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207A - Window substr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indow substr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207A
KR20180099207A KR1020170026328A KR20170026328A KR20180099207A KR 20180099207 A KR20180099207 A KR 20180099207A KR 1020170026328 A KR1020170026328 A KR 1020170026328A KR 20170026328 A KR20170026328 A KR 20170026328A KR 20180099207 A KR20180099207 A KR 20180099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ubstrate
adhesive layer
layer
base film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17568B1 (en
KR102117568B9 (en
Inventor
임종관
강대산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337103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09920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6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568B1/en
Priority to PCT/KR2017/012276 priority patent/WO2018159918A1/en
Publication of KR20180099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2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568B1/en
Publication of KR10211756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568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window substrate, and more specifically, relate to a window substrate which includes: a base film; an optical film laminated on the base film; and an adhesive layer laminated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optical film, and having the immersion adhesion of 5 N or higher. The optical film can be combined to the base film through the adhesive layer. The peeling, cracking, etc. of the adhesive layer and/or the optical film can be prevented when the stress such as bending, folding, and the like is applied at a high humidity environment. Defects can be prevented due to the generation of bubbles.

Description

윈도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WINDOW SUBSTR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substrate,

본 발명은 윈도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복수의 층들이 적층된 윈도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substrate and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substrate in which a plurality of layers are stacked, and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최근, 화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LCD) 장치, 유기 발광 표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장치, 플라즈마 표시(plasma display panel: PDP) 장치 및 전계 방출 표시(field emission display: FED) device) 장치 등을 포함한다.Recently, display apparatuses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mages are actively being developed. The display device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devic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evice, a plasma display panel (PDP) device, and a field emission display ) Device and the like.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LCD 패널 및 OLED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 상부에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 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기판은 글래스 재질의 베이스 기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최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면서,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서 투명 플라스틱 재질이 활용되고 있다.In the display device, a window substrate for protecting the display panel from an external environment may be disposed on a display panel, such as an LCD panel and an OLED panel. The window substrate may include a base substrate made of a glass material. Recently,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has been used as the base substrate while a flexible display has been developed.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접거나 굽힘이 가능하며, 박형화된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 및 구조물 또는 층간 박리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The flexible display can fold or bend and has a thinned display. However,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against damages due to an external impact and delamination between structures or delaminations.

예를 들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윈도우 기판 또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는 굴곡 특성 및 박형화에 대한 고려와 함께, 고온 및 고습 조건과 같은 가혹 환경 하에서 기계적 신뢰성 확보가 필요하다.For example, the window substrate or window film laminate to be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requires consideration of bending property and thinning, and it is necessary to secure mechanical reliability under severe environments such as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또한, 상기 윈도우 기판 또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에 점착층을 통해 다른 구조물 또는 부재들이 접합되는 경우, 상기 점착층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점착력 또는 밀착력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Further, when other structures or members are bonded to the window substrate or the window film laminate through the adhesive layer, it is necessary to secure adhesion or adhesion suitable for the flexible display of the adhesive layer.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1826호에는 아크릴계 수지 및 다관능성 가교제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111826 disclos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a touch panel comprising an acrylic resin and a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but has limitations in satisfying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for a flexible display.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1826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1-0111826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기계적 신뢰성 및 플렉시블 특성이 향상된 윈도우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substrate having improved mechanical reliability and flexible characteristics.

또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기계적 신뢰성 및 플렉시블 특성이 향상된 윈도우 기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window substrate having improved mechanical reliability and flexible characteristics.

1.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적층되는 광학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 사이에 적층되며, 침수 점착력이 5N 이상인 점착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1. Base film; An optical film laminated on the base film;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aminated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optical fil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submerged adhesive strength of 5N or more.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침수 점착력은 10N 이상인, 윈도우 기판.2. 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1 above, wherein the adhesive layer has a flooding adhesive strength of 10 N or more.

3. 위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상온 점착력은 15N 이상인, 윈도우 기판.3. 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item 1 above, wherein the adhesive strength at room temperature of the adhesive layer is 15 N or more.

4. 위 3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상기 상온 점착력 및 상기 침수 점착력의 차이가 10N 이하인, 윈도우 기판.4. 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3 above,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temperature cohesive force and the submerged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10 N or less.

5. 위 3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상기 상온 점착력 및 상기 침수 점착력의 차이가 5N 이하인, 윈도우 기판.5. 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3 above,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temperature cohesive force and the submerged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5N or less.

6. 위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전단 점착력은 50 내지 500N인, 윈도우 기판.6. 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1 above, wherein the adhesive layer has a shear adhesive strength of 50 to 500 N.

7. 위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필름은 상기 일면 상에 적층되며, 상기 타면은 시인측으로 배치되는, 윈도우 기판.7. The window substrate of claim 1, wherein the base film includes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the optical film is stacked on th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is disposed on the viewer side.

8. 위 7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은 편광층 또는 터치 센서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8. The window substrate of claim 7, wherein the optical film comprises at least one of a polarizing layer or a touch sensor layer.

9. 위 7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은 편광층 및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9. The window substrate of claim 7, wherein the optical film comprises a polarizing layer and a touch sensor layer.

10. 위 9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 및 상기 터치 센서층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된, 윈도우 기판.10. 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polarizing layer and the touch sensor layer are sequentially disposed from the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1. 위 9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층 및 상기 편광층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된, 윈도우 기판.11. 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touch sensor layer and the polarizing layer are sequentially disposed from the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2. 위 9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 및 상기 터치 센서층 사이에 형성된 추가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12. The window substrate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n additional adhesive layer formed between the polarizing layer and the touch sensor layer.

13. 위 12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점착층의 침수 점착력이 5N 이상인, 윈도우 기판.13. 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12 above, wherein the additional adhesive layer has a flooding adhesive strength of 5N or more.

14. 위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윈도우 필름인, 윈도우 기판.14. The window substrate of claim 1, wherein the base film is a window film.

15. 위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윈도우 기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15. An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ny one of the window substrates 1 to 14 above.

16. 위 15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기판의 베이스 필름은 유연성 수지를 포함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되는 화상 표시 장치.16. The image display device of claim 15, wherein the base film of the window substrate comprises a flexible resin, and is provided as a 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윈도우 기판은 소정의 침수 점착력을 만족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을 통해 광학필름이 베이스 필름 또는 윈도우 필름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습 환경에서 굴곡, 접힘 등의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점착층 및/또는 상기 광학필름의 박리, 크랙 등이 방지되며, 기포 발생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at satisfies predetermined immersion pressure, and the optical film may be bonded to the base film or the window film throug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refore, peeling, cracking, etc. of the adhesive layer and / or the optical film are prevented even when stress such as bending or folding is applied in a high humidity environment, and defects due to bubble formation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점착층은 소정의 상온 점착력을 가지며 상기 침수 점착력과 결합되어 고온, 저온, 고습 등의 포괄적인 환경에서 일정한 수준의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has a predetermined room temperature adhesive force and is combined with the immersion adhesive force, so that a certain level of durability can be maintained in a comprehensive environment such as high temperature, low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상기 베이스 필름은 광학필름과 결합되어 윈도우 기판으로 제공되며, 상기 점착층에 의해 편광 특성이 가혹 환경에서도 유지되어 우수한 광학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 기판은 터치 센서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점착층에 의해 터치 센서의 전기적 특성이 가혹 환경에서도 유지될 수 있다.The base film is combined with the optical film and provided as a window substrate, and the polarizing characteristic is maintained in a harsh environment by the adhesive layer, so that excellent optical characteristics can be realized. In addition, the window substrate may include a touch sensor layer, an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touch sensor may be maintained in a harsh environment by the adhesive layer.

상기 윈도우 기판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결합되어 구조물간 밀착력이 향상되며 가혹 환경에서도 유연성이 유지될 수 있는 고 신뢰성의 화상 표시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The window substrate may be coupled to the flexible display device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structures and to provide a highly reliable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flexibility even in a harsh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윈도우 기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적층되는 광학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 사이에 적층되며, 침수 점착력이 5N 이상인 점착층을 포함하여, 상기 점착층을 통해 광학필름이 베이스 필름과 결합될 수 있고, 고습 환경에서 굴곡, 접힘 등의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점착층 및/또는 상기 광학필름의 박리, 크랙 등이 방지되며, 기포 발생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윈도우 기판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window substr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se film. An optical film laminated on the base film; And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laminated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optical film and having a water immersion adhesive strength of 5 N or more. The optical film can be bonded to the base film through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nd stress such as bending and folding in a high humidity environment The optical film is prevented from being peeled, cracked, and the like, and the defects due to the generation of bubbles can be prevented.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le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윈도우 기판><Window substrat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윈도우 기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상기 윈도우 기판은 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의 윈도우 기판 또는 광학 적층체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은 광학필름이 점착층 상에 적층된 윈도우 기판을 도시하고 있다.Figures 1 to 3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ow substrate can be applied, for example, as a window substrate or an optical laminate of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flexible display. For example, Figs. 1 to 3 show a window substrate in which an optical film is laminated on an adhesive layer.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윈도우 기판은 베이스 필름(100), 점착층(110) 및 광학필름(1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window substrate includes a base film 100, an adhesive layer 110, and an optical film 120.

베이스 필름(100)은 상기 윈도우 기판에 있어서, 윈도우 필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00)은 예를 들면, LCD 장치, OLED 장치, 터치 스크린 패널(TSP) 등에 적용되어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 사용자가 시인할 수 있는 투명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100)은 소정의 유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윈도우 기판이 적용된 화상 표시 장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The base film 100 may be provided as a window film in the window substrate. The base film 10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material having durability against external impact and transparency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for example, applied to an LCD device, an OLED device, a touch screen panel (TSP) In addition, the base film 100 may include a plastic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flexibility. 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window substrate is applied may be provided as a flexible display device.

예를 들면, 베이스 필름(100)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elenen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elene terep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se film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ersulphone (PES), polyacrylate (PAR), polyetherimide (PEI), polyethyelenenaphthalate (PEN) (PET), polyethyelene terepthalate (PET), polyphenylene sulfide (PPS), polyallylate, polyimide, polycarbonate, cellulose triacetate (TAC), cellulose acetate pro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100)은 서로 대향하는 일면(100b) 및 타면(100a)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일면(100b) 및 타면(100a)은 각각 베이스 필름(100)의 상면 및 저면에 해당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base film 100 includes a first surface 100b and a second surface 100a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100b and the second surface 100a may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film 100, respectively.

베이스 필름(100)의 타면(100a)은 상기 윈도우 기판이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시인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필름(100)의 타면(100a) 측으로 사용자에게 화상이 구현되며, 사용자의 명령(예를 들면, 터치를 통해)이 입력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00)의 일면(100b)은 예를 들면 표시 패널과 대향하며, 일면(100b) 상으로 상기 윈도우 기판의 추가 막들 및/또는 구조물들이 적층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100)의 일면(100b) 상에 광학필름(120), 예를 들면 편광층(121) 및/또는 터치 센서층(123)을 포함할 수 있는 광학필름(120)이 배치될 수 있다.The other surface 100a of the base film 100 may be disposed on the viewer's side when the window substrate is applied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example, an image is implemented to the user on the side of the other side 100a of the base film 100, and a command of the user (for example, via a touch) can be input. One surface 100b of the base film 100 faces, for example, a display panel, and additional films and / or structures of the window substrate may be stacked or arranged on one surface 100b. 1 to 3, an optical film 120, for example, a polarizing layer 121 and / or a touch sensor layer 123 is formed on one surface 100b of the base film 100, The optical film 1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100)의 일면(100b)의 주변부 상에 차광 패턴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은 예를 들면, 상기 윈도우 기판 또는 화상 표시 장치의 베젤부로 제공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 light shielding pattern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periphery of one surface 100b of the base film 100. [ The light shielding pattern may be provided, for example, on the window substrate or the bezel por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상기 베이스 필름(100)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박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구현을 고려하여 약 20 내지 200㎛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1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bout 20 to 200 μm, considering the implementation of a thin flexible display device.

점착층(110)은 베이스 필름(100)의 일면(100b) 상에 부착 또는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층(110)은 베이스 필름(100)의 실질적으로 전체 일면(100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점착층(110)은 상기 차광 패턴의 표면을 함께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층(110)은 베이스 필름(100) 및 광학필름(120) 사이에 적층 또는 배치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adhered or laminated on one surface 100b of the base film 100. [ For example, 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formed on substantially the entire one surface 100b of the base film 100. [ The adhesive layer 110 may cover the surface of the light-shielding pattern. For example, 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laminated or disposed between the base film 100 and the optical film 120. [

점착층(11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베이스 필름(100) 및 광학필름(120)과의 밀착력, 굴곡 특성 및/또는 유연성 확보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층(110)은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감압성 점접착(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물질 또는 광학 투명 점접착(optically clear adhesive: OCA)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adhesive layer 1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adhesion strength with the base film 100 and the optical film 120, flexural characteristics, and / or flexibility. For example, the adhesive layer 110 may comprise an acrylate-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material or an optically clear adhesive (OCA) material.

예를 들면, 점착층(110)은 당분야에 공지된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우레탄계 공중합체, 실리콘계 공중합체, 에폭시계 공중합체 등의 점착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OCA 조성물일 수 있다. 이 중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또는 실리콘계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점착층(110)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베이스 필름(100) 또는 광학필름(120)의 표면 상에 도포 후 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formed from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nown in the art, and in some embodiments,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 (meth) acrylic copolymer, a urethane copolymer, a silicone copolymer, Based copolymers, and the like. Among them, a (meth) acrylic copolymer or a silicone copolymer can be preferably used, and more preferably a (meth) acrylic copolymer can be used. 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formed by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100 or the optical film 120, and then curing the adhesive composition.

상기 실리콘계 공중합체 함유 점착제 조성물은 비닐기 함유오가노폴리실록산, 오가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비닐기 제거 폴리실록산, 폴리디메틸실리콘 하이드라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의 실리콘계 공중합체 및 부가 반응 촉매가 함유된 것일 수 있다.The silicone-based copolymer-contain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contain a silicone-based copolymer of vinyl group-containing organopolysiloxane, organohydrogenpolysiloxane, vinyl group-removed polysiloxane, polydimethylsilicon hydrid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an addition reaction catalyst.

또한, 실리콘계 공중합체 함유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윈도우 기판의 박리, 크랙 등의 불량 유발 가능성을 최소화 하면서도 내구성을 강화하고 컬 특성, 굽힘 특성과 같은 플렉시블 특성을 유지한다는 측면에서 점착부여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점착부여제는 비닐벤질알코올, 비닐벤질아민, 비닐페닐이소시아네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닐벤질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부여제는 실리콘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부로 상기 실리콘계 공중합체 함유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licone-based copolymer-contain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tackifier in terms of enhancing durability and maintaining flexibility characteristics such as curling property and bending property while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defects such as peeling and cracking of the window substrate For example, the tackifier may include vinyl benzyl alcohol, vinyl benzyl amine, vinyl phenyl isocyanate and the like, preferably vinyl benzyl alcohol. The tackifier may be included in the silicone-based copolymer-contain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0.1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based copolymer, and preferably 6 to 12 parts by weight.

이러한 실리콘계 공중합체 함유 점착제 조성물 각 성분의 함량은 점착제 조성물로서 역할 수행 및 상용성을 만족할 수 있는 정도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of such a silicone-based copolymer-contain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suitably adjust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fulfill its role and compatibility.

상기 부가 반응 촉매는 경화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하이드로실릴화 촉매 구체적으로 백금, 로듐, 루테늄, 팔라듐, 오스뮴 또는 이리듐 금속 및 이들의 유기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백금족 금속 및 이들의 배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The addition reaction catalyst may be a platinum group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latinum, rhodium, ruthenium, palladium, osmium or iridium metals and organometallic compounds thereof, and combinations thereof for promoting the curing reaction have.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함유 점착제 조성물은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가교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h) acrylic copolymer-contain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 (meth) acrylic copolymer, a crosslinking agent and the lik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여 중합될 수 있다. 여기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In one embodiment, the (meth) acrylic copolymer may be polymerized including a (meth) acrylate monomer. Here, (meth) acrylate means acrylate or (meth) acrylate.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당분야의 점착제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일 수 있다.The (meth) acrylate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generally us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related art, and may be, for example, a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는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include n-butyl (meth) acrylate, 2-but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methyl (meth) acrylate, n-prop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nonyl (meth) acrylate, nonyl (meth) acrylate, decyl (meth) acrylate and lauryl (meth) acrylate. Of these, n-butyl acrylate, Mixtures of these are preferre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총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77 내지 99.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77중량부 미만인 경우 점착력이 충분하지 못하고 박리력 항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99.5중량부 초과인 경우 응집력이 저하되어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The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77 to 99.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s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meth) acrylic copolymer. If the content is less than 77 parts by weight, the adhesive strength may not be sufficient and the peeling force may be increased. When the content exceeds 99.5 parts by weight, the cohesive strength may be lowered and the durability may be deteriora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가교성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 중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h) acrylic copolymer may be polym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crosslinkable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e (meth) acrylate monomer.

가교성 단량체로는 예컨대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 카르복시기를 갖는 단량체,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 3차 아민기를 갖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include a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 a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a monomer having an amide group, and a monomer having a tertiary amine group.

구체적으로 상기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렌기의 탄소수가 2-4인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5-히드록시펜틸비닐에테르, 6-히드록시헥실비닐에테르, 7-히드록시헵틸비닐에테르, 8-히드록시옥틸비닐에테르, 9-히드록시노닐비닐에테르, 10-히드록시데실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include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2-hydroxybut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eneglyco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eneglycol (meth) acrylate, hydroxyalkyl Hydroxypropyl vinyl ether, 6-hydroxyhexyl vinyl ether, 7-hydroxyheptyl vinyl ether, 8-hydroxyoctyl vinyl ether, 9-hydroxybutyl vinyl ether, Hydroxynonyl vinyl ether, 10-hydroxydecyl vinyl ether, and the like.

상기 카르복시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1가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등의 2가산 및 이들의 모노알킬에스테르; 3-(메타)아크릴로일프로피온산; 알킬기의 탄소수가 2-3인 2-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무수호박산 개환 부가체, 알킬렌기의 탄소수가 2-4인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무수 호박산 개환 부가체, 알킬기의 탄소수가 2-3인 2-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체에 무수 호박산을 개환 부가시킨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메타)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include monovalent acids such as (meth) acrylic acid and crotonic acid; Dicarboxylic acids such as maleic acid, itaconic acid, and fumaric acid, and monoalkyl esters thereof; 3- (meth) acryloylpropionic acid; A succinic anhydride ring-opening addition adduct of 2-hydroxyalkyl (meth) acrylate in which the alkyl group has 2 to 4 carbon atoms, anhydrous succinic ring opening adduct of a hydroxyalkylene glycol (meth) acrylate having 2 to 4 carbon atoms in the alkylene group , Compounds obtained by ring-opening addition of succinic anhydride to caprolactone adducts of 2-hydroxyalkyl (meth) acrylates whose alkyl groups have 2-3 carbon atoms, and among these, (meth) acrylic acid is preferable.

상기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3차부틸아크릴아미드,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아미드,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아미드, 2-히드록시에틸헥실(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메타)아크릴아미드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monomer having an amide group include (meth) acrylamide, N-isopropylacrylamide, N-tertiary butyl acrylamide, 3-hydroxypropyl (meth) acrylamide, 4-hydroxybutyl (Meth) acrylamide, 8-hydroxyoctyl (meth) acrylamide and 2-hydroxyethylhexyl (meth) acrylamide. Of these, (meth) acrylamide is preferable.

상기 3차 아민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onomer having a tertiary amine group include N, N- (dimethylamino) ethyl (meth) acrylate, N, N- (diethylamino) ethyl (meth) Methacrylate, and the like.

상기 가교성 단량체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0.05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중량부인 것이 좋다.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점착제의 응집력 및 내구성이 우수하다.The crosslinkable monomer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0.05 to 1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8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copolymer. When the content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cohesive force and dur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re excellent.

또한, 상기 단량체들 이외에 당분야에 공지된 다른 중합성 단량체가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예컨대 10중량부 이하로 더 포함될 수 있다.Further, in addition to the above monomers, other polymerizable monomers known in the art may be further added in such a range as not to lower the adhesive force, for example, 10 parts by weight or less.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괴상중합, 용액중합, 유화중합 또는 현탁중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용액중합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 시 통상 사용되는 용매, 중합개시제(예를 들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등), 분자량 제어를 위한 연쇄이동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method of producing the (meth) acrylic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produced by a method such as bulk polymerization, solution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or suspension polymerization which is generally used in the art, and solution polymerization is preferable . A polymerization initiator (for example, azobisisobutyronitrile (AIBN) or the like), a chain transfer agent for controlling the molecular weight,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에 의해 측정된 중량평균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 Mw)이 50만 내지 200만, 바람직하게 50만 내지 170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만 내지 170만인 것이 점착층의 내구성 및 신뢰성 향상 측면에서 좋다.The (meth) acrylic copolymer preferably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erms of polystyrene, Mw) of 500,000 to 2,000,000, preferably 500,000-170,000, more preferably 500,000-1,000,000 as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800,000 to 1,700,000 in terms of improving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adhesive layer.

상기 가교제는 밀착성 및 내구성을 더욱 개선하고, 고온에서의 신뢰성 및 점착제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The crosslinking agent further improves the adhesion and durability, and can maintain the reliability at a high temperature and the shap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본 발명의 가교제는 내구성 개선의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우수한 상용성을 가지며 형성된 점착층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The crosslink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specifically in view of improvement in durability and is preferably used in view of improving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with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the (meth) acrylic copolymer Do.

상기 가교제는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일 수 있다.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for example,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콜계 화합물 1당량에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당량을 반응시킨 부가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당량을 자기 축합시킨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당량 중 2당량으로부터 얻어지는 디이소시아네이트 우레아에 나머지 1당량의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축합된 뷰렛체,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3개의 관능기를 함유하는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include tolylene diisocyanate, xylene diisocyanate, 2,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tetramethyl xylene diisocyanate , Diisocyanate compounds such as naphthalene diisocyanate; An adduct obtained by reacting 3 equivalents of a diisocyanate compound with 1 equivalent of a polyhydric alcohol compound such as trimethylolpropane, an isocyanurate compound in which 3 equivalents of a diisocyanate compound is self-condensed, a diisocyanate obtained from 2 equivalents in 3 equivalents of a diisocyanate compound, A multifunctional isocyanate compound containing three functional groups such as burette, triphenylmethane triisocyanate and methylene bistriisocyanate in which the remaining one equivalent of diisocyanate is condensed in urea; ,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가교제는 그 기능을 다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그 함량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2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부족한 가교도로 인해 응집력이 작게 되어 점착 내구성 및 절단성의 물성을 해칠 수 있으며, 10중량부 초과이면 과다 가교 반응에 의한 잔류 응력 완화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within a range that can fulfill its function. For example,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0.01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02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the cohesive force becomes small due to insufficient crosslinking, which may impai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durability and cutability. If the content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the residual stress due to the excessive crosslinking reaction may be deteriorated.

상기 가교제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외에도 당분야에 공지된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폭시계, 금속킬레이트계,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옥사졸린계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The crosslinking agent may further include a crosslinking agent known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clude epoxy, metal chelating, polyfunctional acrylate, and oxazoline. Any combination of species can be used.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에 추가적으로 멜라민 유도체, 예를 들면, 헥사메티롤멜라민,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헥사부톡시메틸멜라민 등; 폴리에폭시 화합물, 예를 들면, 비스페놀 A와 에피클로로히드린 축합체형의 에폭시 화합물;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 디- 또는 트리글리시딜에테르, 및 테트라글리시딜크실렌디아민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가교제를 더 첨가하여 함께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melamine derivatives such as hexamethylol melamine, hexamethoxymethyl melamine, hexabutoxymethyl melamine and the like; Polyepoxy compounds, for example, bisphenol A and epichlorohydrin condensate type epoxy compounds; At least one crosslinking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glycidyl ether of polyoxyalkylene polyol, glycerin di- or triglycidyl ether, and tetraglycidyl xylenediamine may be further added and used togeth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실란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silane coupling agent if necessary.

실란커플링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비닐클로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치환된 아세트아미드기 함유 실란등을 들 수 있으나, 내구성 과 리워크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치환된 아세트아미드기 함유 실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kind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vinylchlorosilane, vinyltrimethoxysilane, vinyltriethoxysilane, 2- (3,4-epoxycyclohexyl) ethyltrimethoxysilane, 3- 3-glycidoxypropyld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p-styryltr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3-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 N-2- (aminoethyl)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N-2- (aminoethyl) Methyltriethoxysilane,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aminopropyltriethoxysilane, 3-triethoxysilyl-N- (1,3-dimethylbutylidene) propylamine, N-phen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chloropropyltrimethoxysilane, 3- 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bis (triethoxysilylpropyl) tetrasulfide, 3-isocyanatepropyltriethoxysilane, substituted acetamide group-containing silane,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o use a substituted acetamide group-containing silane in order to simultaneously satisfy the workability.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실란커플링제는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1 내지 2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함량이 10중량부 초과인 경우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silane coupling age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01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1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based on the solid content. If the content exceeds 10 parts by weight, the durability may be lowered.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점착력, 응집력, 점성, 탄성률, 유리전이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 점착성 부여 수지, 산화방지제, 부식방지제, 대전방지제, 레벨링제, 표면윤활제, 소포제, 충전제, 광안정제, 반응 개시제, 용제 등의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additives such as a tackifier resin, an antioxidant, a corrosion inhibitor, an antistatic agent, a leveling agent, a surface lubricant, a defoamer, , A filler, a light stabilizer, a reaction initiator, a solvent, and the like.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경화제, 광개시제, 커플링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curing agent, a photoinitiator, a coupling agent, and the like.

상기 경화제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3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6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curing agent may be a bifunctional (meth) acrylate such as hexanediol diacrylate as a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Trifunctional (meth) acrylates of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Tetrafunctional (meth) acrylates such as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Pentafunctional (meth) acrylate such as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acrylate; (Meth) acrylate such as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광개시제는 점착제의 내부 및 표면 경화를 촉진시키며, 당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티오크산톤계, 인계, 트리아진계,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벤조인계, 옥심계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일 수 있다.The photoinitiator accelerates the internal and surface hardening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the kind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far as it is well known in the art. Examples thereof include thioxanthone, phosphorus, triazine, acetophenone, benzophenone, , Oxime type, and more specifically, azobisisobutyronitrile (AIBN).

상기 경화는 그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자외선을 이용한 광경화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r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include photo-curing using ultraviolet rays.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당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바코터, 에어 나이프, 그라비아, 리버스 롤, 키스 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다이 코터, 캐스팅, 스핀 코팅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The method of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ethod known in the ar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bar coater, an air knife, a gravure, a reverse roll, a kiss roll, a spray, a blade, a die coater, a casting, Can be used.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100) 또는 광학필름(120)과의 접합 전에 점착층(110)을 표면 처리하여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surface-treated to improve the adhesion before the base film 100 or the optical film 120 is bonded.

표면처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전자빔 조사 또는 정착제(anchoring agent) 도포 등과 같은 방법으로 점착 필름의 표면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층(110)의 적어도 일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조도를 생성할 수 있다.The surface treatment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can be activated by a method such as corona treatment, plasma treatment, ultraviolet irradiation, electron beam irradiation or application of an anchoring agent. 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side of 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corona treated to produce an illuminance.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층(110)은 2매의 기재필름이 점착층(110)의 양면에 부착된 점착 시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 시트로부터 1매의 기재필름을 박리한 후 점착층(110)을 베이스 필름(100) 상에 접합하고, 나머지 1매의 기재필름을 박리하여 광학필름(120)과 접합함으로써, 예를 들면 윈도우 기판이 제조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adhesive sheet in which two base films are adhered to both sides of the adhesive layer 110. For example, after one base film is peeled from the adhesive sheet, the adhesive layer 110 is bonded onto the base film 100, and the remaining one base film is peeled and bonded to the optical film 120 , For example, a window substrate can be manufactured.

상기 기재필름으로서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스티렌계 필름, 아미드계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실리콘계, 불소계, 실리카 분말 등에 의해 적절히 이형 처리된 것일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base film include a polyolefin film, a polyester film, an acrylic film, a styrene film, an amide film, a polyvinyl chloride film, a polyvinylidene chloride film and a polycarbonate film. Powder or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점착층(110)은 약 5N 이상의 침수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110 may have a flooding adhesion of at least about 5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침수 점착력"은 광학필름(120)이 결합된 상기 윈도우 기판을 소정 크기로 절단한 후(예를 들면, 25mm Ⅹ 250mm로 절단하고), 60℃의 물에 4시간 동안 전체적으로 침수 시킨 후 꺼내어 측정되는 박리력(예를 들면, 300m/분으로 180o) 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immersion adhesion" refers to the time when the window substrate with the optical film 120 bonded thereto is cut to a predetermined size (for example, cut to 25 mm x 250 mm) (For example, 180 o at 300 m / min) measured after immersed in water as a who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윈도우 기판은 침수 점착력이 5N 이상인 점착층(110)을 포함함으로써, 고온, 고습의 가혹 조건에서도 광학필름(120)의 박리, 크랙 등의 불량 유발 없이 컬 특성, 굽힘 특성과 같은 플렉시블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침수 점착력이 약 5N 미만이면 고습 조건에서 굽힘 또는 접힘과 같은 외부 스트레스 인가 시 광학필름(120) 및/또는 베이스 필름(100)의 박리 또는 크랙이 야기되고, 구조물 들 상에 기포가 발생하여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을 열화시킬 수 있다.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dhesive layer 110 having a flooding adhesive strength of 5N or more so that the curling property, the bending property, and the like of the optical film 120 can be improved without causing defects such as peeling and cracking of the optical film 120 even under severe conditions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 flexible characteristic such as a characteristic can be maintained. If the immersion adhesive strength is less than about 5N, peeling or cracking of the optical film 120 and / or the base film 100 is caused when external stress such as bending or folding under high humidity conditions is applied and bubbles are generated on the structures, The display quality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deteriora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층(110)의 침수 점착력은 약 10N 이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윈도우 기판은 가혹 조건에서도 내구성 등 기계적 물성, 및 플렉시블 특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looding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about 10 N or more. In this case, th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durability and the flexible property of the window substrate can be improved even under severe conditions.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점착층(110)의 상온 점착력은 약 15N 이상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adhesive force at room temperature of 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about 15 N or greater.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온 점착력"은 광학필름(120)이 결합된 상기 윈도우 기판을 소정 크기로 절단한 후(예를 들면, 25mm Ⅹ 250mm로 절단하고), 상온(23℃)에서 고정한 다음 측정되는 박리력(예를 들면, 300m/분으로 180o) 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normal temperature cohesive force" means that the window substrate to which the optical film 120 is bonded is cut to a predetermined size (for example, cut to 25 mm x 250 mm) Means a peeling force (for example, 180 o at 300 m / min) to be measured.

상기 상온 점착력이 약 15N 미만인 경우, 외부 충격 또는 화상 표시 장치의 내부 온도 증가 발생 시, 광학필름(120)의 박리, 들뜸이 충분히 억제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room temperature adhesive force is less than about 15 N, peeling and lifting of the optical film 120 may not be sufficiently suppressed when an external shock or an internal temperature increas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ccurs.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점착층(110)의 상기 상온 점착력 및 침수 점착력의 차이는 약 10N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N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상온 점착력 및 침수 점착력의 차이가 예를 들면, 10N를 초과하는 경우, 습도, 온도 등과 같은 외부 환경 변화 시, 박리력 또는 점착력의 편차가 심화되어 윈도우 기판에 포함된 구조물들의 변형, 뒤틀림 등이 야기될 수 있다. 상기 상온 점착력 및 침수 점착력의 차이가 약 5N 이하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환경 변화에도 윈도우 기판 또는 화상 표시 장치의 외관 및 물성의 균일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difference in the normal-temperature cohesion and the flood-cohesion of 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about 10 N or less, and preferably 5 N or les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temperature cohesive force and the submerged cohesive force exceeds 10 N,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such as humidity, temperature, or the like, the deviation of the peeling force or adhesive force is increased, Can be cause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temperature cohesive force and the submerged cohesive force is maintained at about 5N or less, the uniformity of appearance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window substrate or the image display device can be further improved even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층(110)의 전단 점착력은 50 내지 500N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50 to 500N.

본 명세서에서 "전단 점착력"이란 예를 들면, 점착층(110)의 양 끝단을 고정한 후 인장력을 증가시키면서 평행하게 잡아당겼을 때 점착층(110)이 파단되는 하중 또는 힘으로 정의하며, 상기 파단, 균열, 크랙 등이 발생하기까지 점착층(110)이 연신되는 길이를 파단 거리로 정의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shear adhesion force" is defined as a load or force at which the adhesive layer 110 is broken when both ends of the adhesive layer 110 are fixed and then pulled in parallel while increasing the tensile force, The length at which the adhesive layer 110 is stretched until a crack, a crack, or the like occurs is defined as a breaking distance.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에 포함되는 점착층(110)은 50 내지 500N의 전단 점착력을 가지므로, 상기 윈도우 기판은 플렉시블 장치에 요구되는 굴곡 특성을 확보하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인장력 또는 전단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박리, 크랙, 균열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점착층(110)의 전단 점착력이 50N 미만일 때는 외부 인장력 등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부족할 수 있고, 500N 초과일 때는 점착층(110)이 딱딱하여 유연성이 부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윈도우 기판의 강도 및 유연성을 동시에 우수하게 구현한다는 측면에서 점착층(110)의 전단 점착력은 80 내지 300N일 수 있다.Since the adhesive layer 110 included in 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has a shear adhesive strength of 50 to 500 N, the window substrate may be formed by tensile force or shear force from the outside while ensuring the bending property required for the flexible device. Possible peeling, cracking and cracking can be minimized. When the shear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110 is less than 50 N, the strength to withstand an external tensile force may be insufficient. When the shear adhesive strength exceeds 500 N, 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rigid and insufficient in flexibility. Preferably, the shear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80 to 300 N in view of simultaneously achieving excellent strength and flexibility of the window substrate.

전술한, 침수 점착력, 상온 점착력, 전단 점착력의 범위 만족을 위해서는 전술한 점착층(110) 또는 이의 형성을 위한 점착제 조성물의 성분, 분자량, 조성 등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In order to satisfy the above range of flooding adhesion, room temperature adhesion and shear adhes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by satisfactorily adjusting the composition, molecular weight, composition and the lik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0 described above.

점착층(110)의 두께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나, 윈도우 기판의 투과율 및 점착층(110)의 점탄성을 고려하여 약 10 내지 1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1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bout 10 to 100 占 퐉, preferably 20 to 80 占 퐉,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mittance of the window substrate and the viscoelasticity of the adhesive layer 110. [

광학필름(120)은 베이스 필름(100) 상에 적층되며,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100)의 일면(100b)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필름(120)은 베이스 필름(100) 및 광학필름(120) 사이에 적층된 점착층(110)을 매개로 베이스 필름(100) 상에 부착 또는 적층될 수 있다.The optical film 120 is laminated on the base film 100 and may be laminated on one surface 100b of the base film 1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optical film 120 may be adhered or laminated on the base film 100 via the adhesive layer 110 laminated between the base film 100 and the optical film 120.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필름(120)은 편광층(121), 터치 센서층(123)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optical film 120 may comprise a polarizing layer 121, a touch sensor layer 123, or a combination thereof.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 필름(120)은 편광층(121) 및 터치 센서층(1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층(121) 및 터치 센서층(123)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편광층(121) 및 터치 센서층(123)은 베이스 필름(100)의 일면(100b)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ptical film 120 may include a polarizing layer 121 and a touch sensor layer 123 and may include a polarizing layer 121 and a touch sensor layer 123, The polarizing layer 121 and the touch sensor layer 123 may be disposed sequentially from one side 100b of the base film 100. In this case,

편광층(121)은 편광자 단일층 또는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투명 보호 필름이 접합된 적층체일 수 있다.The polarizing layer 121 may be a single layer of a polarizer or a laminate in which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상기 편광자는 고분자 수지 및 이색성 물질을 함유하는 고분자 수지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The polarizer may be formed from a polymer resin and a polymer resin containing a dichroic substance.

상기 고분자 수지는 예를 들면,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COP) 및/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하여 얻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일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이외에, 아세트산 비닐과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 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불포화 술폰산계, 올레핀계, 비닐에테르계,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The polymer resin may include, for example, a cycloolefin polymer (COP) and / or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referably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btained by saponifying a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Examples of the polyvinyl acetate resin include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copolymers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therewith.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include acrylamide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type, an unsaturated sulfonic acid type, an olefin type, a vinyl ether type, and an ammonium group.

상기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에서 우수한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황화 폴리페닐렌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필름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블렌드물로 구성된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된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As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 film superior in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moisture barrier property, isotropy and the like can be used. For example,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iso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Cellulose-based resins such as diacetylcellulose and triacetylcellulose; Polycarbonate resin; Acrylic resins such as polymethyl (meth) acrylate and polyethyl (meth) acrylate; Styrene resins such as polystyrene and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cyclo- or norbornene-structured polyolefins,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Vinyl chloride resin; Amide resins such as nylon and aromatic polyamide; Imide resin; Polyether sulfone type resin; Sulfone based resin; Polyether ether ketone resin; A sulfided polyphenylene resin; Vinyl alcohol-based resin; Vinylidene chloride resins; Vinyl butyral resin; Allylate series resin; Polyoxymethylene type resin; Epoxy resin, and the like, and a film composed of the blend of the thermoplastic resin may also be used. Further, a film made of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meth) acrylic, urethane, acrylic urethane, epoxy, or silicone or a film made of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may be used.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편광층(121)은 액정 화합물의 코팅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편광층(121)은 상기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층에 배향성을 부여하기 위한 배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polarizing layer 121 may be formed of a coating layer of a liquid crystal compound. In addition, the polarizing layer 121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layer containing th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may further include an alignment layer for imparting orientation to the liquid crystal layer.

편광층(121)의 두께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나, 윈도우 기판의 플렉시블 특성 및 기계적 내구성을 고려하여 약 20 내지 200㎛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layer 12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bout 20 to 200 占 퐉 in consideration of the flexible characteristics and the mechanical durability of the window substrate.

터치 센서층(123)은 베이스 필름(110)의 타면(100a) 또는 저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전극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극 패턴은 서로 교차하게 배열되는 제1 센싱 전극들 및 제2 센싱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layer 123 may include electrode patterns for converting the user's touch signal input through the other surface 100a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film 110 into an electrical signal. For example, the electrode pattern may include first sensing electrodes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또한, 터치 센서층(123)은 상기 제1 및 제2 센싱 전극들을 서로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층(123) 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센싱 전극들과 연결되는 주변 배선들이 더 형성되며, 상기 주변 배선들은 상기 차광 패턴과 중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uch sensor layer 123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layer for insulating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from each other. In the touch sensor layer 123, peripheral wiring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may be further formed, and the peripheral wirings may be overlapped with the light shielding pattern.

도 1을 참조하면, 광학필름(120)은 편광층(121)의 어느 일면에 적층된 터치 센서층(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층(123)은 추가 점착층 또는 제2 점착층(122)을 통해 편광층(121)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제2 점착층(122)는 편광층(121) 및 터치 센서층(12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 설명된 점착층(110)은 제1 점착층으로 지칭한다.Referring to FIG. 1, the optical film 120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ensor layer 123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polarizing layer 121. The touch sensor layer 123 may be laminated on the polarizing layer 121 through an additional adhesive layer or a second adhesive layer 122. The second adhesive layer 122 may be formed between the polarizing layer 121 and the touch sensor layer 123. Hereinafter, the adhesive layer 110 described in FIG. 1 is referred to as a first adhesive lay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층(123) 및 편광층(121) 사이에는 제2 점착층(1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점착층(122)은 제1 점착층(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PSA 계열 물질 또는 OCA 계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second adhesive layer 122 may be formed between the touch sensor layer 123 and the polarizing layer 121. The second adhesive layer 122 may comprise a PSA-based material or an OCA-based material substantially identical or similar to the first adhesive layer 110.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점착층(122) 역시 상술한 점착층의 침수 점착력, 상온 점착력, 전단 점착력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dhesive layer 122 may also satisfy the immersion adhesion, normal-temperature adhesion, and shear adhesion strength of the above-mentioned adhesive layer.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점착층(122)은 약 5N 이상의 침수 점착력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약 10N 이상의 침수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점착층(122)은 약 15N 이상의 상온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제2 점착층(122)의 상기 상온 점착력 및 침수 점착력의 차이는 약 10N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N 이하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adhesive layer 122 has a flocculant adhesion strength of about 5N or more, and preferably a flocculant adhesion strength of about 10N or more. In addition, the second adhesive layer 122 may have a room temperature adhesive strength of about 15N or m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temperature cohesive force and the flooding-adhesion strength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122 may be about 10 N or less, preferably 5 N or less.

제2 점착층(122)이 상기 범위의 점착력 변수들을 만족함에 따라, 고온, 고습의 가혹 환경에서도 터치 센서층(123)의 크랙, 박리 등의 불량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원하는 터치 감도, 전기적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As the second adhesive layer 122 satisfies the adhesive force values in the above range, defects such as cracking and peeling of the touch sensor layer 123 are prevented even in a severe environme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an be maintained.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윈도우 기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학필름(120)은 편광층(121) 및 터치 센서층(123)을 포함하고, 베이스 필름(100)의 일면(100b)으로부터 터치 센서층(123) 및 편광층(121)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2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optical film 120 includes a polarizing layer 121 and a touch sensor layer 123. The optical film 120 includes a touch sensor layer 123 and a polarizing layer 121 ) Can be arranged in order.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층(123)이 사용자의 시인 측 또는 터치 입력면에 보다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싱 및 신호 전달의 감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the touch sensor layer 123 can be placed closer to the user's visual or touch input surface. Therefore, the sensitivity of the touch sensing and the signal transmission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며 그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층(123) 및 편광층(121) 사이에 추가 점착층 또는 제2 점착층(122)이 형성될 수 있다.An additional adhesive layer or a second adhesive layer 122 may be formed between the touch sensor layer 123 and the polarizing layer 121,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윈도우 기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광학필름(120) 상에는 보호 필름(1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필름(130)은 터치 센서층(123)에 포함된 전극 패턴들 또는 편광층(121)을 보호하며, 윈도우 기판 또는 화상 표시 장치의 투과율과 같은 광학 특성 향상을 위해 추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protective film 13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optical film 120. The protective film 130 protects the electrode patterns or the polarizing layer 121 included in the touch sensor layer 123 and may be added to improve op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ransmittance of the window substrate or the image display device.

보호 필름(130)은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예: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및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계열의 투명 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재질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protective film 13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cellulose ester (e.g., cellulose triacetate, cellulose propionate, cellulose butyrat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and nitrocellulose), polyimide, polycarbonate, polyest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 Transparent resin films of polystyrene, polyolefin, polysulfone, polyether sulfone, polyarylate, polyether-imid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ether ketone, polyvinyl alcohol and polyvinyl chloride. The above material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보호 필름(130)은 점착층을 통해 광학필름(120), 예를 들면 편광층(121) 또는 터치 센서층(123) 상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점착층은 상술한 점착력 변수들을 만족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protective film 130 may be attached to the optical film 120, for example, the polarizing layer 121 or the touch sensor layer 123 via an adhesive layer,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atisfying one adhesion parameter.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윈도우 기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window substrate.

예를 들면, 표시 패널 상에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윈도우 기판이 결합되어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화상 표시 장치에 편광판 및/또는 터치 센서층이 결합되어 광학 특성 및 정보 표시 특성이 함께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an image display apparatus can be provided by combining the window substrat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on a display panel. Accordingly, the polarizing plate and / or the touch sensor layer are combined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so that the optical characteristic and the information display characteristic can be realized together.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뿐만 아니라,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전계발광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t Display device),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등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plasma display panel device, an electro luminescent display device,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the like.

상술한 윈도우 기판의 점착층에 의해 편광판 및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각종 부재 또는 구조물들의 기계적 신뢰성이 향상되며, 상기 화상 표시 장치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기계적 불량이 야기되지 않으면서, 접힘, 굽힘 등의 동작이 구현된 박형 디스플레이가 구현될 수 있다.The mechanical reliability of various members or structures including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touch sensor layer is improved by the adhesive layer of the window substrate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mechanical reliability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without causing mechanical failure more effectively, A thin display in which operations such as bending can be implemented can be implemented.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들을 포함하는 실험예를 제시하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in the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제조예 1: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Produc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meth) acrylic copolymer

제조예 1-1: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A-1)Production Example 1-1: Preparation of (meth) acrylic copolymer (A-1)

질소 가스가 환류되며,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L의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 95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5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후, 용제로 에틸아세테이트 400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 가스를 1시간 동안 퍼징한 후, 62℃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반응 개시제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7중량부를 투입하고, 약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량평균분자량 약 100만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1)를 제조하였다.A monomer mixture composed of 95 parts by weight of n-butyl acrylate and 5 parts by weight of 4-hydroxybutyl acrylate was added to a 1 L reactor equipped with a cooling device to easily regulate the temperature and nitrogen gas was refluxed, 400 parts by weight of acetate were added. Nitrogen gas was then purged for 1 hour to remove oxygen and then maintained at 62 ° C. (A-1) having a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1,000,000 was prepared by reacting the mixture in an amount of 0.07 parts by weight as azobisisobutyronitrile (AIBN) as a reaction initiator and reacting for about 8 hours. .

제조예 1-2: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A-2)Production Example 1-2: Preparation of (meth) acrylic copolymer (A-2)

n-부틸 아크릴레이트 99중량부 및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1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자량 약 100만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2)를 제조하였다.(meth) acrylic copolymer (A-2)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1,000,000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99 parts by weight of n-butyl acrylate and 1 part by weight of 4-hydroxybutyl acrylate were used. Respectively.

제조예 1-3: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A-3)Production Example 1-3: Preparation of (meth) acrylic copolymer (A-3)

반응 시간을 약 4시간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중량평균분자량 약 50만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3)를 제조하였다.(Meth) acrylic copolymer (A-3)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500,000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reaction time was changed to about 4 hours.

제조예 2: 윈도우 기판의 제조Production Example 2: Preparation of window substrate

(1)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1) Production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하기 표 1의 성분을 혼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예를 들면,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및 2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함유 점착제 조성물이고, 실시예 7 및 8, 비교예 3은 실리콘계 공중합체 함유 점착제 조성물이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repared by mixing the components shown in Table 1 below. For example, Examples 1 to 6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re acrylic copolymer-contain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and Examples 7 and 8 and Comparative Example 3 are silicone-based copolymer-contain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2) 점착 시트의 제조(2) Production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이형제가 코팅된 이형 필름 상에 두께가 50㎛가 되도록 도포하고 100℃에서 1분 동안 건조시켜 점착층을 형성하였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Example or Comparative Example was applied on a releasing film coated with a silicone release agent to a thickness of 50 mu m and dried at 100 DEG C for 1 minute to form an adhesive layer.

(3) 윈도우 기판의 제조(3) Manufacturing of window substrate

편광층으로서 두께가 80㎛인 COP(Cyclo olepin polymer) 기재를 준비하고, 베이스 필름으로서 두께가 38㎛인 PET 필름을 준비하였다. 이후, 제조된 점착 시트의 이형 필름을 박리한 후, 편광판-점착층-베이스 필름 순으로 적층하여 윈도우 기판 샘플들을 제조하였다.A COP (Cyclo olefin polymer) base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80 占 퐉 was prepared as a polarizing layer, and a PET film having a thickness of 38 占 퐉 was prepared as a base film. Thereafter, the release films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thus prepared were peeled off, and then polarizer-adhesive layer-base film were stacked in this order to prepare window substrate samples.

(4) 침수 점착력의 측정(4) Measurement of immersion adhesion

상기 샘플들에 포함된 점착층들의 침수 점착력을 측정하여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로 분류하였다.The immersion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s included in the samples was measured and classified in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상기 침수 점착력은 상기 편광판이 결합된 윈도우 기판을 25mm Ⅹ 250mm로 절단하고 60℃의 물에 4시간 동안 전체적으로 침수 시킨 후 꺼내어 고정한 후 상기 점착층과 편광판 사이에 칼을 넣고 오토 그라프를 이용하여 측정 속도 300m/분으로 180o의 박리력을 가할 때 측정되는 힘으로 정의하였다.The immersed adhesive force was measured by cutting the window substrate with the polarizer plate cut into 25 mm x 250 mm, immersing the substrate in water at 60 ° C for 4 hours, removing the fixture, fixing a knife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polarizer plate, It was defined as the force measured when a peeling force of 180 o was applied at 300 m / min.

하기 표 1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윈도우 기판의 구성을 나타낸다.Table 1 below shows the constitution of the window substrat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5) 전단 점착력의 측정(5) Measurement of Shear Adhesion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윈도우 기판의 양 끝단을 UTM 오토그라프에 고정하였다. 이후, 1mm/min의 속도로 인장력을 증가시키면서 평행하게 잡아당겨 점착층이 파단되는 힘 및 파단 거리를 측정하였고, 최대 응력점 및 탄성률을 측정하였다.Both ends of the window substrate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fixed to a UTM autograft. Then, the tensile force and the breaking distance of the adhesive layer were measured by increasing the tensile force at a rate of 1 mm / min, and the maximum stress point and the elastic modulus were measured.

실시예Exampl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One 22 33 44 55 66 77 88 1One 22 33 점착제 조성물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공중합체
(중량부)
Copolymer
(Parts by weight)
A-1A-1 100100 100100 100100 -- -- -- -- -- -- -- --
A-2A-2 -- -- -- 100100 100100 100100 -- -- -- -- -- A-3A-3 -- -- -- -- -- -- -- -- 100100 100100 -- A-4A-4 -- -- -- -- -- -- 100100 100100 -- -- 100100 A-5A-5 -- -- -- -- -- -- 3030 3030 -- -- 3030 가교제
(중량부)
Cross-linking agent
(Parts by weight)
B-1B-1 0.030.03 -- -- 0.030.03 -- -- -- -- -- -- --
B-2B-2 -- 0.030.03 -- -- 0.030.03 -- -- -- 0.10.1 -- -- B-3B-3 -- -- 0.030.03 -- -- 0.030.03 -- -- -- 0.10.1 -- 부가반응촉매
(중량부)
Addition reaction catalyst
(Parts by weight)
C-1C-1 -- -- -- -- -- -- 0.50.5 0.50.5 -- -- 0.50.5
점착부여제Tackifier D-1D-1 -- -- -- -- -- -- 1010 55 -- -- -- 용매menstruum E-1E-1 400400 400400 400400 400400 400400 400400 -- -- 400400 400400 -- E-2E-2 -- -- -- -- -- -- 200200 200200 -- -- 200200 침수 점착력(N)Immersion adhesion (N) 19.2819.28 15.9415.94 13.5113.51 7.597.59 5.75.7 5.45.4 11.411.4 6.76.7 4.84.8 4.24.2 4.14.1 전단 점착력(N)Shear adhesion (N) 153153 8484 9595 203203 112112 254254 157157 124124 115115 9797 8686 파단 거리(mm)Breaking distance (mm) 3.03.0 2.12.1 2.22.2 6.16.1 3.13.1 6.56.5 3.83.8 3.23.2 3.23.2 2.82.8 2.92.9 A-1: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A-2: 제조예 2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A-3: 제조예 3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A-4: 비닐기 제거 폴리실록산(DMS-V05, GELIST 사 제조)
A-5: 폴리디메틸실리콘 하이드라이드(HMS-H11, GELIST 사 제조)
B-1: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XDI)의 어덕트체
B-2: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TDI)의 어덕트체
B-3: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의 어덕트체
C-1: 백금-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복합체
D-1: 비닐벤젠알코올
E-1: 에틸 아세테이트
E-2: 톨루엔
A-1: The acrylic copolymer prepared in Production Example 1
A-2: The acrylic copolymer prepared in Production Example 2
A-3: The acrylic copolymer prepared in Production Example 3
A-4: Vinyl-removed polysiloxane (DMS-V05, manufactured by GELIST)
A-5: Polydimethyl silicone hydride (HMS-H11, manufactured by GELIST)
B-1: An adduct of trimethylolpropane and xylylene diisocyanate (XDI)
B-2: An adduct of trimethylolpropane and tolylene diisocyanate (TDI)
B-3: An adduct of trimethylolpropane and 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C-1: Platinum-divinyltetramethyldisiloxane complex
D-1: vinylbenzene alcohol
E-1: Ethyl acetate
E-2: Toluene

실험예 1: 침수 점착력에 따른 기포 및 박리 발생 여부 평가Experimental Example 1 Evaluation of Bubbles and Peeling According to Immersion Adhesion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윈도우 기판들에 분당 30회의 굴곡 속도로 60℃에서 굴곡반경을 3R 로 하여 상기 윈도우 기판의 양 단부에 물리적 힘을 가하였다. 이후, 상기 윈도우 기판들의 각 층들 사이에서 박리(또는 들뜸) 또는 기포 발생 여부가 평가되었다. 평가 결과는 하기의 표 2에 나타낸다.Physical forces were applied to both ends of the window substrate with the bending radius of 3R at 60 DEG C at a bending rate of 30 times per minute on the window substrate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reafter, peeling (or lifting) or bubble generation was evaluated between the respective layers of the window substrates.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구분division 침수점착력
(단위: N)
Immersion adhesion
(Unit: N)
박리/들뜸 발생 여부Detachment / removal occurred 기포 발생 여부Bubble occurrence
실시예 1Example 1 19.2819.28 1만회 반복 후 박리/들뜸 없음No peeling / peeling after 1 million repetitions 기포 없음No air bubbles 실시예 2Example 2 15.9415.94 1만회 반복 후 박리/들뜸 없음No peeling / peeling after 1 million repetitions 기포 없음No air bubbles 실시예 3Example 3 13.5113.51 1만회 반복 후 박리/들뜸 없음No peeling / peeling after 1 million repetitions 기포 없음No air bubbles 실시예 4Example 4 7.597.59 1만회 반복 후 매우 약한 들뜸 발생Extremely weak excursion after repeating 10,000 times 약간의 기포 발생Slight bubbling 실시예 5Example 5 5.75.7 1만회 반복 후 약한 들뜸 발생Weak eruption after repeating 10,000 times 약간의 기포 발생Slight bubbling 실시예 6Example 6 5.45.4 1만회 반복 후 약한 들뜸 발생Weak eruption after repeating 10,000 times 약간의 기포 발생Slight bubbling 실시예 7Example 7 11.411.4 1만회 반복 후 약한 들뜸 발생Weak eruption after repeating 10,000 times 약간의 기포 발생Slight bubbling 실시예 8Example 8 6.76.7 1만회 반복 후 약한 들뜸 발생Weak eruption after repeating 10,000 times 약간의 기포 발생Slight bubbling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4.84.8 5천회 반복 후 박리/들뜸 발생Peeling / peeling after 5,000 repetitions 기포 다수 발생A large number of bubbles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4.24.2 5천회 반복 후 박리/들뜸 발생Peeling / peeling after 5,000 repetitions 기포 다수 발생A large number of bubbles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4.14.1 3천회 반복 후 박리/들뜸 발생Peeling / peeling after 3,000 repetitions 기포 다수 발생A large number of bubbles

실험예 2: 상온 점착력에 따른 기포 및 박리 발생 여부 평가Experimental Example 2 Evaluation of Bubble and Peeling According to Adhesion at Room Temperature

상기 실시예들 중, 윈도우 기판들의 침수 점착력의 범위가 5N 이상인 샘플들(샘플 1 내지 샘플 3)을 선정하였고, 상온 점착력을 측정하였다.Among the above embodiments, the samples (Sample 1 to Sample 3) having the flooding adhesive strength of the window substrates of 5N or more were selected and the room temperature cohesion was measured.

상기 상온 점착력은 상기 편광판이 결합된 윈도우 기판을 25mm Ⅹ 250mm로 절단하고 고정한 후 상기 점착층과 편광판 사이에 칼을 넣고 오토 그라프를 이용하여 측정 속도 300m/분으로 180o의 박리력을 가할 때 측정되는 힘으로 정의하였다.The room temperature adhesive force was measured by cutting and fixing the window substrate having the polarizing plate bonded thereto to 25 mm x 250 mm, placing a knife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polarizing plate, and applying a peeling force of 180 o at a measuring speed of 300 m / min using an autograft .

또한, 상기 윈도우 기판 샘플들에 대한 상온 점착력 및 침수 점착력의 차이를 함께 측정하였다. 이후,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굴곡에 의한 박리/기포 발생 여부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om temperature cohesion and the immersion cohesion strength of the samples of the window substrate was also measured. Thereafter, the occurrence of peeling / bubbling due to bending was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구분division 상온 점착력
(단위: N)
Adhesion at room temperature
(Unit: N)
상온 점착력-침수 점착력
(단위: N)
Adhesion at room temperature - Immersion adhesion
(Unit: N)
박리/들뜸 발생 여부Detachment / removal occurred 기포 발생 여부Bubble occurrence
샘플 1Sample 1 23.7623.76 4.484.48 1만회 반복 후 박리/들뜸 없음No peeling / peeling after 1 million repetitions 기포 없음No air bubbles 샘플 2Sample 2 16.8216.82 9.239.23 1만회 반복 후 매우 약한 들뜸 발생Extremely weak excursion after repeating 10,000 times 기포 없음No air bubbles 샘플 3Sample 3 19.9219.92 12.3312.33 1만회 반복 후 약한 들뜸 발생Weak eruption after repeating 10,000 times 약간의 기포 발생Slight bubbling

실험예 3: 굴곡 특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3: Evaluation of Flexural Characteristics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윈도우 기판을 면상체 무부하 U자 접기시험기(DLDMLH-FS, YUASA SYSTEM 사 제조)에 고정시킨 후, IEC 62715 평가 표준에 따라 굴곡 특성을 평가하였다.The window substrates of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fixed to a U-shape non-load U-shaped folding tester (DLDMLH-FS, manufactured by YUASA SYSTEM) and flexural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IEC 62715 evaluation standard.

굴곡 특성은 고온(60℃, 90% RH) 조건 또는 저온(-20℃) 조건에서 1만회의 폴딩을 수행하여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The folding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by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by carrying out folding 10,000 times under high temperature (60 DEG C, 90% RH) condition or low temperature (-20 DEG C) condition.

○: 적층체에 기포, 박리, 크랙등의 불량모드가 관찰되지 않음○: No defective modes such as bubbles, peeling, cracks were observed in the laminate

△: 적층체에 미세한 불량모드가 육안으로 미미하게 시인됨 DELTA: A minute defective mode was visually visually observed in the laminate.

×: 적층체의 폴딩부분에 육안으로 확연한 불량모드가 시인됨X: Bad mode clearly visible in the folded part of the laminate

실험예 4: 전단 점착력 및 파단 거리 평가Experimental Example 4: Evaluation of Shear Adhesion and Breaking Distance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윈도우 기판의 양 끝단을 UTM 오토그라프에 고정하였다. 이후, 1mm/min의 속도로 인장력을 증가시키면서 평행하게 잡아당겨 점착층이 파단되는 힘 및 파단 거리를 측정하였고, 최대 응력점 및 탄성률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Both ends of the window substrate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fixed to a UTM autograft. Then, the tensile force and the breaking distance of the adhesive layer were measured by pulling in parallel while increasing the tensile force at a rate of 1 mm / min. The maximum stress point and the elastic modulus were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실시예Exampl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One 22 33 44 55 66 77 88 1One 22 33 굴곡 특성Bending characteristic 고온(60℃, 90% RH)High temperature (60 ° C, 90% RH) ×× ×× ×× 저온(-20℃)Low temperature (-20 ℃) ×× ×× ×× 전단 점착력(N)Shear adhesion (N) 153153 8484 9595 203203 112112 254254 157157 124124 115115 9797 8686 파단 거리(mm)Breaking distance (mm) 3.03.0 2.12.1 2.22.2 6.16.1 3.13.1 6.56.5 3.83.8 3.23.2 3.23.2 2.82.8 2.92.9 최대점 응력(kPa)Maximum point stress (kPa) 157157 131131 150150 145145 152152 179179 152152 174174 143143 138138 140140 탄성률(kPa)Modulus of elasticity (kPa) 28462846 21752175 25552555 30413041 27452745 32483248 22102210 27812781 25482548 24862486 20892089

표 2을 참조하면, 점착층의 침수 점착력이 5N 이상인 실시예들의 경우, 굴곡 특성 평가에서 1만회의 폴딩 후에도 박리 또는 기포 발생이 없거나, 약한 정도의 박리 또는 기포 발생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의 경우 5만회의 반복 후 기재 간의 박리/들뜸 및 기포가 발생하여 플렉시블 특성이 좋지 못하고 장치 적용에 적절치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2, it can be seen that, in the embodiments in which the adhesive layer has a flooding adhesive strength of 5N or more, there is no peeling or bubble generation or a slight degree of peeling or bubble generation even after folding 10,000 times in the evaluation of bending properties.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peeling / lifting and bubbling occur between the substrates after 50,000 repetitions, which indicates that the flexible characteristics are poor and are not suitable for the application of the device.

또한, 표 3를 참조하면, 상온 점착력 및 침수 점착력의 차가 10N 이하 일수록 굴곡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Further, referring to Table 3,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low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temperature cohesive force and the submerged cohesive force of 10 N, the better the bending property.

또한, 표 4를 참조하면, 침수 점착력 및 전단 점착력이 모두 우수한 범위에 있는 실시예 1 내지 3은 저온 및 고온 조건에서의 굴곡 특성 평가에서 모두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침수 점착력 또는 전단 점착력이 실시예 1 내지 3 보다 조금 좋지 않은 실시예 4 내지 8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3보다는 다소 성능이 감소되지만, 비교예 1 내지 3보다는 월등히 성능이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Further, referring to Table 4, it can be confirmed that Examples 1 to 3, in which both the submerged adhesive force and the shear adhesive strength are in an excellent range, show excellent performance in evaluating bending properties under low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conditions.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Examples 4 to 8, in which the submerged adhesive force or shear adhesive strength is slightly lower than those of Examples 1 to 3, is somewhat lower than that of Examples 1 to 3, but it i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is much bett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

또한,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의 윈도우 기판은 굴곡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대체적으로 높은 전단 점착력을 가지고, 이러한 전단 점착력에서도 양호한 파단 거리를 가짐을 알 수 있으며, 우수한 최대점 응력 및 탄성률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굴곡 특성과 전단 점착력 및 파단 거리가 우수한 수준을 보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들의 윈도우 기판은 굴곡 특성이 매우 좋지 않고, 대체적으로 전단 점착력이 낮으며, 파단 거리가 짧아 실시예들보다 성능이 좋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In addition, referring to Table 4, it can be seen that the window substrate of Examples has a good shear adhesion with a high flexural characteristic, a generally good shear adhesion, and a good maximum point stress and elastic modulus Able to know. In particular, in Examples 1 to 3, it can be seen that the flexural characteristics, the shear adhesive strength, and the fracture distance are excellent.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window substrate of the comparative examples is not very good in bending property, generally has a low shear adhesive force, and has a short break distance, which is not as good as the embodiments.

100: 베이스 필름 110: 점착층/제1 점착층
120: 광학필름 121: 편광층
122: 추가 점착층/제2 점착층 123: 터치 센서층
130: 보호 필름
100: base film 110: adhesive layer / first adhesive layer
120: optical film 121: polarizing layer
122: additional adhesive layer / second adhesive layer 123: touch sensor layer
130: protective film

Claims (16)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적층되는 광학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 사이에 적층되며, 침수 점착력이 5N 이상인 점착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
A base film;
An optical film laminated on the base film; And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aminated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optical fil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flooding adhesive strength of 5N or mo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침수 점착력은 10N 이상인, 윈도우 기판.
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on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is 10N or mo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상온 점착력은 15N 이상인, 윈도우 기판.
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force at room temperature of the adhesive layer is 15 N or mor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상기 상온 점착력 및 상기 침수 점착력의 차이가 10N 이하인, 윈도우 기판.
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temperature cohesive force and the submerged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10N or les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상기 상온 점착력 및 상기 침수 점착력의 차이가 5N 이하인, 윈도우 기판.
4. 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temperature cohesive force and the submerged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5N or l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전단 점착력은 50 내지 500N인, 윈도우 기판.
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layer has a shear adhesive strength of 50 to 500 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필름은 상기 일면 상에 적층되며, 상기 타면은 시인측으로 배치되는, 윈도우 기판.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se film comprises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Wherein the optical film is laminated on th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is disposed on the viewer sid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은 편광층 또는 터치 센서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
8. The window substrate of claim 7, wherein the optical film comprises at least one of a polarizing layer or a touch sensor lay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은 편광층 및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
8. The window substrate of claim 7, wherein the optical film comprises a polarizing layer and a touch sensor lay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 및 상기 터치 센서층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된, 윈도우 기판.
10. 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polarizing layer and the touch sensor layer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층 및 상기 편광층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된, 윈도우 기판.
10. 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touch sensor layer and the polarizing layer are sequentially disposed from the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 및 상기 터치 센서층 사이에 형성된 추가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
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claim 9, further comprising an additional adhesive layer formed between the polarizing layer and the touch sensor layer.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점착층의 침수 점착력이 5N 이상인, 윈도우 기판.
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additional adhesive layer has a flooding adhesive strength of 5N or mo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윈도우 필름인, 윈도우 기판.
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film is a window film.
청구항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의 윈도우 기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An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window substr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기판의 베이스 필름은 유연성 수지를 포함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되는 화상 표시 장치.16.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base film of the window substrate comprises a flexible resin and is provided as a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0170026328A 2017-02-28 2017-02-28 Window substr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1175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328A KR102117568B1 (en) 2017-02-28 2017-02-28 Window substr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PCT/KR2017/012276 WO2018159918A1 (en) 2017-02-28 2017-11-01 Window substr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328A KR102117568B1 (en) 2017-02-28 2017-02-28 Window substr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207A true KR20180099207A (en) 2018-09-05
KR102117568B1 KR102117568B1 (en) 2020-06-01
KR102117568B9 KR102117568B9 (en) 2020-06-01

Family

ID=63371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328A KR102117568B1 (en) 2017-02-28 2017-02-28 Window substr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7568B1 (en)
WO (1) WO2018159918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4601B2 (en) 2019-12-03 2023-08-29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optical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606A1 (en) 2017-10-27 2019-05-02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cover lens films
JP2021523413A (en) 2018-05-10 2021-09-02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ied Materials,Incorporated Interchangeable cover lens for flexible display
CN112601835A (en) 2018-08-14 2021-04-02 应用材料公司 Multilayer wet-dry hard coating for flexible cover lenses
EP3990955A4 (en) 2019-06-26 2023-11-29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CN112447792A (en) * 2019-09-02 2021-03-05 华为技术有限公司 Flexible display screen,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equip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3994A (en) * 2004-03-18 2005-09-29 Soken Chem & Eng Co Ltd Light-diffusive/reflective-and-screening adhesive tape and flat panel-typ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111826A (en) 2010-04-05 2011-10-12 (주)엘지하우시스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and touch panel
WO2014046182A1 (en) * 2012-09-20 2014-03-27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Photo-curable adhesive composition and display panel
KR20160135023A (en) * 2015-05-14 2016-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Adhesive film and flexibil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160137470A (en) * 2014-05-15 2016-11-30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Release film for antistatic surface protection fil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1795A (en) * 2012-05-24 2013-12-04 (주)엘지하우시스 Adhesive composition having enhanced flexibility
KR102271485B1 (en) * 2014-01-13 2021-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659239B1 (en) * 2014-11-01 2016-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1780542B1 (en) * 2015-04-30 2017-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Adhesive film and flexibil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3994A (en) * 2004-03-18 2005-09-29 Soken Chem & Eng Co Ltd Light-diffusive/reflective-and-screening adhesive tape and flat panel-typ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111826A (en) 2010-04-05 2011-10-12 (주)엘지하우시스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and touch panel
WO2014046182A1 (en) * 2012-09-20 2014-03-27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Photo-curable adhesive composition and display panel
KR20160137470A (en) * 2014-05-15 2016-11-30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Release film for antistatic surface protection film
KR20160135023A (en) * 2015-05-14 2016-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Adhesive film and flexibil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4601B2 (en) 2019-12-03 2023-08-29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optical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9918A1 (en) 2018-09-07
KR102117568B1 (en) 2020-06-01
KR102117568B9 (en) 202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9207A (en) Window substr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614732B1 (en) Release film for antistatic surface protection film
KR101707841B1 (en) Light-diffusing adhesive layer and light-diffusing adhesive film
KR102088783B1 (en) Adhesive layer for optical film, adhesive film for optical film
JP6725448B2 (en)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film
TWI719150B (en) Adhesive, optical adhesive sheet, polarizing plate adhesive sheet and liquid crystal cell component
JP2022167966A (en) Adhesive layer, polarizing plate with adhesive layer and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KR20180099210A (en) Window film, window film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219925B1 (en) Flexible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image display device
CN107636105B (en) Adhesive composition for conductive member
JP2014237763A (en) Adhesive composition, self-adhesive film using the same, and surface protective film using the same
JP2021127463A (en)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film
JP6775616B2 (en) An adhesive layer for an optical film, an adhesive film for an optical film, and an adhesive composition for an optical film for producing them.
JP6775042B2 (en) An adhesive layer for an optical film, an adhesive film for an optical film, and an adhesive composition for an optical film for producing them.
KR20120091854A (en)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40120490A (en) Acrylic copolmer,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threrof and polarizing plate
KR101933275B1 (en)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comaprising the same
KR20150122507A (en) Adhesive composition
KR20160080387A (en)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plate
KR102221109B1 (en) Adhesive composition
JP2020041058A (en) Double-sided adhesive sheet and double-sided adhesive sheet with release sheet
KR101460352B1 (en) Adhesive composition
KR20140018557A (en) Acrylic copolymer and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TW202239902A (en) Optical laminate, image display device, and adhesive composition
JP2022103373A (en) Adhesive layer for optical film, image display device, and polarizer with adhesive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5000108;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01124

Effective date: 2021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