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9917A -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9917A
KR20170019917A KR1020150114435A KR20150114435A KR20170019917A KR 20170019917 A KR20170019917 A KR 20170019917A KR 1020150114435 A KR1020150114435 A KR 1020150114435A KR 20150114435 A KR20150114435 A KR 20150114435A KR 20170019917 A KR20170019917 A KR 20170019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del
dimensional model
dimensional
ga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7144B1 (ko
Inventor
탁세윤
조준구
김혜주
Original Assignee
(주)에프엑스기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엑스기어 filed Critical (주)에프엑스기어
Priority to KR1020150114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144B1/ko
Publication of KR20170019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16Clo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는, 의상의 2차원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수신부; 미리 저장된 베이스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모델 생성부; 및 상기 3차원 모델의 표면에 상기 이미지가 정합되도록 상기 이미지를 변형시켜 상기 3차원 모델에 상기 이미지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매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는 의상의 일반적인 2차원 이미지를 이용하여 단시간(예컨대, 수 분) 내에 의상의 3차원 모델을 용이하여 생성할 수 있어, 온라인 쇼핑몰과 같이 의상의 판매가 이루어지는 장소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가상 피팅(virtual fitting)을 용이하게 하고 의상 구매를 촉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3-DIMENSIONAL MODEL OF CLOTHES}
실시예들은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다.
최근 깊이 센서(depth sensor) 등 관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용자가 직접 의상을 착용하지 않고도 자신의 아바타(avatar) 또는 3차원 인체 모델을 이용하여 가상으로 의상을 착용해보는 가상 피팅(virtual fitting)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가상 피팅 서비스를 위해서는, 깊이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형을 스캔(scan)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사용자에 대응되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 이러한 사용자의 3차원 모델에 미리 준비된 의상의 3차원 모델을 정합시키는 과정이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가상 피팅 서비스는 실험적인 수준의 응용예들에 적용되는데 그치고 있으며, 실제 의류 매장에서 판매하는 각 의상에 적용됨으로써 의상에 대한 구매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가상 피팅 서비스를 위해서는 피팅할 의상의 3차원 모델을 사전에 생성하여야 하는데,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것은 시간이 걸리고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이므로 가상 피팅 서비스가 실제 유통되는 의상들에 대하여 적용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6585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7820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의상의 3차원 모델링을 위한 별도의 노력 없이 온라인 쇼핑몰이나 브랜드 웹 사이트 등에 사용되는 의상의 2차원 이미지를 그대로 활용하여 가상 피팅(virtual fitting)을 위한 의상의 3차원 모델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는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는, 의상의 2차원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수신부; 미리 저장된 베이스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모델 생성부; 및 상기 3차원 모델의 표면에 상기 이미지가 정합되도록 상기 이미지를 변형시켜 상기 3차원 모델에 상기 이미지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매칭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델 생성부는, 하나 이상의 베이스 모델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베이스 모델 중 선택된 하나의 베이스 모델을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3차원 모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모델 변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델 생성부는, 상기 베이스 모델에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의상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하나의 베이스 모델은 상기 의상의 종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이미지상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포함하며, 상기 모델 변형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베이스 모델을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3차원 모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델 변형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위치하는 선과 상기 이미지 사이의 간극으로 인한 오차를 보정하도록 상기 베이스 모델을 변형시키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3차원 모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세부 부분에 연관된 치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모델 변형부는, 생성된 상기 3차원 모델을 상기 치수 정보에 기초하여 변형시키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칭부는 상기 이미지가 상기 3차원 모델의 모든 표면을 덮도록 상기 이미지를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3차원 모델에 상기 이미지를 결합시키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는 상기 이미지와 결합된 상기 3차원 모델을 판매자 장치 또는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방법은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방법은, 의상의 2차원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베이스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모델의 표면에 상기 이미지가 정합되도록 상기 이미지를 변형시켜 상기 3차원 모델에 상기 이미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베이스 모델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하나의 베이스 모델을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하는 단계 전에, 사용자로부터 의상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의상의 종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할 베이스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상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베이스 모델을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모델을 변형시키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위치하는 선과 상기 이미지 사이의 간극으로 인한 오차를 보정하도록 상기 베이스 모델을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의 생성 방법은, 3차원 모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세부 부분에 연관된 치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3차원 모델을 상기 치수 정보에 기초하여 변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차원 모델에 상기 이미지를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가 상기 3차원 모델의 모든 표면을 덮도록 상기 이미지를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방법은 상기 이미지와 결합된 상기 3차원 모델을 사용자 장치 또는 판매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의상의 이미지는 의상의 정면 이미지 및 의상의 후면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기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방법을 실행하도록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의상의 일반적인 2차원 이미지를 이용하여 단시간(예컨대, 수 분) 내에 의상의 3차원 모델을 용이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기술은 온라인 쇼핑몰과 같이 의상의 판매가 이루어지는 장소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가상 피팅(virtual fitting)을 용이하게 하고 의상 구매를 촉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방법을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는 이미지 수신부(1), 모델 생성부(2) 및 매칭(matching)부(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는 송신부(4)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는 데이터 처리 능력이 구비된 하드웨어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운용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시스템" 및 "장치"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1-4)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에서 이미지 수신부(1), 모델 생성부(2), 매칭부(3) 및 송신부(4)는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미지 수신부(1), 모델 생성부(2), 매칭부(3) 및 송신부(4)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하나의 장치(예컨대, 컴퓨팅 장치 또는 서버 등) 내에 집적화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부(1-4)는 이들이 구현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하는 동작에 따라 장치를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일 뿐, 반드시 서로 분리된 별개의 소자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수신부(1), 모델 생성부(2), 매칭부(3) 및 송신부(4) 중 하나 이상이 다른 부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각각의 부(1-4)는 분산 컴퓨팅 환경 하에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
이미지 수신부(1)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자 하는 의상의 2차원 이미지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2차원 이미지는 사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의상의 앞면과 뒷면을 각각 촬영한 2 장의 사진일 수 있다.
모델 생성부(2)는, 의상의 2차원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에 대응되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부분이다. 일 실시예에서, 모델 생성부(2)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21) 및 모델 변형부(23)를 포함한다. DB(21)에는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베이스(base) 모델이 준비되어 있으며, 모델 변형부(23)는 의상의 이미지에 맞추어 베이스 모델을 변형시킴으로써 이미지에 대응되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모델 생성부(2)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22)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22)는 의상 이미지에 대해 지정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 정보를 사용자 입력으로서 수신하거나, 또는/또한 3차원 모델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세부 부분에 관련된 수치 정보를 사용자 입력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모델 변형부(23)는 전술한 특징점 정보에 기초하여 베이스 모델을 변형시킴으로써 이미지에 대응되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한다. 또한, 모델 변형부(23)는 생성된 3차원 모델을 전술한 치수 정보에 기초하여 변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3차원 모델을 원하는 형태로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매칭부(3)는, 모델 생성부(2)에 의해 생성된 3차원 모델과 의상의 2차원 이미지를 매칭시킴으로써 의상 이미지를 3차원 모델에 결합시키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의상의 이미지가 3차원 모델의 표면을 덮도록 이미지를 3차원 모델 표면에 매핑(mapping)함으로써 이미지와 3차원 모델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칭부(3)는 이미지가 3차원 모델의 표면 전체를 덮도록 이미지를 확장시킴으로써 결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송신부(4)는, 매칭부(3)에 의하여 의상 이미지와 결합된 3차원 모델을 다른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부분이다. 예를 들면, 송신부(4)는 의상 이미지의 3차원 변환을 요청한 판매자의 서버(미도시)에 3차원 모델을 전송함으로써, 판매자가 해당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의상의 가상 피팅(virtual fittin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서는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가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에 의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장치에 의상의 3차원 모델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상을 판매하는 판매자는 판매자 장치(100)를 이용하여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300)에 의상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판매자 장치(100)는 판매자의 온라인 쇼핑몰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도 있으며, 또는 판매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smartphone) 등 모바일 장치,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노트북(notebook)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tablet) 컴퓨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을 위한 셋톱박스(set-top box)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판매자 장치(100)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300)에 이미지를 전송한다.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200)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200)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300)는 판매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의상에 대응되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300)는 판매자 장치(100)에 통합된 소프트웨어 모듈(module)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판매자 장치(100)에서 바로 이미지를 이용한 3차원 모델의 생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생성된 3차원 모델은 판매자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400) 중 하나 이상에 전송될 수 있다. 3차원 모델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판매자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400) 중 하나 이상에 전송될 수도 있다. 판매자 장치(100)와 유사하게, 사용자 장치(4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 장치, PC, 노트북 컴퓨터, PDA, 태블릿 컴퓨터, IPTV 셋톱박스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장치(400)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또는, 앱)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300)는 사용자 장치(400) 상의 애플리케이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300)는 판매자 장치(100)에 통합되어 판매자가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 접속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하나의 기능을 구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400)상에서 가상 피팅 전용 애플리케이션 또는 온라인 쇼핑몰 접속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판매자 장치(100) 또는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300)로부터 의상의 3차원 모델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생성 또는 수신된 자신의 3차원 신체 모델에 의상의 3차원 모델을 입혀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체형 변화에 따른 착용 모습의 변화를 확인해보거나, 확대 및 축소를 통하여 의상의 재질이나 질감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의상의 구매를 희망할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판매자의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거나, 의상 관련 정보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등 다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과 공유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4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방법을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자 하는 의상의 2차원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S1). 2차원 이미지는 사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의상의 앞면과 뒷면을 각각 촬영한 2장의 사진을 포함한다. 이미지는 의상이 잘 나타내도록 적절히 촬영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의의 경우 착용자가 팔을 살짝 들고 촬영된 사진이 바람직하며, 하의의 경우 의상 전체가 보이도록 착용자가 의자에 올라가서 촬영된 사진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이미지는 반드시 3차원 모델 생성을 위한 목적으로 촬영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단순히 의상의 앞면과 뒷면이 잘 보이는 이미지이면 족하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이미지는 온라인 쇼핑몰이나 브랜드 웹 사이트 등에 사용되는 사진이거나, 이러한 사진의 촬영 시 함께 촬영된 사진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의상의 종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S2), 미리 저장된 3차원 베이스 모델 중 의상의 종류에 기초하여 선택된 베이스 모델을 로딩(loading)할 수 있다(S3).
도 4는 의상의 종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의상의 다양한 종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비한정적인 예시로서, 사용자는 의상이 남성 의류 또는 여성 의류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긴팔 티셔츠, 터틀넥 셔츠, 긴팔 셔츠, 반팔 티셔츠, 피케(pique) 셔츠, 긴바지, 중간 길이의 치마, 반바지, 미니 스커트, 반팔 중간 길이 드레스, 반팔 미니 드레스, 긴팔 드레스, 재킷(jacket), 코트(coat) 등과 같은 구체적인 의상의 종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DB에는 각 종류의 의상에 대응되는 베이스 모델이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의상의 종류에 대응되는 베이스 모델을 로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방법에서는 의상의 종류와 무관하게 단 하나의 베이스 모델만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의상의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S2)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의상의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의상의 앞면 이미지와 뒷면 이미지를 각각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컴퓨팅 장치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의상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은 전술한 이미지의 수신 단계(S1)와 일체로서 수행될 수도 있으며,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도시된 것과 상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 실시예서는 특징점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S4). 특징점은 의상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함으로써 의상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할 때 참조가 될 수 있는 이미지상의 지점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특징점은 의상의 끝 부분(예컨대, 소매 끝, 목 부분, 밑단 등)이나, 의상 중 신체 특이점과 연관된 부분(예컨대, 어깨 위, 겨드랑이, 허리)이나, 의상의 외곽선 상에서 이들 사이의 중간점, 또는 다른 적절한 지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의상 이미지에서 해당 의상의 특성을 나타내기에 적합한 지점들을 선택할 수 있다. 특징점의 선택은 전적으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며, 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 지점들(예컨대, 전술한 의상 끝 부분, 관절 부분 및 중간점 등)을 자동적으로 추출하여 특징점으로 지정할 수도 있으며, 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 지점들을 일단 로딩하고 필요할 경우 사용자가 이를 수정하는 방식으로 특징점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특징점에 기초하여 베이스 모델을 변형시킴으로써 의상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S5). 구체적으로는, 3차원인 베이스 모델을 평면상에 투영하였을 때 베이스 모델의 외곽선이 전술한 특징점들 사이를 잇는 선분의 집합과 최대한 근접하도록 베이스 모델을 수정할 수 있다. 상기 작업은 의상의 앞면 이미지 및 뒷면 이미지 각각과 베이스 모델을 비교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의상의 앞면 이미지에 특정점을 지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며, 도 7a 내지 7c은 도 6의 특징점에 기초하여 베이스 모델을 변형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이와 유사하게, 도 8은 의상의 뒷면 이미지에 특정점을 지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며, 도 9a 내지 9c는 도 8의 특징점에 기초하여 베이스 모델을 변형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의상 이미지상에 원으로 표시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지정할 수 있으며, 각 특징점은 의상 끝 부분(특징점 0, 3, 4, 8, 9, 13, 14, 16), 신체 특이점에 연관된 부분(특징점 2, 5, 6, 11, 12, 15), 의상의 외곽선 상에서 이들 사이의 중간 지점(특이점 1, 7, 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a및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술한 각 특징점들을 연결한 선분이 베이스 모델의 2차원 투영과 최대한 근접하도록 베이스 모델을 변형시킬 수 있다. 도 7a 및 도 9a에서 베이스 모델의 2차원 투영은 흰색으로 도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음으로 변형된 베이스 모델과 의상 이미지를 매칭시킬 수 있다(S6). 이때, 의상 이미지는 2차원인 반면 베이스 모델은 3차원이므로, 특징점을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생성하더라도 2차원 이미지가 베이스 모델의 표면에 완전히 정합되지 않고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의상 이미지를 확장시켜 의상 이미지가 3차원 모델의 모든 표면을 덮도록 의상 이미지를 변형시킨다(S7). 의상 이미지의 확장이란 기존 이미지의 색상 및 패턴을 이용하여 이와 연속적인 색상 및 패턴을 이미지의 인접 영역들에 부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이미지 처리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어, 3차원 베이스 모델과 2차원 의상 이미지 사이의 오차는 도 7a 및 도 9a에서 3차원 모델을 2차원에 투영한 흰색 윤곽이 의상 이미지를 벗어난 영역으로 도시된다. 이때, 도 7b 및 9b는 전술한 의상 이미지의 확장(또는, 자동 채움(auto filling)이라고도 지칭함)에 의하여 3차원 모델과 이미지를 정합시키는 중간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c 및 9c는 의상 이미지가 최종적으로 확장되어 3차원 모델을 2차원에 투영한 흰색 윤곽이 의상 이미지를 벗어난 영역이 완전히 사라진 형태를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은 상기 과정을 다른 시점에서 나타내는 이미지로서, 먼저 도 10a 및 10b는 2차원 의상 이미지가 3차원 모델에 완전히 정합되지 않아서 3차원 모델의 표면에 의상 이미지로 덮이지 않은 부분(흰색으로 도시됨)이 남아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 전술한 의상 이미지의 확장(또는, 자동 채움) 과정(S7)을 수행함으로써 도 11a 및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2차원 의상 이미지가 3차원 모델의 모든 표면을 완전히 덮도록 정합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도 11a 및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최종 생성된 3차원 모델을 관찰하고 오류가 없을 경우 해당 모델을 의상의 3차원 모델로 확정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로부터 3차원 모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세부 부분에 연관된 치수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3차원 모델을 더 변형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의상의 밑단 길이를 조절하거나, 목 트임 정도를 조절하거나, 목 부분의 위치를 조절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치수 정보를 이용한 미세 조정은 이미지와 결합된 최종 3차원 모델을 대상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이미지와 결합되기 전의 베이스 모델을 변형시키는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는 의상 이미지와 결합된 3차원 모델을 외부 장치, 예컨대, 온라인 쇼핑몰 서버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에 전송할 수도 있다(S8). 도 12는 3차원 모델을 외부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으로, 의상의 3차원 모델에 대해 관련 정보, 예컨대, 식별코드, 아이콘, 설명, 가격 및 통화, 이름, 카테고리, 크기, 브랜드, 색상, 성별 등을 부여하여 외부 장치에 업로드(upload)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온라인 쇼핑몰 웹 사이트 또는 사용자 장치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판매자가 제공하는 의상을 열람하다가, 관심 있는 의상이 있을 경우 의상의 3차원 모델을 다운로드(download)하여 자신의 아바타에 입혀봄으로써 가상 피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기록매체에는 의상의 물리적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며,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의상의 2차원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수신부;
    미리 저장된 베이스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모델 생성부; 및
    상기 3차원 모델의 표면에 상기 이미지가 정합되도록 상기 이미지를 변형시켜 상기 3차원 모델에 상기 이미지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매칭부를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생성부는,
    하나 이상의 베이스 모델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베이스 모델 중 선택된 하나의 베이스 모델을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3차원 모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모델 변형부를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생성부는, 상기 베이스 모델에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의상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하나의 베이스 모델은 상기 의상의 종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이미지상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포함하며,
    상기 모델 변형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베이스 모델을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3차원 모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변형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위치하는 선과 상기 이미지 사이의 간극으로 인한 오차를 보정하도록 상기 베이스 모델을 변형시키도록 더 구성된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3차원 모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세부 부분에 연관된 치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모델 변형부는, 생성된 상기 3차원 모델을 상기 치수 정보에 기초하여 변형시키도록 더 구성된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상기 이미지가 상기 3차원 모델의 모든 표면을 덮도록 상기 이미지를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3차원 모델에 상기 이미지를 결합시키도록 더 구성된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와 결합된 상기 3차원 모델을 판매자 장치 또는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의상의 정면 이미지 및 의상의 후면 이미지를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11. 컴퓨팅 장치가, 의상의 2차원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미리 저장된 베이스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3차원 모델의 표면에 상기 이미지가 정합되도록 상기 이미지를 변형시켜 상기 3차원 모델에 상기 이미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베이스 모델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하나의 베이스 모델을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하는 단계 전에, 사용자로부터 의상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의상의 종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할 베이스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상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베이스 모델을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모델을 변형시키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위치하는 선과 상기 이미지 사이의 간극으로 인한 오차를 보정하도록 상기 베이스 모델을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3차원 모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세부 부분에 연관된 치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3차원 모델을 상기 치수 정보에 기초하여 변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모델에 상기 이미지를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가 상기 3차원 모델의 모든 표면을 덮도록 상기 이미지를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와 결합된 상기 3차원 모델을 판매자 장치 또는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방법.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의상의 정면 이미지 및 의상의 후면 이미지를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방법.
  20.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의상의 2차원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베이스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모델의 표면에 상기 이미지가 정합되도록 상기 이미지를 변형시켜 상기 3차원 모델에 상기 이미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14435A 2015-08-13 2015-08-13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67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435A KR101767144B1 (ko) 2015-08-13 2015-08-13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435A KR101767144B1 (ko) 2015-08-13 2015-08-13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917A true KR20170019917A (ko) 2017-02-22
KR101767144B1 KR101767144B1 (ko) 2017-08-11

Family

ID=5831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435A KR101767144B1 (ko) 2015-08-13 2015-08-13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1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6174A (zh) * 2017-12-31 2018-07-31 广州都市圈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支持单模型交互的三维模型合并方法
KR102370255B1 (ko) * 2021-05-28 2022-03-04 주식회사 문화새움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750B1 (ko) * 2019-11-11 2022-02-2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상자의 자세 추정 및 변경을 사용한 이미지 기반 가상의상 착용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US11100725B2 (en) 2019-11-28 2021-08-24 Z-Emotion Co., Ltd. Three-dimensional (3D) modeling method of cloth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820A (ko)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 모델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피팅 방법 및 가상 아이템의 피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40116585A (ko) 2013-03-25 2014-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인식을 이용하여 가상 피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피팅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838B1 (ko) * 2009-12-28 2012-03-06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성향을 반영한 과장표정 생성방법
KR101508161B1 (ko) * 2013-04-19 2015-04-07 주식회사 버추어패브릭스 디지털 서로게이트를 이용한 가상 피팅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820A (ko)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 모델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피팅 방법 및 가상 아이템의 피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40116585A (ko) 2013-03-25 2014-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인식을 이용하여 가상 피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피팅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6174A (zh) * 2017-12-31 2018-07-31 广州都市圈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支持单模型交互的三维模型合并方法
KR102370255B1 (ko) * 2021-05-28 2022-03-04 주식회사 문화새움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144B1 (ko)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18318A1 (en) Processing user selectable product images and facilitating visualization-assisted virtual dressing
CN110609617B (zh) 虚拟镜子的装置、系统和方法
US20190244407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of virtual dressing utilizing image processing, machine learning, and computer vision
US20210090209A1 (en) Virtual presentations without transformation-induced distortion of shape-sensitive areas
US11836862B2 (en) External mesh with vertex attributes
US20220327709A1 (en) Garment segmentation
US11663792B2 (en) Body fitted accessory with physics simulation
US11908083B2 (en) Deforming custom mesh based on body mesh
KR101767144B1 (ko)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GB2523029A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virtual body models for garment fit visualisation
WO2023034832A1 (en) Controlling interactive fashion based on body gestures
US201602675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Sharing Online Images of Merchandise
US20160071321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US11854069B2 (en) Personalized try-on ads
CN107609946B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计算设备
US20240096040A1 (en) Real-time upper-body garment exchange
US20240013463A1 (en) Applying animated 3d avatar in ar experiences
WO2023121897A1 (en) Real-time garment exchange
WO2023121896A1 (en) Real-time motion and appearance transfer
WO2022137307A1 (ja) 仮想試着方法、仮想試着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40037858A1 (en) Virtual wardrobe ar experience
US20240161242A1 (en) Real-time try-on using body landmarks
KR20130010300A (ko) 아바타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착장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24010800A1 (en) Applying animated 3d avatar in ar experiences
WO2024107634A1 (en) Real-time try-on using body landma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