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248A -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248A
KR20180099248A KR1020170026413A KR20170026413A KR20180099248A KR 20180099248 A KR20180099248 A KR 20180099248A KR 1020170026413 A KR1020170026413 A KR 1020170026413A KR 20170026413 A KR20170026413 A KR 20170026413A KR 20180099248 A KR20180099248 A KR 20180099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in
block
open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5887B1 (ko
Inventor
이두면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세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고스 filed Critical (주)세고스
Priority to KR1020170026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887B1/ko
Priority to PCT/KR2017/002280 priority patent/WO2018159877A1/ko
Publication of KR20180099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거리 구간에서 서랍을 자동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수납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을 밀어서 돌출되게 이동시켜 수납체를 개방하는 개방수단,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레일이 일정 거리 삽입되면 레일을 구속하여 삽입되게 이동시켜 수납체를 폐쇄하는 폐쇄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일정 거리 구간에서 수납체를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납체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SELF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거리 구간에서 서랍을 자동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타입 수납체는 가구, 냉장고 또는 각종 정리함 등의 본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필요한 물건들을 넣어 보관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타입 수납체는 본체에 수납체 설치공간을 구비하고, 그 설치공간 내측의 벽면과 수납체의 양측면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구름 접촉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 장치에 의해 개폐 동작된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타입 수납체 중 손잡이가 없는 수납체는 수납체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납체를 본체 측으로 밀어 넣어 슬라이딩 잠금시키고, 수납체를 개방하는 경우 수납체를 다시 밀어넣어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탄성 반응에 의해 수납체를 본체로부터 돌출되게 하며 돌출된 일부분을 손으로 파지하여 잡아 당김으로써 수납체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슬라이딩 타입 수납체에서 슬라이딩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구성의 경우 수납체를 빠른 속도로 닫는 경우 그 충격에 의해 오작동하여 수납체를 개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수납체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하여 일정 거리 구간에서 수납체를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수납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을 밀어서 돌출되게 이동시켜 수납체를 개방하는 개방수단; 및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레일이 일정 거리 삽입되면 레일을 구속하여 삽입되게 이동시켜 수납체를 폐쇄하는 폐쇄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수납체가 폐쇄된 상태에서 레일에 구비된 제1 핀에 구속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압부;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압부에 체결되고, 상기 가압부를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개방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쇄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수납체가 폐쇄된 상태에서 레일에 구비된 제2 핀을 구속하고, 회전하여 상기 제2 핀을 구속 해제하여 레일이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회동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과 상기 회동 블록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 블록이 상기 제2 핀을 구속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회동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블록에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 블록을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폐쇄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폐쇄 탄성부재는, 상기 개방 탄성부재보다 탄성력이 크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레일이 인출되면 상기 제1 핀이 상기 베이스 블록을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 이동시키고, 타측으로 이동된 상기 베이스 블록과 상기 회동 블록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된 구속홈에 삽입되어 이동이 제한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레일이 일정 거리 삽입되면 상기 제2 핀이 상기 회동 블록을 가압하여 상기 베이스 블록과 상기 회동 블록을 상기 구속홈에서 이탈시키고, 상기 제2 핀은 상기 회동 블록에 구속되어 상기 폐쇄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수납체가 폐쇄되도록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고, 수납체가 폐쇄된 상태에서 가압되면 상기 제1 핀이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가압부를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가 상기 가압부를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2 핀이 상기 회동 블록을 타격하여 회전시켜 상기 제2 핀이 상기 회동 블록에서 구속 해제되고, 상기 개방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1 핀을 이동시켜 수납체를 개방하도록 마련된다.
나아가, 상기 개방수단과 상기 폐쇄수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블록에 연결되어 수납체의 이동 속도를 감쇄 시키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에 따르면, 일정 거리 구간에서 수납체를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납체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의 하우징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의 수납체 잠금을 해제하는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의 수납체 잠금 해제 후 수납체를 개방하는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의 삽입되는 레일을 구속하여 자동으로 수납체를 폐쇄하는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의 하우징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의 수납체 잠금을 해제하는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의 수납체 잠금 해제 후 수납체를 개방하는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의 삽입되는 레일을 구속하여 자동으로 수납체를 폐쇄하는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100)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수납체(미도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미도시)을 밀어서 돌출되게 이동시켜 수납체를 개방하는 개방수단(300),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레일이 일정 거리 삽입되면 레일을 구속하여 삽입되게 이동시켜 수납체를 폐쇄하는 폐쇄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00)은 수납체가 삽입되는 본체의 수납체 삽입 공간 내측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개방수단(300)과 상기 폐쇄수단(4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5에서는 상기 하우징(200) 내부의 일측면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타측면에도 상기 개방수단(300)과 상기 폐쇄수단(4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복수의 슬릿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수단(300)은 상기 하우징(200)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고, 레일에 구비된 핀을 밀어서 수납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레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방수단(300)은 상기 하우징(200)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수납체가 폐쇄된 상태에서 레일에 구비된 제1 핀(10)에 구속되어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압부(310)와, 상기 하우징(200)과 상기 가압부(310)에 체결되고 상기 가압부(310)를 상기 하우징(200)의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개방 탄성부재(320)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310)는 돌출 형성된 가압부 돌기(311)가 상기 하우징(200)에 형성된 가압부 슬릿(210)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31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310)의 하측단(313)에 상기 개방 탄성부재(320)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310)의 상측부(312)는 상기 제1 핀(10)과 접촉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가압부(310)가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인 후방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압부(310)가 상기 개방 탄성부재(320)에 의해 상기 하우징(200)의 타측인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압부(310)의 상측부(312)가 상기 제1 핀(10)을 이동시켜 수납체를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310)가 상기 하우징(200)의 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개방된 수납체가 삽입되면 상기 제1 핀(10)이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부(310)의 상측부(312)를 가압하여 상기 가압부(310)를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다.
상기 폐쇄수단(400)은 상기 하우징(200)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고, 레일이 일정 거리 삽입되면 레일에 구비된 핀을 구속하여 레일을 삽입되게 이동시켜 수납체를 자동으로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폐쇄수단(400)은 베이스 블록(410)과, 상기 베이스 블록(410)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레일에 구비된 제2 핀(20)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는 회동 블록(420)과, 상기 회동 블록(420)을 탄성 회전시키는 회동 탄성부재(430), 그리고 상기 베이스 블록(410)을 탄성 이동시키는 폐쇄 탄성부재(44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블록(410)은 돌출 형성된 베이스 블록 돌기(411)가 상기 하우징(200)에 형성된 베이스 블록 슬릿(220)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블록(41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고, 상기 베이스 블록(410)의 하측단(414)에 상기 폐쇄 탄성부재(440)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블록(410)의 상측부(413)는 수납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핀(10)이 상측부(413)를 가압하여 상기 베이스 블록(410)을 상기 하우징(200)의 타측인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상기 회동 블록(420)은 힌지부(422)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 블록(410)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수납체가 폐쇄된 상태에서 레일에 구비된 상기 제2 핀(20)을 구속하고, 회전하여 상기 제2 핀(20)을 구속 해제하여 레일이 인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회동 블록(420)은 돌출 형성된 회동 블록 돌기(421)가 상기 하우징(200)에 형성된 회동 블록 슬릿(230)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 블록(42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 블록(420)은 상기 제2 핀(20)이 삽입되게 홈이 형성되고 홈의 양측에 구속 돌기(423)와 가압 돌기(424)가 형성된다.
상기 구속 돌기(423)는 레일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핀(20)이 타격하여 상기 회동 블록(420)을 회전시키고, 레일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핀(20)을 구속하여 수납체를 자동으로 폐쇄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가압 돌기(424)는 상기 베이스 블록(410)과 상기 회동 블록(420)이 상기 하우징(200)의 타측으로 이동하여 이동 구속된 상태에서, 레일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핀(20)에 가압되어 상기 베이스 블록(410)과 상기 회동 블록(420)의 이동 구속을 해제하도록 제공된다. 즉, 상기 가압 돌기(424)가 상기 제2 핀(20)에 가압되어 상기 베이스 블록(410)과 상기 회동 블록(42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이동 구속이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핀(20)이 상기 구속 돌기(423)를 타격하여 상기 회동 블록(420)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동 블록 돌기(421)는 상기 회동 블록 슬릿(230)에서 이탈되어 상기 베이스 블록 슬릿(220) 측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이를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 블록 슬릿(230)과 상기 베이스 블록 슬릿(220) 사이를 연결하도록 회피홈(24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핀(20)이 상기 구속 돌기(423)를 타격하면 상기 회동 블록 돌기(421)가 상기 회피홈(240)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동 블록(420)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블록(410)과 상기 회동 블록(420)의 이동 구속은 상기 하우징(200)의 베이스 블록 슬릿(220)과 회동 블록 슬릿(230)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구속홈(221, 231)에 상기 베이스 블록 돌기(411)와 상기 회동 블록 돌기(421)가 각각 삽입되어 이동이 구속된다. 즉, 상기 제2 핀(20)에 가압되어 상기 베이스 블록(410)과 상기 회동 블록(420)이 상기 하우징(200)의 타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베이스 블록 돌기(411)와 상기 회동 블록 돌기(421)가 각각 삽입되어 이동이 구속된다.
상기 회동 탄성부재(430)는 상기 베이스 블록(410)과 상기 회동 블록(42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 블록(420)이 상기 제2 핀(20)을 구속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탄성력을 인가한다.
즉, 레일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핀(20)이 상기 회동 블록(420)의 구속 돌기(423)를 타격하여 상기 회동 블록(420)을 회전시켜 상기 제2 핀(20)이 상기 회동 블록(420)에서 이탈하여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회동 탄성부재(430)는 상기 회동 블록(420)이 원래 상태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한다.
상기 폐쇄 탄성부재(440)는 상기 하우징(200)과 상기 베이스 블록(410)의 하측단(414)에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 블록(410)이 상기 제2 핀(20)에 가압되어 상기 하우징(200)의 타측인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베이스 블록(410)을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인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한다.
즉, 상기 폐쇄 탄성부재(440)는 상기 베이스 블록(410)과 상기 회동 블록(420)이 상기 하우징(200)의 타측인 전방으로 이동하여 이동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블록(410)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회동 블록(420)의 가압 돌기(424)가 상기 제2 핀(20)에 가압되어 이동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회동 블록(420)에 상기 제2 핀(20)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블록(410)을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인 후방으로 이동시켜 수납체를 자동으로 폐쇄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폐쇄 탄성부재(440)는 상기 개방 탄성부재(320)보다 탄성력이 크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폐쇄 탄성부재(440)가 인장되어 탄성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폐쇄 탄성부재(440)가 압축되면서 상기 개방 탄성부재(320)를 인장시켜 상기 가압부(310)를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인 후방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핀(20)이 상기 회동 블록(420)의 구속 돌기(423)를 타격하여 상기 회동 블록(420)을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탄성부(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500)는 상기 하우징(200)과 상기 가압부(310) 사이에 배치되고, 수납체가 폐쇄된 상태에서 가압되면 상기 제1 핀(10)이 상기 가압부(310)를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가압부(310)를 상기 하우징(200)의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500)가 상기 가압부(310)를 상기 하우징(200)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2 핀(20)이 상기 회동 블록(420)의 구속 돌기(423)를 타격하여 상기 회동 블록(420)을 회전시켜 상기 제2 핀(20)이 상기 회동 블록(420)에서 구속 해제되고, 인장되어 있던 상기 개방 탄성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310)가 상기 제1 핀(10)을 이동시켜 수납체를 개방하도록 이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부(500)는 상기 하우징(200)에 체결되는 푸쉬 탄성부재(520)와, 상기 푸쉬 탄성부재(520)에 체결되고 상기 가압부(310)와 접촉하는 푸쉬부재(51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쉬부재(510)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푸쉬부재 돌기(511)가 상기 하우징(200)의 탄성부 슬릿(250)에 삽입되어 상기 푸쉬부재(51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수납체의 이동 속도를 감쇄시키는 댐퍼(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600)는 상기 하우징(200)의 댐퍼 체결부(260)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댐퍼(600)에서 로드(610)가 직선 이동하게 마련되고, 상기 로드(610)의 단부와 상기 베이스 블록(410)의 댐퍼 체결부(412)에 연결부재(620)가 회전되게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블록(410)이 상기 폐쇄 탄성부재(4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저항력을 발생하여 서랍체의 이동 속도를 감쇄시켜 안정적으로 폐쇄되도록 안내한다.
이하에서, 이러한 구성으로 마련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의 동작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번째로, 폐쇄되어 있는 서랍체의 이동 구속을 해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폐쇄되어 있는 서랍체를 개방하는 경우, 사용자가 서랍체를 가압하면 레일에 구비된 제1 핀(10)이 가압부(310)를 가압하여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제2 핀(20)은 회동 블록(420)의 가압 돌기(424)를 가압하여 후방으로 이동시키킨다. 이때, 상기 가압부(310)에 의하여 푸쉬부재(510)가 후방으로 함께 이동하여 푸쉬 탄성부재(520)가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랍체를 놓으면 상기 푸쉬 탄성부재(5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310)가 상기 제1 핀(10)을 전방으로 밀게되고, 상기 제2 핀(2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동 블록(420)의 구속 돌기(423)를 타격하여 상기 회동 블록(420)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회동 블록(420)에서 상기 제2 핀(20)이 이탈된다. 따라서, 폐쇄된 상태에서의 서랍체 이동 구속이 해제된다.
두번째로, 이동 구속이 해제된 서랍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핀(20)이 상기 회동 블록(420)에서 이탈되면 상기 가압부(310)에 체결되어 있던 개방 탄성부재(320)가 압축하면서 상기 가압부(3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가압부(310)의 상측부(312)에 상기 제1 핀(10)이 가압되어 전방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 탄성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31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핀(10)을 전방으로 밀어서 레일을 이동시켜 자동으로 수납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수납체가 어느 정도 돌출되면 사용자가 수납체를 파지하여 당기면 상기 제1 핀(10)이 베이스 블록(410)의 상측부(413)를 가압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 블록(410)과 상기 회동 블록(420)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전방으로 이동하던 상기 베이스 블록(410)의 베이스 블록 돌기(411)와 상기 회동 블록(420)의 회동 블록 돌기(421)는 각각 베이스 블록 슬릿(220)과 회동 블록 슬릿(230)을 따라서 이동하다가 구속홈(221, 231)에 삽입되어 이동이 구속된다. 여기서, 폐쇄 탄성부재(440)가 상기 베이스 블록(410)의 하측단(414)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블록(410)과 상기 회동 블록(420)의 이동이 구속된다.
마지막으로, 개방된 서랍체가 자동으로 폐쇄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개방된 서랍체를 밀어서 일정 거리 삽입하면 제2 핀(20)이 구속홈(231)에 삽입되어 이동이 구속되어 있는 회동 블록(420)의 가압 돌기(424)를 가압하여 상기 베이스 블록 돌기(411)와 상기 회동 블록 돌기(421)를 상기 구속홈(221, 231)에서 이탈시킨다.
그리고, 이동 구속이 해제된 상기 베이스 블록(410)과 상기 회동 블록(420)은 폐쇄 탄성부재(440)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핀(20)은 상기 회동 블록(420)의 구속 돌기(423)에 가압되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레일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자동으로 수납체를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블록(410)이 댐퍼(6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납체의 이동 속도가 감쇄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수납체가 삽입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핀(2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핀(10)도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제1 핀(10)이 상기 가압부(310)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개방 탄성부재(320)가 인장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일정 거리 구간에서 수납체를 자동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납체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제1 핀 20 : 제2 핀
100 :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200 : 하우징
210 : 가압부 슬릿 220 : 베이스 블록 슬릿
230 : 회동 블록 슬릿 221, 231 : 구속홈
240 : 회피홈 250 : 탄성부 슬릿
260 : 댐퍼 체결부 300 : 개방수단
310 : 가압부 320 : 개방 탄성부재
400 : 폐쇄수단 410 : 베이스 블록
420 : 회동 블록 421 : 회동 블록 돌기
422 : 힌지부 423 : 구속 돌기
424 : 가압 돌기 430 : 회동 탄성부재
440 : 폐쇄 탄성부재 500 : 탄성부
510 : 푸쉬부재 520 : 푸쉬 탄성부재
600 : 댐퍼

Claims (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수납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을 밀어서 돌출되게 이동시켜 수납체를 개방하는 개방수단; 및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레일이 일정 거리 삽입되면 레일을 구속하여 삽입되게 이동시켜 수납체를 폐쇄하는 폐쇄수단;
    을 포함하는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수납체가 폐쇄된 상태에서 레일에 구비된 제1 핀에 구속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압부;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압부에 체결되고, 상기 가압부를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개방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수납체가 폐쇄된 상태에서 레일에 구비된 제2 핀을 구속하고, 회전하여 상기 제2 핀을 구속 해제하여 레일이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회동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과 상기 회동 블록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 블록이 상기 제2 핀을 구속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회동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블록에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 블록을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폐쇄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탄성부재는,
    상기 개방 탄성부재보다 탄성력이 크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레일이 인출되면 상기 제1 핀이 상기 베이스 블록을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 이동시키고, 타측으로 이동된 상기 베이스 블록과 상기 회동 블록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된 구속홈에 삽입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레일이 일정 거리 삽입되면 상기 제2 핀이 상기 회동 블록을 가압하여 상기 베이스 블록과 상기 회동 블록을 상기 구속홈에서 이탈시키고, 상기 제2 핀은 상기 회동 블록에 구속되어 상기 폐쇄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수납체가 폐쇄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고, 수납체가 폐쇄된 상태에서 가압되면 상기 제1 핀이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가압부를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가 상기 가압부를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2 핀이 상기 회동 블록을 타격하여 회전시켜 상기 제2 핀이 상기 회동 블록에서 구속 해제되고, 상기 개방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1 핀을 이동시켜 수납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수단과 상기 폐쇄수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블록에 연결되어 수납체의 이동 속도를 감쇄 시키는 댐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KR1020170026413A 2017-02-28 2017-02-28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KR101955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413A KR101955887B1 (ko) 2017-02-28 2017-02-28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PCT/KR2017/002280 WO2018159877A1 (ko) 2017-02-28 2017-03-02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413A KR101955887B1 (ko) 2017-02-28 2017-02-28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248A true KR20180099248A (ko) 2018-09-05
KR101955887B1 KR101955887B1 (ko) 2019-03-11

Family

ID=6337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413A KR101955887B1 (ko) 2017-02-28 2017-02-28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5887B1 (ko)
WO (1) WO201815987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397A (ko) * 2020-08-31 2022-03-11 권현구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
KR20230018200A (ko) * 2021-07-29 2023-02-07 (주)세고스 선반 조립체
KR20230018201A (ko) * 2021-07-29 2023-02-07 (주)세고스 선반 조립체
WO2023058945A1 (ko) * 2021-10-05 2023-04-13 (주)세고스 슬라이드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1309B (zh) * 2019-08-15 2022-07-08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充电装置及具有该充电装置的吸烟设备
KR102506337B1 (ko) * 2020-12-23 2023-03-06 (주)세고스 푸쉬 오픈 장치
CN114165977B (zh) * 2021-11-24 2024-02-06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一种限位结构的抽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4197U (ja) * 2009-07-22 2009-10-08 川湖科技股▲分▼有限公司 家具用可動部材の自動移動装置
KR20110016805A (ko) * 2009-08-12 2011-02-18 박윤식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은닉형 슬라이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4197B2 (ja) * 1992-06-29 2001-04-09 ソニー株式会社 成膜装置
JP4255782B2 (ja) * 2003-07-14 2009-04-15 Thk株式会社 引込み装置、引出し装置及び引き戸装置
ITMI20110517A1 (it) * 2011-03-30 2012-10-01 Salice Arturo Spa Dispositivo di ritegno per dispositivo di apertura e chiusura automatica per parte spostabile di mobile
KR20160004448U (ko) * 2015-06-16 2016-12-27 (주)세고스 서랍용 개폐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4197U (ja) * 2009-07-22 2009-10-08 川湖科技股▲分▼有限公司 家具用可動部材の自動移動装置
KR20110016805A (ko) * 2009-08-12 2011-02-18 박윤식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은닉형 슬라이딩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397A (ko) * 2020-08-31 2022-03-11 권현구 복합 기능성 슬라이드 장치
KR20230018200A (ko) * 2021-07-29 2023-02-07 (주)세고스 선반 조립체
KR20230018201A (ko) * 2021-07-29 2023-02-07 (주)세고스 선반 조립체
WO2023058945A1 (ko) * 2021-10-05 2023-04-13 (주)세고스 슬라이드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887B1 (ko) 2019-03-11
WO2018159877A1 (ko)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887B1 (ko)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US10575637B2 (en) Drive device for a moveable furniture part
US9532648B2 (en) Drive device for a movable furniture part
US7967399B1 (en) Linearly actuated chassis lock for a drawer slide
JP4592489B2 (ja) ロック機構及びラッチ装置
CN107847050B (zh) 用于可动家具部件的推出装置
US8783799B2 (en) Sliding rail assembly auto-opening mechanism
KR101116985B1 (ko) 래치장치
KR20140098956A (ko) 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
KR101810445B1 (ko) 푸쉬 오픈 슬라이드 장치
US11122893B2 (en) Self-opening device
KR20160091982A (ko) 제거가능하고 자동으로 리래칭되는 트레이 장치 및 방법
JP4553786B2 (ja) リッド開閉装置
JP4726203B2 (ja) 開閉部材閉止装置
JP6403462B2 (ja) 抽斗用ラッチ装置
CN216822381U (zh) 一种抽屉滑轨用的双功能缓冲反弹同步装置
KR200424013Y1 (ko) 도어 록
KR101056874B1 (ko)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CN211323899U (zh) 一种触碰自动弹出抽屉的弹出装置
KR100809810B1 (ko) 도어 록
JPS58166571A (ja) カセツト装着装置
KR101808850B1 (ko) 래치 헤드의 회전이 가능한 푸쉬풀 도어 로킹 장치
KR20140032780A (ko) 도어락
JP2003235660A (ja) スライドレール
JPH11166344A (ja) ラ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