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623Y1 -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623Y1
KR200495623Y1 KR2020220000352U KR20220000352U KR200495623Y1 KR 200495623 Y1 KR200495623 Y1 KR 200495623Y1 KR 2020220000352 U KR2020220000352 U KR 2020220000352U KR 20220000352 U KR20220000352 U KR 20220000352U KR 200495623 Y1 KR200495623 Y1 KR 2004956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device
mask
face
mask pack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식
Original Assignee
박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식 filed Critical 박민식
Priority to KR2020220000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6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6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6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8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spreading already applied pai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스크팩을 얼굴에 편리하게 붙이기 위한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로서, 내부에는 코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마스크팩 크기와 같거나 크게 이루어져 안쪽면에 마스크팩을 올려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ASSISTANT TOOL FOR USING MASK-PACKS}
본 고안은 마스크팩을 얼굴에 편리하게 붙이기 위한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로서, 해당 보조기구에 마스크팩이 올려져 펴진 상태에서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얼굴에 마스크팩을 붙일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쉽게 마스크팩을 얼굴에 펴바를 수 있고 밀착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미용사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사업으로, 여성만이 아니라 남성 또한 피부관리 등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에 따라 다양한 화장품 제품들이 소개되고 있고, 짧은 시간으로 사용이 가능한 미용 팩 역시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미용 팩은 얼굴에 바르는 크림 타입이나 얼굴에 붙이는 방식의 마스크 타입으로 나뉘어지는데, 마스크 타입의 미용 팩을 마스크팩이라고 지칭한다.
마스크팩은 부직포나 니트지나 거즈와 같은 미용시트에 피부미용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을 겔 형태로 함침시켜 얼굴 형태에 맞게 마스크 형상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안면 윤곽에 대응되도록 눈과 코, 그리고 입 부분이 뚫려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마스크팩의 포장 형태 및 이에 따른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보통 투명한 PE필름지 위에 화장액이 함침된 마스크 시트가 펴진 상태로 포장되어 판매되는 형태가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포장지를 뜯은 후 시트에 부착된 PE필름지를 제거하고 시트를 얼굴 부착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게 펴는 작업을 하면서 얼굴에 마스크팩을 붙인다.
또는 PE필름지가 사용되지 않고 화장액이 함침된 미용시트가 몇 단계로 접혀져 크기가 줄어든 상태로 포장되어 판매되는 형태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포장지를 뜯은 후 시트를 꺼내어 접혀진 상태를 얼굴 부착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게펴서, 이를 얼굴에 붙이게 된다.
그리고 보통 마스크팩에 사용되는 미용시트의 두께가 얇고 화장액이 함침된 상태에서는 형태가 잘 잡혀지지 않기에, 전자의 경우이든 후자의 경우이든 사용자는 펴진 마스크시트를 얼굴에 붙이는 과정에서 마스크시트 일부가 서로 겹쳐지거나 접히는 상태가 발생하고 얼굴에 시트를 붙인 상태에서 평평하게 펴지지 않은 부분을 다시 평평하게 정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마스크 시트를 다시 정렬하는 과정에서 시트의 특정 부위를 당겨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시트가 부착된 피부에 영향을 주어 피부가 특정 방향으로 당기는 등 마스크 시트를 얼굴에 붙인 사용자는 이로 인해 마스크를 부착하고 있는 동안 어색하고 불편한 상태를 가지게 된다.
그간 마스크팩이 사용자들에게 애용되어 왔으나 얼굴에 부착하는 과정이 수월하지 않아 상기와 같은 사용상 한계가 있어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마스크팩 즉 마스크 시트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얼굴에 부착하여 마사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기구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판상 형태로서, 사용자가 보조기구를 사용할 때만이 아니라 세척 및 보관이 용이한 보조기구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는,
내부에는 코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마스크팩 크기와 같거나 크게 이루어져 안쪽면에 마스크팩을 올려 사용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기구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기구는 안쪽면에 안치된 마스크팩의 미용액 흘러내림 방지를 위해 보조기구의 외곽을 따라 돌출된 제1 외곽턱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의의 외곽으로도 미용액 흘러내림 방지를 위해 돌출된 제2 외곽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쪽면에는 다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보조기구는, 안쪽면에 마스크팩이 올려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얼굴에 보조기구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에 의하면, 사용자가 보조기구에 마스크 시트를 평평하게 편 후 해당 보조기구를 얼굴에 가져다대면서 시트를 얼굴에 부착할 수 있기에, 얼굴 부착시 시트가 겹쳐지거나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등 한번에 평평한 상태로 시트를 얼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부피가 크지 않아, 사용 후 세척 및 보관이 용이하다.
도 1은 마스크 시트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마스크 시트가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에 안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마스크 팩 부착 후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 제거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C)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대략적인 판상 타입으로 마스크팩 크기와 같거나 좀 더 큰 면적을 가진다.
보조기구(C)의 안쪽면(C1)에 마스크팩(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 시트)(S)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조기구를 얼굴에 부착시킨 후 마스크 시트의 밀착 상태를 확인한 후 보조기구를 제거하게 되는데,
보조기구가 얼굴 윤곽에 맞추어져야 하기에 형태 변형이 전혀 없는 하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보다는 외력에 의해 형태 변형이 생기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서블한 재질로서 인체 무해성을 고려할 때 실리콘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판상 타입의 본 고안의 보조기구는 0.5 내지 1.5㎜ 두께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마스크 시트가 눈, 코, 입에 해당하는 구멍을 가지는 것처럼, 본 고안의 보조기구 역시 눈, 코, 입에 대응하는 관통공(10a, 10b, 10c)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코는 얼굴에서 돌출된 부분이기에 보조기구 역시 얼굴에 부착되어야 하는 것(보다 정확히는 마스크 시트가 개재된 상태로 얼굴에 부착되는 것임)으로 보조기구 내부에는 코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공(10b)을 필수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마스크팩 포장지를 뜯어 마스크 시트를 꺼낸 후 본 고안의 보조기구 안쪽면(C1)에 평평하게 펴야하는데,
안쪽면에 안치된 마스크팩의 화장액이 보조기구 밖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의 보조기구는 보조기구의 외곽을 따라 돌출된 제1 외곽턱(1)을 형성한다.
화장액이 보조기구 밖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보조기구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되기에 마스크 시트는 화장액에 충분히 적셔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보조기구의 외곽만이 아니라 관통공이 형성된 부분 모두에 외곽을 따라 돌출된 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코 형상에 대응되는 관통공(10b)의 외곽을 따라 돌출된 제2 외곽턱(2)이 형성된다.
상기 외곽턱은 1 내지 3㎜ 범위에서 그 높이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조기구 두께의 대략 두 배 정도 높이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하 언급되는 돌기(3)는 외곽턱과 그 높이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마스크 시트를 얼굴에 부착시킨 후에는 보조기구를 제거해야 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보조기구 안쪽면에 다수의 돌기(3)를 형성하여 보조기구와 마스크 시트간의 접촉면적을 줄여 보조기구가 마스크 시트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보조기구를 이용한 마스크 시트를 얼굴에 부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포장지에서 꺼낸 마스크 시트(S)를 보조기구의 안쪽면(C1)에 펴준다. 이때 마스크 시트에 함침되어 있던 화장액은 외곽턱(1, 2)에 의해 흘러내리지 않기에 시트는 화장액으로 충분히 적셔진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으로 마스크 시트가 안치된 보조기구를 사용자가 잡고서 마스크 시트가 얼굴에 접촉되도록 보조기구를 얼굴에 가져다댄다. 그리고 보조기구 바깥면(C2)을 적당히 눌러주면서 마스크 시트가 얼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하고, 원하는 정도의 밀착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보조기구 한쪽을 들어올려 마스크 시트로부터 보조기구를 제거한다.
이를 통해 마스크 시크가 일부가 겹쳐지거나 접혀진 상태 없이 한번에 얼굴에 밀착될 수 있어 사용자는 손쉽게 시트를 얼굴에 붙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보조기구는 마스크 시트를 얼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보조기구를 제거하지 않고 얼굴에 마스크 시트와 함께 고정하는 고정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의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의 귀에 거는 고리 형태를 고려할 수 있다.
고정수단을 구비한 보조기구의 경우 마스크 시트를 얼굴에 펴바른 뒤 사용자는 보조기구를 제거하지 않고 고리를 귀에 걸어서 얼굴에 시트가 부착된 상태를 보호하게 된다.
특히 고정수단을 통해 마스크 시트가 얼굴에 접촉된 상태에서 시트 외부를 보조기구가 덮어주는 형태가 되기에, 마스크팩을 함에 있어 잘못된 사용시간(사용 권장 시간보다 오랜 시간 동안 시트를 얼굴에 바르고 있는 경우)으로 인해 오히려 피부의 수분이 날라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
S: 마스크팩(마스크시트)
C1: 안쪽면 C2: 바깥면
1: 제1외곽턱 2: 제2외곽턱
3: 돌기
10a, 10b, 10c: 눈/코/입에 대응하는 관통공

Claims (4)

  1. 코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안쪽면에 마스크팩을 올려 사용하는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로서,
    상기 안쪽면에 안치된 마스크팩의 화장액 흘러내림 방지를 위해 보조기구의 외곽을 따라 돌출된 제1 외곽턱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의의 외곽으로도 화장액 흘러내림 방지를 위해 돌출된 제2 외곽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안쪽면에는 안치된 마스크팩으로부터 보조기구의 용이한 분리를 위한 다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기구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안쪽면에 마스크팩이 올려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얼굴에 상기 보조기구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
KR2020220000352U 2022-02-03 2022-02-03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 KR2004956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352U KR200495623Y1 (ko) 2022-02-03 2022-02-03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352U KR200495623Y1 (ko) 2022-02-03 2022-02-03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623Y1 true KR200495623Y1 (ko) 2022-07-11

Family

ID=8239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352U KR200495623Y1 (ko) 2022-02-03 2022-02-03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62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055B1 (ko) * 2012-06-28 2013-03-11 김정민 마스크 팩 흡수를 촉진하는 마스크 팩 보조 마스크
KR101987583B1 (ko) * 2018-03-08 2019-06-10 금강전기 (주) 마스크
KR20210116875A (ko) * 2020-03-18 2021-09-28 황누리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055B1 (ko) * 2012-06-28 2013-03-11 김정민 마스크 팩 흡수를 촉진하는 마스크 팩 보조 마스크
KR101987583B1 (ko) * 2018-03-08 2019-06-10 금강전기 (주) 마스크
KR20210116875A (ko) * 2020-03-18 2021-09-28 황누리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4153A (en) Throw-away ear protector
US5749099A (en) Draining disposable fluid-tight ear protector
WO2010020845A1 (en) Original eyelash butterfly guard
JP3072027U (ja) フェイスマスク
KR102223869B1 (ko) 시트 마스크
KR20170142149A (ko) 미용 마스크 팩
KR200495623Y1 (ko) 마스크팩 부착용 보조기구
JP2015130900A (ja) マッサージ指南マスク
CN110167386B (zh) 面膜包套件
CN215501672U (zh) 覆盖件和片状的覆盖件
CN110769717A (zh) 施用器装置
US6270217B1 (en) Eyeglass frame protector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KR200404263Y1 (ko) 일회용 의료밴드
US5503167A (en) Deformable face shield with mouthpiece
KR101855916B1 (ko) 사용이 편리한 마스크시트 화장품
JP6957790B1 (ja) 包装体
KR102359557B1 (ko) 페이셜 시트 마스크 착용 장치
JPH08299054A (ja) マスク
JP6343741B1 (ja) シート体
KR101698325B1 (ko) 마스크 팩 커버
KR102409621B1 (ko) 드레싱 밴드
JP6587117B1 (ja) パック用シート
JP3214468U (ja) フェイスマスク
CN109688869B (zh) 片体
JP3032055U (ja) 目薬点眼用補助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