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979A -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 - Google Patents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979A
KR20180096979A KR1020170023458A KR20170023458A KR20180096979A KR 20180096979 A KR20180096979 A KR 20180096979A KR 1020170023458 A KR1020170023458 A KR 1020170023458A KR 20170023458 A KR20170023458 A KR 20170023458A KR 20180096979 A KR20180096979 A KR 20180096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aque
display device
transmissive film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8064B1 (ko
Inventor
김태형
이태원
전제인
이남선
이다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클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클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클탑
Priority to KR1020170023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0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7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voids or po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정면의 특정 위치에서만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에서의 보안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이 개시된다. 상기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광투과성 필름부와,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의 좌우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광투과성 필름부의 중앙부에서부터 좌우 방향으로 소정구간까지는 단면이 광투과성 필름의 표면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고 소정구간 이후부터는 단면의 연장선이 광투과성 필름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가상의 세로선과 만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불투명부 및,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가 상기 제1 불투명부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투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SECURITY FILM FOR DISPLAY DEVICE TO IMPROVE FRONT SECURITY PERFORMANCE}
본 발명은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관찰할 수 없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에 설치되는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 필름이라 함은 빛을 차단하는 불투명 부재와 투명 부재가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에서는 빛이 투과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서는 불투명 부재에 의해 빛이 차단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안 필름의 경우 투명 부재가 넓어지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오는 빛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좀 더 밝은 화면을 볼 수 있는 반면에 좌우 측면에서도 정면에서 보는 것과 비슷한 영상을 관찰할 수 있어 보안필름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불투명 부재를 늘리고 투명 부재를 줄인다면 측면 시각에서는 전혀 볼 수 없고 정면에서만 정확한 영상을 관찰할 수 있기는 하나, 정면 시각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오는 빛의 양이 한정되기 때문에 어두운 화면을 보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보안 필름의 경우 밝은 상태의 화면은 유지하면서 측면에서는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도록 불투명 부재와 투명 부재의 숫자와 간격 등을 적절하게 조화시켜 제작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보안 필름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없으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과 상/하부에서는 거리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으므로 사용자 뒤쪽이나 상부 또는 하부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보안 특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3591호 (2007.08.23.)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 정면의 특정 위치에서만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 정면에서의 보안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광투과성 필름부와,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의 좌우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광투과성 필름부의 중앙부에서부터 좌우 방향으로 소정구간까지는 단면이 광투과성 필름의 표면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고 소정구간 이후부터는 단면의 연장선이 광투과성 필름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가상의 세로선과 만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불투명부 및,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가 상기 제1 불투명부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투명부를 포함하는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을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1 불투명부는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의 중앙부에서부터 좌우 양측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이격된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광투과성 필름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제1 불투명부는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의 중앙부에서부터 좌우 방향으로 소정구간까지는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에 배치되며 소정구간 이후부터 좌우 방향으로 양측 끝단부까지는 이격된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불투명부는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에 형성되는 서로 이웃하는 투명부 사이에 한 쌍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테두리 형성 홈 및,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에 테두리 형성 홈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테두리 형성 홈 사이에 마련되는 불투명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불투명 테두리부는 표면에 빛을 산란시킬 수 있는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불투명 테두리부는 내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빛을 산란시킬 수 있는 기포들을 발생시킴으로써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 정면의 특정 위치에서만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이외의 사람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에 위치한다 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관찰할 수 없도록 하여 보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적정거리를 항상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가 사용자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과 사용자의 시력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안필름은 주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부 측은 밝은 상태의 화면을 유지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방향으로 양측 끝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조금씩 어두워지는 화면 상태가 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서의 보안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제1 불투명부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제2 불투명부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 7의 B-B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 7의 B-B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3은 제1 불투명부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0)은 광투과성 필름부(110), 제1 불투명부(120) 및, 투명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필름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커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로 절단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불투명부(120)는 복수개가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좌우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명부(130)는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가 상기 복수개의 제1 불투명부(120)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불투명부(120)는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중앙부에서부터 좌우 방향으로 소정구간까지는 단면이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표면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구간 이후부터 좌우 방향으로 양측 끝단부까지는 단면의 연장선(EL1)이 광투과성 필름부(11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가상의 세로선(CL)과 만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중앙부에서부터 좌우 방향으로 소정구간까지는 사용자와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0)과의 이격된 거리에 상관없이 상기 보안필름(100)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관찰할 수 있으며,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소정구간이후부터 좌우 방향으로 양측 끝단부까지는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0)을 부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에 위치한다 하더라도 단면이 경사진 제1 불투명부(120)의 단면의 연장선들(EL1)이 만나는 지점, 즉 광투과성 필름부(10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가상의 세로선(CL)이 위치한 부분에 사용자가 위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불투명부(12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관찰할 수 없도록 하여 보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은 사용자에 의해 가려져 보안성이 비교적 높은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중앙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구간까지는 제1 불투명부(120)의 단면이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표면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보안필름(100)과 이격된 거리에 상관없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가려지지 않아 보안성이 비교적 저하되는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소정구간 이후부터 좌우 방향으로 양측 끝단부까지는 상기 제1 불투명부(120) 단면의 연장선(EL1)이 광투과성 필름부(11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가상의 세로선(CL)과 만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광투과성 필름부(11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가상의 세로선(CL)이 위치한 부분에 사용자가 위치할 경우에만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이외의 사람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에 위치한다 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관찰할 수 없도록 하여 보안성을 대폭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적정거리를 항상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가 사용자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과 사용자의 시력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 불투명부(120)의 단면의 연장선(EL1)은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로부터 300mm 내지 1000mm 내에 위치한 가상의 세로선(CL)과 만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눈으로부터 200mm 내지 400m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사용하게 되며, 컴퓨터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눈으로부터 300mm 내지 1000m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사용할 뿐만 아니라, 전자파에 대한 국제 규격인 TCO(The Swedish Confederation Of Professional Employees) 규격에 의해 인증 받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300mm 이격된 거리에서 전자파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300mm 이상 이격된 거리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관찰해야만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가 사용자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 불투명부(120)의 단면의 연장선(EL1)은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로부터 300mm 내지 1000mm 내에 위치한 가상의 세로선(CL)과 만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불투명부(120)는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중앙부에서부터 좌우 양측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이격된 폭(W)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광투과성 필름부(110)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부에서부터 좌우방향으로 양측 끝단부 측으로 갈수록 시야각을 점차적으로 좁게 만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서의 보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불투명부(120)가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중앙부에서부터 좌우 양측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이격된 폭(W)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광투과성 필름부(110)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 불투명부(120)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투명부(130)의 경우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중앙부에서부터 좌우 양측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주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부 측은 밝은 상태의 화면을 유지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방향으로 양측 끝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조금씩 어두워지는 화면 상태가 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서의 보안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1 불투명부(120)는 테두리 형성 홈(121) 및, 불투명 테두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형성 홈(121)은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에 형성되는 서로 이웃하는 투명부(130) 사이에 한 쌍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불투명 테두리부(122)는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에 테두리 형성 홈(121)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테두리 형성 홈(12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불투명 테두리부(122)는 표면에 빛을 산란시킬 수 있는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불투명 테두리부(122)는 내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빛을 산란시킬 수 있는 기포들을 발생시킴으로써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불투명 테두리부(122)는 표면에 빛을 차단시킬 수 있는 잉크를 도포하여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1 불투명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금속박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0)은 제1 불투명부(120)가 배치된 구성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제1 불투명부(120)가 배치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의 제1 불투명부(120)는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중앙부에서부터 좌우 방향으로 소정구간까지는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광투과성 필름부(110)에 배치되며 소정구간 이후부터 좌우 방향으로 양측 끝단부까지는 이격된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주요 화면이 표시됨과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가려져 비교적 보안성이 높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부에서부터 좌우 방향으로 소정구간까지는 동일한 밝기의 밝은 화면을 유지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부에서 소정구간까지 표시되는 화면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구간 이격된 부분에서부터 양측 끝단부까지는 점차적으로 조금씩 어두워지는 화면 상태가 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서의 보안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제2 불투명부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0)은 제2 불투명부(140)가 추가되는 구성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제2 불투명부(1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에 제2 불투명부(140)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불투명부(140)는 복수개가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00)의 상하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0)의 투명부(130)는 광투과성 필름부(110)가 제1, 2 불투명부(120)(140)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불투명부(140)는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상하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 하 방향에서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관찰할 수 없도록 하여 보안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0)의 경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과 마찬가지로 제1 불투명부(120)가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중앙부에서부터 좌우 양측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이격된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광투과성 필름부(110)에 배치되거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과 마찬가지로 제1 불투명부(120)가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중앙부에서부터 좌우 방향으로 소정구간까지는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광투과성 필름부(110)에 배치되며 소정구간 이후부터 좌우 방향으로 양측 끝단부까지는 이격된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에 배치됨으로써 주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부 측은 밝은 상태의 화면을 유지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방향으로 양측 끝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조금씩 어두워지는 화면 상태가 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서의 보안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 불투명부(140)가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상하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 하 방향에서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관찰할 수 없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 방향에서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2 불투명부(140)는 테두리 형성 홈(141) 및, 불투명 테두리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형성 홈(141)은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에 형성되는 서로 이웃하는 투명부(130) 사이에 한 쌍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불투명 테두리부(142)는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에 테두리 형성 홈(141)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테두리 형성 홈(14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불투명 테두리부(142)는 표면에 빛을 산란시킬 수 있는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불투명 테두리부(142)는 내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빛을 산란시킬 수 있는 기포들을 발생시킴으로써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불투명 테두리부(142)는 표면에 빛을 차단시킬 수 있는 잉크를 도포하여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0)은 제2 불투명부(140)를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제2 불투명부(1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0)의 제2 불투명부(140)는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중앙부에서부터 상하 방향으로 소정구간까지는 단면이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표면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구간 이후부터 상하 방향으로 양측 끝단부까지는 단면의 연장선(EL2)이 광투과성 필름부(11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가상의 가로선(WL)과 만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중앙부에서부터 상하 방향으로 소정구간까지는 사용자와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0)과의 이격된 거리에 상관없이 상기 보안필름(100)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관찰할 수 있으며,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소정구간이후부터 상하 방향으로 양측 끝단부까지는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0)을 부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에 위치한다 하더라도 단면이 경사진 제2 불투명부(140)의 단면의 연장선들(EL2)이 만나는 지점, 즉 광투과성 필름부(11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가상의 가로선(WL)이 위치한 부분에 사용자가 위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불투명부(14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관찰할 수 없도록 하여 보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가상의 가로선(WL)은 광투과성 필름부(110)로부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가상의 세로선(CL)과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상의 가로선(WL)은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로부터 300mm 내지 1000mm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0)은 사용자에 의해 가려져 비교적 보안성이 높은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중앙부에서부터 좌우, 상하 방향으로 소정구간까지는 제1, 2 불투명부(120)(140)의 단면이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표면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보안필름(100)과의 이격된 거리에 상관없이 상기 보안필름(100)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관찰할 수 있으며,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소정구간이후부터 좌우, 상하 방향으로 양측 끝단부까지는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0)을 부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에 위치한다 하더라도 단면이 경사진 제1, 2 불투명부(120)(140)의 단면의 연장선들(EL1)(EL2)이 만나는 지점, 즉 광투과성 필름부(11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가상의 세로선(CL)과 가로선(WL)이 만나는 점(CP)에 사용자가 위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2 불투명부(120)(14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관찰할 수 없도록 하여 보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의 눈이 상기 가상의 세로선(CL)과 가상의 가로선(WL)이 만나는 점(CP)에 위치해야만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부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부분에서부터 좌우, 상하 방향으로 양측 끝단부까지 표시되는 화면을 제대로 관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적정거리를 항상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앉아 있는 자세까지도 바르게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가 사용자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의자 등에 앉아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랜 시간 관찰하더라도 사용자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허리나 어깨와 같은 신체부위에 가해지는 부담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5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 7의 B-B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0)은 제2 불투명부(140)가 배치되는 구성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제2 불투명부(140)가 배치되는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0)의 제2 불투명부(140)는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중앙부에서부터 상하 양측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이격된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광투과성 필름부(110)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부에서부터 상하방향으로 양측 끝단부 측으로 갈수록 시야각을 점차적으로 좁게 만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방향에서의 보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 불투명부(140)가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중앙부에서부터 상하 양측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이격된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광투과성 필름부(110)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 불투명부(140)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투명부(130)의 경우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중앙부에서부터 상하 양측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주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부 측은 밝은 상태의 화면을 유지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방향으로 양측 끝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조금씩 어두워지는 화면 상태가 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부 방향에서의 보안성까지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주요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부 구역의 밝기 저하는 최소화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독성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6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 7의 B-B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0)은 제2 불투명부(140)가 배치되는 구성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제2 불투명부(140)가 배치되는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의 제2 불투명부(140)는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중앙부에서부터 상하 방향으로 소정구간까지는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광투과성 필름부(110)에 배치되며 소정구간 이후부터 상하 방향으로 양측 끝단부까지는 이격된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40)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주요 화면이 표시됨과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가려져 비교적 보안성이 높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부에서부터 상하 방향으로 소정구간까지는 동일한 밝기의 밝은 화면을 유지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부에서 소정구간까지 표시되는 화면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구간 이격된 부분에서부터 양측 끝단부까지는 점차적으로 조금씩 어두워지는 화면 상태가 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부 방향에서의 보안성까지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주요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부 구역의 밝기 저하는 최소화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독성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7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은 제1, 2 불투명부(120)(140)가 배치되는 구성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4 내지 제6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제1, 2 불투명부(120)(140)가 배치되는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0)의 제1, 2 불투명부(120)(140)는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중앙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복수개의 구역으로 분할되어 각 구역별로는 동일한 간격을 가지며 중앙부 구역에서 외측 구역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간격이 좁아지도록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중앙부 구역에서 외측 구역으로 갈수록 투명부(130)가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도록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를 구획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보안필름(100)은 광투과성 필름부(110)의 중앙부 구역에서 외측 구역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시야각이 좁아지도록 함과 동시에 밝기 또한 점차적으로 어두워지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 방위에서의 보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주요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부 구역의 밝기 저하는 최소화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독성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광투과성 필름부 (120) : 제1 불투명부
(130) : 투명부 (140) : 제2 불투명부

Claims (6)

  1.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광투과성 필름부;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의 좌우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광투과성 필름부의 중앙부에서부터 좌우 방향으로 소정구간까지는 단면이 광투과성 필름의 표면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고 소정구간 이후부터는 단면의 연장선이 광투과성 필름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가상의 세로선과 만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불투명부; 및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가 상기 제1 불투명부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투명부를 포함하는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불투명부는,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의 중앙부에서부터 좌우 양측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이격된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광투과성 필름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불투명부는,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의 중앙부에서부터 좌우 방향으로 소정구간까지는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에 배치되며 소정구간 이후부터 좌우 방향으로 양측 끝단부까지는 이격된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불투명부는,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에 형성되는 서로 이웃하는 투명부 사이에 한 쌍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테두리 형성홈; 및
    상기 광투과성 필름부에 테두리 형성 홈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테두리 형성 홈 사이에 마련되는 불투명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테두리부는,
    표면에 빛을 산란시킬 수 있는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불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테두리부는,
    내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빛을 산란시킬 수 있는 기포들을 발생시킴으로써 불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
KR1020170023458A 2017-02-22 2017-02-22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 KR101928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458A KR101928064B1 (ko) 2017-02-22 2017-02-22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458A KR101928064B1 (ko) 2017-02-22 2017-02-22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979A true KR20180096979A (ko) 2018-08-30
KR101928064B1 KR101928064B1 (ko) 2018-12-11

Family

ID=6345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458A KR101928064B1 (ko) 2017-02-22 2017-02-22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0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524B1 (ko) * 2018-12-31 2020-01-29 조정기 시야각 제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236B1 (ko) * 2019-09-17 2020-01-29 조정기 광 제어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591B1 (ko) 2007-01-02 2007-08-30 주식회사 엘지에스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3717B2 (ja) * 2006-10-23 2012-12-12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光学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光学装置、表示装置、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591B1 (ko) 2007-01-02 2007-08-30 주식회사 엘지에스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524B1 (ko) * 2018-12-31 2020-01-29 조정기 시야각 제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0141739A1 (ko) * 2018-12-31 2020-07-09 조정기 시야각 제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064B1 (ko) 201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6141B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and image presentation method
JP6099892B2 (ja) 映像表示装置
US20140140094A1 (en) Light source device,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2269839B (zh) 导光板以及背光模组
KR102066061B1 (ko) 관찰 각도 제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029356A (ja) 光源デバイスおよび表示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KR20150041644A (ko) 도전성 필름, 그것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와 터치패널, 및 도전성 필름의 패턴의 결정 방법
KR101258584B1 (ko) 부피표현방식 3차원 영상표시장치
KR20130080761A (ko) 표시 장치
KR101928064B1 (ko) 정면 보안성능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
US9470836B2 (en) Display device
EP2478406A1 (en) Multiple view display
JP2007047545A (ja) 液晶表示装置、面光源装置及び情報機器
US20160349523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EP2924350B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15028633A (ja) 組み立て型表示装置
WO2018166363A1 (zh) 虚拟曲面显示面板及显示装置
EP3336599A1 (en) 3d display panel, 3d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KR101926067B1 (ko) 가독성 저하 방지용 전방향 보안필름
KR101120581B1 (ko) 2d/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US20170227188A1 (en) Display device having light guide plate with a curved surface
TWI717602B (zh) 頭戴式顯示裝置
TWI545346B (zh) A visual display device capable of realizing a natural field of view
US10852545B2 (en) Head mounted viewer for AR and VR scenes
JP5839155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