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082A - 캠 팔로워 로커암 - Google Patents

캠 팔로워 로커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082A
KR20180099082A KR1020170026065A KR20170026065A KR20180099082A KR 20180099082 A KR20180099082 A KR 20180099082A KR 1020170026065 A KR1020170026065 A KR 1020170026065A KR 20170026065 A KR20170026065 A KR 20170026065A KR 20180099082 A KR20180099082 A KR 20180099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p ring
wall
groove
cam follow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완
Original Assignee
셰플러안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플러안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셰플러안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6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9082A/ko
Publication of KR20180099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01L1/185Overhead end-pivot rocking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01L1/047Camshafts
    • F01L1/053Camshafts overhead type
    • F01L2105/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5/00Valve arrangements comprisin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캠 팔로워 로커암은 롤러 양측에 결합이 견고한 클로즈형 스냅링 또는 조립이 용이한 오픈형 스냅링이 구비되고 회전핀에 클로즈형 스냅링 또는 오픈형 스냅링이 구비되는 홈이 형성되어 조립이 용이한 캠 팔로워 로커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캠 팔로워 로커암{A Cam Follower Locker arm}
본 발명은 밸브 트레인을 이루는 캠 팔로워 로커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 용이한 캠 팔로워 로커암에 관한 것이다.
엔진에서 흡기 및 배기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캠과 캠 샤프트, 캠 팔로워 로커암, 밸브 스템 등의 일련의 기구들을 밸브 트레인이라 한다.
밸브 트레인은 연소실의 흡기 밸브와 배기 밸브를 일정 시기에 맞춰 개폐하는 기구로서, 직동식, 스윙암식을 비롯해 여러 방법의 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엔진의 밸브 트레인은 실린더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꾼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캠 팔로워 로커암과 밸브 스템과 유압 래쉬 조절기가 구비된 밸브 트레인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캠 팔로워 로커암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종래의 캠 팔로워 로커암을 축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밸브 트레인(10)은 캠 팔로워 로커암(11)과, 캠 팔로워 로커암(11)의 일측에서 결합하는 유압 래쉬 조절기(hydraulic lash adjuster)(12)와, 캠 팔로워 로커암(11)의 타측에서 접촉하는 밸브 스템(13)과, 유압 래쉬 조절기(12)와 밸브 스템(13) 사이에 위치되며 캠 팔로워 로커암(11)과 접촉하고 있는 캠(14)으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 스템(13)은 코일형의 압축 스프링(15)과 밸브 스템(13)에 설치된 고정 링(16)을 통해 실린더 헤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상향 연장된다. 코일형 압축 스프링(15)는 통상적으로 실린더 헤드에 반대로 장착된다.
상기 캠(14)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캠(14)의 회전 작동은 유압 래쉬 조절기(12)에 대해 회전하고, 선형 작동(liner motion)에서 밸브 스템(13)을 이동하는 캠 팔로워 로커암(11)을 통해 전달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 팔로워 로커암(11)은 유압 래쉬 조절기(12)를 결합하는 제1 연결부(21)와, 밸브 스템(13)과 접촉하는 제2 연결부(20)와, 제1 연결부(21)와 제2 연결부(20)에 의해 함께 합쳐진 벽체(18)를 갖는 U-자형 몸체부(17)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연결부(21)와 제2 연결부(20)는 벽체(18)와 직각을 이루어 확장한다. 전동체(23) 내에서 바람직하게 제공된 롤러(22)는 실린더형 회전핀(24) 상에 설치된다. 상기 롤러(22)는 캠(14)과 접촉하도록 벽체(18) 사이에 위치되고, 개구부(25)로 확장된다. 상기 개구부(25)는 벽체(18)와 동일한 폭이며, 제1 연결부의 단부(27) 및 제2 연결부의 단부(26)는 제1 연결부(21)와 제2 연결부(20)을 통해 확장된다. 상기 롤러(22)의 외경면(29)과 롤러(22)의 외측면(28)은 클리어런스를 갖는 직사각형의 개구부(25, 26, 27)로 확장된다.
그러나 종래의 캠 팔로워 로커암은 벽체(18) 사이에 롤러(22)를 구비하고 회전핀(24)을 몸체부(17) 및 롤러(22)에 삽입한 후 회전핀(24)의 양측을 타격하여 조립한다. 이와 같이 롤러 조립 시 타격으로 인해 캠 팔로워 로커암이 손상될 수 있으며, 조립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1111호 (2010.04.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회전핀의 양측을 타격하지 않고 조립이 가능하여 조립이 용이한 캠 팔로워 로커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캠 팔로워 로커암은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판상의 벽체와 축 방향 양측이 상기 벽체에 연결되며 길이 방향 일측에 위치하여 구비되는 제1 연결부와 축 방향 양측이 상기 벽체에 연결되며 길이 방향으로 제1 연결부로부터 이격되어 길이 방향 타측에 위치하여 구비되는 제2 연결부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축 방향으로 벽체 사이에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캠 롤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의 벽체는 핀공이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판상의 벽체부와, 상기 벽체부의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벽체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벽체부 사이의 축 방향 거리가 일정하도록 다시 절곡되어 연장된 절곡연장부와, 상기 벽체부의 타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향 절곡되고 벽체부를 향하여 절곡되고 다시 상향 절곡된 가이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캠 롤러부는 상기 벽체의 핀공에 삽입되어 구비되고 서로 축 방향으로 이격되며 둘레를 따라 오목한 제1 홈과 제2 홈이 형성되는 회전핀과, 축 방향으로 벽체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핀이 삽입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축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홈과 제2 홈에 구비되는 스냅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팔로워 로커암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1 홈과 제2 홈은 회전핀의 중심으로부터 양단부쪽으로 축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회전핀의 양단부에는 둘레를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고, 회전핀의 중심에 가깝게 위치한 상기 제1 홈의 측면과 제2 홈의 측면에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벽체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 하부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스냅링안착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스냅링은 상기 롤러의 축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외경은 스냅링안착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회전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롤러의 양측에 구비되는 스냅링은 클로즈형 스냅링 또는 오픈형 스냅링이며; 상기 클로즈형 스냅링은 원호형상의 링본체부와, 상기 링본체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립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픈형 스냅링은 원호형상의 링본체부와, 상기 링본체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립부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개구되어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립부에 반경 방향 내측 단부 일부가 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절곡부는 링본체부의 내경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따르는 캠 팔로워 로커암은 롤러 양측에 결합이 견고한 클로즈형 스냅링 또는 조립이 용이한 오픈형 스냅링이 구비되고 핀에 스냅링이 구비되는 홈이 형성되어 회전핀의 양측을 타격하지 않고 조립이 가능하므로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캠 팔로워 로커암과 밸브 스템과 유압 래쉬 조절기가 구비된 밸브 트레인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캠 팔로워 로커암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종래의 캠 팔로워 로커암을 축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본 발명의 캠 팔로워 로커암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캠 팔로워 로커암을 이루는 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캠 팔로워 로커암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캠 팔로워 로커암의 회전핀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캠 팔로워 로커암의 클로즈형 스냅링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캠 팔로워 로커암의 오픈형 스냅링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클로즈형 스냅링 및 오픈형 스냅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캠 팔로워 로커암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의 본 발명의 캠 팔로워 로커암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캠 팔로워 로커암을 이루는 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캠 팔로워 로커암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캠 팔로워 로커암의 회전핀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캠 팔로워 로커암의 클로즈형 스냅링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캠 팔로워 로커암의 오픈형 스냅링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클로즈형 스냅링 및 오픈형 스냅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회전핀(210)의 연장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기재하고,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캠 팔로워 로커암은 일측으로 유압 래쉬 조절기가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으로는 밸브 스템(VS)의 단부가 접촉하도록 엔진의 밸브트레인에 구비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 팔로워 로커암은 본체부(100)와 캠 롤러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00)는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판상의 벽체(110)와, 축 방향 양측이 상기 벽체(110)에 연결되며 길이 방향 일측에 위치하여 구비되는 제1 연결부(130)와, 축 방향 양측이 상기 벽체(110)에 연결되며 길이 방향으로 제1 연결부(130)로부터 이격되어 길이 방향 타측에 위하아여 구비되는 제2 연결부(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00)에 개구부(170)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70)는 축 방향으로 벽체(110) 사이에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제1 연결부(130)와 제2 연결부(150)에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벽체(110)는 핀공(110a)이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판상의 벽체부와, 상기 벽체부의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벽체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벽체부 사이의 축 방향 거리가 일정하도록 다시 절곡되어 연장된 절곡연장부(111)와, 상기 벽체부의 타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향 절곡되고 벽체부를 향하여 절곡되고 다시 상향 절곡된 가이드부(113)와, 벽체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 하부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에 턱부가 형성된 스냅링안착부(1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냅링안착부(115)는 길이 방향을 따라 만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부(130)는 오목한 구멍이 하향 개구된 소켓(131)이 구비되는 제1 연결부 본체와, 상기 제1 연결부 본체의 길이 방향 외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돌출부(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133)의 단부면은 벽체(110)의 길이 방향 단부면보다 길이 방향 외측으로 이격된다. 상기 소켓(131)에 유압 래쉬 조절기의 헤드가 피봇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2 연결부(150)는 축 방향 양측이 벽체(110)에 연결되며 상면이 길이방항을 따라 볼록하게 형성된 제2 연결부 본체(151)와, 상기 제2 연결부 본체(151)의 길이 방향 외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연장부(1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연결부(150)의 상면은 길이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직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부(150)의 하면에 밸브 스템(VS) 단부가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 롤러부(200)는 본체부(100)의 제1 연결부(130)와 제2 연결부(15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캠 롤러부(200)는 회전핀(210)과, 롤러(230)와, 스냅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핀(210)은 상기 벽체(110)의 핀공(110a)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회전핀(210)은 단면이 원형이며 막대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회전핀(210)의 양단부에는 외경을 따라 경사면(210a)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10a)은 환형을 이루며 단면과 경사면(210a)의 경사각(θ1)은 30°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핀(210)에 제1 홈(211)과 제2 홈(2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홈(211)과 제2 홈(213)은 회전핀(210)의 중심으로부터 양단부쪽으로 축 방향으로 이격되며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홈(211)과 제2 홈(213)은 환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홈(211)과 제2 홈(213)에 스냅링이 구비된다.
상기 제1 홈(211)은 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외측면(211b)과 제1 경사면(211a)을 가진다. 상기 제1 경사면(211a)은 회전핀(210)의 중심에 가깝게 위치한다.
상기 제2 홈(213)은 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2 외측면(213b)과 제2 경사면(213a)을 가진다. 상기 제2 경사면(213a)은 회전핀(210)의 중심에 가깝게 위치한다.
상기 제1 홈(211)과 제2 홈(213)은 일측에 각각 제1 경사면(211a)과 제2 경사면(213a)을 가져 회전핀(210)의 반경 방향 내향 할수록 폭이 감소한다. 상기 제1 경사면(211a)과 제2 경사면(213a)의 단면에 대한 경사각은 30°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10a)과 제1 경사면(211a)과 제2 경사면(213a)으로 인하여 스냅링에 회전핀(210)이 삽입될 때 용이하게 삽입되고,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홈(211)의 제1 외측면(211b)과 제2 홈(213)의 제2 외측면(213b)으로 인하여 스냅링이 제1 홈(211) 및 제2 홈(213)에 위치된 후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롤러(230)는 상기 본체부(100)의 벽체(110) 사이에 위치하여 개구부(170)에 노출된다. 노출된 롤러(230)는 캠과의 접촉하여 캠의 회전력을 캠 팔로워 로커암에 전달한다. 상기 롤러(230)은 링형상의 제1 링부(231)와 상기 제1 링부(231)의 내경에 삽입되며 니들(needle)인 제2 링부(2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230)는 니들 베어링(needle bearings)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스냅링은 벽체(110)의 내측에서 상기 롤러(230) 축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스냅링안착부(115)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핀(210)이 조립되면 상기 스냅링은 회전핀(210)의 제1 홈(211)과 제2 홈(213)에 삽입 구비된다. 상기 롤러(230)의 양측에 구비되는 스냅링은 클로즈형 스냅링(250) 또는 오픈형 스냅링(270)이 구비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로즈형 스냅링(250)은 원호형상의 링본체부(251)와, 상기 링본체부(251)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립부(253)로 이루어진다. 상기 립부(253)의 단부를 연결하면 가상의 원이 형성된다. 상기 립부(253)는 내향할수록 폭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오픈형 스냅링(270)은 원호형상의 링본체부(271)와, 상기 링본체부(271)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립부(273)로 이루어진다. 상기 립부(273)의 단부를 연결하면 가상의 원이 형성된다. 상기 립부(273)는 내향할수록 폭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오픈형 스냅링(270)은 일측이 개구되어 개구부(270a)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70a)는 서로 이웃하는 립부(273) 사이에서 링본체부(271)의 단부가 분리되어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70a)로 인하여 상기 오픈형 스냅링(270)은 클로즈형 스냅링(250)보다 조립이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클로즈형 스냅링(250)은 상기 오픈형 스냅링(270)보다 회전핀(210)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기 오픈형 스냅링(270)은 클로즈형 스냅링(250)보다 조립이 용이하여 상기 롤러(230)의 일측에 클로즈형 스냅링(250)이 구비되고 타측에 구비되는 스냅링은 오픈형 스냅링(27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로즈형 스냅링(250)과 오픈형 스냅링(270)에는 절곡부(253a, 273a)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253a, 273a)는 상기 립부(253. 273)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 일부가 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253a, 273a)로 인하여 회전핀(210)이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절곡부(253a, 273a)는 상기 립부(253, 273)의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링본체부(251, 271)와 립부(253, 273)의 연결부분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절곡부(253a, 273a)의 각도(θ2)는 5°~ 10°로 형성된다.
상기 롤러(230)의 제2 링부(233)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롤러(230) 축 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스냅링 사이의 축 방향 최단거리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스냅링 사이의 축 방향 최단거리는 마주보는 스냅링의 립부(253, 273)의 단부 사이 거리로 형성된다. 따라서, 기울어진 스냅링의 립부(253, 273)의 단부가 제2 링부(233)의 측면에 접하게 되어 스냅링은 벽체(110)를 항하여 가압되므로 상기 스냅링과 회전핀(210)의 결합이 견고해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캠 팔로워 로커암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부 110: 벽체
200: 캠 롤러부 210 : 회전핀
230: 롤러 250 : 클로즈형 스냅링
270 : 클로즈형 스냅링

Claims (6)

  1.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판상의 벽체(110)와 축 방향 양측이 상기 벽체(110)에 연결되며 길이 방향 일측에 위치하여 구비되는 제1 연결부(130)와 축 방향 양측이 상기 벽체(110)에 연결되며 길이 방향으로 제1 연결부(130)로부터 이격되어 길이 방향 타측에 위치하여 구비되는 제2 연결부(150)로 이루어진 본체부(100)와, 축 방향으로 벽체(110) 사이에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제1 연결부(130)와 제2 연결부(150)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캠 롤러부(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100)의 벽체(110)는 핀공(110a)이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판상의 벽체부와, 상기 벽체부의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벽체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벽체부 사이의 축 방향 거리가 일정하도록 다시 절곡되어 연장된 절곡연장부(111)와, 상기 벽체부의 타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향 절곡되고 벽체부를 향하여 절곡되고 다시 상향 절곡된 가이드부(1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캠 롤러부(200)는 상기 벽체(110)의 핀공(110a)에 삽입되어 구비되고 서로 축 방향으로 이격되며 둘레를 따라 오목한 제1 홈(211)과 제2 홈(213)이 형성되는 회전핀(210)과, 축 방향으로 벽체(110)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핀(210)이 삽입되는 롤러(230)와, 상기 롤러(230)의 축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홈(211)과 제2 홈(213)에 구비되는 스냅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팔로워 로커암.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211)과 제2 홈(213)은 회전핀(210)의 중심으로부터 양단부쪽으로 축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회전핀(210)의 양단부에는 둘레를 따라 경사면(210a)이 형성되고, 회전핀(210)의 중심에 가깝게 위치한 상기 제1 홈(211)의 측면과 제2 홈(213)의 측면에 제1 경사면(211a)과 제2 경사면(21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팔로워 로커암.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 하부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스냅링안착부(115)가 더 구비되며;
    상기 스냅링은 상기 롤러(230)의 축 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외경은 스냅링안착부(115)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회전핀(210)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팔로워 로커암.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230)의 양측에 구비되는 스냅링은 클로즈형 스냅링(250) 또는 오픈형 스냅링(270)이며;
    상기 클로즈형 스냅링(250)은 원호형상의 링본체부(251)와, 상기 링본체부(251)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립부(253)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픈형 스냅링(270)은 원호형상의 링본체부(271)와, 상기 링본체부(271)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립부(273)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개구되어 개구부(27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팔로워 로커암.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립부(253. 273)에 반경 방향 내측 단부 일부가 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부(253a,27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팔로워 로커암.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253a,273a)는 링본체부(251,271)의 내경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팔로워 로커암.
KR1020170026065A 2017-02-28 2017-02-28 캠 팔로워 로커암 KR20180099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065A KR20180099082A (ko) 2017-02-28 2017-02-28 캠 팔로워 로커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065A KR20180099082A (ko) 2017-02-28 2017-02-28 캠 팔로워 로커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082A true KR20180099082A (ko) 2018-09-05

Family

ID=6359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065A KR20180099082A (ko) 2017-02-28 2017-02-28 캠 팔로워 로커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908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111A (ko) 2008-10-13 2010-04-22 젠텍 테크놀로지스 마케팅, 인코포레이티드 캠 팔로워 로커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111A (ko) 2008-10-13 2010-04-22 젠텍 테크놀로지스 마케팅, 인코포레이티드 캠 팔로워 로커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4181B2 (ja) エンジンのデコンプ装置
US20180094553A1 (en) Valve bridge for valve systems
US20160237863A1 (en) Arrangement for axially shifting a cam assembly on a cam shaft
JP6219537B2 (ja) 内燃機関のデコンプ機構
US6302075B1 (en) Roller finger follower shaft retention apparatus
US6609700B2 (en) Valve seal assembly with spring finger retainer
KR20180099082A (ko) 캠 팔로워 로커암
JP2019509423A (ja) 回転防止プラグを有するエンジンバルブリフタ
JP6368375B2 (ja) 内燃機関の動弁機構
JP6327018B2 (ja) エンジンの動弁構造
JP4191538B2 (ja) エンジンの動弁装置
KR101683528B1 (ko) 로커암과 로커샤프트의 결합 구조
KR102229496B1 (ko) 캠 팔로워
JP2015206283A (ja) エンジンの動弁構造
JP4616295B2 (ja) 内燃機関の可変式動弁機構
JP6179340B2 (ja) エンジンのバルブ構造
JP7225667B2 (ja) デコンプ装置
EP1972763B1 (en) Variable valve mechanis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7303068B2 (ja) ロッカアーム
JP2012122372A (ja) ロッカアームユニット
JP4073714B2 (ja) エンジンのオートデコンプ装置
JP2005264736A (ja) バルブ開閉機構
JP6427023B2 (ja) ロッカアーム
JP2545721Y2 (ja) ロッカーアームの位置決め構造
JP2021046809A (ja) 動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