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420A - 특수 제작된 배양용기를 이용한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 및 베타글루칸 원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특수 제작된 배양용기를 이용한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 및 베타글루칸 원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420A
KR20180107420A KR1020170035085A KR20170035085A KR20180107420A KR 20180107420 A KR20180107420 A KR 20180107420A KR 1020170035085 A KR1020170035085 A KR 1020170035085A KR 20170035085 A KR20170035085 A KR 20170035085A KR 20180107420 A KR20180107420 A KR 20180107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culture container
main body
medium
contain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일
허대영
Original Assignee
김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일 filed Critical 김정일
Priority to KR1020170035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7420A/ko
Publication of KR20180107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40Cultiv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01G18/68Cultivation bott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BPHOSPHATIC FERTILISERS
    • C05B3/00Fertilisers based essentially on di-calcium phosph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24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beta-D-Glucans; (beta-1,3)-D-Glucans, e.g. paramylon, coriolan, sclerotan, pachyman, callose, scleroglucan, schizophyllan, laminaran, lentinan or curdlan; (beta-1,6)-D-Glucans, e.g. pustulan; (beta-1,4)-D-Glucans; (beta-1,3)(beta-1,4)-D-Glucans, e.g. lichena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4Polysaccharides, i.e.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bo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립배지를 이용한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 베타글루칸 원료 제조방법 및 상기 배양방법에 사용되는 배양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은, a) 곡립으로 배지를 조성하는 단계; b) 상기 배지를 내열성 배양용기에 입병하는 단계; c) 상기 배양용기 내의 배지를 살균하는 단계; d) 상기 배양용기 내의 배지를 냉각하는 단계; e) 무균실에서 상기 배양용기 내의 배지에 꽃송이버섯 종균을 접종하는 단계; f) 상기 배양용기를 밀폐하여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1차로 배양하는 단계; 및 g) 상기 배양요기 내에 여과된 산소가 순환되도록 하며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2차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특수 제작된 배양용기를 이용한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 및 베타글루칸원료 제조방법{Cultivating method Sparassis crispa mycelium using a specially prepared culture bottle and beta-glucan manufacturing process with the method}
본 발명은 곡립배지를 이용한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 베타글루칸 원료 제조방법 및 상기 배양방법에 사용되는 배양용기에 관한 것이다.
베타글루칸(β-glucan)은 다당류의 일종으로서, 인체의 면연력을 높여 암, 고혈합 및 당뇨 등에 유효하다.
이러한 베타글루칸은 꽃송이버섯의 자실체에 100g 당 43.6g이 함유되어 있다. 꽃송이버섯은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꽃송이버섯과의 버섯으로서, 한국, 일본, 유럽, 북아메리카 및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자생한다.
등록번호 10-0449947호의 '꽃송이버섯의 인공재배법'에서는, a) 낙엽송 가루 및 활엽수 가루를 배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배지에 꽃송이버섯 종균을 접종하는 단계, c) 균사체를 만연시킨 후 자실체 원기를 형성시키는 단계, d) 자실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e) 자실체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통해 꽃송이버섯을 재배한다.
그리고 등록번호 10-0474980의 '꽃송이 버섯의 인공 재배 방법'에서는, a) 침엽수와 광엽수의 가루를 배합하여 배지를 형성하는 과정, b) 배지를 고온상압 살균하는 과정, c)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및 수소이온농도 조정제를 첨가하여 형성된 액체배지에서 배양된 균사체를 상기 b) 단계에서 형성된 배지에 접종하여 균사를 배양하는 과정, 및 d) 강온, 광조사 배양과정을 통해 꽃송이버섯을 재배한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들은 꽃송이버섯 자실체를 성숙시키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자실체보다는 균사체에 보다 많은 양의 베타글루칸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베타글루칸을 얻기 위해서 자실체가 될 때까지 꽃송이버섯을 성장시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점이 있다.
KR 10-1998-0044151 A
본 발명은 상기한 것과 같은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기간에 꽃송이버섯의 균사체를 효과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방법, 상기 배양방법을 이용한 베타글루칸 원료 제조방법 및 상기 배양방법에 사용되는 배양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a) 곡립으로 배지를 조성하는 단계; b) 상기 배지를 내열성 배양용기에 입병하는 단계; c) 상기 배양용기 내의 배지를 살균하는 단계; d) 상기 배양용기 내의 배지를 냉각하는 단계; e) 무균실에서 상기 배양용기 내의 배지에 꽃송이버섯 종균을 접종하는 단계; f) 상기 배양용기를 밀폐하여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1차로 배양하는 단계; 및 g) 상기 배양용기 내에 여과된 산소가 순환되도록 하며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2차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a)단계에서는, 상기 배지에 염산, 초산, 유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수소이온농도 조정제를 첨가하고, 상기 배지에 제1인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폴리인산나트륨, 제1인산칼륨, 제2인산칼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무기염류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단계 전에는, 배양용기 본체;와 상기 배양용기 본체의 입구부분 둘레를 감싸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내부공간에서 배양용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밀폐층, 및 상기 원통부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배양용기 본체의 내부공간 반대측에 위치하는 필터층으로 이루어지는 뚜껑;을 구비하는 배양용기를 준비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f)단계에서는 상기 밀폐층에 의해 배양용기를 밀폐하며, 상기 g)단계에서는 상기 밀폐층을 파괴하여 필터층에 의해 공기가 여과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b)단계 전에는, 배양용기 본체; 상기 배양용기 본체의 입구부분 둘레를 감싸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내부공간에서 배양용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필터층으로 이루어지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서 상기 배양용기 본체의 내부공간 반대측에 체결되는 밀폐뚜껑을 구비하는 배양용기를 준비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f)단계에서는 상기 밀폐뚜껑을 필터부에 체결하여 배양용기를 밀폐하며, 상기 g)단계에서는 상기 밀폐뚜껑을 제거하여 필터층에 의해 산소가 여과, 순환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을 통해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배양하는 단계; 나) 상기 배양용기 내의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살균하는 단계; 다) 상기 배양용기에서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탈병하는 단계; 라) 상기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건조하는 단계; 및 마) 상기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글루칸 원료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배양용기 본체;와 상기 배양용기 본체의 입구부분 둘레를 감싸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내부공간에서 배양용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밀폐층, 및 상기 원통부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배양용기 본체의 내부공간 반대측에 위치하는 필터층으로 이루어지는 캡(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에 사용되는 배양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배양용기 본체; 상기 배양용기 본체의 입구부분 둘레를 감싸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내부공간에서 배양용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필터층으로 이루어지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서 상기 배양용기 본체의 내부공간 반대측에 체결되는 밀폐캡(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에 사용되는 배양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은, 우수한 품질의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배양할 수 있다.
그리고 베타글루칸의 원료를 단시간 내에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효과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4 및 5는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에 사용되는 배양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을 이용한 베타글루칸 원료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의 순서도가 도식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은, a) 곡립으로 배지를 조성하는 단계(S11); b) 상기 배지를 내열성 배양용기에 입병하는 단계(S12); c) 상기 배양용기 내의 배지를 살균하는 단계(S13); d) 상기 배양용기 내의 배지를 냉각하는 단계(S14); e) 무균실에서 상기 배양용기 내의 배지에 꽃송이버섯 종균을 접종하는 단계(S15); f) 상기 배양용기를 밀폐하여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1차로 배양하는 단계(S16); 및 g) 상기 배양용기 내에 여과된 산소가 순환되도록 하며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2차로 배양하는 단계(S17);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상기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에 대하여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a) 배지 조성 단계(S11);
꽃송이버섯 균사체의 배양에 필요한 영양물질을 포함하는 배지를 조성한다. 배지는 쌀, 보리, 밀, 옥수수, 조 등의 곡립을 주요 구성물로 하여 꽃송이버섯 균사체의 배양에 필요한 탄소원과 질소원을 별도로 추가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곡립 중에서도 보리는 베타글루칸 함유량이 높으므로 이를 배지의 주요 구성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지 조성 단계(S11)에서 배지의 pH는 염산, 초산, 유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수소이온농도 조정제에 의하여 5~6으로 조정된다. pH의 정확한 조정을 위하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염기성아미노산 등의 염기성 물질이 배지에 첨가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인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폴리인산나트륨, 제1인산칼륨, 제2인산칼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무기염류를 첨가하여 곡립에 의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는 영양물질을 보충한다.
배지에 첨가되는 상기 물질들은 식용이 가능하여야 한다. 상기 수소이온농도 조정제 및 무기염류에 의하여 배지는 꽃송이버섯 균사체의 배양에 보다 알맞은 조건을 갖추게 된다. 배지에는 상기한 물질들 외에도 음용수를 첨가하여 습도를 조절해준다.
b) 배지 입병 단계(S12);
조성된 배지를 배양이 이루어질 배양용기 내에 입병한다. 후속의 살균 단계에서 배양용기가 변형되지 않도록 배양용기는 내열성 PP와 같이 내열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한다.
c) 배지 살균 단계(S13);
배지에 포함된 잡균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지가 입병되어 있는 배양용기를 살균한다.
이에 의해 꽃송이버섯 균사체의 생장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세균 및 곰팡이균 등이 제거된다.
상기 배지 살균 단계(S13)는, 90~110℃에서 30~50분간 진행되는 1차 살균과정과 110~130℃에서 20~40분간 진행되는 2차 살균과정으로 이루어져, 배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살균해줄 수 있다.
d) 배지 냉각 단계(S14);
고온으로 살균한 배지를 꽃송이버섯 균사체가 생장할 수 있는 온도가 될 때까지 냉각시킨다. 배지는 5~50℃, 바람직하게는 15~20℃가 될 때까지 냉각된다.
e) 종균 접종 단계(S15);
살균이 완료된 배지에 꽃송이버섯의 종균을 접종한다. 접종시 배지가 잡균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꽃송이버섯 종균의 접종은 무균실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종균 접종 단계에서 사용되는 꽃송이버섯의 종균은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 종균이 배양된다.
i) 꽃송이버섯 자실체를 조직분리하여 15~30℃에서 평판배지 표면의 70~90%를 덮도록 배양하는 단계; ii) 상기 i단계에서 배양된 균을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18~25℃에서 25~35일간 배양하는 단계; iii) 상기 ii단계에서 배양된 균을 평판배지에서 2차례 계대 배양하는 단계; iv) 상기 iii단계에서 배양된 균을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7~15일간 정치 배양 한 후, 3~5일 간격으로 교반하면서 22~35일간 배양하는 단계; v) 상기 iv단계에서 배양된 균을 살균된 배양용기 내의 액체배지에 접종하고 온도를 20~23℃로, 산소 압력을 0.1~1.5kgf/cm2으로 유지하며 균을 생장시키는 단계.
이러한 과정들에 의해 꽃송이버섯 균사체의 재배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종균을 얻을 수 있게 된다.
f) 1차 배양 단계(S16);
배양용기를 밀폐하여 잡균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1차로 배양한다.
상기 1차 배양단계(S16)는, 온도 18~22℃, CO2 농도 1500~2500ppm 조건을 유지하면서 진행되는 것이 꽃송이버섯 균사체의 원활한 생장을 위한 측면에서 유리하다.
g) 2차 배양 단계(S17);
1차 배양 단계(S17)를 진행함에 의해 꽃송이버섯 균사체가 일정치 이상의 생장력을 가지게 되면, 배양용기 내에 여과된 산소가 유입되도록 하면서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2차로 배양한다.
배양용기를 밀폐하면 외부에서 잡균 등이 배양용기 내로 들어오는 것은 방지할 수 있지만 배양 시 발생하는 내부 열에 의해 배양용기 내의 온도가 올라가고 CO2 농도가 높아질 수 있는데, 배양용기 내에 여과된 산소를 유입시켜주면 온도와 CO2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줄 수 있다.
도 2는 배양실의 온도를 22℃로 하고 배양병용기 내의 초기 온도를 18℃로 하여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배양했을 때 배양용기 내의 온도 변화와 균사체성장률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의 (a)는 배양용기를 밀폐하였다가 배양용기에 여과된 산소를 유입시켜준 경우로, 배양용기 내의 온도변화가 크지 않고 균사체성장률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배양용기를 계속해서 밀폐하여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배양했을 때에는 도 2의 (b)에 도식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배양용기 내의 온도가 34℃ 정도까지 올라가고 균사체성장률도 일정 정도에서 고착된다.
배양 중간에 배양용기 내에 여과된 산소를 유입시켜주는 경우와 계속해서 배양용기를 밀폐시키는 경우는, 배양용기 내의 오염률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인다. 즉, 배양 중간에 배양용기 내에 여과된 산소를 유입시켜준 경우는, 배양 중 100병당 2병에서 푸른곰팡이가 발생하였고, 도 3의 (a)에 도식되어 있는 것과 같이 2차 배양 단계(S17) 시작 후, 즉 배양용기 내에 여과된 산소를 유입시켜준 후 15일만에 푸른곰팡이가 발생하여 5일간 10mm 정도 성장하였다. 그러나 계속해서 배양용기를 밀폐시킨 경우에는 배양 중 100병당 8병에서 푸른곰팡이가 발생하였고, 도 3의 (b)에 도식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보다 이른 시기에 푸른곰팡이가 발생하여 빠르게 성장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꽃송이버섯 균사체의 배양방법에 사용되는 배양용기는, 배양병 본체(10);와 원통부(11a), 밀폐층(11b) 및 필터층(11c)을 가지는 캡(뚜껑)(11);을 구비하며, 배지 입병 단계(S12) 전에 준비된다. 도 4에는 상기 배양용기의 단면도가 도식되어 있다.
배양용기 본체(1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일반적인 용기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입구 부분 외측면에 뚜껑(11)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원통부(11a)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배양용기 본체(10)의 입구를 감싸며, 상기 원통부(11a)의 내측면에는 상기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홈이 형성된다.
밀폐층(11b)은 상기 원통부(11a)의 내부공간 중에서 배양용기 본체(10)의 내부공간에 인접한 곳에 위치하며, 필터층(11c)은 원통부(11a)의 내부공간 중에서 배양용기 본체(10)의 내부공간 반대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배양용기 캡(뚜껑)(11)은 1차 배양 단계(S16)에서는, 밀폐층(11b)이 배양용기 본체(10)의 내부공간을 밀폐한다. 그리고 1차 배양 단계(S16)가 완료된 후에는 배양용기 캡(뚜껑)(11)을 배양용기 본체(10)의 입구에 더 체결함으로써 밀폐층(11b)이 배양용기 본체(10)의 입구 끝에 닿아 파괴될 수 있도록 한다. 밀폐층(11b)이 파괴되면 2차 배양 단계(S17)에서는 파괴된 밀폐층(11b) 사이 공간을 통해 필터층(11c)에 의해 여과된 산소가 배양용기 본체(1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배양용기 캡(뚜껑)
(11)은, 배양용기가 밀폐된 상태에서 여과된 산소를 유입시킬 수 있는 상태로 쉽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며, 배양용기의 밀폐 상태를 전환시키면서 배양용기 내로 잡균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층(11c)층은, 유산지, 부직포, 또는 특수 한지, 셀룰로오스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폐층(11b)이 배양용기 본체(10)의 입구와 닿았을 때 쉽게 파괴될 수 있도록 밀폐층(11b)에는 파단홈(G)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배양용기가 도식되어 있다. 상기 배양용기는, 배양병 본체(10); 원통부(12a)와 필터층(12b)을 가지는 필터부(12); 및 밀폐캡(뚜껑)(13);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의한 배양용기에서 배양용기 본체(10)는, 도 4에 도식된 실시예에서의 배양용기 본체와 동일하다.
필터부(12)를 구성하는 원통부(12a)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배양용기 본체(10)의 입구를 감싸며, 원통부(12a)에서 배양용기 본체(10) 반대측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필터층(12b)은 상기 원통부(12a)의 내부공간에서 배양용기 본체(10)의 내부공간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밀폐캡(뚜껑)(13)의 내측면에는 원통부(12a) 외측면 나사산에 맞물리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어 밀폐캡(뚜껑)(13)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배양용기는 1차 배양 단계(S16)에서는 밀폐캡(뚜껑)(13)이 필터부(12)에 체결된 상태로 위치하여 배양용기를 밀폐하고, 2차 배양 단계(S17)에서는 밀폐캡(뚜껑)(13)을 제거하여 필터층(12b)에 의해 여과된 산소가 배양용기 본체(1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을 이용한 베타글루칸 원료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는 베타글루칸 원료 제조방법에 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베타글루칸 원료 제조방법은, 가) 상기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을 통해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배양하는 단계(S10); 나) 상기 배양용기 내의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95~1110℃에서 20~30분간 살균하는 단계(S20); 다) 상기 배양용기에서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탈병하는 단계(S30); 라) 상기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건조하는 단계(S40); 및 마) 상기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분쇄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상기 베타글루칸 원료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 균사체 배양 단계(S10);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배양한다. 꽃송이버섯 균사체에는 100g 당 46.2g의 베타글루칸을 포함하고 있어 100g 당 43.6g의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자실체보다 많은 량의 베타글루칸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양에 소요되는 기간이 자실체에 비하여 짧다.
나) 균사체 살균 단계(S20);
배양이 완료된 균사체를 살균하여, 배양 중 발생한 푸른곰팡이 등의 잡균을 제거한다.
살균이 완료된 후의 꽃송이버섯 균사체는 세포벽이 파괴되어 100g 당 52.2g의 베타글루칸을 함유하게 된다.
살균이 완료된 꽃송이버섯 균사체는, 배양용기에서 꺼내어 건조 및 분쇄함으로써 건강식품, 화장품, 면역 의료용 제품등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며, 청구범위의 기술적 상태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발명자가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청구범위의 기재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배양용기 본체 11 : 뚜껑 11a : 원통부
11b : 밀폐층 11c : 필터층 12 : 필터부
12a: 원통부 12b : 필터층 13 : 밀폐 캡(뚜껑)
S10 : 균사체 배양 단계 S11 : 배지 조성 단계
S12 : 배지 입병 단계 S13 : 배지 살균 단계
S14 : 배지 냉각 단계 S15 : 종균 접종 단계
S16 : 1차 배양 단계 S17 : 2차 배양 단계
S20 : 균사체 살균 단계 S30 : 균사체 탈병 단계
S40 : 균사체 건조 단계 S50 : 균사체 분쇄 단계

Claims (8)

  1. a) 곡립으로 배지를 조성하는 단계;
    b) 상기 배지를 내열성 배양용기에 입병하는 단계;
    c) 상기 배양용기 내의 배지를 살균하는 단계;
    d) 상기 배양용기 내의 배지를 냉각하는 단계;
    e) 무균실에서 상기 배양용기 내의 배지에 꽃송이버섯 종균을 접종하는 단계;
    f) 상기 배양용기를 밀폐하여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1차로 배양하는 단계; 및
    g) 상기 배양용기 내에 여과된 산소가 순환되도록 하는 필터 및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2차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는, 상기 배지에 염산, 초산, 유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수소이온농도 조정제를 첨가하고,
    상기 배지에 제1인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폴리인산나트륨, 제1인산칼륨, 제2인산칼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무기염류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전에는, 배양용기 본체;와 상기 배양용기 본체의 입구부분 둘레를 감싸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내부공간에서 배양용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밀폐층, 및 상기 원통부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배양용기 본체의 내부공간 반대 측에 위치하는 필터 층으로 이루어지는 캡(뚜껑);을 구비하는 배양용기를 준비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f)단계에서는 상기 밀폐층에 의해 배양용기를 밀폐하며,
    상기 g)단계에서는 상기 밀폐층을 파괴하여 필터층에 의해 산소가 여과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전에는, 배양용기 본체; 상기 배양용기 본체의 입구부분 둘레를 감싸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내부공간에서 배양용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필터층으로 이루어지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서 상기 배양용기 본체의 내부공간 반대측에 체결되는 밀폐 캡(뚜껑);을 구비하는 배양용기를 준비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f)단계에서는 상기 밀폐 캡(뚜껑)을 필터부에 체결하여 배양용기를 밀폐하며,
    상기 g)단계에서는 상기 밀폐 캡(뚜껑)을 제거하여 필터층에 의해 산소가 여과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
  5. 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을 통해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배양하는 단계;
    나) 상기 배양용기 내의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살균하는 단계;
    다) 상기 배양용기에서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탈병하는 단계;
    라) 상기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건조하는 단계; 및
    마) 상기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글루칸 원료 제조방법.
  6. 배양용기 본체;와 상기 배양용기 본체의 입구부분 둘레를 감싸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내부공간에서 배양용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밀폐층, 및 상기 원통부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배양용기 본체의 내부공간 반대측에 위치하는 필터층으로 이루어지는 캡(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에 사용되는 배양용기와 캡.(뚜껑)
  7. 배양용기 본체; 상기 배양용기 본체의 입구부분 둘레를 감싸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내부공간에서 배양용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필터층으로 이루어지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서 상기 배양용기 본체의 내부공간 반대측에 체결되는 밀폐 캡(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에 사용되는 배양용기.
  8. 배양용기 필터 : 상기 배양용기 내에 산소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부와 필터층( 12, 12b)
KR1020170035085A 2017-03-21 2017-03-21 특수 제작된 배양용기를 이용한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 및 베타글루칸 원료 제조방법 KR20180107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085A KR20180107420A (ko) 2017-03-21 2017-03-21 특수 제작된 배양용기를 이용한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 및 베타글루칸 원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085A KR20180107420A (ko) 2017-03-21 2017-03-21 특수 제작된 배양용기를 이용한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 및 베타글루칸 원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420A true KR20180107420A (ko) 2018-10-02

Family

ID=6386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085A KR20180107420A (ko) 2017-03-21 2017-03-21 특수 제작된 배양용기를 이용한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 및 베타글루칸 원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74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321A (ko) 2020-07-15 2022-01-24 채희원 콩 발효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321A (ko) 2020-07-15 2022-01-24 채희원 콩 발효 복합 균사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209B1 (ko) 표고버섯 배양물 제조방법
CN104137736A (zh) 一种羊肚菌菌种的培育方法
CN102864114B (zh) 一种恩拉霉素高产菌株及其制备方法和应用
TWI517784B (zh)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fungi of mushrooms
KR100823541B1 (ko) 꽃송이버섯 재배방법
CN106810325A (zh) 一种杏鲍菇的栽培方法
KR20180107420A (ko) 특수 제작된 배양용기를 이용한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 및 베타글루칸 원료 제조방법
KR101869738B1 (ko)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 상기 배양방법을 이용한 베타글루칸 원료 제조방법 및 상기 배양방법에 사용되는 배양병
KR101752393B1 (ko) 버섯 재배 방법 및 버섯 재배 기구
CN102690778B (zh) 一种制备龟裂链霉菌孢子的方法
CN114196601A (zh) 具有促生、生防及降解有机磷农药微生物菌剂及制备方法
KR102316718B1 (ko) 액체배지를 이용한 버섯류의 균사체를 포함하는 곡류 제조방법
CN108812063A (zh) 一种采用合成基质制作双孢蘑菇栽培种的方法
CN106754402A (zh) 灵芝菌种制作方法
KR101589093B1 (ko) 바나듐을 함유한 버섯재배용 배지의 제조방법
KR20160087509A (ko) 느타리버섯의 재배방법 및 배지조성물
KR101473451B1 (ko) 게르마늄성분이 포함된 참송이버섯 재배시스템.
KR100330193B1 (ko) 버섯재배 배지 및 버섯재배방법
RU2136141C1 (ru) Способ стимулирования роста посевного мицелия шампиньона
CN1295316C (zh) 香菇菌丝体营养保健酒的制备方法
KR101531399B1 (ko) 메밀 및 보리를 함유하는 배지를 이용한 버섯 균사체의 제조 방법
KR101651572B1 (ko) 복령 접종균 및 재배균 생성방법
CN1145408A (zh) 一种农药残留降解菌剂及其生产方法
KR101653708B1 (ko) 복령 노지 재배방법
KR20060077250A (ko) 버섯의 재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