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007A - 급수밸브용 패킹의 누설검사장치 - Google Patents

급수밸브용 패킹의 누설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007A
KR20180097007A KR1020170023536A KR20170023536A KR20180097007A KR 20180097007 A KR20180097007 A KR 20180097007A KR 1020170023536 A KR1020170023536 A KR 1020170023536A KR 20170023536 A KR20170023536 A KR 20170023536A KR 20180097007 A KR20180097007 A KR 20180097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air
jig
transfer ji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8808B1 (ko
Inventor
안영태
Original Assignee
안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태 filed Critical 안영태
Priority to KR1020170023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8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97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7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 등의 급수밸브에 장착 사용되는 패킹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패킹의 작동상태와 누설상태를 검사하여 세탁기 등 급수밸브가 장착되는 제품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급수밸브용 패킹의 누설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급수밸브용 패킹의 누설검사장치{Packing leakage testing equipment}
본 발명은 급수밸브용 패킹의 누설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 등의 급수밸브에 장착 사용되는 패킹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패킹의 작동상태와 누설상태를 검사하여 세탁기 등 급수밸브가 장착되는 제품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패킹의 누설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기 등 급수밸브에 사용되는 패킹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반형상으로 구성된 패킹으로 고무를 압출 성형하여 제조한 후 작업자가 일일이 육안으로 패킹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였다.
이와 같이 패킹을 육안으로 확인하다 보니 패킹에 미세하게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작업자가 확인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에 따라 급수밸브에 수압이 걸리게 되면 패킹의 손상부위에 누설이 발생하여 급수밸브의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급수밸브용 패킹은 통상 가장 약한 부위 즉, 패킹이 굴곡져 접히는 부분이 가장 얇게 형성되며 따라서 이 부분이 가장 취약하다.
또한 고무에 이물질이 끼어 성형되었을 때 또는 두께가 다르게 성형 되었을 때 급수밸브에 수압이 걸리면 취약부분을 통하여 누설이 발생하는 것이 보통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 등의 급수밸브에 장착 사용되는 패킹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패킹의 작동상태와 누설상태를 검사하여 세탁기 등 급수밸브가 장착되는 제품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급수밸브용 패킹의 누설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급수밸브용 패킹의 누설 검사장치는 급수밸브용 패킹을 안치하며 이송하기 위한 이송지그와, 이송된 패킹을 상하의 지그가 맞물리면서 팽창시켜 팽창부위에 에어를 인가하여 패킹의 작동여부와 누설여부를 판별하는 검사장치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의 지그가 맞물리면서 패킹을 팽창되도록 에어를 주입하여 압력센서로 패킹을 검사하므로 패킹의 팽창에 따라 약한 부위 또는 구멍이 난 부위는 압력에 의하여 에어가 빠지면서 센서가 판별하므로 불량제품의 판별이 용이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밸브용 패킹의 누설검사장치는 이송지그에 안치되는 패킹을 각 단계별로 검사하면서 다음단계로 이송하므로 검사장치의 정확한 동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에어로 패킹의 누설을 검사하므로 완벽한 검사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패킹의 검사시 풍선과 같이 팽창시켜 압력차를 센서가 감지하여 누설검사를 실시하므로 연약부위의 판별이 더욱 손쉬운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의 이송지그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의 에어밸브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의 이송지그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의 에어밸브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급수밸브용 패킹의 누설검사장치는 누설검사장치 본체를 구성하는 베드(100) 상기 베드 상면에 유공압 실린더(102)에 의하여 전후로 동작되며 복수개의 패킹(200)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지그(2), 상기 이송지그의 상면에 유공압 실린더(102a)에 의하여 이송지그의 상면 직하방으로 동작되는 검사용지그(4), 상기 검사용지그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에어밸브(6), 상기 에어밸브로 공급되는 에어를 검사용지그(4)에 공급하여 공급된 에어로 이송지그에 올려 진 패킹에 압력을 인가하고, 인가된 압력 변화를 압력센서(10)에서 감지하여 누설되는 패킹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이송지그(2)는 복수개의 패킹을 검사하기 위하여 하부가 막혀있는 복수개의 홈(8)을 천공하여 구성하며, 상기 홈 안쪽으로는 승강 가능한 조절부(12)를 형성하여 안치되는 패킹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조절부는 나사결합에 의한 방식으로 회전에 의하여 높기 조절이 가능하며 2중 나사에 의하여 조절 후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한다.
이송지그를 전후 이송하기 위한 유공압 실린더는 실린더 몸체의 전후 양단이 베드(100) 상면에 고정되며 출입되는 실린더에 이송지그를 고정하여 전후 일정한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송지그의 상부에 형성되며 유공압 실린더(102a)에 의하여 상하 수직 작동되는 검사용지그는 본체 베드의 사방에 설치된 지지기둥(202)에 설치되어 일정 거리 이격한 상태로 설치되는 고정판(204)에 유공압 실린더가 수직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되며 실린더의 하측에 검사용지그가 설치되어 이송지그와 맞물리도록 한다.
검사용지그의 하측으로는 상기 이송지그에 형성된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에어가 배출되는 유출구(207)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는 에어밸브에 연통되어 에어가 공급되도록 한다.
공급되는 에어는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며 배출되는 에어는 이송지그에 올려진 패킹을 향하여 공급되고 공급되는 에어에 의하여 패킹에 압력이 걸리게 되고 이 압력을 압력센서가 감지하여 정상일 경우 다음 패킹의 검사를 진행하고 검사 시 구멍 등 손상 부위에 의하여 에어가 유출되어 기준압력 이하일 경우 압력센서가 감지하여 해당위치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이를 확인 후 손상된 패킹을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한 압력센서는 이송지그에 복수개로 배열된 홈에 2개씩 한조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감시가 용이하게 하는 것이고, 각각의 유출구에 에어밸브를 통하여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되는 것이다.
에어의 공급 및 차단수단은 통상의 에어호스 및 에어호스 연결수단에 의한 구성으로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에어밸브와 에어호스로 검사용지그를 연결하고 검사용지그에 압력센서를 연결하여 검사용지그가 상하 작동하면서 에어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한 구조로 패킹의 누설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검사장치를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이송지그 4: 검사용지그

Claims (3)

  1. 누설검사장치 본체를 구성하는 베드(100), 상기 베드 상면에 유공압 실린더(102)에 의하여 전후로 동작되며 복수개의 패킹(200)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지그(2), 상기 이송지그의 상면에 유공압 실린더(102a)에 의하여 이송지그의 상면 직하방으로 동작되는 검사용지그(4), 상기 검사용지그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에어밸브(6), 상기 에어밸브로 공급되는 에어를 검사용지그(4)에 공급하여 공급된 에어로 이송지그에 올려 진 패킹에 압력을 인가하고, 인가된 압력 변화를 압력센서(10)에서 감지하여 누설되는 패킹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밸브용 패킹의 누설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송지그(2)는 복수개의 패킹을 검사하기 위하여 하부가 막혀있는 복수개의 홈(8)을 천공하여 구성하며, 상기 홈 안쪽으로는 승강 가능한 조절부(12)를 형성하여 안치되는 패킹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밸브용 패킹의 누설검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송지그의 상부에 형성되며 유공압 실린더(102a)에 의하여 상하 수직 작동되는 검사용지그는 본체 베드의 사방에 설치된 지지기둥(202)에 설치되어 일정 거리 이격한 상태로 설치되는 고정판(204)에 유공압 실린더가 수직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되며 실린더의 하측에 검사용지그가 설치되어 이송지그와 맞물리도록 구성하고, 검사용지그의 하측에는 상기 이송지그에 형성된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에어가 배출되는 유출구(207)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는 에어밸브에 연통되어 공급된 에어로 이송지그에 올려 진 패킹에 압력을 인가하여 누설되는 패킹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밸브용 패킹의 누설검사장치.
KR1020170023536A 2017-02-22 2017-02-22 급수밸브용 패킹의 누설검사장치 KR101928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536A KR101928808B1 (ko) 2017-02-22 2017-02-22 급수밸브용 패킹의 누설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536A KR101928808B1 (ko) 2017-02-22 2017-02-22 급수밸브용 패킹의 누설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007A true KR20180097007A (ko) 2018-08-30
KR101928808B1 KR101928808B1 (ko) 2018-12-13

Family

ID=63453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536A KR101928808B1 (ko) 2017-02-22 2017-02-22 급수밸브용 패킹의 누설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8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0835A (zh) * 2019-07-19 2021-01-1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气检装置
CN113884255A (zh) * 2021-09-29 2022-01-04 宁波市众顺盛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阀门盘根安装与检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653B1 (ko) * 2006-08-14 2007-06-20 (주)흥광산업 상ㆍ하수관로의 시공 및 준공검사를 위한 맨홀의 진공압 시험 장치
KR101151610B1 (ko) * 2011-10-12 2012-06-08 주식회사 오토넷 압력밥솥의 압력밸브 시험장치
KR101478433B1 (ko) * 2013-04-10 2014-12-31 최병옥 상용차용 휠 허브의 탭 검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0835A (zh) * 2019-07-19 2021-01-1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气检装置
CN113884255A (zh) * 2021-09-29 2022-01-04 宁波市众顺盛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阀门盘根安装与检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808B1 (ko)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463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k testing automotive wheel rims
CN101417399B (zh) 包括用于可释放地定位工件托盘的卡盘的夹具
KR101928808B1 (ko) 급수밸브용 패킹의 누설검사장치
KR20130127677A (ko) 밸브시험 장치
EP3718710A1 (en) Suction apparatus
CN117074201A (zh) 一种用于压缩机连接导管的抗压强度检测设备
CN105067193A (zh) 一种执行器测漏仪及其使用方法
KR20120122817A (ko) 정수기필터용 리크 검사방법 및 장치
KR102028305B1 (ko) 매니폴드용 누설 및 나사구멍검사장치
KR20090034547A (ko) 너트 용접기용 너트 편심 검출장치
KR101525415B1 (ko) 리크 테스터
KR102037215B1 (ko) 밸브 누설 테스트기
KR101968385B1 (ko) 급수밸브용 패킹의 누설검사장치
JPH1096677A (ja) リークテスタおよびリークテスト方法
KR101402336B1 (ko) 차량용 오일펌프 커버의 리크 검사장치
JP6906748B2 (ja) インフレート設備およびガス漏れ検知方法
KR20090121464A (ko) 웨이퍼 프로버의 웨이퍼 고정장치
CN116931109A (zh) 针孔检测设备及方法
KR101644748B1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주름관 균열 테스트 장치
CN103776593A (zh) 自动快速气密检测装置
CN207456710U (zh) 一种产品气密性检测设备
CN207019848U (zh) 一种轴承的密封性能检测装置
JP2650475B2 (ja) 気密試験装置
KR20110133748A (ko) 리크 검사 장치 및 방법
CN205642751U (zh) Pp输液瓶气密性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