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264A - 천정설비 집합형 모듈 바,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실내의 천정 마감구조 - Google Patents

천정설비 집합형 모듈 바,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실내의 천정 마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264A
KR20180094264A KR1020170020365A KR20170020365A KR20180094264A KR 20180094264 A KR20180094264 A KR 20180094264A KR 1020170020365 A KR1020170020365 A KR 1020170020365A KR 20170020365 A KR20170020365 A KR 20170020365A KR 20180094264 A KR20180094264 A KR 20180094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eiling
horizontal
protrus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0476B1 (ko
Inventor
김혜연
배상환
조용선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주)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주)유창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0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4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0Connections between 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41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실내의 천정에 설치될 조명등과, 스프링클러, 스피커(speaker), 디퓨저(diffuser) 등의 천정설비가 함께 장착되도록 하는 "천정설비 집합형 모듈 바(module bar)"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실내의 천정 마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연직판(1)과, 수평판(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연직판(1)의 연직하단에는, 천정 마감판(300)의 횡방향 가장자리가 걸쳐져서 지지되는 수평거치부(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수평판(2)에는, 조명등 설치구(20)와, 천정설비 설치구(21)가 관통 형성되어 있어서, 모듈 바(100)에 조명등(22) 및 천정설비(23)가 함께 집약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바,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실내의 천정 마감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천정설비 집합형 모듈 바,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실내의 천정 마감구조{Module Bar and Ceiling Finish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such Module Bar}
본 발명은, 건물 실내의 천정에 설치될 조명등(照明燈)과, 스프링클러(sprinkler), 스피커(speaker), 화재감지기(fire detector), 디퓨저(diffuser) 등의 천정설비가 함께 장착되도록 하는 "천정설비 집합형 모듈 바(module bar)"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실내의 천정 마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 실내의 천정에는, 실내의 조명을 위한 조명등을 비롯하여 스프링클러, 스피커, 화재감지기, 디퓨저 등의 천정설비가 설치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는, 스프링클러, 스피커, 화재감지기, 및 디퓨저를 "천정설비"라고 기재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천정설비"는 스프링클러, 스피커, 화재감지기, 및 디퓨저의 전부 또는 그 중의 어느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경량철골을 천정에 매달아 설치한 후, 경량철골 사이의 공간에 천정 마감판을 시공하면서, 천정 마감판에 구멍을 천공하여 조명등(照明燈)과 천정설비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천정 마감구조를 시공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3675호에는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이와 같이 각각의 천정 마감판에 직접 조명등과 천정설비를 설치함으로 인하여, 시공 완료 후 천정 마감 상태의 심미감이 매우 불량하다는 단점이 있다. 도 16은 종래 기술에 의해 시공된 천정 마감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인데, 조명등 및 천정설비들이 천정에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매우 산만하게 보일 뿐만 아니라, 조명등(照明燈)이 불규칙하게 그리고 부적절한 위치에 존재하여 조명 효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천정 작업공정에 있어서도, 경량철골 설치, 천정 마감판 설치, 조명등 설치, 및 기타 천정설비 설치라는 작업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그 과정에서 공정간의 간섭, 작업대기 시간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위를 올려다보면서 수행하여야 하는 작업이 대부분이어서 작업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3675호(2006. 05. 26.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천정 마감판과, 조명등 및 천정설비를 설치하여 천정 마감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작업이 완료된 후 천정 마감구조의 심미감을 향상시키며, 천정 마감작업에서의 공정간의 간섭, 작업대기 시간의 발생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작업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이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조명등(照明燈) 및 천정설비가 집약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천정 마감판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모듈 바(module bar)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달대에 의해 건물 실내의 천정에 매달려서 설치되는 모듈 바로서, 각각 연직한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연직판과, 수평한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직판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수평하게 위치하여 한 쌍의 연직판과 일체화되어 있는 수평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연직판의 연직하단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는, 천정 마감판의 횡방향 가장자리가 걸쳐져서 지지되는 수평거치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수평판에는, 조명등 설치구(照明燈 設置口)와, 천정설비 설치구(設置口)가 관통 형성되어 있어서, 모듈 바에 조명등 및 천정설비가 함께 집약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바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모듈 바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개의 모듈 바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도록 각각 달대에 의해 건물 실내의 천정에 매달려서 설치되어 있고, 모듈 바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천정 마감판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건물 실내의 천정 마감구조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모듈 바 및 이를 이용한 천정 마감구조에 있어서, 수평거치부의 외측방향 끝단에는 연직상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가 구비되어 있어서, 천정 마감판이 수평거치부이 걸쳐지도록 놓일 때, 천정 마감판의 저면은 지지돌기의 상면에만 닿은 상태로 지지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연직판의 연직상단에는 걸림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걸림판의 횡방향 양단부에는 연직하향으로 돌출된 하향돌기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하향돌기부와 연직판의 외측면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는 구성을 가지며; 하향돌기부와 연직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연직판의 외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수평돌출부와, 상기 수평돌출부의 끝단에서 연직상향으로 연장된 수직돌출부로 이루어진 상향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2개의 모듈 바가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때 삽입연결판은 종방향으로 2개의 모듈 바 사이에 걸쳐져서 위치하게 되는데, 삽입연결판의 상단 가장자리가, 각각 상향돌기부와 연직판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 및 걸림판의 하향돌기부와 연직판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에 끼워짐으로써, 삽입연결판에 의해 2개의 모듈 바가 조립되어 연속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 바에는 조명등뿐만 아니라, 건물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는 스피커 등의 천정설비가 함께 설치되고, 모듈 바를 이용하여 천정 마감판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조명등과 천정설비가 모듈 바에 모두 집약되어 설치되므로, 종래 기술처럼 천정 마감판을 손상시키면서 천정 마감판에 조명등과 천정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전혀 없으며, 마감처리가 완료된 천정은 조명등과 천정설비가 정돈된 형태로 배치된 상태가 되므로, 천정의 미관을 현저히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규격화된 모듈 바에 조명등과 천정설비를 설치해둔 상태로 사전 준비해두고, 이러한 모듈 바를 천정에 매달은 다음, 조명등과 천정설비에 필요한 전선이나 도관을 연결하고 천정 마감판을 설치하게 되면 전체적인 천정 마감구조 시공 공정이 완료되므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공정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으며,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할 필요도 없어지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효율성도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모듈 바의 실시예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의 원 A부분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모듈 바에 대한 개략적인 종방향 측면도이다.
도 6는 도 3의 원 B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의 원 C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모듈 바에 조명등과 천정설비가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바가 달대 및 체결구에 의해 매달려 설치되고, 모듈 바 사이에 천정 마감판이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원 K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본 발명에서 2개의 모듈 바가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 10의 원 F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화살표 M-M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종래 기술에 의해 시공된 천정 마감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바(module bar)"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기재하고, 모듈 바의 폭 방향 즉, 수평면 상에서 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횡방향"이라고 기재한다.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모듈 바(100)의 실시예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4에는 각각 도 1의 원 A부분 즉, 모듈 바(100)의 일측 종단부를 확대하여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모듈 바(100)에 대한 개략적인 종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상태로 도시한 것이며, 도 2 및 도 4는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본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 바(100)는 종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서, 건물 실내의 천정 마감판이 걸쳐져서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조명등(照明燈)이 설치되도록 하며, 더 나아가 스프링클러(sprinkler), 스피커(speaker), 화재감지기(fire detector) 또는 디퓨저(diffuser)로 이루어진 천정설비가 설치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즉, 본 발명의 모듈 바(100)에는 조명등과 천정설비가 함께 집약적으로 설치된다.
도면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 바(100)는, 각각 연직한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연직판(1)과, 수평한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직판(1)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수평하게 위치하여 한 쌍의 연직판(1)과 일체화되어 있는 수평판(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모듈 바(100)를 종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한 쌍의 연직판(1)과, 그 사이의 수평판(2)에 의해, 모듈 바(100)는 영어 알파벳 "H"자 형태의 종방향 측면 형상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한 쌍의 연직판(1) 각각을 구분하여 설명할 때에는 각각 "제1연직판(1a)"과 "제2연직판(1b)"라고 기재하지만, 한 쌍의 연직판을 모두 지칭할 때에는 "연직판(1)" 또는 "한 쌍의 연직판(1)"이라고 기재한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모듈 바(100)에는 한 쌍의 연직판(1)이 구비되어 있는데, 연직판(1) 각각은 연직한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부재로 이루어져서 판부재의 폭방향이 연직한 방향이 되도록 세워져 있으며, 한 쌍의 연직판(1) 즉, "제1연직판(1a)"과 "제2연직판(1b)"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평행하게 위치한다. 편의상 한 쌍의 연직판(1)이 서로 마주하게 되는 방향을 "내측방향"이라고 기재하고, 이렇게 한 쌍의 연직판(1)이 서로 마주하게 되는 측면을 "내측면"이라고 기재한다. 따라서 내측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은 "외측방향"이라고 기재하고, 연직판(1)에서 내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은 "외측면"이라고 기재한다.
연직판(1)의 연직하단에서 외측면에는 천정 마감판이 걸쳐지게 되는 수평거치부(10)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수평거치부(10)는 횡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판형태의 부분으로서 연직판(1)의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형태로 일체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연직판(1)의 연직하단이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절곡된 수평부분이 수평거치부(10)를 이루고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횡방향 폭과 종방향 길이를 가지는 수평한 판부재가 연직판(1)의 연직하단에서 외측면에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평한 판부재가 수평거치부(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에는 도 3의 원 B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수평거치부(10)의 외측방향 끝단에는 연직상향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된 지지돌기(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돌기(11)는 모듈 바(100)의 전체 길이에 걸쳐 길게 형성될 수 있는데, 후술하는 것처럼 천정 마감판(300)이 수평거치부(10)이 걸쳐질 때, 천정 마감판(300)의 저면은 지지돌기(11)의 상면에만 닿은 상태로 지지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경우, 연직판(1)의 연직상단에는, 체결부재와의 결합을 위하여 걸림판(12)이 구비되어 있는데, 걸림판(12)은 좁은 횡방향 폭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져서 연직판(1)과 일체를 이루면서 연직판(1)의 연직상단에 수평하게 놓인 상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연직판(1)의 연직상단을 종방향으로 바라보면 영어 알파벳 "T"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 도 7에는 도 3의 원 C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걸림판(12)의 횡방향 양단부에는 연직하향으로 돌출된 하향돌기부(12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향돌기부(120)와 연직판(1)의 외측면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것처럼 모듈 바(100)를 달대에 매달기 위하여 체결부재가 모듈 바(100)에 결합될 때, 체결부재와 연직판(1)이 서로 견고하게 일체화되도록 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하향돌기부(120)는 생략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걸림판(12) 역시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위와 같이 하향돌기부(120)를 가지는 걸림판(12)이 연직판(1)의 연직상단에 구비된 경우에는, 하향돌기부(120)와 연직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연직판(1)의 외측면에 상향돌기부(1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는 도 3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향돌기부(130)는 연직판(1)의 외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수평돌출부(131)와, 상기 수평돌출부의 끝단에서 연직상향으로 연장된 수직돌출부(132)로 이루어져서, 종방향으로 바라볼 때 한글 "ㄴ"자 형태를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연직판(1) 사이에 수평한 판부재의 형태로 구비되는 수평판(2)에는, 조명등 설치구(設置口)(20)와, 천정설비 설치구(21)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조명등 설치구(20)에는 공지의 조명등(照明燈)(22)이 삽입되어 위치하게 되며, 천정설비 설치구(21)에는 천정설비(23)가 삽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도 9에는 모듈 바(100)에 조명등(22)과 천정설비(23)가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천정설비는 스프링클러, 스피커, 및 디퓨저의 전부 또는 각각을 의미하는데, 후술하는 것처럼, 모듈 바(100)을 이용한 천정 구조에서는 복수개의 모듈 바(100)이 이용되므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모듈 바(100)에 천정설비 설치구(21)가 원형구멍 형태로 1개만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복수개의 모듈 바(100)에 각각 스프링클러, 스피커, 화재감지기, 및 디퓨저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모듈 바(100)에 복수개의 천정설비 설치구(21)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천정설비를 동시에 하나의 모듈 바(100)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바(100)가 달대(200) 및 체결구(201)에 의해 매달려 설치되고, 모듈 바(100) 사이에 천정 마감판(300)이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천정 슬래브에 고정되어 있는 달대(200)의 하단에는 체결구(201)가 구비되어 있는데, 체결구(201)의 하단이 연직판(1)의 연직상단에 결합됨으로써, 모듈 바(100)가 천정에 매달린 채로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체결구(201)는 수평체결판(211)과 그 양단의 수직체결판(21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직체결판(212)의 하단이 연직판(1)의 연직상단에 결합된다. 도 11에는 도 10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체결구(201)의 수직체결판(212)의 하단에는 상향으로 절곡된 고리부(2120)가 형성되어 있어서, 걸림판(12)의 하향돌기부(120)와 연직판(1)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에 고리부(2120)가 끼워지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체결구(201)와 연직판(1)이 매우 견고하게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체결구(201)와 연직판(1)의 결합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체결구(201)는 모듈 바(100)의 종방향 길이에서 복수개의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듈 바(100)는 달대(200) 및 체결구(201)에 의해 천정 슬래브에 매달려 설치되는데,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이러한 모듈 바(100)는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이러한 모듈 바(100)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는 천정 마감판(300)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천정 마감판(300)은 모듈 바(100)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위치하여, 천정 마감판(300)의 횡방향 가장자리가, 연직판(1) 하단의 수평거치부(10) 위에 놓이게 되어 수평거치부(10)에 의해 천정 마감판(300)이 지지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도 12에는 도 11의 원 K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앞서 언급한 것처럼, 수평거치부(10)에 지지돌기(11)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천정 마감판(300)의 저면은 지지돌기(11)의 상면에만 닿은 상태로 지지된다. 즉,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작은 면적을 가지는 지지돌기(11)의 상면만이 천정 마감판(300)의 가장자리 저면에 닿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최소한의 면적에서만 천정 마감판(300)이 지지돌기(11)에 놓여 지지되므로, 천정 마감판(300)의 저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천정 마감판(300)이 이웃하는 천정 마감판(3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종방향 즉, 모듈 바(100)이 길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모듈 바(100)을 복수개 연결하여 설치할 필요가 생길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는 각각 도 10의 원 F 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2개의 모듈 바(100)이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도 14의 화살표 M-M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모듈 바(100)을 종방향으로 조립 연결함에 있어서는 삽입연결판(5)을 이용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연직판(1)의 연직상단에 구비된 걸림판(12)의 하향돌기부(120)와, 연직판(1)의 외측면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하향돌기부(120)와 연직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수평돌출부(131)와 수직돌출부(132)로 이루어진 상향돌기부(130)가 연직판(1)의 외측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때 상향돌기부(130)와 연직판(1)의 외측면 사이에도 간격이 존재한다. 특히, <상향돌기부(130)와 연직판(1)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과 <걸림판(12)의 하향돌기부(120)와, 연직판(1)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은 연직방향으로 마주보고 있다. 이러한 간격에 삽입연결판(5)이 삽입된다. 즉,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연결판(5)은 종방향으로 2개의 모듈 바(100) 사이에 걸쳐져서 위치하게 되는데, 삽입연결판(5)의 상단 가장자리는 <걸림판(12)의 하향돌기부(120)와, 연직판(1)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에 끼워지고, 삽입연결판(5)의 하단 가장자리는 <상향돌기부(130)의 수직돌출부(132)와 연직판(1)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에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삽입연결판(5)은 2개의 모듈 바(100) 사이에 걸쳐져서 위치하되, 삽입연결판(5)의 종방향 양단은 각각의 모듈 바(100)에 고정되므로, 이러한 삽입연결판(5)에 의해 2개의 모듈 바(100)이 조립되어 연속되는 것이다. 특히, 삽입연결판(5)의 종방향 양단을 각각의 모듈 바(100)에 조립함에 있어서, 위와 같이 삽입연결판(5)의 가장자리가 모듈 바(100)에 존재하는 간격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 위치하게 되므로, 삽입연결판(5)을 고정시키는 작업이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2개의 모듈 바(100)의 조립 연속 작업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2개 모듈 바(100) 사이의 조립 연속은 매우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모듈 바(100)에는 조명등뿐만 아니라, 건물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는 스피커 등의 천정설비가 함께 설치된다. 그리고 모듈 바(100)을 이용하여 천정 마감판(30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종래에는 조명등을 설치하는 부재가 별도로 존재하고, 스프링클러, 스피커, 화재감지기, 및 디퓨저 등의 천정설비는, 천정 마감판에 별도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설치되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해 설치된 천정은 여러 설비들이 복잡하게 나열되어 심미감이 낮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조명등과 천정설비가 모듈 바(100)에 모두 집약되어 설치되므로, 종래 기술처럼 천정 마감판을 손상시키면서 천정 마감판에 조명등과 천정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전혀 없으며, 마감처리가 완료된 천정은 조명등과 천정설비가 정돈된 형태로 배치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천정의 미관을 현저히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경량철골 설치, 천정 마감판 설치, 조명등 설치, 천정설비 설치라는 작업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그에 따라 공정간의 간섭, 작업대기 시간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규격화된 모듈 바에 조명등과 천정설비를 설치해둔 상태로 사전 준비해두고, 이러한 모듈 바를 천정에 매달은 다음, 조명등과 천정설비를 필요한 전선이나 도관에 연결하고, 천정 마감판을 설치하게 되면 전체적인 천정 마감구조 시공 공정이 완료되므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공정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으며,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할 필요도 없어지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효율성도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1: 연직판
2: 수평판
20: 조명등 설치구
21: 천정설비 설치구
100: 모듈 바

Claims (6)

  1. 달대(200)에 의해 건물 실내의 천정에 매달려서 설치되는 모듈 바(100)로서,
    각각 연직한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연직판(1)과, 수평한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직판(1)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수평하게 위치하여 한 쌍의 연직판(1)과 일체화되어 있는 수평판(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연직판(1)의 연직하단에서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는, 천정 마감판(300)의 횡방향 가장자리가 걸쳐져서 지지되는 수평거치부(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수평판(2)에는, 조명등 설치구(20)와, 천정설비 설치구(21)가 관통 형성되어 있어서, 모듈 바(100)에 조명등(22) 및 천정설비(23)가 함께 집약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바.
  2. 제1항에 있어서,
    수평거치부(10)의 외측방향 끝단에는 연직상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1)가 구비되어 있어서, 천정 마감판(300)이 수평거치부(10)이 걸쳐지도록 놓일 때, 천정 마감판(300)의 저면은 지지돌기(11)의 상면에만 닿은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직판(1)의 연직상단에는 걸림판(12)이 구비되어 있으며;
    걸림판(12)의 횡방향 양단부에는 연직하향으로 돌출된 하향돌기부(120)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하향돌기부(120)와 연직판(1)의 외측면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는 구성을 가지며;
    하향돌기부(120)와 연직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연직판(1)의 외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수평돌출부(131)와, 상기 수평돌출부의 끝단에서 연직상향으로 연장된 수직돌출부(132)로 이루어진 상향돌기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2개의 모듈 바(100)가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때, 삽입연결판(5)은 종방향으로 2개의 모듈 바(100) 사이에 걸쳐져서 위치하게 되는데, 삽입연결판(5)의 상단 가장자리가, 각각 상향돌기부(130)와 연직판(1)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 및 걸림판(12)의 하향돌기부(120)와 연직판(1)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에 끼워짐으로써, 삽입연결판(5)에 의해 2개의 모듈 바(100)가 조립되어 연속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바.
  4. 복수개의 모듈 바(100)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도록 각각 달대(200)에 의해 건물 실내의 천정에 매달려서 설치되어 있고, 모듈 바(100)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천정 마감판(300)이 설치되어 있는데;
    모듈 바(100)는, 연직한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연직판(1)과, 수평한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직판(1)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수평하게 위치하여 한 쌍의 연직판(1)과 일체화되어 있는 수평판(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연직판(1)의 연직하단에서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는 수평거치부(10)가 구비되어 있어서, 천정 마감판(300)이 모듈 바(100)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 설치될 때, 천정 마감판(300)의 횡방향 가장자리는 수평거치부(10)에 걸쳐져서 지지되며;
    수평판(2)에는, 조명등 설치구(20)와, 천정설비 설치구(21)가 관통 형성되어 있어서, 모듈 바(100)에 조명등(22) 및 천정설비(23)가 함께 집약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실내의 천정 마감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수평거치부(10)의 외측방향 끝단에는 연직상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1)가 구비되어 있어서, 천정 마감판(300)이 수평거치부(10)이 걸쳐지도록 놓일 때, 천정 마감판(300)의 저면은 지지돌기(11)의 상면에만 닿은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실내의 천정 마감구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연직판(1)의 연직상단에는 걸림판(12)이 구비되어 있으며;
    걸림판(12)의 횡방향 양단부에는 연직하향으로 돌출된 하향돌기부(120)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하향돌기부(120)와 연직판(1)의 외측면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는 구성을 가지며;
    하향돌기부(120)와 연직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연직판(1)의 외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수평돌출부(131)와, 상기 수평돌출부(131)의 끝단에서 연직상향으로 연장된 수직돌출부(132)로 이루어진 상향돌기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2개의 모듈 바(100)가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때, 삽입연결판(5)은 종방향으로 2개의 모듈 바(100) 사이에 걸쳐져서 위치하게 되는데, 삽입연결판(5)의 상단 가장자리가, 각각 상향돌기부(130)와 연직판(1)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 및 걸림판(12)의 하향돌기부(120)와 연직판(1)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에 끼워짐으로써, 삽입연결판(5)에 의해 2개의 모듈 바(100)가 조립되어 연속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실내의 천정 마감구조.
KR1020170020365A 2017-02-15 2017-02-15 천정설비 집합형 모듈 바,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실내의 천정 마감구조 KR101990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365A KR101990476B1 (ko) 2017-02-15 2017-02-15 천정설비 집합형 모듈 바,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실내의 천정 마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365A KR101990476B1 (ko) 2017-02-15 2017-02-15 천정설비 집합형 모듈 바,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실내의 천정 마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264A true KR20180094264A (ko) 2018-08-23
KR101990476B1 KR101990476B1 (ko) 2019-06-18

Family

ID=6345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365A KR101990476B1 (ko) 2017-02-15 2017-02-15 천정설비 집합형 모듈 바,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실내의 천정 마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4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2508A (ja) * 1991-12-27 1993-07-23 Naka Ind Ltd 天井に於ける照明装置
JPH0741854U (ja) * 1993-12-20 1995-07-21 栄次 大塚 複合天井用バー材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ソケット
JP2001227096A (ja) * 2000-02-17 2001-08-24 Nippon Light Metal Co Ltd クリーンルーム等の天井構造
KR100583675B1 (ko) 2005-09-07 2006-05-26 김기철 경량철골 천정마감재 설치용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2508A (ja) * 1991-12-27 1993-07-23 Naka Ind Ltd 天井に於ける照明装置
JPH0741854U (ja) * 1993-12-20 1995-07-21 栄次 大塚 複合天井用バー材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ソケット
JP2001227096A (ja) * 2000-02-17 2001-08-24 Nippon Light Metal Co Ltd クリーンルーム等の天井構造
KR100583675B1 (ko) 2005-09-07 2006-05-26 김기철 경량철골 천정마감재 설치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476B1 (ko)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3045B2 (en) Ceiling system
ES2351441T3 (es) Abrazadera para suspender un par de vigas en t principales en relación paralela.
AU2013272101B2 (en) Two-piece modular yoke
US9726339B2 (en) Luminaire, assembly for a grid ceiling, method for installing a luminaire, method for removing a luminaire, and removal tool
KR101576230B1 (ko) 천장마감용 경량 철골 조립체
US9416535B1 (en) Supporting accessories for ceiling structures
KR20170120773A (ko) 천장마감패널 어셈블리
KR200464562Y1 (ko) 천장 매립형 엘이디 조명장치
US10816172B2 (en) Lighting system for suspended ceiling
KR101641832B1 (ko) 조명 설치용 지지장치
KR101990476B1 (ko) 천정설비 집합형 모듈 바,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실내의 천정 마감구조
US9441369B2 (en) Fixture-supporting rail for suspended ceilings
KR101352058B1 (ko) 개별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 천장판의 설치구조
KR101883399B1 (ko) 단 꺾임 천장 실내 조명박스 설치장치
KR20180003249U (ko) 평면등용 프레임 설치장치
US7673430B1 (en) Recessed wall-wash staggered mounting system
KR20110107026A (ko) 스크린 루바 시공용 행거장치
KR101311961B1 (ko) 멀티 고정형 조명등기구
KR100777620B1 (ko)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
KR200474513Y1 (ko) 조명등 고정장치
KR200423527Y1 (ko) 천정 마감패널 고정구
KR102031114B1 (ko) 조립식 결합구조를 갖는 천정패널
JP3968088B2 (ja) 軒天井
KR20150070790A (ko) 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20150070794A (ko) 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