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278B1 -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278B1
KR101915278B1 KR1020170111488A KR20170111488A KR101915278B1 KR 101915278 B1 KR101915278 B1 KR 101915278B1 KR 1020170111488 A KR1020170111488 A KR 1020170111488A KR 20170111488 A KR20170111488 A KR 20170111488A KR 101915278 B1 KR101915278 B1 KR 101915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body part
distance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환
Original Assignee
김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환 filed Critical 김지환
Priority to KR1020170111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metry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고,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인식된 신체부위 영역에 형성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를 해석하여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포함된 둘 이상의 지정된 특징 점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하고,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와 일대일 매칭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에 일대일 매칭시켜 생성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지정된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제공하면,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사용자 신체부위에 대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근거로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하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한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 상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에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증강한다.

Description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Clothing Service}
본 발명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고,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인식된 신체부위 영역에 형성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를 해석하여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포함된 둘 이상의 지정된 특징 점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하고,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와 일대일 매칭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에 일대일 매칭시켜 생성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지정된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제공하면,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사용자 신체부위에 대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근거로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하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한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 상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에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증강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이 여유로워지고 미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면서 종래 생필품의 하나로 사용되던 의류는 미의 욕구를 해소하는 패션 아이템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종래의 의류 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오프라인 상점에 방문하여 의류를 착용해보고 구매하는 오프라인 방식으로 형태로 제공되어 있어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오프라인 상점에 방문하지 않고 온라인을 통해 의류제품을 주문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온라인을 통해 주문한 의류제품의 사이즈나 신체부위와 밀착하는 부위가 사용자의 신체부위 구조와 맞지 않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며, 설사 온라인을 통해 구매한 의류가 단순히 사용자의 신체부위 사이즈에 맞더라도 해당 의류제품을 착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의 미의 욕구를 해소하지 못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는 제1 단계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인식된 신체부위 영역에 형성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를 해석하여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포함된 둘 이상의 지정된 특징 점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하는 제2 단계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수신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와 일대일 매칭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에 일대일 매칭시켜 생성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지정된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확인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제공하면,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제6 단계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사용자 신체부위에 대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근거로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하는 제7 단계 및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한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 상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에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증강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는 제1 단계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인식된 신체부위 영역에 형성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를 해석하여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포함된 둘 이상의 지정된 특징 점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하는 제2 단계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수신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와 일대일 매칭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에 일대일 매칭시켜 생성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지정된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확인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제공하면,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제6 단계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사용자 신체부위에 대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근거로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하는 제7 단계 및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한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 상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에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증강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사용자 무선단말의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부위를 촬영한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사용자 무선단말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가 거울에 비친 자신의 신체부위를 촬영한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은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의 신체에 구비된 T(T≥2)개의 신체부위 중 s(1≤s≤T)개의 신체부위를 노출한 상태에서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t(1≤t≤T)개의 신체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은 속옷 차림으로 s개의 신체부위를 노출한 상태에서 촬영된 t개의 신체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s개의 신체부위는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노출된 신체부위의 종류나 특징을 인식 가능한 신체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t개의 신체부위는 의류 디자인이나 의류 제작 과정에서 사용되는 의류 치수와 관련된 신체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카메라부의 자동초점 촬영 상태에서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상에서 거리 산출을 위해 특정 가능한 둘 이상의 신체부위의 특징 점을 결정하고, 상기 카메라부의 자동초점 과정에서 자동 결정된 초점거리와 상기 화상데이터 상의 둘 이상 특정 점 간 픽셀 거리와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카메라 스펙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산출식의 입력값으로 대입하여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카메라 렌즈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각 부분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식별거리를 유지하여 촬영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촬영 유도된 식별거리를 상기 산출식의 입력값에 포함시켜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거울에 비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렌즈와 상기 거울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식별거리를 유지하여 촬영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촬영 유도된 식별거리를 상기 산출식의 입력값에 포함시켜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상에서 거리 산출을 위해 특정 가능한 둘 이상의 신체부위의 특징 점을 결정하고, 현실세계의 길이를 재는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징 점 간의 거리를 잰 수치 정보를 입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근처에 현실세계의 길이를 재는 도구를 구비한 후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와 길이를 재는 도구를 함께 촬영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상에서 거리 산출을 위해 특정 가능한 둘 이상의 신체부위의 특징 점을 결정하고, 화상데이터 상의 길이를 재는 도구의 눈금 간 현실세계의 수치 거리와 화상데이터 상의 픽셀 거리의 관계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도구의 눈금 간 수치 거리와 픽셀 거리의 관계를 통해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징 점 간의 픽셀 거리를 판독하여 상기 둘 이상의 특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은 카메라 시선 방향에 존재하는 피사체와 카메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인식하는 거리인식 센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상에서 거리 산출을 위해 특정 가능한 둘 이상의 신체부위의 특징 점을 결정하고,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상기 카메라 렌즈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각 부분 사이의 식별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식별거리를 지정된 산출식의 입력값으로 대입하여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카메라부의 자동초점 촬영 상태에서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카메라부의 자동초점 과정에서 자동 결정된 초점거리와 상기 화상데이터 상의 둘 이상 특정 점 간 픽셀 거리와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카메라 스펙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산출식의 입력값에 포함시켜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7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저장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제공하면,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7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는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양쪽 어깨 사이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어깨를 포함하는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어깨를 포함하는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양쪽 겨드랑이 사이 정면 가슴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가슴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가슴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정면 가슴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가슴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가슴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엉덩이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엉덩이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엉덩이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엉덩이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허벅지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허벅지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허벅지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허벅지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허벅지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허벅지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허벅지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허벅지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종아리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종아리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종아리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종아리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종아리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종아리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종아리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종아리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거리 정보는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의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를 판별하기 위해 설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 거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곡률 정보는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의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를 판별하기 위해 설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 곡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거리 정보는 해당 신체부위의 좌우 방향 거리 정보와 세로 방향 거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의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방향 거리 정보는 해당 신체부위의 좌우 방향 거리 중 가장 먼 거리의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곡률 정보는 화상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신체부위의 그라데이션 정보와 상기 특정 신체부위를 구성하는 인체 골격 구조와 근육 구조의 해부학적 통계 정보를 근거로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곡률 정보는 무선단말에 피사체와 카메라 렌즈 간 거리를 인식하는 거리인식 센서부를 구비한 경우,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특정 신체부위의 센싱 정보와 상기 특정 신체부위를 구성하는 인체 골격 구조와 근육 구조의 해부학적 통계 정보를 근거로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곡률 정보는 상기 특정 신체부위에 지방이 축적되는 해부학적 통계 정보를 더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신체부위 수치 정보는 각 신체부위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둘레 길이 범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둘레 길이는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에 대응하여 산출된 하나 이상의 수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를 형성하는 인체 골격 구조의 해부학적 결합 관계의 통계 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의 신체적 약점을 보완하면서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착용 가능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에서 M(M≥1)명의 의류 디자이너가 디자인하여 등록한 N(N≥2)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저장하는 디자인DB로부터 n(1≤n≤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면,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적용 대상 의류 디자인 정보를 선택한 디자인선택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디자인선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상기 디자인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의류 디자인을 적용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에서 M(M≥1)명의 의류 디자이너가 디자인하여 등록한 N(N≥2)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저장하는 디자인DB로부터 n(1≤n≤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면,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적용 대상 의류 디자인 정보를 선택한 디자인선택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디자인선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디자인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의류 디자인 정보를 등록한 디자이너단말로 상기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와 상기 디자인선택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디자이너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상기 디자인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에서 M(M≥1)명의 의류 디자이너 중 m(1≤m≤M)명의 의류 디자이너가 이용하는 m개의 디자이너단말로 상기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에서 i(1≤i≤m)개의 디자이너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해당 의류 디자이너의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j(j≥i)개의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를 증강한 후,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요청하기 위한 주문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운영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주문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 제작하기 위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와 의류 디자인 정보를 포함하는 제작요청정보와 상기 주문 제작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배송할 사용자의 배송지정보를 지정된 제품제공서버로 제공하거나 디자이너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를 증강한 후,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요청하기 위한 주문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운영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주문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에서 기 제작된 의류제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과 일대일 매칭되는 의류제품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확인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매칭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제공을 요청하는 제공요청정보와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배송할 사용자의 배송지정보를 지정된 제품제공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를 증강한 후,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근거리에 구비된 의류 제작장치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제작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의류 제작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와 일대일 매칭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지정된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 제작하므로 별다른 수고나 노력 없이도 전문가로부터 아름답고 편안하며 신체적 약점을 보완하는 맞춤 서비스 받는 것과 유사한 의류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와 일대일 매칭되게 생성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지정된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한 후 상기 사용자 무서단말의 앱에서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와 일대일 매칭되는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를 통해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한 후 상기 실시간 인식된 사용자의 신체부위 영역에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실시간 중첩 표시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증강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 전에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자신이 착용하였을 때 느껴지는 심미감과 가장 유사한 심미감을 경험한 후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 제작 요청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증강된 의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과 앱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증강된 의류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증강된 의류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 제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증강된 의류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 제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증강된 의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여 상기 신체부위 영역에 형성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를 해석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신체부위 영역에 형성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와 일대일 매칭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지정된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 영역에 중첩 표시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증강한 후 사용자가 자신의 실제 신체부위에 꼭 맞는 자신만의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또는 주문제작)하여 구매하도록 처리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증강된 의류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증강된 의류 서비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정된 앱(230)(Application)을 설치 실행하는 사용자 무선단말(200)과,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통신하여 증강된 의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서버 측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의류 디자이너가 이용하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운영서버(100)가 연동하여 결정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받아 제작하는데 이용되는 디자이너단말(165)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운영서버(100)가 연동하여 결정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기 제작된 복수의 의류제품 중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운영서버(100)가 연동하여 결정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와 일대일 매칭되는 의류제품을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으로 결정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는 제품제공서버(170)를 더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근거리에 구비되어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는 의류 제작장치(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증강된 의류 서비스를 제공받을 사용자가 이용하는 무선통신기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증강된 의류 서비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정된 앱(230)을 설치 실행한다. 예를들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지정된 앱(230)을 설치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이너단말(165)은 의류 디자이너가 이용하는 단말의 총칭으로서, 의류 디자인을 디자인하는 기능과, 상기 디자인된 의류 디자인을 상기 운영서버(100)에 등록하는 기능과,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둘레 길이범위를 포함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과,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디자이너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지정된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이용하거나 및/또는 상기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제로 사용자 신체부위에 착용할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일련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자이너용 앱을 설치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품제공서버(17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운영서버(100)가 연동하여 결정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기 제작된 복수의 의류제품 중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운영서버(100)가 연동하여 결정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와 일대일 매칭되는 의류제품을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으로 결정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는 서버의 총칭으로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운영서버(100)가 연동하여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둘레 길이범위를 포함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 구조와 매칭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가 생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도록 결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이용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품제공서버(170)는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이용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 제작된 복수의 의류제품 중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결정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품제공서버(170)는 의류제품을 제작하는 의류제품 제작장치(예컨대, 의류 제작기, 의류 제작을 위한 3D 프린터 등)를 포함하는 의류제품 제작시스템과 연결되고, 상기 의류제품 제작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품제공서버(170)는 다수의 디자이너단말(165)과 연결 가능하며, 특정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의류제품을 제작할 디자이너를 선별하여 상기 선별된 디자이너가 이용하는 디자이너단말(165)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제공하여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거나 제작 후 배송하도록 지시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의류 제작장치(175)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는 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의류제품 제작을 위한 3D 프린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의류 제작장치(175)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근거리에 구비(예컨대, 사용자가 방문한 카페나 편의점 등)될 수 있으며, 사용자 무선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지그비 통신, UWB 통신, NFC, 근거리 RF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의류 제작장치(175)는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연계된 운영서버(100)로부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과 통신하여 증강된 의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서버 측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서버나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기 구비된 서버에 설치되는 서버용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편의상 이하 실시예의 설명이나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증강된 의류 서비스를 위한 기능 중 일부 기능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다른 일부 기능은 운영서버(100)를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 증강된 의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이 단말 측 기능과 서버 측 기능으로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도시 설명된 단말 측 기능 중 일부는 서버 측 기능에 포함되어 수행되거나 반대로 서버 측 기능 중 일부도 단말 측 기능에 포함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M(M≥1)명의 의류 디자이너가 이용하는 M개의 디자이너단말(165)로부터 N(N≥2)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디자인DB(도시생략)에 저장하는 디자인 등록부(105)를 구비한다.
상기 운영서버(100)를 운영사는 M(M≥1)명의 의류 디자이너와 제휴하여 M명의 디자이너가 이용하는 M개의 디자이너단말(165)에 지정된 디자이너용 앱을 설치하며, 상기 디자인 등록부(105)는 상기 M개의 디자이너단말(165)에 설치 실행된 디자이너용 앱과 연동하여 M개의 디자이너단말(165)로부터 각각의 의류 디자이너가 디자인한 N(N≥2)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디자인DB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디자인DB에 등록되는 의류 디자인 정보는 특정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와 수치에 최적화되지 않은 범용의 의류제품에 적용 가능한 범용(또는 기성복 사이즈 기반)의 의류 디자인을 포함하며, 특정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와 수치에 최적화(또는 조정) 가능한 벡터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의류 디자인 정보는 와이어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의류제품의 3D 모델링 데이터에 렌더링 가능한 디자인 도안이나 패턴, 사진, 캐릭터, 이미지 등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둘레 길이범위를 포함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가 수신(또는 확인)되는 시점에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단말(165)과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신체부위 수치 정보에 최적화된 사용자 전용 의류 디자인을 디자인하는 경우 상기 디자인 등록부(105)나 디자인DB는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디자인DB는 각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저장영역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앱(230)을 설치한 사용자 무선단말(200)과 상기 앱(230)의 조합을 고유한 매체로 등록하거나 및/또는 상기 앱(230)을 설치한 무선단말(200)의 사용자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정보 등록부(110)를 구비한다.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지정된 앱(230)을 설치하고 최초 실행(또는 정보 등록 전 실행) 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과 앱(230)의 조합을 고유한 매체로 고유 식별하는 매체식별정보를 생성하거나 지정된 서버로부터 할당받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앱(230)을 설치한 사용자 무선단말(200)과 상기 앱(230)의 조합을 고유한 매체로 고유 식별하는 매체식별정보(예컨대, 디바이스토큰, UUID 등)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정보 등록부(11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관리DB(도시생략)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고유 식별하는 무선단말정보(예컨대, 전화번호, IMSI, IMEI 등)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 등록부(11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무선단말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관리DB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앱(230)을 설치한 무선단말(200)의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사용자 정보(예컨대, 고유ID, 성명, 생년월일 등)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 등록부(11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관리DB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특정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사용자 신체부위에 대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생성/결정하여 전송하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115)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둘레 길이범위를 포함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와 일대일 매칭되어 상기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밀착하여 착용 가능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델링 생성부(135)를 구비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수신부(115)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나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수신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는 인식 처리부(120)와, 상기 인식된 신체부위 영역에 형성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를 해석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생성하는 구조 생성부(125)와, 상기 신체부위 영역에 형성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둘레 길이범위를 포함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하는 수치 결정부(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해당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카메라부(210)를 통해 카메라 시선 방향의 지정된 화각 내에 존재하는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 버퍼링한다. 한편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을 운영서버(100)에서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 수신부(11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버퍼링할 수 있다.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어 버퍼링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선별하고 지정된 패턴인식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촬영한 피사체 중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한다. 한편 상기 영상데이터가 운영서버(100)로 수신된 경우, 상기 인식 처리부(120)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선별하고 지정된 패턴인식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상기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인식한 신체부위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신체부위 영역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식 처리부(120)는 상기 신체부위 영역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구조 생성부(125))은 상기 인식된 신체부위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신체부위 영역 데이터에 지정된 패턴인식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양쪽 어깨 사이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어깨를 포함하는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어깨를 포함하는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양쪽 겨드랑이 사이 정면 가슴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가슴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가슴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정면 가슴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가슴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가슴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엉덩이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엉덩이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엉덩이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엉덩이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허벅지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허벅지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허벅지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허벅지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허벅지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허벅지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허벅지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허벅지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종아리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종아리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종아리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종아리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종아리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종아리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종아리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종아리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중 하나 이상(예컨대,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의 거리 정보는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의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를 판별하기 위해 설정된 좌표계(예컨대,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는 좌표계) 상의 좌표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률 정보는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의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를 판별하기 위해 설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 곡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에 포함되는 기하학 구조 정보를 해석하는 좌표계는 특정한 좌표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 정보에 포함되는 기하학 구조 정보는 현실세계의 도량형에 따른 단위의 기하학 구조 정보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무방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거리 정보는 해당 신체부위의 좌우 방향 거리 정보와 세로 방향 거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의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우 방향 거리 정보는 해당 신체부위의 좌우 방향 거리 중 가장 먼 거리의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구조 생성부(125))은 상기 인식된 신체부위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 중 지정된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촬영된 화상데이터에 지정된 패턴인식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 중 지정된 특정 신체부위 영역에 대응하는 픽셀 영역에 형성되는 그라데이션의 깊이와 면적을 해석함과 동시에 상기 특정 신체부위를 구성하는 인체 골격 구조와 근육 구조의 해부학적 통계 정보(예컨대, 성인 남성의 평균 골격 구조와 근육 구조에 따른 평균적 곡률 패턴)를 근거로 상기 특정 신체부위의 지정된 하나 이상의 방향에 촬영 방향에 대한 곡률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구조 생성부(125))은 상기 특정 신체부위에 지방이 축적되는 해부학적 통계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곡률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카메라 시선 방향에 존재하는 피사체와 카메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인식하는 거리인식 센서부(212)(예컨대, 지정된 파장의 광 신호를 송출하고 피사체에 의해 반사되는 광 신호를 센싱하여 거리를 인식하는 광 센서부(예: 적외선 센서부, 레이저 센서부, 메이저 센서부 등), 지정된 파장의 전자파 신호나 무선주파수 신호 형태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고 피사체의 의해 반사되는 무선 신호를 센싱하여 거리를 인식하는 무선 센서부,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를 송출하고 피사체의 의해 반사되는 음파 신호를 센싱하여 거리를 인식하는 음파 센서부(예: 초음파 센서부 등), 지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두 개의 카메라 렌즈와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듀얼 카메라 등)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구조 생성부(125))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피사체와 카메라 렌즈 간 거리를 인식하는 거리인식 센서부(212)를 구비한 경우,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212)를 통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 중 지정된 특정 신체부위를 지정된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센싱하여 상기 특정 신체부위의 곡률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를 획득(예컨대, 거리인식 센서부(212)가 송출하는 신호의 방향을 조정하여 특정 신체부위 영역의 각 부분 영역에 신호를 송출하고 반사되는 신호를 센싱하여 특정 신체부위의 곡률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212)를 통해 센싱된 상기 특정 신체부위의 센싱 정보와 상기 특정 신체부위를 구성하는 인체 골격 구조와 근육 구조의 해부학적 통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신체부위의 지정된 하나 이상의 방향에 촬영 방향에 대한 곡률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구조 생성부(125))은 상기 특정 신체부위에 지방이 축적되는 해부학적 통계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곡률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사용자 신체의 목 부위, 어깨 부위, 가슴 부위,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 배꼽 기준 배 부위, 배꼽 아래 허리 부위, 골반 부위, 엉덩이 부위, 허벅지 부위, 종아리 부위 중 하나 이상의 신체부위에 대한 거리 정보와 곡률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구성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수신부(115)는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구조 생성부(125))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를 해석하여 생성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는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의 수치를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순히 가상의 의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 뿐만아니라,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에 밀착하여 착용할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거나 판정하는 구성까지 포함하므로,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의 수치 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사용자 별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나 수치는 사용자 별로 모두 상이하며, 특정한 사용자의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3D 모델링하거나 제작하기 위해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를 인식함과 동시에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는 지정된 좌표계 상에서 좌표 값으로 해석 가능한 벡터 정보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고 있으므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 상에서 거리 산출을 위해 특정 가능한 둘 이상의 신체부위의 특징 점을 결정하여 상기 특징 점 간의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의 수치와 일대일 매칭되는 사용자 신체부위 전용의 기하학 구조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카메라부(210)를 통해 사용자 신체부위를 촬영하는 시점부터 사용자 신체부위의 수치를 결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촬영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수치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카메라부(210)의 자동초점 촬영 상태에서 지정된 방향의 사용자 신체부위를 촬영하도록 제어(또는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인식 처리부(120))은 카메라부(210)의 자동초점 촬영 상태에서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수치 결정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수치 결정부(130))은 상기 구조 생성부(125)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 상에서 거리 산출을 위해 특정 가능한 둘 이상의 신체부위의 특징 점(예컨대, 목 부위, 어깨 부위, 가슴 부위,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 배꼽 기준 배 부위, 배꼽 아래 허리 부위, 골반 부위, 엉덩이 부위, 허벅지 부위, 종아리 부위 등)을 결정하고, 상기 카메라부(210)의 자동초점 과정에서 자동 결정된 초점거리와 상기 화상데이터 상의 둘 이상 특정 점 간 픽셀 거리와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카메라 스펙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산출식의 입력값으로 대입하여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초점거리(f)=[카메라 렌즈와 피사체 사이의 식별거리(L)×이미지크기(V)] / [피사체높이(H)]'의 산출식으로 산출될 수 있는데, 위 산출식에서 초점거리(f)는 카메라부(210)의 자동초점 과정에서 자동 결정되고 신체부위 영역에 대한 이미지크기(V)는 상기 화상데이터 상의 둘 이상 특정 점 간 픽셀 거리와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카메라 스펙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도출 가능하므로, 카메라 렌즈와 피사체 사이의 식별거리(L)만 도출하면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 상의 특정 점 간 거리(=피사체높이(H))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카메라 촬영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카메라 렌즈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각 부분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식별거리(예컨대, 10cm, 15cm, 20cm 등)를 유지하여 촬영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촬영 유도된 식별거리를 상기 산출식의 입력값에 포함시켜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이 상기 카메라 렌즈와 사용자 신체부위의 각 부분 사이의 거리를 지정된 식별거리로 유지하여 촬영하도록 유도하더라도, 상기 유도된 식별거리와 실제 식별거리 사이에는 오차가 발생하며, 이에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수치 결정부(130))는 상기 유도된 식별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특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하되, 상기 유도된 식별거리의 전/후 일정 범위의 거리에 대한 하나 이상의 식별거리를 더 이용하여 복수의 특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한 후 이 중에서 사용자 신체부위의 실제 특징 점 간 거리와 매칭되는 거리를 확률적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산출된 복수의 특징 점 간 거리를 통계 처리하여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무선단말(200)의 후면 카메라부(210)를 통해 거울에 비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렌즈와 상기 거울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식별거리를 유지하여 촬영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촬영 유도된 식별거리를 상기 산출식의 입력값에 포함시켜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수치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지정된 촬영모드 상태(예컨대, 자동초점 촬영 상태 등)에서 사용자 신체부위를 촬영히도록 유도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수치 결정부(130))은 상기 구조 생성부(125)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 상에서 거리 산출을 위해 특정 가능한 둘 이상의 신체부위의 특징 점을 결정한다. 한편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를 촬영하기 전 또는 후에 현실세계의 길이를 재는 도구(예컨대, 자)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징 점 간의 거리를 잰 수치 정보를 입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수치 결정부(130))는 상기 입력된 수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수치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지정된 촬영모드 상태(예컨대, 자동초점 촬영 상태 등)에서 사용자 신체부위를 촬영히도록 유도하되,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근처에 현실세계의 길이를 재는 도구를 구비한 후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와 길이를 재는 도구(예컨대, 자)를 함께 촬영하도록 유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길이를 재는 도구의 눈금과 수치가 카메라부(210)의 화각 내에 포함되어 화상데이터 상에 존재하도록 촬영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수치 결정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촬영된 화상데이터 상에 사용자 신체부위와 길이를 재는 도구(예컨대, 도구의 눈금과 수치 등)학 함께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수치 결정부(130))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상에서 거리 산출을 위해 특정 가능한 둘 이상의 신체부위의 특징 점을 결정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수치 결정부(130))은 지정된 패턴인식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화상데이터 상에 존재하는 현실세계의 길이를 재는 도구를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길이를 재는 도구에 표시된 눈금과 수치값을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화상데이터 상의 길이를 재는 도구의 눈금 간 현실세계의 수치 거리와 화상데이터 상의 픽셀 거리의 관계를 인식한다. 예를들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수치 결정부(130))은 상기 화상데이터 상의 픽셀 거리 200 픽셀은 현실세계 10mm에 해당한다는 형태의 관계를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화상데이터 상의 길이를 재는 도구의 눈금 간 현실세계의 수치 거리와 화상데이터 상의 픽셀 거리의 관계가 인식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수치 결정부(130))은 상기 인식된 도구의 눈금 간 수치 거리와 픽셀 거리의 관계(예컨대, 비율)를 통해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징 점 간의 픽셀 거리를 판독하여 상기 둘 이상의 특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수치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카메라 시선 방향에 존재하는 피사체와 카메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인식하는 거리인식 센서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212)는 지정된 파장의 광 신호를 송출하고 피사체에 의해 반사되는 광 신호를 센싱하여 거리를 인식하는 광 센서부(예컨대, 적외선 센서부, 레이저 센서부, 메이저 센서부 등), 지정된 파장의 전자파 신호나 무선주파수 신호 형태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고 피사체의 의해 반사되는 무선 신호를 센싱하여 거리를 인식하는 무선 센서부,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를 송출하고 피사체의 의해 반사되는 음파 신호를 센싱하여 거리를 인식하는 음파 센서부(예컨대, 초음파 센서부 등), 지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두 개의 카메라 렌즈와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듀얼 카메라(예컨대, 듀얼 카메라는 카메라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거리인식을 위한 센서의 기능을 제공)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거리인식 센서부(212)가 상기 예시된 센서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거리인식에 사용 가능한 센서라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212)는 지정된 센싱 방향과 센싱 범위를 지니며,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212)의 센싱 방향은 상기 카메라부(210)의 시선 방향과 동기화되고,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212)의 센싱 범위는 상기 카메라부(210)의 화각과 매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212)는 센싱 방향을 카메라 시선 방향과 동기화한 상태에서 지정된 센싱 범위 내에서 센싱할 부분 영역(예컨대, 화상데이터 상의 특징 영역(예: 화상데이터 상의 영역 중 대비 값이 지정된 기준 값 이상인 영역), 화상데이터의 전체 영역이나 특정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분할 영역 등)을 지정하여 거리를 센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카메라부(210)를 통해 촬영하는 피사체의 3차원 구조 중 카메라 시선 방향(또는 센싱 방향)의 3차원 구조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수치 결정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카메라 시선 방향에 존재하는 피사체와 카메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인식하는 거리인식 센서부(212)가 구비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수치 결정부(130))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상에서 거리 산출을 위해 특정 가능한 둘 이상의 신체부위의 특징 점을 결정하고,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212)를 통해 상기 카메라 렌즈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각 부분 사이의 식별거리를 센싱하거나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212)를 센싱된 상기 카메라 렌즈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각 부분 사이의 식별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212)를 통해 확인된 식별거리를 지정된 산출식의 입력값으로 대입하여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카메라부(210)의 자동초점 촬영 상태에서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수치 결정부(130))은 상기 카메라부(210)의 자동초점 과정에서 자동 결정된 초점거리와 상기 화상데이터 상의 둘 이상 특정 점 간 픽셀 거리와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카메라 스펙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산출식의 입력값에 포함시켜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수치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수치 결정부(130))은 상기 제1 내지 제4 수치 결정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상에서 결정된 둘 이상의 특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수치 결정부(130))은 상기 제1 내지 제5 수치 결정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상의 지정된 특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함과 동시에,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둘레 길이 범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수치 결정부(130))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에 대응하여 산출된 하나 이상의 수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를 형성하는 인체 골격 구조의 해부학적 결합 관계의 통계 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둘레 길이 범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는 상기 산출된 사용자 신체부위 둘레 길이 범위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또는 수치 결정부(130))은 사용자가 줄자로 자신의 신체부위 둘레 길이를 잰 수치 형태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둘레 길이 범위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상기 제1 내지 제5 수치 결정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상의 지정된 특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포함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수신부(115)는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생성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전용 신체부위인식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전용 신체부위인식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수신부(115)를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구조 생성부(125)를 통해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상기 수치 결정부(130)를 통해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한 경우, 상기 모델링 생성부(135)는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와 일대일 매칭되어 상기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밀착하여 착용 가능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모델링 생성부(135)는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둘레 길이범위를 포함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의 신체적 약점(예컨대, 복부비만, 짧은다리 등)을 보완하면서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착용 가능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에 일대일 매칭시켜 생성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지정된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확인하는 데이터 확인부(140)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145)를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15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모델링 생성부(135)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에 일대일 매칭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예컨대,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3D 모델링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데이터 확인부(140)는 상기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에 일대일 매칭시켜 생성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지정된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지정된 하나 이상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 사용자 전용 데이터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확인부(140)는 M(M≥1)명의 의류 디자이너가 디자인하여 등록한 N(N≥2)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저장하는 디자인DB로부터 n(1≤n≤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의 적용 대상 의류 디자인 정보를 선택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상기 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적용 대상 의류 디자인 정보를 선택한 디자인선택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데이터 확인부(140)는 상기 디자인선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자인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적용 대상 의류 디자인 정보를 추출한다. 만약 상기 디자인선택정보에 적용 대상 의류 디자인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데이터 확인부(140)는 상기 디자인선택정보로부터 적용 대상 의류 디자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데이터 확인부(140)는 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저장하는 디자인DB로부터 상기 디자인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적용 대상 의류 디자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용 대상 의류 디자인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데이터 확인부(140)는 상기 모델링 생성부(135)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 중 상기 디자인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의류 디자인 정보를 적용할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상기 추출된 적용 대상 의류 디자인 정보를 적용(예컨대, 렌더링 등)하여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제2 사용자 전용 데이터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확인부(140)는 M(M≥1)명의 의류 디자이너가 디자인하여 등록한 N(N≥2)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저장하는 디자인DB로부터 n(1≤n≤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의 적용 대상 의류 디자인 정보를 선택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상기 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적용 대상 의류 디자인 정보를 선택한 디자인선택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데이터 확인부(140)는 상기 디자인선택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 확인부(140)는 상기 디자인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의류 디자인 정보를 등록한 디자이너단말(165)과 연동하기 위한 디자이너의 통신수단정보(예컨대, 디자이너용 앱식별정보, 메일주소, 웹스토리지정보, 휴대폰정보 등)를 확인하고, 상기 모델링 생성부(135)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 중 상기 디자인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의류 디자인 정보를 적용할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를 확인한 후, 상기 디자이너의 통신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자이너단말(165)로 상기 확인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와 상기 디자인선택정보(또는 디자인선택정보를 이용하여 디자인DB로부터 추출한 의류 디자인 정보 등)를 제공한다. 이후 상기 디자이너는 상기 디자이너단말(165)의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상기 디자인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의류 디자인 정보를 적용(예컨대, 렌더링 등)하여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디자이너단말(165)의 앱에서 상기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면, 상기 데이터 확인부(140)는 상기 디자이너단말(165)로부터 상기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상기 디자인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제3 사용자 전용 데이터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확인부(140)는 M(M≥1)명의 의류 디자이너 중 m(1≤m≤M)명의 의류 디자이너가 이용하는 m개의 디자이너단말(165)과 연동하기 위한 각 디자이너의 통신수단정보(예컨대, 디자이너용 앱식별정보, 메일주소, 웹스토리지정보, 휴대폰정보 등)를 확인하고, 상기 모델링 생성부(135)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 중 상기 디자인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의류 디자인 정보를 적용할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를 확인한 후, 각 디자이너의 통신수단정보를 이용하여 m개의 디자이너단말(165)로 상기 확인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후 상기 m명의 디자이너 중 적어도 한 명의 디자이너는 자신이 이용하는 디자이너단말(165)의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자신이 디자인한 의류 디자인 정보를 적용(예컨대, 렌더링 등)하여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디자이너단말(165)의 앱에서 상기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면, 상기 데이터 확인부(140)는 상기 디자이너단말(165)로부터 상기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상기 디자이너의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제4 사용자 전용 데이터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확인부(14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용자 전용 데이터 확인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특정 디자이너의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데이터 확인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와 일대일 매칭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데이터 제공부(14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 측에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가 생성되거나 및/또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가 생성되더라도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정보 제공부(15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전용 신체부위인식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운영서버(100) 측에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가 생성되거나 및/또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운영서버(100) 측에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가 결정된 경우, 상기 정보 제공부(15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전용 신체부위인식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제공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10)를 통해 영상데이터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생성하여 저장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함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영상데이터 상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에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증강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는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의류가 존재하지 않지만,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에 존재하는 지정된 특징 점과 둘 이상의 특징 점 사이의 수치를 인식하면서 사용자의 신체 방향과 카메라의 시선 방향을 해석하기 위해 설정된 3차원 좌표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에 맞게 회전하거나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에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중첩하여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실제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증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는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되었으므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10)를 통해 사용자 신체부위의 전면을 촬영하지 않고 좌측이나 우측의 측면을 비스듬히 촬영(예컨대, 사용자의 우측 귀나 좌측 귀가 노출되도록 촬영)하는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의 사용자 신체부위의 전면 영역이나 측면 영역에 존재하는 지정된 특징 점과 둘 이상의 특징 점 사이의 수치를 인식하면서 사용자의 신체 방향과 카메라의 시선 방향을 해석하기 위해 설정된 3차원 좌표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측면부에 맞게 회전하거나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측면부에 중첩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전면 측 카메라부(210)를 통해 자신의 신체부위를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후면 측 카메라를 통해 거울에 비친 자신의 신체부위를 촬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무선단말(200)의 후면 측 카메라부(210)를 통해 영상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후면 측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거울에 비친 사용자 신체부위를 촬영한 것으로 (1차)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무선단말(200)의 후면 측 카메라부(210)를 통해 영상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후면 측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가 사용자의 신체를 직접 촬영한 것인지 거울에 비친 사용자 신체부위를 촬영한 것인지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사용자 신체부위의 특정한 부분이나 사용자 신체부위 이외의 다른 부분에 대한 초점 맞추기를 시도하여 초점 맞추기 위해 초점거리가 변화되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사용자 신체부위와 상기 신체부위 이외의 다른 부분 사이에 심도 변화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사용자 신체부위에 초점을 맞춘 상태에서 아웃포커싱을 시도하여 아웃포커싱이 유효하게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가 사용자의 신체를 직접 촬영한 것인지 거울에 비친 사용자 신체부위를 촬영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거울에 비친 사용자 신체부위를 촬영한 경우 초첨거리가 변하지 않거나 기 설정된 값 미만으로 변할 수 있으며, 심도 변화가 발생하지 않거나 기 설정된 값 미만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아웃포커싱이 처리되지 않거니 기 설정된 값 미만으로 처리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를 통해 거울에 비친 사용자의 신체를 촬영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의 사용자 신체부위에 존재하는 지정된 특징 점과 둘 이상의 특징 점 사이의 수치를 인식하되 거울에 비친 피사체에 대응하는 3차원 좌표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에 맞게 회전하거나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중첩 표시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거울에 비쳐진 광 효과를 주어 중첩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거울에 비친 사용자의 신체의 비스듬히 촬영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의 사용자 신체부위의 전면 영역이나 측면 영역에 존재하는 지정된 특징 점과 둘 이상의 특징 점 사이의 수치를 인식하되 거울에 비친 피사체에 대응하는 3차원 좌표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측면부에 맞게 회전하거나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측면부에 중첩 표시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거울에 비쳐진 광 효과를 주어 중첩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위한 주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요청하기 위한 주문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근처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하며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 가능한 의류 제작장치(1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근거리에 구비된 의류 제작장치(175)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제작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의류 제작장치(175)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의류 제작장치(175)의 구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 근처의 의류 제작장치(17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한 요청에 따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의류 제작장치(175)의 구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요청하기 위한 주문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전송하면, 상기 주문요청정보를 수신하는 주문 수신부(155)와,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이 기 제작된 의류제품과 매칭 가능한 경우 기 제작된 의류제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과 일대일 매칭되는 의류제품을 확인하여 상기 매칭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확인한 경우에 상기 매칭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제공요청정보와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배송할 사용자의 배송지정보를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공하는 지정된 제품제공서버(170)로 제공하는 주문 처리부(160)를 구비하며,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이 기 제작된 의류제품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 제작하기 위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와 의류 디자인 정보를 포함하는 제작요청정보와 상기 주문 제작된 의류제품을 배송할 사용자의 배송지정보를 지정된 제품제공서버(170)로 제공하거나 디자이너단말(165)로 제공하는 주문 처리부(160)를 구비한다.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제공받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요청하기 위한 주문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전송하면, 상기 주문 수신부(155)는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위한 주문요청정보를 수신한다.
만약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이 기 제작된 의류제품과 매칭 가능한 경우, 상기 주문 처리부(160)는 기 제작된 의류제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과 일대일 매칭되는 의류제품을 확인하여 상기 매칭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확인한 경우에 상기 매칭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제공요청정보와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배송할 사용자의 배송지정보를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공하는 지정된 제품제공서버(17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이 기 제작된 의류제품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주문 처리부(160)는 지정된 제품제공서버(170)나 디자이너단말(165)을 통해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 제작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주문요청정보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 제작하기 위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와 의류 디자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운영서버(100)에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와 의류 디자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경우, 상기 주문요청정보는 운영서버(100)에 저장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와 의류 디자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주문요청정보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 제작하기 위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와 의류 디자인 정보 중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운영서버(100)에 저장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와 의류 디자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문 수신부(155)를 통해 상기 주문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주문 처리부(160)는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 제작하기 위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와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와 의류 디자인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작요청정보와 상기 주문 제작된 의류제품을 배송할 사용자의 배송지정보(예컨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수신된 배송지정보, 또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의 배송지정보 등)를 지정된 제품제공서버(170)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 제작 후 배송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제품제공서버(170)는 지정된 의류 제작장치(175)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고 상기 배송지정보로 배송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문 처리부(160)는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 제작하기 위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와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와 의류 디자인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작요청정보와 상기 주문 제작된 의류제품을 배송할 사용자의 배송지정보(예컨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수신된 배송지정보, 또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의 배송지정보 등)를 지정된 디자이너가 이용하는 디자이너단말(165)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 제작 후 배송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디자이너는 상기 디자이너단말(165)을 통해 상기 제작요청정보와 배송지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지정된 의류 제작장치(175)를 이용하거나 핸드메이드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고 상기 배송지정보로 배송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200)과 앱(23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여 상기 신체부위 영역에 형성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를 해석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신체부위 영역에 형성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와 일대일 매칭되게 생성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지정된 의류 디자인을 적용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가 확인된 경우,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 영역에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증강하며,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또는 주문제작)을 요청하는 앱(230)의 구성과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2의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각종 이동통신단말, 각종 휴대폰,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제어부(202)와 메모리부(225)와 화면 출력부(204)와 사용자 입력부(206)와 사운드 처리부(208)와 카메라부(210)와 무선망 통신부(214)와 근거리망 통신부(216)와 USIM 리더부(218) 및 USIM와 근거리 무선부(220)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카메라부(210)의 카메라 렌즈와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인식하는 거리인식 센서부(2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앱(230)에 대응하는 구성을 본 제어부(202)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22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02)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25)는 기본적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앱(230)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25)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204)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2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2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기로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06)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204)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2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202)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202)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208)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과 및 이를 구동하는 사운드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2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상기 제어부(202)로 전달한다.
상기 카메라부(210)는 카메라 렌즈와 이미지센 및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자동초점 기능이나 손떨림보정 기능을 위한 액츄에이터(Actuator) 및/또는 각종 필터(예컨대, IR필터 등)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부(210)는 시선 방향의 피사체 중 지정된 화각 내의 피사체에 대한 광학 신호를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력받아 이미지센서를 통해 디지털화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제어부(202)로 제공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를 통해 자동초점 기능이나 손떨림보정 기능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의 품질을 보정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210)는 품질 향상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를 더 구비하거나 및/또는 품질 향상이나 피사체와 카메라 렌즈 사이의 거리인식을 위한 듀얼카메라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212)는 카메라 시선 방향에 존재하는 피사체와 카메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인식하는 기능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지정된 파장의 광 신호를 송출하고 피사체에 의해 반사되는 광 신호를 센싱하여 거리를 인식하는 광 센서부(예컨대, 적외선 센서부, 레이저 센서부, 메이저 센서부 등), 지정된 파장의 전자파 신호나 무선주파수 신호 형태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고 피사체의 의해 반사되는 무선 신호를 센싱하여 거리를 인식하는 무선 센서부,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를 송출하고 피사체의 의해 반사되는 음파 신호를 센싱하여 거리를 인식하는 음파 센서부(예컨대, 초음파 센서부 등), 지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두 개의 카메라 렌즈와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듀얼 카메라(예컨대, 듀얼 카메라는 카메라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거리인식을 위한 센서의 기능을 제공)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거리인식 센서부(212)가 상기 예시된 센서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거리인식에 사용 가능한 센서라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212)는 지정된 센싱 방향과 센싱 범위를 지니며,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212)의 센싱 방향은 상기 카메라부(210)의 시선 방향과 동기화되고,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212)의 센싱 범위는 상기 카메라부(210)의 화각과 매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212)는 센싱 방향을 카메라 시선 방향과 동기화한 상태에서 지정된 센싱 범위 내에서 센싱할 부분 영역(예컨대, 화상데이터 상의 특징 영역(예: 화상데이터 상의 영역 중 대비 값이 지정된 기준 값 이상인 영역), 화상데이터의 전체 영역이나 특정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분할 영역 등)을 지정하여 거리를 센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카메라부(210)를 통해 촬영하는 피사체의 3차원 구조 중 카메라 시선 방향(또는 센싱 방향)의 3차원 구조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214)와 근거리망 통신부(216)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무선망 통신부(214)를 기본 통신 자원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근거리망 통신부(21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214)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2)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202)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214)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예컨대,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214)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214)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214)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214)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셀 기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16)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16)는 무선AP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
상기 USIM 리더부(218)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218)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근거리 무선부(220)는 지정된 규격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기능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지그비 통신, UWB 통신, NFC, 근거리 RF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부(220)는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16)와 통합된 형태로 실시되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16)와 다른 별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부로 실시(예컨대, 근거리망 통신부(216)가 와이파이 통신을 제공하는 경우 근거리 무선부(220)는 블루투스 통신을 제공함)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부(220)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근거리에 존재하는 의류 제작장치(175) 중 적어도 하나의 의류 제작장치(175)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제어부(202)는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앱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본 발명의 앱(230)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다운로드 설치된 앱(230)은 설치 후 최초 실행(또는 정보 등록 전 실행)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과 앱(230)의 조합(또는 상기 앱(230)을 설치한 사용자 무선단말(200), 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설치된 앱(230))을 고유한 매체로 식별하는 매체식별정보(예컨대, 디바이스토큰, UUID 등)를 생성하거나 지정된 서버를 통해 할당받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과 앱(230)의 조합을 고유한 매체로 고유 식별하는 매체식별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고유 식별하는 무선단말정보(예컨대, 전화번호, IMSI, IMEI 등)를 지정된 운영서버(100)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정보를 연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앱(230)을 설치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사용자 정보(예컨대, 고유ID, 성명, 생년월일 등)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연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카메라 시선 방향의 지정된 화각 내에 존재하는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235)와, 상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는 인식 처리부(240)와, 상기 인식된 신체부위 영역에 형성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를 해석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생성하는 구조 생성부(245)와, 상기 신체부위 영역에 형성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둘레 길이범위를 포함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하는 수치 결정부(250)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255)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260)를 구비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235)는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카메라 시선 방향의 지정된 화각 내에 존재하는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 지정된 버퍼링영역에 버퍼링한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영상 처리부(235)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버퍼링할 수 있다.
상기 인식 처리부(240)는 상기 영상 처리부(235)를 통해 카메라부(210)로부터 입력되어 버퍼링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선별하고 지정된 패턴인식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촬영한 피사체 중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100)로 상기 영상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은 상기 운영서버(100)를 통해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신체부위 인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식 처리부(240)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부위를 촬영한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한 손으로 무선단말(200)을 들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부(210)를 통해 자신의 신체부위를 촬영하여 상기 인식 처리부(240)를 통해 상기 자신의 지정된 신체부위를 인식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셀카봉이나 삼각대와 같은 촬영 보조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부(210)를 통해 자신의 신체부위를 촬영하여 상기 인식 처리부(240)를 통해 상기 자신의 지정된 신체부위를 인식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신체부위 인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식 처리부(240)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가 거울에 비친 자신의 신체부위를 촬영한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지인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부(210)를 통해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2 신체부위 인식 실시예 중 어느 하나(또는 둘의 조합)을 통해 인식되는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은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의 신체에 구비된 T(T≥2)개의 신체부위 중 s(1≤s≤T)개의 신체부위를 노출한 상태에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10)를 통해 촬영된 t(1≤t≤T)개의 신체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은 속옷 차림으로 s개의 신체부위를 노출한 상태에서 촬영된 t개의 신체부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신체부위의 곡률이 드러나는 밀착형 의류(예컨대, 스타킹, 스키니 등)를 착용한 상태에서 촬영된 t개의 신체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개의 신체부위는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노출된 신체부위의 종류나 특징을 인식 가능한 신체부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t개의 신체부위는 의류 디자인이나 의류 제작 과정에서 사용되는 의류 치수와 관련된 신체부위(예컨대, 목 부위, 어깨 부위, 가슴 부위,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 배꼽 기준 배 부위, 배꼽 아래 허리 부위, 골반 부위, 엉덩이 부위, 허벅지 부위, 종아리 부위 등)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식 처리부(240)는 상기 인식한 신체부위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신체부위 영역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신체부위 영역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 영역 데이터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하여 인식하는 것이 사생활을 침해할 소지가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인식하여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하는 주체를 상기 사용자 본인 소유의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한정할 수 있다.
상기 구조 생성부(245)는 상기 인식된 신체부위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신체부위 영역 데이터에 지정된 패턴인식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양쪽 어깨 사이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어깨를 포함하는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어깨를 포함하는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양쪽 겨드랑이 사이 정면 가슴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가슴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가슴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정면 가슴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가슴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가슴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엉덩이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엉덩이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엉덩이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엉덩이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허벅지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허벅지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허벅지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허벅지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허벅지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허벅지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허벅지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허벅지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종아리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종아리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종아리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종아리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종아리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종아리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종아리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종아리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중 하나 이상(예컨대,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의 거리 정보는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의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를 판별하기 위해 설정된 좌표계(예컨대,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는 좌표계) 상의 좌표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률 정보는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의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를 판별하기 위해 설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 곡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에 포함되는 기하학 구조 정보를 해석하는 좌표계는 특정한 좌표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 정보에 포함되는 기하학 구조 정보는 현실세계의 도량형에 따른 단위의 기하학 구조 정보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무방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거리 정보는 해당 신체부위의 좌우 방향 거리 정보와 세로 방향 거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의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우 방향 거리 정보는 해당 신체부위의 좌우 방향 거리 중 가장 먼 거리의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구조 생성부(245)는 상기 인식된 신체부위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 중 지정된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촬영된 화상데이터에 지정된 패턴인식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 중 지정된 특정 신체부위 영역에 대응하는 픽셀 영역에 형성되는 그라데이션의 깊이와 면적을 해석함과 동시에 상기 특정 신체부위를 구성하는 인체 골격 구조와 근육 구조의 해부학적 통계 정보(예컨대, 성인 남성의 평균 골격 구조와 근육 구조에 따른 평균적 곡률 패턴)를 근거로 상기 특정 신체부위의 지정된 하나 이상의 방향에 촬영 방향에 대한 곡률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구조 생성부(245)는 상기 특정 신체부위에 지방이 축적되는 해부학적 통계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곡률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카메라 시선 방향에 존재하는 피사체와 카메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인식하는 거리인식 센서부(212)(예컨대, 지정된 파장의 광 신호를 송출하고 피사체에 의해 반사되는 광 신호를 센싱하여 거리를 인식하는 광 센서부(예: 적외선 센서부, 레이저 센서부, 메이저 센서부 등), 지정된 파장의 전자파 신호나 무선주파수 신호 형태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고 피사체의 의해 반사되는 무선 신호를 센싱하여 거리를 인식하는 무선 센서부,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음파 신호를 송출하고 피사체의 의해 반사되는 음파 신호를 센싱하여 거리를 인식하는 음파 센서부(예: 초음파 센서부 등), 지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두 개의 카메라 렌즈와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듀얼 카메라 등)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구조 생성부(24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피사체와 카메라 렌즈 간 거리를 인식하는 거리인식 센서부(212)를 구비한 경우,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212)를 통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 중 지정된 특정 신체부위를 지정된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센싱하여 상기 특정 신체부위의 곡률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를 획득(예컨대, 거리인식 센서부(212)가 송출하는 신호의 방향을 조정하여 특정 신체부위 영역의 각 부분 영역에 신호를 송출하고 반사되는 신호를 센싱하여 특정 신체부위의 곡률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212)를 통해 센싱된 상기 특정 신체부위의 센싱 정보와 상기 특정 신체부위를 구성하는 인체 골격 구조와 근육 구조의 해부학적 통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신체부위의 지정된 하나 이상의 방향에 촬영 방향에 대한 곡률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구조 생성부(245)는 상기 특정 신체부위에 지방이 축적되는 해부학적 통계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곡률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조 생성부(245)를 통해 사용자 신체의 목 부위, 어깨 부위, 가슴 부위,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 배꼽 기준 배 부위, 배꼽 아래 허리 부위, 골반 부위, 엉덩이 부위, 허벅지 부위, 종아리 부위 중 하나 이상의 신체부위에 대한 거리 정보와 곡률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구성한 경우, 상기 정보 전송부(255)는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구조 생성부(245)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를 해석하여 생성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는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의 수치를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순히 가상의 의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 뿐만아니라,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에 밀착하여 착용할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거나 판정하는 구성까지 포함하므로,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의 수치 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사용자 별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나 수치는 각각의 사용자 별로 모두 상이하며, 특정한 사용자의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3D 모델링하거나 제작하기 위해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를 인식함과 동시에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는 지정된 좌표계 상에서 좌표 값으로 해석 가능한 벡터 정보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고 있으므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 상에서 거리 산출을 위해 특정 가능한 둘 이상의 신체부위의 특징 점을 결정하여 상기 특징 점 간의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의 수치와 일대일 매칭되는 사용자 신체부위 전용의 기하학 구조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카메라부(210)를 통해 사용자 신체부위를 촬영하는 시점부터 사용자 신체부위의 수치를 결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촬영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수치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처리부(23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카메라부(210)의 자동초점 촬영 상태에서 지정된 방향의 사용자 신체부위를 촬영하도록 제어(또는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식 처리부(240)는 카메라부(210)의 자동초점 촬영 상태에서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수치 결정 실시예에서 상기 수치 결정부(250)는 상기 구조 생성부(245)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 상에서 거리 산출을 위해 특정 가능한 둘 이상의 신체부위의 특징 점(예컨대, 목 부위, 어깨 부위, 가슴 부위,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 배꼽 기준 배 부위, 배꼽 아래 허리 부위, 골반 부위, 엉덩이 부위, 허벅지 부위, 종아리 부위 등)을 결정하고, 상기 카메라부(210)의 자동초점 과정에서 자동 결정된 초점거리와 상기 화상데이터 상의 둘 이상 특정 점 간 픽셀 거리와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카메라 스펙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산출식의 입력값으로 대입하여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초점거리(f)=[카메라 렌즈와 피사체 사이의 식별거리(L)×이미지크기(V)] / [피사체높이(H)]'의 산출식으로 산출될 수 있는데, 위 산출식에서 초점거리(f)는 카메라부(210)의 자동초점 과정에서 자동 결정되고 신체부위 영역에 대한 이미지크기(V)는 상기 화상데이터 상의 둘 이상 특정 점 간 픽셀 거리와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카메라 스펙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도출 가능하므로, 카메라 렌즈와 피사체 사이의 식별거리(L)만 도출하면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 상의 특정 점 간 거리(=피사체높이(H))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영상 처리부(235)는 카메라 촬영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카메라 렌즈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각 부분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식별거리(예컨대, 10cm, 15cm, 20cm 등)를 유지하여 촬영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촬영 유도된 식별거리를 상기 산출식의 입력값에 포함시켜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영상 처리부(235)가 상기 카메라 렌즈와 사용자 신체부위의 각 부분 사이의 거리를 지정된 식별거리로 유지하여 촬영하도록 유도하더라도, 상기 유도된 식별거리와 실제 식별거리 사이에는 오차가 발생하며, 이에 상기 수치 결정부(250)는 상기 유도된 식별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특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하되, 상기 유도된 식별거리의 전/후 일정 범위의 거리에 대한 하나 이상의 식별거리를 더 이용하여 복수의 특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한 후 이 중에서 사용자 신체부위의 실제 특징 점 간 거리와 매칭되는 거리를 확률적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산출된 복수의 특징 점 간 거리를 통계 처리하여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무선단말(200)의 후면 카메라부(210)를 통해 거울에 비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영상 처리부(235)는 상기 카메라 렌즈와 상기 거울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식별거리를 유지하여 촬영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촬영 유도된 식별거리를 상기 산출식의 입력값에 포함시켜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수치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처리부(235)는 지정된 촬영모드 상태(예컨대, 자동초점 촬영 상태 등)에서 사용자 신체부위를 촬영히도록 유도한다. 상기 수치 결정부(250)는 상기 구조 생성부(245)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 상에서 거리 산출을 위해 특정 가능한 둘 이상의 신체부위의 특징 점을 결정한다. 한편 상기 영상 처리부(235)는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를 촬영하기 전 또는 후에 현실세계의 길이를 재는 도구(예컨대, 자)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징 점 간의 거리를 잰 수치 정보를 입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수치 결정부(250)는 상기 입력된 수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수치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처리부(235)는 지정된 촬영모드 상태(예컨대, 자동초점 촬영 상태 등)에서 사용자 신체부위를 촬영히도록 유도하되,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근처에 현실세계의 길이를 재는 도구를 구비한 후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와 길이를 재는 도구(예컨대, 자)를 함께 촬영하도록 유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 처리부(235)는 상기 길이를 재는 도구의 눈금과 수치가 카메라부(210)의 화각 내에 포함되어 화상데이터 상에 존재하도록 촬영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수치 결정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촬영된 화상데이터 상에 사용자 신체부위와 길이를 재는 도구(예컨대, 도구의 눈금과 수치 등)학 함께 포함된 경우, 상기 수치 결정부(250)는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상에서 거리 산출을 위해 특정 가능한 둘 이상의 신체부위의 특징 점을 결정한다. 상기 수치 결정부(250)는 지정된 패턴인식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화상데이터 상에 존재하는 현실세계의 길이를 재는 도구를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길이를 재는 도구에 표시된 눈금과 수치값을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화상데이터 상의 길이를 재는 도구의 눈금 간 현실세계의 수치 거리와 화상데이터 상의 픽셀 거리의 관계를 인식한다. 예를들어, 상기 수치 결정부(250)는 상기 화상데이터 상의 픽셀 거리 200 픽셀은 현실세계 10mm에 해당한다는 것과 형태의 관계를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화상데이터 상의 길이를 재는 도구의 눈금 간 현실세계의 수치 거리와 화상데이터 상의 픽셀 거리의 관계가 인식되면, 상기 수치 결정부(250)는 상기 인식된 도구의 눈금 간 수치 거리와 픽셀 거리의 관계(예컨대, 비율)를 통해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징 점 간의 픽셀 거리를 판독하여 상기 둘 이상의 특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수치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카메라 시선 방향에 존재하는 피사체와 카메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인식하는 거리인식 센서부(2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수치 결정부(250)는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상에서 거리 산출을 위해 특정 가능한 둘 이상의 신체부위의 특징 점을 결정하고,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212)를 통해 상기 카메라 렌즈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각 부분 사이의 식별거리를 센싱하거나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212)를 센싱된 상기 카메라 렌즈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각 부분 사이의 식별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212)를 통해 확인된 식별거리를 지정된 산출식의 입력값으로 대입하여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식 처리부(240)는 상기 카메라부(210)의 자동초점 촬영 상태에서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수치 결정부(250)는 상기 카메라부(210)의 자동초점 과정에서 자동 결정된 초점거리와 상기 화상데이터 상의 둘 이상 특정 점 간 픽셀 거리와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카메라 스펙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산출식의 입력값에 포함시켜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수치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치 결정부(250)는 상기 제1 내지 제4 수치 결정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상에서 결정된 둘 이상의 특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치 결정부(250)는 상기 제1 내지 제5 수치 결정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상의 지정된 특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함과 동시에,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둘레 길이 범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치 결정부(250)는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에 대응하여 산출된 하나 이상의 수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를 형성하는 인체 골격 구조의 해부학적 결합 관계의 통계 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둘레 길이 범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는 상기 산출된 사용자 신체부위 둘레 길이 범위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치 결정부(250)는 사용자가 줄자로 자신의 신체부위 둘레 길이를 잰 수치 형태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둘레 길이 범위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수치 결정부(250)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5 수치 결정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상의 지정된 특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포함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한 경우, 상기 정보 전송부(255)는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구조 생성부(245)를 통해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가 생성된 경우, 상기 정보 관리부(260)는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전용 신체부위인식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치 결정부(250)를 통해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한 경우, 상기 정보 관리부(260)는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전용 신체부위인식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와 일대일 매칭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확인하여 전송하면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부(265)를 구비하며,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 관리하거나, 및/또는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260)를 구비한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생성/결정한 후,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둘레 길이범위를 포함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의 신체적 약점을 보완하면서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착용 가능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에 일대일 매칭시켜 생성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지정된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265)는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와 일대일 매칭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화면 출력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데이터 처리부(265)는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확인하는 과정에 개입하여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 측에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가 생성되거나 및/또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에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가 생성되더라도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정보 관리부(260)는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는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전용 신체부위인식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운영서버(100) 측에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가 생성되거나 및/또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운영서버(100) 측에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가 결정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관리부(260)는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전용 신체부위인식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영상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정보 관리부(260)를 통해 저장 관리되는 사용자 신체부위에 대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근거로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하는 영역 인식부(270)와,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한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 상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에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증강하는 증강 처리부(275)를 구비한다.
상기 정보 관리부(260)를 통해 사용자 신체부위에 대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상태에서 상기 영상 처리부(235)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210)로부터 영상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영역 인식부(270)는 상기 정보 관리부(260)를 통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한다.
만약 상기 영역 인식부(270)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한 경우, 상기 증강 처리부(275)는 상기 영상데이터 상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에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증강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는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의류가 존재하지 않지만, 상기 증강 처리부(275)는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에 존재하는 지정된 특징 점과 둘 이상의 특징 점 사이의 수치를 인식하면서 사용자의 신체 방향과 카메라의 시선 방향을 해석하기 위해 설정된 3차원 좌표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에 맞게 회전하거나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에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중첩하여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실제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증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는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되었으므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10)를 통해 사용자 신체부위의 전면을 촬영하지 않고 좌측이나 우측의 측면을 비스듬히 촬영(예컨대, 사용자의 우측 귀나 좌측 귀가 노출되도록 촬영)하는 경우에도, 상기 증강 처리부(275)는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의 사용자 신체부위의 전면 영역이나 측면 영역에 존재하는 지정된 특징 점과 둘 이상의 특징 점 사이의 수치를 인식하면서 사용자의 신체 방향과 카메라의 시선 방향을 해석하기 위해 설정된 3차원 좌표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측면부에 맞게 회전하거나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측면부에 중첩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전면 측 카메라부(210)를 통해 자신의 신체부위를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후면 측 카메라를 통해 거울에 비친 자신의 신체부위를 촬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증강 처리부(27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후면 측 카메라부(210)를 통해 영상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후면 측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거울에 비친 사용자 신체부위를 촬영한 것으로 (1차)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무선단말(200)의 후면 측 카메라부(210)를 통해 영상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증강 처리부(275)는 상기 후면 측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가 사용자의 신체를 직접 촬영한 것인지 거울에 비친 사용자 신체부위를 촬영한 것인지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증강 처리부(275)는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사용자 신체부위의 특정한 부분이나 사용자 신체부위 이외의 다른 부분에 대한 초점 맞추기를 시도하여 초점 맞추기 위해 초점거리가 변화되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사용자 신체부위와 상기 신체부위 이외의 다른 부분 사이에 심도 변화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사용자 신체부위에 초점을 맞춘 상태에서 아웃포커싱을 시도하여 아웃포커싱이 유효하게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가 사용자의 신체를 직접 촬영한 것인지 거울에 비친 사용자 신체부위를 촬영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거울에 비친 사용자 신체부위를 촬영한 경우 초첨거리가 변하지 않거나 기 설정된 값 미만으로 변할 수 있으며, 심도 변화가 발생하지 않거나 기 설정된 값 미만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아웃포커싱이 처리되지 않거니 기 설정된 값 미만으로 처리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를 통해 거울에 비친 사용자의 신체를 촬영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증강 처리부(275)는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의 사용자 신체부위에 존재하는 지정된 특징 점과 둘 이상의 특징 점 사이의 수치를 인식하되 거울에 비친 피사체에 대응하는 3차원 좌표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에 맞게 회전하거나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중첩 표시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거울에 비쳐진 광 효과를 주어 중첩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거울에 비친 사용자의 신체의 비스듬히 촬영하는 경우, 상기 증강 처리부(275)는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의 사용자 신체부위의 전면 영역이나 측면 영역에 존재하는 지정된 특징 점과 둘 이상의 특징 점 사이의 수치를 인식하되 거울에 비친 피사체에 대응하는 3차원 좌표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측면부에 맞게 회전하거나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측면부에 중첩 표시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거울에 비쳐진 광 효과를 주어 중첩 표시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요청하기 위한 주문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운영서버(100)로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거나, 및/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근거리의 의류 제작장치(175)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 제작을 요청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제품 주문부(280)와,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 제작 요청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285)를 구비한다.
상기 제품 주문부(28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65)를 통해 수신/출력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 요청하기 위한 주문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품 주문부(280)는 상기 증강 처리부(275)와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 영역에 중첩하여 증강 표시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 요청하기 위한 주문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품 주문부(280)는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위한 주문 관련 정보를 입력/선택받는다. 예를들어, 상기 제품 주문부(280)는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 중 주문 요청할 대상을 선택하거나 및/또는 주문할 수량이나 옵션을 선택하거나 및/또는 배송지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주문 관련 정보를 입력/선택된 경우, 상기 결제 처리부(285)는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위한 결제를 처리한다. 한편 상기 결제 처리부(285)가 상기 결제를 처리하는 순서는 운영서버(100)로 주문요청정보를 전송한 후에 처리되거나, 및/또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근처에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는 의류 제작장치(175)를 통해 결제 가능한 경우 생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제품 주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100)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품 주문부(280)는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선택된 주문 관련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요청하기 위한 주문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주문요청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주문요청정보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 제작하기 위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와 의류 디자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운영서버(100)에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와 의류 디자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경우, 상기 주문요청정보는 운영서버(100)에 저장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와 의류 디자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주문요청정보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 제작하기 위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와 의류 디자인 정보 중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운영서버(100)에 저장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와 의류 디자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이 기 제작된 의류제품과 매칭 가능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기 제작된 의류제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과 일대일 매칭되는 의류제품을 확인하여 상기 매칭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확인한 경우에 상기 매칭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제공요청정보와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배송할 사용자의 배송지정보를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공하는 지정된 제품제공서버(170)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배송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제품제공서버(170)는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확인하고 상기 배송지정보로 배송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이 기 제작된 의류제품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 제작하기 위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와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와 의류 디자인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작요청정보와 상기 주문 제작된 의류제품을 배송할 사용자의 배송지정보를 지정된 제품제공서버(170)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 제작 후 배송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제품제공서버(170)는 지정된 의류 제작장치(175)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고 상기 배송지정보로 배송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 제작하기 위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와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와 의류 디자인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작요청정보와 상기 주문 제작된 의류제품을 배송할 사용자의 배송지정보를 지정된 디자이너가 이용하는 디자이너단말(165)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 제작 후 배송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디자이너는 상기 디자이너단말(165)을 통해 상기 제작요청정보와 배송지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지정된 의류 제작장치(175)를 이용하거나 핸드메이드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고 상기 배송지정보로 배송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근처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하며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 가능한 의류 제작장치(175) 중 적어도 하나의 의류 제작장치(1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품 주문부(280)는 상기 근거리 무선부(220)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근거리에 구비된 의류 제작장치(175)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제작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의류 제작장치(175)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의류 제작장치(175)의 구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 근처의 의류 제작장치(17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을 통한 요청에 따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의류 제작장치(175)의 구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증강된 의류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여 상기 신체부위 영역에 형성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를 해석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신체부위 영역에 형성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와 일대일 매칭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지정된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 제공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수치 결정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 가능한 방식으로 카메라부(210)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 버퍼링하고(300), 상기 입력되어 버퍼링된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한다(305).
만약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이 인식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인식된 신체부위 영역에 형성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를 해석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생성하고(310),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수치 결정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신체부위 영역에 형성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한다(315).
만약 상기 영상데이터를 통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가 결정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한다(320).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증강된 의류 서비스를 위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신체부위인식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한다(325).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수신하고(330),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와 일대일 매칭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한다(330).
만약 상기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사용자 전용 데이터 확인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에 일대일 매칭시켜 생성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지정된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확인하며(340), 이를 위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적용할 적용 대상 의류 디자인 정보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340a), 의류 디자인 정보를 제공한 디자이너단말(165)은 상기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자신이 디자인한 의류 디자인 정보를 적용하여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340b).
만약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제공하며(34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화면에 출력한다(350).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에 일대일 매칭시켜 생성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지정된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확인하고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한 후 상기 영상데이터의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에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증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4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가 제공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신체부위인식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카메라부(210)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데이터가 입력되는지 확인하고(400), 만약 상기 영상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에 지정된 저장영역에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신체부위인식정보를 확인하고(405), 상기 확인된 사용자 전용 신체부위인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한다(410).
만약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이 실시간 인식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영상데이터 상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에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증강한다(415).
도면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증강된 의류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 제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에 일대일 매칭시켜 생성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지정된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영서버(100)를 통해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 제작하여 배송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 제작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4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가 제공되거나 및/또는 상기 도면5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증강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하기 위한 주문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500),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위한 주문 관련 정보를 입력/선택받는다(505).
만약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위한 주문 관련 정보가 입력/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입력/선택된 주문 관련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위한 결제금액의 결제를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한다(510). 만약 상기 결제 처리가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주문 관련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 요청하기 위한 주문요청정보를 구성하여(515),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면(52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주문요청정보를 수신한다(52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제작을 위한 제작요청정보를 구성하고(530), 지정된 디자이너단말(165)이나 제품제공서버(170)로 상기 제작요청정보와 배송지정보를 제공한다(535).
상기 디자이너단말(165)이나 제품제공서버(170)는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제작요청정보와 배송지정보를 수신하고(540), 상기 제작요청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여 상기 배송지정보를 통해 배송하는 절차를 수행한다(545).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100)는 기 제작된 의류제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과 일대일 매칭되는 의류제품을 확인하여 상기 매칭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확인한 경우에 상기 매칭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제공요청정보와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배송할 사용자의 배송지정보를 상기 제품제공서버(17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품제공서버(170)는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제공요청정보와 배송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공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상기 배송지정보를 통해 배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증강된 의류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 제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에 일대일 매칭시켜 생성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지정된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근거리에 구비된 의류 제작장치(175)를 통해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 제작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4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으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가 제공되거나 및/또는 상기 도면5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증강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하기 위한 주문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600),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위한 주문 관련 정보를 입력/선택받는다(605).
만약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위한 주문 관련 정보가 입력/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상기 입력/선택된 주문 관련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위한 결제금액의 결제를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한다(610). 만약 상기 결제 처리가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3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근거리의 의류 제작장치(175)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제공하며(615), 상기 의류 제작장치(175)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수신한다(620). 상기 의류 제작장치(175)는 지정된 구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625).
100 : 운영서버 105 : 디자인 등록부
110 : 정보 등록부 115 : 정보 수신부
120, 240 : 인식 처리부 125, 245 : 구조 생성부
130, 250 : 수치 결정부 135 : 모델링 생성부
140 : 데이터 확인부 145 : 데이터 제공부
150 : 정보 제공부 155 : 주문 수신부
160 : 주문 처리부 165 : 디자이너단말
170 : 제품제공서버 175 : 제작장치
200 : 사용자 무선단말 230 : 앱
235 : 영상 처리부 255 : 정보 전송부
260 : 정보 관리부 265 : 데이터 처리부
270 : 영역 인식부 275 : 증강 처리부
280 : 제품 주문부 285 : 결제 처리부

Claims (33)

  1.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는 제1 단계;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인식된 신체부위 영역에 형성된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를 해석하여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기하학 구조에 포함된 둘 이상의 지정된 특징 점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결정하는 제2 단계;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수신하는 제3 단계;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와 일대일 매칭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 단계;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에 일대일 매칭시켜 생성된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지정된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확인하는 제5 단계;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제공하면,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제6 단계;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사용자 신체부위에 대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근거로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하는 제7 단계; 및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한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 상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에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중첩 표시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증강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사용자 무선단말의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부위를 촬영한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사용자 무선단말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가 거울에 비친 자신의 신체부위를 촬영한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은,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의 신체에 구비된 T(T≥2)개의 신체부위 중 s(1≤s≤T)개의 신체부위를 노출한 상태에서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t(1≤t≤T)개의 신체부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은,
    속옷 차림으로 s개의 신체부위를 노출한 상태에서 촬영된 t개의 신체부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s개의 신체부위는,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노출된 신체부위의 종류나 특징을 인식 가능한 신체부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t개의 신체부위는,
    의류 디자인이나 의류 제작 과정에서 사용되는 의류 치수와 관련된 신체부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카메라부의 자동초점 촬영 상태에서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상에서 거리 산출을 위해 특정 가능한 둘 이상의 신체부위의 특징 점을 결정하고, 상기 카메라부의 자동초점 과정에서 자동 결정된 초점거리와 상기 화상데이터 상의 둘 이상 특정 점 간 픽셀 거리와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카메라 스펙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산출식의 입력값으로 대입하여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카메라 렌즈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각 부분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식별거리를 유지하여 촬영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촬영 유도된 식별거리를 상기 산출식의 입력값에 포함시켜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거울에 비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렌즈와 상기 거울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식별거리를 유지하여 촬영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촬영 유도된 식별거리를 상기 산출식의 입력값에 포함시켜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상에서 거리 산출을 위해 특정 가능한 둘 이상의 신체부위의 특징 점을 결정하고, 현실세계의 길이를 재는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징 점 간의 거리를 잰 수치 정보를 입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근처에 현실세계의 길이를 재는 도구를 구비한 후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와 길이를 재는 도구를 함께 촬영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상에서 거리 산출을 위해 특정 가능한 둘 이상의 신체부위의 특징 점을 결정하고, 화상데이터 상의 길이를 재는 도구의 눈금 간 현실세계의 수치 거리와 화상데이터 상의 픽셀 거리의 관계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도구의 눈금 간 수치 거리와 픽셀 거리의 관계를 통해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징 점 간의 픽셀 거리를 판독하여 상기 둘 이상의 특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은, 카메라 시선 방향에 존재하는 피사체와 카메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인식하는 거리인식 센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상에서 거리 산출을 위해 특정 가능한 둘 이상의 신체부위의 특징 점을 결정하고,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상기 카메라 렌즈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각 부분 사이의 식별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식별거리를 지정된 산출식의 입력값으로 대입하여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카메라부의 자동초점 촬영 상태에서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의류를 착용할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카메라부의 자동초점 과정에서 자동 결정된 초점거리와 상기 화상데이터 상의 둘 이상 특정 점 간 픽셀 거리와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카메라 스펙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산출식의 입력값에 포함시켜 상기 결정된 둘 이상의 특정 점 간 거리를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수치 정보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7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저장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제공하면,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7 단계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의류 착용 대상 신체부위 영역을 실시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는,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목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양쪽 어깨 사이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어깨를 포함하는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어깨를 포함하는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양쪽 겨드랑이 사이 정면 가슴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가슴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가슴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정면 가슴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가슴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가슴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가슴과 배꼽 중간 배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기준 배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배꼽 아래 허리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골반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엉덩이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엉덩이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엉덩이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엉덩이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허벅지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허벅지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허벅지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허벅지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허벅지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허벅지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허벅지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허벅지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종아리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종아리 부위의 좌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종아리 부위의 정면 거리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종아리 부위의 우측 거리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종아리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좌측 방향에서 촬영된 좌측 종아리 부위의 좌측 곡률 정보,
    정면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종아리 부위의 정면 곡률 정보,
    우측 방향에서 촬영된 우측 종아리 부위의 우측 곡률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정보는,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의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를 판별하기 위해 설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 거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곡률 정보는, 사용자 신체부위 영역의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를 판별하기 위해 설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 곡률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정보는,
    해당 신체부위의 좌우 방향 거리 정보와 세로 방향 거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방향 거리 정보는,
    해당 신체부위의 좌우 방향 거리 중 가장 먼 거리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정보는,
    화상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신체부위의 그라데이션 정보와 상기 특정 신체부위를 구성하는 인체 골격 구조와 근육 구조의 해부학적 통계 정보를 근거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정보는,
    무선단말에 피사체와 카메라 렌즈 간 거리를 인식하는 거리인식 센서부를 구비한 경우,
    상기 거리인식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특정 신체부위의 센싱 정보와 상기 특정 신체부위를 구성하는 인체 골격 구조와 근육 구조의 해부학적 통계 정보를 근거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 21항 또는 제 22에 있어서, 상기 곡률 정보는,
    상기 특정 신체부위에 지방이 축적되는 해부학적 통계 정보를 더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부위 수치 정보는,
    각 신체부위에 대한 현실세계와 일대일 축적의 둘레 길이 범위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길이는,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에 대응하여 산출된 하나 이상의 수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를 형성하는 인체 골격 구조의 해부학적 결합 관계의 통계 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일대일 축적의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실제 신체부위의 신체적 약점을 보완하면서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착용 가능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에서 M(M≥1)명의 의류 디자이너가 디자인하여 등록한 N(N≥2)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저장하는 디자인DB로부터 n(1≤n≤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면,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적용 대상 의류 디자인 정보를 선택한 디자인선택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디자인선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상기 디자인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의류 디자인을 적용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2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에서 M(M≥1)명의 의류 디자이너가 디자인하여 등록한 N(N≥2)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저장하는 디자인DB로부터 n(1≤n≤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면,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n개의 의류 디자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적용 대상 의류 디자인 정보를 선택한 디자인선택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디자인선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디자인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의류 디자인 정보를 등록한 디자이너단말로 상기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와 상기 디자인선택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디자이너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상기 디자인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2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에서 M(M≥1)명의 의류 디자이너 중 m(1≤m≤M)명의 의류 디자이너가 이용하는 m개의 디자이너단말로 상기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에서 i(1≤i≤m)개의 디자이너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전용 모델링 데이터에 해당 의류 디자이너의 의류 디자인을 적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j(j≥i)개의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를 증강한 후,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요청하기 위한 주문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운영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주문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주문 제작하기 위한 사용자 신체부위 기하학 구조 정보와 사용자 신체부위 수치 정보와 의류 디자인 정보를 포함하는 제작요청정보와 상기 주문 제작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배송할 사용자의 배송지정보를 지정된 제품제공서버로 제공하거나 디자이너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3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를 증강한 후,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주문을 요청하기 위한 주문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운영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주문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에서 기 제작된 의류제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주문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과 일대일 매칭되는 의류제품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확인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매칭된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제공을 요청하는 제공요청정보와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배송할 사용자의 배송지정보를 지정된 제품제공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3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를 증강한 후,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근거리에 구비된 의류 제작장치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를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의 제작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제작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전용 의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용 의류제품을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70111488A 2017-08-31 2017-08-31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15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488A KR101915278B1 (ko) 2017-08-31 2017-08-31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488A KR101915278B1 (ko) 2017-08-31 2017-08-31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547A Division KR20190024862A (ko) 2018-10-25 2018-10-25 증강현실을 이용한 의류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278B1 true KR101915278B1 (ko) 2018-11-05

Family

ID=6432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488A KR101915278B1 (ko) 2017-08-31 2017-08-31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2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0943A1 (ko) * 2019-05-12 2020-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3d 아바타를 이용한 의류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과 그에 따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0943A1 (ko) * 2019-05-12 2020-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3d 아바타를 이용한 의류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과 그에 따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5802A (ko) 증강된 화장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24862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의류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27481A (ko) 모바일 웹 기반의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CN105580051A (zh) 图像捕捉反馈
KR20190024585A (ko) 증강된 네일아트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503025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paring custom clothing patterns
KR20190127127A (ko) 모바일 웹기반의 증강된 네일아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75541A (ko)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방법
KR20210065423A (ko) 증강현실 기반의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가상 피팅시스템
KR20190024861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안경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15278B1 (ko) 증강된 의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66408B1 (ko) 스타일링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70019917A (ko)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76086B1 (ko) 증강된 모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17517B1 (ko) 증강된 가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37327B1 (ko) 증강된 안경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85811A (ko) 증강된 반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85809A (ko) 증강된 팔찌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902310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paring custom clothing patterns
KR20200050095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착용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27470A (ko) 모바일 웹기반의 증강된 시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27487A (ko) 모바일 웹 기반의 증강된 헬맷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27465A (ko) 모바일 웹 기반의 증강된 모자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85803A (ko) 증강된 헤어 밴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85806A (ko) 증강된 목걸이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