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663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663A
KR20180107663A KR1020170036299A KR20170036299A KR20180107663A KR 20180107663 A KR20180107663 A KR 20180107663A KR 1020170036299 A KR1020170036299 A KR 1020170036299A KR 20170036299 A KR20170036299 A KR 20170036299A KR 20180107663 A KR20180107663 A KR 20180107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data
units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3603B1 (ko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6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603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층에 분산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유닛, 상기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 하고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및 상기 복수의 유닛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복수의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통신상태 및 설치환경에 따라 배관통신, 무선통신, 유선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설치위치, 유닛 간의 거리, 장애물 등의 설치환경에 따라 통신 가능한 통신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통신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율을 향상시키고,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여 유닛의 동작이 정지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공기조화기는 건물단위 또는 소그룹 단위로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통해 각 유닛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
공기조화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상호 전송하여 연동하여 동작한다. 또한, 제어기는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그 동작을 제어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통신선으로 복수의 유닛이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였다. 그러나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됨에 따라, 그 수만큼 통신선을 연결해야한다. 그러나 각 유닛을 상호 연결하기에는 너무 많은 통신선의 연결이 필요하고, 연결구조가 복잡해지므로, 복수의 유닛을 일대일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통신선의 연결상태에 따라, 연결된 통신선을 통해 지정된 루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실외기에 실내기의 통신선이 연결되는 경우 실내기의 데이터는 실외기로 전송되고, 실내기로 전달되는 데이터는 실외기를 통해 전달된다. 따라서 제어기와 실내기가 통신하는 경우에는 실외기를 통해 데이터가 전달되게 된다. 이 경우 제어기와 실내기가 일대일로 통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복수의 유닛이 무선으로 통신하는, 공기조화기의 무선통신망 구축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러나 무선으로 통신하는 경우, 공기조화기의 유닛이 한 장소에 모여있는 것이 아니라 건물 내, 복수의 층에 분산되어 설치되고, 특히 실외기는 옥상 등에 떨어져 설치되는 등, 거리상의 제약이 있고, 무선신호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선신호의 도달 여부, 통신상태에 따라 통신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정상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간에 기본적으로 연결되는 냉매배관이 연결됨에 따라 냉매배관을 이용한 통신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KR1229361B1 에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신호가 멀리 이동하기 어렵고, 배관이 접지되어 있는 경우 정상적인 통신이 불가능하며 배관이 고압선에 근접하여 설치된 경우 노이즈로 인하여 통신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설치위치 및 주변 시설에 따라 통신상태에 변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설치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공기조화기의 복수의 유닛이 통신상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층에 분산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유닛, 상기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 하고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및 상기 복수의 유닛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복수의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통신상태 및 설치환경에 따라 배관통신, 무선통신, 유선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는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다른 통신방식으로 변경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는 유선통신, 무선통신, 배관통신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변환하여 통신방식을 변경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는 복수의 대상에 각각 상이한 통신방식을 통신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는 통신하는 대상에 따라, 복수의 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여 통신모드를 설정하고, 통신중 에러 발생 시 다른 통신방식으로 변경하여 통신모드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는 무선통신을 위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설정에 따라 서브기가대역 또는 기가대역의 주파수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닛에, 각각 연결되는 통신부가, 배관통신, 유선통신, 무선통신에 대한 통신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통신상태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송수신되는 경우, 상기 통신방식을 통신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중,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다른 통신방식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변경된 통신방식으로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송수신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통신방식을 통신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공기조화기의 복수의 유닛이, 복수의 통신방식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설치위치, 유닛 간의 거리, 장애물 등의 설치환경에 따라 통신 가능한 통신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통신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키고,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여 유닛의 동작이 정지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통신방식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닛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통신부의 선택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통신부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부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통신설정에 따른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10), 실내기(20), 제어기(5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및 실외기 이외에도,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히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규모에 따라 칠러, 공조유닛, 냉각탑 등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각 유닛이 상호 연결되어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건물 내, 이동장치, 보안장치, 경보장치 등과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실내기(20) 및 실외기(10)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에 대응하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며, 모니터링화면을 통해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제어기는 실내기(20)에 연결되어 실내기에 대한 운전설정, 잠금설정, 스케줄제어, 그룹제어, 전력사용에 대한 피크제어, 디멘드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각각 실내기(20)에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 또한,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내기로부터 변경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동작을 변경한다.
실내기(20)는 실외기(1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전자팽창밸브(미도시), 냉매의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미도시), 실내공기가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되도록 하고,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노출되도록 하는 실내기팬(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실내기(20)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미도시)를 포함하고, 토출구에는 토출구를 여닫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실내기는 실내기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 및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하며, 풍량을 조절한다. 실내기(20)는 실내기의 운전상태 및 설정정보가 표시되는 출력부 및 설정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내기(20)는 공기조화기 운전에 대한 설정정보를 연결되는 리모컨(미도시)으로 전송하여 리모컨을 통해 출력하고,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실외기(10)는 연결된 실내기(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기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동작하며, 연결된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
복수의 실외기가 연결되는 경우, 각 실외기는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분배기를 통해 복수의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압의 기체 냉매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와 액체냉매를 분리하여 기화되지 않은 액체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회수기,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하거나 증발되도록 하는 실외열교환기,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실외 열교환기로 공기를 유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실외기팬, 실외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변경하는 사방밸브, 압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다른 유닛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구성을 포함한다. 실외기(10)는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과냉각기 등을 더 포함하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다른 공기조화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어기를 통해 외부의 서비스센터, 관리서버, 데이터베이스 등에 접속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외부의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공기조화기에 접속하여 제 2의 제어기로써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통신방식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실내기(20), 복수의 실외기(10)는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도 2a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기(50) 또한, 실외기 및 실내기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와 냉매배관(P1, P2)으로 각각 연결되고,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20)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내기로부터 변경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동작을 변경한다. 복수의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는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실내기(20)는 실외기(10)와 통신할 뿐 아니라, 제어기(50)와 무선통신방식으로 통신한다.
제 1 실외기(10)는 제 1 내지 제 3 실내기(21 내지 23)와 제 1 냉매배관(P1)으로 연결되고, 제 2 실외기(12)는 제 4 내지 제 6 실내기(23 내지 26)와 제 2 냉매배관(P2)으로 연결된다. 설명의 편의상 각 실외기에 3대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일예일뿐 도시된, 실내기의 수 또는 실내기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제 1 실외기(11)가 동작함에 따라 제 1 실외기(10)로부터 제 1 내지 제 3 실내기로 냉매가 공급되고, 제 2 실외기(12)의 동작에 의해 제 4 내지 제 6 실내기(23 내지 26)로 제 2 냉매배관(P2)을 통해 냉매가 공급된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를 기준으로 그룹이 설정될 수 있고, 각 그룹은 상이한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실내기는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바탕으로 열교환을 수행하여 냉, 온의 공기를 토출하므로, 냉매배관으로 연결되는 실내기와 실외기는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실외기(11)는 제 1 냉매배관(P1)으로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3 실내기(21 내지 23)와 제 1 그룹을 형성하고, 제 2 실외기(12)는 제 2 냉매배관(P2)으로 연결되는 제 4 내지 제 6 실내기(24 내지 26)와 제 2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실외기와 제어기 또한, 설치 위치에 따라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냉매배관에 의한 연결상태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운전하여 실외기의 냉매공급에 따른 실내기의 온도변화 여부를 바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그룹에 관계없이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와 통신한다.
제어기(50)는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복수의 실내기(20) 및 실외기(10)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며, 모니터링화면을 통해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제어기(50)는 복수의 실내기(20)에 연결되어 실내기에 대한 운전설정, 잠금설정, 스케줄제어, 그룹제어, 전력사용에 대한 피크제어, 디멘드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50)는 실외기와 통신하여 실외기를 제어하고 실외기의 동작을 모니터링한다.
제어기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상호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외부의 소정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제어기와도 연결될 수 있다.
제어기 및 복수의 유닛이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있어서, 제어기와 각 유닛에는 통신을 위한 주소가 저장된다. 각 주소는 실외기와, 제어기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외기는 냉매배관으로 연결되는 실내기와 그룹을 설정한다. 이때, 실외기를 동일한 그룹에 포함되는 실내기에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를 중심으로 그룹이 설정되더라도 모든 실외기 및 모든 실내기와 통신한다. 그에 따라 제어기는 그룹단위의 통신을 위한 주소 이외에 중앙제어용 주소를 복수의 유닛에 할당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기는 별도의 주소 할당 없이, 실외기와 실내기에 할당된 주소를 중앙제어용 주소로써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가 별도의 통신선 없이 냉매배관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냉매배관을 통해 통신하는 경우, 제어기는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실외기 또는 실내기와 무선으로 통신하거나, 또는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복수의 유닛의 냉매배관을 통해 통신하는 경우, 냉매배관과 통신부를 연결하는 배관통신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매배관에 체결고정되는 배관통신장치를 구비하고, 통신부와 배관통신장치를 연결하여, 통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배관통신장치를 통해 배관으로 전달되어 전송되도록 한다.
공기조화기의 통신부에서 저주파의 95 내지 150 KHz로 신호를 전송하면, 배관통신장치에서 신호에 따른 자기장을 냉매배관에 형성하여 신호가 전달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실내기(20), 복수의 실외기(10), 제어기(50)가 통신선(L1, L2)으로 연결되어 유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복수의 유닛은 통신선(L1, L2)로 연결되어 상호 통신한다. 복수의 실내기는 통신선으로 실외기와 연결되고, 제어기는 실외기에 통신선으로 연결된다.
공기조화기는 통신선으로 복수의 유닛이 연결된다. 복수의 유닛은 통신선의 연결에 한계가 있으므로 상호 일대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선의 연결 형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실외기와 실내기간의 통신방식과 실외기와 제어기간에는 상이한 통신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실내기는 데이터는 실외기로 전송하고, 실외기는 실내기의 데이터를 제어기로 전송한다. 제어기는 실내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실외기로 전송하고, 실외기는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실내기로 전송한다.
통신부는 통신환경, 통신상태에 따라 무선, 유선, 배관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닛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닛은, 구동부(130), 통신부(140), 센서부(160), 입출력부(170), 데이터부(120), 그리고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통신부(140)는 유닛에 내장되거나, 또는 유닛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각 유닛(100)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구성으로, 제품의 특성에 따라 별도의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기(10)는 압축기, 실외기팬, 복수의 밸브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실외기의 구동부는 압축기 구동부, 실외기팬구동부, 밸브제어부로 구분될 수 있다. 실내기(20)는 풍향조절수단으로 루버 또는 베인이 구비되고, 실내기팬, 복수의 밸브를 포함함에 따라 실내기팬구동부, 밸브제어부, 풍향제어부 등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닛의 종류에 따라 센서부(160)에 포함되는 센서의 종류 및 그 수, 설치 위치는 상이하게 구성된다.
데이터부(120)에는, 유닛(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다른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주소 또는 그룹설정에 대한 통신데이터, 외부로부터 송수신되는 데이터, 동작 중 발생하거나 또는 감지되는 동작데이터가 저장된다. 데이터부(120)는 유닛의 기능별 실행프로그램, 동작 제어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데이터부(12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과 같은 입력수단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데이터를 입력하고, 점등 또는 점멸제어되는 램프,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유닛의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입출력부(170)는 입력수단의 조작에 대응하여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데이터에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실외기에는 전원키, 시운전키, 주소설정키가 구비될 수 있고, 실내기에는 전원키, 메뉴입력키, 운전설정키, 온도조절키, 풍량키, 잠금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점등 또는 점멸제어되는 램프,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유닛의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램프는 점등여부, 점등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유닛이 동작중인지 여부를 출력하고, 스피커는 소정의 경고음, 효과음을 출력하여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유닛의 제어를 위한 메뉴화면을 출력하고, 유닛의 운전설정 또는 동작상태를, 문자, 숫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된 안내 메시지 또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부(160)는 압력센서, 온도센서, 가스센서, 습도센서, 유량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는 복수로 구비되어, 실내온도, 실외온도, 실내열교환기온도, 실외열교환기온도, 배관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압력센서는 냉매배관의 입출입구에 각각 설치되어,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과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압력센서는 냉매배관뿐 아니라, 수관에도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대상으로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그 구동을 제어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외기의 경우, 구동부(130)는 압축기, 실외기팬, 및 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압축기구동부, 실외기팬구동부, 밸브제어부가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130)는 압축기, 실외기팬, 밸브 등에 각각에 구비되는 모터로 동작전원을 인가하여 모터가 동작함에 따라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통신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다른 유닛과 통신한다.
통신부(140)는 배관통신부(140a), 무선통신부(140b), 유선통신부(140c)를 포함한다. 통신부(140)는 사용 주파수대역이 상이한 무선통신부를 복수로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복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실외기 및 다른 실내기와의 통신, 리모컨과의 통신, 제어기와의 통신 시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통신모듈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통신하고자하는 대상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통신방식을 변경함으로써 대상에 따라, 각각 상이한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제어기, 실외기, 실내기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있어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통신상태, 유닛의 설치위치 등을 고려하여 통신방식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통신부(140)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다른 유닛과 통신하고, 통신상태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대상에 따라 통신방식을 변경한다. 통신부(140)는 무선통신 시, 통신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신호의 세기가 설정값 이하인 경우, 설정시간 이상 무선으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등, 무선통신으로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유선통신부 또는 배관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통신부(140)는 통신선으로 연결되지 않은 유닛이 존재하는 경우, 유선통신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통신선이 오결선된 경우와 같이, 정상적으로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배관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통신부(140)는 배관통신부로 신호를 인가하여 배관으로 신호를 전송하되, 제어기와 같이 배관으로 연결되지 않은 유닛의 경우에는 무선 또는 유선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한다.
한편, 통신부(140)는 무선통신부의 통신상태를 판단하여, 무선통신이 가능한 경우, 다시 무선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무선통신부(140b)는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고, 주기적으로 통신상태를 판단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한다. 무선통신부(140b)는 서브기가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거나, 블루투스, 지그비 방식의 근거리통신이 가능하고, 또한, 와이파이, 와이브로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각각 사용되는 주파수대역이 상이하므로, 각각의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고,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안테나가 각각 구비된다.
무선통신부(140b)는 건물 내 벽면, 바닥면, 장애물 등에도 통신 가능하도록 서브기가(Sub-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한다. 서브기가대역의 주파수는 투과 및 회전 특성이 우수하여 벽체나 층간 장애물에 대한 감쇠영향이 적다. 무선통신부(140b)는 서비기가대역 중, 소출력 무선국용으로 활용가능한 비면허 대역인 400MHz대역과 900MHz 대역 중 어느 하나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통신부(140)는 지역 또는 나라에 따라 상이한 규정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400MHZ 내지 900MHZ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부(140b)는 근거리 통신방식인 지그비, 블루투스, NFC 등의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40b)는 실내기와의 통신, 제어기와의 통신에 있어서 상이한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 통신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채널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배관통신부(140a)는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저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하여, 배관에 설치되는 배관통신장치로 인가하고, 배관통신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통해 신호가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배관통신장치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수신하여 변환한다.
유선통신부(140c)는 연결되는 통신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유선통신부는 통신선의 연결포트의 신호를 통해 통신선의 연결상태 및 통신상태를 판단한다. 유선통신부는 씨리얼통신, 전력선통신, 광케이블,LAN 등의 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고, 데이터부(12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며, 통신부(140)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40)의 연결상태 및 통신상태를 감지하고, 에러를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다른 유닛으로부터의 요청 또는 설정된 운전설정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구동부(130)로 인가한다. 그에 따라 구동부(130)는 연결되는 구성, 예를 들어 압축기, 실외기팬, 밸브, 실내기팬, 풍향조절수단 등이 각각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유닛이 동작중인 상태에서, 센서부(160)의 복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동작상태를 판단하고, 이상을 판단하여 에러를 출력한다.
통신부(140)는 연결부(120)를 통해 유닛(100)과 연결된다. 통신부(140)는 연결부를 통해 유닛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송출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유닛으로 인가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통신부의 선택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40)는 4개의 계층으로 구분되어 데이터를 처리한다. OSI계층에 대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신부(140)는 물리계층(51), 데이터링크계층(52), 네트워크계층(53), 응용계층(54)으로 구분되어 데이터를 처리한다.
유선통신부, 배관통신부, 무선통신부는, 각각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계층이 구분되어 각각 데이터를 처리한다.
물리계층(51)은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는 전자회로나 케이블 같은 물리적인 장치에 관한 것이므로, 유선, 배관, 무선이 각각 분리되어 데이터가 처리된다.
물리계층(51)에서는 물리적인 정보 전달 매개체에 대한 연결의 성립 및 종료, 여러 사용자들 간의 통신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데 관여한다. 예를 들어, 경쟁 상태의 해소나 흐름 제어를 수행하며,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의 디지털 데이터를 이에 상응하는 신호들로 변환, 변조한다.
물리계층(51)은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 비트를 전송하는 계층으로, 데이터 링크 개체간의 비트 전송을 위한 물리적 연결을 설정, 유지, 해제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며, 물리계층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은 회선교환, 메시지 교환, 패킷교환 방식이 있다. 따라서 유선, 배관, 무선통신 각각은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 및 수단이 상이하므로 이를 각각 분리하여 처리하게 된다.
데이터링크계층(52) 또한, 전기적으로 신호를 주고 받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 유선용 맥어드레스, 배관용맥어드레스, 무선용맥어드레스는 각각 관리된다.
맥어드레스(MAC address, Media Access Control)는 통신모듈 각각에 포함되는 것으로 데이터링크 계층의 MAC계층에 의해 사용되는 총 48비트의 하드웨어 주소이다. 맥어드레스는 주로 Gateway를 통해 나가지 않는 범위 내의 묶여있는 네트워크 망 안에서 통신을 할 때 이용되는 것으로 IP주소와 구분된다.
데이터링크계층(52)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대상 간, 신뢰성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으로 CRC 기반의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가 필요하다. 데이터링크계층(52)은 네트워크 위의 개체들 간 데이터를 전달하고,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하는 데 필요한 기능적, 절차적 수단을 제공한다.
특히,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은 전송 선로의 물리적 특성을 반영하므로 통신모듈의 종류에 따라 특성이 구분된다.
네트워크계층(53)부터는 유선, 무선, 배관통신의 데이터를 공동으로 처리한다. 네트워크계층에서는, 통신장치가 여러가지 인 경우, 어느 통신장치를 이용할지 지정한다. 네트워크계층은 라우팅, 흐름제어, 오류제어 등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계층은 여러개의 노드를 거칠때마다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을 하는 계층으로 다양한 길이의 데이터를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달하고, 그 과정에서 전송 계층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QoS)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적, 절차적 수단을 제공한다.
응용계층(54)은, 어플리케이션계층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변환하는 프로그램에 관계되는 계층이다. 응용계층은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한다.
따라서, 통신부(140)는,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네트워크계층에서, 어떤 통신방식을 이용할지 결정하고 그에 따라, 유선, 배관, 무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유선통신(S1), 배관통신(S2), 무선통신(S3)이 각각 결정되면, 유선통신부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배관통신부는 배관통신장치에 신호를 인가하며, 무선통신부는 지정된 주파수대역으로 신호를 송출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통신부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부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40)는 복수의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통신부는 유선, 무선, 배관통신이 가능한 멀티통신장치로 하나의 장치에서 복수의 통신방식을 지원한다.
통신부(140)는 유선 또는 배관통신 시, 신호가 약하거나, 데이터 전송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자동으로 무선통신으로 변경한다. 또한, 통신부(140)는 무선통신 중, 신호가 약하거나 통신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유선 또는 배관통신으로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유닛과 연결되는 연결부(144), 데이터가 저장되는 버퍼(142), 레귤레이터(143), 통신 전반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141)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140)는 하나의 장치 내에서, 통신제어부(141)의 제어에 의해 각각 유선통신, 무선통신, 배관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제어부(141)는 유선통신, 무선통신, 배관통신을 제어한다.
통신제어부(141)는 유선(Digital), 배관(Analog), 무선으로 들어오는 신호를 분석하여 보내고자 하는 주소의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매체에 따라 신호를 변환하여 전송한다. 통신제어부(141)는 유선통신으로 수신된 신호 또는 유선통신용으로 입력된 신호를, 배관통신을 위한 신호로 변환하여 배관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제어부(141)는 무선통신으로 발송할 신호에 대하여, 무선통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신호를 변환하여 유선통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통신제어부(141)는 유선통신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배관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배관통신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며, 무선통신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유선통신 또는 배관통신을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되도록 한다.
통신부(140)는 안테나(154), 유선커넥터(153), 배관커넥터(152)가 각각 구비되어, 안테나는 지정된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송출 및 수신하고, 유선커넥터(153)는 통신선으로 신호를 인가하고 수신하며, 배관커넥터(152)는 배관 또는 배관통신장치에 신호를 인가하고 수신한다.
통신부(140)는 임피던스매칭부(149), 무선전송부(148), 유선전송부(147), 배관전송부(146)를 포함하여, 각각 안테나, 유선커넥터, 배관커넥터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처리한다. 배관전송부(146)는 라인드라이브(145)와 연결되어, 연결부(144)를 통해 유닛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때, 무선통신부, 즉 무선전송부, 임피던스매칭부 및 안테나는, 지정된 주파수대역으로 신호를 송수신한다.
통신부는 서브기가대역의 400MHz 또는 900MHz의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또한, 2.4GHz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사용되는 주파수대역에 따라 복수의 무선통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주파수대역에 따라 안테나의 길이도 상이하므로, 복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서브기가대역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하는 경우, 사용가능한 주파수 대역은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의 전파법 규정에 따르면, 400MHz 또는 900MHz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용 특정 소출력무선국용 무선설비를 위해, 424.7MHz 내지 424.95MHz 의 21개 채널, 447.8625MHz 내지 447.9875MHz 11개 채널, 그리고, RFID/USN 등의 무선설비를 위한 917 내지 923.5MHz 32개 채널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국가별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살펴보면, 북미, 남미지역은, 902 내지 928MHz(FCC Part 15.247)이고, 유럽은 433MHz, 915MHz, 863 내지 868MHz(ETSIEN300220), 일본 920 내지 928MHz(ARIB STD-T108), 중국 920MHz, 한국 424 내지 447MHz, 917 내지 923.5MHz(KC), 인도는 865 내지 867MHz(G.S.R 564(E))이고, 호주 433, 915MHZ, 남아프리카 433MHz, 전세계 공통으로 2.4GHz와, 5.725GHz 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북미 및 남미지역은, 902 내지 928MHz이고, 유럽은 863 내지 868MHz, 일본 920 내지 928MHz, 한국 917 내지 923.5MHz, 인도는 865 내지 867MHz 전세계 공통으로 2.4GHz와, 5.725GHz 을 이용하는 경우 전송속도 50kbps 이상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통신설정에 따른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복수의 유닛은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여 동작상태를 확인하고, 연동하여 동작한다. 예를들어 실내기는 입력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되도록 실외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실외기는 실내기의 운전대수에 따라 운전주파수를 설정하여 지정된 모드로 운전을 수행한다. 제어기는 실외기와 실내기로 제어명령은 인가할 수 있고, 또한, 실외기와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한다. 환기장치는 실내기의 운전상태에 따라 환기 여부 또는 환기시점, 외기와 배기의 비율, 환기의 정도, 팬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유닛에 구비되는 통신부(140)는 복수의 통신모듈에 대하여 각각의 통신설정을 확인한다(S310). 통신부(140)는 유닛과의 연결부, 유선커넥터 및 배관커넥터 등의 커넥터 연결상태를 확인하여 유선통신 또는 배관통신의 상태를 확인하고, 무선 통신상태를 확인한다(S320).
통신부(140)는 복수의 커넥터 중, 정상적으로 연결된 커넥터를 기준으로 통신방식을 설정한다(S330). 통신부(140)는 통신가능한 커넥터가 복수인 경우 유선통신, 배관통신, 무선통신의 순서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설정에 따라 무선통신을 우선으로 하고, 무선통신에 이상이 있는 경우 유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지정된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340). 예를 들어 통신부(140)는 통신선이 유선커넥터에 연결되어 통신 가능한 상태인 경우, 유선통선으로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설정하여 유선전송부 및 유선커넥터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통신부(140)는 지정된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상태에서 통신오류가 발생하면(S350), 통신방식을 변경한다(S360). 예를들어 유선통신중에, 통신선에 이상이 있거나, 수신측 유닛에 이상이 있는 경우, 통신방식을 배관통신 또는 무선통신중 어느 하나로 변경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변경된 통신방식으로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송수신되면(S370), 정상동작하는 통신방식으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통신모드를 설정한다(S360). 예를 들어 제 1 유닛이 제 2 유닛과 통신하여 무선통신 중에 에러가 발생하여 유선통신으로 변경한 경우, 제 2 유닛과의 통신은 유선으로 처리하도록 통신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3 유닛과 무선통신이 통신상태가 정상이고 전송성공율이 높은 경우 무선통신을 통신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되, 데이터를 전송하는 대상과 시점에 따라 복수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예를 들어, 제 1 유닛이 제 2 유닛으로 유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 3 유닛이 제 1 유닛으로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1 유닛은 제 3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유선통신용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 2 유닛으로, 유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복수의 유닛에 구비되는 통신부에 복수의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설치환경이나 통신상태에 따라 복수의 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따라, 통신에러로 인한 미전송 및 데이터 오류를 최소화하여 데이터 전송 성공율이 향상되고, 그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동작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11 내지 13: 실외기 20, 21 내지 29: 실내기
50: 제어기
100: 유닛 200: 통신부
210: 통신제어부

Claims (13)

  1.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층에 분산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유닛;
    상기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 하고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및 상기 복수의 유닛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복수의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통신상태 및 설치환경에 따라 배관통신, 무선통신, 유선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다른 통신방식으로 변경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유선통신, 무선통신, 배관통신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변환하여 통신방식을 변경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유선통신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배관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배관통신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며,
    무선통신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유선통신 또는 배관통신을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복수의 대상에 각각 상이한 통신방식을 통신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통신하는 대상에 따라, 복수의 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여 통신모드를 설정하고,
    통신중 에러 발생 시 다른 통신방식으로 변경하여 통신모드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통신을 위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설정에 따라 서브기가대역 또는 기가대역의 주파수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배관통신부, 유선통신부 및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하나의 통신제어부를 통해 상기 배관통신부, 상기 유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통신선이 연결되는 유선커넥터,
    배관 또는 별도의 배관통신장치에 연결되는 배관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선커넥터 또는 상기 배관커넥터의 연결상태를 확인하여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닛에, 각각 연결되는 통신부가, 배관통신, 유선통신, 무선통신에 대한 통신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통신상태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송수신되는 경우, 상기 통신방식을 통신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중,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다른 통신방식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변경된 통신방식으로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송수신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통신방식을 통신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드에 따라, 복수의 유닛 중, 제 1 유닛이 제 2 유닛으로, 제 1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통신방식으로 통신 중, 에러가 발생하는 단계;
    제 2 통신방식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모드를 상기 제 2 통신방식으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 통신방식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전송 대상유닛에 대응하여 제 2 통신방식을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통신방식으로 상기 대상유닛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70036299A 2017-03-22 2017-03-2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93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299A KR102393603B1 (ko) 2017-03-22 2017-03-2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299A KR102393603B1 (ko) 2017-03-22 2017-03-2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663A true KR20180107663A (ko) 2018-10-02
KR102393603B1 KR102393603B1 (ko) 2022-05-02

Family

ID=63863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299A KR102393603B1 (ko) 2017-03-22 2017-03-2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6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181B1 (ko) * 2019-02-25 2020-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2303748A (zh) * 2020-09-24 2021-02-02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空调器和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8264A (ko) * 2004-10-29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시스템
KR20100090928A (ko) * 2009-02-09 2010-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통신방법
KR20120005299A (ko) * 2010-07-08 2012-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통신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8264A (ko) * 2004-10-29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시스템
KR20100090928A (ko) * 2009-02-09 2010-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통신방법
KR20120005299A (ko) * 2010-07-08 2012-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통신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181B1 (ko) * 2019-02-25 2020-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2303748A (zh) * 2020-09-24 2021-02-02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空调器和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603B1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79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58048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979278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366020B1 (ko) 공기조화기
KR20190080633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KR20180107663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75561B1 (ko) 기지국의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85432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080079484A (ko) 기지국의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000070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972042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691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36462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11200B1 (ko) 공기조화기
KR20190085431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1976426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00071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20139669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000069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63634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3948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949361B1 (ko) 이동 단말기 및 전자 기기
KR2012000529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통신방법
KR20190080636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80372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