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176A -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 - Google Patents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176A
KR20180095176A KR1020170021329A KR20170021329A KR20180095176A KR 20180095176 A KR20180095176 A KR 20180095176A KR 1020170021329 A KR1020170021329 A KR 1020170021329A KR 20170021329 A KR20170021329 A KR 20170021329A KR 20180095176 A KR20180095176 A KR 20180095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unit
target model
model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0736B1 (ko
Inventor
이정민
유광열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1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73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5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6T5/00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3Deblurring; Sharpe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8Range image; Depth image; 3D point clou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metr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계산기의 계산 능력뿐만 아니라 촬영된 영상 및 촬영된 거리를 기반으로 촬영된 영상의 실제 모형(건물, 장애물, 지형, 형태)을 도출하고, 도출된 모형의 길이, 높이, 넓이 등 그 크기를 계산을 할 수 있으며, 또한 화면에 직접적인 필기를 이용하여 필기하듯이 컴퓨터 인식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크기를 계산할 수 있는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모형이 촬영되어 원본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원본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전자펜을 이용한 스케치를 통해 선택된 측정하고자하는 대상 모형을 검출하는 이미지 검출부와, 상기 촬영부에서부터 촬영된 대상 모형까지의 실제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와, 상기 이미지 검출부에서 검출된 대상 모형 및 상기 거리 산출부에서 산출된 실제 거리를 기반으로 선택된 대상 모형의 길이, 높이를 포함하는 실제 크기를 산출하는 모형크기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Sketch smart calculator}
본 발명은 스마트 계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 계산기의 계산 능력뿐만 아니라 촬영된 영상 및 촬영된 거리를 기반으로 촬영된 영상의 실제 모형(건물, 장애물, 지형, 형태)을 도출하고, 도출된 모형의 길이, 높이, 넓이 등 그 크기를 계산을 할 수 있으며, 또한 화면에 직접적인 필기를 이용하여 필기하듯이 컴퓨터 인식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크기를 계산할 수 있는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살아가면서 수많은 새로운 물건, 물체들을 접하게 되고, 이러한 물건이나 물체들의 길이, 높이, 넓이 등 그 크기를 알고자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구나 책상 등 생활용품을 살 때 실제 크기를 알고 싶거나, 길거리에 있는 건물의 높이를 알고 싶어 할 수 있다.
가구나 책상 등의 경우에는 직원에게 문의하면 대부분 실제 크기를 알 수 있으나, 쇼윈도에서 보고 바로 그 크기를 알고 싶은 경우나, 직원이 없는 경우, 매장의 문이 닫힌 경우 등 짧은 시간 내에 그 크기를 알 수 없는 경우도 종종 있다. 또한, 가구 등이 아닌 생활용품의 경우에는 그 크기가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기 때문에, 자로 재보지 않고서는 그 크기를 알 수 없는 물체도 많다. 한편, 길거리에 있는 건물의 높이가 궁금할 때도 있는데, 원근감에 따라 건물의 크기가 다르게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그 대략적인 높이조차 가늠하기 어렵고, 관리인에게 높이를 물어보기도 어려워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즉, 최근 휴대폰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휴대폰에는 카메라와 방향과 각도, 기울기, 가속도, 조도 등을 알려주는 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센서들을 응용하면 휴대폰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휴대폰 카메라로 특정 사물을 향하여 촬영을 하게 되면,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폰이 향하고 있는 각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과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크기 측정 방법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휴대폰에 구비된 카메라 및 센서 등을 이용하여 물체의 실제 크기, 높이 등을 측정하는 방법은 개발 및 제공되지 못하고 있어, 위에서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 물건이나 물체들의 길이, 높이, 넓이 등 그 크기를 알고자 하는 경우에 이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121760호 (등록일자 1997.08.29) 등록특허공보 제10-1074678호 (등록일자 2011.10.12)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2831호 (공개일자 2013.03.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기존 계산기의 계산 능력뿐만 아니라 촬영된 영상 및 촬영된 거리를 기반으로 촬영된 영상의 실제 모형(건물, 장애물, 지형, 형태)을 도출하고, 도출된 모형의 길이, 높이, 넓이 등 그 크기를 계산을 할 수 있으며, 또한 화면에 직접적인 필기를 이용하여 필기하듯이 컴퓨터 인식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크기를 계산할 수 있는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출된 모형의 길이, 높이, 넓이 등 그 크기의 계산뿐만 아니라 모형을 이용한 숫자를 검출하여 사칙연산에 의한 계산이 가능한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의 특징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모형이 촬영되어 원본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원본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전자펜을 이용한 스케치를 통해 선택된 측정하고자하는 대상 모형을 검출하는 이미지 검출부와, 상기 촬영부에서부터 촬영된 대상 모형까지의 실제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와, 상기 이미지 검출부에서 검출된 대상 모형 및 상기 거리 산출부에서 산출된 실제 거리를 기반으로 선택된 대상 모형의 길이, 높이를 포함하는 실제 크기를 산출하는 모형크기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는 촬영부를 통해 촬영되는 날씨나 온도를 기반으로 촬영된 원본 이미지의 왜곡 및 선명도를 엣지 범위의 평균값 보정을 통해 보정하는 영상 보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미지 검출부는 촬영부에서 촬영된 원본 이미지가 표시된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사용자가 전자펜을 이용한 스케치를 통해 선택된 대상 모형의 라인을 선택하는 선택라인 검출부와, 촬영부에서 촬영된 원본 이미지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가상의 직선 라인을 서로 교차되도록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상라인 중 상기 선택라인 검출부에서 선택된 대상 모형의 라인과 중첩되거나 이웃하는 하나의 가상라인을 검출하는 가상라인 검출부와, 촬영부에서 촬영된 원본 이미지에서 엣지 영역만을 검출하는 엣지 검출부와, 상기 선택된 대상 모형의 라인, 중첩되거나 이웃하는 하나의 가상라인 및 원본 이미지의 엣지 영역을 서로 비교하여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가상라인을 검출하는 매칭 처리부와, 상기 매칭 처리부에서 검출된 가상라인을 연결하여 대상 모형을 검출하는 모형 검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리 산출부는 이미지 검출부에서 검출된 대상 모형의 이미지 크기 및 촬영부의 초점 거리를 기반으로 촬영부와 대상 모형까지의 거리를 기 저장된 기준거리와 비교하여 거리 산출을 위한 모듈을 선택하는 모듈 선택부와, 상기 모듈 선택부에서 기준거리보다 먼 거리에 대상 모형이 있는 경우 선택되어, GPS 정보를 통한 촬영부 및 대상 모형의 현 위치를 검출하는 GPS 모듈과, 상기 모듈 선택부에서 기준거리보다 가까운 거리에 대상 모형이 있는 경우 선택되어 촬영부에서 발사되는 레이저가 되돌아오는 시간을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GPS 모듈에서 검출된 촬영부와 대상 모형의 현재 위치정보 및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되돌아오는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부에서부터 촬영된 대상 모형까지의 실제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계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리 산출부는 두 대상 모형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두 모형간의 거리를 기반으로 촬영부와 실제 거리를 알고 있는 모형과의 실제 거리를 토대로 다른 대상 모형과 촬영부 간의 실제거리를 산출하며, 이때, 상기 두 대상 모형 간의 거리 측정은 두 대상 모형에 평행한 직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위에서 아래로 표시하고, 각 사이의 간격의 길이가 가장 긴 최대값과 가장 짧은 최소값의 평균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형크기 산출부는 GPS 모듈에서 검출된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대상 모형 크기를 산출하는 경우, 대상 모형을 향하여 직선으로 일정한 거리 전진한 후 정지하면, 전진 전에 촬영된 대상 모형의 크기와 전진 후에 촬영된 대상 모형의 크기 변화를 이동된 일정한 거리의 비율에 대입하여 비율로 나누어줌으로써, 대상 모형의 실제 크기(높이)를 산출하고, 센서부에서 검출된 되돌아오는 시간을 이용하는 경우, 촬영된 측정 지점과 지면에 수평한 사이각을 측정하고, 측정된 사이각과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거리를 근거로 삼각함수를 통해 촬영부에서 수직한 측정 지점까지의 높이를 산출하고, 상기 입력받은 지면에서의 높이를 합산하여 상기 측정 대상의 실제 크기(높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물체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카메라의 특성과 측정된 값들을 이용하여 촬영된 물체의 실제 크기를 산출함으로써, 도출된 모형의 길이, 높이, 넓이 등 그 크기를 통해 빠르고 간편하게 물체의 정확한 실제 모형을 측정할 수 있다.
둘째, 휴대단말기에 필기하듯이 촬영된 물체를 지정하거나 기재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길이(높이, 너비)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어,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 또는 범위를 지정하는데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셋째, 촬영된 영상을 검출할 때, 날씨나 온도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어 최적화된 설계 도구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도 1에서 이미지 검출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도 1에서 거리 검출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도 3의 거리 검출부에서 두 대상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는 도 1의 모형크기 산출부에서 대상 모형이 지형일 때 지형 경사면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의 모형크기 산출부에서 측정된 대상 모형의 실제 크기를 적용한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이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모형이 촬영되어 원본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부(100)와, 상기 촬영부(100)에서 촬영된 원본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전자펜을 이용한 스케치를 통해 선택된 측정하고자하는 대상 모형을 검출하는 이미지 검출부(200)와,
상기 촬영부(100)에서부터 촬영된 대상 모형까지의 실제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300)와, 상기 이미지 검출부에서 검출된 대상 모형 및 상기 거리 산출부(300)에서 산출된 실제 거리를 기반으로 선택된 대상 모형의 길이, 높이 등을 포함하는 실제 크기를 산출하는 모형크기 산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는 촬영부(100)를 통해 촬영되는 날씨나 온도를 기반으로 촬영된 원본 이미지의 왜곡 및 선명도를 엣지 범위의 평균값 보정을 통해 보정하는 영상 보정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엣지 범위의 평균값 보정은 원본 이미지에서 엣지 영역을 도출하고, 도출된 엣지의 영역(너비)이 미리 정의되어 있는 일정 범위를 넘는 경우, 엣지 범위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엣지 범위를 일정 범위로 줄이게 된다.
상기 이미지 검출부(200)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촬영부(100)에서 촬영된 원본 이미지가 표시된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PC 등) 화면에 사용자가 전자펜을 이용한 스케치를 통해 선택된 대상 모형의 라인을 선택하는 선택라인 검출부(210)와, 상기 촬영부(100)에서 촬영된 원본 이미지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가상의 직선 라인을 서로 교차되도록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상라인 중 상기 선택라인 검출부(210)에서 선택된 대상 모형의 라인과 중첩되거나 이웃하는 하나의 가상라인을 검출하는 가상라인 검출부(220)와, 상기 촬영부(100)에서 촬영된 원본 이미지에서 엣지 영역만을 검출하는 엣지 검출부(230)와, 상기 선택된 대상 모형의 라인, 중첩되거나 이웃하는 하나의 가상라인 및 원본 이미지의 엣지 영역을 서로 비교하여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가상라인을 검출하는 매칭 처리부(240)와, 상기 매칭 처리부(240)에서 검출된 가상라인을 연결하여 대상 모형을 검출하는 모형 검출부(250)로 구성된다.
상기 거리 산출부(300)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이미지 검출부(200)에서 검출된 대상 모형의 이미지 크기 및 촬영부(100)의 초점 거리를 기반으로 촬영부(100)와 대상 모형까지의 거리를 기 저장된 기준거리와 비교하여 거리 산출을 위한 모듈을 선택하는 모듈 선택부(310)와, 상기 모듈 선택부(310)에서 기준거리보다 먼 거리에 대상 모형이 있는 경우 선택되어, GPS 정보를 통한 촬영부(100) 및 대상 모형의 현 위치를 검출하는 GPS 모듈(320)과, 상기 모듈 선택부(310)에서 기준거리보다 가까운 거리에 대상 모형이 있는 경우 선택되어 촬영부(100)에서 발사되는 레이저가 되돌아오는 시간을 검출하는 센서부(330)와, 상기 GPS 모듈(320)에서 검출된 촬영부(100)와 대상 모형의 현재 위치정보 및 상기 센서부(330)에서 검출된 되돌아오는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부(100)에서부터 촬영된 대상 모형까지의 실제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계산부(340)로 구성된다. 참고로 상기 기준거리는 센서부(330)가 안정적으로 대상 모형을 감지할 수 있는 거리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리 계산부(340)는 대상이 센서에 인식될 만큼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 센서부(330)를 사용하여 거리를 산출하고, 멀리 있을 땐 GPS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부(100) 및 그 대상 모형의 현 위치 정보를 각각 검출하여 그 거리를 산출한다. 참고로 GPS 모듈(320)을 이용하는 경우는 대상 모형이 GPS상 표시가 될 때 사용 가능하며, 대상 모형이 GPS상 표시가 되지 않을 때는 대상 모형 주변에 GPS 인식이 되는 다른 모형을 참고하여 두 대상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대상 모형과 촬영부(100)의 실제 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두 대상 모형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두 대상 모형(10)(20)간 거리의 정확도를 위해 두 대상 모형(10)(20)에 평행한 직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위에서 아래로 표시한다. 그리고 각 사이의 간격의 길이가 가장 긴 최대값과 가장 짧은 최소값의 평균을 산출하고, 이렇게 산출된 평균값을 이용하여 촬영부(100)와 실제 거리를 알고 있는 모형과의 실제 거리를 토대로 촬영부(100)와 대상 모형 간의 실제거리를 산출한다. 이는 GPS 모듈(320)을 이용하는 경우는 물론 센서부(330)를 이용하여 두 대상 모형(10)(20) 간의 거리를 측정할 때에도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모형크기 산출부(400)는 GPS 모듈(320)에서 검출된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대상 모형 크기를 산출하는 경우, 대상 모형을 향하여 직선으로 일정한 거리(20cm) 전진한 후 정지하면, 전진 전에 촬영된 대상 모형의 크기와 전진 후에 촬영된 대상 모형의 크기 변화를 이동된 일정한 거리의 비율에 대입하여 비율로 나누어줌으로써, 대상 모형의 실제 크기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모형크기 산출부(400)는 센서부(330)에서 검출된 되돌아오는 시간을 이용하는 경우, 촬영된 측정 지점과 지면에 수평한 사이각을 측정하고, 측정된 사이각과 상기 센서부(330)를 통해 측정된 거리를 근거로 삼각함수를 통해 촬영부(100)에서 수직한 측정 지점까지의 높이를 산출하고, 상기 입력받은 지면에서의 높이를 합산하여 상기 측정 대상의 실제 크기(높이)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를 이용하여 대상 모형의 실제 크기를 측정하는 구성을 이용하여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로, 측정되는 대상 모형이 건물인 경우에 건물의 넓이, 면적 등을 구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모형크기 산출부(400)에서 대상 모형인 건물의 길이, 높이 등을 포함하는 실제 크기가 산출되면, 도 6a 내지 도 6c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PC 등) 화면에 사용자가 전자펜을 이용한 스케치를 통해 실제 크기의 수치를 특정수식에 대입하여 기재함으로써, 대상 건물의 넓이(면적) 등을 계산한다.
이때, 상기 특정수식은 사칙연산 계산기 프로그램을 위한"간편 계산 모드"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구현한 특정수식을 이용하여 제공된 사칙연산 계산기를 이용하여 대상 건물의 넓이(면적) 등을 계산한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특정수식을 테마별로 미리 저장부에 저장한 후, 사용자에 의해 "테마별 수식 모드"를 선택하면, 저장부에 테마별로 미리 저장된 특정수식을 표시하고, 표시된 테마별 수식 중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수식을 선택하면 화면에 선택된 특정수식이 표시된다. 이에 사용자는 전자펜을 이용한 스케치를 통해 측정된 실제 크기의 수치를 표시된 특정수식에 직접 기재하거나 또는 드레그를 통한 수치이동을 통해 화면에 표시된 특정수식에 해당되는 입력위치에 위치시킴으로 자동적으로 대상 건물의 넓이(면적) 등을 계산한다. 이때, 저장부에 저장되는 테마는 건축, 건물, 은행, 물리, 수학 등 여러 가지로 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테마를 만들어서 새롭게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제작한 테마별 수식은 온라인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도 가능하다.
또 다른 방법으로 앞서 대상 모형의 넓이(면적) 등이 계산되면, 계산된 대상 모형의 패턴 또는 형태별로 저장부에 저장한 후, 사용자에 의해 "패턴별 수식 모드"를 선택하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중 측정된 대상 모형의 패턴 또는 형태와 일정비율(70%) 이상 일치하는 기존의 모형을 검출하여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기존의 모형 중 이용 가능한 모형을 선택하면, 기존에 해당 모형의 넓이(면적) 등이 계산되었을 때 이용된 특정수식이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표시된 특정수식 중 수정이 필요한 부분은 수정한 후, 전자펜을 이용한 스케치를 통해 측정된 실제 크기의 수치를 표시된 특정수식에 직접 기재하거나 또는 드레그를 통한 수치이동을 통해 화면에 표시된 특정수식에 해당되는 입력위치에 위치시킴으로 자동적으로 대상 건물의 넓이(면적) 등을 계산한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로, 측정되는 대상 모형이 지형, 형태인 경우에 지형의 형태를 구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모형크기 산출부(400)에서 대상 모형인 지형, 형태의 거리 및 크기가 산출되면,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산출된 지형 크기의 일정범위 안에서 센서부(330)에서 사용되는 레이저의 돌아오는 시간을 각각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돌아오는 시간을 이용한 각 거리를 통해 대상 모형의 경사 각도를 계산한다.
또한, 모형크기 산출부(400)에서 지형, 형태의 거리 및 크기가 산출되면, 산출된 지형을 기반으로 전자펜을 이용한 스케치를 통해 임의의 세 점을 찍고, 세 점이 연결되는 세 선분을 연결하여 세 점을 연결하는 끼인각의 각도를 계산한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로, 측정되는 대상 모형이 자동차인 경우에 사고로 인한 정비견적을 제공받기 위해 이용되는 실시예이다.
먼저, 저장부에 자동차 부품별 가격 및 부위별 수리비용을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모형크기 산출부(400)에서 대상 모형인 자동차의 사고 난 부위에 따른 길이, 면적, 모양이 산출되면, 대상 모형과 저장부에 저장된 사진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부위 및 부품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모형에 대한 가격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이때, 저장부에 저장된 각 대상의 가격을 수정하거나 퍼센트로 가격을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사고가 났을 경우 사진을 찍으면, 그 부위에 대한 정비 가격이 측정되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그 정보가 표시되게 된다.
제 4 실시예
제 4 실시예로, 측정되는 대상 모형이 상품이나 음식점 메뉴인 경우에 이용되는 실시예이다.
먼저, 저장부에 사진과 함께 상품이나 음식점 메뉴 모형별로 가격을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모형크기 산출부(400)에서 대상 모형인 상품이나 음식점 메뉴의 길이, 면적, 모양이 산출되면, 대상 모형과 저장부에 저장된 사진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상품이나 음식점 메뉴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모형에 대한 가격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이때, 여러 대상을 한 번에 사진에 담아서 동시에 대상을 찾아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식당에서 그릇에 대해서 사진을 찍고, 가격을 입력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먹은 그릇을 사진 찍으면 해당 그릇에 대한 가격이 측정되어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에 보이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마트의 계산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사고가 났을 경우 사진을 찍으면, 그 부위에 대한 정비 가격이 측정되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그 정보가 표시되게 된다.
제 5 실시예
제 5 실시예로, 측정되는 대상 모형이 종이 영수증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우이다.
먼저 모형크기 산출부(400)에서 대상 모형이 영수증인 경우, 영수증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와의 거리 및 크기가 산출되면, 산출된 숫자와의 거리 및 크기를 이용하여 해당 숫자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인지된 숫자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사칙연산 계산기 프로그램을 위한"간편 계산 모드"의 선택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사칙연산을 위한 계산기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숫자와 계산기를 이용하여 영수증에 표시된 사용 금액을 손쉽게 계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계산된 사용 금액은 사용자의 은행잔고에 대응하여 은행잔고에서 계산된 사용 금액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은행잔고를 적용하기 위해, 미리 은행 로그인을 수행하여 항시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제 6 실시예
제 6 실시예로, 모형크기 산출부(400)에서 측정되는 대상 모형의 거리를 이용하여 속도를 계산하는 실시예이다.
먼저 모형크기 산출부(400) 측정된 대상 모형의 거리를 저장한 후, 몇 초(1초)뒤 다시 해당 대상 모형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어 측정된 대상 모형이 가로축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진행한 거리를 계산하여, 시간에 따른 거리를 기반으로 대상 모형의 속도를 계산한다. 또한 측정된 대상 모형이 정면 또는 대각선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센서부(330) 또는 GPS 모듈(320)을 이용하여 측정된 진행 거리를 계산하여, 시간에 따른 거리를 기반으로 대상 모형의 속도를 계산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모형이 촬영되어 원본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원본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전자펜을 이용한 스케치를 통해 선택된 측정하고자하는 대상 모형을 검출하는 이미지 검출부와,
    상기 촬영부에서부터 촬영된 대상 모형까지의 실제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와,
    상기 이미지 검출부에서 검출된 대상 모형 및 상기 거리 산출부에서 산출된 실제 거리를 기반으로 선택된 대상 모형의 길이, 높이를 포함하는 실제 크기를 산출하는 모형크기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는 촬영부를 통해 촬영되는 날씨나 온도를 기반으로 촬영된 원본 이미지의 왜곡 및 선명도를 엣지 범위의 평균값 보정을 통해 보정하는 영상 보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검출부는
    촬영부에서 촬영된 원본 이미지가 표시된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사용자가 전자펜을 이용한 스케치를 통해 선택된 대상 모형의 라인을 선택하는 선택라인 검출부와,
    촬영부에서 촬영된 원본 이미지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가상의 직선 라인을 서로 교차되도록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상라인 중 상기 선택라인 검출부에서 선택된 대상 모형의 라인과 중첩되거나 이웃하는 하나의 가상라인을 검출하는 가상라인 검출부와,
    촬영부에서 촬영된 원본 이미지에서 엣지 영역만을 검출하는 엣지 검출부와,
    상기 선택된 대상 모형의 라인, 중첩되거나 이웃하는 하나의 가상라인 및 원본 이미지의 엣지 영역을 서로 비교하여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가상라인을 검출하는 매칭 처리부와,
    상기 매칭 처리부에서 검출된 가상라인을 연결하여 대상 모형을 검출하는 모형 검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산출부는
    이미지 검출부에서 검출된 대상 모형의 이미지 크기 및 촬영부의 초점 거리를 기반으로 촬영부와 대상 모형까지의 거리를 기 저장된 기준거리와 비교하여 거리 산출을 위한 모듈을 선택하는 모듈 선택부와,
    상기 모듈 선택부에서 기준거리보다 먼 거리에 대상 모형이 있는 경우 선택되어, GPS 정보를 통한 촬영부 및 대상 모형의 현 위치를 검출하는 GPS 모듈과,
    상기 모듈 선택부에서 기준거리보다 가까운 거리에 대상 모형이 있는 경우 선택되어 촬영부에서 발사되는 레이저가 되돌아오는 시간을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GPS 모듈에서 검출된 촬영부와 대상 모형의 현재 위치정보 및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되돌아오는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부에서부터 촬영된 대상 모형까지의 실제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계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산출부는 두 대상 모형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두 모형간의 거리를 기반으로 촬영부와 실제 거리를 알고 있는 모형과의 실제 거리를 토대로 다른 대상 모형과 촬영부 간의 실제거리를 산출하며,
    이때, 상기 두 대상 모형 간의 거리 측정은 두 대상 모형에 평행한 직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위에서 아래로 표시하고, 각 사이의 간격의 길이가 가장 긴 최대값과 가장 짧은 최소값의 평균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크기 산출부는
    GPS 모듈에서 검출된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대상 모형 크기를 산출하는 경우, 대상 모형을 향하여 직선으로 일정한 거리 전진한 후 정지하면, 전진 전에 촬영된 대상 모형의 크기와 전진 후에 촬영된 대상 모형의 크기 변화를 이동된 일정한 거리의 비율에 대입하여 비율로 나누어줌으로써, 대상 모형의 실제 크기(높이)를 산출하고,
    센서부에서 검출된 되돌아오는 시간을 이용하는 경우, 촬영된 측정 지점과 지면에 수평한 사이각을 측정하고, 측정된 사이각과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거리를 근거로 삼각함수를 통해 촬영부에서 수직한 측정 지점까지의 높이를 산출하고, 상기 입력받은 지면에서의 높이를 합산하여 상기 측정 대상의 실제 크기(높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
KR1020170021329A 2017-02-17 2017-02-17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 KR101940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329A KR101940736B1 (ko) 2017-02-17 2017-02-17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329A KR101940736B1 (ko) 2017-02-17 2017-02-17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176A true KR20180095176A (ko) 2018-08-27
KR101940736B1 KR101940736B1 (ko) 2019-01-21

Family

ID=63454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329A KR101940736B1 (ko) 2017-02-17 2017-02-17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73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760B1 (ko) 1992-06-24 1997-11-17 강진구 캠코더를 이용한 거리 및 높이 측정방법 및 장치
KR100878781B1 (ko) * 2008-03-21 2009-01-14 태양정보시스템(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크기 및 좌표를 측정하는측량 방법
KR101074678B1 (ko) 2011-03-03 2011-10-18 배상모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한 물체의 실제 크기 측정 방법
KR20130022831A (ko) 2011-08-26 2013-03-07 유민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거리, 높이, 길이 측정 방법
JP2013207745A (ja) * 2012-03-29 2013-10-07 Sharp Corp 画像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22238A (ko) * 2013-08-22 2015-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
KR20150119736A (ko) * 2014-04-16 2015-10-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노면 모델 설정을 이용한 장애물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14916A (ko) * 2015-07-31 2017-02-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 카메라와 gps를 이용한 영상 내 객체의 좌표 산출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760B1 (ko) 1992-06-24 1997-11-17 강진구 캠코더를 이용한 거리 및 높이 측정방법 및 장치
KR100878781B1 (ko) * 2008-03-21 2009-01-14 태양정보시스템(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크기 및 좌표를 측정하는측량 방법
KR101074678B1 (ko) 2011-03-03 2011-10-18 배상모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한 물체의 실제 크기 측정 방법
KR20130022831A (ko) 2011-08-26 2013-03-07 유민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거리, 높이, 길이 측정 방법
JP2013207745A (ja) * 2012-03-29 2013-10-07 Sharp Corp 画像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22238A (ko) * 2013-08-22 2015-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
KR20150119736A (ko) * 2014-04-16 2015-10-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노면 모델 설정을 이용한 장애물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14916A (ko) * 2015-07-31 2017-02-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 카메라와 gps를 이용한 영상 내 객체의 좌표 산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736B1 (ko) 201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0511B2 (en) Point-to-point measurements using a handheld device
JP6926917B2 (ja) オフライン検証システム
EP2829842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me product for determination of an absolute volume of a stock pile using a structure from motion algorithm
US10769802B2 (en) Indoor distance measurement method
KR101879586B1 (ko) 증강 현실 구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1068344B (zh) 物体检测装置
US88237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images with edge detection and snap-to feature
EP2825841B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me for extracting information about a staircase
CN110926334B (zh) 测量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14128507A2 (en) A mobile indoor navigation system
US20150317070A1 (en) Mobile handheld instruments and methods
US11118911B2 (en) Localized map generation
WO2004044528A1 (ja) 測量装置と電子的記憶媒体
US20110183684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US20170026636A1 (en) Method for the positionally accurate projection of a mark onto an object, and projection apparatus
US1174008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urbside surveying
KR101925289B1 (ko) 단말 위치/각도 식별 방법 및 장치
US11321864B1 (en) User guided mode for measurement purposes
KR101940736B1 (ko) 스케치 스마트 계산기
KR20130142533A (ko) 스마트폰 실측기
US20150243037A1 (en) Method for a distance measurement
CN110726996B (zh) 深度模组测距方法、深度相机及移动终端
CN105096338A (zh) 运动目标提取方法及装置
US10645363B2 (en) Image-based edge measurement
KR20150089366A (ko) 지자계 센서를 이용한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