(40)의 배수홈(41)을 따라 이동되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완충거치판(50)의 상면에는 상기 배출공(51)을 상호 연결하는 격자형 배수라인(52)을 형성하여 상기 완충거치판(50)의 상면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배수라인(52)을 따라 상기 배출공(51)으로 용이하게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 외곽에는,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변기시트(21)에 착석한 양변기 사용자가 발바닥을 걸림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발거치부(40)에 발을 올린 상태에서의 미끌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20)를 바라보는 방향의 상기 돌출걸림턱(60)에는 경사면(61)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61)에는 사용자 발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6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이나 상기 완충거치판(50)의 상면이 미끄러운 경우, 상기 변기시트(21)에 앉은 양변기 사용자가 상기 돌출걸림턱(60)의 경사면(61)에 발의 뒤꿈치부분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대변 용무시 발의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쾌변유도형 양변기는 사용자가 발거치부에 발을 올려 허벅지가 들어 올려져 재래식 화장실에서와 같은 배변 자세가 취해지도록 하여 배변을 보다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양변기의 배관형성부 전면에 상기 발거치부가 일체로 제작되어 종래 별도의 발 받침부재를 구입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소비자의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고, 발 받침부재가 발에 걸려 본래의 위치에서 벗어나는 불편함 및 발 받침부재가 위치하는 바닥면에 오물이 쌓이거나 더러워져 화장실의 위생상태를 불량하는 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저수통 20: 몸체부
21: 변기시트 30: 배관형성부
40: 발거치부 41: 배수홈
50: 완충거치판 51: 배출공
60: 돌출걸림턱 61: 경사면
62: 요철부

Claims (5)

  1. 물이 채워지는 저수통(10)과, 상기 저수통(10)의 하부에 전방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상부에 변기시트(2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하부에 오물과 물이 유동하는 배관이 마련된 상태로 지면에 안착되는 배관형성부(30)로 이루어진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시트(21)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올려 거치함으로써 허벅지가 들어 올려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관형성부(30)의 전면에 일체화된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거치부(40)가 더 포함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쾌변유도형 양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는 중앙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배수홈(41)이 형성되어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 낙하된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쾌변유도형 양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는 고무재질의 완충거치판(50)이 설치되되 상기 완충거치판(50)에는 상기 배수홈(41)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배출공(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쾌변유도형 양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 외곽에는,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변기시트(21)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바닥을 걸림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걸림턱(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쾌변유도형 양변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를 바라보는 방향의 상기 돌출걸림턱(60)에는 사용자 발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쾌변유도형 양변기.
KR1020170040984A 2017-03-30 2017-03-30 쾌변유도형 양변기 KR101909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984A KR101909565B1 (ko) 2017-03-30 2017-03-30 쾌변유도형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984A KR101909565B1 (ko) 2017-03-30 2017-03-30 쾌변유도형 양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944A true KR20180110944A (ko) 2018-10-11
KR101909565B1 KR101909565B1 (ko) 2018-10-18

Family

ID=63865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984A KR101909565B1 (ko) 2017-03-30 2017-03-30 쾌변유도형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5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899A (ko) * 2021-02-03 2022-08-10 주식회사 로얄통상 간이 화장실용 이동식 좌변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6211A (ja) * 2003-04-15 2004-11-11 Kikuhiyori Kk 男性用便器
JP2006289035A (ja) * 2005-04-13 2006-10-26 Yoshiki Seki 和、洋式便器
KR100999079B1 (ko) * 2010-05-07 2010-12-07 송경진 발받침부를 구비한 남성 소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6211A (ja) * 2003-04-15 2004-11-11 Kikuhiyori Kk 男性用便器
JP2006289035A (ja) * 2005-04-13 2006-10-26 Yoshiki Seki 和、洋式便器
KR100999079B1 (ko) * 2010-05-07 2010-12-07 송경진 발받침부를 구비한 남성 소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899A (ko) * 2021-02-03 2022-08-10 주식회사 로얄통상 간이 화장실용 이동식 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565B1 (ko)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92762A (zh) 便携式坐便器
US20070101487A1 (en) Secure and hygienic shower/commode chair seat/cover and commode incorporating the same
KR101909565B1 (ko) 쾌변유도형 양변기
CN101153499A (zh) 一种多功能马桶
JP2009297445A (ja)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101909562B1 (ko) 양변기용 쾌변유도형 시트
JP3670352B2 (ja) 浴用椅子
JP2008154997A (ja) 浴室ユニット
JP2019010275A (ja) オストメイト及び健常者共用の便座
KR101940639B1 (ko) 목욕용 슈트
JPH08150180A (ja) 局部洗浄槽付ベッド
JP4392648B2 (ja) シャワー用車椅子
JP2017109003A (ja) 介護用シャワー椅子
KR100934126B1 (ko) 좌욕기구
CN211484269U (zh) 一种分离式座面老年洗澡座椅
KR200320368Y1 (ko) 좌변기
CN212394736U (zh) 一种洗浴盆
JP2020058752A (ja) 介護用パンツを着用した排泄と、入浴が出来る介護用ベッド
KR20140065885A (ko) 좌변기
JP7418073B1 (ja) オストメイト用のシャワー付き便座装置
JP2019058359A (ja) 浴室内介助用チェア
CN209391838U (zh) 一种跪式便器
CN219353739U (zh) 一种洗浴护理椅
CN201022656Y (zh) 一种与抽水马桶配套的坐洗盆
JP2009225882A (ja) 介護用ベッ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