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526A - 고체 필러 성분을 갖는 방수막 - Google Patents

고체 필러 성분을 갖는 방수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526A
KR20180098526A KR1020187012625A KR20187012625A KR20180098526A KR 20180098526 A KR20180098526 A KR 20180098526A KR 1020187012625 A KR1020187012625 A KR 1020187012625A KR 20187012625 A KR20187012625 A KR 20187012625A KR 20180098526 A KR20180098526 A KR 20180098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ayer
layer
membrane
thermoplastic polymer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5889B1 (ko
Inventor
허버트 액커만
프랭크 허프린
로만 로러
리사 구타르
로이 로로츠
사이먼 쉔브로트
Original Assignee
시카 테크놀러지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카 테크놀러지 아게 filed Critical 시카 테크놀러지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098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comprising such water setting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comprising such water setting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ynthetic rubber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halogenated polyolefins, e.g. PT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2037/12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cur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6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s B32B27/32 and B32B27/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30Particles characterised by physical dimension
    • B32B2264/303Average diameter greater than 1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2Tear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7Dimensions, e.g. volume or area
    • B32B2307/7375Linear, e.g. length, distance or width
    • B32B2307/7376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6Roofs, roof memb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 및 지붕공사 분야에서 사용되는 막에 관한 것이고, 막은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1)을 포함하는 장벽 층(S1) 및 장벽 층(S1)의 적어도 일부에 접합된 접촉 층(S2)을 포함하고, 접촉 층(S2)은 고체 필러 성분(F) 및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막을 제조하는 방법, 기재를 방수하는 방법, 방수된 건축물, 물 침투에 대해 기재를 실링하는 방법 및 물 침투에 대해 기재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된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체 필러 성분을 갖는 방수막
본 발명은 건축 산업에서, 예를 들어 물 침투에 대해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지하실, 지붕공사 및 터널공사 분야에 대해 사용하기 위한 방수막에 관한 것이다.
방수막은 물 침투에 대해 지하실, 지하 표면 또는 빌딩을 실링하기 위한 건축 산업에서 흔히 사용된다.
최신 기술의 방수막은 수밀성(watertightness)을 제공하기 위한 주요 층으로서 중합체 기반 장벽 층을 포함하는 다층 시스템이다. 장벽 층에서 사용된 통상적인 중합체는 열가소성 물질, 예컨대 가소화된 폴리염화비닐(plasticized polyvinylchloride: p-PVC)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hermoplastic polyolefin: TPO) 또는 엘라스토머,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 다이엔 단량체(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EPDM) 및 가교결합된 클로로설포네이트화 폴리에틸렌(crosslinked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CSPE)을 포함한다. 중합체 기반 장벽 층의 단점 중 하나는 이의 불량한 접합 특징이고, 이는 통상적으로 건축 산업에서 흔히 사용되는 접착제, 예컨대 에폭시 접착제, 폴리우레탄 접착제 및 시멘트질 조성물에 낮은 접합 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접촉 층, 예를 들어 플리스 백킹(fleece backing)은 통상적으로 중합체 기반 장벽 층 및 방수되어야 하는 구조물의 충분한 접합을 제공하도록 사용된다.
방수 분야에서, 막은 통상적으로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후도포된다. 이 경우에, 막은 방수되어야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이의 접촉 층을 통해 접착제 또는 실링 테이프에 의해 접합된다. 그러나, 사전 도포되는 방수 분야에서, 막은 방수되어야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지어지기 전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 막은 기초 구조물 또는 거푸집에 맞대어 이의 장벽 층에 의해 배치되고, 이후 미경화 콘크리트(fresh concrete)는 접촉 층의 표면에 대해 캐스팅되어서, 경화하는 콘크리트의 표면에 막을 완전히 및 영구적으로 접합시킨다.
사전 도포되는 방수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접촉 층 및 접촉 층에 대해 캐스팅된 미경화 콘크리트에 장벽 층을 접합시키도록 접착제를 사용한다. 접착제는 침투하는 물에 높은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경화 전에 또한 미경화 콘크리트가 접촉 층으로 깊게 침투하게 해야 한다.
다층 방수막과 관련된 주요 도전과제 중 하나는 장벽 층의 누수의 경우에 잠입 후 수밀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잠입 후 수밀성은 일반적으로 실링 건축물이 막과 방수된 표면 사이의 공간으로 잠입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벽 층의 누수는 안으로 자라는 식물 뿌리, 재료 불량 또는 막에 대한 인장 또는 전단 힘의 결과일 수 있다. 잠입 후 수밀성이 소실되면, 물은 막 아래로 측면으로 흐르고, 빌딩 구조물의 내부를 침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장벽 층의 누수의 정확한 위치는 또한 검출하기 어렵다.
US8793862B2는 장벽 층, 장벽 층의 일 측에 배열된 복합 층 및 장벽 층과 복합 층 사이의 실란트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방수막을 기재한다. 실란트의 네트워크는 장벽 층에서의 물 누수의 경우에 침투하는 물에 의해 영향을 받는 구역의 크기를 제한한다고 말해진다. 방수 분야에서, 장벽 층이 콘크리트 기부에 맞대어 지향되고, 복합 층이 막에 대해 캐스팅된 콘크리트를 마주보는 방식으로 막이 표면밑에 도포된다. 경화 공정 동안, 경화된 콘크리트에 의해 양호한 접합을 형성하는 액체 콘크리트가 복합 층을 침투한다.
US2015/0231863A1은 매우 알칼리성인 매질 및 접착제의 영향 하에 점조도를 변화시키는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기능성 층 및 장벽 층을 포함하는 방수막을 개시한다. 기능성 층이 액체 콘크리트와 접촉하면, 열가소성 중합체는 용해하고, 접착제가 캐스트된 콘크리트에 접합하게 한다. 기능성 층은 다른 열가소성 중합체, 필러 또는 콘크리트 구성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층의 건축물은 막의 접착제 역량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악천후에서 막과 작업하게 한다고 말해진다.
최신 기술의 다층 방수막의 하나의 단점은 접착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고, 이는 막 빌드업의 복잡함 및 결과적으로 이러한 막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접착제는 장벽 층에서 낮은 표면 에너지 중합체에 양호한 결합을 제공하고, 접촉 층 및 미경화 콘크리트에 강한 접합을 형성하고, 변하는 온도 범위, UV 조사 및 산화에 양호한 저항을 가져야 한다. 모든 요건을 충족시키는 접착제는, 어쨌든 이용 가능한 경우, 비싸고 그러므로 이러한 막의 제조 비용을 상당한 양으로 증가시킨다.
최신 기술의 다층 방수막의 또 다른 단점은 막과 방수되어야 하는 기재 사이의 충분한 접합을 제공하도록 접촉 층으로서의 플리스 백킹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방수 및 지붕공사 분야에서, 인접한 막 시트는 실링 건축물의 수밀성을 보장하는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서로에 균일하게 접합되어야 한다. 플리스 백킹을 갖는 막은 열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없지만, 대신에 막의 엣지는 접착제에 의해 또는 시임(seam)의 상부에 접착되거나 시임 아래에 있는 실링 테이프에 의해 함께 접합되어야 한다. 인접한 막 시트를 접합시키는 접착제 또는 실링 테이프의 사용은 설치 공정을 복잡하게 하고, 도포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어 지하실 방수, 지붕공사 및 터널공사 분야에서 물 침투에 대해 표면을 보호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경화 후 막에 캐스팅된 콘크리트 및 다른 시멘트질 조성물에 완전히 및 영구적으로 접합하는 단순화된 막, 및 건축 산업에서 흔히 사용되는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누수하는 장벽 층의 경우에 잠입 후 수밀성을 보유하는 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욱 또 다른 목적은 기계적 응력에 대해 양호한 열 용접 특성 및 양호한 안정성을 갖는 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언급된 목적은 제1항에 따른 막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주요 개념은 막이 열가소성 장벽 층 및 장벽 층의 적어도 일부에 접합된 접촉 층을 포함한다는 것이고, 접촉 층은 고체 필러 성분 및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접촉 층의 특성은 경화 후 시멘트질 조성물, 및 건축 산업에서 흔히 사용되는 접착제에 막이 완전히 접합되게 한다.
막의 이점 중 하나는 이의 단순한 빌드업이고, 이는, 시멘트질 조성물에 대한 완전 및 영구적인 접합 및 잠입 후 수밀성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최신 기술의 막과 비교하여 더 낮은 제조 비용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막이 양호한 열 용접 특성을 가진다는 것이고, 이는 인접한 막이 중첩하는 막 시트를 접합시키도록 접착제 또는 실링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 대신에 열 용접에 의해 균질하게 접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막을 제조하는 방법, 기재를 방수하기 위한 방법, 방수된 건축물, 기재를 실링하는 방법 및 실링된 배열이 제공된다.
도 1은 장벽 층 및 접촉 층을 갖는 막의 횡단면을 보여준다.
도 2는 장벽 층 및 2개의 접촉 층을 갖는 본 발명의 막의 횡단면을 보여준다.
용어 "중합체"는 거대분자가 이의 중합도, 분자량 및 사슬 길이와 관련하여 다른 폴리반응(polyreaction)(중합, 중첨가, 중축합)에 의해 제조된 화학적으로 균일한 거대분자의 집합을 지칭한다. 상기 용어는 또한 폴리반응으로부터 생긴 거대분자의 상기 집합의 유도체, 즉 미리 결정된 거대분자에서 예를 들어 작용기의 부가 또는 치환과 같은 반응에 의해 얻어지고, 화학적으로 균일하거나 화학적으로 불균일할 수 있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용어 "중합체 성분"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지칭한다.
용어 "불활성 광물성 필러"는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광물성 필러를 지칭한다. 이것은 채광에 이어 필요한 입자 크기 및 형상으로 분쇄함으로써 천연 광물성 소스로부터 제조된다. 특히, 불활성 광물성 필러는 모래, 탄산칼슘, 결정질 실리카, 백운석, 점토, 활석, 운모, 규회석, 중적석, 진주암, 규조토, 부석 및 질석을 포함한다.
광물성 필러로서 탄산칼슘이란 본 문헌에서 분쇄 및/또는 침전에 의해 백악, 석회석 또는 대리석으로부터 제조된 방해석질 필러로서 이해된다.
용어 "모래"는 기계적 및 화학적 분해 동안 원래의 그레인 구조로부터 떨어지고 이의 침착 지점으로 운반되는 원형 또는 각이 진 작은 그레인의 헐거운 집합체(헐거운 침전물)인 광물성 쇄설성 침전물(쇄설성 암석)을 지칭하고, 상기 침전물은 50중량% 초과, 특히 75중량%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초과의 SiO2 함량을 가진다.
용어 "광물성 결합제"는 물의 존재 하에 고체 수화물 또는 수화물 상의 형성 하에 수화 반응에서 반응하는 결합제를 지칭한다. 특히, 용어 "광물성 결합제"는 비수화된 광물성 결합제, 즉 물과 혼합되고 수화 반응에서 반응하지 않는 광물성 결합제를 의미한다.
용어 "수경성 결합제"는 물과의 화학 반응("수화 반응")의 결과로서 경화하고 수용성이 아닌 수화물을 제조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특히, 수경성 결합제의 수화 반응은 본질적으로 물 함량에 독립적으로 발생한다. 이것은 수경성 결합제가 물속 또는 높은 습도 조건 하와 같은 물에 노출될 때에도 경화하고 이의 강도를 보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경성 결합제의 예는 시멘트, 시멘트 클링커(cement clinker) 및 수경성 석회를 포함한다. 반대로, "비수경성 결합제", 예컨대 공기-소석회(비수경성 석회) 및 석고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성이고, 이의 강도를 보유하기 위해 건조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용어 "석고"는 석고, 특히 황산칼슘 탈수물, 황산칼슘 α-반수화물, 황산칼슘 ß-반수화물 또는 황산칼슘 경석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임의의 공지된 형태를 지칭한다.
용어 "잠재 수경성 결합제"는 DIN EN 206-1:2000에 따라 잠재 수경성 특징을 갖는 특정한 II형 콘크리트 첨가제를 지칭한다. 이 재료는 물과 혼합될 때 바로 경화할 수 없거나 너무 느리게 경화하는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이다. 경화 공정은 결합제의 비정질(또는 유리질) 상에서 화학 결합을 파괴하고, 이온성 종의 해리 및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수화물 상의 형성을 촉진하는 알칼리 활성제의 존재 하에 가속된다. 잠재 수경성 결합제의 예는 입상 고로 슬래그를 포함한다.
용어 "포졸란 결합제"는 DIN EN 206-1:2000에 따라 포졸란 특징을 갖는 특히 II형 콘크리트 첨가제를 지칭한다. 이 재료는 물 및 수산화칼슘과 반응하여 규산칼슘 수화물 또는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수화물 상을 형성하는 규산질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화합물이다. 포졸란 결합제는 천연 포졸란, 예컨대 트래스(trass) 및 인공 포졸란, 예컨대 비산회 및 실리카 퓸을 포함한다.
용어 "시멘트"는, 주요 성분으로서 수경성 결합제 이외에, 보통 적은 분량의 황산칼슘(석고 및/또는 반수화물 및/또는 경석고), 및 임의로 2차 성분 및/또는 시멘트 첨가제, 예컨대 분쇄 조제를 함유하는 분쇄된 수경성 결합제를 지칭한다. 주요 성분은 5중량% 초과의 분량으로 함유된다. 주요 성분은 클링커 또는 시멘트 클링커라 또한 칭해지는 포틀랜드 시멘트 클링커, 슬래그 모래, 천연 또는 인공 포졸란, 비산회, 예를 들어 규산질 또는 석회질 비산회, 브런트 셰일(burnt shale), 석회석 및/또는 실리카 퓸일 수 있다. 2차 성분으로서, 시멘트는 클링커 제조로부터 기원하는 5중량% 이하의 미세하게 분쇄된 무기 광물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용어 "시멘트질 조성물"은 콘크리트, 숏크리트, 그라우트, 모르타르, 페이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지칭한다. 용어 "페이스트", "모르타르", "콘크리트", "숏크리트" 및 "그라우트"는 최신 기술에서 널리 공지된 용어이다. 페이스트는 수화 가능한 시멘트 결합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미장용 시멘트 또는 모르타르 시멘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모르타르는 미세한 골재, 예를 들어 모래를 추가로 포함하는 페이스트이다. 콘크리트는 조악한 골재, 예를 들어 부순 자갈 또는 돌을 추가로 포함하는 모르타르이다. 숏크리트는 호스를 통해 운송되고 표면으로 고속으로 공압으로 분출된 콘크리트(또는 때때로 모르타르)이다. 그라우트는 갭을 충전하기 위해 사용된 콘크리트의 특별히 유동 가능한 형태이다. 시멘트질 조성물은 특정한 시멘트질 조성물을 제조하도록 필요한 양의 소정의 성분, 예를 들어 수화 가능한 시멘트, 물, 및 미세한 및/또는 조악한 골재를 혼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용어 "미경화 시멘트질 조성물" 또는 "액체 시멘트질 조성물"은 경화 전의, 특히 응결 전의 시멘트질 조성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제1 양태에서 제1 및 제2 반대 표면을 갖는 장벽 층(S1) 및 제1 및 제2 반대 표면을 갖는 접촉 층(S2)을 포함하는 막으로서, 장벽 층(S1)의 제1 표면 및 접촉 층(S2)의 제2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에 직접 접합되고, 장벽 층(S1)은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1)을 포함하고, 접촉 층(S2)은 고체 필러 성분(F) 및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장벽 층(S1) 및 접촉 층(S2)은 통상적으로 말초 엣지에 의해 획정된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갖는 시트 유사 부재이다. 접촉 층의 제2 표면은 장벽 층의 제1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또는 장벽 층의 전체 제1 표면에 걸쳐 접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층의 제2 표면은 장벽 층의 전체 표면에 걸쳐 접합된다.
본 발명의 막의 일 실시형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이 도면은 제1 및 제2 반대 표면을 갖는 장벽 층(S1) 및 장벽 층(S1)의 제1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합된 제1 및 제2 반대 표면을 갖는 접촉 층(S2)으로 이루어진 막의 횡단면을 보여준다.
장벽 층(S1)의 제1 표면은 접촉 층(S2)의 제2 표면에 직접 접합된다. 표현 "직접 접합된"은 층들 사이에 추가의 층 또는 물질이 존재하지 않고, 2개의 층이 직접 서로에 접합되거나, 서로에 접착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2개의 층 사이의 전환 구역에서, 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또한 서로와 혼합되어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은 25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225℃, 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00℃, 가장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150℃의 융점을 가진다. 상기 언급된 범위에서의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의 융점을 갖는 접촉 층은 특히 양호한 콘크리트 접착 강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용어 "융점"은 동적 시차 열량법(dynamic differential calorimetry: DSC)에 의해 ISO 11357 규격에 따라 결정된 곡선의 최대를 의미한다. 융점에서, 재료는 고체 상태로부터 액체 상태로 전이를 겪는다. 측정은 2℃/분의 가열 속도로 Mettler Toledo 822e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융점 값은 DSC 소프트웨어의 도움에 의해 측정된 DSC 곡선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고체 필러 성분(F)은 접촉 층의 특성이 막의 길이에 걸쳐 상당히 변하지 않도록 보장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접촉 층(S2)에서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균일하게, 분산된다.
고체 필러 성분(F)은 바람직하게는 불연속 입자 기반 상으로서 접촉 층(S2)에 존재하고, 이것은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의 연속 상 중에 분산된다.
접촉 층(S2)에서의 고체 필러 성분(F)의 양은 접촉 층이 시멘트질 조성물에 접합되는 접착제의 충분한 강도가 가능하게 하도록 높아야 한다. 다른 한편, 고체 필러 성분(F)의 양의 증가는 또한 접촉 층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이는 소정의 실링 분야에 막이 적합하지 않게 만들 수 있다.
고체 필러 성분(F)의 양은, 접촉 층(S2)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내지 90.0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필러 성분(F)의 양은, 접촉 층(S2)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0 내지 80.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7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70.00중량%이다. 특히, 고체 필러 성분(F)의 양은, 접촉 층(S2)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0 내지 70.0중량%,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7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65.0중량%이다.
방수 분야에서, 막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물 침투에 대해 실링되어야 하는 기재, 예를 들어 콘크리트 표면에 막이 접합되는 접착제의 강도이다. 접착제의 강도가 너무 낮은 경우, 막과 기재의 표면 사이에 갭이 더 용이하게 형성되고, 이는 잠입 후 수밀성의 소실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막은 적어도 5N/5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N/5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N/5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N/5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N/50㎜의 콘크리트 접착 강도를 가진다. 특히, 막은 적어도 40N/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5N/5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N/5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5N/5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N/50㎜의 콘크리트 접착 강도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막은 10 내지 400N/50㎜,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0N/5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N/50㎜,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50N/50㎜의 범위의 콘크리트 접착 강도를 가진다.
용어 "막의 콘크리트 접착 강도"는, 접촉 층의 표면에 캐스팅되고 표준 분위기(공기 온도 23℃, 상대 공기 습도 50%) 하에 28일 동안 경화된, 콘크리트 시편의 표면으로부터의 막의 박리 시 막의 단위 폭당 평균 박리 저항[N/㎜]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막의 콘크리트 접착 강도는 하기 기재된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막의 콘크리트 접착 강도를 결정하는 방법
평균 박리 저항의 측정을 위해, 이의 표면에 접착된 시험 막의 샘플을 갖는 콘크리트 시험 시편을 처음에 제조한다.
200㎜(길이) x 50㎜(폭)의 치수를 갖는 샘플 막을 처음에 시험 막으로부터 절단한다. 경화된 콘크리트에 대한 접착을 방지하도록 접촉 층의 측에서 샘플 막의 일 엣지를 샘플 막의 폭과 일치하는 폭 및 50㎜의 길이를 갖는 접착제 테이프에 의해 커버한다. 박리 저항 시험 장치에 콘크리트 시험 시편의 더 용이한 설치를 제공하도록 접착제 테이프를 사용한다. 샘플 막을 200㎜(길이) x 50㎜(폭) x 30㎜(높이)의 치수를 갖는 거푸집으로 배치하고, 샘플 막의 접촉 층은 위로 향하고, 장벽 층은 거푸집의 바닥에 맞대어 있다.
콘크리트 시편의 제조를 위해, 미경화 콘크리트 제제를 5분 동안 텀블링 혼합기에서 92.06중량%의 타입 MC 0.45의 콘크리트 건조 배취(batch)와 7.73중량%의 물 및 0.21중량%의 Sikament-12S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한다. 타입 MC 0.45의 콘크리트 건조 배취는 17.21중량%의 CEM I 42.5 N 시멘트(바람직하게는 Normo 4, Holcim) 및 3.0중량%의 Nekafill-15(KFN사제) 콘크리트 첨가제(석회석 필러), 24.0중량%의 0 내지 1㎜의 입자 크기를 갖는 모래, 36.0중량%의 1 내지 4㎜의 입자 크기를 갖는 모래 및 37중량%의 4 내지 8㎜의 입자 크기를 갖는 자갈을 함유하는 74.84중량%의 골재를 함유한다. 물 및 Sikament-12S와 블렌딩 전에, 콘크리트 건조 배취를 텀블링 혼합기에서 5분 동안 균질화한다.
샘플 막을 함유하는 거푸집을 후속하여 미경화 콘크리트 제제에 의해 충전하고, 2분 동안 진동시켜 비말동반된 공기를 방출시킨다. 1일 동안 경화 후, 콘크리트 시편을 거푸집으로부터 벗겨내고, 평균 박리 저항을 측정하기 전에 28일 동안 표준 분위기(공기 온도 23℃, 상대 공기 습도 50%) 하에 저장한다.
콘크리트 시편의 표면으로부터의 샘플 막의 박리 시 평균 박리 저항을 Zwick Roell 90°-박리 장치가 구비된 Zwick Roell AllroundLine Z010 재료 시험 장치 또는 DIN EN 1372 규격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유사한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박리 저항 측정에서, 콘크리트 시편을 샘플 막의 테이핑된 섹션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시편의 말단에서 10㎜의 길이에 대해 재료 시험 장치의 상부 그립에 의해 클램핑한다. 이후, 90°의 박리 각도에서 및 100±10㎜/분의 일정한 가로보 속도(cross beam speed)로 콘크리트 시편의 표면으로부터 샘플 막을 박리한다. 박리 저항 측정 동안, 롤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570㎜이다. 콘크리트 시편의 표면으로부터 샘플 막의 대략 140㎜의 길이가 박리될 때까지 샘플 막을 계속해서 박리한다. 평균 박리 저항은 대략 70㎜의 길이에 걸쳐 박리 동안 막의 단위 폭당 평균 박리 힘[N/50㎜]으로서 계산되어서, 계산에서 전체 박리 길이의 처음 및 마지막의 ¼을 배제한다.
고체 필러 성분(F)은 바람직하게는 유기 필러, 불활성 광물성 필러 및 광물성 결합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고체 필러 성분(F)은 불활성 광물성 필러 및 광물성 결합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고체 필러 성분(F)은 불활성 광물성 필러이다. 불활성 광물성 필러는 바람직하게는 모래, 탄산칼슘, 결정질 실리카 및 활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필러 성분(F)은 수경성, 비수경성, 잠재 수경성, 화산재질 결합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광물성 결합제를 포함한다. 고체 필러 성분(F)은 불활성 광물성 필러, 예컨대 모래, 탄산칼슘, 결정질 실리카 또는 활석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필러 성분(F)은 적어도 60.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0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0중량%의 광물성 결합제를 함유한다.
고체 필러 성분(F) 바람직하게는 수경성 결합제, 특히 시멘트 또는 시멘트 클링커를 포함한다. 고체 필러 성분(F)은 잠재 수경성 및/또는 포졸란 결합제, 바람직하게는 슬래그 및/또는 비산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고체 필러 성분(F)은 5.0 내지 50.0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40.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중량%의 잠재 수경성 및/또는 포졸란 결합제, 바람직하게는 슬래그 및/또는 비산회 및 적어도 3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5.0중량%의 수경성 결합제, 바람직하게는 시멘트 또는 시멘트 클링커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필러 성분(F)은 수경성 결합제, 바람직하게는 시멘트이다.
시멘트는 임의의 종래의 시멘트, 예를 들어 DIN EN 197-1에 따른 5개의 주요 시멘트 타입에 따른 것: 즉, 포틀랜드 시멘트(CEM I), 포틀랜드 복합 시멘트(CEM II), 고로 시멘트(CEM III), 포졸란 시멘트(CEM IV) 및 복합 시멘트(CEM V)일 수 있다. 이들 주요 시멘트 타입은, 첨가된 양에 따라,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고 DIN EN 197-1에 기재된, 추가의 27개의 시멘트 타입으로 세분된다. 자연히, 또 다른 규격, 예를 들어 ASTM 규격 또는 인디안 규격에 따라 제조된 모든 다른 시멘트가 또한 적합하다. DIN 규격에 따른 시멘트 타입을 여기서 언급하는 정도로, 이것은 자연히 또한 또 다른 시멘트 규격에 따라 제조된 상응하는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체 필러 성분(F)은 바람직하게는 균일한 표면 특성을 갖는 접촉 층을 얻기 위해 미세하게 분쇄된 입자의 형태이다. 용어 "미세하게 분쇄된 입자"는 중앙치 입자 크기(d50)가 500㎛를 초과하지 않는 입자를 의미한다. 용어 중앙치 입자 크기(d50)는 모든 입자의 50용적%가 d50 값보다 작은 입자 크기를 의미한다.
용어 "입자 크기"는 입자의 등면적 구형 직경을 의미한다. 입자 크기 분포는 규격 ISO 13320:2009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레이저 회절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입자 크기 분포의 결정을 위해, 입자는 물 중에 현탁된다(습식 분산 방법). Mastersizer 2000 장치(Malvern Instruments Ltd(영국)의 상표명)는 입자 크기 분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필러 성분(F)의 중앙치 입자 크기(d50)는 1.0 내지 300.0㎛,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0.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0㎛이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필러 성분(F)의 입자의 40중량%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미만,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미만은 5㎛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가지고, 고체 필러 성분(F)의 입자의 바람직하게는 40중량%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미만,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미만은 100㎛ 초과의 입자 크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입자의 적어도 98%의) 고체 필러 성분(F)의 전체 입자 크기는 25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200㎛ 미만,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100㎛ 미만이다.
접촉 층(S2)에서의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의 양의 증가는 장벽 층(S1)과 접촉 층(S2) 사이의 접착의 강도를 개선한다. 그러나, 소정의 한계를 초과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의 양의 증가는 또한 막의 콘크리트 접착 강도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의 양은, 제2 접촉 층(S2)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내지 90.0중량%,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80.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7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70.0중량%이다. 특히,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의 양은, 접촉 층(S2)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0 내지 70.0중량%,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7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65.0중량%이다.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의 임의의 종류는 접촉 층(S2)에서 사용되기에 원칙적으로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타이렌(PS), 폴리아마이드(PA), 클로로설포네이트화 폴리에틸렌(CSPE),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고무(EPDM), 폴리아이소뷰틸렌(PIB),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은 23℃의 온도에서 ISO 527-3 규격에 따라 측정된 1000MPa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750MPa 이하,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500MPa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450MPa 이하의 영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열가소성 성분(P)은 23℃의 온도에서 ISO 527-3 규격에 따라 측정된 50 내지 1000MPa,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0MPa, 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750MPa,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700MPa의 범위의 영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범위에서의 영 모듈러스를 갖는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을 함유하는 접촉 층은 양호한 콘크리트 접착 강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은 23℃의 온도에서 ISO 527-3 규격에 따라 측정된 150MPa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00MPa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50MPa 미만의 영 모듈러스룰 가진다. 상기 언급된 범위에서의 영 모듈러스를 갖는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을 갖는 접촉 층은 특히 높은 콘크리트 접착 강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이 적어도 7.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중량%의 비닐 아세테이트로부터 유도된 구조 단위(이하 "비닐 아세테이트 단위"라 칭함)의 함량을 바람직하게 갖는 적어도 1종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할 때, 막의 특성은 특히 적합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7.0중량% 내지 90.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70.0중량%의 범위의 비닐 아세테이트 단위의 함량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양은,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중량%이다. 특히, 적어도 1종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양은 5.0중량% 내지 90.0중량%,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90.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8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70.0중량%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중량%의 비닐 아세테이트 단위의 함량을 갖는 적어도 1종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양은,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의 총 양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0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0중량%이다.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바람직하게는 접촉 층의 사용 동안 발생하는 온도보다 낮다. 따라서,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의 Tg가 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5℃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어 "유리 전이 온도"는 ISO 11357 규격에 따라 DSC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의미하고, 이 온도 초과에서 중합체 성분은 연성이고 유연해지고, 이 온도 미만에서 이것은 경화하고 유리질이 된다. 측정은 2℃/분의 가열 속도로 Mettler Toledo 822e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Tg 값은 DSC 소프트웨어의 도움에 의해 측정된 DSC 곡선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접촉 층(S2)은 미경화 시멘트질 조성물과 접촉하기 전에 오직 적은 양의 물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층(S2)에서의 물의 양은, 접촉 층(S2)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미만,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1.5중량% 미만이다. 특히, 접촉 층(S2)에서의 물의 양은, 접촉 층(S2)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미만,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미만이다.
고체 필러 성분이 광물성 결합제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진 경우에, 적어도 접촉 층이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예컨대 미경화 시멘트질 조성물과 접촉할 때까지, 광물성 결합제는 실질적으로 비수화된 상태로 머물러야 한다. 접촉 층에 함유된 광물성 결합제 입자의 수화는 가요성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막의 취급 특성을 열화시킬 것이다. 이것은 막의 콘크리트 접착 강도에 또한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막이 일반 실온 및 50%의 상대 습도에서 몇 주 동안 저장되는 경우, 접촉 층에 함유된 광물성 결합제가 실질적으로 비수화된 채 머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접촉 층(S2)은, 접촉 층(S2)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의 수화된 광물성 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층(S2)은, 접촉 층(S2)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5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의 수화된 광물성 결합제를 포함한다.
비수화된 광물성 결합제를 함유하는 접촉 층(S2)을 제조하기 위해, 광물성 결합제를 함유하는 고체 필러 성분(F)은 건조 형태로, 즉 물과의 혼합 없이,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과 혼합된다. 광물성 결합제와 물의 혼합은 원치 않는 수화 반응의 개시를 발생시킬 것이다. 접촉 층(S2)은 바람직하게는 고체 필러 성분(F) 및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균질화된 용융물(이후 이것은 매니폴드 또는 플랫 다이를 통해 압출됨)로 용융 가공한 후, 캘린더 냉각 롤 사이에 압출된 재료를 냉각시킴으로써 얻어진다.
균질화된 용융물은 바람직하게는 고체 필러 성분(F) 및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의 융점을 초과하는 온도에서 용융 가공함으로써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균질화된 용융물은 실질적으로 물을 함유하지 않는다. 특히, 균질화된 용융물에서의 물의 양은, 균질화된 용융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2.5중량%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미만,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미만이다.
접촉 층(S2)의 제2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일반 실온(25℃)에서 비점착성이다. 시편의 표면이 점착성인지 또는 아닌지는 1초 동안 약 5㎏의 압력에서 엄지손가락에 의해 표면을 누르고, 이후 손을 올려서 시편을 들어올리려고 시도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엄지손가락이 표면에 부착된 채 있지 않고 시편이 올려지지 않는 경우, 표면은 비점착성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막의 상황에서, 점착성 시험에서 사용된 "시편"은 10㎝의 폭 및 20㎝의 길이를 갖는 막을 의미한다.
접촉 층(S2)의 제2 표면의 비점착성은 테이프를 이형시키지 않으면서 막을 제조하게 하고(막의 다른 표면은 서로에 접착하지 않음), 이는 작업 부위에서 제거되고 폐기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1)은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과 혼화성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1)은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과 단접가능성(weldable)이다. 서로와 "단접가능성"인 중합체 성분은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1)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층이 적어도 열가소성 성분(P2)으로 이루어진 또 다른 열가소성 층과 열 용접에 의해 균일하게 접합될 수 있다는 것을 여기서 의미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1) 및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은 적어도 공통 중합체를 포함한다.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1) 및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은 동일한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접촉 층(S2)은, 고체 필러 성분(F) 및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 이외에, 첨가제, 예컨대 UV 및 열 안정화제, 가소화제, 발포제, 염료, 착색제, 안료, 소광제, 정전기방지제, 충격 개질제, 난연제 및 가공 조제, 예컨대 활택제,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및 데네스트 조제(denest aid)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층(S2)의 콘크리트 접착 강도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의 표면 조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 놀랍게도 밝혀졌다. 용어 "조도"는 표면의 비평탄화를 지칭하고, 이는 ISO 25178 규격에 따라 한정된 3차원(3D) 표면 조도 매개변수에 의해 수치화된다. 3D 표면 조도 매개변수는 광학 측정 방법에 의해 결정된 표면 기하구조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접촉 층(S2)의 제1 표면에 대해 ISO 25178 규격에 따라 한정된 하기 3D 표면 조도 매개변수는 막의 콘크리트 접착 강도와 상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평균 제곱근 조도(Sq), 평균 조도(Sa) 및 표면의 최대 높이(Sz).
평균 조도(Sa) 및 평균 제곱근 조도(Sq)는 표면의 비평탄화의 전체 측정치를 나타낸다. 이것은 다양한 텍스처 특징물의 구별되는 피크, 밸리 및 간격에서 비교적 비민감하다.
표면의 최대 높이(Sz)는 최대 피크 높이(Sp)와 최대 밸리 깊이(Sv) 사이의 차이로 계산된다. 최대 피크는 가장 높은 점의 높이이고, 최대 밸리 깊이는 표면의 가장 낮은 점의 깊이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접촉 층(S2)의 표면에 대한 평균 제곱근 조도(Sq), 평균 조도(Sa) 및 표면의 최대 높이(Sz)는 하기 기재된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표면에 대한 3D 표면 조도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방법
3D 표면 조도 매개변수의 결정에서, 표면의 표면 기하구조를 처음에 측정한다.
표면 기하구조의 측정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100㎜(길이) x 100㎜(폭)의 크기를 갖는 샘플 시트는, 샘플 시트가 완전히 평평하게 배치되도록 보장하도록, 바람직하게는 100㎜(길이) x 100㎜(폭) x 5㎜(높이)의 치수를 갖는 알루미늄 시트에 위로 향하게 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표면에 부착된다. 양면 접착제 테이프는 샘플 시트를 알루미늄 시트에 부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레이저 방식, 5x 대물렌즈/1x 광학 줌에 의한 배율, 25개의 단일 영상의 영상 정합에 의한 광시야(large-field) 관찰 및 x-y 방향에서의 1㎠의 측정 면적을 이용하여 3D 레이저 측정 공초점 현미경 Olympus LEXT OLS4000에 의해 표면의 표면 기하구조를 측정한다. 표면 기하구조 측정을 수행하는 데에, z 방향에서의 공초점 획득의 상한 및 하한은 라이브 컬러 이미지 방식에서 조동 및 미동을 조정한 후에 레이저 방식에서 바람직하게는 수동으로 조정된다.
표면에 대한 3D 표면 조도 매개변수는 이후 Olympus LEXT OLS4000 Application Version 2.1.3 소프트웨어에 의해 측정된 표면 기하구조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3D 표면 조도 매개변수는 광학 측정으로부터 얻어진 비여과된 1차 데이터세트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비여과된 데이터세트"는 데이터세트가 컷오프 길이 λs, λc 또는 λf를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채택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층(S2)의 제1 표면은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의 EN ISO 25178에 따른 3D 평균 제곱근 조도(Sq)를 가진다.
특히, 접촉 층(S2)의 제1 표면의 EN ISO 25178에 따른 3D 평균 제곱근 조도(Sq)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0㎛, 더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400.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250.0㎛의 범위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접촉 층(S2)의 제1 표면의 EN ISO 25178에 따른 3D 평균 제곱근 조도(Sq)는 10.0 내지 300.0㎛, 더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200.0㎛의 범위이다.
상기 언급된 범위의 접촉 층(S2)의 제1 표면의 3D 평균 제곱근 조도(Sq)를 갖는 막은 특히 양호한 콘크리트 접착 강도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층(S2)의 제1 표면은 적어도 10.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0㎛의 EN ISO 25178에 따른 3D 평균 조도(Sa)를 가진다.
특히, 접촉 층(S2)의 제1 표면의 EN ISO 25178에 따른 3D 평균 조도(Sa)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0㎛, 더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400.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250.0㎛의 범위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접촉 층(S2)의 제1 표면의 EN ISO 25178에 따른 3D 평균 조도(Sa)는 15.0 내지 300.0㎛, 더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50.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2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200.0㎛의 범위이다.
상기 언급된 범위의 접촉 층(S2)의 제1 표면의 3D 평균 조도(Sa)를 갖는 막은 특히 양호한 콘크리트 접착 강도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층(S2)의 제1 표면은 적어도 100.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5.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0㎛의 EN ISO 25178에 따른 3D 최대 표면 높이(Sz)를 가진다.
상기 언급된 범위의 접촉 층(S2)의 제1 표면의 3D 최대 표면 높이(Sz)를 갖는 막은 특히 양호한 콘크리트 접착 강도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접촉 층(S2)의 제1 표면은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의 EN ISO 25178에 따른 3D 평균 제곱근 조도(Sq) 및 적어도 100.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5.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0㎛의 EN ISO 25178에 따른 3D 최대 표면 높이(Sz)를 가진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접촉 층(S2)의 제1 표면은 적어도 10.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0㎛의 EN ISO 25178에 따른 3D 평균 조도(Sa) 및 적어도 100.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5.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0㎛의 EN ISO 25178에 따른 3D 최대 표면 높이(Sz)를 가진다.
장벽 층(S1)에서의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1)의 함량은, 장벽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0중량%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1)의 함량은, 장벽 층(S1)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7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0중량%이다.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의 임의의 종류는 장벽 층에서 사용되기에 원칙적으로 적합하다.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1)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타이렌(PS), 폴리아마이드(PA), 클로로설포네이트화 폴리에틸렌(CSPE),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고무(EPDM), 폴리아이소뷰틸렌(PIB)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장벽 층(S1)은 첨가제 및 가공제, 예컨대 필러, UV 및 열 안정화제, 가소화제, 활택제, 살생물제, 방염가공제, 항산화제, 안료, 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또는 카본 블랙 등, 염료 및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층(S2)의 두께에 대한 특정한 제한은 없다. 그러나, 50㎜ 초과의 접촉 층 두께를 갖는 막은 방수 분야에서 실용적이지 않고, 50㎛ 미만의 두께를 갖는 접촉 층은 원하는 기계적 특성으로 제조하기 어려운 것으로 발견되었다. 특히, 접촉 층(S2)은 적어도 0.1㎜,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5.0㎜,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0㎜,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의 두께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층(S2)은 0.1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0㎜, 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2.0㎜의 두께를 가진다. 접촉 층(S2)의 두께는 EN 1849-2에 따라 측정된다.
막이 통상적으로 제조 동안 롤로 권취되고, 이후 기재의 표면에 용이하게 도포되게 하도록 접촉 층(S2)이 소정의 가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가요성 접촉 층을 갖는 막이 더 양호한 콘크리트 접착 강도를 가진다는 것을 또한 발견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층(S2)은 30℃의 온도에서 EN ISO 6721-2:2008에 따라 600MPa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200MPa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MPa 미만의 전단 모듈러스를 가진다.
접촉 층(S2)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0g/㎡, 더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6000g/㎡,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3000g/㎡의 단위 면적당 질량을 가진다. 단위 면적당 질량은 EN 1849-2 규격에 따라 측정된다.
접촉 층(S2)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3.00g/㎤, 특히 0.30 내지 2.75g/㎤, 더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2.50g/㎤,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0.40 내지 2.00g/㎤, 가장 바람직하게는 0.50 내지 1.50g/㎤이다. 접촉 층의 밀도는 부력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장벽 층(S1)의 두께는 어떤 특정한 제한으로 처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15㎜ 초과 및 10㎛ 미만의 장벽 층 두께를 갖는 막은 방수 분야에서 보통 실용적이지 않다. 장벽 층(S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5㎜,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의 범위이다.
장벽 층이 가요성 플라스틱 층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막이 통상적으로 제조 동안 롤로 권취되고, 이후 기재의 표면에 용이하게 도포되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장벽 층의 가요성의 증가가 막의 콘크리트 접착 강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또한 발견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장벽 층(S1)은 30℃의 온도에서 EN ISO 6721-2:2008에 따라 600MPa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500MPa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MPa 미만의 전단 모듈러스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층(S2)은 장벽 층(S1)과 단접가능성이다. "단접가능성"은 층이 열 용접에 의해 서로에 균일하게 접합될 수 있다는 것을 여기서 의미한다.
막이 방수막으로서 도포되는 경우에, 장벽 층(S1)은 가능한 한 방수이고, 물 또는 수분의 연장된 영향 하에서도 분해하거나 기계적으로 손상되지 않아야 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장벽 층(S1)은
EN 12691: 2005에 따라 측정된 200 내지 1500㎜의 내충격성,
DIN ISO 527-3에 따라 측정된 23℃의 온도에서의 적어도 5MPa의 종단 및 횡단 인장 강도,
DIN ISO 527-3에 따라 측정된 23℃의 온도에서의 적어도 300%의 종단 및 횡단 파단시 연신율,
EN 1928 B에 따라 측정된 24시간 동안 0.6bar에서의 내수성, 및
EN 12310-2에 따라 측정된 적어도 100N의 최대 인열 강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막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고, 이 도면은 제1 표면 및 제2 반대 표면을 갖는 제2 접촉 층(S2')을 추가로 포함하는 막의 횡단면을 보여주고, 여기서 장벽 층(S1)의 제2 표면 및 접촉 층(S2')의 제1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에 직접 접합되고, 제2 접촉 층(S2')은 고체 필러 성분(F') 및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접촉 층(S2')은 통상적으로 말초 엣지에 의해 획정된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갖는 시트 유사 부재이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필러 성분(F')은 제2 접촉 층(S2')에서의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균일하게, 분산된다.
고체 필러 성분(F')의 양은, 제2 접촉 층(S2')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내지 80.0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필러 성분(F')의 양은, 제2 접촉 층(S2')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0 내지 7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70.0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65.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60.0중량%이다.
고체 필러 성분(F')은 바람직하게는 유기 필러, 불활성 광물성 필러 및 광물성 결합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고체 필러 성분(F')은 불활성 광물성 필러 및 광물성 결합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고체 필러 성분(F) 바람직하게는 수경성 결합제, 특히 시멘트 또는 시멘트 클링커를 포함한다.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은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1)과 혼화성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은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1)과 단접가능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의 양은, 제2 접촉 층(S2')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0 내지 8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80.0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7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70.0중량%이다.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의 임의의 종류는 제2 접촉 층(S2')에서 사용하기에 원칙적으로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에틸렌-*j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타이렌(PS), 폴리아마이드(PA), 클로로설포네이트화 폴리에틸렌(CSPE),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고무(EPDM), 폴리아이소뷰틸렌(PIB),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접촉 층(S2) 및 제2 접촉 층(S2')은 동일한 조성을 가진다.
특히 막이 평평하지 않은 콘크리트 표면의 방수에 사용될 때, 막의 표면에 캐스팅된 콘크리트의 압력으로 인해 또는 표면의 오목한 부분에 걸쳐 신장된 막에 인가된 국부적 응력으로 인해 막이 파괴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막은 23℃의 온도에서 규격 DIN ISO 527-3에 따라 측정된 적어도 5MPa,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MPa의 인장 강도 및 23℃의 온도에서 표준 DIN ISO 527-3에 따라 측정된 적어도 10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0%의 파단시 연신율을 가진다.
방수 분야에서 사용된 막의 하나의 중요한 특징은 잠입 후 수밀성이다. 잠입 후 수밀성은 막과 방수된 표면 사이 또는 장벽 층의 누수 후 막의 층들 사이의 공간에서의 잠입된 물의 분산에 저항하는 막의 능력을 기재한다.
잠입 후 수밀성은 ASTM 5385 규격 측정 방법에 기초하여 변형된 수밀성 시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변형된 수밀성 시험 ASTM 5385M에서, 10㎜의 직경을 갖는 홀은 막으로 펀칭되고, 이후 이것은 콘크리트 슬래브에 접착한다. 펀칭된 막의 수밀성은 원래의 ASTM 5385 방법에 기재된 바와 같은 동일한 종류의 장치에 의해 시험된다. 시험 장치 내부의 물 압력은 0.25 내지 7bar 사이의 값으로 증가하고, 시험은 기재된 시간 기간 동안 계속된다. 시험의 종료 시, 콘크리트 슬래브는 시험 장치로부터 제거되고, 막의 적어도 일부는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 물이 콘크리트 표면과 막 사이에 및/또는 막의 상이한 층들 사이에 침범하는지를 결정한다. 홀 근처의 오직 적은 구역, 예컨대 2.50㎜ 이하의 직경을 갖는 원이 물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경우, 막은 ASTM 5385M에 따라 잠입 후 수밀성인 것으로 생각된다.
바람직하게는, 시험이 7bar의 압력에서 수행되고 7일 동안 지속할 때, 막은 ASTM 5385M에 따라 잠입 후 수밀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장벽 층(S1)으로부터의 접촉 층(S2)의 층간 박리 강도는 적어도 50N/5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N/5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N/50㎜이다.
용어 "층간 박리 강도"는 장벽 층(S2)으로부터 180°의 각도로 일 엣지로부터 접촉 층(S1)을 박리 시 접촉 층의 50㎜당 평균 박리 저항(N)을 의미한다. 층간 박리 저항은 ISO 1139 규격에 따라 T 박리 저항 시험에 따라 측정된다.
고체 필러 성분(FF'),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1, P2, P2')에 대해 상기 제공된 바람직함은 본 발명의 모든 양태에 동등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막을 제조하는 방법이 상기 자세히 기재되면서 이것이 제공된다. 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중합체 기반 시트 및 필름을 포함하는 복합 막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임의의 종래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막은 압출, 캘린더링, 압축 또는 캐스팅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접촉 층(S2)의 성분을 포함하는 균질화된 용융물 및 장벽 층(S1)의 성분을 포함하는 균질화된 용융물을 압출하고/하거나 캘린더링하고/하거나 공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접촉 층(S2)의 성분을 포함하는 균질화된 용융물은 압출기 또는 혼련기에서 고체 필러 성분(F) 및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용융 균질화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용융 균질화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 통상적으로 적어도 20℃ 초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초과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균질화된 용융물에서의 물의 양은 1.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은 고체 필러 성분(F)이 사이드 피더(side feeder)를 통해 압출기로 공급되기 전에 압출기에서 용융 가공된다. 조성물의 성분의 일부 또는 전부는 건조 블렌드를 얻도록 혼합 장치에서 처음에 또한 혼합될 수 있고, 이 블렌드는 이후 압출기 또는 혼련기로 공급된다. 조성물의 성분은 펠렛 또는 과립을 얻기 위해 배합 압출기에서 또한 처음에 혼합될 수 있고, 이것은 이후 압출기 또는 혼련기로 공급된다.
장벽 층(S1)의 성분을 포함하는 균질한 용융물은 압출기 또는 혼련기에서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1)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용융 균질화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별개의 공정에서 장벽 층(S1) 및 접촉 층(S2)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후 층은 라미네이션에 의해 서로에 접합된다.
장벽 층(S1) 및 접촉 층(S2)은 압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이 공정은 장벽 및 접촉 층의 성분을 포함하는 균질화된 용융물을 매니폴드 또는 플랫, 환형, 슬롯 또는 캐스팅된 다이, 바람직하게는 매니폴드 또는 플랫 다이를 통해 압출하는 단계 및 캘린더 냉각 롤 사이로 재료의 압출된 웹을 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조된 층의 두께는 다이 립(die lip) 조정에 의해 및/또는 냉각 롤 사이의 갭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문헌["Kunststoff Verarbeitung" by Schwarz, Ebeling and Furth, 10th Edition 2005, Vogel Buchverlag, paragraph 5.7.2]에 기재된 바와 같은 플랫 필름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임의의 종래의 압출기 장치는 압출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장벽 층(S1) 및 접촉 층(S2)은 일련의 캘린더 롤 사이에 각각의 층의 성분을 포함하는 균질화된 용융물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캘린더링 공정에 의해 또한 제조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균질화된 용융물은 롤의 폭에 걸쳐 분산되고, 연신되고, 마지막으로 냉각되어 한정된 두께를 갖는 필름 또는 시트의 형태가 된다. 균질화된 용융물은 압출기에 의해 캘린더링 섹션의 상부로 및 제1 롤과 제2 롤 사이에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캘린더링 섹션은 적어도 4개의 롤을 포함한다. 문헌["Kunststoff Verarbeitung" by Schwarz, Ebeling and Furth, 10th Edition 2005, Vogel Buchverlag, chapter 3]에 기재된 바와 같은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필름 또는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임의의 종래의 캘린더링 장치는 캘린더링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제조된 장벽 층 및 접촉 층은 후속하여 임의의 종래의 라미네이션 기법에 의해, 압력의 영향 하에 바람직하게는 용접에 의해, IR 방사선에 의한 프레싱에 의해, 또는 가열된 캘린더 롤 사이로 프레싱에 의해 서로에 접합될 수 있다.
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동시-압출-캘린더링 공정일 수 있고, 이 공정에서 각각 장벽 층(S1) 및 접촉 층(S2)의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균질화된 용융물은 서로의 상부에 층으로서 동시에 압출되고, 이어서 캘린더 냉각 롤 사이로 압출된 이중 층 재료 웹을 켄칭한다.
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또한 제1 단계(여기서, 제1 층, 장벽 층(S1) 또는 접촉 층(S2)이 제조됨), 이어서 제2 단계(여기서, 제2 층의 성분을 포함하는 균질화된 용융물은 제1 층의 표면에서 매니폴드 또는 플랫, 환형, 슬롯 또는 캐스팅된 다이, 바람직하게는 매니폴드 또는 플랫 다이를 통해 압출됨)를 포함하는 2단계 공정일 수 있다. 이후, 이렇게 얻어진 이중 층 재료 건축물은 캘린더링 장치의 냉각 롤 사이로 냉각된다. 제1 층은 압출-캘린더링 공정에 의해 또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캘린더링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접촉 층(S2)을 얻기 위해 제1 압출 장치의 플랫 다이를 통해 접촉 층(S2)의 성분을 포함하는 균질화된 용융물을 압출하는 제1 단계, 이어서 시트 유사 덩어리(이것은 2개의 캘린더 롤 사이로 유입하는 접촉 층(S2)에 의해 압력의 영향 하에 함께 용접됨)를 얻기 위해 제2 압출 장치의 플랫 다이를 통해 장벽 층(S1)의 성분을 포함하는 균질화된 용융물을 압출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매니폴드 또는 플랫 다이를 통해 접촉 층(S2)의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균질화된 용융물을 압출하는 단계, 이어서 캘린더 롤 사이로 압출된 재료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최적 압출 온도는 접촉 층(S2)의 조성 및 압출 공정의 원하는 토출량(throughput)에 따라 달라진다. 압출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50℃, 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4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220℃, 가장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200℃이다. 용어 "압출 온도"는 압출기 다이 또는 매니폴드에서의 용융된 재료의 온도를 의미한다. 상기 기재된 온도 범위 내의 압출 온도에 의한 압출-캘린더링 공정에 의해 제조된 접촉 층을 갖는 막은 특히 양호한 콘크리트 접착 강도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바람직하게는, 압출 압력은 20.0 내지 350.0bar,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240bar, 더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200bar, 가장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130.0bar이다. "압출 압력"은 재료가 압출기 다이 또는 매니폴드에 진입하기 바로 전에 압출기 내부의 용융된 재료의 압력을 의미한다.
캘린더 롤 사이의 갭 크기는 접촉 층(S2)의 두께보다 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캘린더 롤 사이의 갭 크기는 접촉 층(S2)의 두께보다 10%, 25%, 50% 또는 75% 넓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접촉 층(S2)의 표면에서 매니폴드 또는 플랫 다이를 통해 장벽 층(S1)의 성분을 포함하는 균질화된 용융물을 압출하는 단계, 이어서 캘린더 롤 사이로 이렇게 얻어진 이중 층 재료 웹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장벽 층(S1)의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균질화된 용융물, 제1 접촉 층(S2)의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균질화된 용융물 및 제2 접촉 층(S2')의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균질화된 용융물을 압출하고/하거나, 캘린더링하고/하거나, 공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접촉 층(S2')의 성분을 포함하는 균질화된 용융물은 압출기 또는 혼련기에서 고체 필러 성분(F') 및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용융 균질화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장벽 층(S1) 및 접촉 층(S2S2')의 상기 언급된 성분을 포함하는 균질화된 용융물은 압출 및 캘린더링 공정에서 사용된 통상적인 첨가제, 예컨대 내부 활택제,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데네스트 조제, 산화 안정화제, 용융 강도 증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균질화된 용융물은 다른 첨가제, 예컨대 가소화제, 염료, 착색제, 안료, 소광제, 정전기방지제, 충격 개질제 및 난연제를 또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접촉 층(S2S2')에 대한 균질화된 용융물은, 고체 필러 성분(F/F') 및 적어도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P2') 이외에, 적어도 1종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발포제 및 임의로 발포제에 대한 적어도 1종의 활성제를 포함한다. 적합한 화학적 발포제의 예는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 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벤젠설포닐 하이드라자이드, 4,4-옥시벤젠설포닐 세미카바자이드, 4,4-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자이드), 다이페닐 설폰-3,3-다이설포닐 하이드라자이드, p-톨루엔설포닐 세미카바자이드, 중탄산나트륨, 탄산암모늄, 중탄산암모늄, 중탄산칼륨, 다이아조아미노벤젠, 다이아조아미노톨루엔, 하이드라조다이카본아마이드, 다이아조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바륨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 및 5-하이드록시테트라졸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발포제는 중탄산나트륨이다.
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제조된 접촉 층의 표면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후처리 단계, 예컨대 브러싱 및/또는 모래 블라스팅 및/또는 플라즈마 처리, 특히 공기 플라즈마 처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최종 생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롤의 형태로 저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기재를 방수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기재는 수분 및 물에 대해 실링되어야 하는 임의의 구조적 또는 토목공학 구조물, 예컨대 경화된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표면밑일 수 있다. 기재의 표면은 수평으로 배향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기재를 방수시키는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 장벽 층(S1)의 제2 표면이 기재의 표면에 맞대어 지향되도록, 기재의 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막을 도포하는 단계,
- 접촉 층(S2)의 제1 표면에 미경화 시멘트질 조성물을 캐스팅하는 단계, 및
- 미경화 시멘트질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미경화 시멘트질 조성물은 미경화 콘크리트 조성물이다.
경화 후 캐스팅된 시멘트질 조성물은 구조물, 특히 지상 또는 지하 구조물, 예를 들어 빌딩, 차고, 터널, 쓰레기 매립지, 보수지(water retention), 연못, 도랑 또는 미리 제작된 건축물에서의 사용을 위한 부재의 일부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기재를 방수시키는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 제2 접촉 층(S2')의 제2 표면이 접착제의 층과 접촉하도록, 기재의 표면에 접착제의 층을 도포하고 본 발명의 막에 의해 접착제의 층을 커버링하는 단계,
- 접촉 층(S2)의 제1 표면에 미경화 시멘트질 조성물을 캐스팅하는 단계, 및
- 접착제의 층 및 미경화 시멘트질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
접착제는 미경화 시멘트질 조성물 또는 합성 수지 기반 접착제, 예컨대 에폭시계 2성분 접착제 또는 EVA계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미경화 시멘트질 조성물일 수 있다.
경화 후 캐스팅된 시멘트질 조성물은 구조물, 특히 지상 또는 지하 구조물, 예를 들어 빌딩, 차고, 터널, 쓰레기 매립지, 보수지, 연못, 도랑 또는 미리 제작된 건축물에서의 사용을 위한 부재의 일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물 침투에 대해 기재를 방수하기 위한 방수된 건축물이 제공된다. 방수된 건축물은, 장벽 층(S1)의 제2 표면이 기재의 표면에 맞대어 지향되고, 접촉 층(S2)의 제1 표면이 콘크리트의 층의 표면에 완전히 접합되도록, 콘크리트의 층 및 기재의 표면과 콘크리트의 층 사이에 배열된 본 발명에 따른 막을 포함한다.
용어 "완전히 접합된"은 전체 표면에 대해 접착제로 접합되는 2개의 표면을 의미한다.
기재는 수분 및 물에 대해 실링되어야 하는 임의의 구조적 또는 토목공학 구조물, 예컨대 경화된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표면밑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물 침투에 대해 기재를 방수하기 위한 방수된 건축물은, 제2 접촉 층(S2')의 제2 표면이 기재의 표면에 맞대어 지향되고, 접촉 층(S2)의 제1 표면이 콘크리트의 층의 표면에 완전히 접합되도록, 콘크리트의 층 및 기재의 표면과 콘크리트의 층 사이에 배열된 본 발명에 따른 막을 포함한다.
기재는 수분 및 물에 대해 실링되어야 하는 임의의 구조적 또는 토목공학 구조물, 예컨대 경화된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표면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물 침투에 대해 기재를 실링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실링하는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 기재의 표면에 접착제의 층을 도포하는 단계,
- 접촉 층(S2)의 제1 표면 또는 제2 접촉 층(S2')의 제2 표면이 접착제의 층과 접촉하도록, 본 발명의 막에 의해 접착제의 층을 커버링하는 단계, 및
- 접착제의 층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접착제는 미경화 시멘트질 조성물 또는 합성 수지 기반 접착제, 예컨대 에폭시계 2성분 접착제 또는 EVA계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미경화 시멘트질 조성물, 특히 미경화 콘크리트 또는 숏크리트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물 침투에 대해 기재를 실링하는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 접촉 층(S2)의 제1 표면 또는 제2 접촉 층(S2')의 제2 표면에 접착제의 층을 도포하는 단계,
- 접착제의 층이 기재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본 발명의 막에 의해 기재의 표면을 커버링하는 단계, 및
- 접착제의 층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접착제는 미경화 시멘트질 조성물 또는 합성 수지 기반 접착제, 예컨대 에폭시계 2성분 접착제 또는 EVA계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미경화 시멘트질 조성물, 특히 미경화 콘크리트 또는 숏크리트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물 침투에 대해 기재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된 건축물이 제공된다. 실링된 건축물은, 제1 접촉 층(S2)의 제1 표면 또는 제2 접촉 층(S2')의 제2 표면이 접착제의 층에 의해 기재의 표면에 접합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막 및 막과 기재의 표면 사이에 배열된 접착제의 층을 포함한다.
접착제는 미경화 시멘트질 조성물 또는 합성 수지 기반 접착제, 예컨대 에폭시계 2성분 접착제 또는 EVA계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미경화 시멘트질 조성물, 특히 미경화 콘크리트 또는 숏크리트 조성물일 수 있다.
실시예
표 1에 기재된 재료는 실시예에서 사용되었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1
실시예 막의 제조
장벽 층 및 접촉 층을 각각 포함하는 실시예 막 EX1-EX9를 플랫 다이 및 물 냉각된 캘린더 롤의 세트를 포함하는 실험실 스케일 압출-캘린더링 장치에 의해 제조하였다. 층을 2축 압출기(Berstorff GmbH)에 의해 압출하였다.
각각의 실시예 막(EX)에 대해, 접촉 층(E)을 처음에 압출-캘린더링 장치에 의해 제조하고, 이후 장벽 층을 동일한 압출-캘린더링 장치를 사용하여 압출하고 접촉 층의 일 표면에 접합시켰다. 폴리에틸렌계 열가소성 막(Sika로부터 구입 가능한 WT 1210 HE)을 모든 실시예 막 EX1-EX9에서 장벽 층으로서 사용하였다.
장치의 압출기 부분은 플랫 다이가 장착되고, 접촉 층의 용융된 조성물을 다이 립을 사용하지 않고 압출하였다. 접촉 층의 중합체 성분을 처음에, 고체 필러 성분을 사이드 피더를 통해 압출기로 공급하기 전에, 중합체 성분의 용융 온도보다 대략 30℃ 높은 온도에서 압출기에서 용융 가공하였다. 제조된 접촉 층은 대략 1.50㎜의 두께를 갖는 한편, 장벽 층의 두께는 대략 0.5㎜이다. 장벽 층의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진 용융된 조성물을 각각의 접촉 층의 표면에서 플랫 다이에 의해 압출하고, 층을 함께 프레싱하고, 캘린더 냉각 롤 사이로 냉각시켰다.
실시예 막을 제조하는 동안 압출기-캘린더 장치의 조작 조건은 표 2에 제시되어 있고, 실시예 막 EX1-EX9의 접촉 층(E)의 조성은 표 3에 제시되어 있다. 압출 온도 및 압력을 용융된 덩어리가 플랫 다이에 진입하는 지점에서 측정하였다. 냉각 롤의 온도는 제조 기간 동안 대략 20℃이다.
Figure pct00002
콘크리트 시험 시편의 제조
상기 기재된 바대로 제조된 실시예 막 EX1-EX9의 각각으로부터 200㎜(길이) x 50㎜(폭)의 치수를 갖는 3개의 샘플 막을 절단하였다. 샘플 막을 200㎜(길이) x 50㎜(폭) x 30㎜(높이)의 치수를 갖는 거푸집으로 배치하고, 접촉 층은 위로 향하고, 장벽 층은 거푸집의 바닥에 맞대어 있었다.
경화된 콘크리트에 대한 접착을 방지하도록 접촉 층의 측에서 각각의 샘플 막의 일 엣지를 막 샘플의 폭과 일치하는 폭 및 50㎜의 길이를 갖는 접착제 테이프에 의해 커버하였다. 박리 저항 시험 장치에 시험 시편의 더 용이한 설치를 제공하도록 접착제 테이프를 사용하였다.
콘크리트 시편의 제조를 위해, 미경화 콘크리트 제제의 배취를 제조하였다. 텀블링 혼합기에서 5분 동안 EN 1766 규격에 부합하는 타입 MC 0.45의 8.9900㎏의 콘크리트 건조 배취, 0.7553㎏의 물 및 0.0202㎏의 Sikament-12S를 혼합함으로써 미경화 콘크리트 제제를 얻었다. 타입 MC 0.45의 콘크리트 건조 배취는 1.6811㎏의 CEM I 42.5 N 시멘트(Normo 4, Holcim), 3%의 Nekafill-15(KFN사제) 콘크리트 첨가제(석회석 필러), 24%의 0 내지 1㎜의 입자 크기를 갖는 모래, 36%의 1 내지 4㎜의 입자 크기를 갖는 모래 및 37%의 4 내지 8㎜의 입자 크기를 갖는 자갈을 함유하는 7.3089㎏의 골재를 함유한다. 물 및 Sikament-12S와 블렌딩 전에, 콘크리트 건조 배취를 텀블링 혼합기에서 5분 동안 균질화하였다.
샘플 막을 함유하는 거푸집을 후속하여 미경화 콘크리트 제제에 의해 충전하고, 2분 동안 진동시켜 비말동반된 공기를 방출시켰다. 1일 동안 경화 후, 시험 콘크리트 시편을 거푸집으로부터 벗겨내고, 박리 저항을 측정하기 전에 표준 분위기(공기 온도 23℃, 상대 공기 습도 50%) 하에 저장하였다.
박리 저항의 측정
규격 DIN EN 1372:2015-06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경화된 콘크리트 시편으로부터의 샘플 막의 박리 저항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박리 저항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Zwick Roell 90°-박리 장치(유형 번호 316237)가 구비된 Zwick Roell AllroundLine Z010 재료 시험 장치를 사용하였다.
박리 저항 측정을 위해, 콘크리트 시편을 샘플 막의 테이핑된 섹션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시편의 말단에서 10㎜의 길이에 대해 재료 시험 장치의 상부 그립에 의해 클램핑하였다. 이후, 90°의 박리 각도에서 및 100㎜/분의 일정한 가로보 속도로 콘크리트 시편의 표면으로부터 샘플 막을 박리하였다. 측정 동안, 롤의 거리는 대략 570㎜이다. 콘크리트 시편의 표면으로부터 샘플 막의 대략 140㎜의 길이가 박리될 때까지 샘플 막을 계속해서 박리하였다. 박리 저항에 대한 값은 대략 70㎜의 길이에 걸쳐 박리 동안 샘플 막의 폭당 평균 박리 힘[N/50㎜]으로서 계산되어서, 계산에서 전체 박리 길이의 처음 및 마지막의 ¼을 배제한다.
표 3에 제시된 실시예 막 EX1-EX9에 대한 평균 박리 저항 값은 동일한 실시예 막으로부터 절단된 3개의 샘플 막에 의해 얻은 측정된 값의 평균으로서 계산되었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2
실시예 막 EX10-EX15의 접촉 층의 표면에 대해 EN ISO 25178 규격에 따른 3D 평균 조도(Sa), 3D 평균 제곱근 조도(Sq) 및 3D 최대 표면 높이(Sz)를 결정하였다.
압출기-캘린더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실시예 1에서 상기 기재된 바대로 실시예 막을 제조하였다. 폴리에틸렌계 열가소성 막(Sika로부터 구입 가능한 WT 1210 HE)을 모든 실시예 막에서 장벽 층으로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막을 제조하는 동안 압출기-캘린더 장치의 조작 조건은 표 4에 제시되어 있고, 실시예 막 EX10-EX15의 접촉 층(E)의 조성은 표 5에 제시되어 있다. 압출 온도는 플랫 다이에서의 용융된 덩어리의 온도이고, 압출 압력은 용융된 덩어리가 플랫 다이에 진입하는 지점에서 측정되었다. 냉각 롤의 온도는 제조 기간 동안 대략 20℃이다. 경화된 콘크리트 시편으로부터의 박리 저항은 실시예 1에서 상기 기재된 바대로 결정되었다.
접촉 층의 표면 기하구조의 측정을 위해, 100㎜(길이) x 100㎜(폭)의 크기를 갖는 샘플 막을 각각의 실시예 막으로부터 절단하고, 샘플이 완전히 평평하게 배치되도록 보장하도록, 접촉 층이 위로 향하게 하여, 100㎜(길이) x 100㎜(폭) x 5㎜(높이)의 치수를 갖는 알루미늄 시트에 부착시켰다. 양면 접착제 테이프는 샘플을 알루미늄 시트에 부착하도록 사용하였다.
레이저 방식, 5x 대물렌즈/1x 광학 줌에 의한 배율, 25개의 단일 영상의 영상 정합에 의한 광시야 관찰 및 x-y 방향에서의 1㎠의 측정 면적을 이용하여 3D 레이저 측정 공초점 현미경 Olympus LEXT OLS4000에 의해 각각의 접촉 층의 표면 기하구조를 측정하였다. 표면 기하구조 측정을 수행하는 데에, z 방향에서의 공초점 획득의 상한 및 하한은 라이브 컬러 이미지 방식에서 조동 및 미동을 조정한 후에 레이저 방식에서 수동으로 조정하였다.
3D 표면 조도 매개변수를 부착된 Olympus LEXT OLS4000 Application Version 2.1.3 소프트웨어에 의해 측정된 표면 기하구조로부터 계산하였다. 임의의 컷오프 길이 λs, λc 또는 λf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3D 표면 조도 매개변수를 광학 측정으로부터 얻어진 비여과된 1차 데이터세트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각각의 샘플 막의 접촉 층의 표면에서 상이한 위치에서 수행된 적어도 2개의 측정으로부터 평균으로서 표 5에 기재된 3D 표면 조도 매개변수를 얻었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Claims (16)

  1. 제1 및 제2 반대 표면을 갖는 장벽 층(S1) 및 제1 및 제2 반대 표면을 갖는 접촉 층(S2)을 포함하는 막으로서, 상기 장벽 층(S1)의 제1 표면 및 상기 접촉 층(S2)의 제2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에 직접 접합되고, 상기 장벽 층(S1)은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1)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층(S2)은 고체 필러 성분(F) 및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고체 필러 성분(F)의 양은, 상기 접촉 층(S2)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내지 90.0중량%인, 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층(S2)은, 상기 접촉 층(S2)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의 수화된 광물성 결합제를 포함하는, 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은 ISO 11357에 따라 결정된 25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225℃, 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00℃, 가장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150℃의 융점을 갖는, 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필러 성분(F)의 양은, 상기 접촉 층(S2)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0 내지 80.0중량%,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7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70.00중량%인, 막.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본 명세서에 인용된 방법에 의해 결정된 바대로, 적어도 10N/5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N/5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N/5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N/50㎜의 콘크리트 접합 강도를 갖는, 막.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필러 성분(F)은 유기 필러, 불활성 광물성 필러 및 광물성 결합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광물성 필러 및 광물성 결합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막.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필러 성분(F)은 수경성 결합제, 비수경성 결합제, 잠재 수경성 결합제, 및 포졸란 결합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광물성 결합제를 포함하는, 막.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의 양은, 상기 접촉 층(S2)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내지 90.0중량%,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80.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7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70.0중량%이고,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타이렌(PS), 폴리아마이드(PA), 클로로설포네이트화 폴리에틸렌(CSPE),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고무(EPDM) 및 폴리아이소뷰틸렌(PIB),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막.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1)은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과 혼화성, 더 바람직하게는 단접가능성(weldable)인, 막.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층(S2)은 0.1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0㎜, 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2.0㎜의 두께를 갖는, 막.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제1 표면 및 제2 반대 표면을 갖는 제2 접촉 층(S2')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장벽 층(S1)의 제2 표면 및 상기 접촉 층(S2')의 제1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에 직접 접합되고, 상기 제2 접촉 층(S2')은 고체 필러 성분(F') 및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P2')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막.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막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장벽 층(S1)의 성분을 포함하는 균질화된 용융물, 상기 접촉 층(S2)의 성분을 포함하는 균질화된 용융물 및 임의로 제2 접촉 층(S2')의 성분을 포함하는 균질화된 용융물을 압출하고/하거나, 캘린더링하고/하거나, 공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기재를 방수시키는 방법으로서,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막을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여서, 장벽 층(S1)의 제2 표면은 상기 기재의 표면에 맞대어 지향되는 단계,
    - 접촉 층(S2)의 제1 표면에 미경화 시멘트질 조성물을 캐스팅하는 단계, 및
    - 상기 미경화 시멘트질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장벽 층(S1)의 제2 표면이 기재의 표면에 맞대어 지향되고, 접촉 층(S2)의 제1 표면이 콘크리트의 층에 완전히 접합되도록, 콘크리트의 층 및 기재의 표면과 상기 콘크리트의 층 사이에 배열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막을 포함하는 방수된 건축물.
  15. 물 침투에 대해 기재를 실링하는 방법으로서,
    - 기재의 표면에 접착제의 층을 도포하는 단계,
    - 상기 접착제의 층을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막에 의해 커버하여서, 제1 접촉 층(S2)의 제1 표면 또는 제2 접촉 층(S2')의 제2 표면은 상기 접착제의 층과 접촉하는 단계, 및
    - 상기 접착제의 층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 접촉 층(S2)의 제1 표면 또는 제2 접촉 층(S2')의 제2 표면이 접착제의 층에 의해 기재의 표면에 접합되도록,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막 및 기재의 표면과 상기 막 사이에 배열된 접착제의 층을 포함하는 실링된 건축물.
KR1020187012625A 2015-12-23 2016-12-20 고체 필러 성분을 갖는 방수막 KR102605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202469 2015-12-23
EP15202469.1 2015-12-23
PCT/EP2016/082003 WO2017108843A1 (en) 2015-12-23 2016-12-20 Waterproofing membrane with a solid filler compon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526A true KR20180098526A (ko) 2018-09-04
KR102605889B1 KR102605889B1 (ko) 2023-11-23

Family

ID=55027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625A KR102605889B1 (ko) 2015-12-23 2016-12-20 고체 필러 성분을 갖는 방수막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065849B2 (ko)
EP (2) EP3393792B1 (ko)
KR (1) KR102605889B1 (ko)
CN (1) CN108290379A (ko)
AU (1) AU2016378275B2 (ko)
CA (1) CA3004984A1 (ko)
ES (1) ES2955567T3 (ko)
PL (1) PL3393792T3 (ko)
WO (1) WO20171088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9225A1 (en) * 2016-11-08 2018-05-17 Mannington Mills, Inc. Adhesive-backed flooring panel, system, and method
KR101790217B1 (ko) 2016-12-30 2017-10-25 씨카코리아(주) 방수 시스템
EP3418050A1 (en) 2017-06-23 2018-12-26 Sika Technology Ag A waterproofing system
WO2019001805A1 (en) 2017-06-28 2019-01-03 Sika Technology Ag WATER BAR ENTIRELY GLUE
KR102573469B1 (ko) * 2017-11-29 2023-09-01 시카 테크놀러지 아게 기능성 층을 갖는 밀봉 테이프
WO2019106117A1 (en) * 2017-11-29 2019-06-06 Sika Technology Ag A roofing membrane with a functional layer
ES2860804T3 (es) * 2018-03-16 2021-10-05 Sika Tech Ag Dispositivo de sellado con bloqueo reducido
WO2019211471A1 (en) 2018-05-03 2019-11-07 Sika Technology Ag A method for installing of a sealing element for a concrete joint
ES2908262T3 (es) * 2018-10-25 2022-04-28 Sika Tech Ag Un dispositivo de sellado con una capa a base de fibra soldable
EP3908463A1 (de) * 2019-01-11 2021-11-17 Henkel AG & Co. KGa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kleben von folienförmigen substraten sowie dadurch erhaltener verbundkörper
MX2022006401A (es) 2019-11-27 2022-10-27 GAF Energy LLC Módulo fotovoltaico integrado de techo con espaciador.
WO2021122243A1 (en) 2019-12-18 2021-06-24 Sika Technology Ag A sealing device with high surface roughness
US11398795B2 (en) 2019-12-20 2022-07-26 GAF Energy LLC Roof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
US20210207337A1 (en) * 2020-01-07 2021-07-08 Amir Rudyan Below grade, blind side, waterproofing sheet membrane with adhesive and high reflectivity granular particle layer to fully bond to concrete/shotcrete, and a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WO2021150763A1 (en) 2020-01-22 2021-07-29 GAF Energy LLC Integrated photovoltaic roofing shingles, methods, systems, and kits thereof
MX2022010152A (es) 2020-02-18 2022-11-08 GAF Energy LLC Modulo fotovoltaico con superestrato texturizado que proporciona una apariencia de tejas.
EP4143891A4 (en) 2020-04-30 2024-05-29 GAF Energy LLC FRONT SHEET AND REAR SHEET OF PHOTOVOLTAIC MODULE
CN115461950A (zh) 2020-05-13 2022-12-09 Gaf能源有限责任公司 电力电缆穿透件
WO2021229024A2 (en) * 2020-05-14 2021-11-18 Sika Technology Ag A sealing device with at least one heat-weldable short edge
EP3926116A1 (en) * 2020-06-18 2021-12-22 Sika Technology Ag A fully bonded single-layer waterbar
EP3936331A1 (en) 2020-07-06 2022-01-12 Sika Technology Ag A sealing device with increased concrete adhesion strength
MX2023000952A (es) 2020-07-22 2023-04-19 GAF Energy LLC Modulos fotovoltaicos.
US11394344B2 (en) 2020-08-11 2022-07-19 GAF Energy LLC Roof mounted photovoltai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transfer of electrical energy
AT17413U1 (de) * 2020-08-13 2022-03-15 Progress Maschinen & Automation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3D-gedruckten Fertigteils
USD950482S1 (en) 2020-10-02 2022-05-03 GAF Energy LLC Solar roofing system
USD950481S1 (en) 2020-10-02 2022-05-03 GAF Energy LLC Solar roofing system
US11545928B2 (en) 2020-10-13 2023-01-03 GAF Energy LLC Solar roofing system
WO2022094049A1 (en) 2020-10-29 2022-05-05 GAF Energy LLC System of roofing and photovoltaic shingles and methods of installing same
US11486144B2 (en) 2020-11-12 2022-11-01 GAF Energy LLC Roofing shingles with handles
MX2023006559A (es) 2020-12-02 2023-09-18 GAF Energy LLC Aletas escalonadas para tejas fotovoltáicas para techos.
EP4105015A1 (en) 2021-06-16 2022-12-21 Sika Technology AG Thin film sealing device with improved adhesion to concrete
EP4105267A1 (en) 2021-06-16 2022-12-21 Sika Technology AG A sealing element with improved adhesion to concre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WO2023133504A1 (en) 2022-01-10 2023-07-13 Bmic Llc Roofing membranes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31863A1 (en) * 2012-08-20 2015-08-20 Sika Technology Ag Waterproof membrane with good adhesion to concret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5791A (ja) * 1999-10-18 2001-04-24 Fujimori Kogyo Co Ltd トンネル用防水シート
US6500520B1 (en) * 2000-08-14 2002-12-31 W. R. Grace & Co. -Conn. Particle coated bonding systems for hydratable cementitious composition casting and methods for making same
JP3968585B2 (ja) * 2001-12-14 2007-08-29 平岡織染株式会社 テント用防汚性防水シート
US20100167047A1 (en) * 2006-06-07 2010-07-01 Kuraray Co., Ltd Waterproof sheet for tunnel
JP5030083B2 (ja) * 2006-08-30 2012-09-19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架橋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
US8070895B2 (en) 2007-02-12 2011-12-06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Water resistant cementitious articl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EP2177349A1 (de) 2008-10-15 2010-04-21 Sika Technology AG Wasserdichte Membran
SA109300669B1 (ar) * 2009-09-30 2014-09-02 Grace W R & Co غشاء مقاوم للماء
US8453405B2 (en) * 2010-02-08 2013-06-04 W. R. Grace & Co.-Conn. Waterproofing membrane
US9394464B2 (en) * 2010-04-28 2016-07-19 Gcp Applied Technologies Inc. Waterproofing membrane
EP2563872B1 (en) * 2010-04-28 2015-02-25 W. R. Grace & Co.-Conn Waterproofing membrane
TWI581965B (zh) * 2011-10-25 2017-05-11 Gcp應用技術有限公司 防水膜
CN102912970A (zh) * 2012-11-13 2013-02-06 大连顺发建筑防水技术有限公司 一种建筑用防水膜
US10336036B2 (en) * 2013-03-15 2019-07-02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Cementitious article comprising hydrophobic finis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31863A1 (en) * 2012-08-20 2015-08-20 Sika Technology Ag Waterproof membrane with good adhesion to concre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08997A1 (en) 2021-10-07
EP4234228A2 (en) 2023-08-30
ES2955567T3 (es) 2023-12-04
US20180361716A1 (en) 2018-12-20
EP4234228A3 (en) 2023-09-20
WO2017108843A1 (en) 2017-06-29
EP3393792A1 (en) 2018-10-31
EP3393792B1 (en) 2023-07-05
CA3004984A1 (en) 2017-06-29
PL3393792T3 (pl) 2023-12-18
AU2016378275B2 (en) 2020-11-26
AU2016378275A1 (en) 2018-04-19
CN108290379A (zh) 2018-07-17
US11065849B2 (en) 2021-07-20
KR102605889B1 (ko)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5889B1 (ko) 고체 필러 성분을 갖는 방수막
US20240075707A1 (en) Waterproofing membrane with mineral binder component
KR101790217B1 (ko) 방수 시스템
CN108290788B (zh) 具有固体填料组分的接触层
CN108290378B (zh) 具有矿物粘结剂组分的接触层
NZ740996A (en) Waterproofing membrane with a solid filler component
NZ742590A (en) Waterproofing membrane with mineral binder component
NZ740989A (en) Contact layer with a solid filler component
NZ742596A (en) Contact layer with mineral binder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