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469B1 - 기능성 층을 갖는 밀봉 테이프 - Google Patents

기능성 층을 갖는 밀봉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469B1
KR102573469B1 KR1020207010410A KR20207010410A KR102573469B1 KR 102573469 B1 KR102573469 B1 KR 102573469B1 KR 1020207010410 A KR1020207010410 A KR 1020207010410A KR 20207010410 A KR20207010410 A KR 20207010410A KR 102573469 B1 KR102573469 B1 KR 102573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sealing device
weight
function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0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260A (ko
Inventor
마티아 불로니
로이 제트롯츠
시몬 숀브로트
크리스토프 바트슈
롯츠 요제프 폰
Original Assignee
시카 테크놀러지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카 테크놀러지 아게 filed Critical 시카 테크놀러지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089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4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with fibres or particles being present as additives in th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ynthetic rubber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halogenated polyolefins, e.g. PT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6Water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12Compressable seals of solid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5/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exible material, e.g. supplied in roll form
    • E04D5/14Fastening means therefor
    • E04D5/144Mechanical fastening means
    • E04D5/146Linear fastening means, e.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5/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exible material, e.g. supplied in roll form
    • E04D5/14Fastening means therefor
    • E04D5/148Fastening means therefor fastening by glu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44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6Roofs, roof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4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uilding applications e.g. wrap foi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층(2), 기능성 층(3), 및 기능성 층(3)의 면의 맞은편의 방수층(2)의 제1 주표면 상에 코팅되어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복하는 접착제층(4)을 포함하는 밀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밀봉 장치의 제조 방법, 기재를 방수 처리하는 방법 및 방수막의 겹쳐진 부분 사이에 형성된 랩핑된 조인트를 밀봉하고, 방수막 내의 브리치를 패칭하기 위한 밀봉 장치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층을 갖는 밀봉 테이프
본 발명은 밀봉 장치(sealing device)를 사용하는 지면 건축 구조물(ground building construction)의 상부 및 하부의 방수 처리(waterproofing)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중합체 막 조인트(joint) 및 랩핑된 면적의 밀봉 및 다양한 표면의 세부 장식(detailing) 및 중합체 막 내의 블리치(breach)의 패칭(patching)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밀봉 테이프(sealing tape)에 관한 것이다.
건설 분야에서, 보통 막 또는 패널로 지칭되는 중합체 시트는 지하 및 지상 구조물, 예컨대, 지하실, 터널 및 편평한 지붕 및 완만한 경사의 지붕을 침투수(penetration water)에 대해서 밀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방수막(waterproofing membrane)은 단층 또는 다층 시스템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단층 방수막은 단일 방수층으로 구성되며, 이것은 보강층, 예컨대, 스크림(scrim), 메시 또는 패브릭 층으로 보강되어 막의 치수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다층 방수막은 상이하거나 유사한 재료의 다수의 방수층으로 구성된다. 막은 전형적으로 롤로 건설 현장으로 전달되고, 설치 위치로 이송되고, 풀리고, 방수될 기재(substrate)의 표면 상에 접착된다.
방수막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열가소성 물질, 예컨대, 가소화된 폴리바이닐클로라이드(p-PVC), 열가소성 올레핀(TPE-O, TPO) 및 엘라스토머,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 다이엔 단량체(EPDM)를 포함한다. 중합체계 막의 단점 중 하나는 이의 불량한 접합 특성이며, 이것은 전형적으로 건설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 예컨대, 에폭시 접착제, 폴리우레탄 접착제, 시멘트질 조성물에 대해서 낮은 접합 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접촉층, 예를 들어, 플리스 배킹(fleece backing)을 전형적으로 사용하여 중합체계 방수막 및 방수될 구조물의 충분한 접합을 제공한다.
사후 도포되는 방수 응용 분야에서, 막은 이의 접촉층을 통해서 방수될 콘크리트 물질의 표면에 접합되는 반면, 사전 도포되는 방수 응용 분야에서, 막은 방수될 콘크리트 구조물이 구조화되기 이전에 배치된다. 사후 도포되는 방수막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밀봉 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방수될 기재 상에 접착된다. 사전 도포되는 방수막은 아래에 놓인 구조물 또는 폼워크(formwork)에 대해서 방수층과 함께 배치되고, 새로운 콘크리트는 접촉층의 표면에 캐스팅(cast)되기 때문에, 막을 고화성 콘크리트의 표면에 대해서 완전히 그리고 영구적으로 접합시킨다. 접착제가 방수층과 접촉층 사이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어 접촉층에 대한 새로운 콘크리트 캐스트에 대한 접합을 개선시킨다. 따라서 접착제는 높은 물 침투 저항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고화되기 전에 새로운 콘크리트가 접촉층에 깊숙히 침투할 수 있게 한다.
연속적인 방수 밀봉을 생성시키기 위해서, 인접한 방수막의 모서리를 겹쳐서 밀봉 가능한 조인트를 형성한다. 이어서, 겹쳐진 모서리를 또 다른 겹쳐진 모서리의 상부 표면에 접합시킴으로써 이러한 조인트를 밀봉하여 겹쳐진 모서리 사이에 조인트를 연결한다. 밀봉 테이프의 기본 구조는 전형적으로 방수막의 기본 구조와 유사하다. 결론적으로, 사전 도포되는 방수막 사이의 조인트를 밀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밀봉 테이프는 열가소성 방수층 및 접촉층, 예를 들어, 막의 한 면 상에 접착제에 의해서 접합되는 플리스 배킹을 포함한다. 방수막의 재료에 따라서, 밀봉 테이프의 방수층은 열-용접에 의해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막에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밀봉 테이프는 또한 세부 장식 응용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 2개의 인접한 하부 또는 상부 지면 구조물 사이에 형성된 조인트는 물의 침투에 대해서 밀봉되어야 한다.
최신 밀봉 테이프의 주요 단점은 테이프의 비교적 복잡한 빌트업(built-up)인데, 이것이 이러한 테이프의 생산 비용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최신 밀봉 테이프보다 더 낮은 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고, 조인트를 밀봉하는데 그리고 사전 도포되는 방수 시스템에서 블리치를 패칭하는데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밀봉 테이프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합체 방수막의 겹쳐진 모서리 사이의 조인트를 밀봉하고, 중합체 방수막 내의 브리치를 패칭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밀봉 장치, 특히 밀봉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대상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밀봉 장치이다.
놀랍게도, 최신 밀봉 테이프의 섬유계 접촉층을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및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층으로 대체하여 고화 후에 시멘트 조성물에 양호한 접합을 제공하고, 건설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밀봉 장치의 이점 중 하나는, 그것이 열가소성 방수층 및 섬유계 접촉층을 포함하는 최신 밀봉 테이프보다 더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다른 독립항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은 종속상에 존재한다.
도 1은 방수층(2), 기능성 층(3), 및 기능성 층(3)의 면의 맞은편의 방수층(2)의 제1 주표면 상에 코팅되어 이를 피복하는 접착제층(4)을 포함하는 밀봉 장치(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방수층(2), 기능성 층(3), 기능성 층(3)의 면의 맞은편의 방수층(2)의 제1 주표면 상에 코팅되어 이를 피복하는 접착제층(4), 및 방수층(2)의 면의 맞은편의 접착제층(4)의 외향 표면(outward facing surface)을 피복하는 이형 라이너(release liner)(5)를 포함하는 밀봉 장치(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방수층(2), 기능성 층(3), 기능성 층(3)의 면의 맞은편의 방수층(2)의 제1 주표면 상에 코팅되어 이를 피복하는 접착제층(4), 및 방수층(2)의 면의 맞은편의 접착제층(4)의 외향 표면을 피복하는 이형 라이너(5)를 포함하는 밀봉 장치(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밀봉 장치(1)는 방수층(2) 내에 완전히 내장된 보강층(6)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상은 제1 주표면 및 제2 주표면을 갖고,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1을 포함하는 방수층; 및 제1 주표면 및 제2 주표면을 갖고,
a) 10 내지 70중량%의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2
b) 30 내지 90중량%의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를 포함하는 기능성 층을 포함하는 밀봉 장치이며, 상기 비율은 기능성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여기서
기능성 층 및 방수층은 이들의 대향하는 주표면의 적어도 부분에 걸쳐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여기서 밀봉 장치는 기능성 층의 면의 맞은편의 방수층의 제1 주표면 상에 코팅되어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복하는 접착제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폴리"로 시작되는 물질명은 분자당, 이의 명칭에 존재하는 2개 이상의 작용기를 형식적으로 함유하는 물질을 지정한다. 예를 들어, 폴리올은 적어도 2개의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폴리에터는 적어도 2개의 에터기를 갖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용어 "중합체"는 중반응(polyreaction)(중합, 중첨가, 중축합)에 의해서 제조된 화학적으로 균일한 거대분자의 집합체를 나타내며, 여기서 거대분자는 중합도, 분자량 및 쇄 길이와 관련하여 상이하다. 이 용어는 또한 중반응으로부터 생성된 거대분자의 상기 집합체의 유도체, 즉,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거대분자 내의 작용기의 부가 또는 치환 등의 반응에 의해서 획득되고, 화학적으로 균일하거나 화학적으로 불균일할 수 있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용어 "엘라스토머"는 큰 변형으로부터 회복될 수 있는, 즉, 탄성 특성을 갖는 임의의 천연, 합성 또는 변형된 고분자량 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조합물을 지칭한다. 엘라스토머는 그것이 비등하는 용매 중에서 본질적으로 불용성(그러나 팽윤할 수는 있음)인 상태로 변형될 수 있거나 이미 변형되어 있다. 용어 "엘라스토머"는 용어 "고무"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용어 "(메트)아크릴"은 메타크릴 또는 아크릴을 나타낸다. 따라서, (메트)아크릴로일은 메타크릴로일 또는 아크릴로일을 나타낸다. (메트)아크릴로일기는 또한 (메트)아크릴기라고도 공지되어 있다. (메트)아크릴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메트)아크릴기를 가질 수 있고, 예컨대, 일작용성, 이작용성, 삼작용성 등의 (메트)아크릴 화합물이다.
용어 "분자량"은 분자 또는 "모이어티"라고도 지칭되는 분자의 부분의 몰질량(g/㏖)을 지칭한다. 용어 "평균 분자량"은 분자 또는 모이어티의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 혼합물의 수 평균 분자량(Mn)을 지칭한다.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용어 "유리 전이 온도"는 ISO 11357 표준에 따라서 DSC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를 지칭하는데, 그 온도 초과에서는 중합체 성분이 연성이 되고, 유연해지며, 그 온도 미만에서는 단단해지고, 유리질이 된다. 측정은 2℃/분의 가열 온도에서 Mettler Toledo 822e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Tg 값은 DSC 소프트웨어의 도움으로 측정된 DSC 곡선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용어 "연화점"은 본 명세서에서 화합물이 고무-유사 상태로 연성이 되는 온도 또는 화합물 중의 결정질 부분이 용융하는 온도를 지칭한다. 연화점은 DIN EN 1238에 따른 링 및 볼 방법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조성물 중의 "적어도 1종의 성분 X의 양 또는 함량", 예를 들어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의 양"은 조성물 중에 함유된 모든 열가소성 중합체 P의 개별 양의 합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조성물이 20중량%의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를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 중에 함유된 모든 열가소성 중합체 P의 양의 합은 20중량%와 동일하다.
용어 "실온"은 23℃의 온도를 나타낸다.
방수층 및 기능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제1 주표면 및 제2 주표면, 즉, 주변 모서리에 의해서 획정되고, 그 사이에 두께를 획정하는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갖는 편평한 요소이다. 용어 "편평한 요소"는 본 명세서에서 요소의 두께보다 적어도 50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0배 더 큰 길이 및 폭을 갖는 시트-유사 요소를 지칭한다. 기능성 층 및 방수층은 이들의 대향하는 주표면의 적어도 부분에 걸쳐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기능성 층의 제1 주표면의 실질적으로 전체 면적이 방수층의 제2 주표면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층 및 방수층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 및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방수층 및 기능성 층은 그들의 대향하는 주표면의 적어도 부분에 걸쳐서 서로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표현 "직접적으로 연결된"은 본 발명의 문맥에서 추가의 층 또는 물질이 층 사이에 존재하지 않고, 두 층의 대향하는 표면이 서로에 직접적으로 접합되거나 서로에 접착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두 층 사이의 전이 면적에서, 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또한 서로와 혼합되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층의 실질적으로 전체의 제1 주표면이 방수층의 제2 주표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성 층의 제1 주표면 중 적어도 9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가 방수층의 제2 주표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층은 적어도 2개의 구별되는 상, 특히 연속적인 열가소성 중합체상 및 불연속적인 고체 충전제상의 불균질한 혼합물을 포함한다. 연속적인 열가소성 중합체상은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2 및 선택적으로 1종 이상의 다른 중합체 재료 및/또는 단일 "열가소성 중합체상"을 본질적으로 구성하도록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2와 충분히 혼합되거나 이에 산재될 수 있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열가소성 중합체상은 일반적으로 명시된 온도를 초과하게 가열함으로써 용융물을 형성한 후, 충분히 냉각되는 경우 다시 고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가소성상의 존재로 인해서, 기능성 층은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2와 상용성인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른 층과 용접 가능하다.
불연속적인 고체 충전제상은 개별 입자로서 또는 하나 이상의 입자의 응집물로서 기능성 층에 존재할 수 있는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를 포함한다. 이것은 연속적인 열가소성상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둘러싸이며, 즉, 고체 미립자 충전제 F는 연속적인 열가소성 중합체상 내에 분산되어 있다. 기능성 층이 1종 이상의 미네랄 결합제, 예컨대, 시멘트를 함유하는 경우, 그것은 수화된 미네랄 결합제의 상호 연결된 고체 네트워크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필수적이다. 기능성 층은 수화된 미네랄 결합제의 상호 연결된 고체 네트워크를 본질적으로 갖지 않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의 입자는 적어도 열가소성 중합체상이 용융물을 형성하는 온도가 아닌 온도에서는 가열에 의해서 상 변화를 겪지 않을 것이다. 대신에, 고체 미립자 충전제 F의 입자는 연속적인 열가소성상 사이에 산재된 구별되는 불연속적인 고체상으로서 존재할 것이다.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의 입자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2에 의해서 형성된 매트릭스 전체에 분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의 입자는 기능성 층의 전체 부피 전체에 분포된다. 용어 "전체 부피 전체에 분포된"은 적어도 1종의 고체 충전제 F가 기능성 층의 본질적으로 모든 부분에 존재하지만 그 분포가 기능성 층 전체에 균일하다는 것을 반드시 내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도록 이해된다. 그러나,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는 기능성 층의 전체 부피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는,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가 "균일하게 분포되"더라도, 다른 영역보다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의 약간 더 높은 농도를 갖는 기능성 층의 영역이 존재할 수 있고, 100%의 균일한 분포는 일반적으로 달성될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하다.
밀봉 장치는 방수층의 제1 주표면 상에 코팅되어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복하는 접착제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표현 "방수층의 제1 주표면 상에 코팅된"은, 접착제층이 방수층의 제1 주표면 상에 직접 도포되고, 즉, 접착제층 및 방수층이 이들의 대향하는 표면 상에서 서로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하도록 이해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방수층의 제1 주표면 상에 코팅된 접착제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또는 감압 고온 용융 접착제(pressure sensitive hot-melt adhesive: HM-PSA)이다. 용어 "감압 접착제"는 본 개시내용에서 약간의 압력을 적용하여 대부분의 기재에 순간적으로 접착되고, 점착성을 영구적으로 유지하는 점탄성 접착제 재료를 나타낸다. 용어 "감압 고온 용융 접착제(HM-PSA)"는 본 개시내용에서 고온 용융 접착제로서 도포되는 감압 접착제의 부류를 나타낸다.
적합한 감압 접착제 및 감압 고온 용융 접착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중합체, 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 비정질 폴리-α-올레핀(APAO), 바이닐 에터 중합체, 엘라스토머, 예를 들어, 부틸 고무, 에틸렌 바이닐 아세테이트, 천연 고무, 나이트릴 고무, 실리콘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고무 등을 기재로 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중합체에 더하여, 적합한 감압 및 감압 고온 용융 접착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점착부여 수지, 왁스, 충전제 및 가소제뿐만 아니라 1종 이상의 첨가제, 예를 들어, UV-광 흡수제, UV- 및 열 안정화제, 광 증백제(optical brightener), 안료, 염료 및 건조제 등을 비롯한 1종 이상의 추가 구성성분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접착제는 적어도 1종의 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계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계 감압 접착제 또는 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계 감압 고온 용융 접착제의다.
적합한 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는 SXS 유형의 블록 공중합체(이들 각각에서 S는 비엘라스토머 스타이렌(또는 폴리스타이렌) 블록을 나타내고, X는 엘라스토머성 α-올레핀 블록을 나타냄)를 포함하며, 이것은 폴리부타다이엔, 폴리아이소프렌, 폴리아이소프렌-폴리부타다이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폴리아이소프렌(폴리 에틸렌-프로필렌),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폴리부타다이엔 (폴리 에틸렌-부틸렌)일 수 있다. 엘라스토머성 α-올레핀 블록은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35℃의 범위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다. 엘라스토머성 α-올레핀 블록은 또한 화학적으로 변형된 α-올레핀 블록일 수 있다. 특히 적합한 화학적으로 변형된 α-올레핀 블록은 예를 들어, 말레산-그래프팅된 α-올레핀 블록 및 특히 말레산-그래프팅된 에틸렌-부틸렌 블록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의 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는 SBS, SIS, SIBS, SEBS 및 SEPS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들은 선형, 방사형, 이블록, 삼블록 또는 별형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선형 구조가 바람직하다. SXS 유형의 적합한 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는 포화 또는 불포화 중간 블록 X를 기재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수소화된 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가 또한 적합하다. 적어도 1종의 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는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6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계 접착제 중에 존재할 수 있다.
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계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의 점착부여 수지를 포함한다. 용어 "점착부여 수지"는 본 명세서에서 접착제 조성물의 접착 및/또는 점착성을 일반적으로 향상시키는 수지를 지칭한다. 용어 "점착성"은 본 명세서에서 단순한 접촉에 의해서 끈적이거나 또는 접착성인 물질의 특성을 지칭한다. 점착성은 예를 들어, 루프 택(loop tack)으로서 측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점착부여 수지는 25℃의 온도에서 점착을 부여한다.
적합한 점착부여 수지는 합성 수지, 천연 수지 및 화학적으로 변형된 천연 수지를 포함한다. 적어도 1종의 점착부여 수지는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6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계 접착제 중에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천연 수지 및 화학적으로 변형된 천연 수지의 예는 로진, 로진 에스터, 페놀 변형된 로진 에스터 및 터펜 수지를 포함한다. 용어 "로진"은 검 로진, 목재 로진, 톨유 로진, 증류된 로진 및 변형된 로진, 예를 들어, 이들 로진 중 임의의 것의 이량체화된, 수소화된, 말레에이트화된 및/또는 중합된 버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합한 터펜 수지는 천연 터펜, 예컨대, 스타이렌/터펜 및 알파 메틸 스타이렌/터펜 수지의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 터펜 탄화수소, 예컨대, 피넨으로서 공지된 이환식 모노터펜을 적당히 낮은 온도에서 프리델-크래프츠 촉매(Friedel-Crafts catalyst)의 존재 하에서 중합시킴으로써 획득 가능한 폴리터펜 수지; 수소화된 폴리터펜 수지; 및 페놀 변형된 터펜 수지(이의 수소화된 유도체 포함)를 포함한다.
용어 "합성 수지"는 본 명세서에서 그 자체에 수지의 특징을 갖지 않는 양호하게 정의된 반응물 간의 제어된 화학 반응, 예컨대, 중첨가 또는 중축합으로부터 획득된 화합물을 지칭한다. 중합되어 합성 수지를 합성할 수 있는 단량체는 지방족 단량체, 지환족 단량체, 방향족 단량체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지방족 단량체는 C4, C5 및 C6 파라핀, 올레핀 및 접합된 다이올레핀을 포함할 수 있다. 지방족 단량체 또는 지환족 단량체의 예는 부타다이엔, 아이소부틸렌, 1,3-펜타다이엔, 1,4-펜타다이엔, 사이클로펜탄, 1-펜텐, 2-펜텐, 2- 메틸-1-펜텐, 2-메틸-2-부텐, 2-메틸-2-펜텐, 아이소프렌, 사이클로헥산, 1-3-헥사다이엔, 1-4-헥사다이엔, 사이클로펜타다이엔 및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을 포함한다. 방향족 단량체는 C8, C9 및 C10 방향족 단량체, 예컨대, 스타이렌, 인덴, 스타이렌의 유도체, 인덴의 유도체, 쿠마론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합성 수지는 천연 가스 액체, 가스 오일 또는 석유 나프타의 분해의 부산물로서 획득된 불포화 단량체의 혼합물의 중합으로부터 제조된 합성 탄화수소 수지를 포함한다. 석유계 공급물로부터 획득된 합성 탄화수소 수지는 본 명세서에서 "석유 탄화수소 수지"로 지칭된다. 이들은 또한 색상을 유발하는 오염물을 제거하고, 생성물의 조성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서 정제된 방향족 단량체 공급물을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된 순수한 단량체 방향족 수지를 포함한다. 석유 탄화수소 수지는 전형적으로 250 내지 5,000g/㏖의 범위의 비교적 낮은 평균 분자량(Mn) 및 0℃ 초과,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다.
적어도 1종의 점착부여 수지는 C5 지방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혼합된 C5/C9 지방족/방향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개질된 C5 지방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혼합된 C5 지방족/지환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혼합된 C9 방향족/지환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혼합된 C5 지방족/지환족/C9 방향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변형된 지환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및 C9 방향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뿐만 아니라 상기에 언급된 수지의 수소화된 버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표기법 "C5" 및 "C9"는, 수지가 제조된 단량체가 주로 각각 4 내지 6개 및 8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인 것을 나타낸다. 용어 "수소화된"은 완전히, 실질적으로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수지를 포함한다.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수지는 예를 들어, 50%, 70% 또는 90%의 수소화 수준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접착제는 적어도 1종의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고무계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고무계 감압 접착제 또는 고무계 감압 고온 용융 접착제이다.
고무계 접착제에 적합한 엘라스토머는 예를 들어, 부틸 고무, 할로겐화된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다이엔 단량체 고무, 천연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합성 1,4-시스-폴리아이소프렌, 폴리부타다이엔, 아이소프렌-부타다이엔 공중합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타다이엔 공중합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이소프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나이트릴-아이소프렌 공중합체, 및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 공중합체 및 실리콘 고무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적어도 1종의 엘라스토머는 부틸 고무, 할로겐화된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다이엔 단량체 고무, 천연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합성 1,4-시스-폴리아이소프렌, 폴리부타다이엔 및 아이소프렌-부타다이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 바람직하게는 부틸 고무, 할로겐화된 부틸 고무, 천연 고무 및 클로로프렌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적어도 1종의 엘라스토머는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7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5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고무계 접착제 중에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고무계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합성 수지, 천연 수지 및 화학적으로 변형된 천연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점착부여 수지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적어도 1종의 점착부여 수지는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5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5중량%의 양으로 고무계 감압 접착제 중에 존재한다.
고무계 접착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점착부여 수지는 특히 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계 접착제에 적합한 상기에 기재된 석유 탄화수소 수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무계 접착제 중에 함유된 적어도 1종의 점착부여 수지는 DIN EN 1238 표준에 정의된 바와 같은 링 및 볼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결정된 적어도 7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 특히 75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60℃의 범위 연화점을 갖는 석유 탄화수소 수지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고무계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25℃에서 액체인 폴리부텐 및 폴리아이소부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25℃에서 액체인 폴리올레핀 수지를 추가로 포함한다. 용어 "25℃에서 액체인 폴리부텐"은 본 명세서에서 아이소부틸렌 및/또는 1-부텐 및/또는 2-부텐을 포함하는 저분자량 올레핀 올리고머를 지칭한다. C4-올레핀 이성질체의 비는 제조사에 의해서 그리고 등급에 의해서 달라질 수 있다. C4-올레핀이 단지 1-부텐인 경우, 그 재료는 "폴리-n-부텐" 또는 "PNB"라고 지칭된다. 용어 "25℃에서 액체인 폴리아이소부틸렌"은 본 명세서에서 아이소부틸렌의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및 올레핀 올리고머를 지칭한다. 적합한 25℃에서 액체인 폴리부텐 및 폴리아이소부틸렌은 15,000g/㏖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0g/㏖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0g/㏖ 미만의 수 평균 분자량(Mn)을 갖는다.
적합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25℃에서 액체인 폴리부텐 및 폴리아이소부틸렌은 예를 들어, Indopol(등록상표) H-300 및 Indopol(등록상표) H-1200(이네오스사(Ineos) 제품); Glissopal(등록상표) V230, Glissopal(등록상표) V500 및 Glissopal(등록상표) V700((바스프사(BASF) 제품); Dynapak(등록상표) 폴리 230(유니바 게엠베하(Univar GmbH)(독일 소재) 제품); 및 Daelim(등록상표) PB 950(대림 산업 제품)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적어도 1종의 25℃에서 액체인 폴리올레핀 수지는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5 내지 55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5중량%의 양으로 고무계 접착제 중에 존재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고무계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점토, 팽창 점토, 규조토, 부석, 운모, 카올린, 탤크, 돌로마이트, 조노트라이트, 진주암, 질석, 규회석, 중정석, 탄산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 침전 실리카, 퓸드 실리카, 유리 비드, 중공 유리 구체, 세라믹 구체, 보크사이트 및 제올라이트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점토, 팽창 점토, 규조토, 부석, 운모, 카올린, 탤크, 돌로마이트, 조노트라이트, 진주암, 질석, 규회석, 중정석, 탄산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 침전 실리카 및 퓸드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적어도 1종의 충전제는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70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5중량%의 양으로 고무계 접착제 중에 존재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접착제는 적어도 1종의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 또는 아크릴계 감압 고온 용융 접착제이다.
적합한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아크릴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아크릴 단량체와 선택적으로 1종 이상의 다른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 및 고급 인터-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단량체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6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85중량%의 하기 화학식 (I)의 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식 중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2 내지 30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9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이다. 알킬기는 바람직하게는 분지형, 비분지형, 환식, 비환식 및 포화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6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85중량%의 화학식 (I)의 1종 이상의 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라디칼 중합에 의해서 획득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아크릴 단량체의 예는 예를 들어,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n-펜틸 아크릴레이트, n-헥실 아크릴레이트, n-헵틸 아크릴레이트, n-옥틸 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크릴레이트, n-노닐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베헤닐 아크릴레이트 및 이의 분지화된 이성질체, 예를 들어 아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또한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아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3,5-다이메틸아다만틸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적어도 1종의 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제조된 혼합물이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중량%의 바이닐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바이닐 에스터, 바이닐 할라이드, 바이닐리덴 할라이드, 작용기를 갖는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 및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의 나이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바이닐 화합물의 형태의 공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작용기, 예를 들어, 하이드록실기 및 하이드록시알킬기를 함유하는 아크릴 화합물은 또한 용어 "바이닐 화합물"에 의해서 포괄된다. 적합한 바이닐 화합물은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스타이렌, 스티렌계 화합물,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치환된 (메트)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산, 베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바이닐아세트산, 퓨마르산, 크로톤산, 아코니트산, 다이메틸아크릴산, 트라이클로로아크릴산, 이타콘산, 바이닐 아세테이트,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아미노-기-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실기-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추가 실시형태에 따라서, 적어도 1종의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하기를 포함하는 반응물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되었다:
a) 적어도 65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중량%의 화학식 (I)의 1종 이상의 아크릴 단량체(식 중,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2 내지 9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임), 및
b) 0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5중량%의 (메트)아크릴산, 베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바이닐아세트산, 퓨마르산, 크로톤산, 아코니트산, 다이메틸아크릴산, 트라이클로로아크릴산, 이타콘산, 바이닐 아세테이트 및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바이닐 화합물.
적어도 1종의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50,000 내지 1,000,000g/㏖, 예컨대, 100,000 내지 750,000g/㏖,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00 내지 500,000g/㏖의 범위의 평균 분자량 Mn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의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미만의 유리 전이 온도 Tg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접착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된 아크릴계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된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된 아크릴계 감압 고온 용융 접착제이다. 이러한 유형의 접착제는 최소 및 최대 도포 온도와 관련하여 더 넓은 작업 창을 갖는 밀봉 장치를 제공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특히, 이러한 접착제는 가교되지 않은 아크릴계 접착제와 비교할 때 더 높은 온도에서 접착제 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된 아크릴계 접착제 조성물은 낮은 온도에서조차 더 높은 점착성을 달성하도록 제형의 조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접착제는,
a') 적어도 65.0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0중량%의 적어도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b') 0.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의 적어도 1종의 경화제,
c') 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2.5중량%의 적어도 1종의 개시제, 및
d') 0 내지 30.0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중량%의 적어도 1종의 점착부여 수지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된 조성물이며, 모든 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적어도 1종의 가교제는 바람직하게는 부탄다이올 다이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다이에틸렌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트라이에틸렌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판 트라이메타크릴레이트, 부탄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헥산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판 트라이아크릴레이트 및 트라이프로필렌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판 에톡시 트라이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판 트라이아크릴레이트,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하이드록시 펜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프로폭실레이트 다이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에톡실레이트 다이메타크릴레이트, 알콕실화된 헥산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에톡실화된 비스페놀 A 다이아크릴레이트, 에톡실화된 비스페놀 A 다이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실화된 트라이메틸올프로판 트라이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실화된 네오펜틸 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실화된 글리세릴 트라이아크릴레이트, 폴리부타다이엔 다이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부타다이엔 다이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작용성 아크릴레이트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접착제는 UV-방사선을 사용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된 UV-경화성 아크릴계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UV-경화성 감압 접착제 또는 UV-경화성 아크릴계 감압 고온 용융 접착제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에 제시된 가교성 조성물 중에 함유된 적어도 1종의 개시제 c')는 광개시제이다. 적합한 광개시제는 예를 들어, 벤조인 에터, 다이알콕시아세토페논, 알파-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아릴 케톤, 알파-케토페닐아세테이트 에스터, 벤질다이알킬케탈, 클로로- 및 알킬티오잔톤 및 알파-아미노- 및 알파-하이드록시알킬 아릴 케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방수층의 제1 주표면은 연속적인 접착제층으로 피복된다. 용어 "연속적인 층"은 본 명세서에서 접착제로 코팅된 하나의 단일 면적으로 이루어진 층을 지칭하는 반면, "불연속적인 층"은 접착제로 코팅된 몇몇 분리된 면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간주된다.
접착제층의 바람직한 두께는 밀봉 장치의 실시형태, 특히 접착제의 유형에 좌우된다. 접착제층은 0.1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DIN EN 1849-2 표준에 정의된 바와 같은 측정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접착제층은 방수층의 표면 상의 임의의 두 지점에서 접착제층의 측정된 두께 간의 차이가 0.1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7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도록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방수층의 면의 맞은편의 접착제층의 외향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원치않는 조기 접착을 예방하기 위해서 그리고 접착제층을 수분, 파울링(fouling) 및 다른 환경 요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이형 라이너로 피복된다. 밀봉 장치가 롤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이형 라이너는 밀봉 장치의 후면에 접착제가 달라붙지 않으면서 풀리기 쉽게 한다. 이형 라이너는 또한 다수의 섹션으로 절단되어 접착제층으로부터 라이너의 부분적인 탈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형 라이너에 적합한 재료는 실리콘, 실리콘 유레아, 우레탄, 왁스 및 장쇄 알킬 아크릴레이트 이형제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이형제로 코팅된 중합체 필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터 필름뿐만 아니라 크래프트지(Kraft paper), 폴리에틸렌 코팅지, 실리콘 코팅지를 포함한다.
방수층은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1를 포함한다.
방수층의 전술한 조성물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지만, 가능한 방수성이어야 하고, 물 또는 수분의 연장된 영향 하에서도 분해되지 않거나 기계적으로 손상되지 않아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1은 방수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80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중량%의 양으로 방수층 중에 존재한다.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1P2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 바이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에틸렌 -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에틸렌 - 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 - 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 - 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 - 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바이닐클로라이드(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타이렌(PS), 폴리아마이드(PA), 클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CSPE),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고무(EPDM) 및 폴리아이소부틸렌(PIB)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1P2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 - 바이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에틸렌 -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에틸렌 - α-올레핀 공중합체 및 에틸렌 - 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1P2는 프로필렌 - 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 - 에틸렌 공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1은 기능성 층 중에 함유된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2와 혼화성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1은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2와 용접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서로와 "용접 가능한" 중합체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1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층이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2로 이루어진 또 다른 열가소성 층과 열 용접에 의해서 균일하게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1 및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2는 동일하다.
기능성 층은 기능성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7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0중량%의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2를 포함한다.
기능성 층은 또한 기능성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중량%의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는 불활성 미네랄 충전제 및 미네랄 결합제로부터 선택된 미네랄 충전제이다.
용어 "불활성 미네랄 충전제"는 미네랄 결합제와 달리 물과 반응성이 아닌, 즉, 물의 존재 하에서 수화 반응을 겪지 않는 미네랄 충전제를 나타낸다. 기능성 층에서 사용될 적합한 불활성 미네랄 충전제는 모래, 화강암, 탄산칼슘, 점토, 팽창 점토, 규조토, 부석, 운모, 카올린, 탤크, 돌로마이트, 조노트라이트, 진주암, 질석, 규회석, 중정석,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칼슘 알루미네이트, 실리카, 퓸드 실리카, 융합 실리카, 에어로겔, 유리 비드, 중공 유리 구체, 세라믹 구체, 보크사이트, 분쇄 콘크리트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한다.
용어 "모래"는 본 명세서에서 기계적 및 화학적 풍화 동안 본래 결정 구조로부터 탈락되어, 이의 퇴적 지점으로 이송된 원형이거나 또는 각진 작은 입자의 느슨한 집합체인 미네랄 쇄설성 퇴적물(mineral clastic sediment)(쇄설암(clastic rock))을 지칭하고, 상기 퇴적물은 50중량% 초과, 특히 75중량%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초과의 SiO2 함량을 갖는다. 비활성 미네랄 충전제로서의 용어 "탄산칼슘"은 본 명세서에서 분쇄 및/또는 침전에 의해서 백악, 석회암 또는 대리석으로부터 제조된 석회성 충전제를 지칭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는 모래, 화강암, 탄산칼슘, 점토, 팽창 점토, 규조토, 부석, 운모, 카올린, 탤크, 돌로마이트, 조노트라이트, 진주암, 질석, 규회석, 중정석,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칼슘 알루미네이트, 실리카, 퓸드 실리카, 융합 실리카, 에어로겔, 유리 비드, 중공 유리 구체, 세라믹 구체, 보크사이트, 분쇄 콘크리트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불활성 미네랄 충전제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기능성 층은 기능성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5중량%의 바람직하게는 분쇄 콘크리트, 탄산칼슘, 규조토, 부석, 운모, 카올린, 탤크, 돌로마이트, 조노트라이트, 진주암, 질석, 규회석, 중정석, 탄산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불활성 미네랄 충전제를 포함한다.
용어 "미네랄 결합제"는 본 명세서에서 물의 존재 하에서 고체 수화물 또는 수화물 상의 형성 하에서 수화 반응으로 반응하는 결합제를 지칭한다. 특히, 용어 "미네랄 결합제"는 본 명세서에서 수화되지 않은 미네랄 결합제, 즉, 물과 혼합되지 않고, 수화 반응으로 반응하지 않는 미네랄 결합제를 지칭한다. 기능성 층에 사용될 적합한 미네랄 결합제는 수경성(hydraulic), 비-수경성, 잠재 수경성 및 포졸란성(pozzolanic) 결합제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는 수경성, 비-수경성, 잠재 수경성 및 포졸란성 결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미네랄 결합제이다.
용어 "수경성 결합제"는 본 명세서에서 물과의 화학 반응("수화 반응")의 결과로서 고화되어, 수용성이 아닌 수화물을 생성시키는 물질을 나타낸다. 특히, 수경성 결합제의 수화 반응은 본질적으로 물 함량과 독립적으로 일어난다. 이는, 수경성 결합제가 물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수중 또는 다습 조건 하에서도 고화되어 이의 강도를 보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경성 결합제의 예는 시멘트, 시멘트 클링커(cement clinker) 및 수경성 석회를 포함한다. 이에 반해서, "비-수경성 결합제", 예컨대, 공기-소석회(비-수경성 석회) 및 석고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성이어서, 이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건식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용어 "석고"는 본 명세서에서 임의의 공지된 형태의 석고, 특히 황산칼슘 무수물, 황산칼슘 α-반수화물, 황산칼슘 β-반수화물 또는 황산칼슘 경석고(anhydri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나타낸다.
용어 "잠재 수경성 결합제"는 본 명세서에서 DIN EN 206-1:2000에 따른 잠재 수경성 특징을 갖는 특정 타입 II 콘크리트 첨가제를 나타낸다. 이러한 재료는 물과 혼합되는 경우 직접적으로 고화될 수 없거나 또는 너무 느리게 고화되는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이다. 고화 과정은, 결합제의 비정질(또는 유리질) 상 내의 화학 결합을 파괴하고, 이온종의 용해 및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수화물 상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알칼리성 활성화제의 존재 하에서 가속화된다. 잠재 수경성 결합제의 예는 과립 고로 슬래그(granulated blast furnace slag)를 포함한다.
용어 "포졸란성 결합제"는 본 명세서에서 DIN EN 206-1:2000에 따른 포졸란성 특징을 갖는 특정 타입 II 콘크리트 첨가제를 나타낸다. 이러한 재료는 물 및 수산화칼슘과 반응하여 규산칼슘 수화물 또는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수화물 상을 형성하는 규질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화합물이다. 포졸란성 결합제는 천연 포졸란, 예컨대, 트래스(trass) 및 인공 포졸란, 예컨대, 플라이 애쉬(fly ash) 및 실리카 퓸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기능성 층은 기능성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5중량%의 시멘트 또는 시멘트 클링커를 포함한다. 시멘트는 임의의 종래의 시멘트, 예를 들어, DIN EN 197-1에 따른 5개의 주요 시멘트 유형에 따르는 것: 즉, 포틀랜드 시멘트(CEM I), 포틀랜드 복합 시멘트(CEM II), 고로 시멘트(CEM III), 포졸란 시멘트(CEM IV) 및 복합 시멘트(CEM V)일 수 있다. 이들 주요 시멘트 유형은 첨가되는 양에 따라서, 당업자에게 공지되고, DIN EN 197-1에 열거된 추가의 27개 시멘트 유형으로 나뉜다. 본래, 또 다른 표준, 예를 들어, ASTM 표준 또는 인디아 표준에 따라서 제조된 모든 다른 시멘트가 또한 적합하다. 본 명세서에서 DIN 표준에 따른 시멘트 유형이 언급되는 한, 이것은 본래 또 다른 시멘트 표준에 따라서 제조된 상응하는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기능성 층은 1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중량%의, 모래, 화강암, 탄산칼슘, 점토, 팽창 점토, 규조토, 부석, 운모, 카올린, 탤크, 돌로마이트, 조노트라이트, 진주암, 질석, 규회석, 중정석,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칼슘 알루미네이트, 실리카, 퓸드 실리카, 융합 실리카, 에어로겔, 유리 비드, 중공 유리 구체, 세라믹 구체, 보크사이트, 분쇄 콘크리트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불활성 미네랄 충전제, 및 1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중량%의, 수경성, 비-수경성, 잠재 수경성 및 포졸란성 결합제, 특히 시멘트 및 시멘트 클링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미네랄 결합제를 포함하며, 모든 비율은 기능성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기능성 층은 1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중량%의 분쇄 콘크리트 및 1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중량%의, 적어도 1종의 다른 불활성 미네랄 충전제 및/또는 수경성, 비-수경성, 잠재 수경성 및 포졸란성 결합제, 특히 시멘트 및 시멘트 클링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미네랄 결합제를 포함한다.
기능성 층 중에 존재하는 경우 미네랄 결합제는 밀봉 장치가 일반적인 실온 및 50%의 상대 습도에서 수 주 동안 저장되는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비수화된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기능성 층이 수화된 미네랄 결합제를 함유하더라도, 예를 들어,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가 분쇄 콘크리트를 함유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수화된 미네랄 결합제는 본질적으로 상호 연결된 고체 네트워크를 형성하지 않는다. 기능성 층 내의 수화된 미네랄 결합제의 고체 네트워크의 존재는 밀봉 장치의 가요성을 상당히 감소시킬 것인데, 이것은 방수 및 지붕 응용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의 중간 입자 크기 d50은 1 내지 3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0㎛,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0㎛이다. 용어 "중간 입자 크기 d50"은 본 명세서에서 부피 기준으로 모든 입자의 50%가 d50 값보다 작은 입자 크기를 지칭한다. 용어 "입자 크기"는 입자의 면적-등가 구체 직경(area-equivalent spherical diameter)을 지칭한다. 입자 크기 분포는 표준 ISO 13320:2009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른 레이저 회절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입자 크기 분포의 결정을 위해서, 입자는 물 중에 현탁된다(습식 분산 방법). Mastersizer 2000 장치(맬버른 인스트르먼츠사(Malvern Instruments Ltd)(독일 소재)의 상표명)를 입자 크기 분포 측정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입자 중 적어도 98%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의 전체 입자 크기는 25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 미만이다.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의 입자 중 40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미만은 5㎛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갖고/갖거나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의 입자 중 40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미만은 100㎛ 초과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기능성 층은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용어 "계면활성제"는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소수성기 및 친수성기 둘 다를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인, 표면 장력을 낮추는 물질을 지칭한다. 친수성기의 전하에 기초하여, 계면활성제는 전형적으로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분류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기능성 층은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비이온성 및 중합체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SF를 추가로 포함한다.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카복실레이트,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설포네이트기, 예컨대, 아미노산 유도체; 지방 알코올 에터 설페이트; 지방 알코올 설페이트; 비누; 알킬페놀 에톡실레이트; 지방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알칸설포네이트; 올레핀설포네이트; 및 알킬 포스페이트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적합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4차 암모늄 또는 포스포늄 화합물, 예를 들어, 테트라알킬암모늄염; N,N-다이알킬이미다졸린 화합물; 다이메틸다이스테아릴암모늄 화합물, N-알킬피리딘 화합물 등; 및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양쪽성(쯔비터이온성(zwitterionic)) 계면활성제는 동일한 분자에 부착된 양이온 중심 및 음이온 중심 둘 다를 갖는다.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양쪽성 전해질, 예컨대, 아미노카복실산 및 베타인을 포함한다.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에톡실레이트, 예를 들어, 알코올, 예컨대,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 아민; 지방산; 지방산 아마이드; 알킬페놀; 에탄올아마이드; 지방 아민; 폴리실록산; 지방산 에스터; 알킬 또는 알킬페닐 폴리글리콜 에터, 예를 들어, 지방 알코올 폴리글리콜 에터; 알킬글리코시드; 당 에스터; 솔비탄 에스터; 폴리솔베이트 또는 트라이알킬아민 옥사이드; 기껏해야 알킬기를 갖는 하나의 단부에 부착될 수 있는 폴리(메트)아크릴산과 폴리알킬렌 글리콜 또는 아미노폴리알킬렌 글리콜의 에스터 및 아마이드의 에톡실화 부가물을 포함한다.
중합체 계면활성제는 2개의 군의 화합물로 나뉠 수 있다. 첫 번째 군은 쇄를 따라서 규칙적인 간격으로 소수성기를 갖고 쇄를 따라서 무작위 또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친수성기를 갖는 유기 중합체 쇄가 존재하는 콤(comb) 또는 레이크(rake) 중합체를 포함한다. 중합체 계면활성제의 두 번째 군은 보통 A-B-A 구성으로 소수성기 블록(B)과 친수성 기의 블록(A)이 존재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특정 중합체 계면활성제, 예컨대,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계면활성제는 또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분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SF는 기능성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0.05중량%의 양으로 기능성 층 중에 존재한다.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SF는 기능성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기능성 층 중에 존재하는 것이 이로울 수 있다.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SF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카복실레이트 에터, 폴리에터-변형된 폴리실록산,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실록산, 하이드록시에틸 아민, 에루카마이드, 스테아릴 스테아르아마이드, 알칼리 금속 알칸설포네이트 및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적합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의 예는 Dimodan HP(다니스코사(Danisco) 제품)를 포함한다.
적합한 폴리카복실레이트 에터의 예는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주쇄)로 그래프팅된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공중합체(측쇄)로 구성된 폴리카복실레이트 에터계 고성능감수제(polycarboxylate ether-based superplasticizer)(PCE)를 포함한다. 적합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폴리카복실레이트 에터계 고성능감수제는 Viscocrete(등록상표) 중합체 PC-2, Viscocrete(등록상표) 중합체 RMC-2 및 Cemerol(등록상표) R-750 MC(시카사(Sika) 제품)를 포함한다.
적합한 폴리에터-개질된 폴리실록산의 예는 폴리에터폴리실록산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적합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폴리에터-개질된 폴리실록산은 Tegostab B8870(에보닉사(Evonik) 제품)을 포함한다.
적합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실록산의 예는 Niax L-1500(모멘티브사(Momentive) 제품)을 포함한다.
적합한 하이드록시에틸 아민의 예는 Armostat 300(악조 노벨사(Akzo Nobel) 제품)로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비스(2-하이드록시에틸) 아민을 포함한다.
적합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에루카마이드 및 스테아릴 스테아르아마이드의 예는 Kemamide E180 및 Kemamide 80(피엠씨 바이오제닉스사(PMC Biogenix) 제품)을 포함한다.
적합한 알칼리 금속 알칸설포네이트의 예는 Armostat 3002(악조 노벨사 제품) 및 Loxiol 93P(에머리 올레오케미컬즈사(Emery Oleochemicals) 제품)로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소듐 알칸 설포네이트를 포함한다.
적합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알킬아릴설포네이트의 예는 ZetaSphere 2300, 3100 및 3700(에어프로덕츠사(Airproducts) 제품)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기능성 층은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카복실레이트 에터, 폴리에터-개질된 폴리실록산,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실록산, 하이드록시에틸 아민, 에루카마이드, 스테아릴 스테아르아마이드, 알칼리 금속 알칸설포네이트 및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SF를 포함하고, 여기서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SF는 기능성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기능성 층 중에 존재한다.
기능성 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밀봉 장치의 종 방향 및/또는 횡 방향에서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층은 DIN EN 1849-2 표준에 정의된 바와 같은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경우, 0.1 내지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의 최대 두께를 갖는다. 또한, 기능성 층은 DIN EN 1849-2 표준에 정의된 바와 같은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경우, 0.05 내지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의 최소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추가로, 기능성 층은 DIN EN 1849-2 표준에 정의된 바와 같은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경우 0.07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의 최대 두께 및 최소 두께의 산술 평균으로서 결정되는 평균 두께를 갖는 것이 이로울 수 있다.
방수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방수층은 DIN EN 1849-2 표준에 정의된 바와 같은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경우 0.0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밀봉 장치는 밀봉 장치의 치수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보강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강층은 바람직하게는 방수층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장된다. 적합한 보강층은 예를 들어, 보강 스크림 및 보강 섬유 재료를 포함한다.
열가소성 방수막의 치수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부류의 보강 스크림이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보강 스크림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되는 인터우븐(interwoven) 가닥을 포함한다. 적합한 보강 스크림은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방수막이 경험하는 일반적인 인장 하중에 노출되는 경우 찢어짐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인장 강도를 갖는다. 보강 스크림층에 특히 적합한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에스터를 포함한다.
용어 "섬유 재료"는 본 명세서에서 섬유로 구성된 재료를 지칭한다. 섬유는 유기 또는 합성 재료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셀룰로스 섬유, 코튼 섬유, 단백질 섬유, 합성 유기 섬유 및 합성 무기 섬유를 포함한다. 적합한 합성 섬유는 폴리에스터,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비스코스, 나일론 및 유리로 제조된 섬유를 포함한다. 섬유는 단섬유 또는 장섬유, 스펀, 제직, 부직 섬유 또는 필라멘트일 수 있다. 섬유는 또한 정렬된 또는 인발된 섬유(drawn fiber)일 수 있다. 또한, 기하학적 구조 및 조성 둘 다와 관련하여 상이한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이로울 수 있다. 보강 섬유 재료는 섬유 매트, 부직 패브릭 또는 섬유성 조직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보강 섬유 재료에 특히 적합한 재료는 유리 섬유, 폴리에스터 섬유 및 나일론 섬유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밀봉 장치는 방수층 내에 완전히 내장된 보강층을 포함한다. "완전히 내장된"이라는 표현은 보강층이 방수층의 매트릭스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완전히 피복된 것을 의미한다.
하나 이상의 추가 실시형태에 따라서, 밀봉 장치는 방수층과 기능성 층 사이에 위치된 보강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보강층의 한 면은 바람직하게는 방수층의 제2 표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면은 기능성 층의 제1 표면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보강층이 방수층 및/또는 기능성 층 내에 부분적으로 내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밀봉 장치는 어떠한 보강층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또한 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는 바람직할 수 있다.
밀봉 장치는 전형적으로 사전 제조된 테이프의 형태로 제공되는데, 이것은 건설 현장으로 전달되고, 롤로부터 풀려서 전형적으로 1 내지 20㎝의 폭을 갖는 스트립을 제공한다. 스트립은 예를 들어, 2개의 인접한 방수막 사이의 조인트를 밀봉하기 위해서 또는 기존의 방수막 내의 손상된 지점을 수리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방수층, 기능성 층, 접착제층, 보강층, 이형 라이너, 및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1P2뿐만 아니라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에 대해서 상기에 제공된 선호 내용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모든 양상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상은 본 발명의 밀봉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밀봉 장치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중합체계 시트 및 필름을 포함하는 복합체 막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종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봉 장치는 예를 들어, 종래의 압출(extruding), 캘린더링(calendering), 압착(compressing) 또는 캐스팅(casting)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밀봉 장치의 제조 방법은 방수층 및 기능성 층의 조성물을 압출 및/또는 캘린더링 및/또는 공압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방수층 및 기능성 층의 "조성물"은 각각의 층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구성성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밀봉 장치의 제조 방법은,
i) 방수층 및 기능성 층의 조성물을 압출 및/또는 캘린더링 및/또는 공압출시켜 막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ii)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접착제 조성물을 가열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유동시키는 단계, 및
iii) 접착제 조성물을 기능성 층의 면의 맞은편의 방수층의 제1 주표면 상에 코팅하여 제1 주표면이 접착제층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복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단계 i)은,
i') 방수층의 조성물 및 기능성 층의 조성물을 공통 다이를 통해서 공압출시켜 막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또는
i') 방수층의 조성물을 다이를 통해서 압출시켜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i") 기능성 층의 조성물을 다이를 통해서 방수층의 표면 상에 압출시켜 막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또는
i') 기능성 층의 조성물을 다이를 통해서 압출시켜 기능성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i") 방수층의 조성물을 다이를 통해서 기능성 층의 표면 상에 압출시켜 막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압출 단계에서, 상응하는 층의 조성물을 먼저 압출기에서 용융 가공하여 균질화된 용융물을 생성시키고, 이어서 이것을 압출기 다이를 통해서 압출시킨다. 적어도 하나의 압출기 및 압출기 다이를 포함하는 적합한 압출 장치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임의의 종래의 압출기, 예를 들어, 램 압출기, 단축 압출기 또는 이축 압출기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출기는 축 압출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축 압출기이다. 압출기 다이, 바람직하게는 플랫 다이는 매니폴드, 접근부 및 립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공압출 공정의 경우에, 적어도 2개의 압출기를 포함하는 압출기 장치, 바람직하게는 이축 압출기 및 단일 매니폴드 또는 다중 매니폴드 다이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공압출 공정에 대해서, 단계 i)은 각각 압출기 및 다이, 바람직하게는 플랫 다이를 포함하는 2개의 별개의 압출기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압출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4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220℃, 가장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200℃이다. 용어 "압출 온도"는 다이 유출구 내의 압출된 조성물의 온도를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압출 압력은 20 내지 350bar,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40bar,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200bar,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30bar이다. "압출 압력"은 조성물이 다이 유입구에 들어가기 직전의 계량 구역의 단부에서의 조성물의 압력을 지칭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밀봉 장치의 제조 방법은 단계 i)에서 얻은 막 복합체를 접착제의 도포 이전에 인발(drawing)시키는 이격된 캘린더 냉각 롤을 사용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한다. 막 복합체는 층이 서로에 접합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그리고/또는 압출된 층의 두께, 특히 기능성 층의 두께를 제어하기 위해서 캘린더 냉각 롤을 통해서 인발된다.
기능성 층의 조성물이 1종 이상의 미네랄 결합제를 함유하는 경우, 존재하는 경우 조성물 중에 함유된 물의 양은 용융-가공 단계 및 압출/캘린더링 단계 동안 미네랄 결합제를 본질적으로 비수화된 형태로 유지시키기에 충분히 적어야 한다. 생산 공정 동안 미네랄 결합제의 수화는 바람직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그것이 수화된 미네랄 결합제의 상호 연결된 고체 네트워크의 형성으로 인해서 기능성 층의 가요성을 상당히 감소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롤의 형태로 저장 및 이송될 수 있고, 방수될 기재의 표면 상에 용이하게 도포될 수 있는 밀봉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기능성 층의 가요성은 필수적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기능성 층의 조성물 중의 물의 양은 기능성 층의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하이다.
접착제 조성물은 임의의 종래의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예컨대, 다이 코팅, 압출 코팅, 롤러 코팅에 의해서 또는 분무 적층 기술에 의해서, 바람직하게는 다이 코팅에 의해서 방수층의 제1 주표면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이 단계 ii)에서 가열되는지 가열되지 않는지는 밀봉 장치의 실시형태, 특히 접착제의 유형에 좌우된다. 접착제가 감압 고온 용융 접착제인 경우, 접착제 조성물은 50 내지 150℃, 예컨대, 75 내지 125℃, 특히 80 내지 120℃의 범위의 온도까지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접착제가 감압 접착제인 경우, 접착제 조성물이 방법의 단계 ii)에서 가열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 조성물은 방수층의 제1 주표면의 단지 일부 상에 또는 전체 면적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은 방수층의 제1 주표면의 실질적으로 전체 면적 상에 도포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 조성물은 방수층의 제1 주표면의 면적의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상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접착제 조성물은 적어도 1종의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고무계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고무계 감압 접착제 또는 고무계 감압 고온 용융 접착제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적어도 1종의 엘라스토머는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7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중량%의 양으로 고무계 접착제 중에 존재하고, 고무계 접착제는 적어도 1종의 점착부여 수지 및 적어도 1종의 25℃에서 액체인 폴리올레핀 수지 및/또는 적어도 1종의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점착부여 수지, 25℃에서 액체인 폴리올레핀 수지 및 충전제 및 고무계 접착제 중의 이들의 각각의 양은 본 발명의 밀봉 장치와 관련하여 상기에 이미 제공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접착제 조성물은 적어도 1종의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 또는 아크릴계 감압 고온 용융 접착제이다. 아크릴계 접착제에서 사용될 바람직한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본 발명의 밀봉 장치와 관련하여 상기에 이미 제공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접착제 조성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된 아크릴계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된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된 아크릴계 감압 고온 용융 접착제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접착제 조성물은,
a') 적어도 65.0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0중량%의 적어도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b') 0.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의 적어도 1종의 경화제,
c') 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2.5중량%의 적어도 1종의 개시제, 및
d') 0 내지 30.0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중량%의 적어도 1종의 점착부여 수지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된 조성물이며, 모든 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접착제 조성물은 UV-경화성 아크릴계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UV-경화성 감압 접착제 또는 UV-경화성 아크릴계 감압 고온 용융 접착제이고, 밀봉 장치의 제조 방법은,
iv) 접착제층에 UV-방사선을 적용하여 접착제 조성물의 가교를 달성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접착제 조성물은,
a") 적어도 65.0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0중량%의 적어도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b") 0.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의 적어도 1종의 경화제,
c") 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2.5중량%의 적어도 1종의 광개시제, 및
d") 0 내지 30.0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중량%의 적어도 1종의 점착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UV-경화성 조성물이며, 모든 비율은 UV-경화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밀봉 장치의 제조 방법은,
v) 이형 라이너를 방수층의 면의 맞은편의 접착제층의 외향 표면에 적용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상은,
i)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을 갖는 제1 방수막 및 제2 방수막을 제공하는 단계,
ii) 상기 방수막을 기재의 표면 상에 배치하여 상기 막의 내부 표면이 기재의 표면을 향하고, 막의 단부 부분이 겹쳐져서 막 사이에 랩핑된 조인트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
iii)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를 랩핑된 조인트에 그리고 그 위에 적용하여 접착제층이 랩핑된 조인트의 양면 상의 제1 방수막 및 제2 방수막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단계, 및
iv) 밀봉 장치를 접착제 접합에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한 압력을 사용하여 제1 방수막 및 제2 방수막의 외부 표면에 대해서 프레싱(press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재를 방수 처리하는 방법이다.
방수막의 단부 부분의 대향하는 표면, 즉, 제1 막의 단부 부분의 외부 표면 및 제2 막의 단부 부분의 내부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함께 접합된다. 방수막의 특성에 따라서, 단부 부분은 예를 들어, 접착제 수단에 의해서 또는 열-용접에 의해서 함께 접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방수막의 표면은 접착제 접합이 가능하도록 사전 처리되어야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1 방수막 및 제2 방수막 각각은 제1 주표면 및 제2 주표면을 갖고,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1을 포함하는 방수층, 및 제1 주표면 및 제2 주표면을 갖고,
a) 10 내지 70중량%의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2
b) 30 내지 90중량%의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를 포함하는 기능성 층을 포함하고, 상기 비율은 기능성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여기서
기능성 층 및 방수층은 이들의 대향하는 주표면의 적어도 부분에 걸쳐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들 실시형태에서, 제1 방수막 및 제2 방수막의 내부 표면은 제1 방수막 및 제2 방수막의 방수층의 제1 주표면에 상응하고, 즉, 제1 방수막 및 제2 방수막은 기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방수층은 기재의 표면을 향한다.
제1 방수막 및 제2 방수막의 방수층 및 기능성 층은 그들의 대향하는 주표면의 적어도 부분에 걸쳐서 서로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층의 실질적으로 전체의 제1 주표면이 방수층의 제2 주표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성 층의 제1 주표면 중 적어도 9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가 방수층의 제2 주표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또 다른 대상은 중합체 막, 바람직하게는 방수막의 겹쳐진 부분 사이에 형성된 랩핑된 조인트를 밀봉하고, 중합체 막, 바람직하게는 방수막 내의 브리치를 패칭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밀봉 장치의 용도이다.
도면의 상세한 설명
도 1은 제1 대향 주표면 및 제2 대향 주표면을 갖는 방수층(2), 제1 대향 주표면 및 제2 대향 주표면을 갖는 기능성 층(3) 및 방수층(2)의 제1 주표면 상에 코팅된 접착제층 조성물(4)을 포함하는 밀봉 장치(1)의 실시형태의 단면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기능성 층(3)의 실질적으로 전체의 제1 주표면은 방수층(2)의 제2 주표면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도 2는 방수층(2), 기능성 층(3), 방수층(2)의 제1 주표면 상에 코팅된 접착제층 조성물(4) 및 방수층(2)의 면의 맞은편의 접착제층(4)의 실질적으로 전체의 외향 표면을 피복하는 이형 라이너(5)를 포함하는 밀봉 장치(1)의 실시형태의 단면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기능성 층(3)의 실질적으로 전체의 제1 주표면은 방수층(2)의 제2 주표면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도 3은 방수층(2), 기능성 층(3), 방수층의 제1 주표면 상에 코팅된 접착제층 조성물(4), 방수층(2)의 면의 맞은편의 접착제층(4)의 실질적으로 전체의 외향 표면을 피복하는 이형 라이너(5) 및 방수층(2) 내에 완전히 내장된 보강층(6)을 포함하는 밀봉 장치(1)의 실시형태의 단면을 나타낸다.
실시예
밀봉 장치의 제조
방수층 및 기능성 층을 포함하는 막 복합체를 제공하고, 방수층의 외부 표면 상에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함으로써 밀봉 장치를 제조하였다. 국제 특허 공개 제WO 2017/108843 A1호(제39면 내지 제40면; 실시예 1, "실시예 막의 제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서 막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방수층의 두께는 약 0.5㎜였고, 기능성 층의 두께는 약 0.4㎜였다.
가열하거나 가열하지 않고 롤러 코팅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방수층의 표면 상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접착제가 감압 고온 용융 접착제인 경우, 접착제 조성물을 먼저 가열시켜 용융시키고, 이어서 방수층의 표면 상에 도포하였다. UV-경화성 감압 접착제의 경우, 접착제 조성물을 먼저 방수층의 표면 상에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이것을 UV-방사선에 적용하여 접착제 조성물의 가교를 달성하였다.
4개의 상이한 접착제를 밀봉 장치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접착제 1: 하기를 포함하는 UV-경화성 아크릴레이트계 감압 접착제:
- 60 내지 85중량%의 적어도 1종의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 0.01 내지 1.0중량%의 경화제,
- 0.1 내지 3중량%의 개시제, 및
- 2.5 내지 25중량%의 점착부여 수지
접착제 2: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계 감압 고온 용융 접착제(SikaMelt 9209HT, 시카 오토모티브 게엠베하(Sika Automotive GmbH)(독일 소재)로부터 입수 가능함)
접착제 3: 하기를 포함하는 부틸 고무계 감압 고온 용융 접착제:
- 5 내지 40중량%의 부틸 고무,
- 5 내지 40중량%의 적어도 1종의 탄화수소 석유(점착부여) 수지,
- 5 내지 40중량%의 25℃에서 액체인 폴리부텐,
- 10 내지 70중량%의 미네랄 충전제, 및
- 0.1 내지 5중량%의 항산화제, 열 안정화제 및 색상 안료를 비롯한 첨가제
접착제 4: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계 접착제 실란트(SikaLastomer SL-70, 시카 오토모티브 유에스에이(Sika Automotive USA)로부터 입수 가능함)
수밀성(watertightness) 시험
막 기반 방수 시스템에서 겹쳐진 조인트, 연결부 및 세부 장식의 밀봉에 사용하기 위한 제조된 밀봉 장치의 적합성을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수밀성 시험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먼저 약 1㎝의 직경을 갖는 원형 구멍을 방수막의 스트립의 중앙에 펀칭하였다. 방수막은 약 1.2㎜의 두께를 갖는 방수층 및 약 0.4㎜의 두께를 갖는 기능성 층으로 이루어졌고, 접착제층을 도포하지 않고 상기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여 방수막을 제조하였다. 구멍을 방수막의 전체 두께를 통해서 펀칭하였다. 이어서, 기능성 층을 위로 향하게 하면서 방수막을 콘크리트 기재의 표면 상에 놓고, 15×15㎝ 스트립의 밀봉 장치를 구멍 위에 적용하여 접착제층이 방수막의 기능성 층과 접촉하게 하였다. 그 다음, 밀봉 장치를 방수막의 외부 상향 표면에 대해서 프레싱하여 방수막의 기능성 층과 밀봉 장치의 방수층 사이에 접착제 접합을 달성하였다. 이렇게 얻은 시험 시편은 밀봉 장치의 접착제층을 사용하여 서로에 접합된 방수막 및 밀봉 장치를 포함하였다.
이어서, 시험 시편을 뒤집고, 방수막의 방수층이 위로 향하게 하면서 콘크리트 기재의 표면 상에 놓았다. 5㎝의 직경 및 30y㎝의 길이를 갖는 파이프를 구멍 위에 수직으로 장착하고, 파이프를 물로 완전히 충전시켰다. 파이프와 방수막의 표면 사이의 연결부를 접착제 코팅을 사용함으로써 수밀처리하였다. 미리 결정된 시간 이후에 파이프 내의 물의 수준을 측정하여 방수막과 밀봉 장치 사이의 조인트가 여전이 수밀성인지 또는 누출이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하였다. 수밀성 시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제공한다.
접착제 유형 층 두께 초기 접착 수밀성
접착제 1 1.0㎜ 7일 초과
접착제 2 0.85㎜ 7일 미만
접착제 3 1.0㎜ 7일 초과
접착제4 1.0㎜ 수밀성 아님
시험 결과에 따르면, UV-경화성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 및 부틸 고무계 감압 고온 용융 접착제의 층을 갖는 밀봉 장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계 감압 고온 용융 접착제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계 접착제 실란트의 층을 갖는 밀봉 장치와 비교할 때 수밀성과 관련하여 더 양호한 성능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밀봉 장치는 막 기반 방수 시스템에서 겹쳐진 조인트, 연결부 및 세부 장식의 밀봉에 사용하기에 보다 적합하다.

Claims (17)

  1. 밀봉 장치(sealing device)로서,
    제1 주표면 및 제2 주표면을 갖고,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1을 포함하는 방수층(waterproofing layer)(2); 및
    제1 주표면 및 제2 주표면을 갖고,
    a) 10 내지 70중량%의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 P2
    b) 30 내지 90중량%의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를 포함하는 기능성 층(3)을 포함하되, 상기 비율은 상기 기능성 층(3)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상기 기능성 층(3)과 상기 방수층(2)은 이들의 대향하는 주표면의 적어도 부분에 걸쳐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밀봉 장치는 상기 기능성 층(3)의 면의 맞은편의 상기 방수층의 상기 제1 주표면 상에 코팅되어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복하는 접착제층(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층(4)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인 것인, 밀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의 입자는 상기 기능성 층(3)의 전체 부피 전체에 분포되는, 밀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부틸 고무, 할로겐화된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다이엔 단량체 고무, 천연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합성 1,4-시스-폴리아이소프렌, 폴리부타다이엔 및 아이소프렌-부타다이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고무계 접착제인, 밀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엘라스토머는 상기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70중량%의 양으로 상기 고무계 접착제 중에 존재하되, 상기 고무계 접착제는 적어도 1종의 점착부여 수지(tackifying resin) 및 적어도 1종의 25℃에서 액체인 폴리올레핀 수지 및/또는 적어도 1종의 충전제를 더 포함하는, 밀봉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적어도 1종의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접착제인, 밀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적어도 65중량%의 하기 화학식 (I)의 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된 것인, 밀봉 장치:

    식 중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2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이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된 아크릴계 접착제인, 밀봉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a') 적어도 65.0중량%의 상기 적어도 1종의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b') 0.01 내지 5.0중량%의 적어도 1종의 경화제,
    c') 0.1 내지 5.0중량%의 적어도 1종의 개시제 및
    d') 0 내지 30.0중량%의 적어도 1종의 점착부여 수지
    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된 조성물이되, 모든 비율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밀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종의 개시제 c')는 광개시제인, 밀봉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4)은 0.1 내지 2.5㎜의 두께를 갖는, 밀봉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2)의 상기 면의 맞은편의 상기 접착제층(4)의 외향 표면(outward facing surface)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복하는 이형 라이너(release liner)(5)를 더 포함하는, 밀봉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 P1P2는 에틸렌 - 바이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에틸렌 -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에틸렌 - 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 - 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 - 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 - 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바이닐클로라이드(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타이렌(PS), 폴리아마이드(PA), 클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CSPE),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고무(EPDM) 및 폴리아이소부틸렌(PIB)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되거나 상기 적어도 1종의 고체 미립자 충전제 F는 불활성 미네랄 충전제 및 미네랄 결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밀봉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밀봉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i) 방수층(2) 및 기능성 층(3)의 조성물을 압출(extruding) 및/또는 캘린더링(calendering) 및/또는 공압출시켜(co-extruding) 막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ii)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가열시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유동시키는 단계, 및
    iii) 접착제 조성물을 상기 기능성 층(3)의 면의 맞은편의 상기 방수층(2)의 제1 주표면 상에 코팅하여 상기 방수층(2)의 상기 제1 주표면이 접착제층(4)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복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밀봉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UV-경화성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이되, 상기 방법은,
    iv) 상기 접착제층(4)에 UV-방사선을 적용하여 상기 접착제 조성물의 가교를 달성하는 추가의 단계를 포함하는, 밀봉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v) 이형 라이너(5)를 상기 방수층(2)의 상기 면의 맞은편의 상기 접착제층(4)의 외향 표면에 적용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하는, 밀봉 장치의 제조 방법.
  16. 기재(substrate)를 방수 처리(waterproofing)하는 방법으로서,
    i)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을 갖는 제1 방수막 및 제2 방수막을 제공하는 단계,
    ii) 상기 방수막을 상기 기재의 표면 상에 배치하여 상기 막의 상기 내부 표면이 상기 기재의 상기 표면을 향하고, 상기 막의 단부 부분이 겹쳐져서 상기 막 사이에 랩핑된 조인트(lapped joint)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
    iii)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밀봉 장치(1)를 상기 랩핑된 조인트에 그리고 그 위에 적용하여 상기 접착제층(4)이 상기 랩핑된 조인트의 양면 상의 상기 제1 막 및 상기 제2 막의 상기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단계, 및
    iv) 밀봉 장치(1)를 접착제 접합에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한 압력을 사용하여 상기 방수막의 상기 외부 표면에 대해서 프레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재를 방수 처리하는 방법.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밀봉 장치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합체 막의 겹쳐진 부분 사이에 형성된 랩핑된 조인트를 밀봉하고 중합체 막 내의 브리치(breach)를 패칭(patching)하는 방법.
KR1020207010410A 2017-11-29 2018-11-29 기능성 층을 갖는 밀봉 테이프 KR102573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204461.2 2017-11-29
EP17204461 2017-11-29
PCT/EP2018/083051 WO2019106108A1 (en) 2017-11-29 2018-11-29 A sealing tape with a functional 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260A KR20200089260A (ko) 2020-07-24
KR102573469B1 true KR102573469B1 (ko) 2023-09-01

Family

ID=6056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0410A KR102573469B1 (ko) 2017-11-29 2018-11-29 기능성 층을 갖는 밀봉 테이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590739B2 (ko)
EP (1) EP3717234B1 (ko)
KR (1) KR102573469B1 (ko)
CN (1) CN111278646B (ko)
AU (1) AU2018376334B2 (ko)
CA (1) CA3083541A1 (ko)
ES (1) ES2943069T3 (ko)
PL (1) PL3717234T3 (ko)
WO (1) WO20191061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9024A2 (en) * 2020-05-14 2021-11-18 Sika Technology Ag A sealing device with at least one heat-weldable short edge
CN112026452A (zh) * 2020-07-27 2020-12-04 邓计 一种汽车轮胎的内贴式隔音装置
CN114250041B (zh) * 2021-05-21 2023-06-16 圣戈班汇杰(杭州)新材料有限公司 一种防水胶带、其制备方法及其在门窗防水密封中的应用
US20230279663A1 (en) * 2022-02-18 2023-09-07 Seaman Corporation Building semi-permanent weatherproofing membrane with transitional permanent air/vapor barrier capabilities and methods of us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8843A1 (en) * 2015-12-23 2017-06-29 Sika Technology Ag Waterproofing membrane with a solid filler component
WO2017108846A1 (en) 2015-12-23 2017-06-29 Sika Technology Ag Waterproofing membrane with mineral binder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22123A (en) 1972-09-12 1976-01-21 Coal Industry Patents Ltd Waterproof sheeting
NZ241425A (en) * 1991-03-01 1994-10-26 Grace W R & Co Waterproofing membrane comprising a carrier material, an adhesive layer and a protective layer; concrete structures having such a membrane retained on a surface thereof
JP2000320085A (ja) * 1999-05-17 2000-11-21 Chori Co Ltd ルーフィング用防水テープ及び防水方法
JP2004507634A (ja) * 2000-08-31 2004-03-11 ミリケン・アンド・カンパニー 成形パネルのバリヤー
US6863944B2 (en) * 2003-01-27 2005-03-08 Building Materials Investment Corporation Thermoplastic single ply protective covering
PL2349710T3 (pl) * 2008-10-23 2018-03-30 Gcp Applied Technologies Inc. Folia hydroizolacyjna
DE102009011164A1 (de) * 2009-03-04 2010-09-09 Tesa Se Klebeband, insbesondere zur Verklebung von Photovoltaiklaminaten
GB2531675B (en) * 2010-08-17 2016-09-07 Thomas & Betts In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aling assemblies
CN104583351B (zh) * 2012-08-20 2018-05-15 Sika技术股份公司 与混凝土具有良好粘附的防水膜
KR101622071B1 (ko) * 2014-11-01 2016-05-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CN104533043A (zh) * 2014-12-03 2015-04-22 珠海东诚光固化材料有限公司 一种装饰板及其制备方法
EP3091043B1 (en) 2015-05-07 2019-07-03 Henkel AG & Co. KGaA Uv curable adhesives based on acrylic polym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8843A1 (en) * 2015-12-23 2017-06-29 Sika Technology Ag Waterproofing membrane with a solid filler component
WO2017108846A1 (en) 2015-12-23 2017-06-29 Sika Technology Ag Waterproofing membrane with mineral binder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78646A (zh) 2020-06-12
EP3717234B1 (en) 2023-04-05
AU2018376334B2 (en) 2023-03-16
CN111278646B (zh) 2023-06-23
US20210170727A1 (en) 2021-06-10
ES2943069T3 (es) 2023-06-08
EP3717234A1 (en) 2020-10-07
WO2019106108A1 (en) 2019-06-06
US11590739B2 (en) 2023-02-28
AU2018376334A1 (en) 2020-04-09
KR20200089260A (ko) 2020-07-24
CA3083541A1 (en) 2019-06-06
PL3717234T3 (pl) 202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9761B2 (en) Roofing membrane with a functional layer
KR102573469B1 (ko) 기능성 층을 갖는 밀봉 테이프
JP7402186B2 (ja) 接着剤層の配置を有する自己接着シーリングデバイス
CN112313074A (zh) 具有粘合密封层的自粘性密封装置
CN112368141B (zh) 具有粘合剂层布置的自粘性密封装置
US11781043B2 (en) Fully bonded waterbar
US20200362207A1 (en) Pre-Applied Membrane Having Granular Polymer Outer Protective Layer
US20210238844A1 (en) A method for installing of a sealing element for a concrete joint
WO2023280803A1 (en) A self-adhering bituminous sealing element with improved bonding at low temperatures
KR20240056713A (ko) 시멘트질 접착제를 사용하여 밀봉 요소를 기재에 접합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