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961A - 3웨이 분배기 - Google Patents

3웨이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961A
KR20180096961A KR1020170023412A KR20170023412A KR20180096961A KR 20180096961 A KR20180096961 A KR 20180096961A KR 1020170023412 A KR1020170023412 A KR 1020170023412A KR 20170023412 A KR20170023412 A KR 20170023412A KR 20180096961 A KR20180096961 A KR 20180096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inlet
blocking plate
rotary shaft
pass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3017B1 (ko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유성분체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분체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성분체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3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017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812/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웨이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우 단순한 구조에 의해 빠르게 이송물을 3방향으로 분배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이송물이 완전히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3웨이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에 투입구를 갖는 제1통로; 상기 제1통로의 투입구를 공유하도록 상측이 상기 제1통로의 일측부에 사선방향으로 접속되어 연통되는 제2통로; 상기 제1통로의 투입구를 공유하도록 상측이 상기 제1통로의 타측부에 사선방향으로 접속되어 연통되는 제3통로; 상기 제1통로와 제2통로의 접속부위에서 제1회전축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제1통로 및 제2통로를 선택적으로 투입구와 연결시키는 제1막음판; 상기 제1통로와 제3통로의 접속부위에서 제2회전축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제1통로 및 제3통로를 선택적으로 투입구와 연결시키는 제2막음판; 상기 제1회전축에 작동암에 의해 로드가 연결되어 제1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 상기 제2회전축에 작동암에 의해 로드가 연결되어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제1막음판 및 제2막음판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진동유닛이 설치된다.

Description

3웨이 분배기{3way distributor}
본 발명은 3웨이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우 단순한 구조에 의해 빠르게 이송물을 3방향으로 분배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이송물이 완전히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3웨이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이 등록한 등록실용 제20-0358060호에 기재된 분체 분배기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형 호퍼(10)의 상단부에 투입구(11)가 구비되고, 콘형 호퍼(10)의 하단 개구부에는 복수개의 배출구(21,22,23,24)가 동심원 상에 구비된 원형판(20)이 고정되며, 상기 원형판(20)의 중앙부에 구비된 축 지지부(31)에 회전축(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콘형 호퍼(10)의 투입구(11)에 상단부(41)가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배출구(21,22,23,24)에 하단부(42)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분배관(40)이 회전축(30)과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5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갖는 종래의 분체 분배기는 구동수단(5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축(30)이 회전하면 분배관(40)의 상측부가 회전축(3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분배관(40)이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와 같이 분배관(40)이 회전하게 되면 분배관(4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분배관(40)의 하단부(42)가 원형판(20)의 배출구(21,22,23,24)에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콘형 호퍼(10)의 투입구(11)로 투입된 분체 등의 이송물이 분배관(40)의 상단부(41)로 유입되고 분배관(40)의 하단부(42)와 연통되는 원형판(20)의 배출구(21,22,23,24)로 배출된다.
따라서, 콘형 호퍼(10)에 구비된 상부 1 곳의 투입구(11)에서 투입되는 이송물을 원형판(20)에 구비된 복수개의 배출구(21,22,23,24)에 원하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동수단(50)은 콘형 호퍼(10)의 하부 일측에 구동모터(51)와 감속기(52)가 설치되고, 감속기(52)의 구동축(53)에 상기 회전축(30)이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투입구(11)를 배출구(21,22,23,24) 방향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분배관(40)을 회전시켜야 하므로 그 회전시간이 소요되므로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는 이송물을 빠르게 방향 전환하여 해당하는 배출구(21,22,23,24)를 통해 배출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즉, 분배관(40)의 회전시에는 투입구(11)를 통한 이송물의 투입을 중지시켜야 하므로, 이로 인해 이송물의 분배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전체공정의 수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수분 함유량이 높은 이송물이나 습도가 높은 환경하에서는 이송물이 분배관(40)의 내측에 쉽게 유착되고, 특히 이러한 유착된 이송물이 음식물인 경우에는 부패가 발생하여 청결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함은 물론, 다른 이송물이 이송될 때 유착된 이송물이 떨어져 나와 이물질로 섞이면서 함께 이송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투입구를 공유하는 3개 통로의 접속부위에 실린더에 의해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막음판을 구비함으로써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빠르게 이송물을 분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막음판에 이송물이 유착되지 않도록 한 3웨이 분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3웨이 분배기는,
상부에 투입구를 갖는 제1통로;
상기 제1통로의 투입구를 공유하도록 상측이 상기 제1통로의 일측부에 사선방향으로 접속되어 연통되는 제2통로;
상기 제1통로의 투입구를 공유하도록 상측이 상기 제1통로의 타측부에 사선방향으로 접속되어 연통되는 제3통로;
상기 제1통로와 제2통로의 접속부위에서 제1회전축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제1통로 및 제2통로를 선택적으로 투입구와 연결시키는 제1막음판;
상기 제1통로와 제3통로의 접속부위에서 제2회전축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제1통로 및 제3통로를 선택적으로 투입구와 연결시키는 제2막음판;
상기 제1회전축에 작동암에 의해 로드가 연결되어 제1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
상기 제2회전축에 작동암에 의해 로드가 연결되어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제1막음판 및 제2막음판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진동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린더에 의해 막음판을 개폐함으로써 3개의 통로를 통해 선택적으로 이송물의 배출되는 방향을 빠르게 전환할 수 있어서, 그 구조가 매우 단순하고, 종래의 콘형 구조보다 빠르게 이송물을 분배시켜 전체공정의 수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막음판의 진동에 의해 이송물이 유착되어 부패하거나 또다른 이송물에 이물질로 섞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1 및 도2는 종래의 분체 분배기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방향 전환 분배기의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적용된 통로의 단면 구조도.
도6은 투입구를 제1통로로 연결시키는 동작을 보인 도.
도7은 투입구를 제3통로로 연결시키는 동작을 보인 도.
도8은 제1통로, 제2통로, 제3통로의 형태를 보인 도.
도9는 막음판에 진동유닛이 설치된 형태를 보인 도.
도10은 진동유닛과 리브가 형성된 본 발명의 측면을 보인 도.
도11은 리브가 형성된 막음판의 단면 구조를 보인 도.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도3 내지 도11까지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상하방향으로 위치한 제1통로(110)의 상측에는 이송물이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140)가 형성되어 있고, 제1통로(110)의 양측방향으로는 상측으로 투입구(140)를 공유하는 제2통로(120)와 제3통로(130)가 하측방향으로 사선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제1통로(110), 제2통로(120), 그리고 제3통로(130)는 그 외측으로 케이싱(100)으로 덮여지며, 상측의 투입구(140)와 각 통로(110,120,130)의 하측 즉, 이송물이 배출되는 부위는 케이싱(10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이다.
즉 도8에서와 같이 케이싱(100)의 내측에서 제1통로(110)의 상측부위 일측이 사선방향으로 접속된 제2통로(120)의 상측부위와 연통된 상태이고, 또한 제1통로의 상측으로 타측이 사선방향으로 접속된 제2통로(130)의 상측부위와 연통되어 하나의 투입구(140)가 서로 공유되는 상태이다.
제1통로(110)와 제2통로(120)가 연통되는 부위에는 제1막음판(121)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1통로(110)와 제2통로(130)가 연통되는 부위에는 제2막음판(13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각 통로(110,120,130)의 단면은 도5에서와 같이 사각 형태의 통로를 가짐으로써 통로(110,120,130)가 서로 연통되도록 접속되는 부위에는 도4에서와 같이 사각의 판 형태의 막음판(121,131)이 위치하며, 그 막음판(121,131)은 연통된 부위를 폐쇄하는 크기를 가진다.
도4는 도3의 좌측면도를 보인 도이지만, 우측면도도 이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좌측면도에 제2실린더(160), 로드(161), 고정부(162), 작동암(163), 제2회전축(164)의 부호를 함께 표기하였다.
이러한 제1막음판(121)의 하단은 제1통로(110)와 제2통로(120)가 연통된 부위의 하측에서 제1회전축(154)에 고정되며, 또한 제2막음판(131)의 하단은 제1통로(110)와 제3통로(130)가 연통된 부위의 하측에서 제2회전축(164)에 고정된다.
제1회전축(154)과 제2회전축(164)는 케이싱(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케이싱(100)에 베어링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거치된다.
케이싱(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회전축(154)의 일측에는 고정된 작동암(153)이 구비되고, 이 작동암(153)에 제1실린더(150)의 로드(151)가 연결됨으로써 제1실린더(150)의 동작에 의해 제1막음판(121)이 회전하게 되며, 제1실린더(150)는 케이싱(100)의 외부에 고정된 브라켓 형태의 고정부(152)에 거치되어 고정된다.
또한, 케이싱(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회전축(164)의 일측에는 고정된 작동암(163)이 구비되고, 이 작동암(163)에 제2실린더(160)의 로드(161)가 연결됨으로써 제2실린더(160)의 동작에 의해 제2막음판(131)이 회전하게 되며, 제1실린더(160)는 케이싱(100)의 외부에 고정된 브라켓 형태의 고정부(162)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제1실린더(150)와 제2실린더(160)의 구동에 의하여 제1막음판(121)과 제2막음판(131)이 회전하여 투입구(140)를 제1통로(110), 제2통로(120), 그리고 제3통로(130)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도3에서와 같이 먼저 투입구(140)와 제1통로(110)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제1실린더(150)의 로드(151)와 제2실린더(160)의 로드(161)가 압축된 상태로 되어 제1막음판(121)이 제1통로(110)와 제2통로(120)의 연통된 부위를 폐쇄하게 되며, 또한, 제2막음판(131)이 제1통로(110)와 제3통로(130)의 연통된 부위를 폐쇄하게 되어 투입구(140)와 제1통로(110)가 연결됨으로써 투입구(140)를 통해 투입되는 이송물이 제1통로(110)를 통해 하측으로 배출된다.
투입구(140)과 제2통로(120)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도6에서와 같이 제2막음판(131)이 제1통로(110)와 제3통로(130)가 연통되는 부위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1실린더(150)가 동작하여 로드(151)를 신장시키게 되면, 제1막음판(121)이 제1통로(110)쪽으로 기울어지면서 그 상단이 제2막음판(131)에 맞닿게 되어 투입구(140)와 제2통로(120)가 연결됨으로써 투입구(140)를 통해 투입되는 이송물이 제2통로(120)를 통해 하측으로 배출된다.
투입구(140)과 제3통로(130)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도7에서와 같이 제1막음판(121)이 제1통로(110)와 제2통로(120)가 연통되는 부위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2실린더(160)가 동작하여 로드(161)를 신장시키게 되면, 제2막음판(131)이 제1통로(110)쪽으로 기울어지면서 그 상단이 제1막음판(121)에 맞닿게 되어 투입구(140)와 제3통로(130)가 연결됨으로써 투입구(140)를 통해 투입되는 이송물이 제3통로(130)를 통해 하측으로 배출된다.
결국, 실린더(150,160)의 동작에 의해 막음판(121,131)을 단순히 회전시킴으로써 투입구(140)를 통해 이송물이 투입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빠르게 이송물을 각 통로(110,120,130)로 분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9는 제1막음판(121)과 제2막음판(131)에 진동유닛이 설치되는 구조를 보인 도서, 제1막음판(121)과 제2막음판(131)의 가운데 부위의 상하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진동유닛(122,132)의 일정간격마다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진동유닛(122,132)는 편심에 의한 진동자, 초음판 진동자 등 다양한 형태의 진동자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동유닛(122,132)에 의해 제1막음판(121)과 제2막음판(132)이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송물의 이송시에 진동유닛(122,132)을 진동시키게 되면, 이송물의 유착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또한 이송물의 이송 완료후에도 일정시간동안 진동유닛(122,132)을 동작시키게 되면, 유착된 이송물이 진동에 의해 떨어져 나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6 및 도7에서와 같이 제1막음판(122) 또는 제2막음판(132)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이송물이 이송될 때 중량체의 이송물이 낙하되면, 그 무게에 의해 자칫 제1막음판(122) 또는 제2막음판(132)이 휘어짐 등으로 손상될 수 있으므로 버팀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도10에서와 같이 제1막음판(122) 및 제2막음판(132)의 상하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리브(123,133)를 형성하게 된다.
철판으로 된 제1막음판(122) 및 제2막음판(132)에 리브(123,133)를 도11에서와 같이 프레스 가공에 의해 골 또는 산의 형태로 형성하게 되며, 이때 진동유닛(122,132)은 리브(123,133)의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이송물의 이송시에 이러한 리브(122,133) 또는 주변부에도 이송물이 끼거나 유착될 수 있으므로, 진동유닛(122,132)의 진동이 리브(122,132)로 전달되어 이송물이 끼거나 유착되지 못하도록 진동에 의해 완전히 떨어져 나가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100 : 케이싱 110 : 제1통로
120 : 제2통로 121 : 제1막음판
122 : 진동유닛 123 : 리브
130 : 제3통로 131 : 제2막음판
132 : 진동유닛 133 : 리브
140 : 투입구 150,160 : 실린더
151,161 : 로드 152,162 : 고정부
153,163 : 작동암 154,164 : 회전축

Claims (3)

  1. 상부에 투입구를 갖는 제1통로;
    상기 제1통로의 투입구를 공유하도록 상측이 상기 제1통로의 일측부에 사선방향으로 접속되어 연통되는 제2통로;
    상기 제1통로의 투입구를 공유하도록 상측이 상기 제1통로의 타측부에 사선방향으로 접속되어 연통되는 제3통로;
    상기 제1통로와 제2통로의 접속부위에서 제1회전축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제1통로 및 제2통로를 선택적으로 투입구와 연결시키는 제1막음판;
    상기 제1통로와 제3통로의 접속부위에서 제2회전축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제1통로 및 제3통로를 선택적으로 투입구와 연결시키는 제2막음판;
    상기 제1회전축에 작동암에 의해 로드가 연결되어 제1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
    상기 제2회전축에 작동암에 의해 로드가 연결되어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제1막음판 및 제2막음판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진동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웨이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막음판 및 제2막음판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진동유닛은 복수의 리브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웨이 분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은 제1통로와 제2통로의 접속부위 하단에 위치하고, 제2회전축은 제1통로와 제3통로의 접속부위 하단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웨이 분배기.
KR1020170023412A 2017-02-22 2017-02-22 3웨이 분배기 KR101903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412A KR101903017B1 (ko) 2017-02-22 2017-02-22 3웨이 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412A KR101903017B1 (ko) 2017-02-22 2017-02-22 3웨이 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961A true KR20180096961A (ko) 2018-08-30
KR101903017B1 KR101903017B1 (ko) 2018-10-01

Family

ID=63453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412A KR101903017B1 (ko) 2017-02-22 2017-02-22 3웨이 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0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0186A (zh) * 2018-09-21 2019-01-18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三通分料器
CN109823860A (zh) * 2018-12-08 2019-05-31 英鸿纳米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纳米纤维生产的投料机器人
CN110371624A (zh) * 2019-09-02 2019-10-25 王一浩 一种三通分料槽
CN116639508A (zh) * 2023-07-27 2023-08-25 山东青州云门酒业(集团)有限公司 一种物料分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062B1 (ko) * 2012-11-19 2014-05-16 주식회사 제이앤에이취프레스 환봉절단기의 자동 3-웨이 슈트 소재처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0186A (zh) * 2018-09-21 2019-01-18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三通分料器
CN109823860A (zh) * 2018-12-08 2019-05-31 英鸿纳米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纳米纤维生产的投料机器人
CN109823860B (zh) * 2018-12-08 2021-01-19 英鸿纳米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纳米纤维生产的投料机器人
CN110371624A (zh) * 2019-09-02 2019-10-25 王一浩 一种三通分料槽
CN116639508A (zh) * 2023-07-27 2023-08-25 山东青州云门酒业(集团)有限公司 一种物料分料装置
CN116639508B (zh) * 2023-07-27 2023-10-13 山东青州云门酒业(集团)有限公司 一种物料分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017B1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017B1 (ko) 3웨이 분배기
US91621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tering, mixing and packag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US4747524A (en) Device for metered handling of bulk materials
CA2590988A1 (en) Segmented auger for a concrete dispensing apparatus
WO2012000381A1 (zh) 可调节落料的卸料斗装置及具有其的混凝土搅拌设备
RU255023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грузки куск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из бункера
US1750147A (en) Plant-dusting machine
JP4109116B2 (ja) 適量吐出装置
CN103274211A (zh) 滚筒式分料机构
EP1022221B1 (en) Device for distributing set volumes of materials in powder form
CN206927089U (zh) 一种新型污泥料仓
KR200358060Y1 (ko) 분체 분배기
JP2003160108A (ja) 粉粒体分配装置
KR101606115B1 (ko) 호퍼장치
US983923A (en) Distributing-hopper.
CN209348582U (zh) 一种片剂加工工艺中用的造粒机
CN218077720U (zh) 一种周向匀料装置
US20220161207A1 (en) Powder blender for a system for continuous processing of powder products
CN212711542U (zh) 一种固体颗粒物料分料装置
US11656113B2 (en) Bulk material metering system
CN105501938B (zh) 物料分散装置、工程机械和物料分散方法
CN213617596U (zh) 一种干粉砂浆生产用的分料下料装置
US663999A (en) Concrete-mixer.
CN215428837U (zh) 一种易扩展的自动配料机
KR200285586Y1 (ko) 로터리식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