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593A - 안약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안약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593A
KR20180094593A KR1020170020924A KR20170020924A KR20180094593A KR 20180094593 A KR20180094593 A KR 20180094593A KR 1020170020924 A KR1020170020924 A KR 1020170020924A KR 20170020924 A KR20170020924 A KR 20170020924A KR 20180094593 A KR20180094593 A KR 20180094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storage
artificial tears
eye drops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0761B1 (ko
Inventor
배정환
Original Assignee
배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정환 filed Critical 배정환
Priority to KR1020170020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761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26Ophthalmic product dispenser attachments to facilitate positioning near the ey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2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esthes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약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약 또는 인공눈물을 안구에 투여할 때, 사용자의 눈 주위에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안약용기가 안구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노약자나 선단공포증이 있는 사람도 두려움 없이 안정적으로 투여할 수 있는 안약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약주입장치{OPHTHALMIC INJECTION DEVICE}
본 발명은 안약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약 또는 인공눈물을 안구에 투여할 때, 사용자의 눈 주위에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안약용기가 안구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노약자나 선단공포증이 있는 사람도 두려움 없이 안정적으로 투여할 수 있는 안약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은 안약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약 또는 인공눈물을 안구에 투여할 때, 사용자의 눈 주위에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안약용기가 안구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노약자나 선단공포증이 있는 사람도 두려움 없이 안정적으로 투여할 수 있는 안약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뿐만 아니라 테블릿 PC나 스마트폰 등 IT 기기의 사용 시간이 늘어나면서, 안구건조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안약 또는 인공눈물 등을 수시로 눈에 넣어주는 환자가 많다.
이러한 안약을 눈에 투여하기 위해서는 얼굴을 치켜든 상태에서 눈을 하늘로 향하게 하여 안약용기를 안구 앞에 띄워놓은 후 액상의 안약을 1,2방울 떨어뜨려 투여하게 되는데, 노약자나 공포증이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눈에 안약을 투여하기가 힘들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0172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안약용기에 있어서, 안약을 수용하며 단부에 출구(22)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2)와, 상기 본체부(2)와 결합되는 뚜껑부(3)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2)에는 상기 출구(22)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출구(22)보다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안약투여시 투여대상자의 눈꺼풀을 올려주는 눈꺼풀 올리개(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0172호에 기재된 기술은 안약을 수용하는 본체부(2)에 투여대상자의 눈꺼풀을 올려주는 눈꺼풀 올리개(24)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눈꺼풀을 올려주어 용이하게 안약을 투여하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눈꺼풀 올리개(24)를 눈에 대고 사용하다가 실수로 안구를 찌르거나 눈 주위에 상처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노약자나 날카로운 물체가 시야에 들어오면 두려움을 느끼는 선단공포증을 가진 사람은 안구에 직접 안약 또는 인공눈물을 투여하는데 어려움을 격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017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에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저장되는 저장부가 구비되는 커버부를 사용자의 눈 주위에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하고 저장부를 가압하여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투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눈 주위에 눈꺼풀을 올려주는 고정수단에 의해 실수로 안구를 찌르거나 눈 주위에 상처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 없이 안정적으로 안약을 주입할 수 있는 안약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사용자의 눈 주위에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야에 안약용기가 보이지 않아 심적 부담감이 적고, 끝이 뾰족하게 생긴 배출구를 쳐다보지 않아도 됨으로써. 노약자나 선단공포증을 가진 사람도 두려움 없이 안정적으로 안약을 주입할 수 있는 안약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의 일측면에는 접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에는 마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시 배출구에는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는 한쌍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배출구가 노출되도록 배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는 내측에 상기 저장부가 구비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배출구가 노출되도록 배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에는 단부에 손잡이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얼굴의 눈 주위에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내측에는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저장되는 저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는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상시 저장공간과 연통괴게 형성되는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의 일측면에는 접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면을 보호하는 보호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호시트에는 상기 배출구를 커버하는 마개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에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저장되는 저장부가 구비되는 커버부를 사용자의 눈 주위에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하고 저장부를 가압하여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투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눈 주위에 눈꺼풀을 올려주는 고정수단에 의해 실수로 안구를 찌르거나 눈 주위에 상처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 없이 안정적으로 안약을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사용자의 눈 주위에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야에 안약용기가 보이지 않아 심적 부담감이 적고, 끝이 뾰족하게 생긴 배출구를 쳐다보지 않아도 됨으로써. 노약자나 선단공포증을 가진 사람도 두려움 없이 안정적으로 안약을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약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안약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약주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약주입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약주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약주입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약주입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약주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약주입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약주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약주입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약주입장치의 또라른 실시예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얼굴의 눈 주위에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하여 안약 또는 인공눈물을 주입할 수 있는 안약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크게 내부에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저장되는 저장부(100)와 상기 저장부(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커버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200)의 일측면에는 접착면(210)이 형성되어 얼굴의 눈주위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100)는 탄성재질 또는 합성수지 등을 이용한 연질재로 이루어져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110)의 일측에는 저장공간(110)의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120)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120)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직접 안구에 투여되며, 사용자가 저장부(100)의 측부를 가압하게 되면, 저장부(100)의 저장공간(110)에 저장된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배출구(120)를 통하여 배출되고, 외력이 없는 경우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지 않을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구성한다.
또한, 배출구(120)의 단부는 개방되게 형성되는데, 이 개방된 부분에는 상기 마개(300)가 구비되어 배출구(120)를 밀폐함으로써, 저장공간으로(110)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저장부(100)의 저장공간(110)에 저장되어 있는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마개(300)는 배출구(12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어,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고, 배출구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마개를 제거한 후 안약 또는 인공눈물 등을 투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20)에는 절개부(122)를 형성하여 배출구(120)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고, 배출구(120)의 단부에 손잡이부(124)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더 용이하게 배출구(120)를 개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커버부(200)는 수용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220)에 상기 저장부(100)를 수용하게 구비되며, 커버부(200)의 일측에는 접착면(210)이 형성되어 있어 접착면(210)을 사용자 얼굴의 눈 주위에 부착할 수도 있도록 한다.
이때, 접착면은 여러번 부착가능한 재질로 구성함이 가능하다.
그리고, 커버부(200)에는 저장부(10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220)가 형성되어, 저장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오염되거나, 안약 또는 인공눈물을 다 사용하게 되면 저장부(10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00)의 수용부(220)에는 상기 저장부(100)의 배출구(120)가 노출되도록 배출홈(222)이 형성되어, 배출구(120)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안구로 직접 투여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커버부(200)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얼굴의 눈 주위에 콧날, 이마 등 굴곡져있는 피부에도 부착할 수 있으며, 고정 또는 착탈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커버부(200)의 일측을 손으로 가압하면 저장부(100)도 같이 가압이 되어 저장부(100)의 저장공간(110)에 저장되어 있는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어 직접 안구에 투여되게 되어, 날카로운 물체가 시야에 들어 오면 느끼는 선단공포증을 가진 사람도 눈 주위에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두려움 없이 안정적으로 안약을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커버부(200')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부(220)가 길이방향으로 한 쌍이 형성되고, 각 수용부(220)에 저장부(100)가 구비됨으로써, 커버부(20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면(210)의 중앙부분을 코 중앙부에 부착하여, 한 쌍의 저장부(100)를 동시에 가압함으로써 양쪽 안구에 동시에 안약 또는 인공눈물을 투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의 (a),(b),(c),(d)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약주입장치를 사용자 코 뿐만 아니라 사용자 눈 주위의 이마 또는 눈 밑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이마에 붙여 사용 할 때는 저장부(10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120)의 길이가 안구에 직접 투여될 수 있게 길게 형성되며, 사용자의 눈 밑에 붙여 사용 할 때는 저장부(10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120)의 방향이 안구에 직접 투여될 수 있게 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도 8의 (a),(b)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약주입장치는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저장되는 저장부(100')의 일측면에 접착면(210)이 형성되고, 접착면(210)을 보호하는 보호시트(400)가 구비됨으로써, 용이하게 사용자의 눈 주위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접착면(210)을 보호하는 상기 보호시트(400)가 구비되어 있어, 안약주입장치를 보관중에 접착면(210)이 외부에 노출되어 이물질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안약주입장치를 사용시 보호시트(400)를 제거하고 접착면을 사용자의 눈 주위에 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보호시트(400)에는 배출구(120)를 막는 마개(30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마개(300')를 제거함과 동시에 보호시트(400)를 벗겨낼 수 있게 되어, 얇게 형성된 보호시트(400)를 벗겨내는데 어려움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약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약 또는 인공눈물을 안구에 투여할 때, 사용자의 눈 주위에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안약용기가 안구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노약자나 선단공포증이 있는 사람도 두려움 없이 안정적으로 투여할 수 있는 안약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 100' : 저장부 110 : 저장공간
120 : 배출구 122 : 절개부
124 : 손잡이부 200, 200' : 커버부
210 : 접착면 220 : 수용부
222 : 배출홈 300, 300' : 마개
400 : 보호시트

Claims (12)

  1. 안약주입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약주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일측면에는 접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약주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약주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마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약주입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시 배출구에는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약주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한쌍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저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약주입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내측에 상기 저장부가 구비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배출구가 노출되도록 배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약주입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단부에 손잡이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약주입장치.
  9. 얼굴의 눈 주위에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내측에는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저장되는 저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약주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시 저장부는 안약 또는 인공눈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상시 저장공간과 연통괴게 형성되는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약주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일측면에는 접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면을 보호하는 보호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약주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시트에는 상기 배출구를 커버하는 마개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약주입장치.
KR1020170020924A 2017-02-16 2017-02-16 안약주입장치 KR102300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924A KR102300761B1 (ko) 2017-02-16 2017-02-16 안약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924A KR102300761B1 (ko) 2017-02-16 2017-02-16 안약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593A true KR20180094593A (ko) 2018-08-24
KR102300761B1 KR102300761B1 (ko) 2021-09-10

Family

ID=63454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924A KR102300761B1 (ko) 2017-02-16 2017-02-16 안약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76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6096A (ja) * 2006-08-04 2008-02-21 Saneji Tanaka 目薬容器
JP3140911U (ja) * 2007-12-26 2008-04-17 有限会社丹羽電子 目薬点眼補助具
KR20120000346A (ko) * 2010-06-25 2012-01-02 (주)엔코스 화장용 팩
KR20120020589A (ko) * 2010-08-30 2012-03-08 김인환 점안 보조장치
KR20140101255A (ko) * 2013-02-08 2014-08-19 서현배 패치형 약물 주입기
KR20160000172U (ko) 2014-07-08 2016-01-18 신은지 투약편리한 일회용안약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6096A (ja) * 2006-08-04 2008-02-21 Saneji Tanaka 目薬容器
JP3140911U (ja) * 2007-12-26 2008-04-17 有限会社丹羽電子 目薬点眼補助具
KR20120000346A (ko) * 2010-06-25 2012-01-02 (주)엔코스 화장용 팩
KR20120020589A (ko) * 2010-08-30 2012-03-08 김인환 점안 보조장치
KR20140101255A (ko) * 2013-02-08 2014-08-19 서현배 패치형 약물 주입기
KR20160000172U (ko) 2014-07-08 2016-01-18 신은지 투약편리한 일회용안약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761B1 (ko)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39564B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cular iontophoresis
JP6585730B2 (ja) 液体塗布が可能な頭皮ケア容器用栓
US6010488A (en) Lower eyelid retractor and method for applying medication to the eye
KR20160062637A (ko) 투입이 용이한 안약 용기
KR101245651B1 (ko) 점안 보조장치
US20040267214A1 (en) Ophthalmic device for administering fluid eye medication to the human eye
US20100305491A1 (en) Two-piece bandage system, swab and cotton product
KR101789278B1 (ko) 안약 투약기
KR20180094593A (ko) 안약주입장치
KR101181302B1 (ko) 재밀봉이 가능한 안구용 액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
KR20160001595U (ko) 점안액 투약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점안액 투약 장치
KR102359557B1 (ko)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
WO2008041177A2 (en) A dispensing device and a method of using the device
US20160128868A1 (en) Eye drop container with eye drop alignment effect
KR102393985B1 (ko) 점안액 투약 보조 장치
KR101793930B1 (ko) 점안 보조장치
KR101518823B1 (ko) 안약용기
CN215020397U (zh) 一种眼罩
KR101434023B1 (ko) 안약전달용 스틱
JP3124898U (ja) 目薬タレ防止具
JP3195465U (ja) 位置合わせ点眼効果を有する点眼容器
KR20190062738A (ko) 바늘없는 주사장치 포장재
KR101696703B1 (ko) 안약 투여 장치
CN104546129A (zh) 一种手术眼睑粘贴保护膜
KR20160000172U (ko) 투약편리한 일회용안약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