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213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213B1
KR101885213B1 KR1020160048949A KR20160048949A KR101885213B1 KR 101885213 B1 KR101885213 B1 KR 101885213B1 KR 1020160048949 A KR1020160048949 A KR 1020160048949A KR 20160048949 A KR20160048949 A KR 20160048949A KR 101885213 B1 KR101885213 B1 KR 101885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case body
light source
ligh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0441A (ko
Inventor
이승
유준호
장철호
Original Assignee
이승
유준호
장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 유준호, 장철호 filed Critical 이승
Priority to KR1020160048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213B1/ko
Publication of KR20170120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2/00Hand, pocket, or shaving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provided with transient audible or visual signaling means, e.g. for indicating dispensing, or other illuminating or acoustic devices, e.g. whis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37Printed or non-printed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파우더가 함침되는 스펀지블록이 수납되는 지지틀이 안착되는 케이스본체; 상기 지지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액상 파우더가 저장되는 리필케이스; 상기 케이스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거울이 설치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거울 주변으로부터 상기 거울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거울 사이에 개재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키는 렌즈부재; 및 상기 렌즈부재를 통과하는 빛이 상기 렌즈부재를 따라 확산되도록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 {COSMETICS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쿠션부재와 스폰지블록이 분리되어 수납되고, 액상 파우더를 보관하는 리필케이스를 교체할 수 있으며, 커버부재에 설치되는 거울 테두리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구비되고, 광원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전포트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커버부재가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에 사용되는 화장품은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으나, 크게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make-up) 화장품이 주종을 이루고 있고 그 용도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가장 널리 사용되는 화장품으로는 메이크업 화장품으로서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과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으로 구분될 수 있다.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은 분 형태의 파운데이션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볼 터치 등에 사용되며,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마스카라, 아이라인, 립스틱 등이 있다. 이들 화장품들 중 소모성이 가장 많은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파운데이션은 색조가 있는 분말 원료에 고착제, 유화제와 같은 성분을 혼합하고 일정의 온도에서 용융, 냉각시킨 다음 고형화된 파우더를 화장품 용기 내에 수납하고, 사용 시에 내부에 수용된 화장 용구인 퍼프를 이용하여 파우더를 묻혀 얼굴에 바르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고형의 파우더가 갖고 있는 사용상의 불편함으로 인해 수분이 함유된 액상으로 개량하여 얼굴 화장의 용이성은 물론 화장에 따른 피부에 뭉침이 없이 골고루 펴서 밀착감이 있게 화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콤팩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콤팩트, 즉 화장품 용기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액상 파우더가 함유된 스펀지가 보관되는 내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에 힌지 결합되며 그 상부에는 퍼프가 로딩되는 내부 캡과, 용기 본체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외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에 힌지 결합되며 외부 케이스를 완전히 닫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커버부를 연 후, 내부 캡을 연 다음 퍼프를 이용해 스펀지의 액상 파우더를 흡인한 후 퍼프에 흡인된 액상 파우더를 얼굴에 발라 화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과정으로 화장을 수행하는 경우, 스펀지에 함유된 액상 파우더가 케이스들의 외측으로 오버플로우(overflow)되거나 튀기게 되어 내부 케이스 및 외부 케이스가 더러워질 수 있으며, 따라서 케이스에 이물질이 잔존할 우려가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내부 케이스의 스펀지 및 내부 캡 사이에 스펀지의 액상 파우더가 이동 가능한 홀이 형성된 스크린이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퍼프로 스크린의 상면을 누르는 경우 스크린의 홀을 관통한 액상 파우더가 퍼프에 묻고 사용자는 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의 화장품 용기는, 스크린의 테두리가 내부 케이스의 상단 측벽에 지지되기 때문에, 스크린의 중앙 부분의 아래에 있는 스펀지에 대한 접근은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지만 스펀지의 외측 부분에 대한 접근은 한계가 있어 스펀지에 함유된 액상 파우더를 골고루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액상 파우더와 같은 화장품의 보관을 신뢰성 있게 할 수 있으면서도, 화장품 전체에 대한 사용 역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화장품 용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9475호(2015년 12월 11일 공개, 발명의 명칭 : 화장품 용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커버부재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키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화장품 용기에 외력이 가해지면 커버부재가 개방되어 액상 파우더가 유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는 사용자가 본인의 얼굴을 명확히 확인할 수 없어 화장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액상 파우더를 모두 사용하면 새로운 제품을 구입하여 케이스까지 모두 교체하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쿠션부재와 스폰지블록이 분리되어 수납되고, 액상 파우더를 보관하는 리필케이스를 교체할 수 있으며, 커버부재에 설치되는 거울 테두리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구비되고, 광원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전포트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커버부재가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액상 파우더가 함침되는 스펀지블록이 수납되는 지지틀이 안착되는 케이스본체; 상기 지지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액상 파우더가 저장되는 리필케이스; 상기 케이스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거울이 설치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거울 주변으로부터 상기 거울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거울 사이에 개재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키는 렌즈부재; 및 상기 렌즈부재를 통과하는 빛이 상기 렌즈부재를 따라 확산되도록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재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제1절개부에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는 개폐노브; 상기 개폐노브로부터 연장되는 탄성연장부; 상기 케이스본체의 기둥부재에 걸림결합되도록 상기 탄성연장부가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굴곡부; 상기 개폐노브로부터 연장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후크부재와 걸림결합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리필케이스에는 쿠션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쿠션부재를 구속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배터리로부터 연장되는 충전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충전포트에는 마개부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폐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케이스본체로부터 이격시키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힌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본체 측으로 돌출되며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탄성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곡면부는, 상기 렌즈부재의 내벽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재를 따라 연장되는 호 모양으로 곡선을 이루며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액상 파우더가 보관되는 리필케이스를 케이스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홀부가 구비되므로 리필케이스만을 교체하여 액상 파우더를 보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케이스본체 및 커버부재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 화장품 구매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커버부재에 설치되는 거울 테두리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구비되므로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사용자가 본인의 얼굴을 명확히 확인하면서 화장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확산되도록 하는 렌즈부재가 구비되므로 광원이 위치되는 부위로부터 빛이 집중되어 조사되는 스폿구조를 방지할 수 있고, 스폿구조가 방지되는 조명이 거울의 테두리에 구현되므로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자가 편안한 화장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충전포트가 커버부재 일측에 구비되므로 충전포트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커버부재에 설치되는 배터리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고, 충전포트를 개폐하는 마개부가 구비되므로 충전포트를 통해 이물질이 커버부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커버부재를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개폐부가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화장품 용기를 휴대하여 이동 중에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커버부재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액상 파우더가 화장품 용기 외부로 유실되지 않는 청결한 수납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개폐부를 조작하여 커버부재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커버부재를 케이스본체 외측으로 가압하여 커버부재가 케이스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가압부가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개폐부를 조작하여 커버부재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면 가압부의 작동에 의해 커버부재와 케이스본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커버부재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쿠션부재가 안착되는 리필케이스 상면에 쿠션부재가 리필케이스로부터 외측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므로 사용자의 부주위로 쿠션부재가 케이스본체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청결한 보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리필케이스에 의해 액상 파우더가 보관되는 공간과 쿠션부재가 보관되는 공간이 구획되므로 케이스본체 및 커버부재의 내부에 액상 파우더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청결한 보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커버부재를 케이스본체 외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에 충전포트를 개폐하는 마개부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화장품 케이스를 이루는 부품 수가 감소되어 화장품 케이스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커버부재가 개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리필케이스 분리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개폐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가압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조명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과 렌즈부재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커버부재가 개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리필케이스 분리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개폐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가압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조명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과 렌즈부재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액상 파우더가 함침되는 스펀지블록(38)이 수납되는 지지틀(16)이 안착되는 케이스본체(10)와, 지지틀(16)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액상 파우더가 저장되는 리필케이스(30)와, 케이스본체(1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거울(17)이 설치되는 커버부재(18)와, 커버부재(18)에 설치되고 거울(17) 주변으로부터 거울(17)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80)를 포함한다.
케이스본체(10)는 상면이 개구되고, 원형의 평면 모양을 이루며,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내측 공간에 지지틀(16)이 설치된다.
케이스본체(10)의 전방측 단부에는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제1절개홈부(12)가 형성되고, 케이스본체(10)의 후방측 단부에는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제2절개홈부(14)가 형성된다.
제1절개홈부(12)에는 개폐부(50)가 설치되어 케이스본체(10)와 커버부재(18)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2절개홈부(14)에는 커버부재(18)로부터 연장되는 힌지부(18a)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틀(16)은 케이스본체(10)와 같이 하측 방향으로 오목한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액상 파우더가 함침되는 스펀지블록(38)이 수납되고, 지지틀(16)의 상단 일측에는 리필케이스(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6a)이 설치된다.
또한, 지지틀(16)에는 후크부재(52b)가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간섭홈부(16b)가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개폐부(50)를 조작하여 케이스본체(10) 내부로 유동되는 후크부재(52b)가 간섭홈부(16b)에 삽입되면서 커버부재(18)와의 걸림결합이 해제되도록 한다.
지지틀(16) 외벽에 형성되는 안착돌기(16d)는 케이스본체(10) 내벽에 형성되는 안착홈부(16c)에 삽입되면서 지지틀(16)과 케이스본체(10)가 조립될 때에 방향성을 제공하게 되므로 지지틀(16)이 정확한 방향으로 케이스본체(10)와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커버부재(18)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는 개폐부(50)를 더 포함하고, 개폐부(50)는, 케이스본체(10)의 제1절개부에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는 개폐노브(52)와, 개폐노브(52)로부터 연장되는 탄성연장부(52a)와, 케이스본체(10)의 기둥부재(54)에 걸림결합되도록 탄성연장부(52a)가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굴곡부(52c)와, 개폐노브(52)로부터 연장되는 후크부재(52b)와, 후크부재(52b)와 걸림결합되도록 커버부재(18)에 형성되는 걸림홈부(57a)를 포함한다.
개폐노브(52)는 제1절개홈부(12)에 삽입되어 케이스본체(10)의 외벽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개폐노브(52)의 양단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각각 탄성연장부(52a)가 형성되고, 탄성연장부(52a)의 단부는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케이스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기둥부재(54)와 걸림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개폐노브(52)를 케이스본체(10)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탄성연장부(52a)가 변형되면서 개폐노브(52)가 케이스본체(10) 내부로 삽입되는데, 개폐노브(52)의 상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부재(52b)도 케이스본체(10) 내측으로 유동되면서 걸림홈부(57a)와 분리되어 커버부재(18)의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제1절개홈부(12)와 기둥부재(54) 사이에는 케이스본체(10) 내벽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압돌기(56)가 형성되므로 개폐노브(52)가 케이스본체(10) 내부로 가압될 때에 탄성연장부(52a)의 중앙부를 가압하면서 지렛대 역할을 행하게 된다.
또한, 제1절개홈부(12)의 하측에는 케이스본체(10)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지지리브(57)가 형성되어 개폐노브(52)가 제1절개홈부(12) 내측으로 삽입되어도 케이스본체(10) 내부로 분리되지 않고 탄성연장부(52a)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개폐부(50)의 조작에 의해 커버부재(18)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커버부재(18)를 케이스본체(10)로부터 이격시키는 가압부(70)를 더 포함하므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커버부재(18)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가압부(70)의 작동에 의해 커버부재(18)가 상측으로 가압되면서 커버부재(18)와 케이스본체(1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커버부재(18)를 보다 쉽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가압부(70)는, 커버부재(18)의 힌지부(18a)에 설치되고 케이스본체(10) 측으로 돌출되며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탄성돌출부재(72)를 포함하므로 커버부재(18)를 케이스본체(10)에 밀착시켜 잠금상태로 전환되면 탄성돌출부재(72)는 납작하게 압축되면서 커버부재(18)와 케이스본체(10) 사이에 개재된다.
이후에, 개폐부(50)의 조작에 의해 커버부재(18)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탄성돌출부재(72)의 복원력에 의해 커버부재(18)가 케이스본체(10)로부터 분리되면서 상측으로 소정량 들리게 되므로 사용자는 케이스본체(10)와 커버부재(18) 사이의 간격으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용이한 개방자공을 행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리필케이스(30)에는 쿠션부재(36)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재(34)가 형성되고, 가이드부재(34)에는 쿠션부재(36)를 구속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34a)가 형성되므로 커버부재(18)를 개방하고 리필케이스(30)로부터 쿠션부재(36)를 꺼낼 때에 사용자의 부주위로 쿠션부재(36)가 리필케이스(30) 외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리필케이스(30)는 지지틀(16)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회전홀부(32)가 형성되며, 타측에 개폐돌기(34b)가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쿠션부재(36)를 꺼낸 후에 개폐돌기(34b)를 상측으로 올리면 회전홀부(32)를 중심으로 리필케이스(30)가 회전되면서 지지틀(16) 외측으로 이동하고, 리필케이스(30)의 이동에 의해 지지틀(16) 내부가 개방되면서 스펀지블록(38)이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버부재(18)에 설치되는 거울(17)을 보면서 쿠션부재(36)를 스펀지블록(38)에 접촉시킨 후에 쿠션부재(36)를 얼굴에 두드리면서 화장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동안 사용자의 부주위에 의해 쿠션부재(36)가 리필케이스(30) 외측으로 분리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리필케이스(30) 상면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재(34)가 형성되므로 리필케이스(30) 상면으로부터 쿠션부재(36)가 외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부재(34)의 일측은 개구되어 사용자가 가이드부재(34) 내부에 안착된 쿠션부재(36)를 꺼낼 때에는 가이드부재(34)의 개구부를 통해 쿠션부재(36)를 당기면서 꺼낼 수 있고, 가이드부대의 상단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걸림돌기(34a)가 내측 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며 돌출되므로 쿠션부재(36)가 가이드부재(34)의 상측면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커버부재(18)에는 인쇄회로기판(82)에 설치되는 배터리(82a)로부터 연장되는 충전포트(82b)가 설치되고, 충전포트(82b)에는 마개부(76)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충전작업이 진행되지 않는 동안에 충전포트(82b)를 통하여 커버부재(18)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마개부(76)는 탄성돌출부재(72)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힌지부(18a)의 외측으로부터 힌지부(18a) 내측으로 삽입되는 탄성돌출부재(72)와 마개부(76)를 연결하는 연결부(74)가 구비되므로 탄성돌출부재(72), 연결부(74) 및 마개부(76)가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재질의 부품을 한 번의 사출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74)는 케이스본체(10)로부터 커버부재(18)까지 수직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연결부(74)의 하단에는 탄성돌출부재(72)가 형성되고, 연결부(74)의 상단에는 충전포트(82b)에 삽입되는 마개부(76)가 일체로 형성된다.
조명부(80)는, 커버부재(18)와 거울(17) 사이에 개재되는 인쇄회로기판(82)에 설치되는 광원(84)과, 광원(84)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키는 렌즈부재(86)와, 렌즈부재(86)를 통과하는 빛이 렌즈부재(86)를 따라 확산되도록 광원(84)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곡면부(86a)를 포함한다.
커버부재(18)의 내벽에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82)이 설치되고, 인소회로기판에는 배터리(82a) 등의 다수의 전자부품이 설치되며, 배터리(82a)로부터 연장되는 충전포트(82b)가 커버부재(18) 외측으로 노출되게 연장된다.
인쇄회로기판(82)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광원(84)이 설치되는데, 광원(84)은 LED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다수 개의 광원(84)을 동시에 커버하도록 링 모양으로 형성되는 렌즈부재(86)가 인쇄회로기판(82)의 테두리에 대향되게 설치된다.
렌즈부재(86)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홀부는 원판 모양의 거울(17)이 설치되어 인쇄회로기판(82) 및 전자부품들을 보이지 않게 마감하게 된다.
커버부재(18)의 외벽에는 스위치부재(88)가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스위치부재(88)를 조작하면 배터리(82a)에 저장되는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어 광원(84)으로부터 빛이 조사되는데, 본 실시예는, 광원(84)에 대향되는 렌즈부재(86)에 곡면부(86a)가 구비되므로 광원(84)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확산되어 광원(84) 부위에 빛이 집중되는 스폿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거울(17)을 볼 때에 렌즈부재(86)에 형성되는 스폿구조에 의해 눈이 부시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링 모양으로 형성되는 렌즈부재(86) 전체에서 빛이 고르게 조사되어 사용자가 눈의 편안함을 느끼면서 거울(17)을 통해 본인의 얼굴을 확인하면서 화장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곡면부(86a)는, 렌즈부재(86)의 내벽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렌즈부재(86)를 따라 연장되는 호 모양으로 곡선을 이루며 굴곡되어 이루어지므로 광원(84)의 상부에 광원(84)과 비교하여 폭이 넓은 곡면의 경계가 형성되고, 곡면부(86a)에 의해 형성되는 경계를 통과하는 빛은 측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굴절되면서 광원(84)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렌즈부재(86)를 따라 링 모양으로 확산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화장을 행할 때에는 개폐노브(52)를 케이스본체(10) 내부로 가압하면 탄성연장부(52a)가 기둥부재(54)를 중심으로 케이스본체(10)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면서 변형되어 개폐노브(52) 및 후크부재(52b)가 케이스본체(10) 내부로 유동되면서 후크부재(52b)와 커버부재(18)의 걸림결합이 해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18)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탄성돌출부재(72)의 복원력에 의해 힌지부(18a)가 케이스본체(10) 외측으로 유동되므로 커버부재(18)가 케이스본체(10)로부터 상측으로 유동되면서 커버부재(18)와 케이스본체(1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버부재(18)와 케이스본체(10)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으로 손을 삽입하면서 커버부재(18)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되고, 리필케이스(30) 상면에 수납된 쿠션부재(36)를 꺼낸 후에 개폐돌기(34b)를 상측으로 올려 리필케이스(30)가 회전축(16a)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지지틀(16) 내부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후에, 사용자는 쿠션부재(36)를 스펀지블록(38)에 가압하여 액상 파우더를 쿠션부재(36)에 흡착시키고, 쿠션부재(36)를 얼굴에 두드리면서 화장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화장을 행할 때에는 스위치부재(88)를 조작하여 광원(8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데, 광원(84)에 전원이 공급되어 빛이 조사되면 광원(84)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곡면부(86a)를 빛이 통과하면서 측 방향으로 굴절되므로 빛이 렌즈부재(86)를 따라 링 모양으로 확산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자가 스위치부재(88)를 조작하면 렌즈부재(86)를 따라 링 모양으로 균일한 빛이 거울(17) 테두리로부터 조사되므로 사용자는 눈이 편안한 상태로 거울(17)을 통해 자신의 얼굴을 확인하면서 화장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커버부재(18)가 열리는 각도는 케이스본체(10)의 수평면으로부터 약135도 정도의 각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턱으로부터 사용자의 팔 길이 정도의 거리를 유지할 때에 사용자의 얼굴 전체가 거울(17)에 비춰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화장이 종료되면 리필케이스(30)를 지지틀(16) 내측으로 회전시켜 스펀지블록(38)이 수납된 공간을 폐쇄하고, 리필케이스(30) 상면에 쿠션부재(36)를 안착시켜 액상 파우더가 저장되는 공간과 쿠션부재(36)를 별도의 공간에 수납한 상태로 보관하게 되므로 케이스본체(10) 및 커버부재(18) 내부를 청결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커버부재(18)를 닫고 배터리(82a)에 충전을 행할 때에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개부(76)를 충전포트(82b)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당겨 분리시키는데, 마개부(76)는 연결부(74)에 의해 탄성돌출부재(72)와 일체로 연결되므로 마개부(76)가 케이스본체(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쿠션부재와 스폰지블록이 분리되어 수납되고, 액상 파우더를 보관하는 리필케이스를 교체할 수 있으며, 커버부재에 설치되는 거울 테두리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구비되고, 광원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전포트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커버부재가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화장품 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화장품 용기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용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케이스본체 12 : 제1절개홈부
14 : 제2절개홈부 16 : 지지틀
16a : 회전축 17 : 거울
18 : 커버부재 18a : 힌지부
30 : 리필케이스 32 : 회전홀부
34 : 가이드부재 34a : 걸림돌기
34b : 개폐돌기 36 : 쿠션부재
38 : 스폰지블록 39 : 링부재
50 : 개폐부 52 : 개폐노브
54 : 기둥부재 57 : 지지리브
57a : 걸림홈부 70 : 가압부
72 : 탄성돌출부재 74 : 연장부
76 : 마개부 80 : 조명부
82 : 인쇄회로기판 82a : 배터리
82b : 충전포트 86 : 렌즈부재
86a : 오목곡면부 88 : 스위치부재

Claims (7)

  1. 액상 파우더가 함침되는 스펀지블록이 수납되는 지지틀이 안착되는 케이스본체;
    상기 지지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액상 파우더가 저장되는 리필케이스;
    상기 케이스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거울이 설치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거울 주변으로부터 상기 거울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거울 사이에 개재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키는 렌즈부재; 및
    상기 렌즈부재를 통과하는 빛이 상기 렌즈부재를 따라 확산되도록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확산되어 상기 광원 부위에 빛이 집중되는 스폿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링 모양으로 형성되는 상기 렌즈부재 전체에서 빛이 고르게 조사되도록 상기 렌즈부재의 내벽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재를 따라 연장되는 호 모양으로 곡선을 이루며 굴곡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광원의 상부에 상기 광원과 비교하여 폭이 넓은 곡면의 경계가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경계를 통과하는 빛은 측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굴절되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렌즈부재를 따라 링 모양으로 확산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배터리로부터 연장되는 충전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충전포트에는 마개부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커버부재를 연결하는 힌지부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힌지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탄성돌출부재와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제1절개부에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는 개폐노브;
    상기 개폐노브로부터 연장되는 탄성연장부;
    상기 케이스본체의 기둥부재에 걸림결합되도록 상기 탄성연장부가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굴곡부;
    상기 개폐노브로부터 연장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후크부재와 걸림결합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케이스본체로부터 이격시키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힌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본체 측으로 돌출되며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탄성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포트에는 상기 마개부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충전작업이 진행되지 않는 동안에 상기 충전포트를 통하여 상기 커버부재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탄성돌출부재,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마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재질의 부품을 한 번의 사출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케이스에는 쿠션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쿠션부재를 구속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48949A 2016-04-21 2016-04-21 화장품 용기 KR101885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949A KR101885213B1 (ko) 2016-04-21 2016-04-21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949A KR101885213B1 (ko) 2016-04-21 2016-04-21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441A KR20170120441A (ko) 2017-10-31
KR101885213B1 true KR101885213B1 (ko) 2018-08-03

Family

ID=6030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949A KR101885213B1 (ko) 2016-04-21 2016-04-21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2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5833A1 (ko) * 2021-04-09 2022-10-13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재활용이 용이한 화장품 케이스
FR3121583A1 (fr) 2021-04-07 2022-10-14 L'oreal Boîtier cosmétique comprenant un porte-applicateur à couvercle clips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959B1 (ko) * 2017-11-28 2019-03-1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KR102144209B1 (ko) * 2019-01-03 2020-08-12 김종석 접이식 소프트박스
KR102029097B1 (ko) * 2019-01-15 2019-10-07 (주)톨리코리아 힌지결합부가 내측으로 구성되는 화장품 용기
KR20200122487A (ko) 2019-04-18 2020-10-28 주식회사 칸젠 스마트 콤팩트
US11478060B2 (en) * 2020-07-22 2022-10-25 Elc Management Llc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a surface with controllable transparenc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012Y1 (ko) * 2015-03-11 2015-08-21 (주) 디즈인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7418A (ja) * 1994-08-09 1996-02-20 Kanebo Ltd レフィル容器
KR101390289B1 (ko) * 2012-07-23 2014-04-29 이은향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20140098624A (ko) * 2013-01-31 2014-08-08 정명희 조명수단을 구비한 콤팩트 거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012Y1 (ko) * 2015-03-11 2015-08-21 (주) 디즈인 화장품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1583A1 (fr) 2021-04-07 2022-10-14 L'oreal Boîtier cosmétique comprenant un porte-applicateur à couvercle clipsé
WO2022215833A1 (ko) * 2021-04-09 2022-10-13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재활용이 용이한 화장품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441A (ko)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213B1 (ko) 화장품 용기
US9095198B2 (en) Loose powder compact with compressible platform
KR101222087B1 (ko) 다단형 화장품 용기
KR101758360B1 (ko) 콤팩트 용기
KR101527758B1 (ko) 에어리스 콤팩트 용기
KR101253099B1 (ko) 콤팩트 용기
GB2512630A (en) Compact housing for a cosmetic container
KR102433695B1 (ko) 화장품 용기
TWM307995U (en) Cosmetics container
KR102089722B1 (ko) 용기 커버 개방 시 무게 균형이 유지되는 두께가 슬림한 화장품 용기
KR101784737B1 (ko) 탄성 재질의 내용물용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JP2020500614A (ja) 化粧品容器
KR101222088B1 (ko) 자동 슬라이드 개폐형 화장품 용기
KR20180064251A (ko)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KR200484166Y1 (ko) 화장품 용기
KR101557368B1 (ko) 다기능 색조 제품 케이스
JP4953906B2 (ja) 気密コンパクト
KR200466011Y1 (ko) 콤팩트 용기
KR102354418B1 (ko) 분리형 색조 화장품 용기
CN111818820A (zh) 化妆品容器
KR102383572B1 (ko) 콤팩트 용기
JP7285594B2 (ja) スライド式化粧料コンパクトケース
JP2017510386A (ja) 少なくとも1つの美容製品のための包装デバイスおよび関連する包装方法
KR200487907Y1 (ko) 화장품
US20080298877A1 (en) Housing and movement control system for cosmetic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