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505A - 사용이 편리한 암반파쇄공구 - Google Patents

사용이 편리한 암반파쇄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505A
KR20180106505A KR1020170034904A KR20170034904A KR20180106505A KR 20180106505 A KR20180106505 A KR 20180106505A KR 1020170034904 A KR1020170034904 A KR 1020170034904A KR 20170034904 A KR20170034904 A KR 20170034904A KR 20180106505 A KR20180106505 A KR 20180106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
blade piece
contact surface
grease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4131B1 (ko
Inventor
최찬희
Original Assignee
최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찬희 filed Critical 최찬희
Priority to KR1020170034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13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37/00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 E21C37/02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by w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27/00Machines which completely free the mineral from the seam
    • E21C27/10Machines which completely free the mineral from the seam by both slitting and breaking-down
    • E21C27/14Machines which completely free the mineral from the seam by both slitting and breaking-down breaking-down effected by force or pressure applied to side of slit, e.g. by w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한 암반파쇄공구에 관한 것으로 다양하게 구성한 암반파쇄장치 선단에 결합되어 유압에 의해서 암반을 파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암반파쇄공구의 구조를 특수하게 형성하고 이를 제공함으로써 암반의 파쇄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이 편리한 암반파쇄공구는 기본적으로 다양하게 구성되는 암반파쇄장치(10) 선단에 결합되어 유압에 의해서 암반(1)을 파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절개된 날개편(110) 및 이의 중앙에 끼워지는 장대쐐기(120)로 구성되는 암반파쇄공구(100)에 있어서,
상기 장대쐐기(120)의 외부 접촉면(121)과 접촉되는 날개편(110)의 내부 접촉면(111)에는 내측으로 요입부(111a)를 형성하여 접촉면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장대쐐기(120)에는 상기 날개편(110)의 요입부(111a)로 암반파쇄장치(10) 외부에 별도 구성된 그리스공급장치(200)로 부터 그리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그리스공급홀(122)을 형성하여서,
암반파쇄장치(10)로 암반파쇄시 그리스공급홀(122)을 통해 날개편(110)의 내부 접촉면 내측으로 형성한 요입부(111a)로 그리스를 강력한 힘으로 지속적으로 공급 유지시켜 그리스압에 의해 날개편(100)을 밀쳐내려는 힘의 발생으로 마찰력을 극소화시켜줌으로서 장대쐐기(120)가 날개편(110)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면서 암반(1)이 파쇄되도록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이 편리한 암반파쇄공구{Easy-to-use rock crushing tool}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한 암반파쇄공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하게 구성한 암반파쇄장치 선단에 결합되어 유압에 의해서 암반을 파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암반파쇄공구의 구조를 특수하게 형성하여 암반의 파쇄가 용이하도록 한 사용이 편리한 암반파쇄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반의 절개를 위해서는 천공기를 통하여 절개하고자 하는 암반면에 다수의 발파공(천공홀)을 천공하고, 그 내측에 폭약을 장입한 후 폭발력을 증가시키도록 모래등을 통하여 충전하며, 폭약에 연결된 뇌관을 동시에 또는 일정간격으로 폭발시켜 암반면을 절개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폭약에 의해 암반면의 절개공법은 폭발에 의한 진동과 소음 및 분진 등에 의해 많은 민원을 야기시킴은 물론 주변 건물에 피해를 주거나 지반을 약하게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암기 또는 드릴을 이용하여 암반(1)을 천공한 후 이 천공홀(1a)에 좌,우로 절개된 한쌍의 날개편(21) 및 이의 중앙에 끼워지는 장대쐐기(22)로 구성되는 암반파쇄공구(20)를 삽입하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암반파쇄장치에 구비되는 유압실린더의 유압을 이용하여 장대쐐기(22)에 압력을 가해 한쌍의 날개편(21)을 좌,우로 벌려 암반(1)을 파쇄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암반파쇄공구(20)가 비교적 소형 경량으로 사용이 용이한 점은 있으나,
이는 기본적으로 장대쐐기(22)에 압력을 가해 장대쐐기(22)가 날개편(21)내부로 깊숙히 삽입되도록 하면서 날개편(21)을 억지로 벌려서 암반(1)을 파쇄하는 것이라서,
장대쐐기(22)가 전진함에 따라 이의 외부 접촉면(22a)과 날개편(21)의 내부 접촉면(21a)에는 엄청난 마찰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접촉면(21a)(22a)간의 마찰력에 의해 암반파쇄공구(20)가 쉽게 마모되어 사용수명이 줄어들고, 무엇보다도 강력한 마찰력에 의해 더 높은 유압의 힘이 소모되며,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고, 때에 따라서는 유압의 힘이 부족하여 암반(1)을 파쇄하지 못하게 되는 것은 물론, 암반파쇄공구(20)가 천공홀(1a)에 너무 꽉끼여서 빼내기도 수월하지 않는 등의 여러가지 복합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양하게 구성한 암반파쇄장치 선단에 결합되어 유압에 의해서 암반을 파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암반파쇄공구의 구조를 특수하게 형성하고 이를 제공함으로써 암반의 파쇄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이 편리한 암반파쇄공구는 다양하게 구성되는 암반파쇄장치 선단에 결합되어 유압에 의해서 암반을 파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절개된 날개편 및 이의 중앙에 끼워지는 장대쐐기로 구성되는 암반파쇄공구에 있어서,
상기 장대쐐기의 외부 접촉면과 접촉되는 날개편의 내부 접촉면에는 내측으로 요입부를 형성하여 접촉면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장대쐐기에는 상기 날개편의 요입부로 암반파쇄장치 외부에 별도 구성된 그리스공급장치로 부터 그리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그리스공급홀을 형성하여서,
암반파쇄장치로 암반파쇄시 그리스공급홀을 통해 날개편의 내부 접촉면 내측으로 형성한 요입부로 그리스를 강력한 힘으로 지속적으로 공급 유지시켜 그리스압에 의해 날개편을 밀쳐내려는 힘의 발생으로 마찰력을 극소화시켜줌으로써 장대쐐기가 날개편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면서 암반이 파쇄되도록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사용이 편리한 암반파쇄공구를 사용하게 되면 암반파쇄시 그리스공급홀을 통해 날개편의 내부 접촉면 내측으로 형성한 요입부로 그리스를 강력한 힘으로 지속적으로 공급 유지시켜 그리스압에 의해 날개편을 밀쳐내려는 힘의 발생으로 마찰력을 극소화시켜줌으로써 장대쐐기가 날개편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면서 암반이 파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장대쐐기와 날개편의 접촉면간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서 공구가 쉽게 마모되어 사용수명이 줄어 들거나 하는 문제점이 전혀 없고, 무엇보다도 강력한 마찰력에 의해 더 높은 유압의 힘이 필요하거나 하는 문제점도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은 물론,
작업시간도 획기적을 단축시켜 줄 수 도 있으며,
유압의 힘이 부족하여 암반을 파쇄하지 못하게 되는 것은 물론, 암반파쇄공구가 천공홀에 너무 꽉끼여서 빼내기도 수월하지 않게되는 등의 여러가지 복합적인 문제점이 발생할 염려가 전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날개편을 3개로 분할한 경우에는 날개편이 3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암반을 파쇄할 수 있으므로 천공홀의 위치에 따라 암반을 상,하 또는 좌,우로 벌려 파쇄하는 방향이 달라지더라도 날개편을 회전시켜줄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좀더 편리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어떠한 사용조건에도 적절히 대응해가면서 안심하고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암반파쇄기의 구성상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 암반파쇄공구의 일 구성상태도로서,
도 2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조립상태 단면도.
도 4는 사용상태도.
도 5 본 발명 암반파쇄공구의 다른 구성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일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이 편리한 암반파쇄공구(100)는 다양하게 구성되는 암반파쇄장치(10) 선단에 결합되어 유압에 의해서 암반(1)을 파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절개된 날개편(110) 및 이의 중앙에 끼워지는 장대쐐기(120)로 구성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이 부분은 상기 장대쐐기(120)의 외부 접촉면(121)과 접촉되는 날개편(110)의 내부 접촉면(111)에는 내측으로 요입부(111a)를 형성하여 접촉면을 최소화 시킴과 동시에,
상기 장대쐐기(120)에는 상기 날개편(110)의 요입부(111a)로 암반파쇄장치(10) 외부에 별도 구성된 그리스공급장치(200)로 부터 그리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그리스공급홀(122)을 형성하여서,
상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암반파쇄장치(10)로 암반파쇄시 그리스공급홀(122)을 통해 날개편(110)의 내부 접촉면 내측으로 형성한 요입부(111a)로 그리스를 강력한 힘으로 지속적으로 공급 유지시켜 그리스압에 의해 날개편을 밀쳐내려는 힘의 발생으로 마찰력을 극소화시켜줌으로써 마찰력의 극소화로 장대쐐기(120)가 날개편(110)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면서 암반(1)이 파쇄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여기서 상기 암반파쇄공구(100)는, 날개편(110)을 두개로 분할하여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날개편(110)을 3개로 분할하여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 그 이상도 사용할 수 도 있는데, 상기 날개편(110)이 분할됨에 따라 장대쐐기(120)의 형상도 이에 사용가능한 형상으로 당연히 변형되어야 하므로 이의 구체적인 형상은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미설명 부호 (112)는 밴드결합홈이고, (113)는 탄성밴드로서 밴드결합홈(112)에 삽입되어 날개편(110)등을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역활을 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암반파쇄공구(100)를 사용하여 암반파쇄작업을 수행하는 일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암반파쇄공구(100)는 암반파쇄장치(10)에 결합하여 사용가능하다 즉, 별도 제작한 다양한 형태의 암반파쇄장치(10)는 물론, 천공기나, 굴삭기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용이 편리한 암반파쇄공구(10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라면 특별히 구애됨이 없다.
먼저 본 발명의 사용이 편리한 암반파쇄공구(100)를 다양한 형태의 암반파쇄장치(10)에 연계설치한다음, 이 암반파쇄공구(100)를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암반(1)에 천공한 천공홀(1a) 삽입시킨다.
그런 다음에는 암반파쇄장치(10)를 구동함과 동시에 그리스공급장치(200)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장대쐐기(120)가 암반파쇄장치(100)로 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가압되어 날개편(110) 내부로 깊숙히 삽입되어진다.
이때, 상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장대쐐기(120)의 외부 접촉면(121)과 접촉되는 날개편(110)의 내부 접촉면(111)에는 내측으로 요입부(111a)를 형성하여서 접촉면(111)이 이미 최소화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고,
더욱 특징적인 것은 상기 그리스공급장치(200)로 부터 공급되는 그리스가 장대쐐기(120)에 형성된 그리스공급홀(122)을 통해 날개편(110)의 내부 접촉면(111) 내측으로 형성한 요입부(111a)로 강력한 힘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공급압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지므로 그리스압에 의해 날개편(110)을 밀쳐내려는 힘의 발생으로 상기 장대쐐기(120)의 외부 접촉면(121)과 접촉되는 날개편(110)의 내부 접촉면(111)의 마찰력의 극소화된다.
따라서, 장대쐐기(120)가 날개편(110)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면서 암반(1)이 파쇄된다.
여기서, 날개편(110)이 2개로 분할된 경우에는 천공홀(1a)의 위치에 따라 암반(1)을 상,하 또는 좌,우로 벌려 파쇄하여 주어야 하므로 2개의 날개편(110)을 상,하 또는 좌,우로 위치되도록 회전시켜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편(110)을 3개로 분할한 경우에는 날개편(110)이 3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암반(1)을 파쇄할 수 있으므로 천공홀(1a)의 위치에 따라 암반(1)을 상,하 또는 좌,우로 벌려 파쇄하는 방향이 달라지더라도 날개편(110)을 회전시켜줄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좀더 편리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암반파쇄공구(100)를 사용하게 되면 장대쐐기(120)와 날개편(110)의 접촉면(111)(121)간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서 공구가 쉽게 마모되어 사용수명이 줄어 들거나 하는 문제점이 전혀 없고, 무엇보다도 강력한 마찰력에 의해 더 높은 유압의 힘이 필요하거나 하는 문제점도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은 물론,
작업시간도 획기적을 단축시켜 줄 수 도 있으며,
유압의 힘이 부족하여 암반을 파쇄하지 못하게 되는 것은 물론, 암반파쇄공구(100)가 천공홀(1a)에 너무 꽉끼여서 빼내기도 수월하지 않게되는 등의 여러가지 복합적인 문제점이 발생할 염려가 전혀 없기 때문에 안심하고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암반 1a:천공홀
10:암반파쇄장치 100:암반파쇄공구
110:날개편 111:접촉면
112:밴드결합홈 113:탄성밴드
111a:요입부 120:장대쐐기
121:접촉면 122:그리스공급홀
200:그리스공급장치

Claims (3)

  1. 다양하게 구성되는 암반파쇄장치(10) 선단에 결합되어 유압에 의해서 암반(1)을 파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절개된 날개편(110) 및 이의 중앙에 끼워지는 장대쐐기(120)로 구성되는 암반파쇄공구(100)에 있어서,
    상기 장대쐐기(120)의 외부 접촉면(121)과 접촉되는 날개편(110)의 내부 접촉면(111)에는 내측으로 요입부(111a)를 형성하여 접촉면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장대쐐기(120)에는 상기 날개편(110)의 요입부(111a)로 암반파쇄장치(10) 외부에 별도 구성된 그리스공급장치(200)로 부터 그리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그리스공급홀(122)을 형성하여서,
    암반파쇄장치(10)로 암반파쇄시 그리스공급홀(122)을 통해 날개편(110)의 내부 접촉면 내측으로 형성한 요입부(111a)로 그리스를 강력한 힘으로 지속적으로 공급 유지시켜 그리스압에 의해 날개편(110)을 밀쳐내려는 힘의 발생으로 마찰력을 극소화시켜줌으로서 장대쐐기(120)가 날개편(110)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면서 암반(1)이 파쇄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암반파쇄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반파쇄공구(100)는,
    날개편(110)이 두개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암반파쇄공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반파쇄공구(100)는,
    날개편(110)이 3개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암반파쇄공구.
KR1020170034904A 2017-03-20 2017-03-20 사용이 편리한 암반파쇄공구 KR102044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904A KR102044131B1 (ko) 2017-03-20 2017-03-20 사용이 편리한 암반파쇄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904A KR102044131B1 (ko) 2017-03-20 2017-03-20 사용이 편리한 암반파쇄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505A true KR20180106505A (ko) 2018-10-01
KR102044131B1 KR102044131B1 (ko) 2019-11-13

Family

ID=6387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904A KR102044131B1 (ko) 2017-03-20 2017-03-20 사용이 편리한 암반파쇄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1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8091U (ja) * 1984-05-02 1985-11-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岩石破砕機
JPS62114994U (ko) * 1986-01-08 1987-07-22
JPH1018753A (ja) * 1996-07-01 1998-01-20 Yoshiaki Inada 亀裂方向制御型油圧岩盤破砕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8091U (ja) * 1984-05-02 1985-11-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岩石破砕機
JPS62114994U (ko) * 1986-01-08 1987-07-22
JPH1018753A (ja) * 1996-07-01 1998-01-20 Yoshiaki Inada 亀裂方向制御型油圧岩盤破砕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131B1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4729B1 (en) Excavation tool
US7757778B2 (en) Ripper boot
JP4671964B2 (ja) 翼付きの掘削歯
PE20121279A1 (es) Barrenas de perforacion impregnadas con escariadores integrados
JP2016098558A (ja) 自由面形成工法
KR101038197B1 (ko) 치즐 고정구조를 갖는 유압브레이커
KR20180106505A (ko) 사용이 편리한 암반파쇄공구
KR20150014276A (ko) 천공비트 어셈블리
RU2534783C1 (ru) Твердосплавная вставка
KR101701892B1 (ko) 터널 굴착용 진동 할암장치를 이용한 터널 굴착방법
JP2018001690A (ja) 拡径孔部の穿孔装置
KR20150004410U (ko) 해머용 치즐고정장치
JP2021510779A (ja) トンネルボーリングマシン用の切削工具およびトンネルボーリングマシン
US1002310A (en) Safety-chuck.
KR20090028201A (ko) 암반에 발달한 불연속면과 링크드릴 방식에 의해 설치된자유면을 이용한 암반굴착방법
KR102166518B1 (ko) 수압을 이용한 무진동 무소음 암반파쇄기
KR101944537B1 (ko) 암반 보링절삭기
US10851593B2 (en) Drilling tool
CN106703111B (zh) 用于挖掘设备的耐磨组件的连接器及该耐磨组件
KR20220091300A (ko) 무진동 무소음 유압식 암반절개기
RU171915U1 (ru) Режущая головка ледобура
RU2635669C1 (ru) Породоразруша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KR20150094296A (ko) 내.마모성이 강화된 치즐
CN204458913U (zh) 具有过载保护功能的采煤机牵引离合装置
JP6468024B2 (ja) 掘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74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907

Effective date: 201907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