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751A - 락-아웃 시스템으로 분리가능한 바늘 어레이를 갖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락-아웃 시스템으로 분리가능한 바늘 어레이를 갖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751A
KR20180099751A KR1020187021055A KR20187021055A KR20180099751A KR 20180099751 A KR20180099751 A KR 20180099751A KR 1020187021055 A KR1020187021055 A KR 1020187021055A KR 20187021055 A KR20187021055 A KR 20187021055A KR 20180099751 A KR20180099751 A KR 20180099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oud
receiver
needle
lock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레한드로 캠필로-어거스티
에두라르도 이. 호
네이선 러벨
스티븐 마스터슨
비트 스타델만
스테판 케머러
Original Assignee
이노비오 파마수티컬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비오 파마수티컬즈, 인크. filed Critical 이노비오 파마수티컬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80099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enhancing the absorption properties of tissue, e.g. by electro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vaccinating or cleaning the skin previous to the vaccination
    • A61B17/205Vaccinating by means of needles or other punct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6Fully 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1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oporation, e.g.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16Anode and cathode
    • A61N1/0424Shape of the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72Connectors and adapters therefor
    • A61B2018/00178Electrical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84Moving parts
    • A61B2018/00196Moving parts reciprocating lengthw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13Irreversible electro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5Needle
    • A61B2018/143Needle multipl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75Electrodes retractable in or deployable from a hou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r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전기천공 디바이스는 거기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바늘 어레이를 갖고, 바늘 어레이는 본체, 정지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사이에서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슈라우드, 및 자동-락 어셈블리를 가진다. 자동-락 어셈블리는 슈라우드가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기 않은 락킹된 구성과, 슈라우드가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언락킹된 구성 사이에서 조절가능하고, 슈라우드를 정지 위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로 다시 정지 위치로 바이어싱하는 것이 자동-락을 언락킹된 구성으로부터 락킹된 구성으로 조정한다.

Description

락-아웃 시스템으로 분리가능한 바늘 어레이를 갖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특허 출원은 2015년 12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번호 제62/272,758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 참조된 출원은 여기에서 참조로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전기천공 디바이스상에서 사용을 위한 분리가능한(detachable) 바늘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개의, 독립적인 바늘 락-아웃 메커니즘(lock-out mechanism)들을 갖는 분리가능한 바늘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현대 의료 치료들, 예컨대 전기천공 치료들, 주입들, 및 유사한 것은 일반적으로 바늘, 전극의 어떤 형태, 또는 날카로운 것들의 다른 형태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사용 동안에, 이들 아이템들이 환자와 접촉하게 될 수 있거나 또는 환자내에 삽입될 수 있어서, 상기 아이템들이 환자의 조직 및 체액을 오염시키게 한다. 심지어 상기 아이템들이 상기 환자로부터 제거된 후에 그리고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아도, 그것들은 여전히 상기 임상의들 및 상기 환자들에게 수많은 안전 위험요소들을 제기한다. 일부 안전 위험요소들은 교차-오염(cross-contamination), 주사 바늘을 잘못 찔러서 생긴 상처(needle stick),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기천공 프로세스는 상이한 시간들에 상이한 날카로운 것들의 사용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피하 주사 바늘은 처음에 에이전트를 상기 타겟 조직로 주입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지만 그런다음 상기 전기천공 신호가 투여된 후에 더 이상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기천공 프로세스의 이들 엘리먼트들 때문에, 서로에 독립적인 엘리먼트들 (즉, 날카로운 것들)의 락-아웃 다양한 세트들 및 서브세트들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런 성능들은 상기 전기천공 프로세스 동안에 더 많은 제어와 유연성을 제공 할뿐만 아니라 그것들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임의의 엘리먼트가 안전하게 락-아웃되어 타겟 조직과 접촉 할 수 없도록 하는 보다 안전한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전기천공 디바이스는 핸드셋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핸드셋은 마운팅 지점을 정의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내에 위치된 신호 제너레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천공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마운팅 지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상기 바늘 어레이가 상기 마운팅 지점에 결합된 때 상기 신호 제너레이터와 전기 통신하는 바늘 어레이로서, 상기 바늘 어레이는 본체, 정지 위치(rest position)와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슈라우드(shroud),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기 않은 락킹된 구성(locked configuration)과,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언락킹된 구성(unlocked configuration) 사이에서 조절가능한 자동-락(auto-lock)을 포함하되, 상기 슈라우드를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로 다시 상기 정지 위치로 바이어싱(biasing)하는 것이 상기 자동-락을 상기 언락킹된 구성으로부터 상기 락킹된 구성으로 조정한다.
다른 측면에서, 전기천공 디바이스는 핸드셋을 포함하되, 상기 핸드셋은 마운팅 지점을 정의하는 하우징, 전원, 및 상기 전원과 전기 통신하는 신호 제너레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천공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마운팅 지점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가능한 바늘 어레이로서, 상기 바늘 어레이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전극들, 정지 위치와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슈라우드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극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에 각각 있을 때 상기 슈라우드 외측에 위치되는, 상기 슈라우드, 주입 위치(injection position)와 수축된 위치(retracted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리시버(receiver)로서, 상기 리시버는 거기로부터 연장되는 피하 주사 바늘을 갖는, 상기 리시버,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리시버 중 하나에 결합되고 거기에 대하여 상기 리시버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는 락킹된 위치와 상기 리시버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언락킹된 위치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락킹 핀(locking pin)를 포함하되, 및 상기 락킹 핀은 상기 락킹 위치 쪽으로 바이어싱되어 리시버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위치된 때, 상기 락킹 핀은 상기 락킹된 위치로 이동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전기천공 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전기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 및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핸드셋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핸드셋은 그 위에 형성된 마운트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에 위치된 전원, 및 그 위에 릴리즈 부재를 갖는 주입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천공 시스템은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마운트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가능한 바늘 어레이로서, 상기 바늘 어레이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전극들, 정지 위치와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슈라우드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극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에 있을 때 노출되는, 상기 슈라우드, 및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기 않은 락킹된 구성(locked configuration)과,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언락킹된 구성(unlocked configuration) 사이에서 조절가능한 자동-락(auto-lock)을 포함하되, 상기 슈라우드를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로 다시 상기 정지 위치로 바이어싱(biasing)하는 것이 상기 자동-락을 상기 언락킹된 구성으로부터 상기 락킹된 구성으로 조정한다.
도 1은 전기천공 핸드셋의 사시도이다.
도 1a은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에 결합된 전기천공 핸드셋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전기천공 핸드셋의 구동 어셈블리(drive assembly)를 예시한다.
도 3은 수축 위치에 리시버를 갖는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중심 축을 따라서 취해진 도 3의 어레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중심 축을 따라서 취해진 도 3의 어레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어레이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어레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8 은 주입 위치에 리시버를 갖는 어레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어레이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어레이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어레이의 전개도이다.
도 12는 장착되지 않은 구성(unarmed configuration)에 자동-락 어셈블리를 예시하기 위해 투명하게 도시된 커버를 갖는 도 8의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장착된 구성(armed configuration)에 자동-락 어셈블리를 예시하는 도 12의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락킹된 구성(locked configuration)에 자동-락을 예시하는 도 12의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면들 15a-c는 다양한 구성에 자동-락을 예시하는 도 12의 어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디텐트(detent)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주입 위치에 리시버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수축된 위치(retracted position)에 리시버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도 1의 핸드셋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0는 도 1의 핸드셋의 토글(toggle)의 사시도이다.
"에이전트(agent)"는 폴리펩티드, 폴리뉴클레오티드, 소분자, 또는 그것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에이전트는, 여기에서 참조로서 통합되는, PCT/US2014/070188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항체, 그것의 단편, 그것의 변이체, 또는 그것의 조합을 부호화한 재조합체 핵산 서열일 수 있다. "에이전트"는 폴리펩티드, 폴리뉴클레오티드, 소분자, 또는 그것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조성물은 여기에서 참조로서 통합되는, PCT/US2014/070188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항체, 그것의 단편, 그것의 변이체, 또는 그것의 조합을 부호화한 재조합체 핵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에이전트는, 예를 들면, 물 또는 완충제에서 제형화될 수 있다. 완충제는 예를 들면, 식염수-구연산 나트륨(SSC : saline-sodium citrate) 또는 인산염-완충 식염수(PBS : phosphate-buffered saline)일 수 있다. 완충제들의 이온 함량은 전도율을 증가시켜서, 타겟팅된 조직에서 증가된 전류 흐름을 야기한다. 제형화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농도는 1㎍ 내지 20 mg/ml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제형화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농도는 예를 들면, 1㎍/ml, 10㎍/ml, 25㎍/ml, 50㎍/ml, 100㎍/ml, 250㎍/ml, 500㎍/ml, 750㎍/ml, 1mg/ml, 10mg/ml, 15mg/ml, 또는 20mg/ml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펩티드",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는 아미노산들의 연결된 서열을 의미할 수 있으며 천연, 합성, 또는 천연 및 합성의 개질 또는 조합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핵산"은 함께 공유 결합으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뉴클레오티드들을 의미한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단일 가닥 또는 이중 가닥일 수 있거나, 또는 이중 가닥 및 단일 가닥 서열 양쪽 모두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양쪽 모두 게놈인, DNA 및 cDNA, RNA, 또는 잡종일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디옥시리보- 및 리보-뉴클레오디드들의 조합들, 및 유라실, 아데닌, 티민, 시토신, 구아닌, 이노신, 잔틴 하이포잔틴, 이소시토신, 이소구아닌, 및 합성 또는 비-천연으로 발생한 뉴클레오티드들 및 뉴클레오시드들을 포함한 염기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들은 매개체(vector)일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들은 화학적 합성 방법들에 의해 또는 재조합체 방법들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매개체(vector)"는 복제의 기원을 포함한 핵산 서열을 의미한다. 매개체는 바이러스 매개체, 박테리오파지, 박테리아 인공 염색체, 또는 효모 인공 염색체일 수 있다. 매개체는 DNA 또는 RNA 매개체일 수 있다. 매개체는 자기-복제 염색체 외 매개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DNA 플라스미드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전기천공”(“EP”)는 생체-막에서 가역성 미세 경로들(구멍들)을 유도하기 위한 전기장 펄스의 사용을 나타내며; 그것들의 존재는 에이전트들이 세포막의 일 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으로 지나가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바늘 어레이를 갖는 전기천공 디바이스는 간호사, 의사, 또는 치료를 관리하는 기술자의 증가된 용이한 사용을 제공하거나 동시에 또한 증가된 안전 예방조치들을 제공한다. 안전에 대하여, 분리가능한 바늘 어레이는 환자와 접촉하게 되는 모든 바늘들 및 다른 표면들을 포함한다. 어레이는 또한 바늘들 및 전극들이 단지 한번에 노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락-아웃 어셈블리(lock-out assembly)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어레이는 한 명 초과의 환자에 사용될 수 없고, 그렇게 함으로써 임상의들과 환자들 둘 모두에 교차-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어레이로부터 재출현하는 바늘의 능ㄹ력을 제한함으로써, 바늘 어레이는 실질적으로 주사 바늘을 잘못 찔러서 생긴 상처(needle stick)들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다양한 서브세트들의 날카로운 것들을 개별적으로 락킹 아웃시킴으로써, 각각의 서브세트는 나머지 날카로운 것들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타겟 조직으로부터 제거된 후에 락킹-아웃될 수 있다. 어레이는 또한 그 내부에 에이전트를 함유하는 카트리지를 보유하는 능력을 포함하여 카트리지가 한 번 단지 스파이킹(spike)되고 사용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은 핸드헬드 전기천공 어셈블리 (EP 어셈블리)와 사용을 위한 분리가능한 바늘 어레이 (22)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EP 어셈블리 (10)는 클리닉 및 커머셜 환경들 양쪽에서 사용을 위해 동작가능할 수 있어서 직접 주입 및 전기천공의 형태로 환자에게 의료 치료를 관리한다. EP 어셈블리 (10)는 분리가능한 바늘 어레이 (22)가 결합될 수 있는 핸드셋 (18), 및 베이스 스테이션 (12)을 포함한다. (도 1a 참조). 베이스 스테이션(12)은 일반적으로 테이블 또는 다른 편평한 표면상에 위치되며 핸드셋(18) 및 베이스 스테이션(12)이 도킹 또는 결합 구성에 있을 때 핸드셋(18)의 전원(24)과 전기 통신하며 그것을 충전시킬 수 있다.
EP 어셈블리 (10)의 핸드셋 (18)은 환자에 대한 의료 치료를 관리하도록 동작가능하다. 핸드셋 (18)은 하우징 (26),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26)내에 위치되는 전원(24), 전원 (24)과 전기 통신하는 신호 제너레이터 (28), 선택적으로 신호 제너레이터 (28)를 활성화시키는 트리거 (214), 및 구동 어셈블리 (34)를 포함한다. 예시된 구성에서, 하우징 (26)은 어레이 (22)가 부착되는 마운트(mount) (86)를 형성한다.
도 1에 예시된, 핸드셋(18)의 하우징(26)은 그 사이에 볼륨(36)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결합된 두 개의 반쪽들 또는 부재들(32)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부재들(32)은 전방 단부(44) 및 후방 단부(48)를 가진 상부 부분(40), 및 원위 단부(56)를 형성하기 위해 상부 부분(40)으로부터 연장된 핸들 부분(52)을 가진 피스톨-형태를 형성한다. 하우징(26)이 피스톨-형태에서 예시되지만, 하우징(26)은 다른 형태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이한 그립 유형들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9에 예시된, 하우징 (26)의 마운트 (86)는 마운트 (86)의 외부 표면을 따라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방사상으로 외측에 위치되는 리브(rib) (106)를 포함한다. 리브 (106)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이고 어레이 (22)의 채널(110) (아래에 설명된)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형상화된다. 리브 (106)는 마운트 (86)상에 어레이 (22)를 적절하게 배향시키기 위해 채널 (110)과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도 19에 예시된, 핸드셋 (18)은 또한 복수의 센서들 (146,150)을 포함하되, 각각은 하우징 (26)에 통합되고 어레이 (22)의 구성에 관한 다양한 정보의 타입들을 수집 및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19에 예시된, 핸드셋 (18)은 어레이 (22)가 그 위에 인스톨된 때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마운트(86)의 리딩 에지에 근접하여 위치된 어레이 센서 (14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어레이 센서 (146)는 어레이 (22)가 마운트 (86)상에 적절하게 인스톨된 것을 나타내는 어레이 (22)에 의해 "은폐(cover-up)"되는 광 센서를 포함한다. 핸드셋 (18)은 또한 축 방향에서 어레이 센서 (146) 뒤에 위치되고 마운트 (86)의 리브 (106)상에 위치된 슈라우드 센서(shroud sensor) (150)를 포함한다. 사용동안에, 슈라우드 센서 (150)는 어레이 (22)에 대한 슈라우드(shroud) (350) (이하에 설명된)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슈라우드 센서 (150)는 슈라우드 (350)가 화상 등을 유발하지 않으면 서 타겟 조직 내로 전류의 적절한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최소 거리 (즉, 약 5mm보다 더 큰)를 퇴피시켰음을 검증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핸드셋(18)은 또한 깊이 리미터(186)의 위치를 기록하고 그것의 현재 깊이 설정을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한 한 쌍의 깊이 센서들 (미도시)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핸드셋(18)의 구동 어셈블리 (34)는 체적 (36) 내에 위치되고 어레이 (22)와 선택적으로 맞물려 환자에게 약물의 직접 주입을 일으킬 수 있다. 구동 어셈블리 (34)는 모터 (162), 및 모터 (162)에 의해 구동되는 주입 로드 (injection rod)(158)를 포함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모터 (162)는 구동 기어 (166)의 회전의 속도 및 방향을 좌우한다. 구동 기어 (166)의 회전은 결국 주입 로드 (158)에 전달된다.
구동 어셈블리 (34)의 주입 로드 (158)는 하우징 (26)에 대하여 왕복 운동을 위해 마운트된 길게된,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로드이다. 주입로드 (158)는 마운트와 동축 방향에 위치되고, 제 1 방향 (D)으로, 전체적으로 어레이 (22) (즉, 약물 투여를 위해)로 및 제 2 방향 (E)로 전체적으로 어레이 (22)로부터 멀리 또는 어레이로부터 밖으로 동축의 마운트를 병진이동할 수 있다.
주입 로드 (158)는 또한 컨택 단부 (178)로부터 일정한 거리 위치되고 어레이 (22)의 잠금 멈춤쇠 (locking pawl)(182)(이하에 설명되는)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릴리즈 부재 (174)를 포함한다. 사용동안에, 릴리즈 부재 (174)는 주입 로드 (158)의 컨택 단부 (178)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되고 그것과함께 고정된다. 릴리즈 부재 (174)는 미리 규정된 거리에서 컨택 단부 (178)로부터 위치되어 릴리즈 부재 (174)는 약물이 디스펜싱(dispense)될 때까지 어레이 (22)의 잠금 멈춤쇠 (182)에 맞물리지 않는다. 대안 구성들에서, 릴리즈 부재 (174)는 주입 로드 (158)로부터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어서, 핸드셋 (18)이 주입 프로세스 (미도시)와 독립적으로 잠금 멈춤쇠 (182)를 릴리즈하는 것으로 허용한다.
도면들 19 및 20에 예시된, 전기천공 디바이스의 핸드셋 (18)은 깊이 어셈블리 (38)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핸드셋 (18)은 에 결합된 하우징 (26)에 결합되고 유저가 어레이 (22)의 최대 주입 깊이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깊이 리미터(depth limiter) 또는 토글(toggle) (18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토글 (186)은 복수의 (즉, 세개의) 깊이 설정들 간에 조절가능하고, 각각은 특정 타겟 주입 깊이에 대응한다. 예시된 구성에서, 토글 (186)의 위치는 제 1 및 제 2 깊이 센서들에 의해 기록되어 전기천공 치료가 해당 특정 환자에 대하여 적절한 깊이에서 발생하는 것을 보장한다.
도 20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핸드셋 (18)의 토글 (186)은 캠 또는 선형 랜드 표면 (190)을 포함하는데, 이 표면은 결국 3 개의 별개의 접점들 (194a, 194b, 194c)을 정의하고, 이들의 각각은 상이한 타겟 주입 깊이 설정에 대응한다. 사용 동안에, 유저는 상이한 접점 (194a, 194b, 194c)이 어레이 (22)의 깊이 샤프트 (406)에 축 방향으로 정렬(즉, 개구 (200)에 정렬된)되도록 하우징(26)에 대하여 토글 (186)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된 구성에서, 제 1 접점 (194a)은 대략 13 mm의 타겟 주입 깊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제 2 접점 (194b)는 대략 19 mm의 타겟 주입 깊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제 3 접점 (194c)은 대략 25 mm의 타겟 주입 깊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구성의 토글 (186)은 세개의 접점들을 가지지만,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접점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더욱이, 연속적으로 윤곽진(contoured) 표면이 비제한된 깊이 설정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핸드셋 (18) 또는 베이스 스테이션 (12)은 환자의 체중, 환자의 신장, 투여되는 전기 천공의 유형, 어레이의 사이즈, 투여되는 에이전트, 주입 사이트의 위치,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요인들에 기초하여 원하는 타겟 주입 깊이를 계산하는 제어기 (204)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기 (204)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산출된 타겟 주입 깊이에 기초하여 동작 포락선(envelope)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허용가능한 주입 깊이 설정들 (즉, 전기천공 프로세스가 발생하는 것이 허용되는 해당 설정)을 산출된 주입 설정의 임의의 범위내에 해당하는 것들에 제한할 수 있다. 이것은 유저가 전기천공 치료에 있어 어느 정도 융통성을 갖지만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 될 수 있는 급격한 변형은 피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면들 1, 및 3-11에 예시된, 어레이 (22)는 핸드셋 (18)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교차-오염 및 주사 바늘을 잘못 찔러서 생긴 상처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핸드셋 (18)과 환자 사이에 폐기가능한(disposable)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레이 (22)는 핸드셋 (18)이 미리 처방된 약물로 환자를 직접 환자에게 주입하고 전기 천공을 위한 전기 펄스들을 투여하는 한편, 임의의 바늘 또는 전극이 어레이(22)로부터 재출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락-아웃 (lock-out) 메커니즘들을 또한 갖는 필요한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한다. 특별히, 어레이 (22)의 락-아웃 메커니즘들은 서로에 독립적으로 동작가능하여 바늘들 및/또는 전극들의 특정 섹션, 유형, 또는 그룹은 락-아웃될 수 있지만 나머지 바늘들 또는 전극들은 언락킹되고 사용 가능하게 있을 수 있다. 대안 구성들에서, 락 - 아웃 메카니즘들은 "층(layer)들"로 동작할 수 있어서, 제 1 락-아웃 메카니즘은 바늘 또는 전극의 일부를 무력화시킬 수 있지만, 제 2 락 - 아웃은 다른 제 1 락-아웃 메커니즘의 상태에 상관없이 모든 바늘 또는 전극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구성들에서, 어레이 (22)는 그것의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EP 어셈블리 (10)의 어레이 (22)는 본체 (346), 본체 (346)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슈라우드 (350), 및 바늘 어셈블리 (354)를 포함한다.
어레이 (22)의 본체 (346)는 실질적으로 절단된-원뿔형(frusto-conical) 형상으로 거기를 관통하는 중심축 (358)을 정의한다. 본체 (346)는 핸드셋 하우징 (26)의 프론트 엔드 (54)에 대응하도록 사이즈된 제 1 단부 (366), 및 제 1 단부 (366)에 반대쪽에 제 2 단부 (370)를 갖는 실질적으로 환형의 바깥쪽 벽 (362)으로 형성된다. 본체 (346)는 또한 환형의 벽 (362)내에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서로 반대쪽에 위치된 한쌍의 개구들 (374) (도 3)을 정의한다. 조립된 때, 각각의 개구 (374)는 그 내부에 방출 버튼(ejection button)(126) (이하에 설명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사이즈되고 형상화된다.
어레이 (22)의 본체 (346)는 또한 환형의 벽 (362)내에 형성되고 제 1 단부 (366)와 제 2 단부 (370)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 (110)을 포함한다. 조립된 때, 채널(110)은 그 내부에 슈라우드(35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사이즈되지만 한편 그것이 축 방향에서 슬라이드되는 것을 허용한다. 어레이 (22)가 핸드셋 (18)에 인스톨 된때, 채널 (110)은 또한 그 내부에 핸드셋 (18)의 적어도 일부 (즉, 리브 (46))를 수용한다. 어레이 (22)의 채널 (110)은 핸드셋 (18)에 대하여 어레이 (22)를 적절하게 방위시키는 것을 돕는다.
도면들 4-6에 예시된, 어레이 (22)는 환형 벽 (362) 내부에 위치되고 거기에 고정되게 결합된 서브 프레임 (378)을 또한 포함한다. 예시된 구성에서, 서브 프레임 (378)은 마운트의 외경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내경을 정의하는 내부 표면 (382)을 포함한다. 어레이 (22)가 핸드셋 (18)에 인스톨된 때, 마운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브 프레임 (378) 내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서브 프레임 (378) 및 마운트는 어레이 (22)를 마운트와 동축에 위치시킨다.
서브 프레임 (378)은 선택적으로 마운트 (86)에 맞물리고 거기에 어레이 (22)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한쌍의 방출 버튼들 (126)을 또한 포함한다. 각각의 방출 버튼 (126)은 그것의 중심에 근접하여 서브 프레임 (378)에 피벗회전가능하게(pivotably) 결합되고 제 1 단부 (386), 및 제 1 단부 (386)에 반대쪽에 제 2 단부 (390)를 포함한다. 예시된 구성에서, 방출 버튼들 (126)은 서브 프레임 (378)에 마운트되어 제 1 단부 (386)를 방사상에서 안쪽으로 바이어싱하는 것이 제 2 단부 (390)가 방사상에서 바깥쪽으로 바이어싱되게 한다. 어레이 (22)가 조립된 때, 방출 버튼 (126)의 제 1 단부 (386)는 유저가 사용동안에 버튼 (126)을 액세스할 수 있도록 환형 벽 (362)의 대응하는 개구 (374)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도 4 에 예시된, 어레이 (22)의 슈라우드 (350)는 컨택 플레이트 (394), 및 개방 단부 (402)를 형성하기 위해 컨택 플레이트 (394)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깥쪽 벽 (398)을 갖는 실질적으로 절단된-원뿔형 형상이다. 사용 동안에, 슈라우드 (350)는 컨택 플레이트 (394)가 본체 (346)의 제 2 단부 (370)로부터 제 1 거리에 있는 정지 위치(rest position) (도 4)와 컨택 플레이트 (39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본체 (346) 안으로 수축되는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 (도 13) 사이에서 본체 (346)에 대하여 축 방향에서 이동가능하다. 사용동안에, 유저는 컨택 플레이트 (394)를 환자에 맞닿게 (즉, 치료될 환자들의 피부 영역에 맞닿게) 위치시키고 그에 의해 방향 C (도 1)으로 핸드셋 (18)에 유저에 의해 인가된 임의의 힘이 슈라우드 (350)가 정지 위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로 본체 (346)에 대하여 이동하게 할 것이다. 정지 위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 (즉, 본체 (346)로) 쪽으로 슈라우드 (350)의 움직임은 바늘 어셈블리 (354)의 적어도 일부가 컨택 플레이트 (394)를 너머 연장되어 환자에 진입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슈라우드 (350)가 본체 (346)의 제 2 단부 (370)쪽으로 더 큰 거리 바이어싱되고(즉, 유저가 더 큰 힘을 방향 C에서 핸드셋 (18)에 인가하고), 어셈블리 (354)는 컨택 플레이트 (394) 너머 더 큰 바늘을 연장시키고 결과 주입 깊이가 더 크다.
예시된 구성에서, 슈라우드 (350)는 정지 위치와 세개의 고유의 작동 위치들 상에서 축 방향에서 이동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 1 작동 위치는 일반적으로 토글 (186)의 제 1 접점 (194a)에 대응하고 바늘 어셈블리 (354)가 컨택 플레이트 (394)를 너머 13 mm 연장되는 것을 허용한다. 더욱이, 제 2 작동 위치는 일반적으로 토글 (186)의 제 2 접점 (194b)에 대응하고 바늘 어셈블리 (354)가 컨택 플레이트 (394)를 너머 19 mm 연장되는 것을 허용한다. 마지막으로, 제 3 작동 위치는 일반적으로 토글 (186)의 제 3 접점 (194c)에 대응하고 바늘 어셈블리 (354)가 컨택 플레이트 (394)를 너머 25 mm 연장되는 것을 허용한다.
어레이 (22)의 슈라우드 (350)는 원위 단부 (410)를 생성하기 위해 개방 단부 (402)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깊이 샤프트 (406)를 또한 포함한다. 사용동안에, 깊이 샤프트 (406)의 원위 단부 (410)는 본체 (346)의 제 1 단부 (366)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핸드셋 (18)의 개구 (200)를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슈라우드 (350)가 희망하는 주입 깊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작동 위치로 바이어싱 된 때 토글 (186)의 캠 표면(190)을 컨택한다. 깊이 샤프트 (406)응 또한 슈라우드 (350)에 대하여 정지부(stop)로서 역할을 할 수 있어서, 슈라우드 (350)가 본체 (346) 쪽으로 축 방향에서 이동하는 정도(extent)를 제한한다. 이와 같이, 깊이 샤프트 (406) 와 토글 (186) (즉, 토글 (186)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사이에 컨택 포인트를 바꾸는 것은, 유저가 슈라우드 (350)가 본체 (346)에 대하여 얼마나 멀리 이동할 수 있는지를 바꿀 수 있고, 따라서, 조직내로 최대 바늘 투과를 제한할 수 있다.
슈라우드 (350)는 컨택 플레이트 (394)의 중심에 근접하여 주입 개구 (414)를 또한 정의한다. 주입 개구 (414)는 바늘 어셈블리 (354)의 주입 바늘 (418)이 거기를 관통하여 치료를 위한 환자내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사이즈된다. 예시된 구성에서, 주입 개구 (414)는 내부에 주사기 플러그 (426)를 위치시키고 수용하도록 사이즈 된 환형 벽 (422)에 의해 컨택 플레이트 (394)의 내측에 배치된다.
슈라우드 (350)는 컨택 플레이트 (394)에 복수의 전극 개구들 (430)를 또한 정의한다. 각각의 전극 개구 (430)는 전극들 (142) 중 대응하는 전극 (이하에 설명된)이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사이즈된다. 각각의 전극 개구 (430)는 실질적으로 테이퍼링된 단면을 가져서 대응하는 전극 (142)이 개구 (430)를 통과하여 치료를 위한 환자로 보내는데 도움을 준다. 예시된 구성에서, 슈라우드 (350)는 다섯개의 (5) 전극 개구들 (430)을 포함하고, 각각은 주입 개구 (414)에 중심을 둔 기준 원 (도 3)을 따라서 동등하게 간격된다. 그러나, 대안 구성들에서 슈라우드 (350)는 정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및 유사한 것과 같은 임의 개수의 전극 어레이 패턴들로 1, 2, 3, 4, 5, 6, 7, 8, 9, 10, 11, 또는 12 전극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슈라우드 (350)는 정지 위치 쪽으로 슈라우드 (350)를 바이어스하도록 구성되고 슈라우드 (350)와 본체 (346) 사이에서 연장되는 수축 스프링 (434)을 또한 포함한다. 예시된 구성에서, 수축 스프링 (434)은 바늘 어셈블리 (354)의 의도하지 않은 노출을 회피하기에 충분한 세기를 가지지만 그러나 바늘 어셈블리 (354)을 노출시켜 환자에 주입하는데 초과 힘에 대한 요구를 회피하기에 충분히 약하다.
도면들 27-28에 예시된, 바늘 어셈블리 (354)는 환자에 주입을 위한 복수의 바늘들 - 구체적으로 주입 바늘 (418) 및 복수의 전극들 (142) -을 배향(orient)시키도록 구성되고 어레이 (22)의 서브 프레임 (378)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바늘 어셈블리 (354)는 어레이 (22)의 서브 프레임 (378)에 고정되게 결합된 바늘 본체 (438), 바늘 본체 (438)에 결합된 복수의 전극들 (142), 및 주입 어셈블리 (442)를 포함한다.
도면들 4-5에 예시된, 바늘 본체 (438)는 주입 단부 (446) 및 주입 단부 (446)에 반대쪽에 로딩 단부(loading end) (450)를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이다. 어레이 (22)가 조립된 때, 바늘 본체 (438)는 본체 (346)의 제 2 단부 (370)에 근접하여 위치된 주입 단부 (446) 및 본체 (346)의 제 1 단부 (366)에 근접하여 위치된 로딩 단부 (450)과 동축(358)에 위치된다.
바늘 본체 (438)는 그것을 통하여 동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주입 단부 (446) 및 로딩 단부 (450) 모두에 개방되는 내부 채널 (454)을 형성한다. 내부 채널 (454)은 제 1 직경을 정의하는 로딩 단부 (450)에 근접한 제 1 부분 (458), 및 제 1 직경보다 적은 제 2 직경을 정의하는 주입 단부 (446)에 근접한 제 2 부분 (462)을 포함한다. 예시된 구성에서, 내부 채널(454)의 제 1 부분(458)은 그 내부에 주입 어셈블리 (442) (이하에 설명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사이즈된다.
바늘 본체 (438)는 내부 채널 (454)의 제 1 부분 (458)에 주입 어셈블리 (442)를 선택적으로 보유하도록 구성되고 로딩 단부 (450)에 근접하여 위치된 잠금 멈춤쇠(locking pawl) (182)를 또한 포함한다. 사용 동안에, 잠금 멈춤쇠 (182)는 멈춤쇠 (182)가 주입 어셈블리 (442)를 컨택하는 락킹된 위치 (도 8)와 멈춤쇠 (182)가 주입 어셈블리 (442)를 컨택하지 않는 언락킹된 위치된 (도 6)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이와 같이, 잠금 멈춤쇠 (182)가 락킹된 위치에 있을 때, 주입 어셈블리 (442)는 바늘 본체 (438)에 대하여 축 방향에서 이동할 수 없다. 그에 반해서, 잠금 멈춤쇠 (182)가 언락킹된 위치로 이동된 때, 주입 어셈블리 (442)는 바늘 본체 (438)에 대하여 축 방향에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바늘 어셈블리 (354)의 각각의 전극(142)는 바늘 본체 (438)에 마운트되고 주입 단부 (446)로부터 축 방향에서 연장되어 팁(tip)(470)을 정의한다. 사용동안에, 정지 위치로부터 활성화된 위치 쪽으로의 슈라우드 (350)의 움직임은 각각의 팁 (470)이 대응하는 전극 개구 (430)를 관통하게 하고 컨택 플레이트 (394)가 환자에 맞닿아 눌려질 때, 치료를 위해 환자로 전달된다.
각각의 전극 (142)은 팁 (470)의 반대쪽에 전극 (142)으로부터 연장되는 리드(lead) (474)를 또한 포함한다. 각각의 리드 (474)는 그것의 대응하는 전극 (142)과 전기 통신하고 바늘 본체 (438)를 관통하여 로딩 단부 (450)에 근접하여 전기적 컨택 (138)을 생성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것 처럼, 어레이 (22)가 핸드셋 (18)에 인스톨된 때, 어레이 (22)의 각각의 전기 컨택 (138)은 핸드셋 (18)의 대응하는 전기적 컨택 (미도시) 및 궁극적으로 신호 제너레이터 (28)와 맞물리고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어레이 (22)의 바늘 어셈블리 (354)는 또한 제 1 자동-락 메커니즘 (494)을 포함한다. 도면들 12-15c에 예시된, 바늘 어셈블리 (354)는 본체 (346)에 대하여 슈라우드 (35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자동-락 (494)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락 (494)은 슈라우드 (350)가 미리 결정된 "활성화 지점(activation point)"을 너머 바이어스된 후에 슈라우드 (350)를 정지 위치 (즉, 바늘 어셈블리 (354)가 노출되지 않는)에 락(lock)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일단 슈라우드 (350)가 미리 결정된 활성화 지점을 너머 바이어스되면, 자동-락 (494)이 장착(arm)된다. 자동-락 (494)이 장착된 후에, 정지 위치로의 슈라우드 (350)의 임의의 후속 움직임은 슈라우드 (350)가 락킹된 위치에 있게 되는 것으로 귀결될 것이다. 이와 같이, 슈라우드 (350)는 더 이상 본체 (346)에 대하여 이동할 수 없고 바늘 어셈블리 (354)는 노출되지 않는다.
자동-락 (494)은 어레이 (22)를 단일 사용으로 제한하여, 슈라우드 (350)가 락킹되고 동작 불가능하게 되기 전에 유저가 치료를 위해 한 번 바늘 어셈블리 (354)를 노출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전체적으로, 자동-락 (494)은 어레이 (22) 또는 약물 카트리지 (498)의 의도하지 않은 재사용 또는 교차-오염의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자동-락 (494)은 또한 주입 바늘 (418) 또는 전극들 (142)이 그것이 사용된 후에 슈라우드 (350)로부터 재출현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주사 바늘을 잘못 찔러서 생긴 상처들의 가능성을 줄인다.
도면들 12-16에 예시된, 자동-락 (494)은 슈라우드 (350)에 결합되고 그것과 함께 이동가능한 스프링-유사 디텐트(detent) (502), 어레이 (22)의 본체 (346)에 대하여 고정된 락킹 표면 (506), 디텐트 (502)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본체 (346)에 대하여 고정된 돌출부(protrusion) (51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것 처럼, 자동-락 (494)은 그것이 미리 결정된 활성화 지점을 너머 통과하면 슈라우드 (350) 제 위치에 락하도록 구성되어 바늘 어셈블리가 사용된 후에 바늘 어셈블리 (352)가 슈라우드 (350)로 재출현하는 것을 중지시킨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락 (494)의 디텐트 (502)는 슈라우드 (350)에 고정되어 결합된 제 1 단부(516), 및 락킹 팁 (524)을 형성하는 제 1 단부 (516)에 반대쪽에 제 2 단부 (520)를 갖는 실질적으로 탄력성 있는 본체 (512)를 포함한다. 디텐트 (502)의 본체 (512)는 실질적으로 탄력성 있는 재료 (즉, 금속, 플라스틱, 및 유사한 것)으로 형성되어 본체 (512)가 구부러지는 것을 허용하고 락킹 팁 (524)이 제 1 단부 (516)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사용동안에, 본체 (512)는 락킹 팁 (524)이 방향 F로 바이어스되어 돌출부 (510) 및 락킹 표면 (506) (도 15a) 중 적어도 하나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락킹 팁 (524)은 슈라우드 (350)가 어레이 (22)의 본체 (346)에 대하여 이동함에 따라 개별 표면들을 따라 이동하여 개별 표면들과 맞물림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예시된 구성에서, 락킹 팁 (524)은 디텐트 (502)의 나머지 부분 (도 16) 아래로 연장되어, 팁 (524)이 디텐트(502)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임의의 간극 또는 간섭 이슈들을 야기하지 않고 돌출부 (510) 및 락킹 표면 (506)과 접촉하고 그것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자동-락 (494)의 락킹 표면 (506)은 어레이 (22)의 본체 (346)에 대하여 고정되고 본체 (346)의 제 2 단부 (370)에 근접하여 위치된 제 1 부분 (528) 및 제 1 부분 (528)으로부터 본체 (346)의 제 1 단부 (366) 쪽으로 연장된 제 2 부분 (532)을 포함한다. 도 15a에 예시된, 제 1 부분 (528) 및 제 2 부분 (532)은 서로 (즉, 축 (358)으로부터 상이한 거리들에 위치되어) 오프셋되어 그것들사이에 중간 표면 (536)을 형성한다. 예시된 구성에서, 중간 표면 (536)은 두개의 부분들 (528, 532) 사이에 "Z" 형상을 형성하여 디텐트 (502)의 락킹 팁 (524)을 그 내부에 보유하는 것을 보조한다.
자동-락 (494)의 돌출부 (510)는 어레이 (22)의 본체 (346)에 대하여 고정되고 컨택 표면 (540)을 정의한다. 돌출부 (510)는 락킹 표면 (506)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되고 디텐트 (502)의 락킹 팁 (524)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본체 (512)의 바이어싱 힘에 반대하여 락킹 표면 (506)으로부터 떨어져 팁 (524)을 위치시킨다. 돌출부 (510)의 후방 에지(544)는 자동-락 (494)을 위한 활성화 지점을 정의한다. 후방 에지 (544)가 더 후방에 (즉, 본체 (346)의 제 1 단부 (366)쪽으로) 위치되고, 슈라우드 (350)는 자동-락 (494)이 장착되기 전에 더 바이어싱되어야 한다. 사용 동안에, 락킹 팁 (524)은 팁 (524)이 후방 에지 (544)를 너머 통과 할 때까지 돌출부 (510)의 컨택 표면 (540)을 따라 이동하고, 그 지점에서 락킹 팁 (524)은 돌출부 (510)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락킹 표면 (506)의 제 2 부분 (532) 쪽으로 바이어싱되어 제 2 부분과 맞물린다.
자동-락 (494)의 동작 동안, 디텐트 (502)의 락킹 팁 (524)은 처음에 돌출부 (510)의 컨택 표면 (540) (도면들 12 및 15a)에 맞물리고, 팁 (524)을 락킹 표면 (506)으로부터 떨어진 "장착되지 않은(unarmed)" 위치에 위치시킨다. 장착되지 않은 위치에서, 락킹 팁 (524)은 슈라우드 (350)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고 돌출부 (510)의 컨택 표면 (540)을 따라 이동할 수있다 (즉, 슈라 우드는 정지 위치로부터 활성화 지점 이전의 임의의 지점으로 다시 바이어싱 될 수있다).
유저가 핸드셋 (18)에 방향 C로 압력을 인가한 때, 슈라우드 (350)는 정지 위치로부터 활성화된 위치 쪽으로 바이어싱된다. 결과적으로, 디텐트 (502)의 팁 (524)은 후방 에지 (544) 쪽으로 돌출부(510)의 컨택 표면 (540)을 따라서 이동하기 시작한다. 팁 (524)이 후방 에지 (544)에 도달한 때, 슈라우드 (350)는 그것의 활성화 지점에 도달된다. 이때, 팁 (524)은 후방 에지 (544)를 너머 지나가고 돌출부 (510)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락킹 표면 (506)의 제 2 부분 (532)과 맞물리게 바이어싱되어 - 그렇게 함으로써 장착된다(도면들 13 및 15b). 일단 장착된 후, 디텐트 (502)의 팁 (524)은 락킹 표면 (506)의 제 2 부분 (532)과 맞물려 있고 그것의 길이를 따라서 계속해서 왔다갔다 이동할 수 있다.
유저가 핸드셋 (18)으로부터 압력을 제거한 때, 슈라우드 (350)는 정지 위치로 리턴한다. 결과적으로, 디텐트 (502)의 팁 (524)은 락킹 표면 (506)의 제 2 부분 (532)을 따라서 제 1 부분(528) 쪽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슈라우드 (350)가 정지 위치에 근접한 때, 팁 (524)은 제 2 부분 (532)과 맞물림으로부터 락킹 표면 (506)의 제 1 부분 (528)과 맞물림으로 바이어싱되어 - 슈라우드 (350)가 제 위치에서 락킹되도록 한다 (도면들 14 및 15c). 보다 구체적으로, 방향 C로 핸드셋 (18)에 힘을 재인가하려는 임의의 시도는 팁 (524)이 중간 표면 (506)에 맞물리게 할 것이고 정지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임의의 추가 움직임을 제한한다. 이와 같이, 슈라우드 (350)는 본체 (346)에 대하여 움직이는 것이 제한되고 바늘 어셈블리 (354)는 다시 노출될 수 없다.
비록 어레이 (22)와의 사용에 대하여 예시되지만, 자동-락 (494)이 날카로운 것들 예컨대 바늘들 및 전극들이 해당 아이템들에 액세스 및 사용을 제한하도록 구현되는 다른 인스턴스들에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어레이 (22)는 또한 주입 지점에 대하여 독립적인 바늘 수축 및 락-아웃을 포함한다. 주입 어셈블리 (442)는 약물이 투여된 후에 환자로부터 주입 바늘 (418)을 퇴피(withdraw)시키고 한편 전극들 (142)은 전기천공의 방식으로 계속되는 치료를 위해 환자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허용한다. 주입 어셈블리 (442)는 또한 최초 주입이 발생한 후에 주입 바늘 (418)을 수축된 위치에 락킹하는 역할을 하여 교차-오염 및 주사 바늘을 잘못 찔러서 생긴 상처들을 제한한다. 주입 바늘 락-아웃은 자동-락 메커니즘 (494)과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주입 어셈블리 (442)는 리시버 (478) 및 그것과 함께 움직임을 위해 리시버 (478)에 결합된 주입 바늘 (418)을 포함한다.
예시된 구성에서, 리시버 (478)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이고 리시버 (478)가 바늘 본체 (438)의 주입 단부 (446)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주입 위치 (도 9)와 리시버 (478)가 바늘 본체 (438)의 주입 단부 (446)로부터 떨어져 위치되는 퇴피 위치 (도 4) 사이에서 내부 채널 (454)의 제 1 부분 (458)내에 위치되고 축 방향에서 이동하도록 사이즈된다. 치료 동안에, 주입 위치와 퇴피 위치사이에서 리시버(478)의 움직임은 주입 바늘 (418)이 하나 이상의 전극들 (142) (도 9)의 적어도 일부오ㅘ 정렬되거나 정렬에서 벗어나도록 이동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입 바늘 (418)은 리시버(receiver) (478)가 주입 위치에 위치 될 때 바늘(418)의 팁 (482)이 하나 이상의 전극들 (142) (도 9)의 적어도 일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사이즈된다. 이와 같이, 리시버 (478)가 주입 위치에 있을 때, 바늘 (418)의 팁 (482)은 슈라우드 (350)의 위치에 의존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노출되거나 또는 커버될 수 있다. 그러나, 리시버 (478)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 바늘 (418)의 팁 (482)은 슈라우드 (350)의 위치에 상관없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주입 어셈블리 (442)의 주입 바늘 (418)은 양쪽 단부들이 비스듬한 피하 주사 바늘을 포함한다. 조립된 때, 바늘의 제 1 단부 (486)는 리시버 (478) 내부에 위치되어 그내부에 삽입되는 약물 카트리지 (498)에 구멍을 뚫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바늘 (418)은 주입 팁 (482)을 정의하도록 리시버 (478)로부터 축 방향에서 연장된다. 리시버 (478)가 주입 위치에 있을 때, 정지 위치로부터 활성화 위치쪽으로의 슈라우드 (350)의 움직임은 바늘 (418)의 주입 팁 (482)이 슈라우드 (350)의 주입 개구 (414)를 통과하게되고, 컨택 플레이트(394)는 환자에 맞닿아 환자에게 압착되어, 카트리지 (498)에 함유된 약물이 투여 될 수 있다.
주입 어셈블리 (442)는 또한 리시버 (478)와 바늘 본체 (438) 사이에서 연장되고 내부 채널 (454)의 제 1 부분 (458)내에 위치된 스프링 (490)을 포함한다. 사용 동안에, 스프링 (490)은 리시버 (478)를 주입 위치로부터 멀리 퇴피 위치 쪽으로 바이어싱시킨다. 예시된 구성에서, 스프링 (490)은 약물이 투여된 후에 환자로부터 주입 바늘 (418)을 추출하기에 충분히 강해야 한다.
주입 어셈블리 (442)는 또한 락킹 핀 (492)이 바늘 본체 (438)에 대하여 락킹 개구 (493)로부터 제거되고 리시버 (478)가 바늘 본체(438)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언락킹된 위치 (도 17)와 락킹 핀 (492)이 락킹 개구 (493) 내에 위치되고 리시버 (478)가 바늘 본체 (438)에 대하여 고정된 락킹 위치 (도 18)사이에서 리시버(478)에 대하여 방사상에서 움직일 수 있고 그 안에 형성된 락킹 핀(locking pin) (492)을 또한 포함한다. 사용 동안에, 락킹 핀 (492)은 락킹된 위치 쪽으로 바이어싱되어, 락킹 개구 (493)가 핀 (492)에 정렬된 때, 핀(492)은 락킹 위치로 (즉, 락킹 개구 (493)내로) 바이어싱된다. 비록 락킹 핀 (492)이 리시버 (478)내에 형성되고 락킹 개구 (493)가 바늘 본체 (438)내에 형성되어 도시되지만, 락킹 핀 (492)은 바늘 본체 (438)에 형성될 수 있고 한편 락킹 개구 (493)는 리시버 (478)에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주입 바늘 (418)을 환자로부터 추출하기 위해, 유저는 핸드셋 (18)을 꽉 잡고 방향 C으로 압력을 인가하여 각각의 전극들 (142) 및 주입 바늘 (418)이 컨택 플레이트 (394)를 너머 환자로 전달되게 한다. 유저가 핸드셋 (18)에 압력을 인가할 때, 리시버 (478)는 바늘 본체 (438)의 잠금 멈춤쇠 (182)에 의한 스프링 (490)의 바이어싱 힘에 반대하여 주입 위치에 유지된다는 것에 주목할 가치가 있다.
유저가 트리거 (214)를 활성화 한 후에, 핸드셋 (18)은 방향 D에서 주입 로드 (158)를 이동시키고 약물 카트리지 (498)의 플런저 (522)와 접촉시킴으로써 주입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주입 로드 (158)는 계속해서 방향 D (도 2)로 이동하여 카트리지 (498)내에 함유된 약물이 주입 바늘 (418)을 거쳐 환자에 주사되게 한다.
주입 프로세스내 미리 결정된 지점에서, 주입 로드 (158)의 릴리즈 부재 (174)는 바늘 본체 (438)의 잠금 멈춤쇠 (182)와 접촉하게 된다. 주입 로드 (158)가 계속해서 방향 D로 이동할 때, 릴리즈 부재 (174) 는 잠금 멈춤쇠 (182)를 락킹된 위치에서 빠져나와 언락킹된 위치로 바이어싱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리시버 (478)를 릴리즈시킨다.
릴리즈 된 후 스프링 (490)에 의해 제공된 바이어싱 힘 하에서, 리시버 (478)는 주입 위치로부터 전극들 (142)과 무관하게 주입 바늘 (418)의 팁 (482)이 환자로부터 제거되는 퇴피 위치로 바이어싱된다. 특별히, 리시버 (478)는 주입 로드 (158)와 함께 퇴피 위치쪽으로 수축될 것이고, 여기서 그것은 접촉하여 맞닿아 바이어싱된다. 리시버 (478)가 퇴피 위치로 접근하면, 락킹 개구 (493)는 락킹 핀 (492)에 정렬된다. 일단 정렬된 후에, 락킹 핀 (492)은 락킹된 위치 및 락킹 개구 (493)로 바이어싱된다. 이와 같이, 리시버 (478)는 퇴피 위치에서 바늘 본체 (438)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 구성에서, 리시버 (478)는 설사 주입 로드 (158)로부터의 바이어싱 압력하에 있더라도 주입 위치로 리턴될 수 없다.
주입 바늘이 (418)이 퇴피된 상태에서, 핸드셋(18)은 전극 (142)을 통해 타겟 조직에 전기 천공 신호를 인가하여 타겟 조직의 세포에서 전기 천공을 일으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 (24)은 신호 제너레이터 (28)에 전력을 제공하고, 이는 차례로 어레이 (22)의 전극들 (142)와 전기 통신한다.
비록 어레이 (22)와의 사용에 대하여 예시되지만, 상기에서 설명된 바늘 수축 및 락-아웃은 날카로운 것들 예컨대 바늘들 및 전극들이 사용되는 다른 인스턴스들에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4 에 예시된, 리시버 (478)는 또한 카트리지 (498)를 주입 어셈블리 (442)내에 고정시키는 카트리지 락 (500)을 포함하여 그것은 제거될 수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 락 (500)은 카트리지 (498)가 락(500)이 카트리지(498)에 맞물리고 그것의 제거를 제한하는 미리 결정된 위치에 도달 할 때까지 (즉, 바늘 (418)과 접촉 할 때까지) 카트리지 (498)가 리시버(478) 내로 축 방향에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디텐트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락 (500)은 다른 락아웃 메커니즘들과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임의의 하나의 카트리지 (498)가 단지 한 번 사용되고 바늘 (418)에 의해 스파이크된 카트리지(498)가 바늘 (418)과의 맞물림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제거될 수 있는 상황들을 피하는 것을 보장한다.
특정 양상들의 앞서 말한 설명은 다른 것들이, 이 기술분야의 기술 내에서의 지식을 적용함으로써, 과도한 실험 없이, 본 개시의 일반적인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이러한 특정 양상들을 쉽게 수정하고 및/또는 적응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특징을 완전하게 드러낼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적응화들 및 수정들은, 여기에서 제공된 교시 및 가이드라인에 기초하여, 개시된 양상들의 등가물들의 의미 및 범위 내에 있도록 의도된다. 여기에서의 어법 또는 전문 용어는 제한이 아닌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명세서의 전문 용어 또는 어법은 교시들 및 가이드라인을 고려하여 숙련공에 의해 해석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의 폭 및 범위는 상기 설명된 대표적인 양상들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하며, 다음의 청구항들 및 그것들의 등가물들에 따라서만 정의되어야 한다.
모든 공보들, 특허들, 특허 출원들, 및/또는 본 출원에서 인용된 다른 문서들은 각각의 개개의 공보, 특허, 특허 출원, 및/또는 다른 문서가 개별적으로 모든 목적들을 위해 참조로서 통합되는 것으로 표시되는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모든 목적들을 위해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통합된다.
완전성의 이유들로,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이 다음의 넘버링된 항목들에서 시작된다:
항목 1. 전기천공 디바이스(electroporation device)에 있어서,
핸드셋으로서,
마운팅 지점(mounting point)을 정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된 신호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셋;
상기 마운팅 지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상기 바늘 어레이가 상기 마운팅 지점에 결합된 때 상기 신호 제너레이터와 전기 통신하는 바늘 어레이로서,
본체,
정지 위치(rest position)와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슈라우드(shroud),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기 않은 락킹된 구성(locked configuration)과,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언락킹된 구성(unlocked configuration) 사이에서 조절가능한 자동-락(auto-lock)을 포함하되, 상기 슈라우드를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로 다시 상기 정지 위치로 바이어싱(biasing)하는 것이 상기 자동-락을 상기 언락킹된 구성으로부터 상기 락킹된 구성으로 조정하는, 상기 바늘 어레이를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2. 항목 1의 전기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거기에 결합된 하나이상의 전극들을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3. 항목 1의 전기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거기에 결합된 하나이상의 피하 주사 바늘들을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4. 항목 2의 전기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극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에 있을 때 상기 슈라우드 외부로 연장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5. 항목 4의 전기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극들은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정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슈라우드내에 위치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6. 항목 1의 전기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주입 위치(injection position)와 수축된 위치(retracted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리시버(receiver)를 더 포함하되, 상기 리시버는 거기로부터 연장되는 피하 주사 바늘을 갖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7. 항목 6의 전기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피하 주사 바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리시버가 상기 주입 위치에 있고,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에 있을 때 상기 슈라우드 외측에 위치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8. 항목 6의 전기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피하 주사 바늘은 상기 리시버가 상기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슈라우드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슈라우드내에 위치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9. 항목 6의 전기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핸드셋은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10. 항목 6의 전기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는 그 내부에 약물 카트리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사이즈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11. 전기천공 디바이스(electroporation device)에 있어서,
핸드셋으로서,
마운팅 지점(mounting point)을 정의하는 하우징,
전원; 및
상기 전원과 전기 통신하는 신호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셋;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마운팅 지점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가능한 바늘 어레이로서,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전극들,
정지 위치와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슈라우드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극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에 각각 있을 때 상기 슈라우드 외측에 위치되는, 상기 슈라우드,
주입 위치(injection position)와 수축된 위치(retracted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리시버(receiver)로서, 상기 리시버는 거기로부터 연장되는 피하 주사 바늘을 갖는, 상기 리시버,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리시버 중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리시버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는 락킹된 위치와 상기 리시버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언락킹된 위치사이에서 거기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락킹 핀(locking pin)를 포함하되, 및 상기 락킹 핀은 상기 락킹 위치 쪽으로 바이어싱되어 리시버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위치된 때, 상기 락킹 핀은 상기 락킹된 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바늘 어레이를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12. 항목 11의 전기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락킹 핀은 상기 본체 및 상기 리시버 중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리시버 중 다른 것은 락킹 개구를 정의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13. 항목 12의 전기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락킹 핀은 상기 언락킹된 위치로부터 상기 락킹 핀이 축 방향에서 상기 락킹 개구에 정렬되는 상기 락킹된 위치로 이동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14. 항목 11의 전기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기 않은 락킹된 구성(locked configuration)과,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언락킹된 구성(unlocked configuration) 사이에서 조절가능한 자동-락(auto-lock)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슈라우드를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로 다시 상기 정지 위치로 바이어싱(biasing)하는 것이 상기 자동-락을 상기 언락킹된 구성으로부터 상기 락킹된 구성으로 조정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15. 항목 11의 전기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바늘 어레이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마운팅 지점에 결합된 때 상기 바늘 어레이는 상기 신호 제너레이터와 전기 통신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16. 항목 11의 전기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는 그 내부에 약물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사이즈되고, 상기 약물 카트리지는 상기 리시버내에 삽입된 때 상기 피하 주사 바늘과 유체 연통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17. 항목 16의 전기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카트리지 락(cartridge lock)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락은 상기 약물 카트리지가 상기 리시버내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상기 약물 카트리지가 상기 리시버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18. 항목 11의 전기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리시버를 상기 주입 위치에 선택적으로 보유하도록 구성된 잠금 멈춤쇠(locking pawl)를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19. 항목 18의 전기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핸드셋은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잠금 멈춤쇠에 맞물리고 상기 리시버가 상기 주입 위치로부터 상기 수축된 위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릴리즈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항목 20. 전기천공 치료를 허용하기 위한 전기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
베이스 스테이션;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핸드셋으로서,
그것에 형성된 마운트(mount) 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된 전원,
그 위에 릴리즈 부재를 갖는 주입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셋;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마운트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가능한 바늘 어레이로서,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전극들,
정지 위치와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슈라우드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극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에 있을 때 노출되는, 상기 슈라우드, 및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기 않은 락킹된 구성(locked configuration)과,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언락킹된 구성(unlocked configuration) 사이에서 조절가능한 자동-락(auto-lock)을 포함하되, 상기 슈라우드를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로 다시 상기 정지 위치로 바이어싱(biasing)하는 것이 상기 자동-락을 상기 언락킹된 구성으로부터 상기 락킹된 구성으로 조정하는, 상기 바늘 어레이를 포함하는, 전기천공 시스템.

Claims (20)

  1. 전기천공 디바이스(electroporation device)에 있어서,
    핸드셋으로서,
    마운팅 지점(mounting point)을 정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된 신호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셋; 및
    상기 마운팅 지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상기 바늘 어레이가 상기 마운팅 지점에 결합된 때 상기 신호 제너레이터와 전기 통신하는 바늘 어레이로서,
    본체(body);
    정지 위치(rest position)와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슈라우드(shroud),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기 않은 락킹된 구성(locked configuration)과,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언락킹된 구성(unlocked configuration) 사이에서 조절가능한 자동-락(auto-lock)을 포함하되, 상기 슈라우드를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로 다시 상기 정지 위치로 바이어싱(biasing)하는 것이 상기 자동-락을 상기 언락킹된 구성으로부터 상기 락킹된 구성으로 조정하는, 상기 바늘 어레이를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거기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전극들을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거기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피하 주사(hypodermic) 바늘들을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극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에 있을 때 상기 슈라우드 외부로 연장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극들은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정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슈라우드 내에 위치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주입 위치(injection position)와 수축된 위치(retracted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리시버(receiver)를 더 포함하되, 상기 리시버는 거기로부터 연장되는 피하 주사 바늘을 갖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피하 주사 바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리시버가 상기 주입 위치에 있고,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에 있을 때 상기 슈라우드 외측에 위치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피하 주사 바늘은 상기 리시버가 상기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슈라우드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슈라우드 내에 위치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핸드셋은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는 그 내부에 약물 카트리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사이즈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11. 전기천공 디바이스(electroporation device)에 있어서,
    핸드셋으로서,
    마운팅 지점(mounting point)을 정의하는 하우징;
    전원; 및
    상기 전원과 전기 통신하는 신호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셋;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마운팅 지점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가능한 바늘 어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바늘 어레이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전극들,
    정지 위치와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슈라우드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극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에 각각 있을 때 상기 슈라우드 외측에 위치되는, 상기 슈라우드,
    주입 위치(injection position)와 수축된 위치(retracted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리시버(receiver)로서, 상기 리시버는 거기로부터 연장되는 피하 주사 바늘을 갖는, 상기 리시버,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리시버 중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리시버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는 락킹된 위치와 상기 리시버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언락킹된 위치사이에서 거기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락킹 핀(locking pin)을 포함하되, 및 상기 락킹 핀은 상기 락킹 위치 쪽으로 바이어싱되어 리시버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위치된 때, 상기 락킹 핀은 상기 락킹된 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바늘 어레이를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락킹 핀은 상기 본체 및 상기 리시버 중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리시버 중 다른 것은 락킹 개구를 정의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락킹 핀은 상기 언락킹된 위치로부터 상기 락킹 핀이 축 방향에서 상기 락킹 개구에 정렬되는 상기 락킹된 위치로 이동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지 않은 락킹된 구성(locked configuration)과,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언락킹된 구성(unlocked configuration) 사이에서 조절가능한 자동-락(auto-lock)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슈라우드를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로 다시 상기 정지 위치로 바이어싱(biasing)하는 것이 상기 자동-락을 상기 언락킹된 구성으로부터 상기 락킹된 구성으로 조정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바늘 어레이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마운팅 지점에 결합된 때 상기 바늘 어레이는 상기 신호 제너레이터와 전기 통신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는 그 내부에 약물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사이즈되고, 상기 약물 카트리지는 상기 리시버 내에 삽입된 때 상기 피하 주사 바늘과 유체 연통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카트리지 락(cartridge lock)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락은 상기 약물 카트리지가 상기 리시버 내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상기 약물 카트리지가 상기 리시버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리시버를 상기 주입 위치에 선택적으로 보유하도록 구성된 잠금 멈춤쇠(locking pawl)를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핸드셋은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잠금 멈춤쇠에 맞물리고 상기 리시버가 상기 주입 위치로부터 상기 수축된 위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릴리즈 부재(release member)를 포함하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20. 전기천공 치료를 허용하기 위한 전기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베이스 스테이션;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핸드셋으로서,
    그것에 형성된 마운트(mount) 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된 전원,
    그 위에 릴리즈 부재를 갖는 주입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셋;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마운트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가능한 바늘 어레이로서,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전극들,
    정지 위치와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슈라우드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극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에 있을 때 노출되는, 상기 슈라우드, 및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기 않은 락킹된 구성(locked configuration)과, 상기 슈라우드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언락킹된 구성(unlocked configuration) 사이에서 조절가능한 자동-락(auto-lock)을 포함하되, 상기 슈라우드를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위치들로 다시 상기 정지 위치로 바이어싱(biasing)하는 것이 상기 자동-락을 상기 언락킹된 구성으로부터 상기 락킹된 구성으로 조정하는, 상기 바늘 어레이를 포함하는, 전기천공 시스템.
KR1020187021055A 2015-12-30 2016-12-30 락-아웃 시스템으로 분리가능한 바늘 어레이를 갖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KR201800997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72758P 2015-12-30 2015-12-30
US62/272,758 2015-12-30
PCT/US2016/069438 WO2017117508A1 (en) 2015-12-30 2016-12-30 Electroporation device with detachable needle array with lock-ou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751A true KR20180099751A (ko) 2018-09-05

Family

ID=5922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055A KR20180099751A (ko) 2015-12-30 2016-12-30 락-아웃 시스템으로 분리가능한 바늘 어레이를 갖는 전기천공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3) US11071859B2 (ko)
EP (3) EP3397337B1 (ko)
JP (3) JP6961598B2 (ko)
KR (1) KR20180099751A (ko)
CN (2) CN109414580B (ko)
AU (2) AU2016381186B2 (ko)
BR (1) BR112018013312A2 (ko)
CA (2) CA3009348A1 (ko)
ES (2) ES2843400T3 (ko)
IL (2) IL300102A (ko)
LT (1) LT3397337T (ko)
MX (2) MX2018008007A (ko)
PE (1) PE20181501A1 (ko)
PL (1) PL3397337T3 (ko)
PT (1) PT3397337T (ko)
RU (1) RU2746466C2 (ko)
SG (2) SG11201805381TA (ko)
WO (1) WO20171175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805381TA (en) * 2015-12-30 2018-08-30 Inovio Pharmaceuticals Inc Electroporation device with detachable needle array with lock-out system
SE541651C2 (en) * 2017-07-28 2019-11-19 Scandinavian Chemotech Ab An electrode device and a needle electrode for use in delivery of electrical pulses to a desired tissue of a mammal
US11590345B2 (en) 2017-08-08 2023-02-28 Pulse Biosciences, Inc. Treatment of tissue by the application of energy
US10850095B2 (en) 2017-08-08 2020-12-01 Pulse Biosciences, Inc. Treatment of tissue by the application of energy
US10857347B2 (en) 2017-09-19 2020-12-08 Pulse Biosciences, Inc. Treatment instrument and high-voltage connectors for robotic surgical system
EP3863710A4 (en) * 2018-10-10 2021-12-01 Pulse Biosciences, Inc. TREATMENT OF SKIN GLANDS THROUGH THE APPLICATION OF NON THERMAL ENERGY
US11571569B2 (en) 2019-02-15 2023-02-07 Pulse Biosciences, Inc. High-voltage catheters for sub-microsecond pulsing
CA3157944A1 (en) * 2019-11-11 2021-05-20 Bryan Butman Electro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22214664A1 (en) 2021-04-09 2022-10-13 Philogen S.P.A. Improved interferon-gamma mutant
USD977094S1 (en) * 2021-04-23 2023-01-31 Pacira Cryotech, Inc. Tip assembly for a cryogenic device
WO2024023246A1 (en) 2022-07-28 2024-02-01 Philogen S.P.A. Antibody binding to pd1
WO2024033362A1 (en) 2022-08-08 2024-02-15 Atb Therapeutics Humanized antibodies against cd79b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8564A1 (en) * 1989-02-01 1990-08-09 167300 Canada Inc. Disposable automatic hypodermic needle guard
US5320610A (en) * 1991-12-16 1994-06-14 Inbae Yoon Automatic retractable trocar with safety shield and method of use
US5360408A (en) * 1992-11-16 1994-11-01 Vaillancourt Vincent L Shielded hypodermic needle assembly and a shield assembly for a hypodermic needle
US5702359A (en) 1995-06-06 1997-12-30 Genetronics, Inc. Needle electrodes for mediated delivery of drugs and genes
US5439440A (en) 1993-04-01 1995-08-08 Genetronics, Inc. Electroporation system with voltage control feedback for clinical applications
US6055453A (en) 1997-08-01 2000-04-25 Genetronics, Inc. Apparatus for addressing needle array electrodes for electroporation therapy
US6569123B2 (en) * 1999-10-14 2003-05-2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refillable intradermal injector
US6972002B2 (en) * 2000-04-28 2005-12-06 Specialized Health Products, Inc. Passively activated safety shield for a catheter insertion needle
ES2683629T3 (es) 2001-04-13 2018-09-2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ispositivo de administración intradérmica de llenado previo con aguja oculta y protección pasiva
US20040204669A1 (en) * 2001-07-05 2004-10-14 Hofmann Gunter A. Apparatus for electroporation mediated delivery for drugs and genes
EP1480692A2 (en) 2002-03-07 2004-12-01 Merck & Co., Inc. Clinical syringe with electrical stimulation aspects
CA2422472A1 (en) * 2002-03-19 2003-09-19 Volker Niermann Needle assembly
US6912417B1 (en) * 2002-04-05 2005-06-28 Ichor Medical Systm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WO2003089043A2 (en) * 2002-04-19 2003-10-30 Transpharma Medical Ltd. Handheld transdermal drug delivery and analyte extraction
US20050070841A1 (en) * 2002-07-04 2005-03-31 Inovio As Electroporation device and injection apparatus
US7500963B2 (en) * 2003-07-22 2009-03-10 Safety Syring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medical injection with safeguard
US20080058706A1 (en) * 2004-06-30 2008-03-06 Genetronics, Inc. Modular electroporation device with disposable electrode and drug delivery components
US20060036210A1 (en) * 2004-06-30 2006-02-16 Lei Zhang Modular electroporation device with disposable electrode and drug delivery components
US20090030364A1 (en) * 2005-02-04 2009-01-29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Electroporation gene therapy gun system
CA2950817C (en) * 2006-06-30 2018-07-24 Abbvie Biotechnology Ltd. Automatic injection device
CN101707872B (zh) * 2007-04-27 2014-10-22 回声治疗有限公司 用于分析物感测或经皮给药的皮肤渗透装置
US8361066B2 (en) 2009-01-12 2013-01-29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ical ablation devices
GB0914981D0 (en) * 2009-08-28 2009-09-30 Micromode Medical Ltd Electrostimulation device
CN102905755B (zh) 2010-03-01 2016-03-09 因诺维奥制药公司 可耐受的微创性皮肤电穿孔装置
KR102593818B1 (ko) 2010-04-28 2023-10-25 이노비오 파마수티컬즈, 인크. 구강 점막 전기천공 장치 및 그 용도
KR101066883B1 (ko) * 2010-07-01 2011-09-26 최종수 전류 인가형 멀티 주사 바늘 및 자동주사장치
US9289606B2 (en) 2010-09-02 2016-03-22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System for electroporation therapy
US20120101475A1 (en) * 2010-10-21 2012-04-26 Meridian Medical Technologies, Inc. High Efficiency Auto-Injector
EP2489384A1 (en) 2011-02-18 2012-08-2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uto-injector
KR20230156804A (ko) * 2011-06-28 2023-11-14 이노비오 파마수티컬즈, 인크. 최소 침습 피부 전기천공 장치
WO2013166203A2 (en) * 2012-05-01 2013-11-07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Pippett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2911736A4 (en) * 2012-10-25 2016-06-15 Oncosec Medical Inc electroporation
CN105829341A (zh) 2013-12-13 2016-08-03 宾夕法尼亚大学理事会 Dna抗体构建体及其使用方法
SG11201805381TA (en) * 2015-12-30 2018-08-30 Inovio Pharmaceuticals Inc Electroporation device with detachable needle array with lock-ou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09348A1 (en) 2017-07-06
PT3397337T (pt) 2020-11-24
JP7365383B2 (ja) 2023-10-19
JP2023168619A (ja) 2023-11-24
AU2016381186B2 (en) 2022-01-20
JP2022002758A (ja) 2022-01-11
JP2019500158A (ja) 2019-01-10
ES2970438T3 (es) 2024-05-28
SG11201805381TA (en) 2018-08-30
EP3799922B1 (en) 2023-08-30
AU2016381186A1 (en) 2018-07-12
US20230398350A1 (en) 2023-12-14
LT3397337T (lt) 2020-11-25
PL3397337T3 (pl) 2021-01-25
EP3799922A1 (en) 2021-04-07
US11071859B2 (en) 2021-07-27
MX2018008007A (es) 2019-03-28
RU2746466C2 (ru) 2021-04-14
CN109414580B (zh) 2022-09-20
US11883653B2 (en) 2024-01-30
MX2022009539A (es) 2022-09-09
SG10202110370PA (en) 2021-11-29
RU2018127656A3 (ko) 2020-05-14
BR112018013312A2 (pt) 2018-12-11
EP3397337B1 (en) 2020-07-29
AU2022202620A1 (en) 2022-05-12
EP4311568A2 (en) 2024-01-31
WO2017117508A1 (en) 2017-07-06
US20210330967A1 (en) 2021-10-28
RU2018127656A (ru) 2020-01-30
RU2021109844A (ru) 2021-05-13
US20190009084A1 (en) 2019-01-10
JP6961598B2 (ja) 2021-11-05
AU2022202620B2 (en) 2024-05-02
ES2843400T3 (es) 2021-07-16
IL260072B2 (en) 2023-06-01
PE20181501A1 (es) 2018-09-18
IL300102A (en) 2023-03-01
EP3397337A4 (en) 2019-01-02
EP3397337A1 (en) 2018-11-07
EP4311568A3 (en) 2024-03-20
CA3200544A1 (en) 2017-07-06
CN109414580A (zh) 2019-03-01
RU2021109844A3 (ko) 2021-10-07
IL260072A (en) 2018-07-31
CN115475000A (zh)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3653B2 (en) Electroporation device with detachable needle array with lock-out system
US20200139107A1 (en) Apparatus for electrically mediated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RU278565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порации со съемной игольчатой насадкой с системой блокирования в убранном положен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