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978A - 파일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파일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978A
KR20180098978A KR1020170025857A KR20170025857A KR20180098978A KR 20180098978 A KR20180098978 A KR 20180098978A KR 1020170025857 A KR1020170025857 A KR 1020170025857A KR 20170025857 A KR20170025857 A KR 20170025857A KR 20180098978 A KR20180098978 A KR 20180098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frame
target object
file
frame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형록
Original Assignee
반석기초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석기초이앤씨(주) filed Critical 반석기초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170025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8978A/ko
Publication of KR20180098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8Removing obsta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oth placing and remov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or mould-pipes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팅 대상 객체에 착탈 되며 외주면을 따라서 외주 기어가 구비되는 프레임 지지부; 및 상기 프레임 지지부 상에서 상기 대상 객체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외주 기어와 맞물리는 회전 기어로 상기 외주 기어를 따라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를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절단 프레임; 및 상기 절단 프레임에 착탈 부착되도록 구비되는 절단 노즐; 및 상기 절단 노즐에 가스와 냉각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컴프레셔부; 및 상기 절단 프레임 상의 스위치 신호로 상기 절단 프레임과 상기 컴프레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일 절단 장치{ APPARATUS FOR CUTTING A PILE }
본 발명은 파일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팅 대상 객체에 착탈 되며 외주면을 따라서 외주 기어가 구비되는 프레임 지지부; 및 상기 프레임 지지부 상에서 상기 대상 객체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외주 기어와 맞물리는 회전 기어로 상기 외주 기어를 따라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를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절단 프레임; 및 상기 절단 프레임에 착탈 부착되도록 구비되는 절단 노즐; 및 상기 절단 노즐에 가스와 냉각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컴프레셔부; 및 상기 절단 프레임 상의 스위치 신호로 상기 절단 프레임과 상기 컴프레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
흙막이 토류 공사나 부력 앵커공사, 건물기초공사, 사면보강공사 등에 사용하는 기초파일을 지표면 아래 지중에 보강한 후에 지표면에는 절단하여 제거해야 할 파일이 남게 된다.
이러한 보강파일을 절단하는 절단기의 일반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0736807호(2007.07.09.)의 절단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 20-0132344호(1998.12.15.)의 소잉커터장치 등이 제공되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들은 기체의 상측으로 축 방향으로 공급되는 절단 대상물인 기초 파일을 클램핑하는 클램프를 설치하고, 클램프에 의해 클램핑 된 절단물을 절단하도록 모터에 의해 고속회전하는 커터를 회동 각운동 하도록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토목 공사 현장에서는 이와 같은 설치형 절단 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지중에 매설된 상태인 기초 파일을 절단 장치로 이동하여 클램핑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사 현장에서 절단하는 방법은 용접기를 파일로 이동하여 절단하거나 그라인더를 파일에 이동하여 절단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용접 절단과 그라인더 절단 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절단을 위하여 절단기와 산소 또는 아르곤등과 같은 용접을 위한 용접기와 같은 부가 장비가 현장에 반입되어 설치되어야 하며 깨끗한 절단을 위해서는 공사 인력 이외에 추가로 전문 절단 인력이 현장에 투입되어야 한다.
이는 결국 현장의 공간이 다양한 절단 장치들로 인하여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공사 비용을 증가시키고 공사 기간을 증가시키게 되는 하나의 원인이 된다.
더욱이, 가장 큰 문제점은 이렇게 절단한 파일의 절단 부위가 매끄럽지 못하여 후속 공정을 힘들게 하고 토목 공사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토목 구조 안전성을 저해한다는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0736807호(2007.07.09.)
이에 본 발명은 파일을 이동시키는 방식이 아니고, 절단 대상 파일로 절단 장치를 이동하여 현장에서 즉석 조립하여 파일에 부착하여 파일을 절단할 수 있는 파일 절단 장치를 제공하여, 현장의 시공 인력이 외부의 절단 전문 인력의 도움 및 개입 없이도 지표면에 남아있는 절단 대상 파일을 파일 축과 직각으로 매끄럽게 절단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는 용접 절단기 또는 그라인딩 절단기와 대비하여 소형화된 파일 절단 장치를 제공하여 협소한 시공 현장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자 함에 그 목적이 또한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파일 절단 장치에 있어서, 커팅 대상 객체에 착탈 되며 외주면을 따라서 외주 기어가 구비되는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지지부 상에서 상기 대상 객체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외주 기어와 맞물리는 회전 기어로 상기 외주 기어를 따라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를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절단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 프레임에 착탈 부착되도록 구비되는 절단 노즐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절단 노즐에 가스와 냉각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컴프레셔부; 및
상기 절단 프레임 상의 스위치 신호로 상기 절단 프레임과 상기 컴프레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대상 객체에 부착시에 상기 대상 객체가 관통되어 수용되도록 중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절단 프레임이 회전할 때 상기 프레임 지지부를 이탈하지 않도록 상부면에 306도 전체에 걸쳐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대상 객체와 자석으로 착탈 결합 되도록 중심부가 자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대상 객체의 연장 방향과 상기 노즐이 축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중공부의 두께가 3cm 이상 10cm 이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단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져서 상기 절단 프레임이 회전하도록 가이드 맞물림 돌기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지지 부재들로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 지지 부재들이 상기 대상 객체를 중심으로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회전 방향과 회전 속도와 회전 횟수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절단 장치에 의하면,
첫째, 이동성이 뛰어나고 조작의 간편한 파일 절단 장치를 제공하여 파일 절단에 별도의 절단 전문 인력이 아닌 일반 현장 직원이 파일 절단 작업에 투입이 가능하다.
둘째, 프레임 지지부, 절단 프레임 및 절단 노즐 결합만으로도 절단 대상 객체를 파일의 직각 방향으로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이동성이 뛰어나도록 공장 설치형 대비하여 소형화된 절단 장치를 제공하므로 공사 현장의 공간 활용성이 높아진다.
넷째, 그라인더와 같은 파일 직접 접촉 방식의 절단 기술이 아닌 기술을 제공하며 프레임 지지부를 회전하며 대상 파일을 절단하도록 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므로 정밀한 절단이 가능하다.
다섯째, 절단 대상 파일을 수용하는 공간부와 파일에 부착하도록 하는 자석을 제공하여 절단 높낮이의 조정이 용이하다.
여섯째, 절단 프레임의 회전 속도와 회전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서 선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절단 대상 파일의 다양한 직경을 고려하여 절단을 위한 선택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절단 장치의 프레임 지지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절단 장치의 프레임 지지부를 대상 파일에 부착한 형상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절단 장치의 절단 프레임 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절단 장치의 컴프레셔부와 절단 프레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절단 장치의 프레임 지지부를 절단 대상 파일에 부착하고 프레임 지지부 상에 절단 프레임의 결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절단 장치가 회전하면서 대상 객체를를 플라즈마 절단하는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절단 장치의 프레임 지지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절단 장치의 프레임 지지부를 대상 파일에 부착한 형상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절단 장치의 절단 프레임 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절단 장치의 컴프레셔부와 절단 프레임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절단 장치의 프레임 지지부를 절단 대상 파일에 부착하고 프레임 지지부 상에 절단 프레임의 결합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절단 장치가 회전하면서 대상 객체를를 플라즈마 절단하는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절단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파일 절단 장치는 토목 공사 현장에서 절단해야 할 대상 객체(100)를 절단하도록 프레임 지지부(200), 절단 프레임(300), 컴프레셔부(400) 및 제어부(500)로 구성된다.
먼저, 프레임 지지부(200)는 절단이 필요한 상기 대상 객체에 착탈 되도록 구비된다. 파일을 이용한 토목 기초 공사 후에는 지표면 위에 노출되어 절단을 통해 제거하여야 하는 상기 대상 객체(100)가 남는다. 상기 대상 객체(100)는 지표면 아래에 강고히 박혀 있어 상기 대상 객체(100)를 절단을 위하여 이동시킬 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파일 또는 파이프를 절단기와 같이 상기 대상 객체(100)를 이동하여 절단하는 절단하는 장치는 사용할 수가 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를 상기 대상 객체(100)에 부착되도록 구비한다. 이러한 부착을 위하여 프레임 지지부(200) 중앙에는 자력으로 상기 대상 객체(100)에 부착되도록 자석부(203)가 구비되며, 상기 자석부(203) 내측인 상기 대상 객체(100) 방향으로는 상기 대상 객체(100)를 수용하도록 중공부(20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중공부(202)는 상기 대상 객체(100)의 형태를 고려하여 단면이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사각형 등으로 구비가 가능하다.
이렇게 구비된 상기 자석부(203)와 상기 중공부(202)를 이용하여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가 상기 대상 객체(100)에 자석을 통해 부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가 상기 대상 객체(100)에 부착되는 위치와 지표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대상 객체(100)를 절단해야 할 부위를 고려하여 작업자가 자유롭게 결정하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대상 객체(100)에 부착된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에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단 프레임(300)을 올려 놓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 상의 상기 절단 프레임(300)이 올려진 상태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에는 가이드 홈(204)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홈(204)의 안내를 따라서 상기 절단 프레임(300)이 이동하도록 상기 절단 프레임(300)에는 제 1 가이드 맞물림 돌기(303)과 제 2 가이드 맞물림 돌기(30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의 외주 면에는 360도를 따라서 전체에 걸쳐 외주 기어(20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절단 프레임(300)에는 상기 외주 기어(201)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회전 기어(302)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 기어(302)가 상기 외주 기어(201)를 따라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상기 절단 프레임(300)이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 상에서 상기 대상 객체(100)를 중심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회전 기어(302)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절단 프레임(300)에는 회전 모터(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절단 프레임(300)에는 플라즈마 절단 하도록 절단 노즐(301)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절단 노즐(301)이 상기 대상 객체(100)을 회전하며 플라즈마 절단하도록 상기 절단 노즐(301)에는 컴프레셔부(400)가 선으로 연결되게 구비된다. 상기 컴프레셔부(400)는 상기 절단 노즐(301)에 절단을 위한 가스원과 냉각원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이렇게 구비된 상기 절단 프레임(300)이 상기 대상 객체(100)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절단 프레임(300)에 부착된 상기 절단 노즐(301)이 상기 대상 객체(100)를 회전하며 상기 대상 객체(100)을 축과 직각으로 깔끔하게 절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절단 프레임(300)의 회전과 상기 절단 노즐(301)의 플라즈마 절단 작업은 상기 절단 프레임(300) 상에 배치된 스위치부(305)의 스위치 동작에 따라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절단 프레임(300)의 회전 모터를 동작시키고 상기 컴프레셔부(400)을 동작 시켜 이루어 지도록 구비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에는 상기 대상 객체(100)에 부착시에 상기 대상 객체(100)가 관통되어 수용되도록 중공부(202)를 구비하도록 한다. 일반적인 헬리컬 파일과 같은 외형의 단면이 파이프와 같이 둥근 형태의 기초 파일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원형인 중공부(202)가 바람직하며, 외형의 단면이 사각형인 대상 객체(100)인 경우에는 상기 중공부(202)의 단면을 사각형으로 구비하는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절단 프레임(300)이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상에서 회전할 때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를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의 상부면에 가이드 홈(204)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 홈(204)는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의 360도 회전 전체를 처리할 수 있도록 360도 전체에 걸쳐 구비되어져야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 지지부를 상기 대상 객체(100)와 자석으로 착탈 결합 되도록 상기 중공부(202)를 감싸는 중심부가 재질이 자석으로 구비되는 자석부(20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초 토목에 사용되는 헬리컬 파일등의 재질이 일반적으로 자석의 자력에 반응하는 철재료임을 감안할 때 상기 자석부(203)로 상기 대상 객체(100)와 결합 시키는 것이 가장 비용 효율적이벼, 작업의 간편도가 우수하다.
그런데 이때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의 상기 자석부(203)와 상기 중공부(202)는 상기 대상 객체의 연장 방향과 상기 절단 노즐(304)이 축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중공부(204) 및 상기 자석부(203)의 두께가 3cm 이상 10cm 이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cm 더 두꺼운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의 중량이 과도하게 되어 작업의 편리성이 떨어지며, 3cm보다 더 얇게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절단 프레임(300)이 회전 운동할 때 흔들림이 발생하여 절단이 깨끗하지 못하거나, 상기 자석부(203)의 자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상기 절단 노즐(303)등이 절단을 위하여 희망하는 회전 궤도로 부터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단 프레임(300)은 상기 가이드 홈(204)에 끼워져서 상기 절단 프레임(300)이 360도 회전하도록 가이드 맞물림 돌기(303,304)를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 맞물림 돌기(303)와 제 2 가이드 맞물림 돌기(304)를 구비하되, 상기 제 1,2 맞물림 돌기(303,304)가 306도 원형 전체로 구비된 상기 가이드 홈(204)에 특정 깊이 이상 상기 360도에서 상호 일정 각도를 유지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절단 프레임(300)이 상기 가이드 홈(204)에 가이드 되어 이탈되지 않고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회전으로 상기 대상 객체(100)가 매끄럽게 절단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으로 분리된 프레임 지지 부재(205,206)들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분리되도록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를 제 1 지지부(205)와 제 2 지지부(206)로 구비하는 이유는 절단을 위한 상기 대상 객체(100)에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을 부착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이유에서이다. 특히나 상기 대상 객체(100)가 지표면에서 작업자의 키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라면, 작업자가 상기 대상 객체(100)의 꼭대기부터 상기 중공부(202)를 끼워야하는데 이는 상기 자석부(203)의 자력을 고려한다면 매우 불편한 작업이다.
상기 제 1 지지부(205)와 상기 제 2 지지부(206)로 분리된 상기 프레임 지지부(200)는 간단하게 절단될 높이와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중공부(202)와 상기 자석부(203)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객체(100)에 부착되므로 매우 편리한 작업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스위치부(305)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서 회전 방향을 바꾸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러 회전을 통하여 상기 대상 객체(100)가 절단되는 정도의 직경을 갖는 경우에는 여러 회전을 하는동안 상기 컴프레셔부(400)과 상기 절단 노즐(301) 사이의 선들이 꼬인는 경우가 발생하여 작업을 힘들게 할 수 있다.
이경우 상기 제어부(500)를 통하여 회전수 일부는 정방향으로 나머지는 반대 방향으로 설정 제어하여 선의 꼬아짐을 장지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기지로 상기 대상 객체(100)의 직경과 강도를 고려하여 상기 절단 노즐(301)이 회전하는 속도와 회전 횟수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파일 절단 장치를 이용한 절단 작업의 일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초 공사에 사용되어 절단이 필요한 파일에 제 1 지지부(205)와 제 2 지지부(206)를 자력을 이용하여 대상 객체(100)인 파일의 좌우에 각각 부착한다. 이렇게 부착된 제 1,2 지지부(205,206)는 프레임 지지부(200)가 되어 원형의 판상으로 대상 파일에 부착되게 되는데, 여기에 절단 프레임(300)을 올려 놓고 제 1,2 가이드 맞물림 돌기(303,304)를 프레임 지지부(200)의 가이드 홈(204)에 결합하면 작업 준비가 완료된 것이다.
절단 프레임(300)에 위치한 스위치부(305)를 ON하면, 사전에 제어부에 설정된 정보에 따라서 절단 프레임(300)이 회전하는 동시에 절단 노즐(301)에서 나오는 플라즈마로 대상 객체(100)인 파일이 절단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대상 객체
200 ... 프레임 지지부
201 ... 외주 기어
202 ... 중공부
203 ... 자석부
204 ... 가이드 홈
205 ... 제 1 지지부
206 ... 제 2 지지부
300 ... 절단 프레임
301 ... 절단 노즐
302 ... 회전 기어
303 ... 제 1 가이드 맞물림 돌기
304 ... 제 2 가이드 맞물림 돌기
305 ... 스위치부
400 ... 컴프레셔부
500 ... 제어부

Claims (8)

  1. 커팅 대상 객체에 착탈 되며 외주면을 따라서 외주 기어가 구비되는 프레임 지지부;
    상기 프레임 지지부 상에서 상기 대상 객체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외주 기어와 맞물리는 회전 기어로 상기 외주 기어를 따라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를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절단 프레임;
    상기 절단 프레임에 착탈 부착되도록 구비되는 절단 노즐;
    상기 절단 노즐에 가스와 냉각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컴프레셔부; 및
    상기 절단 프레임 상의 스위치 신호로 상기 절단 프레임과 상기 컴프레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파일 절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대상 객체에 부착시에 상기 대상 객체가 관통되어 수용되도록 중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절단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절단 프레임이 회전할 때 상기 프레임 지지부를 이탈하지 않도록 상부면에 306도로 연결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절단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대상 객체와 자석으로 착탈 결합 되도록 중심부가 자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절단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대상 객체의 연장 방향과 상기 노즐이 축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중공부의 두께가 3cm 이상 10cm 이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절단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져서 상기 절단 프레임이 회전하도록 가이드 맞물림 돌기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절단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지지 부재들로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 지지 부재들이 상기 대상 객체를 중심으로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절단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와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회전 방향과 회전 속도와 회전 횟수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절단 장치.

KR1020170025857A 2017-02-28 2017-02-28 파일 절단 장치 KR20180098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857A KR20180098978A (ko) 2017-02-28 2017-02-28 파일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857A KR20180098978A (ko) 2017-02-28 2017-02-28 파일 절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978A true KR20180098978A (ko) 2018-09-05

Family

ID=6359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857A KR20180098978A (ko) 2017-02-28 2017-02-28 파일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897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07B1 (ko) 2006-12-12 2007-07-09 최이구 절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07B1 (ko) 2006-12-12 2007-07-09 최이구 절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71254B2 (ja) 路面用カッター
US20110186556A1 (en) Hybrid automated welding system
EP3758878A1 (en) Device for welding pipe branches and extensions
US20150151363A1 (en) Surface machining apparatus
KR20130084785A (ko) 배관용접장치
KR20180098978A (ko) 파일 절단 장치
KR101444603B1 (ko) 파일 용접장치
CN204975488U (zh) 一种带有定位装置的焊缝切割机及其定位装置
JPS6317567B2 (ko)
KR100611308B1 (ko) 강관말뚝 절단기
KR100902407B1 (ko) 파일절단장치
JP2005023733A (ja) 路面用円形カッター
KR101938152B1 (ko) 이중관 절단용 커팅기
US10584458B1 (en) Single blade pile cutting system
JP2008267135A (ja) 回転杭打機
JP2002302950A (ja) 金属製杭の杭頭切断装置
JPH1086012A (ja) 可搬式鞍型管台開先加工装置
JP2000135711A (ja) 円形の切込みをつけるための運搬可能な機械鋸
KR20110009075U (ko) 파이프 자동 절단 장치
CN105855638B (zh) 空心桩内环槽加工装置及加工方法
JPS58168491A (ja) パイプ切断機
JP2000000717A (ja) ヒューム管切断装置
KR102029839B1 (ko) 하수구관 천공 및 커팅 보조장치
JP2000096512A (ja) マンホールの周囲の舗装面の切削方法と切削装置と掘削機と切削装置のガイド体
JP2017113977A (ja) 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