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417A -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09417A KR20180109417A KR1020170039137A KR20170039137A KR20180109417A KR 20180109417 A KR20180109417 A KR 20180109417A KR 1020170039137 A KR1020170039137 A KR 1020170039137A KR 20170039137 A KR20170039137 A KR 20170039137A KR 20180109417 A KR20180109417 A KR 201801094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um
- unit
- media
- special purpose
- us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07D11/0021—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 G07D11/0027—
-
- G07D11/0036—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7—Aligning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금융기기는 매체가 투입되는 매체 투입부, 상기 매체의 상태를 판별하는 매체 판별부, 상기 투입된 매체를 권종별로 집적하는 복수의 매체 집적함, 복수의 매체 집적함에 집적된 매체가 인출되는 매체 인출부, 상기 매체 투입부, 매체 판별부, 매체 집적함 및 매체 인출부 사이에서 매체를 반송하는 매체 반송부, 상기 매체 투입부에 투입된 매체, 상기 매체 집적함 및 상기 매체 인출부에 집적된 매체를 반송하도록 상기 매체 반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매체 집적함의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매체 판별부로부터 상기 매체 집적함으로의 상기 매체 반송부의 경로 상에 배치된 제1 특수 용도함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 판별부가 투입된 매체를 위조지폐로 판단한 경우, 해당 매체를 상기 매체 판별부로부터 상기 제1 특수 용도함으로 반송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융기기를 통해 고객은 금융기관의 계원 등의 도움 없이 은행 또는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금융기기는 입금, 계좌 이체, 잔액 조회, 예금 인출, 및 통장 정리 등의 금융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또한 금융 서비스를 수행한 내역을 용지에 인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금융기기는 내부에 매체를 저장하기 위한 다양한 공간들을 마련하고 있다. 각 공간들은 금융기기를 운용하는 주체에 따라서 다양한 용도로 지정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위조 지폐의 수가 증가하여 이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으며, 매체를 저장하는 한정된 공간 내에서 매체의 권종 및 상태에 따른 효율적인 매체 관리에 대한 요구 또한 계속해서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서 위조 지폐를 포함하여 매체의 권종 및 상태에 따른 매체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금융기기는, 매체가 투입되는 매체 투입부, 상기 매체의 상태를 판별하는 매체 판별부, 상기 투입된 매체를 권종별로 집적하는 복수의 매체 집적함, 복수의 매체 집적함에 집적된 매체가 인출되는 매체 인출부, 상기 매체 투입부, 매체 판별부, 매체 집적함 및 매체 인출부 사이에서 매체를 반송하는 매체 반송부, 상기 매체 투입부에 투입된 매체, 상기 매체 집적함 및 상기 매체 인출부에 집적된 매체를 반송하도록 상기 매체 반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매체 집적함의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매체 판별부로부터 상기 매체 집적함으로의 상기 매체 반송부의 경로 상에 배치된 제1 특수 용도함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 판별부가 투입된 매체를 위조지폐로 판단한 경우, 해당 매체를 상기 매체 판별부로부터 상기 제1 특수 용도함으로 반송한다.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에 의하여 투입된 매체의 상태 및 권종을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한 매체가 정상 매체인 경우, 매체를 권종별로 집적하는 복수의 매체 집적함 중 상기 판별한 매체의 해당 권종을 집적하는 매체 집적함에 상기 판별한 매체를 곧장 반송하여 집적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한 매체가 위조지폐인 경우, 상기 판별한 매체를 상기 복수의 매체 집적함의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매체의 상태 및 권종을 판별하는 매체 판별부로부터 상기 매체 집적함으로의 매체 반송 경로 상에 배치된 제1 특수 용도함으로 반송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한 매체가 비정상 매체인 경우, 상기 판별한 매체를 제2 특수 용도함으로 반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입금 취소 신호가 입력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매체 집적함에 집적된 매체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투입된 매체를 매체 인출부로 반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구성에 따르면, 위조 지폐를 포함하여 매체의 권종 및 상태에 따른 매체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금융기기에 의한 입금 처리 중의 1차 입금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 따른 금융기기에 의한 입금 처리 중의 2차 입금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 에 따른 금융기기에 의한 롤백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금융기기에 의한 입금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금융기기에 의한 입금 처리 중의 1차 입금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 따른 금융기기에 의한 입금 처리 중의 2차 입금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 에 따른 금융기기에 의한 롤백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금융기기에 의한 입금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 예로 지폐, 증권,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ATM: Automatic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금융기기(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 매체 투입부(20), 매체 인출부(30), 매체 집적함(40), 제1 특수 용도함(50), 제2 특수 용도함(60), 매체 반송부(70), 매체 판별부(80), 제어부(90) 및 기억부(9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는 금융기기(1)를 사용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나 조작이 입력되고, 사용자에게 금융기기(1)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나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사용자에게 정보 등을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부 및 출력부는 물리적 키, 터치 패널, 스피커, 디스플레이부 등의 조합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일반 고객일 수도 있으며, 은행 등에서 업무를 처리하는 계원일 수도 있을 것이다.
매체 투입부(20)는 매체가 투입되는 곳으로서, 사용자는 입금, 계수 또는 매체가 부족한 매체 집적함(40)으로의 매체 보충 등을 위해 매체를 매체 투입부(20)에 적치할 수 있다.
매체 인출부(30)는 매체 집적함(40), 제2 특수 용도함(60) 등에 보관된 매체가 인출되는 곳으로서, 매체 인출부(30)로 반송된 매체는 사용자에 의해 수취될 수 있다. 또한 매체 인출부(30)는 매체 투입부(20)에 투입된 매체의 1차 입금 시 비정상 매체, 예를 들어 훼손 매체나 위조가 의심되는 매체(이하, '위조 의심 매체'라고 함)를 일시적으로 집적하고 있을 수 있다.
매체 집적함(40)은 매체를 보관하는 부분이다. 매체 집적함(40)은 후술하는 매체 판별부(80)에서 매체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서 정상 매체를 권종별로 집적한다. 따라서 매체 집적함(40)은 처리하는 매체의 권종 수만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매체 집적함(4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빈도가 낮은 매체의 경우에는 2종 이상의 매체가 하나의 매체 집적함(40)에 함께 집적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매체 집적함(40)은 1개의 집적 공간이 마련되는 1단의 구조일 수도, 2개의 집적 공간이 마련되는 2단의 구조일 수도 있다. 매체 집적함이 2단의 구조일 경우 매체 집적함은 상단(41U-44U)과 하단(41L-44L)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상단(41U-44U)과 하단(41L-44L)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공간일 수 있다(도 2 참조).
제1 특수 용도함(50)은 위조지폐가 집적된다. 제1 특수 용도함(50)은 매체 판별부(80)에서 매체를 판별한 결과, 매체가 위조지폐라고 판단된 경우 위 매체가 다른 집적함에 섞여서 재사용되지 않도록 별도로 마련된 매체 집적 공간이다. 제1 특수 용도함(50)에 집적된 위조지폐는 이후 사용자가 입금을 취소하는 경우라도 다시 사용자에게 반환되지 않는다. 즉, 제1 특수 용도함(50)에 집적된 위조지폐는 계원에 의하여 특별한 조작이 있는 경우에 매체 인출부(30)로 반송되어 수거되거나, 제1 특수 용도함(50) 자체를 금융기기(1)로부터 분리하는 방식으로 수거될 수 있다.
제1 특수 용도함(50)은 매체 집적함(40)과는 별도로 떨어진 위치로서, 매체 집적함(40)들이 설치되는 위치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매체 집적함(40) 내의 복수의 매체 집적함들은 후술하는 매체 반송부(70) 상에 소정의 방향으로 연결된 흐름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제1 특수 용도함(50)은 이들 매체 집적함(40)과 별도의 경로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특수 용도함(50)은 매체 반송부(70) 중 매체 판별부(80)와 매체 집적함(40) 사이의 순환경로에서 벗어나서 분기되는 경로상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특수 용도함(50)의 일예로서, 기존에 1차 입금 동작을 수행하던 금융기기들에서 투입된 매체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던 일시 집적함이 제1 특수 용도함(50)으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매체 집적함(40) 및 제2 특수 용도함(60)은 금융기기(1)의 하단에 마련된 문을 통하여 접근이 가능하나, 제1 특수 용도함(50)은 금융기기(1)의 상단에 마련된 별도의 문을 통하여 접근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금융기기(1)의 관리자가 외부로부터 제1 특수 용도함(50)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법과 외부로부터 복수의 매체 집적함(40)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법이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 특수 용도함(50)은 위조지폐를 집적할 뿐만 아니라, 그 배치 위치, 접근 방법 등을 다른 상태의 매체를 집적하는 매체 집적함(40) 등과 구분하여 취급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위조지폐를 별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제2 특수 용도함(60)은 매체 반송부(70)의 매체 반송 경로 상에서 매체 집적함(40)과 나란히 설치되는 매체 집적 공간이다. 제2 특수 용도함(60)은 용도에 따라서 복수 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특수 용도함(60)은 그 형태가 매체 집적함(40)과 동일할 수도 있으며, 매체 집적함(40)과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매체 반송부(70)는 매체 투입부(20), 매체 인출부(30), 매체 집적함(40), 제1 특수 용도함(50), 제2 특수 용도함(60), 매체 판별부(80) 사이에서 매체들을 필요한 곳으로 반송한다. 여기서, 필요한 곳이란 매체가 반송되어야 하는 목적지를 의미할 수 있다. 매체 반송부(70)는 매체의 반송을 위해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체 반송부(70)는 매체 투입부(20), 매체 인출부(30), 매체 집적함(40), 제1 특수 용도함(50), 제2 특수 용도함(60)과의 사이에서 매체를 그 안으로 집어 넣거나 다시 매체 반송부(70) 상의 매체 반송 경로 상으로 안내하기 위한 분기경로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매체 판별부(80)는 자신을 통과하는 매체의 상태를 판별한다. 매체의 상태는 정상 매체, 비정상 매체(훼손 매체, 위조 의심 매체), 처리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된 매체, 예를 들어 금융기기(1)가 설치된 국가에서 통용되는 매체 이외의 매체(이하, '비처리 매체'라고 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매체 판별부(80)는 또한 판별 대상 매체의 권종과 해당 매체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고유 번호를 판별할 수 있다. 고유 번호는 매체에 기입되어 있는 일련번호를 지칭하는 것으로 숫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숫자, 문자, 숫자와 문자의 조합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90)는 금융기기(1)를 구성하는 각 부분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지시나 조작 등에 다라서 해당 부분을 제어하고, 제어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0)로 출력한다. 제어부(90)는 매체 투입부(20)에 투입된 매체, 매체 인출부(30)나 매체 집적함(40) 혹은 제2 특수 용도함(60) 등에 집적된 매체를 반송하도록 매체 반송부(70)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90)는 매체 판별부(80)에서 매체를 판별한 결과인 매체의 상태, 권종, 고유 번호 등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데이터를 기억부(95)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90)는 매체를 집적하는 매체 투입부(20), 매체 인출부(30), 매체 집적함(40), 제1 특수 용도함(50) 및 제2 특수 용도함(60) 등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기억부(95)는 매체 판별부(80)에서 판별한 매체에 관련된 정보를 기억한다. 기억부(95)는 매체 판별부(80)에서 판별한 매체의 상태 및 고유 번호에 대한 정보를 권종별로 기억할 수 있다. 또한 기억부(95)는 권종별로 매체의 상태 및 고유 번호를 기억함에 있어서 매체 판별부(80)에 의하여 판별된 순서대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기억부(95)는 매체 집적함(40) 등의 매체 집적 공간별로 매체가 집적된 순서에 따라서 기억되는 데이터를 정렬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 설명한 금융기기(1)에 대한 개념도들을 이용하여 금융기기의 구성 및 동작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2)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매체의 이동에 따른 금융기기(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0), 제어부(90), 기억부(95) 등의 구성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금융기기(2)는 매체 투입부(20), 매체 인출부(30), 매체 집적함(40), 제1 특수 용도함(50), 제2 특수 용도함(60), 매체 반송부(70), 매체 판별부(80)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금융기기(2)는 반환부(32) 및 제3 특수 용도함(62)을 더 포함하고 있다.
매체 반송부(70)는 매체를 일 방향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한다. 일례로, 매체 반송부(70)는 도 2에 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매체 판별부(80)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매체를 반송할 수 있다. 매체 반송부(70)는 사용자가 특정 거래, 예를 들어 입금 처리나 출금 처리를 요청할 때 매체를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매체 반송부(70)는 사용자의 거래 요청이 없더라도, 자체적으로 매체를 반송할 필요가 있을 때, 예를 들어 시재 검증이 필요할 때 매체를 반송할 수 있다.
반환부(32)는 매체 투입부(20)를 통하여 투입된 매체 중에서 매체 판별부(80)에 의하여 처리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된 매체, 예를 들어 금융기기(2)가 설치된 국가에서 통용되는 매체 이외의 매체(이하, '비처리 매체'라고 함)를 사용자에게 반환한다. 예를 들어, 금융기기(2)가 한국에 설치되는 경우에 달러화나 유로화가 투입되면, 해당 매체를 반환부(32)를 통하여 곧장 반환할 수 있다.
제3 특수 용도함(62)은 제1 특수 용도함(50) 및 제2 특수 용도함(60) 이외에 금융기기(2)의 설치자가 특정 기능을 위하여 사용하는 매체 집적 공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 특수 용도함(62)은 매체 집적함(40)에 매체가 최대로 집적되어 더 이상 수용할 수 없는 상태(Overflow)일 때 추가로 매체가 투입되는 경우에, 해당 매체(이하, '오버플로우 매체'라고 함)를 집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매체 집적함(40)에 집적된 매체가 모두 인출되어 보충이 필요한 경우, 제3 특수 용도함(62)에 필요한 매체를 집적한 후 보충이 필요한 매체 집적함(40)으로 해당 매체를 반송하는 매체 보충 기능에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매체 집적함(40)에 집적된 매체를 회수하는 경우에, 제3 특수 용도함(62)에 회수하려는 매체를 반송하여 외부로 반출할 수 있을 것이다.
제3 특수 용도함(62)은 매체의 반송 경로 상에서 매체 집적함(40)을 사이에 두고 제2 특수 용도함(60)의 반대편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3 특수 용도함(62)은, 매체의 회수나 보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관리자가 금융기기(2)에서 제3 특수 용도함(62), 매체 집적함(40) 및 제2 특수 용도함(60)으로의 접근을 차단하고 있는 문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2 특수 용도함(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2단 구조일 수 있는데, 그러한 경우 상단(60U)은 제2 특수 용도함(6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하단(60L)은 리젝트 박스로서 사용되는 매체 집적 공간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리젝트 박스는 2차 입금 시의 비정상 매체의 오버플로우 매체나, 출금 거래 시 매체 판별부(80)에 의하여 비정상 매체 혹은 비처리 매체라고 판별된 매체 등이 집적될 수 있다. 혹은 리젝트 박스는 사용자가 입금 취소 시 반환되는 매체나 출금 처리 시 인출되는 매체를 수취하지 않은 경우, 해당 매체를 보관하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는 매체 집적 공간으로서 4개의 매체 집적부(41~44), 제2 특수 용도함(60) 및 제3 특수 용도함(62)이 매체 반송 경로의 최하단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매체 집적 공간의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이러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2)에서의 주요 동작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입금(Deposit) 처리
도 3은 도 2에 따른 금융기기(2)에 의한 입금 처리 중 소위 1차 입금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매체 투입부(20)에 매체를 투입하면(S10), 매체 투입부(20)에 투입된 매체인 투입매체는 매체 투입부(20)에서 한 장씩 인출되어 매체 판별부(80)로 반송된다(S11). 반송된 투입매체는 매체 판별부(80)에 의하여 매체의 권종, 상태, 고유 번호가 판별된다(S12).
매체 판별부(80)에 의한 판별 결과, 투입매체가 정상 매체라고 판단하면(S13, Yes), 제어부(90)는 투입매체를 매체 반송부(70)에 의해 매체 집적함(40)으로 곧장 반송하여, 복수의 매체 집적부(41-44) 중 해당 권종을 집적하는 매체 집적부(41-44)에 집적한다(S14). 이때, 제어부(90)는 판별한 매체의 고유 번호를 집적한 순서대로 기억부(95)에 저장한다(S15). 다만, 제어부(90)는 반드시 매체를 집적한 순서대로 고유 번호를 기억부(95)에 저장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며, 매체를 집적한 순서를 식별할 수 있는 방식으로 고유 번호를 기억부(95)에 저장하면 될 것이다.
매체 집적부(41-44)는 사용자에 의하여 집적하는 매체의 권종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금융기기(2)가 유럽에 설치되는 경우, 매체 집적부 41의 상단(41U)이 5유로, 하단(41L)이 100유로, 매체 집적부 42의 상단(42U)이 10유로, 하단(42L)이 200유로, 매체 집적부 43의 상단(43U)이 20유로, 하단(43L)이 500유로, 매체 집적부 44의 상하단(44U, 44L)이 50유로로 설정될 수 있다.
매체 판별부(80)에 의한 판별 결과, 투입매체가 위조지폐가 아닌 비정상 매체로서, 금융기기(2)가 설치된 국가에서 통용되는 화폐가 아니라고 판단(비처리 매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투입매체를 반환부(32)로 바로 반송하여 사용자에게 반환할 수 있을 것이다.
매체 판별부(80)에 의한 판별 결과, 투입매체가 위조지폐가 아닌 비정상 매체로서, 훼손 매체이거나 위조 의심 매체라고 판단하면(S16, No), 제어부(90)는 투입매체를 매체 반송부(70)에 의해 매체 인출부(30)에 반송하여 일시적으로 보관한다(S18).
한편, 매체 판별부(80)에 의한 판별 결과, 투입매체가 위조지폐라고 판단되면(S16, Yes), 제어부(90)는 투입매체를 매체 반송부(70)에 의해 제1 특수 용도함(50)에 반송하여 보관한다(S17).
제어부(90) 및 매체 판별부(80)는 사용자에 의하여 투입된 모든 투입매체에 대하여 매체 판별 동작 및 그 결과에 따른 반송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S19), 모든 투입매체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도록 한다.
매체 판별부(80)에 의하여 판별한 매체를 해당 매체 집적 공간으로 반송함에 있어서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공간에 반송되어야 할 매체는 제3 특수 용도함(62)에 반송되어 집적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금융기기(2)에 의한 입금 처리 중 1차 입금이 수행된다.
도 4는 도 2 따른 금융기기에 의한 입금 처리 중 소위 2차 입금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차 입금 동작에 이어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0)를 통하여 입금을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입금 확인 신호를 입력하면(S20), 매체 인출부(30)에 일시적으로 보관되어 있던 훼손 매체 및 위조 의심 매체를 제2 특수 용도함(60)으로 반송하여 보관한다(S21). 훼손 매체 및 위조 의심 매체는 제2 특수 용도함(60) 중에서 상단(60U)에 집적될 수 있으며, 하단(60L)은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다른 용도란 상단(60U)에 집적 가능 매수를 초과한 매수의 매체가 반송되는 경우, 초과된 매체들을 집적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사용자에 의한 입금 확인 신호 입력 시, 제어부(90)는 제1 특수 용도함(50)에 집적된 위조지폐는 사용자에게 다시 반환하지 않는다. 즉, 위조지폐의 경우 일단 금융기기(2) 내로 들어간 이상, 관리자 등에 의하여 특별히 조작되지 않는 한 다시 수취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입금 확인 신호에도 불구하고, 투입매체 중 정상 매체는 1차 입금에 의하여 이미 최종적으로 반송되어야 할 매체 집적함(40)에 집적되어 있으므로 추가적인 처리를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위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금융기기(2)에 의한 입금 처리 중 2차 입금이 수행되어 입금 처리가 최종 완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1차 입금 시 정상 매체는 매체 집적함(40) 중 해당 권종을 집적하는 매체 집적부(41-44)에 곧장 반송 및 집적된다.
롤백(Roll Back) 처리
도 5는 도 2 에 따른 금융기기에 의한 롤백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매체를 매체 투입부(20)를 통하여 투입하더라도 소정의 경우에 매체를 사용자에게 다시 반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투입한 총액과 금융기기(2)가 사용자에게 표시한 총액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 혹은 사용자가 입금 처리를 중지하고 싶은 경우 등에는 사용자가 투입했던 매체를 그대로 사용자에게 반환하여야 한다. 이처럼 사용자에게 투입된 매체를 다시 반환하는 동작을 롤백 처리라고 칭한다.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이유로 입금 취소 신호가 입력되면(S30), 매체 집적함(40)에 집적된 매체들을 사용자에 의하여 투입된 매수만큼 인출하여 매체 판별부(80)로 반송한다(S31). 그리고 매체 판별부(80)는 반송되어 온 매체들의 고유 번호를 판별한다(S32).
제어부(90)는 매체 집적함(40)에 집적할 당시에 기억부(95)에 저장한 고유 번호와 입금 취소 신호에 대응하여 반송되어 온 매체를 판별함으로써 추출한 고유 번호를 비교한다(S33).
제어부(90)는 기억부(95)에 기억된 고유 번호들과 매체 판별부(80)에 의하여 판별되는 고유 번호들의 비교를 통하여 기억부(95)에 처음 저장된 고유 번호와 판별된 마지막 고유 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34). 즉, 매체 집적함(40)에 집적된 매체들 중 현재 사용자에 의하여 투입된 매체가 모두 반환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고유 번호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S34, Yes), 매체 집적함(40)에서 반송된 매체와 매체 인출부(30)에 집적되어 있던 매체를 사용자에게 반환한다(S35). 즉, 제어부(90)는 판별한 고유 번호들의 마지막 고유 번호와 기억부(95)에 저장된 고유 번호 중 사용자에 의하여 투입된 매체의 첫 매체의 고유 번호가 일치하도록 매체 반송부(70)를 제어하여 매체 집적함(40)에서 매체를 출력한다.
반면, 판단 결과 고유 번호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S34, No), 매체 집적함(40)에서 인출된 매체에서 더블/chain 등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장애 발생으로 처리한다(S36).
이때, 매체 판별부(80)는 반송되어 온 모든 매체에 대하여 고유 번호를 판별하는 것 대신에, 전체 매수 중 소정 매수, 예를 들어 최종 n 매(예를 들어, 5~10매)에 대하여만 고유 번호를 판별하도록 하고, 판별한 고유 번호를 기억부(95)에 저장된 고유 번호 중 처음 저장된 고유 번호부터 n 개의 고유 번호와 비교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매체 판별부(80)는 매체 집적함(40)으로부터 반송되어 온 매체가 비정상 매체라고 판단하더라도, 해당 매체를 정상 매체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매체 인출부(30)로 반송한다.
또한 1차 입금 과정에서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여 제3 특수 용도함(62)으로 반송된 매체들에 대하여도 롤백 처리시에는, 위에 설명한 정상 매체에 대한 동작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의하여 제3 특수 용도함(62)에 투입된 매수만큼의 매체를 다시 인출하여 사용자에게 반환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1차 입금 시, 정상 매체는 비정상 매체와는 달리, 매체 판별부(80)에서 매체 인출부(30)로 반송되지 않고 곧장 매체 집적함(40)으로 반송되어 집적된 반면, 비정상 매체들은 매체 인출부(30)로 반송되어 일시적으로 보관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금 취소 신호가 입력되면, 매체 인출부(30)에 보관된 비정상 매체들은 그대로 사용자에게 반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매체 인출부(30)에 보관된 비정상 매체의 처리는 위에 설명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상 매체와 마찬가지로 매수 확인 및 고유 번호의 비교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위조지폐는 제1 특수 용도함(50)에 집적되어 나머지 정상 매체나 비정상 매체와는 격리 처리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입금 취소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위조지폐로 판단된 매체들은 사용자에게 반환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에 의한 입금 취소 신호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반환되는 매체는 제1 특수 용도함으로 반송된 위조지폐를 제외한 나머지 투입매체들이다. 따라서 위조지폐는 금융기기(2)의 관리자의 특별 조작에 의하여 매체 인출부(30)로 반송하는 방식 등으로 취급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입금 취소 신호에 대응하여 반환하는 매체의 수가 많을 경우, 제어부(90)는 소정 매수씩 분할하여 반환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설정된 소정 매수보다 매체 인출부(30)를 통하여 반환할 매체의 수가 많은 경우, 소정 매수만큼 먼저 매체 인출부(30)에 집적하여 사용자에게 반환하여 매체 인출부(30)를 비운 후, 다시 나머지 매체를 매체 인출부(30)에 집적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반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금융기기(2)에 의한 롤백 처리가 수행된다.
기존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매체가 투입되는 경우, 매체 판별부에 의하여 판별된 매체들이 모두 판별된 상태에 따라서 소정의 공간에 일시적으로 보관되어 있었다. 이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금 취소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투입한 매체를 그대로 다시 사용자에게 반환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경우 권종별로 매체를 집적하는 공간 외에, 용도나 기능에 따른 추가적인 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는데, 한정된 공간을 갖는 금융기기 내에서 관리자가 원하는 모든 기능을 지원하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위조지폐의 경우 별도의 취급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면 더더욱 관리자가 요구하는 기능을 모두 충족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2)에 따르면, 매체 판별부(80)에 의하여 정상 매체라고 판단한 매체들은 해당 매체의 권종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집적될 매체 집적함(40)에 곧장 반송되어 집적됨으로써, 정상 매체를 일시적으로 보관할 별도의 공간을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절약된 공간만큼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절약된 공간에 위조지폐를 집적하기 위한 제1 특수 용도함(50)을 마련함으로써, 위조지폐가 일반 정상 매체와 섞여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관리자가 요하는 특별한 취급이 가능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정상 매체가 1차 입금 시 매체 집적함(40)에 곧장 반송되어 집적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입금 확인 신호에 대응하여 2차 입금을 수행할 때 일시적으로 보관된 비정상 매체만을 제2 특수 용도함(60)으로 반송하는 것으로 2차 입금 처리가 완료된다. 즉, 정상 매체와 비정상 매체를 모두 일시적으로 보관한 후, 2차 입금 시 매체 집적함 등에 투입하는 종래 처리 방식과 비교하여 2차 입금 시 처리해야 하는 매체의 매수가 감소하므로, 금융기기(2)의 처리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3)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2의 금융기기(2)에서 제2 특수 용도함(60)이 2단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대신하여, 제2 특수 용도함(60)이 1단 구성인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2 특수 용도함(60)은 사용자가 매체 투입부(20)에 매체를 투입하여 1차 입금이 수행될 때, 매체 인출부(30)의 최대 집적량을 초과한 비정상 매체의 오버플로우 매체를 집적한다. 또한, 제2 특수 용도함(60)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의한 입금 확인 신호에 대응하여 2차 입금이 수행될 때, 매체 인출부(30)에 일시적으로 보관된 매체가 반송되어 집적된다.
이외에도 제2 특수 용도함(60)은 1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1 실시예에서 제2 특수 용도함(60)의 하단에서 수행하던 리젝트 박스로서의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제3 특수 용도함(62)은 매체 집적함(40)으로 매체를 보충하거나, 매체 집적함(40)에 집적된 매체를 회수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3 특수 용도함(62) 또한 상단(62U)과 하단(62L)의 2단 구성일 수 있으며, 상단(62U)과 하단(62L)은 취급하는 매체의 권종을 다르게, 혹은 적어도 일부 권종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입금 처리
도 3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1차 입금 시, 사용자에 의하여 매체 투입부(20)에 투입된 매체는 매체 판별부(80)에 의하여 정상 매체, 비정상 매체, 위조지폐, 비처리 매체 등으로 분류된다. 그 후, 정상 매체로 판단된 매체는 곧장 매체 집적함(40)으로 반송되어 집적되며, 위조지폐로 판단된 매체는 제1 특수 용도함(50)으로, 비정상 매체로 판단된 매체는 매체 인출부(30)로, 비처리 매체로 판단된 매체는 반환부(32)로 반송된다.
이때, 비정상 매체의 매수가 많아 매체 인출부(30)의 최대 집적량을 초과하는 경우, 오버플로우 매체는 제2 특수 용도함(60)으로 반송되어 집적된다.
이후, 도 4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입금 확인 신호에 대응하여 2차 입금이 수행되며, 매체 인출부(30)에 일시적으로 집적되어 있던 매체들이 제2 특수 용도함(60)으로 반송되어 집적된다.
롤백 처리
도 5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이유로 입금 취소 신호가 입력되면, 매체 집적함(40) 및 제2 특수 용도함(60)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투입된 매수만큼 매체를 인출하여 매체 판별부(80)로 반송한다. 그리고 매체 판별부(80)에 의하여 판별한 매체의 고유 번호와 기억부(95)에 저장한 고유 번호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투입한 매체를 다시 사용자에게 그대로 반환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위조지폐는 제1 특수 용도함(50)에 집적되어 나머지 정상 매체나 비정상 매체와는 격리 처리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입금 취소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위조지폐로 판단된 매체들은 사용자에게 반환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2)에 의하더라도, 금융기기(2)에 투입된 매체 중 정상 매체라고 판단한 매체들을 매체 집적함(40)에 곧장 반송하여 집적함으로써 운용상 필요한 공간을 절약하고, 절약된 공간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절약된 공간에 위조지폐를 집적하기 위한 제1 특수 용도함(50)을 마련함으로써, 위조지폐가 일반 정상 매체와 섞여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관리자가 요하는 특별한 취급이 가능하며, 금융기기(2)의 처리 속도 향상이라는 효과도 동일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4)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매체 투입부(20), 매체 인출부(30), 반환부(32), 제1 특수 용도함(50), 매체 판별부(8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2)의 구성과 동일하다.
매체 집적함(40)은 2단 구성으로 이루어진 매체 집적부 41, 매체 집적부 42 및 매체 집적부 43을 포함한다. 이들 매체 집적함 41-43에는 각각 미리 설정된 권종의 매체가 집적될 수 있다.
제2 특수 용도함(60)은 비정상 매체 중 위조 의심 매체를 집적한다. 제2 특수 용도함(60) 또한 2단 구성으로, 상단(60U)과 하단(60L)은 각각 취급하는 위조 의심 매체의 권종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제3 특수 용도함(62)은 비정상 매체 중 훼손 매체를 집적한다. 제3 특수 용도함(62) 또한 2단 구성으로, 상단(62U)과 하단(62L)은 각각 취급하는 훼손 매체의 권종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3 특수 용도함(62)은 매체 집적함(40)으로의 매체의 보충과, 매체 집적함(40)으로부터의 매체의 회수를 위한 보충/회수 기능, 매체 집적함(40)에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경우 오버플로우 매체의 집적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3 특수 용도함(62)은 매체 집적함(40)에서 취급하지 않는 매체의 권종을 반송받아 집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럽의 경우 지폐의 권종이 5/10/20/50/100/200/500유로와 같이 다양한데, 매체 집적부 41은 10/100유로를, 매체 집적부 42는 20유로를, 매체 집적부 43은 50유로를 집적한다. 이 경우, 5/200/500유로와 같이 사용 빈도나 사용량이 적은 나머지 매체들은 제3 특수 용도함(62)에 집적된다.
제4 특수 용도함(64)은 리젝트 박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4 특수 용도함(64)의 상단(64U)은 입/출금시 발생하는 비정상 매체 등을 집적하는데, 하단(64L)은 사용자가 인출시 미수취한 매체를 집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4)에서의 주요 동작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입금 처리
도 8은 도 7에 따른 금융기기(4)에 의한 입금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매체 투입부(20)에 매체를 투입하면(S40), 매체 투입부(20)에 투입된 매체인 투입매체는 매체 투입부(20)에서 한 장씩 인출되어 매체 판별부(80)로 반송된다(S41). 반송된 투입매체는 매체 판별부(80)에 의하여 매체의 권종, 상태, 고유 번호가 판별된다(S42).
매체 판별부(80)에 의한 판별 결과, 투입매체가 정상 매체라고 판단하면(S43, Yes), 제어부(90)는 투입매체를 매체 반송부(70)에 의해 매체 집적함(40)으로 곧장 반송하여, 복수의 매체 집적부(41-43) 중 해당 권종을 집적하는 매체 집적부(41-43)에 집적한다(S44). 이때, 매체 집적부(41-43)에서 취급하지 않는 권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특수 용도함(62)에 반송되어 집적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판별한 매체의 고유 번호를 집적한 순서대로 기억부(95)에 저장한다(S50). 다만, 제어부(90)는 반드시 매체를 집적한 순서대로 고유 번호를 기억부(95)에 저장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며, 매체를 집적한 순서를 식별할 수 있는 방식으로 고유 번호를 기억부(95)에 저장하면 될 것이다.
매체 판별부(80)에 의한 판별 결과, 투입매체가 비처리 매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투입매체를 반환부(32)로 바로 반송하여 사용자에게 반환할 수 있을 것이다.
매체 판별부(80)에 의한 판별 결과, 투입매체가 위조지폐가 아닌 비정상 매체로서(S45, No), 위조 의심 매체라고 판단하면(S47), 제어부(90)는 투입매체를 매체 반송부(70)에 의해 제2 특수 용도함(60)으로 곧장 반송하여 집적한다(S48).
반면에 매체 판별부(80)에 의한 판별 결과, 투입매체가 위조지폐가 아닌 비정상 매체로서(S45, No), 훼손 매체라고 판단하면(S47), 제어부(90)는 투입매체를 매체 반송부(70)에 의해 제3 특수 용도함(64)으로 곧장 반송하여 집적한다(S49).
한편, 매체 판별부(80)에 의한 판별 결과, 투입매체가 위조지폐라고 판단되면(S45, Yes), 제어부(90)는 투입매체를 매체 반송부(70)에 의해 제1 특수 용도함(50)에 반송하여 보관한다(S46).
제어부(90) 및 매체 판별부(80)는 사용자에 의하여 투입된 모든 투입매체에 대하여 매체 판별 동작 및 그 결과에 따른 반송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S51), 모든 투입매체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도록 한다.
매체 판별부(80)에 의하여 판별한 매체를 해당 매체 집적 공간으로 반송함에 있어서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공간에 반송되어야 할 매체는 제3 특수 용도함(62)에 반송되어 집적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금융기기(2)에 의한 입금 처리가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로부터 투입된 매체에 대하여 1차 입금 동작에 의해 매체를 매체 인출부(30)와 같은 별도의 장소에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곧장 매체가 최종적으로 집적되는 공간으로 반송되어 집적된다. 즉, 투입매체 중 정상 매체는 매체 집적함(40)으로, 위조지폐는 제1 특수 용도함(50)으로, 위조 의심 매체는 제2 특수 용도함(60)으로, 훼손 매체는 제3 특수 용도함(62)으로 곧장 반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조 의심 매체와 훼손 매체를 각각 제2 특수 용도함(60)과 제3 특수 용도함(62)에 분류하여 집적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 한 곳에 함께 집적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롤백 처리
본 실시예의 경우, 1차 입금에 의해 매체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단계를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금 취소 신호가 입력되면, 매체 집적함(40)에서 사용자가 투입한 금액에 해당하는 정상 매체가 인출되도록 한다. 즉, 일반적인 출금 동작과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을 것이다.
<제4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5)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9에 따른 금융기기(5)는 제2 특수 용도함(60)으로서, 제3 실시예에서의 금융기기(4)에서 제2 특수 용도함(60)의 하단(60L)만을 사용하고, 그 상단(60U)은 5유로를 집적하기 위한 매체 집적함(40)의 매체 집적부 44로서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3 실시예에서의 금융기기(4)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4,5)에 의하면, 금융기기(4,5)에 투입된 매체 중 정상 매체라고 판단한 매체들을 매체 집적함(40)에 곧장 반송하여 집적하고, 비정상 매체라고 판단한 매체들도 제2 특수 용도함(60) 및 제3 특수 용도함(62)에 곧장 반송하여 집적함으로써, 제1 및 제2 실시예에 비하여 운용상 필요한 공간을 더욱 절약할 수 있으며, 절약된 공간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절약된 공간에 위조지폐를 집적하기 위한 제1 특수 용도함(50)을 마련함으로써, 위조지폐가 일반 정상 매체와 섞여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관리자가 요하는 특별한 취급이 가능하며, 금융기기(4,5)의 처리 속도 향상이라는 효과도 동일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2, 3, 4, 5: 금융기기
10: 사용자 인터페이스 20: 매체 투입부
30: 매체 인출부 40: 매체 집적함
50: 제1 특수 용도함 60: 제2 특수 용도함
70: 매체 반송부 80: 매체 판별부
90: 제어부 95: 기억부
10: 사용자 인터페이스 20: 매체 투입부
30: 매체 인출부 40: 매체 집적함
50: 제1 특수 용도함 60: 제2 특수 용도함
70: 매체 반송부 80: 매체 판별부
90: 제어부 95: 기억부
Claims (16)
- 매체가 투입되는 매체 투입부;
상기 매체의 상태를 판별하는 매체 판별부;
상기 투입된 매체를 권종별로 집적하는 복수의 매체 집적함;
복수의 매체 집적함에 집적된 매체가 인출되는 매체 인출부;
상기 매체 투입부, 매체 판별부, 매체 집적함 및 매체 인출부 사이에서 매체를 반송하는 매체 반송부;
상기 매체 투입부에 투입된 매체, 상기 매체 집적함 및 상기 매체 인출부에 집적된 매체를 반송하도록 상기 매체 반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매체 집적함의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매체 판별부로부터 상기 매체 집적함으로의 상기 매체 반송부의 경로 상에 배치된 제1 특수 용도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 판별부가 투입된 매체를 위조지폐로 판단한 경우, 해당 매체를 상기 매체 판별부로부터 상기 제1 특수 용도함으로 반송하는 금융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를 투입한 사용자로부터의 입금 취소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제1 특수 용도함으로 반송된 위조지폐를 제외한 나머지 매체를 상기 매체 인출부로 반송하는 금융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를 투입한 사용자로부터의 입금 취소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매체 집적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의한 투입에 의하여 집적된 매체들을 상기 매체 인출부로 반송하는 금융기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매체 판별부에 의하여 판별한 매체의 고유 번호를 상기 복수의 매체 집적함별로 집적된 순서와 함께 저장하는 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체 판별부는 상기 입금 취소 신호에 따른 매체 반송시, 상기 매체 집적함으로부터 출력되는 매체 중 소정 매수의 매체의 고유 번호를 판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한 고유 번호들의 마지막 고유 번호와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고유 번호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투입된 매체의 첫 매체의 고유 번호가 일치하도록 상기 매체 반송부가 상기 매체 집적함에서 매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금융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 판별부가 투입된 매체를 비정상 매체로 판단한 경우, 해당 매체를 상기 매체 판별부로부터 상기 매체 인출부로 반송하도록 상기 매체 반송부를 제어하는 금융기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매체 반송부의 매체 반송 경로 상에서 상기 매체 집적함에 나란히 설치되는 제2 특수 용도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를 투입한 사용자로부터의 입금 확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매체 인출부에 집적된 매체를 상기 제2 특수 용도함으로 반송하는 금융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제1 특수 용도함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법과 외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매체 집적함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법이 상이하도록 구성하는 금융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 판별부가 투입된 매체를 정상 매체로 판단한 경우, 해당 매체를 상기 매체 판별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매체 집적함 중 해당 권종을 집적하는 매체 집적함으로 곧장 반송하여 집적하는 금융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수 용도함은 상기 매체 판별부로부터 상기 매체 인출부로의 상기 매체 반송부의 경로 상에 배치된 금융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체 인출부는, 상기 매체 판별부가 투입된 매체를 비정상 매체라고 판단한 경우, 해당 매체를 일시적으로 집적하는 금융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체 반송부의 매체 반송 경로 상에서 상기 매체 집적함에 나란히 설치되는 제2 특수 용도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 판별부가 투입된 매체를 비정상 매체로 판단한 경우, 해당 매체를 상기 매체 판별부로부터 상기 제2 특수 용도함으로 곧장 반송하여 집적하도록 상기 매체 반송부를 제어하는 금융기기.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를 투입한 사용자로부터의 입금 취소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매체 집적함 및 상기 제2 특수 용도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의한 투입에 의하여 집적된 매체들을 상기 매체 인출부로 반송하는 금융기기.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매체 판별부에 의하여 판별한 매체의 고유 번호를 상기 제2 특수 용도함과 상기 복수의 매체 집적함별로 집적된 순서와 함께 저장하는 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체 판별부는 상기 입금 취소 신호에 따른 매체 반송시, 상기 제2 특수 용도함 및 상기 매체 집적함으로부터 출력되는 매체 중 소정 매수의 매체의 고유 번호를 판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한 고유 번호들의 마지막 고유 번호와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고유 번호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투입된 매체의 첫 매체의 고유 번호가 일치하도록 상기 매체 반송부가 상기 제2 특수 용도함 및 상기 매체 집적함에서 매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금융기기. - 사용자에 의하여 투입된 매체의 상태 및 권종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한 매체가 정상 매체인 경우, 매체를 권종별로 집적하는 복수의 매체 집적함 중 상기 판별한 매체의 해당 권종을 집적하는 매체 집적함에 상기 판별한 매체를 곧장 반송하여 집적하는 단계;
상기 판별한 매체가 위조지폐인 경우, 상기 판별한 매체를 상기 복수의 매체 집적함의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매체의 상태 및 권종을 판별하는 매체 판별부로부터 상기 매체 집적함으로의 매체 반송 경로 상에 배치된 제1 특수 용도함으로 반송하는 단계;
상기 판별한 매체가 비정상 매체인 경우, 상기 판별한 매체를 제2 특수 용도함으로 반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입금 취소 신호가 입력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매체 집적함에 집적된 매체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투입된 매체를 매체 인출부로 반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판별한 매체가 비정상 매체인 경우, 상기 판별한 매체를 상기 매체 인출부에 먼저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입금 확인 신호가 입력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매체 인출부에 집적된 매체를 상기 제2 특수 용도함으로 반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입금 취소 신호가 입력되기 전에는 상기 비정상 매체를 상기 제2 특수 용도함으로 반송하기 전에 상기 매체 인출부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금 취소 신호가 입력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비정상 매체는 상기 제2 특수 용도함에 반송되지 않고 곧장 상기 매체 인출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9137A KR101932192B1 (ko) | 2017-03-28 | 2017-03-28 |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9137A KR101932192B1 (ko) | 2017-03-28 | 2017-03-28 |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9417A true KR20180109417A (ko) | 2018-10-08 |
KR101932192B1 KR101932192B1 (ko) | 2018-12-26 |
Family
ID=63864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9137A KR101932192B1 (ko) | 2017-03-28 | 2017-03-28 |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219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44754A (zh) * | 2018-10-31 | 2020-06-26 | 富士电机株式会社 | 硬币检验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WO2008056404A1 (ja) * | 2006-11-06 | 2010-02-25 | グローリー株式会社 | 紙葉類識別装置および紙葉類識別方法 |
JP5870008B2 (ja) * | 2012-11-21 | 2016-02-24 |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紙幣取扱装置 |
-
2017
- 2017-03-28 KR KR1020170039137A patent/KR10193219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44754A (zh) * | 2018-10-31 | 2020-06-26 | 富士电机株式会社 | 硬币检验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2192B1 (ko) | 2018-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46202B1 (ko) | 지폐입출금기 | |
JP4166133B2 (ja) | 紙幣取扱装置 | |
KR101183811B1 (ko) | 지폐 취급 장치 및 지폐 취급 방법 | |
KR101467273B1 (ko) | 지엽류 처리 장치, 지엽류 구분 장치 및 지엽류 구분 시스템 | |
JP6382176B2 (ja) | 金融機器 | |
US9342942B2 (en) | Bill-recycling ATM for teller with supplementary collection box and banknote transfer method applied thereto | |
EP2000989A2 (en) | Bill handl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same | |
KR101398364B1 (ko) | 지폐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60126270A (ko) | 금융기기 | |
KR101764480B1 (ko) | 금융 기기 | |
KR20160066164A (ko) | 다권종 환류카세트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운용방법 | |
KR101932192B1 (ko) |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66166A (ko) | 이권종 환류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 |
KR20160006014A (ko) | 금융기기 | |
JP2008287554A (ja) | 現金処理装置 | |
JP2017058845A (ja) | 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方法 | |
US10403078B2 (en) |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102635569B1 (ko) |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070031764A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 방법 및 장치 | |
KR101751598B1 (ko) | 금융 기기 | |
JP4196595B2 (ja) | 現金処理機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 |
KR101860479B1 (ko) |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 |
KR101940732B1 (ko) | 금융기기 | |
JP5293277B2 (ja) | 現金処理装置 | |
JP6753279B2 (ja) | 現金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