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300A - 아바타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착장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바타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착장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300A
KR20130010300A KR1020110071012A KR20110071012A KR20130010300A KR 20130010300 A KR20130010300 A KR 20130010300A KR 1020110071012 A KR1020110071012 A KR 1020110071012A KR 20110071012 A KR20110071012 A KR 20110071012A KR 20130010300 A KR20130010300 A KR 20130010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vatar
user
providing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7553B1 (ko
Inventor
문상원
Original Assignee
문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원 filed Critical 문상원
Priority to KR1020110071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553B1/ko
Publication of KR20130010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04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 G06N3/006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based on simulated virtual individual or collective life forms, e.g. social simulations or particle swarm optimisation [PS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아바타 제공 시스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영역 내에 촬영된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바타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착장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FASHION COORDINATION IMAGE IN ONLINE SHOPPING MALL USING AVATAR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아바타를 이용하여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착장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실물 이미지를 본 뜬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아바타 이미지 상에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아이템 이미지를 오버레이한 착장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구매자가 발품을 팔지 않고도 상품을 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쇼핑몰이 활성화되고 있다. 특히, 패션 아이템, 예를 들어, 액세사리, 의류, 가발 등의 가격과 디자인을 비교하고 즉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쇼핑몰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패션 아이템 온라인 쇼핑몰에서 쇼핑하는 사람들의 최대 관심사는 자신이 구매한 패션 아이템이 자신과 잘 어울리는지 여부이다. 오프라인 매장과 달리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패션 아이템을 직접 착용해 볼 수 없기 때문에, 구매자는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패션 아이템 구매를 주저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아이템을 착용시킨 피팅 모델 이미지를 제공하나, 구매자는 피팅 모델과 체격, 사이즈, 피부 톤이 달라 피팅 모델 이미지만을 보고 구매의욕을 갖기 어렵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몰 구현시, 구매자 자신이 직접 패션 아이템을 착용해본 것과 같은 가상 이미지를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는 데 있어,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실물에 대응되는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패션 아이템 이미지를, 아바타 이미지 상에 오버레이한 착장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바타 제공 시스템의 적은 부하와 자원으로 아바타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장 이미지 제공 시스템의 적은 부하와 자원으로, 착장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아바타 제공 시스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영역 내에 촬영된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설정된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가, 포즈를 취하고 있는 임의의 모델 이미지 형상을 커버하는 영역을 촬영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모델 이미지와 함께 상기 설정된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는가, 상기 사용자에게, 촬영 포즈를 취하고 있는 모델 이미지를 하나 이상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모델 이미지 중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모델 이미지 포즈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설정된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정된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된 모델 이미지와 함께 상기 설정된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가, 상기 사용자에게 임의의 폐곡선 형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폐곡선 형상을 조정받는 단계, 상기 조정된 폐곡선 형상의 내부 영역을 상기 촬영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설정된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추출된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분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일부분의 이미지를 편집하여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택된 일부분의 이미지를 편집하여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된 일부분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일부분의 이미지 중 제거될 영역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영역을 상기 선택된 일부분의 이미지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제거된 이미지를 상기 아바타 이미지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장 이미지를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에서, 아바타 이미지를 이용하여, 착장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아바타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아바타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아이템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부여된 표시레벨에 따라, 상기 아바타 이미지 상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 이미지의 오버레이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 이미지 상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오버레이 순서 및 위치에 따라, 상기 아바타 이미지 상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착장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택된 아이템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부여된 피팅 포인트에 대응되는 피팅 포인트가 상기 아바타 이미지에 부여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피팅 포인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피팅 포인트를 상기 아바타 이미지의 피팅 포인트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부여된 피팅 포인트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아바타 이미지의 피팅 포인트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택된 아이템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부여된 피팅 포인트에 대응되는 피팅 포인트가 상기 아바타 이미지에 부여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아바타 이미지 상에서의 상기 선택된 아이템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택된 아이템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수신된 아이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부여된 피팅 포인트의 위치와 상기 아바타 이미지가 겹치는 위치를 상기 아바타 이미지의 피팅 포인트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택된 아이템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부여된 피팅 포인트에 대응되는 피팅 포인트가 상기 아바타 이미지에 부여된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부여된 피팅 포인트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아바타 이미지의 피팅 포인트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아바타 이미지를 제공하는 아바타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에게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촬영 영역 제공부,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 영역 내에 촬영된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는 아바타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바타 제공 시스템과 연동하는, 착장 이미지를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으로서, 상기 아바타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아바타 이미지를 수신하는, 아바타 관리부, 상기 사용자에게 아이템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아이템 목록에 포함된 아이템을 선택받는, 아이템 관리부, 및 상기 아바타 관리부로부터 상기 아바타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아이템 관리부로부터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수신하는 착장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장 이미지 생성부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부여된 표시레벨에 따라, 상기 아바타 이미지 상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 이미지의 오버레이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아바타 이미지 상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오버레이 순서 및 위치에 따라, 상기 아바타 이미지 상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착장 이미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실물에 대응되는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고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패션 아이템 이미지를, 아바타 이미지 상에 오버레이한 착장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바타 제공 시스템의 적은 부하와 자원으로 아바타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장 이미지 제공 시스템의 적은 부하와 자원으로, 착장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장 이미지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아바타 이미지를 제공하는 과정, 및 온라인 쇼핑몰에서 아이템 이미지를 착장한 아바타 이미지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2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바이스 표시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장 이미지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서술하기에 앞서, 다음과 같은 용어를 정의한다. "아바타"란 채팅, 쇼핑몰, 온라인 게임 등에서 사용자를 대신하는 가상육체를 지칭하는 용어이며, 사용자의 실물 모습과 동일한 모습을 가지고, 사용자 가상 육체의 일부, 예를 들어, 두상, 상반신 등도 포함하는 용어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 제공 시스템 (100) 은 사용자의 실물 이미지를 본뜬 아바타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아바타 제공 시스템 (100) 은, 사용자와 통신 가능하고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일체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카메라 장비, PC(Personal Computer),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폰, 노트북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아바타 제공 시스템 (100) 은, 촬영 영역 제공 모듈 (110), 촬영 모듈 (120), 아바타 생성 모듈 (130), 아바타 저장 및 제공 모듈 (140), 및 인터페이스 모듈 (150) 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들은 서로 통신가능하다.
사용자의 실물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아바타 제공 시스템 (100) 은 사용자를 촬영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촬영을 위해 촬영 영역 제공 모듈 (110) 은 사용자에게 촬영 영역을 제공한다.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촬영 영역"은, 사용자를 촬영한 이미지에서, 사용자 이미지를 배경 이미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이다. 예를 들어, 폐곡선으로 촬영 영역을 설정하면, 폐곡선의 내부에 피사체가 들어오도록 촬영할 수 있으며, 또는 도 7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불투명하게 처리하여 촬영 영역 내부에 피사체가 들어오도록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이미지에서 촬영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배경 영역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영역의 형상 (shape) 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변형될 수 있는데,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의 정보, 예를 들어, 성별, 연령, 체형 (예를 들어, 뚱뚱함, 보통, 마름 등) 또는 헤어스타일 등을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일반적으로 예상되는 체형을 커버하는 영역을 촬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 세 마른 체형의 여성인 경우, 20 세 마른 체형 여성의 평균 신체 사이즈를 참고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유추할 수 있고, 상기 체형을 커버하는 영역을 촬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영역 제공 모듈 (110) 은, 포즈를 취하고 있는 모델 이미지를 커버할 수 있는 영역을 촬영 영역으로 설정하거나, 포즈를 취한 모델 이미지 하나 이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모델 이미지의 포즈에 따라 촬영 영역의 형상을 설정할 수 있으며, 촬영 영역 설정에 사용된 모델 이미지를 상기 촬영 영역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촬영 영역 내에 촬영될 수 있도록, 함께 제공된 모델 이미지의 포즈를 따라 포즈를 취하기만 하면 되므로, 촬영 영역 내의 사용자 이미지 촬영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촬영 영역의 형상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다.
촬영 모듈 (120) 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모듈이며, 자동 촬영 (예를 들어, 타이머를 설정하여 일정 시간 이후 자동으로 촬영) 또는 수동 촬영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촬영 영역에 맞춰 포즈를 취하고, 촬영 모듈 (120) 은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한다.
아바타 생성 모듈 (130) 은, 촬영 모듈 (120) 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실물 이미지를 수신하고, 편집하여 아바타를 생성한다. 아바타를 생성하는 일련의 동작은 이하에서 상세히 서술한다.
아바타 저장 및 제공 모듈 (140) 은, 아바타 생성 모듈 (130) 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 이미지를 저장하며, 아바타 제공 시스템 (100) 내부 또는 외부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아바타 이미지를 제공한다.
인터페이스 모듈 (150) 은, 아바타 제공 시스템 (100) 과 외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모듈 (150) 은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며,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촬영 장비의 렌즈, 디스플레이 화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모듈 (150) 은,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200) 과의 상호작용도 가능하게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200) 은, 사용자에게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200) 은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아이템을 구매하기 이전에 해당아이템 이미지를 사용자 자신의 아바타 이미지 상에 착장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200) 은, 아바타 관리 모듈 (210), 아이템 관리 모듈 (220), 착장 이미지 생성 모듈 (230), 제어 모듈 (240) 및 인터페이스 모듈 (250) 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들은 서로 통신가능하다.
아바타 관리 모듈 (210) 은, 아바타 이미지를 요청하고 저장하는 모듈로서, 사용자가 선택한 패션 아이템이 자신과 어울리는지 궁금해하는 경우, 아바타 제공 시스템 (100) 으로 아바타 이미지를 요청하고 착장 이미지 모듈 (230) 로 제공하며, 또한 이미 저장된 아바타 이미지가 있는 경우 저장된 아바타 이미지를 착장 이미지 모듈 (230) 로 제공한다.
아이템 관리 모듈 (220) 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패션 아이템들의 목록을 저장하고 있으며, 특히, 패션 아이템들 중, 아바타 이미지 상에 오버레이할 패션 아이템들의 목록을 판매자들로부터 등록받고 그 목록을 저장한다. 또한, 아이템 관리 모듈 (220) 은, 상기 아이템들의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가 착장 이미지를 원하는 경우 상기 아이템들의 이미지를 착장 이미지 모듈 (230) 로 제공할 수 있다. 아이템 각각에는 표시레벨 및 피팅 (fitting) 포인트 정보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아이템 관리 모듈 (220) 은 각 아이템의 표시레벨 및 피팅 포인트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표시레벨"은 아이템이 아바타 이미지와 결합할 때, 오버레이되는 순서로서, 예를 들어, 아바타 이미지의 표시레벨을 0 으로 설정하면, 티셔츠 아이템의 표시레벨은 1, 바지 아이템의 표시레벨은 2, 외투 아이템의 표시레벨은 3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티셔츠의 이미지 상에 바지의 이미지가 오버레이되고, 그 위에 외투의 이미지가 오버레이 된다. 만약 동일한 표시레벨을 갖는 아이템 이미지가 아바타 이미지와 결합한다면, 나중에 아바타 이미지와 결합한 아이템 이미지가 먼저 결합한 아이템 이미지 상에 오버레이될 수 있다. 또한 "피팅 포인트" 정보는, 아바타 이미지 상에 아이템 이미지를 배치시키는 지점과 관련된 정보로서, 일반적으로, 동일한 위치 레벨을 갖는 아이템 이미지는 동일한 피팅 포인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투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아이템 이미지들은 외투의 양 어깨와 팔이 이어지는 지점, 및 아이템 이미지 테두리 상의 허리 지점에 피팅 포인트가 설정되고, 상기 피팅 포인트 위치 정보는 피팅 포인트 정보로서 아이템 관리 모듈 (220) 에 저장된다.
착장 이미지 생성 모듈 (230) 은, 사용자가 자신의 아바타 이미지 상에 패션 아이템을 착장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모듈이다. 사용자가 패션 아이템을 선택하면, 선택된 패션 아이템 이미지의 표시레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 이미지 상에 오버레이된다. 처음 아바타 이미지 상에 패션 아이템을 착장하는 경우, 사용자는 수동으로 패션 아이템의 위치를 아바타 이미지 상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해야 하나, 이후, 처음 착장된 패션 아이템과 동일한 표시레벨을 갖고 있는 다른 패션 아이템은 자동으로 아바타 이미지에 착장될 수 있다. 즉, 착장 이미지 생성 모듈 (230) 은 특정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해 특정 아이템이 착장된 경우, 상기 특정 아이템의 피팅 포인트의 위치와 아바타 이미지가 겹치는 위치를 상기 아바타 이미지의 피팅 포인트 정보로 저장해두었다가, 이후 상기 특정 아이템과 동일한 표시레벨을 갖는 다른 아이템 이미지가 착장될 경우, 상기 다른 패션 아이템의 피팅 포인트를 상기 아바타 이미지의 피팅 포인트의 위치와 일치시키도록 상기 패션 아이템 이미지를 위치시키면, 간단하게 상기 다른 패션 아이템 이미지를 착장한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서술한다.
제어 모듈 (240) 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일반적으로 기대되는 제반 동작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즉, 제어 모듈 (240) 은 사용자의 아이템의 구매 관련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 (240) 은, 인터페이스 모듈 (250) 을 통해 사용자에게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듈 (미도시), 또는, 사용자가 특정 아이템을 구매한 경우 구매를 위한 결제 모듈 (미도시), 구매된 아이템의 배송 처리를 위한 배송 모듈 (미도시) 등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아이템의 구매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 (250) 은,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200) 의 외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모듈이며,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모듈 (250) 은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며,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촬영 장비의 카메라 렌즈, 디스플레이 화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모듈 (250) 은, 예를 들어, 아바타 제공 시스템 (200) 과의 상호작용도 가능하게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바타를 생성하고, 생성된 아바타 이미지 상에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아이템 이미지를 착장하여 착장 이미지를 제공하는 착장 이미지 제공 시스템 (300) 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착장 이미지 제공 시스템 (300) 은, 아바타 제공 시스템 (100) 및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200) 을 포함하며, 아바타 제공 시스템 (100) 과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200) 은 무선 또는 유선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통신할 수 있다. 또한, 아바타 제공 시스템 (100) 과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200) 은 일체 (一體) 로서 구성되어 착장 이미지 제공 시스템 (300) 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e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아바타 이미지를 제공하는 과정, 및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아이템을 착장한 아바타 이미지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흐름도는 도 5 내지 도 20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표시화면의 예시도와 함께 서술된다.
사용자가 아바타를 생성하고자 하면, 아바타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촬영 영역을 제공한다 (단계 410). 이때, 사용자들마다 다양한 체형을 갖고 있으므로 사용자 각각에 맞는 촬영 영역을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여러가지를 질의한다. 도 4c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아바타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도록 한다 (단계 411). 예를 들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성별, 나이, 체격, 헤어 스타일 등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정보마다 기대되는 평균 체형을 사용자의 체형으로 결정하고, 상기 체형을 커버하는 촬영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러가지 촬영 포즈를 취한 모델들의 이미지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촬영시의 포즈를 선택하게 한다 (단계 412). 예를 들어, 도 6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호하는 포즈를 선택하도록 다양한 포즈를 취한 모델들의 이미지를 제공한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 및 포즈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촬영 영역을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는, 촬영 영역이 사용자의 모습을 커버하기에는 좁은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거나 불필요하게 넓은 영역을 커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단계 413),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촬영 영역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414). 예를 들어, 제공된 촬영 영역의 스케일을 사용자로 하여금 증감시키도록 하는 방법으로 촬영 영역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촬영 영역은, 일 예로서 도 7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영역이 불투명하게 처리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촬영 영역은, 사용자에게 제공될 때, 사용자가 포즈를 취할 때 참고할 수 있는, 포즈를 취한 모델의 이미지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에서 선택된 모델의 이미지를, 도 7b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영역과 함께 화면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사진을 찍을 때 모델의 포즈를 따라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듯 제공된 촬영 영역을 참고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모습을 촬영한다 (단계 420). 촬영 영역을 설정하지 않은 채 찍은 이미지는, 도 8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나, 촬영 영역을 설정하여 촬영한 이미지는 도 8b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도 8b 와 같이 촬영된 이미지를 편집하여 원하는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430). 이하에서는 편의상 사용자 실물 이미지 중 상반신 부분을 아바타로 만드는 과정에 대해 서술한다.
촬영 영역을 적용하여 촬영된 이미지에서, 촬영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투명처리하거나, 단색처리하거나, 제거한다 (단계 431). 예를 들어 도 9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영역 외부를 투명 처리한 촬영 영역 내의 이미지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촬영 영역 내의 이미지로부터 사용자는, 원하는 부위의 아바타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도 10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촬영 영역 내의 이미지에서 원하는 부분 영역 (도 10 에서는 허벅지 윗부분의 영역; 흑색 직사각형 프레임 내부 영역) 을 설정할 수 있으며, 도 1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아바타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 영역 이외의 영역을 제거한다. 그 결과 획득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이미지 편집 툴을 이용하여 자신의 아바타 이미지를 섬세하게 편집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편집하고자 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섬세하게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편집 툴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도 1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O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그림판의 지우개 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 (1200) 로 하여금 제거하고 싶은 부분 (1220) 을 (필요한 경우 상기 부분 (1220) 을 확대시킨 이미지 (1230) 로 제공하여) 제거 (1210) 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아바타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433). 그 결과 도 13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최종 아바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많은 경우, 신체 일부와 관련된 패션 아이템을 쇼핑하는 경우가 많고, 따라서 전신의 아바타 이미지보다는 신체 일부분의 아바타 이미지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서는 전신 아바타를 획득할 필요가 없는 경우, 과감하게 필요한 신체 부위에 해당하는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하여 시스템 전체의 부하를 줄이고 시스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상술된 과정에 따라 생성된 아바타 이미지는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 4b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은 아바타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아바타 이미지를 입력받고 (단계 450), 사용자가 아이템을 선택하면 (단계 460), 아바타 이미지에 아이템을 착장한 이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단계 470). 사용자는 착장 이미지를 보고 해당 아이템을 구매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은 도 13 의 아바타 이미지를 입력받고, 도 14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패션 아이템들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아이템들 각각은 대응되는 표시레벨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각 아이템이 아바타 이미지 상에 어떻게 오버레이되는지 결정된다. 또한 각 아이템들은 피팅포인트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아바타 이미지 상의 적절한 위치에 아이템 이미지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4 에서 도시된 외투 카테고리에 포함된 여러 외투들 중에서 사용자가 "핑크 자켓"을 선택한 경우,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은 도 15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핑크 자켓"의 이미지를 아바타 이미지에 착장해볼 것인지를 질의한다. 사용자가 "핑크 자켓"을 착장해보는 것을 선택한 경우 (도 15 에서 "입어보기" 를 선택한 경우) 도 4e 에 도시된 일련의 과정이 진행된다. 먼저, "핑크 자켓" 아이템과 관련하여, 아바타 이미지에 부여된 피팅 포인트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471). 즉, "핑크 자켓"의 경우 외투 카테고리에 포함되므로, 외투 이미지를 아바타 이미지 상에 착장하였을 때 적용되는 피팅 포인트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피팅 포인트 정보가 없는 경우 (즉, 처음 외투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을 착장해보는 경우),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핑크 자켓"을 아바타 이미지 상에 적절히 배치하도록 한다 (단계 472). 도 16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착장 이미지가 생성되면, 사용자에게 상기 착장 이미지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아이템을 구매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술된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아바타 이미지에 피팅 포인트가 부여되지 아니한 경우, 사용자가 아바타 이미지 상에 피팅 포인트가 될 지점을 찍어, 피팅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외투 카테고리의 아이템이 적용된 착장 이미지가 한번 생성되면, 외투 카테고리 아이템과 관련된 피팅 포인트 정보를 아바타 이미지에 대해 생성할 수 있다 (단계 472). 즉, 도 17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핑크 자켓"에 포함되는 피팅 포인트 (1720) 위치와 겹치는 아바타 이미지의 위치에 피팅 포인트 (1730) 를 설정한다. 이후, 동일 사용자가 외투 카테고리에서 아이템을 선택하여 착장 이미지를 생성할 때, 아이템 이미지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없이 아이템 이미지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아이템 이미지가 아바타 이미지 상의 적절한 위치에 오버레이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핑크 자켓"과 동일한 표시레벨을 갖는 외투 카테고리에 포함된, 도 18 에 도시된 "훈장 자켓"을 착장하는 경우,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바타 이미지 (1900) 및 "훈장 자켓" 아이템 이미지 (1910) 모두 피팅 포인트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시스템은 상기 이미지들 (1900 및 1910) 의 피팅 포인트가 겹치도로 아바타 이미지 (1900) 및 훈장 자켓 이미지 (1910) 를 오버레이하여 착장 이미지 (1920) 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아이템 이미지를 아바타 이미지 상에 오버레이할 때 상기 아이템 이미지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다. 이렇게 형성된 착장 이미지는 도 20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술된 피팅 포인트 정보는, 아이템 이미지가 아바타 이미지에 적용되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한의 위치 좌표 정보를 포함하면 족하다. 예를 들어, 도 17 및 도 19 의 "핑크 자켓" 및 "훈장 자켓"과 같은 외투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아이템들은, 양 어깨 끝부분, 아이템 이미지 테두리에서의 허리 부분이 아바타 이미지와 피팅되기만 하면, 상기 아이템들의 이미지를 어색함없이 아바타 이미지 상에 오버레이할 수 있으므로, 해당 위치에 관한 정보 (도 17 또는 도 19 에 도시된 빨간 점의 위치 정보) 를 피팅 포인트 정보로 갖고 있으면 족하다. 즉, 아이템에 피팅 포인트 정보를 최소한으로 부여하여 착장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당업자는 여기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을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대체 가능성을 분명히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인 단계들을 주로 그들의 기능의 관점에서 상술하였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될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 조건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해석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실시예는 본원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그 밖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첨부한 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100 : 아바타 제공 시스템
110 : 촬영 영역 제공 모듈 120 : 촬영 모듈
130 : 아바타 생성 모듈 140 : 아바타 저장 및 제공 모듈
150 : 아바타 제공 시스템 인터페이스 모듈
200 :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210 : 아바타 관리 모듈 220 : 아이템 관리 모듈
230 : 착장 이미지 생성 모듈 240 : 제어 모듈
250 :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인터페이스 모듈
300 : 착장 이미지 제공 시스템

Claims (15)

  1.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아바타 제공 시스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영역 내에 촬영된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바타 이미지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설정된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바타 이미지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는,
    포즈를 취하고 있는 임의의 모델 이미지 형상을 커버하는 영역을 촬영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모델 이미지와 함께 상기 설정된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바타 이미지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촬영 포즈를 취하고 있는 모델 이미지를 하나 이상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모델 이미지 중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모델 이미지 포즈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설정된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바타 이미지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된 모델 이미지와 함께 상기 설정된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바타 이미지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임의의 폐곡선 형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폐곡선 형상을 조정받는 단계;
    상기 조정된 폐곡선 형상의 내부 영역을 상기 촬영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설정된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바타 이미지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추출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추출된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분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일부분의 이미지를 편집하여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바타 이미지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일부분의 이미지를 편집하여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된 일부분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일부분의 이미지 중 제거될 영역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영역을 상기 선택된 일부분의 이미지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제거된 이미지를 상기 아바타 이미지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바타 이미지 제공 방법.
  9. 착장 이미지를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에서, 제 1 항의 아바타 이미지 제공 방법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 이미지를 이용하여, 착장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아바타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아바타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아이템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부여된 표시레벨에 따라, 상기 아바타 이미지 상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 이미지의 오버레이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 이미지 상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오버레이 순서 및 위치에 따라, 상기 아바타 이미지 상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착장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장 이미지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부여된 피팅 포인트에 대응되는 피팅 포인트가 상기 아바타 이미지에 부여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피팅 포인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피팅 포인트를 상기 아바타 이미지의 피팅 포인트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부여된 피팅 포인트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아바타 이미지의 피팅 포인트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장 이미지 제공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부여된 피팅 포인트에 대응되는 피팅 포인트가 상기 아바타 이미지에 부여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아바타 이미지 상에서의 상기 선택된 아이템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장 이미지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아이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부여된 피팅 포인트의 위치와 상기 아바타 이미지가 겹치는 위치를 상기 아바타 이미지의 피팅 포인트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장 이미지 제공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부여된 피팅 포인트에 대응되는 피팅 포인트가 상기 아바타 이미지에 부여된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부여된 피팅 포인트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아바타 이미지의 피팅 포인트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장 이미지 제공 방법.
  14. 사용자의 아바타 이미지를 제공하는 아바타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에게 촬영 영역을 제공하는, 촬영 영역 제공부;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 영역 내에 촬영된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는 아바타 생성부를 포함하는, 아바타 제공 시스템.
  15. 제 14 항의 아바타 제공 시스템과 연동하는, 착장 이미지를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으로서,
    상기 아바타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아바타 이미지를 수신하는, 아바타 관리부;
    상기 사용자에게 아이템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아이템 목록에 포함된 아이템을 선택받는, 아이템 관리부; 및
    상기 아바타 관리부로부터 상기 아바타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아이템 관리부로부터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수신하는 착장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장 이미지 생성부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부여된 표시레벨에 따라, 상기 아바타 이미지 상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 이미지의 오버레이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아바타 이미지 상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오버레이 순서 및 위치에 따라, 상기 아바타 이미지 상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착장 이미지를 생성하는, 착장 이미지 제공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KR1020110071012A 2011-07-18 2011-07-18 아바타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착장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77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012A KR101277553B1 (ko) 2011-07-18 2011-07-18 아바타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착장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012A KR101277553B1 (ko) 2011-07-18 2011-07-18 아바타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착장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300A true KR20130010300A (ko) 2013-01-28
KR101277553B1 KR101277553B1 (ko) 2013-06-21

Family

ID=47839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012A KR101277553B1 (ko) 2011-07-18 2011-07-18 아바타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착장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5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182B1 (ko) * 2022-10-25 2023-10-19 김영 2d 가상 코디룸과 연계된 쇼핑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581B1 (ko) * 2004-08-18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션 코디네이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코디네이션 방법
KR100934475B1 (ko) * 2007-05-09 2009-12-30 김현배 가상 의류 착용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182B1 (ko) * 2022-10-25 2023-10-19 김영 2d 가상 코디룸과 연계된 쇼핑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553B1 (ko)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4078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of virtual dressing utilizing image processing, machine learning, and computer vision
US8818883B2 (en) Personalized shopping avatar
US10991067B2 (en) Virtual presentations without transformation-induced distortion of shape-sensitive areas
US20200118318A1 (en) Processing user selectable product images and facilitating visualization-assisted virtual dressing
WO2019134560A1 (zh) 搭配模型构建方法、服饰推荐方法、装置、介质及终端
CN111787242B (zh) 用于虚拟试衣的方法和装置
US9477980B2 (en) Interactive cubicl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body shape
US202202580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calibration of virtual apparel using stateful neural network inferences and interactive body measurements
US20130173226A1 (en) Garment modeling simulation system and process
KR101725960B1 (ko) 의상 코디 시스템 및 방법
US20050234782A1 (en) Clothing and model image generation, combination, display, and selection
US201201367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Fitting Experience
WO2018048902A1 (en) A system, platform, device and method for personalized shopping
US20130170715A1 (en) Garment modeling simulation system and process
TW201401222A (zh) 具有虛擬試衣功能的電子裝置及虛擬試衣方法
CN107609946B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计算设备
WO2023039462A1 (en) Body fitted accessory with physics simulation
CN111767817B (zh) 一种服饰搭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767144B1 (ko) 의상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2003186965A (ja) 服飾品選択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277553B1 (ko) 아바타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착장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TW201721519A (zh) 虛擬試衣系統及虛擬試衣方法
CN111754297A (zh) 图像共享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200071196A (ko) 얼굴 인식 기반 가상 피팅 시스템
CN110288446A (zh) 一种服装定制方法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