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812A -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812A
KR20180102812A KR1020170029422A KR20170029422A KR20180102812A KR 20180102812 A KR20180102812 A KR 20180102812A KR 1020170029422 A KR1020170029422 A KR 1020170029422A KR 20170029422 A KR20170029422 A KR 20170029422A KR 20180102812 A KR20180102812 A KR 20180102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circuit board
leg
resistance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슬기
김현기
박노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9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2812A/ko
Publication of KR20180102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은, 차량에 배치되는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에 있어서, 회로기판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저항 바디와, 저항 바디의 일단에서 회로기판의 일면 쪽으로 절곡된 제 1 저항 레그와, 저항 바디의 타단에서 회로기판의 일면 쪽으로 절곡된 제 2 저항 레그와,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 1 저항 레그의 끝단에서 제 2 저항 레그 쪽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저항 접속부와,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 2 저항 레그의 끝단에서 제 1 저항 레그 쪽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저항 접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PLATE-TYPE RESISTANCE FOR POWER WINDOW SWITCH UNI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용 윈도우를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장치와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편의 장치의 하나로 차량의 윈도우를 개폐하기 위한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각 좌석마다 장착되어 각 좌석의 승객이 윈도우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복수의 스위치가 하우징 내에 설치된 스위치 모듈로 도어의 아암 레스트 상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노브(10)가 하우징(12) 상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노브(10)는 하우징(12)의 힌지축(14)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로 회동할 수 있다. 노브(10)에는 한 쌍의 전달로드(16)가 힌지축(14)의 아래로 연장되게 형성되어서 노브(10)의 조작력을 마이크로 스위치(20)의 플런저(26)로 전달하게 된다.
마이크로 스위치(20)내에는 PCB(30)와 전기적 회로로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 단자(22)와, 노브(10)의 작동에 따라 한 쌍의 고정 단자(22)에 각각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한 쌍의 가동 단자(24)가 구비된다. 가동 단자(24)의 상부에는 한 쌍의 플런저(26)가 마이크로 스위치(2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들 플런저(26)는 노브(1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전달로드(16)에 의해 상하로 직선 이동하면서 가동 단자(24)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승객이 노브(10)를 상측으로 당기거나 하측으로 눌러서 회동시키면, 한 쌍의 전달로드(16) 중 하나가 이와 접촉하는 하나의 플런저(26)를 눌러서 하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가동 단자(24)가 플런저(26)에 눌려서 고정 단자(22)에 접촉하게 되며, 이때 PCB(30)의 신호에 의해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작동하고,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작동에 의해 차량의 도어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PCB(30)에 장착되는 저항의 장착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자나 사용자가 저항의 크기를 직관적으로 알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도 2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용 저항은 유선형의 핀타입으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핀타입 저항(40)은 납땜을 통해 PCB(30)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제조 시 그 장착 작업이 번거롭고 파워윈도우 스위치의 제조 시간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유선형으로 굽은 모양으로 이루어져 작업자나 사용자가 저항의 크기를 직관적으로 알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파워윈도우 스위치용 저항으로 도 2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션트 저항(50)이 PCB(30)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션트 저항(50)은 SMD를 통해 PCB(3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런데 PCB(30)에는 많은 전자소자가 배치되므로, 종래의 션트 저항(50)은 다른 전자소자와 간섭되기 쉬우며,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장착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구조가 요구된다. 또한 작업자나 사용자가 저항의 크기를 직관적으로 알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노브(10)가 마이크로 스위치(20)의 플런저(26)와 직접 닿기 때문에, 노브(10) 작동 시 기계적인 조작감을 일으키고, 노브(10)를 따라 유입되는 수분이 마이크로 스위치(20)나 PCB(30)에 도달하기 쉽다. 이 경우, 마이크로 스위치(20)나 PCB(30)의 도전부에 녹이 발생하거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노브(10)가 플런저(26) 힘의 작용점과 플런저(26)가 가동 단자(24)를 가압하는 힘의 작용점이 동일선 상에 위치하며, 파워윈도우 스위치 구조상 플런저(26)가 가동 단자(24)의 접점부로부터 반대쪽으로 치우쳐서 가동 단자(24)와 접촉하게 된다. 그런데 가동 단자(24)는 접점부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눌러질수록 변형량이 증가하고, 이에 걸리는 응력이 커지게 된다. 또한 가동 단자(24)를 한쪽 끝단에 가까운 부분을 눌러 작동시키려면 더 많은 가압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작동 시 가동 단자(24)의 변형량이 크고 가동 단자(24)에 걸리는 응력이 커서, 장시간 사용 시 가동 단자(24)가 영구 변형되기 쉽고, 그에 따라 작동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20)의 접점이 위치하게 되는 금속부와 그 주변을 에워싸고 있는 사출부가 동일 선상에 놓여있기 때문에, 제조 시 금속부에 열을 가할 때 사출부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접점 제작을 위해 금속부에 열을 가할 때 순간 온도가 크게 상승하면서 아크 방전이 발생하게 되고, 아크 방전이 주변의 사출부에 영향을 주어 사출물이 녹거나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0591303호 (2006. 06. 19.)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나 사용자가 저항 크기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용이하고, 회로기판 상에서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회로기판의 설계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은, 차량에 배치되는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저항 바디; 상기 저항 바디의 일단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 쪽으로 절곡된 제 1 저항 레그; 상기 저항 바디의 타단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 쪽으로 절곡된 제 2 저항 레그;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저항 레그의 끝단에서 상기 제 2 저항 레그 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저항 접속부; 및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2 저항 레그의 끝단에서 상기 제 1 저항 레그 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저항 접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항 바디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항 레그 및 상기 제 2 저항 레그는 각각 상기 저항 바디의 양쪽 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1 저항 접속부는 상기 제 1 저항 레그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 2 저항 접속부는 상기 제 2 저항 레그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판상 저항은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저항 바디의 중앙 부분을 각각 직교하는 선분을 중심으로 거울 대칭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은, 차량에 배치되는 하우징;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브;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노브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 및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판상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판상 저항은,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저항 바디와, 상기 저항 바디의 일단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 쪽으로 절곡된 제 1 저항 레그와, 상기 저항 바디의 타단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 쪽으로 절곡된 제 2 저항 레그와,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저항 레그의 끝단에서 상기 제 2 저항 레그 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저항 접속부와,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2 저항 레그의 끝단에서 상기 제 1 저항 레그 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저항 접속부를 구비한다.
상기 판상 저항은 표면실장법으로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 제조방법은, (a) 설정된 길이와 폭을 갖는 금속 모재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금속 모재의 일단을 설정된 길이로 절곡하여 제 1 저항 접속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금속 모재의 중간 일측을 설정된 길이로 절곡하여 제 1 저항 레그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금속 모재의 타단을 설정된 길이로 절곡하여 제 2 저항 접속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금속 모재의 중간 다른 일측을 설정된 길이로 절곡하여 제 2 저항 레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저항 접속부를 상기 제 1 저항 레그의 끝단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 2 저항 접속부를 상기 제 2 저항 레그의 끝단에 배치시키며, 양쪽 끝단에 상기 제 1 저항 레그 및 상기 제 2 저항 레그가 각각 연결되는 상기 금속 모재의 중간 부분을 저항 바디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e)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 단계 그룹 중에서 모든 단계가 순차적으로 택일되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금속 모재를 각각 수직으로 절곡하여 상기 제 1 저항 접속부, 상기 제 1 저항 레그, 상기 제 2 저항 접속부 및 상기 제 2 저항 레그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저항 레그 및 상기 제 2 저항 레그와 각각 평행하게 상기 저항 바디의 중앙 부분을 직교하는 선분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저항 접속부 및 상기 제 2 저항 접속부를 거울 대칭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저항 레그 및 상기 제 2 저항 레그를 거울 대칭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b) 내지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금속 모재를 받침 지그 위에 올려놓고 프레스 펀치로 절곡하여 상기 제 1 저항 접속부, 상기 제 1 저항 레그, 상기 제 2 저항 접속부 및 상기 제 2 저항 레그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은 회로기판에 구비되는 판상 저항이 저항 바디와, 저항 바디의 양쪽 끝단에서 각각 절곡된 제 1 저항 레그 및 제 2 저항 레그와, 제 1 저항 레그 및 제 2 저항 레그 각각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저항 접속부 및 제 2 저항 접속부를 포함하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판상 저항의 제 1 저항 접속부 및 제 2 저항 접속부가 제 1 저항 레그와 제 2 저항 레그 사이의 안쪽으로 배치되므로, 판상 저항이 회로기판 상에서 설치 공간을 상대적으로 적게 차지하면서 회로기판에 결합될 수 있고, 회로기판의 설계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판상 저항이 제 1 저항 접속부와 제 2 저항 접속부 사이의 전류 통로가 되는 저항 바디와 한 쌍의 저항 레그만 외측으로 드러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작업자나 사용자가 저항 크기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용 저항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푸시로드와 마이크로 스위치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회로기판과 마이크로 스위치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회로기판과 마이크로 스위치 간의 배치 구조가 변형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를 프레임 베이스와 프레임 커버를 분리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에 구비되는 연결 단자 및 고정 단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에 구비되는 고정 단자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에 구비되는 가동 단자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에 구비되는 플런저암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상 저항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상 저항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상 저항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100)은, 차량에 배치되는 하우징(102)과, 하우징(102)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120)과, 하우징(102)의 외측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125)와, 노브(125)와 회로기판(120) 사이에 개재되는 러버 패드(130)와, 작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회로기판(120)에 결합되는 마이크로 스위치(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02)은 하우징 베이스(103)와, 하우징 베이스(103)의 상부를 덮는 하우징 커버(105)를 포함한다. 하우징(102)은 차량의 도어 등 차량 내측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다. 하우징(102)의 내부에는 회로기판(120), 러버 패드(130), 마이크로 스위치(140) 등 구성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하우징 베이스(103)의 일측에는 회로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108)가 결합된다.
하우징(102)은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 베이스(103)의 상부를 하우징 커버(105)가 덮는 구조 이외에, 일체형 구조 등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즉, 하우징은 다른 구성 부품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노브(125)를 가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차량에 실내에 장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회로기판(120)은 하우징(102)의 내부에 설치된다. 회로기판(120)에는 마이크로 스위치(140)나 커넥터(108)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다양한 회로나, 램프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회로기판(120)은 커넥터(108)를 통해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기판(120)에는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플런저(180)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플런저 삽입홀(121)이 구비된다. 플런저 삽입홀(121)은 플런저(180)의 이동 방향으로 회로기판(12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노브(125)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하우징(102)의 외측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면에는 복수의 노브(125)가 하우징(102) 상측에 배치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노브(125)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102)의 내측에는 노브(125)와 연계하여 작용하는 구성 요소(푸시로드(128), 마이크로 스위치(140) 등)가 복수의 노브(125)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된다. 노브(125)와 연계하여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동일한 구성 요소들(푸시로드(128), 마이크로 스위치(140) 등)은 각각의 구체적인 구조나 작용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노브(125)와, 하나의 노브(125)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노브(125)는 하우징 커버(105) 외측에 구비되는 노브 지지부(10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노브(125)는 노브 지지부(106)에 지지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여 틸팅될 수 있다.
노브(125)와 러버 패드(130)의 사이에는 푸시로드(128)가 설치되어 노브(125)의 움직임에 따른 가압력을 러버 패드(130)를 통해 마이크로 스위치(140)에 전달한다. 푸시로드(128)는 하우징 커버(105)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푸시로드(128)의 이동 방향은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플런저(180) 이동 방향과 동일하다. 노브(125)가 회전하면 푸시로드(128)가 러버 패드(130) 쪽으로 하강하여 러버 패드(130)를 통해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플런저(180)를 가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1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하나의 노브(125)는 한 쌍의 푸시로드(128)와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푸시로드(128)는 이들 각 푸시로드(128)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하측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스위치(140)와 각각 작용한다. 하나의 노브(125)에 대응하는 한 쌍의 푸시로드(128)는 노브(125)의 하측에 노브(125)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된다. 이들 한 쌍의 푸시로드(128)는 노브(125)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하나씩 움직여 한 쌍의 마이크로 스위치(140)를 각각 하나씩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노브(12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노브(125)는 한 쌍의 푸시로드(128) 중 도면 상 우측에 배치되는 하나의 푸시로드(128)를 마이크로 스위치(140)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노브(125)에 의해 가압되는 푸시로드(128)는 그 하부에 위치하는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플런저(180)를 눌러 마이크로 스위치(140)를 작동시키게 된다. 반대로, 노브(12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면 상 좌측에 배치되는 또 다른 푸시로드(128)를 마이크로 스위치(140) 쪽으로 가압하고, 그 푸시로드(128)가 이와 대응하여 배치되는 또 다른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플런저(180)를 눌러 작동시키게 된다. 하나의 노브(125)에 대응하는 한 쌍의 마이크로 스위치(140)는 윈도우를 작동시키기 위한 각각 다른 작동 신호(예를 들어, 윈도우 UP, 윈도우 DOWN)를 발생할 수 있다.
노브(125)의 구체적인 구조나, 움직임 형태, 마이크로 스위치(140)와의 연결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노브(125)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푸시로드(128)나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노브(125)와 별도로 구비되는 푸시로드(128)는 생략되거나,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노브(125)가 별도의 푸시로드(128)를 통하지 않고 직접 러버 패드(130)를 가압하여 마이크로 스위치(140)를 작동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러버 패드(130)는 하우징(102)의 내측에 회로기판(120)과 노브(125) 사이에 개재되어 하우징(102)의 내부 공간을 구획한다. 즉 하우징(102)의 내부 공간은 러버 패드(130)가 배치되는 평면을 중심으로 회로기판(120) 및 마이크로 스위치(140)가 배치되는 공간과, 노브(125)가 연결되는 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다. 러버 패드(130)는 회로기판(120)의 일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하우징(102)의 노브 지지부(106)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이나 이물질로부터 회로기판(120)이나 마이크로 스위치(140)를 보호할 수 있다.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하우징의 노브가 연결되는 부분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이나 이물질이 그대로 회로기판이나 마이크로 스위치에 도달할 수 있는 구조여서, 수분이나 이물질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100)은 러버 패드(130)를 이용하여 하우징(102)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이나 이물질을 회로기판(120)이나 마이크로 스위치(140)에 도달하지 못하게 차단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러버 패드(130)는 회로기판(120)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러버 바디부(131)와, 러버 바디부(131)로부터 노브 쪽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러버 버튼부(135)를 포함한다. 러버 바디부(131)는 회로기판(120)의 일면을 덮는 전면 덮개부(132)와, 회로기판(120)의 가장자리 둘레를 덮을 수 있도록 전면 덮개부(132)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측면 덮개부(133)를 포함한다. 전면 덮개부(132)와 측면 덮개부(133)를 통해 회로기판(120)의 마이크로 스위치(140)가 배치되는 하면을 제외한 대부분을 덮음으로써, 하우징(102)으로 유입되는 수분이나 이물질로부터 회로기판(120)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러버 버튼부(135)는 노브(125)의 가압력을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플런저(180)에 전달할 수 있도록 푸시로드(128)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러버 버튼부(135)는 푸시로드(128)에 대응하는 개수와 간격으로 구비된다. 러버 버튼부(135) 내측에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플런저(180)가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푸시로드(128)가 러버 버튼부(135)를 가압함으로써 플런저(180)를 누를 수 있다.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가 노브와 마이크로 스위치의 플런저가 직접 닿아 노브 작동 시 기계적인 조작감을 일으키는데 반해, 본 발명은 노브(125)가 러버 패드(130)를 통해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플런저(180)에 간접적으로 닿음으로써, 노브(125) 조작 시 기계적인 조작감을 일으키지 않고, 보다 부드러운 조작감을 발생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마이크로 스위치(140)는 회로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회로기판(120)에 결합되는 스위치 본체(141)와, 스위치 본체(141)로부터 돌출되도록 스위치 본체(141)에 가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런저(180)를 포함한다. 이러한 마이크로 스위치(140)는 플런저(180)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위치 본체(141)는 회로기판(120)의 러버 패드(130)에 의해 덮이는 일면과 반대쪽 타면, 즉 도면 상 회로기판(120)의 하면에 회로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러버 패드(130)가 회로기판(120)으로의 수분이나 이물질을 차단하므로, 마이크로 스위치(140) 역시 수분이나 이물질이 도달하지 않게 보호될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플런저(180)는 회로기판(120)에 형성된 플런저 삽입홀(121)을 관통하여 러버 버튼부(135) 쪽으로 돌출된다.
스위치 본체(141)는 하우징(102)에 결합되는 스위치 지지부재(188)에 의해 지지된다. 스위치 지지부재(188)는 도면 상 스위치 본체(141)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플런저(180)가 눌릴 때 스위치 본체(141)에 대해 플런저(180)의 가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반력을 가할 수 있다. 이렇게 스위치 지지부재(188)가 스위치 본체(141)를 떠받침으로써, 플런저(180)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스위치 본체(141)가 회로기판(12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받더라도 스위치 본체(141)는 안정적으로 회로기판(12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위치 본체(141)는 탄성력이 있는 소재 등 스위치 본체(14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 스위치(140)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회로기판(120)의 러버 패드(130)와 마주하는 일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위치 본체(141)의 하면이 회로기판(120)에 결합됨으로써 플런저(18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스위치 본체(141)를 회로기판(120)에서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러버 패드(130)는 회로기판(120)과의 사이에 스위치 본체(141)가 개재되도록 회로기판(12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 경우에도 러버 패드(130)는 노브(125)와 회로기판(120)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102)으로 유입되는 수분이나 이물질을 회로기판(120)에 도달하지 못하게 차단할 수 있다. 러버 패드(130)는 회로기판(120)으로부터 이격되므로, 그 러버 바디부(131)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전면 덮개부(132)와 측면 덮개부(133)를 구비하는 구조 이외의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러버 패드(130)가 회로기판(120)의 일면을 덮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위치 본체(141) 위에는 러버 패드 지지 플레이트(210)가 배치된다. 러버 패드 지지 플레이트(210)는 스위치 본체(141)와 러버 패드(130) 사이에 배치되어 러버 패드(130)를 지지한다. 러버 패드 지지 플레이트(210)의 중간에는 플런저 삽입홀(211)이 구비된다. 플런저 삽입홀(211)은 플런저(18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러버 패드 지지 플레이트(2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플런저(180)는 플런저 삽입홀(211)을 관통하여 러버 버튼부(135)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스위치 본체(141)는 회로기판(120)에 결합되는 스위치 프레임(142)과, 회로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치 프레임(142)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150)와, 회로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치 프레임(142)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단자(158)(163)와, 연결 단자(150)에 지지되어 플런저(180)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가동 단자(170)를 포함한다.
스위치 프레임(142)은 프레임 베이스(143)와, 프레임 베이스(143)의 상부를 덮는 프레임 커버(147)를 포함한다. 스위치 프레임(142)의 내측에는 연결 단자(150), 고정 단자(158)(163), 가동 단자(170), 플런저(180) 등이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프레임 베이스(143)의 내측에는 플런저(180)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플런저 지지부(144)가 구비된다. 플런저 지지부(144)는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플런저 지지 기둥(145)(146)을 포함한다. 이들 플런저 지지 기둥(145)(146)은 플런저(180)의 이동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플런저(180)를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한다. 프레임 커버(147)의 일측에는 플런저(180)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플런저 관통홀(148)이 구비된다. 플런저 관통홀(148)은 프레임 커버(147)를 플런저(180)의 이동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플런저(180)는 플런저 관통홀(148)에 부분적으로 삽입됨으로써 플런저 관통홀(148)을 따라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스위치 프레임(142)은 플라스틱 등의 절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위치 프레임(142)은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 베이스(143)의 상부를 프레임 커버(147)가 덮는 구조 이외에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연결 단자(150)는 스위치 프레임(142)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 바디(151)와, 연결 단자 바디(151)로부터 돌출되는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3) 및 제 2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5)과, 연결 단자 바디(151)와 연결되어 스위치 프레임(14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 단자 외측 연장부(152)를 포함한다. 연결 단자(150)는 연결 단자 외측 연장부(152)를 통해 회로기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단자 외측 연장부(152)는 스위치 프레임(14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연결 단자(150)에 발생하는 열을 스위치 프레임(142)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용으로 통해 연결 단자(15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3)과 제 2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5)은 상호 마주하도록 연결 단자 바디(151)로부터 플런저(180)의 이동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들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3)과 제 2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5)은 가동 단자(17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3)의 제 2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5)을 등지는 일면에는 제 1 노치부(154)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 2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5)의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3)을 등지는 일면에는 제 2 노치부(156)가 마련된다. 이들 노치부(154)()는 가동 단자(156)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한 쌍의 고정 단자(158)(163)는 상호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회로기판(12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들 고정 단자(158)(163)는 플런저(180)에 의한 가동 단자(170)의 움직임에 따라 가동 단자(170)와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플런저(180)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가동 단자(170)가 접속하는 것을 상측 고정 단자(158)로, 가동 단자(170)가 플런저(180)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접속하는 것을 하측 고정 단자(163)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상측 고정 단자(158)는 스위치 프레임(142)에 결합되는 고정 단자 바디(159)와, 고정 단자 바디(159)와 연결되어 스위치 프레임(14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 단자 외측 연장부(160)와, 가동 단자(170)와 접속될 수 있도록 고정 단자 바디(159)에 결합되는 고정 접점(161)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측 고정 단자(158)는 고정 단자 외측 연장부(160)를 통해 회로기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단자 외측 연장부(160)는 스위치 프레임(14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측 고정 단자(158)에 발생하는 열을 스위치 프레임(142)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하측 고정 단자(163)는 스위치 프레임(142)에 결합되는 고정 단자 바디(164)와, 고정 단자 바디(164)와 연결되어 스위치 프레임(14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 단자 외측 연장부(165)와, 고정 단자 바디(164)의 일측에 고정 단자 바디(164)로부터 가동 단자(170) 쪽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접점 돌출 지지부(166)와, 가동 단자(170)와 접속될 수 있도록 접점 돌출 지지부(166)에 결합되는 고정 접점(167)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측 고정 단자(163)는 고정 단자 외측 연장부(165)를 통해 회로기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단자 외측 연장부(165)는 스위치 프레임(14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 단자(163)에 발생하는 열을 스위치 프레임(142)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하측 고정 단자(163)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고정 접점(167)이 고정 단자 바디(164)로부터 돌출되는 접점 돌출 지지부(166)에 결합됨으로써, 고정 접점(167)이 스위치 프레임(142)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제조 시 고정 접점(167)을 고정 단자 바디(164)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 단자 바디(164)에 열을 가할 때, 고정 단자 바디(164)와 인접하는 스위치 프레임(142)이 열에 의해 손상되거나 오염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스위치 프레임(142)이 사출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열에 의한 스위치 프레임(14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 자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측 고정 단자(158) 역시 고정 단자 바디(159)로부터 돌출되는 접점 돌출 지지부를 구비하여, 고정 접점(161)이 그 접점 돌출 지지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밖에, 고정 단자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설치되는 고정 단자 전부, 또는 일부 고정 단자에 접점 돌출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가동 단자(170)는 플런저(180)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연결 단자(150)의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3) 및 제 2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5)에 지지된다. 가동 단자(170)는 플런저(180)의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연결 단자(150)와 결합되어 지지되는 가동 단자 바디(171)와, 가동 단자 바디(171)의 움직임에 따라 고정 단자(158)(163)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가동 단자 바디(171)에 결합되는 가동 접점(176)을 갖는다.
가동 단자 바디(171)는 연결 단자(150)의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3)에 고정되는 단자 고정부(172)와, 단자 고정부(172)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접점 결합부(173)와, 단자 고정부(172)와 접점 결합부(173)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와, 접점 결합부(173)에 고정되는 가동 접점(176)과, 접점 결합부(173)에 결합되어 접점 결합부(17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지편(177)을 포함한다. 단자 고정부(172)는 연결 단자(150)의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3)에 구비되는 제 1 노치부(154)에 걸려 지지되고, 탄지편(177)은 제 2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5)의 제 2 노치부(156)에 걸려 지지된다.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는 플런저(180)가 접촉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단자 고정부(172)의 양측부와 접점 결합부(173)의 양측부를 각각 연결한다.
이러한 가동 단자(170)는 플런저(180)가 움직여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를 가압할 때,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가 탄성 변형되어 가동 접점(176)이 움직이고, 플런저(180)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가 탄성 복원됨으로써 가동 접점(176)이 원상 복귀된다.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가 탄성 변형될 때 탄지편(177) 또한 탄성 변형되어 플런저(180)의 가압력 해제 시 가동 접점(176)의 원상 복귀력을 증가시켜준다.
가동 단자(170)는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플런저(180)의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그 가동 접점(176)이 고정 단자(158)(163)의 고정 접점(161)(167)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고, 플런저(180)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가동 접점(176)이 원상 복귀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동 단자(220)는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221)(222)가 노브(125)에 의한 플런저(180)의 가압 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아치 형상을 갖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플런저(180)는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스위치 프레임(142)에 구비되는 플런저 지지부(144)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런저 바디(181)와, 플런저 바디(181)로부터 러버 버튼부(135) 쪽으로 돌출되는 플런저 헤드(182)와, 플런저 바디(181)의 양측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런저 숄더(183)(184)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플런저 암(185)(186)을 포함한다. 이러한 플런저(180)는 한 쌍의 플런저 암(185)(186)으로 가동 단자(170)의 두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가동 단자(170) 상의 단자 고정부(172) 쪽으로 다소 치우쳐 배치된다. 플런저 바디(181)는 가동 단자(170) 중간의 개구에 삽입되어 스위치 프레임(142)의 플런저 지지부(144)에 지지된다.
한 쌍의 플런저 암(185)(186)은 가동 단자(170)의 두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를 각각 가압할 수 있도록 플런저 헤드(182)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도록 플런저 바디(181)로부터 가동 단자(170)의 가동 접점(176)이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각각의 플런저 암(185)(186)은 플런저 바디(181)로부터 가동 접점(176) 쪽으로 갈수록 플런저 바디(181)의 이동 방향으로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플런저 바디(181)에 연결된 고정단에서 자유단 쪽으로 갈수록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와의 이격 거리가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각각의 플런저 암(185)(186)은 그 두께가 가장 두꺼운 자유단이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에 접촉하여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를 가압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플런저 암(185)(186)은 가동 단자 바디(171)를 더욱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고, 가동 단자 바디(171)의 반력에 의한 변형이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 상의 플런저 암(185)(186)이 각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를 가압하는 가압력의 작용점(Pt)은 노브(125)가 플런저 헤드(182)를 가압하는 가압력의 작용점(Pf)으로부터 가동 접점 쪽으로 일정 거리(d) 편심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플런저(180)는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설계 상 그 플런저 바디(181)가 가동 단자(170) 상의 단자 고정부(172) 쪽으로 다소 치우쳐 배치되더라도, 플런저 암(185)(186)을 통해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 상의 가동 접점(176)에 접근된 부분을 가압할 수 있다.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노브가 플런저를 가압하는 힘의 작용점과 플런저가 가동 단자를 가압하는 힘의 작용점이 동일선 상에 위치하여, 플런저가 가동 단자의 가동 접점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부분을 가압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플런저에 의한 가동 단자의 변형량이 증가하고 가동 단자에 걸리는 응력이 커짐으로써, 가동 단자의 수명이 단축되고 작동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플런저 바디(181)로부터 가동 단자(170)의 가동 접점(176)이 위치한 쪽으로 돌출된 플런저 암(185)(186)을 이용함으로써 그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플런저(180)는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노브(125)에 의해 작동하여 가동 단자(170)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는 변형된 구조를 갖는 플런저(23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에 나타낸 플런저(230)는 플런저 바디(231)와, 플런저 헤드(232)로부터 노브(125) 쪽으로 돌출되는 플런저 헤드(232)와, 플런저 바디(231)의 양측에 플런저 헤드(232)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도록 플런저 바디(23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플런저 암(233)(234)과, 한 쌍의 플런저 암(233)(234)에 대응하는 한 쌍의 암 연장부(235)(236)를 포함한다. 한 쌍의 암 연장부(235)(236)는 플런저 바디(231)로부터 플런저 암(233)(234)이 돌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각 플런저 암(233)(234)과 연결된다. 이러한 플런저(230)는 암 연장부(235)(236)로 인해 플런저 암(233)(234)의 구조적 강도가 증가되며, 플런저 암(233)(234)이 더욱 안정적으로 가동 단자(170)를 가압할 수 있고, 가동 단자(170)로부터의 반력에 의한 플런저 암(233)(234)의 변형이나 손상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회로기판(120)에는 판상 저항(190)이 연결된다. 판상 저항(190)은 저항 바디(191)와, 저항 바디(191)의 양쪽 끝단에서 각각 절곡된 제 1 저항 레그(192) 및 제 2 저항 레그(193)와, 제 1 저항 레그(192) 및 제 2 저항 레그(193) 각각의 끝단에서 절곡된 제 1 저항 접속부(194) 및 제 2 저항 접속부(195)를 포함한다. 이러한 판상 저항(190)은 저항 바디(191)가 회로기판(120)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회로기판(120)과 저항 바디(191)의 중앙 부분을 각각 직교하는 선분(L)을 중심으로 거울 대칭형 구조를 갖는다.
제 1 저항 레그(192)는 저항 바디(191)의 일단에서 회로기판(120)의 일면 쪽으로 수직으로 절곡되고, 제 2 저항 레그(193)는 저항 바디(191)의 타단에서 회로기판(120)의 일면 쪽으로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 1 저항 레그(192)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 1 저항 접속부(194)는 제 1 저항 레그(192)의 끝단에서 제 2 저항 레그(193) 쪽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120)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2 저항 접속부(195)는 제 2 저항 레그(193)의 끝단에서 제 1 저항 레그(192) 쪽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120)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1 저항 접속부(194) 및 제 2 저항 접속부(195)는 회로기판(12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판상 저항(190)은 회로기판(120)에 결합되는 제 1 저항 접속부(194) 및 제 2 저항 접속부(195)가 제 1 저항 레그(192)와 제 2 저항 레그(193) 사이의 안쪽으로 배치되므로, 회로기판(120) 상에서 설치 공간을 상대적으로 적게 차지하면서 회로기판(12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판상 저항(190)은 회로기판(120)의 설계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저항 접속부(194)와 제 2 저항 접속부(195) 사이에서 전류 통로가 되는 저항 바디(191)와 한 쌍의 저항 레그(192)(193)만 외측으로 드러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작업자나 사용자가 저항 크기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다.
판상 저항(190)은 표면실장법을 통해 다른 전자 부품과 함께 회로기판(12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고, 또는 다른 방법을 통해 회로기판(120)에 장착될 수 있다.
판상 저항(190)은 금속 모재(400)를 프레스 장치(300)로 절곡하는 방식을 통해 간단히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판상 저항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상 저항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상 저항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판상 저항의 제조방법은 금속 모재(400)를 준비하는 단계(S11)와, 제 1 저항 접속부(194)를 형성하는 단계(S12)와, 제 1 저항 레그(192)를 형성하는 단계(S13)와, 제 2 저항 접속부(195)를 형성하는 단계(S14)와, 제 2 저항 레그(193)를 형성하는 단계(S15)를 포함한다.
먼저, 금속 모재(400)를 준비하는 단계(S11)에서 선정된 금속을 설정된 길이와 폭으로 가공하여 금속 모재(400)를 준비한다. 금속 모재(400)로는 저항 소재로 적절한 다양한 금속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저항 접속부(194)를 형성하는 단계(S12)에서, 금속 모재(400)의 일단을 설정된 길이로 절곡하여 제 1 저항 접속부(194)를 형성한다. 이때, 도 18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프레스 장치(300)를 이용하여 제 1 저항 접속부(194)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금속 모재(400)를 받침 지그(310) 위에 올려놓고 프레스 펀치(320)로 금속 모재(400)의 일단을 가압하여 제 1 저항 접속부(194)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저항 레그(192)를 형성하는 단계(S13)에서, 금속 모재(400)의 중간 일측을 설정된 길이로 절곡하여 한쪽 끝단에 상기 제 1 저항 접속부(194)가 연결되는 제 1 저항 레그(192)를 형성한다. 도 18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금속 모재(400)를 받침 지그(310)로 지지한 상태에서 제 1 저항 접속부(194)가 형성된 금속 모재(400)의 중간 부분을 프레스 펀치(320)로 가압하여 제 1 저항 레그(192)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저항 접속부(195)를 형성하는 단계(S14)에서, 금속 모재(400)의 타단을 설정된 길이로 절곡하여 제 2 저항 접속부(195)를 형성한다. 도 18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금속 모재(400)를 받침 지그(310)로 지지한 상태에서 절곡되지 않은 금속 모재(400)의 타단을 프레스 펀치(320)로 가압하여 제 2 저항 접속부(195)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저항 레그(193)를 형성하는 단계(S15)에서, 금속 모재(400)의 중간 다른 일측을 설정된 길이로 절곡하여 한쪽 끝단에 제 2 저항 접속부(195)가 연결되는 제 2 저항 레그(193)를 형성한다. 도 18의 (d)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금속 모재(400)를 받침 지그(310)로 지지한 상태에서 제 2 저항 접속부(195)가 형성된 금속 모재(400)의 중간 부분을 프레스 펀치(320)로 가압하여 제 2 저항 레그(19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양쪽 끝단에 제 1 저항 레그(192) 및 제 2 저항 레그(193)가 각각 연결되는 금속 모재(400)의 중간 부분을 저항 바디(191)로 하여 판상 저항(190)을 완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방법을 통해 다양한 크기의 판상 저항(190)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판상 저항(190)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 이외에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준비된 금속 모재(400)를 절곡하여 판상 저항(190)의 각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S12~S15)는 제조 환경이나 조건 등에 맞춰 순차적으로 택일되어 수행될 수 있다. 즉, 제 1 저항 접속부(194)를 형성하는 단계(S12), 제 1 저항 레그(192)를 형성하는 단계(S13), 제 2 저항 접속부(195)를 형성하는 단계(S14), 제 2 저항 레그(193)를 형성하는 단계(S15)의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상 저항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9에 나타낸 방법 역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프레스 장치(300)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먼저, 도 19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준비된 금속 모재(400)의 중간 일측 부분을 설정된 길이로 절곡하여 제 1 저항 레그(192)를 형성한다. 이때, 금속 모재(400)를 받침 지그(310) 위에 올려놓고 프레스 펀치(320)로 금속 모재(400)의 일단을 가압하여 제 1 저항 레그(192)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금속 모재(400)를 받침 지그(310)로 지지한 상태에서 금속 모재(400)의 중간 다른 일측 부분을 프레스 펀치(320)로 가압하여 제 1 저항 레그(192)와 평행하게 제 2 저항 레그(193)를 형성한다. 이때, 양쪽 끝단에 제 1 저항 레그(192) 및 제 2 저항 레그(193)가 각각 연결되는 금속 모재(400)의 중간 부분은 저항 바디(191)가 된다.
다음으로, 도 19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금속 모재(400)를 받침 지그(310)로 지지한 상태에서 제 1 저항 레그(192)의 끝단을 프레스 펀치(320)로 가압하여 제 1 저항 접속부(194)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9의 (d)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금속 모재(400)를 받침 지그(310)로 지지한 상태에서 제 2 저항 레그(193)의 끝단을 프레스 펀치(320)로 가압하여 제 2 저항 접속부(195)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밖에, 금속 모재(400)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 1 저항 레그(192)를 형성하는 단계, 제 2 저항 레그(193)를 형성하는 단계, 제 1 저항 접속부(194)를 형성하는 단계, 제 2 저항 접속부(195)를 형성하는 단계의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가공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판상 저항(190)을 제조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
102 : 하우징 103 : 하우징 베이스
105 : 하우징 커버 106 : 노브 지지부
108 : 커넥터 120 : 회로기판
125 : 노브 128 : 푸시로드
130 : 러버 패드 131 : 러버 바디부
132 : 전면 덮개부 133 : 측면 덮개부
135 : 러버 버튼부 140 : 마이크로 스위치
141 : 스위치 본체 142 : 스위치 프레임
143 : 프레임 베이스 144 : 플런저 지지부
147 : 프레임 커버 150 : 연결 단자
151 : 연결 단자 바디 152 : 연결 단자 외측 연장부
153, 155 : 제 1, 2 가동 단자 지지 기둥
158, 163 : 고정 단자 159, 164 : 고정 단자 바디
160, 165 : 고정 단자 외측 연장부 161, 167 : 고정 접점
166 : 접점 돌출 지지부 170, 220 : 가동 단자
171 : 가동 단자 바디 172 : 단자 고정부
173 : 접점 결합부
174, 175, 221, 222 : 접점 탄성 지지부
176 : 가동 접점 177 : 탄지편
180, 230 : 플런저 181, 231 : 플런저 바디
182, 232 : 플런저 헤드 183, 184 : 플런저 숄더
185, 186, 233, 234 : 플런저 암 188 : 스위치 지지부재
190 : 판상 저항 191 : 저항 바디
192, 193 제 1, 2 저항 레그 194, 195 : 제 1, 2 저항 접속부
210 : 러버 패드 지지 플레이트 235, 236 : 암 연장부
300 : 프레스 장치 310 : 받침 지그
320 : 프레스 펀치 400 : 금속 모재

Claims (11)

  1. 차량에 배치되는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저항 바디;
    상기 저항 바디의 일단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 쪽으로 절곡된 제 1 저항 레그;
    상기 저항 바디의 타단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 쪽으로 절곡된 제 2 저항 레그;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저항 레그의 끝단에서 상기 제 2 저항 레그 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저항 접속부; 및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2 저항 레그의 끝단에서 상기 제 1 저항 레그 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저항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바디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항 레그 및 상기 제 2 저항 레그는 각각 상기 저항 바디의 양쪽 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1 저항 접속부는 상기 제 1 저항 레그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 2 저항 접속부는 상기 제 2 저항 레그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저항은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저항 바디의 중앙 부분을 각각 직교하는 선분을 중심으로 거울 대칭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
  5. 차량에 배치되는 하우징;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브;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노브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 및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판상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판상 저항은,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저항 바디와,
    상기 저항 바디의 일단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 쪽으로 절곡된 제 1 저항 레그와,
    상기 저항 바디의 타단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 쪽으로 절곡된 제 2 저항 레그와,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저항 레그의 끝단에서 상기 제 2 저항 레그 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저항 접속부와,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 2 저항 레그의 끝단에서 상기 제 1 저항 레그 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저항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저항은 표면실장법으로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
  7. (a) 설정된 길이와 폭을 갖는 금속 모재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금속 모재의 일단을 설정된 길이로 절곡하여 제 1 저항 접속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금속 모재의 중간 일측을 설정된 길이로 절곡하여 제 1 저항 레그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금속 모재의 타단을 설정된 길이로 절곡하여 제 2 저항 접속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금속 모재의 중간 다른 일측을 설정된 길이로 절곡하여 제 2 저항 레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저항 접속부를 상기 제 1 저항 레그의 끝단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 2 저항 접속부를 상기 제 2 저항 레그의 끝단에 배치시키며,
    양쪽 끝단에 상기 제 1 저항 레그 및 상기 제 2 저항 레그가 각각 연결되는 상기 금속 모재의 중간 부분을 저항 바디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e)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 단계 그룹 중에서 모든 단계가 순차적으로 택일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금속 모재를 각각 수직으로 절곡하여 상기 제 1 저항 접속부, 상기 제 1 저항 레그, 상기 제 2 저항 접속부 및 상기 제 2 저항 레그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 제조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항 레그 및 상기 제 2 저항 레그와 각각 평행하게 상기 저항 바디의 중앙 부분을 직교하는 선분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저항 접속부 및 상기 제 2 저항 접속부를 거울 대칭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저항 레그 및 상기 제 2 저항 레그를 거울 대칭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 제조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내지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금속 모재를 받침 지그 위에 올려놓고 프레스 펀치로 절곡하여 상기 제 1 저항 접속부, 상기 제 1 저항 레그, 상기 제 2 저항 접속부 및 상기 제 2 저항 레그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 제조방법.
KR1020170029422A 2017-03-08 2017-03-08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 KR20180102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422A KR20180102812A (ko) 2017-03-08 2017-03-08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422A KR20180102812A (ko) 2017-03-08 2017-03-08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812A true KR20180102812A (ko) 2018-09-18

Family

ID=6371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422A KR20180102812A (ko) 2017-03-08 2017-03-08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28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88661A1 (en) * 2020-06-12 2021-12-16 Mauricio A. Lizama Adapted Power Window Switch Assembly and Retrofit K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88661A1 (en) * 2020-06-12 2021-12-16 Mauricio A. Lizama Adapted Power Window Switch Assembly and Retrofit Kit
US12000195B2 (en) * 2020-06-12 2024-06-04 University Of Puerto Rico Adapted power window switch assembly and retrofit k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4982B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it
US6388212B1 (en) Push and rotary operating type electronic component
JP3951485B2 (ja) 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452651B1 (ko) 조작형 전자 부품
CN105489429B (zh) 开关装置
KR20180102809A (ko)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
KR20180102810A (ko)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
EP2267741A1 (en) Slide operation type switch
RU2182384C2 (ru) Выключатель
KR20180102812A (ko)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
KR101514121B1 (ko) 스위치 장치
US9024215B2 (en) Switch device
KR101300200B1 (ko)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
KR20180102811A (ko)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
KR101310676B1 (ko) 상보형 다이오드부를 갖는 스위치 및 스위치에 상보형 다이오드부를 장착하는 방법
JP2001345031A (ja) 複合操作型電子部品
US10453630B2 (en) Surface mount snap switch
EP1363301B1 (en) Power-supply switch device with detection switch
US8993903B2 (en) Sealed dual plunger switch assembly with simultaneity
CN216528538U (zh) 一种轻触开关
JPH1021805A (ja) 温度スイッチ
JP3991491B2 (ja) 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20080015996A (ko) 시트 스위치 구조
KR100780708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JP2018014280A (ja) 操作ユニットの組み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