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716A - 인접한 채널들에서의 간섭 제어를 위한 최대 전력 감소 - Google Patents

인접한 채널들에서의 간섭 제어를 위한 최대 전력 감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716A
KR20180095716A KR1020187023012A KR20187023012A KR20180095716A KR 20180095716 A KR20180095716 A KR 20180095716A KR 1020187023012 A KR1020187023012 A KR 1020187023012A KR 20187023012 A KR20187023012 A KR 20187023012A KR 20180095716 A KR20180095716 A KR 20180095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bile device
mitigation
index
en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6353B1 (ko
Inventor
팅팡 지
피터 가알
윌리엄 알. 팬톤
진 퐁
필립 디. 코안
수미트 베르마
에드워드 조지 주니어 티데만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95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04L5/0041Frequency-non-contiguo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04W52/244Interferences in heterogeneous networks, e.g. among macro and femto or pico cells or other sector / system interference [OS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전력 완화 값들을 결정하기 위한 기술들이 기재된다. 전력 완화 값들은, 말단 리소스 블록(RB) 및 인접한 할당의 RB들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양상에서, 전력 완화 값들은, 송신 채널 대역폭들 및 보호된 인접한 채널로부터의 거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영역들로 배열된다. 사용자 장비(UE)는,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길이를 사용하여 자신의 현재의 할당에 대한 전력 완화 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자신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벌브드 노드B들은, UE에 이용가능한 송신 전력을 더 정확히 결정하기 위해 특정한 UE가 선택하는 전력 완화를 추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송신 전력의 더 정확한 추정을 사용하여, eNB는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UE를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인접한 채널들에서의 간섭 제어를 위한 최대 전력 감소{MAXIMUM POWER REDUCTION FOR INTERFERENCE CONTROL IN ADJACENT CHANNELS}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MAXIMUM POWER REDUCTION FOR INTERFERENCE CONTROL IN ADJACENT CHANNELS"로 2012년 1월 1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 61/587,575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그 가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인용에 의해 명백히 포함된다.
본 발명의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접한 채널들에서의 간섭 제어를 위한 최대 전력 감소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광범위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들 무선 네트워크들은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네트워크들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인 그러한 네트워크들은,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통신들을 지원한다. 그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다. UTRAN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지원되는 3세대(3G) 모바일 전화 기술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로서 정의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이다. 다중-액세스 네트워크 포맷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네트워크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네트워크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네트워크들, 직교 FDMA(OFDMA) 네트워크들, 및 단일-캐리어 FDMA(SC-FDMA)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다수의 사용자 장비(UE)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수의 기지국들 또는 노드 B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할 수도 있다.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기지국으로부터 UE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기지국은, 다운링크 상에서 UE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업링크 상에서 UE로부터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운링크 상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은, 이웃 기지국들 또는 다른 무선 라디오 주파수(RF) 송신기들로부터의 송신들로 인해 간섭에 직면할 수도 있다. 업링크 상에서, UE로부터의 송신은, 이웃 기지국들과 통신하는 다른 UE들의 업링크 송신들 또는 다른 무선 RF 송신기들로부터의 간섭에 직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간섭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 둘 모두 상에서의 성능을 열화시킬 수도 있다.
모바일 브로드밴드 액세스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하므로, 간섭 및 혼잡된 네트워크들에 대한 확률들은, 더 많은 UE들이 장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액세스하고 더 많은 단거리 무선 시스템들이 커뮤니티(community)들에 배치됨에 따라 증가한다. 연구 및 개발은, 모바일 브로드밴드 액세스에 대한 증가하는 요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모바일 통신에 관한 사용자 경험을 발전시키고 향상시키기 위해, UMTS 기술들을 계속 발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의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할당된 복수의 리소스 블록(RB)들에서 말단(ending)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결정하는 단계, 및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업링크 송신들을 위한 전력 완화 허용치(allowance)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력 헤드룸 리포트를 eNB에서 수신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에 현재 할당된 복수의 RB들에서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에 기초하여, 전력 완화 허용치들의 표에서 전력 완화 허용치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전력 완화 허용치 및 전력 헤드룸 리포트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용가능한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이용가능한 전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을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은, 서빙 eNB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 표시는 할당된 대역에 대한 강화된(heightened) 방출 제한들을 식별시킴 -, 할당된 복수의 RB들에서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에 기초하여, 전력 완화 허용치들의 표에서 전력 완화 허용치를 식별하는 단계 - 전력 완화 허용치들은, 송신 채널 대역폭 및 인접한 대역으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하여 정의된 복수의 영역들에 대응하고, 식별된 전력 완화 허용치는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와 연관된 복수의 영역들 중 하나에 위치됨 -, 및 표시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할당된 복수의 리소스 블록(RB)들에서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업링크 송신들을 위한 전력 완화 허용치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력 헤드룸 리포트를 eNB에서 수신하기 위한 수단, 모바일 디바이스에 현재 할당된 복수의 RB들에서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에 기초하여, 전력 완화 허용치들의 표에서 전력 완화 허용치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식별된 전력 완화 허용치 및 전력 헤드룸 리포트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용가능한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결정된 이용가능한 전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을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는, 서빙 eNB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표시는 할당된 대역에 대한 강화된 방출 제한들을 식별시킴 -, 할당된 복수의 RB들에서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에 기초하여, 전력 완화 허용치들의 표에서 전력 완화 허용치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 전력 완화 허용치들은, 송신 채널 대역폭 및 인접한 대역으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하여 정의된 복수의 영역들에 대응하고, 식별된 전력 완화 허용치는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와 연관된 복수의 영역들 중 하나에 위치됨 -, 및 표시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프로그램 코드가 레코딩된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도 7-9에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가 기재된다.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할당된 복수의 RB들에서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결정하고,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업링크 송신들을 위한 전력 완화 허용치를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가 기재된다.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력 헤드룸 리포트를 eNB에서 수신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현재 할당된 복수의 RB들에서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를 결정하고,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에 기초하여, 전력 완화 허용치들의 표에서 전력 완화 허용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전력 완화 허용치 및 전력 헤드룸 리포트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용가능한 전력을 결정하며, 그리고 결정된 이용가능한 전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을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가 기재된다.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서빙 eNB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표시를 수신하고 - 표시는 할당된 대역에 대한 강화된 방출 제한들을 식별시킴 -, 할당된 복수의 RB들에서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를 결정하고,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에 기초하여, 전력 완화 허용치들의 표에서 전력 완화 허용치를 식별하며 - 전력 완화 허용치들은, 송신 채널 대역폭 및 인접한 대역으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하여 정의된 복수의 영역들에 대응하고, 식별된 전력 완화 허용치는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와 연관된 복수의 영역들 중 하나에 위치됨 -, 그리고, 표시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기지국/eNB 및 UE의 설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3b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A-MPR 표들을 도시한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4a-4e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A-MPR 표에서 영역들의 엔드포인트 파라미터들을 식별하기 위해 선택되는 데이터 송신들의 그래프들을 도시한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A-MPR 표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6a-6b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A-MPR 표들을 도시한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양상을 구현하도록 실행되는 예시적인 블록들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양상을 구현하도록 실행되는 예시적인 블록들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양상을 구현하도록 실행되는 예시적인 블록들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기재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위한 특정한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이들 특정한 세부사항들이 모든 각각의 경우에서 요구되지는 않으며, 몇몇 예시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프리젠테이션의 명확화를 위해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다는 것은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네트워크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용어들 "네트워크" 및 "시스템" 은 종종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TIA(Telecommunications Industry Association)의 CDMA2000
Figure pat00001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UTRA 기술은 광대역 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CDMA2000
Figure pat00002
은, EIA(Electronics Industry Alliance) 및 TIA로부터의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포함한다. TDMA 네트워크는 모바일 통신들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이벌브드 UTRA(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Flash-OFDMA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UTRA 및 E-UTRA 기술들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이다. 3GPP 롱텀 에볼루션(LTE) 및 LTE-어드밴스드(LTE-A)는, E-UTRA를 이용하는 UMTS의 더 새로운 릴리스들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로 명칭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CDMA2000
Figure pat00003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로 명칭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술들은 상술된 무선 네트워크들 및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 및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명확화를 위해, 기술들의 특정한 양상들은 LTE 또는 LTE-A(대안적으로, "LTE/-A로 함께 지칭됨)에 대해 후술되며, 아래의 설명의 대부분에서 그러한 LTE/-A 용어를 사용한다.
도 1은 LTE-A 네트워크일 수도 있는 통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100)를 도시한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다수의 이벌브드 노드 B들(eNB들)(110)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e노드B는 UE들과 통신하는 스테이션일 수도 있으며, 또한 기지국, 노드 B,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각각의 eNB(110)는 특정한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3GPP에서, 용어 "셀"은, 그 용어가 사용되는 맥락에 의존하여, eNB의 이러한 특정한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eNB 서브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eNB는 매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및/또는 다른 타입들의 셀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매크로 셀은, 비교적 큰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반경이 수 킬로미터)을 커버하며, 네트워크 제공자에 서비스 가입들을 한 UE들에 의한 제약되지 않은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피코 셀은 비교적 더 작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할 것이며, 네트워크 제공자에 서비스 가입들을 한 UE들에 의한 제약되지 않은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펨토 셀은 비교적 작은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홈(home))을 또한 커버할 것이며, 펨토 셀과의 연관성(association)을 갖는 UE들(예를 들어,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 내의 UE들, 홈 내의 사용자들에 대한 UE들 등)에 의한 제약된 액세스를 또한 제공할 수도 있다. 매크로 셀에 대한 eNB는 매크로 eNB로 지칭될 수도 있다. 피코 셀에 대한 eNB는 피코 eNB로 지칭될 수도 있다. 그리고, 펨토 셀에 대한 eNB는 펨토 eNB 또는 홈 eNB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eNB들(110a, 110b 및 110c)은 각각 매크로 셀들(102a, 102b 및 102c)에 대한 매크로 eNB들이다. eNB(110x)는 피코 셀(102x)에 대한 피코 eNB이다. 그리고, eNB들(110y 및 110z)은 각각 펨토 셀들(102y 및 102z)에 대한 펨토 eNB들이다. eNB는 하나 또는 다수(예를 들어, 2개, 3개, 4개 등)의 셀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100)는 중계국들을 포함한다. 중계국은, 업스트림 스테이션(예를 들어, eNB, UE 등)으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송신을 수신하고 다운스트림 스테이션(예를 들어, 다른 UE, 다른 eNB 등)으로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송신을 전송하는 스테이션이다. 또한, 중계국은 다른 UE들에 대한 송신들을 중계하는 UE일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중계국(110r)은 eNB(110a) 및 UE(120r)와 통신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중계국(110r)은, eNB(110a)와 UE(120r)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2개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들(eNB(110a) 및 UE(120r)) 사이에서 중계부로서 작동한다. 또한, 중계국은 중계 eNB, 중계부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동작을 지원할 수도 있다. 동기식 동작에 대해, eNB들은 유사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도 있고, 상이한 eNB들로부터의 송신들은 시간상 대략적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비동기식 동작에 대해, eNB들은 상이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도 있고, 상이한 eNB들로부터의 송신들은 시간상 정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은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동작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UE들(120)은 무선 네트워크(100) 전반에 걸쳐 산재되어 있고, 각각의 UE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도 있다. UE는 단말, 사용자 단말, 모바일 스테이션,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등으로 또한 지칭될 수도 있다. UE는 셀룰러 전화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코드리스(cordless) 전화기,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등일 수도 있다. UE는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펨토 eNB들, 중계부들 등과 통신할 수 있을 수도 있다. 도 1에서, 양방향 화살표들을 갖는 실선은,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상에서 UE를 서빙하도록 지정된 eNB인 서빙 eNB와 UE 사이의 원하는 송신들을 표시한다. 양방향 화살표들을 갖는 파선은 UE와 eNB 사이의 간섭 송신들을 표시한다.
LTE/-A는, 다운링크 상에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을 이용하고, 업링크 상에서는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SC-FDM)을 이용한다. OFDM 및 SC-FDM은, 톤(tone)들, 빈(bin)들 등으로 일반적으로 또한 지칭되는 다수(K개)의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시스템 대역폭을 분할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와 변조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OFDM을 이용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전송되고, SC-FDM을 이용하여 시간 도메인에서 전송된다. 인접한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간격은 고정될 수도 있으며, 서브캐리어들의 총 수(K)는 시스템 대역폭에 의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K는, 각각, 1.25, 2.5, 5, 10 또는 20메가헤르츠(MHz)의 대응하는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128, 256, 512, 1024 또는 2048과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 대역폭은 서브-대역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브-대역은 1.08MHz를 커버할 수도 있으며, 각각, 1.25, 2.5, 5, 10 또는 20MHz의 대응하는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1, 2, 4, 8 또는 16개의 서브-대역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단위 영역당 시스템의 스펙트럼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eNB들(110)의 다양한 세트(즉,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펨토 eNB들, 및 중계부들)를 사용한다. 무선 네트워크(100)가 자신의 스펙트럼 커버리지에 대해 그러한 상이한 eNB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네트워크는 이종(heterogeneous)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도 있다. 매크로 eNB들(110a-c)은, 무선 네트워크(100)의 제공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주의깊게 계획 및 배치된다. 매크로 eNB들(110a-c)은 일반적으로 높은 전력 레벨들(예를 들어, 5W 내지 40W)로 송신한다. 실질적으로 더 낮은 전력 레벨들(예를 들어, 100mW 내지 2W)로 일반적으로 송신하는 피코 eNB(110x) 및 중계부(110r)는, 매크로 eNB들(110a-c)에 의해 제공된 커버리지 영역 내의 커버리지 구멍들을 제거하고 핫스팟들에서 용량을 개선시키기 위해 비교적 계획되지 않은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무선 네트워크(100)와는 독립적으로 통상적으로 배치되는 펨토 eNB들(110y-z)은, 그들의 관리자(들)에 의해 허가되면 무선 네트워크(100)에 대한 잠재적인 액세스 포인트로서 또는 리소스 조정 및 간섭 관리의 조정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100)의 다른 eNB들(110)과 통신할 수도 있는 적어도 활성 및 인식 eNB로서 무선 네트워크(100)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또한, 펨토 eN들(110y-z)은 통상적으로, 매크로 eNB들(110a-c)보다 실질적으로 더 낮은 전력 레벨들(예를 들어, 100mW 내지 2W)로 송신한다.
무선 네트워크(100)와 같은 이종 네트워크의 동작에서, 각각의 UE는 신호 품질에 기초하여 eNB(110)에 의해 일반적으로 서빙되지만, 다른 eNB들(110)로부터 수신된 원치않는 신호들은 간섭으로서 처리된다. 그러한 동작 원리들이 상당히 준-최적인 성능을 유도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 성능의 이득들은, eNB들(110) 사이의 지능형 리소스 조정, 더 양호한 서버 선택 방법들, 및 효율적인 간섭 관리를 위한 더 진보된 기술들을 사용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실현된다.
도 2는, 기지국/eNB(110) 및 UE(120)의 설계의 블록도를 도시하며, 이들은 도 1의 기지국들/eNB들 중 하나 및 UE들 중 하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약된 연관성 시나리오에 대해, eNB(110)는 도 1의 매크로 eNB(110c)일 수도 있고, UE(120)는 UE(120y)일 수도 있다. 또한, eNB(110)는 몇몇 다른 타입의 기지국일 수도 있다. eNB(110)는 안테나들(234a 내지 234t)을 탑재할 수도 있고, UE(120)는 안테나들(252a 내지 252r)을 탑재할 수도 있다.
eNB(110)에서, 송신 프로세서(220)는 데이터 소스(212)로부터 데이터를 그리고 제어기/프로세서(24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 정보는 PBCH, PCFICH, PHICH, PDCCH 등에 대한 것일 수도 있다. 데이터는 PDSCH 등에 대한 것일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220)는, 각각, 데이터 심볼들 및 제어 심볼들을 획득하기 위해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프로세싱(예를 들어, 인코딩 및 심볼 매핑)할 수도 있다. 또한, 송신 프로세서(220)는, 예를 들어, PSS, SSS, 및 셀-특정 기준 신호에 대한 기준 심볼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송신(TX)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프로세서(230)는, 적용가능하다면, 데이터 심볼들, 제어 심볼들, 및/또는 기준 심볼들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예를 들어, 프리코딩(precoding))을 수행할 수도 있고, 출력 심볼 스트림들을 변조기(MOD)들(232a 내지 232t)에 제공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변조기(232)는 출력 샘플 스트림을 획득하기 위해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해) 각각의 출력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변조기(232)는 출력 샘플 스트림을 추가적으로 프로세싱(예를 들어, 아날로그로의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획득할 수도 있다. 변조기들(232a 내지 232t)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들은, 각각, 안테나들(234a 내지 234t)을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UE(120)에서, 안테나들(252a 내지 252r)은, 각각, eNB(110)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고, 수신된 신호들을 복조기(DEMOD)들(254a 내지 254r)에 제공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복조기(254)는, 입력 샘플들을 획득하기 위해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및 디지털화)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복조기(254)는,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기 위해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해) 입력 샘플들을 추가적으로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MIMO 검출기(256)는 모든 복조기들(254a 내지 254r)로부터 수신 심볼들을 획득하고, 적용가능하다면, 수신 심볼들에 대해 MIMO 검출을 수행하며, 검출된 심볼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수신 프로세서(258)는 검출된 심볼들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고, 데이터 싱크(260)에 UE(120)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며,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28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업링크 상에서, UE(120)에서, 송신 프로세서(264)는, 데이터 소스(262)로부터의 (예를 들어, PUSCH에 대한)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280)로부터의 (예를 들어, PUCCH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 및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264)는 기준 신호에 대한 기준 심볼들을 또한 생성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264)로부터의 심볼들은, 적용가능하다면 TX MIMO 프로세서(266)에 의해 프리코딩되고, 복조기들(254a 내지 254r)에 의해 (예를 들어, SC-FDM 등을 위해) 추가적으로 프로세싱되며, eNB(110)에 송신될 수도 있다. eNB(110)에서, UE(120)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UE(120)에 의해 전송된 디코딩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안테나들(234)에 의해 수신되고, 변조기들(232)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적용가능하다면 MIMO 검출기(236)에 의해 검출되며, 수신 프로세서(238)에 의해 추가적으로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38)는 데이터 싱크(239)에 디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24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기들/프로세서들(240 및 280)은, 각각, eNB(110) 및 UE(120)에서의 동작을 지시할 수도 있다. eNB(110)에서의 제어기/프로세서(240)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 및 모듈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에 대한 다양한 프로세스들의 실행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도 있다. UE(120)에서의 제어기/프로세서(280)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 및 모듈들은 또한, 도 7-9에 도시된 기능 블록들 및/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에 대한 다른 프로세스들의 실행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도 있다. 메모리들(242 및 282)은, 각각, eNB(110) 및 UE(120)에 대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스케줄러(244)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UE들을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인접한 채널들에 근접하여 송신하는 경우, 신호 변조 및 증폭 동안 생성되는 비선형들 또는 이미지 신호들 때문에, UE는 인접한 채널로의 간섭을 야기할 수도 있다. LTE 송신은, 합당한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여전히 유지하면서, 그러한 인접한 대역 간섭에 대한 충분한 보호를 제공해야 한다. 인접한 대역 간섭을 제한하는 것은, 공용 안전(public safety) 시스템들에 근접한 통신 대역들에 대해 특히 중요하다. 예를 들어, 공용 안전 대역은, 브로드밴드 및 협대역 간섭 둘 모두에 취약가능할 수 있는 851 내지 859MHz 사이에 위치된 협대역 시스템이다. LTE 대역 26은 위치된 공용 안전 대역에 인접하며, 따라서, 대역 26 상에서의 방출들은, 공용 안전 통신들과의 불필요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제어되어야 한다.
인접한 대역 간섭으로부터의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LTE 송신들은, 전력 감소 없이 UL 제어 채널 보호(협대역 송신)를 제공하기 위해 프로비저닝(provision) 시에 PUCCH를 사용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PUSCH에 대한 A-MPR(additional maximum power reduction)은, 데이터 커버리지를 유지하면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최적의 A-MPR은 EARFCN(E-UTRA 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에 의존한다. 그러나, 모든 가능한 EARFCN들에 대해 상이한 A-MPR을 갖지 않음으로써 테스팅 복잡도를 관리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은, 상부 에지, 즉 >=2MHz 및 >=6MHz에서의 2개의 고정 채널 오프셋들에서 주어진 대역외 방출(OOBE)에 대한 A-MPR을 정의하기 위해 1개의 네트워크 신호(NS) 값을 갖도록 제안한다. 그것이 유용할 것이라면, 부가적인 NS 값들이 상이한 OOBE 레벨들에 대해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은, 최적의 A-MPR들이 말단 리소스 블록(RB) 인덱스(RB_end)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를 사용하여 인코딩된 표에서 제공된다는 것을 제공한다. 별개의 표들이, 송신 채널의 특정한 채널 대역폭 및 특정한 채널 오프셋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생성될 수도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A-MPR 표(30)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30)의 x-축은 할당된 RB들의 말단 RB 인덱스를 나타낸다. y-축은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를 나타낸다. 표(30)의 음영된 블록들은,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 길이에 의해 식별된 연관된 최대 A-MPR 값을 나타낸다. 표(30)는, 10MHz의 대역폭, 및 2MHz의 오프셋 및 -50dBm/6.25KHz의 OOBE에 대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최적의 A-MPR 값들을 나타낸다.
표(30)로부터 관측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상이한 A-MPR 값들을 나타내는 음영 영역들은,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 길이의 값의 범위들에 따라 그룹화될 수도 있다. A-MPR 값들의 이들 연관들은, 주어진 A-MPR이 식별된 영역 중 일부 또는 모두에 걸쳐 할당될 수도 있는 다수의 영역들로 그룹화될 수도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구성된 A-MPR 표(31)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표(30)(도 3a)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10MHz의 대역폭, 2MHz의 오프셋 및 -50dBm/6.25KHz의 OOBE에 대해 결정된 최적의 A-MPR 값들을 또한 나타내는 표(31)는, 말단 RB 인덱스에 기초하여 4개의 별개의 영역들로 분할된다. 제 1 영역, 즉 영역 A는 0으로부터 13까지의 말단 RB 인덱스들을 커버한다. 제 2 영역, 즉 영역 B는 13으로부터 33까지의 말단 RB 인덱스들을 커버한다. 제 3 영역, 즉 영역 C는 33으로부터 37까지의 말단 RB 인덱스들을 커버하고, 제 4 영역, 즉 영역 D는 37로부터 50까지의 말단 RB 인덱스들을 커버한다.
표(31)에 따르면, 영역들 A 및 B 내에 있는 할당들을 갖는 UE는 0의 대응하는 A-MPR을 가질 것이다. 영역들 C 및 D 각각은,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에 따라 2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된다. 영역 C에서, UE가 26보다 작은 인접한 RB들을 할당받는 경우, A-MPR에 대한 제 1 값이 제공되지만, 광대역 송신들에 있어서, 26보다 큰 인접한 RB 할당들에 대해 더 높은 A-MPR이 제공된다. 유사하게, 영역 D에서 14보다 작은 인접한 RB 할당에 있어서, UE는 제 1 값의 A-MPR을 식별할 것이지만, 영역 D에서의 광대역 송신들에 있어서, 14보다 큰 인접한 RB 할당들에 대해 더 높은 A-MPR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A-MPR 표들에서의 상이한 영역들의 브레이크(break) 포인트들은, 포함된 채널 오프셋 값을 포함하여 채널 대역폭 및 인접한 채널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상이한 브레이크포인트들은 또한, 발생할 수도 있는 간섭의 상이한 소스들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이한 A-MPR 표들은 송신 및 할당 파라미터들에 의존하여 상이한 브레이크포인트들을 가질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A-MPR 표에서 제 1 영역의 엔드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해 선택된 협대역 데이터 송신의 그래프(40)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x-축은 주파수를 나타낸다. 송신 채널(400)은 공용 안전 대역으로부터 2MHz만큼 오프셋되고, 849MHz의 채널 에지로부터 0.5MHz의 가드 대역(GB)을 포함한다. 공용 안전 대역은 851MHz와 859MHz 사이의 스펙트럼을 커버한다. 공용 안전 대역이 스펙트럼의 상단 말단에 있으므로, A-MPR은 2개의 파라미터들, 즉 말단 RB 인덱스(RB_end)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L_CRB)를 이용하여 정의된다.
협대역 데이터 송신은 송신 채널(400) 내의 RB_end_A에 도시된다. 로컬 오실레이터(LO) 신호는 송신 채널(400)의 중앙 주파수에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 송신의 증폭 및 상호변조에서의 비선형들은, IQ 이미지 신호로 하여금, RB_end_A에서의 협대역 데이터 송신으로서 LO 신호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존재하게 한다. 부가적인 3차 상호변조 CIM3는 또한 851MHz에서 나타날 것이다. RB_end_A는, CIM3이 공용 안전 대역의 에지에서 나타나도록 선택된다. 협대역 데이터 송신이 RB_end_A를 넘어 이동하지 않는 한, 결과적인 CIM3 신호는 공용 안전 대역에서 간섭을 야기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RB_end_A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생성된 A-MPR 표에서 영역 A의 경계로서 식별된다.
RB_end_A는 다음의 수학식에 따라 정의된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NRB는 RB들의 수이고, foffset는 채널 오프셋이며, GB는 가드 대역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A-MPR 표에서 제 2 영역의 엔드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해 선택된 광대역 데이터 송신(401)의 그래프(41)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광대역 데이터 송신(401)은 RB_end_A를 넘어 RB_end_B로 확장한다. 광대역 데이터 송신(401)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된 송신 채널(400) 내에 있다. 광대역 데이터 송신(401)이 RB_end_B에서 종료하는 한, 인접한 채널 누설 비율(ACLR_1)은 공용 안전 대역 내에 있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광대역 데이터 송신이 RB_end_B를 넘어 확장해야 한다면, ACLR_1은 공용 안전 대역으로 침범하여 간섭을 야기할 것이다. 따라서, UE에 대한 RB_end가 RB_end_A와 RB_end_B 사이에 있다면, UE는 0 또는 낮은 A-MPR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RB_end_B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생성된 A-MPR 표에서 영역 B의 경계로서 식별된다.
RB_end_B는 다음의 수학식에 따라 정의된다.
Figure pat00005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A-MPR 표에서 제 2 영역의 엔드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해 선택된 협대역 데이터 송신의 그래프(42)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협대역 데이터 송신은 RB_end_C에 도시되어 있다. 그것은 LO 신호 위에 도시되어 있으며, IQ 이미지 신호는, 협대역 데이터 송신으로서 LO 신호의 다른 측면 상에 동일한 거리에 위치된다. 3차 상호변조 신호 IM3은, 송신 채널(400) 외부의 공용 안전 대역의 에지에서 발생한다. 협대역 데이터 송신이 RB_end_C를 넘어 확장하지 않는 한, IM3은 공용 안전 대역 내에서 간섭을 야기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RB_end_C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생성된 A_MPR 표에서 영역 C의 경계로서 식별된다.
RB_end_C는 다음의 수학식에 따라 정의된다.
Figure pat00006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A-MPR 표에서 제 2 영역의 엔드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해 선택된 광대역 데이터 송신(402)의 그래프(43)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영역 C는 또한, 송신 채널(400) 내에 광대역 데이터 송신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광대역 데이터 송신(402)은 RB_end_C에서 종료한다. 광대역 송신(402)이 RB_end_C를 넘어 확장하지 않는 한, ACLR_1은 공용 안전 대역으로 간섭을 야기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광대역 송신들에 있어서, RB_end_C는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pat00007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A-MPR 표에서 제 2 영역의 엔드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해 선택된 광대역 데이터 송신(403)의 그래프(44)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RB_end_C를 넘어 종료하는 광대역 송신(403)과 같은 광대역 송신들에 있어서,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L_CRB)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정의된 값을 초과하면, 상당한 간섭이 ACLR_1에 의해 공용 안전 대역 내에서 야기될 수도 있다.
Figure pat00008
영역들의 엔드포인트들, 즉 도 4a-e의 RB_end_A, RB_end_B, 및 RB_end_C를 결정할 시에, 4개의 영역들, 즉 영역들 A-D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A-MPR 표 내에서 식별된다. 일단 엔드포인트 파라미터들이 오프셋 및 E-UTRA 채널 대역폭에 기초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해 컴퓨팅되면, 제너릭(generic) 표가 생성될 수도 있다. 제너릭 표는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Figure pat00009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RB_end가 영역 D 내의 RB_end_C를 넘어선 경우, 가능한 2개의 상이한 A-MPR 값들이 존재한다.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가 L_CRB_D보다 작고 협대역 IM3보다 큰 경우, A-MPR은 중간(moderate) 값까지일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가 협대역 IM3이거나 L_CRB_D보다 큰 경우, A-MPR은 상당한 값까지일 수 있다.
전술한 분석에 기초하여, 다음의 표는, 2MHz 오프셋에 대한 예시적인 A-MPR 파라미터를 도시했다.
Figure pat00010
이들 결과들은, 2MHz 오프셋에 대해, 잠재적으로 1.4MHz가 임의의 상당한 A-MPR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다른 채널 대역폭들이 더 큰 A-MPR들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A-MPR이 OOBE에 강하게 의존하기 때문에, 많은 영역들이 더 높은 OOBE 레벨들에서 사라질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A-MPR 표들의 상이한 영역들의 브레이크 포인트들은 또한 OOBE 레벨들의 함수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A-MPR 표(50)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3a-3b로부터의 표들(30 및 31)과 유사하게, 표(50)는,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에 따라 인코딩 또는 인덱싱되는 바와 같은 A-MPR 값들을 도시한다. 그러나, 표(50)는 10MHz의 대역폭, 및 2MHz의 오프셋, 및 -53dBm/6.25KHz의 OOBE에 대해 결정된 A-MPR 값들을 나타낸다. 상이한 OOBE 값들로 인해, 표(50)는 상이한 A-MPR 값들을 포함하지만, 간략화된 그룹화들 및 정의된 영역들을 유지한다.
정의된 룩-업(look-up) 값들을 A-MPR 표에 제공하는 것에 부가하여, A-MPR 선택을 추가적으로 최적화시키기 위해 로직이 UE로 임베딩될 수도 있다. 도 6a-6b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A-MPR 표들(60 및 61)을 도시한 다이어그램들이다. 표(60)는, 10MHz 대역폭, 2MHz 오프셋, 및 -50dBm/6.25KHz OOBE에 대해 생성된다. 표(60)는, 10MHz 대역폭, 2MHz 오프셋, 및 -53dBm/6.25KHz OOBE에 대해 생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구성된 UE는 L_CRB+RB_end와 동일한 최적화 값 X를 계산한다. 최적화 값 X는 대략적으로 ACLR_1에서 스펙트럼 재성장을 반영한다. 최적화 값 X는 A-MPR의 양호한 예측자가 된다. 표(60)의 -50dBm/6.25KHz의 경우에서, 최적화 값 X가 50보다 작은 경우, A-MPR은 0으로서 선택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예외는, 영역 D 내에 협대역 송신이 존재하는 경우이다. 최적화 값 X가 50보다 큰 경우, A-MPR은, 협대역 영역 D 송신들을 제외하고, X에 따라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표(61)에 있어서, 임계값은 45이게 되지만, A-MPR과 최적화 값 X 사이의 관계는 표(60)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유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양상을 구현하도록 실행되는 예시적인 블록들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블록(70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할당된 복수의 RB들에서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를 결정한다. 그 후,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록(701)에서,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업링크 송신들을 위한 전력 완화 허용치를 식별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양상을 구현하도록 실행되는 예시적인 블록들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블록(80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서빙 이벌브드 노드B(eNB)로부터 표시를 수신하며, 여기서, 표시는 할당된 대역에 대한 강화된 방출 제한들을 식별시킨다. 블록(801)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할당된 복수의 리소스 블록(RB)들에서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를 결정한다. 블록(802)에서,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에 기초하여, 전력 완화 허용치가 전력 완화 허용치들의 표에서 식별되며, 여기서, 전력 완화 허용치들은, 송신 채널 대역폭 및 인접한 대역으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하여 정의된 복수의 영역들에 대응하고, 식별된 전력 완화 허용치는,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와 연관된 복수의 영역들 중 하나에 위치된다. 블록(803)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표시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UE는, 자신의 스케줄링된 구성에서 UE의 나머지 송신 전력을 eNB에 통지하기 위해 전력 헤드룸 리포트(PHR)들을 주기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다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들로 구성된 UE들에서, 전력 헤드룸 리포트는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CC)에 대해 정의될 수도 있다. 전력 헤드룸 리포트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및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한 컴포넌트 캐리어-특정 리포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eNB는 일반적으로, 특정한 일정한 최대 전력 감소(MPR)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UE에서의 특정한 최대 전력 감소에 대응하는 최소 성능 요건이 특정될 수도 있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aggregation)(CA)을 사용하여 다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들로 구성된 UE들에서, 실제 전력 감소는 할당에 의존하여 크게 변할 수 있다. 따라서, UE는 실제로, MPR과 관련된 상이한 전력 감소값들(PR)(전력 백오프(backoff) 값으로 또한 지칭됨)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PR 값들은 eNB에 의해 가정된 값보다 작을 수도 있다. 이러한 불일치는, UE에서의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한 전력과 이용가능하다고 eNB가 믿는 전력 사이의 차이를 초래할 수도 있다.
eNB는, 전력 헤드룸 리포트 및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최대 전력(pcmax,c)에 기초하여 그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송신 전력을 추정하기를 시도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c'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eNB 및 UE에 의해 가정된 전력 감소 사이에 불일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그러한 추정들은 정확할 수도 있다. 그러나, eNB 및 UE에 의해 가정된 전력 감소값 사이에 불일치가 존재하면, 송신 전력 추정 및 이용가능한 전력 헤드룸의 추정에서 에러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eNB는 기재된 A-MPR 표들을 사용하여 A-MPR을 추정하기를 시도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양상을 구현하도록 실행되는 예시적인 블록들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블록(900)에서, eNB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력 헤드룸 리포트를 수신한다. 그 후, 블록(901)에서, eNB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현재 할당된 복수의 RB들에서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를 결정한다. 블록(902)에서, 말단 RB 인덱스 및 인접한 RB 할당의 길이에 기초하여, eNB는 전력 완화 허용치들의 표에서 전력 완화 허용치를 식별한다. 블록(903)에서, eNB는, 식별된 전력 완화 허용치 및 전력 헤드룸 리포트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용가능한 전력을 결정한다. 블록(904)에서, eNB는, 결정된 이용가능한 전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을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케줄링한다.
당업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상이한 기법들 및 기술들 중 임의의 기법 및 기술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광학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도 7-9의 기능 블록들 및 모듈들은, 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하드웨어 디바이스들, 전자 컴포넌트들, 로직 회로들, 메모리들, 소프트웨어 코드들, 펌웨어 코드들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에서의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결합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추가적으로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가능성을 명확히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 관점들에서 일반적으로 상술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한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들은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서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시적인 설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들을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반송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일시적인 접속수단(connection)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정의 내에 적절히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명령들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twisted pair), 또는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또는 DSL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학 디스크(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한 것들의 결합들이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이전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거나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변경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예들 및 설계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기재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성들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부합할 것이다.

Claims (8)

  1.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이벌브드 노드B(eNB)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력 헤드룸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현재 할당된 복수의 리소스 블록(RB)들에서 말단 RB 인덱스 및 연속한 RB 할당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말단 RB 인덱스 및 상기 연속한 RB 할당의 길이에 기초하여, 전력 완화 허용치들의 표에서 전력 완화 허용치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전력 완화 허용치 및 상기 전력 헤드룸 리포트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용가능한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이용가능한 전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을 위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송신 대역에 새로운 복수의 RB들을 할당하는 단계; 및
    송신 전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로서,
    이벌브드 노드B(eNB)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력 헤드룸 리포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현재 할당된 복수의 리소스 블록(RB)들에서 말단 RB 인덱스 및 연속한 RB 할당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말단 RB 인덱스 및 상기 연속한 RB 할당의 길이에 기초하여, 전력 완화 허용치들의 표에서 전력 완화 허용치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식별된 전력 완화 허용치 및 상기 전력 헤드룸 리포트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용가능한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결정된 이용가능한 전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을 위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은,
    송신 대역에 새로운 복수의 RB들을 할당하기 위한 수단; 및
    송신 전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5.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이벌브드 노드B(eNB)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력 헤드룸 리포트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할당을 위해 복수의 후보 리소스 블록(RB)들에 현재 할당된 복수의 RB들에서 말단 RB 인덱스 및 연속한 RB 할당의 길이를 결정하게 하고;
    상기 말단 RB 인덱스 및 상기 연속한 RB 할당의 길이에 기초하여, 전력 완화 허용치들의 표에서 전력 완화 허용치를 식별하게 하고;
    식별된 전력 완화 허용치 및 상기 전력 헤드룸 리포트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용가능한 전력을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결정된 이용가능한 전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을 위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케줄링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송신 대역에 새로운 복수의 RB들을 할당하게 하고; 그리고,
    송신 전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선택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7.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이벌브드 노드B(eNB)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력 헤드룸 리포트를 수신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현재 할당된 복수의 리소스 블록(RB)들에서 말단 RB 인덱스 및 연속한 RB 할당의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말단 RB 인덱스 및 상기 연속한 RB 할당의 길이에 기초하여, 전력 완화 허용치들의 표에서 전력 완화 허용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전력 완화 허용치 및 상기 전력 헤드룸 리포트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용가능한 전력을 결정하고; 그리고
    결정된 이용가능한 전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을 위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구성은,
    송신 대역에 새로운 복수의 RB들을 할당하고; 그리고,
    송신 전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선택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장치.
KR1020187023012A 2012-01-17 2013-01-17 인접한 채널들에서의 간섭 제어를 위한 최대 전력 감소 KR101946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87575P 2012-01-17 2012-01-17
US61/587,575 2012-01-17
US13/743,185 US9408217B2 (en) 2012-01-17 2013-01-16 Maximum power reduction for interference control in adjacent channels
US13/743,185 2013-01-16
PCT/US2013/021979 WO2013109781A1 (en) 2012-01-17 2013-01-17 Maximum power reduction for interference control in adjacent channel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836A Division KR101952898B1 (ko) 2012-01-17 2013-01-17 인접한 채널들에서의 간섭 제어를 위한 최대 전력 감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716A true KR20180095716A (ko) 2018-08-27
KR101946353B1 KR101946353B1 (ko) 2019-02-11

Family

ID=487799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012A KR101946353B1 (ko) 2012-01-17 2013-01-17 인접한 채널들에서의 간섭 제어를 위한 최대 전력 감소
KR1020147022836A KR101952898B1 (ko) 2012-01-17 2013-01-17 인접한 채널들에서의 간섭 제어를 위한 최대 전력 감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836A KR101952898B1 (ko) 2012-01-17 2013-01-17 인접한 채널들에서의 간섭 제어를 위한 최대 전력 감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408217B2 (ko)
EP (1) EP2805552B1 (ko)
JP (1) JP6072073B2 (ko)
KR (2) KR101946353B1 (ko)
CN (1) CN104255074B (ko)
BR (1) BR112014017509B1 (ko)
ES (1) ES2649666T3 (ko)
HU (1) HUE036798T2 (ko)
IN (1) IN2014CN05003A (ko)
WO (1) WO20131097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8217B2 (en) * 2012-01-17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Maximum power reduction for interference control in adjacent channels
US9066303B2 (en) * 2012-06-25 2015-06-23 Hitachi, Ltd. Power control in LTE-advanced heterogeneous networks
US9386530B2 (en) * 2012-08-07 2016-07-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ducing transmission power and terminal thereof
GB2505892B (en) * 2012-09-12 2015-09-23 Broadcom Corp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s for controlling power of wireless transmissions
US8874052B2 (en) * 2012-11-15 2014-10-28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efficiency and distortion leakage in a wireless power amplifier
EP3000260B1 (en) * 2013-05-20 2021-02-2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that uses multiple network-signaling values
US9326251B2 (en) * 2013-09-30 2016-04-26 Qualcomm, Incorporated Supplemental maximum power reduction for operation in restricted configurations
US9572047B2 (en) * 2013-12-27 2017-02-14 Intel Corporation Adjacent channel leakage reduction in scalabl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S2788724T3 (es) * 2014-11-07 2020-10-22 Ntt Docomo Inc Dispositivo de usuario, sistema de comunicación móvil y método de aplicación de valor de señalización
US9385763B1 (en) * 2015-01-26 2016-07-05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hannel interference cancellation
US9749970B2 (en) * 2015-02-27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and power headroom for component carrier
CN108605296B (zh) * 2017-01-13 2021-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功率调整的方法及终端
WO2019097116A1 (en) * 2017-11-16 2019-05-23 Nokia Technologies Oy Maximum power reduction for uplink bandwidth part for wireless networks
US11153142B2 (en) * 2017-11-30 2021-10-19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narrowband communications
EP3769427A1 (en) * 2018-03-22 2021-01-27 IDAC Holdings, Inc. Reduced complexity polar encoding and decoding
CN116963247A (zh) * 2018-04-05 2023-10-27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无线网络的上行链路传输的附加最大功率降低
US11350372B2 (en) * 2019-11-01 2022-05-31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gain
WO2021120035A1 (zh) * 2019-12-18 2021-06-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功率控制的方法和装置
US20210250994A1 (en) * 2020-02-07 2021-08-12 Qualcomm Incorporated Acknowledgement-based link adaptation with listen-before-talk procedures
WO2021246541A1 (ko) * 2020-06-02 202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 이중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7135740A (zh) * 2022-05-27 2023-11-28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信号传输的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5552A (ja) 2007-01-31 2008-08-14 Tohoku Univ 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US8203987B2 (en) * 2007-03-30 2012-06-19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user apparatus, and method
GB0713338D0 (en) 2007-07-10 2007-08-22 Vodafone Plc Interference co-ordination
CN101388699A (zh) * 2007-09-12 2009-03-18 夏普株式会社 基于空时频域的信息反馈方法和系统、用户设备及基站
CN101394213B (zh) * 2007-09-19 2013-05-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时分双工方式频分复用系统的多天线通信方法
KR20110081954A (ko) 2008-09-22 2011-07-15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이동국 및 무선기지국
US8942195B2 (en) * 2009-01-14 2015-01-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0112066A1 (en) * 2009-03-31 2010-10-07 Nokia Siemens Networks Oy Controlling ue emissions for avoiding self-interference and for demanding coexistence situations
US8055294B2 (en) 2009-04-07 2011-11-08 Lg Electronics Inc. Control of uplink transmit power
EP2498430B1 (en) * 2009-11-04 2017-07-26 LG Electronics Inc. Terminal device for transmitting a power headroom report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ame
KR20110081017A (ko) * 2010-01-05 2011-07-13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할당전송방법 및 그 송신장치, 이에 대응하는 수신장치
US9161236B2 (en) 2010-03-29 2015-10-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for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EP2503830B1 (en) * 2010-04-01 2020-06-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a wireless access system
KR101697597B1 (ko) * 2010-04-01 201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신 파워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406382B2 (ja) * 2010-05-24 2014-02-0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不連続的なアップリンクリソース割当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ES2773049T3 (es) * 2010-06-18 2020-07-09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s para proporcionar informes de margen de potencia dispuestos en orden de índices de portadora de componentes y terminales inalámbricos y estaciones base conexos
WO2012002684A2 (en) * 2010-06-28 2012-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maximum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WO2012016187A2 (en) * 2010-07-30 2012-02-02 Board Of Regents Distributed rate allocation and collision detection in wireless networks
KR101276853B1 (ko) * 2010-08-1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캐리어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2044136A2 (ko) * 2010-10-01 2012-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서빙 셀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리포팅
EP3203788B1 (en) 2010-11-05 2019-09-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headroom control element, method of communicating power information from a user equipment, method for processing received power information as well as a corresponding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CN102076099B (zh) * 2010-12-16 2013-07-10 北京邮电大学 一种通信系统中分组调度的方法、装置及系统
WO2012096520A2 (en) * 2011-01-11 2012-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681401B2 (en) * 2011-03-17 2017-06-1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Enhanced power headroom repor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101947555B1 (ko) * 2011-06-15 2019-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737330B2 (en) * 2011-06-24 2014-05-27 Motorola Mobility Llc Multi-cluster uplink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595676B1 (ko) * 2011-08-12 2016-02-18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시스템에서의 융통성있는 대역폭 동작을 위한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US9137801B2 (en) * 2012-01-17 2015-09-1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ation of additional maximum power reduction table based on control channel location indices
US9408217B2 (en) * 2012-01-17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Maximum power reduction for interference control in adjacent channels
WO2014014283A1 (ko) * 2012-07-19 201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헤드룸 보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17509A2 (pt) 2017-06-13
WO2013109781A1 (en) 2013-07-25
BR112014017509B1 (pt) 2022-09-13
HUE036798T2 (hu) 2018-07-30
IN2014CN05003A (ko) 2015-09-18
KR101946353B1 (ko) 2019-02-11
US20130182663A1 (en) 2013-07-18
US9408217B2 (en) 2016-08-02
US20160302205A1 (en) 2016-10-13
EP2805552B1 (en) 2017-09-13
KR20140114432A (ko) 2014-09-26
CN104255074B (zh) 2018-06-01
KR101952898B1 (ko) 2019-02-27
EP2805552A1 (en) 2014-11-26
JP6072073B2 (ja) 2017-02-01
BR112014017509A8 (pt) 2017-07-04
US9713158B2 (en) 2017-07-18
ES2649666T3 (es) 2018-01-15
CN104255074A (zh) 2014-12-31
JP2015503889A (ja) 201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353B1 (ko) 인접한 채널들에서의 간섭 제어를 위한 최대 전력 감소
US10903920B2 (en) Interference management based on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s
CN110087323B (zh) 用于lte-u空闲信道评估的方法、装置和介质
US9143957B2 (en) Mitigating cross-device interference
TWI451785B (zh) 用於功率餘裕回報中之特定吸收率後移的方法及裝置,及紀錄相關指令的電腦程式產品
KR10170185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EP3193545B1 (en) Power headroom reporting related to power management maximum power reduction
JP5823536B2 (ja) ページング・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およびチャネル状態情報基準信号(csi−rs)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をシグナリング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60013938A (ko) 논리적으로 별개의 셀들과의 접속성을 위한 업링크 전력 헤드룸 관리
US11516058B2 (en) Peak to average power ratio shaping techniques
WO2014099474A1 (en) Wan-wlan cell selection in ues
EP2893754A1 (en) Power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