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415A - 작은 입력 표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작은 입력 표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415A
KR20180108415A KR1020177031799A KR20177031799A KR20180108415A KR 20180108415 A KR20180108415 A KR 20180108415A KR 1020177031799 A KR1020177031799 A KR 1020177031799A KR 20177031799 A KR20177031799 A KR 20177031799A KR 20180108415 A KR20180108415 A KR 20180108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validation
input
region
elemen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프로보스트
Original Assignee
에릭 프로보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 프로보스트 filed Critical 에릭 프로보스트
Publication of KR20180108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7Pen manipulated men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작은 입력 표면 위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엘리먼트의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 연결된 시계 또는 디지털 태블릿 등의 작은 입력 표면을 갖는 장치들을 이용한, 인간-기계 인터패이스(man-machine interface)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통해 알파벳의 글자 뿐 아니라 다른 아이템, 표의문자, 심볼, 액션까지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은 스크린, 이러한 스크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contact)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stylus) 같은 포인팅 장치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포인팅하기 위한 영역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가상 키보드 타입의 기존 입력 방법에 의한 난잡한 입력 에러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포인팅 및 포인터(pointer)를 이동시키는 기본적인 이론을 넘어서는 엘리먼트 입력 방법을 배울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의해 영역에 대한 다수의 입력을 하지 않고도 엘리먼트를 더 빠르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오직 작은 입력 표면만 있어도 구현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확대-축소(magnification-reduction)의 사용, 오버레이(overlay)의 사용, 사용자 사용을 지원하는 입력 리마인더(input reminder)의 사용을 정의한다.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및 사용 언어의 기능으로서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작은 입력 표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본 발명은 모바일 폰, 연결 시계(connected watch) 또는 디지털 태블릿(digital tablet)과 같은 작은 입력 표면(small input surface) 위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displayable) 엘리먼트들의 그룹(a group of elements) 사이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작은 스크린(small screen)에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가상 키보드(virtual keyboard)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부정확한 입력을 야기하거나 또는 스타일러스(stylus)의 사용을 요구하거나 글자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특별한 주의를 요구하는 것 같은 난잡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 다른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알파벳 글자들을 10개 키의 키보드(ten-key keyboard)의 형태로 모으고, 원하는 글자를 선택하고자 이 키들을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글자 방법은 사용자의 시간과 사용자의 재주 - 즉, 정해진 시간 내에 수 개의 키 입력을 동기화(synchronizing)해야 하는 재주를 요구한다. 마지막으로 모양을 인식하는 방법에 기반한 입력 시스템은 각 글자에 대해서 기계가 인식하는 모양을 학습해야 하는 것을 요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효과를 갖기 위해서,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엘리먼트들의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아래 설명하는 특징들을 하나 또는 복수 개 포함할 수 있고, 단독으로 또는 기술적으로 허용되는 조합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 만약 포인팅 수단이 입력 영역의 외부의 스크린과 접촉하고, 여러 개의 밸리데이션 영역을 슬라이드하는 경우, 포인팅 수단이 중앙 영역을 가리키거나 스크린과의 접촉을 중단할 때, 바람직하게 첫번째 또는 마지막으로 포인팅된 밸리데이션 영역은 선택되고 밸리데이션된 밸리데이션 영역(the validation area chosen and validated)이 되고, 선택된 입력 영역은 상기 선택된 밸리데이션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 영역이 된다. 나아가, 만약 상기 포인팅 수단이 밸리데이션 영역에서 스크린과 접촉을 하는 경우, 상기 밸리데이션 영역과 연관된 상기 입력 영역은 선택된 입력 영역이 되고, 포인팅된 밸리데이션 영역은 선택된 밸리데이션 영역이 된다. 그리고/ 또는;
- 상기 포인팅 수단(pointing instrument)이 상기 밸리데이션 영역에서 스크린과 접촉하고, 중앙 영역으로 들어가거나 상기 스크린과의 접촉을 중단하기 전에, 다른 밸리데이션 영역을 지나가는 경우, 상기 첫번째 입력 영역(first input area)의 상기 엘리먼트 및 엘리먼트 그룹 또는 선택적으로는 상기 첫번째 입력 영역의 컨텐츠(content)만이, 선택되고 밸리데이션된 밸리데이션 영역인, 마지막 밸리데이션 영역 안에 포함된 엘리먼트를 위한 정보로서 사용되고, 이는 상기 선택된 밸리데이션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선택된 입력 영역과 함께 평가(evaluation)되는 동안 실행된다. 그리고/ 또는;
- 입력 영역의 중앙 영역은 선택할 수 있는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 리스트(a list of element) - 제로(zero)를 지나 순차적으로 인덱싱되고 선택될 수 있는 엘리먼트의 리스트를 리스트라 함 - 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동작(evaluation) 이후의 선택 동작(selecting)은, 만약 엘리먼트가 단일 엘리먼트(single element)이거나 상기 리스트의 인덱스 제로(index zero)인 경우, 중앙 영역에 대한 포인팅 수단을 간단하게 누르고 떼는 동작(press and releasing)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만약 포인팅 수단이 밸리데이션 영역의 스크린(프라이머리 밸리데이션 영역, primary validation area이라 함)과 접촉하는 경우 또는 포인팅 수단이 중앙 영역에 있다가 밸리데이션 영역(밸리데이션 프라이머리 영역, validation primary이라 함)으로 슬라이드하여 이동한 후, 상기 리스트를 포함하는 중앙 영역을 포함하는 동일한 입력 영역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웃 밸리데이션 영역(adjacent validation area)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중앙 영역과 관련된 인덱스는 각각 (시계 방향의 경우) 1만큼 증가하고, (반시계 방향의 경우) 1만큼 감소한다. 만약 이러한 증가 또는 감소가 리스트의 인덱스를 생성한다면, 이러한 인덱스의 증가 또는 감소 동작은 포인팅 수단이 동일한 입력 영역의 밸리데이션 영역을 통과하는 동안 계속된다.
상기 포인팅 수단이 중앙 영역으로 들어오거나 스크린과의 접촉을 중단하는 경우, 중앙 영역 안의 상기 리스트의 인덱스에 대응하는 엘리먼트는 단일 엘리먼트(single element)로서 평가된다.
단일 엘리먼트의 평가는 상기 중앙 영역이 하나의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든 안하든, 상기 리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중앙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 영역으로서의 선택된 입력 영역과 함께,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만약 상기 프라이머리 밸리데이션 영역이, 시스템의 원격 (혹은 원격이 아닌) 타겟 어플리케이션(target application)으로 이러한 변화(change)를 전송하기 위하여, 인덱스의 증가 또는 감소마다 평가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다이나믹 커맨드(dynamic command)를 포함하는 경우, 인덱스가 가질 수 있는 최소 값(minimum value) 및 최대 값(maximum value)과 상관 없이, 상기 포인팅 수단이 처음으로, 또는 중앙 영역을 포인팅한 이후에, 다이나믹 커맨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리 밸리데이션 영역을 포인팅하자마자, 동일한 입력 영역 내의 하나의 밸리데이션 영역에서 다른 밸리데이션 영역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지나갈 때마다, 상기 포인팅 수단이 중앙 영역으로 돌아올 때까지 또는 스크린과의 접촉을 중단할 때까지, 상기 커맨드는 파라미터로서, 각각 (시계방향의 경우) 증가 또는 (반시계방향의 경우)감소와 함께 평가된다.
상기 선택되고 밸리데이션된 밸리데이션 영역으로 고려되는 프라이머리 밸리데이션 영역의 다이나믹 커맨드는 마지막 파라미터(finalisation parameter)와 함께 단일 엘리먼트로서 평가된다. 선택된 입력 영역은 선택된 밸리데이션 영역과 관련된 입력 영역이 된다. 그리고/ 또는;
- 중앙 영역이 포인트된 입력 영역은, 설정 가능한 방법을 통해, 다른 입력 영역들은 각자의 중앙 영역이 포인팅될 수 있고, 확대된 입력 영역은 완전히 시각화(fully visible) 하는 방식으로 스크린 상의 사이즈를 확대한다. 이러한 확대 동작(magnification)은 확대된 입력 영역의 중앙 영역을 축소시킴으로써(shrinking) 상기 밸리데이션 영역들의 확대에 적용할 수 있다. 접촉의 중단이 있거나 중앙 영역을 포인팅하는 방법에 의해 밸리데이션 영역의 밸리데이션이 될 때까지 이러한 확대 동작은 유지된다, 그리고 원래 사이즈로 돌아간다. 그리고/ 또는;
- 입력 영역의 확대 동작은, 설정을 통해, 스크린의 가장자리로 다른 입력 영역들을 밀어버리거나(push back), 중앙 영역이 포인팅될 수 있는 상태로 주변 영역(peripheral area)의 다른 입력 영역들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다. 입력 영역의 확대 동작의 마지막에는, 다른 입력 영역은 원래 위치 및 사이즈로 돌아간다. 입력 영역이 중앙 영역 주변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때, 밸리데이션 영역은 설정 가능한 방법을 통해 자신의 사이즈를, 가능하다면 제로(zero)의 사이즈로, 감소시킨다. 그리고/또는;
- 입력 영역의 확대 동작은 입력 영역의 중앙을 상쇄(offset)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각자의 중앙 영역이 포인팅될 수 있는 다른 입력 영역들이 항상 스크린 위에 있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체 스크린에서 입력 영역이 최대한 확대되어도 여전히 전체적으로 해독 가능하도록(readable) 하는 방법으로 구현된다. 그리고/또는;
- 입력 영역의 디스플레이는 입력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오버레이(overlay)하도록 실행되고, 이러한 오버레이는 커버 스크린 이미지(covered screen image)에 대해서 조정 가능한 투명도(adjustable transparency)나 대조되는 색(contrasted colours)을 갖는다. 그리고/ 또는;
- 스탠바이(standby)로 표현되는, 사용되지 않을 시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display)는, 예를 들어, 중앙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소환하는(recall) 실질적으로 투명한 마스크(transparent mask)를 단순히 남겨서, 오버레이로 디스플레이될 본 발명에 입력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읽힐 수 있도록(readable) 최대값으로 한정될 수 있다. 그리고/ 또는;
- 포인팅 수단의 첫번 째 접촉 시에 밸리데이션 영역의 사용 가능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이 방법은 설정을 통해밸리데이션 영역을 그래픽적으로 최대한으로 감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리데이션 영역들의 윤곽(contour)만 보이도록 하고, 중앙 영역은 구멍만 남길 수 있고, 이러한 스탠바이 디스플레이는 설정될 수 있는 소정의 기간 동안 본 발명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또는;
-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디스플레이 동작은, 모든 밸리데이션 영역의 확대나 입력 영역의 불투명화의 제1 단계, 그리고 포인팅 수단의 이동 동안 상기 입력 영역의 확대 동작의 제2 단계에 의해 특징 지어 진다. 그리고/ 또는;
- 상기 포인팅 수단이 밸리데이션될 수 있는 밸리데이션 영역을 지날 때, 포인팅 수단의 모습(appearance)은 선택되는 미래 밸리데이션 영역(future validation area)을 식별하는(identify) 방식으로 변한다. 동일한 입력 영역의 모든 다른 밸리데이션 영역들은 동일한 모습을 갖고, 여러 개의 밸리데이션 영역들을 포인팅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밸리데이션 영역 안에 디스플레이 되는 커맨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밸리데이션 영역들은 전용 모습(dedicated appearance)을 유지할 수 있고, 밸리데이션된 밸리데이션 영역이 나타나자마자 모든 밸리데이션 영역들은 본 발명의 활성화 단계의 모습으로 돌아간다. 그리고/ 또는;
- 밸리데이션 영역의 선택 동안, 축소된 입력 영역들의 밸리데이션 영역들이 보이는 상태(visible)로 남아있고 선택된 미래 아이템이 엘리먼트 그룹인 경우, 상기 선택된 미래 아이템을 포함하는 밸리데이션 영역에 가장 가까운 입력 영역은 엘리먼트 그룹에 관하여 밸리데이션 영역의 콘텐츠(content)를 바꿀 수 있고 포인팅 수단이 밸리데이션 영역을 바꾸는 경우의 원래 모습으로 돌아간다. 그리고/ 또는;
- 선택된 엘리먼트의 평가 동작은 무선 링크(예를 들어, IEEE 802.15, IEEE 802.11 등의 타입) 또는 물리적 유선 링크(예를 들어, USB, RS232 등의 타입)로 연결된 주변 장치(peripheral devices)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또는;
- 사용자의 밸리데이션을 위한 입력 리턴(input return)에 대한 전용 영역은 선택된 엘리먼트의 평가의 결과 값의 카피(copy)를 사용하여 채워진다. 그리고/ 또는;
- 밸리데이션 영역 위에 엘리먼트 및 엘리먼트 그룹을 분배하는 동작은, 글자, 심볼 및 액션을 선택함으로써 언어에 의해 수행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글자, 심볼 및 액션은) 본 발명의 활성화 단계에서 다른 입력 영역으로부터 가급적 분리된 입력 영역의 밸리데이션 영역 내에 단일 엘리먼트의 형태로, 그리고 가장 드물게 사용되는 (글자, 심볼 및 액션은) 본 발명의 활성화 단계에서 다른 입력 영역에 이웃한 입력 영역의 밸리데이션 영역 내에 엘리먼트 그룹의 형태로 수행된다. 그리고/ 또는;
- 캐릭터 엘리먼트는, 본 발명의 활성화 단계에서, 입력 영역의 윤곽 위에서, 바로 가까이에 선택 영역(selection area)을 갖지 않는 입력 영역 내에 알파벳 순서로 배열될 수 있고, 알파벳의 마지막 글자들을 뒤로 보냄으로써, 만약 필요하다면, 선택 영역에 인접한 밸리데이션 영역 내에 엘리먼트 그룹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또는;
- 표의 문자(ideograms)의 선택을 위한 엘리먼트는 사전에 대응하도록 표의 문자에서 사용되는 선의 숫자(number of lines)을 나타내는 엘리먼트 그룹으로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또는;
- 표의 문자의 선택을 위한 엘리먼트는 첫번째 선을 상징(symbolise)할 수 있다. 첫번째 선은 두번째 선을 나타내는 엘리먼트 그룹에 대응하며 두번째 선은, 세번째 선이 있다면, 세번째 선의 엘리먼트 그룹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의 문자에 대응하는 엘리먼트의 입력이 다 될 때까지 반복된다.
본 방법을 통해 알파벳 글자(characters of the alphabet)뿐 아니라 다른 아이템, 표의 문자(ideograms) 또는 액션(actions)을 입력할 수 있다.
유리하게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입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스크린의 크기를 시계에 요구되는 스크린의 크기로까지 줄일 수 있고, 입력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재주를 한정하던 것을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되는, 한정되지 않는 실시예를 통한 설명을 통해서 이해될 것이며, 도면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도 1: 입력 영역의 예시
키: (a) 커맨드용 입력 영역(input area for commands)
(bx) 글자용 입력 영역(input areas for characters)
도 2: 스크린 상의 입력 영역의 예시
키: (a) 입력 영역의 중앙 영역(central area)
(bx) 입력 영역과 관련된 밸리데이션 영역(validation area)
도 3: 입력 영역의 크기를 축소(reducing)하는 예시
키: (a') 축소된 입력 영역의 중앙 영역
도 4: 확대된(magnified) 입력 영역의 예시
키: (a') 확대된 입력 영역의 중앙 영역
(bx') 확대된 입력 영역과 관련된 밸리데이션 영역
도 5: 단계 0 - 확대 없는 입력의 예시
도 6: 단계 1 - 확대 없는 입력의 예시
도 7: 단계 2 - 확대 없는 입력의 예시
도 8: 단계 3 - 확대 없는 입력의 예시
도 9: 단계 4 - 확대 없는 입력의 예시
도 10: 단계 4 - 확대된 입력의 예시
도 11: 분리된 입력 영역(separate input areas)의 엘리먼트의 분배 예시
도 12: 입력 영역에서의 입력 시스템의 예시
도 13: 인덱스 1에서의 중앙 영역 커맨드의 입력: 해제된 대문자(unlocked capitals)로서의 엘리먼트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elements)이 나타남. 검은색 줄은 포인팅 수단(pointing instrument)의 경로를 나타내고, 커다란 원은 검은색 줄의 끝의 위치를 나타냄
도 14 내지 도 29: 단어 'Bonjour'를 입력하고 전송하는 단계를 나타냄. 검은색 줄은 포인팅 수단의 이동을 나타내고, 커다란 원은 각 단계의 마지막에서 검은색 줄의 끝의 위치를 나타냄
(정의)
엘리먼트: 입력될 수 있는 그래픽적 묘사(graphical representation)를 갖는 개체(entity)를 나타내며, 입력의 대상이 됨 예시: 알파벳 글자, 메뉴 아이템 등
엘리먼트 그룹: 입력될 수 있는 엘리먼트들의 세트 또는 서브세트(set or subset)
포인팅 수단(pointing instrument): 시간에 따라 변하는,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입력의 시작과 끝의 위치를 보여주는 수단
예시: 정전용량 방식 스크린(capacitive screen) 상에서의 손가락의 압력(press), 이동(displacement) 및 돌어올리기(lifting), 저항막 방식 스크린(resistive screen) 상에서의 스타일러스(stylus), 컴퓨터 스크린 상에서의 마우스 클릭(mouse click)
입력 영역(Input area): 2개의 영역으로 세분화됨: 중앙 영역(central area)과 이를 둘러싸는 주변 영역(peripheral area). 입력 영역은 어떠한 모양도 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을 가질 수 있음(circular)
중앙 영역(Central area): 포인팅 수단에 의한 입력의 시작과 끝을 수신하는 입력 영역의 중앙 영역 - 중앙 영역은 어떠한 모양도 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을 가질 수 있음(circular)
밸리데이션 영역(Validation area): 입력될 수 있는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 그룹을 대표하는(represent) 입력 영역의 주변 영역의 단편 영역(segment) - 밸리데이션 영역은 어떠한 모양도 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8개의 단편 영역으로 세분화되는 원환(circular ring)의 부분일 수 있음
입력(input): 입력은 주로 중앙 영역에서 포인팅 수단의 누름(press)에 의해서 시작되고, 스크린 상의 어느 위치에서든 누름의 중단에 의해 완결됨 - 입력은 중앙 영역 말고 어느 영역에서도 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특별한 프로세싱을 요구함
선택된 아이템(selected item): 입력 영역을 넘어 포인팅 수단에 의해 지나쳐진 마지막 밸리데이션 영역에 의해 대표되는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 그룹
발명의 활성(activation): 발명의 사용 중단 이후에, 스크린 상에 처음으로 본 발명의 그래픽적 표현(graphical representation)이 나타날 때를 말하고, 기본 배열(basic configuration)으로 불리는 참조 배열(reference configuration)으로 구성됨
입력 리턴 영역(Input return area): 액션하지 않은 이전 입력 엘리먼트의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영역
예시: 글자, 아이템, 기호 등
트레이닝 배열(Training configuration): 최소한의 트레이닝을 요구하는 본 발명의 배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위치 센서(position sensor) 및 포인터(pointer) 위에 정렬되는 스크린(screen)을 갖는 하드웨어 솔루션(hardware solution) 또는 장치에 통합(integrated)될 수 있다.
프로세서(processor) 및 메모리는 포인터의 위치 정보를 처리하는 작업과 포인터를 포인팅 수단으로 다루는 작업을 처리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글자 또는 커맨드(command)를 입력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드웨어 솔루션의 유효성(availabilities )에 따라 하드웨어 솔루션 상에서의 각 글자 또는 커맨드 입력 또는 텍스트 무리의 입력에 있어서, 입력의 전송은 다른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일어날 수 있다.
(모바일 폰, 연결된 시계 또는 터치패드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의 작은 입력 표면(small input surface)의 스크린 위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방법은 디스플레이(displaying) 및 포인팅(pointing)을 위한 시스템과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역(displayable area)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역은 2개의 부분(part)으로 구성되는 입력이 되고,
2개의 부분은 하나가 다른 하나에 완전하게 포함되며, 첫 번째는 중앙에 위치하여(central), 포인팅 동작 동안 시작(starting) 및 밸리데이션(validation)을 위해 사용되는 중앙 영역(central area)이며,
두 번째는 상기 중앙 영역을 완전하게 둘러 싸는 주변부이며(peripheral), 상기 주변부는 복수 개의 하위부분(subpart)으로 나누어지고, 각 하위부분은 많아야 2개의 다른 이웃한 하위부분(adjacent parts)을 갖게 되며, 이 하위부분들은 모두 이웃하며, 상기 중앙 영역에 근접 위치하고, 그리고 포인팅에 의해서 독점적이고 단일하게(exclusively singularly) 선택될 수 있고, 이 하위부분들은 밸리데이션 영역(validation area)이 되고, 선택을 위한 엘리먼트(element) 또는 엘리먼트 그룹(group of elements)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
- 스크린(screen) 상에 입력 영역들을 분배하고, 미리 정의된 배열(predefined configuration)에 따라 입력 영역들에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 그룹을 할당(assing)하여 발명을 활성화(activating)함
- 포인팅 수단(pointing instrument)이 상기 중앙 영역에 대한 스크린을 접촉하여, 중앙 영역을 가리키는 포인팅(pointing to a central area)에 의해서 입력 영역을 선택함
- 상기 중앙 영역에서 밸리데이션 영역으로 상기 포인팅 수단을 슬라이드하여(slide), 포인팅에 의해서 선택된 입력 영역의 밸리데이션 영역을 선택함
- 상기 포인팅 수단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한 중앙 영역을 가리키는 포인팅에 의해 선택된 마지막 밸리데이션 영역을 밸리데이션하는(validating) 단계, 만약 상기 포인팅된 중앙 영역이 상기 선택된 입력 영역의 외부에 있는 경우 다른 밸리데이션 영역들은 상기 포인팅 수단에 대해서 - 존재하지 않도록(nonexistent) - 투명하게(transparent) 처리됨
- 만약 상기 확인된 밸리데이션 영역이 엘리먼트 그룹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엘리먼트 그룹은 마지막으로 포인팅된 상기 중앙 영역의 입력 영역의 밸리데이션 영역들로 나누어져 분포되고(divided and distributed), 상기 중앙 영역의 입력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입력 영역들은 본 발명의 활성화 단계 시의 기본 배열(basic configuration)으로 돌아가며, 만약 포인팅 수단이 여전히 상기 스크린과 접촉되어 있는 경우 선택된 입력 영역으로 포인팅된 마지막 입력 영역을 사용하여, 밸리데이션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후에 입력이 계속됨
- 상기 확인된 밸리데이션 영역이 하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엘리먼트는 액션(action)을 위해 평가(evaluated)되거나(커맨드의 평가) 또는 캐릭터 입력(character input)이 됨 (모든 입력 영역들은 본 발명의 활성화 단계 시의 기분 배열로 돌아오며, 만약 상기 포인팅 수단이 여전히 상기 스크린과 접촉되어 있는 경우 선택된 입력 영역으로 포인팅된 마지막 입력 영역을 사용하여, 밸리데이션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후에 입력을 계속하게 되고, 따라서 새로운 엘리먼트는 상기 포인팅 수단을 들어올리지 않고도(without lifting) 입력될 수 있음);
- 상기 포인팅 수단과 상기 스크린의 접촉이 중단되었을 때(the break of the contact with the screen), 만약 포인팅에 의해 어떠한 밸리데이션 영역도 선택되지 않으면, 아무것도 선택되지 않음;
만약 하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밸리데이션 영역이 포인팅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엘리먼트는 액션 또는 입력을 위해 평가됨;
만약 엘리먼트 그룹을 포함하는 밸리데이션 영역이 포인팅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엘리먼트 그룹은 조정 가능한 지속 시간 동안(for a duration that can be configured) 상기 선택된 입력 영역의 밸리데이션 영역으로 나누어져 분배됨; 또는
만약 상기 지속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로서, 상기 접촉의 중단 또는 중앙 영역을 가리키는 포인팅에 의한 밸리데이션 영역의 확인 전까지 상기 포인팅 수단이 상기 스크린과의 접촉을 재개하는 경우, 접촉 중단 관리(contact break management)의 마지막에는 모든 입력 영역들은 기본 배열로 돌아옴
엘리먼트를 평가하는 동작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이나 메모리 안의 교환 메커니즘(mechanism for exchanging)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 캐릭터나 커맨드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엘리먼트의 상기 평가에 대한 타겟 어플리케이션(target application)은,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 그룹을 재편성하기(reorganising) 위하여, 밸리데이션 영역들과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 그룹을 연관 시키는(associating) 매니저(manager)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재편성 동작의 예시로는 타자기의 시프트 키(shift key)의 기능이 있다.
입력 영역의 중앙 영역을 포인팅하는 것은 가능한 밸리데이션 영역(독점적으로 포인팅된 입력 영역의 밸리데이션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밸리데이션 영역의 선택이 완료되면, 본래 포인팅되었던 입력 영역을 떠나서 스크린 상에서 가능한 중앙 영역들 중 하나로 포인팅됨으로써 선택된 밸리데이션 영역은 밸리데이션 완료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포인팅 수단이 입력 영역의 외부의 스크린과 접촉하고, 여러 개의 밸리데이션 영역을 슬라이드하는 경우, 상기 포인팅 수단이 중앙 영역을 가리키거나 스크린과의 접촉을 중단할 때, 바람직하게 첫번째 또는 마지막으로 포인팅된 밸리데이션 영역은 선택되고 밸리데이션된 밸리데이션 영역(the validation area chosen and validated)이 되고, 선택된 입력 영역은 상기 선택된 밸리데이션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 영역이 된다.
나아가, 만약 상기 포인팅 수단이 밸리데이션 영역에서 스크린과 접촉을 하는 경우, 상기 밸리데이션 영역과 연관된 상기 입력 영역은 선택된 입력 영역이 되고, 포인팅된 밸리데이션 영역은 선택된 밸리데이션 영역이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밸리데이션이 수행되고 나면, 입력 영역에는 입력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오버레이(overlay)될 수 있고,
이러한 오버레이는 커버 스크린 이미지(covered screen image)에 대해서 조정 가능한 투명도(adjustable transparency)나 대조되는 색(contrasted colours)을 가질 수 있다.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본 방법은 만약 포인팅 수단이 상기 밸리데이션 영역의 스크린을 접촉하고, 중앙 영역으로 들어가기 전에, 다른 밸리데이션 영역을 지나가는 경우, 상기 첫번째 입력 영역(first input area)의 상기 엘리먼트 및 엘리먼트 그룹 또는 선택적으로는 유일한 컨텐츠(only the content)는, 상기 선택된 밸리데이션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선택된 입력 영역의 마지막 밸리데이션 영역의 평가(evaluation) 동안, 선택되고 밸리데이션된 밸리데이션 영역인, 마지막 밸리데이션 영역 안에 포함된 엘리먼트를 위한 파라미터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본 방법은 입력 영역의 중앙 영역은 선택할 수 있는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 리스트(a list of element) - 상기 리스트라 호칭되는 제로(zero called list)를 통과하여 지나서 연속적으로 인덱싱됨 - 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가 동작(evaluation)이후의 선택 동작(selecting)은, 만약 엘리먼트가 단일 엘리먼트(single element)이거나 상기 리스트의 인덱스 제로(index zero)인 경우, 중앙 영역에 대한 포인팅 수단을 간단하게 누르고 떼는 동작(press and releasing)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리스트를 포함하는 중앙 영역을 포함하는 동일한 입력 영역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웃 밸리데이션 영역(adjacent validation area)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만약 이러한 증가 또는 감소가 상기 리스트의 인덱스를 생성하고, 이러한 인덱스 증가 또는 감소 동작(index incrementation or decrementation operations)이 포인팅 수단이 동일한 입력 영역의 밸리데이션 영역들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동안 계속 된다면, 상기 중앙 영역과 관련된 인덱스는 1만큼 증가(incremented by 1)하거나 1만큼 감소한다(decremented by 1).
상기 포인팅 수단이 중앙 영역으로 들어오거나 스크린과의 접촉을 중단하는 경우, 중앙 영역 안의 상기 리스트의 인덱스에 대응하는 엘리먼트는 단일 엘리먼트(single element)로서 평가된다.
단일 엘리먼트의 평가는 상기 리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중앙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 영역인 선택된 입력 영역과 함께 수행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중앙 영역이 하나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든 안하든, 만약 상기 프라이머리 밸리데이션 영역이, 시스템 또는 원격 타겟 어플리케이션(remote target application)으로 이러한 변화(change)를 전송하기 위하여, 인덱스의 증가 또는 감소 각각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다이나믹 커맨드(dynamic command)를 포함하는 경우, 인덱스가 가질 수 있는 최소 값(minimum value) 및 최대 값(maximum value)과 상관 없이, 상기 포인팅 수단이 처음으로, 또는 중앙 영역을 포인팅한 이후에, 다이나믹 커맨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리 밸리데이션 영역을 포인팅하자마자,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밸리데이션 영역에서 동일한 입력 영역 내의 다른 밸리데이션 영역으로 지나가는 경로(passage)에서, 상기 포인팅 수단이 중앙 영역으로 돌아올 때까지 또는 스크린과의 접촉을 중단할 때까지, 상기 커맨드는 파라미터로서, 증가 또는 감소와 함께 평가된다.
상기 선택되고 밸리데이션된 밸리데이션 영역으로 고려되는 프라이머리 밸리데이션 영역의 다이나믹 커맨드는 마지막 파라미터(finalisation parameter)와 함께 단일 엘리먼트로서 평가된다.
유용한 커맨드 엘리먼트 중에서, 중립 커맨드(neutral commnad) 또는 효과 없는 커맨드(command without effect)가 가능하며, 또는 키(key)의 이중 입력(double press)을 시뮬레이션(simulate)하기 위해서, 포인팅 수단의 중앙 영역에서의 단순한 누름(simple press) 후 즉각적이고 연속적인 떼는 동작(releasing)으로 보는 커맨드도 가능하고, 또한, 밸리데이션 영역들의 기본 구성을 변하도록 하는 커맨드도 가능하고, 마지막으로 소정 시간동안만 효과를 갖는 커맨드나 소정 개수의 엘리먼트 평가만 갖는 커맨드도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중앙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엘리먼트들이 자유롭도록(free) 적어도 하나의 중앙 영역을 유지하거나, 중립 커맨드를 제1 엘리먼트로 갖는 것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입력의 시작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페이스)가 전체적으로 불투명하게 되고 확대될 수 있도록 허용함에 유의해야 한다.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은 중앙 영역이 포인트된 입력 영역은, 설정 가능한 방법을 통해(in a configurable way), 다른 입력 영역들은 각자의 중앙 영역이 포인팅될 수 있고, 확대된 입력 영역은 완전히 시각화(fully visible) 하는 방식으로 스크린 상의 사이즈를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확대 동작(magnification)은 확대된 입력 영역의 중앙 영역을 축소시킴으로써(shrinking) 상기 밸리데이션 영역들의 확대에 적용할 수 있다.
접촉의 중단이 있거나 중앙 영역을 포인팅하는 방법에 의해 밸리데이션 영역의 밸리데이션이 될 때까지 이러한 확대 동작은 유지된다 그리고 원래 사이즈로 돌아간다.
게다가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은, 입력 영역의 확대 동작은 스크린의 구성으로 다른 입력 영역들을 밀어버리거나(push back), 중앙 영역이 포인팅될 수 있는 상태로 주변 영역(peripheral area)의 다른 입력 영역들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 영역의 확대 동작의 마지막에는, 다른 입력 영역은 원래 위치 및 사이즈로 돌아간다.
입력 영역이 중앙 영역 주변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때, 밸리데이션 영역은 설정 가능한 방법을 통해 자신의 사이즈를, 가능하다면 제로(zero)의 사이즈로, 감소시킨다.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은, 입력 영역의 확대 동작은 입력 영역의 중앙을 상쇄하고(offset), 각자의 중앙 영역이 포인팅될 수 있도록 다른 입력 영역들이 항상 스크린 위에 있게 하고, 따라서 전체 스크린에서 입력 영역이 확대되어도 여전히 전체적으로 해독 가능하도록(readable) 하는 방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의 디스플레이는, 입력 영역의 디스플레이는 입력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오버레이(overlay)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오버레이는 커버 스크린 이미지(covered screen image)에 대해서 조정 가능한 투명도(adjustable transparency)나 대조되는 색(contrasted colours)을 가질 수 있다.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의 디스플레이는, 스탠바이(standby)로 표현되는, 사용되지 않을 시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display)는 오버레이로 디스플레이될 본 발명이, 입력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읽힐 수 있는 상태(readable)로 남도록, 최대값으로 한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중앙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소환하는(recall) 실질적으로 투명한 마스크(transparent mask)를 단순히 남길 수 있다.
반대로, 포인팅 수단의 첫번 째 접촉 시에, 밸리데이션 영역의 사용 가능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밸리데이션 영역은 그래픽적으로 최대한으로 감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리데이션 영역들의 윤곽(contour)만 보이도록 하고, 중앙 영역은 구멍만 남길 수 있고, 이러한 스탠바이 디스플레이는 설정될 수 있는 소정의 기간 동안 본 발명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확대된 디스플레이 동작은 중앙 영역에 대한 입력의 시작 시에 입력 영역들의 모습(appearance)의 모든 밸리데이션 또는 불투명화 영역(opacification area)들을 확대하는 제1 단계; 그리고 입력 영역의 상술한 확대 동작의 포인팅 수단의 경로 동안 제2 단계에 의해서 특징 지어 진다.
본 발명의 그래픽적 표현은 입력 장치의 스크린에 영구적으로 계속 표시되어 활성화 될 필요는 없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스크린의 중앙에 대한 포인팅 수단의 입력은 즉시 종결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화(activation) 동안, 입력 영역들은 입력을 위해서 스크린의 전체 표면 영역(surface area)로 분배된다. 이 것은 이전 디스플레이(preceding display) 위로 불투명하게 오버레이(overlay)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입력 영역들은 밸리데이션 영역의 엘리먼트의 내용들을 읽을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진다.
상기 포인팅 수단이 밸리데이션될 수 있는 밸리데이션 영역을 지날 때, 포인팅 수단의 모습(appearance)은 선택되는 미래 밸리데이션 영역(future validation area)을 식별하는(identify) 방식으로 변한다.
동일한 입력 영역의 모든 다른 밸리데이션 영역들은 동일한 모습을 갖는다. (예를 들어, 비디오 도치(video inversion) 또는 선택된 미래 아이템(future item)의 밸리데이션 영역에 대한 또는 배경 색의 변화 그리고 다른 밸리데이션 영역들의 배경 색 변화)
여러 개의 밸리데이션 영역들을 포인팅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밸리데이션 영역 안에 디스플레이 되는 커맨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밸리데이션 영역들은 전용 모습(dedicated appearance)을 유지할 수 있고, 밸리데이션된 밸리데이션 영역이 나타나자마자 모든 밸리데이션 영역들은 본 발명의 활성화 단계의 모습으로 돌아간다.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은, 밸리데이션 영역의 선택 동안, 축소된 입력 영역들의 밸리데이션 영역들이 보이는 상태(visible)로 남아있고 선택된 미래 아이템이 엘리먼트 그룹인 경우, 상기 선택된 미래 아이템을 포함하는 밸리데이션 영역에 가장 가까운 입력 영역은 엘리먼트 그룹에 관하여 밸리데이션 영역의 콘텐츠(content)를 바꾸고 포인팅 수단이 밸리데이션 영역을 바꾸는 경우의 원래 모습으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은, 선택된 엘리먼트의 평가 동작은 무선 링크(예를 들어, IEEE 802.15, IEEE 802.11 등의 타입) 또는 물리적 유선 링크(예를 들어, USB, RS232 등의 타입)로 연결된 주변 장치(peripheral devices)로 전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결된 주변 장치를 제어하거나, 예를 들어 연결된 텔레비전 또는 단순한 일반적인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한 키보드로 동작할 수 있다.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밸리데이션을 위한 입력 리턴(input return)에 대한 전용 영역은 선택된 엘리먼트의 평가의 결과 값의 카피(copy)를 사용하여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은, 확인 영역 위에 엘리먼트 및 엘리먼트 그룹의 분배 동작은, 본 발명의 활성화 단계에서 다른 입력 영역으로부터 가급적 분리된 입력 영역의 밸리데이션 영역 안의 단일 엘리먼트의 형태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글자, 심볼(symbol) 및 액션(action)이 선택됨으로써(favouring) 언어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캐릭터 엘리먼트는 본 발명의 활성화 단계에서 바로 가까이에(in the immediate vicinity) 알파벳의 마지막 글자들을 알파벳 순서로 나열한 선택 영역(selection area)를 갖지 않는 밸리데이션 영역 안에 있는 입력 영역의 윤곽 위에, 만약 필요하다면 선택 영역에 이웃하는 밸리데이션 영역 안에서 엘리먼트 그룹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은, 포인팅 수단을 따라가는 선(line)은 사용자가 입력에 따른 변화(change)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의 문자(ideograms)의 선택을 위한 엘리먼트는 사전에 대응하도록 표의 문자에서 사용되는 선의 숫자(number of lines)을 나타내는 엘리먼트 그룹과 함께 시작될 수 있다.
표의 문자의 선택을 위한 엘리먼트는 첫번째 선을 상징(symbolise)할 수 있다.
첫번째 선은 두번째 선을 나타내는 엘리먼트 그룹에 대응하며 두번째 선은, 세번째 선이 있다면, 세번째 선의 엘리먼트 그룹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의 문자에 대응하는 엘리먼트의 입력이 다 될 때까지 반복된다.
실현가능성을 위해서, 예를 들어, 2개의 포인팅 수단에 의한 입력 같은, 서로 간에 상호작용(interaction)이 없는 입력 영역의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2가지 실시예의 설명)
도 2의 실시예에 나타난 것과 같이 8개의 밸리데이션 영역으로 구성되는 5개의 입력 영역을 예시로 살펴본다. 입력 영역의 분배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될 수 있고, 마지막 입력 영역은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사각형의 각을 차지하는 다른 4개의 입력 영역의 가운데 위치한다. 메시지 'ok 1'을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실행될 수 있다: 글자 o와 k는 밸리데이션 영역과 관련된 단독 엘리먼트(unique element)이고, 빈 칸(space)는 중앙 영역과 관련되며, '1'은 본 발명의 활성화 시 엘리먼트 '01234'의 그룹에 속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활성화를 보여준다.
이런 식으로, 포인팅 수단은 'o'를 갖는 밸리데이션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 영역의 중앙 영역을 가리키고, 그리고 'o'를 포함하는 밸리데이션 영역까지 이동(displcaement)을 수행한다. 포인팅 수단이 해제(release)될 때, 'o'는 입력 리턴 영역(input return area)에 입력된다. 도 6의 선(line)이 상술한 예시를 보여준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입력 'k'의 입력도 이루어진다. 도 7의 선(line)이 이를 보여준다.
포인팅 수단은 중앙 영역 안에서 간단한 터치(simple touch)가 되고, 제거됨으로써 '스페이스'가 수행된다. 따라서 스페이스가 입력된다. 도 8의 선(line)이 이를 보여준다.
포인팅 수단은 '01234'의 엘리먼트 그룹을 갖는 밸리데이션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 영역의 중앙 영역을 가리키고, '01234'를 포함하는 밸리데이션 영역까지 이동한다. 그러면, 포인팅 수단은 '01234'의 엘리먼트 그룹의 엘리먼트를 내용물로 간주하는 밸리데이션 영역을 갖는 이웃 입력 영역(adjacent input area)의 중앙 영역까지 계속 경로(path)가 이어진다.
그렇게 하여 포인팅 수단은 원하는 '1'을 가리키게 된다.
포이팅 수단을 해제할 때, '1'이 입력 리턴 영역에 입력된다. 도 9의 선이 이를 보여준다.
확대 요소가 없지 않은 경우, '1'을 입력하기 위하여 포인팅 수단을 들어올리기 전의 화면 표시는 도 10과 같다.
도 11에서 입력 영역들이 함께 그룹화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나타난다.
이를 통해, 여러 개의 포인팅 수단 - 만약 스크린 사이즈 상 가능할 경우, 이상적으로는 손가락 - 을 통한 입력이 가능해진다.
도 12는 8개의 밸리데이션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 영역의 예시를 나타낸다. 메시지 'Bonjour'를 입력하여 수신인에게 전송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대문자 B를 입력하는 것은 중앙 영역 안에 표시되고, 간단한 삼각형으로 대변되는 커맨드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포인팅 수단은 밸리데이션 영역에 대한 입력으로 시작되고, (도 13에 나타난 것처럼) 시계 방향으로 즉시 밸리데이션 영역으로 이동하며, 스크린과의 접촉을 중단하거나 중앙 영역으로 옮겨 간다.
다음 입력 글자의 입력을 위해서, 선택 가능한 엘리먼트는 대문자다.
포인팅 수단은 밸리데이션 영역 << ABCDEFGH>>에서 입력을 다시 시작하고, 중앙 영역으로 이동하며(도 14), 밸리데이션 영역 <<B>>로 가서 접촉을 중단 한다. 엘리먼트 'B'는 이렇게 입력되고, 가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hypothetical underlying application)으로 전송된다. 모든 밸리데이션 영역은 소문자로서 글자 엘리먼트를 갖는다.
포인팅 수단은 글자 'o', 'n', 'j', 'o', 'u', 'r'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입력한다.
끝으로, 포인팅 수단은 밸리데이션 영역에서 입력을 수행하고, (도 28과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즉시 밸리데이션 영역으로 이동하며, 그 다음 중앙 영역으로 이동한다.
밸리데이션 영역의 엘리먼트는 전송을 위한 이모티콘 및 커맨드가 된다.
화면에서 접촉을 떼지 않으면서,
포인팅 수단은 커맨드 '전송'으로 슬라이드해서 가고, 메시지 'Bonjour'를 전송하기 위해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연결된 시계 또는 모바일 전화기와 같이 축소된 사이즈의 스크린에서 캐릭터 또는 액션 입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9)

  1. 디스플레이(displaying) 및 포인팅(pointing)을 위한 시스템과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가능한 입력 영역(displayable area)을 포함하는 단말기(terminal)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역은 2개의 부분(part)으로 구성되고,
    2개의 부분은 하나가 다른 하나에 완전하게 포함되며, 첫 번째 부분은 중앙에 위치하여(central), 포인팅 동작 동안 시작(starting) 및 밸리데이션(validation)을 위해 사용되는 중앙 영역(central area)이 되고, 두 번째 부분은 상기 중앙 영역을 완전하게 둘러 싸는 주변부가 되고(peripheral),
    상기 주변부는 복수 개의 하위부분(subpart)으로 나누어지고, 각 하위부분은 많아야 2개의 다른 이웃한 하위부분(adjacent parts)을 갖게 되며, 이 하위부분들은 모두 이웃하며, 상기 중앙 영역에 이웃하거나 근접 위치하고, 그리고 포인팅에 의해서 독점적이고 단일하게(exclusively unitarily) 선택될 수 있고, 이 하위부분들은 밸리데이션 영역(validation area)이 되고, 선택을 위한 엘리먼트(element) 또는 엘리먼트 그룹(group of elements)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말기는,
    - 스크린(screen) 상에 입력 영역들을 분배하고, 미리 정의된 기본 배열(predefined configuration)에 따라 입력 영역들에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 그룹을 할당(assing)하여 발명을 활성화(activating)하는 단계;
    - 포인팅 수단(pointing instrument)이 상기 중앙 영역에 대한 스크린을 접촉하여, 중앙 영역을 가리키는 포인팅(pointing to a central area)에 의해서 입력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중앙 영역에서 밸리데이션 영역으로 상기 포인팅 수단을 슬라이드하여(slide), 포인팅에 의해서 선택된 입력 영역의 밸리데이션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 상기 포인팅 수단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한 중앙 영역을 가리키는 포인팅에 의해 선택된 마지막 밸리데이션 영역을 밸리데이션하는(validating) 단계 (만약 상기 포인팅된 중앙 영역이 상기 선택된 입력 영역의 외부에 있는 경우 다른 밸리데이션 영역들은 상기 포인팅 수단에 대해서 - 존재하지 않도록(nonexistent) - 투명하게(transparent) 처리됨);
    - 만약 상기 확인된 밸리데이션 영역이 엘리먼트 그룹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엘리먼트 그룹은 마지막으로 포인팅된 상기 중앙 영역의 입력 영역의 밸리데이션 영역들로 나누어져 분포되고(divided and distributed), 상기 중앙 영역의 입력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입력 영역들은 본 발명의 활성화 단계 시의 기본 배열(basic configuration)으로 돌아가며, 만약 포인팅 수단이 여전히 상기 스크린과 접촉되어 있는 경우 선택된 입력 영역으로 포인팅된 마지막 입력 영역을 사용하여, 밸리데이션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후에 입력이 계속되는 단계;
    - 상기 확인된 밸리데이션 영역이 하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엘리먼트는 액션(action), 즉 커맨드의 평가나 캐릭터의 입력을 위해 평가(evaluated)되거나(커맨드의 평가) 또는 캐릭터 입력(character input)이 되는 단계 (모든 입력 영역들은 본 발명의 활성화 단계 시의 기분 배열로 돌아오며, 만약 상기 포인팅 수단이 여전히 상기 스크린과 접촉되어 있는 경우 선택된 입력 영역으로 포인팅된 마지막 입력 영역을 사용하여, 밸리데이션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후에 입력을 계속하게 되고, 따라서 새로운 엘리먼트는 상기 포인팅 수단을 들어올리지 않고도(without lifting) 입력될 수 있음);
    - 상기 포인팅 수단과 상기 스크린의 접촉이 중단되었을 때(the break of the contact with the screen), 만약 포인팅에 의해 어떠한 밸리데이션 영역도 선택되지 않으면, 아무것도 선택되지 않고, 만약 하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밸리데이션 영역이 포인팅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엘리먼트는 액션 또는 입력을 위해 평가되며, 만약 엘리먼트 그룹을 포함하는 밸리데이션 영역이 포인팅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엘리먼트 그룹은 조정 가능한 지속 시간 동안(for a duration that can be configured) 상기 선택된 입력 영역의 밸리데이션 영역으로 나누어져 분배되고, 또는 만약 상기 지속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로서, 상기 접촉의 중단 또는 중앙 영역을 가리키는 포인팅에 의한 밸리데이션 영역의 확인 전까지 상기 포인팅 수단이 상기 스크린과의 접촉을 재개하는 경우, 접촉 중단 관리(contact break management)의 마지막에는 모든 입력 영역들은 기본 배열로 돌아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먼트를 평가하는 동작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이나 메모리 안의 교환 메커니즘(mechanism for exchanging)을 통해, 캐릭터나 커맨드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전송하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엘리먼트의 상기 평가에 대한 타겟 어플리케이션(target application)은,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 그룹을 재편성하기(reorganising) 위하여, 밸리데이션 영역들과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 그룹을 연관 시키는(associating) 매니저(manager)일 수 있는
    단말기.
  2.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만약 상기 포인팅 수단이 입력 영역의 외부의 스크린과 접촉하고, 여러 개의 밸리데이션 영역을 슬라이드하는 경우,
    상기 포인팅 수단이 중앙 영역을 가리키거나 스크린과의 접촉을 중단할 때, 바람직하게 첫번째 또는 마지막으로 포인팅된 밸리데이션 영역은
    선택되고 밸리데이션된 밸리데이션 영역(the validation area chosen and validated)이 되고, 선택된 입력 영역은 상기 선택된 밸리데이션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 영역이 되고,
    나아가, 만약 상기 포인팅 수단이 밸리데이션 영역에서 스크린과 접촉을 하는 경우,
    상기 밸리데이션 영역과 연관된 상기 입력 영역은 선택된 입력 영역이 되고, 포인팅된 밸리데이션 영역은 선택된 밸리데이션 영역이 되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3. 청구항 제2항에 따른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수단이 상기 밸리데이션 영역에서 상기 스크린과 접촉하고, 중앙 영역으로 들어가거나 상기 스크린과의 접촉을 중단하기 전에, 다른 밸리데이션 영역을 지나가는 경우,
    상기 선택된 밸리데이션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선택된 입력 영역과 함께 평가되는 동안,
    상기 첫번째 입력 영역(first input area)의 상기 엘리먼트 및 엘리먼트 그룹 또는 선택적으로는 상기 첫번째 입력 영역의 컨텐츠(content)만이, 선택되고 밸리데이션된 밸리데이션 영역인, 마지막 밸리데이션 영역 안에 포함된 엘리먼트를 위한 정보로서 사용되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4. 청구항 제3항에 따른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 영역의 중앙 영역은
    선택할 수 있는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 리스트(a list of element) - 제로(zero)를 지나 순차적으로 인덱싱되고 선택될 수 있는 엘리먼트의 리스트를 리스트라 함 - 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평가 동작(evaluation)이후의 선택 동작(selecting)은, 만약 엘리먼트가 단일 엘리먼트(single element)이거나 상기 리스트의 인덱스 제로(index zero)인 경우, 중앙 영역에 대한 포인팅 수단을 간단하게 누르고 떼는 동작(press and releasing)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으며,
    만약 포인팅 수단이 밸리데이션 영역의 스크린(프라이머리 밸리데이션 영역, primary validation area이라 함)과 접촉하는 경우 또는 포인팅 수단이 중앙 영역에 있다가 밸리데이션 영역(밸리데이션 프라이머리 영역, validation primary이라 함)으로 슬라이드하여 이동한 후, 상기 리스트를 포함하는 중앙 영역을 포함하는 동일한 입력 영역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웃 밸리데이션 영역(adjacent validation area)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중앙 영역과 관련된 인덱스는 각각 (시계 방향의 경우) 1만큼 증가하고, (반시계 방향의 경우) 1만큼 감소하고,
    만약 이러한 증가 또는 감소가 리스트의 인덱스를 생성한다면, 이러한 인덱스의 증가 또는 감소 동작은 포인팅 수단이 동일한 입력 영역의 밸리데이션 영역을 통과하는 동안 계속되고,
    상기 포인팅 수단이 중앙 영역으로 들어오거나 스크린과의 접촉을 중단하는 경우, 중앙 영역 안의 상기 리스트의 인덱스에 대응하는 엘리먼트는 단일 엘리먼트(single element)로서 평가되고,
    단일 엘리먼트의 평가는 상기 중앙 영역이 하나의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든 안하든, 상기 리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중앙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 영역으로서의 선택된 입력 영역과 함께,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고,
    만약 상기 프라이머리 밸리데이션 영역이, 시스템의 원격 (혹은 원격이 아닌) 타겟 어플리케이션(remote target application)으로 이러한 변화(change)를 전송하기 위하여, 인덱스의 증가 또는 감소 마다 평가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다이나믹 커맨드(dynamic command)를 포함하는 경우, 인덱스가 가질 수 있는 최소 값(minimum value) 및 최대 값(maximum value)과 상관 없이, 상기 포인팅 수단이 처음으로, 또는 중앙 영역을 포인팅한 이후에, 다이나믹 커맨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리 밸리데이션 영역을 포인팅하자마자, 동일한 입력 영역 내의 하나의 밸리데이션 영역에서 다른 밸리데이션 영역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지나갈 때마다, 상기 포인팅 수단이 중앙 영역으로 돌아올 때까지 또는 스크린과의 접촉을 중단할 때까지, 상기 커맨드는 파라미터로서, 각각 시계방향의 경우 증가 또는 반시계방향의 경우 감소와 함께 평가되고,
    상기 선택되고 밸리데이션된 밸리데이션 영역으로 고려되는 프라이머리 밸리데이션 영역의 다이나믹 커맨드는 마지막 파라미터(finalisation parameter)와 함께 단일 엘리먼트로서 평가되고,
    선택된 입력 영역은 선택된 밸리데이션 영역과 관련된 입력 영역이 되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5.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앙 영역이 포인트된 입력 영역은, 설정 가능한 방법을 통해(in a configurable way), 다른 입력 영역들은 각자의 중앙 영역이 포인팅될 수 있고, 확대된 입력 영역은 완전히 시각화(fully visible) 하는 방식으로 스크린 상의 사이즈를 확대하며,
    이러한 확대 동작(magnification)은 확대된 입력 영역의 중앙 영역을 축소시킴으로써(shrinking) 상기 밸리데이션 영역들의 확대에 적용될 수 있고,
    접촉의 중단이 있거나 중앙 영역을 포인팅하는 방법에 의해 밸리데이션 영역의 밸리데이션이 될 때까지 이러한 확대 동작은 유지되고, 그리고 원래 사이즈로 돌아가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6. 이전 청구항에 따른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 영역의 확대 동작은, 설정을 통해, 스크린의 가장자리로 다른 입력 영역들을 밀어버리거나(push back), 중앙 영역이 포인팅될 수 있는 상태로 주변 영역(peripheral area)의 다른 입력 영역들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고,
    입력 영역의 확대 동작의 마지막에는, 다른 입력 영역은 원래 위치 및 사이즈로 돌아가며,
    입력 영역이 중앙 영역 주변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때, 밸리데이션 영역은 설정 가능한 방법을 통해 자신의 사이즈를, 가능하다면 제로(zero)의 사이즈로, 감소시키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7. 청구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입력 영역의 확대 동작은
    입력 영역의 중앙을 상쇄(offset)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각자의 중앙 영역이 포인팅될 수 있는 다른 입력 영역들이 항상 스크린 위에 있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체 스크린에서 입력 영역이 최대한 확대되어도 여전히 전체적으로 해독 가능하도록(readable) 하는 방법으로 구현되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8. 청구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 영역의 디스플레이는
    입력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오버레이(overlay)하도록 실행되고,
    이러한 오버레이는 커버 스크린 이미지(covered screen image)에 대해서 조정 가능한 투명도(adjustable transparency)나 대조되는 색(contrasted colours)을 갖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9. 이전 청구항에 따른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탠바이(standby)로 표현되는, 사용되지 않을 시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display)는, 예를 들어, 중앙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소환하는(recall) 실질적으로 투명한 마스크(transparent mask)를 단순히 남겨서, 오버레이로 디스플레이될 본 발명에 입력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읽힐 수 있는 상태(readable)로 남도록 최대값으로 한정되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10. 청구항 제9항에 따른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포인팅 수단의 첫번 째 접촉 시에 밸리데이션 영역의 사용 가능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을 통해 밸리데이션 영역을 그래픽적으로 최대한으로 감축 시킬 수 있는데(reduced), 예를 들어, 밸리데이션 영역들의 윤곽(contour)만 보이도록 하고, 중앙 영역은 구멍만 남길 수 있으며, 이러한 스탠바이 디스플레이는 설정될 수 있는 소정의 기간 동안 본 발명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활성화될 수 있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11. 청구항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디스플레이 동작은
    모든 밸리데이션 영역의 확대나 입력 영역의 불투명화의 제1 단계, 그리고 포인팅 수단의 이동 동안 상기 입력 영역의 확대 동작의 제2 단계에 의해 특징 지어 지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12. 청구항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수단이 밸리데이션될 수 있는 밸리데이션 영역을 지날 때, 상기 포인팅 수단의 모습(appearance)은 선택되는 미래 밸리데이션 영역(future validation area)을 식별하는(identify) 방식으로 변하고,
    동일한 입력 영역의 모든 다른 밸리데이션 영역들은 동일한 모습을 가지며,
    여러 개의 밸리데이션 영역들을 포인팅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밸리데이션 영역 안에 디스플레이 되는 커맨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밸리데이션 영역들은 전용 모습(dedicated appearance)을 유지할 수 있고,
    밸리데이션된 밸리데이션 영역이 나타나자마자 모든 밸리데이션 영역들은 본 발명의 활성화 단계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13. 청구항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밸리데이션 영역의 선택 동안, 축소된 입력 영역들의 밸리데이션 영역들이 보이는 상태(visible)로 남아있고,
    선택된 미래 아이템이 엘리먼트 그룹인 경우, 상기 선택된 미래 아이템을 포함하는 밸리데이션 영역에 가장 가까운 입력 영역은, 엘리먼트 그룹에 관하여 밸리데이션 영역의 콘텐츠(content)를 바꾸며,
    포인팅 수단이 밸리데이션 영역을 바꾸는 경우의 원래 모습으로 돌아가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14. 이전 청구항에 따른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택된 엘리먼트의 평가 동작은
    무선 링크(예를 들어, IEEE 802.15, IEEE 802.11 등의 타입) 또는 물리적 유선 링크(예를 들어, USB, RS232 등의 타입)로 연결된 주변 장치(peripheral devices)로 전송될 수 있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15. 이전 청구항에 따른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밸리데이션을 위한 입력 리턴에 대한 전용 영역(an area dedicated to input return)은, 선택된 엘리먼트의 평가의 결과 값의 카피(copy)를 사용하여 채워지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16. 이전 청구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가능한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확인 영역 위에 엘리먼트 및 엘리먼트 그룹의 분배 동작은,
    글자, 심볼 및 액션을 선택함으로써 언어에 의해 수행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글자, 심볼 및 액션은) 본 발명의 활성화 단계에서 다른 입력 영역으로부터 가급적 분리된 입력 영역의 밸리데이션 영역 내에 단일 엘리먼트의 형태로, 그리고 가장 드물게 사용되는 (글자, 심볼 및 액션은) 본 발명의 활성화 단계에서 다른 입력 영역에 이웃한 입력 영역의 밸리데이션 영역 내에 엘리먼트 그룹의 형태로 수행되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17. 이전 청구항에 따른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캐릭터 엘리먼트는, 본 발명의 활성화 단계에서, 입력 영역의 윤곽 위에서, 바로 가까이에 선택 영역(selection area)을 갖지 않는 입력 영역 내에 알파벳 순서로 배열될 수 있고, 알파벳의 마지막 글자들을 뒤로 보냄으로써, 만약 필요하다면, 선택 영역에 인접한 밸리데이션 영역 내에 엘리먼트 그룹 형태로 배치되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18. 청구항 제16항 또는 제17항에 따른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표의 문자(ideograms)의 선택을 위한 엘리먼트는, 사전에 대응하도록 표의 문자에서 사용되는 선의 숫자(number of lines)을 나타내는 엘리먼트 그룹과 함께 시작될 수 있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19. 청구항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표의 문자의 선택을 위한 엘리먼트는
    첫번째 선을 상징(symbolise)할 수 있고,
    상기 첫번째 선은 두번째 선을 나타내는 엘리먼트 그룹에 대응하며,
    상기 두번째 선은, 세번째 선이 있다면, 상기 세번째 선의 엘리먼트 그룹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의 문자에 대응하는 엘리먼트의 입력이 다 될 때까지 반복되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KR1020177031799A 2015-04-02 2016-03-30 작은 입력 표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KR201801084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00673A FR3034539B1 (fr) 2015-04-02 2015-04-02 Procede de selection d'element parmi un groupe d'elements affichables sur une petite surface de saisie
FR1500673 2015-04-02
PCT/FR2016/000061 WO2016156680A1 (fr) 2015-04-02 2016-03-30 Procédé de sélection d'élément parmi un groupe d'éléments affichables sur une petite surface de sais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415A true KR20180108415A (ko) 2018-10-04

Family

ID=5349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799A KR20180108415A (ko) 2015-04-02 2016-03-30 작은 입력 표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088800A1 (ko)
EP (1) EP3278206B1 (ko)
KR (1) KR20180108415A (ko)
FR (1) FR3034539B1 (ko)
WO (1) WO20161566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39422A1 (en) * 2017-02-17 2018-08-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cking eye movements with a smart device
FR3065299A1 (fr) * 2017-04-17 2018-10-19 Eric PROVOST Procede optimise de saisie de commandes, de caracteres et de designations.
JP7023817B2 (ja) * 2018-09-19 2022-02-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16752A (ko) * 2019-08-05 2021-02-17 윤현진 중증 환자를 위한 영문 입력자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54850A (zh) * 1999-06-09 2002-06-19 马尔文科学解法有限公司 通信系统和方法
US6967642B2 (en) * 2001-01-31 2005-11-22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with pattern and tactile feedback for computer input and control
US7098896B2 (en) * 2003-01-16 2006-08-29 Forword Input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stroke word-based text input
WO2009018314A2 (en) * 2007-07-30 2009-02-05 Perceptive Pixel,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large-scale, multi-user, multi-touch systems
KR101636705B1 (ko) * 2009-08-06 201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323281B1 (ko) * 2012-04-06 2013-10-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US9152319B2 (en) * 2012-07-16 2015-10-06 Avaya Inc. Method for simplifying a Swype based touch-screen keypad for fast text entry
KR20140138424A (ko) * 2013-05-23 2014-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쳐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88800A1 (en) 2018-03-29
FR3034539B1 (fr) 2017-03-24
FR3034539A1 (fr) 2016-10-07
WO2016156680A1 (fr) 2016-10-06
EP3278206B1 (fr) 2020-08-26
EP3278206A1 (fr)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5039B2 (en) Text input
DE112007000122T5 (de) Tastaturen für tragbare elektronische Vorrichtungen
CN101174190A (zh) 电子设备屏幕上实现复合按键的软件键盘输入的方法
JP2010079441A (ja) 携帯端末、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表示方法、及び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表示プログラム
JP2002099379A (ja) 改良型データ入力装置
KR20180108415A (ko) 작은 입력 표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엘리먼트 그룹에서 엘리먼트를 선택하는 방법
KR20080097114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6681518B2 (ja) 文字入力装置
TWI381295B (zh) 預示輸出字元的方法、電子裝置、儲存媒體,以及電腦程式產品
US20140173522A1 (en) Novel Character Spec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at Uses Remote Selection Menu and Touch Screen Movements
JP4944267B1 (ja) 選択肢選択・文字入力装置、選択肢選択・文字入力方法、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50143989A (ko) 간편한 이모티콘 입력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한 장치
KR101039284B1 (ko)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808774B1 (ko)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046660B1 (ko)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612625B1 (ko)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영어/숫자 입력 방법
JP6739083B2 (ja) 2方向の入力に応じて文字入力ボタンを切り替えて表示する、データ入力装置、データ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19482B1 (ko) 스마트폰 한손 자판 화면 배치 방법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1785649B1 (ko) 한글문자입력방법 및 장치
EP2916200A2 (en) Semi-compact keyboard and method therefor
KR20170075904A (ko) 부가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용 소프트웨어 키보드
US20120120012A1 (en) Method for inputting digital characters
HRP20131118A2 (hr) Sustav za pojednostavljeni unos teksta putem zaslona osjetljivog na dodir
JP2020135399A (ja) 符号入力インターフェースを提供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28079B1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단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