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006A -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 - Google Patents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006A
KR20180106006A KR1020170033531A KR20170033531A KR20180106006A KR 20180106006 A KR20180106006 A KR 20180106006A KR 1020170033531 A KR1020170033531 A KR 1020170033531A KR 20170033531 A KR20170033531 A KR 20170033531A KR 20180106006 A KR20180106006 A KR 20180106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p
main body
adhesive
adhesive layer
w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이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희 filed Critical 이준희
Priority to KR1020170033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6006A/ko
Publication of KR20180106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8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랩을 풀어 절단하는 과정에서 그 랩의 고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정된 랩의 절단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절단 사용시 풀어진 랩이 절단 후 그대로 펼쳐진 상태로의 유지와 접혀져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추후 랩의 재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하면서도 랩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최소한의 비용을 투자하여 절단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케이스 개선 제작에 따른 비용의 상승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WRAP CASE}
본 발명은 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출되는 랩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그 랩의 긴밀한 고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정된 절단 사용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추후 재사용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
일반적으로 음식물이 담긴 용기 등은 음식물이 공기접촉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용 랩(wrap)에 의해 밀폐된다. 이러한 포장용 랩은 합성수지재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 포장재로서, 각종 음식물이 수용된 용기를 밀폐시켜 음식물의 신선도가 유지되도록 해준다.
한편, 이렇나 종래의 랩은 보빈을 통해 원통형으로 권취된 상태를 이루어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사용된다.
또한, 권취된 랩이 수용되는 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되어 덮개를 통해 개폐 가능한 구조를 이루며, 저면부 선단에는 톱니 형태의 절단날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랩을 사용시에는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랩을 풀고, 그 풀어진 랩의 어느 한 위치를 절단날에 접하게 한 상태에서 외력을 가해 절단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랩 케이스는 그 내부에 수용된 랩이 고정된 상태가 아닌 것인바, 랩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유동되어 그 절단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절단된 랩은 그 권취부와 소정의 풀어진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절단된 부분이 접혀져 부착되거나 절단된 랩이 권취된 부분에 달려들어가 다시 점착 권취되게 되는 등 추후 사용시 분리하기가 곤란하였으며, 부득이 재사용시 그 접혀진 부분을 제거하거나 사용중 접혀진 부분에 해당하게 추가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는 등 랩의 낭비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절단이 용이한 케이스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케이스들은 그 랩을 절단하기 위한 별도의 슬라이딩 장치 등을 추가 부설하게 되는 것인바, 케이스의 과도한 단가 상승 요인이 되었으며, 이러한 단가 상승은 소비자에게 그대로 전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146261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랩을 풀어 절단하는 과정에서 그 랩의 고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정된 랩의 절단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절단 사용시 풀어진 랩이 절단 후 그대로 펼쳐진 상태로의 유지와 접혀져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추후 랩의 재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하면서도 랩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최소한의 비용을 투자하여 절단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케이스 개선 제작에 따른 비용의 상승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저면부와 전면부와 후면부와 양측의 측면부를 이루어 상부로 개방되어 권취된 랩이 수용되는 랩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랩 수용공간은 후면부 상단과 연장되어 전면부를 함께 덮어 마감하는 "ㄱ" 절곡형 덮개로 개폐되는 본체;
본체의 전면부 하단측에서 전면부의 수평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랩을 절단시 부착되거나 절단되고 남은 랩이 부착 고정되는 점착부; 및
본체에 형성되며, 랩 수용공간에서 인출되는 랩의 절단이 가능하게 본체의 수평 길이방향을 이루는 절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점착부는,
본체의 전면부 하단측에 부착 고정되는 바탕지;
바탕지의 상부면에 도포 형성되는 점착층; 및
점착층을 덮어 보호하며 사용시 제거되는 박리지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점착층의 수평 길이는 랩의 폭 보다 좁게 구성하여, 점착층 양측에 비 점착부를 이루게 구성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는, 전면부 하단에 점착부가 형성된 것인바, 랩을 풀어 절단하는 과정에서 풀려진 부분의 점착 고정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른 절단 과정에서 랩의 안정된 고정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절단되고 남은 풀려진 랩이 그대로 점착부에 점착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재사용시 간편하게 분리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추후 랩의 재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하면서도 랩이 낭비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간편하게 점착부만의 구성으로도 랩의 절단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인바, 케이스 개선 제작에 따른 비용 상승이 최소화되는 등 소비자들의 부담을 줄여주면서도 최적의 케이스의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의 절단수단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의 개방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의 절단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의 재사용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1)는, 본체(100)와, 점착부(200)와, 절단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강질의 종이재로 구성되며 좌,우 길이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본체(100)는 내부가 중공되어 권취된 랩(10)이 수용되는 랩 수용공간(101)을 이루게 구성되며, 그 랩 수용공간(101)은 상부로 개방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체(100)는, 먼저 바닥을 이루는 저면부(110)가 구성되고, 그 저면부(110)의 선단에는 직각 절곡 형성되는 전면부(120)가 구성되며, 저면부(110)의 후단에는 직각 절곡 형성되는 후면부(130)가 구성되고, 양측은 저면부(110)와 전면부(120)와 후면부(130)를 연결하는 측면부(140)로 마감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개방된 랩 수용공간(101)은 덮개(150)를 통해 개폐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덮개(150)는 본체(100)의 후면부(130) 상단으로 연장되는 "ㄱ" 절곡형 형태로 구성되어, 개방된 랩 수용공간(101)의 개방된 상부 및 전면부(120)를 함께 덮어 마감하게 구성된다.
즉, 본체(100)는, 개방된 랩 수용공간(101)에 랩(10)이 삽탈 가능하게 구성되며, 랩 수용공간(101)은 덮개(150)를 통해 덮어져 마감되게 구성된다.
상기 점착부(200)는, 랩(10)을 절단 사용하는 과정에서 그 랩(10)을 고정하거나, 절단되고 남은 랩(10)의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점착부(200)는 본체(100)의 전면부(120) 하단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본체(100)의 길이를 따라 수평 길이방향으로 구성된다.
한편, 점착부(200)는 먼저, 본체(100)의 전면부(120) 하단측에 부착 고정되는 바탕지(210)가 구성된 것으로, 바탕지(210)는 본체(10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이루는 "띠" 형태로 구성되며, 본체(100)의 전면부(120) 하단측에서 그 하단이 전면부(120)의 하단과 접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바탕지(210)의 전면에는 반복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물질이 도포되어 된 점착층(220)이 구성된다.
이때, 점착층(220)은 사용되는 랩(10)의 폭 보다 좁은 길이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이에 그 점착층(220)의 양측으로 바탕지(210)에는 비 점착부(221)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비 점착부(221)를 이루게 구성함은, 절단되고 남은 랩(10)이 점착되는 과정에서 양측에서 비 점착부(221)에 해당하게 점착이 이루어지지 않게 함으로써, 추후 랩을 재사용시 점착층(220)으로부터 랩(10)의 탈거가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점착층(220)은 박리지(230)로 덮어져 보호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박리지(230)는 케이스(1)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점착층(220)을 덮어 보호하게 되며, 사용시 제거하여 점착층(220)의 노출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절단수단(300)은, 본체(100)에 수용된 랩을 사용시 그 사용을 위해 풀려진 랩(10)을 절단 분리하게 구성된다.
이때, 절단수단(300)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바탕지(210)보다 좁은 폭을 이루는 "띠" 형태를 이루며 거친면을 이루는 샌드페이퍼(310)로 구성된다.
이때, 샌드페이퍼(310)는 바탕지(210)에 부착되어 점착부(200)와 일체 구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점착층(220)의 하부에 구성되며, 그 하단이 전면부(120)의 하단과 접하게 구성되어 본체(100)의 저면부(110)와 전면부(120)의 모서리 부분에서 랩(10)의 절단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절단수단(300)으로 사용되는 샌드페이퍼(310)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섬유지나 종이지에 숫돌입자(도면중 미도시함)가 부착되어 된 것이면 가능할 것이다.
즉, 절단수단(300)을 샌드페이퍼(310)로 구성시에는 그 샌드페이퍼(310)에 부착된 숫돌입자의 거칠기에 의해 랩(10)의 절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절단수단(300)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체(100)의 저면부(110)에서 전방측에 형성되는 금속판(32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절단수단(300)은 "띠"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그 선단에는 삼각 형태의 산과 골(도면중 미도시함)이 반복되어 톱니 형태를 이루는 톱니날부(321)가 구성된다.
이때, 톱니날부(321)는 평면상 전면부(120)의 전방으로 소정 돌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점착부(200)와 톱니날부(321)는 저면부(110)와 전면부(120)가 만나는 모서리부에서 서로 접하게 구성된다.
즉, 절단수단(300)을 톱니날부(321)로 구성시에는 그 톱니날부(321) 돌출되는 산을 통해 랩(10)의 절단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1)는, 권취된 랩(10)을 풀어 절단 사용하는 과정에서 그 절단의 용이함과 추후, 재사용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1)를 사용시에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5의 도시와 같이 통상의 케이스(1)에 포장된 랩(10)의 사용과 같이 덮개(150)를 분리하여 랩 수용공간(101)을 개방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랩 수용공간(101)에 수용된 랩(10)의 인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최초 랩(10)을 사용시에는 케이스(1) 제작 과정에서 점착층(220)을 보호하고 있는 박리지(230)를 제거함으로 점착층(220)의 노출 사용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에, 랩(10)을 절단 사용시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권취된 랩(10)을 풀어 사용하되, 풀려진 랩(10)은 개방된 랩 수용공간(101)으로부터 본체(100)의 전면부(120) 측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길이로 인출 및 그 중간부를 본체(100)의 전면부(120)에 형성된 점착부(200)의 점착층(220)에 부착시키면 된다.
이때, 인출된 랩(10)은 그 점착층(220)을 중심으로 하여 인출된 위치가 절단 사용부(11)를 이루고, 점착층(220)에 부착되어 본체(100)의 전면부(120)에 밀착된 위치는 재사용부(12)를 이루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그 절단 사용부(11)를 외력을 가해 절곡시켜 절단수단(300)을 통해 절단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절단수단(30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샌드페이퍼(310)로 구성시에는 그 샌드페이퍼(3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숫돌입자의 거칠기에 의해 절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절단수단(300)을 도 4를 참조하여 톱니날부(321)로 구성시에는 그 톱니날부(321)의 돌출된 "산"을 통해 찢겨지는 형태로 절단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절단수단(300)을 적용함에 있어, 특히 샌드페이퍼(310)로 구성하게 되면 그 샌드페이퍼(310)는 숫돌입자를 통해 거칠기는 가지나 사용자의 손이 닿을시 그 부상은 방지되게 될 것이다.
즉, 본 발명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1)는, 인출된 랩(10)을 절단 사용하는 과정에서 절단수단(300)의 상부 위치가 점착층(220)에 부착 고정된 것인바, 절단 과정에서 랩(10)의 유동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그 용이한 절단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절단이 완료되게 되면 그 절단 사용부(11)는 랩(10)으로부터 분리되어 사용하면 되는 것이고, 절단수단(300)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재사용부(12)는 점착층(220)에 부착된 고정 상태를 이루어 접히거나 랩 수용공간(101)의 내측으로 달려들어가지 않는 것인바, 추후 재사용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점착층(220)은 도 7을 참조하여 랩(10)의 폭보다 소정 좁은 폭을 이루어 바탕지(210)에 비 점착부(221)를 이루게 되는 것인바, 이때 랩(10)의 점착층(220)에 부착되는 재사용부(12)는 점착층(220)에 해당하는 위치만 부착이 되고, 비 점착부(221)에 해당하게는 부착되지 않는 랩(10)은 분리부(13)를 이루는 것인바, 추후 재사용시 사용자는 그 분리부(13)를 통해 손가락으로 파지 및 점착층(220)으로부터 분리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그 재사용 또한 매우 편리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는, 랩을 절단 사용하는 과정에서 랩의 유동이 방지되게 되는 것인바, 그 절단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재사용시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그 구조를 단순화 하면서도 편리한 사용으로 케이스 제작에 따른 원가의 절감을 가져오게 된다.
100 : 본체 101 : 랩 수용공간
110 : 저면부 120 : 전면부
130 : 후면부 140 : 측면부
150 :덮개
200 : 점착부 210 : 바탕지
220 : 점착층 221 : 비 점착부
230 : 박리지
300 : 절단수단 310 : 샌드페이퍼
320 : 금속판 321 : 톱니날부

Claims (3)

  1. 저면부(110)와 전면부(120)와 후면부(130)와 양측의 측면부(140)를 이루어 상부로 개방되어 권취된 랩(10)이 수용되는 랩 수용공간(101)이 형성되고, 랩 수용공간(101)은 후면부(130) 상단과 연장되어 전면부(120)를 함께 덮어 마감하는 "ㄱ" 절곡형 덮개(150)로 개폐되는 본체(100);
    본체(100)의 전면부(120) 하단측에서 전면부(120)의 수평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랩(10)을 절단시 부착되거나 절단되고 남은 랩(10)이 부착 고정되는 점착부(200); 및
    본체(100)에 형성되며, 랩 수용공간(101)에서 인출되는 랩(10)의 절단이 가능하게 본체(100)의 수평 길이방향을 이루는 절단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점착부(200)는,
    본체(100)의 전면부(120) 하단측에 부착 고정되는 바탕지(210);
    바탕지(210)의 상부면에 도포 형성되는 점착층(220); 및
    점착층(220)을 덮어 보호하며 사용시 제거되는 박리지(23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점착층(220)의 수평 길이는 랩(10)의 폭 보다 좁게 구성하여, 점착층(220) 양측에 비 점착부(221)를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절단수단(300)은,
    "띠" 형태의 샌드페이퍼(310)로 구성하되,
    점착층(220)의 하부에서 바탕지(210)에 부착 고정되어 점착부(200)와 일체로 구성하며,
    하단이 전면부(120)의 하단과 접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절단수단(300)은,
    본체(100)의 저면부(110)에서 전방측에 형성되며, 전면부(12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톱니 형태를 이루는 톱니날부(321)를 갖는 금속판(320)으로 구성하되,
    점착부(200)와 톱니날부(321)는 본체(100)의 저면부(110)와 전면부(120)가 만나는 모서리부에서 서로 접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
KR1020170033531A 2017-03-17 2017-03-17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 KR20180106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531A KR20180106006A (ko) 2017-03-17 2017-03-17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531A KR20180106006A (ko) 2017-03-17 2017-03-17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006A true KR20180106006A (ko) 2018-10-01

Family

ID=63877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531A KR20180106006A (ko) 2017-03-17 2017-03-17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60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236104B2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roll of material
JP6271783B2 (ja)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JP2002274534A (ja) 包装用容器
US8387346B1 (en) Method of gift box wrapping
WO2017014240A1 (ja) 巻回ラップフィルム用内装部材および同部材を備えたラップフィルム製品
KR20180106006A (ko) 개선된 절단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
JP4632334B2 (ja) 包装用容器
JP2018122877A (ja) 巻回体用の包装箱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239444A (ja) 末端タブを有するティアーストリップを有するディスペンサー容器
JP2009292508A (ja) ラップフィルム用収納箱
JP6181262B2 (ja)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JPS58171333A (ja) 巻回フイルムの紙箱
JP3203681U (ja) 巻回ラップフィルム用内装部材およびラップフィルム製品
JP7110171B2 (ja) 収容箱
KR200490247Y1 (ko) 종이 절단날 구조를 갖는 랩 케이스
TW201410555A (zh) 捲繞體收納盒及裝有捲繞體之收納盒
JP6715287B2 (ja) 収容箱、および、カートン
JP2013039954A (ja)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JPH04102218U (ja) ラツプフイルムの収納ケース
US20060231564A1 (en) Dispenser for folders
JP5603760B2 (ja)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JP3105742U (ja) ラップフィルム収納箱
JPS6121370Y2 (ko)
KR200359942Y1 (ko) 종이 및 플라스틱 점착 시이트 적층체의 재충전이 가능한팝업 디스펜서
JP2542998B2 (ja) ラップフィルムの収納ケ―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