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376A -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376A
KR20180106376A KR1020170034597A KR20170034597A KR20180106376A KR 20180106376 A KR20180106376 A KR 20180106376A KR 1020170034597 A KR1020170034597 A KR 1020170034597A KR 20170034597 A KR20170034597 A KR 20170034597A KR 20180106376 A KR20180106376 A KR 20180106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foil
glass
insulating material
glass tissue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6339B1 (ko
Inventor
김명희
강길호
이종훈
지승욱
박건표
박인성
배성재
하혜민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034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339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는 글라스 티슈(Glass Tissue)와, 상기 글라스 티슈(Glass Tissue)의 일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된 알루미늄 포일(Al Foil)와, 상기 알루미늄 포일(Al Foil)의 일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된 저밀도 글라스 스크림(Glass Scrim)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SKIN MATERIAL OF HEAT-INSULATING MATERIAL FOR BUILDING AND COMPOSITE HEAT-INSULATING MATERI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글라스 스크림, 알루미늄 포일 및 글라스 티슈의 적층구조를 포함하여, 부착성과 준불연 성능을 동시에 만족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와, 상기 표면재가 단열재의 양측에 부탁된 복합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열재는 건축물의 벽면에 부착되어 열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외부 온도 변화가 건축물의 내부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켜 보다 적은 에너지로 일정한 실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건축용 단열재 중에서도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재질의 벽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단열재에 있어서, 단열재의 표면재와 콘크리트는 모르타르 재질의 벽체가 잘 부착되지 않아 틈새가 벌어지는 등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진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면재를 단열재에 부착하여 치수안정성, 부착성 및 취급성을 개선하고 있으나, 종래기술에 따른 면재는 타설 부착강도가 떨어지고, 준불연 성능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타설 부착성 강화와 준불연 성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는 글라스 티슈(Glass Tissue)와, 상기 글라스 티슈(Glass Tissue)의 일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된 알루미늄 포일(Al Foil)와, 상기 알루미늄 포일(Al Foil)의 일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된 저밀도 글라스 스크림(Glass Scrim)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면재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포일의 두께는 10~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재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티슈의 평량범위는 60~100g/m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는 글라스 티슈(Glass Tissue)와, 상기 글라스 티슈(Glass Tissue)의 일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된 알루미늄 포일(Al Foil)와, 상기 알루미늄 포일(Al Foil)의 일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된 저평량 글라스 티슈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면재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포일의 두께는 10~40㎛로 이루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재에 있어서, 상기 저평량 글라스 티슈의 평량범위는 20~50g/m2로 이루어지고, 상기 글라스 티슈의 평량범위는 70~90g/m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일면에 결합된 제1 표면재 및 상기 단열재의 타면에 결합된 제2 표면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재는 상기 단열재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 글라스 티슈와, 상기 제1 글라스 티슈에 적층되도록 결합된 제1 알루미늄 포일과, 상기 제1 알루미늄 포일의 일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된 제1 저밀도 글라스 스크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면재는 상기 단열재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2 글라스 티슈와, 상기 제2 글라스 티슈에 적층되도록 결합된 제2 알루미늄 포일과, 상기 제2 알루미늄 포일의 일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된 제2 저밀도 글라스 스크림을 포함한다.
또한, 건축용 복합 단열재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1 및 제2 알루미늄 포일의 두께는 10~40㎛ 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및 제2 글라스 티슈의 평량범위는 60~100g/m2 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설 부착성 강화와 준불연 성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면재가 단열재에 적용된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면재(100)는 저밀도 글라스 스크림(Glass Scrim)(110), 알루미늄 포일(Al Foil)(120) 및 글라스 티슈(Glass Tissue)(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알루미늄 포일(120)은 글라스 티슈(130)의 일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적층방향에 대하여 알루미늄 포일(120)의 두께는 10~4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10㎛이하이면 복사열 차단 효과가 떨어져서 난연성에 도움이 되지 않고, 40㎛이하이면 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을 고려한 것이다.
그리고, 저밀도 글라스 스크림(110)은 알루미늄 포일(120)의 일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글라스 티슈(Glass Tissue)(130), 알루미늄 포일(Al Foil)(120) 및 저밀도 글라스 스크림(11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또한, 저밀도 글라스 스크림(110)이 알루미늄 포일(120)에 적층되도록 결합됨에 따라, 저밀도 글라스 스크림(110)이 복사열에 노출될 경우 알루미늄 포일(120)에 의해 복사열이 차단된다. 또한, 글라스 스크림(110)을 통해 열반사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저밀도 글라스 스크림(110)은 직조밀도를 조절하여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글라스 티슈(Glass Tissue)(130)는 단열재에 부착하여 단열재와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알루미늄 포일(120)의 두께가 10~40㎛일 경우, 글라스 티슈(130)의 평량범위는 60~100g/m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면재가 단열재에 적용된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건축용 복합 단열재(1000)는 단열재(1100)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제1 표면재(1200)가 결합되고, 타측으로 제2 표면재(130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표면재(1200)는 제1 저밀도 글라스 스크림(1210), 제1 알루미늄 포일(1220) 및 제1 글라스 티슈(1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단열재(1100)의 일면에 제1 글라스 티슈(1230)가 결합되고, 제1 글라스 티슈(1230)에 제1 알루미늄 포일(1220)이 적층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알루미늄 포일(1220)에 제1 저밀도 글라스 스크림(1210)이 적층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제1 글라스 티슈(1230)는 단열재(1100)에 결합됨에 따라, 제1 표면재(1200)는 단열재(1100)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된다.
그리고 단열재(1100)는 열경화성 발포 단열재로 채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표면재(1300)는 제2 저밀도 글라스 스크림(1310), 제2 알루미늄 포일(1320) 및 제2 글라스 티슈(1330)를 포함한다.
또한, 단열재(1100)의 타면에 제2 글라스 티슈(1330)가 결합되고, 제2 글라스 티슈(1330)에 제2 알루미늄 포일(1320)이 적층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알루미늄 포일(1320)에 제2 저밀도 글라스 스크림(1310)이 적층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알루미늄 포일(1220, 1320)의 두께는 10~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및 제2 글라스 티슈(1230, 1330)의 평량범위는 60~100g/m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글라스 티슈(1330)는 단열재(1100)에 결합됨에 따라, 제2 표면재(1300)는 단열재(1100)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1000)는 단열재(1100)의 양측으로 각각 제1 표면재(1200) 및 제2 표면재(1300)가 부착되어 치수안정성 및 취급성이 용이할 뿐만 하니라, 부착성이 향상되고, 준불연 성능이 향상되어 화재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면재(200)는 저평량 글라스 티슈(210), 알루미늄 포일(Al Foil)(220) 및 글라스 티슈(Glass Tissue)(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알루미늄 포일(220)은 글라스 티슈(230)의 일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저평량 글라스 티슈(210)은 알루미늄 포일(220)의 일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글라스 티슈(Glass Tissue)(230), 알루미늄 포일(Al Foil)(220) 및 저평량 글라스 티슈(2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그리고 알루미늄 포일(220)의 두께는 10~4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평량 글라스 티슈(210)의 평량범위가 20~50g/m2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글라스 티슈(230)의 평량범위는 70~90g/m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저평량 글라스 티슈(210)의 평량범위는 20~50g/m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평량범위가 20g/m2 이하인 경우 타설 및 몰탈 부착강도가 떨어지고, 50g/m2이상인 경우 글라스 티슈의 유기바인더 함량이 높아지게 되고, 알루미늄 층의 복사열 효과가 저하되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표면재 110: 스크림
120: 포일 130: 글라스 티슈
200: 표면재 210: 저평량 글라스 티슈
220: 포일 230: 글라스 티슈
1000: 건축용 복합 단열재 1100: 단열재
1200: 제1 표면재 1210: 제1 저밀도 글라스 스크림
1220: 제1 알루미늄 포일 1230: 제1 글라스 티슈
1300: 제2 표면재 1310: 제2 저밀도 글라스 스크림
1320: 제2 알루미늄 포일 1330: 제2 글라스 티슈

Claims (8)

  1. 글라스 티슈(Glass Tissue);
    상기 글라스 티슈(Glass Tissue)의 일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된 알루미늄 포일(Al Foil); 및
    상기 알루미늄 포일(Al Foil)의 일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된 저밀도 글라스 스크림(Glass Scrim)을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포일의 두께는 10~40㎛로 이루어진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티슈의 평량범위는 60~100g/m2로 이루어진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4. 글라스 티슈;
    상기 글라스 티슈의 일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된 알루미늄 포일; 및
    상기 알루미늄 포일의 일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된 저평량 글라스 티슈를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포일의 두께는 10~40㎛로 이루어진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평량 글라스 티슈의 평량범위는 20~50g/m2로 이루어지고,
    상기 글라스 티슈의 평량범위는 70~90g/m2로 이루어진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7.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일면에 결합된 제1 표면재; 및
    상기 단열재의 타면에 결합된 제2 표면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재는
    상기 단열재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 글라스 티슈와, 상기 제1 글라스 티슈에 적층되도록 결합된 제1 알루미늄 포일과, 상기 제1 알루미늄 포일의 일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된 제1 저밀도 글라스 스크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면재는
    상기 단열재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2 글라스 티슈와, 상기 제2 글라스 티슈에 적층되도록 결합된 제2 알루미늄 포일과, 상기 제2 알루미늄 포일의 일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된 제2 저밀도 글라스 스크림을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알루미늄 포일의 두께는 10~40㎛ 로 이루어진
    상기 제2 및 제2 글라스 티슈의 평량범위는 60~100g/m2 로 이루어진
    건축용 복합 단열재.
KR1020170034597A 2017-03-20 2017-03-20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KR102126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597A KR102126339B1 (ko) 2017-03-20 2017-03-20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597A KR102126339B1 (ko) 2017-03-20 2017-03-20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827A Division KR102239094B1 (ko) 2020-06-04 2020-06-04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376A true KR20180106376A (ko) 2018-10-01
KR102126339B1 KR102126339B1 (ko) 2020-06-24

Family

ID=63877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597A KR102126339B1 (ko) 2017-03-20 2017-03-20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3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6708A1 (en) * 2019-10-29 2021-05-06 Corning Incorporated Glass laminate article
WO2022232003A1 (en) * 2021-04-28 2022-11-03 Corning Incorporated Glass laminate art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1712A1 (en) * 1997-10-29 1999-05-06 Process Plastics Limited Building panel
KR101171711B1 (ko) * 2011-11-17 2012-08-10 신용순 불연 단열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06013A (ko) * 2014-03-10 2015-09-21 (주)엘지하우시스 3층 샌드위치 복합패널
KR20160017724A (ko) * 2014-08-01 2016-02-17 (주)엘지하우시스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단열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1712A1 (en) * 1997-10-29 1999-05-06 Process Plastics Limited Building panel
KR101171711B1 (ko) * 2011-11-17 2012-08-10 신용순 불연 단열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06013A (ko) * 2014-03-10 2015-09-21 (주)엘지하우시스 3층 샌드위치 복합패널
KR20160017724A (ko) * 2014-08-01 2016-02-17 (주)엘지하우시스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단열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6708A1 (en) * 2019-10-29 2021-05-06 Corning Incorporated Glass laminate article
WO2022232003A1 (en) * 2021-04-28 2022-11-03 Corning Incorporated Glass laminate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339B1 (ko)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239B1 (ko) 다층 박막 진공단열재
US8011151B2 (en) Multi-layer building insulation and wallboard sheet with multi-layer insulation
PT1815077E (pt) Painel isolante térmico
KR20200023125A (ko) 화염 확산 방지기능이 향상된 세라믹울 내장형 복합단열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화염 확산 방지기능이 향상된 세라믹울 내장형 복합단열재
JP4972711B2 (ja) ハニカムパネル積層体及びボックス状構造物
JP2007146400A (ja) 建築物の外断熱壁構造
KR20180106376A (ko)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CN202787532U (zh) 内墙保温隔热复合气泡膜
CN207657308U (zh) 一种轻质多功能复合材料板
JP2004009726A (ja) 吸湿吸音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WO2023098196A1 (zh) 一种变电站用保温吸隔声围护墙体
KR101975801B1 (ko) 복층 구조를 가지는 건축용 발포 알루미늄 패널
JP2006233681A (ja) 芯材及び木製防火扉並びに木製防火扉の製造方法
KR102239094B1 (ko)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GB2478331A (en) Thermal and acoustic insulation tile
CN202866015U (zh) 内墙保温隔热复合材料
JP6987504B2 (ja) 真空断熱材を収容する無機繊維材を用いた高密度断熱パネル
CN109025132A (zh) 一种安装式外墙保温装饰一体化防火阻燃载体层复合板
KR101105393B1 (ko) 건축물용 고효율 단열재
JP2010013839A (ja) 断熱壁
JP7425435B2 (ja) 積層体
CN108237752A (zh) 建筑用阻燃保温材料
KR20180050078A (ko) 단열재 측변 화염 침투 방지용 방염테이프
JP5530871B2 (ja) 複合耐火目地材
JP6770070B2 (ja) 断熱体を含む多層層状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