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101A - 플로어 매트 및 매트 락킹 부재 - Google Patents

플로어 매트 및 매트 락킹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101A
KR20180106101A KR1020170033722A KR20170033722A KR20180106101A KR 20180106101 A KR20180106101 A KR 20180106101A KR 1020170033722 A KR1020170033722 A KR 1020170033722A KR 20170033722 A KR20170033722 A KR 20170033722A KR 20180106101 A KR20180106101 A KR 20180106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mat
hook
carpet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형
김형록
김호련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to KR1020170033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6101A/ko
Publication of KR20180106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및 상기 시트에 구비되는 매트 락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트 락부는 상기 시트의 고정을 위한 매트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 후크는, 상기 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후크 스템; 및 상기 후크 스템의 단부와 연결된 후크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헤드의 폭은, 상기 후크 스템에서 상기 후크 헤드와 연결된 부분의 폭보다 넓게 구성되는, 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로어 매트 및 매트 락킹 부재{FLOOR MAT AND MAT LOCKING MEMBER}
본 발명은 플로어 매트 및 이를 고정하는 매트 락킹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는 카페트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카페트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카페트의 상부에 매트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매트가 카페트에 고정되거나 탈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고정수단은 벨크로일 수도 있고, 홀과 돌기일 수도 있다.
이러한 매트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종래의 고정수단의 일 예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고정수단은 체결용 홀이 형성되고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에 구비되는 록킹장치 및 록킹장치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고 카페트에 구비되는 록킹부재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1의 고정수단은 록킹장치와 록킹부재의 체결로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가 카페트 상에 고정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1317082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정수단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돌기를 홀에 맞춰서 삽입하는 과정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고, 돌기와 홀을 결합한다고 하더라도 돌기가 홀에서 빠져나오는 경우가 빈번하여 그 체결이 효과적으로 유지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돌기 또는 홀 등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육안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카페트 또는 매트에 고정되어, 미관을 해치게 된다.
또한, 매트를 카페트에 고정시키기 위해 벨크로를 이용하는 경우, 매트의 탈착이 반복될수록 밸크로의 결합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밸크로는 초기에는 우수한 결합력을 가지지만, 매트의 부착과 탈거가 반복될수록 결합력이 열악해져서 운전 중 사용자의 발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카페트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플로어 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플로어 매트와 카페트 간의 탈거와 부착이 반복되더라도 결합력이 열악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플로어 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플로어 매트가 카페트에 체결되었을 때 고정수단이 매트상에 드러나지 않는 플로어 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트; 및 상기 시트에 구비되는 매트 락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트 락부는 상기 시트의 고정을 위한 매트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 후크는, 상기 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후크 스템; 및 상기 후크 스템의 단부와 연결된 후크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헤드의 폭은, 상기 후크 스템에서 상기 후크 헤드와 연결된 부분의 폭보다 넓게 구성되는, 플로어 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플로어 매트가 카페트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로어 매트와 카페트 간의 탈거와 부착이 반복되더라도, 플로어 매트와 카페트 사이에 우수한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로어 매트가 카페트에 체결되었을 때 플로어 매트와 카페트를 고정시키는 수단이 플로어 매트상에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매트가 차량의 카페트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플로어 매트가 차량에서 탈거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플로어 매트를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매트 락부와 매트 락킹 부재의 결합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매트 락부와 매트 락킹 부재가 결합된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B-B'에 따른 시트와 매트 락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매트 락부에 구비되는 매트 후크의 배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4의 C-C'에 따른 시트와 매트 락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매트 락킹 부재에 구비되는 카페트 고정자의 배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 락부의 배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 후크 및 카페트 고정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매트 락킹 부재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매트 락킹 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매트 락킹 부재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매트 락킹 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매트 락킹 부재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매트 락킹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4c는 도 14a의 매트 락킹 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제4 변형예에 따른 매트 락킹 부재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5b는 도 15a의 매트 락킹 부재가 프레임에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제5 변형예에 따른 매트 락킹 부재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매트 락킹 부재가 프레임에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c는 도 16a의 매트 락킹 부재의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정한 비율로 그려지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이하에서 서술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매트(2)는 차량(1)의 바닥에 깔리는 것으로 서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매트(2)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매트가 차량의 카페트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플로어 매트가 차량에서 탈거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플로어 매트를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매트(2)는 차량(1)의 바닥 등에 설치된 카페트(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플로어 매트(2)는 시트(10); 및 카페트(3)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매트 락부(20)를 포함한다. 매트 락부(20)는 카페트 상에 제공되는 매트 락킹 부재(30)와 체결되어 플로어 매트(2)를 카페트(3)에 고정시킨다. 카페트(3)는 차량(1)의 바닥 측의 프레임(4)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시트(10)는 카페트(3)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휘어질 수 있도록 가요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10)의 일면에는 쿠션부가 제공될 수 있고, 시트(10)의 타면에는 매트 락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플로어 매트(2)가 카페트(3)를 커버할 때, 쿠션부는 상측을 향하고, 매트 락부(20)는 하측을 향한다. 또한, 시트(10)는 복수 개의 층을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층 중 제1 층(11)과 제2 층(12)은 접착제 등으로 서로 결속될 수 있으며, 제1 층(11)과 제2 층(12)의 사이에는 수용공간(1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층(11)에는 후크 연결부(130)가 관통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매트 락부(20) 및 매트 락킹 부재(30)를 설명한다. 도 4는 매트 락부와 매트 락킹 부재의 결합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매트 락부와 매트 락킹 부재가 결합된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B-B'에 따른 시트와 매트 락부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매트 락부에 구비되는 매트 후크의 배열을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도 5의 C-C'에 따른 시트와 매트 락부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매트 락킹 부재에 구비되는 카페트 고정자의 배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매트 락부(20)는 시트(10)를 카페트(3)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시트(10)의 가장자리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매트 락부(20)는 매트 후크(110), 후크 베이스(120) 및 후크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매트 후크(110)는 시트(10)의 후방측에 구비될 수 있다. 매트 후크(110)는 후크 베이스(120)에 연결되어 후크 베이스(120)로부터 돌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매트 후크(110)는 버섯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일 예로, 후크 스템(111)과 후크 스템(111)에 연결된 후크 헤드(112)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 스템(111)은 원기둥형일 수 있다. 후크 헤드(112)는 상면이 볼록한 반구형일 수 있고 후크 스템(111)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시트(10)와 나란한 방향에 따른 길이를 폭이라고 할 때, 후크 헤드(112)의 폭은 후크 스템(111)에서 후크 헤드(112)와 연결된 부분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매트 후크(11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후크 베이스(120) 상에 격자(lattice), 웨이브 등과 같은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 후크(110)가 도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격자(lattice) 패턴으로 배열되는 경우, 행 방향(r)으로 제1 간격(d1)으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열 방향(c)으로 제2 간격(d2)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간격(d1)과 제2 간격(d2)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격자 패턴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격자 패턴은 행 방향(r)을 따라 제1 간격(d1)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열 방향(c)을 따라 제2 간격(d2)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격자 패턴(L1)과 행 방향(r)을 따라 제1 간격(d1)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열 방향(c)을 따라 제2 간격(d2)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격자 패턴(L2)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제1 격자 패턴(L1)과 제2 격자 패턴(L2)은 제3 간격(d3)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간격(d3)은 제1 간격(d1) 및 제2 간격(d2)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매트 후크(110)의 배열은 후크 베이스(120)상에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후크 베이스(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크 베이스(120)는 매트 후크(110)를 지지할 수 있으며,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크 베이스(120)는 일면이 시트(10)를 향하고,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이 카페트(3)를 향하도록 구성된다. 후크 베이스(120)의 일면에는 후크 연결부(130)가 구비되고, 후크 베이스(120)의 타면에는 매트 후크(1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 베이스(120)는 후크 연결부(130)에 의해 시트(10)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후크 연결부(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를 더 참조하면, 후크 연결부(130)는 후크 베이스(120)의 시트(10) 측의 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후크 연결부(130)는 일 예로 시트(10)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후크 인서트(131) 및 후크 돌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 인서트(131)는 후크 베이스(120)로부터 매트 후크(110)와 반대방향을 향하여 돌출 연장될 수 있고, 시트(10)의 제1 층(11)을 관통하고 제2 층(12)은 관통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후크 인서트(131)는 후크 베이스(120)로부터 시트(10)의 수용공간(13)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 인서트(131)의 단부에는 후크 돌기(132)가 구비되며, 후크 돌기(132)는 후크 인서트(131)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후크 돌기(132)는 후크 인서트(131)가 수용공간(13)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매트 락부(20)의 매트 후크(110)가 시트(10)의 하부에서 매트 락킹 부재(30)와 연결되었을 때에도, 후크 연결부(130)의 돌기(132)는 시트(10) 내에 삽입되어 시트(10)의 상면에 드러나지 않게 하고, 플로어 매트(2)의 상면이 매끄럽게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도 6b를 더 참조하면, 후크 연결부(130)는 다른 예로 접착력을 가지는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 연결부(130)는 접착력을 가지는 일면이 시트(10)에 부착되고, 접착력을 가지고 일면의 반대측 면에 해당하는 타면이 후크 베이스(120)에 부착되는 접착 필름(1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매트 락부(20)는 매트 락킹 부재(30)와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매트 락킹 부재(30)는 카페트 고정자(fastener, 210), 고정자 베이스(220) 및 고정자 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트 락킹 부재(30)는 플로어 매트(2)가 차량(1)내에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매트 락부(20)와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카페트 고정자(210)는 앞서 서술한 매트 후크(11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카페트 고정자(210)는 고정자 베이스(220)에 연결되어 고정자 베이스(220)로부터 돌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카페트 고정자(210)는 고정자 스템(211)과 고정자 헤드(21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 스템(211)은 원기둥형 또는 쐐기형 기둥일 수 있고, 고정자 헤드(212)는 반구형일 수 있고, 고정자 스템(211)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카페트 고정자(210)가 고정자 베이스(220)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은 앞서 서술한 매트 후크(110)가 후크 베이스(120)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대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로어 매트(2)가 카페트(3) 상에 놓였을 때, 매트 후크(110)는 플로어 매트(2)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카페트 고정자(210)는 카페트 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카페트 고정자(21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고정자 베이스(220) 상에 격자, 웨이브 등과 같은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페트 고정자(210)가 웨이브(wave) 패턴으로 배열되는 경우, 행 방향(r)으로 직선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면서 열 방향(c)으로는 웨이브 라인을 그리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웨이브 패턴은 행 방향(r)을 따라 제4 간격(d4)으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열 방향(c)을 따라 제5 간격(d5)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4 간격(d4)과 제5 간격(d5)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웨이브 패턴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웨이브 패턴은 행 방향(r)을 따라 제4 간격(d4)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열 방향(c)을 따라 제5 간격(d5)으로 배치되는 제1 웨이브 패턴(W1)과 행 방향(r)을 따라 제4 간격(d4)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열 방향(c)을 따라 제5 간격(d5)으로 배치되는 제2 웨이브 패턴(W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웨이브 패턴(W1)과 제2 웨이브 패턴(W2)은 제6 간격(d6)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제6 간격(d6)은 제4 간격(d4) 및 제5 간격(d5)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카페트 고정자(210)의 제4 간격(d4), 제5 간격(d5) 및 제6 간격(d6) 각각은 앞서 서술한 매트 후크(110)의 제1 간격(d1), 제2 간격(d2) 및 제3 간격(d3)과 거의 동일한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고정자 베이스(220)는 앞서 서술한 매트 후크(110)가 배열되는 패턴과 다른 패턴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 후크(110)가 격자 패턴으로 배열되는 경우, 카페트 고정자(210)는 웨이브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고, 그 반대로, 매트 후크(110)가 웨이브 패턴으로 배열되는 경우, 카페트 고정자(210)는 격자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매트 후크(110)와 카페트 고정자(210)가 어긋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매트 후크(110) 배열의 열 방향(c)이 차량의 전, 후방을 따라 연장되고, 카페트 고정자(210)의 열 방향(c)이 차량의 좌, 우를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매트 락부(20)와 매트 락킹 부재(30)는 대략 10kgf이상 100kgf이하의 전단력을 견디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매트 락부(20)의 매트 후크(110)와 매트 락킹 부재(30)의 카페트 고정자(210)는 서로 다른 밀도와 서로 다른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 후크(110)와 카페트 고정자(210) 중 어느 하나는 단위면적(1 inch2)당 165개 이상 405개 이하의 밀도를 가지고, 대략 6cm2이상 대략 162cm2이하의 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결합되는 매트 후크(110)와 카페트 고정자(210) 중 다른 하나는 단위면적(1 inch2)당 245개 이상 255개 이하의 밀도를 가지고, 대략 11cm2이상 대략 36cm2이하의 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매트 후크(110)와 카페트 고정자(210)의 밀도나 면적이 지나치게 작으면 매트 락부(20)와 매트 락킹 부재(30)의 결합이 작은 전단력을 가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매트 후크(110)와 카페트 고정자(210)의 밀도나 면적이 지나치게 크면 플로어 매트(2)의 탈부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카페트 고정자(210)의 배열은 고정자 베이스(220) 상에 구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고정자 베이스(220)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정자 베이스(220)는 카페트 고정자(210)를 지지할 수 있으며,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자 베이스(220)는 일면이 카페트(3)를 향하고,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이 플로어 매트(2)를 향하도록 구성된다. 고정자 베이스(220)의 일면에는 고정자 연결부(230)가 구비되고, 고정자 베이스(220)의 타면에는 카페트 고정자(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자 베이스(220)는 고정자 연결부(230)에 의해 카페트(3)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고정자 연결부(230)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정자 연결부(230)는 고정자 베이스(220)의 카페트(3) 측의 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고정자 연결부(230)는 고정자 인서트(231)과 고정자 돌기(23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 인서트(231)는 카페트 고정자(210)와는 반대방향을 향하여 돌출 연장될 수 있다. 고정자 돌기(232)는 고정자 인서트(231)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한편, 차량의 프레임(4)에는 고정자 연결부(230)가 삽입되기 위한 프레임 홀(240)이 구비될 수 있고, 고정자 인서트(231)와 고정자 돌기(232)는 카페트(3)를 관통하여 차량의 프레임(4)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플로어 매트(2)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플로어 매트(2)를 차량(1)의 카페트(3)에 놓았을 때, 매트 락부(20)는 카페트(3)에 구비되는 매트 락킹 부재(30)에 대향하게 된다. 플로어 매트(2)를 카페트(3)에 놓으면, 매트 후크(110)는 플로어 매트(2) 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매트 락부(20)의 복수 개의 매트 후크(110)는 매트 락킹 부재(30)의 복수 개의 카페트 고정자(210)의 사이에 삽입되어 서로 맞물리게 된다. 서로 맞물린 매트 락부(20)와 매트 락킹 부재(30)를 측면에서 보면, 매트 후크(110)와 카페트 고정자(210)는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며, 매트 후크(110)의 후크 헤드(112)는 카페트 고정자(210)의 고정자 헤드(212)보다 카페트(3) 측에 더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매트 후크(110)와 카페트 고정자(210)는 서로에 대하여 상호 보완적인 체결장치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매트 락부(20)와 매트 락킹 부재(30) 간의 맞물림은 우수한 전단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 x 1 inch2의 크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락부(20)와 매트 락킹 부재(30)가 결합되는 것을 실시예 1이라 하고, 매트 락부(20)와 매트 락킹 부재(30) 중 어느 하나와 밸크로가 결합되는 것을 비교예 1라 하며, 매트 락부(20)와 매트 락킹 부재(30) 중 어느 하나와 루프가 결합되는 것을 비교예 1이라 할 때, 실시예 1, 비교예 1, 2로 결합과 탈거를 반복하는 시험을 실시한 결과, 아래와 같이 박리력 및 전단력에 대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박리력과 전단력>
횟수 박리력
( kfg / inch 2 )
전단력
( kfg / inch 2 )
횟수 박리력
( kfg / inch 2 )
전단력
( kfg / inch 2 )
초기 3.42 12.18 260회 1.17 9.90
10회 2.12 11.33 270회 1.18 10.08
20회 2.05 10.49 280회 1.22 9.59
30회 1.88 10.70 290회 1.22 9.65
40회 1.71 10.56 300회 1.15 10.16
50회 1.66 10.25 310회 1.29 9.62
60회 1.53 10.45 320회 1.26 9.54
70회 1.60 10.67 330회 1.14 9.82
80회 1.47 10.66 340회 1.18 9.79
90회 1.39 10.42 350회 1.07 9.56
100회 1.49 10.07 360회 1.07 10.92
110회 1.65 11.16 370회 1.04 10.26
120회 1.44 10.82 380회 1.06 9.82
130회 2.25 11.43 390회 1.05 9.77
140회 1.40 9.09 400회 1.04 9.50
150회 1.44 9.83 410회 1.06 9.60
160회 1.35 10.00 420회 1.15 9.74
170회 1.40 10.19 430회 1.08 9.81
180회 2.02 9.72 440회 1.09 9.76
190회 1.29 9.99 450회 0.98 10.27
200회 1.32 9.35 460회 1.16 9.87
210회 1.44 10.11 470회 1.06 9.74
220회 1.33 9.96 480회 1.06 9.72
230회 1.29 10.16 490회 1.05 9.38
240회 1.31 9.85 500회 0.98 9.67
250회 1.28 10.60
<비교예 1에 따른 박리력과 전단력>
횟수 박리력
( kfg / inch 2 )
전단력
( kfg / inch 2 )
초기 0.39 23.92
10회 0.33 9.11
20회 0.17 8.08
30회 0.08 3.60
40회 0.06 3.00
50회 0.07 1.87
<비교예 2에 따른 박리력과 전단력>
횟수 박리력
( kfg / inch 2 )
전단력
( kfg / inch 2 )
초기 0.35 28.39
10회 0.27 12.76
20회 0.02 2.92
30회 0.01 3.99
40회 0.09 2.12
50회 0.01 0.67
상기 표에서와 같이 비교예 1에 따른 결합은 초기에 박리력과 전단력이 우수하지만, 플로어 매트와 카페트 간의 부착과 탈거가 반복될수록 박리력과 전단력은 크게 저하되며, 사용자의 발에 플로어 매트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
그러나, 실시예 1에 따르면 매트 락부(20)와 매트 락킹 부재(30)는 비교예보다 우수한 박리력과 전단력을 가지므로, 플로어 매트가 사용자의 발에 의해 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결합은 플로어 매트와 카페트 간의 부착과 탈거가 반복되더라도 초기에 대비하여 전단력이 크게 저하되지 않아서 플로어 매트가 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매트 락부(20)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 락부의 배열을 설명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 락부의 배열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매트 락부(20) 중 어느 하나의 매트 락부는 다른 하나의 매트 락부의 반대측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매트 락부(21)와 제2 매트 락부(22)는 시트(10)의 전방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도 10a), 제1 매트 락부(21)와 제2 매트 락부(22)가 시트 전방의 중심부와 시트 후방의 중심부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으며(도 10b), 제1 매트 락부(21)와 제2 매트 락부(22)가 시트 전방의 좌측 및 시트 후방의 우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도 10c)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제1 매트 락부(21)와 제2 매트 락부(22)가 대칭적인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매트 락부(20)는 매트 락킹 부재(30)와 맞물리도록 구비되므로, 상기와 같이 매트 락부(20)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매트 락킹 부재(30)도 매트 락부(20)에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매트 락부(20)와 매트 락킹 부재(30)는 우수한 결속력을 가지기 때문에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매트 락부(20)와 매트 락킹 부재(30)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플로어 매트(2)가 카페트(3)에 보다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매트 후크(110) 및 카페트 고정자(21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 후크 및 카페트 고정자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후크 스템(111)과 고정자 스템(211)이 돌출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는 쐐기형기둥일 수 있다(도 11(a)). 또한, 후크 스템(111)과 고정자 스템(211)이 돌출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는 쐐기형기둥으로 구성되면서, 후크 헤드(112)와 고정자 헤드(212)는 상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디스크형 헤드로 구성될 수 있다(도 11(b)).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변형예들에 따르면, 고정자 연결부(230)의 구성이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매트 락킹 부재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매트 락킹 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제1 변형예의 고정자 연결부(230)의 고정자 인서트(231)는 고정자 연결부(230)로부터 카페트 고정자(210)가 돌출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을 향하여 돌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고정자 인서트(231)는 장형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행방향(r)을 따라 연장되거나 또는 행방향(r)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자 돌기(232)는 고정자 인서트(231)의 단부에 구비되어, 측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차량 프레임(4)의 프레임 홀(240)은 장형 돌기로 구성되는 카페트 고정자(210)를 수용하기 위해 장형 홀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홀(240)은 차량(1)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매트 락킹 부재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13b는 도 13a의 매트 락킹 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제2 변형예의 고정자 인서트(231)는 단부가 쐐기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자 돌기(232)는 고정자 연결부(230)의 측부에 형성되어 고정자 베이스(2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자 연결부(230)는 차량 프레임(4)의 프레임 홀(24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고정자 돌기(232)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네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매트 락킹 부재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매트 락킹 부재의 저면도이며, 도 14c는 도 14a의 매트 락킹 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면, 제3 변형예의 고정자 인서트(231)는 장형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행방향(r)을 따라 연장되거나 또는 행방향(r)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자 돌기(232)는 고정자 인서트(23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자 돌기(232)는 고정자 인서트(231)의 단부로부터 고정자 베이스(220)로 갈수록 더욱 돌출되어 경사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자 돌기(232)는 양측으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자 인서트(231)의 일 측면에 고정자 돌기(231)가 1개 구비될 수 있고, 고정자 인서트(231)의 일 측면의 반대인 타 측면에 고정자 돌기(231)가 2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자 돌기(232)는 고정자 인서트(231)의 단부를 향하고 탄성을 가지는 쐐기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자 돌기(232)는 고정자 베이스(220)측에 걸림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자 연결부(230)는 프레임 홀(24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프레임 홀(240)에 삽입된 고정자 연결부(230)가 임의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차량 프레임(4)의 프레임 홀(240)은 장형 돌기로 구성되는 카페트 고정자(210)를 수용하기 위해 장형 홀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홀(240)은 차량(1)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제4 변형예에 따른 매트 락킹 부재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매트 락킹 부재가 프레임에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제4 변형예의 고정자 인서트(231)는 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자 돌기(232)는 고정자 인서트(231)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플랜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프레임 홀(240)은 고정자 돌기(232)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삽입부(241)와 슬라이드 이동한 고정자 연결부(230)를 고정시키고, 고정자 돌기(232)보다 작게 형성된 고정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42)는 고정자 돌기(232)보다 작은 폭을 가지면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242)는 차량의 좌,우측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자 인서트(231) 및 고정자 돌기(232)는 일단 삽입부(241)를 통하여 프레임 홀(240)에 삽입된 후, 고정부(242)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프레임 홀(240)의 고정부(242)의 폭은 고정자 돌기(232)의 폭보다 작으므로, 고정자 연결부(230)가 프레임 홀(2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제5 변형예에 따른 매트 락킹 부재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16b는 도 16a의 매트 락킹 부재가 프레임에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16c는 도 16a의 매트 락킹 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제5 변형예의 고정자 인서트(231)는 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자 돌기(232)는 고정자 인서트(231)의 단부 측면으로부터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으로 돌출되어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프레임 홀(240)은 고정자 돌기(232)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자 인서트(231) 및 고정자 돌기(232)는 일단 프레임 홀(240)에 삽입된 후, 고정자 돌기(232)가 프레임 홀(240) 주변의 프레임(4)에 걸리도록 매트 락킹 부재(30)가 전체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단 고정자 돌기(232)는 차량의 프레임(4)에 걸려서 매트 락킹 부재(30)가 차량의 프레임(4)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하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나열이다.
항목 1은 시트; 및 상기 시트에 구비되는 매트 락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트 락부는 상기 시트의 고정을 위한 매트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 후크는, 상기 시트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후크 스템; 및 상기 후크 스템의 상기 시트의 반대측 단부와 연결된 후크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헤드의 폭은, 상기 후크 스템에서 상기 후크 헤드와 연결된 부분의 폭보다 넓게 구성되는, 플로어 매트이다.
항목 2는 상기 매트 락부는 상기 시트의 가장자리에 복수 개로 제공되며, 복수 개의 상기 매트 락부 중 어느 하나는 복수 개의 상기 매트 락부 중 다른 하나의 반대측에 제공되는, 플로어 매트이다.
항목 3은 상기 매트 락부는, 상기 매트 후크를 지지하는 후크 베이스; 및 상기 후크 베이스의 상기 시트측에 구비되고, 상기 매트 후크를 상기 시트에 고정시키는 후크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플로어 매트이다.
항목 4는 상기 후크 연결부는; 상기 시트에 삽입되는 후크 인서트; 및 상기 후크 인서트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후크 인서트가 상기 시트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 돌기를 포함하는, 플로어 매트이다.
항목 5는 상기 시트는 제1 층, 제2 층 및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 인서트는 상기 후크 베이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시트의 상기 제1 층을 관통하며, 상기 후크 돌기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는, 플로어 매트이다.
항목 6은 상기 후크 연결부는 일면이 상기 시트에 부착되고, 타면이 상기 후크 베이스에 부착된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로어 매트이다.
항목 7은 차량의 바닥에 설치된 카페트를 관통하여 상기 차량의 바닥에 고정되고, 시트 및 상기 시트에 구비되는 매트 락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페트 상에 배치되는 플로어 매트와 결합되는 매트 락킹 부재에 있어서, 상기 매트 락부와 맞물려서 체결되는 카페트 고정자; 일면에서 상기 카페트 고정자를 지지하는 고정자 베이스; 및 상기 카페트 고정자가 지지되는 면의 반대측 면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자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페트 고정자는, 상기 카페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고정자 스템; 및 상기 고정자 스템의 단부와 연결되고, 일측의 폭이 상기 고정자 스템과 연결된 부분의 폭보다 넓게 구성되는 고정자 헤드를 포함하는, 매트 락킹 부재이다.
항목 8은 상기 매트 락부는 상기 시트의 고정을 위한 복수 개의 매트 후크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매트 후크는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되며, 상기 카페트 고정자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카페트 고정자는 상기 매트 후크의 배열 패턴과 다른 패턴으로 배열되는, 매트 락킹 부재이다.
항목 9는 상기 매트 후크 및 상기 카페트 고정자 중 어느 하나는 웨이브 패턴을 가지도록 배열되고, 상기 매트 후크 및 상기 카페트 고정자 중 다른 하나는 격자(lattice) 패턴을 가지도록 배열되는, 매트 락킹 부재이다.
항목 10은 상기 고정자 연결부는, 상기 카페트 고정자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형 돌기로 구성되는 고정자 인서트; 및 상기 고정자 인서트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자 인서트가 돌출되는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자 돌기를 포함하는, 매트 락킹 부재이다.
항목 11은 상기 고정자 연결부는, 상기 카페트 고정자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자 인서트; 및 상기 고정자 베이스를 향하여 방향으로 상기 고정자 인서트로부터 돌출되는 고정자 돌기를 포함하는, 매트 락킹 부재이다.
항목 12는 상기 고정자 연결부는, 상기 카페트 고정자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형 돌기로 구성되는 고정자 인서트; 및 상기 고정자 인서트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고정자 베이스 측에 걸림턱을 가지는 고정자 돌기를 포함하는, 매트 락킹 부재이다.
항목 13은 상기 고정자 연결부는, 상기 카페트 고정자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자 인서트; 및 상기 고정자 인서트의 단부와 연결된 플랜지로 구성되는 고정자 돌기를 포함하는, 매트 락킹 부재이다.
항목 14는 상기 고정자 연결부는, 상기 카페트 고정자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자 인서트; 및 상기 고정자 인서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바(bar)로 구성되는 고정자 돌기를 포함하는, 매트 락킹 부재이다.
이상 본 발명의 매트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차량 2: 매트
3: 카페트 10: 시트
11: 제1 층 12: 제2 층
13: 수용공간 20: 매트 락부
30: 매트 락킹 부재 110: 매트 후크
111: 후크 스템 112: 후크 헤드
120: 후크 베이스 130: 후크 연결부
131: 후크 인서트 132: 후크 돌기
133: 접착 필름 210: 카페트 고정자
211: 고정자 스템 212: 고정자 헤드
220: 고정자 베이스 230: 고정자 연결부
231: 고정자 인서트 232: 고정자 돌기

Claims (14)

  1. 시트; 및
    상기 시트에 구비되는 매트 락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트 락부는 상기 시트의 고정을 위한 매트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 후크는,
    상기 시트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후크 스템; 및
    상기 후크 스템의 상기 시트의 반대측 단부와 연결된 후크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헤드의 폭은, 상기 후크 스템에서 상기 후크 헤드와 연결된 부분의 폭보다 넓게 구성되는,
    플로어 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락부는 상기 시트의 가장자리에 복수 개로 제공되며,
    복수 개의 상기 매트 락부 중 어느 하나는 복수 개의 상기 매트 락부 중 다른 하나의 반대측에 제공되는,
    플로어 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락부는,
    상기 매트 후크를 지지하는 후크 베이스; 및
    상기 후크 베이스의 상기 시트측에 구비되고, 상기 시트에 고정되기 위한 후크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플로어 매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연결부는;
    상기 시트에 삽입되는 후크 인서트; 및
    상기 후크 인서트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후크 인서트가 상기 시트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 돌기를 포함하는,
    플로어 매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제1 층, 제2 층 및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 인서트는 상기 후크 베이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시트의 상기 제1 층을 관통하며,
    상기 후크 돌기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는,
    플로어 매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연결부는 일면이 상기 시트에 부착되고, 타면이 상기 후크 베이스에 부착된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플로어 매트.
  7. 시트 및 상기 시트에 구비되는 매트 락부를 포함하고, 차량의 바닥 측의 프레임에 설치된 카페트 상에 배치되는 플로어 매트와 결합되는 매트 락킹 부재에 있어서,
    상기 매트 락킹 부재는
    상기 매트 락부와 맞물려서 체결되는 카페트 고정자;
    상기 카페트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카페트 고정자를 지지하는 고정자 베이스; 및
    상기 카페트 고정자가 지지되는 일면의 반대측 면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의 바닥 측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자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페트 고정자는,
    상기 카페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고정자 스템; 및
    상기 고정자 스템의 단부와 연결되고, 일측의 폭이 상기 고정자 스템과 연결된 부분의 폭보다 넓게 구성되는 고정자 헤드를 포함하는,
    매트 락킹 부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락부는 상기 시트의 고정을 위한 복수 개의 매트 후크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매트 후크는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되며,
    상기 카페트 고정자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카페트 고정자는 상기 매트 후크의 배열 패턴과 다른 패턴으로 배열되는,
    매트 락킹 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후크 및 상기 카페트 고정자 중 어느 하나는 웨이브 패턴을 가지도록 배열되고,
    상기 매트 후크 및 상기 카페트 고정자 중 다른 하나는 격자(lattice) 패턴을 가지도록 배열되는,
    매트 락킹 부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연결부는,
    상기 카페트 고정자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형 돌기로 구성되는 고정자 인서트; 및
    상기 고정자 인서트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자 인서트가 돌출되는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자 돌기를 포함하는,
    매트 락킹 부재.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연결부는,
    상기 카페트 고정자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자 인서트; 및
    상기 고정자 베이스를 향하여 방향으로 상기 고정자 인서트로부터 돌출되는 고정자 돌기를 포함하는,
    매트 락킹 부재.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연결부는,
    상기 카페트 고정자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형 돌기로 구성되는 고정자 인서트; 및
    상기 고정자 인서트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고정자 베이스 측에 걸림턱을 가지는 고정자 돌기를 포함하는,
    매트 락킹 부재.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연결부는,
    상기 카페트 고정자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자 인서트; 및
    상기 고정자 인서트의 단부와 연결된 플랜지로 구성되는 고정자 돌기를 포함하는,
    매트 락킹 부재.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연결부는,
    상기 카페트 고정자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자 인서트; 및
    상기 고정자 인서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바(bar)로 구성되는 고정자 돌기를 포함하는,
    매트 락킹 부재.
KR1020170033722A 2017-03-17 2017-03-17 플로어 매트 및 매트 락킹 부재 KR20180106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722A KR20180106101A (ko) 2017-03-17 2017-03-17 플로어 매트 및 매트 락킹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722A KR20180106101A (ko) 2017-03-17 2017-03-17 플로어 매트 및 매트 락킹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101A true KR20180106101A (ko) 2018-10-01

Family

ID=6387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722A KR20180106101A (ko) 2017-03-17 2017-03-17 플로어 매트 및 매트 락킹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61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5907B2 (en) Fastening strap assembly and foam article including same
US7752720B2 (en) System for attaching trim covers to a flexible substrate
US5007676A (en) Quick detachable vehicle seat cover
SK10652000A3 (sk) Kostra kotviacej vrstvy a podklad
JPH08336444A (ja) クッションベース
KR20000067928A (ko) 커버 모듈 및 앵커 시트
JP2005335707A (ja) 表面カバー及びその形成方法
US20200047650A1 (en) Injection-molded hook strip type seat covering fixing structure for a seat cushion of a car
US20080292827A1 (en) Car mat module
WO2012125783A1 (en) Bed sheet set with connecting mechanism
KR20180106101A (ko) 플로어 매트 및 매트 락킹 부재
JP5762823B2 (ja) マット用フック
CN108569216A (zh) 座席用隔离器具
JP3360251B2 (ja) 自動車用敷具
JP2964237B2 (ja) 敷物及びその敷物の製造法
JPH07259305A (ja) ユニット畳およびその連結具
JP2546187Y2 (ja) 面ファスナー係合製品
JPH084255A (ja) 床板簡易施工部材
CN212148545U (zh) 座椅总成
JP3086820U (ja) 敷 物
JP3022627U (ja) マット状敷物
JP2001248287A (ja) 組立パネル
WO2021042182A1 (en) Modular bas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urniture
JPS62559Y2 (ko)
JPH07217165A (ja) 薄畳セ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