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867A -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867A
KR20180097867A KR1020170024571A KR20170024571A KR20180097867A KR 20180097867 A KR20180097867 A KR 20180097867A KR 1020170024571 A KR1020170024571 A KR 1020170024571A KR 20170024571 A KR20170024571 A KR 20170024571A KR 20180097867 A KR20180097867 A KR 20180097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xtinguishing
fire
base film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813B1 (ko
Inventor
정형진
Original Assignee
정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형진 filed Critical 정형진
Priority to KR1020170024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813B1/ko
Publication of KR20180097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재 필름(Film)과, 상기 기재 필름의 저면에 형성되며, 소화캡슐 및 점착제를 포함하는 제1소화 점착층과, 상기 제1소화 점착층의 저면에 합지되어 제1소화 점착층을 보호하는 제1보호 이형층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캡슐은 디브로모테트라플루오로에탄(BrCF2BrCF2), 도데카플루오르-2-메틸펜탄-3-원(CF3CF2C(O)CF(CF3)2), 트리플루오르메탄(CHF3), 펜타플루오르메탄(CHF2CF3) 또는 헵타플루오르프로판(CF3CHFCH3)을 포함하는 소화 물질, 상기 소화 물질의 외부에 형성되는 열가소성 수지층,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피층을 포함하며, 상기 외피층은 젤라틴 또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 Vinyl Acetate, PV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과충전 또는 오작동에 의한 이상 발열시 배터리의 발화 또는 폭발을 억제하며, 화재의 발생을 낮추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리튬 이온 배터리의 외부를 자동소화용 테이프로 감싸는 것만으로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을 현저히 낮추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Self-extinguishing adhesive tape}
본 발명은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 적용되어 배터리의 과충전 및 외부충격으로 인한 발열시 내부 물질의 활성을 줄여 발화 및 폭발에 대한 위험성을 낮추어주는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산업의 발전에 따라 전자 기기가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 및 휴대화됨에 따라, 이러한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지의 고에너지 밀도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요구를 가장 잘 충족시킬 수 있는 전지로서, 현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 전극 구조체에 리튬염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비수 전해액을 주입하여 제조하는데, 리튬 이온이 양극 및 음극에서 삽입, 탈리될 때의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이차 전지이다.
이러한 리튬 이온 전지는 수용액으로 전해액을 사용하는 Ni-MH 전지, Ni-Cd 전지, 황산-납 전지 등의 재래식 전지에 비해 작동 전압이 높고 에너지 밀도가 월등히 높다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현재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리튬 이온 전지는 유기 전해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발화 및 폭발의 위험이 있고 제조가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리튬 이온 전지에서 가장 선결되어야 하는 문제는 안전성이라 할 수 있고, 특히 과충전, 관통, 열 오븐 등 오용에 따른 발화 및 폭발 위험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예컨대 리튬 이온 전지가 과충전되면, 리튬 이온이 계속해서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한 리튬 이온이 음극 표면에서 성장하여 수지(樹枝)상 구조인 덴드라이트(dendrite)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덴드라이트는 전지 단락에 의한 과전류 및 과열을 유발하고, 심한 경우 폭발이나 화재의 원인이 된다.
또한, 리튬 이온 전지가 정격 전압 이상으로 과충전되면 전해액은 분해되기 시작하고 온도가 상승하여 발화점(flash point)까지 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양극 활물질로서 LiCoO2를 사용하는 경우, 고온이 되면 LiCoO2가 보다 안정된 구조인 스피넬(spinel) 구조로 변화하면서 여분의 산소가 생기고, 이 여분의 산소가 발화점에 도달한 전해액으로 이동하여 발화함으로써 연소나 폭발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과충전에 따른 발열을 막기 위해, 보호 회로를 장착하는 방법, 증가하는 전지의 내압을 이용하여 전류를 차단하는 방법, 전해액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보호 회로나 내압을 이용한 전류 차단 기구는 부가적인 공간과 비용을 초래하여 전지의 고용량화에 반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전해액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방법은 충전시의 전류 값이나 전지의 내부 저항에 따라서 주울 발열이 변동하고 발열 억제 기구의 동작 타이밍이 고르지 못하며, 공정상의 문제점을 드러내거나 정상 동작시의 전지 성능의 저하를 수반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KR 10-0701532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로 인한 화재 및 폭발의 위험을 방지하는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특정 온도에서 내부에 존재하는 소화 물질이 방출되어 우수한 소화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는, 기재 필름(Film)과, 상기 기재 필름의 저면에 형성되며, 소화캡슐 및 점착제를 포함하는 제1소화 점착층과, 상기 제1소화 점착층의 저면에 합지되어 제1소화 점착층을 보호하는 제1보호 이형층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캡슐은 디브로모테트라플루오로에탄(BrCF2BrCF2), 도데카플루오르-2-메틸펜탄-3-원(CF3CF2C(O)CF(CF3)2), 트리플루오르메탄(CHF3), 펜타플루오르메탄(CHF2CF3) 또는 헵타플루오르프로판(CF3CHFCH3)을 포함하는 소화 물질, 상기 소화 물질의 외부에 형성되는 열가소성 수지층,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피층을 포함하며, 상기 외피층은 젤라틴 또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 Vinyl Acetate, PV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재 필름의 상면에 형성되는 알루미늄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재 필름의 상면에 형성되는 소화캡슐 및 점착제를 포함하는 제2소화 점착층과, 상기 제2소화 점착층의 상면에 합지되어 제2소화 점착층을 보호하는 제2보호 이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상면에 형성되며, 소화캡슐을 포함하는 소화캡슐층과, 상기 기재 필름의 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의 저면에 합지되어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는 보호 이형층을 포함하며, 소화캡슐은 디브로모테트라플루오로에탄(BrCF2BrCF2), 도데카플루오르-2-메틸펜탄-3-원(CF3CF2C(O)CF(CF3)2), 트리플루오르메탄(CHF3), 펜타플루오르메탄(CHF2CF3) 또는 헵타플루오르프로판(CF3CHFCH3)을 포함하는 소화 물질, 상기 소화 물질의 외부에 형성되는 열가소성 수지층,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피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피층은 젤라틴 또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 Vinyl Acetate, PV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캡슐의 크기는 50~300㎛이고, 상기 기재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필름, 폴리이미드(PI) 필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과충전 또는 오작동에 의한 이상 발열시 배터리의 발화 또는 폭발을 억제하며, 화재의 발생을 낮추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리튬 이온 배터리의 외부를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로 감싸는 것만으로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을 현저히 낮추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화캡슐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테이프에 알루미늄 코팅층이 추가로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테이프에 제2소화 점착층과 제2보호 이형층이 추가로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는 배터리, 특히 리튬 이온 배터리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배터리팩의 외부를 감싸는 것만으로 배터리의 화재, 폭발 등의 안전사고를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는, 도 1에서와 같이, 기재 필름(Film)(100)과, 상기 기재 필름(100)의 저면에 형성되며, 소화캡슐(210) 및 점착제(220)를 포함하는 제1소화 점착층(200)과, 상기 제1소화 점착층(200)의 저면에 합지되어 제1소화 점착층(200)을 보호하는 제1보호 이형층(300)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 필름(100)은 테이프의 메인 기재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투명, Black, White의 형태로, 용도나 기호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두께는 25~75㎛ 정도임이 바람직한 것으로, 그 두께가 25㎛ 미만이면 테이프의 메인 기재로의 사용이 어렵고, 75㎛를 초과하면 전체적인 테이프의 두께가 두꺼워져 박막형 배터리 등에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기재 필름(100)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필름, 폴리이미드(PI)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소화 점착층(200)은 개지 필름(100)의 저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소화 점착층(200)은 소화캡슐(210) 및 점착제(220)를 포함함으로써, 배터리와의 점착을 가능하게 하며, 화재시 소화캡슐(210)의 작용으로 인해 화재를 소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소화캡슐(210)은 도 2에서와 같이, 디브로모테트라플루오로에탄(BrCF2BrCF2), 도데카플루오르-2-메틸펜탄-3-원(CF3CF2C(O)CF(CF3)2), 트리플루오르메탄(CHF3), 펜타플루오르메탄(CHF2CF3) 또는 헵타플루오르프로판(CF3CHFCH3)을 포함하는 소화 물질(211), 상기 소화 물질(211)의 외부에 형성되는 열가소성 수지층(212),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212)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피층(213)을 포함한다.
상기 소화 물질(211)은 디브로모테트라플루오로에탄(BrCF2BrCF2), 도데카플루오르-2-메틸펜탄-3-원(CF3CF2C(O)CF(CF3)2), 트리플루오르메탄(CHF3), 펜타플루오르메탄(CHF2CF3) 또는 헵타플루오르프로판(CF3CHFCH3)일 수 있는데, 이러한 물질은 높은 비열을 가지고 있어서 화재 발생시 화염으로 부터 많은 에너지를 흡수하여 냉각효과를 통해 소화한다. 또한, 열을 받으면 팽창하는 팽창율이 우수하므로, 화염 주변에서 팽창하여 산소를 차단시켜 화재를 소화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화 물질로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도데카플루오르-2-메틸펜탄-3-원을 이용하는 것인데, 이는 상기 디브로모테트라플루오로에탄(BrCF2BrCF2)은 소화에는 매우 효과적이나, 브롬을 함유함으로써 오존층을 파괴하기 때문이며, 나머지 트리플루오르메탄, 펜타플루오르메탄, 헵타플루오르프로판에 비해 확산성이 더 우수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도데카플루오르-2-메틸펜탄-3-원은 투명하고, 무색이며, 거의 무취이며, 오존 파괴 지수(ODP)는 제로이다. 따라서, 환경 부하가 전혀 없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도데카플루오르-2-메틸펜탄-3-원은 전기절연성, 인체안정성 역시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불소는 표면 장력이 매우 낮아서 물체에 접촉하게 되면 잘 퍼지게 된다. 상기 도데카플루오르-2-메틸펜탄-3-원 또한 불소 화합물의 한 종류로써, 표면장력이 매우 낮아 종이에 닿으면 방울을 형성하지 않고 금방 스며들고 퍼지게 된다. 이는 도데카플루오르-2-메틸펜탄-3-원의 분자 내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이다. 상기 도데카플루오르-2-메틸펜탄-3-원은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여 다른 물질과 반응하지 않으며, 물과도 거의 섞이지 않고, 절연 내력(Dielectric strength)이 질소의 두 배 이상 크므로, 전기가 통하지 않는 성질도 있다. 그리고 어는점은 -108℃, 끓는점은 49℃이므로 상온에서는 액상으로 존재하지만 온도가 올라가면 빠르게 기화되어 화재를 진압한다. 즉 상온에서의 증기압은 물과 비교했을 때 12배나 크며, 상온에서의 증발 잠열이 물보다 5배나 작기 때문에 쉽고 빠르게 기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데카플루오르-2-메틸펜탄-3-원은 화재시 쉽고 빠르게 기화되어 화재를 진압하고, 확산성 역시 우수하며, 환경성, 전기절연성, 인체 안전성 등이 우수한 물질로서, 본 발명에 특히 적합하다.
상기 소화 물질(211)을 감싸는 열가소성 수지층(212)은 열가소성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형성되며, 단독중합체는 하나의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며, 공중합체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212)은 외부 환경의 이상 발열시 녹을 수 있도록, 예컨대 녹는점이 70 내지 200℃,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150℃인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열가소성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중합에 사용되는 단량체는 에틸렌계 단량체, 비닐계 단량체,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군에서 1종 이상 선택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프로필렌, 1,3-부타디엔,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스타이렌, 알파메틸스타이렌,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비닐 C1~C10 알킬레이트(CH2CH-OC(O)R, R은 C1~C10 알킬), 비닐 C1~C10 알킬 에터(CH2CH-OR, R은 C1~C10 알킬), 비닐 피롤리돈, 비닐 카바졸, 아크릴산,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마이드 및 C1~C10 알킬 아크릴레이트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212)을 감싸는 외피층(213)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의 소화 물질(211) 및 열가소성 수지층(212)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젤라틴 또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 Vinyl Acetate, PVA)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젤라틴으로 외피층(213)을 형성할 경우, 젤라틴은 연질이므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소화 물질(211)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젤라틴 80~90중량%에 첨가제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각각 5~10중량%만큼 더 혼합할 수 있는 데, 이는 젤라틴층의 형성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젤라틴으로는 공지되고 시판되는 산업용 젤라틴 제품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그리고 상기 PVA로 외피층(213)을 형성할 경우, PVA층은 녹는점이 낮아 외부온도가 올라가면 쉽게 녹으면서도, 젤라틴보다 압력에 강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부 소화 물질(211)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PVA는 압력에 약한 젤라틴의 단점을 해소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소화 물질(211), 열가소성 수지층(212), 외피층(213)으로 형성되는 소화캡슐(210)은 입경이 50~300㎛임이 바람직하며, 각 층의 두께는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의 소화캡슐(210)은 일반적인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 방법은 고분자를 후처리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이는 물에 녹지 않는 고분자와 유기용제, 그리고 마이크로 캡슐 내부에 포함시킬 물질을 모두 섞은 후, 충분히 교반함으로써 균일하게 혼합하는 절차를 거친 다음, 유기용제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그 밖에도, 수용 분산액을 가열하거나 진공에 의하여 제거하는 방법, 마이크로 캡슐의 외벽을 형성하는 물질을 계면중합을 통하여 제조하는 방법, 이종(異種)의 고분자 1 내지 30 중량부를 내부에 포함시키는 미니이멀젼 중합방법 등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캡슐의 제조를 위해서는 단량체, 소화물질, 분산제, 계면활성제 및 개시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AN(acrylonitrile)의 단량체, 소화물질, 분산제인 PVA(polyviinyl alcohol), 계면활성제인 SDS(Sodium dodecyl sulfate),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lnitrile)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먼저, 물 50ml에 PVA 1g을 넣어 분산액을 제조하고, 물 100ml에 소화물질 40ml 및 SDS 0.4g을 넣고 소화 조성물 용액을 제조한다. 그리고 이 소화 조성물 용액에 제조된 분산액을 넣고, 반응기에서 2시간 정도 교반시켜 분산된 혼합물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분산된 혼합물에 물 10ml에 AN 10ml를 넣은 모노머 용액을 넣은 후 2000rpm으로 1시간 동안 추가 교반하고, 이에 AIBN 5g을 넣어 60℃의 항온조에서 48시간 반응시켜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한다.
그리고 그 외부에 젤라틴 또는 PVA를 포함하는 외피층(213)을 형성하는 방법 역시 공지된 방법에 따르는바, 이러한 젤라틴을 캡슐화하는 것 또는 합성수지로 외피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의 소화캡슐(210)은 외피층(213)에 의해 외부충격으로부터 소화 물질(211)이 보호되며, 온도가 120℃ 이상 올라가면 외피층(213)과 열가소성 수지층(212)이 반응하여 깨져서 화기로 내부 소화 물질(211)이 분출되므로 냉각 및 산소차단 효과가 발현되는 것이다.
여기서, 단순히 외피층(213)만으로 외층을 형성하면 외부 충격으로부터는 보호되지만 낮은 온도에서 외피층(213)이 쉽게 깨지게 되고, 열가소성 수지층(212)만으로 외층을 형성하게 되면 약한 외부 충격만으로 쉽게 소화캡슐(210)이 깨지게 되므로 자기소화용으로서 적합하지 못하게 되는바, 본 발명에서는 외피층(213) 및 열가소성 수지층(212)의 외피를 통해 이러한 단점을 해소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소화캡슐(210)과 함께 제1소화 점착층(200)을 형성하는 점착제(220)는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바, 테이프의 분야에서 적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아크릴공중합체와 경화제로 구성된 제품일 수 있는바, 아크릴공중합체 98~99.9중량%와 경화제 0.1~2중량%로 구성된다. 여기서 사이 경화제로는 이소시안네이트, 에폭시, 아지리딘 등을 이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소화 점착층(200)은 상기 점착제(220)와 상기 소화캡슐(210)이 1:0.1~2 중량비 정도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소화 점착층(200)의 저면에는 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이형층(300)이 합지되는바, 상기 보호 이형층(300)는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재질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PET 필름 또는 Paper에 실리콘을 코팅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소화용 테이프는 배터리에 용이하게 적용되어 화재 및 폭발의 위험을 낮추고, 화재를 손쉽게 진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자동소화용 테이프의 제조는 먼저, 기재 필름(100)에 소화캡슐(210)과 점착제(220)를 혼합한 혼합액을 코팅시킨다. 이때, 코팅 두께는 60~300㎛일 수 있다.
그리고 이를 70~90℃에서 1~10분간 건조시키고, 2~4kgf/㎠의 압으로 보호 이형층(300)을 합지한 후, 상온에서 40~50시간 숙성시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기재 필름(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알루미늄 코팅층(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코팅층(400)은 라벨(Label) 인쇄 또는 실버(silver) 색상의 구현을 위한 것으로, 알루미늄 페이스트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레진 중 1종을 배합하여서 된 잉크 조성물을 1~2㎛의 두께로 인쇄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알루미늄 페이스트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레진 중 1종은 예시적으로 1:1~2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며, 시판 상품 중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도 4와 같이, 단면이 아닌 양면 테이프의 형태로서 적용이 가능한데, 도 1과 같이 구성된 테이프의 기재 필름(100) 상면에 형성되는 소화캡슐(210') 및 점착제(220')를 포함하는 제2소화 점착층(200')과, 상기 제2소화 점착층(200')의 상면에 합지되어 제2소화 점착층(200')을 보호하는 제2보호 이형층(300')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소화 점착층(200')과 제2보호 이형층(300')은 제1소화 점착층(200) 및 제1보호 이형층(30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그 제조방법 역시 동일한데, 다만, 기재 필름(100)의 일면에 제1소화 점착층(200)을 코팅하고, 제1보호 이형층(300)을 합지한 후, 상온 숙성을 완료하고, 이에 다시 제2소화 점착층(200')을 코팅하고, 제2보호 이형층(300')을 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소화캡슐(210)과 점착제(220)를 함께 구성하는 것이 아닌, 기재 필름(100)의 상면에는 소화캡슐층(200a)을 형성하고, 기재 필름(100)의 저면에는 점착층(200b)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200b)의 저면에는 보호 이형층(300a)이 합지된다.
이때, 상기 소화캡슐층(200a)은 에폭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고무, 아크릴, 실리콘, 아민 중 1종의 레진 30.0~70.0중량%, 이소시안네이트, 에폭시, 아지리딘, 아민, 아미다졸 중 1종의 경화제 0.1~2.0중량% 및 소화캡슐(210) 29.9~68중량%를 혼합하여서 되는 혼합물을 기재 필름(100) 상에 직접 코팅 후 60~80℃에서 2~6분간 건조하고, 상온에서 40~60시간 숙성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진 및 경화제의 종류는 특정하지 않는바,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수지 및 경화제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두께는 50~350㎛가 바람직하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점착층(200a)은 아크릴공중합체 98~99.9중량%와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아지리딘 중 1종의 경화제 0.1~2.0중량%를 혼합하여서 되는 제품으로, 보호 이형층(300a)에 코팅 후 1~5분간 80~130℃에서 건조하고, 이를 1~5kgf/㎠의 압력으로 기재 필름(100)에 합지시킨 후, 45~55℃의 온도에서 40~60시간 동안 숙성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자동소화용 테이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터리의 외면을 감싸는 것만으로 우수한 자기소화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100: 기재 필름
200: 제1소화 점착층 200': 제2소화 점착층
200a: 소화캡슐층 200b: 점착층
210: 소화캡슐 220: 점착제
211: 소화 물질 212: 열가소성 수지층
213: 외피층
300: 제1보호 이형층 300': 제2보호 이형층
300a: 보호 이형층 400: 알루미늄 코팅층

Claims (5)

  1. 기재 필름(Film)(100)과,
    상기 기재 필름(100)의 저면에 형성되며, 소화캡슐(210) 및 점착제(220)를 포함하는 제1소화 점착층(200)과,
    상기 제1소화 점착층(200)의 저면에 합지되어 제1소화 점착층(200)을 보호하는 제1보호 이형층(300)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캡슐(210)은 디브로모테트라플루오로에탄(BrCF2BrCF2), 도데카플루오르-2-메틸펜탄-3-원(CF3CF2C(O)CF(CF3)2), 트리플루오르메탄(CHF3), 펜타플루오르메탄(CHF2CF3) 또는 헵타플루오르프로판(CF3CHFCH3)을 포함하는 소화 물질(211), 상기 소화 물질(211)의 외부에 형성되는 열가소성 수지층(212),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212)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피층(213)을 포함하며,
    상기 외피층(213)은 젤라틴 또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 Vinyl Acetate, PV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알루미늄 코팅층(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소화캡슐(210') 및 점착제(220')를 포함하는 제2소화 점착층(200')과,
    상기 제2소화 점착층(200')의 상면에 합지되어 제2소화 점착층(200')을 보호하는 제2보호 이형층(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
  4. 기재 필름(100)과,
    상기 기재 필름(100)의 상면에 형성되며, 소화캡슐(210)을 포함하는 소화캡슐층(200a)과,
    상기 기재 필름(10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200b)과,
    상기 점착층(200b)의 저면에 합지되어 상기 점착층(200b)을 보호하는 보호 이형층(300a)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캡슐(210)은 디브로모테트라플루오로에탄(BrCF2BrCF2), 도데카플루오르-2-메틸펜탄-3-원(CF3CF2C(O)CF(CF3)2), 트리플루오르메탄(CHF3), 펜타플루오르메탄(CHF2CF3) 또는 헵타플루오르프로판(CF3CHFCH3)을 포함하는 소화 물질(211), 상기 소화 물질(211)의 외부에 형성되는 열가소성 수지층(212),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212)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피층(213)을 포함하며, 상기 외피층(213)은 젤라틴 또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 Vinyl Acetate, PV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캡슐(210)의 크기는 50~300㎛이고,
    상기 기재 필름(10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필름, 폴리이미드(PI) 필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
KR1020170024571A 2017-02-24 2017-02-24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 KR101994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571A KR101994813B1 (ko) 2017-02-24 2017-02-24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571A KR101994813B1 (ko) 2017-02-24 2017-02-24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867A true KR20180097867A (ko) 2018-09-03
KR101994813B1 KR101994813B1 (ko) 2019-07-01

Family

ID=6360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571A KR101994813B1 (ko) 2017-02-24 2017-02-24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81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862B1 (ko) * 2018-11-16 2020-05-21 (주)수 초기화재진압용 락카 조성물
KR102113863B1 (ko) * 2018-11-16 2020-05-21 (주)수 초기화재진압용 에어로졸형 락카 조성물
KR102233091B1 (ko) * 2019-11-22 2021-03-29 주식회사 켐코 자기소화성 물질이 포함된 테이프 제조 기법
KR102235143B1 (ko) * 2019-10-08 2021-04-02 주식회사 켐코 자기소화성 물질이 포함된 테이프
KR102246380B1 (ko) * 2020-12-24 2021-04-29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소화용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자기점착성 소화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소화용 제품
CN113583577A (zh) * 2021-08-24 2021-11-02 李�录 灭火胶带
KR102412547B1 (ko) * 2021-03-19 2022-06-27 (주) 신흥머티리얼즈 방충용 및 소화용 점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39550A (ko) * 2021-04-08 2022-10-17 (주)수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
KR20220166396A (ko) * 2021-06-09 2022-12-19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변압기 절연유에 기인한 화재 방지용 소화 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435B1 (ko) 2020-04-24 2020-08-31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소화용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소화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2844A (ja) * 1996-04-04 1997-10-21 Nitto Denko Corp 光重合性組成物と感圧性難燃接着剤と接着シ―ト類
KR100701532B1 (ko) 2005-06-21 2007-03-29 대정화금주식회사 불소화합물이 첨가된 리튬이차전지 양극 활물질 및 그제조방법
JP4698641B2 (ja) * 2006-07-14 2011-06-08 忠正 藤村 マイクロカプセル化消火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消火性複合材料
KR20120112177A (ko) * 2011-03-30 2012-10-11 전자부품연구원 소화 조성물을 내장한 마이크로 캡슐 및 그를 갖는 리튬 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2844A (ja) * 1996-04-04 1997-10-21 Nitto Denko Corp 光重合性組成物と感圧性難燃接着剤と接着シ―ト類
KR100701532B1 (ko) 2005-06-21 2007-03-29 대정화금주식회사 불소화합물이 첨가된 리튬이차전지 양극 활물질 및 그제조방법
JP4698641B2 (ja) * 2006-07-14 2011-06-08 忠正 藤村 マイクロカプセル化消火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消火性複合材料
KR20120112177A (ko) * 2011-03-30 2012-10-11 전자부품연구원 소화 조성물을 내장한 마이크로 캡슐 및 그를 갖는 리튬 이차 전지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862B1 (ko) * 2018-11-16 2020-05-21 (주)수 초기화재진압용 락카 조성물
KR102113863B1 (ko) * 2018-11-16 2020-05-21 (주)수 초기화재진압용 에어로졸형 락카 조성물
WO2021054556A1 (ko) * 2018-11-16 2021-03-25 (주)수 초기화재진압용 락카 조성물
KR102235143B1 (ko) * 2019-10-08 2021-04-02 주식회사 켐코 자기소화성 물질이 포함된 테이프
KR102233091B1 (ko) * 2019-11-22 2021-03-29 주식회사 켐코 자기소화성 물질이 포함된 테이프 제조 기법
KR102246380B1 (ko) * 2020-12-24 2021-04-29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소화용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자기점착성 소화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소화용 제품
WO2022139222A1 (ko) * 2020-12-24 2022-06-30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소화용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자기점착성 소화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소화용 제품
KR102412547B1 (ko) * 2021-03-19 2022-06-27 (주) 신흥머티리얼즈 방충용 및 소화용 점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39550A (ko) * 2021-04-08 2022-10-17 (주)수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
KR20220166396A (ko) * 2021-06-09 2022-12-19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변압기 절연유에 기인한 화재 방지용 소화 제품
CN113583577A (zh) * 2021-08-24 2021-11-02 李�录 灭火胶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813B1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813B1 (ko)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
JP7454067B2 (ja) 消火用マイクロカプセルを含有する消火フィルムを備えたバッテリーパック
KR100799866B1 (ko) 안전성이 우수한 이차 전지
Balakrishnan et al. Safety mechanisms in lithium-ion batteries
TWI525880B (zh) 帶有改良之熱穩定性之分隔件及包含彼之二次電池
Li et al. Thermal‐responsive and fire‐resistant materials for high‐safety lithium‐ion batteries
US20190267685A1 (en) Secondary Battery
CN105742733A (zh) 一种增强锂离子电池安全性的方法
KR100601500B1 (ko) 온도와 압력 감응형 안전 벤트를 갖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JP2017525108A (ja) 燃焼に対する安全性が改善され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
KR102123659B1 (ko) 소화용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소화용 시트
JPH11162512A (ja) 再充電可能な非水系リチウム電池における過充電保護用改良添加剤
TWI496340B (zh) 新穎結構之蓋組件及使用其之圓筒型電池
KR101355407B1 (ko) 소화 조성물을 내장한 마이크로 캡슐 및 그를 갖는 리튬 이차 전지
US20190097265A1 (en) Phase-change nanoparticles for li-ion battery safety
KR20040084981A (ko) 비수 전해질 전지
KR102522705B1 (ko) 이차전지
CN108091782A (zh) 蓄电池及蓄电池组
JP4601903B2 (ja) 電池パック
KR20120133409A (ko)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한 리튬 이차전지
KR102601487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2134202A2 (ko) 소화 조성물을 내장한 마이크로 캡슐 및 그를 갖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335372B1 (ko) 마이크로 캡슐화된 소화 조성물을 갖는 리튬 이차 전지
KR20080066312A (ko) 안전성 담보 물질이 내장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고 있는이차전지
KR100449758B1 (ko) 안전성이 개선된 리튬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