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548A - 차량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548A
KR20230099548A KR1020210189031A KR20210189031A KR20230099548A KR 20230099548 A KR20230099548 A KR 20230099548A KR 1020210189031 A KR1020210189031 A KR 1020210189031A KR 20210189031 A KR20210189031 A KR 20210189031A KR 20230099548 A KR20230099548 A KR 20230099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le
terminal
female
ma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0776B1 (ko
Inventor
박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10189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776B1/ko
Publication of KR20230099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차량용 커넥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커넥터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는 설치홀을 통공하는 메일하우징, 메일하우징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둘레면에 슬라이드 삽입되고 하나 이상의 고정홀을 통공한 이탈방지부재, 메일하우징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고정홀에 일대일 삽입 후 이탈방지부재에 걸려 위치 고정되는 메일단자, 및 피메일단자를 구비한 피메일하우징을 메일하우징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설치홀에 삽입 후 메일단자를 측방향으로 탄성 변형 유도함에 따라 대응되어 노출된 피메일단자에 접하도록 안내하는 통전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커넥터{CONNECTO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일하우징 내부에 비교적 얇은 두께의 슬라이드패드를 평면상 이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탄성 변형 가능한 메일단자를 슬라이드패드에 삽입 후 외력에 의해 슬라이드패드가 슬라이드 이동 안내됨에 따라, 대응되는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의 접촉을 유도함으로써, 메일하우징에 메일단자의 삽입력(조립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의 삽입력(조립력)을 저감시키고자 하는 차량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CONNECTOR)는 자동차의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자동차의 부품에 장착되었을 때 전기적인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여러 가지 안전검사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통상의 커넥터는 상호 탈착되는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을 구비하며, 상호 결합된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이 고정부재의 결합을 통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커넥터의 하우징에는 터미널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전에 터미널부의 걸림을 유지하고 터미널부의 덜삽입을 검지하는 TPA(이하, 이탈방지부재라 함)가 설치된다. 이러한 이탈방지부재의 주된 기능은 터미널부의 위치 확인을 통한 터미널부의 덜삽입 검지 및 터미널부의 이탈을 하우징 내부의 란스부에 걸리는 1차 걸림과 더불어 2차 걸림을 통해 이중으로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커넥터는 상호 탈착되는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을 구비하며, 상호 결합된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넥터 위치보장부재(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를 더 구비한다. 위치보장부재는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이 결합되면 피메일하우징의 록킹해제버튼이 눌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록킹해제버튼에 결합되고,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을 분리할 때 록킹해제버튼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된다.
특히,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의 완전 삽입시, 메일하우징 내부의 돌기가 위치보장부재의 1차 락(lock)을 해제시킴으로써, 위치보장부재가 정위치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50446호(2018.04.13, 발명의 명칭: 전선 접속용 커넥터)가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작업자가 커넥터를 조립할 때, 커넥터의 삽입력이 과도하게 큰 경우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거나 작업자의 생산능력이 떨어수 있으며 품질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커넥터의 삽입력은 단자의 삽입력의 합이기 때문에 커넥터의 삽입력을 고려하여 설계 하다보면, 하나의 커넥터에 삽입되는 핀의 개수에 설정치 미만으로 조립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메일하우징 내부에 비교적 얇은 두께의 슬라이드패드를 평면상 이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탄성 변형 가능한 메일단자를 슬라이드패드에 삽입 후 외력에 의해 슬라이드패드가 슬라이드 이동 안내됨에 따라, 대응되는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의 접촉을 유도함으로써, 메일하우징에 메일단자의 삽입력(조립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의 삽입력(조립력)을 저감시키고자 하는 차량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는 설치홀을 통공하는 메일하우징; 상기 메일하우징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둘레면에 슬라이드 삽입되고, 하나 이상의 고정홀을 통공한 이탈방지부재; 상기 메일하우징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상기 고정홀에 일대일 삽입 후 상기 이탈방지부재에 걸려 위치 고정되는 메일단자; 및 피메일단자를 구비한 피메일하우징을 상기 메일하우징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상기 설치홀에 삽입 후, 상기 메일단자를 측방향으로 탄성 변형 유도함에 따라 대응되어 노출된 상기 피메일단자에 접하도록 안내하는 통전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전안내부는, 상기 설치홀에 평면상 위치 고정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고정홀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제 1삽입홀을 통공하여 대응되는 상기 메일단자를 축 삽입하는 무빙플레이트;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 1삽입홀에 일대일 삽입 후 돌출되는 상기 메일단자의 해당되는 부위를 삽입하기 위해 제 2삽입홀을 통공하는 슬라이드패드; 및 상기 제 2삽입홀에 삽입된 채 상기 피메일하우징으로 돌출된 상기 메일단자 각각을 동시에 탄성 변형시키며 상기 피메일단자에 일대일 접촉 유도하도록, 상기 메일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드패드의 평면상 위치를 가변 안내 후 위치 고정하는 위치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일하우징은 상기 설치홀의 내측면에 탄성 변형되는 탄성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무빙플레이트는 상기 탄성지지부에 지지된 채 상기 피메일하우징과 상기 피메일단자의 가압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자연적으로 상기 메일단자를 축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빙플레이트는 하측 양쪽 가장자리에서 슬라이드거치부를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드패드의 양측 가장자리를 접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일단자는, 대응되는 상기 고정홀에 위치한 채 상기 고정홀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이탈방지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설치홀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상기 메일하우징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삽입돌부; 상기 삽입돌부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외측경사면부; 상기 슬라이드패드, 또는 상기 슬라이드패드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테두리와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부를 수용하는 삽입홈부; 및 대응되는 상기 외측경사면부와 면접되도록 상기 삽입홈부의 내측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패드가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면서 평면상 설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내측경사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일단자는 상기 슬라이드패드의 이동시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곡률져 볼록한 탄성변형안내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패드는 상기 메일단자에 의해 이동시 상기 설치홀의 내측면에 완충되며 접하도록 완충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는 종래 기술과 달리 메일하우징 내부에 비교적 얇은 두께의 슬라이드패드를 평면상 이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탄성 변형 가능한 메일단자를 슬라이드패드에 삽입 후 외력에 의해 슬라이드패드가 슬라이드 이동 안내됨에 따라, 대응되는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의 접촉을 유도함으로써, 메일하우징에 메일단자의 삽입력(조립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의 삽입력(조립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중 메일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중 메일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중 메일단자가 이탈방지부재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보인 요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의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이 접속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의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이 접속된 초기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의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가 접촉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의 슬라이드패드의 이동을 통한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의 접촉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중 메일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중 메일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중 메일단자가 이탈방지부재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보인 요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의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이 접속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의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이 접속된 초기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의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가 접촉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의 슬라이드패드의 이동을 통한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의 접촉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0)는 메일하우징(40), 이탈방지부재(50), 메일단자(60) 및 통전안내부(100)를 포함한다.
메일하우징(40)은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는 설치홀(42)을 통공한다. 이때, 설치홀(42)은 메일하우징(40)의 내부 전체에 걸쳐 통공 형성될 수도 있고, 메일하우징(40)의 내부에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는 복수 개로 구획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치홀(42)이 메일하우징(40) 내부 전체에 걸쳐 통공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메일하우징(40)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메일하우징(40)은 축 방향을 따라 일측(도면에서 봤을 때, 상부)에서 타측(하부) 방향으로 피메일하우징(20)을 접속한다. 즉, 메일하우징(40)은 일측을 피메일하우징(20)에 축 삽입한다. 이때, 피메일하우징(20)은 내부에 축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특히 복수 개의 피메일단자(30)을 정렬 고정한다.
또한, 이탈방지부재[TPA,50]는 메일하우징(4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둘레면에 슬라이드 삽입되고, 하나 이상의 고정홀(52)을 통공한다. 특히, 메일하우징(40)은 둘레면에 장착홀(44)을 통공한다. 그래서, 이탈방지부재(50)는 장착홀(44)을 통해 메일하우징(40)의 내부로 슬라이드 삽입된다. 이때, 이탈방지부재(50)는 고정홀(52)로 메일단자(60)를 일대일 삽입함에 따라, 삽입 저항(삽입력)을 줄이기 위해 비교적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탈방지부재(5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메일단자(60)는 메일하우징(40)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하부)에서 일측(상부) 방향으로, 고정홀(52)에 일대일 삽입 후 이탈방지부재(50)에 걸려 위치 고정된다. 메일단자(60)는 고정홀(5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거나, 또는 고정홀(52)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로 구비된다.
메일단자(60) 각각이 고정홀(52)에 삽입됨에 따라, 메일단자(60)는 메일하우징(40)의 설치홀(42)에서 일부가 이탈방지부재(50)의 일측(하부)에 위치하고 나머지가 이탈방지부재(50)의 타측(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메일단자(60)는 대응되는 고정홀(52)에 축 삽입 후 위치 고정되어야 한다.
그래서, 메일단자(60)는, 대응되는 고정홀(52)에 위치한 채 고정홀(52)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이탈방지부재(50)를 수용하는 수용홈(62)을 형성한다.
고정홀(52)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이탈방지부재(50)의 해당 부위가 수용홈(62)에 수용됨에 따라, 메일단자(60)는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통전안내부(100)는 피메일단자(30)을 구비한 피메일하우징(20)을 메일하우징(4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설치홀(42)에 삽입 후, 메일단자(60)를 측방향으로 탄성 변형 유도함에 따라 대응되어 노출된 피메일단자(30)에 접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피메일단자(30)는, 기존의 튜브 타입 대비, 핀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메일단자(60)는 핀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피메일단자(30)과 메일단자(60)는 통전안내부(100)에 의해 대응되는 둘레면끼리 접촉되어 통전된다. 이로써, 기존에 단자끼리 암수 끼움하여 통전하는 구성 대비, 피메일단자(30)과 메일단자(60)를 둘레면끼리 접촉하여 통전함에 따라, 피메일하우징(20)과 메일하우징(40)의 삽입력(조립력)이 기존 대비 저감된다.
특히, 통전안내부(100)는 무빙플레이트(110), 슬라이드패드(120) 및 위치이동부(130)를 포함한다.
무빙플레이트(110)는 메일하우징(40)에 축 방향을 따라 전체에 걸쳐 통공된 설치홀(42)에 평면상 위치 고정되도록 구비되고, 고정홀(52)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제 1삽입홀(112)을 통공하여 대응되는 메일단자(60)를 축 삽입한다.
이때, 무빙플레이트(110)는 메일하우징(40)의 축 방향으로 일측에서 설치홀(42)에 삽입된다. 그리고, 메일하우징(40)은 설치홀(42)의 내측면에 탄성 변형되는 탄성지지부(46)를 구비한다. 그래서, 무빙플레이트(110)는 탄성지지부(46)에 지지된 채 피메일하우징(20) 또는 피메일하우징(20)과 피메일단자(30)의 가압에 의해 이탈방지부재(50) 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메일단자(60)가 이탈방지부재(50)에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무빙플레이트(110)가 이탈방지부재(50)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메일단자(60)는 대응되는 제 1삽입홀(112)에 삽입되며 메일하우징(40)의 일측 방향으로 노출된다.
특히, 무빙플레이트(110)는 피메일하우징(20)이 메일하우징(40)에 조립됨에 따라 피메일하우징(20) 단독 또는 피메일하우징(20)과 피메일단자(30)의 미는 힘에 의해 무빙플레이트(110)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무빙플레이트(110)가 최저점까지 이동시, 대응되는 피메일단자(30)과 메일단자(60)는 유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피메일단자(30)은 단부가 무빙플레이트(110)의 일측면(상측면)에 근접되거나 접하게 된다.
아울러, 무빙플레이트(110)는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가이드돌부(114)를 구비하고, 메일하우징(40)은 설치홀(42)의 내측면에 가이드홈부(48)를 함몰 형성한다. 그래서, 가이드돌부(114)가 대응되는 가이드홈부(48)에 수용된 채 이동 안내됨에 따라, 무빙플레이트(110)는 직선 이동됨으로써, 제 1삽입홀(112)에 축 삽입되는 메일단자(60)의 해당 부위의 파손이나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슬라이드패드(120)는 설치홀(42)에 삽입되고, 제 1삽입홀(112)에 일대일 삽입 후 돌출되는 메일단자(60)의 해당되는 부위를 삽입하기 위해 제 2삽입홀(122)을 통공한다.
슬라이드패드(120)는 무빙플레이트(110)와 완전히 분리되게 구비될 수 있으나, 조립성 증대를 위해 무빙플레이트(11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무빙플레이트(110)는 하측 양쪽 가장자리에서 슬라이드거치부(116)를 구비하여, 슬라이드패드(120)의 양측 가장자리를 접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한다. 그래서, 이탈방지부재(50)의 상부로 돌출된 메일단자(60)의 해당 부위는 제 2삽입홀(122)과 제 1삽입홀(112)에 순서대로 삽입된 채 무빙플레이트(110)의 상부로 돌출된다.
이때, 슬라이드거치부(11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슬라이드패드(120)는 슬라이드거치부(116)에 거치된 채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위치이동부(130)는 제 2삽입홀(122)에 삽입된 채 피메일하우징(20)으로 돌출된 메일단자(60) 각각을 동시에 탄성 변형시키며 피메일단자(30)에 일대일 접촉 유도하도록, 메일하우징(40) 내부에서 슬라이드패드(120)의 평면상 위치를 가변 안내 후 위치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슬라이드패드(120)가 위치이동부(130)에 의해 평면상 강제로 설정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메일단자(60)는 탄성 변형되며 대응되는 피메일단자(30)에 접촉된다.
이때, 슬라이드패드(120)는 메일단자(60)의 탄성 변형력에 의한 미는 힘에 의해 이동될 수도 있고, 당기는 외력에 의해 이동되며 메일단자(60)를 탄성 변형 유도할 수도 있으며, 설치홀(42)에 삽입되면서 평면상 설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패드(120)는 설치홀(42)에 삽입되면서 평면상 설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되는 것으로 한다.
예로서, 위치이동부(130)는 삽입돌부(132), 외측경사면부(134), 삽입홈부(136) 및 내측경사면부(138)를 포함한다.
삽입돌부(132)는 설치홀(42)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메일하우징(40)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외측경사면부(134)는 삽입돌부(132)의 둘레면에 형성된다. 이때, 외측경사면부(134)는 메일단자(60)를 피메일단자(30) 측으로 휘게 하도록 슬라이드패드(120)를 이동시키는 방향에 대응되는 삽입돌부(132)의 둘레면에 형성된다.
아울러, 외측경사면부(134)는 삽입돌부(132)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삽입돌부(132)의 둘레면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삽입홈부(136)는 슬라이드패드(120)의 하측면, 또는 슬라이드패드(12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테두리와 무빙플레이트(11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어, 슬라이드패드(120)를 설치홀(42) 내부로 삽입시, 자연적으로 대응되는 삽입돌부(132)를 수용한다.
이때, 무빙플레이트(110)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 가장자리의 하부에 플랜지(123)을 연장 형성한다. 그래서, 무빙플레이트(110)와 슬라이드패드(120)가 적층된 상태에서, 삽입홈부(136)는 슬라이드패드(12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테두리와 플랜지(123) 사이에 자연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가이드돌부(114)가 장착홀(44)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부(48)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 안내됨으로써, 슬라이드패드(120)를 거치한 무빙플레이트(110)가 설치홀(42)에 삽입시, 삽입돌부(132)는 자연적으로 삽입홈부(136)에 수용된다.
또한, 내측경사면부(138)는 대응되는 외측경사면부(134)와 면접되도록 삽입홈부(136)의 내측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슬라이드패드(120)가 설치홀(42)에 삽입되면서 평면상 설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이때, 삽입홈부(136)는 슬라이드패드(12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테두리와 플랜지(123) 사이에 자연적으로 형성되고, 내측경사면부(138)는 슬라이드패드(120)의 일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슬라이드패드(120)가 메일하우징(40)의 내부에서 메일단자(60)를 축 삽입하면서 하강시, 슬라이드패드(120)가 위치이동부(130)에 의해 설정방향(일측)으로 평면상 이동됨으로써, 메일단자(60)는 피메일단자(30) 방향으로 휘어지며 피메일단자(30)와 접하게 된다.
또한, 메일단자(60)는 슬라이드패드(120)의 이동시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곡률져 볼록한 탄성변형안내부재(64)를 형성한다.
메일단자(60)가 대응되는 피메일단자(30)에 접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슬라이드패드(120)를 강제 이동시키도록, 탄성변형안내부재(64)는 메일단자(60)에 곡률져 볼록하게 형성된다. 즉, 제 2삽입홀(122)과 제 1삽입홀(112)에 삽입되고 나서 무빙플레이트(110)의 상부로 돌출된 메일단자(60)의 해당 부위는 탄성변형안내부재(132)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이때, 탄성변형안내부재(1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슬라이드패드(120)가 평면상 직선 이동시 제 1삽입홀(112)에 삽입된 메일단자(60)의 파손이나 변형이 방지되도록, 제 1삽입홀(112)의 직경이나 크기(d1)는 제 2삽입홀(122)의 직경이나 크기(d2)보다 크게 형성된다.(d1>d2)
또한, 슬라이드패드(120)는 메일단자(60)에 의해 이동시 설치홀(42)의 내측면에 완충되며 접하도록 완충탄성부재(124)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메일단자(60)가 탄성 변형시, 슬라이드패드(120)는 설치홀(42)의 내측면에 부딪히고, 이로 인해 메일단자(60)는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드패드(120)는 둘레면 특정 부위 또는 둘레면 전체에 걸쳐 완충탄성부재(124)를 구비한다. 이때, 완충탄성부재(12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커넥터 20: 피메일하우징
30: 피메일단자 40: 메일하우징
42: 설치홀 44: 장착홀
46: 탄성지지부 48: 가이드홈부
50: 이탈방지부재[TPA] 52: 고정홀
60: 메일단자 62: 수용홈
100: 통전안내부 110: 무빙플레이트
112: 제 1삽입홀 114: 가이드돌부
116: 슬라이드거치부 120: 슬라이드패드
122: 제 2삽입홀 124: 완충탄성부재
130: 위치이동부

Claims (8)

  1.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는 설치홀을 통공하는 메일하우징;
    상기 메일하우징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둘레면에 슬라이드 삽입되고, 하나 이상의 고정홀을 통공한 이탈방지부재;
    상기 메일하우징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상기 고정홀에 일대일 삽입 후 상기 이탈방지부재에 걸려 위치 고정되는 메일단자; 및
    피메일단자를 구비한 피메일하우징을 상기 메일하우징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상기 설치홀에 삽입 후, 상기 메일단자를 측방향으로 탄성 변형 유도함에 따라 대응되어 노출된 상기 피메일단자에 접하도록 안내하는 통전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안내부는,
    상기 설치홀에 평면상 위치 고정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고정홀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제 1삽입홀을 통공하여 대응되는 상기 메일단자를 축 삽입하는 무빙플레이트;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 1삽입홀에 일대일 삽입 후 돌출되는 상기 메일단자의 해당되는 부위를 삽입하기 위해 제 2삽입홀을 통공하는 슬라이드패드; 및
    상기 제 2삽입홀에 삽입된 채 상기 피메일하우징으로 돌출된 상기 메일단자 각각을 동시에 탄성 변형시키며 상기 피메일단자에 일대일 접촉 유도하도록, 상기 메일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드패드의 평면상 위치를 가변 안내 후 위치 고정하는 위치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하우징은 상기 설치홀의 내측면에 탄성 변형되는 탄성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무빙플레이트는 상기 탄성지지부에 지지된 채 상기 피메일하우징과 상기 피메일단자의 가압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자연적으로 상기 메일단자를 축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플레이트는 하측 양쪽 가장자리에서 슬라이드거치부를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드패드의 양측 가장자리를 접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단자는, 대응되는 상기 고정홀에 위치한 채 상기 고정홀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이탈방지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6.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설치홀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상기 메일하우징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삽입돌부;
    상기 삽입돌부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외측경사면부;
    상기 슬라이드패드, 또는 상기 슬라이드패드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테두리와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부를 수용하는 삽입홈부; 및
    대응되는 상기 외측경사면부와 면접되도록 상기 삽입홈부의 내측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패드가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면서 평면상 설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내측경사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단자는 상기 슬라이드패드의 이동시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곡률져 볼록한 탄성변형안내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패드는 상기 메일단자에 의해 이동시 상기 설치홀의 내측면에 완충되며 접하도록 완충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KR1020210189031A 2021-12-27 2021-12-27 차량용 커넥터 KR102610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031A KR102610776B1 (ko) 2021-12-27 2021-12-27 차량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031A KR102610776B1 (ko) 2021-12-27 2021-12-27 차량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548A true KR20230099548A (ko) 2023-07-04
KR102610776B1 KR102610776B1 (ko) 2023-12-06

Family

ID=87156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031A KR102610776B1 (ko) 2021-12-27 2021-12-27 차량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77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3212A (ja) * 1999-01-27 2000-08-1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コネクタ
JP2002280133A (ja) * 2001-03-15 2002-09-2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20170063255A (ko) * 2015-11-30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장치
KR20180063598A (ko) * 2016-12-02 2018-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101879864B1 (ko) * 2017-02-20 2018-07-19 주식회사 경신 마찰 방지형 커넥터
KR20180096547A (ko) * 2018-06-25 2018-08-29 주식회사 경신 마찰 방지형 커넥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3212A (ja) * 1999-01-27 2000-08-1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コネクタ
JP2002280133A (ja) * 2001-03-15 2002-09-2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20170063255A (ko) * 2015-11-30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장치
KR20180063598A (ko) * 2016-12-02 2018-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101879864B1 (ko) * 2017-02-20 2018-07-19 주식회사 경신 마찰 방지형 커넥터
KR20180096547A (ko) * 2018-06-25 2018-08-29 주식회사 경신 마찰 방지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776B1 (ko) 202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4422B2 (en) Electrical component, in particular relay socket, having spring clamp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JP4714109B2 (ja) 無挿抜力電気コネクタ
US9472875B2 (en) Wire-to-board connector
US5458426A (en) Double locking connector with fallout preventing protrusion
US5895286A (en) Terminal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US7985106B2 (en) Female type terminal pin
US20110039455A1 (en) Push-type connector
US20060281374A1 (en) Electrical Connector
US10374337B2 (en) Terminal block
EP0668639B1 (en) Bulb socket
CN111009757B (zh) 连接器组件
CN112751219A (zh) 电性端子以及电连接器
KR20230099548A (ko) 차량용 커넥터
KR101830415B1 (ko) 커넥터
US6354856B1 (en) IC socket and contact pin thereof
KR101786594B1 (ko) 커넥터
CN112563766B (zh) 包括无壳体的连接端子和用于连接端子的打开工具的组件
JPH07254449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検査装置
US10559897B1 (en) Push-in electrical terminal with insulation contact
US10673167B2 (en) Low-force push-in electrical terminal
JP2016207253A (ja) コネクタと端子金具の接続構造
CN217207979U (zh) 电磁阀用线圈组件
US20240288216A1 (en) Door switch connector module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JP7400004B2 (ja) プリント回路基板をプラグ本体に固定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プリント回路基板をプラグ本体に固定する方法
EP1199773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