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898A - 스마트배너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서비스서버 - Google Patents

스마트배너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서비스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898A
KR20180107898A KR1020170036788A KR20170036788A KR20180107898A KR 20180107898 A KR20180107898 A KR 20180107898A KR 1020170036788 A KR1020170036788 A KR 1020170036788A KR 20170036788 A KR20170036788 A KR 20170036788A KR 20180107898 A KR20180107898 A KR 20180107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screen information
information
banner device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성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6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7898A/ko
Publication of KR20180107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탑재된 IoT 디바이스 형태로 구현된 스마트배너장치를 통해 광고 표시 및 상품 주문(재 주문)이 가능하며 생활편의정보(온/습도, 먼지, 날씨, 교통)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함으로써, 새로운 구매 경험을 제공하여 광고 상품에 대한 구매 전환율을 높이고 고객 충성도를 제고할 수 있는 스마트배너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서비스서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배너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서비스서버{SMART BANN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ERVICE SERVER}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탑재된 IoT 디바이스 형태로 구현된 스마트배너장치를 통해 광고 표시 및 상품 주문(재 주문)이 가능하며 생활편의정보(온/습도, 먼지, 날씨, 교통)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 Amazon, Alibaba등의 글로벌 커머스(Global Commerce) 사업자들은 신선식품, 물류/직 배송으로 자사 역량을 확대/강화할 뿐 아니라 Echo, Dash 같은 IoT 디바이스를 통해 사무실/집 거실 공간까지 구매채널을 확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고객 관점의 충성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구매 경험의 제공이 필요하며, 또한 특정 상품 카테고리(Product Category)에 대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서 IoT Device추진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부)가 탑재된 IoT 디바이스 형태로 구현된 스마트배너장치를 통해서 예컨대 광고 표시 및 상품 주문(재 주문)이 가능하며 생활편의정보(온/습도, 먼지, 날씨, 교통)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디스플레이(부)가 탑재된 IoT 디바이스 형태로 구현된 스마트배너장치를 통해 광고 표시 및 상품 주문(재 주문)이 가능하며 생활편의정보(온/습도, 먼지, 날씨, 교통)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배너장치는, 스마트화면정보와 관련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이벤트 발생이 확인되면 발생된 이벤트의 종류를 판별하도록 하는 판별명령; 상기 이벤트의 종류가 사용자이벤트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에서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전환명령;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액티브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기 저장된 스마트화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스마트화면정보 내 기능 UI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기능 UI에 설정된 동작을 처리하도록 하는 처리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벤트의 종류는, 설정 주기의 도래 시마다 서비스서버와의 접속 시점을 알리기 위한 접속이벤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명령은, 상기 이벤트의 종류가 상기 접속이벤트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와의 접속을 처리하여, 상기 기 저장된 스마트화면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로 갱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배너장치는, 서비스 영역 내 위치를 지정한 위치지정정보를 기반으로 접속중계장치(AP, Access Point)를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와 접속되며,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서비스서버에 기 수집되어 있는 사용자로그정보,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영역분류정보, 및 상기 위치지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해 결정되는 스마트화면정보는, 상기 서비스 영역 내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와는 별도로 상기 위치지정정보를 다르게 지정한 타 스마트배너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치지정정보에 따라 상기 타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해 결정된 스마트화면정보와는 다르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타 스마트배너장치에서 스마트화면정보가 표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확인명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명령은, 임계시간 동안 상기 타 스마트배너장치에서 스마트화면정보가 표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와 상기 타 스마트배너장치 간의 표시비율을 결정하여, 결정된 표시비율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와 상기 타 스마트배너장치 각각의 스마트화면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서비스서버는, 스마트배너장치와 관련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설정 주기의 도래 시마다 접속되는 상기 스마트배너장치로부터 정보갱신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한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하도록 하는 결정명령; 및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해 결정된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를 상기 스마트배너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에 기 지정된 스마트화면정보가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를 갱신되도록 하며,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에서는 이웃한 다음 설정 주기가 도래하는 시점까지의 사용자이벤트 발생시마다 갱신된 스마트화면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송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배너장치는, 서비스 영역 내 위치를 지정한 위치지정정보를 기반으로 접속중계장치(AP, Access Point)를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와 접속되며, 상기 결정명령은, 상기 서비스서버에 기 수집되어 있는 사용자로그정보,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영역분류정보, 및 상기 위치지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한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배너장치의 동작 방법은, 이벤트 발생 확인에 따라 발생된 이벤트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단계; 상기 이벤트의 종류가 사용자이벤트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에서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전환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액티브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기 저장된 스마트화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스마트화면정보 내 기능 UI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기능 UI에 설정된 동작을 처리하는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벤트의 종류는, 설정 주기의 도래 시마다 서비스서버와의 접속 시점을 알리기 위한 접속이벤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이벤트의 종류가 상기 접속이벤트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와의 접속을 처리하여, 상기 기 저장된 스마트화면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로 갱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배너장치는, 서비스 영역 내 위치를 지정한 위치지정정보를 기반으로 접속중계장치(AP, Access Point)를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와 접속되며,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서비스서버에 기 수집되어 있는 사용자로그정보,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영역분류정보, 및 상기 위치지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해 결정되는 스마트화면정보는, 상기 서비스 영역 내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와는 별도로 상기 위치지정정보를 다르게 지정한 타 스마트배너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치지정정보에 따라 상기 타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해 결정된 스마트화면정보와는 다르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처리단계 이전에 상기 타 스마트배너장치에서 스마트화면정보가 표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단계는, 임계시간 동안 상기 타 스마트배너장치에서 스마트화면정보가 표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와 상기 타 스마트배너장치 간의 표시비율을 결정하여, 결정된 표시비율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와 상기 타 스마트배너장치 각각의 스마트화면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배너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서비스서버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가 탑재된 IoT 디바이스 형태로 구현된 스마트배너장치를 통해 광고 표시 및 상품 주문(재 주문)이 가능하며 생활편의정보(온/습도, 먼지, 날씨, 교통)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함으로써, 새로운 구매 경험을 제공하여 광고 상품에 대한 구매 전환율을 높이고 고객 충성도를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배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지역 구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면정보의 결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배너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화면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배너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예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배너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배너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배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배너 시스템은, 스마트화면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10), 접속중계장치(20, AP; Access Point)를 통해 서비스서버(10)에 접속하여 스마트화면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배너장치(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서비스서버(10)는 커머스 사업과 관련된 스마트화면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를 일컫는 것으로서, 스마트배너장치(30)에 대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하여 설정 주기의 도래 시마다 접속되는 스마트배너장치(30)에 해당 스마트화면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스마트화면정보는 스마트배너장치(3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일련의 정보를 일컫다.
이러한, 스마트화면정보에는 예컨대, 상품 광고, 사용자가 위시 리스트(Wish List)에 담아 높은 상품의 가격 변동 추이, 주문한 상품의 배송정보, 스마트배너장치(30)가 위치한 서비스 지역과 관련된 생활편의정보(온/습도, 먼지, 날씨, 교통)가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스마트배너장치(30)가 위치한 서비스 지역은, 접속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Coverage)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화면정보에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 UI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 UI로는 예컨대, 상품 주문(재 주문) 기능, 화면전환 기능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배너 시스템 구성으로서 채택되고 있는 서비스서버(10)는 예컨대,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 밖에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서비스 장치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http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전용 회선(private line),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 내 각 구성 간의 연결은, 데이터가 임의의 해커 또는 다른 제3자에 의한 공격을 받지 않도록 보안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서비스서버(10)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분산 데이터베이스 서버 아키텍쳐를 비롯한 임의의 유형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스마트배너장치(30)와 연결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배너장치(30)는 서비스서버(10)에서 결정된 스마트화면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탑재된 IoT 디바이스를 일컫는다.
이러한, 스마트배너장치(30)는 예컨대, 가전제품에 탈/부착 또는 스마트폰 거치대, 액자 등의 다양한 기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배너장치(30)는 데이터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해당하는 서비스 영역 내에 독립적으로 위치하거나, 서비스 영역 내에 복수 개로 위치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는 서비스 영역(예: 집) 내 3개의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가 위치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서비스 영역 내 3개의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가 위치한 경우, 각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에는 서비스 영역(가정) 내 위치를 지정한 위치지정정보(예: 주방, 거실, 욕실)가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지정정보는 서비스서버(30)에서 데이터중계장치(20)의 커버리지에 해당하는 서비스 영역 별로 관리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배너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스마트배너장치(30)를 스마트화면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스마트 배너 시스템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10)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10)는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하는 결정부(11), 및 스마트화면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1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결정부(11), 및 전송부(12)를 포함하는 서비스서버(1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10)는 스마트배너장치(30)와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부(13)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통신부(13)의 구성은 아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통신부(1310)의 구성과 대응하는 구성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다루기로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10)는 결정부(11), 및 전송부(12)에 해당하는 핵심 구성을 통해 스마트배너장치(30)에 대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서비스서버(1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결정부(11)는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부(11)는 스마트배너장치(30)의 접속이 확인되며, 접속된 스마트배너장치(30)로부터 정보갱신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정보갱신요청에 따라 스마트배너장치(30)에 대한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결정부(11)는 스마트배너장치(30) 사용자와 관련하여 기 수집된 사용자로그정보와 스마트배너장치(30)가 위치하고 있는 서비스 영역에 대한 영역분류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배너장치(30)에 타게팅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로그정보란, 스마트배너장치(30) 사용자의 개인정보, 구매 이력 등을 포함하는 정보로서, 스마트배너장치(30) 사용자가 선호하는(관심도가 높은) 상품 광고를 일차적으로 선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영역분류정보는 스마트배너장치(30)가 위치한 서비스 영역의 지리적 위치와 장소 특성(집, 사무실)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러한, 영역분류정보는 서비스 영역의 지리적 위치와 관련된 생활편의정보(온/습도, 먼지, 날씨, 교통)와 사용자가 선호하는(관심도가 높은) 상품 광고를 서비스 영역(집, 사무실)의 특성을 반영하여 이차적으로 선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앞서 도 2를 참조한 설명에서 서비스 영역 내 복수의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가 위치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 경우, 각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는 서비스서버(10)에 대한 접속 시 서비스 영역 내 위치를 지정한 위치지정정보를 함께 서비스서버(10)로 전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위치지정정보는 사용자로그정보와 영역분류정보와 함께 스마트배너장치(30)에 타게팅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지정정보는 서비스 영역 내 세부 위치를 지시할 수 있는데, 만약 서비스 영역이 '집'인 경우라면, 각 위치지정정보는 서비스 영역 내 세부 위치에 해당하는 '주방', '거실', '욕실' 등을 지시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결정부(11)는 이러한 위치지정정보를 참고하여 각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의 서비스 영역 내 세부 위치를 반영한 상품 광고에 대한 선별하는 방식을 통해서 서비스 영역 내 위치한 각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 고유의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정리하자면,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에 대한 스마트화면정보는, 사용자로그정보를 기초로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 사용자가 공통적으로 선호하는 스마트화면정보(상품 광고)가 일차적으로 선별되며, 일차적으로 선별된 스마트화면정보(상품 광고)는 서비스 영역의 지리적 위치와 장소 특성(집, 사무실)을 나타내는 영역분류정보를 기초로 이차적으로 선별되며, 마지막으로 이차적으로 선별된 스마트화면정보(상품 광고)는 서비스 영역 내 세부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지정정보에 따라 최종 분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배너장치(30)에서는 설정 주기(예: 24시간, 12시간, 6시간)의 도래 시마다 스마트배너장치(30)에 접속하여 정보갱신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전송부(12)는 스마트화면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송부(12)는 스마트배너장치(30)에 대한 스마트화면정보의 결정이 완료되면, 결정된 스마트화면정보를 스마트배너장치(30)에 전송함으로써, 스마트배너장치(30)로 하여금 기 저장되어 있는 스마트화면정보를 신규로 수신된 스마트화면정보로 갱신하도록 하며, 스마트배너장치(30)에서는 이웃한 다음 설정 주기가 도래하는 시점까지 갱신된 스마트화면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서비스서버(1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실제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서술될 내용은 앞서 설명한 단말(10) 내 각 구성을 하드웨어 시스템(1000)으로 구현하기 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1000)은, 프로세서부(1100),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1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부(1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200)를 통해 메모리부(1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부(1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부(1210)에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서비스서버(10) 내 핵심 구성인 결정부(11), 및 전송부(12)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OS)가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부(1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1300)는 프로세서부(1100)와 주변장치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주변장치의 경우,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부(1310) 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으로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WAN(Wide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제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결국, 위 구성에 따라 메모리부(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서버(1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부(110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의 형태로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1300)를 매개로 통신부(1310)와의 연동을 수행함으로써, 스마트배너장치(30)에 대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10)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스마트배너장치(3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이어가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배너장치(3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배너장치(30)는 이벤트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31),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부(32), 및 타 스마트배너장치(도시안됨)에서의 스마트화면정보의 표시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33), 및 스마트화면정보와 관련된 동작을 처리하는 처리부(3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판별부(31), 전환부(32), 확인부(33) 및 처리부(34)를 포함하는 스마트배너장치(3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배너장치(3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서비스서버(10)와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부(35), 스마트화면정보의 표시 및 사용자이벤트 확인을 지원하기 위한 입출력부(36), 스마트화면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37), 및 사용자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38)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통신부(35), 입출력부(36), 디스플레이부(37), 및 감지부(38)의 구성은, 아래에서 도8을 참조하여 설명될 통신부(2310), 입출력부(2320), 디스플레이부(2321), 및 감지부(2322)의 구성과 각각 대응하는 구성인 관계로 그 구체적인 예시나 설명은 이하에서 다루기로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배너장치(30)는 판별부(31), 전환부(32), 확인부(33) 및 처리부(34)를 포함하는 핵심 구성을 통해 서비스서버(30)에서 결정된 스마트화면정보와 관련하여 일련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배너장치(30)의 핵심 구성 각각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판별부(31)는 이벤트의 종류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별부(31)는 이벤트 발생이 확인되면, 발생된 이벤트의 종류를 판별하게 된다.
여기서, 이벤트의 종류는 서비스 영역 내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거나, 별도의 버튼 입력에 해당하는 사용자이벤트와, 설정 주기(예: 24시간, 12시간, 6시간)의 도래 시마다 스마트배너장치(30)와의 접속 시점을 알리기 위한 접속이벤트로 구분될 수 있다.
전환부(32)는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환부(32)는 이벤트 종류에 대한 판별 결과, 발생된 이벤트의 종류가 사용자이벤트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슬립모드 상태인 디스플레이부(37)의 동작모드를 액티브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한편, 전환부(32)는 발생된 이벤트의 종류가 접속이벤트로 판별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37)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로 유지시켜 전력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확인부(33)는 타 스마트배너장치(도시안됨)에서의 스마트화면정보의 표시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33)는 서비스 영역 내 위치지정정보가 다르게 지정된 타 스마트배너장치(도시안됨)가 존재하며, 타 스마트배너장치에서 스마트화면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해당 스마트화면정보가 표시된 시각정보를 타 스마트배너장치로부터 수신하게 되며, 이를 통해 타 스마트배너장치에서 임계시간(예: 2시간) 동안 타 스마트배너장치에서 스마트화면정보가 표시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참고로, 이러한 확인부(33)에서의 확인 동작은,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 영역 내 복수의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가 위치한 경우에만 한정되며, 이 경우 서비스 영역 내 위치한 복수의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 각각에서 스마트화면정보를 표시할 때마다 해당 시각정보를 상호 간에 전달하는 것이 전제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시각정보의 전달 방식은, 복수의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 각각이 데이터중계장치(20)를 통해서 시각정보를 전달하거나, 별도의 통신 네트워크(예: 지그비, 블루투스)를 통해 복수의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 간에 시각정보를 직접 전달하는 방식 또한 가능하다.
처리부(33)는 스마트화면정보와 관련된 동작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33)는 발생된 이벤트의 종류가 사용자이벤트로 판별되어, 슬립모드 상태인 디스플레이부(37)의 동작모드가 액티브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기 저장된 스마트화면정보가 디스플레이부(37)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게 되며, 스마트화면정보 내 기능 UI에 대한 사용자 선택(Click)이 디스플레이부(37)로부터 확인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기능 UI에 설정된 동작[상품 주문(재 주문) 기능, 화면전환 기능]을 처리하게 된다.
참고로, 도 7에는 디스플레이부(37)에서의 스마트화면정보의 표시 방식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7 (a)에서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스마트화면정보에 포함된 상품 광고가 전환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7 (b)에서는 스마트화면정보 내 기능 UI를 통해 상품 광고를 전환하거나, 상품을 주문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7 (a) 및 도 7 (b)에서는 공통적으로 상품 광고 이외에 상단에 스마트배너장치(30)가 위치한 서비스 지역과 관련된 생활편의정보(온/습도, 먼지, 날씨, 교통)가 함께 표시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처리부(33)는 서비스 영역 내 복수의 스마트배너장치가 위치한 것을 전제로, 타 스마트배너장치에서 임계시간 동안 스마트화면정보가 표시되지 않은 것이 확인부(32)에서 확인되는 경우에는, 스마트배너장치(30)와 타 스마트배너장치 간의 표시비율을 결정하여, 결정된 표시비율에 따라서 스마트배너장치(30)와 타 스마트배너장치 각각의 스마트화면정보를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타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해 결정된 스마트화면정보가 스마트배너장치(3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타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해 결정된 스마트화면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선, 서비스 영역 내 위치한 스마트배너장치 간에는 스마트화면정보를 상호 공유할 수 있음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처리부(33)는 발생된 이벤트의 종류가 설정 주기의 도래 시마다 서비스서버와의 접속 시점을 알리기 위한 접속이벤트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서비스서버(10)와의 접속을 처리하여, 기 저장된 스마트화면정보를 서비스서버(10)로부터 수신되는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로 갱신하게 된다.
이때, 처리부(33)는 서비스서버(10)와의 접속이 확인되면, 서비스서버(10)에 정보갱신요청을 전달함으로써, 서비스서버(10)로부터 스마트배너장치(30)에 대해 결정된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 설명한 스마트배너장치(3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실제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배너장치(20) 내 각 구성을 구현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하드웨어 시스템(2000)의 구성 중,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내 구성과 명칭이 일치하는 구성은 서로 동일한 구성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동일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시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수신자관리장치(2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은 프로세서부(2100), 메모리 인터페이스부(2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2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부(2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부(2200)를 통해 메모리부(2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부(2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부(2210)에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마트배너장치(30) 내 핵심 구성인 판별부(31), 전환부(32), 확인부(33), 및 처리부(34)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2300)는 프로세서부(2100)와 주변장치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주변장치의 경우, 하드웨어 시스템(2000)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부(2310) 및 입출력부(2320)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부(1320)는 기타 하드웨어 시스템과 연동되는 I/O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역할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321)와, 사용자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2322)에 대한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321)는 광고 선택(Click) 확인을 위한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321)는 예컨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332)는 서비스 영역 내 사용자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PIR 센서 또는 버튼에 해당될 수 있다.
결국, 메모리부(2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스마트배너장치(3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부(210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의 형태로 메모리 인터페이스부(21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2300)를 매개로 통신부(2310)와 입출력부(2320)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서비스서버(10)에서 결정된 스마트화면정보와 관련하여 일련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앞선 도 8을 참조하여, 스마트배너장치(30)의 각 구성을 하드웨어 시스템(2000)과 연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판별부(31)는 이벤트의 종류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별부(31)는 감지부(2322)를 통해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발생된 이벤트를 사용자이벤트인 것으로 판별하여, 판별 결과를 전환부(32)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판별부(32)는 이벤트의 종류가 설정 주기의 도래 시마다 서비스서버와의 접속 시점을 알리기 위한 접속이벤트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판별 결과를 처리부(34)로 직접 전달하게 된다.
전환부(32)는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환부(32)는 이벤트 종류가 사용자이벤트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입출력부(232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321)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321)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에서 액티브모드로 전환하게 되며, 전환 결과를 처리부(34)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전환부(32)는 이벤트의 종류가 설정 주기의 도래 시마다 서비스서버와의 접속 시점을 알리기 위한 접속이벤트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2321)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로 유지시켜 전력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처리부(33)는 스마트화면정보와 관련된 동작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33)는 슬립모드 상태인 디스플레이부(37)의 동작모드가 액티브모드로 전환된 것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입출력부(232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321)를 제어함으로써, 기 저장된 스마트화면정보가 디스플레이부(37)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게 되며, 스마트화면정보 내 기능 UI에 대한 사용자 선택(Click)이 디스플레이부(37)로부터 확인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기능 UI에 설정된 동작[상품 주문(재 주문) 기능, 화면전환 기능]을 처리하게 된다.
한편, 처리부(33)는 발생된 이벤트의 종류가 설정 주기의 도래 시마다 서비스서버와의 접속 시점을 알리기 위한 접속이벤트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통신부(2310)를 통해 서비스서버(10)와의 접속을 처리하여, 기 저장된 스마트화면정보를 서비스서버(10)로부터 수신되는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로 갱신하게 된다.
이때, 처리부(33)는 서비스서버(10)와의 접속이 확인되면, 서비스서버(10)에 정보갱신요청을 전달함으로써, 서비스서버(10)로부터 스마트배너장치(30)에 대해 결정된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배너 시스템 내 각 구성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가 탑재된 IoT 디바이스 형태로 구현된 스마트배너장치(30)를 통해 광고 표시 및 상품 주문(재 주문)이 가능하며 생활편의정보(온/습도, 먼지, 날씨, 교통)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함으로써, 새로운 구매 경험을 제공하여 광고 상품에 대한 구매 전환율을 높이고 고객 충성도를 제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배너 시스템, 및 시스템 내 각 구성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배너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스마트배너장치(30)는 단계 S10에 따라 설정 주기의 도래 시마다 서비스서버와의 접속 시점을 알리기 위한 접속이벤트가 발생한 것이 확인되는 경우, 단계 S11에 따라 서비스서버(10)에 접속하여 정보갱신요청을 전달한다.
이어서, 서비스서버(10)는 스마트배너장치(30)의 접속이 확인되며, 접속된 스마트배너장치(30)로부터 정보갱신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단계 S12에 따라 스마트배너장치(30)에 대한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한다.
이때, 서비스서버(10)는 스마트배너장치(30) 사용자와 관련하여 기 수집된 사용자로그정보와 스마트배너장치(30)가 위치하고 있는 서비스 영역에 대한 영역분류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배너장치(30)에 타게팅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서비스서버(10)는 스마트배너장치(30)에 대한 스마트화면정보의 결정이 완료되면, 단계 S13에 따라 결정된 스마트화면정보를 스마트배너장치(30)에 전송함으로써, 스마트배너장치(30)로 하여금 단계 S14에 따라 기 저장되어 있는 스마트화면정보를 신규로 수신된 스마트화면정보로 갱신하도록 한다.
이후, 스마트배너장치(30)는 단계 S15에 따라 사용자이벤트의 발생이 확인되는 경우, 단계 S16 및 S17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에서 액티브모드로 전환하여 갱신된 스마트화면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며, 스마트화면정보 내 기능 UI에 대한 사용자 선택(Click)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기능 UI에 설정된 동작[상품 주문(재 주문) 기능, 화면전환 기능]을 처리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서비스서버(1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10)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결정부(11)는 단계 S21 및 S22에 따라 스마트배너장치(30)의 접속이 확인되며, 접속된 스마트배너장치(30)로부터 정보갱신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단계 S23 내지 S25에 따라 스마트배너장치(30)에 대한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한다.
이때, 결정부(11)는 스마트배너장치(30) 사용자와 관련하여 기 수집된 사용자로그정보와 스마트배너장치(30)가 위치하고 있는 서비스 영역에 대한 영역분류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배너장치(30)에 타게팅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로그정보란, 스마트배너장치(30) 사용자의 개인정보, 구매 이력 등을 포함하는 정보로서, 스마트배너장치(30) 사용자가 선호하는(관심도가 높은) 상품 광고를 일차적으로 선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영역분류정보는 스마트배너장치(30)가 위치한 서비스 영역의 지리적 위치와 장소 특성(집, 사무실)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서비스 영역의 지리적 위치와 관련된 생활편의정보(온/습도, 먼지, 날씨, 교통)와 사용자가 선호하는(관심도가 높은) 상품 광고를 서비스 영역(집, 사무실)의 특성을 반영하여 이차적으로 선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앞서 도 2를 참조한 설명에서 서비스 영역 내 복수의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가 위치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 경우, 각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는 서비스서버(10)에 대한 접속 시 서비스 영역 내 위치를 지정한 위치지정정보를 함께 서비스서버(10)로 전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위치지정정보는 사용자로그정보와 영역분류정보와 함께 스마트배너장치(30)에 타게팅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지정정보는 서비스 영역 내 세부 위치를 지시할 수 있는데, 만약 서비스 영역이 '집'인 경우라면, 각 위치지정정보는 서비스 영역 내 세부 위치에 해당하는 '주방', '거실', '욕실' 등을 지시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결정부(11)는 이러한 위치지정정보를 참고하여 각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의 서비스 영역 내 세부 위치를 반영한 상품 광고에 대한 선별하는 방식을 통해서 서비스 영역 내 위치한 각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 고유의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에 대한 스마트화면정보는, 사용자로그정보를 기초로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 사용자가 공통적으로 선호하는 스마트화면정보(상품 광고)가 일차적으로 선별되며, 일차적으로 선별된 스마트화면정보(상품 광고)는 서비스 영역의 지리적 위치와 장소 특성(집, 사무실)을 나타내는 영역분류정보를 기초로 이차적으로 선별되며, 마지막으로 이차적으로 선별된 스마트화면정보(상품 광고)는 서비스 영역 내 세부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지정정보에 따라 최종 분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배너장치(30)에서는 설정 주기(예: 24시간, 12시간, 6시간)의 도래 시마다 스마트배너장치(30)에 접속하여 정보갱신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전송부(12)는 스마트배너장치(30)에 대한 스마트화면정보의 결정이 완료되면, 단계 S26에 따라 결정된 스마트화면정보를 스마트배너장치(30)에 전송함으로써, 스마트배너장치(30)로 하여금 기 저장되어 있는 스마트화면정보를 신규로 수신된 스마트화면정보로 갱신하도록 하며, 스마트배너장치(30)에서는 이웃한 다음 설정 주기가 도래하는 시점까지 갱신된 스마트화면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10)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이하에서는 스마트배너장치(3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배너장치(30)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판별부(31)는 단계 S31에 따라 이벤트 발생이 확인되면, 단계 S32에 따라 발생된 이벤트의 종류를 판별한다.
이때, 이벤트의 종류는 서비스 영역 내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거나, 별도의 버튼 입력에 해당하는 사용자이벤트와, 설정 주기(예: 24시간, 12시간, 6시간)의 도래 시마다 스마트배너장치(30)와의 접속 시점을 알리기 위한 접속이벤트로 구분되어 판별될 수 있다.
이어서, 전환부(32)는 단계 S33에 따라 발생된 이벤트의 종류가 사용자이벤트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단계 S34에 따라 슬립모드 상태인 디스플레이부(37)의 동작모드를 액티브모드로 전환한다.
참고로, 전환부(32)는 발생된 이벤트의 종류가 접속이벤트로 판별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37)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로 유지시켜 전력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 영역 내 복수의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가 위치한 경우에는 확인부(33)는 단계 S35 내지 S37에 따라 타 스마트배너장치(도시안됨)에서의 스마트화면정보의 표시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확인부(33)는 서비스 영역 내 위치지정정보가 다르게 지정된 타 스마트배너장치(도시안됨)가 존재하며, 타 스마트배너장치에서 스마트화면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해당 스마트화면정보가 표시된 시각정보를 타 스마트배너장치로부터 수신하게 되며, 이를 통해 타 스마트배너장치에서 임계시간(예: 2시간) 동안 타 스마트배너장치에서 스마트화면정보가 표시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참고로, 이 경우 서비스 영역 내 위치한 복수의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 각각에서 스마트화면정보를 표시할 때마다 해당 시각정보를 상호 간에 전달하는 것이 전제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시각정보의 전달 방식은, 복수의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 각각이 데이터중계장치(20)를 통해서 시각정보를 전달하거나, 별도의 통신 네트워크(예: 지그비, 블루투스)를 통해 복수의 스마트배너장치(30-1, 30-2, 30-3) 간에 시각정보를 직접 전달하는 방식 또한 가능하다.
나아가, 처리부(33)는 발생된 이벤트의 종류가 사용자이벤트로 판별되어, 슬립모드 상태인 디스플레이부(37)의 동작모드가 액티브모드로 전환되며, 임계시간(예: 2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타 스마트배너장치에서 스마트화면정보가 표시된 것이 확인되는 경우, 단계 S39에 따라 기 저장된 스마트화면정보가 디스플레이부(37)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게 되며, 스마트화면정보 내 기능 UI에 대한 사용자 선택(Click)이 디스플레이부(37)로부터 확인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기능 UI에 설정된 동작[상품 주문(재 주문) 기능, 화면전환 기능]을 처리하게 된다.
참고로, 앞선 도 7 (a)에서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스마트화면정보에 포함된 상품 광고가 전환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7 (b)에서는 스마트화면정보 내 기능 UI를 통해 상품 광고를 전환하거나, 상품을 주문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7 (a) 및 도 7 (b)에서는 공통적으로 상품 광고 이외에 상단에 스마트배너장치(30)가 위치한 서비스 지역과 관련된 생활편의정보(온/습도, 먼지, 날씨, 교통)가 함께 표시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처리부(33)는 앞선 단계 S37을 통해 서비스 영역 내 복수의 스마트배너장치가 위치한 것을 전제로, 타 스마트배너장치에서 임계시간 동안 스마트화면정보가 표시되지 않은 것이 확인부(32)에서 확인되는 경우에는, 단계 S38에 따라 스마트배너장치(30)와 타 스마트배너장치 간의 표시비율을 결정하여, 결정된 표시비율에 따라서 스마트배너장치(30)와 타 스마트배너장치 각각의 스마트화면정보를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타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해 결정된 스마트화면정보가 스마트배너장치(3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타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해 결정된 스마트화면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선, 서비스 영역 내 위치한 스마트배너장치 간에는 스마트화면정보를 상호 공유할 수 있음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처리부(33)는 앞선 단계 S32를 통해 발생된 이벤트의 종류가 설정 주기의 도래 시마다 서비스서버와의 접속 시점을 알리기 위한 접속이벤트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단계 S40 내지 S42에 따라 서비스서버(10)와의 접속을 처리하여, 기 저장된 스마트화면정보를 서비스서버(10)로부터 수신되는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로 갱신하게 된다.
이때, 처리부(33)는 서비스서버(10)와의 접속이 확인되면, 서비스서버(10)에 정보갱신요청을 전달함으로써, 서비스서버(10)로부터 스마트배너장치(30)에 대해 결정된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서버(10)에서는 스마트배너장치(30)의 접속이 확인되며, 접속된 스마트배너장치(30)로부터 정보갱신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정보갱신요청에 따라 스마트배너장치(30)에 대한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하여, 스마트배너장치(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결정부(11)는 스마트배너장치(30) 사용자와 관련하여 기 수집된 사용자로그정보와 스마트배너장치(30)가 위치하고 있는 서비스 영역에 대한 영역분류정보, 그리고 서비스 영역 내 지정된 위치지정정보를 참조하여 스마트배너장치(30)에 타게팅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배너 시스템 내 각 구성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가 탑재된 IoT 디바이스 형태로 구현된 스마트배너장치(30)를 통해 광고 표시 및 상품 주문(재 주문)이 가능하며 생활편의정보(온/습도, 먼지, 날씨, 교통)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함으로써, 새로운 구매 경험을 제공하여 광고 상품에 대한 구매 전환율을 높이고 고객 충성도를 제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부,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부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부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배너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서비스서버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가 탑재된 IoT 디바이스 형태로 구현된 스마트배너장치를 통해 광고 표시 및 상품 주문(재 주문)이 가능하며 생활편의정보(온/습도, 먼지, 날씨, 교통)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서비스서버
11: 결정부 12: 전송부
20: 스마트배너장치
21: 판별부 22: 전환부
23: 확인부 24: 처리부

Claims (12)

  1. 스마트화면정보와 관련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이벤트 발생이 확인되면 발생된 이벤트의 종류를 판별하도록 하는 판별명령;
    상기 이벤트의 종류가 사용자이벤트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에서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전환명령;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액티브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기 저장된 스마트화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스마트화면정보 내 기능 UI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기능 UI에 설정된 동작을 처리하도록 하는 처리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배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종류는,
    설정 주기의 도래 시마다 서비스서버와의 접속 시점을 알리기 위한 접속이벤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명령은,
    상기 이벤트의 종류가 상기 접속이벤트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와의 접속을 처리하여, 상기 기 저장된 스마트화면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로 갱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배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배너장치는,
    서비스 영역 내 위치를 지정한 위치지정정보를 기반으로 접속중계장치(AP, Access Point)를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와 접속되며,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서비스서버에 기 수집되어 있는 사용자로그정보,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영역분류정보, 및 상기 위치지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배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해 결정되는 스마트화면정보는,
    상기 서비스 영역 내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와는 별도로 상기 위치지정정보를 다르게 지정한 타 스마트배너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치지정정보에 따라 상기 타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해 결정된 스마트화면정보와는 다르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배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타 스마트배너장치에서 스마트화면정보가 표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확인명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명령은,
    임계시간 동안 상기 타 스마트배너장치에서 스마트화면정보가 표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와 상기 타 스마트배너장치 간의 표시비율을 결정하여, 결정된 표시비율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와 상기 타 스마트배너장치 각각의 스마트화면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배너장치.
  6. 스마트배너장치와 관련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설정 주기의 도래 시마다 접속되는 상기 스마트배너장치로부터 정보갱신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한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하도록 하는 결정명령; 및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해 결정된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를 상기 스마트배너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에 기 지정된 스마트화면정보가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를 갱신되도록 하며,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에서는 이웃한 다음 설정 주기가 도래하는 시점까지의 사용자이벤트 발생시마다 갱신된 스마트화면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송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배너장치는,
    서비스 영역 내 위치를 지정한 위치지정정보를 기반으로 접속중계장치(AP, Access Point)를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와 접속되며,
    상기 결정명령은,
    상기 서비스서버에 기 수집되어 있는 사용자로그정보,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영역분류정보, 및 상기 위치지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한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
  8. 이벤트 발생 확인에 따라 발생된 이벤트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단계;
    상기 이벤트의 종류가 사용자이벤트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에서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전환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액티브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기 저장된 스마트화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스마트화면정보 내 기능 UI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기능 UI에 설정된 동작을 처리하는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배너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종류는,
    설정 주기의 도래 시마다 서비스서버와의 접속 시점을 알리기 위한 접속이벤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이벤트의 종류가 상기 접속이벤트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와의 접속을 처리하여, 상기 기 저장된 스마트화면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신규 스마트화면정보로 갱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배너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배너장치는,
    서비스 영역 내 위치를 지정한 위치지정정보를 기반으로 접속중계장치(AP, Access Point)를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와 접속되며,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서비스서버에 기 수집되어 있는 사용자로그정보, 상기 서비스 영역에 대한 영역분류정보, 및 상기 위치지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한 스마트화면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배너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해 결정되는 스마트화면정보는,
    상기 서비스 영역 내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와는 별도로 상기 위치지정정보를 다르게 지정한 타 스마트배너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치지정정보에 따라 상기 타 스마트배너장치에 대해 결정된 스마트화면정보와는 다르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배너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처리단계 이전에 상기 타 스마트배너장치에서 스마트화면정보가 표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단계는,
    임계시간 동안 상기 타 스마트배너장치에서 스마트화면정보가 표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와 상기 타 스마트배너장치 간의 표시비율을 결정하여, 결정된 표시비율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배너장치와 상기 타 스마트배너장치 각각의 스마트화면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배너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70036788A 2017-03-23 2017-03-23 스마트배너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서비스서버 KR201801078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788A KR20180107898A (ko) 2017-03-23 2017-03-23 스마트배너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서비스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788A KR20180107898A (ko) 2017-03-23 2017-03-23 스마트배너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서비스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898A true KR20180107898A (ko) 2018-10-04

Family

ID=63863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788A KR20180107898A (ko) 2017-03-23 2017-03-23 스마트배너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서비스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78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27331A1 (en) Smart home system using portable device
US9460453B2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location-based digital signage services
US9842362B2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shopping for goods using the same
US20130229260A1 (en) Electronic tag system
JP6817572B2 (ja) サーバ及び注文システム
US9949089B2 (en) Position management system, posi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position management method
KR102086200B1 (ko) 주문처리 시스템
JP2014157498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買い物用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US20170192626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appable item selection
KR20180056258A (ko) 가구 관련 업무 대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70184342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23840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80123296A (ko) 스마트오더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단말
KR20220004603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41352A (ko) 공용/개인 스케쥴링 세탁 예약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JP6293603B2 (ja) 商品情報閲覧システム、情報配信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6057684A (ja) 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80107898A (ko) 스마트배너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서비스서버
KR101843367B1 (ko)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서버 및 단말기
KR102430290B1 (ko) 아이템 판매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정보 제공 방법
KR101831025B1 (ko) 온라인 쇼핑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상품 주문 및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상품 주문 및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US9824368B2 (en) Customized kiosk modes of operation
KR20180122154A (ko) 조건부 구매 확정을 지원하는 쇼핑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쇼핑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741825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JP6525232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システムの処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