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547A - 마찰 방지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마찰 방지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547A
KR20180096547A KR1020180073007A KR20180073007A KR20180096547A KR 20180096547 A KR20180096547 A KR 20180096547A KR 1020180073007 A KR1020180073007 A KR 1020180073007A KR 20180073007 A KR20180073007 A KR 20180073007A KR 20180096547 A KR20180096547 A KR 20180096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il
housing
female
sp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9914B1 (ko
Inventor
윤준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80073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91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마찰 방지형 커넥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마찰 방지형 커넥터는: 삽입공간부를 갖고, 메일단자가 구비되는 메일하우징과, 삽입공간부에 끼워지고, 메일단자가 스프링부재에 접촉되는 것 없이 삽입되는 피메일단자를 구비하는 피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을 메일하우징에 더 삽입함에 따라 이동하고, 피메일단자의 관통공으로 관통되어 스프링부재를 가압하므로 메일단자를 고정시켜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을 체결하는 가압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찰 방지형 커넥터{FRICTION PREVENTING TYPE CONNECTOR}
본 발명은 마찰 방지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일단자가 피메일단자에 마찰 접촉 없이 삽입된 후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의 결합에 의한 단자위치유지부재의 상승을 이용하여 피메일단자의 관통공으로 가압돌부를 진입시켜 스프링부재를 가압하여 메일단자를 고정함으로써,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의 삽입력을 삭제하여 조립작업시 힘을 적게 들일 수 있고, 다극 커넥터의 조립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마찰 방지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있다. 이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져 있어서 와이어링이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케이블, 커넥터등을 사용하여 와이어를 고정하거나 연결하도록 한다.
이러한 커넥터(Connector)는 전기배선을 서로 연결해주거나 배선과 유닛(Unit) 사이를 연결하는 배선장치로서, 졍션블록에 구비되고, 메일단자(Male terminal)를 수용하는 메일하우징(Male housing)과, 메일하우징과 결합되고 피메일단자(Female terminal)를 수용하는 피메일하우징(Female hosing)을 포함한다.
이때, 커넥터의 결합은 메일단자가 피메일단자의 삽입공으로 강제적으로 끼워지면서 피메일단자의 스프링에 접촉되면서 발생하는 제1삽입력과. 메일하우징의 삽입홈부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부에 피메일하우징의 상측에 구비되는 걸림돌기부의 탄성 회동에 의해 걸리면서 발생하는 제2삽입력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커넥터는 상술한 제1삽입력과 제2삽입력의 합에 의하여 커넥터의 체결이 유지된다.
그런데, 기존의 커넥터는 체결시 메일단자의 두께보다 피메일단자의 스프링 높이가 낮아서 메일단자가 피메일단자를 억지로 들어올리려는 힘에 의헤 삽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가 다수개 형성됨에 따라 마찰에 의한 삽입저항력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조립작업에 힘이 많이 들고, 조립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96028호(2008.01.11, 발명의 명칭: 커넥터 록킹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메일단자가 피메일단자에 마찰 접촉 없이 삽입된 후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의 결합에 의한 단자위치유지부재의 상승을 이용하여 피메일단자의 관통공으로 가압돌부를 진입시켜 스프링부재를 가압하여 메일단자를 고정함으로써,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의 삽입력을 삭제하여 조립작업시 힘을 적게 들일 수 있고, 다극 커넥터의 조립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마찰 방지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찰 방지형 커넥터는, 삽입공간부를 갖고, 메일단자가 구비되는 메일하우징; 상기 삽입공간부에 끼워지고, 상기 메일단자가 스프링부재에 접촉되는 것 없이 삽입되는 피메일단자를 구비하는 피메일하우징; 및 상기 피메일하우징을 상기 메일하우징에 더 삽입함에 따라 이동하고, 상기 피메일단자의 관통공으로 관통되어 상기 스프링부재를 가압하므로 상기 메일단자를 고정시켜 상기 메일하우징과 상기 피메일하우징을 체결하는 가압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고정부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피메일단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자위치유지부재; 상기 피메일하우징과 상기 메일하우징에 마련되고, 상기 단자위치유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단자위치유지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에 의해 승강하여 상기 관통공으로 끼워져 상기 스프링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위치유지부재는 가로방향으로 단자설치공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단자설치공 각각에는 상기 가압돌부가 1개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에는 상기 피메일단자의 끼움공 내측면에 접촉되는 힌지접촉부가 굴곡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힌지접촉부에서 상기 관통공 측으로 갈수록 끼움공의 내측으로 굴곡되다가 단부에서 끼움공의 외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만곡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메일하우징의 상기 삽입공간부 내측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상승안내돌부; 및 상기 제1상승안내돌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단자위치유지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2상승안내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상승안내돌부와 상기 제2상승안내돌부는 부드럽게 접촉되도록 상호 접촉부위에 가이드경사면부가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 방지형 커넥터는, 메일단자가 피메일단자에 마찰 접촉 없이 삽입된 후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의 결합에 의한 단자위치유지부재의 상승을 이용하여 피메일단자의 관통공으로 가압돌부를 진입시켜 스프링부재를 가압하여 메일단자를 고정함으로써,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의 삽입력을 삭제하여 조립작업시 힘을 적게 들일 수 있고, 다극 커넥터의 조립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방지형 커넥터의 하측부위를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위치유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방지형 커넥터에서 가압고정부의 상승 전 상태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방지형 커넥터에서 가압고정부의 싱승하여 체결된 상태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방지형 커넥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방지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단자의 하측부위를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위치유지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방지형 커넥터에서 가압고정부의 상승 전 상태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방지형 커넥터에서 가압고정부의 싱승하여 체결된 상태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B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방지형 커넥터는, 메일하우징(100), 피메일하우징(200) 및 가압고정부(300)를 포함한다.
메일하우징(100)은 삽입공간부(110)를 갖고, 메일단자(120)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메일단자(120)에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연결된다.
삽입공간부(110)는 메일하우징(100)과 피메일하우징(200)이 결합되는 구멍이다.
피메일하우징(200)은 삽입공간부(110)에 결합되어 메일단자(120)가 스프링부재(230)에 접촉되는 것 없이 삽입되는 피메일단자(210)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피메일단자(210)는 메일단자(12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중심에 끼움공(212)이 형성된다. 끼움공(212)의 내경은 메일단자(120)가 삽입될 때, 접촉되는 것 없이 삽입되도록 메일단자(120)의 외경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메일단자(120)가 피메일단자(210)의 끼움공(212)에 삽입시 스프링부재(230)에 접촉되지 않는다. 기존의 커넥터는 메일단자가 피메일단자에 삽입시 스프링부재에 마찰 접촉되므로 조립작업에 힘이 많이 들고, 다극커넥터의 경우 조립성이 현저하게 나빠진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찰 방지형 커넥터의 경우, 메일단자(120)가 피메일단자(210)의 끼움공(212)에 삽입되더라도 스프링부재(230)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단자삽입력이 제로(zero)화되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메일단자(120)와 피메일단자(21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피메일하우징(200)과 메일하우징(100)을 더 결합(삽입)함에 따라 후술하는 가압고정부(300)가 작동되어 피메일단자(210)에 형성된 관통공(220)을 통해 스프링부재(230)를 외측에서 가압하므로 메일단자(100)를 피메일단자(21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가압고정부(300)는 피메일하우징(200)을 메일하우징(110)에 삽입함에 따라 이동하고, 피메일단자(210)의 관통공(220)으로 관통되어 스프링부재(230)를 가압하므로 메일단자(120)를 고정시켜 메일하우징(100)과 피메일하우징(200)을 체결하는 구성이다.
가압고정부(300)는, 피메일하우징(200)에 구비되고, 피메일단자(210)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자위치유지부재(310)와, 피메일하우징(200)과 메일하우징(100)에 마련되고, 단자위치유지부재(31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320)와, 단자위치유지부재(310)에 구비되고, 승강부(320)에 의해 승강하여 관통공(220)으로 끼워져 스프링부재(230)를 가압하는 가압돌부(350)를 포함한다.
단자위치유지부재(310)는 가로방향으로 단자설치공(312)이 다수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설치공(312)이 단자위치유지부재(310)에 10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단자설치공(312)의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단자설치공(312)에는 각각의 피메일단자(210)가 배치된다.
단자설치공(312) 각각에는 가압돌부(350)가 1개씩 구비된다. 가압돌부(350)는 각각 구비된 피메일단자(210)의 관통공(220)으로 삽입되어 스프링부재(230)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가압하므로 메일단자(120)가 피메일단자(210)와 접촉하여 전기적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단자위치유지부재(310)는 승강부(32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가압돌부(350)기 관통공(220)으로 삽입되므로 스프링부재(230)를 가압할 수 있다.
스프링부재(230)에는 피메일단자(210)의 끼움공(212) 내측면에 접촉되는 힌지접촉부(240)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힌지접촉부(240)는 스프링부재(230)의 중간부위에 끼움공(212)의 내측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어 만곡부(250)에 메일단자(120) 접촉시 스프링부재(230)의 회전 기준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힌지접촉부(240)는 끼움공(212)의 내측면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부재(230)는 힌지접촉부(240)에서 관통공(220) 측으로 갈수록 끼움공(212)의 내측으로 굴곡되다가 단부에서 끼움공(212)의 외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만곡부(250)가 마련될 수 있다.
만곡부(250)는 가압돌부(350)가 가압하여 메일단자(120)의 외측면을 눌러줄 때,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승강부(320)는, 메일하우징(100)의 삽입공간부(110) 내측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상승안내돌부(330)와, 제1상승안내돌부(330)에 접촉되어 단자위치유지부재(310)를 상승하도록 단자위치유지부재(3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2상승안내돌부(340)를 포함한다.
제1상승안내돌부(330)는 삽입공간부(110)의 깊숙한 부위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단차가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제1상승안내돌부(330)는 상기한 것과 반대로, 삽입공간부(110) 내측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상승안내돌부(340)는 단자위치유지부재(310)의 진입측 저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상승안내돌부(330) 접촉됨에 따라 단자위치유지부재(310)를 상승시켜 메일하우징(100)과 피메일하우징(200)이 상호 체결되도록 해준다.
제2상승안내돌부(340)는 상기한 것과 반대로, 단자위치유지부재(310)의 진입측 상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자위치유지부재(310)는 피메일하우징(200)에서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로 구성하고 도시하지만, 필요에 따라 단자위치유지부재(310)는 피메일하우징(200)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상승안내돌부(330)와 제2상승안내돌부(340)는 부드럽게 접촉되도록 상호 접촉부위에 가이드경사면부(36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경사면부(360)은 45도 각도로 제1상승안내돌부(330)와 제2상승안내돌부(340)의 각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방지형 커넥터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하우징(100)의 삽입공간부(110)에 피메일하우징(200)을 삽입하면, 메일하우징(100)에 구비된 메일단자(120)가 피메일하우징(200)에 구비된 피메일단자(210)의 끼움공(212)에 삽입되면서, 스프링부재(230)에 접촉되는 것 없이 끼워진다.
연이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메일하우징(200)을 메일하우징(100)에 더 삽입함에 따라 단자위치유지부재(310)의 하측에 구비된 제2상승안내돌부(340)가 피메일하우징(200)의 바닥에 구비된 제1상승안내돌부(330)에 접촉되어 가이드경사면부(360)를 따라 이동하여 단자위치유지부재(310)를 상승시킨다.
그 다음, 상승된 단자위치유지부재(310)에 구비된 가압돌부(350)가 피메일단자(210)의 관통공(220)으로 진입되어 힌지접촉부(240)를 기준으로 만곡부(250)의 외측에 접촉되어 스프링부재(230)의 외측면을 눌러 줌에 따라 스프링부재(230)가 메일단자(120)의 외측면을 가압함으로써, 메일단자(100)가 피메일단자(210)와 접촉하여 전기적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이로써, 메일단자(120)와 피메일단자(210) 간의 삽입력을 없애면서 피메일단자(210)의 관통공(220으로 진입된 가압돌부(350)의 측면 가압력을 통해 메일단자(120)를 견고하게 고정하므로 메일하우징(100)과 피메일하우징(2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방지형 커넥터는, 메일단자가 피메일단자에 마찰 접촉 없이 삽입된 후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의 결합에 의한 단자위치유지부재의 상승을 이용하여 피메일단자의 관통공으로 가압돌부를 진입시켜 스프링부재를 가압하여 메일단자를 고정함으로써,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의 삽입력을 삭제하여 조립작업시 힘을 적게 들일 수 있고, 다극 커넥터의 조립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메일하우징 110-: 삽입공간부
120 : 메일단자 200 : 피메일하우징
210 : 피메일단자 212 : 끼움공
220 : 관통공 230 : 스프링부재
240 : 힌지접촉부 250 : 만곡부
300 : 가압고정부 310 : 단자위치유지부재
312 : 단자설치공 320 : 승강부
330 : 제1상승안내돌부 340 : 제2상승안내돌부
350 : 가압돌부 360 : 가이드경사면부

Claims (3)

  1. 삽입공간부를 갖고, 메일단자가 구비되는 메일하우징;
    상기 삽입공간부에 끼워지고, 상기 메일단자가 스프링부재에 접촉되는 것 없이 삽입되는 피메일단자를 구비하는 피메일하우징; 및
    상기 피메일하우징을 상기 메일하우징에 더 삽입함에 따라 이동하고, 상기 피메일단자의 관통공으로 상기 스프링부재를 가압하므로 상기 메일단자를 고정시켜 상기 메일하우징과 상기 피메일하우징을 체결하는 가압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재에는 상기 피메일단자의 끼움공 내측면에 접촉되는 힌지접촉부가 굴곡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힌지접촉부에서 상기 관통공 측으로 갈수록 끼움공의 내측으로 굴곡되다가 단부에서 끼움공의 외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만곡부가 마련되며,
    싱기 힌지접촉부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중간부위에 상기 끼움공의 내측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만곡부에 상기 메일단자 접촉시 상기 스프링부재의 회전 기준점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가압고정부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피메일단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자위치유지부재; 상기 피메일하우징과 상기 메일하우징에 마련되고, 상기 단자위치유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단자위치유지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에 의해 승강하여 상기 관통공으로 끼워져 상기 스프링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위치유지부재는 가로방향으로 단자설치공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단자설치공 각각에는 상기 가압돌부가 1개씩 구비되며,
    상기 힌지접촉부는 상기 끼움공의 내측면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가압돌부가 가압하여 상기 메일단자의 외측면을 눌러줄 때,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방지형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메일하우징의 상기 삽입공간부 내측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상승안내돌부; 및
    상기 제1상승안내돌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단자위치유지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2상승안내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방지형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승안내돌부와 상기 제2상승안내돌부는 부드럽게 접촉되도록 상호 접촉부위에 가이드경사면부가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방지형 커넥터.
KR1020180073007A 2018-06-25 2018-06-25 마찰 방지형 커넥터 KR101959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007A KR101959914B1 (ko) 2018-06-25 2018-06-25 마찰 방지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007A KR101959914B1 (ko) 2018-06-25 2018-06-25 마찰 방지형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561A Division KR101879864B1 (ko) 2017-02-20 2017-02-20 마찰 방지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547A true KR20180096547A (ko) 2018-08-29
KR101959914B1 KR101959914B1 (ko) 2019-03-19

Family

ID=63435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007A KR101959914B1 (ko) 2018-06-25 2018-06-25 마찰 방지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9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548A (ko) *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4023A (ja) * 2002-03-11 2003-09-1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低挿入力メス側導体端子
JP2004247055A (ja) * 2003-02-10 2004-09-0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9193853A (ja) * 2008-02-15 2009-08-27 Yazaki Corp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4023A (ja) * 2002-03-11 2003-09-1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低挿入力メス側導体端子
JP2004247055A (ja) * 2003-02-10 2004-09-0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9193853A (ja) * 2008-02-15 2009-08-27 Yazaki Corp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548A (ko) *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914B1 (ko) 201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6157B2 (ja) 同軸電気コネクタ
CN107069265B (zh) 带引导零件的电连接器
JP5579917B2 (ja) 電気コネクタ
CN111293452B (zh) 软扁平电缆电连接器
US6908345B2 (en) Electric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US7794253B2 (en) Coaxial connector with a new type of contact
US7651381B2 (en) Contact terminal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the same
US6227869B1 (en) Terminal for an LGA socket
US10003146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10103901A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US6887106B2 (en) Shielding connector
KR20190061351A (ko) 강도가 강화된 플러그커넥터
US746205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439934B1 (en) High-speed electrical connector
KR101959914B1 (ko) 마찰 방지형 커넥터
WO2012029924A1 (ja) コネクタの誤挿入防止構造
KR101879864B1 (ko) 마찰 방지형 커넥터
US757870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ti-mismating mechanism for preventing incorrect insertion of a smaller sized mating connector
KR101959915B1 (ko) 마찰 방지형 커넥터
KR101959916B1 (ko) 마찰 방지형 커넥터
US6758700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6012567A (ja) 金具付電気コネクタ
US11088483B2 (en) Terminal metal fitting with spring contact and spring contact deformation restriction portion
US6457991B1 (en) Electrical connector couple having mating indication device
JP6188638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回路基板付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プラグ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