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262A -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262A
KR20180096262A KR1020170022737A KR20170022737A KR20180096262A KR 20180096262 A KR20180096262 A KR 20180096262A KR 1020170022737 A KR1020170022737 A KR 1020170022737A KR 20170022737 A KR20170022737 A KR 20170022737A KR 20180096262 A KR20180096262 A KR 20180096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loud server
iot module
network
bod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2133B1 (ko
Inventor
이민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에스
Priority to KR1020170022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133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1Image signal generators wherein the generated image signals comprise depth maps or disparity 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온라인 네트워크상에서 3D 스캐닝 및 프린팅 기법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리얼 피규어를 제작하고, 사용자 계정을 등록하여 관리하며, 사용자 피규어의 내부에 내장된 IoT 모듈을 통한 사물 인터넷 기능 및 사용자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타임캡슐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user)의 신체 영상을 스캔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영상 촬영부; 사용자의 신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 영상 데이터로부터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관리 계정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부의 해당 계정을 등록 및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피규어를 제작하고, 그 내부에 상기 식별정보를 갖는 IoT모듈을 삽입하는 피규어 제작부; 상기 사용자 피규어의 IoT모듈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User figure production using network}
본 발명은 온라인 네트워크상에서 3D 스캐닝 및 프린팅 기법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리얼 피규어를 제작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3D 프린터의 발달로 사용자(user)의 리얼 피규어를 제작하는 기술이 많이 시연되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3D 프린터란 2D 프린터가 활자나 그림을 인쇄하듯이 입력한 도면을 바탕으로 3차원의 입체 물품을 만들어내는 기계이다. 잉크젯 프린터에서 디지털화된 파일이 전송되면 잉크를 종이 표면에 분사하여 2D 이미지(활자나 그림)를 인쇄하는 원리와 같은 것으로, 2D 프린터는 앞뒤(x축)와 좌우(y축)로만 운동하지만, 3D 프린터는 여기에 상하(z축) 운동을 더하여 입력한 3D 도면을 바탕으로 입체 물품을 만들어낸다.
3D 프린터로 출력하는 3D 피규어 즉, 리얼 피규어는 사물이나 사람을 똑같은 형상으로 사이즈를 축소하여 제작한 피규어를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 자신의 피규어 또는 친구, 연인, 가족이나 반려동물 등의 피규어를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대상물의 3D 스캐닝 및 모델링 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레이저나 패턴광과 같은 액티브 센서를 이용하여 개체의 정적 외형 정보를 스캐닝하는 방법과 조명, 센서 기하 정보, 시점 등의 조건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다시점 또는 스테레오 영상이나 깊이 센서 등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방법, 그리고 숙련된 전문가의 수작업으로 생성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리얼 피규어 제작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오프라인상의 매장을 직접 방문하여 3D 스캐닝 및 모델링 작업을 수행하고, 소정 시간 동안의 제작과정을 거쳐 사용자 피규어를 얻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작된 사용자 피규어가 단지 관상용으로만 사용되어 사용자 피규어의 활용성이 떨어지고 또한, 3D 스캐닝 및 모델링 작업을 통하여 획득한 사용자 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3898호(공개일자 2015년09월14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온라인 네트워크상에서 3D 스캐닝 및 프린팅 기법을 활용하여 원거리에서도 신속 간편하게 사용자의 피규어를 제작하고, 제작된 사용자 피규어를 인식하여 온라인상에 사용자 계정을 등록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제작된 사용자 피규어의 내부에 저장된 IoT 모듈을 통한 사물 인터넷 기능 및 사용자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타임캡슐 기능을 제공하여 온라인 상에서 획득된 사용자 빅데이터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은, 사용자(user)의 신체 영상을 스캔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영상 촬영부; 사용자의 신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 영상 데이터로부터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관리 계정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부의 해당 계정을 등록 및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피규어를 제작하고, 그 내부에 상기 식별정보를 갖는 IoT모듈을 삽입하는 피규어 제작부; 상기 사용자 피규어의 IoT모듈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IoT모듈은, 블루투스, NFC, Wi-Fi, 3G, 4G 및 5G 통신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사물 인터넷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촬영부는, 3차원 입체영상을 촬영하는 3D 뎁스 카메라(3D Depth camera)와 RGB 카메라를 함께 포함하고, 상기 피규어 제작부는, 3D 피규어를 제작하는 3D 프린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피규어는, 사용자의 관련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빅데이터로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IoT모듈은, 사용자의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타임캡슐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피규어 제작 방법은, 영상 촬영부가 사용자(user)의 신체 영상을 스캔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사용자의 신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 영상 데이터로부터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피규어 제작부가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피규어를 제작하고, 그 내부에 식별정보를 갖는 IoT모듈을 삽입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피규어의 IoT모듈로부터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관리 계정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부에 해당 계정을 등록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IoT모듈은, 블루투스, NFC, Wi-Fi, 3G, 4G 및 5G 통신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사물 인터넷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촬영부는, 3차원 입체영상을 촬영하는 3D 뎁스 카메라(3D Depth camera)와 RGB 카메라를 함께 포함하고, 상기 피규어 제작부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3D 피규어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피규어에 포함된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빅테이터로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모듈은, 사용자의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타임캡슐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피규어 제작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에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피규어 제작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온라인 네트워크상에서 3D 스캐닝 및 프린팅 기법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리얼 피규어를 제작함으로써, 사용자가 매장을 직접 방문할 필요없이 원거리에서도 신속 간편하게 사용자의 피규어를 제작하고, 제작된 사용자 피규어를 인식하여 온라인상에 사용자 계정을 등록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된 사용자 피규어의 내부에 저장된 IoT 모듈을 통한 사물 인터넷 기능 및 사용자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타임캡슐 기능을 통하여 온라인 상에서 획득된 사용자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류, 의료, 병원, 리서치, IT업체, 영화, 컨텐츠 기관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피규어 및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및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은, 영상 촬영부(100), 클라우드 서버(200), 데이터베이스부(300), 피규어 제작부(400), 사용자 단말기(500), 유무선 네트워크(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무선 네트워크(600)는 통상의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모바일 네트워크(mobile network)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촬영부(100)는 사용자의 신체 영상을 스캔하여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촬영부(100)는 사용자의 신체를 세분화하여 특정 부위별로 2D 또는 3D 스캐닝하거나 사용자의 전신을 2D 또는 3D 스캐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영상 촬영부(100)는 3차원 입체영상을 촬영하는 3D 뎁스 카메라(3D Depth camera)와 RGB 카메라가 함께 적용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 촬영은 3가지 타입이 적용될 수 있다.
1번째는 사진촬영 전문가 또는 업체에서 사용자가 있는 곳으로, 출장, 방문, 사진 작업을 통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2번째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500)를 통하여 직접 2D 사진을 촬영하여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에서는 사용자의 2D 사진을 분석하여 3D로 변경하여 추출할 수 있다.
3번째는 카메라 트럭을 이용할 수 있다. 카메라 트럭은, 트럭에 카메라를 100대 정도를 장착하여 한꺼번에 촬영을 하고, 이에 따라 3D 파일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사용자의 신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 영상 데이터를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500)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부(300)에 등록 및 저장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영상은 사용자 단말기(500) 즉, 모바일 PC에서 1차 처리(태블릿 프로세스)되고, 이후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되어 2차 처리로서 보정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웹 뷰어로 넘겨주어 3차 처리 작업으로서 3D 리터칭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피큐어의 머리나 겨드랑이 등과 같이 스캐닝이 비는 부분이 발생할 경우, 기존의 핸드헬드 스캐너는 사람이 직접 수정을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부(30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리터칭 작업 등을 통하여 자동으로 정밀한 수정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는, 상기 1차, 2차, 3차 스캐닝 데이터에 대하여 각각의 단계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관련 정보를 빅데이터로 분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단계별로 저장된 1차, 2차, 3차 스캐닝 데이터에 대하여 빅데이터에 제공되는 비용이나 수요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10), 3D 모델링부(220), 영상 아바타 생성부(230) 및 사용자 계정 등록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부(210)는 상기 영상 촬영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신체 영상을 수신하고, 3D 모델링부(220)는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 영상 데이터를 3D 모델링하여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한다.
영상 아바타 생성부(230)는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를 통하여 사용자의 3D 영상 아바타를 생성한다.
사용자 계정 등록부(240)는 사용자 단말기(500)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부(300)에 등록 및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는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server computer) 또는 프로그램(server program)을 말하는 것으로 특히, 프린터 제어나 파일 관리 등 네트워크 전체를 감시제어하거나, 메인프레임이나 공중망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 데이터, 프로그램, 파일 같은 소프트웨어 자원이나 모뎀, 팩스, 프린터 공유, 기타 장비 등 하드웨어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사용자(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하여 서비스를 하는데 이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이라고 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을 상호 협력적인 환경에서 운용하는 분산처리 형태를 의미한다. 즉,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서버와의 협동작업을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는 처리방식이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이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부(300)는 본 발명의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메모리(memory), 캐시(cash), 버퍼(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피규어 제작부(400)는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피규어(700)를 제작하고, 그 내부에 상기 식별정보를 갖는 IoT모듈(710)을 삽입한다.
상기 피규어 제작부(400)는 3D 피규어를 제작하는 3D 프린터가 적용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3D 프린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3차원의 입체 물품을 만들어내는 위하여, 앞뒤(x축)와 좌우(y축) 및 상하(z축) 운동을 더하여 입력한 3D 도면을 바탕으로 입체 물품을 만들어낼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SLA (Stereolithography) 방식, 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 또는 SLS (Selective Laser Sinter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피규어(700) 또는 피규어를 지지하는 발판에 IoT모듈(710)이 내장된다. 상기 IoT모듈(710)은 사용자 피규어(700)를 제작할 때 미리 삽입하여 제작하거나 추후 사용자 피규어(700)에 구멍을 내어 삽입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삽입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피규어(700)는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색감을 결정할 수 있고, 피큐어의 내부를 비울지 여부 등이 결정할 수 있다. 피규어의 내부를 비워서 제작할 경우, 피규어의 무게를 줄이고 재료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 피규어(700)의 밑에는 로고, QR코드, 바코드 및 기타 모듈을 포함시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사용자 피규어(700)는 직접 사용자가 인수하거나 통상의 배송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500)는 상기 사용자 피규어(700)의 IoT모듈(710)로부터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이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로그인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500)는 상기 사용자 피규어(700)에 삽입된 IoT모듈(710)을 인식할 수 있도록 통상의 스캐너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IoT모듈(700)은, 블루투스, NFC, Wi-Fi, 3G, 4G 및 5G 통신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사물 인터넷 기능을 포함하여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상기 IoT모듈(710)(마이크로칩을 포함한다)은 내부 전력원이 없는 패시브 RFID 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IoT모듈(710)은 실리콘칩(직접회로), 코일, 구리선으로 감겨진 페라이트 코어 및 콘덴서로 구성된다. 또한, 식별번호와 스캐너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전자회로를 가지고 있으며, 코일은 라디오 안테나와 같은 역할을 한다. 콘덴서와 코일은 튜너와 같은 LC회로를 구성한다. 스캐너는 유도 성질의 장을 만들어 코일을 자극시키고 콘덴서를 충전한다. 이에 따라 IC에 동력을 공급하게 되고 코일을 통해 데이터를 스캐너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상기 IoT모듈(710)은 본 발명의 요지에 따른 다른 변형예로서, 바코드 또는 QR코드 형태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태그칩으로 구성되어 밑면에 부착될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바코드(barcode)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도록 고안된 굵기가 다른 흑백 막대로 조합시켜 만든 코드이고, 상기 QR코드(Quick Response code)는 흑백 격자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바코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바코드 또는 QR코드에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기타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500)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기 위한 통상의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더욱이 사용자 단말기(500)는 도시되지 않은 통상의 입력부 및 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입력부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 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LED(Light Emitting Diode)디스플레이, LCD(Liquid Crystal Display) 디스플레이와 같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와 표시부는 입출력 기능을 동시에 갖는 하나의 터치 스크린(미도시)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500)는 휴대하기 간편한 단말기로서 예컨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계정에는 개인별 정보 예로서, 이름, 지역, 성별, 나이, 직업 등의 정보와 함께, 사용자 피규어 제작 정보를 취합하여 저장함으로써 개인 식별용도로 사용되거나 추후 다양한 게임 아바타로 사용되거나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피규어(700) 및 클라우드 서버(200)의 더욱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2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피규어 및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피규어(700)는, IoT모듈(710)과, 통신부(730)를 더 포함한다.
통신부(730)는 사용자의 관련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는, 상기 통신부(73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빅데이터로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5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IoT모듈은(710), 사용자의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타임캡슐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인체 신호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체 감지 센서(720)는 사용자의 피부온도를 측정하는 피부온도 센서(721), 사용자의 피부전도도를 측정하는 피부전도도 센서(722),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는 심장박동수 센서(723)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온도 센서(721)에서 현재 기온과 피부 표면온도를 측정하고, 피부전도도 센서(722)는 전기적 피부반사 정도를 측정하고, 심장박동수 센서(723)는 손가락 끝 모세혈관 내 동맥혈량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인체 감지 센서(720)는 사용자의 손이 접촉할 수 있도록 사용자 피규어(700)의 표면에 물리적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각각의 센서(721)(722)(723)가 상기 사용자의 손과 대응되어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피규어(700)를 손으로 잡으면, 상기 각각의 센서(721)(722)(723)가 손과 접촉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피부온도, 피부전도도 및 심장박동수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는, 상기 통신부(730)로부터 전송된 인체 신호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고, 이에 따른 처방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5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부(300)에 미리 수집 저장된 의료 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으며, 외부 의료기관이나 병원서버에 상기 사용자의 인체 신호를 전송하여 건강 상태 및 처방 정보를 수집 활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피규어 제작 방법은 먼저, 영상 촬영부(100)가 사용자(user)의 신체 영상을 스캔하여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010~S020).
이때, 상기 영상 촬영부(100)는 3차원 입체영상을 촬영하는 3D 뎁스 카메라(3D Depth camera)와 RGB 카메라가 적용되며, 사용자의 신체를 세분화하여 특정 부위별로 2D 또는 3D 스캐닝하거나 사용자의 전신을 2D 또는 3D 스캐닝할 수 있다. 촬영 방식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상기 도 1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대동소이하므로 여기서는 그 세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클라우드 서버(200)가 사용자의 신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 영상 데이터를 3D 모델링하여 사용자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030).
이때,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부(210)는 상기 영상 촬영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신체 영상을 수신하고, 3D 모델링부(220)는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 영상 데이터를 3D 모델링한다. 또한, 영상 아바타 생성부(230)는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를 통하여 사용자의 3D 영상 아바타를 생성한다.
이후, 피규어 제작부(400)가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IoT모듈(710)을 포함하는 사용자 피규어(700)를 제작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040~S060).
이때, 피규어 제작부(400)가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피규어를 제작하고, 그 내부 또는 바닥 등의 적정한 곳에 식별정보를 갖는 IoT모듈(710)을 삽입할 수 있다.
, 상기 피규어 제작부(400)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3D 피규어를 제작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3D 프린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3차원의 입체 물품을 만들어내는 위하여, 앞뒤(x축)와 좌우(y축) 및 상하(z축) 운동을 더하여 입력한 3D 도면을 바탕으로 입체 물품을 만들어낼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SLA (Stereolithography) 방식, 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 또는 SLS (Selective Laser Sintering) 방식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피규어(700)에는 IoT모듈(710)이 내장된다. 상기 IoT모듈(710)은 사용자 피규어(700)를 제작할 때 미리 삽입하여 제작하거나 추후 사용자 피규어(700)에 구멍을 내어 삽입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삽입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사용자 피규어(700)는 직접 사용자가 인수하거나 통상의 배송 절차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500)가 상기 사용자 피규어(700)의 IoT모듈(710)을 인식하고,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로그인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070~S080).
이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500)는 통상의 스캐너를 포함하고, 상기 스캐너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피규어(700)에 삽입된 IoT모듈(710)을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IoT모듈(710)은, 블루투스, NFC, Wi-Fi, 3G, 4G 및 5G 통신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500)와 연동되는 사물 인터넷 기능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500)는 IoT모듈(710)으로부터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통상의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접속하여 로그인한다.
따라서, 클라우드 서버(200)의 사용자 계정 등록부(240)는 사용자 단말기(500)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부(300)에 등록 및 저장한다(S090~S100).
여기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는 개인별 정보 예로서, 이름, 지역, 성별, 나이, 직업 등의 정보와 함께, 사용자 피규어 제작 정보를 취합하여 저장함으로써 개인 식별용도로 사용되거나 추후 다양한 게임 아바타로 사용되거나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피규어에 포함된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빅테이터로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미 도시).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 피규어(700)에 포함된 인체 감지 센서(720)가, 사용자의 인체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10).
즉, 인체 감지 센서(720)의 피부온도 센서(721)에서 현재 기온과 피부 표면온도를 측정하고, 피부전도도 센서(722)는 전기적 피부반사 정도를 측정하고, 심장박동수 센서(723)는 손가락 끝 모세혈관 내 동맥혈량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피규어(700)를 손으로 잡으면, 상기 각각의 센서(721)(722)(723)가 손과 접촉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피부온도, 피부전도도 및 심장박동수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통신부(730)가 상기 인체 신호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한다(S120).
이후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가, 상기 통신부(730)로부터 전송된 인체 신호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고, 이에 따른 처방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500)에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30~S140).
이때,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부(300)에 미리 수집 저장된 의료 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으며, 외부 의료기관이나 병원서버에 상기 사용자의 인체 신호를 전송하여 건강 상태 및 처방 정보를 수집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된 사용자 피규어를 통하여 인체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함과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어플 접속 기능과 온라인 상에서 획득된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류, 의료, 병원, 리서치, IT업체, 영화, 컨텐츠 기관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및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효율의 3D 스캐너와 자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3D 리얼 피규어 제작 및 무료배송으로 제품제작, 보정, 배송까지 한번에 해결할 수 있다.
영상 촬영부(100)는 사용자(user)의 신체 영상을 스캔한다. 3D ToF 카메라 및 타블렛을 적용하여 간편하게 스캐닝할 수 있다. 예로서, 3D스캔 촬영시간 3분이 소요되며, 최종데이터 랜더링 10분이 소요될 수 있고, 적외선 센서를 통해 받은 데이터를 맵핑을 한 후 최종 데이터가 생성되어 자신의 전신 촬영 3차원 모델을 볼 수 있다. 사용자는 예약 후 스튜디오를 방문하여 다양한 피규어 샘플을 보고 사이즈, 자세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제작과정 동영상과 상담을 통하여 궁금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홈서비스도 가능하며, 스캐닝 장비의 판매, 임대 및 프렌차이즈 관리를 수행 할수도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사용자의 신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 영상 데이터로부터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한다. 모델링 작업은 3D스캐닝 모델 데이터를 모델링을 통하여 좀 더 세밀하고 정확하게 보정하여 제작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델링 작업은, 3D 모델링, 3D 모델링 확인, 3D 모델링 후보정, 모델 데이터 업로드 순으로 처리된다.
아울러, 3D 스튜디오 소프트웨어는 업체, 학교, 교육기관에 구매되어 제공될 수 있다.
피규어 제작부(400)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피규어를 제작한다. 3D 프린팅은 최고급 풀컬러 프린팅으로 실제와 다름없는 색상과 최고의 품질로 제작할 수 있다. 프린팅 완료된 피규어를 표면정리, 강도처리, 색감을 높여주는 작업을 통하여 보다 리얼한 피규어로 제작되어 배송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500)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인증정보를 제공하여 로그인하고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는, 상기 전송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빅데이터로 분석하여 의류, 의료, 병원, 리서치연구소, 영화, 컨텐츠 기관등 다양한 분야에 분석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300)에는 다양한 사용자 관련 자료 및 분석된 빅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1차, 2차, 3차 스캐닝 데이터에 대하여 각각의 단계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관련 정보를 빅데이터로 분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단계별로 저장된 1차, 2차, 3차 스캐닝 데이터에 대하여 빅데이터에 제공되는 비용이나 수요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예로,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게임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게임 프로그램 내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3D 아바타를 이용하여 게임 캐릭터를 구성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패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3D 아바타에 패션 아이템을 선택적으로 '입혀보기(Fitting)'할 수 있게 하고,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상태의 아바타의 모습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자신이 원하는 대로 자신의 아바타에 제품별, 브랜드별로 원하는 패션 아이템을 코디네이션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체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3D 아바타 및 신체 치수 데이터로부터 특정 신체 부위에 대해 운동처방을 독출하고, 해당부위의 신체 치수 정보 및 목표 치수를 고려하여 해당 부위에 대해 운동처방 서비스 및 체형관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피규어 제작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피규어 제작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의 전기적인 유닛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영상 촬영부 200 : 클라우드 서버
210 : 통신부 220 : 3D 모델링부
230 : 영상 아바타 생성부 240 : 사용자 계정 등록부
300 : 데이터베이스부 400 : 피규어 제작부
500 : 사용자 단말기 600 : 유무선 네트워크
700 : 사용자 피규어 710 : IoT모듈
720 : 인체 감지 센서 721 : 피부온도 센서
722 : 피부전도도 센서 723 : 심장박동수 센서
730 : 통신부

Claims (12)

  1. 사용자(user)의 신체 영상을 스캔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영상 촬영부;
    사용자의 신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 영상 데이터로부터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관리 계정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부의 해당 계정을 등록 및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피규어를 제작하고, 그 내부에 상기 식별정보를 갖는 IoT모듈을 삽입하는 피규어 제작부;
    상기 사용자 피규어의 IoT모듈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모듈은,
    블루투스, NFC, Wi-Fi, 3G, 4G 및 5G 통신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사물 인터넷 기능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3차원 입체영상을 촬영하는 3D 뎁스 카메라(3D Depth camera)와 RGB 카메라를 함께 포함하고,
    상기 피규어 제작부는, 3D 피규어를 제작하는 3D 프린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피규어는, 사용자의 관련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빅데이터로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모듈은,
    사용자의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타임캡슐 기능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6. 영상 촬영부가 사용자(user)의 신체 영상을 스캔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사용자의 신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 영상 데이터로부터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피규어 제작부가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피규어를 제작하고, 그 내부에 식별정보를 갖는 IoT모듈을 삽입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피규어의 IoT모듈로부터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관리 계정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부에 해당 계정을 등록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IoT모듈은,
    블루투스, NFC, Wi-Fi, 3G, 4G 및 5G 통신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사물 인터넷 기능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3차원 입체영상을 촬영하는 3D 뎁스 카메라(3D Depth camera)와 RGB 카메라를 함께 포함하고,
    상기 피규어 제작부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3D 피규어를 제작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피규어에 포함된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빅테이터로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IoT모듈은,
    사용자의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타임캡슐 기능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2. 컴퓨터에서,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70022737A 2017-02-21 2017-02-21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101932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737A KR101932133B1 (ko) 2017-02-21 2017-02-21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737A KR101932133B1 (ko) 2017-02-21 2017-02-21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262A true KR20180096262A (ko) 2018-08-29
KR101932133B1 KR101932133B1 (ko) 2019-03-20

Family

ID=6343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737A KR101932133B1 (ko) 2017-02-21 2017-02-21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1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2897A (zh) * 2018-12-20 2019-03-26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海关查验系统、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10649439B2 (en) * 2017-09-21 2020-05-12 Hangzhou Regenovo Biotechnology Co., Ltd. On-line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for three-dimensional printing
KR102416890B1 (ko) * 2021-02-09 2022-07-06 (주)브레인에이아이 코딩 및 인공지능 교육용 학습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5488A (zh) * 2019-01-21 2019-05-21 深圳市保国特卫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公共安全装备的共享方法
JP2022131778A (ja) * 2021-02-26 2022-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935A (ko) * 2013-11-29 2015-06-08 씨제이푸드빌 주식회사 3d 피규어 서비스 시스템
KR20150103898A (ko) 2014-03-04 2015-09-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 개인 피규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591292B1 (ko) * 2014-09-18 2016-02-04 권오득 온라인 상의 게임 캐릭터 피규어 제작 주문 관리 방법 및 그 관리 서버
KR20160120606A (ko) * 2015-04-08 2016-10-18 김성운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60146273A (ko) * 2015-06-12 2016-12-21 강산 지능형 매칭 커머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935A (ko) * 2013-11-29 2015-06-08 씨제이푸드빌 주식회사 3d 피규어 서비스 시스템
KR20150103898A (ko) 2014-03-04 2015-09-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 개인 피규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591292B1 (ko) * 2014-09-18 2016-02-04 권오득 온라인 상의 게임 캐릭터 피규어 제작 주문 관리 방법 및 그 관리 서버
KR20160120606A (ko) * 2015-04-08 2016-10-18 김성운 원격 상담을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60146273A (ko) * 2015-06-12 2016-12-21 강산 지능형 매칭 커머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9439B2 (en) * 2017-09-21 2020-05-12 Hangzhou Regenovo Biotechnology Co., Ltd. On-line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for three-dimensional printing
CN109522897A (zh) * 2018-12-20 2019-03-26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海关查验系统、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416890B1 (ko) * 2021-02-09 2022-07-06 (주)브레인에이아이 코딩 및 인공지능 교육용 학습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133B1 (ko)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133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3d 사용자 피규어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102158233B1 (ko) 증강된 화장 서비스 제공 방법
CN109983759A (zh) 用于快速视频采集和传感器调节的系统和方法
US11775781B2 (en) Product verification in a messaging system
KR102027974B1 (ko) 딥 러닝 기반 가상현실 3d 태아 모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21168157A (ja) 自動ショッピングアシスタントを使用したパーソナライズショッピ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プラットフォームおよび方法
US201601251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and accessing diagnostic images associated with diagnostic imaging report
US11763365B2 (en) System, platfor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shopping using an automated shopping assistant
CN104809288A (zh) 一种定制美甲的试妆方法
JP2013206232A (ja) 自動販売機システム
CN109817346A (zh) 云阅片方法、一体化显示终端以及计算机存储介质
US11295113B2 (en) 3D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 for identifying animals
KR20190127127A (ko) 모바일 웹기반의 증강된 네일아트 서비스 제공 방법
JP6668702B2 (ja) 顔画像配信システム
KR20190059148A (ko) 신원 확인 기관에서의 비문 인식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신원 확인 방법
CN115204987A (zh) 一种用于鞋服交易的定制购物方法及购物系统
KR20150062935A (ko) 3d 피규어 서비스 시스템
JP2007334629A (ja) Idカード発行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915278B1 (ko)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85801A (ko) 증강된 가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24470A (ko) 증강된 모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20445B1 (ko) 인화된 한장의 사진이미지와 연계된 맵핑 컨텐츠 실시간 스트리밍 표출장치 및 방법
KR20190085809A (ko) 증강된 팔찌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85811A (ko) 증강된 반지 서비스 제공 방법
JP6913309B2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