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602A - 전자 장치의 배터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배터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602A
KR20180103602A KR1020170030774A KR20170030774A KR20180103602A KR 20180103602 A KR20180103602 A KR 20180103602A KR 1020170030774 A KR1020170030774 A KR 1020170030774A KR 20170030774 A KR20170030774 A KR 20170030774A KR 20180103602 A KR20180103602 A KR 20180103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anagement circuit
electronic device
power
batter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8069B1 (ko
Inventor
김현석
이용승
김두현
이용재
임호영
현병배
손동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0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069B1/ko
Priority to CN201880014945.5A priority patent/CN110352530B/zh
Priority to EP18763749.1A priority patent/EP3568882B1/en
Priority to PCT/KR2018/002854 priority patent/WO2018164546A1/en
Priority to US15/916,794 priority patent/US10775872B2/en
Publication of KR20180103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28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using current integ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2Monitoring battery levels, e.g. power saving mode being initiated when battery voltage goes below a certain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Sour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을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로 공급하기 위한 전력 관리 회로;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력 관리 회로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회로; 물리 키; 상기 물리 키와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키 제어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을 오프(off)하기 위한 신호를 전력 관리 회로로 전송하고 상기 전원이 오프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키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물리 키와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를 연결하도록(connect) 설정되고, 상기 전력 관리 회로는, 상기 전원을 오프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력 관리 회로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도록(disconnect) 설정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배터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attery}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때 배터리에서 소모하는 누설 전류를 차단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각종 전자 컴포넌트들(components)을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의 전원이 off 상태인 경우, 전자 장치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로부터 각종 전자 컴포넌트들로의 전력 공급을 중단한다.
배터리 내장형 전자 장치의 경우, 전자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컴포넌트들의 누설 전류 값에 의해 일정 수준의 누설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장치가 공장에서 출하된 후, 오랜 시간 동안 소비자에게 판매되지 않고 창고 등에 보관되면, 이 누설 전류에 의해 배터리의 잔량 또는 배터리 전압이 일정 수준 이하로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를 구입한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전원을 바로 ON 할 수 없고 충전 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한다. 사용자는 심한 경우, 배터리 전압이 임계 레벨 이하로 낮아져서 이미 손상된 상태의 전자 장치를 구입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불편함 및 손상의 위험은 사용자가 구입한 단말을 장시간 보관할 때도 마찬가지로 존재한다.
전원 off 상태에서 누설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기존의 해결 방안은, 특정 커맨드를 이용하여 누설 전류가 발생할 수 있는 경로(path) 자체를 차단하고, 특정 조건(예: 전자 장치가 전력 공급 장치(power supply)에 연결됨)이 충족되는 경우에 해당 경로를 다시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커맨드를 이용한 방법은 주로 제품의 제조사나 유통사에서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1회만 적용이 가능하고, 소비자가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의 전원 off 될 때마다 배터리의 누설 전류를 반복적으로 차단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로 공급하기 위한 전력 관리 회로;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력 관리 회로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회로; 상기 전자 장치 일부에 형성된 물리 키; 상기 물리 키와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키 제어 회로; 및 상기 전력 관리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을 오프(off)하기 위한 신호를 전력 관리 회로로 전송하고 상기 전원이 오프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키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물리 키와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를 연결하도록(connect) 설정되고, 상기 전력 관리 회로는, 상기 전원을 오프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력 관리 회로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도록(disconnect)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된 물리 키(physical key);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회로; 및 상기 물리 키와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키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지정된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키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물리 키를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와 연결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과 차단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는, 상기 키 제어 회로와 연결된 상기 물리 키로부터 획득된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과 연결 또는 차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된 물리 키(physical key);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회로; 및 상기 물리 키와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키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키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물리 키를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와 연결하고, 상기 배터리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과 차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전원 off 시 배터리로부터의 누설 전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on/off가 발생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누설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원 on 상태의 회로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원 OFF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원 OFF 시 회로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원 on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6a, 6b, 및 6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원 on 시 회로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시 구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회로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의 잔량이 일정 수준 이하일 때 자동 전원 OFF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9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시 구동 시스템을 구비하지 않은 전자 장치의 배터리의 잔량이 일정 수준 이하일 때 회로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9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시 구동 시스템을 구비한 전자 장치의 배터리의 잔량이 일정 수준 이하일 때 회로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터리 전압이 임계 값보다 낮을 때 회로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원 off를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력 관리 모듈 및 배터리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배터리(110)가 내장된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 예들은 배터리 내장형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스마트 워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3)를 구비할 수도 있고,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103)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예: 스마트폰)을 기준으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예: 도 12의 전자 장치(1201))는 하우징(101), 하우징(101)의 전면을 통해 일부가 노출되는 디스플레이(103), 하우징(101)의 일부(예: 측면)을 통해 노출되는 물리 키(150)(예: 전원 키 또는 홈 버튼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물리 키(150)는 하우징(101)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방식 등으로, 전자 장치(100)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101) 내부에는 배터리(110)(예: 도 12의 배터리(1289)), 각종 전자 컴포넌트들(120), 배터리 관리 회로(130), 키 제어 회로(140)(예: 키 스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서 전자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elements)은 점선으로 표시된다.
배터리(110)는 배터리 관리 회로(130)(예: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를 통해 전자 컴포넌트들(12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별도의 전자 컴포넌트들(120)로 배터리(110)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시 구동 시스템(160)(always on system)은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OFF 되더라도 배터리(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배터리 관리 회로(130)가 아닌 다른 제어 회로를 통해 배터리(11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시 구동 시스템(160)은, 중간의 제어 회로 없이 배터리(110)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컴포넌트들(120)은 배터리(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다양한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컴포넌트들(120)은 AP(application processor), CP(communication processor), 전력 관리 회로 (또는 시스템 전력 관리 블록(system power management block)), 카메라,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회로들을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로 참조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는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123) 및 전력 관리 회로(12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3)와 전력 관리 회로(125)를 포함하는 회로 구성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서, 물리 키(150)는 키 제어 회로(140)를 통해 배터리 관리 회로(130)와 연결될 수 있다. 키 제어 회로(140)에 의해 물리 키(150)와 배터리 관리 회로(130)가 연결되면, 물리 키(150)를 통한 입력 이벤트가 배터리 관리 회로(130)로 전달될 수 있다. 키 제어 회로(140)에 의해 물리 키(150)와 배터리 관리 회로(13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면, 물리 키(150)를 통한 입력 이벤트가 차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터리 관리 회로(130)는 배터리(110)와 전자 컴포넌트들(1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회로(130)가 배터리(110)와 전자 컴포넌트들(120) 사이의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110)로부터 전자 컴포넌트들(120)로 누설 전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전기적 연결이 차단된다는 것은 서로 다른 두 구성요소(elements) 사이의 회로의 연결이 전기적으로 및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전원 on 상태의 회로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도 2 및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들은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on 상태인 경우, 배터리(110), 배터리 관리 회로(130), 및 전자 컴포넌트들(120)을 연결하는 경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관리 회로(130)는 배터리(110)와 전자 컴포넌트들(120) 사이에 배치되고, 배터리(110)와 전자 컴포넌트들(120) 사이의 연결할 수 있다. 도 2 및 유사한 다른 도면들에서, 연결된 경로는 굵은 실선으로, 연결되지 않은 경로는 실선으로, 제어 메시지가 전달되는 제어 경로(control path)는 점선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본 문서에서 정의된 연결 관계 및 연결 관계의 표시 방법은 예시적인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변형 가능한 다양한 연결 관계 및 그 표시 방법이 가능하다.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on 상태인 경우, 배터리 관리 회로(130) 내의 배터리 전력 스위치(131)(battery power switch, BPS)가 on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배터리 전력 스위치(131)가 on 상태인 경우, 배터리(110)와 전자 컴포넌트들(1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터리 전력 스위치(131)는 배터리 관리 회로(130)와 별개로(예: 배터리 관리 회로(130)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배터리(110)의 전압/전류를 모니터링 하는 감시 회로(133)(monitoring circuit)는 배터리 관리 회로(130)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배터리 관리 회로(130)와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배터리 관리 회로(130), 배터리 전력 스위치(131), 감시 회로(133)는 적절하게 통합되거나 독립되어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on 상태인 경우, 물리 키(140)와 배터리 관리 회로(130) 사이에 배치되는 키 제어 회로(140)는 물리 키(150)와 배터리 관리 회로(130) 사이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이 차단을 통해 물리 키(150)의 입력에 의해 배터리 전력 스위치(131)의 상태가 변경(예: on에서 off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물리 키(150)에 대한 입력(예: 누름)이 발생하면, 상기 입력은 물리 키(150)와 전자 컴포넌트들(120)을 연결하는 경로를 통해 전자 컴포넌트들(120)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는 이 입력에 응답하여 미리 정의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 키(150)가 짧게(예: 1초 미만) 눌린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03)를 off 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물리 키(150)가 길게(예: 2초 이상) 눌린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전원 off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 off 이벤트가 발생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원 on 상태에서 전원 off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on 상태에서 물리 키(150)를 통한 입력이 지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거나, 디스플레이(103)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원 off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는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off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특정 커맨드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는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off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off 프로세스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전원 off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전원 off 시 회로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301에서,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off하기 위한 전자 장치(100)의 전원 off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는 전원 off 이벤트 발생에 응답하여, 동작 303에서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off 하기 위한 일련의 시퀀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는 편집 중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전자 컴포넌트들(120)에 포함된 블록들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전원 off 시퀀스는 단말 제조사 및 운영체제 마다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강제로 off하는 경우, 동작 303의 전원 off 시퀀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
동작 305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는 키 제어 회로(140)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는 전원 off 이벤트 발생에 응답하여, 키 제어 회로(140)를 이용하여 물리 키(150)와 배터리 관리 회로(130)를 연결할 수 있다.
동작 307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는 배터리 관리 회로(130)에 의한 배터리(110)와 전자 컴포넌트들(120) 사이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는 배터리 관리 회로(130)를 이용하여 배터리(110)와 전자 컴포넌트들(1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작 307은 동작 305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서, 동작 307이 동작 305에 선행하거나, 동작 305와 동작 307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는 메인 프로세서(123)(예: AP)와 전력 관리 회로(12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3)와 전력 관리 회로(125)는 하나의 통합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별개의 독립된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관리 회로(125)는 배터리 관리 회로(130)를 통해 배터리(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을 다양한 부품들(예: AP 및 나머지 전자 컴포넌트들(12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 프로세서(123)는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off하기 위한 신호를 전력 관리 회로(125)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123)는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off 되는 것에 기반하여, 키 제어 회로(140)를 이용하여 물리 키(150)와 배터리 관리 회로(13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전술한 동작 305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회로(125)는 메인 프로세서(123)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off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배터리 관리 회로(130)를 이용하여 배터리(110)와 전력 관리 회로(125) 사이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전술한 동작 307에 해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메인 프로세서(123)와 전력 관리 회로(125)의 동작은 메인 프로세서(123)로 통합되어 수행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문서에서는 일반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3)와 전력 관리 회로(125)를 포함/통합하는 개념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에 의해 전원 on/off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off 되는 경우, 배터리 전력 스위치(131)가 개방됨으로써 배터리(110)와 전자 컴포넌트들(120) 사이의 연결이 차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물리 키(150)에 대한 입력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배터리(110)와 전자 컴포넌트들(120)(예: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 사이의 연결도 차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10)에서 전자 컴포넌트들(120)로의 누설 전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키 제어 회로(140)는 배터리 관리 회로(130) (또는 배터리 전력 스위치(131))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물리 키(150)를 통한 입력을 배터리 관리 회로(130)로 전달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회로(130)는 키 제어 회로(140)와 연결된 물리 키(1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110)와 전자 컴포넌트들(120)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전원 off 시 누설 전류 차단을 위해 모든 물리적/전기적 연결이 해제된 후에, 물리 키(150) 입력에 의해 배터리(110)로부터 전자 컴포넌트들(120)로의 전력 공급 경로가 다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1회에 그치지 않고, 전원이 off될 때마다 반복적으로 누설 전류를 차단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전원 on 이벤트가 발생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원 off 상태에서 전원 on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on 되는 경우 전력 및 제어 메시지의 흐름을 도 5, 6a, 6b, 및 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전원 on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6a, 6b, 및 6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전원 on 시 회로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5 및 도 6a를 참조하면, 동작 501에서 물리 키(150)의 입력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off 될 때, 키 제어 회로(140)에 의해 물리 키(150)와 배터리 관리 회로(130)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물리 키(15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이에 대응하는 제어 메시지(예: 키 인터럽트(key interrupt))가 배터리 관리 회로(130)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관리 회로(130)는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면 동작 503에서 배터리(110)와 전자 컴포넌트들(120)가 연결되도록 배터리 전력 스위치(131)를 제어(예: 스위치를 on)할 수 있다.
배터리(110)와 전자 컴포넌트들(120)가 연결되면, 전자 컴포넌트들(120)로 배터리(110)의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배터리(110), 배터리 관리 회로(130), 및 전자 컴포넌트들(120) 사이에 연결되는 전기적 경로를 통해 배터리(110)의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와 전자 컴포넌트들(120)로 전력이 공급되면, 동작 505에서 전자 장치(100)는 초기화(initializ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초기화 동작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부팅(booting)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메인 프로세서(123)와 연결된 전자 컴포넌트들(120)의 종류와 상태를 확인하고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 정보, 사용자 설정, 및 시스템 설정 값을 불러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초기화 동작은 물리 키(150)를 통한 입력이 미리 정의된 시간(예: 2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물리 키(150)의 입력이 순간적으로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일시적으로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력 공급 경로를 설정할 수 있지만, 물리 키(150)의 입력이 미리 정의된 시간 이상 지속되지 않았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 또는 배터리 관리 회로(130)는 스위치들(131, 140)를 제어하여 다시 도 4와 같은 전원 off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c를 참조하면, 초기화 동작이 완료되거나, 또는 초기화 동작 중 미리 정의된 일부 동작이 완료(예: 메인 프로세서(123)의 활성화)되면, 동작 507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는 물리 키(150)와 배터리 관리 회로(130)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키 제어 회로(14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on 상태로 진입하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는 물리 키(150)를 통한 입력이 배터리 관리 회로(130) 또는 배터리(110) 전원 스위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물리 키(150)와 배터리 관리 회로(130)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면, 이후에 발생하는 물리 키(150)를 통한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와 같은 전자 컴포넌트들(120)로 전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물리 키(150)를 이용한 다양한 제어들(예: 디스플레이(103) off, 화면 캡쳐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서 배터리 관리 회로(130)는 배터리(110)와 전자 컴포넌트들(120) 사이의 연결을 관리하므로, 전원 on 상태에서 물리 키(150)를 통한 입력이 배터리 관리 회로(130)에 영향을 주는 경우, 연결 차단에 의한 갑작스러운 장치 셧다운(shut down)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가 부팅된 후 키 제어 회로(140)를 통한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전자 장치(100)의 사용에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는 전자 컴포넌트들(120) 외에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off 되더라도 구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컴포넌트, 예를 들어 상시 구동 시스템(160)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NFC나 MST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 결제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다시 말해서 NFC/MST 무선 결제 시스템을 상시 구동 시스템(160)으로 탑재한 경우,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off 되더라도 전자 장치(100)를 POS(point on sale) 단말에 근접시킴으로써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off 되더라도 배터리(110)의 전력이 상시 구동 시스템(16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시 구동 시스템(160)은 배터리 관리 회로(130) 또는 배터리 전력 스위치(131)과 다른 제어 회로(예: 배터리 전력 스위치(135))를 통해 배터리(11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특히 배터리(110) 용량이나 배터리(110) 전압의 상태에 따라, 상시 구동 시스템(160)으로 공급되는 전력도 차단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시 구동 시스템(160)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의 회로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상시 구동 시스템(160)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off 된 경우의 예시적인 회로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와 비교할 때, 전자 장치(100)는 상시 구동 시스템(160) 및 배터리 전력 스위치(135)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구분의 편의를 위해 배터리 전력 스위치(131)는 제1 스위치(131)로, 배터리 전력 스위치(135)는 제2 스위치(135)로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스위치(135)는 생략될 수 있다. 제2 스위치(135)가 생략되는 경우, 배터리(110)는 상시 구동 시스템(160)과 항상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배터리 관리 회로(130)는 상기 구동 시스템과 배터리(110) 사이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제2 스위치(135)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110)의 잔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지면,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off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9a와 9b를 참조하여, 상시 구동 시스템(160)의 탑재 여부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110)의 잔량이 일정 수준 이하일 때 자동 전원 off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9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시 구동 시스템(160)을 구비하지 않은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110)의 잔량이 일정 수준 이하일 때 회로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9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시 구동 시스템(160)을 구비한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110)의 잔량이 일정 수준 이하일 때 회로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1에서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110)의 잔량(remaining capacity)이 제1 임계 값(TH1)보다 작아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감시 회로(133)는 배터리(110)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모니터링 하고, 배터리(110)의 잔존 용량이 배터리(110) 또는 배터리(110)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100)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제1 임계 값보다 작아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배터리(110)의 잔량이 제1 임계 값보다 작은 상태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감시 회로(133)는 배터리(110)의 잔량이 제1 임계 값보다 작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 또는 인터럽트를 배터리 관리 회로(130)로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회로(130)는 이 메시지 또는 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예: AP)로 전원 off를 위한 인터럽트(예: AP INT)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전원 off를 위한 인터럽트는,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off 하기 위한 이벤트의 하나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동작 803, 805, 및 807을 수행할 수 있다. 각 동작은 도 3의 동작 303, 305, 307에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동작 803, 805, 및 807이 수행되면, 상시 구동 시스템(160)을 구비하지 않은 전자 장치(100)는 최종적으로 도 4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8의 프로세스는 배터리(110)의 잔량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도 9b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상시 구동 시스템(160)을 포함하는 경우, 동작 809, 811, 및 813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809에서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110)의 잔량이 제2 임계 값보다 작아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임계 값은 제1 임계 값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의 잔량이 제1 임계 값(TH1)보다 작아짐에 따라 전자 컴포넌트들(120)의 보호를 위해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자동적으로 off 하였으나, 상시 구동 시스템(160)의 동작은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시 구동 시스템(160)의 유지를 위해 배터리(110)의 잔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제2 임계 값(TH2)보다 작아지는 경우, 배터리(110) 또는 상시 구동 시스템(160)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동작 811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스위치(135)를 개방하여 배터리(110)와 상시 구동 시스템(16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력 공급 및 누설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만약 배터리(110)의 잔량이 제2 임계 값보다는 높은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2 스위치(135)의 연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달리,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off 되더라도 배터리 관리 회로(130) 및 키 제어 회로(140)가 전원 on 상태와 동일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를 일반 전원 off (normal power off) 상태로 참조할 수 있다. 반대로 도 4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누설 전류를 차단한 전원 off 상태를 완전 전원 off (fully power off) 상태로 참조할 수 있다. 일반 전원 off 상태에서는, 배터리(110)로부터 발생하는 누설 전류에 의해 배터리(110)의 전압이 점차 낮아질 수 있다.
배터리(110)의 전압이 임계 값보다 작아지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일반 전원 off 상태에서 완전 전원 off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일반 전원 off 상태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에 의해 수행된 전원 off 시퀀스에 의해 시스템 블록들이 비활성화되고 전자 컴포넌트들(120)로 전력 공급이 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1)가 아닌 배터리 관리 회로(130)가 스위치들(131, 14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110)의 전압이 임계 값보다 낮을 때 회로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감시 회로(133)는 일반 전원 off 상태에서 배터리(110)의 전압이 지정된 값보다 낮아지는 것이 감지되면, 이 정보를 배터리 관리 회로(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 관리 회로(130)는 배터리 전력 스위치(131)와 키 제어 회로(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관리 회로(130)는 누설 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배터리 전력 스위치(131)를 제어하여, 배터리(110)와 전자 컴포넌트들(120) 사이의 연결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 회로(130)는, 물리 키(150)의 입력에 의해 상기 차단된 연결을 다시 회복하기 위해, 키 제어 회로(140)를 제어하여 물리 키(150)와 배터리 관리 회로(130) (또는 배터리 전력 스위치(131))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원 off를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물리 키(150)에 대한 지정된 입력 신호가 발생하거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전자 장치(100)의 종료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도 11의 좌측과 같은 종료 UI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료 UI는 전원 off(power off) 아이콘(1110), 재시작(restart) 아이콘(1120), 및 장기 전원 off(long term off) 아이콘(1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1에 도시된 종료 UI는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한 아이콘/메뉴가 추가/삭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료 UI는 긴급 통화(emergency call)만 가능한 상태로 진입하는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원 off 아이콘(1110)이 선택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원 off 아이콘(1110)의 선택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off 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도 3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전자 장치(100)가 상시 구동 시스템(160)을 구비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8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장기 전원 off 아이콘(1130)이 선택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장기 전원 off 아이콘(1130)의 선택에 응답하여 전자 컴포넌트들(120)과 상시 구동 시스템(160)을 모두 즉시 off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장기 보관이나 선적(shipping) 시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110)의 잔량을 보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장기 전원 off 아이콘(1130)이 선택되면 상시 구동 시스템(160)을 선택적으로 off하기 위한 UI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상시 구동 시스템(160)을 NFC 결제 시스템으로 가정한다.
도 11의 우측 UI를 참고하면, 상시 구동 시스템(160), 즉 NFC 결제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on 또는 off 하기 위한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우측 UI는 NFC ON 메뉴(1131)와 NFC OFF 메뉴(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NFC ON 메뉴(1131)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는 NFC 결제 시스템과 배터리(110) 사이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off되더라도 전자 장치(100)를 이용한 NFC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NFC OFF 메뉴(1132)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는 NFC 결제 시스템과 배터리(110) 사이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복수의 상시 구동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경우, 도 11의 우측 UI는 복수의 상시 구동 시스템들 중 배터리(110)와 연결을 유지하고자 하는 시스템에 대한 선택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에 제1 상시 구동 시스템, 제2 상시 구동 시스템, 제3 상시 구동 시스템의 목록을 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시 구동 시스템들만 배터리(110)와 연결을 유지한 상태로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off할 수 있다.
도 1 내지 11을 참조하여 전술한 전자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 요소는 이하의 도 12 내지 13을 참조하여 확장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200) 내의 전자 장치(1201)의 블록도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예: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tablet PC), 랩탑 PC(, 데스크톱 PC, 워크스테이션, 또는 서버),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예: 전자 책 리더기 또는 MP3 플레이어), 휴대용 의료 기기(예: 심박, 혈당, 혈압, 또는 체온 측정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 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 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 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 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장치, 오디오 액세서리 장치(예: 스피커, 헤드폰, 또는 헤드 셋),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메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게임 콘솔,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예: 차량/선박/비행기 용 블랙박스(black box)),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예: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ATM(automated teller machine), POS(point of sales) 기기,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또는 가스 계측 기기),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예: 전구,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 조절기, 또는 가로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예를 들면, 개인의 생체 정보(예: 심박 또는 혈당)의 측정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의 경우처럼, 복수의 장치들의 기능들을 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2을 참조하여, 네트워크 환경(1200)에서 전자 장치(1201)(예: 전자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1298)을 통하여 전자 장치(1202)와 통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1299)를 통하여 전자 장치(1204) 또는 서버(12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1)는 서버(1208)을 통하여 전자 장치(12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1)는 버스(1210), 프로세서(1220)(예: 프로세서(121)), 메모리(1230), 입력 장치(1250)(예: 마이크 또는 마우스), 표시 장치(1260)(예: 디스플레이(103)), 오디오 모듈(1270), 센서 모듈(1276), 인터페이스(1277), 햅틱 모듈(1279), 카메라 모듈(1280), 전력 관리 모듈(1288), 및 배터리(1289), 통신 모듈(1290), 및 가입자 식별 모듈(1296)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2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260) 또는 카메라 모듈(1280))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210)는, 구성요소들(1220-129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신호(예: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GPU(graphics processing unit), 카메라의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20)는 SoC(system on chip) 또는 SiP(system in package)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2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2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2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통신 모듈(129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232)에 로드 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 휘발성 메모리(123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30)는, 휘발성 메모리(1232)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1234)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1232)는, 예를 들면, RAM(random access memory)(예: DRAM, SRAM, 또는 SDRAM)로 구성될 수 있다. 비 휘발성 메모리(1234)는, 예를 들면,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OTPROM(one time PROM), EPROM(erasable PROM), EEPROM(electrically 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또는 SSD(solid state drive)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 휘발성 메모리(1234)는, 전자 장치(1201)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그 안에 배치된 내장 메모리(1236), 또는 필요 시에만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스탠드-얼론(stand-alone) 형태의 외장 메모리(1238)로 구성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238)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238)는 유선(예: 케이블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무선(예: Bluetooth)을 통하여 전자 장치(1201)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2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2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예를 들어, 프로그램(1240)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240)은, 예를 들면, 커널(1241), 라이브러리(1243),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2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interchangeably "어플리케이션")(1247)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250)는,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키보드는 물리적인 키보드로 연결되거나, 표시 장치(1260)를 통해 가상 키보드로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장치(1260)는,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연하게, 투명하게, 또는 착용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근접,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감지할 수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interchangeably "forc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회로 또는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와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2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270)은, 예를 들면,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270)은, 입력 장치(1250)(예: 마이크)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201)에 포함된 출력 장치(미 도시)(예: 스피커 또는 리시버), 또는 전자 장치(1201)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2)(예: 무선 스피커 또는 무선 헤드폰) 또는 전자 장치(1206)(예: 유선 스피커 또는 유선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276)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2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고도, 습도, 또는 밝기)를 계측 또는 감지하여, 그 계측 또는 감지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2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color) 센서(예: RGB(red, green, blue)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예: 홍채 센서, 지문 센서, 또는 HRM(heartbeat rate monitoring) 센서, 후각(electronic nose) 센서, EMG(electromyography) 센서, EEG(Electroencephalogram) 센서, ECG(Electrocardiogram)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또는 UV(ultra violet)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276)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201)는 프로세서(1220) 또는 프로세서(1220)와는 별도의 프로세서(예: 센서 허브)를 이용하여, 센서 모듈(1276)을 제어할 수 있다. 별도의 프로세서(예: 센서 허브)를 이용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1201)는 프로세서(122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프로세서(1220)를 깨우지 않고 별도의 프로세서의 작동에 의하여 센서 모듈(1276)의 동작 또는 상태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277)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D-sub(D-subminiature),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278)는 전자 장치(1201)와 전자 장치(1206)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278)는, 예를 들면,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279)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햅틱 모듈(1279)은 사용자에게 촉각 또는 운동 감각과 관련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햅틱 모듈(12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80)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80)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렌즈(예: 광각 렌즈 및 망원 렌즈, 또는 전면 렌즈 및 후면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예: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288)은 전자 장치(1201)의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289)(예: 배터리(110))는, 예를 들면, 1차 전지,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하여 외부 전원에 의해 재충전되어, 상기 전자 장치(12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9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201)와 외부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1202), 제2 외부 전자 장치(1204), 또는 서버(1208)) 간의 통신 채널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290)은 무선 통신 모듈(1292) 또는 유선 통신 모듈(1294)을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298)(예: Bluetooth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299)(예: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92)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GNSS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셀룰러 통신은,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Li-Fi(light fidelity), 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RF(radio frequency), 또는 BAN(body area network)을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모듈(1292)은,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1296)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2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292)은 프로세서(1220)(예: AP)와 별개인 C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CP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1220)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프로세서(1220)를 대신하여, 또는 프로세서(1220)가 액티브 상태에 있는 동안 프로세서(1220)과 함께, 전자 장치(1201)의 구성요소들(1210-1296)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와 관련된 기능들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292)은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방식만을 지원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294)은, 예를 들면, LAN(local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1298)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201)와 제1 외부 전자 장치(1202)간의 무선으로 직접 연결을 통해 명령 또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 할 수 있는 Wi-Fi 다이렉트 또는 Bluetooth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1299)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20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1204)간의 명령 또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예: LAN나 WAN(wide area network)와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또는 텔레폰(telephone)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명령 또는 상기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12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20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12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1202, 1204) 각각은 전자 장치(12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2, 1204), 또는 서버(1208)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2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202, 1204), 또는 서버(1208))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02, 1204), 또는 서버(1208))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2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2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201)의 전력 관리 모듈(1288) 및 배터리(1289)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관리 모듈(1288)은 충전 회로(1388-1), 전압 조정기(1388-2), 및 연료 게이지(1388-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288)은 일부 구성 요소(예: 연료 게이지(1388-3))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회로(1388-1), 전압 조정기(1388-2), 또는 연료 게이지(1388-3)는 전력 관리 모듈(1288)과 별도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충전 회로(1388-1)는 외부 전자 장치(1206)의 종류(예: 전원 어댑터 또는 USB) 또는 외부 전자 장치(1306)로부터 공급 가능한 전력량(예: 약 20W 이상)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배터리(1289)에 대한 급속 충전(fast charging)을 수행할 수 있다.
전압 조정기(1388-2)는 다양한 전압 레벨을 갖는 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원을 전자 장치(1201)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1210-1296)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압 조정기(1388-2)는 LDO(low drop out) regulator 또는 switching regul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 게이지(1388-3)는, 예를 들면, 배터리(1289)의 제1 상태 정보(예: 배터리의 용량, 충방전 횟수, 온도, 또는 전압)를 측정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288)은 제1 상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배터리(1289)의 제2 상태 정보(예: 수명, 과전압, 저전압, 과전류, 과충전, 과열, 단락, 또는 팽창(swelling))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0)는 제2 상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전력 관리 모듈(1288)의 적어도 일부 기능 또는 적어도 일부 서브 구성 요소(예: 충전 회로(1388-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20)는 제2 상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배터리(1289)의 이상 상태 또는 정상 상태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배터리(1289)가 이상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220)는 충전 회로(1388-1)의 배터리(1289)에 대한 충전 동작을 조정(예: 충전 전류 또는 전압 감소, 또는 충전 중지)할 수 있다.
배터리(1289)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389)의 성능 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배터리 보호 회로(1389-1)(예: PCM(protection circuit module))를 구비할 수 있다. 배터리 보호 회로(1389-1)는, 예를 들면, 배터리(1289)의 과전압, 과전류, 과열, 과방전 또는 단락이 감지되는 경우, 미리 정의된 제1 동작 또는 제1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1289)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 보호 회로(1389-1)는 배터리(1289)의 소손 방지 기능 이외에 셀 밸런싱, 배터리의 용량 측정, 충방전 횟수 측정, 온도 측정, 또는 전압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BMS))(예: 배터리 관리 회로(130))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센서 모듈(1276)은 연료 게이지(1388-3)와는 독립적으로(예: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배터리(1289)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276)은 배터리 보호 회로(1289-1)의 일부로 포함되거나, 또는 별도의 모듈(예: 감시 회로(133))로 구성되어 배터리(1289)의 인근에 배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277)는 외부 전자 장치(1206)(예: 전원 어댑터, 전원 충전기, 또는 외장형 배터리)로부터 데이터 또는 전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1206)(예: 휴대용 통신 장치 또는 웨어러블 장치)로 데이터 또는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277)는 유선 충전 방식(예: USB 방식) 또는 무선 충전 방식(예: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277)는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설정된(adapted to or 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또는 구성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예: 메모리 12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로 구성된 유닛(unit)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1230))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로 공급하기 위한 전력 관리 회로;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력 관리 회로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회로;
    상기 전자 장치 일부에 형성된 물리 키;
    상기 물리 키와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키 제어 회로;
    상기 전력 관리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을 오프(off)하기 위한 신호를 전력 관리 회로로 전송하고 상기 전원이 오프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키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물리 키와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를 연결하도록(connect) 설정되고,
    상기 전력 관리 회로는, 상기 전원을 오프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력 관리 회로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도록(disconnect) 설정된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전원이 온(on) 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키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키와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 제어 회로는,
    상기 키에 대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키와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연결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로 송신하고,
    상기 키와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로 송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가 아닌 다른 제어 회로를 통해,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다른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원이 오프 되는 것에 기반하여,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다른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와 상기 다른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고,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배터리와 상기 다른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 사이의 연결을 유지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전원의 on 상태 또는 off 상태와 독립적으로 상기 배터리와 상기 다른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 사이의 연결을 유지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된 물리 키(physical key);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회로; 및
    상기 물리 키와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키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지정된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키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물리 키를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와 연결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과 차단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는, 상기 키 제어 회로와 연결된 상기 물리 키로부터 획득된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과 연결 또는 차단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신호가 지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지정된 이벤트의 상기 발생으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획득된 전원 off에 대응하는 입력을 상기 지정된 이벤트의 상기 발생으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이 off된 후에 상기 물리 키를 통한 상기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배터리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과 연결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이 on 되면, 상기 키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물리 키를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와 차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이 off된 후에 상기 물리 키를 통해 획득된 상기 입력 신호가 지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키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물리 키를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와 차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remaining capacity)이 지정된 임계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지정된 이벤트의 상기 발생으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3. 청구항 6에 있어서,
    스위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다른(another) 전자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자 컴포넌트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MST(magnetic signal transmission)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결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다른 전자 컴포넌트는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이 제1 지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배터리가 상기 다른 전자 컴포넌트와 연결된 동안 상기 키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물리 키를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와 연결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과 차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상기 제1 지정된 값보다 작은 제2 지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다른 전자 컴포넌트와 차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8.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된 물리 키(physical key);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회로; 및
    상기 물리 키와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키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키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물리 키를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와 연결하고, 상기 배터리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과 차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지정된 값 이하로 낮아지는 것을 상기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회로는, 상기 배터리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과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물리 키로부터 획득된 입력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과 연결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KR1020170030774A 2017-03-10 2017-03-10 전자 장치의 배터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298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774A KR102298069B1 (ko) 2017-03-10 2017-03-10 전자 장치의 배터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N201880014945.5A CN110352530B (zh) 2017-03-10 2018-03-09 用于管理电子设备的电池的方法和装置
EP18763749.1A EP3568882B1 (en) 2017-03-10 2018-03-09 Apparatus for managing battery of electronic device
PCT/KR2018/002854 WO2018164546A1 (en) 2017-03-10 2018-03-09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attery of electronic device
US15/916,794 US10775872B2 (en) 2017-03-10 2018-03-09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attery of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774A KR102298069B1 (ko) 2017-03-10 2017-03-10 전자 장치의 배터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602A true KR20180103602A (ko) 2018-09-19
KR102298069B1 KR102298069B1 (ko) 2021-09-03

Family

ID=6344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774A KR102298069B1 (ko) 2017-03-10 2017-03-10 전자 장치의 배터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75872B2 (ko)
EP (1) EP3568882B1 (ko)
KR (1) KR102298069B1 (ko)
CN (1) CN110352530B (ko)
WO (1) WO201816454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5471A (zh) * 2020-10-27 2021-01-26 格力博(江苏)股份有限公司 电池包通断控制系统
WO2022080738A1 (ko) * 2020-10-14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의 과방전 상태에 기반하여 충전 금지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085921A1 (ko) * 2020-10-22 2022-04-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전력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690B1 (ko) * 2017-09-18 2023-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상태를 기반으로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0884478B2 (en) * 2018-10-01 2021-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synchronous state machine for managing deep sleep state
CN111754687A (zh) * 2020-06-11 2020-10-09 京源中科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充电式智能水表
US11697357B2 (en) 2020-07-08 2023-07-1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battery of vehicle
KR20220012483A (ko) * 2020-07-22 2022-0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378626B2 (en) 2020-07-08 2022-07-05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of vehicle
KR20220006270A (ko) 2020-07-08 2022-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22049155A (ja) * 2020-09-16 2022-03-29 キオクシア株式会社 メモリシステムおよび容量値の測定方法
US11648848B1 (en) 2021-10-30 2023-05-16 Beta Air,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sidual energy for an electric aircraf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3599A (ja) * 1993-10-18 1995-05-12 Toyota Motor Corp 充電制御装置
KR20120058799A (ko) * 2010-11-30 2012-06-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차 배터리 충전시 누설 전류 차단 장치
KR20160064734A (ko) * 2014-11-28 201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충전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KR20170005687A (ko) * 2015-07-06 2017-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송수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1782B2 (ja) * 1997-02-26 2007-04-0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ーク電流防止のための電源装置、及び電子機器
SE9801970L (sv) * 1998-06-03 1999-12-04 Ericsson Telefon Ab L M Mobil elektronisk anordning
US6984900B1 (en) * 1998-10-09 2006-01-10 Azoteq (Pty) Ltd. Intelligent electrical switch
KR100433532B1 (ko) * 2001-12-29 2004-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389448B1 (ko) * 2007-03-27 201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형 전자 장치 및 그것의 전원 관리 방법
JP5633139B2 (ja) 2009-11-13 2014-1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機器
US9059597B2 (en) 2011-02-23 2015-06-16 Lg Electronics Inc. Reduction of leakage current in mobile device with embedded battery
KR101834810B1 (ko) * 2011-06-07 2018-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
KR20160139773A (ko) 2015-05-28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전력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3599A (ja) * 1993-10-18 1995-05-12 Toyota Motor Corp 充電制御装置
KR20120058799A (ko) * 2010-11-30 2012-06-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차 배터리 충전시 누설 전류 차단 장치
KR20160064734A (ko) * 2014-11-28 201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충전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KR20170005687A (ko) * 2015-07-06 2017-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송수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738A1 (ko) * 2020-10-14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의 과방전 상태에 기반하여 충전 금지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085921A1 (ko) * 2020-10-22 2022-04-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전력 제어 방법
CN112265471A (zh) * 2020-10-27 2021-01-26 格力博(江苏)股份有限公司 电池包通断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52530A (zh) 2019-10-18
KR102298069B1 (ko) 2021-09-03
US10775872B2 (en) 2020-09-15
EP3568882A1 (en) 2019-11-20
EP3568882A4 (en) 2020-03-11
WO2018164546A1 (en) 2018-09-13
US20180260019A1 (en) 2018-09-13
EP3568882B1 (en) 2021-08-04
CN110352530B (zh) 202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8069B1 (ko) 전자 장치의 배터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374821B1 (ko) 온도를 기반으로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0652828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mode switching and a method thereof
US10536010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414226B1 (ko) 배터리 누설 상태에 기반한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384785B1 (ko) 배터리의 전압에 기반한 충전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267626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배터리 관리 방법
KR102216484B1 (ko) 충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371184B1 (ko)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20180074301A (ko) 배터리 이상 상태 확인 방법 및 장치
KR102557976B1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KR20180085313A (ko) 충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053685A (ko) 탈부착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74971A (ko) 시간 기반 적응적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70121524A (ko)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695291B2 (en) Method to charge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attery
KR2017000026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온도 판단 방법
KR102544778B1 (ko) 누설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064734A (ko) 충전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KR20180069640A (ko) 전자 장치를 충전하는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KR20180130684A (ko) 감전 방지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US11303140B2 (en) Method for preventing overcharging of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18002047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