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356A -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356A
KR20180106356A KR1020170034549A KR20170034549A KR20180106356A KR 20180106356 A KR20180106356 A KR 20180106356A KR 1020170034549 A KR1020170034549 A KR 1020170034549A KR 20170034549 A KR20170034549 A KR 20170034549A KR 20180106356 A KR20180106356 A KR 20180106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tton
locking
cas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6281B1 (ko
Inventor
정인용
김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Priority to KR1020170034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281B1/ko
Priority to PCT/KR2018/001986 priority patent/WO2018174412A1/ko
Publication of KR20180106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7Snap-o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2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with ratchet effect between relatively rota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메인 케이싱 유닛, 버튼 관련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버튼 케이싱 유닛, 메인 케이싱 유닛을 개방하기 위한 원터치 버튼으로 사용되는 버튼 유닛, 버튼 유닛의 원터치 작동과 연동되어 메인 케이싱 유닛에 대한 버튼 케이싱 유닛의 착탈을 가능케 하는 케이싱 로킹 유닛, 그리고 버튼 유닛의 상하 이동 위치를 제한하여 케이싱 로킹 유닛에 대해 버튼 유닛의 연동시키는 버튼 단속 유닛을 주요 구성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의 화장을 위한 내용물이 내용물 용기의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아 케이스 내외부의 오염이 방지되며, 원터치 개방으로 사용적인 편리성을 더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ONE TOUCH COSMETIC DISPENSER}
본 발명은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내부에 있는 내용물을 원터치 개방하여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용 콤팩트 케이스는 내용물이 있는 내용물 본체가 하부에 배치되며, 내용물 본체를 덮는 내부 덮개가 내용물 용기 상에 배치되어 내용물의 누출을 1차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용물 본체의 상부에는 내부 덮개와 내용물 용기의 상부를 외부 덮개가 위치하며, 외부 덮개는 내용물 본체에 힌지 결합되거나 암수 결합되어 내용물을 2차적으로 차단한다.
이러한 종래의 화장용 콤팩트 케이스는, 내용물 본체 상에 있는 외부 덮개를 열게 되면 종종 내용물이 새어 나와 있는 경우를 발견할 수 있다. 즉 내용물 본체 안에 있는 내용물이 내용물 본체와 내부 덮개의 틈새 사이로 누출된 경우를 볼 수 있었다. 이처럼 내용물 본체의 외부로 유출된 내용물은 내부 덮개와 외부 덮개를 오염시켰다.
이에 따라 내용물을 찍어 바르는데 사용되는 브러쉬나 스폰지 혹은 퍼프가 내용물에 의해 오염되어 사용이 불편하였으며, 내용물의 누출로 인해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내용물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의 화장품 케이스는 내용물 사용하기 위해서 내용물 본체에 대해 외부 덮개를 열기 위해서는 외부 덮개의 일단에 있는 작은 버튼을 누르고 한쪽으로 회전시켜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었으며, 암수 결합되어 있는 경우는 상호 나사 체결되어 있으므로 돌려서 개방해야 했다. 이러한 기존의 화장품 케이스는 열고 닫는데 있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으며, 열고 닫을 시에 부주의로 인해 내용물이 누출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닫힌 상태에서 화장을 위한 내용물이 내용물 용기의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아 케이스 내외부의 오염이 방지되며, 원터치 개방으로 사용적인 편리성을 더할 수 있는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메인 케이싱 유닛; 상기 메인 케이싱 유닛 상에 연결 및 연결 해제 가능하게 탑재되며, 버튼 관련 원터치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버튼 케이싱 유닛;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탑재되며, 상기 메인 케이싱 유닛을 개방하기 위한 원터치 버튼으로 사용되는 버튼 유닛;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 상에 탑재되며 상기 버튼 유닛의 원터치 작동과 연동되어 상기 메인 케이싱 유닛에 대한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의 착탈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싱 로킹 유닛; 및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에 탑재되며, 상기 버튼 유닛의 원터치 작동에 연동되어 상기 케이싱 로킹 유닛의 상기 메인 케이싱 유닛에 대한 걸림 및 걸림 해제 작용을 위한 상기 버튼 유닛의 상하 이동된 위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버튼 단속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 단속 유닛은 상기 버튼 유닛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버튼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버튼 유닛이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의 하방으로 이동되어 위치 고정되는 위치 고정 및 상기 위치 고정을 해제시키는 고정 해제를 상기 버튼 유닛의 가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유닛은 상부로 개방된 공간이 상하 방향으로 마련되며, 상부 위치에 걸림을 위한 걸림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은 상기 메인 케이싱 유닛의 상부를 둘러싸며, 상하 방향을 따라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개구가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 개구 사이에 장착판이 마련되며, 상기 장착판의 중앙부에 상하 안내를 위한 원통 안내부가 마련되며, 상기 원통 안내부의 상부에 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버튼 유닛은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부 내벽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걸림 접촉부들이 마련되며, 상기 케이싱 로킹 유닛은 상기 버튼 유닛의 안쪽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장착판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가 마련되며, 상기 회전부에 탄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버튼 유닛의 하단으로 배치되며 상기 메인 케이싱 유닛의 걸림 돌기에 걸리는 로킹부를 구비하며, 상기 버튼 유닛의 걸림 접촉부들에 의해 상기 로킹부가 압박되어 상기 로킹부가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버튼 유닛이 가압되면 상기 버튼 단속 유닛의 상기 고정 해제 의해 상기 버튼 유닛이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버튼 유닛의 걸림 접촉부들에 의한 상기 로킹부의 압박이 해제되며, 상기 로킹부가 상기 걸림 돌기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의 내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의 장착판 상에는 상기 케이싱 로킹 유닛의 회전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받침부가 한 쌍씩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케이싱 로킹 유닛은 상기 회전 받침부에 각각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장착판에는 상기 로킹부가 상하 이동 가능하며 상기 회전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유동 관통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버튼 단속 유닛은,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과 상기 버튼 유닛을 연결하며, 상기 버튼 유닛과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버튼 유닛의 중앙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원통 안내부의 내벽부를 따라 상하 이동이 안내되도록 가이드 돌기가 외벽부에 마련된 고정 기어; 상기 고정 기어에 회전 및 상하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버튼 유닛의 위치 고정을 위한 로킹 돌기가 외벽 하부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며, 상기 고정 기어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로킹 돌기가 상기 원통 안내부의 내벽 하단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회전 기어; 상기 원통 안내부의 내벽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로킹 레일; 및 상기 장착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 기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버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기어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 기어의 로킹 돌기에 접촉 가능하며, 상기 고정 기어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 기어를 일정 각도씩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회전 안내 기어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로킹 레일의 각각의 하단부에는 상기 로킹 돌기가 접촉되어 상기 버튼 유닛에 대한 상기 위치 고정을 구현하며, 반대로 상기 로킹 돌기의 접촉이 이탈되어 상기 고정 해제가 가능한 일정 방향의 경사 곡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버튼 유닛의 가압에 의해 상기 회전 기어가 상기 원통 안내부의 하부로 이동될 때, 상기 버튼 유닛의 상기 위치 고정이 구현되도록 상기 회전 기어가 회전되면서 상기 로킹 돌기가 상기 가이드 로킹 레일의 경사 곡면부의 저면부에 접촉 지지됨으로써 상기 버튼 유닛의 걸림 접촉부들에 의한 상기 로킹부의 압박이 구현되어 상기 로킹부가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며, 상기 버튼 유닛이 위치 고정된 후 상기 버튼 유닛의 가압에 의해 상기 회전 기어가 회전되면서 상기 원통 안내부의 더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로킹 돌기가 상기 경사 곡면부의 저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로킹 레일 사이로 위치하고 상기 고정 해제가 구현됨으로써 상기 버튼 유닛은 상기 버튼 스프링에 의해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의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버튼 유닛의 걸림 접촉부들에 의한 상기 로킹부의 압박이 해제되어 상기 로킹부가 상기 걸림 돌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장착판의 하부에서 상기 장착판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기어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봉을 구비하는 로킹 안내 유닛; 및 상기 로킹 안내 유닛 상에 위치하여 상기 장착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안내봉이 관통하여 위치하는 안내 홀이 마련되며, 상기 원통 안내부의 하부에서 상기 버튼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지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유닛의 저면부에는 상기 고정 기어가 끼워져 연결되는 연결 원통부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 기어는 상부가 상기 연결 원통부에 끼워져 위치 고정되며 하부가 상기 가이드 로킹 레일에 접촉되도록 상부보다 확경되어 구성되며, 상기 회전 기어는 상기 고정 기어의 상부와 하부 내벽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 기어의 상단부에 끼워져 위치 고정되는 고정 후크부와 상기 고정 기어에 상하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버튼 단속 유닛은, 상기 버튼 유닛과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버튼 유닛의 중앙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원통 안내부의 내벽부를 따라 상하 이동이 안내되도록 상기 원통 안내부에 삽입된 이동 실린더; 상기 이동 실린더와 상가 원통 안내부에 연결되며, 상기 원통 안내부의 측벽부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로킹 링크; 및 상기 장착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상하 실린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버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 안내부의 측벽부에는 상기 로킹 링크를 상하로 안내하기 위한 상하 레일과 상기 상하 레일의 하단부에 굴절 연결되어 상기 로킹 링크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로킹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로킹 링크는 상기 이동 실린더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상부 부재와 상기 상하 레일에 연결되는 로킹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케이싱 유닛은 지지를 위한 지지턱이 상부에 마련되되,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은 상기 지지턱에 의해 위치 제한되도록 상기 지지턱에 대응하여 환형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케이싱 유닛의 공간에 안치되도록 구성되며, 화장을 위한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부 케이싱 유닛; 상기 내부 케이싱 유닛의 내용물을 보호하도록 상기 내부 케이싱 유닛의 상단부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며, 볼록한 손잡이 편을 갖는 커버링 유닛; 및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의 저면부에 후크 구조로 장착되기 위한 후크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케이싱 유닛의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링 유닛의 바로 위에 배치 가능한 데코 패널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의 장착판 상에는 상기 데코 패널 유닛의 후크부에 대응하는 후크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후크부를 수용하여 보호 가능한 볼록한 후크 덮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닫힌 상태에서 화장을 위한 내용물이 내용물 용기의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아 케이스 내외부의 오염이 방지되며, 원터치 개방으로 사용적인 편리성을 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버튼 유닛이 돌출되어 개방 가능한 상태의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의 입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후 방향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Ⅰ-Ⅰ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작동 상태인 도 2의 Ⅱ- Ⅱ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메인 케이싱 유닛이 분리된 일부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2의 메인 케이싱 유닛이 분리된 일부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10은 도 7에서 버튼 케이싱 유닛이 분리된 일부 분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버튼 케이싱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로킹 레일과 래치 링크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도면의 방향과 위치는 XYZ 직교 좌표계를 상정하여 설명하며, 상하좌우는 XY좌표 평면계와 일치하며, 전후좌우는 YZ 좌표의 평면계와 일치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실시예들의 도면에서 하부 요소들이 설명되지 않은 각각의 유닛, 모듈, 부, 부재는 각기 부여된 기능을 갖기 위한 통상적인 하부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며, 도면에 도시된 하부 요소들에 제한하진 않는다. 도시되었으나 통상적으로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들은 실시예들에 포함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특별히 정의된 용어를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한자, 국어 혹은 영어의 사전적인 의미 혹은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부합하는 속성을 가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포함한다, 구성된다, 또는 구비한다"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가질 수 있음을, "고정 및 구속된다"는 이동과 움직임이 제한됨을, "회전 및 힌지"는 대상 객체의 일부 혹은 전부가 회전하여 이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의 입체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버튼 유닛이 돌출되어 개방 가능한 상태의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의 입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배후 방향도이며, 도 5는 도 1의 Ⅰ-Ⅰ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작동 상태인 도 2의 Ⅱ- Ⅱ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메인 케이싱 유닛(100), 메인 케이싱 유닛(100) 상에 연결 및 연결 해제 가능하게 탑재되며 버튼 관련 원터치 기능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버튼 케이싱 유닛(140), 버튼 케이싱 유닛(14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탑재되며 메인 케이싱 유닛(100)을 개방하기 위한 원터치 버튼으로 사용되는 버튼 유닛(150), 버튼 케이싱 유닛(140) 상에 탑재되며 버튼 유닛(150)의 원터치 작동과 연동되어 메인 케이싱 유닛(100)에 대한 버튼 케이싱 유닛(140)의 착탈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싱 로킹 유닛(160), 그리고 버튼 케이싱 유닛(140)과 버튼 유닛(150)을 연결하도록 버튼 케이싱 유닛(140) 상에 탑재되며 버튼 유닛(150)의 상하 이동된 위치를 제한하여 케이싱 로킹 유닛(160)의 메인 케이싱 유닛(100)에 대한 걸림 및 걸림 해제 작용에 따른 버튼 유닛(150)의 원터치 작동을 연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버튼 단속 유닛(170)을 주요 구성으로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유닛(150)은 버튼 유닛(150)이 메인 케이싱 유닛(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버튼 단속 유닛(170)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유닛(150)은 원터치 가압되면서 버튼 단속 유닛(170)에 의해 위치 고정이 해제되어 버튼 케이싱 유닛(140)의 상부로 돌출된다.
버튼 유닛(150)이 버튼 단속 유닛(170)에 의해 위치 고정된 상태이면, 버튼 케이싱 유닛(140)에 탑재된 케이싱 로킹 유닛(160)이 버튼 유닛(150)의 하부 이동에 의한 가압 접촉에 의해 메인 케이싱 유닛(100)에 걸리며, 버튼 케이싱 유닛(140)이 메인 케이싱 유닛(100)에 위치 고정되어 메인 케이싱 유닛(100)의 상부가 폐쇄된다.
버튼 유닛(150)이 버튼 단속 유닛(170)에 의해 고정 해제 상태이면, 상기처럼 버튼 유닛(150)이 상부로 이동되어 버튼 유닛(150)에 의한 케이싱 로킹 유닛(160)의 압박이 해제되며, 케이싱 로킹 유닛(160)과 메인 케이싱 유닛(100)의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버튼 케이싱 유닛(140)이 상부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메인 케이싱 유닛(100)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버튼 유닛(150)의 위치 고정 및 고정 해제의 원터치 선택 상태에 따른 메인 케이싱 유닛(100)에 대한 케이싱 로킹 유닛(160)의 걸림 및 걸림 해제가 결정됨으로써 메인 케이싱 유닛(100)이 개방 및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는, 닫힌 상태에서 화장을 위한 내용물이 내용물 용기의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아 케이스 내외부의 오염이 방지되며, 원터치 개방으로 사용적인 편리성을 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메인 케이싱 유닛(100)은 상부로 개방된 공간이 상하 방향으로 마련되며, 상부 위치에 케이싱 로킹 유닛(160)의 걸림을 위한 환형의 걸림 돌기(101)를 구비할 수 있다.
버튼 케이싱 유닛(140)은 메인 케이싱 유닛(100)의 상부를 둘러싸며, 상하 방향을 따라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개구가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 개구 사이에 장착판(141)이 마련되며, 장착판(141)의 중앙부에 상하 안내를 위한 원통 안내부(148)가 마련되며, 원통 안내부(148)의 상부에 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
버튼 유닛(150)은 버튼 케이싱 유닛(14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부 내벽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걸림 접촉부(151)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유닛(150)은 고정 기어(171)가 연결되는 연결 원통부(152)와 장착판(141) 상에 접촉 가능한 스토퍼(153)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유닛(150)의 하부에 있는 스토퍼(153)는 장착판(141) 상에 접촉되어 버튼 유닛(150)의 하방 이동 위치를 제한시킬 수 있다.
케이싱 로킹 유닛(160)은 버튼 유닛(150)의 안쪽 하부에 위치하며, 장착판(141)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161)가 마련되며, 회전부(161)에 탄력적으로 연결되어 버튼 유닛(150)의 하단으로 배치되며 메인 케이싱 유닛(100)의 걸림 돌기(101)에 걸리는 로킹부(165)를 구비한다.
이러한 케이싱 로킹 유닛(160)은 버튼 유닛(150)의 걸림 접촉부(151)들에 의해 로킹부(165)가 압박되어 로킹부(165)가 걸림 돌기(101)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킹부(165)는 걸림 돌기(101)가 걸림이 가능한 걸림단(166)과 후술된는 내부 케이싱 유닛(110)의 세레이션 환형부(111)에 접촉되어 이동 가능한 걸림 가이드(167)를 구비한다.
버튼 단속 유닛(170)은 버튼 유닛(15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버튼 유닛(150)에 연결되며, 버튼 유닛(150)이 버튼 케이싱 유닛(140)의 하방으로 이동된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 고정 및 위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 해제를 버튼 유닛(150)의 가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버튼 단속 유닛(170)은 버튼 유닛(150)의 원터치에 따른 위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케이싱 로킹 유닛(160)의 걸림 및 걸림 해제가 연동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메인 케이싱 유닛(100)이 폐쇄 및 개방될 수 있다. 상기의 케이싱 로킹 유닛(160)과 버튼 단속 유닛(170)과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토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는, 버튼 유닛(150)이 가압되면 버튼 단속 유닛(170)의 버튼 유닛(150)에 대한 고정 해제에 의해 버튼 유닛(150)이 상방으로 이동되며, 버튼 유닛(150)이 이동됨에 따라 버튼 유닛(150)의 걸림 접촉부(151)들에 의한 로킹부(165)의 압박이 해제되며, 로킹부(165)가 회전부(161)로부터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이동되므로 메인 케이싱 유닛(100)의 걸림 돌기(10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튼 케이싱 유닛(140)이 메인 케이싱 유닛(100)의 상방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메인 케이싱 유닛(100)의 내부가 개방될 수 있다.
버튼 케이싱 유닛(140)의 장착판(141) 상에는 케이싱 로킹 유닛(160)의 회전부(16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받침부(142)가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케이싱 로킹 유닛(160)은 한 쌍의 회전 받침부(142)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장착판(141)에는 로킹부(165)가 상하 이동 가능하며 외곽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유동 관통부(143)가 마련된다. 로킹부(165)는 메인 케이싱 유닛(100)의 유동 관통부(143)에서 회전부(161)에 대해 탄력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메인 케이싱 유닛(100)과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140)의 착탈을 위한 케이싱 로킹 유닛(160)과 버튼 단속 유닛(170)의 구체적인 요소들과 연동 및 작동 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버튼 단속 유닛(170)은, 고정 기어(171), 회전기어, 가이드 로킹 레일(180) 그리고 버튼 스프링(185)을 포함한다.
고정 기어(171)는 버튼 유닛(150)과 함께 이동되도록 버튼 유닛(150)의 중앙 하부에 연결되며, 원통 안내부(148)의 내벽부에 접촉되어 상하 이동이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172)가 외벽부에 마련된 것으로서, 작은 원통 형상의 상단부에는 회전 기어(175)가 상하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가이드 홀(174)이 마련되며, 큰 원통 형상의 하단부에는 회전 기어(17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안내 기어(173)가 마련된다.
고정 기어(171)는 가이드 돌기(172)가 원통 안내부(148)의 내벽부에 마련되는 가이드 로킹 레일(18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안내되며, 가이드 로킹 레일(18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회전 기어(175)는 상부 바(178)가 고정 기어(171)의 가이드 홀(174)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 및 상하 유동 가능하게 고정 기어(171)의 내부에 끼워지며, 버튼 유닛(150)의 위치 고정을 위한 로킹 돌기(176)가 외벽 하부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며, 고정 기어(171)에 의해 회전되어 로킹 돌기(176)가 원통 안내부(148)의 내벽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회전 기어(175)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후술되는 로킹 안내 유닛(190)의 회전 안내봉(191)이 삽입되는 가이드 통로(179)가 마련된다.
가이드 로킹 레일(180)은 원통 안내부(148)의 내벽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회전 기어(175)의 가이드 돌기(172)가 위치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버튼 스프링(185)은 장착판(141) 상에 위치하며 회전 기어(175)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버튼 유닛(15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버튼 유닛(150)의 위치가 버튼 케이싱 유닛(140)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 해제될 때 버튼 유닛(150)의 상방 이동력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 기어(171)의 하부에는 회전 기어(175)의 로킹 돌기(176)에 접촉 가능하며 고정 기어(171)의 상하 이동에 의해 회전 기어(175)를 일정 각도씩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 톱니 형상의 회전 안내 기어(173)가 마련된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 로킹 레일(180)의 각각의 하단부에는 로킹 돌기(176)가 접촉되어 버튼 유닛(150)에 대한 위치 고정과 로킹 돌기(176)의 접촉이 이탈되어 고정 해제가 가능한 일정 방향의 경사 곡면부(181)가 마련된다.
도 7은 버튼 유닛(150)이 위치 고정된 도 1의 메인 케이싱 유닛(100)이 분리된 일부 분해도이며, 도 8은 메인 케이싱 유닛(100)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버튼 유닛(150)이 고정 해제된 도 2의 메인 케이싱 유닛(100)이 분리된 일부 분해도이며, 도 9와 도 10은 도 7에서 버튼 케이싱 유닛(140)이 분리된 일부 분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는, 버튼 유닛(150)의 가압에 의해 회전 기어(175)가 원통 안내부(148)의 하부로 이동될 때, 버튼 유닛(150)의 위치 고정이 구현되도록 회전 기어(175)가 회전되면서 로킹 돌기(176)가 가이드 로킹 레일(180)의 경사 곡면부(181)의 저면부에 접촉 지지된다.
이때는 고정 기어(171)의 회전 안내 기어(173)에 회전 기어(175)의 로킹 돌기(176)가 접촉 이동되며 회전 기어(175)가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로킹 돌기(176)가 경사 곡면부(181)에 접촉되어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버튼 유닛(150)의 하방 이동된 위치가 고정된다.
더불어 버튼 유닛(150)의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버튼 유닛(150)의 걸림 접촉부(151)들에 의한 로킹부(165)의 압박이 구현되어 로킹부(165)가 걸림 돌기(101)에 걸리게 되며, 메인 케이싱 유닛(100)에 버튼 케이싱 유닛(140)이 위치 고정되어 메인 케이싱 유닛(100)이 폐쇄된다.
반대로 메인 케이싱 유닛(100)이 개방되도록 버튼 유닛(150)이 원터치로 가압될 때는, 버튼 유닛(150)이 위치 고정된 후 버튼 유닛(150)의 가압에 의해 회전 기어(175)가 회전되면서 원통 안내부(148)의 하부로 이동되어 로킹 돌기(176)가 경사 곡면부(181)의 저면으로부터 이탈되어 복수의 가이드 로킹 레일(180) 사이로 위치하여 고정 해제가 구현된다.
이후에는 버튼 스프링(185)에 의해 버튼 유닛(150)이 버튼 케이싱 유닛(140)의 상방으로 이동되며, 버튼 유닛(150)의 걸림 접촉부(151)들에 의한 로킹부(165)의 압박이 해제되어 로킹부(165)가 걸림 돌기(101)로부터 분리되며, 메인 케이싱 유닛(100)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고정 기어(171)가 회전 기어(175)에 대해 회전 기어(175)의 상부 바(178)를 따라 약간 상하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서, 회전 기어(175)의 회전 안내 기어(173)에 물려 있는 회전 기어(175)의 로킹 돌기(176)가 회전되면서 로킹 돌기(176)가 가이드 로킹 레일(180)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가 만들어지며, 버튼 스프링(185)에 의해 회전 기어(175), 고정 기어(171), 그리고 버튼 유닛(150)은 가이드 로킹 레일(180)의 길이만큼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단속 유닛(170)과 관련하여 보조적으로 버튼 케이싱 유닛(140)과 버튼 유닛(150)에 장착되는 요소들을 살펴본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케이싱 유닛(140)의 장착판(141)의 하부에는 장착판(141)에 결합되며 회전 기어(175)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봉(191)을 구비하는 로킹 안내 유닛(190)과, 로킹 안내 유닛(190) 상에 장착판(141)의 하부에 결합되며 회전 안내봉(191)이 관통하여 위치하는 안내 홀(196)이 마련되며 원통 안내부(148)의 하부를 폐쇄하면서 버튼 스프링(185)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지지유닛(195)이 구성된다.
또한 버튼 유닛(150)의 저면부에는 고정 기어(171)가 끼워져 연결되는 연결 원통부(152)가 마련되며 고정 기어(171)는 상부가 연결 원통부(152)에 끼워져 위치 고정되며 하부가 가이드 로킹 레일(180)에 접촉되도록 상부보다 확경되어 구성된다.
상기의 회전 기어(175)는 고정 기어(171)의 상부와 하부 내벽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고정 기어(171)의 상단부에 끼워져 위치 고정되는 고정 후크부(177)가 마련된다.
추가적으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케이싱 유닛에서 내용물의 밀폐와 관련된 요소들과 개방을 도울 수 있는 요소들을 살펴본다.
메인 케이싱 유닛(100)은 지지를 위한 지지턱(102)이 상부에 마련된다. 버튼 케이싱 유닛(140)은 메인 케이싱 유닛(100)의 상부를 둘러싸며 지지턱(102)에 의해 위치 제한되도록 지지턱(102)에 대응하여 내벽부에 환형 부재(105)가 구성된다.
메인 케이싱 유닛(100) 상에는 메인 케이싱 유닛(100)의 공간에 안치되도록 구성되며 화장을 위한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부 케이싱 유닛(110)이 위치한다.
내부 케이싱 유닛(110)에는 내부 케이싱 유닛(110)의 내용물을 보호하도록 내부 케이싱 유닛(110)의 상단부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커버링 유닛(120)이 구성된다. 커버링 유닛(120)은 볼록한 손잡이 편(121)을 갖는다.
내부 케이싱 유닛(110)의 상단부에는 메인 케이싱 유닛(100)의 상단부에 암수 결합되며, 외면부에 돌기들을 갖는 세레이션 환형부(111)가 마련된다. 세레이션 환형부(111)의 돌기들은 케이싱 로킹 유닛(160)의 로킹부(165)가 메인 케이싱 유닛(100)의 걸림 돌기(101)에 걸리도록 버튼 유닛(150)의 걸림 접촉부(151)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 이동될 때 로킹부(165)의 걸림 가이드(167)에 접촉되어 걸림단(166)을 걸림 돌기(101)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커버링 유닛(120) 위에는 버튼 케이싱 유닛(140)의 저면부에 후크 구조로 장착되기 위한 후크부(131)를 구비하며, 내부 케이싱 유닛(110)의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커버링 유닛(120)의 바로 위에 배치 가능한 데코 패널 유닛(130)이 위치한다.
한편, 버튼 케이싱 유닛(140)의 장착판(141) 상에는 데코 패널 유닛(130)의 후크부(131)에 대응하는 후크 결합부(145)가 마련되며, 후크부(131)를 수용하여 보호 가능한 볼록한 후크 덮개부(146)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에 대해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는, 버튼 단속 유닛이 상기 기술과 상이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은 대동소이하므로 동일 요소나 유사 요소들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한다. 하기에서는 버튼 단속 유닛과 이의 작동에 대해 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의 분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확대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는, 상기와 같이 버튼 유닛이 버튼 단속 유닛에 의해 상하 위치가 규제되며, 버튼 단속 유닛의 버튼 유닛에 대한 위치 규제에 따라 케이싱 로킹 유닛의 로킹이 유지되거나 해제되는 측면에서는 상기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버튼 단속 유닛에 의한 버튼 유닛의 위치 규제 구조가 상기의 실시예와 상이하므로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 단속 유닛(270)은, 이동 실린더(271), 래치 링크(272), 그리고 버튼 스프링(285)을 포함한다.
이동 실린더(271)는 버튼 유닛(250)과 함께 이동되도록 버튼 유닛(250)의 중앙 하부에 위치하며, 원통 안내부(248)의 내벽부를 따라 상하 이동이 안내되도록 원통 안내부(248)에 삽입된 것이다.
이동 실린더(271) 상에는 래치 링크(272)가 안치된다. 래치 링크(272)는 이동 실린더(271)와 원통 안내부(248)에 연결 접촉되며, 원통 안내부(248)의 측벽부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버튼 스프링(285)은 장착판(241) 상에 위치하며 상하 실린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래치 링크(272)는 버튼 유닛(250)이 버튼 케이싱 유닛(24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버튼 유닛(250)의 원터치 가압에 의해 이동 실린더(271)와 함께 하부로 움직이며, 원통 안내부(248)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어 하부 측벽부에서 위치 고정된다.
이에 따라 버튼 유닛(250)은 래치 링크(272)에 의해 하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위치가 규제된다. 이에 따라 버튼 유닛(250)이 하부로 내려간 상태로서, 케이싱 로킹 유닛(260)에 의해 버튼 케이싱 유닛(240)이 메인 케이싱 유닛(200)에 위치가 고정된다. 케이싱 로킹 유닛(260)의 버튼 케이싱 유닛(240)에 대한 위치 규제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다.
이러한 상태에서, 버튼 유닛(250)이 원터치 가압되면, 래치 링크(272)가 원통 안내부(248)의 하부 측벽부에서 이탈되며, 버튼 유닛(250)이 버튼 스프링(285)에 의해 상부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버튼 케이싱 유닛(240)의 위치 규제가 해제되며, 버튼 케이싱 유닛(240) 상에 탑재된 모든 요소들이 버튼 케이승 유닛과 함께 메인 케이싱 유닛(2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원통 안내부(248)의 측벽부에 대한 래치 링크(272)의 이동과 위치 규제를 위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래치 링크(272)의 위치 규제를 위해서, 원통 안내부(248)의 측벽부에는 래치 링크(272)를 상하로 안내하기 위한 상하 레일(248a)과 상하 레일(248a)의 하단부에 굴절 연결되어 래치 링크(272)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로킹 레일(248b)이 마련된다.
래치 링크(272)는 이동 실린더(27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상부 부재(273)와 상하 레일(248a)에 연결되는 로킹 부재(274)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링크(272)의 로킹 부재(274)는 원통 안내부(248)의 측벽부에 마련된 상하 레일(248a)을 따라 이동되어 로킹 레일(248b) 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로킹 레일(248b)의 단부에 걸리어 상부로 이동이 제한된다.
도 12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바와 같이, 로킹 레일(248b)은 로킹 부재(274)가 하부로 이동될 때, 로킹 부재(274)를 상하 레일(248a)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로킹 레일(248b)에 대한 래치 링크(272)의 위치 규제가 해제되며, 래치 링크(272)는 상하 레일(248a)을 따라 상부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래치 링크(272)의 로킹 부재(274)가 상하 레일(248a)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어 로킹 레일(248b)로 위치하면, 버튼 케이스 유닛이 케이싱 로킹 유닛(260)에 의해 메인 케이싱 유닛(200)에 연결되어 메인 케이싱 유닛(200)에 닫힌 상태로 유지되며, 로킹 부재(274)가 로킹 레일(248b)에서 이탈되어 상하 레일(248a)에 위치하여 상부로 이동되면 케이싱 로킹 유닛(260)의 메인 케이싱 유닛(200)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며 버튼 케이싱 유닛(240)이 메인 케이싱 유닛(200)에서 분리되어 메인 케이싱 유닛(200)이 열릴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메인 케이싱 유닛 101: 걸림 돌기
102: 지지턱 105: 환형 부재
110: 내부 케이싱 유닛 111: 세레이션 환형부
120: 커버링 유닛 121: 손잡이 편
130: 데코 패널 유닛 131: 후크부
140: 버튼 케이싱 유닛 141: 장착판
142: 회전 받침부 143: 유동 관통부
145: 후크 결합부 146: 후크 덮개부
148: 원통 안내부 150: 버튼 유닛
151: 걸림 접촉부 152: 연결 원통부
153: 스토퍼 160: 케이싱 로킹 유닛
161: 회전부 165: 로킹부
166: 걸림단 167: 걸림 가이드
170: 버튼 단속 유닛 171: 고정 기어
172: 가이드 돌기 173: 회전 안내 기어
174: 가이드 홀 175: 회전 기어
176: 로킹 돌기 177: 고정 후크부
178: 상부 바 179: 가이드 통로
180: 가이드 로킹 레일 181: 경사 곡면부
185: 버튼 스프링 190: 로킹 안내 유닛
191: 회전 안내봉 195: 스프링 지지유닛
196: 안내 홀
200: 메인 케이싱 유닛 240: 버튼 케이싱 유닛
241: 장착판 248: 원통 안내부
248a: 상하 레일 248b: 로킹 레일
250: 버튼 유닛
260: 케이싱 로킹 유닛 270: 버튼 단속 유닛
271: 이동 실린더 272: 래치 링크
273: 상부 부재 274: 로킹 부재
285: 버튼 스프링

Claims (12)

  1.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메인 케이싱 유닛;
    상기 메인 케이싱 유닛 상에 연결 및 연결 해제 가능하게 탑재되며, 버튼 관련 원터치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버튼 케이싱 유닛;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탑재되며, 상기 메인 케이싱 유닛을 개방하기 위한 원터치 버튼으로 사용되는 버튼 유닛;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 상에 탑재되며 상기 버튼 유닛의 원터치 작동과 연동되어 상기 메인 케이싱 유닛에 대한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의 착탈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싱 로킹 유닛; 및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에 탑재되며, 상기 버튼 유닛의 원터치 작동에 연동되어 상기 케이싱 로킹 유닛의 상기 메인 케이싱 유닛에 대한 걸림 및 걸림 해제 작용을 위한 상기 버튼 유닛의 상하 이동된 위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버튼 단속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 단속 유닛은 상기 버튼 유닛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버튼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버튼 유닛이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의 하방으로 이동되어 위치 고정되는 위치 고정 및 상기 위치 고정을 해제시키는 고정 해제를 상기 버튼 유닛의 가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유닛은 상부로 개방된 공간이 상하 방향으로 마련되며, 상부 위치에 걸림을 위한 걸림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은 상기 메인 케이싱 유닛의 상부를 둘러싸며, 상하 방향을 따라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개구가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 개구 사이에 장착판이 마련되며, 상기 장착판의 중앙부에 상하 안내를 위한 원통 안내부가 마련되며, 상기 원통 안내부의 상부에 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버튼 유닛은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부 내벽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걸림 접촉부들이 마련되며,
    상기 케이싱 로킹 유닛은 상기 버튼 유닛의 안쪽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장착판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가 마련되며, 상기 회전부에 탄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버튼 유닛의 하단으로 배치되며 상기 메인 케이싱 유닛의 걸림 돌기에 걸리는 로킹부를 구비하며, 상기 버튼 유닛의 걸림 접촉부들에 의해 상기 로킹부가 압박되어 상기 로킹부가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버튼 유닛이 가압되면 상기 버튼 단속 유닛의 상기 고정 해제 의해 상기 버튼 유닛이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버튼 유닛의 걸림 접촉부들에 의한 상기 로킹부의 압박이 해제되며, 상기 로킹부가 상기 걸림 돌기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메인 케이싱 유닛의 내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의 장착판 상에는 상기 케이싱 로킹 유닛의 회전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받침부가 한 쌍씩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케이싱 로킹 유닛은 상기 회전 받침부에 각각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장착판에는 상기 로킹부가 상하 이동 가능하며 상기 회전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유동 관통부가 마련되는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단속 유닛은,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과 상기 버튼 유닛을 연결하며,
    상기 버튼 유닛과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버튼 유닛의 중앙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원통 안내부의 내벽부를 따라 상하 이동이 안내되도록 가이드 돌기가 외벽부에 마련된 고정 기어;
    상기 고정 기어에 회전 및 상하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버튼 유닛의 위치 고정을 위한 로킹 돌기가 외벽 하부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며, 상기 고정 기어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로킹 돌기가 상기 원통 안내부의 내벽 하단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회전 기어;
    상기 원통 안내부의 내벽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로킹 레일; 및
    상기 장착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 기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버튼 스프링을 포함하는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어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 기어의 로킹 돌기에 접촉 가능하며, 상기 고정 기어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 기어를 일정 각도씩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회전 안내 기어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로킹 레일의 각각의 하단부에는 상기 로킹 돌기가 접촉되어 상기 버튼 유닛에 대한 상기 위치 고정을 구현하며, 반대로 상기 로킹 돌기의 접촉이 이탈되어 상기 고정 해제가 가능한 일정 방향의 경사 곡면부가 마련되는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유닛의 가압에 의해 상기 회전 기어가 상기 원통 안내부의 하부로 이동될 때, 상기 버튼 유닛의 상기 위치 고정이 구현되도록 상기 회전 기어가 회전되면서 상기 로킹 돌기가 상기 가이드 로킹 레일의 경사 곡면부의 저면부에 접촉 지지됨으로써 상기 버튼 유닛의 걸림 접촉부들에 의한 상기 로킹부의 압박이 구현되어 상기 로킹부가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며,
    상기 버튼 유닛이 위치 고정된 후 상기 버튼 유닛의 가압에 의해 상기 회전 기어가 회전되면서 상기 원통 안내부의 더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로킹 돌기가 상기 경사 곡면부의 저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복수의 가이드 로킹 레일 사이로 위치하고 상기 고정 해제가 구현됨으로써 상기 버튼 유닛은 상기 버튼 스프링에 의해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의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버튼 유닛의 걸림 접촉부들에 의한 상기 로킹부의 압박이 해제되어 상기 로킹부가 상기 걸림 돌기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의 하부에서 상기 장착판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기어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봉을 구비하는 로킹 안내 유닛; 및
    상기 로킹 안내 유닛 상에 위치하여 상기 장착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안내봉이 관통하여 위치하는 안내 홀이 마련되며, 상기 원통 안내부의 하부에서 상기 버튼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유닛의 저면부에는 상기 고정 기어가 끼워져 연결되는 연결 원통부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 기어는 상부가 상기 연결 원통부에 끼워져 위치 고정되며 하부가 상기 가이드 로킹 레일에 접촉되도록 상부보다 확경되어 구성되며,
    상기 회전 기어는 상기 고정 기어의 상부와 하부 내벽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 기어의 상단부에 끼워져 위치 고정되는 고정 후크부와 상기 고정 기어에 상하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바를 구비하는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단속 유닛은,
    상기 버튼 유닛과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버튼 유닛의 중앙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원통 안내부의 내벽부를 따라 상하 이동이 안내되도록 상기 원통 안내부에 삽입된 이동 실린더;
    상기 이동 실린더와 상가 원통 안내부에 연결되며, 상기 원통 안내부의 측벽부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래치 링크; 및
    상기 장착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상하 실린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버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 안내부의 측벽부에는 상기 래치 링크를 상하로 안내하기 위한 상하 레일과 상기 상하 레일의 하단부에 굴절 연결되어 상기 래치 링크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로킹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래치 링크는 상기 이동 실린더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상부 부재와 상기 상하 레일에 연결되는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10. 제1 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케이싱 유닛은 지지를 위한 지지턱이 상부에 마련되되,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은 상기 지지턱에 의해 위치 제한되도록 상기 지지턱에 대응하여 환형부재가 마련되는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케이싱 유닛의 공간에 안치되도록 구성되며, 화장을 위한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부 케이싱 유닛;
    상기 내부 케이싱 유닛의 내용물을 보호하도록 상기 내부 케이싱 유닛의 상단부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며, 볼록한 손잡이 편을 갖는 커버링 유닛; 및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의 저면부에 후크 구조로 장착되기 위한 후크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케이싱 유닛의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링 유닛의 바로 위에 배치 가능한 데코 패널 유닛을 더 포함하는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케이싱 유닛의 장착판 상에는 상기 데코 패널 유닛의 후크부에 대응하는 후크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후크부를 수용하여 보호 가능한 볼록한 후크 덮개부가 마련되는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KR1020170034549A 2017-03-20 2017-03-20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KR101986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549A KR101986281B1 (ko) 2017-03-20 2017-03-20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PCT/KR2018/001986 WO2018174412A1 (ko) 2017-03-20 2018-02-19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549A KR101986281B1 (ko) 2017-03-20 2017-03-20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356A true KR20180106356A (ko) 2018-10-01
KR101986281B1 KR101986281B1 (ko) 2019-09-30

Family

ID=63585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549A KR101986281B1 (ko) 2017-03-20 2017-03-20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6281B1 (ko)
WO (1) WO201817441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455B1 (ko) * 2016-11-11 2017-02-17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원 터치 방식으로 캡이 개폐 조작되는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626Y1 (ko) * 2009-11-10 2010-05-03 (주)고려퍼프 원터치 방식 화장품 용기
KR101089167B1 (ko) * 2010-01-08 2011-12-05 (주)연우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KR101260930B1 (ko) * 2010-12-14 2013-05-06 주식회사 모리스 자동 밀폐 구조를 갖는 원터치식 양면 브러쉬
KR101564256B1 (ko) * 2015-09-01 2015-11-06 주식회사 케이알 레버 작동식 펌프형 화장품 리필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455B1 (ko) * 2016-11-11 2017-02-17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원 터치 방식으로 캡이 개폐 조작되는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281B1 (ko) 2019-09-30
WO2018174412A1 (ko)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044B1 (ko)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KR100630956B1 (ko) 휴대용 컴퓨터
RU2235493C2 (ru) Защит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боты миксера или кухонного комбайна при неустановленной крышке его чаши
KR101320193B1 (ko) 키 배치 및 유지용 장치
JPH03245172A (ja) 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容器を固定する装置
KR102191471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101885213B1 (ko) 화장품 용기
KR20180016643A (ko) 로크 기구 및 개폐 장치
KR100575157B1 (ko) 컴퓨터
JP4482940B2 (ja) ロック装置及びロック装置を備えた蓋付き飲料容器並びに蓋付き容器
KR20180106356A (ko)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CN110638344B (zh) 盖单元以及带盖容器
JP2003534040A (ja) バイアルに使用する安全装置
KR100423108B1 (ko) 자물쇠부착식 캡
KR20180003320U (ko) 화장품 용기
JP2017510386A (ja) 少なくとも1つの美容製品のための包装デバイスおよび関連する包装方法
KR200269128Y1 (ko) 배전반용 도어의 핸들 구조
JP2009024335A (ja) 錠装置
CN110811362B (zh) 盖单元以及带盖容器
JP3040979U (ja) 錠の受金具
KR102064206B1 (ko) 도어용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JP2002038806A (ja) 扉の開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ペットケージ
KR101810960B1 (ko) 회전 개방식 원터치캡
JP3224655U (ja) 飲料用容器の栓体及びそれを備えた魔法瓶
JP3859772B2 (ja) 口紅等の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