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157A - 상호 다른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상호 다른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157A
KR20180099157A KR1020170026229A KR20170026229A KR20180099157A KR 20180099157 A KR20180099157 A KR 20180099157A KR 1020170026229 A KR1020170026229 A KR 1020170026229A KR 20170026229 A KR20170026229 A KR 20170026229A KR 20180099157 A KR20180099157 A KR 20180099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annel
output terminal
error amplifier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근
윤창호
박종원
임용곤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26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9157A/ko
Publication of KR20180099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0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04L27/233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coherent demodulation
    • H04L27/2334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coherent demodulation using 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송신 I채널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제1비반전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받는 제1에러앰프와, 송신 Q채널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제2비반전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받는 제2에러앰프와, 변조과정을 거쳐 전력증폭기에서 안테나를 통해 방사되는 신호의 일부를 추출하는 방향성 결합기에서 추출되어 가변 감쇠기와 복조기를 거쳐 생성된 제1복조신호에 대한 위상을 보정하여 생성한 제1피드백신호를 제1에러엠프에 출력하고, 제2복조신호에 대한 위상을 보정하여 생성한 제2피드백신호를 제2에러엠프에 출력하는 위상제어기와, 제1에러엠프의 제1반전단자와 제1출력단자 사이에 적용되는 주파수 채널대역에 대응되게 각각 마련된 복수 개의 제1에러필터들과, 제1에러필터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선택된 송신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게 제1에러엠프의 제1반전단자와 상기 제1출력단자에 접속시키는 제1군 스위칭부와, 제2에러엠프의 제2반전단자와 제2출력단자 사이에 적용되는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게 각각 마련된 복수 개의 제2에러필터들과, 제2에러필터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선택된 송신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게 제2에러엠프의 제2반전단자와 제2출력단자에 접속시키는 제2군 스위칭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호 다른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에 의하면, 두 개 이상의 상호 다른 채널 대역폭을 갖는 신호의 송신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상호 다른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transmitter for trasmitting different bandwidth singnals}
본 발명은 상호 다른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호 다른 대역폭을 사용하는 신호의 송신을 지원하는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상의 VHF 주파수 대역에서 주로 사용하는 통신 방식은 음성 위주의 아날로그 통신 방식이 사용되어 왔으나, 해상 VHF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사용 효율 증대와 해상에서 선박의 안전운항 증진 및 선원의 복지 증진을 위한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도입에 대해 국제해사기구(IMO) 및 국제통신연합(ITU)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다.
2015년에 있었던 WRC-15회의에서 해상 VHF 대역의 아날로그 통신 전용 채널의 일부를 채널에 따라 2017년 1월 1일 또는 2019년 1월 1일부터 디지털 전용으로 전환하도록 결의하였으며, 해상에서 디지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방식에 대한 기술적 특성을 기술하는 국제권고안 ITU-R M.1842와 ITU-R M.2092를 제정하였다. 이들 국제 권고안에는 해상 VHF 주파수 대역에서 25kHz, 50kHz, 또는 100kHz의 채널 대역폭을 사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디지털 데이터 전송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주파수 채널의 사용한다. 특별한 경우에는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중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송신기는 안테나를 통하여 공기 중으로 전파가 방사될 때 이웃한 채널을 통한 통신에 방해를 최소화되어야 하며, 이를 방사마스크로 규제하고 있다.
해상 VHF 대역의 디지털 통신의 경우, 통신장치에 적용되는 기술기준에 따라, -60dBc 또는 70dBc 정도의 ACPR(Adjacent Channel Power Ratio)을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방사마스크를 만족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중 기저대역 신호를 하나로 카테시안 피드백 방법이 있다. 카테시안 피드백 방법은 국내 공개특허 제10-2007-0060941호 등 다양하게 게시되어 있다.
카테시안 피트백 방법은 기저대역의 입력신호를 변조하여 안테나로 방사하는데, 채널밖으로 방사되는 신호를 줄이기 위해 안테나로 방사되는 신호를 커플링하고, 커플링한 신호의 크기를 기저대역 신호와 비슷해지도록 조정한다. 다음으로 기저대역으로 복조하기 위해 믹서에서 반송주파수 신호와 곱한 후 저역통과 필터를 통과시키고, 입력되는 기저대역 신호와 위상을 맞추는 위상 제어기를 통과하여 변조기에 입력되는 기저대역 신호와 위상 제어기 출력신호를 에러 앰프의 입력으로 하고, 에러 앰프에서는 그 차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신호를 변조-증폭-필터링 등의 과정을 거쳐 안테나로 출력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는 과정을 거친다.
위상 제어기의 출력신호는 기저대역 신호가 변조기, 송신증폭기 등을 거치면서 발생하는 외곡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외곡 정보를 이용하여 에러앰프에서 변조기의 입력인 기저대역 입력신호에 왜곡 신호를 미리 보상하여 안테나로 방사하는 신호에서 방사 주파수 대역 이외의 성분에 대하여 출력 전력을 낮춰 신호의 품질을 개선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종래의 카테시안 피드백 방식 송신장치는 하나의 대역폭에 대한 송신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축되어 있어 대역폭이 상호 다른 신호의 송신을 지원하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채널 대역폭을 사용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호 다른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호 다른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는 송신데이터를 상호 다른 주파수 대역폭 각각에 해당되는 복수개의 주파수 채널 중 선택된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는 송신신호를 베이스밴드 송신 I채널과 Q채널을 통해 출력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송신 I채널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제1비반전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받고, 제1반전단자에 제1피드백신호를 입력받아 제1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제1에러앰프와; 상기 송신 Q채널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제2비반전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받고, 제2반전단자에 제2피드백신호를 입력받아 제2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제2에러앰프와; 상기 제1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변조하여 I채널에 대응되는 제1변조신호를 출력하는 제1변조기와; 상기 제2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변조하여 Q채널에 대응되는 제2변조신호를 출력하는 제2변조기와; 상기 제1변조신호와 상기 제2변조신호를 결합하는 결합기와; 상기 결합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와; 상기 전력증폭기에서 상기 안테나를 통해 방사되는 신호의 일부를 추출하는 방향성 결합기와; 상기 방향성 결합기에서 추출된 신호를 감쇠하여 출력하는 가변 감쇠기와; 상기 가변감쇠기에서 감쇠된 신호로부터 I채널에 대응되는 제1복조신호를 생성하는 제1복조기와; 상기 가변감쇠기에서 감쇠된 신호로부터 Q채널에 대응되는 제2복조신호를 생성하는 제2복조기와; 상기 제1복조신호에 대한 위상을 보정하여 생성한 상기 제1피드백신호를 상기 제1에러엠프에 출력하고, 상기 제2복조신호에 대한 위상을 보정하여 생성한 상기 제2피드백신호를 상기 제2에러엠프에 출력하는 위상제어기와; 상기 제1에러엠프의 제1반전단자와 상기 제1출력단자 사이에 적용되는 주파수 채널대역에 대응되게 각각 마련된 복수 개의 제1에러필터들과; 상기 신호 처리부에 제어되며 상기 제1에러필터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선택된 송신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게 상기 제1에러엠프의 제1반전단자와 상기 제1출력단자에 접속시키는 제1군 스위칭부와; 상기 제2에러엠프의 제2반전단자와 상기 제2출력단자 사이에 적용되는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게 각각 마련된 복수 개의 제2에러필터들과; 상기 신호 처리부에 제어되며 상기 제2에러필터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선택된 송신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게 상기 제2에러엠프의 제2반전단자와 상기 제2출력단자에 접속시키는 제2군 스위칭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출력단자와 상기 제1변조기 사이에 적용되는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게 각각 마련된 복수 개의 제1저역통과필터들과; 상기 신호 처리부에 제어되며 상기 제1저역통과필터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상기 제1출력단자와 상기 제1변조기에 접속시키는 제3군 스위칭부와; 상기 제2출력단자와 상기 제2변조기 사이에 적용되는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게 각각 마련된 복수 개의 제2저역통과필터들과; 상기 신호 처리부에 제어되며 상기 제2저역통과필터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상기 제2출력단자와 상기 제2변조기에 접속시키는 제4군 스위칭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는 주파수 대역폭이 각각 25kHz, 50kHz, 100kHz인 주파수 채널의 송신을 지원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호 다른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에 의하면, 두 개 이상의 상호 다른 채널 대역폭을 갖는 신호의 송신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호 다른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호 다른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호 다른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호 다른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100)는 신호처리부(110), 제1에러앰프(121), 제2에러앰프(122), 제1변조기(131), 제2변조기(132), 결합기(141), 전력 증폭기(151), 방향성 결합기(161), 가변 감쇠기(163), 제1복조기(171), 제2복조기(172), 위상제어기(180), 제1에러필터(201a)(201n), 제1군 스위칭부(210), 제2에러필터(202a)(202n)들, 제2군 스위칭부(220)를 구비한다.
신호 처리부(110)는 송신데이터를 상호 다른 대역폭 각각에 대해 지원되는 복수개의 주파수 대역에 해당되는 복수개의 주파수 채널 중 선택된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는 송신신호를 베이스밴드 송신 I채널과 Q채널을 통해 출력한다.
일 예로서, 신호 처리부(110)는 주파수 대역폭이 각각 25kHz, 50kHz, 100kHz인 주파수 채널의 송신을 지원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10)는 송신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적용할 주파수 대역폭에 대응되게 후술되는 제1 내지 제4군 스위칭부와, 위상제어기(180) 등 제어대상 요소를 제어한다.
제1에러앰프(121)는 신호처리부(110)의 송신 I채널(111)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제1비반전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받고, 제1반전단자(-)에 제1피드백신호를 입력받아 제1출력단자(121a)를 통해 출력한다.
제2에러앰프(122)는 신호처리부(110)의 송신 Q채널(112)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제2비반전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받고, 제2반전단자(-)에 제2피드백신호를 입력받아 제2출력단자(122a)를 통해 출력한다.
제1변조기(131)는 제1출력단자(121a)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변조하여 I채널에 대응되는 제1변조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변조기(131)는 국부발진기(10)에서 발생된 신호에 대해 90°위상전환시키는 위상전환기(21)를 거친 신호와 제1출력단자(121a)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결합하여 생성된 제1변조신호를 출력한다.
제2변조기(132)는 제2출력단자(122a)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변조하여 Q채널에 대응되는 제2변조신호를 출력한다.
제2변조기(132)는 국부발진기(10)에서 발생된 신호와 제2출력단자(122a)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결합하여 생성된 제2변조신호를 출력한다.
결합기(141)는 제1변조신호와 제2변조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한다.
참조부호 143은 증폭기로 생략될 수 도 있다.
전력증폭기(151)는 결합기(14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155)를 통해 출력한다.
전력증포기(151)의 증폭율은 신호처리부(110)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참조부호 156은 전력증폭기(151) 전 후단에 각각 설치된 밴드패스 필터(156)이다.
방향성 결합기(161)는 전력증폭기(151)에서 안테나(155)를 통해 방사되는 신호의 일부를 추출하여 후술되는 가변감쇠기(163)로 제공한다.
가변감쇠기(163)는 방향성 결합기(161)에서 추출된 신호를 감쇠하여 출력한다.
가변감쇠기(163)의 감쇠율은 전력증폭기(151)의 증폭율에 대응되게 적용되며 신호 처리부(110)에 의해 조정된다.
제1복조기(171)는 가변감쇠기(163)에서 감쇠된 신호로부터 I채널에 대응되는 제1복조신호를 생성한다.
제1복조기(171)는 국부발진기(10)에서 발생된 신호에 대해 90°위상전환시키는 위상전환기(21)를 거친 신호와 가변감쇠기(16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결합하여 생성된 제1복조신호를 출력한다.
제2복조기(172)는 가변감쇠기(163)에서 감쇠되어 출력되는 신호와 국부발진기(10)에서 발생된 신호를 결합하여 Q채널에 대응되는 제2복조신호를 생성한다.
참조부호 176은 제1복조신호와 제2복조신호를 필터링하는 저역통과 필터이다.
위상제어기(180)는 제1복조신호에 대한 위상을 보정하여 생성한 제1피드백신호를 제1에러엠프(121)에 출력하고, 제2복조신호에 대한 위상을 보정하여 생성한 제2피드백신호를 제2에러엠프(122)에 출력한다.
위상 제어기(180)의 위상보정은 신호처리부(110)에 의해 제어된다.
제1에러필터(201a)(201n)들은 제1에러엠프(121)의 제1반전단자와 제1출력단자(121a) 사이에 적용되는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게 각각 복수개가 마련되어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110)가 주파수 대역폭이 각각 25kHz, 50kHz, 100kHz인 3개의 주파수 채널의 송신을 지원하도록 구축되는 경우 각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세개의 제1에러필터들이 적용되면 된다.
제1군스위칭부(210)는 신호 처리부(110)에 제어되며 제1에러필터(201a)(201n)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선택된 송신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게 제1에러엠프(121)의 제1반전단자와 제1출력단자(121a)에 접속시킨다.
제1군 스위칭부(210)는 제1에러필터(201a)(201n)들의 선단에서 제1반전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제1선단 스위칭부(210a)와 제1에러필터(201a)(201n)들의 후단에서 제1출력단자(121a)와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제1후단 스위칭부(210b)로 되어 있다.
제2에러필터(202a)(202n)들은 제2에러엠프(122)의 제2반전단자와 제2출력단자(122a) 사이에 적용되는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게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군스위칭부(220)도 신호 처리부(110)에 제어되며 제2에러필터(202a)(202n)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선택된 송신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게 제2에러엠프(122)의 제2반전단자와 제2출력단자(122a)에 접속시킨다.
제2군스위칭부(220) 중 참조부호 220a는 제2에러필터(202a)(202n)들의 선단에서 제2반전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제2선단 스위칭부이고, 참조부호 220b는 제2에러필터(202a)(202n)들의 후단에서 제2출력단자(122a)와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제2후단 스위칭부이다.
한편, 제1출력단자(121a)와 제1변조기(131) 사이에도 적용되는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게 각각 마련된 복수 개의 제1저역통과필터(203a)(203n)들을 신호 처리부에 제어되는 제3군스위칭부(2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3군 스위칭부(230) 중 참조부호 230a는 제1저역통과필터(203a)(203n)들의 선단에서 제1출력단자(121a)와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제3선단 스위칭부이고, 참조부호 230b는 제1저역통과필터(203a)(203n)들의 후단에서 제1변조기(131)와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제3후단 스위칭부이다.
또한, 제2출력단자(122a)와 제2변조기(132) 사이에도 적용되는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게 각각 마련된 복수 개의 제2저역통과필터(204a)(204n)들을 신호 처리부에 제어되는 제4군스위칭부(2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4군 스위칭부(230) 중 참조부호 240a는 제2저역통과필터(204a)(204n)들의 선단에서 제2출력단자(122a)와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제4선단 스위칭부이고, 참조부호 240b는 제2저역통과필터(204a)(204n)들의 후단에서 제2변조기(132)와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제4후단 스위칭부이다.
이러한 송신장치는 해상 VHF대역에서 25kHz, 50kHz 또는 100kHz 등의 채널 대역폭을 함께 사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송신장치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및 제2에러앰프(121)(122)의 제1 및 제2비반전단자에 입력되는 신호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된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먼저, 신호처리부(110) 내에서 생성되는 복소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가 신호 처리부(110) 내의 차동증폭기(미도시)의 차동 신호 형식으로 입력된다고 가정한다. 장치 구성에서 따라 차동신호가 아닌 single-ended 신호가 입력될 수도 있다.
입력된 차동 신호는 single-ended 신호로 변환된다. Diff-to-single 출력신호는 필요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의 대역폭보다 넓은 통과 대역폭을 갖는 저역통과 필터를 통과시킨다. 이 저역통과 필터는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DAC 등을 통해 생성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고주파 잡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한다. 저역통과 필터 출력신호는 앞서 설명된 제1 및 제2에러앰프(121)(122)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된다.
여기서 제1에러앰프(121)를 통해 설명하면, 제1에러앰프(121)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는 신호(V+ )와 반전단자의 입력신호(V-)와 제1출력단자(121a)에서 출력되는 신호 Vout사이에 다음의 관계가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N번째 제1에러필터를 사용하였을 때, 주파수에 따른 앰프 특성으로 저주파 신호 성분에 대해서는 그 크기가 크고, 고주파 성분에 대해서는 그 크기가 작아지는 특성을 가져야 하며, N은 사용하는 채널 대역폭 종류 수만큼 구비하여야 한다.
한편, 에러앰프의 출력은 사용하는 채널 대역폭에 따라 달라지는 제1저역통과 필터를 통과한다. 이 제1저역통과 필터의 통과 대역은 채널 대역폭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가 왜곡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므로, 해당 채널 대역폭을 사용하는 기저대역 신호의 대역폭보다 넓어야 하며, 수학식 1의 두 번째 항인 증폭된 오차값을 적절히 대역제한을 하여 안테나를 통해 방사하는 신호의 스펙트럼을 개선할 수 있을 만큼의 대역폭을 갖는 필터를 적용하면 된다.
제1저역통과 필터까지 통과한 신호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저역통과 필터는 해당 채널 대역폭을 사용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왜곡 없이 통과시킬 수 있어야 한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BN(f)는 N번째 제1저역통과 필터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를 컨볼루션하는 연산을 의미한다.
제1저역통과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신호는 복소 입력신호와 반송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변조를 수행하고, 변조된 신호는 후속으로 배치된 저역통과 필터나 대역통과 필터를 거져 변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반송주파수의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고, 전력증폭기(151)를 통하여 안테나(155)로 출력하는 신호로 증폭한다.
전력증폭기(151) 출력신호는 추가적인 저역통과 필터나 대역통과 필터를 통과시켜 반송주파수의 고조파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안테나(155)로 출력하는 신호를 방향성 커플러(161)를 통하여, 송신 출력신호에 비하여 수십 dB정도 작은 신호를 갖도록 커플링하고, 커플링된 신호를 가변감쇠기(163)에서 감쇠시켜 신호처리에 적정한 신호레벨로 바꾼다. 감쇠된 커플링신호와 기저대역 신호가 믹서와 저역통과 필터를 거쳐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기저대역으로 변환된 신호는 위상 회전하여 에러앰프의 반전단자에 사용한다. 여기서, 위상 제어기(180)에서 회전시키는 위상량은 전송하려는 입력신호(에러앰프의 비반전단자 입력신호)가 송신 신호처리 과정을 거져 궤환되어 에러앰프의 반전단자에 도달하는데까지의 시간지연과 필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차 등을 반영한 값으로 실험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위상 제어기(180)에서 회전시키는 위상량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신호처리부(110)의 제어에 의해 사용하는 대역폭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위상제어기(180)에서의 위상회전량도 함께 결정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송신장치는 해상 VHF 대역에서 25kHz, 50kHz, 또는 100kHz의 채널 대역폭을 함께 사용하고, 시간분할 채널접속 방법을 사용하면서, 하나의 시간슬롯에서는 여러 가지 채널 대역폭 중 하나만 사용하는 경우에 효율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110: 신호처리부 121: 제1에러앰프
122: 제2에러앰프 131: 제1변조기
132: 제2변조기 141: 결합기
151: 전력 증폭기 161: 방향성 결합기
163: 가변 감쇠기 171: 제1복조기
172: 제2복조기 180: 위상제어기

Claims (3)

  1. 송신데이터를 상호 다른 주파수 대역폭 각각에 해당되는 복수개의 주파수 채널 중 선택된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는 송신신호를 베이스밴드 송신 I채널과 Q채널을 통해 출력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송신 I채널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제1비반전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받고, 제1반전단자에 제1피드백신호를 입력받아 제1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제1에러앰프와;
    상기 송신 Q채널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제2비반전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받고, 제2반전단자에 제2피드백신호를 입력받아 제2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제2에러앰프와;
    상기 제1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변조하여 I채널에 대응되는 제1변조신호를 출력하는 제1변조기와;
    상기 제2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변조하여 Q채널에 대응되는 제2변조신호를 출력하는 제2변조기와;
    상기 제1변조신호와 상기 제2변조신호를 결합하는 결합기와;
    상기 결합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와;
    상기 전력증폭기에서 상기 안테나를 통해 방사되는 신호의 일부를 추출하는 방향성 결합기와;
    상기 방향성 결합기에서 추출된 신호를 감쇠하여 출력하는 가변 감쇠기와;
    상기 가변감쇠기에서 감쇠된 신호로부터 I채널에 대응되는 제1복조신호를 생성하는 제1복조기와;
    상기 가변감쇠기에서 감쇠된 신호로부터 Q채널에 대응되는 제2복조신호를 생성하는 제2복조기와;
    상기 제1복조신호에 대한 위상을 보정하여 생성한 상기 제1피드백신호를 상기 제1에러엠프에 출력하고, 상기 제2복조신호에 대한 위상을 보정하여 생성한 상기 제2피드백신호를 상기 제2에러엠프에 출력하는 위상제어기와;
    상기 제1에러엠프의 제1반전단자와 상기 제1출력단자 사이에 적용되는 주파수 채널대역에 대응되게 각각 마련된 복수 개의 제1에러필터들과;
    상기 신호 처리부에 제어되며 상기 제1에러필터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선택된 송신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게 상기 제1에러엠프의 제1반전단자와 상기 제1출력단자에 접속시키는 제1군 스위칭부와;
    상기 제2에러엠프의 제2반전단자와 상기 제2출력단자 사이에 적용되는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게 각각 마련된 복수 개의 제2에러필터들과;
    상기 신호 처리부에 제어되며 상기 제2에러필터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선택된 송신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게 상기 제2에러엠프의 제2반전단자와 상기 제2출력단자에 접속시키는 제2군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단자와 상기 제1변조기 사이에 적용되는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게 각각 마련된 복수 개의 제1저역통과필터들과;
    상기 신호 처리부에 제어되며 상기 제1저역통과필터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상기 제1출력단자와 상기 제1변조기에 접속시키는 제3군 스위칭부와;
    상기 제2출력단자와 상기 제2변조기 사이에 적용되는 주파수 채널에 대응되게 각각 마련된 복수 개의 제2저역통과필터들과;
    상기 신호 처리부에 제어되며 상기 제2저역통과필터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상기 제2출력단자와 상기 제2변조기에 접속시키는 제4군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주파수 대역폭이 각각 25kHz, 50kHz, 100kHz인 주파수 채널의 송신을 지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
KR1020170026229A 2017-02-28 2017-02-28 상호 다른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 KR20180099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229A KR20180099157A (ko) 2017-02-28 2017-02-28 상호 다른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229A KR20180099157A (ko) 2017-02-28 2017-02-28 상호 다른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157A true KR20180099157A (ko) 2018-09-05

Family

ID=63594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229A KR20180099157A (ko) 2017-02-28 2017-02-28 상호 다른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91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764B1 (ko) * 2018-10-26 2019-11-15 (주)에이스안테나 과입력신호의 방지기능을 구비한 vhf 데이터 교환시스템용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764B1 (ko) * 2018-10-26 2019-11-15 (주)에이스안테나 과입력신호의 방지기능을 구비한 vhf 데이터 교환시스템용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06381A1 (en) Transmit signal cancellation in wireless receivers
JP3910167B2 (ja) 増幅回路
US67004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tion of distortion in a feed forward amplifier
US10069669B2 (en) High frequency multi-antenna transmitter(s)
JP2006314087A (ja) 増幅回路及び無線装置
GB2510917A (en) A suppression circuit for suppressing unwanted transmitter output
US200401922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fering signals in a transmitter
KR100342783B1 (ko) 전치왜곡 선형화장치
US63631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the dynamic range of a mixer using feed forward distortion reduction
KR20180099157A (ko) 상호 다른 대역폭 신호 지원 송신 장치
US7209715B2 (en) Power amplifying method, power amplifi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7295331A (ja) 無線基地局装置
US2008031716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alibrating a transmitter
EP4012932B1 (en) Noise canceling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2175708A (ja) プリディストーション装置
KR100327863B1 (ko) 디지털신호처리 연산을 이용한 알에프 대역 무선통신송신단의 출력 안정화, 극대화 및 비선형왜곡 보상 방법및 알에프 모듈
JPH03254236A (ja) マイクロ波多重無線送信装置
JPH09294144A (ja) ディジタル無線装置
CN106341145B (zh) 信号的接收方法及装置
KR100346153B1 (ko) 코드분할 다중 접속방식의 이동통신 기지국장치에서 중간주파수 송신장치
KR20130061051A (ko) 증폭기에서의 고조파 및 혼변조 왜곡제거 장치 및 방법
US1502889A (en) Method of and system for radiosignaling
KR200400111Y1 (ko) 피드 포워드 알고리즘을 이용한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용 중계기
KR100228017B1 (ko) 왜곡을 최소화한 다신호 결합 시스템
JP2006086928A (ja) 電力増幅器の非線形歪補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