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392A - apparatus for automatic arraying and cutting steel ba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utomatic arraying and cutting steel b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392A
KR20180104392A KR1020170031063A KR20170031063A KR20180104392A KR 20180104392 A KR20180104392 A KR 20180104392A KR 1020170031063 A KR1020170031063 A KR 1020170031063A KR 20170031063 A KR20170031063 A KR 20170031063A KR 20180104392 A KR20180104392 A KR 20180104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divided
reinforcing bars
conveyor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0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08990B1 (en
Inventor
정춘호
Original Assignee
정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춘호 filed Critical 정춘호
Priority to KR1020170031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990B1/en
Publication of KR20180104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3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9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 alignment and cutting of a steel bar so that productivity and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means of stable steel bar supply and remnant recover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ing supply device provided with divided conveying conveyor unit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bar such that the steel bar seated on the upper surface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a connection supply device disposed apart from the rear end portion of the conveying supply device and provided with a supply inclined surface in the rear end portion of divided supply conveyor unit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bar such that the steel bar supplied from the conveying supply device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an elevating supply device disposed to overlap the divided conveying conveyor unit and the divided supply conveyor unit and elevated upwards and downwards by elevating means such that the steel bar supplied from the conveying supply device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during lifting and the seated steel bar is moved through the connection supply device during lowering; and a stepwise separation suppl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steps tapered upwards such that the steel bars supplied through the supply inclined surface are separated one by one and transpo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a cutting unit such that the separated steel bars correspond to a preset number.

Description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arraying and cutting steel ba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의 공급 및 잔량 회수를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생산성 및 효율성이 개선된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aligning and cutting apparatus for a reinforcing ste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inforcing steel automatic aligning and cutting apparatus improved in productivity and efficiency by stably supplying reinforcing bars and recovering the remaining amount.

일반적으로, 철근은 철을 막대 모양으로 만들어 주로 인장력을 지탱하는 건설재료로, 토목공학과 건축공학 등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는 역학 구조체 중 하나이다. 이때, 상기 철근은 주로 탄소강을 주재료로 형성되며, 압축력을 받는 콘크리트와 합쳐 철근 콘크리트의 구조물로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 철근은 표면에 리브와 마디 등의 돌기가 돌설된 봉강으로 형성된 이형철근과 돌기 없이 매끈한 원형단면의 봉강으로 형성된 원형철근으로 나뉜다.Generally, reinforcing steel is a construction material which mainly forms tensile strength by making iron rod, and it is one of the mechanical structures which is very important in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engineering.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bars are mainly made of carbon steel, and are made of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s combined with the concrete to be compressed. The reinforcing bar is divided into a deformed reinforcing bar formed of a bar having a projection of ribs and nodules on the surface thereof, and a circular reinforcing bar formed of a bar having a smooth circular shape without projections.

한편, 각종 산업현장에서 철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규격으로 생산된 철근을 필요한 길이에 따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철근을 분류, 정렬, 절단, 운반하는 과정을 수작업으로 수행하였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use reinforcing bars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it is necessary to cut reinforcing bars produced in the same standard to a certain length according to the required length. The process of sorting, sorting, cutting, and transporting these reinforcing bars was performed manually.

즉, 한 사람은 다이에 놓여진 철근을 양끝단이 일치되도록 가지런히 정렬하여 절단기로 안내하고, 한 사람은 절단기로 안내된 철근을 일정길이로 맞추어서 절단하고, 또 한 사람은 절단된 철근들을 운반하는 작업을 각각 수행하였으나, 요구되는 인력이 증가됨으로 인해 작업에 소모되는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one person aligns the reinforcing bars placed on the die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nd guides the reinforcing bars to the cutter, one person cuts the reinforcing bars guided by the cutter to a predetermined length, However, since the required manpower is increased, the labor cost consumed in the work is increased.

또한, 절단된 철근을 사람이 일일이 들고 운반하여 절단이 끝나더라도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며, 작업자의 부주의로 철근 운반중 안전사고가 빈빈하게 발생되어 작업자의 부상을 유발시키게 되었다.In addition, even if the cut reinforced bar is transported by a person, it is necessary to perform additional work, resulting in a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a safety accident occurs frequently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the rebar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operator.

이에 따라,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작업으로 하던 철근의 정렬을 계단식 자동분리공급기로 정렬하는 자동화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the economical efficiency, an automatic apparatus for sorting the reinforcing bar, which was manually operated, is arranged by a stepwise automatic separating feeder.

여기서, 자동화된 계단식 분리공급기로 절단대상 철근의 끝단이 가지런히 정렬되고 일렬로 배치하여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하는 기술이 고안되었지만, 계단식 자동분리공급기에서 정렬된 철근들을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다시 헝클어져 작업자가 별도의 수작업으로 이를 바로잡아야 하므로 생산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is case, although the technique of arranging the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to be cut in line by the automated stepwise separating feeder and arranging them in a line and conveying them to the conveyor belt is devised, in the course of conveying the aligned reinforcing bars to the conveyor belt, The worker has to manually correct it by a separate manual operation, resulting in a problem of deteriorating productivity and economy.

한편, 상기 계단식 분리공급기에 상기 절단대상 철근을 공급하도록 공급대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절단대상 철근은 직경에 대응하여 다양한 규격으로 구비되며, 작업자는 상기 절단대상 철근을 규격에 따라 상기 공급대에 공급하여 절단대상 철근의 정렬 및 절단 공정을 진행한다.On the other hand, a feed bar is provided to supply the cutting target reinforcing bars to the stepwise separating feeder.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bars to be cut are provided in various sizes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s, and the operator feeds the reinforcing bars to be cut to the feeder according to the standard, and proceeds the process of aligning and cutting the reinforcing bars to be cut.

그러나, 규격이 상이한 절단대상 철근을 공급대에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새로운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작업자는 수작업으로 기존 공정에 사용된 절단대상 철근 잔량을 모두 회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업자는 D10 규격의 절단대상 철근을 절단하는 공정 진행 후, D19 규격의 절단대상 철근을 절단하는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공급대에 잔존하는 D10 규격의 절단대상 철근을 수작업으로 회수한 후 D19 규격의 절단대상 철근을 상기 공급대에 공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a case where a new process is continuously performed by supplying reinforcing bars to be cut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specifications, the operator must manually collect all the remaining amounts of the reinforcing bars to be cut used in the existing process. That is, after proceeding to cut the D10 specimens to be cut, the operator manually recovers the D10 specimens to be cut, which remain in the feeder, in order to carry out the process of cutting the specimens to be cut according to the D19 standard, The reinforcing bars to be cut of the reinforcing bars need to be supplied to the feeder.

특히, 상기 절단대상 철근은 대량으로 포장된 상태로 공급대에 투입된 후 포장을 해제하여 계단식 분리공급기에 공급되므로 절단 공정 후 낱개의 절단대상 철근 잔량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회수하기 위해 과도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등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Particularly, since the reinforcing bars to be cut are put in a large packed state, they are unpacked and supplied to the stepwise separating feeder. Therefore, excessive work time is required to manually retrieve the remaining amount of rebar to be cut after the cutting process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is lowered.

더욱이, 기존 공정에 사용된 절단대상 철근의 회수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규격이 상이한 절단대상 철근의 절단 공정을 진행할 수 없어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deteriorate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carry out the cutting process of the reinforcing bars to be cut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during the recovery operation of the reinforcing bars to be cut used in the existing process.

한국 공개실용 제20-1994-0000600호Korean Unexamin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4-000060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근의 공급 및 잔량 회수를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생산성 및 효율성이 개선된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inforcing steel automatic aligning and cutting apparatus improved in productivity and efficiency by stably supplying reinforcing bars and recovering the remaining amount.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에 안착된 철근이 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가 구비된 이송공급장치; 상기 이송공급장치의 후단부와 이격 배치되되 상기 이송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철근이 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의 후단부에 공급경사면이 구비된 연결공급장치;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 및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승시 상면에 상기 이송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철근이 안착되고 하강시 안착된 상기 철근이 상기 연결공급장치를 통해 이동되도록 승강수단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공급장치; 및 상기 공급경사면을 통해 공급된 복수개의 상기 철근이 낱개로 분리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복수개의 스탭이 형성되며, 낱개로 분리된 상기 철근이 기설정된 개수에 대응되도록 절단커팅부 측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계단식 분리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veying and feeding apparatus including a divided conveying conveyor unit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steel bar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seat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re moved in a width direction; A rear end portion of the divided feed conveyor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rear end of the conveying and feeding un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s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supplied from the conveying and feeding unit are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A connection supplying device provided with the connecting device; And the reinforcing bars supplied from the conveying and feeding device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vided conveying conveyor portion and the divided feeding conveyor portion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that are seated upon lowering are moved through the connecting and feeding device A lifting / lowering device which is lifted and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lifting means; And a plurality of steps for narrowing the width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fed through the feeding slope so as to be separated one by one, are formed, and the plurality of separated reinforcing bars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number Provided is a self-aligning and cutting device for reinforcing bars including a stepwise separating feed device that is f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승강공급장치는 상기 각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 사이 및 상기 각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 사이에 형성된 승강이송공간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복수개의 승강공급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levating and lowering feeder includes a plurality of elevating and lowering conveying belts which are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through the elevating conveying space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divided conveying conveying sections and between the divided conveying conveying sections.

이때,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의 후단부 및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의 전단부는, 상기 철근이 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되는 분할형 체인이 연결되는 체인 스프라켓과, 일단부가 상기 체인 스프라켓을 지지하는 축부의 양단을 회전지지하고, 타단부가 상기 승강이송공간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컨베이어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연장지지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rear end of the divided conveying portion and the front end of the divided feed conveyor have chain sprockets to which a split chain is rotatably moved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are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one end portion of the chain sprocket And an extended support portion that rotatably supports both ends and has the other end extending along both side edges of the elevated and conveyed space and connected to the conveyor support frame.

그리고, 상기 이송공급장치는 상하방향을 따라 다단식으로 배치된 복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복수개의 이송공급장치의 전단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이웃하는 이송공급장치보다 노출되는 여유길이를 갖도록 전측으로 연장되며 후단부는 상기 승강공급장치의 승강방향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정렬 배치되며, 상기 승강공급장치에는 상기 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the feeding and feeding units are extended forward so as to have a margin length exposed to the upper side from the adjacent feeding and feeding units as they go downwar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feeder is vertically aligned with the elevating and lowering direction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feeder, and the elevating and feeding device is further provided with a divided elevating conveyor portion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r.

한편, 상기 연결공급장치의 전측에 배치되며 상기 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분할형 회수컨베이어부가 구비된 잔량보관장치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esidual storage device disposed at a front side of the connection supply device and having a divided collection conveyor portion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s.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mentioned solution, the reinforcing steel automatic aligning and cu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승강공급장치가 상기 각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 사이 및 각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 사이에 형성된 승강이송공간을 관통하도록 승강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승강공급장치의 양단은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 또는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중첩 배치되므로 철근의 연속적이고 안정적인 컨베이어 이송이 가능하다. First, since the elevating and lowering feeder is provided so as to be raised and lowered so as to pass through the elevating and lowering conveying space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divided conveying conveying sections and between the divided conveying conveying sections, both ends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conveying apparatus are conveyed Since they are superpos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type convey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convey the continuous and stable conveyor of the reinforcing bars.

둘째, 상호 다른 규격별 철근이 안착되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다단식으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이송공급장치의 전단부에 전단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이웃하는 이송공급장치보다 노출되는 여유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므로 상기 여유길이 측에 규격별 철근을 안착하기 용이하면서도 상기 승강공급장치가 승강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규격별 철근의 이송을 신속하게 호환 및 변경할 수 있다. Secondly, since the reinforcing bars of different sizes are arranged in a multistage manner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seated,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conveying and feeding devices are extended so as to have a clearance length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nveying and feeding device, It is easy to mount reinforcing bars according to the standard on the length side, and the height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feeding device can be adjusted to quickly change and change the feeding of reinforcing bars according to various standards.

셋째, 상기 잔량보관장치에는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분할형 회수컨베이어부가 구비됨에 따라 간단한 구동조작만으로도 철근의 잔량을 상기 잔량보관장치 측으로 회수할 수 있으므로 잔량 회수를 위한 작업시간 소요가 크게 감소되어 작업효율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Third, since the remaining-amount storage device includes the divided-type recovery conveyor portion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split-type supply conveyor portion, the residual amount of the rebar can be recovered to the residual storage device side only by a simple drive operation, The work efficienc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넷째,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의 후단부 및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의 전단부에 구비된 체인 스프라켓이 상기 관통 형성된 승강이송공간에 간섭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지지부에 의해 회전지지되므로 분할형 체인의 회전력이 연속적으로 전달되어 철근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Fourth, the chain sprocket provided a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divided conveying portion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divided feed conveyor portion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extended support portion extending inwardly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through-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can be stably m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b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에서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의 후단부를 나타낸 평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of a reinforcing bar automatic aligning and cu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2A and 2B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steel automatic aligning and cu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A of Fig. 2B. Fig.
FIG.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reinforcing bar automatic aligning and cu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ar end portion of the divided conveying conveyor in the automatic reinforcing and cu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b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device for automatically aligning and cutting a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automatic aligning and cutting device for reinforcing ba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A of FIG. 2B.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100)는 이송공급장치(70), 연결공급장치(10), 승강공급장치(80), 그리고 계단식 분리공급장치(D)를 포함하여 구비된다.1 to 3, a reinforcing bar automatic aligning and cut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ing and feeding device 70, a connecting and feeding device 10, an elevating and feeding device 80, And a stepped separation supply device (D).

여기서, 상기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100)는 절단 대상물인 철근(도 3의 g)을 필요한 개수만큼 정렬하여 자동으로 이송한 후 각종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길이에 따라 절단하고, 절단된 철근을 재료저장대(61,62)에 보관하는 장치이다.Here, the automatic aligning and cutting apparatus 100 for a reinforcing bar aligns and automatically transfers the reinforcing bars (g in FIG. 3), which is an object to be cut, according to a length required by various industrial fields, In the material storage beds (61, 62).

상세히, 상기 이송공급장치(70)는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배치되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7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71)에는 상기 철근(g)이 안착되도록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폭방향으로 회전하는 분할형 체인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분할형 회수컨베이어부(9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측 내지 후측, 양방향으로 진행방향이 전환되어 구동될 수 있다.In detail, the conveyance supply device 70 i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provided with a divided conveyance conveyor part 71. [ At this time, the split type conveying portion 71 is provided with a split type chain that rotates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 to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g are seated. In addition, the divided-type collecting conveyor 91 can be selectively driven forward and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user and can be driven in both directions.

그리고,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71)는 상기 철근(g)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각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71)의 상면에는 상기 철근(g) 다발이 포장된 철근포장이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71)의 진행방향에 대응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철근(g)은 상기 이송공급장치(70)에 호이스트 등의 운반수단으로 상기 철근(g)을 대량으로 공급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철근포장과 같이 포장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다.The divided conveying conveyors 7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s g. As a result, a reinforcing bar packed with the bundle of reinforcing bars (g) can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divided conveying conveyors 71, and can be mov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divided conveying conveyor 71 have.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bars g may be supplied in a packed state such as the reinforcing bar package so a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by supplying the reinforcing bars g in a large amount to the conveying / supplying device 70 by a conveying means such as a hoist. have.

여기서,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각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71) 사이에는 승강이송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공급장치(70)에는 상기 각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71)를 지지하도록 상기 철근(g)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이송지지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공급장치(70)의 전단부에는 상기 철근포장의 낙하가 방지되도록 낙하방지턱이 상측을 향해 돌설될 수 있다.Here, an elevating and convey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divided conveying conveyors 71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veyance supply unit 70 may be provided with a conveyance support frame extending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s g to support the respective divided conveyance conveyors 71. In addition, the drop prevention jaw may protrude upward to prevent the falling of the reinforcing bar package at the front end of the conveyance supply device 70.

또한, 상기 각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71)의 후단부에는 이송경사면(7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경사면(72)은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버부(71)의 외주면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철근포장이 자체의 하중으로 흘러내려 상기 승강공급장치(80)에 공급되도록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A conveying slope 72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each of the divided conveying conveyors 71. The conveyance slope 72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side so that the reinforcing bar convey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vided conveyance conveyor portion 71 flows down to its own load and is supplied to the elevation feeder 80 do.

한편, 상기 연결공급장치(10)는 상기 이송공급장치(70)로부터 상기 철근포장이 공급되도록 상기 이송공급장치(70)의 후단부와 이격 배치된다.The connection feeder 10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end of the feeding device 70 so that the reinforcing bar is supplied from the feeding device 70.

상세히, 상기 연결공급장치(10)는 상기 승강공급장치(80)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철근포장이 상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이송공급장치(70)의 후단부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공급장치(10)에 안착된 상기 철근포장은 포장해제 공정이 진행되어 상기 철근(g)이 낱개로 분리될 수 있다.In detail, the connection feeder 10 is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feeding device 70 so that the reinforcing bar package conveyed from the elevating and feeding device 8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bars seated on the connecting feeder 10 may be unpacked, and the reinforcing bars g may be separated.

그리고, 상기 연결공급장치(10)에는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는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71)의 진행방향에 대응되도록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분할형 체인이 내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측 내지 후측, 양방향으로 진행방향이 전환되어 구동될 수 있다.The connection feeder 10 is provided with a split feed conveyor 13. The divided supply conveyor part 13 is provided inside the divided type conveyor part 13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divided conveying part 71 and rotated according to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In addition, the divided supply conveyor unit 13 can be selectively driven forward and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user, and can be driven in both directions.

이때,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는 상기 철근(g)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각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 사이에는 승강이송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각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 사이에 형성된 승강이송공간은 상기 각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71) 사이에 형성된 승강이송공간과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vided supply conveyor parts 13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s g. Further, an elevating and convey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divided conveying sections 13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vating and conveying spaces formed between the divided conveying parts 13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levating conveying spaces formed between the divided conveying parts 71.

즉,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71) 및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는 상호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폭방향 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공급장치(10)에는 상기 각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를 지지하도록 상기 철근(g)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공급지지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divided conveying section 71 and the divided conveying section 1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orresponding interval, and may be provided on substantially corresponding widthwise lines. The connection supply device 10 may be provided with a supply supporting frame extending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s g to support the respective divided conveying parts 13.

그리고, 상기 각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의 후단부에는 공급경사면(11)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경사면(11)은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버부(13)의 외주면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철근(g)이 자체의 하중으로 흘러내려 상기 계단식 분리공급장치(D)에 공급되도록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A feed slope 11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each of the divided feed conveyors 13. Here, the feed slope 11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s the reinforcing bars g convey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vided conveying conveyor portion 13 flow down to their own load and are fed to the stepwise separating and feeding device D, Downwardly inclined.

한편, 상기 이송공급장치(70) 및 상기 연결공급장치(10) 사이에는 승강공급장치(8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승강공급장치(80)는 상기 이송공급장치(70)의 후측과 상기 연결공급장치(10)의 전측 사이에 배치된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an elevation supply device 80 is provided between the conveyance supply device 70 and the connection supply device 10. Here, the elevation supply device 80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side of the conveyance supply device 70 and the front side of the connection supply device 10.

이때, 상기 승강공급장치(80)는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71) 및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에 중첩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승강공급장치(80)는 승강공급대(80a) 및 승강수단(80b)을 포함하여 구비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vation feeder 80 is disposed so as to overlap the divided conveying conveyor part 71 and the divided conveyor part 13. Specifically, the elevation feeder 80 includes an elevation feeder 80a and elevator means 80b.

여기서, 상기 승강공급대(80a)는 상기 철근(g)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승강공급대(80a)는 상기 각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71) 사이 및 상기 각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 사이에 형성된 상기 승강이송공간에 각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elevating supply bands 80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s g.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elevation feeders 80a are preferably disposed in the elevation conveyance space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divided conveyance conveyors 71 and between the respective divided conveyors 13.

즉, 상기 복수개의 승강공급대(80a)는 상기 각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71)의 후단부와 상기 각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의 전단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각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71)의 사이 및 상기 각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 사이에 각각 구비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승강공급대(80a)는 상기 승강이송공간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승강될 수 있다.That is, the elevating feeder 80a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end of each of the divided conveying conveyors 71 and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divided conveying conveyors 13, (71) and between the divided feed conveyor sections (13).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lifting and lowering feeders 80a can be vertically moved through the lifting and lowering conveying space.

또한, 상기 승강공급대(80a)의 상면부 전측 및 후측에는 이탈방지턱(81)이 상측으로 돌설된다. 상세히, 상기 이탈방지턱(81)은 상기 승강공급대(80a)의 상면부 전측 및 후측에 한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각 이탈방지턱(81) 사이 공간의 바닥면에 상기 철근(g) 내지 상기 철근포장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paration preventing jig 81 is projected upwar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elevation feeding table 80a. In detail, the release braking chute 81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elevation supply band 80a, and the reinforcing bars (g) And can be stably mounted.

이때, 상기 각 이탈방지턱(81)의 상호 대향하는 내면에는 상기 승강공급대(80a)의 상면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인입경사면(81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승강공급대(80a)의 상면부 전측에 돌설된 이탈방지턱은 후단부가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승강공급대(80a)의 상면부 후측에 돌설된 이탈방지턱은 전단부가 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n inclined inclined surface 81a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on supply stand 80a is formed on the mutually facing inn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departure prevention tails 81. That is, the rear end is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side of the lift-off preventing jaw protruded to the front sid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elevating supply band 80a. The separation preventing jaw protruding to the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elevating supply band 80a has a front end portion forward It is formed to be gradually inclined downward.

상세히, 상기 복수개의 승강공급대(80a)가 상기 승강이송공간을 상측으로 관통하여 상승되면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71)의 후단부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elevation feeder 80a is lifted upward through the elevation conveyance space, the elevation feeder 80a can be arranged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divided conveyance conveyor part 71. [

여기서,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71)가 구동되면 상기 철근포장이 상기 이송경사면(72)을 통해 흘러내린다. 또한, 상기 이송경사면(72)을 통해 흘러내린 상기 철근포장은 상기 승강공급대(80a)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철근포장은 상기 승강공급대(80a)의 상면부 전측 및 후측에 돌설된 이탈방지턱(81)에 걸림되어 하중에 의한 전측 내지 후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구동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Here, when the divided conveying portion 71 is driven, the reinforcing bar pile flows down through the conveying slope 72. In addition, the reinforcing bar package that flows down through the conveying slope 72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supply stand 80a.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bar package is hooked to the separation preventing jig 81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supply band 80a, so that it is prevented from departing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due to the load, have.

또한, 상기 복수개의 승강공급대(80a) 상기 승강이송공간을 하측으로 관통하여 하강되면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의 전단부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승강공급대(80a)의 상면에 상기 철근포장이 안착된 상태로 하강되면 상기 철근포장은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elevating feeders 80a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ront end of the divided conveying part 13 when the elevating feeder 80a descends downward through the elevating and lowering conveying space. Here, when the reinforcing bar is lowe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elevating feeders 80a, the reinforcing bar can be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vided feeding conveyor 13.

상세히, 상기 복수개의 승강공급대(80a)는 상기 이송공급장치(70)로부터 공급된 상기 철근포장이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각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 사이에 형성된 승강이송공간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하강되면, 상기 복수개의 승강공급대(80a)가 하강되면서 상기 각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의 일측에 상기 철근포장이 걸림되어 안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elevating feeders 80a pass through the elevating and lowering conveying spaces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divided conveying parts 13 in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s supplied from the conveying and feeding device 70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he reinforcing bar 80a may be lowered and the reinforcing bar package may be hooked to one side of each of the divided conveying parts 13 to be seated.

그리고, 상기 각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철근포장은 포장 해체 공정 후 상기 철근(g)이 낱개로 분리되며, 낱개로 분리된 상기 철근(g)은 상기 공급경사면(11)을 통해 상기 계단식 분리공급장치(D)로 공급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bars g moun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divided conveying parts 1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fter the package disassembly process and the reinforcing bars g separated from each other are separated from the supply inclined surface 11 to the stepped separating and feeding device D.

이에 따라, 상기 승강공급장치(80)의 양단은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71) 또는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중첩 배치되므로 철근(g)의 연속적이고 안정적인 컨베이어 이송이 가능하다. Accordingly, the both ends of the elevation feeder 80 are superposedly arranged at the heights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conveyance conveyor portion 71 or the divided conveyor portion 13, so that the continuous and stable conveyor conveyance of the reinforcing bars g This is possible.

더욱이, 상기 연결공급장치(10)에는 상기 승강이송공간을 관통하여 승강되도록 배치된 상기 승강공급대(80a)의 승강 구동만으로도 상기 각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의 일측에 상기 철근포장이 걸림 및 안착되어 자동 공급되므로 상기 이송공급장치(70)로부터 이격 배치된 상기 연결공급장치(10)에 상기 철근(g)이 공급되는 과정이 간소화되어 생산경제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Further, even if the elevating feeder 80a, which is disposed so as to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elevating and lowering conveying space, can lift and lower the reinforcing bar wrapping piece to one side of each of the divided feeding conveyor parts 13,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reinforcing bars g to the connection supply device 10 spaced from the conveyance supply device 70 can be simplified and the production economics can be further improved.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80b)은 상기 승강공급대(80a)의 하부에 구비되며 승강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승강수단(80b)은 승강실린더 장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측이 바닥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승강공급대(80a)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승강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elevating means 80b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feeder 80a to provide the elevating force. At this time, the elevating means 80b may be provided as an elevating cylinder device, one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floor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supply stand 80a, .

여기서, 상기 승강수단(80b)에는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승강실린더 장치의 승강상태에 대응하여 위치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도 1의 51)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1)는 상기 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승강공급대(80a)의 승강간격이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elevating means 80b may be provided with a position sensing sensor. In detail, the position sensor detects a posi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scending / descending state of the lifting / lowering cylinder device and transmits the detected posi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51 in FIG. 1). At this time, the controller 51 may receive the position signal and control the lift interval of the lift supply unit 80a to be set.

이를 통해, 상기 승강공급장치(80)는 상승 완료시 상기 이송공급장치(80)의 후단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하강 완료시 상기 연결공급장치(10)와 대응되는 높이로 배치되도록 상기 제어부(51)에 의해 승강시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승강수단(80b)은 체인 내지 와이어 등의 동력전달부재와 구동모터로 구비되어 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elevating feeder 8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feeder feeder 80 when the elevation feeder 80 completes the elevation, and is dispos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connecting feeder 10 when the elevation feeder 80 descends. 51, the position can be controlled at the tim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As a matter of course, the elevating means 80b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transmitting member such as a chain or a wire, and a driving motor, and may provide the elevating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power.

한편, 상기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100)는 잔량보관장치(9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잔량보관장치(90)는 상기 연결공급장치(10)의 전측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공급장치(1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Preferably,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ligning and cutting the reinforcing bars 100 further includes a remaining amount storage device 90. In detail, the remaining amount storage device 9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connection supply device 10 and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supply device 10.

이때, 상기 잔량보관장치(90)에는 분할형 회수컨베이어부(91)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분할형 회수컨베이어부(91)는 상기 철근(g)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aining amount storage device 90 is provided with a divided collection conveyor part 91. [ Here, the divided collecting conveyor 91 i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s g.

또한, 상기 분할형 회수컨베이어부(91)는 내부에 구비된 분할형 체인이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의 진행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철근(g)이 안착되도록 상기 분할형 체인은 구동모터의 구동에 대응하여 폭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분할형 회수컨베이어부(9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측 내지 후측, 양방향으로 진행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The split type conveyor unit 91 is disposed so that a split chain provided in the split conveyor unit 91 corresponds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split feed conveyor unit 13,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In addition, the divisional collection conveyor unit 91 can be switched in the forward direction to the backwar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operation.

이때, 상기 분할형 회수컨베이어부(91)는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에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되되 후단부가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의 전단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로부터 상기 분할형 회수컨베이어부(91) 측으로 상기 철근(g)이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철근(g)이 상기 분할형 회수컨베이어부(91)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plit-type collection conveyor unit 91 is dispos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plit-type supply conveyor unit 13, and the rear end thereof overlaps with the front end of the split-type supply conveyor unit 13. The reinforcing bars g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split supply conveyor part 13 to the split recovery conveyor part 91 and the reinforcing bars g can be supplied to the split recovery conveyor part 91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100)에는 다양한 규격의 철근(g)이 정렬 및 절단되도록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철근(g)이 상기 철근포장 단위로 공급됨에 따라 작업자가 필요한 수량에 대응되도록 상기 철근(g)의 정렬 및 절단 공정이 완료되더라도 상기 연결공급장치(10)의 상부에 상기 철근(g)의 잔량이 잔존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inforcing bar automatic aligning and cutting apparatus 100 may be supplied with various sizes of reinforcing bars g to be aligned and cut. At this time, even if the aligning and cutting process of the reinforcing bars g is completed so that the amount of the reinforcing bars g supplied to the reinforcing bar packing unit corresponds to the required quantity, ) May remain.

여기서, 상기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100)는 상기 철근(g)의 잔량이 회수되어야 새로운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잔량보관장치(90)는 상기 철근(g)의 잔량이 회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Herein,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ligning and cutting the reinforcing bars 100 can perform a new process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einforcing bars g is recovered. At this time, the residual amount storage device 90 may be provided to recover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einforcing bars g.

예컨대, 상기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100)에 제1철근(g1)이 공급되어 정렬 및 절단 공정이 수행된 후 상기 연결공급장치(10)에 제1철근(g1)의 잔량이 잔존하는 상태로 제2철근(g2)을 공급하여 새로운 공정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철근(g1) 및 상기 제2철근(g2)은 상호 규격이 다른 철근(g)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after the first reinforcing bar g1 is supplied to the automatic rebar cutting and cutting apparatus 100 to perform the aligning and cutting proces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g1 remains in the connecting feeder 10 It is necessary to supply the second reinforcing bar g2 with a new process.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einforcing bars g1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s g2 are reinforcing bars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이때, 작업자는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 및 상기 분할형 회수컨베이버부(91)가 진행반대방향, 즉 상기 계단형 분리공급장치(D) 측에서 상기 잔량보관장치(90)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철근(g1)의 잔량이 상기 잔량보관장치(90)의 상부에 이동되어 안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or operates the separating type conveying portion 13 and the divided recovery conveying portion 91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dvancing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remaining amount storage device 90 from the stepwise separated supply device D side So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g1 can be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maining amount storage device 90 and can be settled.

이후, 상기 제1철근(g1)의 잔량이 상기 잔량보관장치(90)의 상부에 모두 이동되면 작업자는 상기 분할형 회수컨베이버부(91)의 구동을 정지하고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71)를 진행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철근(g2)이 포장된 제2철근포장(P2)은 상기 이송공급장치(70)으로부터 상기 승강공급장치(80)에 안착될 수 있다.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g1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maining amount storage device 90, the operator stops the driving of the divided recovered conveyor part 91 and moves the divided conveying part 71, Can be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At this time, the second reinforcing bar (P2) packed with the second reinforcing bars (g2) may be seated on the elevating feeder (80) from the feeder (70).

또한, 상기 승강공급장치(80)를 통해 상기 연결공급장치(10)에 공급된 상기 제2철근포장(P2)은 포장 해제 작업 후 상기 제2철근(g2)이 낱개로 분리되어 상기 계단식 분리공급장치(D)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잔량보관장치(90)에 안착된 상기 제1철근(g1)은 그대로 보관한 후 재사용하거나 상기 제2철근(g2)의 정렬 및 절단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회수가 가능하다.Also, the second reinforcing bar (P2) supplied to the connecting feeder (10) through the elevation feeder (80) is divided into the second reinforcing bars (g2) May be supplied to the device D. At this time, the first reinforcing bar g1 seated on the residual amount storage device 90 may be stored and reused, or may be recovered while the second reinforcing bar g2 is being aligned and cut.

이와 같이, 상기 잔량보관장치(90)는 상기 연결공급장치(10)의 전측에 배치되어 간단한 구동조작만으로도 새로운 공정이 진행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공급장치(10)로부터 잔존하는 상기 철근(g)의 잔량을 회수할 수 있으므로 잔량 회수를 위한 작업시간 소요가 크게 감소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The remaining amount storage device 9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connection supply device 10 so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einforcing bar g remaining from the connection supply device 10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work time required to collect the remaining amount,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work.

더욱이, 상기 철근(g)의 잔량 회수 시간이 크게 감소됨에 따라 상기 운반수단의 사용 내지 상기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100)의 새로운 공정 진행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Further, a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teel bars g is reduced, the use of the conveying means or the new process of the automatic aligning and cutting apparatus 100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

한편, 상기 계단식 분리공급장치(D)는 상기 연결공급장치(10)의 후측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경사면(11)을 통해 공급되는 철근(g)을 낱개로 분리하여 기설정된 개수에 대응되도록 절단커팅부(50) 측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이송한다.The stepwise separating and supplying device D separates the reinforcing bars g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connecting feeding device 10 and supplied through the feeding inclined surface 11 so as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number, Toward the side of the portion 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세히, 상기 계단식 분리공급장치(D)는 계단식 분리공급기(20), 경사가이드프레임(30) 그리고 인입공급장치(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In detail, the stepwise separating and feeding device D includes a stepwise separating feeder 20, a tilting guide frame 30, and a feeding device 4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계단식 분리공급기(20)는 상기 공급경사면(11)을 통해 공급된 상기 철근(g)이 낱개로 분리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복수개의 스탭이 형성된 고정스탭부(22)들 사이로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되는 구동스탭부(21)를 포함한다.1 to 3, the stepwise separating and feeding unit 20 includes a plurality of step-shaped fasteners (not shown) each having a narrower width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g supplied through the feed slope 11 are separated one by one, And a driving step portion (21) which is selectively moved up and down between the step portions (22).

여기서, 상기 고정스탭부(22)는 상기 연결공급장치(10)와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기설정된 지지간격으로 배치되어 복수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스탭부(22)의 하단부 스탭 상면은 상기 공급경사면(11)과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상단부 스탭 상면은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과 연속적으로 연결된다.Here, the fixed step unit 22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spacing so as to connect the connecting feeder 10 and the inclined guide frame 30 to each other. The top surface of the lower step of the fixed step part 22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feed inclined surface 11 and the top surface of the upper step part is connected to the inclined guide frame 30 continuously.

또한, 상기 구동스탭부(21)는 상기 고정스탭부(22)에 대응되는 크기의 스탭을 갖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복수개의 스탭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스탭부(21)는 상기 고정스탭부(22)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스탭부(22)에서 기설정된 돌출간격으로 전방측으로 배치되어 상하 이동됨에 따라 상기 철근(g)이 낱개로 분리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ing step unit 21 has a plurality of steps that have a smaller width toward the upper side so as to have a step corresponding to the fixed step unit 22. The driving step portion 21 is disposed between the fixed step portions 22 and is disposed forward at a predetermined protrusion interval at the fixed step portion 22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g can be individually . ≪ / RTI >

상세히, 상기 고정스탭부(22)는 하단부 스탭(20a)이 상기 공급경사면(11)과 연결되도록 경사지게 구비된다. 즉, 상기 공급경사면(11)을 통해 공급된 상기 철근(g)은 상기 하단부 스탭(20a)의 전방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In detail, the fixed step portion 22 is inclined so that the lower end step 20a is connected to the feed slope 11. That is, the reinforcing bars g supplied through the feed slope 11 can be transferred to the front side of the lower step 20a.

이때, 상기 구동스탭부(21)는 상승된 상태(21a)로 상기 고정스탭부(22)에서 전방측으로 기설정된 돌출간격만큼 전방측으로 배치되되, 상기 고정스탭부(22)의 스탭간 단차만큼 승강됨에 따라 상기 고정스탭부(22)의 상단부 스탭(20e)으로 이동되는 상기 철근(g) 개수가 감소되도록 상기 고정스탭부(22)의 각 스탭에 대응되는 스탭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설정된 돌출간격은 철근(g) 하나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riving step part 21 is arrang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protrusion distance from the fixed step part 22 to the front side in the raised state 21a, and is moved up and down by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step parts of the fixed step part 22 A step corresponding to each step of the fixed step unit 22 is formed so that the number of the reinforcing bars g moved to the upper step 20e of the fixed step unit 22 is reduced. Preferably, the predetermined protrusion interval is set to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one width of the reinforcing bars g.

상세히, 상기 구동스탭부(21)의 하측에는 승강바가 연결되며 상기 승강바는 편심회전되는 회전캠부의 외주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캠부의 회전에 따라 승강된다. 이때, 상기 승강바의 승강운동은 상기 고정스탭부(22)의 스탭간 단차로 상하이동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a lift bar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driving step part 21, and the lift ba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on cam part eccentrically rotated, and is raised and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cam par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motion of the lifting bar is moved up and down by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 fixed step portions 22.

즉, 상기 고정스탭부(22)는 동일한 단차로 형성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복수개의 스탭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스탭부(21)는 상기 고정스탭부(22)의 각 스탭과 대응되는 스탭으로 형성된다.That is, the fixed step part 22 is formed by the same step, and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teps whose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driving step part 21 corresponds to each step of the fixed step part 22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구동스탭부(21)가 상승된 상태(21a)에서, 상기 구동스탭부(21)의 하단부 스탭(21c)은 전방측 수직면에 상기 철근(g)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스탭부(21)가 하강(21b)하면, 상기 구동스탭부(21)의 하단부 스탭(21c)의 상면을 따라 상기 철근(g)이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스탭부(21)의 하단부 스탭(21c) 상면에는 3~4개의 철근(g)이 안착되어 상기 구동스탭부(21)의 상승에 따라 상기 고정스탭부(22)의 하단부 스탭(20a)으로 이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elevated state 21a of the driving step part 21, the lower end step 21c of the driving step part 21 is supported on the front vertic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g. When the driving step part 21 is lowered 21b, the reinforcing bars g are mov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tep 21c of the driving step part 21. 3 to 4 reinforcing bars g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tep 21c of the driving step part 21 so that the lower step of the fixed step part 22 20a.

또한, 상기 고정스탭부(22)의 하단부 스탭(20a)으로 이동된 3~4개의 철근은 상기 구동스탭부(21)가 하강(21b)하면 상기 구동스탭부(21)의 제1스탭(21d)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구동스탭부(21)는 상기 고정스탭부(22)에서 철근 하나의 폭에 대응하여 전측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구동스탭부(21)의 제1스탭(21d) 상면에는 2~3개의 철근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스탭부(21)가 상승(21a)하면, 상기 구동스탭부(21)의 제1스탭(21d) 상면에 안착된 철근(g)은 상기 고정스탭부(22)의 제1스탭(20b)으로 이동된다.The three or four reinforcing bars moved to the lower end step 20a of the fixed step part 22 are moved downward by the first step 21d of the driving step part 21 when the driving step part 21 descends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since the driving step part 21 is disposed forward in correspondence with one width of the reinforcing bars in the fixed step part 22, two or three reinforcing bars 21a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tep 21d of the driving step part 21, Respectively. When the driving step part 21 rises 21a, the reinforcing bars g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tep 21d of the driving step part 21 are pressed by the first step of the fixing step part 22, (20b).

이와 같이, 상술된 과정으로 복수개의 상기 철근(g)이 상기 고정스탭부(22)의 하단부 스탭(20a), 제1스탭(20b), 제2스탭(20c), 제3스탭(20d) 그리고 상단부 스탭(20e)을 거쳐서 이동되면, 상기 상단부 스탭(20e)에는 하나의 철근(g)이 안착되어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으로 이송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the reinforcing bars g are formed on the lower step 20a, the first step 20b, the second step 20c, the third step 20d, When the upper end step 20e is moved through the upper step 20e, one reinforcing bar g may be seated and transferred to the inclined guide frame 30. [

또한,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의 전방측에는 카운팅센서(33)가 배치되며, 상기 카운팅센서(33)는 낱개로 분리되어 통과되는 상기 철근(g)의 개수를 검출한다. 이를 통해, 상기 카운팅센서(33)에는 상기 철근(g)이 엉킨 상태에서 낱개로 분리된 상태로 하나씩 통과되므로 정밀성이 향상되는 시너지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A counting sensor 33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inclined guide frame 30 and the counting sensor 33 detects the number of the reinforcing bars g separated separately. As a result, the reinforcing bars g are passed through the counting sensor 33 one by one in a state where the reinforcing bars g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tangled, thereby providing a synergy effect of improving precision.

여기서, 상기 카운팅센서(33)는 자외선이나 적외선 등의 전자기파를 송출하고, 반사되어 유입되는 전자기파의 응답속도 등을 계측하여 전자기파의 송출방향에 위치된 감지대상물을 검지하는 빔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counting sensor 33 may be provided with a beam sensor that emits electromagnetic waves such as ultraviolet rays or infrared rays and measures the response speed of electromagnetic waves reflected and reflected to detect a sensing object positioned in the dispensing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s have.

한편,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은 상기 상단부 스탭(20e)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되는 경사각도가 회전수단(31)에 의해 증감되도록 후방단부가 프레임에 힌지 연결된다.2A and 2B, the inclined guide frame 30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step 20e, and a rear end portion of the inclined guide frame 30 is inclined downwardly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is gradually increased or decreased by the rotating means 31 The frame is hinged.

이때, 상기 회전수단(31)은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의 하부와 연결되어 신축됨에 따라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의 전방측을 상기 힌지점(36)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작동봉(31b)을 포함하는 실린더 장치(31a)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the rotating means 31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clined guide frame 30 and expanded or contracted, the front side of the inclined guide frame 30 is selectively rotated about the hinge point 36, And a cylinder device 31a including an operating rod 31b for adjusting the operating rod 31a.

또한,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의 후방단부에는 경사걸림턱(35)이 구비되며, 상기 경사걸림턱(35)에는 구속단턱(35a)과 상면경사부(35b)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속단턱(35a)은 안착상태에서의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의 상면보다 상향 돌출되어 상기 철근(g)의 폭방향 이동을 구속한다. 그리고, 상기 구속단턱(35a)의 후방으로 연장된 상기 상면경사부(35b)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구비된다.The rear end of the inclined guide frame 30 is provided with a slanting stopper 35 and the slanting stopper 35 is provided with a restricting step 35a and an upper slanting portion 35b. The restraint step 35a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guide frame 30 in the seating state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reinforcing bars g in the width direction. The upper surface inclined portion 35b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stricting step 35a is inclined downwardly as it goes backward.

여기서,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은 상측으로 회전되지 않은 안착상태에서도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므로 상기 철근(g)이 별도의 장비 없이 자체 중량에 의해 굴러서 상기 구속단턱(35a)에 구속된 상태로서 한 층으로 차곡차곡 정렬될 수 있다.Here, since the inclined guide frame 30 is inclined downward to the rear even when it is not rotated upwards, the reinforcing bars g are constrained to the constraining step 35a by their own weight without any additional equipment It can be arranged in one layer.

이에 따라, 상기 카운팅센서(33)는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의 상면에 낱개로 분리되어 통과하는 철근(g)의 개수를 검출하며, 검출된 개수를 상기 제어부(51)로 전송한다.Accordingly, the counting sensor 33 detects the number of the reinforcing bars g which are separately separated and pas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guide frame 30, and transmits the detected number to the controller 51.

한편, 상기 제어부(51)는 상기 카운팅센서(33)에 의해 검출된 상기 철근(g)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에 도달되면 상기 계단식 분리공급기(20)의 구동을 정지하고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경사각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회전수단(31)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31)에 의해 증가되는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의 경사각도는 상기 철근(g)의 직경 내지 무게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상기 철근(g)의 규격에 따라 이동속도가 조절되므로 이동과정에서 상기 철근(g)의 꼬임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When the number of the reinforcing bars g detected by the counting sensor 33 reaches a predetermined number, the control unit 51 stops driving the stepwise separating and feeding unit 20 and stops the inclined guide frame 30 Is rotated upwar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rotating means 31 so that the tilt angle is increased.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guide frame 30 increased by the rotating means 31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diameter and weight of the reinforcing bars g, So that the twisting of the reinforcing bars g can be minimized during the movement process.

그리고, 상기 제어부(51)는 상기 철근(g)을 정렬하고 절단하는 일련의 작업이 수행되도록 상기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51 controls the driving of the automatic aligning and cutting apparatus 100 so that a series of operations for aligning and cutting the reinforcing bars g are performed.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수단(31)의 구동에 의해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이 상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의 상면이 상기 경사걸림턱(35)보다 높게 배치되므로 상기 철근(g)의 걸림단턱(35a)에 대한 구속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철근(g)이 상기 인입공급장치(4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면경사부(35b)의 경사각도는 상측으로 회전된 상태의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의 상면 경사각도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2B, when the inclined guide frame 30 is rotated upward by driving the rotating means 31,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guide frame 30 is arranged higher than the inclined jaw 35 The restraining state of the reinforcing bars g with respect to the retaining step 35a is released and the reinforcing bars g can be moved toward the inlet feeder 40. [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surface inclination part 35b corresponds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guide frame 30 which is rotated upward.

한편, 상기 인입공급장치(40)에는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복수개의 분할형 인입컨베이어부(41)가 구비되며 상기 분할형 인입컨베이어부(41) 사이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상면을 갖는 가이드경사부(42)가 공급승강수단(43)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경사부(42)는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이 상측으로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상승되도록 상기 제어부(51)에 의해 제어됨이 바람직하다.The inlet feeder 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vided inlet conveyor parts 41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guide inclined part 42 having a top face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is provided between the divided inlet conveyor parts 41. [ (42) is selectively raised and lowered by the supply elevating means (43).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slope 4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51 so that the slope guide frame 30 is lifted upward in correspondence with the upward rotation.

또한, 상기 가이드경사부(42)의 상승시 전방측 상단은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의 후방단부측 상면과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으로부터 이동된 철근(g)이 상기 가이드경사부(42)의 상면을 따라 상기 인입공급장치(40)의 상면측으로 원활히 이동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front side when the guide slope 42 rises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rear end side of the slope guide frame 30 so that the reinforcing bar g moved from the slope guide frame 30 is guided by the guide And can be smoothly moved to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inlet feeder 40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ant portion 42.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경사부(42)의 상승시 전방측 상단은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 후방단부의 상호 높낮이가 일치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경사가이드프레임(30)과 상기 인입공급장치(40) 사이의 이동시 철근(g)이 낙하되는 구간이 없으므로 꼬임 내지 정렬의 흐트러짐이 없이 효율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guide slope 42 rises, the upper end of the front side of the slope guide frame 3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lope guide frame 30 such that the lower ends of the slope guide frame 30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here is no section in which the reinforcing bars g fall when they are moved, so that they can be efficiently moved without disturbance of twisting or alignment.

그리고, 상기 가이드경사부(42)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철근(g)은 절단커팅부(50)측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절단커팅부(50)에서 상기 철근(g)을 필요한 길이에 따라 절단한다. 또한, 상기 절단된 철근(g)은 배출분리부(60)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분리부(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복수개로 구비된 재료저장대(61,62)에 걸림되도록 안착되어 보관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bars g which are mov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inclined portion 42 are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cutting cutting portion 50 and the reinforcing rods g Cut according to length. The cut reinforcing bars g are moved to the discharge separating unit 6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separating unit 60 to be seated in the plurality of material storage bases 61, And can be stor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에서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의 후단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공급장치와 승강공급장치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FIG.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automatic aligning and cu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tomatic aligning and cu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feed supply device and the elevation feed device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200)에는 이송공급장치(도 5의 170)가 상하방향을 따라 다단식으로 배치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공급장치(170)는 상기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200)가 설치되는 공간의 규모 내지 비용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수량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to 5, the automatic sorting and cutting apparatus 2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eeding units (170 of FIG. 5) arranged in a multi-step mann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feeder 170 may be provided in various quant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and cost of the space in which the automatic aligning and cutting device 200 is installed.

이하에서는, 상기 이송공급장치(170)가 3단으로 배치된 것을 예로써 설명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순서에 따라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제1이송공급장치(170A), 제2이송공급장치(170B) 및 제3이송공급장치(170C)로 구분하여 나타낸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eeders 170 are arranged in three stages. The first feeders 170A and the second feeders 170B are arrang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third conveyance supply device 170C.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이송공급장치(170A,170B,170C)는 기설정된 위치간격에 대응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상면에 안착된 철근포장이 전측 내지 후측으로의 낙하가 방지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각 이송공급장치(170A,170B,170C)의 전단부에는 상기 철근포장의 낙하가 방지되도록 낙하방지턱이 상측을 향해 돌설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conveyance feeders 170A, 170B, and 170C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predetermined spacings, and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 Further, the drop prevention jaw may protrude upward to prevent the falling of the reinforcing bar package at the front ends of the respective conveyance feeding devices 170A, 170B, and 170C.

이때, 상기 각 이송공급장치(170A,170B,170C)에는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conveyance feeders 170A, 170B, and 170C may be provided with a divided conveyance conveyor unit 171. FIG.

이하에서는,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순서에 따라 제1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A), 제2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B) 및 제3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A)로 구분하여 나타낸다. 즉, 상기 제1이송공급장치(170A)에는 상기 제1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A)가 구비되고, 상기 제2이송공급장치(170B)에는 상기 제2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B)가 구비되며, 상기 제3이송공급장치(170C)에는 상기 제3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C)가 구비된다.Hereinafter, the divided conveying conveyor portion 171 is divided into a first divided conveying conveyor portion 171A, a second divided conveying conveyor portion 171B, and a third divided conveying conveyor portion 171A, (171A). That is, the first conveying / supplying device 170A is provided with the first divided conveying conveyor part 171A, and the second conveying / supplying device 170B is provided with the second divided conveying conveying part 171B And the third conveying and supplying unit 170C is provided with the third divided conveying conveyor unit 171C.

이때, 상기 이송공급장치(170)가 복수개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각 이송공급장치(170A,170B,170C)에는 상호 다른 규격별의 철근포장(P1,P2,P3) 내지 철근(g1,g2,g3)이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철근(g1,g2,g3)은 상호 규격이 다른 철근(도 3의 g)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 철근포장(P1,P2,P3)은 상기 규격이 다른 각 철근(g1,g2,g3)별로 포장된 철근포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각 철근포장(P1,P2,P3)은 제1철근(g1)이 포장된 제1철근포장(P1)과, 제2철근(g2)이 포장된 제2철근포장(P2)과, 제3철근(g3)이 포장된 제3철근포장(P3)으로 구분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a plurality of the conveyance supply units 170 are provided, the respective conveyance supply units 170A, 170B, and 170C are provided with reinforcing bars P1, P2, P3 and reinforcing bars g1, g2, g3 Can be se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bars g1, g2 and g3 are different reinforcing bars (g in FIG. 3), and each of the reinforcing bars P1, P2, and P3 has reinforcing bars g1, g2, g3) are preferred. That is, each of the reinforcing bars P1, P2, and P3 includes a first reinforcing bar P1 packed with the first reinforcing bar g1, a second reinforcing bar P2 packed with the second reinforcing bars g2, And a third reinforcing bar (P3) with three reinforcing bars (g3).

한편, 상기 각 이송공급장치(170A,170B,170C)의 상면에는 호이스트 등의 운반수단(H)을 이용하여 상기 각 철근포장(P1,P2,P3)이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이송공급장치(170A,170B,170C)는 상하방향을 향해 다단식으로 배치됨에 따라 최상측에 배치된 이송공급장치(170C)로부터 하측에 배치된 각 이송공급장치(170A,170B)에는 상기 운반수단(H)을 이용해 각 철근포장(P2,P3)이 안착될 수 있는 여유길이가 필요하다.The reinforcing bars P1, P2, and P3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conveyance feeding devices 170A, 170B, and 170C using a conveying means H such as a hoist. The plurality of conveyance feeding devices 170A, 170B, and 170C are arranged in a multi-stage manner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each of the conveyance feeding devices 170A and 170B disposed on the lower side from the conveyance feeding device 170C disposed on the uppermost side, An allowable length is required to allow each of the reinforcing bar packages P2 and P3 to be seated using the conveying means H.

이를 위해, 상기 복수개의 이송공급장치(170A,170B,170C)의 전단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이웃하는 이송공급장치보다 노출되는 여유길이(K)를 갖도록 전측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ends of the plurality of feeders 170A, 170B, and 170C extend forward so as to have a clearance length K that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feeders adjacent to the upper side.

예컨대, 상기 제1이송공급장치(170A)의 전단부는 상측으로 이웃하는 상기 제2이송공급장치(170B)의 전단부보다 전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이송공급장치(170A)는 전단부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여유길이(K)가 형성되므로 상기 운반수단(H)을 이용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기 제3철근포장(P3)이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이송공급장치(170A,170B,170C)는 측면에 바라본 형상이 실질적으로 전단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전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veyance supply device 170A may extend forward of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onveyance supply device 170B adjacent to the upper side. Accordingly, the first conveying / supplying device 170A has an allowance length K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end is exposed. Therefore, the third reinforcing bar P3 is sea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using the conveying means H . That is, the plurality of conveyance feeders 170A, 170B, and 170C may be provided in a shape of a downwardly tilted downward inclination toward the front a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front end.

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이송공급장치(170A,170B,170C)에는 상기 운반수단(H)을 이용하여 각 이송공급장치(170A,170B,170C)의 여유길이(K) 측에 상기 각 철근포장(P1,P2,P3)을 안착하기만 하면 정렬 및 절단 공정을 위해 공급되도록 적재될 수 있으므로 작업편의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The conveying device H is used to feed the plurality of conveying and feeding devices 170A, 170B and 170C to the respective lengths K of the conveying and feeding devices 170A, 170B and 170C, P1, P2, P3) can be stacked so as to be supplied for the alignment and cutting processes, the operation convenience can be greatly improved.

한편, 상기 승강공급장치(180)는 연결공급장치(10)에 구비된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 및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에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승강공급대(180a) 및 승강수단(180b)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공급장치(180)는 상기 복수개의 이송공급장치(170A,170B,170C)의 후단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공급대(180a)의 하부에 연결된 승강수단(180b)에 의해 승강력이 제공되어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승강된다.The elevation feeder 180 is disposed so as to overlap the divided feed conveyor unit 13 and the divided conveyor conveyor unit 171 provided in the connection feeder 10, And elevating means 180b. The elevation feeder 180 is disposed at the rear end side of the plurality of conveyance feeders 170A, 170B and 170C and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elevator means 180b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ion feeder 180a. And vertically elevated and lowered.

이때, 상기 복수개의 이송공급장치(170A,170B,170C)의 후단부는 승강공급장치(180)의 승강방향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정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이송공급장치(170A,170B,170C)는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수직으로 정렬 배치됨에 따라 후단부 측에서 상기 승강공급장치(180)가 걸림없이 안정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end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conveyance feeding devices 170A, 170B, and 170C are vertical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elevation direction of the elevation feeding device 180. [ Accordingly, the rear ends of the plurality of conveyance feeding devices 170A, 170B, and 170C are vertically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elevation feeding device 180 can be stably moved upward and downward .

또한, 상기 승강공급장치(180)에는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는 상기 승강공급대(180a)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철근(g)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elevation feeder 18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divided elevator conveyor portion 182. In detail, the divided elevating conveyor unit 182 is provided on the elevating feeder 180a and i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s g.

그리고,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는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분할형 체인이 내부에 구비되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분할형 체인이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는 상기 철근(g)의 진행방향 내지 진행반대방향, 즉 양방향으로 회전 구동이 가능하며 상면에 안착된 상기 철근포장 내지 상기 철근(g)을 전측 내지 후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The split type elevating conveyor unit 182 is provided with a split type chain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plit type chain is rotated according to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The dividing type elevating conveyor unit 182 is capable of rotating and driving the reinforcing bar g or the reinforcing bar g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in a forward direction to a reverse direction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승강공급대(180a)는 상기 각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 사이 및 상기 각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 사이에 형성된 승강이송공간에 배치되어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각 승강공급대(180a)에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는 상기 이송공급장치(180) 및 연결공급장치(10)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vating supply band 180a is disposed in a plurality of elevation conveying spaces formed between the divided conveying portions 171 and between the divided conveying portions 13, The divided elevating conveyor portion 18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180a. In this way, the divided elevating conveyor portion 182 can be arranged to overlap with the conveyance supply device 180 and the connection feeder 10.

여기서, 상기 승강공급장치(180)는 상기 이송공급장치(180)로부터 상기 철근포장 내지 상기 철근(g)이 공급되도록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의 전단부가 상기 복수개의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A,171B,171C) 중 어느 하나의 후단부와 선택적으로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elevation feeder 180 is dispos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divided elevation conveyor portion 182 so as to feed the reinforcing bar or the reinforcing bars g from the feeder 180, 171A, 171B, and 171C, respectively.

이를 위해, 상기 각 이송공급장치(170A,170B,170C)의 후단부에는 위치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센서는 제어부(도 1의 51)와 신호 연결되어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o this end, a position sensor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each of the feeding devices 170A, 170B, and 170C, and the position sensor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1 of FIG. 1) to transmit position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제어부(51)는 상기 승강공급장치(180)의 상승시 상기 각 이송공급장치(170A,170B,170C) 중 어느 하나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위치센서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승강공급장치(180)의 승강시 위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승강공급장치(180)에는 상기 복수개의 이송공급장치(170A,170B,170C)로부터 다양한 규격의 철근포장(P1,P2,P3) 내지 철근(g1,g2,g3)이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1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sition sensor so as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any one of the feeders 170A, 170B, and 170C when the elevation feeder 180 is lifte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ntrol the position when the apparatus 180 is lifted or lowered. The reinforcing bars P1, P2, P3 and the reinforcing bars g1, g2, g3 ar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elevating feeder 180 from the plurality of feeders 170A, 170B, .

또한, 상기 제어부(51)는 상기 승강공급장치(180)의 하강이 완료되면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의 후단부가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의 전단부와 중첩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공급장치(180)의 하강시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lowering of the elevating feeder 180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51 controls the elevating and lowering conveyor unit 182 so that the rear end of the divided elevating conveyor unit 182 overlaps the front end of the divided feeding conveyor unit 13,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sition when the supply device 180 is lowered.

따라서, 상기 승강공급장치(180)에 공급된 상기 철근포장 내지 철근(g)이 상기 승강공급장치(180)의 하강시 상기 연결공급장치(10)에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철근(g)이 상기 연결공급장치(10)에 형성된 공급경사면(11)을 통해 계단식 분리공급장치(D)로 공급되어 정렬 및 절단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Therefore, the reinforcing bar (g) supplied to the elevating feeder 180 can be supplied to the connecting feeder 10 when the elevating feeder 180 is lowered, Is fed to the stepwise separating and feeding device (D) through the feed slope (11) formed in the connecting feeder (10) and the aligning and cutting process can be performed.

이에 따라, 상기 승강공급장치(180)는 승강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각 이송공급장치(170A,170B,170C)에 다양한 규격별 철근(g)의 이송을 신속하게 호환 및 변경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levation feeder 180 can quickly change the height of the elevation feeder 180 to change and change the feed of the reinforcing bars g by various standards to the respective feeders 170A, 170B, and 170C.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의 후단부 및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의 전단부는 체인 스프라켓(171e)과 연장지지부(182c)를 포함하여 구비된다.5, the rear end of the divided conveying conveyor part 171 and the front end of the divided conveying part 13 include a chain sprocket 171e and an extended support part 182c.

상세히,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에는 상기 철근(g)의 폭방향으로 회전되는 분할형 체인(171d)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의 후단부에는 상기 분할형 체인(171d)가 연결되도록 상기 체인 스프라켓(171e)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체인 스프라켓(171e)은 상기 철근(g)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에 복수개로 구비된다.In detail, the divided conveying section 171 is provided with a split type chain 171d rot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s g. At this time, the chain sprocket 171e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plit conveying part 171 to connect the split chain 171d. Here, the chain sprockets 171e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the divided conveying parts 171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s g.

이때,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의 전단부에는 상기 분할형 체인(171d)이 연결되도록 상기 체인 스프라켓(171e)과 대응되어 상기 철근(g)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체인 스프라켓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의 전단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체인 스프라켓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하나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호 연동회전될 수 있다.At the front end of the divided conveying conveyor part 171, the divided chain 171d is connected to the chain sprocket 171e so as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g A plurality of chain sprockets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chain sprocket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divided conveying section 171 may be connected to one rotary shaft for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and rotated interlockingly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의 후단부에 구비된 상기 체인 스프라켓(171e)은 각각 개별적인 회전축을 갖고 회전되어야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의 전단부가 상기 각 체인 스프라켓(171e) 사이를 관통하여 승강될 수 있다.The chain sprocket 171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divided conveying part 171 must be rotated with a separate rotation shaft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divided ascending conveyor part 182 is rotated by the chain sprocket 171e, As shown in Fig.

이를 위해, 상기 연장지지부(171f)는 일단부가 상기 체인 스프라켓(171e)을 지지하는 축부의 양단을 회전지지하고, 타단부가 상기 승강이송공간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컨베이어 지지프레임(173)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one end of the extension support portion 171f rotatably supports both ends of a shaft portion supporting the chain sprocket 171e, and the other end portion extends along both edges of the elevation transfer space and is supported on the conveyor support frame 173 It is preferable to be connected.

상세히, 상기 연장지지부(171f)의 일단부는 상기 체인 스프라켓(171e)의 중앙부에 형성된 상기 축부의 양단이 회전지지되도록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지지부(171f)의 타단부는 상기 분할형 체인(171d)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의 전단부를 향해 연장되어 컨베이어 지지프레임(173)에 고정될 수 있다.In detail, one end of the extended support portion 171f may be hinged so that both ends of the shaft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chain sprocket 171e are rotatably supported. The other end of the extended support portion 171f may extend towar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plit supply conveyor portion 13 along the both sides of the split chain 171d to be fixed to the conveyor support frame 173 .

이에 따라, 상기 각 체인 스프라켓(171e)은 상기 연장지지부(171f)에 의해 각각 개별적인 회전축을 갖고 회전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이송공간에 간섭되지 않아 상기 각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의 전단부가 상기 각 체인 스프라켓(171e) 사이를 걸림없이 관통하여 승강될 수 있다.Accordingly, each of the chain sprockets 171e can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extended support portion 171f with respective rotation axes, and is not interfered with the elevated transfer space,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of each of the divided conveyor portions 182 So that the chain sprocket 171e can pass through the chain sprocket 171e without being interrupted.

이때, 도 5에서는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의 후단부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의 전단부에도 상술한 상기 체인 스프라켓(171e) 및 상기 연장지지부(171f)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의 전단부는 상술한 상기 체인 스프라켓(171e) 및 상기 연장지지부(171f)를 포함하여 구비되어 상기 각 체인 스프라켓(171e)이 상기 승강이송공간에 간섭되지 않으므로 상기 각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의 후단부가 상기 각 체인 스프라켓(171e) 사이를 걸림없이 관통하여 승강될 수 있다.Although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plit conveying portion 171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an example in FIG. 5, the chain sprocket 171e and the extending support portion 171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plit supply conveyor portion 13 includes the chain sprocket 171e and the extended support portion 171f so that the chain sprocket 171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ifting / The rear end of each of the split type elevating conveyor units 182 can pass through the respective chain sprockets 171e without being caught by the chain sprocket 171e.

또한,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상술한 상기 체인 스프라켓(171e) 및 상기 연장지지부(171f)에 대응되도록 체인 스프라켓(182b) 및 연장지지부(182c)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plit type elevating conveyor portion 182 include a chain sprocket 182b and an extended support portion 182c so as to correspond to the chain sprocket 171e and the extended support portion 171f described above .

즉, 폭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의 분할형 체인(182a)은 전단부 및 후단부에 구비된 체인 스프라켓(182b)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의 체인 스프라켓(182b)은 축부의 양단이 상기 연장지지부(182c)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지지될 수 있다.That is, the split type chain 182a of the split type elevating conveyor portion 182 which rotates in the width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chain sprocket 182b provided at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Both ends of the shaft portion of the chain sprocket 182b of the split type elevating conveyor portion 182 can be hingedly connected to the extended support portion 182c to be rotatably supported.

이때,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의 각 연장지지부(182c)는 일단부가 상기 체인 스프라켓(182b)을 지지하는 축부의 양단을 회전지지하고, 타단부가 상기 승강이송공간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컨베이어 지지프레임(183)에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extending support portion 182c of the split type elevating conveyor portion 182 has one end rotatab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shaft portion supporting the chain sprocket 182b, and the other end of the shaft supporting portion 182c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veyor support frame 183.

이에 따라,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의 후단부 및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의 전단부 측에 구비된 체인 스프라켓(171e)은 각각 개별적인 회전축을 갖고 회전되므로 상기 각 체인 스프라켓(171e) 사이를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의 체인 스프라켓(182b)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이동될 수 있다. The chain sprocket 171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plit conveying portion 171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plit feed conveyor portion 13 are rotated with respective rotation shafts, The chain sprocket 182b of the split elevation conveyor 182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가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 또는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와 대응되는 높이로 중첩 배치가 가능하므로 상기 각 컨베이어부(171,182,13)에 구비된 분할형 체인(171d,182c)의 회전력이 연속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면에 안착된 철근(g)은 각 컨베이어부(171,182,13)에 구비된 분할형 체인(171d,182c)이 상호 중첩된 부분을 경유하여 폭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Since the divided elevating conveyor portion 182 can be superposedly arrang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conveying portion 171 or the divided conveying portion 13, the conveyor portions 171, 182,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lit type chains 171d and 182c provided in the rear wheels can be continuously transmitted. Accordingly, the reinforcing bars g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can be stably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via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split chains 171d and 182c provided in the respective conveyor parts 171, 182 and 13.

예컨대,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가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에 대응되는 높이로 배치되면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의 분할형 체인(182c) 및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의 분할형 체인(171d)은 상기 철근(g)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되어 상호 중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vided elevating conveyor portion 182 is dispos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conveying portion 171, the divided chain 182c of the divided elevating conveyor portion 182 and the divided conveyor portion 182c The split chains 171d of the unit 171 may be arranged alternat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s g and may overlap each other.

이때,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의 분할형 체인(182c)의 상면에 철근(g)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의 분할형 체인(182c) 및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의 분할형 체인(171d)이 전측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의 분할형 체인(182c)의 상면에 안착된 철근(g)이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로부터 각 분할형 체인(171d,182c)가 중첩되는 부분을 경유하여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171)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lit chain 182c of the split type elevating conveyor part 182 and the split type chain 182c of the split type elevating conveyor part 182 are placed in a state where the reinforcing bars g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plit type chain 182c of the split type elevating conveyor part 182. [ When the split chain 171d of the conveying conveyor portion 171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reinforcing bars g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plit chain 182c of the split type elevating conveyor portion 182 are separated It can be stably moved to the divided conveying conveyor part 171 via the part where the respective divided type chains 171d and 182c are overlapped from the conveyor part 182. [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각 분할형 체인(171d,182c)은 벨트 등의 동력전달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각 체인 스프라켓(171e,182b)은 벨트가 권취되는 벨트롤러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Of course, each of the split chains 171d and 182c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transmitting member such as a belt, and the corresponding chain sprockets 171e and 182b may be formed of belt rollers .

한편, 상기 승강공급장치(180)는 상기 연결공급장치(10)에 상기 철근(g)의 잔량이 잔존하는 경우, 잔량이 잔존하는 상기 철근(g)과 상호 다른 규격별의 철근(g)을 새로운 공정에 투입하기 위해 상기 철근(g)의 잔량을 회수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I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einforcing bars g remains in the connecting feeder 10, the elevating feeder 180 may be arranged to receive the reinforcing bars g of different sizes from the reinforcing bars g remaining in the remaining amount And can be controlled to recover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einforcing bar (g) for input to a new process.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공급장치(10)에 제1철근(g1)의 잔량이 잔존하는 상태로 새로운 공정이 진행되어야 하는 경우, 작업자는 상기 승강공급장치(180)를 상기 연결공급장치(10)와 대응되는 높이로 하강한 후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13) 및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를 상기 철근(g)의 진행반대방향으로 구동한다. 이때, 상기 승강공급장치(180)에는 상기 제1철근(g1)의 잔량이 이동되어 안착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when a new process is to be performed with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g1 remaining in the connecting feeder 10, The divided feed conveyor portion 13 and the split type elevated conveyor portion 182 are drive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ogress of the reinforcing bars g after descending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apparatus 10. At this tim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g1 may be moved and seated in the elevating feeder 180. [

여기서, 작업자는 상기 제1철근포장(P1)이 적재되는 상기 제3이송공급장치(171C)측으로 상기 승강공급장치(180)를 상승시키고 상기 승강공급장치(180)에 안착된 상기 제1철근(g1)의 잔량을 상기 제3이송공급장치(171C)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1철근(g1)의 잔량은 상기 제3이송공급장치(171C)의 상부에 보관되거나 재공급될 수 있다.The operator lifts the elevation feeder 180 to the third conveyance feeder 171C side where the first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P1 is loaded, g1)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conveyance feeder 171C. At this tim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g1 may be stored or re-su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conveyance feeding device 171C.

그리고, 상기 제1이송공급장치(171A) 또는 제2이송공급장치(171B)로부터 새로운 공정에 사용할 철근포장을 상기 승강공급장치(180)에 이동시킨 후 정렬 및 절단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n, the first and second conveyance feeders 171A and 171B may move the reinforcing bars to be used for the new process to the elevation feeder 180, and then perform the alignment and cutting processes.

이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이송공급장치(170A,170B,170C)에는 상기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182)에 의해 철근(g)의 잔량이 회수되어 보관 또는 재공급될 수 있으므로 철근(g) 잔량의 회수를 위한 별도의 수작업 없이도 새로운 공정의 연속적인 수행이 가능하여 제품의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Sinc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einforcing bars g can be collected and stored or re-supplied to the plurality of conveying and feeding devices 170A, 170B and 170C by the divided elevating conveyor part 182,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erform a new process without any manual work for recovery, and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can be remarkably improv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연결공급장치 20 : 계단식 분리공급기
30 : 경사가이드프레임 40 : 인입공급장치
50 : 절단커팅부 60 : 배출분리부
70,170 : 이송공급장치 80,180 : 승강공급장치
90 : 잔량보관장치 D : 계단식 분리공급장치
100,200 :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
10: connecting feeder 20: stepped separating feeder
30: inclined guide frame 40: inlet feeder
50: cut cutting portion 60: discharge separating portion
70,170: Feed supply device 80,180: Lift feed device
90: Residual storage device D: Stepwise separation supply device
100,200: Automatic Re-alignment and Cutting Device

Claims (5)

상면에 안착된 철근이 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가 구비된 이송공급장치;
상기 이송공급장치의 후단부와 이격 배치되되 상기 이송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철근이 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의 후단부에 공급경사면이 구비된 연결공급장치;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 및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승시 상면에 상기 이송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철근이 안착되고 하강시 안착된 상기 철근이 상기 연결공급장치를 통해 이동되도록 승강수단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공급장치; 및
상기 공급경사면을 통해 공급된 복수개의 상기 철근이 낱개로 분리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복수개의 스탭이 형성되며, 낱개로 분리된 상기 철근이 기설정된 개수에 대응되도록 절단커팅부 측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계단식 분리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
A conveying and feeding device having a divided conveying conveyor part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are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A rear end portion of the divided feed conveyor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rear end of the conveying and feeding un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s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supplied from the conveying and feeding unit are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A connection supplying device provided with the connecting device;
And the reinforcing bars supplied from the conveying and feeding device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vided conveying conveyor portion and the divided feeding conveyor portion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that are seated upon lowering are moved through the connecting and feeding device A lifting / lowering device which is lifted and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lifting means; And
A plurality of steps are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the reinforcing bars fed through the feed slope are separated one by one and the width is narrowed toward the upper side, And a stepped separating feeder that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re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공급장치는 상기 각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 사이 및 상기 각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 사이에 형성된 승강이송공간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복수개의 승강공급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vating and lowering feeder includes a plurality of elevating and lowering feeders vertically moving through the elevating and lowering conveying spaces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divided conveying conveying units and between the divided conveying conveying units, And a cutting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 이송컨베이어부의 후단부 및 상기 분할형 공급컨베이어부의 전단부는,
상기 철근이 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되는 분할형 체인이 연결되는 체인 스프라켓과,
일단부가 상기 체인 스프라켓을 지지하는 축부의 양단을 회전지지하고, 타단부가 상기 승강이송공간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컨베이어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연장지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ar end of the divided conveying conveyor portion and the front end of the divided conveyor portion,
A chain sprocket to which a split chain is connected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are rotated to be moved in a width direction;
And an extension supporting portion having one end rotatably supporting both ends of a shaft portion supporting the chain sprocket and the other end extending along both side edges of the lift conveying space and connected to the conveyor supporting fram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공급장치는 상하방향을 따라 다단식으로 배치된 복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복수개의 이송공급장치의 전단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이웃하는 이송공급장치보다 노출되는 여유길이를 갖도록 전측으로 연장되며 후단부는 상기 승강공급장치의 승강방향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정렬 배치되며,
상기 승강공급장치에는 상기 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분할형 승강컨베이어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conveying and feeding devices are arranged in a multi-stage manner along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front end of the plurality of conveying and feeding devices extend forward to have an allowance for exposure that is closer to the upper side than the conveying and feeding devices neighboring to the upper side and the rear ends of the conveying and feeding devices are arranged vertically in correspondence with the ascending /
Wherein the elevating feeder further comprises a divided elevating conveyor unit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급장치의 전측에 배치되며 상기 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분할형 회수컨베이어부가 구비된 잔량보관장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sidual storage device disposed at a front side of the connection supply device and having a divided type collection conveyor part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s.
KR1020170031063A 2017-03-13 2017-03-13 apparatus for automatic arraying and cutting steel bar KR1019089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063A KR101908990B1 (en) 2017-03-13 2017-03-13 apparatus for automatic arraying and cutting steel 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063A KR101908990B1 (en) 2017-03-13 2017-03-13 apparatus for automatic arraying and cutting steel b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392A true KR20180104392A (en) 2018-09-21
KR101908990B1 KR101908990B1 (en) 2018-10-17

Family

ID=63720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063A KR101908990B1 (en) 2017-03-13 2017-03-13 apparatus for automatic arraying and cutting steel b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990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5250A (en) * 2018-11-14 2019-01-15 江苏省南扬机械制造有限公司 A kind of molding welded tube sorting transportation system
CN109592375A (en) * 2018-12-18 2019-04-09 王章飞 A kind of charge bar pipeline based on machine vision
CN109607148A (en) * 2018-12-25 2019-04-12 福州大学 A kind of rod shaped materials feeding device
CN109625740A (en) * 2019-01-21 2019-04-16 建科机械(天津)股份有限公司 A kind of multilayer material storage mechanism
KR102133729B1 (en) * 2020-03-11 2020-07-14 월드인코리아 주식회사 apparatus for automatic arraying steel bar
KR102511699B1 (en) 2022-09-16 2023-03-20 장원철 Rebar alignment device
KR102584966B1 (en) * 2023-03-02 2023-10-04 박찬길 Metal material process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238Y1 (en) * 2007-06-21 2009-02-03 주식회사 태성기연 Multi-stage lifter
KR101448033B1 (en) * 2014-07-01 2014-10-10 정춘호 apparatus for automatic arraying and cutting steel ba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5250A (en) * 2018-11-14 2019-01-15 江苏省南扬机械制造有限公司 A kind of molding welded tube sorting transportation system
CN109592375A (en) * 2018-12-18 2019-04-09 王章飞 A kind of charge bar pipeline based on machine vision
CN109607148A (en) * 2018-12-25 2019-04-12 福州大学 A kind of rod shaped materials feeding device
CN109625740A (en) * 2019-01-21 2019-04-16 建科机械(天津)股份有限公司 A kind of multilayer material storage mechanism
CN109625740B (en) * 2019-01-21 2024-02-27 建科机械(天津)股份有限公司 Multilayer storage mechanism
KR102133729B1 (en) * 2020-03-11 2020-07-14 월드인코리아 주식회사 apparatus for automatic arraying steel bar
KR102511699B1 (en) 2022-09-16 2023-03-20 장원철 Rebar alignment device
KR102584966B1 (en) * 2023-03-02 2023-10-04 박찬길 Metal material proces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990B1 (en)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990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arraying and cutting steel bar
KR101448033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arraying and cutting steel bar
KR101321405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arraying and cutting steel bar
CN104670925B (en) Automatic stacking and loading machine for bagged cement
CN104876039B (en) Cardboard automatic charging machine
KR101747049B1 (en) Wood plate auto supplying apparatus of cnc running saw
US3506142A (en) Bundle unscrambler for bar feeders
KR102347856B1 (en) Apparatus for binding pipe bundle with band
KR101697745B1 (en) Unmanned automatic rebar bending machine
US4242024A (en) Apparatus for palletizing sheet material
CN106553928A (en) For forming the sheet material piler and method of stack of sheets
KR101873309B1 (en) Wood semi-automatic cutting device
KR101709342B1 (en) Apparatus for packing rod material
KR101421427B1 (en) Plasma cutting apparatus use 2d/3d cad cam
KR101778362B1 (en) App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cutting scrap
KR101704554B1 (en) paper tube automatic packing and loading devices
KR101121563B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slip backward of tripper car
US3232449A (en) Bar separator and feeder
US9731924B2 (en) Sheet stacking apparatus having adjustable length conveyor section
EP1511588B1 (en) Device to store, transport and distribute metal elements, method to make metal cages using said device and relative cage-making machine
KR102144948B1 (en) Waste paper compression device
US3595374A (en) Collecting and elevating conveyor
KR101940549B1 (en) Apparatus for feeding main rebar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ebar grid thereof
CN103341996B (en) Automatic charging device of tread trolley of tire forming machine
CN106467253A (en) A kind of lumber j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