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165A - 화장료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5165A
KR20180105165A KR1020187022856A KR20187022856A KR20180105165A KR 20180105165 A KR20180105165 A KR 20180105165A KR 1020187022856 A KR1020187022856 A KR 1020187022856A KR 20187022856 A KR20187022856 A KR 20187022856A KR 20180105165 A KR20180105165 A KR 20180105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ain body
contact
lid body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유키 카미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80105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45D2040/208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the relative movement being made by a rotating action, e.g.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체(2) 및 뚜껑체(3)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감합시에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33, 222) 중 일방을 캠면(332), 타방을 종동면(224)으로 하고, 캠면(332)과 종동면(224)은 본체(2)에 대한 뚜껑체(3)의 회전에 따라 본체(2)와 뚜껑체(3)가 상대적으로 회전축(AX)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체(2)에 대한 뚜껑체(3)의 회전에 의해, 본체(2)와 뚜껑체(3)는 접촉면(33, 222)이 서로 접촉해서 자력에 의해 유지된 감착 위치와, 접촉면(33, 222)이 자력에 저항해서 서로 떨어진 이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Description

화장료 용기
본 발명은 화장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술 연지 등의 화장료를 수용하는 본체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감합하는 뚜껑체와, 자력에 의해 본체와 뚜껑체를 감착 상태로 유지하는 자석을 구비한 화장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장료를 수용하는 본체와, 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감합하는 뚜껑체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감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본체 및 뚜껑체의 각각의 접합면에 자석을 부착하는 기술이 예전부터 알려져있다.(특허문헌 1)
그리고, 감착 유지용의 자석을 부착한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감합할 때 동극끼리가 대향하는 것을 회피하고 이극끼리가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하기 위해서, 본체 및 뚜껑체의 외주면에 안표를 형성하는 기술도 있다.(특허문헌 2)
더욱이, 자력만의 위치 결정에 의해서는 다소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때문에, 본체측에 단차부를 형성하고, 그 단차부에 결합하는 오목부를 뚜껑체측에 형성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위치 결정을 행하는 기술도 알려져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57-187117호 공보 일본 특허 제5480553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와 같이, 자력만으로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해서는 강한 자력을 갖는 자석을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뚜껑체를 본체로부터 이탈할 때 자력에 저항하는 강한 인장력이 필요로 되어 이탈하기 어렵다고 하는 난점이 있다.
또한, 화장료 용기는 가방 등에 넣어서 휴대하는 경우도 많아서, 화장료 용기로부터 누설되는 자력이 강하면 같은 가방 내에 있는 각종 전자기기나 각종 자기카드 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지만, 상기 특허문헌에는 화장료 용기로부터 누설되는 자력을 억제하는 것이나, 뚜껑체를 본체로부터 이탈하기 쉽게 하는 것에 대해서 전해 기재도 시사도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자력에 의해 본체와 뚜껑체의 감착 상태를 유지하는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자력으로 감합할 때의 흡착하는 듯한 기분 좋은 느낌을 손상시키지 않고 누설되는 자력을 억제하고, 또한 뚜껑체를 본체로부터 이탈하기 쉽게 함과 아울러, 본체와 뚜껑체의 회전 방향의 소정 위치로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화장료 용기는 화장료를 수용하는 본체와, 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감합하는 뚜껑체와, 자력에 의해 본체와 뚜껑체를 감착 상태로 유지하는 적어도 1조의 자석 셋트를 구비한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본체 및 뚜껑체의 각각이 감합시에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고,
접촉면은 본체와 뚜껑체의 상대적 회전에 의해 본체와 뚜껑체가 회전 방향의 소정 위치로 위치 결정되어서 접촉하는 위치와, 그 소정 위치로부터 벗어나 본체와 뚜껑체가 회전의 축방향으로 이간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뚜껑체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체가 상기 접촉면이 서로 접촉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뚜껑체가 자력에 의해 상기 소 정 위치에 감착 상태로 유지된 감착 위치와, 상기 접촉면이 자력에 저항해서 서로 떨어진 상기 소정 위치로부터 벗어난 이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감합하는 뚜껑체」란, 본체와 뚜껑체가 감합된 상태에서 본체와 뚜껑체의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어느 하나가 고정되고 타방이 회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양방이 회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 접촉면은 본체와 뚜껑체의 상대적 회전에 의해 본체와 뚜껑체가 회전 방향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서 접촉하는 위치와, 그 소정 위치로부터 벗어나 본체와 뚜껑체가 회전의 축방향으로 이간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그들의 접촉면 중 일방에 오목부, 타방에 그 오목부에 접촉하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회전에 의해 오목부가 볼록부에 얹힘으로써 본체와 뚜껑체가 이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이간하는」이란, 본체와 뚜껑체가 떨어지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이접하는」이란 본체와 뚜껑체가 떨어지거나 접촉하거나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체와 뚜껑체란, 그 접촉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호 상에 형성된 오목부를 따라 타방에 형성된 볼록부가 본체에 대하여 뚜껑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는 관계에 있고, 이것에 의해 본체에 대하여 뚜껑체를 회전 시킴으로써 뚜껑체를 본체로부터 이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의 조합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호 상에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용기는 본체를 원통으로 하고, 이 원통 중으로 조출 가능한 화장료 예를 들면 립스틱을 수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용기는 감착 상태에 있어서 뚜껑체의 외주면과 본체의 기단부의 외주면이 동일 높이면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용기는 본체 및 뚜껑체의 상기 회전축의 방향으로 직교하는 각각의 단면 형상이 1개의 직선에 관해서 선대칭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용기는 자석 셋트를 복수조 구비해도 좋다.
여기에서, 자석 셋트란, 일방이 본체의 접촉면에 형성되고, 타방이 뚜껑체의 접촉면에 형성된 S극과 N극의 조합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자석 셋트의 일방은 상기 상대하는 접촉면의 일방에 있어서 N극이 타방을 향하고, 상기 자석 셋트의 타방은 상기 상대하는 접촉면의 타방에 있어서 S극이 상기 상대하는 접촉면의 일방을 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동일한 접촉면에는 같은 극성의 자극이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용기는 감착 상태에 있어서 자석 셋트로부터 누설되는 자력이 500가우스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용기에 의하면, 자력에 의해 본체와 뚜껑체의 감착 상태를 유지하는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본체와 뚜껑체의 감합시에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이 본체와 뚜껑체의 상대적 회전에 의해 본체와 뚜껑체가 회전 방향의 소정 위치로 위치 결정되어서 접촉하는 위치와, 그 소정 위치로부터 벗어나 본체와 뚜껑체가 회전의 축방향으로 이간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대적 회전에 의해 접촉면이 서로 접촉해서 본체와 뚜껑체가 자력에 의해 소정 위치에 유지된 감착 위치와, 접촉면이 자력에 저항해서 서로 떨어진 소정 위치로부터 벗어난 이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결정은 자력에만 의하지 않으므로, 자석의 자력을 크게 할 필요가 없어서 누설되는 자력을 억제할 수 있고, 뚜껑체를 본체로부터 이탈하기 쉽게 할 수 있어서, 접촉면의 형상에 의해 본체와 뚜껑체의 회전 방향의 소정 위치로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감각으로서는, 예를 들면 본체를 잡고 뚜껑체를 회전해서 소정 위치에 가까운 위치에 왔을 때, 뚜껑체가 흡입되도록 자력에 의해 소정 위치에 감착되므로, 자력에 의해 감합할 때의 흡착되는 듯한 기분 좋은 느낌을 손상시키지 않고, 자동적으로 위치 결정과 감착이 된다고 하는 느낌이 얻어진다.
도 1은 화장료 용기의 감착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화장료 용기의 이탈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화장료 용기의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화장료 용기의 뚜껑체의 저면도이다.
도 5a는 화장료 용기의 감착 및 이탈의 추이를 나타내는 모식도(그 1)이다.
도 5b는 화장료 용기의 감착 및 이탈의 추이를 나타내는 모식도(그 2)이다.
도 5c는 화장료 용기의 감착 및 이탈의 추이를 나타내는 모식도(그 3)이다.
도 5d는 화장료 용기의 감착 및 이탈의 추이를 나타내는 모식도(그 4)이다.
도 6은 화장료 용기의 볼록부 및 오목부의 조합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그 1)이다.
도 7은 화장료 용기의 볼록부 및 오목부의 조합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그 2)이다.
도 8은 화장료 용기의 볼록부 및 오목부의 조합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그 3)이다.
도 9는 화장료 용기의 볼록부 및 오목부의 조합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그 4)이다.
도 10은 화장료 용기의 볼록부 및 오목부의 조합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그 5)이다.
도 11은 화장료 용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화장료 용기와 다른 화장료 용기의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화장료 용기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인 화장료 용기(1)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화장료 용기(1)는, 예를 들면 입술 연지(립스틱, 립컬러, 립라이너, 립크림, 립글로스, 립에센스를 포함한다) 등의 스틱 형상의 입술용 화장료를 수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용기는 스틱 형상의 입술용 화장료에 한하지 않고, 본체에 대하여 뚜껑체가 회전 가능한 감착부를 갖는 형태의 용기이면, 어떠한 화장료를 수용하는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디스펜서식이나 펌프식의 화장료 용기 등을 들 수 있다.
화장료 용기(1)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2)와, 본체(2)에 대하여 회전축(AX)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감합하는 뚜껑체(3)로 주로 구성된다. 도 1은 본체(2)와 뚜껑체(3)가 감착하고 있는 상태, 도 2는 본체(2)와 뚜껑체(3)가 이탈하고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은 본체(2)의 평면도, 도 4는 뚜껑체(3)의 저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체(2)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립스틱을 수용하는 기둥 형상부(21)와, 기둥 형상부(21)의 외경보다 큰 외형 치수를 갖는 기단부(22)로 주로 구성된다. 기둥 형상부(21)는 상단에 개구(211)를 갖는 원통이며, 이 중에 도시하지 않은 립스틱이 개구(211)로부터 삽입되어서 유지된다.
화장료 용기(1)는 기둥 형상부(21)에 대해서 기단부(22)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기둥 형상부(21)를 유지하면서 기단부(22)를 회전시킴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립스틱을 개구(211)로부터 조출 가능하게 하는 도시하지 않은 공지의 조출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뚜껑체(3)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다. 그리고, 뚜껑체(3)는 기둥 형상부(21)가 삽입통과하는 삽입통과 구멍(31)을 하단(뚜껑체(3)에 관해서는 도 2에 있어서 상하가 역으로 도시되어 있음)에 갖고 있다. 본체(1)의 기단부(22)와 뚜껑체(2)의 외주면의 형상은 특히 감착부에 있어서 거의 동일하고, 도 1에 나타내는 감착 상태에서는 전체가 하나의 합쳐진 형상을 이루고 있다. 물론, 뚜껑체(1)의 외주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가능한 범위에서 가늘어지거나, 원형으로부터 변형된 디자인으로 해도 좋다.
화장료 용기(1)는 기단부(22)의 상단을 구성하는 단차면(222)과 뚜껑체(3)의 하단면(33)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감착한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감착 상태에 있어서 기단부(22)의 외주면(221)과 뚜껑체(3)의 외주면(32)은 동일한 높이면으로 된다. 단차면(222) 및 끝면(33)의 각각이 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접촉면」에 대응한다.
도 3 및 도 4로부터 명백해지듯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단부(22) 및 뚜껑체(3)의 높이 방향, 즉 회전축(AX) 방향에 직교하는 각 단면의 윤곽은 곡률이 다른 복수의 원호를 연속시킨 비원형의 형상이다. 그리고, 각 단면은 회전축(AX)과 교차하는 1개의 선에만 관해서 선대칭으로 되어 있다. 즉 2개 이상의 선에 관해서는 대칭으로 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각 단면의 윤곽으로서는 도시한 형상 이외에, 예를 들면 하트형, 초승달형, 이등변 삼각형 등이 있다. 물론, 이들 이외에도 상기 대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임의의 형상으로 디자인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외주면(221)과 외주면(32)이 동일 면높이로 되어서 감착하는 위치는 일의적으로 정해져 있다. 화장료 용기(1)는 감착하는 위치가 일의적으로 정해지도록 선대칭 직선(L)이 1개 이하(선대칭 직선(L)이 0개란, 어느 방향으로도 비대칭인 형상을 의미함)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대칭 직선(L)을 1개만으로 한 것은 기호에도 의하지만, 미관을 고려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용기는 선대칭 직선(L)이 2개 존재하는 장방형이나 타원형, 3개 존재하는 정삼각형, 4개 존재하는 정방형이나, 무수하게 존재하는 원형 등의 외형을 갖는 것도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차면(222)에는 2개의 본체 자석(23)이 회전축(AX) 상에 중심을 갖는 원주 방향으로 180도 이외의 소정 각도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끝면(33)에도 2개의 뚜껑체 자석(34)이 회전축(AX) 상에 중심을 갖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소정 각도와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감착하는 위치에 있어서 본체 자석(23)이 뚜껑체 자석(34)에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각각 2개의 본체 자석(23) 및 뚜껑체 자석(34)은 감착하는 위치에 있어서, 다른 자극끼리가 서로 대면해서 자착(磁着)하는 자극을 갖고 있다. 본체 자석(23) 및 뚜껑체 자석(34)은 서로 자착함으로써, 본체(2)와 뚜껑체(3)가 감착한 상태를 유지한다. 감착하는 위치에 있어서, 다른 자극끼리가 대면하는 위치에 부착된 본체 자석(23)과 뚜껑체 자석(34)의 조합이 자석 셋트가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2개의 본체 자석(23)은 모두 N극, 2개의 뚜껑체 자석(34)은 모두 S극이고, 본체(2)와 뚜껑체(3)에는 모두 동일한 극성이 표면을 향한(노출한) 자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동일하지 않고 반대의 극으로 해도 좋다. 즉, 2개의 본체 자석(23) 중 일방이 N극이고 타방이 S극을 접촉면에 노출하고, 마주하는 2개의 뚜껑체 자석(34) 중 본체 자석(23)의 N극에 마주하는 쪽이 S극이고 타방이 N극이 되도록 해도 좋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제조 공정에 있어서 자석을 매립할 때에 자석의 위치에 의해 극성을 바꾸지 않으면 안되어, 조립 작업이 번잡해진다고 하는 불이익이 있으므로, 도시한 실시형태와 같이 자석은 동일 방향으로 매립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석 셋트는 2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1조 이상이면 좋다. 그러나, 1조일 경우에 화장료 용기(1)로부터의 누설되는 자력이 국소적으로 강해질 가능성도 있고, 적어도 2조 이상으로 해서 누설되는 자력을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 자석(23) 및 뚜껑체 자석(34)을 부착하는 위치는 단차면(222) 및 끝면(3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체 자석(23)은 기둥 형상부(21)의 외주면(212), 뚜껑체 자석(34)은 뚜껑체(3)의 내주면(35)에 부착해도 좋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 자석(23) 및 뚜껑체 자석(34)은 대략 원형이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직사각형 형상, 링 형상 등의 형상이어도 좋다. 본체 자석(23) 및 뚜껑체 자석(34)은 선대칭 직선(L)에 대하여 선대칭한 위치에 각각 부착되어 있지만, 특별히 제한시키는 것은 아니다. 감착 상태에 있어서, 다른 자극끼리가 대면하는 위치이면, 어디에 있어도 좋다.
본체(2) 및 뚜껑체(3)의 외주면의 윤곽에 선대칭 직선(L)이 복수 존재하면, 외주면(221)과 외주면(32)이 동일 높이면이 되는 감착 위치가 복수 존재한다. 복수의 감착 위치의 모두가 허용되는 경우, 본체 자석(23) 및 뚜껑체 자석(34)의 각 설치 위치는 감착하는 위치가 다른 자극끼리가 대면하는 위치이면 좋다.
그러나, 예를 들면 로고나 마크 등이 외주면(221)과 외주면(32)의 양방에 걸쳐서 인쇄되어, 복수의 감착 위치 중 특정 위치에서만 그 내용을 시인할 수 있는 경우에는, 본체 자석(23) 및 뚜껑체 자석(34)은 그 특정 위치에 있어서만 다른 자극끼리가 대면하도록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본체 자석(23)은 감착할 때에 N극이 끝면(33)과 대면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뚜껑체 자석(34)은 감착할 때, S극이 단차면(222)에 대면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들 자석은 감착할 때에 모든 본체 자석(23)은 S극이 끝면(33)과 대면하도록, 모든 뚜껑체 자석(34)은 N극이 단차면(222)과 대면하도록, 실시형태와는 반대 극성이 되도록 부착해도 좋다.
자석 셋트가 복수 조 있을 경우, 자극의 방향을 일치시켜 부착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S극과 N극을 교대로 배열한 부착과 비교하여, 제조시의 시간이 절약되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체 자석(23) 및 뚜껑체 자석(34)에는 가방이나 포켓에 넣었을 때에 카드나 메모리 등 자기의 영향을 받는 기타 물체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공지의 자력 센서를 사용한 공지의 방법으로 측정했을 경우, 감착 상태에 있어서 화장료 용기(1)로부터 누설되는 자력이 500가우스 이하가 되는 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력을 500가우스 이하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자석을 약하게 하는 것 이외에, 강한 자석을 이용해도, 예를 들면 단차면(222)이나 끝면(33)의 폭을 크게 해서, 자석으로부터 화장료 용기(1)의 외주면까지의 거리를 크게 하거나 자석을 분산시켜서 설치하거나 함으로써도 실현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차면(222)은 단차면(222) 상에 형성된 2개의 볼록부(223)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끝면(33)은 끝면(33) 상에 형성된 2개의 매끄러운 오목부(331)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볼록부(223) 및 오목부(331)는 감착하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결합한다.
도 5a∼5d는 볼록부(223) 및 오목부(331)의 감착 및 이간에 있어서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5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볼록부(223)는 볼록부(223)를 제외한 단차면(222)에 대하여 융기한 만곡면을 갖고, 오목부(331)는 오목부(331)를 제외한 끝면(33)에 대하여 오목한 만곡면을 갖고 있다. 그리고, 볼록부(223)의 만곡면이 종동면(224), 오목부(331)의 만곡한 면이 캠면(332)이 된다.
단차면(222)과 끝면(33)이 가까워지면, 캠면(332)과 종동면(224)이 접촉한다 (도 5a 참조). 그리고, 본체 자석(23)과 뚜껑체 자석(34)이 서로 맞당기는 힘이 강해져서, 캠면(332)이 종동면(224) 상을 매끄럽게 슬라이딩한다(도 5b 참조).
그리고, 캠면(332)과 종동면(224)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캠 기구와 자석 셋트의 작용에 의해, 본체(2) 및 뚜껑체(3)는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축(AX) 방향 중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캠면(332)과 종동면(224)이 일치할 때까지 슬라이딩하면, 볼록부(223)와 오목부(331)가 자석 셋트의 맞당기는 자력에 의해 끌어당겨서 결합한다(도 5c 참조). 이때, 뚜껑체(3)를 회전시키는 손가락의 감촉으로서는 회전하는 힘을 어시스트한다고 하는 것보다, 그 힘을 초과하여 자동적으로 감착 위치로 끌어당겨진다고 하는 느낌을 받는다. 이렇게 해서 본체 자석(23)과 뚜껑체 자석(34)이 자착하고, 뚜껑체(3)는 본체(2)에 대하여 소망의 감착 위치에서 위치 결정된다. 자석 셋트에 의해 감착 상태가 유지된다.
재차, 뚜껑체(3)를 본체(2)로부터 이간시키기 위해 본체(2)에 대하여 뚜껑체(3)를 회전축(AX)의 주위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자력에 저항하여 종동면(224)이 캠면(332) 상을 슬라이딩하여(도 5d 참조), 상술한 캠 기구의 작용에 의해 뚜껑체(20)를 회전축(AX)의 주위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본체(2) 및 뚜껑체(3)가 서로 이간하는 회전축(AX) 방향의 힘으로 변환되어, 종동면(224)에 캠면(332)이 얹혀져서 본체(2) 및 뚜껑체(3)가 서로 이간한다.
이때, 뚜껑체(3)를 회전시키는 손가락의 감촉으로서는 자력에 저항하면서 뚜껑체(3)를 회전시킬 힘을 필요로 하고, 손가락을 떼면 뚜껑체(3)는 자력에 의해 본래의 감착 위치로 되돌아가려는 바이어싱력을 느낀다. 본체(2)와 뚜껑체(3)가 서로 이간하여 회전축(AX) 방향으로 이동하면, 감착이 해제되어서 쉽게 뚜껑체(3)를 본체(2)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상술한 캠 기구는 본체(2)의 볼록부(223) 및 뚜껑체(3)의 오목부(331)의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반대로,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뚜껑체(3)의 끝면(33)이 볼록부(333)를 본체(2)의 단차면(222)이 오목부(225)를 각각 가져도 좋다. 그리고, 볼록부(333)의 만곡한 면을 종동면(334), 오목부(225)의 만곡한 면을 캠면(226)으로 해도 좋다.
또한, 종동면(224) 및 캠면(332)은 만곡한 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종동면(224)은 볼록부(223)를 제외한 단차면(222)에 대하여 경사진 면이어도 좋고, 캠면(332)은 오목부(331)를 제외한 끝면(33)에 대하여 경사진 면이어도 좋다. 또한, 경사진 면을 사용하는 것은 종동면(334) 및 캠면(226)(도 6 참조)에 적용해도 좋다. 그 경우, 각각의 면은 전체로서는 매끄럽지 않게 되지만, 끝면(33)에 형성되는 오목부(331)의 끝면(33)에 인접하는 경사면이 완만한 경사면이면, 종동면(334)이 움푹 들어간 오목부(331)에 용이하게 안내되어서 종동하므로 매끄러운 움직임이 확보된다.
종동면(224) 및 캠면(33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로 결합했을 때, 적어도 그 일부가 대략 간극 없이 상보하여 있으면 좋다. 종동면(334)및 캠면(226)(도 6 참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볼록부(223) 및 오목부(331)는 1개씩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볼록부(223) 및 2개의 오목부(331)는 크기가 서로 달라도 좋다. 또한,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볼록부(223) 및 오목부(331)는 4개씩, 즉 복수이어도 좋다. 볼록부(333) 및 오목부(225)(도 6 참조)도 마찬가지이다.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 형상의 본체(4)와, 회전축(B)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본체(4)에 감합하는 뚜껑체(5)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용기(6)에도 적용해도 좋다. 그리고, 본체(4)의 단차면(41)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뚜껑체의 끝면(51)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형성해도 좋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용기(E)를 화장료 용기와 자석 셋트에 의해 감착 상태가 유지되는 타입의 다른 화장료 용기(A∼D)와 비교해서 각종 측정을 행하고, 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각 측정 내용은 뚜껑체를 본체에 대하여 회전시키지 않고, 높이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이탈시키는데 필요한 힘(N), 뚜껑체를 회전시키면서 잡아당겨서 이탈시키는데 필요한 힘(단위 뉴톤: N), 및 감착 상태에 있어서 누설되는 자력(단위 가우스: G)이다.
화장료 용기 A∼C는 볼록부 및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캠 기구를 구비하지 않고, 자석만으로 감착을 유지하는 구조이다. 화장료 용기 A는 1조의 링 형상의 자석 셋트를 부착한 것, 화장료 용기 B는 2조의 원기둥 형상의 자석 셋트를 부착한 것, 화장료 용기 C는 4조의 원기둥 형상의 자석 셋트를 부착한 것이다.
화장료 용기 D는 4조의 원기둥 형상의 자석 셋트를 부착하고, 또한 볼록부 및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 위치 결정 구조는 단순한 요철의 감합이어서 회전하고자 해도 볼록부 및 오목부가 서로 슬라이딩하지 않아서, 감착 상태에 있어서 본체에 대한 뚜껑체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억제하는 것이다.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화장료 용기는 자력이 비교적으로 약한 자석 셋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화장료 용기(1)는 잡아당기기만 하는 경우 및 회전시키면서 잡아당기는 경우의 양방에 있어서도 화장료 용기 A∼D와 비교하여 약한 힘으로 탈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캠면(332)(오목부)과 종동면(볼록부)(224)의 캠 기구에 의해, 본체(2)의 뚜껑체(3)에 대한 회전에 따라 본체(2)와 뚜껑체(3)가 회전축(AX)의 축방향으로 근접 또는 이간하기 때문에, 매끄러운 감착 및 탈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자력을 받으면서의 탈착 및 자력에 저항하면서의 탈착은 사용자에 대하여 양호한 사용감, 중후감, 고급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용기는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등의 눈화장용 화장료를 수용하는 용기나, 액체 또는 반액체상의 피부 외용제로서의 화장료를 수용하는 용기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체(2)와 뚜껑체(3)의 접촉면(222, 33) 상에 형성된 종동면(224)과 캠면(332)은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한 원호 상에 간격(예를 들면 180도)을 두고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은 360도 전체에 솟아오른 캠면(단차)으로 할 수도 있다. 그러한 실시형태를 이하 도 13에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이것은 회전축(AX)과 동축의 본체(12)와 뚜껑체(13)로 이루어지고, 본체(12)의 기단부(12A) 상에 화장료를 토출하는 푸시식의 토출부(12B)가 고정 설치된 화장료 용기이다.
본체(12)와 뚜껑체(13)는 회전축(AX)에 수직한 단면 형상이 원이 아니라, 1축에 대칭한 이형을 하고 있고, 외형으로부터 본체에 뚜껑체를 감합할 때의 위치는 한눈에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기단부(12A)의 상면(12C)에는 상면(12C)과 동일한 형태이고 1회전 작은 단차(14)가 있고, 그 위에 토출부(12B)가 고정되어 있다. 단차(14)는 측면이 되는 사면(14A)에 둘러싸인 변형 3각형의 상면(14B)을 갖고 있다.
뚜껑체(13)는 감착시에 본체의 기단부(12A)의 상면(12C)에 접촉하는 접촉면(13A)과, 본체(12)의 단차(14)를 수용하는 오목부(13B)와, 토출부(12B)를 수용하는 원형 단면의 수용 구멍(13C)을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13B)의 내면은 단차(14)의 외면을 거의 따라서 단차(14)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본체(12)와 뚜껑체(13)의 접촉면(12C, 13A) 또는 단차(14)의 외면과 오목부(13B)의 내면에는 맞당기는 자석이 매립되어 있다.
이 제 3 실시형태의 화장료 용기를 개폐할 때에는 감착 상태로부터 뚜껑체(13)를 본체(12)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뚜껑체(13)는 본체(12)의 단차(14)에 얹혀서 본체(12)로부터 이탈한다. 감합할 때에는 외형에 맞춰서 뚜껑체(13)를 본체(12)에 씌우면, 단차(14)의 사면을 따라 위치 결정됨과 동시에, 자력에 의해 그 위치에 흡착된다. 이 경우, 14A가 캠면으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적당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1, 6: 화장료 용기
2, 4: 본체
3, 5: 뚜껑체
21: 기둥 형상부
22: 기단부
23: 본체 자석
32: 외주면(뚜껑체)
33, 51: 끝면(접촉면)
34: 뚜껑체 자석
41, 222: 단차면(접촉면)
221: 외주면(기단부)
223, 333: 볼록부
224, 334: 종동면
225, 331: 오목부
226, 332: 캠면

Claims (12)

  1. 화장료를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감합하는 뚜껑체와, 자력에 의해 상기 본체 및 상기 뚜껑체를 감착 상태로 유지하는 적어도 1조의 자석 셋트를 구비한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뚜껑체의 각각이 상기 감합시에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체의 상대적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체가 회전 방향의 소정 위치로 위치 결정되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체가 접촉하는 위치와, 상기 소정 위치로부터 벗어나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체가 상기 회전의 축방향으로 이간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뚜껑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체가 상기 접촉면이 서로 접촉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뚜껑체가 자력에 의해 상기 소정 위치에 감착 상태로 유지된 감착 위치와, 상기 접촉면이 자력에 저항해서 서로 떨어진 상기 소정 위치로부터 벗어난 이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
  2. 화장료를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감합하는 뚜껑체와, 자력에 의해 상기 본체 및 상기 뚜껑체를 감착 상태로 유지하는 적어도 1조의 자석 셋트를 구비한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뚜껑체의 각각이 상기 감합시에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고, 상기 접촉면 중 일방이 캠면, 타방이 상기 캠면 상을 종동하는 종동면을 포함하고, 상기 캠면과 상기 종동면은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뚜껑체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체가 상대적으로 회전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뚜껑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체는 상기 접촉면이 서로 접촉하여 상기 본체 및 상기 뚜껑체가 자력에 의해 감착 상태로 유지된 감착 위치와, 상기 접촉면이 자력에 저항해서 서로 떨어진 이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과 상기 종동면의 일방이 상기 접촉면 중 일방에 형성된 오목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캠면과 상기 종동면의 타방이 상기 접촉면의 타방에 상기 오목부에 접촉하는 볼록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오목부가 상기 볼록부에 얹힘으로써 상기 본체와 뚜껑체가 이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화장료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의 조합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호 상에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원통이며, 상기 원통 중에 조출 가능한 립스틱이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외주면이 동일 높이면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뚜껑체의 상기 회전축의 방향에 직교하는 각각의 단면 형상이 1개의 직선에 관해서 선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셋트를 복수조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셋트의 일방이 상기 접촉면 중 일방에 설치되고, 상기 타방이 상기 접촉면 중 타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셋트의 일방은 상기 상대하는 접촉면의 일방에 있어서 N극이 타방을 향하고, 타방은 상기 상대하는 접촉면의 타방에 있어서 S극이 상기 일방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자석 셋트로부터 누설되는 자력이 500가우스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
  12. 화장료를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감합하는 뚜껑체와, 자력에 의해 상기 본체 및 상기 뚜껑체를 감착 상태로 유지하는 적어도 1조의 자석 셋트를 구비한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뚜껑체의 각각이 상기 감합시에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고, 상기 접촉면 중 일방이 캠면, 타방이 상기 캠면 상을 종동하는 종동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용기.
KR1020187022856A 2016-02-12 2017-02-10 화장료 용기 KR201801051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25322 2016-02-12
JP2016025322A JP6725256B2 (ja) 2016-02-12 2016-02-12 化粧料容器
PCT/JP2017/004890 WO2017138630A1 (ja) 2016-02-12 2017-02-10 化粧料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165A true KR20180105165A (ko) 2018-09-27

Family

ID=59563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856A KR20180105165A (ko) 2016-02-12 2017-02-10 화장료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053603A1 (ko)
EP (1) EP3415034A4 (ko)
JP (1) JP6725256B2 (ko)
KR (1) KR20180105165A (ko)
CN (1) CN108601436A (ko)
TW (1) TW201733491A (ko)
WO (1) WO2017138630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352A (ko) * 2019-06-24 2021-01-05 주식회사 노바텍 자기 감속을 하는 캡을 가진 용기
KR102212610B1 (ko) * 2020-01-08 2021-02-04 김용휘 화장품용기에 자석을 자동화로 장착하는 방법
JP2021069537A (ja) * 2019-10-30 2021-05-06 株式会社コーセー 棒状化粧料収納容器
KR20210089441A (ko) * 2020-01-08 2021-07-16 김용휘 자석을 구비한 화장품용기
KR20210089438A (ko) * 2020-01-08 2021-07-16 김용휘 화장품용기에 자석을 자동화로 장착하는 방법
KR20210137667A (ko) * 2020-05-11 2021-11-18 서대식 마그네틱 개폐형 립스틱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35567A1 (en) * 2014-11-19 2016-05-19 Ejaz Kamboj Multiple cosmetic holder and applicator
USD856587S1 (en) * 2015-11-19 2019-08-13 Ejaz Kamboj Holder for cosmetics and applicator
JP2019092711A (ja) * 2017-11-21 2019-06-20 花王株式会社 化粧品容器
USD895432S1 (en) * 2017-12-01 2020-09-08 Acro Inc. Bottle for packaging
USD915676S1 (en) 2018-06-04 2021-04-06 Ejaz Kamboj Cosmetic holder
JP7184572B2 (ja) * 2018-09-03 2022-12-06 株式会社 資生堂 キャップ付き容器
CN109693938B (zh) * 2018-12-14 2024-03-22 汕头市东方科技有限公司 一种炒片机锅盖自动搬运系统
JP7351741B2 (ja) * 2019-12-23 2023-09-27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料繰出容器
FR3106477B1 (fr) * 2020-01-24 2021-12-17 Qualipac Sa Ensemble formant une coiffe pour un conteneur de produit cosmétique comportant deux éléments et un moyen de désolidarisation
JP7237226B1 (ja) 2022-07-20 2023-03-10 株式会社コーセー 蓋付き化粧液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570Y2 (ja) * 1978-08-11 1984-02-10 株式会社飛弾製作所 棒状化粧品容器
JPS57187117U (ko) * 1981-05-22 1982-11-27
JPS58174026U (ja) * 1982-05-19 1983-11-21 ポ−ラ化成工業株式会社 コンパクト
JPS6215715U (ko) * 1985-07-12 1987-01-30
JP3953594B2 (ja) * 1997-09-18 2007-08-08 紀伊産業株式会社 化粧料容器
FR2854039B1 (fr) * 2003-04-22 2006-09-08 Techpack Int Distributeur d'un produit, typiquement un produit cosmetique, a support magnetique
US8317048B2 (en) * 2008-08-11 2012-11-27 Louis Hajichristou Self-actuating closure mechanisms for closable articles
JP5480553B2 (ja) * 2009-08-03 2014-04-23 株式会社ヒダン 化粧料容器
KR200474398Y1 (ko) * 2012-11-13 2014-09-12 바이올렛드림 주식회사 화장품 케이스
GB2514578B (en) * 2013-05-29 2016-09-07 Chou Yu-Hsing Lipstick case
JP3186606U (ja) * 2013-08-02 2013-10-17 株式会社トンボ鉛筆 繰出し容器用キャップ
CN205018499U (zh) * 2015-04-15 2016-02-10 天津瑞德斯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便携式化妆品包装管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352A (ko) * 2019-06-24 2021-01-05 주식회사 노바텍 자기 감속을 하는 캡을 가진 용기
JP2021069537A (ja) * 2019-10-30 2021-05-06 株式会社コーセー 棒状化粧料収納容器
KR102212610B1 (ko) * 2020-01-08 2021-02-04 김용휘 화장품용기에 자석을 자동화로 장착하는 방법
KR20210089441A (ko) * 2020-01-08 2021-07-16 김용휘 자석을 구비한 화장품용기
KR20210089438A (ko) * 2020-01-08 2021-07-16 김용휘 화장품용기에 자석을 자동화로 장착하는 방법
KR20210137667A (ko) * 2020-05-11 2021-11-18 서대식 마그네틱 개폐형 립스틱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15034A1 (en) 2018-12-19
JP2017140318A (ja) 2017-08-17
US20190053603A1 (en) 2019-02-21
TW201733491A (zh) 2017-10-01
EP3415034A4 (en) 2019-12-11
CN108601436A (zh) 2018-09-28
JP6725256B2 (ja) 2020-07-15
WO2017138630A1 (ja) 201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5165A (ko) 화장료 용기
US6382450B1 (en) Packaging device equipped with a system for relative positioning
KR102394166B1 (ko) 탈착식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설계된 베이스 및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디스펜싱 장치
US20140093299A1 (en) Packaging device having an adjustable magnetic closure system
US6707763B2 (en) Closure cap including timer and cooperating switch member and associated methods
CN103241461B (zh) 具有可旋扭的盖的化妆品盒
US10945510B2 (en) Cosmetic container with magnetic closure
EP2842884A1 (en) Cap for a container
JP2011030823A (ja) 化粧料容器
KR20150003381U (ko) 자석의 자기력을 활용한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70078280A (ko)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회전식 콤팩트 용기
CN108041792A (zh) 口红管
EP3047753B1 (en) Liquid content container comprising tension member
JP2016016879A (ja) 補助具付き広口容器
US20170333285A1 (en) Medication vial covers
JP5270785B1 (ja) 容器
KR20170002852U (ko) 화장품 용기
KR101208870B1 (ko) 화장품 용기
US4166707A (en) Swivel lipstick or the like container
KR20210122143A (ko) 화장품용 재충진 가능 컨테이너 장치 및 연관된 재충진부
US20190127119A1 (en) Container
KR102067015B1 (ko) 펜슬형 화장 도구
KR101591588B1 (ko) 조립식 화장용 도구
KR102484068B1 (ko) 스틱형 용기
US11745920B2 (en) Application container with weakened por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