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557B1 -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 - Google Patents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557B1
KR102359557B1 KR1020200032985A KR20200032985A KR102359557B1 KR 102359557 B1 KR102359557 B1 KR 102359557B1 KR 1020200032985 A KR1020200032985 A KR 1020200032985A KR 20200032985 A KR20200032985 A KR 20200032985A KR 102359557 B1 KR102359557 B1 KR 102359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frame
sheet mask
facial sheet
w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6875A (ko
Inventor
황누리
정아영
Original Assignee
황누리
정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누리, 정아영 filed Critical 황누리
Priority to KR1020200032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557B1/ko
Publication of KR20210116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또는 하면에 페이셜 시트 마스크가 안착되도록 구성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진 패드, 및 패드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경질 재료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APPARATUS FOR WEARING FACIAL SHEET MASK}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사용자의 안면에 페이셜 시트 마스크를 부착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된다.
페이셜 시트 마스크는 페이셜 마스크, 시트 마스크 또는 마스크 팩 등으로도 지칭되는 제품으로서, 사람의 피부, 특히 안면에 다양한 영양분 내지 수분 등을 공급할 수 있는 미용 제품이다. 페이셜 시트 마스크는 통상적으로 사람의 안면 형태로 이루어진 시트에 영양 성분 내지 보습 성분으로 이루어진 액상을 도포한 후 밀봉하여 판매될 수 있다. 페이셜 시트 마스크의 시트는 통상적으로 직물, 종이 또는 하이드로겔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페이셜 시트 마스크는 사용자가 접힌 상태로 밀봉된 시트를 꺼내서 펼친 후 안면에 부착시키고, 일정 시간(예: 10분 내지 30분)이 지난 후 얼굴에서 분리하는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미용에 대한 관심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면서, 페이셜 시트 마스크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고, 페이셜 시트 마스크의 기능 또한 수분 공급, 미백, 노화 방지, 리프팅 및 피부 진정 등과 같이 다양해지고 있다.
페이셜 시트 마스크는 통상적으로 접힌 상태에서 영양 성분 내지 보습 성분으로 이루어진 액상과 함께 포장되어 공급된다. 이 경우, 포장재로부터 페이셜 시트 마스크를 꺼내면 페이셜 시트 마스크가 액상에 의해 젖어 있는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스스로 페이셜 시트 마스크를 펼쳐서 안면의 적합한 위치에 평평하게 부착시키는 데에 불편함이 따를 수 있다. 따라서, 페이셜 시트 마스크의 부착을 보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사용자가 페이셜 시트 마스크를 스스로 안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또는 하면에 페이셜 시트 마스크가 안착되도록 구성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진 패드, 및 패드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경질 재료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드의 측면은 프레임의 내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드는 지정된 두께를 갖는 타원형 또는 원형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고, 프레임은 중앙에 패드를 수용하도록 패드에 대응하는 형태의 공간을 포함하는 환형(annular) 패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드에는 패드가 사용자의 안면에 안착될 때 사용자의 눈과 코가 노출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드에는 페이셜 시트 마스크에 형성된 개구부 및 절개부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드는 인간의 표피보다 마찰력이 작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드는 LSR(liquid silicone rubber) 또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장치는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가 지면에 놓일 때 패드의 지면에 대한 접촉이 방지되도록 프레임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장치는 프레임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밴드(band) 형태로 이루어지고, 프레임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탄성체로 이루어진 패드와 패드를 고정시키는 프레임을 채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페이셜 시트 마스크를 탄성체 패드에 펼쳐 놓은 후, 프레임을 잡고 안면에 페이셜 시트 마스크를 부착시키도록 하여, 액상에 의해 젖어있는 시트를 사용자의 안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 패드를 마찰 계수가 낮은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페이셜 시트 마스크가 안면에 부착된 후 탄성체 패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 패드에 사용자의 눈과 코가 노출되도록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페이셜 시트 마스크의 부착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부를 채용함으로써, 탄성체 패드가 지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100)는 중앙부에 위치된 패드(110) 및 그 주변부에 위치된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드(110)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드(110)는, 예를 들어, 지정된 두께를 갖는 타원형 또는 원형 패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통상적인 페이셜 시트 마스크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패드(110)는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 외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패드(110)의 가로 길이는, 예를 들어, 약 22cm 내지 약 23cm일 수 있고, 패드(110)의 세로 길이는, 예를 들어, 약 19cm 내지 약 20cm일 수 있다. 패드(110)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1mm 내지 약 1.5mm일 수 있다. 본 문서에 포함된 구체적인 사이즈에 대한 기재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그 사이즈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패드(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개봉되어 펼쳐진 페이셜 시트 마스크가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드(110)에는 패드(110)가 사용자의 안면에 안착될 때 사용자의 눈과 코가 노출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111, 112)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11, 112)는 패드(110)의 중앙부, 좌측 상부 및 우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110)에는 사용자의 눈 및 코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3개의 개구(111, 112)가 형성될 수 있다. 패드(110)에는 사용자의 두 눈에 대응하는 위치에 2개의 타원형 개구(111)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코에 대응하는 위치에 1개의 사다리꼴 내지 삼각형 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드(110)에는 페이셜 시트 마스크에 형성된 개구부 및/또는 절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개구(111, 11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110)에는 페이셜 시트 마스크에 형성된 사용자의 눈이 노출되도록 하는 2개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2개의 개구(111)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코가 노출되도록 하는 1개의 절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1개의 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패드(110)에는 사용자의 눈이 노출되도록 하는 2개의 타원형 개구(111)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코가 노출되도록 하는 1개의 U자형 절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패드(110)에는 사용자의 입이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페이셜 시트 마스크가 패드(110)에 부착되는 경우, 페이셜 시트 마스크의 개구부 및 절개부는 패드(110)의 개구(111, 112)와 겹쳐질 수 있다. 상술한 하나 이상의 개구(111, 112)를 통해 사용자는 페이셜 시트 마스크의 부착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드(110)는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드(110)가 탄성체로 이루어지므로, 페이셜 시트 마스크를 패드(110)에 안착시킨 후 패드(110)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킬 때, 패드(110)의 변형으로 인해 페이셜 시트 마스크의 대부분의 영역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드(110)는 인간의 표피보다 마찰력이 작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110)는 LSR(liquid silicone rubber) 또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재료로 패드(110)를 형성함으로써, 페이셜 시트 마스크를 패드(110)에 안착시킨 후 패드(110)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키면, 페이셜 시트 마스크가 패드(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120)은 패드(11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20)은 환형(annular) 패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레임(120)의 형태는 패드(110)의 형태에 따라 패드(110)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는 다양한 고리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프레임(120)의 폭은, 예를 들어, 약 0.5cm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프레임(120)의 폭이 일정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프레임(120)의 폭은 일정하지 않게 변형될 수도 있다. 프레임(120)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1mm 내지 약 1.5mm일 수 있다. 프레임(120)은 중앙에 패드(110)를 수용하도록 패드(110)에 대응하는 형태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패드(110)는 프레임(120)의 중앙 공간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프레임(120)이 패드(110)의 측면의 전부를 둘러싸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프레임(120)은 패드(110)의 측면의 일부만을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120)은 경질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20)은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탄성체 패드(110) 상에 페이셜 시트 마스크를 펼쳐서 부착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페이셜 시트 마스크가 부착된 상태에서 착용 장치(100)를 안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패드(110)에 형성된 개구(111)를 이용하여 부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착용 장치(100)를 안면에 밀착시키면, 탄성 있는 패드(110)의 변형으로 인해 페이셜 시트 마스크의 대부분의 영역이 안면에 밀착될 수 있다. 페이셜 시트 마스크가 안면에 밀착된 후, 착용 장치(100)를 떼어내면, 패드(110)의 낮은 마찰력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마스크는 패드(110)로부터 분리되고 안면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젖어있고 접힌 상태로 보관된 페이셜 시트 마스크를 용이하게 안면에 부착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상의 직선 A-A'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100)는 중앙부에 위치된 패드(110) 및 그 주변부에 위치된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드(110) 및 프레임(120)은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패드(110)의 두께와 프레임(120)의 두께가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패드(110)의 두께와 프레임(120)의 두께는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패드(110)의 두께와 프레임(120)의 두께는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패드(110)의 측면은 프레임(120)의 내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패드(110)의 측면은 프레임(120)의 내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패드(110)는 프레임(120)에 다양한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110)는 열에 의해 프레임(120)에 부착될 수도 있고, 접착제에 의해 프레임(12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패드(110)의 외주면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프레임(120)의 내주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볼록부가 오목부에 삽입됨으로써, 패드(110)와 프레임(120)이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패드(110)의 외주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프레임(120)의 내주면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볼록부가 오목부에 삽입됨으로써, 패드(110)와 프레임(120)이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부착 및 연결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고, 패드(110)와 프레임(120)은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페이셜 시트 마스크 부착 장치는 장치가 지면에 놓일 때 패드의 지면에 대한 접촉이 방지되도록 프레임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페이셜 시트 마스크 부착 장치에는 다양한 형태의 지지부가 채용될 수 있으며, 지지부를 포함하는 페이셜 시트 마스크 부착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 예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지지부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고, 페이셜 시트 마스크 부착 장치는 패드의 지면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는 중앙부에 위치된 패드, 그 주변부에 위치된 프레임, 및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패드(210) 및 프레임(220)은 도 1의 패드(110) 및 프레임(120)과 유사한 구성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에서 설명된 구성과 유사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부(230)는 프레임(22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밴드(band)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230)는 밴드의 양 말단이 연결된 고리 형태일 수 있다. 지지부(230)는 프레임(220)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프레임(2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230)는 프레임(2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프레임(220)과 별개로 형성된 후 프레임(2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지지부(230)의 폭은 약 0.5cm 내지 약 2cm일 수 있다. 지지부(230)의 폭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정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지지부(230)는 프레임(220)의 상면 및/또는 하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230)는 프레임(220)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230)는 프레임(220)의 외주면으로부터 프레임(220)의 상면이 향하는 방향 및 프레임(220)의 하면이 항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지지부(230)가 프레임(220)의 상면 및 하면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지지부(230)는 프레임(220)의 상면 방향으로만 연장될 수도 있고, 프레임(220)의 하면 방향으로만 연장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는 중앙부에 위치된 패드, 그 주변부에 위치된 프레임, 및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패드(310) 및 프레임(320)은 도 1의 패드(110) 및 프레임(120)과 유사한 구성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에서 설명된 구성과 유사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부(330)는 프레임(320)의 외주면의 일부를 둘러싸는 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330)는 프레임(320)의 외주면의 일부와 접촉된 원호 형태일 수 있다. 지지부(330)는 프레임(320)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프레임(3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330)는 프레임(3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프레임(320)과 별개로 형성된 후 프레임(3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지지부(330)의 폭은 약 0.5cm 내지 약 2cm일 수 있다. 지지부(330)의 폭은 일정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말단에서 감소될 수도 있고, 그 외의 형태로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지지부(330)는 프레임(320)의 상면 및/또는 하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330)는 프레임(320)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30)는 프레임(320)의 외주면으로부터 프레임(320)의 상면이 향하는 방향 및 프레임(320)의 하면이 항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지지부(330)가 프레임(320)의 상면 및 하면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지지부(330)는 프레임(320)의 상면 방향으로만 연장될 수도 있고, 프레임(320)의 하면 방향으로만 연장될 수도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는 중앙부에 위치된 패드, 그 주변부에 위치된 프레임, 및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패드(410) 및 프레임(420)은 도 1의 패드(110) 및 프레임(120)과 유사한 구성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에서 설명된 구성과 유사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부(430)는 프레임(420)의 상면 및/또는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430)는, 예를 들어,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반구형, 뿔형 또는 뿔대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프레임(420)의 일면에는 도 6의 도시된 것과 같이 4개의 지지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임의의 개수의 지지부(430)가 채용될 수도 있고, 지지부(430)의 위치 또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지지부(430)는 프레임(4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6에는 프레임(4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부(430)만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지지부(430)는 프레임(420)의 타면에도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430)는 프레임(4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프레임(420)과 별개로 형성된 후 프레임(4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에 있어서,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또는 하면에 페이셜 시트 마스크가 안착되도록 구성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진 패드; 및
    상기 패드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경질 재료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가 지면에 놓일 때 상기 패드의 지면에 대한 접촉이 방지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측면은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지정된 두께를 갖는 타원형 또는 원형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은 중앙에 상기 패드를 수용하도록 상기 패드에 대응하는 형태의 공간을 포함하는 환형(annular) 패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에는 상기 패드가 사용자의 안면에 안착될 때 상기 사용자의 눈과 코가 노출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에는 상기 페이셜 시트 마스크에 형성된 개구부 및 절개부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인간의 표피보다 마찰력이 작은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LSR(liquid silicone rubber) 또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밴드(band)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200032985A 2020-03-18 2020-03-18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 KR102359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985A KR102359557B1 (ko) 2020-03-18 2020-03-18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985A KR102359557B1 (ko) 2020-03-18 2020-03-18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875A KR20210116875A (ko) 2021-09-28
KR102359557B1 true KR102359557B1 (ko) 2022-02-08

Family

ID=7792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985A KR102359557B1 (ko) 2020-03-18 2020-03-18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5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623Y1 (ko) * 2022-02-03 2022-07-11 박민식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055B1 (ko) 2012-06-28 2013-03-11 김정민 마스크 팩 흡수를 촉진하는 마스크 팩 보조 마스크
KR101987583B1 (ko) * 2018-03-08 2019-06-10 금강전기 (주)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933A (ja) * 1998-01-13 1999-07-27 Shinko Silk:Kk 美顔用マスクの装着補助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055B1 (ko) 2012-06-28 2013-03-11 김정민 마스크 팩 흡수를 촉진하는 마스크 팩 보조 마스크
KR101987583B1 (ko) * 2018-03-08 2019-06-10 금강전기 (주)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875A (ko)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2735A (en) Eye bandage
US4856535A (en) Protective face shield
JP5388850B2 (ja) 保護フェイスマスク
US4649908A (en) Eye shield
US11197782B2 (en) Sleep mask apparatus
US8667612B2 (en) Eye protection cap
KR102359557B1 (ko)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
KR20110078384A (ko) 마스크 팩
US4898162A (en) Convertible eyeshield
KR101952630B1 (ko) 턱 전용 미용팩
US3138801A (en) Hair covering
CN110636774A (zh) 头发包裹物
KR102532241B1 (ko) 어플리케이터 장치
KR101987583B1 (ko) 마스크
CN110167386B (zh) 面膜包套件
US20010029622A1 (en) Protective ear covers
US2646795A (en) Corn cushion
KR101127118B1 (ko) 얼굴주름 방지장치
JP5489524B2 (ja) フェイスマスク
JPH06315499A (ja) 安眠マスク
KR100473936B1 (ko) 압박 분산이 가능토록 된 디스크 허리벨트
KR101831631B1 (ko) 피부 처짐 및 주름 개선시트
KR200495623Y1 (ko)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
JP7406231B2 (ja) 保湿用キット
KR20190084683A (ko) 음이온,원적외선,양자파동을 이용하여 기존 화장품 및 마스크팩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마스크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