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105A -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105A
KR20180098105A KR1020170079461A KR20170079461A KR20180098105A KR 20180098105 A KR20180098105 A KR 20180098105A KR 1020170079461 A KR1020170079461 A KR 1020170079461A KR 20170079461 A KR20170079461 A KR 20170079461A KR 20180098105 A KR20180098105 A KR 20180098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stor
loan
investment
platform
led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5802B1 (ko
Inventor
최수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비금융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비금융지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비금융지주
Priority to PCT/KR2018/00221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55937A1/ko
Publication of KR20180098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G06Q40/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23Payment schemes or models based on the use of peer-to-peer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 관리 시스템은 금융기관과 자금관리계약이 수행된 P2P 플랫폼으로부터 투자자들의 투자자 리스트(여기서, 투자자 리스트는 투자자들의 투자관리번호, 이름, 주민번호, 연락처, 주소, 출금지정계좌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수신하며, 상기 투자자들의 투자관리번호에 따른 투자자 원장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투자자 원장 관리부; 상기 P2P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대출약정에 대응되는 대출상품에 대한 투자를 통해 원리금수취권을 매입한 투자자들의 자금 모금 매칭 리스트 및 상기 P2P 플랫폼의 중계에 의한 차입자와 대부업자간의 대출약정에 따라 상기 대부업자에 의해 생성된 차입자의 대출원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대출원장을 근거로 대출금을 상기 차입자의 계좌로 입금하는 대출금 지급 관리부; 및 상기 대출원장과 상기 자금 모금 매칭 리스트에 포함된 투자자의 투자자 원장을 매칭하여 관리하는 대출원장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대부업자는 상기 P2P 플랫폼의 중계에 의해 차입자와의 대출약정을 체결하여 대출원장을 생성하고, 상기 P2P 플랫폼에 원리금수취권 매도 등록을 하며, 상기 P2P 플랫폼은 상기 투자자들의 투자신청에 대응하는 원리금수취권을 상기 투자자들에게 매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융기관이 투자금을 보관 및 예탁 받으며, 투자자 원장 및 대출원장을 직접 관리함으로, 종래의 P2P 플랫폼의 사업회사가 투자금을 보관 및 예탁을 받음에 따라, P2P 플랫폼의 사업회사가 투자금을 인위적으로 인출하거나, 차입자가 상환한 납입비용을 투자자에게 지급하지 않고 횡령하는 문제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P2P 플랫폼의 사업회사가 파산 등으로 영업을 지속할 수 없다 하더라도 차입자가 원리금납입을 정상적으로 수행한다면 P2P대출 자금관리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 투자금을 투자자에게 정상적으로 지급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관리 시스템{PEER TO PEER LENDING MANAGEMENT SYSTEM OF FINANCIAL AGENC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2P 대출에서 투자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P2P 대출(PEER TO PEER LENDING)은 일종의 크라우드 펀딩이다.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고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개인끼리 자금을 빌려주고 돌려받는다. 사회관계망 서비스(SNS)를 활용해 대출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소셜론으로 불리기도 한다. P2P 대출은 대출신청인이 P2P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등의 플랫폼에 대출을 신청하면, 다수의 투자자가 십시일반으로 자금을 빌려주고 정해진 기간 동안 이자를 얻는다.
대부업체와 달리, P2P 대출은 돈을 가진 사람이 직접 자신이 돈을 빌려줄 사람을 선택하고 그 사람에게 얼마를 빌려줄 것인지 금액을 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P2P 대출업체는 신용 정보를 투자자에게 공개해 투자를 모집한다. 그리고 상환일이 되면 일정 이자를 포함한 원금을 투자자에게 돌려준다.
도 1은 종래의 P2P 대출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입자가 P2P 업체 플랫폼을 통해 대출을 신청하면, 투자자들은 P2P 업체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차입자들 중 특정 차입자를 선택하여 투자를 신청한다. 또한 투자자는 투자를 위해 P2P 업체 플랫폼으로 투자금을 송금한다. P2P 업체 플랫폼은 차입자와 투자자가 매칭되는 경우 대부업체로 대출 취급을 요청한다. P2P 플랫폼은 원금 및 이자를 받을 권리인 원리금수취권 매입 매도 매입대금을 대부업체에 지급하고, 대부업체는 원리금수취권을 기초로 차입자에게 대출을 진행함으로써 P2P 대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P2P 대출 서비스에 따르면, 투자자는 투자를 위해 P2P 업체 플랫폼에 투자금을 송금하게 되는데, P2P 업체 플랫폼의 사업회사가 투자금을 인위적으로 인출하거나, 차입자가 상환한 납입비용을 투자자에게 지급하지 않고 횡령하는 경우 투자자는 불측의 손해를 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투자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융기관과 자금관리계약이 수행된 P2P 플랫폼으로부터 투자자들의 투자자 리스트(여기서, 투자자 리스트는 투자자들의 투자관리번호, 이름, 주민번호, 연락처, 주소, 출금지정계좌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수신하며, 상기 투자자들의 투자관리번호에 따른 투자자 원장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투자자 원장 관리부; 상기 P2P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대출약정에 대응되는 대출상품에 대한 투자를 통해 원리금수취권을 매입한 투자자들의 자금 모금 매칭 리스트 및 상기 P2P 플랫폼의 중계에 의한 차입자와 대부업자간의 대출약정에 따라 상기 대부업자에 의해 생성된 차입자의 대출원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대출원장을 근거로 대출금을 상기 차입자의 계좌로 입금하는 대출금 지급 관리부; 및 상기 대출원장과 상기 자금 모금 매칭 리스트에 포함된 투자자의 투자자 원장을 매칭하여 관리하는 대출원장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대부업자는 상기 P2P 플랫폼의 중계에 의해 차입자와의 대출약정을 체결하여 대출원장을 생성하고, 상기 P2P 플랫폼에 원리금수취권 매도 등록을 하며, 상기 P2P 플랫폼은 상기 투자자들의 투자신청에 대응하는 원리금수취권을 상기 투자자들에게 매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투자자의 출금지정계좌번호로부터 상기 투자관리번호로 이체되는 투자금만을 승인처리하며, 상기 투자금이 입금되는 경우 투자자의 투자금입금 정보를 상기 P2P 플랫폼으로 통지하는 투자금입금 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투자금입금 관리부는 상기 출금지정계좌번호의 예금주명과 상기 투자자 리스트에 포함된 이름 및 주민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투자금 입금을 승인할 수 있다.
상기 차입자로부터 원리금이 입금되는 경우, 상기 원리금 입금사실을 상기 P2P 플랫폼에 통지하며, 상기 P2P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한 정산명세서를 이용하여 투자자의 정산금액을 상기 원리금수취권을 매입한 상기 투자자의 투자관리번호로 입금하는 정산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산명세서는 상기 대부업자에 의해 작성되며, 상기 P2P 플랫폼은 상기 정산명세서의 정확성 여부를 검증하여 상기 정산 관리부로 송부할 수 있다.
상기 정산 관리부는 상기 정산 처리 결과를 상기 차입자에 대응되는 대출원장 및 상기 대출원장에 대응되는 투자자 원장에 반영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차입자로부터 원리금이 미납되는 경우, 상기 원리금 미납사실을 상기 P2P 플랫폼에 통지하며, 상기 P2P 플랫폼으로부터 연체내역 원장반영 사실을 통지 받는 경우, 상기 연체내역을 상기 차입자에 대응되는 대출원장 및 상기 대출원장에 대응되는 투자자 원장에 반영하는 미납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2P 플랫폼으로부터 투자자의 출금신청에 따른 출금내역(투자자 번호, 출금계좌번호, 예금주명, 출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출금계좌번호가 상기 투자자 정보에 포함된 출금지정계좌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출금지정계좌번호로 상기 출금액을 이체하는 투자금 출금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융기관이 투자금을 보관 및 예탁 받으며, 투자자 원장 및 대출원장을 직접 관리함으로, 종래의 P2P 플랫폼의 사업회사가 투자금을 보관 및 예탁을 받음에 따라, P2P 플랫폼의 사업회사가 투자금을 인위적으로 인출하거나, 차입자가 상환한 납입비용을 투자자에게 지급하지 않고 횡령하는 문제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P2P 플랫폼의 사업회사가 파산 등으로 영업을 지속할 수 없다 하더라도 차입자가 원리금납입을 정상적으로 수행한다면 P2P대출 자금관리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 투자금을 투자자에게 정상적으로 지급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P2P 대출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대출 원리금수취권매입형 협업 모델을 설명하기 위해 설명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금관리 서버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자 원장 관리 및 투자금 입금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2P 대출 원리금수취권매입형 협업 모델을 설명하기 위해 설명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P2P 플랫폼(10)은 P2P 플랫폼 사업회사에서 P2P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축한 서버로서, 투자자 및 차입자가 각각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P2P 플랫폼(10)에 접속하여 P2P 대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자금관리 서버(20)는 P2P 플랫폼(10) 사업회사에서 모집한 차입자에게 대부업과 약정된 기준으로 대출금을 제공하며, 투자자에게 대출 투자금 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기관(예를 들어, 은행 등)에 의해 관리되는 서버이다. 투자자 및 차입자는 각각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금관리 서버(20)에 접속하여 자금관리 서버(20)에서 제공하는 자금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투자자는 P2P 플랫폼(10)에서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수행할 수 있다(S01). 이때, 투자자는 P2P 플랫폼 사업회사와 현금보관계약(일례로 에스크로계약, 출금지정계좌신고)을 수행하며, 투자자는 P2P 플랫폼(10)으로부터 투자관리번호(일례로, P2P 플랫폼 사업회사와 금융기관과의 협약을 통해 금융기관으로부터 P2P 플랫폼 사업회사가 배정받은 가상계좌번호)을 부여 받을 수 있다.
즉, 원리금수취권의 투자금의 관리는 금융기관과 P2P 플랫폼 사업회사간의 자금관리계약을 체결한 후, 투자자의 투자금을 수납(입금), 보관, 이체(대출금지금), 정산(투자금배분)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계약을 통해 금융기관은 투자관리번호를 P2P 플랫폼 사업회사에 미리 배정할 수 있다.
투자자는 P2P 플랫폼(10) 가입시, 충분한 실명확인을 통해 투자관리번호를 부여 받을 수 있다. 즉, 투자자는 P2P 플랫폼(10)에 회원가입시, 투자자가 투자관리번호로 투자금을 입금처리하면, 투자자의 투자 예치금 및 투자금 관리는 관리지정은행명의 계정으로 관리되며, 관리지정은행은 원리금수취권 원인채권에 대한 유효성, 적정성을 확인하지 않으며, 관리지정은행은 원리금수취권의 원인채권에 대한 사후관리 의무는 부담하지 않으며, 관리지정은행은 원리금수취권에 대한 자금흐름에 대한 관리에 그치며, 직접적인 원리를 보호하지 않으며, P2P 플랫폼 사업회사의 휴폐업 발생시 원리금수취권 원인채권의 연체관리를 은행이 부담하지 않는 다는 동의서에 동의할 수 있다.
P2P 플랫폼(10)은 투자자 리스트(여기서, 투자자 리스트는 투자자들의 투자관리번호, 이름, 주민번호, 연락처, 주소, 출금지정계좌번호등)를 자금관리 서버(20)에 송부함으로써, 자금관리 서버(20)와 투자자간의 별도 계약 없이도 투자자들의 투자자 원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투자자가 투자금관리번호로 투자금을 입금하는 경우, 자금관리 서버(10)는 투자자가 P2P 플랫폼(10)과 현금보관계약시 신고한 출금지정계좌번호로부터 투자자가 부여받은 투자관리번호로 이체되는 투자금만을 승인(출금지정계좌의 예금주명이 투자자의 이름, 주민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 처리함으로써, 제3자가 투자자의 투자관리번호로 투자금을 입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자금관리 서버(20)는 투자자로부터 투자관리번호로 투자금이 입금되는 경우, 이를 P2P 플랫폼(10)에 통지하여, P2P 플랫폼(10)이 투자자가 입금한 투자금 내역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차입자는 P2P 플랫폼(10)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후, 대출목적, 신청금액, 상환 기간 등의 대출조건을 포함하는 대출신청을 수행한다(S1).
P2P 플랫폼(10)은 대부업자로 차입자의 대출 신청에 대한 대출약정을 요청하며(S2)하며, 대부업자는 대출심사 후 차입자와 대출약정을 체결한다(S3). 대출약정 체결을 통해 대부업자는 대출원장 및 대출약정서를 생성한다.
대부업자는 투자금 모금을 위해 P2P 플랫폼(10)에 대출약정체결에 따른 원리금수취권 매도등록을 수행한다(S4).
P2P 플랫폼(10)은 원리금수취권 매도등록이 수행됨에 따라 투자자들을 모집하며, 투자자는 수익조건을 참조하여 투자 신청을 한다(S5).
P2P 플랫폼(10)은 투자자에게 원리금 수취권을 매도 한다(S6).
투자자는 부여된 투자관리번호로 투자금을 입금한다(S7). 여기서 투자관리번호는 투자자 요구불계좌 또는 가상계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자금의 입금은 투자 신청 전에 예치금의 형태로 미리 수행될 수 있으며, 투자 신청 시, 투자 결정에 따른 금액을 입력하여 대출계약에 참여할 수 도 있을 것이다.
투자자가 P2P 플랫폼이 제공한 투자금관리번호로 투자금을 입금하는 시점에서, 금융기관은 투자자에 대한 주민번호, 계좌번호를 대사하는 방법으로 금융기관이 투자고객을 특정할 수 있게 되므로, 투자자의 재산을 권한 없는 제3 자로부터 보호하게 되며, 금융실명법, 자금세탁방지법 등을 준수할 수 있게 된다.
P2P 플랫폼(10)은 차입자의 대출금액과 투자자들의 투자금의 매칭이 완료된 경우, 이를 자금관리 서버(20)로 통보하며(S8). P2P 플랫폼은 대부업자로부터 전송받은 대출원장 및 대출약정서를 자금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S9). 또한, P2P 플랫폼(10)은 대출약정서에 대응되는 대출상품에 대한 투자를 통해 원리금수취권을 매입한 투자자들의 자금 모금 매칭 리스트를 자금관리 서버(20)로 전송하여, 차입자에게 대출금을 지급하도록 통지한다.
일례로, 각 투자자들이 가상계좌에 입금한 투자금은 투자금 집금 모계좌(에스크로 계정)로 모일 수 있으며, P2P 플랫폼(10)은 차입자가 원하는 투자금 모집이 완료된 경우 매칭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자금관리 서버(20)는 P2P 플랫폼(10)으로부터 수신한 대출원장을 별도로 관리하며, 상기 자금 모금 매칭 리스트에 포함된 투자자의 투자자 원장을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대출상품에 대해 투자한 투자자 및 투자자의 투자금액 정보를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자금관리 서버(20)는 P2P 플랫폼(10)의 통지에 따라, 대부업자와 차입자간에 체결된 대출원장 및 대출약정서를 근거로 수수료 등 필요경비 등을 차감한 후 투자금 집금 모계좌에 모인 투자금을 차입자에게 지급한다(S10). 일례로, 대부업자가 통지한 차입자 명의 계좌로 대출금이 지급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투자자의 투자금은 P2P 플랫폼 서비스 업체가 아닌 공신력 있는 금융기관에서 예치 및 보관 관리함으로, P2P 플랫폼 서비스 업체가 투자금을 인출 및 유용하는 행위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금융기관이 대출원장을 별도로 관리함으로, 불건전 공시행위를 사전 방지하는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이어서, 차입자는 원리금을 자금관리 서버(20)로 납부한다(S11).
일례로, 차입자 명의 계좌에서 자동이체 방식으로 금융기관의 대출 원리금 상환 집금계좌(가상계좌)로 수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자금관리 서버(20)는 차입자가 원리금을 납부하게 되면, 이와 같은 사실을 P2P 플랫폼(10)에 통지하고, 정산명세서를 P2P 플랫폼(10)에 요청한다(S12). P2P 플랫폼(10)은 대부업자로부터 작성된 정산명세를 송부 받아(S13). 정산명세서의 정확성 여부를 검증하여 자금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S14). 정산명세서를 기초로 자금관리 서버(20)는 투자자의 투자수익금과 세금등을 처리하는 정산관리 업무를 수행한다(S15)
일례로, 정산금은 투자자의 투자관리번호로 입금될 수 있을 것이다.
자금관리 서버(20)는 정산처리 결과를 차입자에 대응되는 대출원장 및 대출원장에 대응되는 투자자 원장에 반영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P2P 플랫폼 또한 정산처리 결과를 대출원장 및 투자자 원장에 반영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입자로부터 원리금이 미납되는 경우, 자금관리 서버(20)는 상기 원리금 미납사실을 P2P 플랫폼(10)에 통지하며, P2P 플랫폼(10)으로부터 상기 연체내역원장반영 사실을 통지 받는 경우, 상기 연체내역을 상기 차입자에 대응되는 대출원장 및 상기 대출원장에 대응되는 투자자 원장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자금관리 서버(20)는 P2P 플랫폼(10)으로부터 투자자의 출금신청에 따른 출금내역(투자자 번호, 출금계좌번호, 예금주명, 출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기 출금계좌번호가 상기 투자자 정보에 포함된 출금지정계좌번호에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출금지정계좌번호로 상기 출금액을 이체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P2P 대출 방법에 따르면, 금융기관의 자금관리 서버(20)는 투자자로부터 투자금을 P2P 플랫폼 회사 대신에 수납하며, 대부업자와 차입자간에 체결된 대출원장 및 대출약정서를 근거로 차입자에게 대출금을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차입자로부터 대출원리금을 수납하며, 투자자에게 정산금을 지급한다. 또한, 투자자에게는 투자 예치금 인출 지급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금관리 서버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금관리 서버(100)는 투자자 원장 관리부(210), 투자금 입금 관리부(220), 대출금 지급 관리부(230), 대출원장 관리부(240), 정산 관리부(250), 미납 관리부(260), 투자금 출금 관리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자자 원장 관리부(210)는 금융기관과 자금관리계약이 수행된 P2P 플랫폼(10)으로부터 투자자들의 투자자 리스트(여기서, 투자자 리스트는 투자자들의 투자관리번호, 이름, 주민번호, 연락처, 주소, 출금지정계좌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수신하며, 상기 투자자들의 투자관리번호에 따른 투자자 원장을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투자금입금 관리부(220)는 투자자의 출금지정계좌번호로부터 투자관리번호로 이체되는 투자금만을 승인하며, 투자금이 입금되는 경우, 투자자의 투자금입금 정보를 P2P 플랫폼(10)으로 통지한다.
이때, 투자금입금 관리부(220)는 출금지정계좌번호의 예금주명과 투자자 리스트에 포함된 투자자의 이름 및 주민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투자금 입금을 승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자 원장 관리 및 투자금 입금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P2P 플랫폼 서비스 회사와 자금관리 서버의 금융기관은 투자자의 투자금 수납, 보관, 이체, 정산을 수행하는 자금관리계약을 맺을 수 있으며(S100), 투자관리번호들을 P2P 플랫폼 사업회사에 배정할 수 있다.
투자자는 P2P 플랫폼(10)에서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투자자는 P2P 플랫폼 사업회사와 현금보관계약(일례로, 에스크로 계약 및 출금지정계좌 신고)을 맺을 수 있으며(S101), P2P 플랫폼(10)은 투자자에게 투자관리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P2P 플랫폼(10)은 투자자 리스트(여기서, 투자자 리스트는 투자자들의 투자관리번호, 이름, 주민번호, 연락처, 주소, 출금지정계좌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투자자 원장 관리부(2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투자자 원장 관리부(210)는 투자관리번호에 따른 투자자 원장을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투자자로부터 투자금이 지급되는 경우, 투자금입금 관리부(220)는 투자자의 출금지정계좌번호로부터 투자자에게 부여된 투자관리번호로 이체되는 투자금만을 승인(S104)처리할 수 있다.
투자금이 입금되는 경우, 투자금입금 관리부(220)는 투자금입금 정보를 P2P 플랫폼(10)에 통지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대출금 지급관리부(230)는 P2P 플랫폼(10)으로부터 대출약정서에 대응되는 대출상품에 대한 투자를 통해 원리금수취권을 매입한 투자자들의 자금 모금 매칭 리스트 및 P2P 플랫폼(10)의 중계에 의한 차입자와 대부업자간의 대출약정에 따라 대부업자에 의해 생성된 차입자의 대출약정서 및 대출원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대출약정서 및 대출원장을 근거로 대출금을 차입자의 계좌로 입금한다.
또한, 대출원장 관리부(240)는 대출약정서 및 대출원장과 상기 자금 모금 매칭 리스트에 포함된 투자자의 투자자 원장을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대출원장에는 차입자의 개인정보, 대출금액, 대출기간, 대출 이자, 상환방법등의 대출 조건, 차입자 계좌번호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산 관리부(250)는 차입자로부터 원리금이 입금되는 경우, 상기 원리금 입금 사실을 P2P 플랫폼(10)에 통지하며, P2P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한 정산명세서를 이용하여 투자자의 정산금액을 상기 원리금수취권을 매입한 상기 투자자의 투자관리번호로 입금할 수 있다.
여기서, 정산명세서는 대부업자에 의해 작성될 수 있으며, P2P 플랫폼(10)은 정산명세서의 정확성 여부를 검증하여 정산 관리부(250)로 송부할 수 있다. 즉, 금융기관은 상기 정산명세서를 기초로 정산 업무를 수행한다.
정산 관리부(250)는 정산 처리 결과를 상기 차입자에 대응되는 대출원장 및 대출원장에 대응되는 투자자 원장에 반영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정산 처리 결과를 P2P 플랫폼(10)으로 전송하여, P2P 플랫폼(10)으로 하여금 정산 처리 결과를 P2P 플랫폼(10)이 관리하는 투자자 원장 및 대출원장에 반영하도록 할 수 있다.
미납 관리부(260)는 상기 차입자로부터 원리금이 미납되는 경우, 상기 원리금 미납사실을 상기 P2P 플랫폼(10)에 통지하며, 상기 P2P 플랫폼(10)으로부터 연체내역 원장반영 사실을 통지 받는 경우, 상기 연체내역을 상기 차입자에 대응되는 대출원장 및 상기 대출원장에 대응되는 투자자 원장에 반영할 수 있다.
투자금 출금 관리부(270)는 P2P 플랫폼(10)으로부터 투자자의 출금신청에 따른 출금내역(투자자 번호, 출금계좌번호, 예금주명, 출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출금계좌번호가 상기 투자자 정보에 포함된 출금지정계좌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출금지정계좌번호로 상기 출금액을 이체할 수 있다. 즉, 투자금 출금 관리부(270)는)는 출금계좌의 명의와 투자자의 명의의 동일 여부를 확인하여 출금을 허용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자금관리 서버(20)의 전반적인 구성을 제어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금융기관의 자금관리 서버가 투자금을 보관 및 예탁을 받을 때 투자자 원장을 직접 생성 관리하므로, 종래의 P2P 플랫폼의 사업회사가 투자금을 보관 및 예탁을 받음에 따라, P2P 플랫폼의 사업회사가 투자금을 인위적으로 인출하거나, 차입자가 상환한 납입비용을 투자자에게 지급하지 않고 횡령하는 문제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P2P 플랫폼이 불법해킹을 당하는 경우, 부당한 자금 인출로 인해 투자자가 피해를 볼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투자자 원장이 금융기관에 의해 관리되므로 상기와 같은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P2P 플랫폼의 사업회사가 파산 등으로 영업을 지속할 수 없을 경우라도 차입자가 원리금납입을 정상적으로 수행한다면 P2P대출 자금관리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 투자금을 투자자에게 정상적으로 지급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차입자는 대부업자와 대출약정체결을 직접 맺으므로, 금융기관을 통한 복잡한 심사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금융기관에서 대출약정을 맺을 때보다 빠른 시간 안에 대출약정을 맺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금융기관은 P2P 대부채권의 유효성 적정성 검증은 확인하지 않으며, P2P 대부채권에 대한 사후관리 의무는 부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금융기관은 P2P 회사가 휴폐업 시 P2P 대부채권의 사후관리 업무를 부담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대출원장 관리과정에서 대출약정서를 자금관리 서버가 P2P 플랫폼을 통해 대부업자로부터 수령하여 보관 관리하게 된다. 따라서, P2P 플랫폼의 사업회사가 휴폐업 시 대부계약의 적정성에 대한 실사업무에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만큼, 본 발명과 같이 사전에, 대출원장과 대출약정서를 자금관리서버가 직접 보관 관리함으로써, 휴폐업 시의 실사업무를 단축시키고 신빙성을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P2P 플랫폼
20: 자금관리 서버
210: 투자자 원장 관리부
220: 투자금입금 관리부
230: 대출금 지급 관리부
240: 대출원장 관리부
250: 정산 관리부
260: 미납 관리부
270: 투자금 출금 관리부

Claims (7)

  1. 금융기관과 자금관리계약이 수행된 P2P 플랫폼으로부터 투자자들의 투자자 리스트(여기서, 투자자 리스트는 투자자들의 투자관리번호, 이름, 주민번호, 연락처, 주소, 출금지정계좌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수신하며, 상기 투자자들의 투자관리번호에 따른 투자자 원장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투자자 원장 관리부;
    상기 P2P 플랫폼으로부터 대출약정서에 대응되는 대출상품에 대한 투자를 통해 원리금수취권을 매입한 투자자들의 자금 모금 매칭 리스트 및 상기 P2P 플랫폼의 중계에 의한 차입자와 대부업자간의 대출약정에 따라 상기 대부업자에 의해 생성된 차입자의 대출약정서 및 대출원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대출약정서 및 대출원장을 근거로 대출금을 상기 차입자의 계좌로 입금하는 대출금 지급 관리부; 및
    상기 대출약정서 및 상기 대출원장과 상기 자금 모금 매칭 리스트에 포함된 투자자의 투자자 원장을 매칭하여 관리하는 대출원장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대부업자는 상기 P2P 플랫폼의 중계에 의해 차입자와의 대출약정을 체결하여 대출원장을 생성하고, 상기 P2P 플랫폼에 원리금수취권 매도 등록을 하며, 상기 P2P 플랫폼은 상기 투자자들의 투자신청에 대응하는 원리금수취권을 상기 투자자들에게 매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자의 출금지정계좌번호로부터 상기 투자관리번호로 이체되는 투자금만을 승인처리하며, 상기 투자금이 입금되는 경우 투자자의 투자금입금 정보를 상기 P2P 플랫폼으로 통지하는 투자금입금 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투자금입금 관리부는 상기 출금지정계좌번호의 예금주명과 상기 투자자 리스트에 포함된 이름 및 주민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투자금 입금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입자로부터 원리금이 입금되는 경우, 상기 원리금 입금사실을 상기 P2P 플랫폼에 통지하며, 상기 P2P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한 정산명세서를 이용하여 투자자의 정산금액을 상기 원리금수취권을 매입한 상기 투자자의 투자관리번호로 입금하는 정산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산명세서는 상기 대부업자에 의해 작성되며, 상기 P2P 플랫폼은 상기 정산명세서의 정확성 여부를 검증하여 상기 정산 관리부로 송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산 관리부는 상기 정산 처리 결과를 상기 차입자에 대응되는 대출원장 및 상기 대출원장에 대응되는 투자자 원장에 반영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입자로부터 원리금이 미납되는 경우, 상기 원리금 미납사실을 상기 P2P 플랫폼에 통지하며, 상기 P2P 플랫폼으로부터 연체내역 원장반영 사실을 통지 받는 경우, 상기 연체내역을 상기 차입자에 대응되는 대출원장 및 상기 대출원장에 대응되는 투자자 원장에 반영하는 미납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관리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2P 플랫폼으로부터 투자자의 출금신청에 따른 출금내역(투자자 번호, 출금계좌번호, 예금주명, 출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출금계좌번호가 상기 투자자 정보에 포함된 출금지정계좌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출금지정계좌번호로 상기 출금액을 이체하는 투자금 출금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관리 시스템.
KR1020170079461A 2017-02-24 2017-06-23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관리 시스템 KR101975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2216 WO2018155937A1 (ko) 2017-02-24 2018-02-22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25090 2017-02-24
KR1020170025090 2017-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105A true KR20180098105A (ko) 2018-09-03
KR101975802B1 KR101975802B1 (ko) 2019-05-09

Family

ID=6360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461A KR101975802B1 (ko) 2017-02-24 2017-06-23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8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482B1 (ko) * 2019-04-10 2019-11-14 (주)탑플랫폼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을 위한 선정산 금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1864A (ko) * 2018-09-17 2020-03-25 김동훈 중고차 매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3082A (ko) * 2018-09-18 2020-03-27 주식회사쿠콘 P2p 금융 플랫폼 제공 시스템, p2p 금융 예치금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104B1 (ko) * 2019-06-14 2021-10-28 주식회사 엔젤펀딩파트너스 투자대출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399A (ko) * 2000-06-24 2002-01-05 장철훈 인터넷을 이용한 은행대출 시스템
KR20030002394A (ko) * 2001-06-29 2003-01-09 삼성캐피탈 주식회사 대출한도 및 이자율 조정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94035A (ko) * 2003-05-01 2004-11-09 김영철 인터넷을 이용한 투자 및 대출금 대납 방법
KR20050043832A (ko) * 2005-04-11 2005-05-11 백병훈 통합대출중개전사연동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기록한 매체
JP2007141181A (ja) * 2005-11-22 2007-06-07 Promise Co Ltd 振込代行システム
KR20090103109A (ko) * 2008-03-27 2009-10-01 김종운 온라인 대출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399A (ko) * 2000-06-24 2002-01-05 장철훈 인터넷을 이용한 은행대출 시스템
KR20030002394A (ko) * 2001-06-29 2003-01-09 삼성캐피탈 주식회사 대출한도 및 이자율 조정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94035A (ko) * 2003-05-01 2004-11-09 김영철 인터넷을 이용한 투자 및 대출금 대납 방법
KR20050043832A (ko) * 2005-04-11 2005-05-11 백병훈 통합대출중개전사연동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기록한 매체
JP2007141181A (ja) * 2005-11-22 2007-06-07 Promise Co Ltd 振込代行システム
KR20090103109A (ko) * 2008-03-27 2009-10-01 김종운 온라인 대출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864A (ko) * 2018-09-17 2020-03-25 김동훈 중고차 매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3082A (ko) * 2018-09-18 2020-03-27 주식회사쿠콘 P2p 금융 플랫폼 제공 시스템, p2p 금융 예치금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31193A (ko) * 2018-09-18 2020-11-23 주식회사쿠콘 P2p 금융 예치금 관리 방법
KR20200131192A (ko) * 2018-09-18 2020-11-23 주식회사쿠콘 P2p 금융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028482B1 (ko) * 2019-04-10 2019-11-14 (주)탑플랫폼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을 위한 선정산 금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802B1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1513B2 (en) Supply chain finance system
US11334942B2 (en) Supply chain finance system
WO2017098519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financial transaction validation, processing and settlement using blockchain smart contracts
US8326757B2 (en) Emerging market banking system
KR101791470B1 (ko) 매출채권의 거래 방법
US200200829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existing or future trade credit obligations into a new obligation
KR101975802B1 (ko)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관리 시스템
US20150278949A1 (en) Methods, Systems, Devices and Associated Computer Executable Code for Facilitating Securitized Funding of Up-front Payments
JP2021528797A (ja) 取引処理を高速化するためのブロックチェーンベースの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20150278948A1 (en) Methods, Systems, Devices and Associated Computer Executable Code for Facilitating Purchase of Installment Obligations
US20200074544A1 (en) Methods, Systems, Devices and Associated Computer Executable Code for Facilitating Credit Based Transactions between Private Individuals
US20150278946A1 (en) Methods, Systems, Devices and Associated Computer Executable Code for Facilitating Securitized Funding of Deposits, Collateral, Bonds and/or Securities
US202201887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electronic token ecosystems
AU2016248006A1 (en) Providing automated securitized funding of deposits, collateral, bonds and/or securities online
KR102009140B1 (ko) 매출채권의 상환 방법
US20130297500A1 (en) Electronic Payment Automated Reconciliation Platform
KR20020013677A (ko) 온라인 상에서 공인인증된 매출채권 양수도 계약에 의한매출채권 결제방법 및 장치
KR101791608B1 (ko) 체불의 해소를 위한 매출채권신탁 자금 직불 시스템 및 그 운용을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EP41169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financial transactions backed by crypto assets
US20200219153A1 (en) Transaction Model for Bank Balance Sheets
JP2005055935A (ja) 収支額算出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04102332A2 (en) Transferring funds
KR101730531B1 (ko) 유가증권 거래 방법 및 장치
KR20150116144A (ko) 협력업체의 외상매출채권 및 보험증권 담보제공 단기대출사업에 관한 거래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30140918A (ko) 신축 매입약정 주택사업자를 위한 도심주택 특약보증 서비스를 운용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